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3778B1 - 부유식 양초 심지 - Google Patents

부유식 양초 심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3778B1
KR102633778B1 KR1020230025717A KR20230025717A KR102633778B1 KR 102633778 B1 KR102633778 B1 KR 102633778B1 KR 1020230025717 A KR1020230025717 A KR 1020230025717A KR 20230025717 A KR20230025717 A KR 20230025717A KR 102633778 B1 KR102633778 B1 KR 1026337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ck
candle
floating
container
buoya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257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학재
Original Assignee
이학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학재 filed Critical 이학재
Priority to KR10202300257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377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37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37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CFATTY ACIDS FROM FATS, OILS OR WAXES; CANDLES; FATS, OILS OR FATTY ACIDS BY CHEMICAL MODIFICATION OF FATS, OILS, OR FATTY ACIDS OBTAINED THEREFROM
    • C11C5/00Candles
    • C11C5/006Candles wicks, related accessorie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CFATTY ACIDS FROM FATS, OILS OR WAXES; CANDLES; FATS, OILS OR FATTY ACIDS BY CHEMICAL MODIFICATION OF FATS, OILS, OR FATTY ACIDS OBTAINED THEREFROM
    • C11C5/00Candles
    • C11C5/008Cand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Composite candles, e.g. candles containing zones of different composition, inclusions, or the lik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유식 양초 심지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내측에 부력부(12)를 형성하는 부유구(10) 중앙의 심지 고정관(13)에 심지(20)를 수직 삽입한 상태로 양초(2) 상부의 함몰부(3)에서 초액에 부유 상태로 설치 사용하므로 양초 상부에 심지를 부유 방식으로 간단히 설치함은 물론 간단히 교체 사용할 수 있어 종래에 비해 사용 편리성을 우수하게 제공하는데 그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부유식 양초 심지{Floating candle wick}
본 발명은 부유식 양초 심지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양초 상부에 심지를 부유 방식으로 간단히 설치 및 교체 사용하도록 하는 부유식 양초 심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양초는 불을 붙여 어두운 주변을 밝히거나 그 밖에 제사 용도, 냄새 및 습기 제거 용도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양초는 동,식물성 기름, 파라핀, 밀랍 등이 녹아 심지의 모세관을 통해 심지 상부로 올라 오면서 심지 상단에 불을 붙여 사용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종래 양초는 제조용 틀 내부에 심지를 고정시키고 녹인 초액을 부어 냉각시키므로 제조하되, 상기 심지는 주로 면심지를 사용하였다.
이러한 종래 양초는 심지가 양초 내부에 수직 삽입되어 있는 형태로 제조하기 때문에 제조가 용이하지 못하고, 또한 상기 심지가 훼손되는 경우에 불을 붙여 사용하지 못함은 물론 이로 인해 양초의 계속 사용이 곤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심지가 면심지로 되어 있어 내열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많이 타거나 변형되게 훼손되면서 심지의 재가 양초 상부에 떨어져 양초가 지저분해지고, 상기 심지의 훼손시 교체 사용이 곤란하여 양초 전체를 폐기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양초는 면심지를 통해 양초의 초액이 면심지 상부로 원활히 공급되지 못하는 경우 촛불의 세기가 약하고, 이를 해결하고자 면심지의 수효를 늘려 주거나 굵기를 굵게 만들어 줄 수 있는데 이 경우 촛불의 그을름이 많이 발생하게 되면서 오히려 역 효과를 유발할 수 있어 근본적인 문제 해결을 할 수 없었다.
또한, 종래 양초는 막대 형태로 형성하거나 별도의 컨테이너 용기에 담아 다양한 형태로 제조하고 있는데, 별도의 컨테이너 용기에 담아 막대 형태에 비해 양초의 상부 면적이 넓은 양초의 경우에 심지 주변은 양초가 타고 그 외측 둘레는 양초가 타지 않게 되는 터널링 현상이 생기면서 양초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한편, 상기 종래 양초에서 심지가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양초 상부에 면심지가 아닌 목재 등의 심지를 박아 사용하는 기술이 개시된 바 있으나 이는 양초 상부에 심지를 별도 박아 사용함의 불편함은 물론 양초 상부가 녹아 초액으로 되는 경우 심지가 박힌 상태를 유지하지 못하고 넘어지면서 꺼지게 되고 이를 방지하기 위해 심지의 박힌 상태를 자주 점검 및 교정해 주어야 하는 등의 사용상 불편한 문제점이 있어 이 또한 근본적인 문제 해결을 할 수 없었다.
공개실용신안 제20-2009-0002523호(2009년03월13일) 등록특허 제10-1815451호(2017년12월29일) 등록특허 제10-1787554호(2017년10월12일)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이 갖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발명된 것으로서, 양초 상부에 심지를 부유 방식으로 간단히 설치함은 물론 간단히 교체 사용하도록 하므로 사용 편리성을 극대화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심지 상부에 양초가 녹은 초액을 원활히 공급하면서 촛불의 세기가 일정하고 그을음 발생도 저하시키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양초 상부에서 심지의 주변은 녹고 그 외측은 녹지 않게 되는 터널링 현상을 방지하도록 하면서 양초를 더 효율적으로 사용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몸체 내측에 부력부를 형성하고 중앙에 수직으로 관통되는 심지 고정관을 형성하는 부유구와, 상기 부유구의 심지 고정관에 수직으로 삽입 설치하는 심지로 구성하여 양초 상부의 함몰부에서 초액에 부유 상태로 사용하도록 함에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부유구의 몸체는 심지 고정관 외측에 도넛 형태의 부력부를 밀폐 형성하되 상기 부력부 외주연 중앙에 부력 날개를 형성하여 상기 부력 날개를 중심으로 상부는 초액에 부유되는 부유 부분과 하부는 초액에 침전되는 침전 부분을 구분 형성하도록 구성함에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심지 고정관에는 심지 사이에 미세관을 삽입 설치하여 초액을 모세관 현상에 의해 심지 상부로 공급하도록 구성함에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양초를 컨테이너 용기 내부로 담아 사용하되, 상기 컨테이너 용기 상부에 중앙으로 관통공을 형성하고 일측에 손잡이를 형성하는 터널 덮개를 덮어 양초 상부의 터널링 현상을 방지하도록 구성함에 그 특징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부유구 내부 중앙에 심지를 수직으로 삽입 설치하여 양초 상부에 심지를 부유 방식으로 간단히 설치함은 물론 간단히 교체 사용할 수 있도록 하므로 종래에 비해 사용 편리성이 우수한 효과를 갖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심지 사이로 미세관을 삽입 설치하는 것에 의해 심지 및 미세관에 의해 초액을 심지 상부로 원활히 공급하면서 촛불의 세기가 일정하고 그을음 발생도 저하시키게 되므로 사용 만족성을 크게 향상시키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양초를 컨테이너 용기에 담아 사용하는 경우, 컨터이너 용기 상부에 심지의 불꽃 위치로 관통공이 형성된 터널 덮개를 덮어 양초 상부에서 심지의 주변은 녹고 그 외측은 녹지 않게 되는 터널링 현상을 방지하므로 종래에 비해 양초를 사용 효율성을 크게 향상시키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부분 단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정 단면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 부유구의 다른 실시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6 및 도 7은 도 4 및 도 5의 부유구를 상하 뒤집어 설치 사용하는 또 다른 실시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 심지의 다른 실시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이 적용된 막대형 양초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이 작용된 컨테이터 용기형 양초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1은 도 10의 사용 상태를 보여주는 정 단면도.
도 12는 도 10의 다른 실시 예를 보여주는 정 단면도.
이하,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의 부유식 양초 심지는 도 1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1) 내측에 부력부(12)를 형성하고 중앙에 수직으로 관통되는 심지 고정관(13)을 형성하는 부유구(10)와, 상기 부유구의 심지 고정관(13)에 수직으로 삽입 설치하는 심지(20)로 구성하여 양초(2) 상부의 함몰부(3)에서 초액에 부유 상태로 사용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상기 부유구의 몸체(11)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심지 고정관(13) 외측에 도넛 형태의 부력부(12a)를 밀폐 형성하되, 상기 부력부 외주연 중앙에 부력 날개(14)를 형성하여 상기 부력 날개를 중심으로 상부는 초액에 부유되는 부유 부분(14a)과 하부는 초액에 침전되는 침전 부분(14b)을 구분 형성하는 것이다.
그 밖에 상기 부유구(10)는 도 4에서와 같이 중앙의 심지 고정관(13) 외측에 상부가 개방되어 있는 도넛 형태의 부력부(12b)를 형성하거나 도 5에서와 같이 심지 고정관(13) 외측에 적어도 둘 이상 위치로 상부가 개방되어 있는 부력부(12c)를 형성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도 6 및 도 7에서와 같이 도 4 및 도 5의 형상을 갖는 부유구(10)를 상하로 뒤집어 부력부의 하부가 개방되도록 형성하여 양초(2) 상부의 함몰부(3)에서 초액에 부유 상태로 사용하도록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심지(20)는 초액을 흡습하는 흡습 부재(21) 상부에 심지 와이어(22) 하단을 수직으로 심어 심지 고정관(12)으로 삽입하되, 상기 흡습 부재(21)가 양초의 초액에 침전되어 초액을 모세관 현상에 의해 흡습 부재(21)- 심지 와이어(22) 상단으로 공급되면서 불을 붙여 양초를 태울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상기 심지 와이어(22)는 면심지, 나무 심지 이외에 탄소섬유, 유리섬유 등으로 만든 내열 심지를 사용하면서 내열도가 우수함은 물론 변형이 적어 반복 사용에 우수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심지 고정관(13)에는 도 8에서와 같이 심지(20) 사이에 미세관(25)을 삽입 설치하여 심지의 양을 늘리지 않음은 물론 심지의 직경을 굵게 형성하지 않더라도 초액이 심지와 미세관의 모세관 현상에 의해 심지 상부로 원활히 공급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부유식 양초 심지는 도 9에서와 같이 막대형 양초(2) 상부의 함몰부(3)에서 초액에 부유 상태로 사용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고, 도 10 및 도 11에서와 같이 컨테이너 용기(30) 내부로 담겨 있는 양초(2) 상부의 함몰부(3)에서 초액에 부유 상태로 사용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컨테이너 용기(30)는 도면에 도시된 형상 이외에 다양한 형상으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컨테이너 용기(30)를 사용하는 경우, 컨테이너 용기(30) 상부에 터널 덮개(35)를 덮어 양초 상부의 터널링 현상을 방지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터널 덮개(35)는 판 형태로 일측에 손잡이(37)를 형성하고, 중앙에 심지의 불꽃 위치로 관통공(36)을 형성하여 불꽃은 관통공을 통해 외부로 비추어지고, 터널 덮개(35) 하부에 촛불의 열이 가두어져 양초 상부를 고르게 녹이게 되면서 터널링 현상을 방지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터널 덮개의 관통공(36) 상부에는 촛불을 끌때 관통공(36)을 차단하도록 보조 덮개(38)를 더 설치 구성하되, 상기 보조 덮개는 일측이 터널 덮개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시키면서 사용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작동 및 작용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의 부유식 양초 심지는 도 1 및 도 3 또는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열 심지(20)를 준비하여 부유구(10)의 몸체(11) 중앙에 형성된 심지 고정관(13)에 상하로 돌출되도록 수직으로 삽입 설치하여 조립한다.
이와 같이 준비된 부유식 양초 심지를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막대형 양초(2) 상부의 함몰부(3)에 안착 설치하거나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테이너 용기(30)에 담겨져 있는 양초(2) 상부의 함몰부(3)에 안착 설치하는 것이다.
이 상태에서 상기 내열 심지(20)의 상단에 불을 붙여주면, 양초 상부가 촛불에 의해 녹아 부유구(10)가 양초의 초액에 의해 부유 상태에서 내열 심지(20) 상단으로 공급되는 초액에 의해 촛불을 유지하면서 비추게 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 부유구(10)는 도 1 내지 도 3의 경우 심지 고정관(13) 외측에 밀폐 형성된 도넛 형태의 부력부(12a)와 상기 부력부 외주연에 형성된 부력 날개(14)에 의해 상부의 부유 부분(14a)은 초액 상부로 부유되고, 하부의 침전 부분(14b)은 초액에 침전되어 내열 심지(20)의 모세관 현상으로 초액을 심지 상부로 원활히 공급하므로 촛불을 일정하게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부유구(10)는 심지 고정관(13) 외측에 도 4 및 도 5에서와 같이 상부가 개방되어 있는 부력부(12b)(12c)를 형성하거나 도 6 및 도 7에서와 같이 하부가 개방되어 있는 부력부(12b)(12c)를 형성하는 것에 의해 부유구가 양초 상부의 함몰부(3)에서 초액에 부유 상태로 내열 심지(20) 상부로 초액을 원활히 공급하므로 촛불을 일정하게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내열 심지(20)는 탄소섬유, 유리섬유 등으로 형성되어 내열도가 우수함은 물론 변형이 적어 반복 사용이 우수하고, 상기 내열 심지(20) 교체시 부유구의 심지 고정관(13)에서 내열 심지를 간단히 인출하여 분리한 후 새 내열 심지를 삽입 장착하여 간단히 교체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내열 심지(20)는 심지 사이에 도 8에서와 같이 미세관(25)을 추가 삽입하는 것에 의해 심지는 물론 미세관(25)을 통해 초액이 모세관 현상에 의해 심지 상부로 더 많이, 더 원활히 공급되도록 하면서 촛불의 세기가 더 밝고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양초(2)를 컨테이너 용기(30) 내부로 담아 사용하는 경우, 도 10 및 도 11에서와 같이 컨테이너 용기(30) 상부에 중앙으로 관통공(36)이 형성된 터널 덮개(35)를 덮어 주면서 촛불은 터널 덮개 중앙의 관통공(36)을 통해 외부로 비추도록 하고 양초 상부의 열을 터널 덮개 하부로 가두면서 양초 상부가 전체적으로 녹아 종래와 같은 터널링 현상을 방지하므로 양초를 더 효율적으로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터널 덮개(35)를 사용할 때 촛불을 간단히 끄도록 사용하게 되는데, 이는 상기 터널 덮개 상부의 보조 덮개(38)를 힌지에 의해 회전시켜 관통공(36) 상부를 덮어 주도록 하므로 촛불을 간단히 끄도록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양초(2)를 컨테이너 용기(30) 내부로 담아 사용하는 경우 도 12에서와 같이 달리 실시할 수 있는데, 이는 컨테이너 용기(30) 상부 외측에 용기 내부 열의 외부 방출을 차단하기 위한 보온재(50)를 감싸도록 설치 구성하는 것이다.
상기 보온재(50)는 보온성이 있는 각종 소재로 형성하되, 원통형으로 형성하여 용기에 삽입 장착하거나 양 끝단에 접착부를 형성하여 용기를 감싸도록 장착하한 후 접착 고정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상기 컨테이너 용기의 상부에 터널 덮개(35)를 덮어 양초 상부가 전체적으로 녹도록 함은 물론 용기의 상부 외측에 보온재를 장착하여 내부 열의 외부 방출을 더욱 차단하면서 양초 상부가 더 신속하게 녹도록 함은 물론 용기 벽체에 위치하는 양초가 내측 보다 덜 녹게 되는 것을 방지하여 양초의 상부는 물론 내외측이 고르게 녹을 수 있도록 하므로 종래와 같은 터널링 형상을 더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부유식 양초 심지는 부유구(10) 내부 중앙에 심지(20)를 수직으로 삽입 설치하여 양초 상부에 부유 방식으로 간단히 설치 및 교체 사용하도록 함은 물론 상기 심지(20)로 초액의 공급을 원활히 하면서 촛불의 세기를 일정하게 유지하고 그을음 발생을 저하시켜 사용 만족성을 크게 개선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2: 양초 3: 함몰부
10: 부유구 11: 몸체
12,12a: 부력부 13: 심지 고정관
14: 부력 날개 14a: 부유 부분
14b: 침전 부분 20: 심지
25: 미세관 30: 컨테이너 용기
35: 터널 덮개 36: 관통공
37: 손잡이

Claims (5)

  1. 몸체(11) 내측에 부력부(12)를 형성하고 중앙에 수직으로 관통되는 심지 고정관(13)을 형성하는 부유구(10)와,
    상기 부유구의 심지 고정관(13)에 수직으로 삽입 설치하는 심지(20)로 구성하여 양초(2) 상부의 함몰부(3)에서 초액에 부유 상태로 사용하도록 구성되는 부유식 양초 심지에 있어서,
    상기 부유구의 몸체(11)는 심지 고정관(13) 외측에 도넛 형태의 부력부(12a)를 밀폐 형성하되 상기 부력부 외주연 중앙에 부력 날개(14)를 형성하여 상기 부력 날개를 중심으로 상부는 초액에 부유되는 부유 부분(14a)과 하부는 초액에 침전되는 침전 부분(14b)을 구분 형성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양초 심지.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심지 고정관(13)에는 심지(20) 사이에 미세관(25)을 삽입 설치하여 초액을 모세관 현상에 의해 심지 상부로 공급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양초 심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초(2)를 컨테이너 용기(30) 내부로 담아 사용하되, 상기 컨테이너 용기(30) 상부에 중앙으로 관통공(36)을 형성하고 일측에 손잡이(37)를 형성하는 터널 덮개(35)를 덮어 양초 상부의 터널링 현상을 방지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양초 심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 용기(30)는 상부 외측에 용기 내부 열의 외부 방출을 차단하기 위한 보온재(50)를 감싸도록 설치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양초 심지.
KR1020230025717A 2023-02-27 2023-02-27 부유식 양초 심지 KR1026337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25717A KR102633778B1 (ko) 2023-02-27 2023-02-27 부유식 양초 심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25717A KR102633778B1 (ko) 2023-02-27 2023-02-27 부유식 양초 심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3778B1 true KR102633778B1 (ko) 2024-02-02

Family

ID=899002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25717A KR102633778B1 (ko) 2023-02-27 2023-02-27 부유식 양초 심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3778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4012Y1 (ko) * 2000-03-14 2000-09-01 윤영전 향초용 램프
KR200196561Y1 (ko) * 2000-04-25 2000-09-15 김복송 유리섬유 심지를 이용한 조명 양초
KR200210010Y1 (ko) * 2000-08-18 2001-01-15 김유리 양초
KR20090002523U (ko) 2007-09-10 2009-03-13 최종동 양초심지
KR20100011769U (ko) * 2009-05-26 2010-12-06 이철헌 파라핀 양초
KR20170054745A (ko) * 2015-11-10 2017-05-18 원홍섭 양초
KR101787554B1 (ko) 2016-07-22 2017-10-19 삼영기계 (주) 양초용 탄소소재 심지 및 이를 포함하는 양초
KR101815451B1 (ko) 2010-12-14 2018-01-05 스미스 마운틴 인더스트리즈, 인크. 양초 심지 및 심지 클립
KR20180098427A (ko) * 2017-02-24 2018-09-04 이진철 캔들용 유동심지 및 유동심지를 이용한 유동캔들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4012Y1 (ko) * 2000-03-14 2000-09-01 윤영전 향초용 램프
KR200196561Y1 (ko) * 2000-04-25 2000-09-15 김복송 유리섬유 심지를 이용한 조명 양초
KR200210010Y1 (ko) * 2000-08-18 2001-01-15 김유리 양초
KR20090002523U (ko) 2007-09-10 2009-03-13 최종동 양초심지
KR20100011769U (ko) * 2009-05-26 2010-12-06 이철헌 파라핀 양초
KR101815451B1 (ko) 2010-12-14 2018-01-05 스미스 마운틴 인더스트리즈, 인크. 양초 심지 및 심지 클립
KR20170054745A (ko) * 2015-11-10 2017-05-18 원홍섭 양초
KR101787554B1 (ko) 2016-07-22 2017-10-19 삼영기계 (주) 양초용 탄소소재 심지 및 이를 포함하는 양초
KR20180098427A (ko) * 2017-02-24 2018-09-04 이진철 캔들용 유동심지 및 유동심지를 이용한 유동캔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25633A (en) Floating combustion apparatus
US4206500A (en) Self contained illuminating device
US574376A (en) Night-light
KR102633778B1 (ko) 부유식 양초 심지
KR19990054796A (ko) 안전양초
US4650509A (en) Fluid lamp fabrication method
US2060324A (en) Sanctuary candle lamp
US4084086A (en) Solid fuel lamp
KR200210010Y1 (ko) 양초
KR200452808Y1 (ko) 파라핀 양초
CA2923584A1 (en) Liquid candle system
US1360387A (en) Illuminating device
KR200492665Y1 (ko) 불꽃의 크기 제어 및 안정화가 가능한 양초
CN209431397U (zh) 一种全新改进的安全酒精灯
KR200450973Y1 (ko) 초 타입 램프
KR20080080054A (ko) 촛대
US195725A (en) Improvement in lamps
US808698A (en) Candle.
CN207687801U (zh) 一种蘑菇灯
KR910000029Y1 (ko) 장식 촛대용 양초 절약 장치
KR20230011730A (ko) 액상의 식물성 초의 구조체
CN206955998U (zh) 蜡烛
KR101470708B1 (ko) 액체 파르핀용 약초
KR20030080766A (ko) 촛대
US929285A (en) Lamp burning with hydrocarbon or other vapo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