KR20210000650U - 중첩 호스를 갖춘 커넥터 조립체 - Google Patents

중첩 호스를 갖춘 커넥터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0650U
KR20210000650U KR2020200003282U KR20200003282U KR20210000650U KR 20210000650 U KR20210000650 U KR 20210000650U KR 2020200003282 U KR2020200003282 U KR 2020200003282U KR 20200003282 U KR20200003282 U KR 20200003282U KR 20210000650 U KR20210000650 U KR 2021000065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se
adapter
section
end section
connector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328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찰스 트리프트
매트 스티버
클레투스 제이. 티엘렌
크리스챤 베라자
Original Assignee
티아이 그룹 오토모티브 시스템즈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티아이 그룹 오토모티브 시스템즈 엘엘씨 filed Critical 티아이 그룹 오토모티브 시스템즈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21000065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0650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3/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 F16L33/20Undivided rings, sleeves or like members contracted on the hose or expanded in the hose by means of tools; Arrangements using such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5/00Constructive types of pipe joi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16L13/00 - F16L23/00 ; Details of pipe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ally conducting or insulating means
    • F16L25/14Joints for pipes of different diameters or cross-s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1/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one another or to flexible slee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3/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 F16L33/20Undivided rings, sleeves or like members contracted on the hose or expanded in the hose by means of tools; Arrangements using such members
    • F16L33/207Undivided rings, sleeves or like members contracted on the hose or expanded in the hose by means of tools; Arrangements using such members only a sleeve being contracted on the hose
    • F16L33/2071Undivided rings, sleeves or like members contracted on the hose or expanded in the hose by means of tools; Arrangements using such members only a sleeve being contracted on the hose the sleeve being a separate connecting memb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igid Pipes And Flexible Pipe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조립체는 어댑터(adaptor)(1), 제 1 호스(hose)(2), 제 2 호스(3) 및 고정 링(fixing ring)(4)을 포함하고, 상기 어댑터(1)는 제 1 호스(2)에 할당된 제 1 단부 섹션(5) 및 제 2 호스(3)에 할당된 제 2 단부 섹션(6)을 포함하고, 상기 어댑터(1)의 중간 섹션(7)은 제 1 단부 섹션(5)과 제 2 단부 섹션(6)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어댑터(1)는 유체를 안내하기 위한 관통 보어(through bore)(8)를 가지며, 상기 제 1 호스(2)는 압입(press-fit) 방식으로 상기 어댑터(1)의 제 1 단부 섹션(5)을 둘러싸고, 상기 제 2 호스(3)는 압입 방식으로 상기 어댑터(1)의 제 2 단부 섹션(6)을 둘러싸며, 상기 제 2 호스(3)는 호스 중첩 영역(hose overlap region)(9)을 규정하는 어댑터(1)의 중간 섹션(7)의 적어도 일부에 걸쳐 제 1 호스(2)를 중첩하고, 상기 고정 링(4)은 제 2 호스(3)를 제 1 호스(2)에 고정하고, 상기 고정 링(4)은 호스 중첩 영역(9)의 적어도 일부가 축 방향으로 중첩되도록 위치되고, 상기 제 2 호스(3)의 내부 표면은 상기 제 1 호스(2)의 외부 표면과 접촉하고, 상기 제 1 호스(2)의 외부 표면은 상기 제 1 호스(2)의 외부 접촉 벽 섹션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제 2 호스(3)의 내부 표면은 제 2 호스(3)의 내부 접촉 벽 섹션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제 1 호스(2) 및 상기 제 2 호스(3) 각각은 축 방향으로 어댑터(1)와 중첩되는 내부 중첩 표면 섹션을 가지며, 상기 제 1 호스(2) 및 상기 제 2 호스(3)의 내부 중첩 표면 섹션은 제 1 호스(2) 및 제 2 호스(3)의 이완된 상태에서 원주방향 만입부(circumferential indentations)가 없고, 제 2 호스(3)의 내부 접촉 벽 섹션의 재료 및/또는 제 1 호스(2)의 외부 접촉 벽 섹션의 재료는 엘라스토머이다.

Description

중첩 호스를 갖춘 커넥터 조립체{CONNECTOR ASSEMBLY WITH OVERLAPPING HOSES}
본 고안은 어댑터, 제 1 호스, 제 2 호스 및 고정 링을 포함하는 커넥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제 2 호스는 어댑터의 중간 섹션의 적어도 일부에 걸쳐 제 1 호스와 중첩되고, 고정 링은 제 2 호스를 제 1 호스 상에 고정한다. 고정 링은 제 2 호스 상에 장착되며, 이에 의해 제 1 호스와 제 2 호스 상에 클램핑 력을 가한다.
이러한 커넥터 조립체는 종래 기술의 US 7 503 589 B2로부터 알려져 있다. 여기서, 예를 들어, 고무, 직물 및 플라스틱 재료로 만든 2 개의 호스는 어댑터와 고정 링을 사용하여 연결된다. 제 1 호스는 어댑터를 압입(press-fitting)하고 그리고 어댑터의 제 1 단부 섹션에 방사상 돌출부를 사용함으로써 단순 장착된다. 제 2 호스는 또한 압입 방식으로 어댑터와 제 1 호스를 둘러싸고 있다. 어댑터는 방사상 돌출부를 포함하는 제 2 단부 섹션을 가지며, 이에 의해 제 2 호스에 대한 가압력도 향상된다. 클램프 링 형태의 고정 링이 제 2 호스에 장착되며, 이에 의해 양쪽 호스에 가압력을 가한다. 클램프 링의 가압력이 상기 언급된 호스에 비해 충분히 높지 않기 때문에, US 7 503 589 B2는 호스의 내부 표면에 원주방향 만입부(circumferential indentations)를 사용하는 것을 교시한다. 만입부는 어댑터의 상응하는 돌출부에 대해 보완적이며, 이에 의해 제 1 단부 섹션 및 제 2 단부 섹션의 영역에서 2 개의 맞물림을 제공한다. 이는 축방향으로 인장력(pulling forces)을 견디는 커넥터 조립체의 능력을 증가시킨다.
그러나, 호스의 내부 표면에 만입부를 제공하는 것은 비용을 증가시키는 제조 단계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 만입부를 회피하고 그리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축방향 인장력을 견디는 커넥터 조립체의 충분한 능력을 제공함으로써 제조 비용을 줄이는 것이다.
이 목표는 어댑터, 제 1 호스, 제 2 호스 및 고정 링을 포함하는 커넥터 조립체를 사용하여 해결되며, 어댑터는 제 1 호스에 할당된 제 1 단부 섹션 및 제 2 호스에 할당된 제 2 단부 섹션을 포함하고, 어댑터의 중간 섹션은 제 1 단부 섹션과 제 2 단부 섹션 사이에 위치되고, 어댑터는 유체를 안내하기 위한 관통 보어(through bore)을 가지며,
제 1 호스는 압입 방식으로 어댑터의 제 1 단부 섹션을 둘러싸고, 제 2 호스는 압입 방식으로 어댑터의 제 2 단부 섹션을 둘러싸며, 제 2 호스는 호스 중첩 영역을 규정하는 어댑터의 중간 섹션의 적어도 일부에 걸쳐 제 1 호스를 중첩하고, 고정 링은 제 2 호스를 제 1 호스 상에 고정하고, 고정 링은 호스 중첩 영역의 적어도 일부가 축 방향으로 중첩되도록 위치되며,
제 2 호스의 내부 표면은 제 1 호스의 외부 표면과 접촉하고, 제 1 호스의 외부 표면은 제 1 호스의 외부 접촉 벽 섹션에 의해 형성되고, 제 2 호스의 내부 표면은 제 2 호스의 내부 접촉 벽 섹션에 의해 형성되며, 제 1 호스 및 제 2 호스 각각은 축 방향으로 어댑터와 중첩되는 내부 중첩 표면 섹션을 갖고,
제 1 호스 및 제 2 호스의 내부 중첩 표면 섹션은 제 1 호스(2) 및 제 2 호스(3)의 이완된 상태에서 원주방향 만입부가 없고, 제 2 호스의 내부 접촉 벽 섹션 및/또는 제 1 호스의 외부 접촉 벽 섹션은 엘라스토머이다.
본 고안은 먼저, 호스의 내부 표면 상에 원주방향 만입부 또는 홈(groove)을 제공하기 위해서 적절한 도구를 필요로 하는 추가 제조 단계로 인해 만입부는 손이 많이 간다는 발견에 기초한다. 이는 압출 호스의 단면이 호스의 길이를 따라 지속적으로 동일하도록 호스가 압출을 통해 생산되기 때문이다. 본 고안은, 또한 종래 기술(US 7 503 589 B2)이 만입에 관한 종래 기술의 교시가 모든 중합체 호스 조합에 적합하도록 호스의 중합체 재료에 대해 고려하지 않는다는 발견에 기초한다. 특히, 특정 호스 조합에 대해 종래 기술의 교시를 존중할 필요가 없다는 것이 본 고안의 발견이다. 이는 제 2 호스의 내부 접촉 벽 섹션 및/또는 제 1 호스의 외부 접촉 벽 섹션이 엘라스토머를 포함하는 커넥터 조립체에 적용된다. 여기에서, 제 1 호스와 제 2 호스 사이의 마찰 연결은 만입부의 효과를 보상하거나 심지어 과도하게 보상할 수 있을만큼 충분히 강력하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은 전술한 목표를 해결한다.
제 1 호스 및/또는 제 2 호스는 다층 호스일 수 있다. 제 1 호스 및/또는 제 2 호스가 단지 하나의 층만을 포함하는 것이 본 고안의 범위 내에 있다. 용어 "층(layer)"은, 바람직하게는 균질한 재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벽 섹션을 의미한다. 용어 "엘라스토머(elastomer)"는 바람직하게는 500 MPa 미만, 더 바람직하게는 200 MPa 미만,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100 MPa 미만, 그리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50 MPa 미만 또는 심지어 20 MPa의 영률(Young’s modulus)을 갖는 중합체 재료를 의미한다. 제 2 호스는 엘라스토머를 포함하는 단지 하나의 균질 중합체 층을 포함할 수 있으며, 단지 하나의 균질 중합체 층은 제 2 호스의 내부 접촉 벽 섹션 및 외부 벽 섹션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제 2 호스는 강화 요소를 포함하고, 강화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예를 들어, 유리 섬유 또는 중합체 섬유를 포함하는 편직물일 수 있는 섬유를 포함한다. 제 2 호스가 제 1 호스보다 부드럽거나 그 반대인 경우도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제 2 호스의 영률은 제 1 호스의 영률보다 적어도 10 배 또는 20 배 또는 50 배 또는 100 배 더 낮거나 그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단지 제 2 호스만 엘라스토머를 포함한다. 제 2 호스의 내부 접촉 벽 섹션 및/또는 제 1 호스의 외부 접촉 벽 섹션은 호스 중첩 영역의 적어도 일부를 덮고, 그리고 더 우선적으로 전체 호스 중첩 영역을 덮으며, 그리고 가장 우선적으로는 제 2 호스의 전체 내부 표면 및/또는 제 1 호스의 전체 외부 표면을 덮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2 호스의 외부 표면이 고정 링의 내부 표면과 접촉하는 것이 매우 바람직하며, 제 2 호스의 외부 표면은 제 2 호스의 외부 벽 섹션에 의해 형성되고, 제 2 호스의 외부 벽 섹션은 엘라스토머이다. 제 2 호스의 외부 벽 섹션은 제 2 호스의 내부 접촉 벽 섹션과 동일한 재료/동일한 엘라스토머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2 호스의 벽은 이완된 상태에서 제 1 호스의 벽보다 적어도 1.2 배, 보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5 배, 그리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8 배 더 두껍거나 그 반대의 경우도 본 고안의 범위 내에 있다. 이완된 상태에서 제 2 호스의 외경은 바람직하게는 최대 40 mm, 더욱 바람직하게는 최대 35 mm, 그리고 매우 바람직하게는 최대 30 mm이다. 이완된 상태에서 제 2 호스의 외경은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10 mm, 더욱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2 mm, 그리고 매우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4 mm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호스는 이완된 상태에서 최대 25 mm, 바람직하게는 최대 20 mm, 그리고 매우 바람직하게는 최대 17 mm의 외경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제 1 호스는 이완된 상태에서 적어도 5 mm,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8 mm, 그리고 매우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0 mm의 외경을 갖는다.
고정 링은 제 1 호스를 제 2 호스에 연결하는 원주방향 레이저 용접 시임(circumferential laser welding seam)일 수 있다. 매우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고정 링은 별도의 부재이며, 고정 링은 제 2 호스가 제 1 호스에 장착될 때 우선적으로 제 2 호스의 외경을 감소시킨다. 고정 링은 압입 방식으로 제 2 호스에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 링은 바람직하게는 가역적 또는 비가역적 방식으로 제 2 호스에 장착된다. 예를 들어, 고정 링은 고정 링을 제 2 호스에 가역적으로 장착하기 위해 나사 또는 래치 요소를 포함하는 클램프 링(clamp ring)이다. 고정 링의 비가역적 장착은 예를 들어, 주름진 링 형태의 고정 링 또는 케이블 타이 방식의 링과 함께 제공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고정 링은 적어도 1N, 더욱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N, 그리고 매우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5N의 클램핑 력을 제 2 호스에 가한다. 고정 링은 바람직하게는 금속 또는 중합체를 포함한다.
우선적으로, 어댑터의 제 1 단부 섹션 및/또는 제 2 단부 섹션은 어댑터의 중간 섹션의 외부 표면에 비해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포함한다. 제 1 단부 섹션은 제 2 단부 섹션과 상이한 것이 바람직하다. 우선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단부 섹션은 제 1 단부 섹션에 비해 반경 방향 외측으로 더 돌출된다. 적어도 제 2 단부 섹션이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이 매우 바람직하다. 제 1 단부 섹션 및/또는 제 2 단부 섹션의 돌출부는 바람직하게는 테이퍼 섹션을 포함하고, 테이퍼 섹션은 각각 제 1 호스 및 제 2 호스와의 맞물림을 용이하게하기 위해 축 방향 외측 방향으로 테이퍼진다. 제 1 단부 섹션 및/또는 제 2 단부 섹션의 돌출부는 어댑터의 중간 섹션을 향해 축 방향으로 향하는 숄더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매우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어댑터의 제 1 단부 섹션의 회전 축은 어댑터의 제 2 단부 섹션의 회전 축과 동일하다. 제 1 단부 섹션, 중간 섹션 및 제 2 단부 섹션은 동일한 회전축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매우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어댑터는 순전히 회전 대칭이다. 어댑터는 단지 2 개의 단부 섹션만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어댑터가 중합체 및/또는 금속을 포함하는 것은 본 고안의 범위 내에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어댑터는 바람직하게는 중합체를 포함하는 단일 부품 요소(single-piece element)이다. 중합체는 바람직하게는 폴리아미드, 특히 폴리프탈아미드이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중합체는 폴리페닐렌 설파이드이다. 어댑터의 금속은 예를 들어, 아연, 알루미늄 또는 스테인리스 강일 수 있다. 어댑터는 중합체 및 금속을 포함하는 복합 요소일 수 있다.
어댑터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0 mm, 보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5 mm,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0 mm, 그리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3 mm의 축방향 길이를 갖는다. 어댑터의 축 방향 길이는 우선적으로 최대 60 mm, 보다 바람직하게는 최대 50 mm, 더 바람직하게는 최대 40 mm, 그리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최대 35 mm이다. 어댑터 중간 섹션의 외경은 우선적으로 적어도 10 mm, 우선적으로 적어도 13 mm, 그리고 가장 우선적으로는 적어도 15 mm 또는 17 mm이다. 어댑터의 외경은 유리하게는 최대 35 mm, 더욱 유리하게는 최대 30 mm, 그리고 가장 유리하게는 최대 25 mm이다. 제 1 단부 섹션 및 제 2 단부 섹션의 숄더는 어댑터의 중간 섹션, 그리고 특히 그들 사이의 중간 섹션의 축 방향 길이를 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중간 섹션의 축 방향 길이는 적어도 8 mm, 보다 우선적으로 적어도 10 mm, 더욱 우선적으로 적어도 12 mm, 그리고 가장 우선적으로 적어도 14 mm이다. 중간 섹션의 축 방향 길이는 바람직하게는 최대 40 mm, 보다 바람직하게는 최대 35 mm, 더욱 바람직하게는 최대 30 mm,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최대 25 mm, 그리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최대 20 mm이다.
제 2 호스의 내부 접촉 벽 섹션 및/또는 제 1 호스의 외부 접촉 벽 섹션 및/또는 제 2 호스의 외부 벽 섹션의 엘라스토머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또는 고무이고, 바람직하게는 EPDM인 것이 아주 바람직하다. 매우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단지 제 2 호스만이 엘라스토머를 포함한다. 제 1 호스는 내부 층 및 외부 층을 포함하는 적어도 2 개의 층을 가질 수 있으며, 2 개의 층 중 적어도 하나는 폴리아미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정 실시예에 따르면, 정지 요소가 제 1 호스의 외부 표면에 배치된다. 정지 요소는 예를 들어, 제 1 호스에 장착된 방사상으로 돌출된 정지 링 또는 마커 링 또는 제 1 호스에 표시된 마커 도트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정지 요소는 제 2 호스의 단부면을 향하는 축 방향 내부 단부를 포함하며, 이에 의해 서로 간의 축 방향 거리를 규정한다. 상기 축 방향 거리는 최대 10 mm, 바람직하게는 최대 5 mm, 그리고 매우 바람직하게는 최대 3 mm 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적으로는, 제 2 호스의 단부면과 정지 요소의 축 방향 내부 단부는 서로 접촉한다. 정지 요소는 제 1 단부 섹션/제 1 단부 섹션의 반경 방향 돌출부와 축 방향으로 중첩하는 것이 매우 바람직하다. 정지 요소의 축 방향 길이는 어댑터의 제 1 단부 섹션에 의해 유도된 제 1 호스의 돌출 섹션의 축 방향 길이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정지 요소는 제 1 단부 섹션의 숄더와 축 방향으로 중첩하는 것이 매우 바람직하다.
매우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정지 요소는 제 1 호스와 분리된 정지 링이고, 정지 링은 바람직하게는 압입 방식으로 제 1 호스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정지 링은 적어도 2 mm, 보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3 mm,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4 mm, 그리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5 mm의 축방향 길이를 갖는다. 정지 링의 축 방향 길이는 유리하게는 최대 50 mm, 보다 유리하게는 최대 40 mm, 더욱더 유리하게는 최대 30 mm/20 mm/15 mm/10 mm이다. 정지 링은 단일 부품 요소인 것이 매우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정지 링은 중합체 그리고 매우 바람직하게는 폴리올레핀 또는 폴리아미드를 포함한다.
매우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정지 링은 제 1 호스의 길이 방향 섹션에 대해 적어도 어댑터의 제 1 단부 섹션의 영역에서 장착된 제 1 호스의 외부 표면에 상보적인 섹션에 있는 내부 표면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정지 링의 내부 표면은 원주방향 교번 섹션(alternating circumferential sections)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원주방향 교번 섹션은 반경 방향 내측으로 돌출하는 부분을 갖는다. 반경 방향 내측으로 돌출하는 부분 중 적어도 일부는 테이퍼 섹션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경 방향 내측으로 돌출하는 부분의 테이퍼 섹션 중 적어도 일부는 축 방향 내측 방향으로 테이퍼지는 한편, 반경 방향 내측으로 돌출하는 다른 부분의 다른 테이퍼 섹션은 축 방향 외측 방향으로 테이퍼지는 것이 매우 바람직하다. 여기서, "내측(inwardly)"이라는 용어는 어댑터의 중간 섹션 방향으로의 정지 링의 벽 두께가 점점 가늘어지는 것(tapering)을 의미한다. "외측(outwardly)"이라는 용어가 이에 따라 적용된다. 매우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축 방향 내측 및 외측으로 테이퍼진 섹션은 원주방향으로 교번하는 방식으로 배열된다. 교번하는 테이퍼 섹션을 포함하는 원주방향 교번 섹션은 이들 섹션이 어댑터의 제 1 단부 섹션의 영역에서 제 1 호스의 외부 표면에 적어도 상보적인 섹션에 있는 내부 표면을 갖는 정지 링을 제공하는 방식으로 구성되는 것이 매우 바람직하다. 매우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각각의 원주방향 교번 섹션은 일정한 벽 두께를 갖는 비돌출 부분을 갖는다.
본 고안은 본 고안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만을 묘사하는 도면에 기초하여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커넥터 조립체의 종단면을 도시한다.
도 2는 중간 장착 단계 동안 그리고 추가 정지 링을 갖춘 도 1의 커넥터 조립체를 도시한다.
도 3은 도 2의 정지 링에 대한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도 2 및 도 3의 정지 링과 함께 도 1의 커넥터 조립체의 어댑터의 측면도이며, 여기서 정지 링은 길이 방향 섹션으로 묘사되어 있다.
위에서 언급된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커넥터 조립체의 기본 원리를 강조한다. 커넥터 조립체는 어댑터(1), 제 1 호스(2), 제 2 호스(3) 및 고정 링(4)을 포함한다. 이 실시예의 어댑터(1)는 폴리프탈아미드로 제조되고 성형된 일체형 요소이다. 이 실시예의 제 1 호스(2)는 다층 튜브이고 그리고 특히, 폴리아미드로 만들어진 적어도 하나의 층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 호스(3)는 기본적으로 EPDM으로 구성되며 그리고 이에 따라 엘라스토머이다. 제 2 호스(3)는 또한 강화 섬유 형태의 강화 요소(17)를 갖는다. 고정 링(4)은 주름진 링이며 금속으로 만들어진다.
어댑터(1)는 제 1 단부 섹션(5), 제 2 단부 섹션(6) 및 제 1 단부 섹션(5)과 제 2 단부 섹션(6) 사이에 배치되는 중간 섹션(7)을 포함한다. 제 1 단부 섹션(5)은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는 돌출부(10)를 포함한다. 이 돌출부(10)는 어댑터(1)에 제 1 호스(2)의 맞물림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중간 섹션(7)을 향하는 숄더 및 테이퍼 섹션을 포함한다. 제 2 단부 섹션(6)은 어댑터(1)에 제 2 호스(3)의 맞물림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중간 섹션(7)을 향하는 숄더 및 테이퍼 섹션을 포함한다. 다양한 다른 단부 섹션(5, 6)이 함께 결합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도 2는 제 1 호스(2)가 이미 어댑터(1)에 장착된 중간 제조 단계를 강조한다. 이 실시예의 제 1 호스(2)는 제 1 단부 섹션(5)뿐만 아니라 중간 섹션(7)을 완전히 덮고 그리고 제 2 단부 섹션(6)의 돌출부(11)의 숄더에 접한다. 더욱이, 정지 링 형태의 정지 요소(12)가 제 1 단부 섹션(5)의 영역에서 제 1 호스(2) 상으로 눌려졌다. 도 2 이후의 이 실시예의 다음 제조 단계는, 제 2 호스(3)의 면 단부가 정지 요소(12)에 접할 때까지 제 2 호스(3)를 어댑터(1) 및 제 1 호스(2) 위로 밀어내는 것이다. 마지막 단계에서, 크림핑된 링 형태의 고정 링(4)이 중간 섹션(7) 영역의 제 2 호스(3)에 장착된다.
도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고정 링(4)은 제 2 호스(3)에 가압력을 가하며, 이에 의해 제 2 호스(3)의 외경을 감소시킨다. 돌출부(10, 11)의 상기 숄더와 조합하여 그리고 또한 제 2 호스(3)의 고무형 재료 EPDM와 조합하여 이러한 가압력은 제 1 호스(2)와 제 2 호스(3) 사이에 확실한 연결을 확립하였다. 특히, 제 2 호스(3)의 내부 접촉 벽 섹션은 EPDM 그리고 따라서 엘라스토머를 포함하며, 이에 의해 제 1 호스(2)의 외부 표면과 제 2 호스(3)의 내부 표면 사이에 양호한 마찰 연결을 확립한다.
돌출부(11)의 숄더는 정지 요소(12)에도 적용되는 우수한 제조 제어 가능성을 제공한다. 두 경우 모두, 직원 및/또는 카메라는 제 1 호스(2)의 면 단부와 돌출부(11)의 숄더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고 그리고 제 2 호스(3)의 면 단부와 정지 요소(12) 각각 사이의 거리를 조절함으로써 어댑터(1)의 제 1 호스(2)와 제 2 호스(3)의 정확한 장착 포지션을 쉽게 제어할 수 있다. 두 가지 제조 제어 가능성 모두는 제조 공정의 신뢰성을 높인다.
정지 요소(12)는 도 3의 사시도에서 좌측에 그리고 도 4에서 우측에, 어댑터(1)에 장착된 길이 방향 섹션으로 강조된다. 사시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정지 요소(12)는 정지 요소(12)의 내부 표면 상에 배치된 복수의 원주방향 교번 섹션(13, 14)을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서, 정지 요소(12)는 축 방향 외측 방향으로 테이퍼진 4 개의 섹션(13) 및 축 방향 내측 방향으로 테이퍼진 4 개의 섹션(14)을 포함한다. 보다 정확하게는, 각각의 섹션(13, 14)은 반경 방향 내측으로 돌출하는 돌출부(15)를 포함한다. 이 돌출부(15)는 정지 요소(12)의 축 방향 중앙에서 끝나는 테이퍼진 내부 표면을 갖는다.
각각의 섹션(13, 14)은 또한 정지 요소(12)의 벽의 일정한 두께를 갖는 돌출되지 않은 부분(16)을 포함한다. 이것은 특히 도 4의 정지 요소(12)의 길이 방향 섹션에서 볼 수 있다. 원주방향 교번 섹션(13, 14)은 도 4에서도 볼 수 있는 제 1 단부 섹션(5)의 영역에서 제 1 호스(2)의 외부 표면에 상보적인 정지 요소(12)의 내부 표면을 초래한다. 제 1 호스(2)가 제 1 단부 섹션(5)의 외부 표면과 정지 요소(12)의 내부 표면 사이의 특정 거리를 설명하는 도 3에 도시되어 있지 않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섹션(13, 14)의 교번 배열은, 정지 요소(12)를 제 1 단부 섹션(5)의 영역으로 밀어내는 것을 용이하게 하는 동시에 제 1 단부 섹션(5)의 영역에 양호한 고정을 제공한다.

Claims (10)

  1. 어댑터(adaptor)(1), 제 1 호스(hose)(2), 제 2 호스(3) 및 고정 링(fixing ring)(4)을 포함하는 커넥터 조립체로서,
    상기 어댑터(1)는 제 1 호스(2)에 할당된 제 1 단부 섹션(5) 및 제 2 호스(3)에 할당된 제 2 단부 섹션(6)을 포함하고, 상기 어댑터(1)의 중간 섹션(7)은 제 1 단부 섹션(5)과 제 2 단부 섹션(6)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어댑터(1)는 유체를 안내하기 위한 관통 보어(through bore)(8)를 가지며,
    상기 제 1 호스(2)는 압입(press-fit) 방식으로 상기 어댑터(1)의 제 1 단부 섹션(5)을 둘러싸고, 상기 제 2 호스(3)는 압입 방식으로 상기 어댑터(1)의 제 2 단부 섹션(6)을 둘러싸며, 상기 제 2 호스(3)는 호스 중첩 영역(hose overlap region)(9)을 규정하는 어댑터(1)의 중간 섹션(7)의 적어도 일부에 걸쳐 제 1 호스(2)를 중첩하고, 상기 고정 링(4)은 제 2 호스(3)를 제 1 호스(2)에 고정하고, 상기 고정 링(4)은 호스 중첩 영역(9)의 적어도 일부가 축 방향으로 중첩되도록 위치되고,
    상기 제 2 호스(3)의 내부 표면은 상기 제 1 호스(2)의 외부 표면과 접촉하고, 상기 제 1 호스(2)의 외부 표면은 상기 제 1 호스(2)의 외부 접촉 벽 섹션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제 2 호스(3)의 내부 표면은 제 2 호스(3)의 내부 접촉 벽 섹션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제 1 호스(2) 및 상기 제 2 호스(3) 각각은 축 방향으로 어댑터(1)와 중첩되는 내부 중첩 표면 섹션을 가지며,
    상기 제 1 호스(2) 및 상기 제 2 호스(3)의 내부 중첩 표면 섹션은 제 1 호스(2) 및 제 2 호스(3)의 이완된 상태에서 원주방향 만입부(circumferential indentations)가 없고, 제 2 호스(3)의 내부 접촉 벽 섹션의 재료 및/또는 제 1 호스(2)의 외부 접촉 벽 섹션의 재료는 엘라스토머인, 커넥터 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호스(3)의 외부 표면은 상기 고정 링(4)의 내부 표면과 접촉하고, 상기 제 2 호스(3)의 외부 표면은 제 2 호스(3)의 외부 벽 섹션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제 2 호스(3)의 외부 벽 섹션은 엘라스토머인, 커넥터 조립체.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호스(3)의 벽은 상기 제 1 호스(2)의 벽보다 적어도 1.2 배,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5 배 더 두꺼운, 커넥터 조립체.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링(4)은 별도의 부재이고, 상기 고정 링(4)은 제 2 호스(3)가 제 1 호스(2)에 장착될 때 우선적으로 제 2 호스(3)의 외경을 감소시키는, 커넥터 조립체.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1)의 제 1 단부 섹션(5) 및/또는 제 2 단부 섹션(6)은 상기 어댑터(1)의 중간 섹션(7)의 외부 표면에 비해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부(10, 11)를 포함하는, 커넥터 조립체.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1)의 제 1 단부 섹션(5)의 회전 축은 상기 어댑터(1)의 제 2 단부 섹션(6)의 회전 축과 동일한, 커넥터 조립체.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1)는 중합체 및/또는 금속을 포함하는, 커넥터 조립체.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 요소(12)는 상기 제 1 호스(2)의 외부 표면 상에 배치되는, 커넥터 조립체.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 요소(12)는 제 1 호스(2)와 분리된 정지 링(stop ring)이고, 상기 정지 링은 바람직하게는 압입 방식으로 제 1 호스에 고정되는, 커넥터 조립체.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 링은 제 1 호스(2)의 길이 방향 섹션에 대해 적어도 상기 어댑터(1)의 제 1 단부 섹션의 영역에서 장착된 제 1 호스(2)의 외부 표면에 상보적인 섹션에 내부 표면을 포함하는, 커넥터 조립체.
KR2020200003282U 2019-09-09 2020-09-09 중첩 호스를 갖춘 커넥터 조립체 KR20210000650U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202019104968.5U DE202019104968U1 (de) 2019-09-09 2019-09-09 Verbindungsanordnung mit überlappenden Schläuchen
DE202019104968.5 2019-09-0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0650U true KR20210000650U (ko) 2021-03-17

Family

ID=681051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3282U KR20210000650U (ko) 2019-09-09 2020-09-09 중첩 호스를 갖춘 커넥터 조립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10071792A1 (ko)
KR (1) KR20210000650U (ko)
CN (1) CN213394040U (ko)
DE (1) DE202019104968U1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03589B2 (en) 2005-10-14 2009-03-17 Mann & Hummel Gmbh Connector assembly and method for connecting hos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13394040U (zh) 2021-06-08
US20210071792A1 (en) 2021-03-11
DE202019104968U1 (de) 2019-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I110448B (fi) Laite putkien pysyväksi yhteenliittämiseksi
RU2484353C1 (ru) Узел соединения полимерной трубы
IT9053079U1 (it) Gruppo di attacco per circuiti di circolazione del liquido di raffredd amento del motore di un veicolo
US20130257046A1 (en) Connection arrangement for a coned flange connection and coned flange connection
US7464971B2 (en) Pipe fittings
US10774854B2 (en) Tube-fixing tool and actuator
EP1338840A1 (en) Fuel hose, fuel hose connection method and fuel hose connection structure
RU2543916C2 (ru) Быстроразъемный соединительный элемент
KR102028180B1 (ko) 파이프 구조체
DE8519523U1 (de) Steckkupplung
CN210034688U (zh) 一种卡压快速接头
KR20200031138A (ko) 접합 연결부를 구비한 파이프 장치
KR20210000650U (ko) 중첩 호스를 갖춘 커넥터 조립체
EP0630532A1 (de) Kabelendkappe
KR20070008551A (ko) 활주 착탈식 코어 부재 및 이를 갖는 냉간 수축 관 장치
CN106029468A (zh) 机动车转向装置、用于机动车转向装置的装配辅助工具和装配方法
US20080191478A1 (en) Coupling
JP2562781B2 (ja) 樹脂チューブの接続構造
JP6190605B2 (ja) 管継手
JP2007016942A (ja) ホース継手
KR20050002951A (ko) 원터치 방식의 관부재 이음장치
KR102328153B1 (ko) 가열 및 에어컨 시스템용 유체 도관
JP4920435B2 (ja) コネクタ
DE19755548A1 (de) Geberzylinder mit einem am Gehäuse variabel ausrichtbaren Nachlaufstutzen
DE19548188C2 (de) Schlauchkupplu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