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0538B1 - 종교 상징물이 가변 설치되는 장식용 양초 - Google Patents

종교 상징물이 가변 설치되는 장식용 양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0538B1
KR102530538B1 KR1020210038103A KR20210038103A KR102530538B1 KR 102530538 B1 KR102530538 B1 KR 102530538B1 KR 1020210038103 A KR1020210038103 A KR 1020210038103A KR 20210038103 A KR20210038103 A KR 20210038103A KR 102530538 B1 KR102530538 B1 KR 1025305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ndle
symbolic
support frame
circular
religio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81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32929A (ko
Inventor
김시조
김한빈
김유림
Original Assignee
김시조
김한빈
김유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시조, 김한빈, 김유림 filed Critical 김시조
Priority to KR10202100381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0538B1/ko
Publication of KR202201329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29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05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05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5/00Candle holders
    • F21V35/003Special means for attaching the candle to the candle holder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CFATTY ACIDS FROM FATS, OILS OR WAXES; CANDLES; FATS, OILS OR FATTY ACIDS BY CHEMICAL MODIFICATION OF FATS, OILS, OR FATTY ACIDS OBTAINED THEREFROM
    • C11C5/00Candles
    • C11C5/008Cand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Composite candles, e.g. candles containing zones of different composition, inclusions, or the lik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종교 상징물이 가변 설치되는 장식용 양초에 관한 것으로, 그 기술구현의 목적은 다양한 종교를 대표하는 상징물을 입체적 형상과 모양을 갖는 상징형 받침유닛으로 형성하고, 그와 같이 형성된 상징형 받침유닛에 양초를 가변적 구조로 탈,부착 교환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신앙의 상징성, 예컨대, 기독교 천주교 불교 등에 대한 종교적 구분을 명확히 차별화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신앙인들의 이용만족도를 극히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종교 상징물이 가변 설치되는 장식용 양초를 제공함에 있다.
따라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체적 수단으로는;
양초와 촛농포집유닛과 상징형 받침유닛을 형성하되;
상기 촛농포집유닛은, 수거호퍼 하부면에 삽입설치관을 연장 형성하고, 수거호퍼와 삽입설치관의 외측 일면에 탄성절개홈을 형성하며;
상기 상징형 받침유닛은, 내측면에 원형받침틀을 형성하고, 원형받침틀 외경면 둘레에 다수개의 상징모형물을 원형 배열구조로 더 결합 형성하되;
상기 상징모형물은 원형받침들의 내경방향을 향해 탄성 예각으로 기울어지며 일체화 결합되는 구조를 취하므로써 달성된다.

Description

종교 상징물이 가변 설치되는 장식용 양초{Decorative candles with variable religious symbols}
본 발명은 양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제례 등을 포함하여 다양한 종교의식에 사용되는 양초에 있어, 그 사용되는 양초에 안정적인 받침기능을 부여함은 물론 특히, 사용자가 믿음을 갖고 행하는 종교별 의식에 맞추어 그들 종교를 대표하는 상징물을 다양한 입체적 형상과 모양의 장식품 구성으로 탈,부착 교환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종교 상징물이 가변 설치되는 장식용 양초에 관한 것이다.
양초라 함은 파라핀, 밀납 등의 가연성 고체를 입체형 기둥형상으로 성형하고, 성형된 입체형 기둥 중심부에 심지를 삽입한 등화용 연료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양초는 경제성과 휴대성 그리고 보관성이 우수한 물품 특성에 따라 전등이 보급되기 이전에 매우 유용한 조명수단으로 사용되었다.
그러나, 에디슨에 의한 전기의 발명과 그로 인한 현대문명의 급속한 발전에 따라 오늘날에 있어 양초의 용도는 어둠을 밝히기 위한 조명수단이라 하기 보다는 제례나 종교의식 등에 사용되는 행사용, 악취 등을 제거하는 탈취용, 기타 다양한 장식용 등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음이 일반적이다.
여기서, 특히 제례나 종교의식을 위해 사용되는 양초, 예컨대 촛불의 의미를 간략하게 살펴보면;
기독교에서의 촛불은 세상의 빛이요 세상의 모든 사람을 비추는 예수를 상징하고, 카톨릭(천주교)에서의 촛불은 "부활초"라 하여 그리스도의 정배(淨配)인 동정녀마리아 또는 동정녀마리아에서 태어난 예수 그리스도를 상징하며, 불교에서는 촛불은 어두운 사바세계를 밝히는 지혜의 빛으로 진리 정의 희생 자비를 상징하고, 무속에서의 촛불은 이승과 저승을 연결하는 매개채로 위령식 등 고인을 기리는 상징적 의미로 사용된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종래의 양초는 그 외형적 구성이 단순한 입체적 기둥형상에 불과할 뿐 사용 용도에 적합한 상징적 특성은 내재하고 있지 못한 구조 및 기능적 한계의 문제점이 있다,
예컨대, 제례에 적합한 양초인지, 종교의식에 적합한 양초인지, 탈취 등 생활소품으로 사용함에 적합한 양초인지의 구분이 명확하지 않고, 특히, 종교의식을 위해 사용하는 경우 그 양초가 기독교를 상징할 수 있는지, 카톨릭(천주교)을 상징할 수 있는지, 불교를 상징할 수 있는지 등에 대한 종교적 구분 또한 명확하지 않음에 따라 신앙의 차별성을 부각시키지 못한채 모든 종교인들이 통상의 양초를 함께 공유할 수 밖에 없음이 그 일예라 할 수 있다.
한편, 근래에는 전술한 종래 양초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양초 표면에 소망과 기원을 담은 문자 또는 도안 등을 각인 내지 인쇄처리하여 표시한 양초가 창안된 바 있고, 또 다르게 입체적 기둥형상을 취하는 통상의 양초를 삽입구조로 받침하는 수단, 예컨대, 다양한 장식적 문양이 형성된 양초받침대가 창안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표면에 문자 또는 도안을 각인 내지 인쇄처리한 양초는 사용 과정에 있어 문자 또는 도안의 표시가 지속적으로 유지되지 못한채 양초와 함께 점진적으로 연소 소멸됨은 물론 흘러내리는 촛농에 의해 표시된 문자 또는 도안이 지저분한 상태로 가리워져 용이하게 식별할 수 없는 등 미관 및 기능적 측면에 있어 소비자에게 만족감을 줄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양초받침대는 선택에 따라 다양한 장식적 형상을 부여할 수 있는 특징이 있는 것이기는 하나, 이는, 단순히 양초를 삽입시켜 고정하는 정도에 불과하고, 특히 종교의식에 사용되는 양초의 경우 교회나 성당 사찰 등에 마련된 촛불함 내지 제단위에 구원을 염원하는 신자수에 비례하여 가득채워져 거치되고, 거치후 연소된 양초의 자투리는 수시로 수거 폐기되며, 그 자리에 새로운 염원으로 밝혀진 양초가 거치되는 사용특성을 갖는 것임을 감안할 때, 그 부피와 비용이 필요이상으로 과다하여 경제성 및 취급효율성이 극히 저하되는 문제점이 상존한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400411호 (2014.05.21. 등록)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514993호 (2015.04.20. 등록)
본 발명은 다양한 종교적 의식에 사용되는 양초의 제반적인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양한 종교별 의식을 행함에 있어, 그들 종교를 대표하는 상징물을 입체적 형상과 모양을 갖는 상징형 받침부재 구성으로 형성하고, 그와 같이 형성된 상징형 받침부재로 양초를 가변적 구조로 탈,부착 교환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신앙의 상징성, 예컨대, 기독교 천주교 불교 등에 대한 종교적 구분을 명확히 차별화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신앙인들의 이용만족도를 극히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종교 상징물이 가변 설치되는 장식용 양초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입체적인 형상과 모양으로 형성되는 상징형 받침부재에 촛농포집수단을 더 형성하여, 연소작용에 의해 용융되어 흘러내리는 촛농을 깔끔하고 안정적인 형태로 수거하여 처리할 수 있게 함으로써, 폐기처리에 관한 효율성과 청결성을 극히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한 종교 상징물이 가변 설치되는 장식용 양초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입체적인 형상과 모양으로 형성된 상징형 받침부재에 전원에 의해 발광작동하는 장식형 조명램프를 더 설치 형성하여 연소에 의해 발광하는 불빛과 램프에 의해 발광되는 간접조명에 의해 양초의 시인성가 심미감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한 종교 상징물이 가변 설치되는 장식용 양초를 제공함에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종교 상징물이 가변 설치되는 장식용 양초를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 수단으로는;
양초와 촛농포집유닛과 상징형 받침유닛을 형성하되;
상기 촛농포집유닛은, 수거호퍼 하부면에 삽입설치관을 연장 형성하고, 수거호퍼와 삽입설치관의 외측 일면에 탄성절개홈을 형성하며;
상기 상징형 받침유닛은, 내측면에 원형받침틀을 형성하고, 원형받침틀 외경면 둘레에 다수개의 상징모형물을 원형 배열구조로 더 결합 형성하되;
상기 상징모형물은 원형받침들의 내경방향을 향해 탄성 예각으로 기울어지며 일체화 결합되는 구조를 취하므로써 달성된다.
이상, 본 발명에 따른 종교 상징물이 가변 설치되는 장식용 양초는, 종교를 대표하는 상징물을 입체적 형상과 모양을 갖는 상징형 받침부재로 형성하고, 그와 같은 상징형 받침부재에 양초를 가변적 구조로 탈,부착 교환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신앙의 상징성, 예컨대, 기독교 천주교 불교 등에 대한 종교적 구분을 명확히 차별화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한 것으로, 이는, 신앙인들의 이용만족도를 극히 향상되게 한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종교 상징물이 가변 설치되는 장식용 양초는, 상징형 받침부재에 촛농포집수단을 형성하여, 연소작용에 의해 용융되어 흘러내리는 촛농을 깔끔하고 안정적인 형태로 수거 처리할 수 있게 한 것으로, 이는, 폐기처리의 효율성 및 청결성을 증대되게 한 효과를 제공한다.
또 다르게, 본 발명에 따른 종교 상징물이 가변 설치되는 장식용 양초는, 상징형 받침부재에 축전지 전원에 의해 발광작동하는 장식형 조명램프를 더 설치 형성한 것으로, 이는, 연소에 의해 발광하는 불빛과 램프에 의해 발광되는 간접조명에 의해 양초의 시인성가 심미감을 증대되게 하는 등 매우 다양하고 유용한 기대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종교 상징물이 가변 설치되는 장식용 양초의 전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종교 상징물이 가변 설치되는 장식용 양초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종교 상징물이 가변 설치되는 장식용 양초의 결합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종교 상징물이 가변 설치되는 장식용 양초의 이실시예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종교 상징물이 가변 설치되는 장식용 양초의 이실시예 결합상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종교 상징물이 가변 설치되는 장식용 양초의 삼실시예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종교 상징물이 가변 설치되는 장식용 양초의 삼실시예 결합상태 단면도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종교 상징물이 가변 설치되는 장식용 양초의 사실시예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종교 상징물이 가변 설치되는 장식용 양초의 오실시예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종교 상징물이 가변 설치되는 장식용 양초의 오실시예 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종교 상징물이 가변 설치되는 장식용 양초의 바람직한 실시예 구성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종교 상징물이 가변 설치되는 장식용 양초의 개략적인 구성을 살펴보면;
이는, 양초(1)와, 촛농포집유닛(2)과, 상징형 받침유닛(3)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먼저 상기 양초(1)는, 파라핀, 밀납 등의 가연성 고체를 입체형 기둥형상으로 성형하고, 성형된 입체형 기둥 중심부에 심지(11)를 삽입한 등화용 연료, 예컨대, 통상의 양초를 본 발명에 그대로 적용하는 것인바. 따라서, 양초(1) 구성에 대한 구체적 기능설명은 생략 하기로 한다.(도면 미설명 부호 12는 심지공)
또한, 상기 촛농포집유닛(2)은, 전술한 양초가 연소하는 과정에서 융융되어 흘러내리는 촛농을 받침 수거하기 위한 수단인바, 이와 같은, 촛농포집유닛(2)은 도 1 내지 도 3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깔대기 형상을 취하는 수거호퍼(21)를 형성하고, 상기 수거호퍼(21) 하부면에 원통형 구조를 취하는 삽입설치관(22)을 일체화 구성으로 연장 형성하며, 재차, 상기 일체화 형성된 수거호퍼(21)와 삽입설치관(22)의 외측 일면에 탄성절개홈(23)을 더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상징형 받침유닛(3)은, 전술한 양초(1)를 삽입식 탈,부착 교환구조로 고정 설치함과 동시에 기독교, 천주교, 불교 등과 같은 다양한 종교에 대하여 그들 종교를 대표하는 상징물을 선택적으로 택일하여 입체적 형상과 모양으로 표출하는 수단인바, 이와 같은, 상징형 받침유닛(3)은 도 1 내지 도 3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면에 십자형 또는 격자형 구조로써, 압입고정테(311)가 마련된 원형띠 형상의 원형받침틀(31)을 형성하고, 상기 원형받침틀(31) 외경면 둘레에 다수개의 상징모형물(32), 예컨대, 십자가, 마리아상, 석가모니상 등과 같은 종교적 상징조형물을 도 1 로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 배열구조로 결합 더 결합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전술한 상징형 받침유닛(3)에 있어 상기 상징모형물(32)은, 도 3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받침들(32)의 내경방향을 향해 탄성 예각(a)으로 기울어지며 그 원형받침틀(31)의 외경면과 몰딩성형방식에 의해 일체화 구조로 연결 형성된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은 일련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종교 상징물이 가변 설치되는 장식용 양초의 결합관계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탄성절개홈(23)에 의한 확장작용에 의해 양초(1)의 외경면 임의의 위치에 가변적 설치구조로 촛농포집유닛(2)을 밀착 결합시킨다.
이후, 상기 촛농포집유닛(2)이 결합된 양초(1)를 상징형 받침유닛(3) 중앙부로 수직 삽입시켜 그 삽입된 양초(1)의 하단면을 원형받침틀(31)에 안착되게 함으로써, 양초(1)와 촛농포집유닛(2)과 상징형 받침유닛(3)의 결합을 완료한다.
이때, 상기와 같은 결합과정에 있어, 원형받침틀(31)에 안착된 양초(1)에 사용자 손 등을 이용, 수직압력을 더 부가하게 되면 파라핀이라는 무른 소재 특성에 의해 양초(1)의 하단면은 압입고정테(311)에 파고들며 고정력이 배가되고, 또 다르게, 탄성 예각(a)에 의한 탄성압박작용에 의해 상징모형물(32)이 양초(1) 외경면을 밀착구조로 압박하며 양초(1)와 상징형 받침유닛(3)의 결합력을 증대시킨다.
이에, 전술한 바와 같은, 결합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종교 상징물이 가변 설치되는 장식용 양초는, 기독교, 천주교, 불교 외 기타 다양한 종교별 의식을 행함에 있어, 그들 종교를 대표하는 상징물을 상징형 받침유닛(3)에 의해 차별화 하여 표출하고, 또한 양초(1)의 연소과정에서 융융되어 흘러내리는 촛농은 촛농포집유닛(2)에 의해 청결하고 깔끔하며 안정적인 형태로 받침 수거한다.
한편,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종교 상징물이 가변 설치되는 장식용 양초의 이실시예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종교 상징물이 가변 설치되는 장식용 양초의 이실시예 결합상태 단면도를 나타낸다.
이실시예로서의 본 발명은 전술한 일시예 구성, 예컨대 내측면에 압입고정테(311)가 마련된 원형받침틀(31)을 형성하고, 원형받침틀(31) 외경면 둘레에 다수개의 상징모형물(32)을 원형 배열구조로 결합 형성한 상징형 받침유닛(3)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하여, 상기 원형받침틀(31)로 마련된 압입고정테(311) 중앙부에 보조 장식조명부(4)를 더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보조 장식조명부(4)는, 도 4로 도시된 바와 같이, 축전지(411)와 조명제어기판(412)이 수용 설치된 조명제어박스(41)를 형성하고, 상기 조명제어박스(41) 상부면 중앙에 원뿔형 구조로 수직 돌출되며, 그 돌출된 내측면에 엘이디램프(421)를 수용 설치한 삽입형 발광꽂이(42)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도면 미설명 부호 S는 조명 온/오스 스위치)
따라서, 이실시예로서의 본 발명은, 양초(1)와 상징형 받침유닛(3)이 상호 결합됨에 있어, 양초(1)의 심지공(12)이 보조 장식조명부(4)로 형성된 삽입형 발광꽂이(42)에 탈,부착 구조로 삽입되며 고정력이 배가되고, 아울러, 상기 양초(1)의 심지공(12)으로 삽입된 삽입형 발광꽂이(42)가 엘이디램프(421) 발광작용에 의해 간접 조명기능을 행하며 양초(1)의 시인성가 심미감을 더 부여한다.
이때, 상기 이실시예로서의 본 발명은 보조 장식조명부(4)로 형성된 발광꽂이(42)에 양초(1)가 탈,부착 구조로 삽입되며 견고한 결합 고정력을 부여받게 되는 것인바, 따라서, 상기 이실시예에 있어 원형받침틀(31) 외경면 둘레로 결합 형성되는 구성, 예컨대, 다수개의 원형 배열구조를 이루며 형성되는 상징모형물(32)을 독립된 하나의 구성, 즉 도 5로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받침틀(31) 외경면 일측 방향에 단일 구성으로 형성할 수 있다.(이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일실시예와 동일 구성에 대하여는 동일 명칭과 동일부호를 사용하였음)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종교 상징물이 가변 설치되는 장식용 양초의 삼실시예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종교 상징물이 가변 설치되는 장식용 양초의 삼실시예 결합상태 단면도를 나타낸다.
삼실시예로서의 본 발명은 전술한 일실시예 구성, 예컨대 압입고정테(311)가 마련된 원형받침틀(31)을 형성하고, 원형받침틀(31) 외경면 둘레에 다수개의 상징모형물(32)을 원형 배열구조로 결합 형성한 상징형 받침유닛(3), 그리고, 상기 상징형 받침유닛(3)에 탈,부착 교환 구조로 결합하는 양초(1)를 포함하고;
아울러, 전술한 일실예와 같이 상기 상징모형물(32)은 원형받침틀(32)의 내경방향을 향해 탄성 예각(a)으로 기울어지며 그 원형받침틀(31)의 외경면과 몰딩 성형방식에 의해 일체화 구조로 연결 형성되는 것 또한 포함하는 구성으로 하여;
상기 탄성 예각(a)으로 기울어져 결합된 상징모형물(32) 내측 전면에 도 6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촛농유도 이격돌기(D)를 돌출구조로 배열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삼실시예로서의 본 발명은 상징모형물(32) 내측 전면으로 돌출 형성된 촛농유도 이격돌기(D)에 의해 상징모형물(32)과 양초(1)의 외경면 밀착 결합부위에 도 7로 도시된 바와 같이 이격된 틈새공간을 형성하고, 그와 같이 형성된 틈새공간에 의해 융융되어 흘러내리는 촛농을 수거되게 한 것인바, 따라서, 이러한 삼실시예로서의 본 발명은 전술한 일실시예로 마련된 별도의 촛농받침수단, 예컨대, 촛농포집유닛(2)의 사용을 필요함 없이도 촛농을 깔끔하고 청결하며 안정적으로 수거하는 기능 작용을 행한다.(삼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일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는 동일 명칭과 동일부호를 사용하였음)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종교 상징물이 가변 설치되는 장식용 양초의 사실시예 단면도를 나타낸다.
사실시예로서의 본 발명은 전술한 삼실시예 구성에 있어, 양초(1)와 상징형 받침유닛(31)을 파라핀 소재를 이용한 몰딩성형방식에 의해 하나의 단일 몸체로 일체화 형성할 수 있고, 이와 같이 하나의 단일 몸체로 형성될 경우, 상기 삼실시예로 형성된 일부 구성요소, 예컨대, 압입고정테(311)가 마련된 원형받침틀(31) 구성과, 상징모형물(32)과 원형받침틀(32)을 연결하는 탄성 예각(a) 구조는 도 8로 도시된 바와 같이 삼실실시예 구성에서 배제되며 사실시예를 구현한다.(사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일실시예 및 삼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는 동일 명칭과 동일부호를 사용하였음)
삭제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종교 상징물이 가변 설치되는 장식용 양초의 오실시예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종교 상징물이 가변 설치되는 장식용 양초의 오실시예 결합상태 단면도를 나타낸다.
오실시예로서의 본 발명은 양초(1)와, 상기 양초(1)를 삽입식 탈,부착 교환구조로 고정 설치하는 상징형 받침유닛(3)으로 형성하되;
상기 오실시예로 적용되는 상징형 받침유닛(3)은, 전술한 일실시예와 같이 내측면에 압입고정테(311)가 마련된 원형받침틀(31)이 형성된 것을 포함하고, 상기 원형받침틀(31)의 외경면 둘레에 그 원형받침틀(31)을 감싸는 단일 물품형태의 종교적 상징물, 예컨대 연꽃, 국화꽃, 장미꽃, 카네이션 등과 같이 꽃으로 상징되는 종교적 조형물을 도 9로 도시된 바와 같이 캡슐형 상징모형물(33)로 결합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캡슐형 상징모형물(33)은 도 10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면에 관통구성을 취하는 촛농유도공(331)을 형성하고, 상기 촛농유도공(331)과 연결되는 내측 하부면에 촛농포집공간부(332)를 형성한다.
따라서, 오실시예로서의 본 발명은 전술한 일실시예와 같이 기독교, 천주교, 불교 외 기타 다양한 종교별 의식을 행함에 있어, 그들 종교를 대표하는 상징물, 예컨대 캡슐형 상징모형물(33)에 의해 차별화 하여 표출하고, 아울러 양초(1)의 연소과정에서 융융되어 흘러내리는 촛농은 촛농유도공(331)을 통해 촛농포집공간부(332)로 유입되게 하여 수거하는 기능을 행한다.
1 : 양초 2 : 촛농포집유닛
3 : 상징형 받침유닛 4 : 보조 장식조명부
21 : 수거호퍼 22 : 삽입설치관
23 : 탄성절개홈 31 : 원형받침틀
32 : 상징조형물 33 : 캡슐형 상징조형물
41 : 조명제어박스 42 : 삽입형 발광꽂이
D : 촛농유도 이격돌기

Claims (6)

  1. 양초(1)를 포함하며, 상기 양초(1)의 외경면에 가변적 위치구조로 탈,부착 결합하는 촛농포집유닛(2)과, 상기 양초(1)를 삽입식 탈,부착 교환구조로 고정 설치하는 상징형 받침유닛(3)을 형성하되;
    상기 촛농포집유닛(2)은, 깔대기 형상을 취하는 수거호퍼(21) 하부면에 삽입설치관(22)을 일체로 연장 형성하고, 일체화 형성된 수거호퍼(21)와 삽입설치관(22)의 외측 일면에 탄성절개홈(23)을 더 형성하며;
    상기 상징형 받침유닛(3)은, 내측면에 압입고정테(311)가 마련된 원형받침틀(31)을 형성하고, 원형받침틀(31) 외경면 둘레에 다수개의 상징모형물(32)을 원형 배열구조로 더 결합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되;
    상기 상징모형물(32)은 원형받침틀(31)의 내경방향을 향해 탄성 예각(a)으로 기울어지며 그 원형받침틀(31)의 외경면과 몰딩성형방식에 의해 일체화 구조로 연결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종교 상징물이 가변 설치되는 장식용 양초.
  2. 제 1항에 있어서;
    상징형 받침유닛(3)은, 원형받침틀(31) 외경면 둘레에 다수개의 상징모형물(32)을 원형 배열구조로 결합 형성한 것을 포함하며, 상기 압입고정테(311) 중앙부에 보조 장식조명부(4)를 더 형성하되;
    상기 보조 장식조명부(4)는, 축전지(411)와 조명제어기판(412)이 수용 설치된 조명제어박스(41)와;
    상기 조명제어박스(41) 상부면 중앙에 원뿔형 구조로 수직 돌출되며, 그 내측면에 엘이디램프(421)를 수용 설치한 삽입형 발광꽂이(42)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종교 상징물이 가변 설치되는 장식용 양초.
  3. 제 2항에 있어서;
    상징형 받침유닛(3)은, 원형받침틀(31) 외경면 일측방향에 상징모형물(32)을 단일 구성으로 결합 형성하고;
    단일 구성의 상징모형물(32)을 결합한 상징형 받침유닛(3)에 있어, 보조 장식조명부(4)로 형성된 발광꽂이(42)에 양초(1)를 탈,부착 삽입구조로 고정 결합시켜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종교 상징물이 가변 설치되는 장식용 양초.
  4. 양초(1)와 상기 양초(1)를 삽입식 탈,부착 교환구조로 고정 설치하는 상징형 받침유닛(3)으로 이루어진 것에 있어서;
    상기 상징형 받침유닛(3)은, 내측면에 압입고정테(311)가 마련된 원형받침틀(31)을 형성하고, 원형받침틀(31) 외경면 둘레에 다수개의 상징모형물(32)을 원형 배열구조로 더 결합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되;
    상기 상징모형물(32)은 원형받침들(32)의 내경방향을 향해 탄성 예각(a)으로 기울어지며 그 원형받침틀(31)의 외경면과 몰딩 성형방식에 의해 일체화 구조로 연결 형성되고, 상기 탄성 예각(a)으로 기울어져 결합된 상징모형물(32) 내측 전면에 다수개의 촛농유도 이격돌기(D)가 돌출 배열구조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종교 상징물이 가변 설치되는 장식용 양초.
  5. 제 4항에 있어서;
    양초(1)와 상징형 받침유닛(3)은, 파라핀 소재를 이용한 몰딩성형방식에 의해 단일 몸체구성으로 일체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종교 상징물이 가변 설치되는 장식용 양초.
  6. 삭제
KR1020210038103A 2021-03-24 2021-03-24 종교 상징물이 가변 설치되는 장식용 양초 KR1025305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8103A KR102530538B1 (ko) 2021-03-24 2021-03-24 종교 상징물이 가변 설치되는 장식용 양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8103A KR102530538B1 (ko) 2021-03-24 2021-03-24 종교 상징물이 가변 설치되는 장식용 양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2929A KR20220132929A (ko) 2022-10-04
KR102530538B1 true KR102530538B1 (ko) 2023-06-01

Family

ID=836003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8103A KR102530538B1 (ko) 2021-03-24 2021-03-24 종교 상징물이 가변 설치되는 장식용 양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0538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7904Y1 (ko) 2000-02-19 2000-10-02 유기창 케익용 촛농받침대
US20030008258A1 (en) 2001-07-05 2003-01-09 Massey Dean Travis Candle support method and apparatus
JP2003013091A (ja) 2001-07-03 2003-01-15 Pegasus Candle Kk キャンドル構造体
KR200406706Y1 (ko) 2005-11-04 2006-01-24 김성만 장식 촛대
KR101514993B1 (ko) 2014-04-09 2015-04-24 박대수 양초등
KR200495656Y1 (ko) 2020-01-06 2022-07-19 장재영 양초 고정용 마그넷 받침대 어셈블리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411U (ko) * 1986-06-18 1988-01-05
KR20080005992U (ko) * 2007-06-01 2008-12-04 황종수 양초보호대
KR20090050126A (ko) * 2007-11-15 2009-05-20 김종식 십이지신상 촛대
KR101400411B1 (ko) 2013-07-30 2014-05-27 이용우 양초
JP3209080U (ja) * 2016-12-13 2017-03-02 林進成 蝋燭ランプ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7904Y1 (ko) 2000-02-19 2000-10-02 유기창 케익용 촛농받침대
JP2003013091A (ja) 2001-07-03 2003-01-15 Pegasus Candle Kk キャンドル構造体
US20030008258A1 (en) 2001-07-05 2003-01-09 Massey Dean Travis Candle support method and apparatus
KR200406706Y1 (ko) 2005-11-04 2006-01-24 김성만 장식 촛대
KR101514993B1 (ko) 2014-04-09 2015-04-24 박대수 양초등
KR200495656Y1 (ko) 2020-01-06 2022-07-19 장재영 양초 고정용 마그넷 받침대 어셈블리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P03209080 U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2929A (ko) 2022-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10029003A1 (en) Prayer candle device
US9068739B2 (en) Decorative fragrance diffuser having a light source mounted to a base and a space for custom inserts
KR102530538B1 (ko) 종교 상징물이 가변 설치되는 장식용 양초
US6929380B2 (en) Candle holder adapter for an electric lighting fixture
KR101514993B1 (ko) 양초등
US20060026898A1 (en) Illuminated plant holder
USD541443S1 (en) Decorative candle holder
USD437645S1 (en) Compact fluorescent lamp
KR200259905Y1 (ko) 양초
WO2005093026A3 (en) Candles, candle containers and methods of manufacture thereof
KR200406706Y1 (ko) 장식 촛대
TWM356511U (en) Multi-function fragrance lamp
KR200307075Y1 (ko) 탈착식 꽃병
KR100466875B1 (ko) 장식용 양초
CN2560833Y (zh) 方便产生造形的灯具装置
US20060223016A1 (en) Candle finial
KR200282178Y1 (ko) 장식용 호롱
KR101093167B1 (ko) 안전 촛대
KR200174790Y1 (ko) 생일 축하용 양초
JP3216574U (ja) 点灯仏具
CN210219692U (zh) 茶烛支承架
KR200344383Y1 (ko) 불상이 구비된 사찰용 촛대
KR900008596Y1 (ko) 방향제를 내장한 스텐드
KR200174313Y1 (ko) 케익용 촛농받침대
KR200301857Y1 (ko) 방향효과를 갖는 촛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