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5992U - 양초보호대 - Google Patents

양초보호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5992U
KR20080005992U KR2020070009080U KR20070009080U KR20080005992U KR 20080005992 U KR20080005992 U KR 20080005992U KR 2020070009080 U KR2020070009080 U KR 2020070009080U KR 20070009080 U KR20070009080 U KR 20070009080U KR 20080005992 U KR20080005992 U KR 2008000599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ndle
cover
main body
support
windshie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908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종수
Original Assignee
황종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종수 filed Critical 황종수
Priority to KR202007000908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05992U/ko
Publication of KR2008000599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5992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5/00Candle holders
    • F21V35/006Drop catchers; Shade holder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CFATTY ACIDS FROM FATS, OILS OR WAXES; CANDLES; FATS, OILS OR FATTY ACIDS BY CHEMICAL MODIFICATION OF FATS, OILS, OR FATTY ACIDS OBTAINED THEREFROM
    • C11C5/00Candl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주로 산신각이나 용왕궁 또는 산속의 기도처 같은 야외에서 촛불을 켜놓고 불공이나 기도를 드릴 때 바람에 촛불이 꺼지지 않도록 바람을 막아주고, 비가 올 때에는 빗방울에 의한 촛불의 꺼짐을 방지하며, 촛농에 의한 주변바닥의 더럽혀짐을 방지하고, 외관이 미려하도록 구성된 양초보호대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외면이 연꽃문양으로 형성되어 있는 원통형상의 본체(11)와, 상기 본체(11)의 상부 내측에 형성되면서 상측이 개방된 바람막이용 커버 안치부(18)와, 상기 바람막이용 커버 안치부(18)의 저면부의 중앙부에 일체로 형성되면서 양초가 안치되는 양초안치부(13)와, 상기 양초안치부(13)의 주위인 바람막이용 커버 안치부(18)의 저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각각 형성된 통기공(12)과, 상기 양초안치부(13)의 중앙부에 형성된 통공부(14)와, 상기 본체(11)의 하측에 형성된 받침편(16)의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고정공(15)과, 그리고 상기 받침편(16)의 저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된 받침돌편(17)이 구성되어 있는 받침부(10)와; 상기 받침부(10)의 내측으로 삽입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서 상, 하측이 개방된 원통형상의 본체(31)와, 상기 본체(31)의 상단부의 양측에 고정공(32)이 형성되어 있는 바람막이용 커버(30)와; 그리고 상기 바람막이용 커버(30)의 상단부에 고정되어 상측을 씌우는 것으로서 단면이 원호형상으로 형성된 원형상의 본체(41)와, 하단부에 걸림부(42a)와, 상기 바람막이용 커버(30)의 고정공(32)에 삽입되는 삽입부(42b)가 구비되어 있는 수직방향의 지지간(42)으로 이루어진 빗물 유입 방지구(40)로 구성되 어 있다.
촛대, 양초보호대, 바람막이용 커버, 빗물 유입 방지구, 촛농수용부, 명패

Description

양초보호대{A CANDLE PROTECTION STAND}
도 1은 본 고안의 양초보호대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양초보호대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양초보호대의 종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양초보호대의 받침부의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받침부 11, 31, 41 : 본체
12 : 통기공 13 : 양초안치부
14 : 통공부 15, 32 : 고정공
20 : 촛농수용부 30 : 바람막이용 커버
40 : 빗물 유입 방지구 50 : 명패
60 : 양초
본 고안은 양초보호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주로 산신각이나 용왕궁 또는 산속의 기도처 같은 야외에서 촛불을 켜놓고 불공이나 기도를 드릴 때 바람에 촛불이 꺼지지 않도록 바람을 막아주고, 비가 올 때에는 빗방울에 의한 촛불의 꺼짐을 방지하며, 촛농에 의한 주변바닥의 더럽혀짐을 방지하고, 외관이 미려하도록 구성된 양초보호대에 관한 것이다.
불교에서 촛불과 향을 밝히는 까닭은 초와 향은 자기 몸을 태움으로써 광명과 아름다운 향기를 발산하는 것으로서, 초는 자기 몸을 태움으로써 밝은 빛을 발하고 미망의 어두운 세계에서 자기를 희생시켜 가면서 밝은 내일을 만중생에게 회향한다는 의미를 지니고 있고, 향은 여러 가지 빛깔을 가졌음에도 불구하고 그것들이 함께 몸을 태울 때 그 연기는 하나로 융화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가정에 경사스러운 일이 있을 때에는 촛대에 양초를 꽂아서 불을 붙인 촛불과 향을 켜놓고 부처님의 고마움을 알아서 공양을 올리는 불공을 드리고, 어려운 재난이 있을 때에는 간절한 마음으로 재난에서 벗어나는 지혜와 용기를 얻도록 기도를 하게 된다.
이와 같은 불공이나 기도는 산속의 기도처 등과 같은 야외에서도 이루어진다.
그리고, 토속신앙에서는 개인의 소원이나 가정의 소원 등을 기원할 때 촛대에 촛불을 밝혀놓고 기원을 하게 된다.
또한, 무속신앙에서도 산신각 또는 용왕궁 등에서 촛대에 촛불을 밝히고 무당이 굿과 제를 열어 신도의 마음을 안심시키고 소원을 빌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촛대는 사찰에서 사용하거나 토속신앙이나 무속신앙과 관련하여 사용되거나, 일반 가정에서 제사를 드릴 때 사용되는 것으로서, 촛대에 양 초를 꽂아서 고정시켜 사용하고 있는 데, 상기 양초가 외부에 그대로 노출되어 있으므로 산속의 기도처, 산신각 또는 용왕궁과 같은 야외에서 촛대에 양초를 꽂아서 촛불을 밝혀놓을 경우에는 바람에 의해서 촛불이 꺼지거나 비가 올 때에는 빗방울에 의해서 촛불이 꺼져 버려서 계속 촛불을 켜놓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또한, 촛농이 촛대 밑으로 흘러내리면서 바닥에 떨어져 바닥이 지저분해지게 되고 특히 제단 등의 주변에 장식되어 있는 많은 가연성 용품이 촛불에 의해 화재가 발생될 우려가 큰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촛대는 단순히 양초를 꽂아놓을 수 있는 단조로운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외관상으로도 미흡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주로 산속의 기도처 등 야외에서 불공이나 기도를 드리기 위해서 촛불을 밝혀놓는 경우, 촛불이 바람에 의해서 꺼지지 않도록 하고, 비가 올 경우 빗방울에 의한 촛불의 꺼짐을 방지하는 양초보호대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촛농에 의해서 바닥의 더럽혀짐을 방지하고, 외관이 미려한 양초보호대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양초보호대는 외면이 연꽃문양으로 형성되어 있는 원통형상의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부 내측에 형성되면서 상측이 개방된 바람막이용 커버 안치부와, 상기 바람막이용 커버 안치부의 저면부의 중앙부에 일체로 형성되면서 양초가 안치되는 양초안치부와, 상기 양초안치부의 주위인 바람막이용 커버 안치부의 저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각각 형성된 통기공과, 상기 양초안치부의 중앙부에 형성된 통공부와, 상기 본체의 하측에 형성된 받침편의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고정공과, 그리고 상기 받침편의 저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된 받침돌편이 구성되어 있는 받침부와; 상기 받침부의 내측으로 삽입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서 상, 하측이 개방된 원통형상의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단부의 양측에 고정공이 형성되어 있는 바람막이용 커버와; 그리고 상기 바람막이용 커버의 상단부에 고정되어 상측을 씌우는 것으로서 단면이 원호형상으로 형성된 원형상의 본체와, 하단부에 걸림부와, 상기 바람막이용 커버의 고정공에 삽입되는 삽입부가 구비되어 있는 수직방향의 지지간으로 이루어진 빗물 유입 방지구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양초보호대는 상기 받침부는 양초안치부의 내측에 삽입되며 상측이 개방되어 있는 원통형상의 촛농수용부를 추가로 포함하여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양초보호대는 상기 받침부의 일측에 고정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공에 삽입되는 고정용 돌편이 하측에 형성된 명패를 추가로 포함하여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양초보호대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양초보호대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양초보호대의 종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양초보호대의 받침부의 평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양초보호대는 양초(60)가 안치되어서 고정되는 받침부(10); 상기 받침부(10)의 내측으로 삽입 설치되는 바람막이용 커버(30); 상기 바람막이용 커버(30)의 상단부에 양측부가 고정되면서 상측을 씌워주는 빗물 유입 방지구(4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받침부(10)는 내측에 후술하는 바람막이용 커버(30)가 삽입되어서 안치되면서 상측이 개방된 원통형상의 바람막이용 커버 안치부(18)가 형성되면서 상협하광형상으로 형성된 원통형상의 본체(11)와 상기 본체(11)의 하단부에 외측으로 돌출되어서 형성된 환형상의 받침편(16)으로 구성되어 있고, 외면이 불교를 상징하는 연꽃문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바람막이용 커버 안치부(18)는 바닥면으로부터 일정한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고 바람막이용 커버 안치부(18)의 저면 중앙부에 양초안치부(13)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양초안치부(13)는 상측이 개방된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바닥면으로부터 일정한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양초안치부(13)의 저면부의 중앙부에는 통공부(14)가 형성되어 있다.
양초안치부(13)의 주위인 바람막이용 커버 안치부(18)의 저면에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통기공(12)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양초안치부(13)의 내측에는 상측이 개방되어 있으면서 양초의 하단부가 삽입되는 원통형상의 촛농수용부(20)가 삽입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11)의 하측에 형성된 받침편(16)의 일측부에 후술하는 명패(50)가 고정되도록 고정공(15)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받침편(16)의 테두리부의 저면에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받침돌편(17)들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명패(50)에는 불공 및 기도하는 사람의 이름 및 연락처 등이 기재된 스티커를 부착시키는 것으로서, 사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받침편(16)의 일측에 형성된 고정공(15)에 삽입 고정되도록 저면의 일측에 고정용 돌편(5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바람막이용 커버(30)는 상, 하측이 각각 개방된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측의 개방된 부분이 하단부의 개방된 부분 보다 직경이 짧게 형성되도록 상단부가 곡면을 이루고 있다.
상기 바람막이용 커버(30)는 상기 상단부에 형성된 곡면부의 양측부에 후술하는 빗물 유입 방지구(40)의 양측 지지간(42)을 삽입 고정하기 위한 고정공(3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받침부(10)의 각 통기공(12)들은 바람막이용 커버(30)의 내측을 통하여 공기가 소통될 수 있도록 바람막이용 커버 안치부(18)의 저면부에 각각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상기 빗물 유입 방지구(40)는 단면이 원호형상의 곡면으로 형성되어 있는 원형상의 본체(4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본체(41)의 저면의 양측에 각각 수직방향으로 지지간(4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양측의 지지간(42)은 하측부가 각각 내측으로 굴곡되어서 상기 바람막이용 커버(30)의 고정공(32)에 각각 삽입되는 삽입부(42b)가 형성되어 있고, 삽입부(42b)의 상단부의 외측에 상기 바람막이용 커버(30)의 양측 고정공(32)의 주위에 걸려서 고정되도록 걸림부(42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바람막이용 커버(30)의 재질은 촛불이 보이도록 투명한 합성수지재질이 바람직 하고, 상기 받침부(10), 명패(50) 및 빗물 유입 방지구(40)의 재질은 합성수지가 바람직하다.
상기 촛농수용부(20)의 재질은 금속재가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양초가 다 탔을 때 남아 있는 심지에 의한 화재의 위험성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양초보호대는 다음과 같이 작용한다.
먼저, 받침부(10)의 양초안치부(13) 내에 촛농수용부(20)를 삽입시켜 놓는다.
그리고 양초(60)의 하단부를 상기 촛농수용부(20)의 내에 삽입시켜서 양초(60)를 세워놓은 후 상기 바람막이용 커버(30)의 하단부를 상기 받침부(10)의 본체(11)의 바람막이용 커버 안치부(18)의 내측으로 삽입시켜서 세워놓는다.
그 다음에 빗물 유입 방지구(40)의 양측 지지간(42)을 상기 바람막이용 커버(30)의 상단부의 양측 고정공(32)에 각각 삽입시켜서 고정시키고 명패(50)의 고정용 돌편(51)을 받침부(10)의 고정공(15)에 각각 삽입 고정시키면 본 고안의 양초보호대의 조립이 완료된다.
본 고안의 양초보호대 내에 있는 양초에 불을 붙이기 위해서는 상기 바람막 이용 커버(30)를 손으로 잡은 후 들고 양초에 불을 붙인 후 다시 바람막이용 커버(30)를 받침부(10)의 바람막이용 커버 안치부(18) 내에 삽입시켜서 고정시킨다.
본 고안의 양초보호대의 공기 소통 경로는 다음과 같다.
즉, 양초(60)에 불이 붙여진 상태에서 받침부(10)의 환형상의 받침편(16)의 저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된 받침돌편(17)들 사이의 공간부를 통하여 들어온 공기가 본체(11)의 통기공(12)을 통하여 들어와서 바람막이용 커버(30)의 내측 공간부를 통하여 상측으로 올라가서 바람막이용 커버(30)의 상단부와 빗물 유입 방지구(40)의 본체(41)의 사이를 통하여 외부로 나가게 된다.
이와 같이, 양초보호대의 내, 외부를 공기가 원활하게 소통됨으로써 양초보호대 내에 있는 양초의 불이 꺼지지 않고 원활하게 불을 밝힐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촛불보호대를 사용함으로써 주로 야외인 산신각이나 용왕궁 또는 산속의 기도처 등에서 촛불을 켜놓고 불공이나 기도를 드릴 때 바람이 불어도 바람을 막아주는 바람막이용 커버(30)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바람부는 것에 전혀 상관 없이 정성을 다하여 기도를 드릴 수 있게 된다.
또한, 비가 올 경우에도 빗물 유입 방지구(40)에 의하여 빗방울이 촛불이 있는 내부로 들어갈 수 없게 되어서 촛불이 꺼지지 않게 됨으로써 기도를 순조롭게 계속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켜놓은 촛불에서 밑으로 흘러내려온 촛농이 촛농수용부(20)로 유입되어 수용되게 됨으로써 촛농이 양초보호대의 외부로 흘러내려가서 주변바닥을 더럽힐 우려가 전혀 없게 되어 기도하고 있는 주변이 항상 깨끗함을 유지할 수 있게 된 다.
그리고, 본 고안의 양초보호대의 받침부(10)에 불공이나 기도 드린 사람의 이름 및 연락처 등을 기재한 스티커가 부착된 명패(50)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기도드린 사람의 복을 기원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양초가 다 타서 불이 붙고 있는 심지가 촛농수용부(20)에 남아 있는 경우에도 촛농수용부가 금속재질이기 때문에 화재발생의 위험성이 전혀 없게 된다.
양초(60)가 다 사용되어서 촛불이 꺼진 후에는 상기 양초안치부(13)와 촛농수용부(20)의 사이가 촛농에 의해서 서로 부착된 부분도 있을 경우에는 촛농이 들어 있는 촛농수용부(20)를 빼내기 어렵기 때문에 양초보호대에 새로운 양초를 넣어서 사용하기 위한 촛농수용부(20) 및 양초안치부(13)의 소제가 어렵게 된다.
따라서, 촛농이 들어 있는 촛농수용부(20)를 원활하게 빼내기 위해서는 통공부(14)를 통하여 적당한 도구로 촛농수용부(20)를 밀어내게 되면 양초안치부(13)에 촛농에 의해서 붙어 있는 촛농수용부(20)가 양초안치부(13)에서 떨어져 나오게 되면서 촛농수용부(20) 및 양초안치부(13)를 깨끗이 소제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양초보호대는 받침부(10)에 바람막이용 커버(30)가 구비되고, 빗물 유입 방지구(40)가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주로 산속의 기도처 등 야외에서 불공이나 기도를 드리기 위해서 촛불을 밝혀놓는 경우 촛불이 꺼지지 않도록 바람을 막으면서 빗방울로 인한 촛불의 꺼짐을 방지하게 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촛농수용부(20)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촛농이 양초보호대의 외부로 흘러내리지 않게 되어 촛농에 의한 주변바닥의 더럽혀짐을 방지하게 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고안의 양초보호대의 받침부(10)에 불공이나 기도드린 사람의 이름 및 연락처 등이 기재된 명패(50)가 고정 설치되어 있으므로 기도드린 사람의 복을 기원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받침부(10)의 외면에 형성된 불교를 상징하는 연꽃문양을 포함하여 전체적으로 외관이 심미감이 있고 미려한 효과를 발휘한다.

Claims (3)

  1. 외면이 연꽃문양으로 형성되어 있는 원통형상의 본체(11)와, 상기 본체(11)의 상부 내측에 형성되면서 상측이 개방된 바람막이용 커버 안치부(18)와, 상기 바람막이용 커버 안치부(18)의 저면부의 중앙부에 일체로 형성되면서 양초가 안치되는 양초안치부(13)와, 상기 양초안치부(13)의 주위인 바람막이용 커버 안치부(18)의 저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각각 형성된 통기공(12)과, 상기 양초안치부(13)의 중앙부에 형성된 통공부(14)와, 상기 본체(11)의 하측에 형성된 받침편(16)의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고정공(15)과, 그리고 상기 받침편(16)의 저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된 받침돌편(17)이 구성되어 있는 받침부(10)와;
    상기 받침부(10)의 내측으로 삽입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서 상, 하측이 개방된 원통형상의 본체(31)와, 상기 본체(31)의 상단부의 양측에 고정공(32)이 형성되어 있는 바람막이용 커버(30)와; 그리고
    상기 바람막이용 커버(30)의 상단부에 고정되어 상측을 씌우는 것으로서 단면이 원호형상으로 형성된 원형상의 본체(41)와, 하단부에 걸림부(42a)와, 상기 바람막이용 커버(30)의 고정공(32)에 삽입되는 삽입부(42b)가 구비되어 있는 수직방향의 지지간(42)으로 이루어진 빗물 유입 방지구(40)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초보호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10)는 양초안치부(13)의 내측에 삽입되며 상 측이 개방되어 있는 원통형상의 촛농수용부(20)를 추가로 포함하여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초보호대.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10)의 일측에 고정공(15)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공(15)에 삽입되는 고정용 돌편(51)이 하측에 형성된 명패(50)를 추가로 포함하여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초보호대.
KR2020070009080U 2007-06-01 2007-06-01 양초보호대 KR20080005992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9080U KR20080005992U (ko) 2007-06-01 2007-06-01 양초보호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9080U KR20080005992U (ko) 2007-06-01 2007-06-01 양초보호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5992U true KR20080005992U (ko) 2008-12-04

Family

ID=413267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9080U KR20080005992U (ko) 2007-06-01 2007-06-01 양초보호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05992U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5203A (ko) * 2015-03-26 2016-10-06 이석종 촛불 바람막이용 캡
WO2018004592A1 (en) * 2016-06-30 2018-01-04 Paralee Thiefault Candle seal
KR20180044601A (ko) * 2016-10-24 2018-05-03 안성우 양초 난로
KR20210001213U (ko) * 2019-11-22 2021-06-01 장환민 양초 어셈블리
KR20220132929A (ko) * 2021-03-24 2022-10-04 김시조 종교 상징물이 가변 설치되는 장식용 양초
KR20230011730A (ko) 2021-07-14 2023-01-25 김용대 액상의 식물성 초의 구조체
KR200496474Y1 (ko) * 2022-06-28 2023-02-06 고도영 카드꽂이홈이 구비된 촛대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5203A (ko) * 2015-03-26 2016-10-06 이석종 촛불 바람막이용 캡
WO2018004592A1 (en) * 2016-06-30 2018-01-04 Paralee Thiefault Candle seal
KR20180044601A (ko) * 2016-10-24 2018-05-03 안성우 양초 난로
KR20210001213U (ko) * 2019-11-22 2021-06-01 장환민 양초 어셈블리
KR20220132929A (ko) * 2021-03-24 2022-10-04 김시조 종교 상징물이 가변 설치되는 장식용 양초
KR20230011730A (ko) 2021-07-14 2023-01-25 김용대 액상의 식물성 초의 구조체
KR200496474Y1 (ko) * 2022-06-28 2023-02-06 고도영 카드꽂이홈이 구비된 촛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05992U (ko) 양초보호대
US20110198551A1 (en) Finial with concealed torch for a post
US5938430A (en) Liquid fuel lamp
US20110198550A1 (en) Finial with concealed torch for hollow post
US5541824A (en) Chimney assembly for illumination sources
KR101514993B1 (ko) 양초등
US6663258B1 (en) Portable illumination device
US6579089B1 (en) Floating candle holder
KR200415411Y1 (ko) 장식용 안전 촛대
US20040095754A1 (en) Candle lamp
CN201081105Y (zh) 一种装饰灯串
ES2331053T3 (es) Sombrerete protector de farol para velas.
JP3140625U (ja) ろうそく立ての風防
US20150131267A1 (en) Eyelid spa light and lighting method
KR200386309Y1 (ko) 수족관이 설치된 석재테이블
JPH0229608Y2 (ko)
KR200404568Y1 (ko) 장식용 수중촛대
KR200219013Y1 (ko) 리필과 재활용이 가능한 업소용 오일램프
CN219889528U (zh) 具有驱蚊功能的野营灯
KR20080001432U (ko) 양초 디자인 카바
KR200355918Y1 (ko) 방풍 촛대
KR0123212Y1 (ko) 장제용 촛대
KR200407026Y1 (ko) 장식용 촛대
KR101093167B1 (ko) 안전 촛대
KR20090001939U (ko) 유등용 심지 보호 커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