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0624U - 수지 충진형 양초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수지 충진형 양초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0624U
KR20210000624U KR2020190003696U KR20190003696U KR20210000624U KR 20210000624 U KR20210000624 U KR 20210000624U KR 2020190003696 U KR2020190003696 U KR 2020190003696U KR 20190003696 U KR20190003696 U KR 20190003696U KR 20210000624 U KR20210000624 U KR 2021000062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ling
wick
resin
filled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369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95512Y1 (ko
Inventor
장환민
장재영
정명희
Original Assignee
장환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환민 filed Critical 장환민
Priority to KR202019000369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5512Y1/ko
Publication of KR2021000062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062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551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551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CFATTY ACIDS FROM FATS, OILS OR WAXES; CANDLES; FATS, OILS OR FATTY ACIDS BY CHEMICAL MODIFICATION OF FATS, OILS, OR FATTY ACIDS OBTAINED THEREFROM
    • C11C5/00Candles
    • C11C5/008Cand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Composite candles, e.g. candles containing zones of different composition, inclusions, or the like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CFATTY ACIDS FROM FATS, OILS OR WAXES; CANDLES; FATS, OILS OR FATTY ACIDS BY CHEMICAL MODIFICATION OF FATS, OILS, OR FATTY ACIDS OBTAINED THEREFROM
    • C11C5/00Candles
    • C11C5/006Candles wicks, related accesso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Fats And Perfum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수지 충진형 양초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채워지는 친환경 수지로 이루어지는 충진재와 이 충진재에 구비되는 심지로 이루어지는 충진부재 및 상기 본체 상부에 끼움 결합되는 캡으로 이루어져, 본체에 의해 심지에 바람이 접촉되지 않아 불꽃의 소화 또는 흔들림을 방지하고, 상기 캡으로 인해 대류를 활성화 시켜 그을음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수지 충진형 양초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수지 충진형 양초 어셈블리{CANDLE ASSEMBLY}
본 고안은 수지 충진형 양초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채워지는 친환경 수지로 이루어지는 충진재와 이 충진재에 구비되는 심지로 이루어지는 충진부재 및 상기 본체 상부에 끼움 결합되는 캡으로 이루어져, 본체에 의해 심지에 바람이 접촉되지 않아 불꽃의 소화 또는 흔들림을 방지하고, 상기 캡으로 인해 대류를 활성화 시켜 그을음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수지 충진형 양초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전기적 조명과 같은 인공 광원과 달리 양초(candle)는 천연 광원으로서 따뜻함과 특별한 분위기를 제공할 수 있고, 탈취 및 방향 등의 부가적 장점 때문에 오히려 그 사용량이 점차 늘어나는 추세이다. 양초(Candle)는 파라핀, 밀랍 등과 가연성 고체를 성형하고, 중심에 심지(wick)가 삽입된 등화용 연료이다. 심지에 불을 붙이면 심지 하단에 위치하는 양초가 녹게 되고, 액화된 양초는 모세관 현상에 의해 심지를 따라 상부로 유동하여 심지의 끝부분에서 기화 및 연소하여 불꽃이 타오르게 된다. 양초의 겉불꽃의 연소 온도는 1400℃ 이상이고, 가장 밝은속불꽃의 온도는 1200℃ 이상이고, 불꽃심의 온도는 400 내지 900℃이다.
이와 관련된 종래기술로는 등록특허 제10-1787554호 "양초용 탄소소재 심지 및 이를 포함하는 양초"가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은 탄소소재 단섬유와 펄프 및 바인더를 포함하여 판 형태의 시트로 이루어지고, 이 펀프는 3차원 망사구조를 갖는 피프릴화된 셀룰로오스계 섬유이고, 탄소소재 단섬유는 심지 내에 분산된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심지의 길이가 길게 남지 않아 연소로 인해 재가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상기 종래기술과 마찬가지로 일반적으로 양초를 피우는 경우, 주변의 바람에 따라 불꽃이 소화되거나 불꽃이 흔들리게 되고, 더 나아가 주변 사물에 불이 옮겨져 화재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근본적으로 바람을 막기 위한 기술들이 다양하게 제시되고 있는 바,
먼저, 등록특허 제10-1988291호 "화재방지구조 및 바람막이구조를 갖는 인출형 양초장치"는 상기 양초가 배치되도록 내부에 수용공간을 갖으며, 하부에는 상기 수용공간과 연통되게 투입구가 형성되고, 하부 외주연에는 나사부가 형성되며, 상부에는 상기 수용공간과 연통되게 인출구를 갖는 원뿔관이 형성된 수용관부와, 상기 수용관부의 하부에 끼움되고 하부가 개방되고, 상기 수용관부의 끼움돌부가 체결되도록 관통공이 형성된 고정캡와, 상기 관통공에 관통된 상기 나사부에 체결되는 고정마개와, 상기 수용관부에 배치되어, 상기 양초를 상기 원뿔관 방향으로 가압하는 한쌍의 가압패널과 상기 가압패널을 연결하는 탄성스프링으로 이루어진 가압부와, 상기 고정캡에 끼움되는 마찰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수용관부는 상부관부와 상부 외주연에 나선부가 형성되어 상기 상부관부의 하부에 체결되는 하부관부로 이루어져, 양초가 수용되는 수용관부에 원뿔관을 형성시키고 가압부로 수용된 양초를 밀어올림으로서, 심지가 쓰러져 화재로 이어지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게 되고, 심지가 내부에 배치되도록 바람막이관을 수용관부의 상부에 체결하여 외부의 바람을 차단하여 촛불이 꺼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 종래기술은 구성요소의 증가로 단가가 증가하며, 구조가 복잡하고 바람은 막을 수 있으나, 바람막이관에 의해 대류가 잘 일어나지 않아 산소의 부족으로 불완전 연소가 이루어져 그을음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아울러 종래기술로 등록실용신안 제20-0474442호 "양초용 바람막이"가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은 촛불이 바람에 흔들리거나 꺼지지않고 잘 타도록 양초의 외주면으로 씌워진 관형상의 관체와, 상기 관체의 상부에는 관체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를 메쉬에 의해 부수어 공기압력을 낮추거나 유입속도를 저하시켜 유입되는 공기에 의해 촛불이 흔들리지 않고 잘 탈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바람막이를 제시하고 있고,
등록특허 제10-1158787호 "양초의 완전연소 및 촛불흐름 방지용 양초캡"은 하부로의 열전도를 막고 내부의 열을 보호함을 물론 촛물이 넘치는 것을 방지하고, 일정 공기가 주입되게 하여 촛불의 상태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고 내부의 직열은 방출시키고 공기순환을 원활히 하게 하여 양초의 완전연소를 돕고 촛물흐름을 방지할 수 있는 양초캡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두 종래기술은 바람을 막고 공기 유입을 유도하여 심지가 완전연소 할 수 있도록 고안된 것이기는 하나, 바람막이관 상부가 바람막이 또는 캡에 의해 막혀있어, 불꽃이 상부로 노출되기 어렵고, 특히 조명의 기능이 아닌 향초의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향이 외부로 배출되기 어렵다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충진부가 형성된 관체를 포함하는 본체와, 상기 충진부에 충진 및 경화되며 친환경 수지로 이루어져 양초로 사용되는 충진부재로 이루어짐에 따라, 상기 관체에 의해 심지에 바람이 닿는 것을 방지하는 수지 충진형 양초 어셈블리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에는 캡이 더 결합되며, 이 캡에 중앙돌출부, 중공부 및 대류유도공을 형성하여 외부에서 유입되는 공기의 대류를 유도함에 따라 심지의 완전연소를 가능하게 하는 수지 충진형 양초 어셈블리를 제공함을 또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캡에 의해 관체의 형상을 유지함으로서, 충진재가 소진되어도 그 형상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수지 충진형 양초 어셈블리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수지 충진형 양초 어셈블리는
상하 개방된 충진부를 형성하는 관체과, 상기 관체 하부에 체결되어 상기 충진부 하부를 폐쇄하는 받침부재로 이루어지는 본체;
상기 본체의 충진부에 채워지는 충진재와, 상기 충진재 상부로 돌출되도록 구비되는 심지로 이루어지는 충진부재;
상기 충진부 상부에 결합되며, 심지가 노출되도록 중앙에 중공부가 형성된 덮개부와, 상기 덮개 테두리에 구비되어 상기 관체의 상부 내벽면에 밀착되는 외벽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캡;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중공부는 상기 덮개부 중앙에 상향 돌출되는 중앙돌출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수지 충진형 양초 어셈블리는
관체와 받침부재로 이루어지는 본체, 상기 관체에 충진되는 충진재 및 심지로 이루어지는 충진부재로 구성되되, 상기 관체에 의해 상기 심지가 보호됨에 따라 바람을 막아 심지의 불꽃이 흔들리거나 소화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과 있다.
또한 상기 캡에는 대류유도공, 중앙돌출부 및 중공부가 형성되어, 공기의 대류현상을 유도함에 따라 완전연소를 유발함으로서 그을음을 방지하고, 터널링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중공부를 통하여 친환경 수지로 이루어지는 충진재의 발향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상기 캡에 외벽부를 구비하되, 이 외벽부가 상기 관체 내벽면에 밀착됨으로서, 충진재가 소진되어도 외벽부의 형상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수지 충진형 양초 어셈블리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수지 충진형 양초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수지 충진형 양초 어셈블리의 측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수지 충진형 양초 어셈블리의 캡의 평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수지 충진형 양초 어셈블리의 소화링의 상세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고안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고안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먼저 본 고안에 따른 수지 충진형 양초 어셈블리(A)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에 구비되는 충진부재(20) 및 캡(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추가적으로 소화링(40)이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각각의 구성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는 관체(11)와 바닥부재(13)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관체(11)는 도면에 도시된 봐와 같이 원통형의 상하 개방형 관체(11)로서, 내부에 충진부(111)를 형성하도록 이루어져 있으며, 단열성 및 내열성이 우수하고, 열전도율이 낮은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조비용의 절감 중량 감소를 위하여 PVC 소재의 판재를 가공하여 원통형으로 말아 양단부를 서로 부착시키는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다.
다시, 상기 관체(11)는 상하 개방형 충진부(111)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충진부(111)에 충진재(21)를 채워 넣게 되는데, 상기 충진부(111)의 하부를 폐쇄하기 위한 바닥부재(13)가 더 구비되게 된다.
상기 바닥부재(13) 및 후술하는 캡(30)은 모두 강성재질의 형상의 변형이 일어나지 않는 재질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바닥부재(13)는 상기 관체(11) 하부에 끼움결합되는 것으로서, 충진부(111)를 폐쇄하는 바닥부(131)와, 상기 바닥부(131) 테두리로부터 하향 절곡된 진입벽부(133) 및 상기 진입벽부(133) 단부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지지플랜지(135)로 이루어져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바닥부재(13)는 상기 관체(11) 하부에 끼워지는 것으로,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닥부(131)가 상기 충진부(111)로 진입하면, 상기 진입벽부(133)가 상기 관체(11) 하부 내측면에 밀착되게 되고, 상기 관체(11) 하단부가 상기 지지플랜지(135) 상면에 밀착되어 상기 바닥부재(13)의 진입을 제한하여 하부가 막힌 충진부(111)를 형성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나아가 후술하는 충진재(21)가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바닥부(131)의 외경과 상기 충진부(111)의 내경은 동일하거나 충진부(111)의 내경이 조금 작게 이루어져 억지끼움 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바닥부재(13)의 지지플랜지(135)와 상기 관체(11)는 접착제, 접착테이프, 글루건, 실리콘 등의 접착부재를 이용하여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은 상기 충진부(111)에 충진재(21)를 채운 후 경화시켜 양초의 기능을 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상기 충진부재(20)는 상기 충진부(111)에 채워지는 충진재(21)와, 상기 충진재(21)에 점화를 위해 구비되는 심지(23)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충진재(21)와 심지(23)의 기능적 특징은 종래의 양초와 동일함에 따라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다시 본 고안은 이러한 충진재(21)를 친환경 수지로 구성하고, 필요에 따라 발향 및 기능성 첨가제를 더 혼합할 수 있으며, 상기 충진재(21)를 충진부(111)에 채운 후, 심지(23)의 위치를 설정하고 경화시키면, 양초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되며,
본 고안은 충진형 양초로서, 상기 충진재(21)를 모두 소진할 경우, 본체(10)는 재사용하면서 충진재(21)를 다시 채워 넣어 사용할 수 있고, 상기 충진재(21)의 종류를 바꿔서 교체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상기 충진재(21)를 채워넣는 경우, 상기 관체(11)의 상부 일부를 남겨두고 채우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후술하는 캡(30)의 장착 및 바람막이 기능을 위해 요구되는 것으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관체(11) 외면에 눈금부가 구비되어 충진 권장량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심지(23)의 단부가 상기 관체(11) 내부에 위치하여 관체(11) 상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구성함에 따라 상기 관체(11)가 바람을 막는 역할을 수행하며, 충진재(21)가 소진되더라도 상기 관체(11)가 바람을 막을 수 있어 불꽃의 흔들림을 막고 더 나아가 불꽃이 꺼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야외에서도 사용이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본 고안은 그을음 발생을 방지하도록 심지(23)가 완전연소 할 수 있게 캡(30)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캡(30)은 상기 관체(11) 상부에 끼워지는 것으로서, 탈착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캡(30)은 덮개부(31)와, 상기 덮개부(31) 테두리를 따라 상향 절곡된 외벽부(33), 상기 외벽부(33) 단부에서 외측으로 절곡된 플랜지부(35)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덮개부(31) 중앙에는 중공부(311A)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캡(30)이 상기 관체(11)에 결합되는 경우, 상기 덮개부(31)가 상기 충진부(111)의 상부 일부를 막고, 상기 외벽부(33)가 상기 관체(11)의 상부 내벽면에 밀착되며, 상기 플랜지부(35)가 상기 관체(11) 상단부에 밀착되어 상기 캡(30)의 충진부(111)로의 진입을 제한함으로서 캡(30)을 관체(11) 상부에 고정하게 된다.
상기 캡(30)의 구성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덮개부(31)의 중앙에는 상향 돌출된 중앙돌출부(311)가 더 구비되어 있으며, 이 중앙돌출부(311)는 상기 덮개부(31)로부터 중앙으로 갈수록 돌출되는 경사를 이루는 형상으로, 상기 중앙돌출부(311) 중앙에 중공부(311A)가 형성되어 심지(23)가 노출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심지(23)의 노출은 심지(23)의 단부가 상기 중앙돌출부(311)보다 더 높게 있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고, 심지(23)가 외부에서 보이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심지(23)의 높이는 중앙돌출부(311)보다 더 높거나 낮거나 같은 위치에 있을 수 있으며,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 해석해서는 안 된다.
아울러 상기 덮개부(31)에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대류유도공(313)이 구비되어 있는데,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대류유도공(313)은 상기 중앙돌출부(311) 주위에 둘 이상의 장공이 서로 이격된 형상으로 구비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도3의 측단면도를 보면, 외부공기는 상기 대류유도공(313)을 통해 유입되고, 유입된 공기는 상기 중앙돌출부(311)의 경사 내측면을 따라 중공부(311A)를 통해 배출됨에 따라 공기의 순환이 활성화되고, 이로 인해 심지(23)가 완전연소가 가능해짐에 따라 그을음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명세서에서 본체(10) 및 캡(30)은 원통형의 관체(11)로 도시하였으나, 사각, 오각 등 다양한 형상의 관체(11)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나, 공기의 대류현상을 보다 활성화시키기 위해서는 원통형의 관체(11)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 해석해서는 안 된다.
도5는 본 고안에 따른 수지 충진형 양초 어셈블리(A)에 구비될 수 있는 소화링(40)에 관한 것으로서,
일반적으로 양초를 사용하는 경우, 부주의에 의해 양초가 넘어질 수 있으며, 양초가 넘어질 때 불꽃이 남아있으면 화재가 발생하는 위험이 있고, 실제 양초로 인한 화재사고가 빈번하게 일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양초가 넘어지는 경우, 자동으로 양초의 불꽃을 소화시켜 화재를 예방하기 위하여 소화링(40)이라는 구성을 더 추가한 것으로서,
상기 소화링(40)은 링본체(41)와, 상기 링본체(41) 내측에 구비되는 분사노즐(43), 상기 링본체(41) 외면에 구비되는 작동버튼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먼저, 상기 링본체(41)는 상기 관체(11) 상부, 즉 관체(11) 외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서, 링 형상의 부재로, 상기 링본체(41) 내부에는 저장부(411)가 형성되어, 소화액이 저장되어 있으며,(상기 소화액은 액상의 소화액이나 물 등을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상기 링본체(41) 상면에는 상기 소화액의 주입을 위한 별도의 주입구(413)가 형성되고 각각의 분사노즐(43)에는 호스가 구비되어 저장부(411)의 소화액을 분사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링본체(41) 하부에는 제어부가 형성되며, 이 제어부에는 작동버튼의 동작을 인지하여 분사노즐(43)에서 소화액이 분사될 수 있도록 하는 PCB, 소형펌프 등이 구비될 수 있으며, 전원 공급을 위한 충전지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성요소들은 전기적 동작을 위한 필수적인 요소로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하며, 상기 제어부와 저장부(411)의 위치는 상호 변경이 가능하며, 이 경우 상기 주입구(413)의 위치 또한 링본체(41) 측면으로 이동되거나, 주입구(413)로부터 상기 제어부를 관통하여 저장부(411)로 관이 구비될 수도 있다.
다시, 상기 링본체(41)는 상기 관체(11) 상부 외면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상기 관체(11) 전체를 감싸도록 구비될 수도 있으며, 상기 관체(11)의 크기는 분사노즐(43)이 상기 관체(11) 상부에 위치한다는 조건하에서는 변경될 수 있다.
상기 링본체(41)의 내측에는 복수의 분사노즐(43)이 구비되어 있는데, 상기 분사노즐(43)은 상기 링본체(41) 내주면을 따라 2을 이루어 복수개로 구비되며, 그 개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설명의 편의상 아래층에 형성되는 분사노즐(43)들을 제1열 분사노즐(431), 위층에 형성되는 분사노즐(43)들을 제2열 분사노즐(433)이라 정하면,
상기 분사노즐(43)들은 관체(11)의 중심부, 즉 충진부(111)의 중앙으로 소화액을 분사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나,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제1열 분사노즐(431)은 수평방향으로 상기 충진부(111)의 중앙을 향해 소화액을 분사하도록 방향성이 특정되고, 제2열 분사노즐(433)은 소화액을 충진부(111) 중앙 아래로 분사할 수 있도록 방향성을 특정하여, 심지(23)의 길이가 짧아지더라도 소화액이 심지(23)에 닿을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아울러, 상기 소화링(40)은 상기 본체(10)가 쓰러지는 경우에 분사노즐(43)이 자동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바, 이를 위해 상기 소화링(40)의 외주면에는 복수의 작동버튼(45)이 상기 소화링(40)의 외주면을 따라 복수개로 구비되어 있다.
즉, 상기 본체(10)가 쓰러지는 경우, 어느 방향으로 쓰러지더라도 상기 복수의 작동버튼(45) 중 어느 하나 이상은 바닥면과 접촉 및 충격에 의해 눌려지게 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PCB는 상기 작동버튼(45) 중 어느 하나 이상이 눌려지면 상기 분사노즐(43)을 통해 소화액이 분사될 수 있도록 프로그램되어 있다.
이 때 상기 작동버튼(45)은 터치, 감압, 물리적 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을 채택할 수 있으며,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 해석해서는 안 된다.
아울러, 상기 소화링(40)의 외측에는 전원버튼(47)이 더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전원버튼(47)은 상기 전원을 인가/불허 하기 위한 버튼으로, 사용자가 휴대, 이동, 설치 시 상기 작동버튼(45)이 눌려 임의로 소화액이 분사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 설치가 끝난 후 상기 전원버튼(47)을 이용하여 소화링(40)을 작동시켜 위급 시 자동적으로 심지(23)의 불꽃을 끌 수 있도록 한다.
또 이상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 및 구성을 갖는 수지 충진형 양초 어셈블리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고안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A : 양초 어셈블리 10 : 본체
11 : 관체 111 : 충진부
13 : 바닥부재 131 : 바닥부
133 : 진입벽부 135 : 지지플랜지
20 : 충진부재 21 : 충진재
23 : 심지 30 : 캡
31 : 덮개부 311 : 중앙돌출부
311A : 중공부 313 : 대류유도공
33 : 외벽부 35 : 플랜지부
40 : 소화링 41 : 링본체
411 : 저장부 413 : 주입구
43 : 분사노즐 431 : 제1열 분사노즐
433 : 제2열 분사노즐 45 : 작동버튼
47 : 전원버튼

Claims (4)

  1. 상하 개방된 충진부를 형성하는 관체와, 상기 관체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충진부 하부를 폐쇄하는 바닥부재로 이루어지는 본체;
    상기 본체의 충진부에 채워지는 충진재와, 상기 충진재 상부로 돌출되도록 구비되는 심지로 이루어지는 충진부재;
    상기 충진부 상부에 결합되며, 심지가 노출되도록 중앙에 중공부가 형성된 덮개부와, 상기 덮개부 테두리에 구비되어 상기 관체의 상부 내벽면에 밀착되는 외벽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캡;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중공부는 상기 덮개부 중앙에 상향 돌출되는 중앙돌출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충진형 양초 어셈블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캡의 덮개부에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대류유도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충진형 양초 어셈블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대류유도공은 서로 이격된 복수의 장공으로 이루어져 상기 중공부 주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충진형 양초 어셈블리.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관체 외면에 결합되며 내부에 저장부가 형성된 링본체와, 상기 링본체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저장부의 소화액을 분사하는 복수의 분사노즐과, 상기 분사노즐의 동작을 실행하도록 상기 링본체 외면에 복수개로 구비되는 작동버튼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소화링;이 더 구비되어,
    상기 본체가 쓰러지는 경우, 상기 작동버튼이 눌려 분사노즐에서 소화액이 분사되어, 심지의 불꽃을 소화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충진형 양초 어셈블리.
KR2020190003696U 2019-09-06 2019-09-06 수지 충진형 양초 어셈블리 KR20049551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3696U KR200495512Y1 (ko) 2019-09-06 2019-09-06 수지 충진형 양초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3696U KR200495512Y1 (ko) 2019-09-06 2019-09-06 수지 충진형 양초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0624U true KR20210000624U (ko) 2021-03-16
KR200495512Y1 KR200495512Y1 (ko) 2022-06-15

Family

ID=752319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3696U KR200495512Y1 (ko) 2019-09-06 2019-09-06 수지 충진형 양초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551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1646B1 (ko) * 2021-04-08 2022-08-12 장환민 심재 직립성 유지부재를 구비한 양초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30082A (ja) * 1993-05-21 1994-11-29 Pegasus Kiyandoru Kk キヤンドル
US6231336B1 (en) * 2000-04-12 2001-05-15 Hsi-Chin Chen Structure of a shade for a candle
KR200303292Y1 (ko) * 2002-11-01 2003-02-06 박상순 자동 소등 양초
KR100665319B1 (ko) * 2004-09-20 2007-01-04 조창현 방풍커버가 구비된 휴대용 파라핀오일램프
KR100953687B1 (ko) * 2009-09-16 2010-04-19 김해진 개량 양초
KR101158787B1 (ko) * 2012-04-18 2012-07-03 김진영 양초의 완전연소 및 촛불흐름 방지용 양초캡
KR20130032021A (ko) * 2011-09-22 2013-04-01 주식회사 태극 연소보조판이 설치된 양초
KR20140004599U (ko) * 2013-01-29 2014-08-06 (주)한양하이텍 양초기구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30082A (ja) * 1993-05-21 1994-11-29 Pegasus Kiyandoru Kk キヤンドル
US6231336B1 (en) * 2000-04-12 2001-05-15 Hsi-Chin Chen Structure of a shade for a candle
KR200303292Y1 (ko) * 2002-11-01 2003-02-06 박상순 자동 소등 양초
KR100665319B1 (ko) * 2004-09-20 2007-01-04 조창현 방풍커버가 구비된 휴대용 파라핀오일램프
KR100953687B1 (ko) * 2009-09-16 2010-04-19 김해진 개량 양초
KR20130032021A (ko) * 2011-09-22 2013-04-01 주식회사 태극 연소보조판이 설치된 양초
KR101158787B1 (ko) * 2012-04-18 2012-07-03 김진영 양초의 완전연소 및 촛불흐름 방지용 양초캡
KR20140004599U (ko) * 2013-01-29 2014-08-06 (주)한양하이텍 양초기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1646B1 (ko) * 2021-04-08 2022-08-12 장환민 심재 직립성 유지부재를 구비한 양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5512Y1 (ko) 2022-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426978B1 (en) Smart candle platform and system
US9890915B2 (en) Water curtain simulated candle lamp
US20200049344A1 (en) Solid Fuel Burning System and Method with Electronic Ignition
US20130288186A1 (en) Heat isolating torch
US10928059B2 (en) Smart candle platform and system
KR200495512Y1 (ko) 수지 충진형 양초 어셈블리
TW201431573A (zh) 能夠加速揮發之精油揮發裝置
CN107655041A (zh) 便携式燃气炉灶
KR200495893Y1 (ko) 멀티심지를 갖는 캔들 어셈블리
JP4392430B2 (ja) 石油ランプ芳香放出装置及び燈心
KR200495656Y1 (ko) 양초 고정용 마그넷 받침대 어셈블리
US11867393B2 (en) Smart candle platform and system
KR200495640Y1 (ko) 양초 어셈블리
KR200492665Y1 (ko) 불꽃의 크기 제어 및 안정화가 가능한 양초
WO2011093803A1 (en) Modular candle housing
KR101413669B1 (ko) 펠릿버너
KR200450973Y1 (ko) 초 타입 램프
KR102579308B1 (ko) 완전연소를 위한 이중관 타입의 팜초
CN204063124U (zh) 一种用于木炭的点火熄火装置
CN106110364B (zh) 一种可循环使用的容器及具有该容器的香薰炉
CN215294937U (zh) 一种充分吸收废气的燃烧装置
CA3134514C (en) Smart candle platform and system
KR102431646B1 (ko) 심재 직립성 유지부재를 구비한 양초
AU2019240389B2 (en) Smart candle platform and system
JP6958896B2 (ja) バー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