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44415A - 동결건조 해삼 가공방법 - Google Patents

동결건조 해삼 가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44415A
KR20200144415A KR1020190072474A KR20190072474A KR20200144415A KR 20200144415 A KR20200144415 A KR 20200144415A KR 1020190072474 A KR1020190072474 A KR 1020190072474A KR 20190072474 A KR20190072474 A KR 20190072474A KR 20200144415 A KR20200144415 A KR 202001444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 cucumber
freeze
dried
sea
dr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24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순희
김대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해서물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해서물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해서물산
Priority to KR10201900724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44415A/ko
Publication of KR202001444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44415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4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drying or kiln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A23L3/44Freeze-drying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25/00Processing fish ; Curing of fish; Stunning of fish by electric current; Investigating fish by optical means
    • A22C25/14Beheading, eviscerating, or cleaning fish
    • A22C25/145Eviscerating fis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36Freezing; Subsequent thawing; Cooling
    • A23L3/363Freezing; Subsequent thawing; Cooling the materials not being transported through or in the apparatus with or without shaping, e.g. in form of powder, granules, or flak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20Removal of unwanted matter, e.g. deodorisation or detoxifica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31Mechanical treatmen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발명은 동결건조 해삼 가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건조된 해삼을 불림하는 불림과정;
동결건조과정;
분쇄단계;
를 포함하는 것으로,
본발명은 물을 많이 먹지 않게 짧은 시간에 불려진 해삼을 동결건조후 분쇄를 하여 작게 만들어 수분 흡수율을 높인 것으로 섭취를 위해 뜨거운 물에 담그면 빠른시간에 부피가 크게 불려져서 먹기가 편하고 맛도 좋은 현저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동결건조 해삼 가공방법{Processing method of freeze-dried sea cucumber}
본발명은 해삼죽, 해삼스프 등에 이용되는 동결건조 해삼 가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물을 많이 먹지 않게 짧은 시간에 불려진 해삼을 동결건조후 분쇄를 하여 작게 만들어 수분 흡수율을 높인 것으로 섭취를 위해 뜨거운 물에 담그면 빠른시간에 부피가 크게 불려져서 먹기가 편하고 맛도 좋은 현저한 동결건조 해삼 가공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해삼은 극피동물 해삼강에 속하는 해삼류의 총칭이며, 전 세계적으로 1500여종이 있으며 국내에는 4과 14개종이 있다.
생해삼은 100g당 수분이 91.8g, 단백질 3.7g, 지방 0.4g, 당질 1.3g, 회분 2.8g이고, 상기 회분 2.8g 중 칼슘 119mg, 인 27mg, 철분 2.1mg 또한 비타민 B1 0.01mg, B2 0.03mg, 나이아신 1,2mg, 타우린 18mg이다.
그러나, 생해삼을 건해삼으로 만들면 건해삼 100g당 수분이 1.5g으로 줄어들어 거의 무수물 상태로 되고, 각종 영양성분이 농축되어 단백질은 77.6g, 지방 0.9g, 당질 3.0g, 회분 17.0g, 칼슘 1,384mg, 인 72mg, 철분 53.0mg, 비타민 B1 0.06mg, B2 0.08mg, 나이아신 4.0mg으로 크게 증가된다.
따라서 건해삼에서 각 영양성분의 농축 정도는 단백질은 21배로 증가하여 거의 단백질 덩어리를 이루는 반면,
지방은 불과 2.2배의 증가에 그치고 있다. 당질은 2.3배, 회분은 6배, 비타민 B1 6배, B2는 2.7배로 증가하고,
칼슘은 11.6배, 철분은 무려 25배로 크게 증가하여 바다식품 중 최고의 영양소 덩어리라 할 수 있다. 이는 바다의 우유라 하는 참굴에 비해 단백질은 7배, 칼슘 16배, 철분 14배로 영양이 강화되고, 지방은 오히려 2.7배가 줄어든다.
해삼은 해양수산부가 2005년 우리나라 8대 수산물로 선정했으며 사포닌 등의 약효 성분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바다의 인삼으로 불리는 보양식품이다.
해삼은 중국에서 산삼으로 여길만큼 보양식으로 알려져 있으며 생해삼이 아닌 건조가공한 해삼을 보양음식으로 주로 먹으며 결혼식이나 큰 행사 중 해삼음식이 없으면 안될 정도로 중요하게 여기는 음식재료이다.
일반적으로 생해삼을 건조하면 단백질 30%, 지방 3.5%, 탄수화물 25%, 회분 36%의 성분을 가지게 된다.
그리고, 생해삼의 주요 섭취 부분인 체벽에는 단백질 약 21.45%, 지방 약 0.27%, 당분 약 1.37%가 함유되어 있으며, 상기 단백질은 주로 콜라겐(단백질의 약 70%를 차지함)과 점질성 다당체(푸코스 당 함유 콘드로이틴황산, 강글리오시드(Ganglioside), 글라이코스핑고리피드(Glycosphingolipid))로 이루어져 있다.
지금까지 연구에 따르면 해삼의 콜라겐은 다량의 수분을 보유할 수 있는 보습효과가 있고, 항산화 활성과 혈압을 감소시키는 작용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해삼 연골의 콘드로이친(Chondroitin)은 관절의 연골에 영양을 공급하고 물리적인 충격과 스트레스를 흡수시켜주는 유액이 연골에 머물도록 해서 탄력을 늘리는 기능을 한다. 스트레스로 생기는 불쾌함, 어깨결림, 두통 등 심신장애와 피부노화를 방지하고 주독을 중화한다. 또한 성기능 저하, 변비, 위궤양 치료, 치아와 골격의 형성, 근육마비, 출혈과다로 오는 빈혈 등에 사용되기도 한다.
해삼에 관련된 종래의 기술로는 특허공보 공고번호 특1992-0004448호에 pH 4~6의 산성용액에 생해삼을 3일간 침지해서 생해삼의 외피점액을 중화시킨 다음 이를 꺼내서 공지의 방법으로 건조함을 특징으로 하는 생해삼 건조방법이 공개되어 있다.
하지만, 산성용액에 생해삼을 넣는 것은 해삼 조직의 변성을 일으키며, 3일간이나 산성용액에 침지하는 것은 생해삼 외부만이 아닌 내부까지 산성액이 침투하여, 건조과정을 거친 건해삼에 유해한 잔류물이 잔류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해삼가공식품들을 살펴보면 건해삼을 가공하는 방법을 주로 이용하고 있어 가공된 해삼을 찾기가 매우 어려운 실정이다. 이는 해삼의 수요가 증가되어지고 있는 상황에 비추어 보면 해삼가공산업이 초기단계에 있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본발명은 물을 많이 먹지 않게 짧은 시간에 불려진 해삼을 동결건조후 분쇄를 하여 작게 만들어 수분 흡수율을 높인 것으로 섭취를 위해 뜨거운 물에 담그면 빠른시간에 부피가 크게 불려져서 먹기가 편하고 맛도 좋은 동결건조 해삼 가공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발명은 동결건조 해삼 가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건조된 해삼을 불림하는 불림과정;
동결건조과정;
분쇄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발명은 물을 많이 먹지 않게 짧은 시간에 불려진 해삼을 동결건조후 분쇄를 하여 작게 만들어 수분 흡수율을 높인 것으로 섭취를 위해 뜨거운 물에 담그면 빠른시간에 부피가 크게 불려져서 먹기가 편하고 맛도 좋은 현저한 효과가 있다.
본발명은 동결건조 해삼 가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건조된 해삼을 불림하는 불림과정;
동결건조과정;
분쇄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자숙탈염과정은 생해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정제수 200~300 중량부, 쑥, 생강, 오배자, 결명자, 솔잎, 강황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선택한 1~5중량부를 솥에 넣어 10~30분간 끓인 후 그대로 방치하여 10~14시간동안 상기 해삼을 침지하는 공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불림과정은 종래의 불리는 방식보다 덜불리는 것으로, 하루반 동안만 불리며, 그결과 섭취하기 위해 물을 부으면 짧은 시간안에 불어날 수 있는 공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동결과정은 4~5Torr의 진공을 유지하며 -80 ~-30℃ 정도의 온도에서 해삼내·외부의 물을 점차로 승화하는 공정인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불림과정을 거친 해삼은 예비동결한 후 동결건조과정을 거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예비동결과정은 -40℃에서 12~24시간 동결하는 공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서 해삼은 국내에 서식 중인 참해삼(Stichopus japonicus)과 동일종으로 인식되는 학명을 가지는 홍해삼, 흑해삼 및 청해삼 종과 광삼(Cucumaria japonicus) 등 모든 해삼류를 포함한다.
그리고, 현재 국내에서 있는 해삼의 가공식품으로는 냉동자숙해삼, 건해삼과 건해삼을 가열하거나 효소처리한 것인 액상해삼 등으로 가공되고 있다.
먼저 자숙탈염과정에서 정제수에 첨가되어 항균, 항산화, 해독작용 등이 있는 쑥, 생강, 오배자, 결명자, 솔잎, 강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쑥의 한약 이름은 "애엽"으로 약 30여 종류가 있으며 국화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 풀로, 예부터 식용과 약용으로 다양하게 사용되어 왔는데, 흔히 먹는 부드럽고 어린 쑥은 '애쑥' 또는 '참쑥'이라 하며 말려서 약으로 쓰거나 쑥뜸에 쓰는 것은 보통 '약쑥'이라 한다.
특히 위장병, 만성간염, 빈혈, 천식, 두통, 신경통, 류마티스, 동맥경화, 고혈압, 피로회복, 생리불순에 특효가 있으며 성인병 예방에도 탁월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쑥의 엽록소는 암을 예방하고 피를 맑게 해주며 조혈, 살균, 미세혈관의 확장작용, 신진대사촉진, 항알레르기 작용을 한다.
인체 내의 다량의 불포화 지방산이 방사선이나 자외선 등의 영향을 받아 혈액 중의 산소와 결합하여 과산화지질을 만드는 과정에서 노화가 진행되는데 쑥의 탄닌 성분이 과산화지질의 생성을 강력하게 억제하여 세포의 노화를 방지한다. 쑥은 특유의 은은한 향기를 가지고 있으며 냉기를 없애고 해충을 물리치는 작용을 한다.
간 기능을 활성화 시켜주는 풍부한 영양성분 그리고 비타민, 미네랄 등이 풍부하여, 간의 해독기능과 지방대사를 원활하게 하여 피로회복 및 체력개선 기능을 한다. 쑥의 혈액순환 기능은 위 점막의 혈행이 개선되도록 하며, 쑥의 양질의 섬유질은 장의 연동운동과 점액분비를 원활하게 하여 쾌변을 도와준다. 여성의 만성적인 허리, 어깨 통증 및 냉기와 습기를 해소하여 각종 여성병에 특별한 효능이 있다. 쑥은 피를 맑게 하고, 혈액 속의 콜레스테롤 수치를 줄여 혈압조절 및 지방대사를 도와 비만에 효과가 있다. 항암작용을 하는 풍부한 엽록소와 식물성 섬유, 미네랄, 비타민이 풍부하여 각종 약품, 비료, 농약 등의 독소를 분해해서 체외로 내보내는 강력한 해독작용을 한다.
생강은 인체에 필요한 다양한 약리 성분뿐만 아니라 향을 간직하고 있다.
생강(Zingiber officitiale Roscoe)은 생강과(Zingiberaceae)에 속하는 다년생 식물로서 근경을 주로 식용으로 사용하며 특유의 매운맛과 향기를 지닌 향신료이다. 생강의 풍미 성분은 정유성분(essential oil)과 매운맛 성분을 함유하고 있는 올레오레진(oleoresin)성분으로 분류된다.
정유 성분은 감기, 두통, 관절염 및 정신적 치료에 효과적이며 올레오레진(oleoresin)의 매운맛 성분인 진저롤(gingerol), 진저론(ginerone), 쇼가올(shogaol) 등은 항산화효과가 높다.
생강의 진저롤 성분은 담즙을 촉진시켜 피 속의 콜레스테롤을 없애며, 체온 상승 작용뿐만 아니라 노화를 예방하고 발한, 배뇨, 배변 작용을 촉진시켜 체내의 음식물(식독)이나 혈액(어혈, 오염된 피), 체액(수독)을 정화시키고, 에너지가 과도하게 축적된 경우에는 혈액순환을 도와 체내 세포의 활력을 증강시키는 효능이 있다.
이와 같이 생강은 항산화작용, 항균작용, 혈청 콜레스테롤 수치의 저하효과, 종양억제, 소염작용 등이 있다.
오배자는 오배자면충이 옻나무과의 붉나무(Rhus javanica L.)의 잎에 기생하여 만든 벌레집으로 문합(文蛤), 백충창(白蟲倉)이라고도 한다. 옻나무과에 속하는 낙엽성 교목인 붉나무의 잎에 생긴 벌레집을 말려서 사용한다.
주요성분으로는 다량의 갈로탄닌(gallotannin), 수지, 지방, 전분 등이 함유되어 있다. 약리작용에서 오배자의 '갈로탄닌(gallotannin)' 성분은 수렴 작용이 있다. 또한, 이질균, 녹농균 등에 항미생물 작용이 있으며, 간 기능 보호 작용과 항산화 작용을 나타낸다.
결명자는 콩과에 속하는 한해살이 초본으로 초결명자(Cassia obtusifolia L.)와 결명자(Cassia tora L.)의 두품종이 알려져 있다. 결명자는 초결명, 긴강남차라고도 한다. 초결명자는 중앙아메리카 원산으로 일본 등지에서 재배되고, 결명자는 열대 아시아산으로 중국, 우리나라 등지에서 재배된다.
결명자의 주성분은 비타민C, 에모딘(Emodin), 비타민A의 전구물질인 카로틴(Carotin), 캠페롤(Kaempherol) 등이며 각종 필수 지방산과 완하작용을 나타내는 안트라퀴논(Anthraquinone) 유도체가 들어있다.
또한 동의보감에 의하면 결명자는 간장과 신장의 강장효과가 있어 민간약과 한방약으로 애용되어 오고 있다.
또한 고혈압과 간장병에 좋고, 눈의 피로와 충혈에 좋으며, 위약과 위궤양, 숙취변비에 좋다고 되어 있으며, 한약의 임상응용에는 청간명목, 거풍열, 통변, 혈압강하, 소염 및 피부진균억제 등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솔잎은 예로부터 건위, 보혈작용이 있고 중풍, 동맥경과, 고혈압, 당뇨병 등을 예방하는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왔으며, 선식이나 차로도 이용되고 있다.
솔잎의 활성 성분이며 휘발성 항생물질인 테르펜은 솔잎에 약 7~12%가량 들어 있고 다량의 이소프렌으로 구성되어 모노테르펜(monoterpene), 세퀴테르펜(sequiterpene), 디테르펜(diterpene)이라고 불리며, 항생, 항암, 혈압강하, 호르몬 분비촉진, 항산화 등과 같은 독특한 약리작용 효과가 있어 아로마테라피(aromatheraphy)에 사용되기도 한다.
솔잎은 필수 아미노산 8종을 포함해 단백질 구성 아미노산 16종을 풍부하게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신체의 성장, 활력 증강에 효과가 크며 혈액의 흐름을 좋게 하고 호르몬 분비를 왕성하게 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어 노화방지와 고지혈증 및 콜레스테롤 저하에 뛰어난 효과를 나타낸다.
솔잎의 유효성분 중에서 비타민 C는 혈액정화 및 항괴혈병성, 스트레스에 대한 저항력을 가지고, 비타민 A는 점막을 튼튼히 하는 기능을 하여 야맹증치료에 사용되고, 수지 및 탄닌은 소화기의 기능을 돕는다.
또한 알콜 및 에스테르는 체내의 노폐물을 배출시켜 신진대사를 촉진시키고, 석회질을 용해하는 성분을 가지고 있어 동맥경화증에 유효하며, 철분은 빈혈치료에 효과적이고, 엽록소(클로로필)는 축적된 콜레스테롤을 감소시키고, 클리코기닌은 혈당강화작용이 있어 당뇨에 효과적이다.
또한, 아피에틴산은 아편과 니코틴 해독, 폐결핵이나 늑막염, 위장질환에 좋고, 비타민C와 철분이 풍부해 빈혈에 효능이 있고, 테르펜은 불포화지방산, 동맥경화의 원인이 되는 콜레스테롤을 용해시켜 혈액순환을 촉진시키며, 비타민 P(루틴)은 모세혈관을 강화시켜 노화방지에 도움을 준다.
강황(薑黃; Curcuma longa L.)은 생강과(Zingiberaceae)의 강황속(Curcuma)으로 분류되는 다년생 식물로 인도가 원산지이며 열대 아시아, 중국, 일본 등지에서 재배된다. 강황의 다른 명칭으로는 울금(鬱金), 심황(深黃), 도금(都金), 을금(乙金), 걸금(乞金), 옥금(玉金), 왕금(王金) 등이 있다.
강황의 용도로는 근경(根莖)을 식용, 한약재, 향신료 등으로 사용한 예가 알려진 바 있으며, 특히 카레의 원료로서 카레의 노란 색상을 띠는 성분으로 알려져 있다.
강황의 주성분은 커큐민(curcumin), 디메톡시커큐민(demethoxycurcumin), 비스디메톡시커큐민(bisdemethoxycurcumin)과 같은 커큐미노이드(curcuminoid) 색소 성분과 ar-turmerone, curlone, a-turmerone,
Figure pat00001
-turmerone, bisacumol, zingiberene과 같은 휘발성 정유 성분 및 전분이다. 이 중 강황의 노란색의 주성분인 커큐민은 생리활성물질로서 항암효과, 알츠하이머 치매 치료효과, 항산화성, 항염증, 간 장애 억제 등의 효과를 갖는 것이 계속적으로 밝혀져 오고 있다.
본발명은 동결건조 해삼의 기본형태를 유지하나, 짧은 시간 1분~1분30초만에 바로 먹을수있는 죽이나 스프와같은 식품에 넣어서 바로 먹을 수 있는 간편식 식품의 원료라고 할 수 있다.
기존 동결건조 해삼의 경우 뜨거운 물을 부을 경우 수축되는 형상이 발견되나, 본 발명으로 동결조해삼을 만들게되면 동결건조후 뜨거운 물을 붓더라도 수축되는 형상이 없고 오히려 더욱 부풀려져서 식감이 좋아진다.
동결건조 전 건해삼의 불리는 시간과 수분함유량에 따라 동결건조된 해삼의 식감과 육질이 향상되며, 기존 동결건조해삼은 본형태를 유지하기위해 한 마리를 통째로 동결건조를 하였지만, 본발명은 원료로 사용하기위해 동결건조후 분쇄공정을 통해 빠른시간에 뜨거운물에 불어나는 해삼원료이다.
본발명은 해삼->자숙->건조->불림->예비동결->동결건조->분쇄공정을 거친다.
건해삼의 경우 불리는 시간을 기존 동결건조 해삼보다 짧게 하여, 육질이 단단한 상태에서 동결건조에 들어간다.
동결건조된 해삼을 분쇄를 하여 작게 만들어 수분 흡수율을 높여 뜨거운물에 빠른시간에 불려질 수 있도록 한다.
일반적으로 건해삼을 불릴때 해삼의 종류에 따라 틀리지만, 기존 냉동해삼을 만드는 시간의 반정도의 시간으로 해삼을 불려서 동결한다.
물을 많이 먹지 않은 상태의 해삼을 동결건조후, 분쇄를 함으로 짧은 시간 안에 불어날수있는 해삼을 만드는 것이 기술적 요지이다.
예비동결과정은 -40℃에서 12~24시간 동결하는 공정이다.
덜불린다는 것은 하루반만 불리는 것을 의미하며, 그 결과 물을 부으면 짧은 시간안에 불어날 수 있는 해삼을 만드는 것이 기술적요지이다.
종래의 통상의 불리는 방법은 불리는 시간은 3일정도이다.
실시예 1.
1. 생해삼 할복 후 내장제거과정
생해삼의 복부중간 부분부터 항문방향으로 1/4정도를 절개 후 내장을 압착 제거한다.
생해삼의 복부중간부터 항문방향으로 1/4정도를 절개하는 이유는 절개부위가 작은 경우에는 내장을 압착하여 제거하는 것이 불편하고, 내장이 절개부위를 통해 빠져나오면서 터지는 일이 생기기도 하며, 절개부위가 큰 경우에는 건조 시 모양이 비틀리는 등의 모양이 변형될 가능성이 높아진다.
2. 내장을 제거한 해삼을 담수로 세척하는 담수세척과정
3. 자숙탈염과정
담수세척과정을 거친 생해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정제수 200~300 중량부, 쑥, 생강, 오배자, 결명자, 솔잎, 강황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선택한 1~5중량부를 솥에 넣어 10~30분간 끓인 후 그대로 방치하여 10~14시간동안 상기 해삼을 침지한다.
이 때, 해삼을 10분 미만으로 끓이면 해삼이 덜 삶기게 되어 살이 흐물흐물해지고, 30분을 초과하여 끓이면 해삼이 너무 삶겨서 조직이 약해지게 되어 터짐으로써 해삼의 상품성이 떨어지게 된다.
상기 정제수가 200 중량부 미만이면 해삼조직 내부의 소금기가 충분히 빠져나가지 못하며, 300 중량부를 초과하면 소금기는 충분히 빠져나가지만 해삼조직 내부로 수분이 너무 많이 포함되어진다.
그리고, 정제수 이외로 첨가되는 천연항균물질인 쑥의 치네올(Cineol), 생강의 쇼가올(Shogaols), 오배자의 갈로탄닌(gallotannin), 결명자, 솔잎의 테르펜(terpeme), 강황의 커큐민(curcumin)이 부패를 유발하는 바이러스와 세균에 대하여 해삼의 저항력을 높여 침지시간 동안 해삼의 변질을 예방한다.
상기 쑥, 생강, 오배자, 결명자, 솔잎, 강황은 깨끗이 세척한 후 필요에 따라 썰어서 사용하며, 상기 첨가물이 1중량부 미만으로 첨가되면 해삼의 변질이 발생하기 쉬우며, 5중량부를 초과하여 첨가되면 해삼의 고유의 맛과 향이 첨가물에 의하여 떨어지고 해삼표면에 첨가물에 의한 착색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침지시간이 10시간 미만이면 해삼조직 내부의 소금기가 충분히 빠져나가지 못하며, 침지시간이 14시간을 과하면 소금기는 충분히 빠져나가지만 해삼조직 내부로 수분이 너무 많이 포함되어진다.
4. 일정시간 건조하는 건조과정;
5. 건조된 해삼을 불림하는 불림과정;
6. 동결건조과정
동결건조(vacuum freeze drying)는 식품원료 내에 존재하는 수분을 저온으로 동결시켜 만든 빙결정을 감압 및 진공상태에서 수분을 승화시키는 원리를 이용하여 식품원료 상태 그대로 수분을 증발하여 건조하는 널리 알려져 사용되는 관용의 방법을 말한다.
이때, 식품원료를 동결상태로 유지하면서 빙결정을 승화시켜기 위하여 건조실 내의 압력은 4 내지 6Torr 이하, 온도는 -40℃ 이하의 조건에서 동결된 빙결정 상태에서 수증기로 점차로 승화되어 식품원료의 유리수는 제거되고 결합수, 가용성 성분 및 섬유질만 남게 되면 상당한 고온이라도 변질이 일어나지 않는다.
보존성을 더욱 높이기 위하여 30~50℃ 정도로 가열하여 결합수를 제거하면 수분함량 1~2%까지 건조할 수 있다.
동결건조법은 일반 건조법과는 달리 건조제품의 구조가 그대로 유지하고 단백질 등이 변성되지 않기 때문에 복원성이 우수하며, 풍미를 유지하고 극히 저수분이기 때문에 실온에서 장기 저장이 가능하여 건조 물질의 성질변화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 장점과 건조 시간이 길고 건조 비용이 고가이며 다공성 구조로 충격과 습도에 약하여 낮은 상대습도(20 내지 40%)의 환경에서 포장이 이루어져야하며 용적이 커져 수송 및 보관비가 비싸게 되는 단점이 있다.
실시예 2. 건해삼을 동결건조하는 방법
1. 건해삼 자숙 탈염과정
담수세척과정을 거친 건해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정제수 200~300 중량부, 쑥, 생강, 오배자, 결명자, 솔잎, 강황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한 1~5중량부를 솥에 넣어 30~60분간 끓인 후 냉각수로 급랭하여 10~14시간동안 상기 해삼을 침지한다.
이 때, 해삼을 30분 미만으로 끓이면 해삼이 덜 삶기게 되어 살이 단단해지고, 60분을 초과하여 끓이면 해삼이 너무 삶겨서 조직이 약해지게 되어 터짐으로써 해삼의 상품성이 떨어지게 된다.
상기 정제수가 200 중량부 미만이면 해삼조직 내부의 소금기가 충분히 빠져나가지 못하며, 300 중량부를 초과하면 소금기는 충분히 빠져나가지만 해삼조직 내부로 수분이 너무 많이 포함되어진다.
그리고 정제수 이외로 첨가되는 천연항균물질인 쑥의 치네올(Cineol), 생강의 쇼가올(Shogaols), 오배자의 갈로탄닌(gallotannin), 결명자, 솔잎의 테르펜(terpeme), 강황의 커큐민(curcumin)이 부패를 유발하는 바이러스와 세균에 대하여 해삼의 저항력을 높여 침지시간 동안 해삼의 변질을 예방한다.
상기 쑥, 생강, 오배자, 결명자, 솔잎, 강황은 깨끗이 세척한 후 필요에 따라 썰어서 사용하며, 상기 첨가물이 1중량부 미만으로 첨가되면 해삼의 변질이 발생하기 쉬우며, 5중량부를 초과하여 첨가되면 해삼의 고유의 맛과 향이 첨가물에 의하여 떨어지고 해삼표면에 첨가물에 의한 착색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침지시간이 10시간 미만이면 해삼조직 내부의 소금기가 충분히 빠져나가지 못하며, 침지시간이 14시간을 초과하면 소금기는 충분히 빠져나가지만 해삼조직 내부로 수분이 너무 많이 포함되어진다.
2. 일정시간 건조하는 건조과정;
3. 건조된 해삼을 불림하는 불림과정;
4. 동결건조과정
동결건조과정은 실시례 1의 과정을 준용하되, 건조실은 4~5Torr 이하의 진공을 유지하며 -80 ~-30℃ 정도의 온도에서 해삼 내·외부의 물을 점차로 승화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본발명은 물을 많이 먹지 않게 짧은 시간에 불려진 해삼을 동결건조후 분쇄를 하여 작게 만들어 수분 흡수율을 높인 것으로 섭취를 위해 뜨거운 물에 담그면 빠른시간에 부피가 크게 불려져서 먹기가 편하고 맛도 좋은 현저한 효과가 있다.

Claims (3)

  1. 건조된 해삼을 불림하는 불림과정;
    동결건조과정;
    분쇄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결건조 해삼 가공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된 해삼은,
    생해삼 할복 후 내장제거과정;
    내장을 제거한 해삼을 담수로 세척하는 담수세척과정;
    자숙탈염과정;
    일정시간 건조하는 건조과정;
    단계를 거쳐서 건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결건조 해삼 가공방법
  3. 제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불림과정을 거친 해삼은 예비동결한 후 동결건조과정을 거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결건조 해삼 가공방법
KR1020190072474A 2019-06-18 2019-06-18 동결건조 해삼 가공방법 KR2020014441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2474A KR20200144415A (ko) 2019-06-18 2019-06-18 동결건조 해삼 가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2474A KR20200144415A (ko) 2019-06-18 2019-06-18 동결건조 해삼 가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4415A true KR20200144415A (ko) 2020-12-29

Family

ID=740899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2474A KR20200144415A (ko) 2019-06-18 2019-06-18 동결건조 해삼 가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4441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16279B1 (ko) 해산물을 포함한 삼계탕의 제조방법 및 그 삼계탕
KR20100121035A (ko) 약선(藥膳)음식의 제조방법
Tarantul et al. Onion (lat. Állium cépa)
KR101445097B1 (ko) 민물고기 어죽(魚粥)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민물고기 어죽
KR101904702B1 (ko) 면역 증강용 기능성 건강식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447900B1 (ko) 한방 칼국수 및 그 제조방법
KR101762873B1 (ko) 그라비올라 추어탕의 제조방법
KR101848818B1 (ko) 강황 한방삼계탕 제조방법
KR101526124B1 (ko) 앤초비 간장소스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앤초비 간장소스
KR101961356B1 (ko) 엉겅퀴 엑기스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148006B1 (ko) 인삼 및 해삼을 포함하는 양삼계탕의 제조방법 및 그 양삼계탕
KR20170062755A (ko) 한약재를 이용한 장어탕의 제조방법
KR101186508B1 (ko) 발아 곡식을 이용한 건강식품 제조방법
KR100766808B1 (ko) 기능성 젓갈의 제조방법
KR101735164B1 (ko) 파우치를 이용한 동결건조된 건해삼과 소스 혼합방법
KR102577074B1 (ko) 원형 그대로의 반려동물용 수산물 수제 간식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원형 그대로의 반려동물용 수산물 수제 간식
CN105768053A (zh) 一种榄角辣椒酱的制作方法
KR101528818B1 (ko) 전복정과 제조방법
KR20200144415A (ko) 동결건조 해삼 가공방법
KR20180126691A (ko) 관절염용 환제 및 그 제조방법
KR102267942B1 (ko) 항균 소스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042514B1 (ko) 장어 숙성소스 및 그 숙성방법
KR101496845B1 (ko) 해삼정과 제조방법
KR20170061852A (ko) 한약재를 이용한 훈제오리 가슴살 제조방법
KR20160141934A (ko) 강황 한방삼계탕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