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0973Y1 - 초 타입 램프 - Google Patents

초 타입 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0973Y1
KR200450973Y1 KR2020080016002U KR20080016002U KR200450973Y1 KR 200450973 Y1 KR200450973 Y1 KR 200450973Y1 KR 2020080016002 U KR2020080016002 U KR 2020080016002U KR 20080016002 U KR20080016002 U KR 20080016002U KR 200450973 Y1 KR200450973 Y1 KR 20045097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ck
lamp
fuel
candle
bott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1600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5897U (ko
Inventor
한귀철
Original Assignee
한귀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귀철 filed Critical 한귀철
Priority to KR202008001600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0973Y1/ko
Publication of KR2010000589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589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097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097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7/00Details of lighting devices employing combustion as light sourc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7/0004Details of lighting devices employing combustion as light source,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liquid fu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7/00Details of lighting devices employing combustion as light sourc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7/0004Details of lighting devices employing combustion as light source,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liquid fuel
    • F21V37/0008Fuel contai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7/00Details of lighting devices employing combustion as light sourc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7/0004Details of lighting devices employing combustion as light source,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liquid fuel
    • F21V37/002Wi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액체 연료를 사용해 빛을 밝히는 데 사용되는 초 타입 램프에 관한 것으로서, 내부 공간에 액체 연료가 담기고 상부 입구의 외부에는 나선이 구비된 연료병, 상기 연료병의 입구를 덮도록 설치되는 심지대 및 일측 단부는 상기 심지대의 상부에 노출되게 설치되고 타측 단부는 상기 연료병의 내부에 삽입되는 심지를 포함하는 램프 및 원기둥 모양의 초 형상으로 제작되되, 내부에는 중공부가 형성되고 상단부에는 반구형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물통이 구비되고, 상기 물통의 내부 중심에 통공이 형성된 돌출부가 구비되며, 상기 돌출부의 내부에는 상기 램프의 연료병에 구비된 나선에 체결되는 나선이 구비된 외함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며, 초와 동일한 미감을 가짐으로 인해 정서상 거리낌 없이 초를 대체하여 사용할 수 있고, 그로 인해 초를 사용하는데 드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 및 사용 중 전도되어도 자체적으로 구비된 방화수에 의해 심지의 불을 진화시킬 수 있으므로 화재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램프, 심지대, 유증기 배출공, 심지, 외함, 물통, 방화수, 바람막이

Description

초 타입 램프{CANDLE TYPE LAMP}
본 고안은 액체 연료를 사용해 빛을 밝히는 데 사용되는 램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종교의식 및 각종 제례의식 등에 사용되는 초를 대신하여 사용할 수 있으면서, 사용시 불완전 연소로 인한 그으름이 발생되는 것을 줄이는 한편, 화재를 예방할 수 있는 초 타입 램프에 관한 것이다.
고체인 초나 액체 연료를 사용하는 램프는 빛을 만들어 어둠을 밝히는데 주로 사용되었으나, 조명 기술이 발달한 현대에는 전기를 사용하는 전구에 비해 밝은 빛을 만들지 못하는 것은 물론, 부주의하게 사용하는 경우 화재를 일으킬 수 있는 위험으로 인해 그 사용이 현저히 줄어든 것이 현실이다.
그러나 초나 램프는 각종 종교의식이나 제례의식 및 인테리어 소품 등으로 지금도 꾸준히 사용되고 있다. 특히, 초는 종교단체에서 주로 사용하는데 그 예로는 불교의 경우 불상이 모셔진 법당 등에 상시 켜두게 된다.
종교시설에서 사용되는 초는 일반적으로 일반에서 사용되는 초보다 지름이 크고 길이가 긴 원기둥 형상의 것이 사용되지만, 초의 특성상 장시간 사용하면 점차 길이가 줄어들고 종단에는 꺼지고 만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지름이 큰 초는 중앙의 심지 부분이 집중되어 녹게 되므로 초가 다 타지 않았는데도 촛농에 심지가 묻히게 되는 경우가 있고, 이러한 경우에는 더 이상 초의 심지에 불을 붙일 수 없어 해당 초를 파기해야만 한다.
이와 같은 이유로 초를 대신할 수 있는 파라핀액과 같은 액체 연료를 사용하는 램프가 고안 되었고, 실용성 또한 입증되었다. 그러나 정서상 받아들이지 못하는 사용자들로 인해 사용이 증가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이를 고려하여 램프의 형상을 초와 같이 제작하는 고안 및 디자인들이 국내에 여럿 출원되어 등록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초의 형태를 모티브로 한 종래의 램프의 경우에도 그 외형이 사용하지 않은 상태의 초와 동일한 형상을 취함으로 인해 사람들로 하여금 램프라는 편견을 갖게 하여 실제 초와는 다른 느낌을 주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램프를 사용하는 경우 사용되는 액체 연료의 종류에 따라 불완전 연소로 인해 특유의 그을음이 발생되는 것은 물론, 램프를 장시간 사용하면 점차 심지가 타들어가 짧아지므로 불꽃의 크기를 일정수준으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주기적으로 심지를 빼내주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이와 같이 심지가 타는 것은, 램프의 발화되는 원리에서 찾을 수 있다. 먼저, 종래의 램프의 구조를 살펴보면 일반적인 램프는 심지를 고정하는 심지대가 연료병의 상부에 위치하고 심지대의 중앙에 램프의 연료병으로 삽입되는 심지가 일부 노출되게 구성된다. 이러한 램프의 심지는 모세관현상에 의해 액체 연료를 심지대의 외부로 노출된 심지의 단부까지 이동시키고, 심지대의 외부로 노출된 심지에 불 을 붙이면 심지로부터 액체 연료가 기화되면서 연소되어 빛을 발산하게 된다.
즉, 이론적으로는 심지에 묻어 있는 액체 연료가 기화되면서 발화하는 것이므로 심지가 타지 않고도 램프가 연속해서 발화되는 것이 가능하나 실제 사용되는 램프는 모두 심지가 타게 되고 따라서 주기적으로 심지를 심지대의 상부로 이동시켜야만 한다.
이와 같이 심지가 타는 것은 램프를 사용할 때 심지에서 발생되는 열이 심지대의 상부에 노출된 심지에 집중되기 때문이며, 심지에 공급되는 액체 연료가 심지 단부의 불꽃에 근접하여 기화되기 이전의 위치에서 기화되기 때문이다. 즉, 심지가 불꽃의 열에 의해 가열되면 심지의 온도가 상승하게 되고 이로 인해 심지대 내부의 심지에서 연료가 기화되므로 노출된 심지의 단부에는 충분한 연료가 공급되지 못해 탄화되는 것이다.
따라서 램프를 사용하는 동안에는 주기적으로 심지를 심지대의 상부로 조금씩 이동시켜 주면서 사용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램프는 초에 비해 불꽃이 잘 꺼지지 않는 특성이 있고,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램프가 불이 켜진 상태에서 쓰러지게 되면 주변의 인화물을 발화시켜 화재로 발전할 위험이 있다.
이와 같은 사용상의 문제들과 안전상의 문제로 인해 종교단체에서는 램프를 사용하는 것보다 비싼 비용이 들어가지더라도 초를 선호하고 있고, 초를 대체할 목적으로 제작된 램프들의 사용 또한 증가하지 않는 것이 현실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초와 동일한 미감을 갖는 초 타입 램프를 제공하여 초에 비해 값이 저렴한 액체 연료를 사용하는 램프의 사용을 활성화 시키는 것이 목적이다.
또한, 초 타입 램프의 사용 시 심지가 빨리 탄화되는 것을 방지하여 초 타입 램프를 사용하면서 심지를 빼내는 주기를 늘려 사용이 편하게 하는 것이 목적이다.
또한, 초 타입 램프의 상단에 화재를 예방할 수 있는 방화수를 구비시킴으로 인해 초 타입 램프가 전도되어도 상기 방화수에 의해 심지의 불이 진화되도록 하여 화재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목적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초 타입 램프는 내부 공간에 액체 연료가 담기고 상부 입구의 외부에는 나선이 구비된 연료병, 상기 연료병의 입구를 덮도록 설치되는 심지대 및 일측 단부는 상기 심지대의 상부에 노출되게 설치되고 타측 단부는 상기 연료병의 내부에 삽입되는 심지를 포함하는 램프 및 원기둥 모양의 초 형상으로 제작되되, 내부에는 중공부가 형성되고 상단부에는 반구형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물통이 구비되고, 상기 물통의 내부 중심에 통공이 형성된 돌출부가 구비되며, 상기 돌출부의 내부에는 상기 램프의 연료병에 구비된 나선에 체결되는 나선이 구비된 외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램프는 심지대가 금속으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심지대는 상기 연료병의 입구를 막는 마개부와 상기 마개부로부터 융기되고 심지가 설치되는 돌기로 구성되되, 상기 돌기에는 설치되는 심지의 주변으로 유증기 배출공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심지대에 구비된 유증기 배출공의 직경이 0.2~0.3미리미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외함의 상단부에는 투광성 재질의 바람막이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초 타입 램프는 초와 동일한 미감을 가짐으로 인해 정서상 거리낌 없이 초를 대체하여 사용할 수 있고, 그로 인해 초를 사용하는데 드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심지가 탄화되는 것을 지연시킴으로 인해 초 타입 램프를 사용하면서 심지를 일정하게 유지시키기 위해 심지를 심지대로부터 인출하는 횟수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 중 전도되어도 자체적으로 구비된 방화수에 의해 심지의 불을 진화시킬 수 있으므로 화재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면을 설명하면,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초 타입 램프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초 타입 램프를 분해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초 타입 램프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부분단면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초 타입 램프의 단면도, 도 5는 도 2내지 도 4에 도시된 램프를 상세히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램프의 심지대를 상세히 도시한 부분단면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초 타입 램프와 바람막이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8은 도 7의 초 타입 램프에 바람막이가 체결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초 타입 램프(1)는 외함(20)과 램프(10)로 구성된다. 먼저, 외함(20)을 설명하면, 상기 외함(20)은 원기둥 형상으로 제작되고, 상부에는 오목한 홈 형상의 물통(210)이 구비된다. 상기에서 물통(210)은 실제 초가 사용될 때 초의 상부가 심지의 불꽃에서 발생된 열에 의해 녹아 반구형의 홈 형상으로 변형되는 것과 동일한 형상으로 제작된다. 또한, 상기 물통(210)의 내부 중심에는 돌출부(220)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220)의 중앙에는 통공(221)이 구비된다.
상기에서 외함(20)은 단일체로 제작될 수도 있고 제작 상의 편의를 위해 여러 부분으로 분할될 수도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원통 형상의 본체(21)와 상기 본체(21)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 결합체(23) 및 본체(21)의 하부에 결합되는 하부 결합체(22)로 분할된 것을 예로 설명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앞으로 설명될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본체(21)는 내부에 중공부(26)가 형성되고 상단 개구부에 인접한 소정의 위치에는 단턱(24)이 형성되며, 상기 단턱(24)에는 후술될 상부 결합체(23)가 설치된다.
상기 상부 결합체(23)는 본체(21)의 개구된 상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하단으로 만곡된 반구면체 형상으로 구성되고, 그 내부 중심에는 상기 설명된 돌출부(220)가 구비되며 돌출부(220) 주위로는 구면체 형상의 물통(210)이 구비된다. 또한, 돌출부(220)의 내부에는 나선(223)이 구비된다.
상기 하부 결합체(22)는 본체(21)의 개구된 하부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그 중앙에는 촛대(미 도시됨)와 결합되는 촛대 결합봉(25)이 구비되고 본체(21)의 하부와는 접착제 또는 나사 결합에 의해 견고하게 결합된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상기와 같이 구성된 외함(20)은 내부에 램프(10)가 체결되어 설치된다. 상기 램프(10)는 액체 연료가 담기는 연료병(110), 연료병(110)의 입구(111)에 설치되는 심지대(120) 및 상기 심지대(120)의 상부로 일측 단부가 노출되고 타측 단부는 연료병(110)의 내부로 삽입되는 심지(130)로 구성된다.
먼저, 연료병(110)을 설명하면, 연료병(110)은 연료가 담기기에 충분한 크기의 병이고 그 상부에는 내부로 액체 연료를 주입시킬 수 있는 입구(111)가 형성되며, 상기 입구(111)의 외주면에는 나선(113)이 형성된다. 상기에서 연료병(110)에 형성된 나선(113)은 외함(20)의 돌출부(220)의 내부에 형성된 나선(223)과 체결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연료병(110)의 입구(111)에는 심지대(120)가 설치되고, 상기 심지 대(120)는 마개부(121)와 돌기(123)로 구성된다. 먼저, 마개부(121)는 연료병(110)의 입구(111)에 설치되어 연료병(110)의 내부를 외부와 차단시키는 것이고, 돌기(123)는 상기 마개부(121)로부터 상부로 돌출된다.
상기 돌기(123)는 상단부가 평탄하고 중앙에는 심지(130)가 삽입되는 심지공(125)이 형성되며, 상기 심지공(125)의 주변에는 방사형으로 유증기 배출공(127)이 구비된다. 상기 유증기 배출공(127)은 본원 고안인 초 타입 램프(1)를 사용할 때 연료병(110) 내부에서 발생된 유증기가 배출되는 곳으로서, 그 직경이 0.2~0.3미리미터(㎜)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심지대(120)는 열전도율이 높은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심지대(120)를 금속으로 제작하는 것은 심지(130) 단부에서 발화하는 불꽃에 의해 가열된 심지(130)의 열을 심지대(120)를 통해 발산시키기 위해서이다. 즉, 심지(130)의 열을 심지대(120)에서 흡수함으로 인해 불꽃에 인접한 심지(130)에 열이 집중되어 열축척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외함(20)과 램프(10)를 결합시키는 방법은 외함(20)의 본체(21)로부터 상부 결합체(23)를 분리시킨 뒤 상부 결합체(23)에 램프(10)를 결합시키는 것으로 가능하다. 상기 상부 결합체(23)와 램프(10)가 결합되는 것을 상세히 설명하면, 상부 결합체(23)의 돌출부(220) 내부에 형성된 나선(223)과 램프(10)의 연료병(110) 입구(111) 외부에 형성된 나선(113)을 결합시킴으로 상부 결합체(23)와 램프(10)를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램프(10)를 외함(20)에서 분리시키는 방법은 상기 결합방법의 역순으로 진행 하면 되고, 램프(10)의 연료병(110)에 액체 연료를 보충하거나 심지(130)를 교환하여야 하는 경우에 분리하게 된다.
상기에서 상부 결합체(23)와 램프(10)가 결합되면, 상부 결합체(23)의 돌출부(220) 중앙에 형성된 통공(221)에는 램프(10)의 심지대(120) 상부가 삽입되고 돌출부(220)의 통공(221) 외부로 심지대(120)의 돌기(123) 상부가 노출된다. 따라서 상기 돌기(123)의 심지공(125) 외부로 노출된 심지(130)는 상기 통공(221)의 외부에 노출된다.
상기와 같이 램프(10)가 결합된 상부 결합체(23)는 본체(21)의 개구된 상부에 설치되고 이것으로 초 타입 램프(1)의 결합이 완료되며, 상기 초 타입 램프(1)를 사용하기 전에 초 타입 램프(1)의 외함(20) 상부에 구비된 물통(210)에 방화수(40)를 담으면 본원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초 타입 램프(1)의 사용 준비가 완료된다.
상기와 같이 초 타입 램프(1)의 사용 준비가 완료되면 초 타입 램프(1)는 사용할 장소에 직접 설치되거나 비치된 촛대에 설치되고, 심지(130)에 불을 붙여 사용한다.
초 타입 램프(1)의 심지(130)에 불이 붙여지면, 돌기(123)에 노출된 심지(130)에 위치하는 액체 연료가 기화되면서 발화하게 되고, 심지(130)는 모세관현상에 의해 연료병(110) 내부의 액체 연료를 계속해서 심지(130)의 노출된 부분으로 공급하게 된다. 따라서 노출된 심지(130)에서는 연속해서 액체 연료가 기화되면서 발화된다. 이때, 사용되는 액체 연료는 여러 종류가 사용될 수 있고 근래에는 액체 파라핀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심지대(120)의 노출된 심지(130)에서 발화되는 불꽃의 열은 대기 중으로 발산되는 한편, 심지(130)에 축척되는데 이러한 열은 심지(130)와 접촉되어 있는 금속 재질의 심지대(120)에 전달되어 심지대(120)에 노출된 심지(130)에 열이 과도하게 축척되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심지(130)에 공급되는 액체 연료가 심지(130) 단부에 도달되기 전인 심지대(120)의 내부에서 기화되는 것을 최소화 할 수 있어 심지(130)가 탄화되는 것을 종래의 심지대(120)에 비해 지연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불꽃의 열은 심지(130) 및 심지대(120)를 통해 연료병(110) 내부의 액체 연료로도 전달된다. 따라서 연료병(110) 내부의 액체 연료는 상기 열들에 의해 일부 기화되어 유증기가 된다.
상기와 같이 발생된 연료병(110) 내부에서 발생된 유증기는 심지대(120)의 돌기(123) 상단에 형성된 유증기 배출공(127)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고, 심지(130)의 불꽃에 의해 점화되어 발화된다.
즉, 심지(130)의 불꽃은 심지(130)에서 기화되는 액체 연료와 심지대(120)의 유증기 배출공(127)을 통해 배출되는 유증기로 구성된다. 따라서 본원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초 타입 램프(1)는 종래의 램프에 비해 더욱 밝은 빛을 발산하게 되면서도 심지(130)의 탄화는 최소화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상기 유증기 배출공(127)이 필요 이상으로 크면, 평상시에도 과도한 유증기가 상기 유증기 배출공(127)을 통해 배출될 수도 있고, 이러한 경우 심지(130)를 점화시키는 순간 과도한 유증기도 함께 점화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배출되는 유증기가 폭발하듯이 급속도로 발화되면서 주변 인화물을 발화시키거나 초 타입 램프(1)를 켜려는 사람의 손에 화상을 입힐 수도 있다.
따라서 과도한 유증기가 유증기 배출공(127)을 통해 일시적으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해야 하고, 이는 유증기 배출공(127)의 크기를 제안하는 것으로 가능하다. 즉, 유증기 배출공(127)은 심지(130)가 점화되는 순간에는 유증기가 배출되지 않다가 일정 시간이 경과한 뒤 연료병(110) 내부의 온도가 상승되면 유증기가 점진적으로 배출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유증기 배출공(127)의 직경은 0.2~0.3미리미터(㎜)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7과 도 8을 참조하면,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초 타입 램프(1)는 옥외에서 사용되거나 옥내에서 사용되어도 외부의 바람에 불꽃이 꺼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바람막이(30)가 더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의 바람막이(30)는 특정 형상일 필요는 없으며, 초 타입 램프(1)의 불꽃이 꺼지지 않게 하면서 빛이 사방으로 고르게 퍼질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사용되는 초 타입 램프(1)는 사용 중 부주의 또는 외부 충격에 의해 전도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초 타입 램프(1)가 전도될 때에는 상부 물통(210)에 담겨진 방화수(40)가 바닥에 떨어지면서 비산되어 심지(130)의 불꽃을 꺼트리는 한편, 불꽃 주변의 인화물에도 비산되어 해당 인화물의 표면을 적시므로 심지(130)의 불꽃이 주변을 발화시키는 것을 차단시키거나 최악의 경우에도 급속도로 발화되는 것을 지연시킨다. 따라서 본원 고안에 따른 초 타입 램프(1)가 사용디는 도중 전도되어도 초 타입 램프(1)의 불꽃에 의해 대형 화재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이 본원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원 고안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원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첨부된 도면과 본원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사상 및 그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본원 고안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고, 그러한 모든 변경 및 수정에 의한 균등물들은 모두 본원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만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초 타입 램프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초 타입 램프를 분해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초 타입 램프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부분단면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초 타입 램프의 단면도,
도 5는 도 2내지 도 4에 도시된 램프를 상세히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램프의 심지대를 상세히 도시한 부분단면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초 타입 램프와 바람막이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8은 도 7의 초 타입 램프에 바람막이가 체결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초 타입 램프 10: 램프
20: 외함 21: 본체
22: 하부 결합체 23: 상부 결합체
24: 단턱 25: 촛대 결합봉
26: 중공부 110: 연료병
111: 입구 113: 나선
120: 심지대 121: 마개부
123: 돌기 125: 심지공
127: 유증기 배출공 130: 심지
210: 물통 220: 돌출부
221: 통공 223: 나선

Claims (5)

  1. 액체 연료를 태워 빛을 밝히는 램프에 있어서,
    내부 공간에 액체 연료가 담기고 상부 입구의 외부에는 나선이 구비된 연료병, 상기 연료병의 입구를 덮도록 설치되는 심지대 및 일측 단부는 상기 심지대의 상부에 노출되게 설치되고 타측 단부는 상기 연료병의 내부에 삽입되는 심지를 포함하는 램프; 및
    원기둥 모양의 초 형상으로 제작되되, 내부에는 중공부가 형성되고 상단부에는 반구형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물통이 구비되고, 상기 물통의 내부 중심에는 통공이 형성된 돌출부가 구비되며, 상기 돌출부의 내부에는 상기 램프의 연료병에 구비된 나선에 체결되는 나선이 구비된 외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 타입 램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는 심지대가 금속으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 타입 램프.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심지대는 상기 연료병의 입구를 막는 마개부와 상기 마개부로부터 융기되고 심지가 설치되는 돌기로 구성되되, 상기 돌기에는 설치되는 심지의 주변으로 유증기 배출공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 타입 램프.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심지대에 구비된 유증기 배출공의 직경이 0.2~0.3미리미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 타입 램프.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함의 상단부에는 투광성 재질의 바람막이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 타입 램프.
KR2020080016002U 2008-12-02 2008-12-02 초 타입 램프 KR20045097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6002U KR200450973Y1 (ko) 2008-12-02 2008-12-02 초 타입 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6002U KR200450973Y1 (ko) 2008-12-02 2008-12-02 초 타입 램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5897U KR20100005897U (ko) 2010-06-10
KR200450973Y1 true KR200450973Y1 (ko) 2010-11-15

Family

ID=444514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16002U KR200450973Y1 (ko) 2008-12-02 2008-12-02 초 타입 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097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0596U (ko) * 2019-09-03 2021-03-11 윤재순 표면에 장식 인쇄층이 형성된 일체형 기능 통합 구조 의식용 파라핀 오일 램프 조립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9181Y1 (ko) * 2018-02-20 2019-05-13 한귀철 초 타입 램프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9195Y1 (ko) 2004-05-12 2004-08-21 윤기정 유리병을 이용한 오일램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9195Y1 (ko) 2004-05-12 2004-08-21 윤기정 유리병을 이용한 오일램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0596U (ko) * 2019-09-03 2021-03-11 윤재순 표면에 장식 인쇄층이 형성된 일체형 기능 통합 구조 의식용 파라핀 오일 램프 조립체
KR200493582Y1 (ko) 2019-09-03 2021-04-26 윤재순 표면에 장식 인쇄층이 형성된 일체형 기능 통합 구조 의식용 파라핀 오일 램프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5897U (ko) 2010-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81914A (en) Candlewick
US5425633A (en) Floating combustion apparatus
US11408608B2 (en) Solid fuel burning system with electronic ignition
CA2805871C (en) Meltable fuel gas generation methods
MXPA01005339A (es) Soporte de pabilo anti flamazo.
KR100953687B1 (ko) 개량 양초
KR200450973Y1 (ko) 초 타입 램프
KR19990054796A (ko) 안전양초
KR102173270B1 (ko) 친환경 양초의 구조체
KR200210010Y1 (ko) 양초
KR100925263B1 (ko) 화재 방지용 촛대
US7083409B2 (en) Oil burning lamp
JP3193106U (ja) ローソク立て
KR850001592Y1 (ko) 석유 버너용 분화망
KR101355475B1 (ko) 그을음 및 냄새방지용 인등
KR200179220Y1 (ko) 촛불의 장식기능을 갖는 양초
KR200352943Y1 (ko) 안전구조를 갖춘 양초
JP4039783B2 (ja) 蝋燭
CN220567206U (zh) 一种照明设备的引燃装置
KR200215685Y1 (ko) 양초등
RU99108992A (ru) Конструкция зажигаемой части зажигалки
KR20200102835A (ko) 조명장치
RU3313U1 (ru) Светильник
JP4280875B2 (ja) 可燃物への着火を防止した灯火照明体用ホヤ及び燭台
KR20230011730A (ko) 액상의 식물성 초의 구조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3

Year of fee payment: 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