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5656Y1 - 양초 고정용 마그넷 받침대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양초 고정용 마그넷 받침대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5656Y1
KR200495656Y1 KR2020200000051U KR20200000051U KR200495656Y1 KR 200495656 Y1 KR200495656 Y1 KR 200495656Y1 KR 2020200000051 U KR2020200000051 U KR 2020200000051U KR 20200000051 U KR20200000051 U KR 20200000051U KR 200495656 Y1 KR200495656 Y1 KR 20049565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ndle
magnet
fixing
fixing member
wi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005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01622U (ko
Inventor
장재영
장환민
Original Assignee
장재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재영 filed Critical 장재영
Priority to KR202020000005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5656Y1/ko
Publication of KR2021000162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162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565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565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5/00Candle hol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양초를 촛대에 고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양초 고정용 마그넷 받침대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충진재, 심지로 이루어지는 양초를 촛대에 고정함에 있어, 마그넷이 구비되는 고정부재를 통하여 자성에 의해 촛대에 편리하게 고정할 수 있으며, 특히 촛대의 끼움돌기가 끼워질 수 있는 끼움홈을 통하여 안정적으로 고정되어 흔들림을 방지하고 양초가 쓰러져 화재가 발생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는 양초 고정용 마그넷 받침대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양초 고정용 마그넷 받침대 어셈블리{MAGNET CANDLE TRAY ASSEMBLY}
본 고안은 양초를 촛대에 고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양초 고정용 마그넷 받침대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충진재, 심지로 이루어지는 양초를 촛대에 고정함에 있어, 마그넷이 구비되는 고정부재를 통하여 자성에 의해 촛대에 편리하게 고정할 수 있으며, 특히 촛대의 끼움돌기가 끼워질 수 있는 끼움홈을 통하여 안정적으로 고정되어 흔들림을 방지하고 양초가 쓰러져 화재가 발생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는 양초 고정용 마그넷 받침대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전기적 조명과 같은 인공 광원과 달리 양초(candle)는 천연 광원으로서 따뜻함과 특별한 분위기를 제공할 수 있고, 탈취 및 방향 등의 부가적 장점 때문에 오히려 그 사용량이 점차 늘어나는 추세이다. 양초(Candle)는 파라핀, 밀랍 등과 가연성 고체를 성형하고, 중심에 심지(wick)가 삽입된 등화용 연료이다. 심지에 불을 붙이면 심지 하단에 위치하는 양초가 녹게 되고, 액화된 양초는 모세관 현상에 의해 심지를 따라 상부로 유동하여 심지의 끝부분에서 기화 및 연소하여 불꽃이 타오르게 된다. 양초의 겉불꽃의 연소 온도는 1400℃ 이상이고, 가장 밝은속불꽃의 온도는 1200℃ 이상이고, 불꽃심의 온도는 400 내지 900℃이다.
이와 관련된 종래기술로는 등록특허 제10-1787554호 "양초용 탄소소재 심지 및 이를 포함하는 양초"가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은 탄소소재 단섬유와 펄프 및 바인더를 포함하여 판 형태의 시트로 이루어지고, 이 펀프는 3차원 망사구조를 갖는 피프릴화된 셀룰로오스계 섬유이고, 탄소소재 단섬유는 심지 내에 분산된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과 같은 양초는 거치 안정성 및 디자인적 요소를 가미하기 위하여 촛대 위에 안착시키거나, 촛대에 솟아있는 돌기를 양초 하부에 끼워 고정하여 사용하게 되는데,
이 경우, 단순히 촛대 위에 양초를 안착시키면 바람 등에 의해 양초가 쓰러져 화재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가 있으며, 돌기를 양초 하부에 끼워 넣는 경우는 충진재가 열에 의해 녹으면 끼워지는 힘이 약해져 쉽게 양초가 빠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양초를 촛대에 고정함에 있어, 고정부재에 마그넷을 구비하여 촛대와 자성에 의해 쉽게 탈착 가능하고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양초 고정용 마그넷 받침대 어셈블리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상기 고정부재에는 끼움홈을 더 형성하여 촛대에 구비되는 끼움돌기가 삽입되도록 함으로서, 양초에 구멍을 뚫을 필요가 없으며 거치 안정성을 향상시킨 양초 고정용 마그넷 받침대 어셈블리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고정부재에 미끄럼방지부가 더 구비됨에 따라 고정된 양초가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양초 고정용 마그넷 받침대 어셈블리를 제공함을 또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양초 고정용 마그넷 받침대 어셈블리는
충진재와, 상기 충진재 내에 구비되는 심지를 포함하는 양초가 구비되는 받침부재;
상기 받침부재 저면에 구비되어, 촛대 상부에 안착되어 고정되는 고정부재;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고정부재에는 마그넷이 구비되어 상기 촛대에 자성에 의해 고정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양초 고정용 마그넷 받침대 어셈블리는
양초를 촛대에 고정할 때 사용되는 것으로서, 양초가 구비되는 받침부재와, 상기 받침부재 하부에 구비되어 촛대에 안착되는 고정부재로 구성되되 이 고정부재에 마그넷을 구비하여 촛대와 자성으로 탈착 가능하게 고정됨에 따라, 단순히 촛대에 양초를 올려 놓는 방식보다 안정적으로 양초를 고정할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상기 고정부재에는 촛대의 끼움돌기가 끼워지는 끼움홈이 구비됨에 따라 자성에 의한 고정력에 끼움돌기와 끼움홈의 결합에 의한 고정력이 부가되어 안정성 및 사용 편의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으며,
상기 고정부재에 미끄럼방지부를 더 구비함에 따라 촛대위에서 본 고안에 따른 받침대 어셈블 리가 흔들리거나 공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고,
받침부재를 통하여 양초에서 흐르는 파라핀을 모을 수 있어, 촛대에 파라핀이 묻는 것을 방지하고 촛대를 닦거나 분리시킬 필요 없이 흘러내린 파라핀 회수가 가능함으로서 유지보수의 편의성 또한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받침대 어셈블리의 사용 실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받침대 어셈블리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받침대 어셈블리의 변형례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받침대 어셈블리의 사용되는 양초의 실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받침대 어셈블리의 사용되는 양초의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받침대 어셈블리의 사용되는 양초의 변형례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고안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고안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고안에 따른 양초 고정용 마그넷(M) 받침대 어셈블리(T)는 받침부재(T1)와 고정부재(T2)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특히 상기 고정부재(T2)에 마그넷(M)이 구비되어 촛대(CS)에 자성을 이용하여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각각의 구성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먼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촛대(CS)에 양초를 고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촛대(CS)의 형상은 도1과 달리 다양한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 해석해서는 안 된다.
먼저, 본 고안에 따른 받침대 어셈블리(T)의 제1실시예로서,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부재(T1)와 고정부재(T2)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받침부재(T1)는 양초가 안착되는 안착공간(T11)이 형성된 것으로, 외벽부(T13)가 구비되어 파라핀 수지를 고형화 하여 제작된 양초를 안착시키는 경우에는, 양초에서 흘러내리는 파라핀이 담길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으며, 도면과 같이 원형의 그릇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다른 다각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 해석해서는 안 된다.
또한 상기 받침부재(T1)의 외벽부(T13) 상부에는 외면이 곡선형으로 이루어지는 외플랜지부(T15)가 더 구비되 손 등이 긁힐 수 있는 안전사고를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받침부재(T1) 하부에는 고정부재(T2)가 구비되어, 상기 촛대(CS) 상부에 형성되는 거치부에 고정될 수 있는데,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T2)에는 마그넷(M)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마그넷(M)이 구비된다는 것은, 상기 고정부재(T2)가 마그넷(M)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상기 고정부재(T2) 내측에 마그넷(M)이 내장될 수도 있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상기 고정부재(T2)가 마그넷(M)으로 구성되는 경우, 마그넷(M) 표면 가공의 어려움 등으로 인하여 후술하는 끼움홈(T21) 및 미끄럼방지부(T22)를 형성하기에 어려움이 있는 바, 상기 고정부재(T2) 내에 마그넷(M)이 내장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제2실시예로 하여 도면에는 마그넷(M)이 내장된 형상을 기준으로 도시하였다.
상기 고정부재(T2)는 마그넷(M)을 내장하기 위한 수용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부재(T2)는 실리콘, 고무 등의 표면 마찰력이 큰 재질로 이루어져 안정성을 확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부재(T2)는 상기 받침부재(T1) 하부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일반적으로 촛대(CS) 상부, 즉 거치부의 형상이 원형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상기 고정부재(T2) 또한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용부에 내장되는 마그넷(M)에 의해 상기 고정부재(T2)의 바닥면에는 자성이 방출되게 되고, 금속성 재질로 이루어진 촛대(CS)의 거치부에 상기 마그넷(M)의 자성에 의해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더 나아가 촛대(CS)의 거치부에는 양초를 끼워 고정하기 위한 끼움돌기가 구비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본 고안의 고정부재(T2)에는 상기 끼움돌기가 삽입될 수 있는 끼움홈(T21)을 더 구비하여 보다 안정적으로 촛대(CS)의 거치부에 고정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나아가 상기 고정부재(T2)의 바닥면에는 미끄럼방지부(T22)를 더 구비하여 촛대(CS)에 고정된 상태에서 임의로 회전하거나 흔들리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미끄럼방지부(T22)는 복수의 돌기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끼움홈(T21)을 중심을 갖도록 복수의 동심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동심원이 아닌 사선, 물결, 직선 등의 형상으로도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 해석해서는 안 된다.
도3은 본 고안에 다른 양초 고정용 마그넷(M) 받침대 어셈블리(T)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이는 상기 받침부재(T1)가 양초를 형성하는 본체의 바닥부재로 이루어지고, 이 바닥부재 하부에 고정부재(T2)가 구비됨에 따라 양초를 직접 촛대(CS)에 고정할 수 있도록 한 실시예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양초에 대하여 설명하면,
상기 양초는 본체(10), 상기 본체(10)에 충진되는 충진재(20), 상기 본체(10) 내부에 위치하도록 삽입되는 지지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도면을 참조하여 각각의 구성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는 관체(11)와 바닥부재(13)로 이루어져 있으며, 바닥부재(13)는 관체(11)와 탈착 가능하도록 즉, 관체(11) 하부에 끼움결합되거나(도3[A] 참고), 관체(11)와 일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도3[B] 참고).
상기 관체(11)는 원통형의 상하 개방형 또는 상부 개방형 관체(11)로서, 내부에 충진부(111)가 형성되어 있으며, 제조비용의 절감 및 중량 감소를 위해 PVC 소재의 판재를 가공하여 원통형으로 말아 양단부를 서로 부착하는 방식으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상기 관체(11)는 상하 또는 상부 개방형 충진부(111)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충진부(111)에 충진재(20)를 채워 넣어 경화시켜 연소연료로서 사용하게 된다.
삭제
삭제
삭제
그리고 상기 바닥부재(13)가 상기 관체(11)에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경우는 상기 관체(11)와 동일한 재질로 바닥면을 형성할 수 있도록 성형되는 것으로, 도면 및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이렇듯 상기 두 실시예에서 형성된 바닥부재(13)는 본 고안의 받침부재(T1)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 받침부재(T1) 하부에 고정부재(T2)가 구비되어 촛대(CS)에 고정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고안은 상기 충진부(111)에 충진재(20)를 채운 후 경화시켜 양초의 연로로써 사용하는 것으로서, 상기 충진재(20)는 친환경 수지로 구성하고, 필요에 따라 발향 및 기능성 첨가제를 더 혼합할 수 있고, 상기 충진재(20)를 채워 넣는 경우에, 상기 관체(11)의 상부 일부를 남겨두고 채우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후술하는 캡(40A)의 장착 및 바람막이 기능을 위해 요구되는 것으로, 관체(11)의 외면에 눈금부가 더 구비되어 충진 권장량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나아가, 본 고안은 상기 충진부(111)에 구비되는 심지(333)를 포함한 지지수단을 더 구비하여, 충진재(20)를 투입하여 성형할 때, 성형온도에 의한 본체(10) 바닥면의 파손을 방지하고, 성형 후에도 상기 충진재(20)의 저면을 지지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도3에는 본 고안의 또 다른 구성요소인 캡(40A)이 도시되어 있는데,
상기 캡(40A)은 상기 충진부(111)의 상부를 막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운송, 보관 시 충진재(20)와 심지(333)를 보호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상기 충진부(111) 상부에 결합되며, 심지(333)가 노출되도록 중앙에 중공부(413)가 형성된 덮개부(41)와, 상기 덮개부(41) 테두리에 구비되어 상기 관체(11)의 상부 내벽면에 밀착되는 외벽(43)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캡(40A)은 덮개부(41)와, 상기 덮개부(41)의 테두리를 따라 상향 절곡된 외벽(43), 상기 외벽(43) 단부에서 외측으로 절곡된 플랜지부(45)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덮개부(41)의 중앙에 중공부(413)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상기 캡(40A)이 상기 관체(11)에 결합되는 경우, 상기 덮개부(41)가 상기 충진부(111)의 상부를 막고, 상기 외벽(43)이 상기 관체(11)의 상부 내벽면에 밀착되며, 상기 플랜지부(45)가 상기 관체(11)의 상단부에 밀착되도록 끼워져 상기 캡(40A)이 충진부(111)로 진입하는 것을 제한함에 따라 캡(40A)을 관체(11) 상부에 끼움 결합시키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아울러, 상기 캡(40A)과 유사하지만 다른 역할을 위한 바람막이캡(40B)이 더 구비될 수 있는데, 이 바람막이캡(40B)은 도4 및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캡(40A)을 변형시킨 구조로 차이점만 설명하면,
제1실시예로 도4[B] 및 도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덮개부(41)의 중앙에는 상향 돌출된 중앙돌출부(411)가 더 구비되어 있으며, 이 중앙돌출부(411)는 덮개부(41)로부터 중앙으로 갈수록 돌출되는 경사를 이루는 형상으로, 상기 중앙돌출부(411) 중앙에 중공부(413)가 형성되어 심지(333)가 노출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심지(333)의 노출은 심지(333)의 상부 단부가 상기 관체(11)의 최상단 보다 더 높게 있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고, 심지(333)가 외부에서 보이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심지(333)의 높이는 중앙돌출부(411) 최상단을 기준으로 더 높거나, 또는 더 낮거나, 같은 위치에 있을 수 있으며,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 해석해서는 안 된다.
아울러, 상기 덮개부(41)에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대류유도공(415)이 구비되어 있는데,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대류유도공(415)은 상기 중앙돌출부(411) 주위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장공으로 이루어지며, 둘 이상일 경우, 이들은 서로 이격되어 구비되게 된다.
도4[A] 및 도5[A]는 상기 바람막이캡(40B)의 제2실시예로서, 상기 제1실시예와의 차이점은 중앙돌출부(411)가 없는 형상인 것으로서, 다시 말해 상기 캡(40A)에 대류유도공(415)만 추가적으로 구비된 것을 의미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도5의 측단면도를 보면, 외부공기는 상기 대류유도공(415)을 통해 유입되고, 유입된 공기는 중공부(413)를 통해 배출됨에 따라 공기의 순환이 활성화되고, 이로 인해 심지(333)에 산소를 공급함에 따라 완전연소를 유발하여 그을음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캡(40A)과 바람막이캡(40B)은 서로 유사한 형상의 다른 구성으로, 사용 환경 및 상태에 따라 사용자가 선택하여 본체(10)에 결합하며,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공통구성인 캡(40A)의 중공부(413), 덮개부(41), 외벽부(T13)(43), 플랜지부(45)는 같은 명칭 및 도면부호로 표기하였으나,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캡(40A)과 바람막이캡(40B)은 서로 다른 구성임을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도6은 본 고안에 따른 양초(A)에 구비될 수 있는 소화링(60)에 관한 것으로서,
일반적으로 양초를 사용하는 경우, 부주의에 의해 양초가 넘어질 수 있으며, 양초가 넘어질 때 불꽃이 남아있으면 화재가 발생하는 위험이 있고, 실제 양초로 인한 화재사고가 빈번하게 일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양초가 넘어지는 경우, 자동으로 양초의 불꽃을 소화시켜 화재를 예방하기 위하여 소화링(60)이라는 구성을 더 추가한 것으로서,
상기 소화링(60)은 링본체(61)와, 상기 링본체(61) 내측에 구비되는 분사노즐(63), 상기 링본체(61) 외면에 구비되는 작동스위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먼저, 상기 링본체(61)는 상기 관체(11) 상부, 즉 관체(11) 외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서, 링 형상의 부재로, 상기 링본체(61) 내부에는 저장부(611)가 형성되어, 소화액이 저장되어 있으며,(상기 소화액은 액상의 소화액이나 물 등을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상기 링본체(61) 상면에는 상기 소화액의 주입을 위한 별도의 주입구(613)가 형성되고 각각의 분사노즐(63)에는 호스가 구비되어 저장부(611)의 소화액을 분사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링본체(61) 하부에는 제어부(615)가 형성되며, 이 제어부에는 작동스위치의 동작을 인지하여 분사노즐(63)에서 소화액이 분사될 수 있도록 하는 PCB, 소형펌프 등이 구비될 수 있으며, 전원 공급을 위한 충전지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성요소들은 전기적 동작을 위한 필수적인 요소로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하며, 상기 제어부와 저장부(611)의 위치는 상호 변경이 가능하며, 이 경우 상기 주입구(613)의 위치 또한 링본체(61) 측면으로 이동되거나, 주입구(613)로부터 상기 제어부를 관통하여 저장부(611)로 관이 구비될 수도 있다.
다시, 상기 링본체(61)는 상기 관체(11) 상부 외면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상기 관체(11) 전체를 감싸도록 구비될 수도 있으며, 상기 관체(11)의 크기는 분사노즐(63)이 상기 관체(11) 상부에 위치한다는 조건하에서는 변경될 수 있다.
상기 링본체(61)의 내측에는 복수의 분사노즐(63)이 구비되어 있는데, 상기 분사노즐(63)은 상기 링본체(61) 내주면을 따라 2을 이루어 복수개로 구비되며, 그 개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설명의 편의상 아래층에 형성되는 분사노즐(63)들을 제1열 분사노즐(632), 위층에 형성되는 분사노즐(63)들을 제2열 분사노즐(631)이라 정하면,
상기 분사노즐(63)들은 관체(11)의 중심부, 즉 충진부(111)의 중앙으로 소화액을 분사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나,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제1열 분사노즐(632)은 수평방향으로 상기 충진부(111)의 중앙을 향해 소화액을 분사하도록 방향성이 특정되고, 제2열 분사노즐(631)은 소화액을 충진부(111) 중앙 아래로 분사할 수 있도록 방향성을 특정하여, 심지(333)의 길이가 짧아지더라도 소화액이 심지(333)에 닿을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아울러, 상기 소화링(60)은 상기 본체(10)가 쓰러지는 경우에 분사노즐(63)이 자동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바, 이를 위해 상기 소화링(60)의 외주면에는 복수의 작동버튼(65)이 상기 소화링(60)의 외주면을 따라 복수개로 구비되어 있다.
즉, 상기 본체(10)가 쓰러지는 경우, 어느 방향으로 쓰러지더라도 상기 복수의 작동버튼(65) 중 어느 하나 이상은 바닥면과 접촉 및 충격에 의해 눌려지게 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PCB는 상기 작동버튼(65) 중 어느 하나 이상이 눌려지면 상기 분사노즐(63)을 통해 소화액이 분사될 수 있도록 프로그램되어 있다.
이 때 상기 작동버튼(65)은 터치, 감압, 물리적 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을 채택할 수 있으며,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 해석해서는 안 된다.
아울러, 상기 소화링(60)의 외측에는 전원버튼(67)이 더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전원버튼(67)은 상기 전원을 인가/불허 하기 위한 버튼으로, 사용자가 휴대, 이동, 설치 시 상기 작동버튼(65)이 눌려 임의로 소화액이 분사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 설치가 끝난 후 상기 전원버튼(67)을 이용하여 소화링(60)을 작동시켜 위급 시 자동적으로 심지(333)의 불꽃을 끌 수 있도록 한다.
또 이상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 및 구성을 갖는 양초 어셈블리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고안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T : 받침대 어셈블리 T1 : 받침부재
T11 : 안착공간 T13 : 외벽부
T15 : 외플랜지부 T2 : 고정수단
T21 : 끼움홈 T22 : 미끄럼방지부
M : 마그넷
A : 양초 10 : 본체
11 : 관체 111 : 충진부
13 : 바닥부재
133 : 진입벽부 135 : 지지플랜지
20 : 충진재
333 : 심지 40A ; 캡
41 : 덮개부 411 : 중앙돌출부
413 : 중공부 415 : 대류유도공
43 : 외벽부 45 : 플랜지부
40B : 바람막이캡
60 : 소화링 61 : 링본체
611 : 저장부 613 : 주입구
63 : 분사노즐 631 : 제1열 분사노즐
633 : 제2열 분사노즐 65 : 작동버튼
67 : 전원버튼

Claims (4)

  1. 양초가 구비되는 받침부재;
    상기 받침부재 하부에 구비되어, 촛대 상부에 안착되어 고정되는 고정부재;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고정부재에는 마그넷이 구비되어 상기 촛대에 자성에 의해 고정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양초는 충진부를 형성하는 관체와 바닥면을 형성하는 것으로 관체의 하부에 끼워지는 바닥부재로 이루어지는 본체와, 상기 충진부에 충진되는 충진재 및 상기 충진재 내에 구비되는 심지로 이루어지되,
    상기 받침부재는 상기 본체의 바닥부재를 형성하고 상기 고정부재가 상기 바닥부재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양초는,
    상기 관체 외면에 결합되며 내부에 저장부가 형성된 링본체와, 상기 링본체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저장부의 소화액을 분사하는 복수의 분사노즐과, 상기 분사노즐의 동작을 실행하도록 상기 링본체 외면에 복수개로 구비되는 작동버튼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소화링을 더 포함하여,
    상기 본체가 쓰러지는 경우, 상기 작동버튼이 눌려 분사노즐에서 소화액이 분사되어 심지의 불꽃을 소화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초 고정용 마그넷 받침대 어셈블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에는 끼움홈이 구비되어, 상기 촛대에 구비되는 끼움돌기가 결합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초 고정용 마그넷 받침대 어셈블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에는 미끄럼방지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초 고정용 마그넷 받침대 어셈블리.

  4. 삭제
KR2020200000051U 2020-01-06 2020-01-06 양초 고정용 마그넷 받침대 어셈블리 KR20049565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0051U KR200495656Y1 (ko) 2020-01-06 2020-01-06 양초 고정용 마그넷 받침대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0051U KR200495656Y1 (ko) 2020-01-06 2020-01-06 양초 고정용 마그넷 받침대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1622U KR20210001622U (ko) 2021-07-14
KR200495656Y1 true KR200495656Y1 (ko) 2022-07-19

Family

ID=768613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0051U KR200495656Y1 (ko) 2020-01-06 2020-01-06 양초 고정용 마그넷 받침대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565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32929A (ko) * 2021-03-24 2022-10-04 김시조 종교 상징물이 가변 설치되는 장식용 양초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67247B2 (ja) * 1991-04-17 2000-07-17 東レ株式会社 液晶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
KR200196138Y1 (ko) * 1999-02-13 2000-09-15 성낙호 기도 용구 세트
JP2001035247A (ja) 1999-07-22 2001-02-09 Torii Roosoku Honpo:Kk 燭台の壁への取付構造
KR101514993B1 (ko) 2014-04-09 2015-04-24 박대수 양초등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96640B2 (ja) * 1995-08-22 1999-05-31 株式会社鳥居ローソク本舗 ろうそくの支持構造
JP3067247U (ja) * 1999-09-07 2000-03-31 賢一 福井 マグネット付燭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67247B2 (ja) * 1991-04-17 2000-07-17 東レ株式会社 液晶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
KR200196138Y1 (ko) * 1999-02-13 2000-09-15 성낙호 기도 용구 세트
JP2001035247A (ja) 1999-07-22 2001-02-09 Torii Roosoku Honpo:Kk 燭台の壁への取付構造
KR101514993B1 (ko) 2014-04-09 2015-04-24 박대수 양초등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32929A (ko) * 2021-03-24 2022-10-04 김시조 종교 상징물이 가변 설치되는 장식용 양초
KR102530538B1 (ko) 2021-03-24 2023-06-01 김시조 종교 상징물이 가변 설치되는 장식용 양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1622U (ko) 2021-07-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15884B2 (en) Heat isolating torch
CN106465477B (zh) 一种用于蜡炉的电屏障
KR200495656Y1 (ko) 양초 고정용 마그넷 받침대 어셈블리
US9890915B2 (en) Water curtain simulated candle lamp
US20170321150A1 (en) Burner cup
KR200495640Y1 (ko) 양초 어셈블리
KR200495512Y1 (ko) 수지 충진형 양초 어셈블리
KR100953687B1 (ko) 개량 양초
US6929380B2 (en) Candle holder adapter for an electric lighting fixture
WO2008061293A1 (en) Candle system
KR200495893Y1 (ko) 멀티심지를 갖는 캔들 어셈블리
JP4392430B2 (ja) 石油ランプ芳香放出装置及び燈心
KR200474485Y1 (ko) 리필이 가능한 양초형 파라핀 조명기구
KR100944551B1 (ko) 양초를 이용한 장식조명장치
KR100925263B1 (ko) 화재 방지용 촛대
KR102431646B1 (ko) 심재 직립성 유지부재를 구비한 양초
KR102269188B1 (ko) 케이스형 양초용 촛대
CA2923584A1 (en) Liquid candle system
KR200489181Y1 (ko) 초 타입 램프
US7244041B2 (en) Safety candle
KR100949215B1 (ko) 소원비는 양초
WO2017061851A1 (en) A device with color changing effect
KR20110008517U (ko) 촛불장치
KR20140005368U (ko) 촛불 등화 장치
JP7306782B2 (ja) スマートキャンドルプラットフォームおよび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