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54745A - 양초 - Google Patents

양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54745A
KR20170054745A KR1020150157288A KR20150157288A KR20170054745A KR 20170054745 A KR20170054745 A KR 20170054745A KR 1020150157288 A KR1020150157288 A KR 1020150157288A KR 20150157288 A KR20150157288 A KR 20150157288A KR 20170054745 A KR20170054745 A KR 201700547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fuel
float
case
candle
wi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72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61295B1 (ko
Inventor
원홍섭
Original Assignee
원홍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홍섭 filed Critical 원홍섭
Priority to KR10201501572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1295B1/ko
Publication of KR201700547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47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12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12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CFATTY ACIDS FROM FATS, OILS OR WAXES; CANDLES; FATS, OILS OR FATTY ACIDS BY CHEMICAL MODIFICATION OF FATS, OILS, OR FATTY ACIDS OBTAINED THEREFROM
    • C11C5/00Candle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CFATTY ACIDS FROM FATS, OILS OR WAXES; CANDLES; FATS, OILS OR FATTY ACIDS BY CHEMICAL MODIFICATION OF FATS, OILS, OR FATTY ACIDS OBTAINED THEREFROM
    • C11C5/00Candles
    • C11C5/006Candles wicks, related accesso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Fats And Perfu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초에 관한 것으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충진되는 액상연료와; 상기 액상연료 상에 부유되는 부유체; 및 상기 부유체에 매설되는 심지;를 포함하되, 상기 부유체의 저면에는 추진부가 형성되며, 상기 추진부는 상기 저면의 중심으로부터 외측방향을 따라 오목하게 요입 형성됨으로써 상기 심지의 점화시 상기 저면에 대한 상기 추진부의 두께 차이로 발생하는 온도차에 의해 상기 부유체가 상기 액상연료 상에서 이동하여 다채로운 분위기를 구현할 수 있는 양초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양초{Candle}
본 발명은 양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점화 상태에서 다채로운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도록 한 양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양초는 종래부터 조명으로 사용되어 왔으나 백열등, 형광등, LED 등 조명 기술이 급격히 발전하면서 최근에는 조명보다는 실내 디자인을 위한 요소, 예컨대, 생일, 기념일 등에 특별한 분위기를 연출하거나 레스토랑에서 인테리어 효과를 부여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양초가 바(bar) 형태로 응고된 고상의 파라핀과, 이러한 파라핀의 중앙에 매설되는 심지만으로 구성됨으로써 다음과 같은 몇 가지 문제점이 있었다.
즉, 종래기술에 따른 양초의 경우 파라핀과 심지가 외부에 그대로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주위에서 바람이 불면 불이 꺼지기 쉽고, 촛농이 흘러내려 주변이 지저분해질 뿐 아니라 재사용도 어려운 단점이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특허 제10-0451706호는 용기 내에 파라핀과 심지를 설치하고, 용융된 파라핀을 수거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바람에 의해 불이 꺼지거나 촛농이 주변으로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고, 파라핀도 재활용할 수 있는 양초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특허의 경우 구성이 복잡하여 제조시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고, 일반 사용자가 사용하기 불편한 것은 물론 심지가 일정한 위치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심지의 점화 상태에서 특별한 분위기를 연출하는 데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저렴한 비용으로 생산이 가능하고, 일반 사용자가 간편하게 반복 사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점화시 다채로운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는 양초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충진되는 액상연료와; 상기 액상연료 상에 부유되는 부유체; 및 상기 부유체에 매설되는 심지;를 포함하되, 상기 부유체의 저면에는 추진부가 형성되며, 상기 추진부는 상기 저면의 중심으로부터 외측방향을 따라 오목하게 요입 형성됨으로써 상기 심지의 점화시 상기 저면에 대한 상기 추진부의 두께 차이로 발생하는 온도차에 의해 상기 부유체가 상기 액상연료 상에서 이동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초를 제공한다.
이 경우, 상기 추진부는 부채꼴 형상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케이스 내에 충진된 액상의 연료 상에서 심지를 포함한 부유체가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점화 상태에서 불꽃이 지속적으로 움직여 특이하고 다채로운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양초의 단면 구조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양초를 구성하는 부유체의 확대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부유체의 저면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부유체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양초의 단면 구조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양초(100)는 케이스(110)와, 액상연료(120)와, 부유체(130) 및 심지(140)를 포함한다.
케이스(110)는 액상연료(120)의 충진을 위한 용기로서 심지(140)의 착화시 지속적인 산소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된 형태를 가진다.
이 경우, 케이스(110)의 형태는 미적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으며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케이스(110)는 화재를 방지하기 위해 유리와 같은 난연성 소재를 이용하여 투명, 반투명, 불투명하게 구성될 수 있으나, 후술하는 부유체(130)의 움직임을 외부에서 육안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투명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액상연료(120)는 심지(140)의 점화 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한 원료 물질로서 케이스(110)의 내부에 소정의 높이로 충진된다.
액상연료(120)로는 액상 파라핀이나 각종 오일을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일정 시간 경과 후에도 응고되지 않고 용융된 상태를 유지하는 액상연료(120)를 원료 물질로 사용함으로써 부유체(130)가 액상연료(120) 상에서 떠다닐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부유체(130)는 액상연료(120) 상에 부유되는 것으로 소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여기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부유체(130)가 배 형상인 것만을 예시하였으나 필요에 따라 디자인적 요소를 고려하여 다른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는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의 경우 부유체(130)가 액상연료(120) 상에서 단순히 정지된 상태로 떠있는 것이 아니라 점화 상태가 유지되는 한 지속적으로 움직이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하기 때문에 부유체(130)의 저면에 변형을 가하는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한편, 부유체(130)는 액상연료(120)의 연소로 발생된 고온의 열을 견딜 수 있고, 액상연료(120) 상에서 떠다닐 수 있도록 가벼운 금속재나 불연성, 난연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심지(140)는 불꽃의 점화를 위한 것으로 하부는 부유체(130)에 매설되고, 상부는 외부에 노출된다. 이 경우, 심지(140)의 하부는 액상연료(120)와 접촉하여 액상연료(120)를 흡수하고, 심지(140)의 상부는 하부로부터 흡수된 액상연료(120)를 연소시키며 착화 및 점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양초(100)를 케이스(110), 액상연료(120), 부유체(130) 및 심지(140)로 구성하면 심지(140)가 부유체(130)를 매개로 액상연료(120) 상에 떠있기 때문에 액상연료(120)가 소모되더라도 계속적으로 액상연료(120)의 상측 표면에 위치하게 되고, 이로 인해 심지(140)가 쓰러져 화재가 발생할 염려가 없다.
또한, 심지(140)가 케이스(110)에 의해 외부로부터 보호되기 때문에 바람의 영향을 적게 받을 뿐 아니라 액상연료(120)의 적용으로 원료 물질의 소진시 다시 액상연료(120)를 보충하기만 하면 재사용이 가능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아울러, 구성이 비교적 간단하기 때문에 저렴한 비용으로 생산이 가능할 뿐 아니라 일반 사용자도 간편하게 반복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제반 효과와 더불어 미적 효과까지 향상시킬 수 있도록 부유체(130)를 변형 실시할 수 있는 바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양초를 구성하는 부유체의 확대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부유체의 저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부유체(130)의 저면에는 추진부(131)가 형성된다.
추진부(131)는 액상연료(120) 상에 떠있는 부유체(130)를 이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부유체(130)의 중심, 즉, 심지(140)가 매설된 부분으로부터 외측방향을 따라 오목하게 요입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하면 부유체(130)의 저면에서 추진부(131)와 나머지 부분 사이에 두께 차이가 발생하고, 이러한 두께 차이는 심지(140)의 점화시 온도 차이를 발생시키게 된다.
구체적으로, 두께가 얇은 추진부(131)는 열이 빠르게 전도되어 고온을 나타내고, 두께가 두꺼운 나머지 부분은 열이 천천히 전도되어 추진부(131)에 비해 상대적으로 저온을 나타낸다.
이 경우, 부유체(130)의 저면과 접하고 있는 액상연료(120)의 상층부도 동일한 온도 차이를 나타내며, 이러한 온도 차이로 인해 고온 영역인 추진부(131)로부터 저온 영역인 나머지 부분으로 열에너지의 흐름이 발생한다.
따라서 부유체(130)는 열에너지의 흐름을 따라 추진력을 얻게 되어 액상연료(120) 상에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부유체(130)의 추진력을 보다 확실히 확보하기 위해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진부(131)가 부채꼴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추진부(131)가 부채꼴 형상을 가지면 추진부(131)의 면적이 중심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폭방향으로 확장되고, 이로 인해 온도 차이를 발생시키는 영역이 커져 추진력도 커지기 때문이다.
또한, 추진부(13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유체(130)의 저면으로부터 상향 경사진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즉, 부유체(130)의 저면이 심지(140)를 중심으로 대칭적인 구조를 가질 경우 심지(140)가 점화되면 심지(140)에 접하고 있는 액상연료(120)와 부유체(130)가 가열되고, 시간 경과에 따라 심지(140)로부터 주변으로 열이 전달된다. 따라서 부유체(130)의 저면이 평면일 경우에는 저면의 전 영역이 액상연료(120)와 접하고 있기 때문에 저면의 위치에 따라 온도 차이가 발생할 여지가 없고, 이로 인해 열에너지의 흐름도 발생하지 않아 부유체(130)가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반면, 본 발명과 같이 대칭 구조를 갖는 부유체(130)의 저면 일부분에 상향 경사진 추진부(131)를 형성하면 추진부(131)와 액상연료(120) 사이에 공간(S)이 발생하고, 이러한 공간(S)으로 외부 공기가 유입되어 냉각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추진부(131)와 액상연료(120) 사이의 공간(S)은 추진부(131)의 경사진 형태로 인해 부유체(130)의 중심에서 외측방향으로 갈수록 커지기 때문에 동일 방향을 따라 상대적으로 더 많은 공기가 유입되어 냉각 효과가 커지게 된다. 즉, 추진부(131)는 열원인 심지(140)가 위치하는 내측에서 온도가 가장 높고 외측으로 갈수록 공기에 의한 냉각 효과가 커져 온도가 낮아지는 것이다.
따라서 추진부(131)의 내측과 외측 사이에는 온도 차이가 발생할 수 밖에 없고, 이러한 온도 차이는 열에너지의 흐름을 발생시켜 부유체(130)를 이동시키게 된다. 구체적으로, 열에너지는 고온 영역인 심지(140) 부근, 즉, 추진부(131)의 내측에서 상대적으로 저온 영역인 추진부(131)의 외측(도 4에서 우측방향)으로 흐르기 때문에 부유체(130)도 동일한 방향으로 추진력을 얻게 된다.
참고적으로, 도 4에서 추진부(131)의 명확한 이해를 위해 추진부(131)의 경사각을 다소 크게 표현하였으나 추진부(131)의 경사각이 육안으로 인식될 정도로 과도하게 클 필요는 없으며, 부유체(130)의 크기를 고려하여 위치에 따른 온도 차이를 발생시킬 정도이면 족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추진부(131)가 반드시 부유체(130)의 중심으로부터 경사지게 형성될 필요는 없으며, 부유체(130)가 중심을 유지할 수 있도록 부유체(130)의 중심에서 일정 길이만큼 이격된 부분으로부터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추진부(131)를 이용하여 부유체(130)를 이동시키면 부유체(130)에 매설된 심지(140)와 불꽃이 같이 움직이기 때문에 불꽃의 움직임에 따른 다채로운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어 기존 양초에 비해 향상된 미적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범위, 및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양초 110 : 케이스
120 : 액상연료 130 : 부유체
131 : 추진부 140 : 심지

Claims (2)

  1.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충진되는 액상연료와;
    상기 액상연료 상에 부유되는 부유체; 및
    상기 부유체에 매설되는 심지;
    를 포함하되, 상기 부유체의 저면에는 추진부가 형성되며, 상기 추진부는 상기 저면의 중심으로부터 외측방향을 따라 오목하게 요입 형성됨으로써 상기 심지의 점화시 상기 저면에 대한 상기 추진부의 두께 차이로 발생하는 온도차에 의해 상기 부유체가 상기 액상연료 상에서 이동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추진부는 부채꼴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초.
KR1020150157288A 2015-11-10 2015-11-10 양초 KR1017612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7288A KR101761295B1 (ko) 2015-11-10 2015-11-10 양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7288A KR101761295B1 (ko) 2015-11-10 2015-11-10 양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4745A true KR20170054745A (ko) 2017-05-18
KR101761295B1 KR101761295B1 (ko) 2017-07-25

Family

ID=590489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7288A KR101761295B1 (ko) 2015-11-10 2015-11-10 양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129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1646B1 (ko) * 2021-04-08 2022-08-12 장환민 심재 직립성 유지부재를 구비한 양초
KR102633778B1 (ko) * 2023-02-27 2024-02-02 이학재 부유식 양초 심지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9823Y1 (ko) 2001-02-13 2001-07-19 문상철 심지부유형 오일램프
KR200361632Y1 (ko) 2004-06-08 2004-09-14 박광순 식용유를 이용한 조명수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1646B1 (ko) * 2021-04-08 2022-08-12 장환민 심재 직립성 유지부재를 구비한 양초
KR102633778B1 (ko) * 2023-02-27 2024-02-02 이학재 부유식 양초 심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61295B1 (ko) 2017-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1295B1 (ko) 양초
US2735285A (en) Ferleger
US20070275336A1 (en) Candle holder
US6638060B1 (en) Everlasting candle
KR102173270B1 (ko) 친환경 양초의 구조체
US20140227650A1 (en) Container for candles, with internal circulation of air
CN105593355A (zh) 液体蜡烛系统
KR200210010Y1 (ko) 양초
KR200492665Y1 (ko) 불꽃의 크기 제어 및 안정화가 가능한 양초
KR200452808Y1 (ko) 파라핀 양초
KR101835103B1 (ko) 부양캔들
CN206955998U (zh) 蜡烛
KR200352943Y1 (ko) 안전구조를 갖춘 양초
KR200179220Y1 (ko) 촛불의 장식기능을 갖는 양초
JP2008257869A (ja) オイル収納容器、フロート体、及び、これらを備えたオイルフロートセット
JP6608736B2 (ja) ろうそく
KR20230011730A (ko) 액상의 식물성 초의 구조체
KR200310569Y1 (ko) 반사체분말이 포함된 양초
CN205480971U (zh) 液体燃料燃烧器
JP3093463U (ja) オイルランプ
KR20090052403A (ko) 얼음 양초
CN201909187U (zh) 一种蜡烛
CN2778819Y (zh) 一种安全蜡烛
KR101053695B1 (ko) 기능성 양초
JP2008101048A (ja) 非常用のろうそ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