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0010Y1 - 양초 - Google Patents

양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0010Y1
KR200210010Y1 KR20000023448U KR20000023448U KR200210010Y1 KR 200210010 Y1 KR200210010 Y1 KR 200210010Y1 KR 20000023448 U KR20000023448 U KR 20000023448U KR 20000023448 U KR20000023448 U KR 20000023448U KR 200210010 Y1 KR200210010 Y1 KR 20021001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affin
candle
wick
solidified
molt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0002344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유리
Original Assignee
김유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유리 filed Critical 김유리
Priority to KR2000002344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001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001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0010Y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CFATTY ACIDS FROM FATS, OILS OR WAXES; CANDLES; FATS, OILS OR FATTY ACIDS BY CHEMICAL MODIFICATION OF FATS, OILS, OR FATTY ACIDS OBTAINED THEREFROM
    • C11C5/00Candles
    • C11C5/006Candles wicks, related accessorie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CFATTY ACIDS FROM FATS, OILS OR WAXES; CANDLES; FATS, OILS OR FATTY ACIDS BY CHEMICAL MODIFICATION OF FATS, OILS, OR FATTY ACIDS OBTAINED THEREFROM
    • C11C5/00Candles
    • C11C5/02Apparatus for preparation thereof
    • C11C5/023Apparatus for preparation thereof by casting or melting in a moul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Fats And Perfumes (AREA)

Abstract

개시된 본 고안은, 바람에 의해 화촉으로 당겨진 불이 쉽게 꺼지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됨은 물론, 심지의 화촉 부분이 항상 촛농 상층 부위에 위치되어 쓰러질 염려가 없고, 따라서 촛농이 응고된 후에 항상 양초로부터 노출된 상태로 있게 되며, 이로써 쉽게 다시 사용할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화재가 발생될 소지를 없앨 수 있게 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의 실현을 위하여 본 고안에서는, 투광 가능한 투명체가 소정 형상으로 형성,구비되는 케이스(2)와, 용융 상태에서 상기 케이스(2)에 채워져 응고되며 다시 용융되면서 연소될 수 있도록 제조된 파라핀(4)과, 상기 파라핀(4)이 용융되었을 때 파라핀(4)과 접촉되어 이로부터의 용융물을 흡수시킬 수 있게 됨과 아울러 착화 초기에 연소될 수 있는 파라핀(4) 성분이 함유되도록 형성, 구비되는 심지(6)와, 용융된 상기 파라핀(4)에 부유될 수 있으며 상기 심지(6)가 교환 가능하게 끼워지게 되는 부유체(8)로 구성된 양초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양초{Candle}
본 고안은 양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지방이나 석유의 찌꺼기를 정제하여 소정 형상의 고체로 만들어 화촉에 불을 당겨서 조명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양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근래에는 공간의 조명을 위해 전등이 사용되지만 과거에는 대개 양초를 이용하여 조명을 하였다. 물론 근래에도 양초는 좋은 분위기를 연출하기 위하여, 또는 정전시에 조명용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때로는 지하 공간 같은데서 탈취를 위해 사용되기도 한다.
이와 같은 양초의 구조는 도 1과 도 2에서와 같이 보통, 파라핀(50)이 고형의 막대 형상으로 응고되며, 그 내부에 비교적 중앙의 위치로 심지(52)가 묻혀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심지(52)는 상단 부분이 양초로부터 부분 노출되어 화촉(54)을 이룰 수 있는 길이를 갖도록 구비되며, 이러한 화촉(54) 주위의 양초는 화촉(54)이 탈 때 발생되는 열에 쉽게 녹아 화촉(54)으로 스며들 수 있도록 대개 뾰족한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화촉(54)으로 연속하여 스며드는 촛농이 타면서 열과 빛을 내게 되며, 이러한 열에 의해 고체 상태의 파라핀(50)가 녹아 촛농(56)의 형태로 화촉(54) 주변에 존재하게 된다.
또한, 이와 같은 촛농(56)이 연속하여 화촉(54)으로 스며들게 되는 것이며, 미처 화촉(54)으로 스며들지 못한 촛농(56)은 고체 형태의 파라핀(50) 외측벽면을 타고 흘러내리기도 한다.
그런데,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양초는, 바람막이를 별도로 구비하지 않는 한 바람에 의해 화촉으로 당겨진 불이 쉽게 꺼질 수 있다는 단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심지의 화촉 부분이 쓰러진 상태에서 촛농이 응고되면 화촉 부분을 다시 분리해내기가 곤란하여 사용상의 불편을 초래하게 된다는 다른 단점도 있었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양초는 거의 소모되어 액상의 촛농이 주변으로 번질 경우 화재를 불러 일으킬 염려가 있다는 큰 문제점도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단점들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투광 가능한 상태에서 바람을 막을 수 있게 되어 바람에 의해 화촉으로 당겨진 불이 쉽게 꺼지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심지의 화촉 부분이 항상 촛농 상층 부위에 위치되어 쓰러질 염려가 없고, 이에 따라서 촛농이 응고된 후에 항상 양초로부터 노출된 상태로 있게 되며, 이로써 쉽게 다시 사용할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화재가 발생될 소지를 없앨 수 있게 된 양초를 제공하려는데 있다.
도 1은 종래 양초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
도 2는 종래 양초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양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양초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양초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 : 케이스 4 : 파라핀
6 : 심지 8 : 부유체
10 : 플랜지부 12 : 심지관통단부
F ; 화촉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투광 가능한 투명체가 소정 형상으로 형성,구비되는 케이스와, 용융 상태에서 상기 케이스에 채워져 응고되며 다시 용융되면서 연소될 수 있도록 제조된 파라핀과, 상기 파라핀이 용융되었을 때 파라핀과 접촉되어 이로부터의 용융물을 흡수시킬 수 있게 됨과 아울러 착화 초기에 연소될 수 있는 파라핀 성분이 함유되도록 형성, 구비되는 심지와, 용융된 상기 파라핀에 부유될 수 있으며 상기 심지가 교환 가능하게 끼워지게 되는 부유체로 구성된 양초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상기 부유체가 파라핀이 연소되면서 발생된 열에 견딜 수 있고 용융파라핀의 표면에 뜰 수 있는 가벼운 재질의 금속재로 되어 있으며, 부유력을 증대시키기 위한 플랜지부 및 상기 심지가 쉽게 관통됨과 아울러 직립 상태로 유지되도록 하는 심지관통단부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양초를 제공한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2)와 파라핀(4)과 심지(6)와 부유체(8)로 구성된 양초에 관련된다.
즉, 상기 케이스(2)는 투광 가능한 투명체가 소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파라핀(4)은 용융 상태에서 상기 케이스(2)에 채워져 응고됨으로써, 부분적으로 가열됨에 따라 부분적으로 용융되어 연소되면서 발광 및 발열작용을 일으킨다.
또, 상기 심지(6)는 상기 파라핀(4)이 용융되었을 때 파라핀(4)과 접촉되어 이로부터의 용융물을 흡수시킬 수 있게 됨과 아울러, 착화 초기에 연소될 수 있는 파라핀(4) 성분이 함유되도록 형성, 구비되어 있다.
한편, 상기 부유체(8)는 용융된 상기 파라핀(4)에 부유될 수 있으며, 상기 심지(6)의 화촉(F) 부분이 노출되는 상태로 끼워지도록 구비되어 있다.
즉, 상기 부유체(8)는 파라핀(4)이 연소되면서 발생된 열에 견딜 수 있고 용융파라핀(4)의 표면에 뜰 수 있는 가벼운 재질의 금속재로 되어 있으며, 부유력을 증대시키기 위한 플랜지부(10)와, 상기 심지(6)가 쉽게 관통될 수 있는 상태로 상기 플랜지부(10) 중앙으로 연장되는 심지관통단부(12)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본 고안에 의한 양초는, 도 5에서와 같이 케이스(2) 내에서 응고된 파라핀(4)의 상면으로 부분 노출된 심지(6)의 화촉(F)이 부유체(8)에 끼워지도록 부유체(8)를 파라핀(4) 상면에 얹고 심지(6)의 화촉(F)에 불을 당기면, 파라핀(4)이 부분적으로 서서히 용융되면서 심지(6)로 스며들어 연소됨으로써, 파라핀(4)의 연소에 따른 조명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 용융 파라핀(4)이 항상 케이스(2)에 담겨진 상태에 있게 되므로 외부로 흐르지 않아 파라핀(4)의 불필요한 소모를 방지할 수 있게 되며, 아울러 용융 파라핀(4)이 완전소모될 때까지 불씨가 케이스(2) 내에 남아 있게 되어 주변으로 불이 번지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게 될 뿐만 아니라, 화촉(F) 및 불꽃이 케이스(2) 벽체에 의해 외부 바람으로부터 보호되어 바람에 의해 꺼지지 않게 된다.
뿐만 아니라, 심지(6)를 파라핀(40 중앙에 길게 수직으로 매립시키지 않아도 되므로, 이와 같은 심지(6)의 매립에 따르는 번거로움과 어려움을 해소할 수도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양초는, 바람에 의해 화촉으로 당겨진 불이 쉽게 꺼지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됨은 물론, 심지의 화촉 부분이 항상 촛농 상층 부위에 위치되어 쓰러질 염려가 없고, 따라서 촛농이 응고된 후에 항상 양초로부터 노출된 상태로 있게 되며, 이로써 쉽게 다시 사용할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화재가 발생될 소지를 없앨 수 있게 된다는 이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심지(6)를 파라핀(40 중앙에 길게 수직으로 매립시키지 않아도 되므로, 이와 같은 심지(6)의 매립에 따르는 번거로움과 어려움을 해소할 수도 있게 된다는 다른 이점도 있다.

Claims (2)

  1. 투광 가능한 투명체가 소정 형상으로 형성,구비되는 케이스(2);
    용융 상태에서 상기 케이스(2)에 채워져 응고되며 다시 용융되면서 연소될 수 있도록 제조된 파라핀(4);
    상기 파라핀(4)이 용융되었을 때 파라핀(4)과 접촉되어 이로부터의 용융물을 흡수시킬 수 있게 됨과 아울러 착화 초기에 연소될 수 있는 파라핀(4) 성분이 함유되도록 형성, 구비되는 심지(6);
    용융된 상기 파라핀(4)에 부유될 수 있으며 상기 심지(6)가 교환 가능하게 끼워지게 되는 부유체(8)로 구성된 양초.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유체(8)가,
    파라핀(4)이 연소되면서 발생된 열에 견딜 수 있고 용융파라핀(4)의 표면에 뜰 수 있는 가벼운 재질의 금속재로 되어 있으며,
    부유력을 증대시키기 위한 플랜지부(10) 및
    상기 심지(6)가 쉽게 관통됨과 아울러 직립 상태로 유지되도록 하는 심지관통단부(12)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양초.
KR20000023448U 2000-08-18 2000-08-18 양초 KR20021001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00023448U KR200210010Y1 (ko) 2000-08-18 2000-08-18 양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00023448U KR200210010Y1 (ko) 2000-08-18 2000-08-18 양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0010Y1 true KR200210010Y1 (ko) 2001-01-15

Family

ID=411393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00023448U KR200210010Y1 (ko) 2000-08-18 2000-08-18 양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0010Y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23089A2 (en) * 2007-08-14 2009-02-19 The Dial Corporation Wick assembly including wax ring and multi-wick sustainer
WO2018008874A1 (ko) * 2016-07-08 2018-01-11 전호성 부양캔들
KR20180098427A (ko) 2017-02-24 2018-09-04 이진철 캔들용 유동심지 및 유동심지를 이용한 유동캔들
CN109328227A (zh) * 2016-07-08 2019-02-12 全晧成 悬浮蜡烛
KR102269188B1 (ko) 2020-12-28 2021-06-24 김성환 케이스형 양초용 촛대
CN114857532A (zh) * 2022-03-31 2022-08-05 美通日用品(杭州)有限公司 一种水晶蜡烛
WO2023068650A1 (ko) 2021-10-20 2023-04-27 안상권 연료공급부를 포함하는 캔들
KR102633778B1 (ko) * 2023-02-27 2024-02-02 이학재 부유식 양초 심지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23089A2 (en) * 2007-08-14 2009-02-19 The Dial Corporation Wick assembly including wax ring and multi-wick sustainer
WO2009023089A3 (en) * 2007-08-14 2009-04-09 Dial Corp Wick assembly including wax ring and multi-wick sustainer
WO2018008874A1 (ko) * 2016-07-08 2018-01-11 전호성 부양캔들
CN109328227A (zh) * 2016-07-08 2019-02-12 全晧成 悬浮蜡烛
KR20180098427A (ko) 2017-02-24 2018-09-04 이진철 캔들용 유동심지 및 유동심지를 이용한 유동캔들
KR102269188B1 (ko) 2020-12-28 2021-06-24 김성환 케이스형 양초용 촛대
WO2023068650A1 (ko) 2021-10-20 2023-04-27 안상권 연료공급부를 포함하는 캔들
CN114857532A (zh) * 2022-03-31 2022-08-05 美通日用品(杭州)有限公司 一种水晶蜡烛
KR102633778B1 (ko) * 2023-02-27 2024-02-02 이학재 부유식 양초 심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261481T3 (es) Vela que comprende un recipiente y un sustentador de mecha.
US6361311B1 (en) Low burning candle
US5425633A (en) Floating combustion apparatus
US4818214A (en) Device for extinguishing the flame of a candle
KR200210010Y1 (ko) 양초
JP3862571B2 (ja) 透明ろうそく
US20030064340A1 (en) Flame-resistant sheet with candle wick support
US7040888B2 (en) Smart wick
KR19990054796A (ko) 안전양초
US2735285A (en) Ferleger
KR100953687B1 (ko) 개량 양초
US20050227190A1 (en) Candle with low melt temperature fuel region for extinguishing
KR102173270B1 (ko) 친환경 양초의 구조체
US3888620A (en) Solid fuel emergency burner for light and heat
US4084086A (en) Solid fuel lamp
KR20160053980A (ko) 액체 양초 시스템
KR200450973Y1 (ko) 초 타입 램프
JPH08212818A (ja) 灯火照明体用液体燃焼剤及び灯火照明体
KR200182528Y1 (ko) 심지 지지대가 형성된 초
KR200179220Y1 (ko) 촛불의 장식기능을 갖는 양초
KR200215623Y1 (ko) 파라핀 오일을 이용한 장식구
JPH0441160Y2 (ko)
KR200418330Y1 (ko) 자원 절약형 양초
RU2305700C1 (ru) Безопасная свеча
KR20230011730A (ko) 액상의 식물성 초의 구조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