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9308B1 - 완전연소를 위한 이중관 타입의 팜초 - Google Patents

완전연소를 위한 이중관 타입의 팜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9308B1
KR102579308B1 KR1020200165988A KR20200165988A KR102579308B1 KR 102579308 B1 KR102579308 B1 KR 102579308B1 KR 1020200165988 A KR1020200165988 A KR 1020200165988A KR 20200165988 A KR20200165988 A KR 20200165988A KR 102579308 B1 KR102579308 B1 KR 1025793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block
palm
moving
pu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59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76966A (ko
Inventor
정명희
Original Assignee
정명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명희 filed Critical 정명희
Priority to KR10202001659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9308B1/ko
Publication of KR202200769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69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93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93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CFATTY ACIDS FROM FATS, OILS OR WAXES; CANDLES; FATS, OILS OR FATTY ACIDS BY CHEMICAL MODIFICATION OF FATS, OILS, OR FATTY ACIDS OBTAINED THEREFROM
    • C11C5/00Candles
    • C11C5/008Cand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Composite candles, e.g. candles containing zones of different composition, inclusions, or the like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CFATTY ACIDS FROM FATS, OILS OR WAXES; CANDLES; FATS, OILS OR FATTY ACIDS BY CHEMICAL MODIFICATION OF FATS, OILS, OR FATTY ACIDS OBTAINED THEREFROM
    • C11C5/00Candles
    • C11C5/002Ingredi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50/00Technologies for the production of fuel of non-fossil origin
    • Y02E50/10Biofuels, e.g. bio-diese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완전연소를 위한 이중관 타입의 팜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팜초가 수용되는 제1하우징과, 상기 제1하우징 외측에 이격되어 구비되는 제2하우징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 사이에 형성되는 이격부에 따라 단열층이 형성되어, 겨울철 외부 온도에 따라 팜초가 적정온도로 가열되지 못해 제1하우징에 팜초의 잔여물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완전연소를 위한 이중관 타입의 팜초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완전연소를 위한 이중관 타입의 팜초{PALM CANDLE OF DOUBLE-HOSING TYPE}
본 발명은 완전연소를 위한 이중관 타입의 팜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팜초가 수용되는 제1하우징과, 상기 제1하우징 외측에 이격되어 구비되는 제2하우징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 사이에 형성되는 이격부에 따라 단열층이 형성되어, 겨울철 외부 온도에 따라 팜초가 적정온도로 가열되지 못해 제1하우징에 팜초의 잔여물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완전연소를 위한 이중관 타입의 팜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양초는 일정한 온도에서 녹는 가연성(可燃性) 고체 즉, 휘발유에서 정제된 무색, 무취의 파라핀왁스(paraffin wax)를 일정한 형상으로 성형하고, 그 중심에 무명 등으로 이루어지는 심지를 삽입한 등화용(燈火用) 연로로서, 상기 심지에 불을 붙이면 상기 파라핀왁스가 용융되어 모세현상에 의해 심지에 공급되어 심지의 끝 부분에서 기화(氣化)하고, 그것이 연소되어 탄소를 유리(遊離)하여 발광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양초는 일반가정, 법당, 성당, 교회 등의 실내 또는 실외의 일정한 장소에 비치하여 조명을 대체하기 위한 목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근래에 들어서는 장식용으로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와 관련된 종래기술로는 등록실용신안 제20-0258509호 "양초"(이하, '종래기술1'이라 함.), 등록실용신안 제20-0399382호 "개량 양초"(이하, '종래기술2'라 함.), 등록실용신안 제20-0459924호 "부적을 구비한 양초"(이하, '종래기술3'이라 함.)를 들 수 있다.
먼저, 상기 종래기술1은 실내 또는 실외에서 지속적으로 원적외선을 발산하고 점화시 인체에 유해한 가스의 발생을 최대한 억제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고, 상기 종래기술2는 내, 외부 이중구성의 양초를 형성하여 그 경계부에 촛농배출구를 형성하고, 내부의 양초 상부에 심지구를 형성하여 양초의 연소에 따라 수직 하강토록 함으로써 양초의 연소 시 촛농이 양초의 바깥쪽둘레를 타고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고, 그로 인해 장기간 사용하더라도 미관이 우수한 개량 양초에 관한 것이고, 상기 종래기술3은 부적을 도입하여 신심을 충족시키면서 화재의 위험성이 없도록 이루어지는 양초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양초와 관련된 다양한 종래기술들이 제시되고 있으나, 근래에는 천연 팜나무(야자수) 오일을 주 원료로 하여 그을음이 발생되지 않으며, 각각의 양초가 플라스틱 케이스(하우징)에 소량으로 담겨 원하시는 시간만큼 사용하신 후 버리면 되므로 폐초가 발생하지 않고, 초가 휘거나 주저 앉을 일이 없으며 겨울에 파고들 일도 없도록 고안된 팜양초(팜초)('케이스양초'라고도 불린다.)가 제시되고 있다.
이와 관련된 종래기술로는 공개특허 제10-2013-0141066호 "팜 원유 양초 및 제조방법"(이하, '종래기술4'라 함.)를 들 수 있으며,
상기 종래기술4는 99% 팜 원유를 이용하여 유해가스가 발생하지 않음으로서 친환경적인 무연 양초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팜양초는 팜 원유가 일정 온도, 즉 완전연소가 일어나는 온도까지 가열 및 연소되어 초의 연료로 사용되는 것으로, 여름에는 가열온도까지 손쉽게 도달할 수 있으나, 겨울이나, 냉방기를 가동하는 경우 하우징 외부의 온도가 낮아 내부에 충진된 팜 원유를 냉각시켜 완전연소까지 필요한 온도까지 올라가지 못하에 따라 하우징 벽면에 연소되지 않는 팜 원유의 잔존물이 묻어 미관을 해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팜초(팜양초)가 구비되는 수용부가 형성된 제1하우징과, 이 제1하우징 외측에 이격되게 구비되는 제2하우징, 상기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의 하부를 수용하는 받침수단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 사이의 이격된 공간, 즉 이격부가 단열층을 형성함에 따라 외부의 냉기가 직접적으로 팜초에 전달되지 않아, 팜초가 완전연소되어 제1하우징 표면에 팜초의 잔여물이 남는 것을 방지하는 완전연소를 위한 이중관 타입의 팜초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제2하우징의 상단부가 제1하우징의 상단부보다 더 높게 형성됨에 따라 외부의 제1하우징 상부가 제2하우징에 의해 차단됨에 따라 측방향에서 전달되는 냉기가 제1하우징에 전달되지 않도록 하여 보다 안정적으로 완전연소가 이루어지는 완전연소를 위한 이중관 타입의 팜초를 제공함을 목저긍로 한다.
나아가 상기 제1하우징의 수용부에는 고정수단을 더 도입하여, 팜초가 아닌 일반 양초, 즉 기 성형된 양초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하여 범용성을 높인 완전연소를 위한 이중관 타입의 팜초를 제공함을 또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완전연소를 위한 이중관 타입의 팜초는
팜초가 구비되는 수용부가 형성된 제1하우징;
상기 제1하우징 외측에 이격되게 구비되는 제2하우징;
상기 제1하우징 및 제2하우징의 하부가 수용되는 받침수단;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2하우징의 상단이 상기 제1하우징의 상단보다 더 높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완전연소를 위한 이중관 타입의 팜초는
팜초가 구비되는 제1하우징과, 상기 제1하우징 외측에 이격부를 형성하도록 이격되어 구비되는 제2하우징, 상기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의 하부를 수용하는 받침수단으로 이루어져,
상기 이격부가 단열층을 형성함에 따라 외부 냉기가 제1하우징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여 팜초의 완전연소가 가능하도록 이루어져, 연소 시, 팜초의 잔존물이 제1하우징에 묻지 않아 계절 또는 온도에 상관없이 제1하우징이 깨끗한 상태를 유지한 채 연소될 수 있다.
특히 제2하우징의 상단부가 제1하우징의 상단부보다 더 높게 형성되어, 상기 제1하우징 상단부에 연소 시 발생되는 열에 의한 따뜻한 공기층이 형성되어, 외부 냉기를 완벽하게 차단함에 따라 완전연소가 가능하도록 하며, 더 나아가 측방향에서 불어오는 바람을 제2하우징이 차단하여 불꽃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1하우징의 수용부에는 기 성형된 팜초 또는 양초를 고정할 수 있는 고정수단을 더 구비하여, 시중에서 판매되는 다양한 종류의 초 또한 사용이 가능하멩 따라 사용 편의성 및 범용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관 타입의 팜초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관 타입의 팜초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관 타입의 팜초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관 타입의 팜초의 또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관 타입의 팜초의 또 다른 실시예의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관 타입의 팜초의 또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
도 7a 및 도7b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관 타입의 팜초의 변형례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완전연소를 위한 이중관 타입의 팜초(C)는 팜초(충진재(C1)가 구비되는 제1하우징(10)과, 상기 제1하우징(10) 외측에 이격되어 구비되는 제2하우징(20) 및 상기 제1하우징(10)과 제2하우징(20)의 하부를 수용하는 받침수단(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먼저 도1 내지 도3은 제1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면을 참조하여 각각의 구성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제1하우징(10)은 상부 및 하부가 개방된 원통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관체(11)와, 상기 관체(11)의 하부에 구비되는 바닥부재(12)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관체(11) 내부에 팜초가 구비되는 수용부(14)를 형성하고 있다.
상기 제1하우징(10)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원통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나, 다각기둥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며, 다각기둥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후술하는 받침수단(30)의 형상 또한 이에 맞게 변경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원통형의 형상으로 한정하였으나,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 해석해서는 안 된다.
다시 상기 관체(11)는 원통형의 상하 개방형 관체(11)로, 내부에 팜초가 구비되는 수용부(14)가 형성되어 있으며, 제조비용의 절감 및 중량 감소를 위해 PVC 소재의 판재를 가공하여 원통형으로 말아 양단부를 서로 부착하는 방식으로 제조하는 것이 좋다.
상기 관체(11)에는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수용부(14)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수용부(14)에 충진재(C1), 보다 정확하게는 팜 오일을 충진시켜 팜초의 연소연료로 사용하게 되며, 팜초 중앙에는 점화를 위한 심지(C2)를 더 배열되어 있는 것은 자명하다.
또한 상기 수용부(14)에는 팜 오일을 충진시켜 사용하는 팜초가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나, 일반 양초 또는 기 성형된 팜초가 구비될 수 있도록 고정수단(40)을 더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며(도4 내지 도6 참조) 이는 하기에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즉, 본 명세서에서의 팜초는 팜 오일을 충진시킨 팜초 뿐만 아니라 일반 파라핀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양초, 그 외의 성분으로 제조된 초를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상기 관체(11) 하부에는 상기 팜 오일을 충진시킬 때 이를 지지하고 더 나아가 심지(C2)를 고정하기 위한 바닥부재(12)가 더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바닥부재(12)는 상기 관체(11)에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게 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바닥부재(12)는 상기 수용부(14)의 하부를 폐쇄하기 위한 것으로서, 관체(11) 하부에 끼움 결합되도록 상기 수용부(14)를 폐쇄하는 바닥부(121)와, 상기 바닥부(121) 테두리로부터 하향 절곡된 진입벽부(122) 및 상기 진입벽부(122) 단부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지지플랜지부(124)로 이루어져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바닥부재(12)는 상기 관체(11) 하부에 끼워지는 것으로서, 상기 바닥부(121)가 상기 수용부(14)로 진입하면, 상기 진입벽부(122)가 상기 관체(11) 하부 내측면에 밀착되게 되고, 상기 관체(11) 하단부가 상기 지지플랜지부(124) 상면에 밀착되어 상기 바닥부재(12)의 진입을 제한하여 하부가 막힌 수용부(14)를 형성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팜 오일이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바닥부(121)의 외경과 상기 수용부(14)의 내경은 동일하거나, 상기 수용부(14)의 내경이 조금 작게 이루어져 억지 끼움 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바닥부재(12)의 지지플랜지부(124)와 상기 관체(11)는 접착제, 접착테이프, 글루건, 실리콘 등의 접착부재를 이용하여 견고하게 고정되는 것도 가능하나,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 해석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은 앞서 얘기한 바와 같이, 수용부(14)에 충진재(C1), 보다 정확하게는 친환경 수지인 팜 오일을 채운 후 이를 연료로 사용하는 것으로, 필요에 따라서는 발향 및 기능성 첨가제를 더 혼합할 수 있고, 상기 충진재(C1)를 채워 넣는 경우에는 관체(11) 상부 일부를 남겨두고 채우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후술하는 캡(50)의 장착을 위한 것이며, 관체(11) 외면에 눈금부를 더 도입하여 충진 권장량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캡(50)은 제1하우징(10)의 상부, 보다 정확하게는 수용부(14)의 상부를 폐쇄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으로, 운송 또는 보관 시 충진재(C1)와 심지(C2)를 보호하기 위함이며, 더 나아가 대류를 유도하여 심지(C2)에 산소를 원활하게 공급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캡(50)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캡(50)은 수용부(14) 상부에 끼움 결합되는 것으로, 심지(C2)가 노출될 수 있도록 중앙에 중공부(511)가 형성된 덮개부(51)와, 상기 덮개부(51) 테두리에 구비되어 상기 관체(11)의 상부 내벽면에 밀착되는 외벽부(5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덮개부(51)가 상기 수용부(14)의 상부를 막고 상기 외벽부(52)가 상기 관체(11)의 상부 내벽면에 밀착되도록 끼워지며, 상기 외벽부(52) 단부에서 외측으로 절곡된 외플랜지부(521)에 의해 캡(50)이 수용부(14) 내부로 과도하게 인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이루어진다.
이 때 상기 덮개부(51)의 중앙에는 상향 돌출된 중앙돌출부(513)가 더 구비되게 되며, 이 중앙돌출부(513) 중앙에 중공부(511)가 형성되어 심지(C2)가 노출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여기서 심지(C2)의 노출이라 함은 심지(C2)의 상부 단부가 상기 관체(11)의 최상단보다 더 높게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심지(C2)가 외부에서 보이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심지(C2)의 높이는 중앙돌출부(513) 최상단을 기준으로 더 높거나 또는 더 낮거나 같은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덮개부(51)에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대류유도공(514)이 더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대류유도공(514)은 상기 중앙돌출부(513) 주위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장공으로 이루어지고, 둘 이상으로 구비될 때에는 서로 이격되도록 구비되게 된다.
따라서 외부공기는 상기 대류유도공(514)을 통해 유입되고 유입된 공기는 상기 중공부(511)를 통해 배출됨에 따라 공기 순환이 활성화되고, 이로 인해 심지(C2)에 산소를 원활하게 공급하여 그을음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나아가 본 발명은 제2하우징(20)을 더 도입하여 상기 제1하우징(10) 외벽(34)에 충진재(C1)의 잔존물(잔여물)이 남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하우징(20)은 상기 제1하우징(10)과 마찬가지로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원통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제1하우징(10) 외측에 이격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제2하우징(20)의 내경이 상기 제1하우징(10)의 외경보다 더 크게 구비되어 상기 제1하우징(10)과 제2하우징(20) 사이에 이격부(E)가 형성되도록 이루어져 있으며,
이 이격부(E)가 단열층을 형성하여 외부의 냉기가 직접적으로 상기 제1하우징(10) 외면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여 팜 오일이 연소될 때 온도를 낮춰 불완전 연소가 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본 명세서에서의 완전연소라 함은, 화학적인 완전연소, 즉 산소가 충분하게 공급되는 연소를 말하는 것이 아니라, 팜 오일이 완전하게 연소 또는 증발, 기화 되는 것을 의미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 제2하우징(20)의 상단이 상기 제1하우징(10)의 상단보다 더 높게 형성되도록 구성함에 따라 상기 제1하우징(10) 상부에 단열층을 더 형성함으로서 연소 시 외부 냉기에 의해 온도가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완전연소를 유도할 수 있으며, 이와 동시에, 상기 제1하우징(10) 내부로 측방향에서 불어오는 바람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불꽃이 흔들리지 않고 안정적으로 탈 수 있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제1하우징(10)의 상단부 높이보다 낮게 상단부가 배열된 심지(C2) 역시 제2하우징(20)의 상단 아래에 위치한다.
나아가 상기 본 발명은 상기 제1하우징(10) 및 제2하우징(20)을 고정하기 위한 받침수단(30)을 더 구비하고 있다.
상기 받침수단(30)은 상기 제1하우징(10) 및 제2하우징(20)을 서로 이격된 상태를 유지한채 고정하며, 자연스럽게 직립 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받침수단(30)에는 상기 제1하우징(10) 및 제2하우징(20)의 하부 일부가 내삽되는 안착공간(3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안착공간(31)의 중앙부에는 상향 돌출된 지지벽(3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벽(32)의 외경은 상기 제1하우징(10)의 내경보다 조금 작거나 같게 형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다시 상기 안착공간(31)은 상기 받침수단(30)의 외벽(34)에 의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벽(32)은 상기 안착공간(31) 중앙부분에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결과적으로 상기 외벽(34)과 지지벽(32)은 서로 이격된 위치가 된다.
상기 지지벽(32)은 상기 제1하우징(10)을 상기 안착공간(31)에 놓을 때, 상기 제1하우징(10)의 내측에 인입,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바닥부재(12)의 내측에 인입되어 상기 제1하우징(10)을 상기 안착공간(31) 중앙에 직립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외벽(34)의 내경이 상기 제2하우징(20)의 외경보다 크거나 같게 형성되어 상기 제2하우징(20)을 수용공간에 삽입하면 자연스럽게 상기 외벽(34)이 상기 제2하우징(20)의 외면에 밀착 또는 근접하게 구비되어 하여 제2하우징(20)을 직립시키게 된며, 필요에 따라 상기 받침수단(30)과 제1 및 제2 하우징(10)(20)은 분리되고 조립될 수 있다.
즉, 상기 지지벽(32) 및 외벽(34)에 의해 상기 제1하우징(10)과 제2하우징(20)은 이격부(E)를 갖도록 서로 이격되어 직립되며, 이 이격부(E)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단열층을 형성하여 제1하우징(10) 외면에 외기가 직접적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한다.
더 나아가 상기 제2하우징(20)의 내경이 상기 바닥부재(12)의 지지플랜지부(124)의 외경과 같거나 크게 구성하여 흔들림을 방지하며 직립되는 것도 가능하며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 해석해서는 안 된다.
나아가 상기 받침수단(30)의 하부에는 복수의 다리부재(35)가 더 구비되어 있으며, 이 다리부재(35)들 사이로 공기가 순환될 수 있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지지벽(32)과 외벽(34) 사이에는 복수의 공기순환공(37)이 더 형성되게 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공기순환공(37)은 이격부(E)와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는 상기 이격부(E)에 의해 형성된 단열층과 제1하우징(10) 외부와의 온도차이가 심할 경우에, 상기 제2하우징(20)에 서리가 끼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이 때 외부공기가 복수의 다리부재(35)들 사이의 작은 틈새로 유입됨에 따라 충진재(C1)를 완전연소시키는 데는 문제가 없으며, 단순히 온도차로 인해 제2하우징(20)에 서리가 끼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만 수행할 수 있다.
도4 내지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수용부(14)에 충진재(C1)를 부어 형성되는 팜초가 아닌 기 성형된 팜초(또는 양초)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40)이 구비되는 실시예에 관한 것이다.
상기 고정수단(40)은 상기 받침수단(30A)(상기 실시예1과 그 형상의 차이가 있을 뿐, 안착공간(31)이 형성되어 상기 제1하우징(10) 및 제2하우징(20)을 수용하여 직립시키는 기능은 동일하다.)에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어 기 성형된 팜초 하부에 끼워지는 고정핀(41)과, 상기 고정핀(41)이 관통되도록 중앙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팜초 하부를 지지하도록 제1하우징(10) 하부에 구비되는 지지부재(4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각각의 구성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고정수단(40)은 기 성형된 팜초를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제1하우징(10) 하부에는 중앙에 중앙통공이 형성된 지지부재(43)가 구비되게 된다.
상기 지지부재(43)는 앞서 언급한 바닥부재(12)의 변형례를 의미하는 것으로, 중앙에 중앙통공(431)이 형성되는 것이 특징이며, 상기 바닥부재(12)와 달리 제1하우징(10)의 내측에 삽입되는 형상이 아닌 제1하우징(10)을 안착시키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받침수단(30)의 중앙, 보다 정확하게는 안착공간(31)의 내측저면에는 결합공(311)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결합공(311)에 고정홀(451a)이 형성된 고정부재(45)가 아래쪽에서 결합되게 된다.
상기 고정부재(45)는 받침부(452)와 상기 받침부(452) 중앙에서 상향 돌출된 돌출부(451)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돌출부(451)에 나사산이 형성된 고정홀(451a)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고정부재(45)가 상기 받침수단(30)의 하부에서 결합됨에 따라 상기 결합공(311)에 상기 돌출부(451)가 끼워지게 되고, 상기 받침부(452)가 상기 받침수단(30)의 내측 하부를 지지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후술하는 고정핀(41)이 끼워지면 임의로 분리되지 않도록 이루어진다.
아울러 상기 고정핀(41)은 상기 고정홀(451a)에 나사결합되는 결합부(411)와, 상기 결합부(411) 상부에 상기 결합부(411)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되는 갓부(412) 및 상기 갓부(412) 상부에 구비되어 팜초에 끼워지는 끼움부(414)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고정핀(41)은 상기 제1하우징(10)의 내측에서 아랫방향으로 끼워지는 구조로 상기 결합부(411)가 상기 바닥부재(12) 중앙에 형성된 중앙통공을 관통하여 상기 고정홀(451a)에 나사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며, 이 때 상기 갓부(412)가 상기 중앙통공을 관통하지 못하고 지지부재(43) 상부에 걸리게 되며, 이러한 구조로 인하여 제1하우징(10)을 견고하게 고정하여 기 성형된 팜초를 제1하우징(10)의 수용부(14)에 안정적으로 삽입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나아가 상기 돌출부(451)의 높이에 의해 상기 지지부재(43)의 하부가 상기 받침수단(30)으로부터 이격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 간극을 극복하기 위하여 별도의 지지판(47)이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이 지지판(47)은 상기 돌출부(451)가 삽입되는 통공부(471)가 형성되어 상기 지지부재(43)와 받침수단(30)의 내측 바닥면(안착공간(31)) 사이를 메울 수 있게 된다.
도 7a 및 도7b는 본 발명에 따른 완전연소를 위한 이중관 타입의 팜초의 변형례를 도시한 것으로서, 보다 안정적인 결합을 위해 구비되는 탈착결합블록(A)에 관한 것이다.
상기 탈착결합블록(A)은 상호 결합되는 제1블록(A1) 및 제2블록(A2)과 상기 제2블록(A2) 내에 구비되는 아이언볼(BB) 및 상기 제1블록(A1)과 제2블록(A2) 각각에 구비되는 제1푸쉬바(P1) 및 제2푸쉬바(P2)로 이루어지는 푸쉬유닛(P)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제1블록(A1)과 제2블록(A2)을 상호간에 안정적으로 결합되고, 손쉽게 록킹 및 해정할 수 있도록 고안된 것으로, 이하 도7a 및 도7b을 참조하여 각각의 구성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하며, 도7a을 기준으로 좌우 및 상하 방향을 정하여 설명하도록 하나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 해석해서는 안 된다.
먼저 상기 제1블록(A1)은 제2하우징(20)의 하부에 배열되고, 내부에 삽입홈(A1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블록(A2)은 받침수단(30),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받침수단(30)의 외벽(34) 상부에 형성되되, 상기 제2하우징(20)의 외면에 구비되는 제1블록(A1)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며 상기 삽입홈(A12)에 결합되도록 돌출 가능하게 구비되는 삽입블록(B)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아이언볼(BB)은 상기 제2블록(A2)에 구비되며, 상기 삽입블록(B)와 와이어(W)에 의해 결합되며, 상기 제2블록(A2)에 형성된 볼이동부(A23)에 위치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푸쉬유닛(P)은 상기 제1블록(A1)으로부터 돌출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아이언볼(BB)을 볼이동부(A23)의 일단에서 타단으로 푸쉬하는 제1푸쉬바(P1)와, 상기 제2블록(A2)에 구비되어 상기 아이언볼(BB)을 볼이동부(A23) 타단에서 일단으로 복귀시키는 제2푸쉬바(P2)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블록(A1)은 제2하우징(20) 하부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것으로, 일측으로 돌출된 제1밀착부(A11)가 형성된 유사 'ㄱ'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블록(A2)은 받침수단(30) 상부 양측에 구비되는 것으로, 타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1밀착부(A11) 내측에 밀착되는 제2밀착부(A21)가 형성된 유사 'ㄴ'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1블록(A1)의 밀착부와 제2블록(A2)의 제2밀착부(A21)가 서로 어긋나게 밀착되어 제1블록(A1)과 제2블록(A2)이 상호간에 결합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제1블록(A1)의 제1밀착부(A11)에는 상기 제2밀착부(A21)와 밀착되는 부분에 삽입홈(A1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삽임홈에 후술하는 삽입블록(B)이 끼워져 제1블록(A1)과 제2블록(A2)의 상하방향 분리를 방지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제2블록(A2)은 상기 제2밀착부(A21)에 앞서 언급한 삽입블록(B)이 삽임홈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삽입이동부(A22)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삽입이동부(A22) 외측에서 상기 삽입이동부(A22) 하부 방향으로 곡선형의 볼이동부(A23)가 형성되며, 이 볼이동부(A23)에 아이언볼(BB)이 내장되어 볼이동부(A23)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있다.
먼저 상기 삽입블록(B)은 상기 삽입홈(A12)에 내삽되는 삽입부(B1)와, 상기 삽입부(B1) 내측에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수평부(B2), 상기 수평부(B2) 타측에 상기 삽입부(B1)와 나란하게 절곡 형성된 수직부(B3)로 이루어져 있어, 이동시 흔들림 없이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상기 삽입블록(B)을 평행 이동하여 제1블록(A1)과 제2블록(A2)을 상호간에 결합 및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 이를 위하여 아이언볼(BB), 와이어(W) 및 푸쉬유닛(P)의 구성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도7a 및 도7b을 참조하여 각각의 구성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상기 아이언볼(BB)은 상기 볼이동부(A23)를 따라 움직일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볼이동부(A23)와 상기 삽입블록(B),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삽입블록(B)의 수직부(B3)는 탄성력이 없는 와이어(W)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다.
이때 상기 볼이동부(A23)의 일단은 상기 제2블록(A2)의 외부와 연통되도록 이루어지며, 이때 상기 아이언볼(BB)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단턱(A231)이 더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제2블록(A2)에는 상기 와이어(W)가 걸쳐지는 도르래봉(D)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도르래봉(D)은 상기 볼이동부(A23)의 곡선부 내측이면서 상기 삽입이동부(A22)의 외측방향에 형성되어 있어, 상기 아이언볼(BB)이 볼이동부(A23)의 일단(도7a참조)에 위치하면 삽입이동부(A22)내에서 삽입블록(B)이 삽임홈(A12)으로부터 해정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아이언볼(BB)이 볼이동부(A23)의 타단(도7b참조)에 위치하면 상기 와이어(W)가 당겨지면서 도르래와 같이 삽입블록(B)이 이동하여 삽입부(B1)가 제1블록(A1)의 삽입홈(A12)에 내삽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즉, 본 발명은 상기 아이언볼(BB)의 움직임을 통하여 상기 삽입블록(B)을 이동시키도록 이루어지며, 이러한 동작을 위하여 상기 푸쉬유닛(P)의 구성을 더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푸쉬유닛(P)은 상기 제1블록(A1)에 구비되는 제1푸쉬바(P1)와 상기 제2블록(A2)에 구비되는 제2푸쉬바(P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제1블록(A1)에는 상기 제1푸쉬바(P1)가 내삽되는 푸쉬홀(A13)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푸쉬홀(A13)은 도7a 및 도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홀(A132)과, 상기 이동홀(A132)로부터 일측으로 절곡된 걸림홀(A131)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푸쉬바(P1)는 상기 이동홀(A132)에 내삽되는 푸쉬부(P11)와, 상기 푸쉬부(P11)로부터 일방향으로 절곡되어 제1블록(A1) 외측으로 일부가 노출되는 손잡이부(P12)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푸쉬홀(A13)에는 제1탄성체(P3)가 구비되어 상기 제1푸쉬바(P1)의 일측에 탄성력을 부여하며, 상기 이동홀(A132)의 타단은 상기 제1블록(A1)의 타측으로 개구되어 있다.
상기 제1푸쉬바(P1)는 평상시에는 상기 손잡이부(P12)가 걸림홈에 위치하도록 하여 상기 제1탄성체(P3)가 압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고, 상기 제1푸쉬바(P1)를 회전시켜 상기 손잡이부(P12)가 이동홀(A132)에 위치하도록 한 후 이를 놓으면 상기 제1탄성체(P3)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푸쉬부(P11)의 타단은 제1블록(A1)의 타측으로 순간적으로 돌출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제1블록(A1)과 제2블록(A2)이 밀착되었을 때, 상기 이동홀(A132)의 타측은 상기 볼이동부(A23)의 일단과 서로 연통하게 되고, 상기 제1푸쉬바(P1)를 동작하면 상기 제1푸쉬바(P1)의 타단이 볼이동부(A23) 일단에 위치하는 아이언볼(BB)의 측면을 순간적으로 타격하여 상기 아이언볼(BB)을 볼이동부(A23) 일단에서 타단으로 움직이고, 이에 따라 삽입블록(B)이 이동하여 삽입홈(A12)에 끼워질 수 있게 한다.
이는 곧 제1블록(A1)과 제2블록(A2)이 결합상태를 유지하게 됨을 의미한다.
반대로, 제2블록(A2)에는 제2푸쉬바(P2)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제2푸쉬바(P2)는 일측이 상기 제2블록(A2) 외면으로 돌출되며 상기 볼이동부(A23) 타단에 위치하고, 제2탄성체(P4)가 더 구비되어 있다.(상기 제2탄성체(P4)는 볼이동부(A23)에 구비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제1블록(A1)과 제2블록(A2)이 결합된 상태에서는 상기 아이언볼(BB)이 상기 제2푸쉬바(P2) 일면에 위치하게 되고, 이 때 사용자가 제2푸쉬바(P2)를 아이언볼(BB) 반대방향으로 이동시켜 제2탄성체(P4)를 압축시킨 후, 놓으면 상기 제2푸쉬바(P2)가 복원되면서 아이언볼(BB)의 일면을 타격하여 상기 아이언볼(BB)을 볼이동부(A23) 일단으로 이동시켜 삽입블록(B)을 원위치 시키게 된다.
이는 곧 제1블록(A1)과 제2블록(A2)이 분리 가능한 상태를 유지하게 됨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제1블록(A1)과 제2블록(A2)을 결합 및 분리함에 있어, 제1푸쉬바(P1) 및 제2푸쉬바(P2)를 동작함으로서 손쉽게 제1블록(A1)과 제2블록(A2)을 견고하게 고정 또는 분리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 편의성과 결합안정성 및 분리의 용이성을 모두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나아가 상기 아이언볼(BB)은 볼이동부(A23)의 일단 및 타단에 정확하게 위치하여야 하며, 이를 위하여 볼이동부(A23)의 일측에는 제1스토퍼(S1)가 구비되어 아이언볼(BB)이 임의로 볼이동부(A23) 타단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고, 이와 마찬가지로 상기 볼이동부(A23) 타단에 제2스토퍼(S2)를 구비하여 아이언볼(BB)이 임의로 볼이동부(A23) 일단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아이언볼(BB)은 푸쉬유닛(P)의 타격을 통하여 제1스토퍼(S1) 및 제2스토퍼(S2)(이를 함께 스토퍼(S)라 한다.)를 통과해야하며, 이를 위하여 상기 스토퍼(S)는 연질재질로 이루어져 압착되면서 아이언볼(BB)의 관통을 허용하도록 한다.
더 나아가 상기 볼이동부(A23)의 일단 상부에는 마그넷(M)을 더 구비하여 자성을 통해 아이언볼(BB)을 볼이동부(A23) 일단에 위치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며, 상기 마그넷(M)은 볼이동부(A23) 타단에도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자성은 아이언볼(BB)의 움직임을 약하게 제한할 수 있을 정도로만 이루어져 푸쉬유닛(P)의 타격에 의해 아이언볼(BB)이 움직이는 것을 간섭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 및 구성을 갖는 완전연소를 위한 이중관 타입의 팜초(C)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 : 팜초 C1 : 충진재
C2 : 심지 E : 이격부
10 : 제1하우징 11 : 관체
12 : 바닥부재 121 : 바닥부
122 : 진입벽부 124 : 지지플랜지부
14 : 수용부
20 : 제2하우징
30 : 받침수단 31 : 안착공간
311 : 결합공 32 : 지지벽
34 : 외벽 35 : 다리부재
37 : 공기순환공
40 : 고정수단 41 : 고정핀
411 : 결합부 412 : 갓부
414 : 끼움부 43 : 지지부재
431 : 중앙통공 45 : 고정부재
451 : 돌출부 451a : 고정홀
452 : 받침부 47 : 지지판
471 : 통공부
50 : 캡 51 : 덮개부
511 : 중공부 513 : 중앙돌출부
514 : 대류유도공 52 : 외벽부
521 : 외플랜지부

Claims (4)

  1. 중앙에 심지가 배열된 팜초가 구비되는 수용부가 형성된 관체와, 이 관체 하부에 결합된 바닥부재로 구성된 제1하우징;
    상기 제1하우징 외측에 이격되게 구비되는 제2하우징;
    상기 제1하우징 및 제2하우징의 하부가 수용되는 받침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2하우징의 상단이 상기 제1하우징의 상단보다 더 높게 형성되어 있으며, 제1하우징의 상단부 높이보다 낮게 상단부가 배열된 심지는 제2하우징의 상단 아래에 위치하고,
    상기 받침수단은 제1 및 제2 하우징을 서로 이격된 상태를 유지한채 고정하도록 제1 및 제2 하우징의 하부 일부가 내삽되는 안착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이 안착공간을 형성하고 제2하우징의 안착 직립을 위한 외벽을 갖고, 안착공간의 중앙부에는 제1하우징의 안착 직립을 위한 지지벽이 상향 돌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받침수단과 제1 및 제2 하우징은 분리되고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전연소를 위한 이중관 타입의 팜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수단에는 복수의 공기순환공이 형성되되, 이 공기순환공은 상기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 사이에 형성되는 이격부와 연통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받침수단의 하부에는 복수의 다리부재가 더 구비되어 있으며, 이 다리부재들 사이로 공기가 순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전연소를 위한 이중관 타입의 팜초.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하우징에 하부에 양측에 배열되고 삽입홈을 구비한 제1블록과, 상기 받침수단의 외벽 상부 양측에 구비되고 제1블록의 삽입홈에 결합되도록 삽입이동부를 따라 이동하는 삽입블록을 구비한 제2블록으로 구성된 탈착결합블록을 더 포함하고,
    이 탈착결합블록은 제2블록 내의 볼이동부에 위치하고 삽입블록과 와이어에 의해 결합되는 아이언볼과, 상기 제1 및 제2 블록 각각에 구비되는 제1 및 제2 푸쉬바로 이루어지는 푸쉬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푸쉬바는 아이언볼을 볼이동부의 일단에서 타단으로 푸쉬하고, 제2푸쉬바는 아이언볼을 볼이동부 타단에서 일단으로 복귀시키고,
    각 제1블록은 일측으로 돌출된 제1밀착부가 형성된 유사 'ㄱ'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각 제2블록은 타측으로 돌출되어 제1밀착부 내측에 밀착되는 제2밀착부가 형성된 유사 'ㄴ'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제1 및 제2 밀착부가 서로 어긋나게 밀착되어 제1 및 제2 블록이 상호간에 결합되도록 하고,
    상기 제2블록의 삽입이동부 외측에서 상기 삽입이동부 하부 방향으로 곡선형의 볼이동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삽입블록은 상기 삽입홈에 내삽되는 삽입부와, 이 삽입부 내측에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수평부, 이 수평부 타측에 상기 삽입부와 나란하게 절곡 형성된 수직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블록에는 제1푸쉬바가 내삽되는 푸쉬홀이 형성되어 있고, 이 푸쉬홀은 이동홀과, 이 이동홀로부터 일측으로 절곡된 걸림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푸쉬바는 이동홀에 내삽되는 푸쉬부와, 이 푸쉬부로부터 일방향으로 절곡되어 제1블록 외측으로 일부가 노출되는 손잡이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푸쉬홀에는 제1탄성체가 구비되어 제1푸쉬바의 일측에 탄성력을 부여하며, 상기 이동홀의 타단은 제1블록의 타측으로 개구되어 있고, 상기 제1푸쉬바는 상기 손잡이부가 걸림홈에 위치하도록 하여 상기 제1탄성체가 압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고, 상기 제1푸쉬바를 회전하여 상기 손잡이부가 이동홀에 위치하면 상기 제1탄성체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푸쉬부의 타단은 제1블록의 타측으로 순간적으로 돌출되어 되며, 제1 및 제2 블록이 밀착되면 상기 이동홀의 타측은 볼이동부의 일단과 서로 연통하게 되고 상기 제1푸쉬바를 동작하면 상기 제1푸쉬바의 타단이 볼이동부 일단에 위치하는 아이언볼의 측면을 순간적으로 타격하여 상기 아이언볼을 볼이동부 일단에서 타단으로 움직임에 따라 삽입블록이 이동하여 삽입홈에 끼워제게 되어 제1블록과 제2블록이 결합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제2블록의 제2푸쉬바는 일측이 제2블록 외면으로 돌출되며 상기 볼이동부 타단에 위치하고, 제2탄성체가 더 구비되고, 제1 및 제2 블록이 결합되어 아이언볼이 상기 제2푸쉬바 일면에 위치한 상태에서 제2푸쉬바가 아이언볼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면 제2탄성체가 압축되고 제2푸쉬바가 복원되면서 아이언볼의 일면을 타격하여 이 아이언볼을 볼이동부 일단으로 이동하여 삽입블록이 원위치되어 제1 및 제2 블록이 분리 가능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전연소를 위한 이중관 타입의 팜초.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하우징의 수용부에 구비되는 팜초는
    액상의 충진재를 수용부에 채워 형성되는 팜초이거나, 고정수단에 의해 상기 수용부에 고정되는 기 성형된 팜초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받침수단에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어 기 성형된 팜초 하부에 끼워져 고정시키는 고정핀과, 상기 고정핀이 관통되는 중앙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팜초 하부를 지지하도록 제1하우징 하부에 구비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전연소를 위한 이중관 타입의 팜초.
KR1020200165988A 2020-12-01 2020-12-01 완전연소를 위한 이중관 타입의 팜초 KR1025793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5988A KR102579308B1 (ko) 2020-12-01 2020-12-01 완전연소를 위한 이중관 타입의 팜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5988A KR102579308B1 (ko) 2020-12-01 2020-12-01 완전연소를 위한 이중관 타입의 팜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6966A KR20220076966A (ko) 2022-06-08
KR102579308B1 true KR102579308B1 (ko) 2023-09-27

Family

ID=819808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5988A KR102579308B1 (ko) 2020-12-01 2020-12-01 완전연소를 위한 이중관 타입의 팜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930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82971B2 (ja) 1991-08-30 2000-09-04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ビデオ・カメラ,それを用いた撮影方法およびその動作方法,ならびに画像処理装置および方法
JP3193106B2 (ja) * 1992-03-05 2001-07-30 日東電工株式会社 エポキシ樹脂組成物の硬化方法および硬化物
JP2020140949A (ja) * 2019-02-26 2020-09-03 愛烙逹股▲ふん▼有限公司 二重構造を備えた燃焼器具
KR102173270B1 (ko) 2019-10-21 2020-11-03 김용대 친환경 양초의 구조체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82971U (ja) * 2001-06-26 2002-01-11 服部 正 携帯型ろうそく
JP3193106U (ja) * 2014-07-04 2014-09-18 有限会社黒▲崎▼金属工芸製作所 ローソク立て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82971B2 (ja) 1991-08-30 2000-09-04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ビデオ・カメラ,それを用いた撮影方法およびその動作方法,ならびに画像処理装置および方法
JP3193106B2 (ja) * 1992-03-05 2001-07-30 日東電工株式会社 エポキシ樹脂組成物の硬化方法および硬化物
JP2020140949A (ja) * 2019-02-26 2020-09-03 愛烙逹股▲ふん▼有限公司 二重構造を備えた燃焼器具
KR102173270B1 (ko) 2019-10-21 2020-11-03 김용대 친환경 양초의 구조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6966A (ko) 2022-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90950B2 (en) Fuel burning system and method
Schivelbusch Disenchanted night: The industrialization of light in the nineteenth century
CN1278319A (zh) 低位燃烧蜡烛
US5902101A (en) Torch
US6923639B2 (en) Flame-resistant wick holder for candle
JP2017518783A (ja) ワックスウォーマー用の電気バリア
CA2349132A1 (en) Heater with light
KR102579308B1 (ko) 완전연소를 위한 이중관 타입의 팜초
EP2666385A1 (en) Heating table
KR101158787B1 (ko) 양초의 완전연소 및 촛불흐름 방지용 양초캡
US6827474B2 (en) Flame lamp with light pipe
KR101774346B1 (ko) 양초
US7083409B2 (en) Oil burning lamp
KR200495512Y1 (ko) 수지 충진형 양초 어셈블리
CA2923584A1 (en) Liquid candle system
US20020102509A1 (en) Decorative candle and oil lamp assembly
WO2011093803A1 (en) Modular candle housing
CN201100580Y (zh) 太阳能祭用长明香烛台
KR200492665Y1 (ko) 불꽃의 크기 제어 및 안정화가 가능한 양초
CN209431397U (zh) 一种全新改进的安全酒精灯
KR200226598Y1 (ko) 실내외용 촛불난방의자.
US20020098140A1 (en) Device for releasing a volatile medium
KR200215685Y1 (ko) 양초등
US20030198041A1 (en) Glow in the dark candle
CN212699293U (zh) 艾条燃烧长效保暖的多功能暖手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