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44347A - 치석제거가 가능한 반려동물용 껌 - Google Patents

치석제거가 가능한 반려동물용 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44347A
KR20200144347A KR1020190072287A KR20190072287A KR20200144347A KR 20200144347 A KR20200144347 A KR 20200144347A KR 1020190072287 A KR1020190072287 A KR 1020190072287A KR 20190072287 A KR20190072287 A KR 20190072287A KR 20200144347 A KR20200144347 A KR 202001443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eth
raw material
companion animal
tooth insertion
insertion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22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54626B1 (ko
Inventor
정성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펫클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펫클럽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펫클럽
Priority to KR10201900722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4626B1/ko
Publication of KR202001443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443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46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46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5/00Devices for taming animals, e.g. nose-rings or hobbles; Devices for overturning animals in general; Training or exercising equipment; Covering boxes
    • A01K15/02Training or exercising equipment, e.g. mazes or labyrinths for animals ; Electric shock devices ; Toys specially adapted for animals
    • A01K15/025Toys specially adapted for animals
    • A01K15/026Chewable toys, e.g. for dental care of pe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9/00Other apparatus for animal husbandry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Zoology (AREA)
  • Feed For Specific Animal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반려동물용 껌"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반려동물용 껌"은 복수개의 원료피가 적층되어 형성된다. 이 때, 적층된 모든 원료피에는 동축상으로 반려동물의 이빨이 삽입되는 이빨삽입공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적층된 모든 원료피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이빨삽입공을 형성하는 내주면에 반경방향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이빨삽입공으로 삽입된 이빨 표면과 접촉하며 이빨 표면에 부착된 치석을 제거하는 치석제거날개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복수개의 원료피는 후박나무 육수에 일정시간 침지된 후 건조된 돈피 또는 우피로 형성된다.
이에 의해 원료피의 이빨삽입공에 반려동물의 이빨이 삽입될 때, 치석제거날개가 이빨의 표면과 물리적으로 닿으면서 이빨 표면에 부착된 치석을 긁어 효과적으로 치석을 제거할 수 있다.

Description

치석제거가 가능한 반려동물용 껌{Gum for pet with dental calculus removing effect}
본 발명은 반려동물용 껌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히는 반려동물의 치아에 쌓여 있는 치석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치석제거가 가능한 반려동물용 껌에 관한 것이다.
최근, 국내에서도 반려견에 대한 인식이 높아짐에 따라 반려견의 치아 상태의 관리와 치주 질환 치료의 중요성이 점차 증진되고 있다. 치주 질환은 작은 동물들의 구강 질병들 중 가장 흔하게 발생되는 것의 하나이다. 일반적으로 작은 애완 품종은 치주 질환에 걸리기 쉬우며, 생후 2년이 될 때까지 개의 약 80%, 고양이의 약 70%가 다양한 형태의 치주 질환에 걸리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치주 질환은 치아 표면에 형성되는 치태(입 안에 살고 있는 수많은 세균들이 타액 내의 특정 성분과 서로 엉겨 붙어 형성), 치석(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치태가 굳어져 형성) 등에 의해 주로 야기되는 바, 치주 질환의 예방을 위해서는 치태 내지 치석의 제거가 매우 중요하다. 이에 따라, 반려견의 치태 내지 치석 제거를 위한 방법으로, 예컨대, 치아 솔질, 치아 위생 껌 및 씹는 장난감 등을 이용한 방법들이 사용되고 있지만, 이들 방법에 따르더라도 반려견의 치태 내지 치석 제거의 확실한 효과를 얻기 어렵다.
문헌 1. 대한민국특허청, 특허공개번호 제10-2018-0008069호, "애완견용 덴탈껌"
본 발명의 목적은 표면에 형성된 이빨삽입공에 이빨이 삽입되며 반려동물의 이빨에 부착된 치석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반려동물용 껌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반려동물의 치주염을 예방하고, 입냄새와 충치를 예방할 수 있는 반려동물용 껌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반려동물용 껌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반려동물용 껌은 복수개의 원료피(110,120,130,140,150)가 적층되어 형성된다. 이 때, 적층된 모든 원료피(110,120,130,140,150)에는 동축상으로 반려동물의 이빨이 삽입되는 이빨삽입공(115,125,135,145,155)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적층된 모든 원료피(110,120,130,140,150)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이빨삽입공(115,125,135,145,155)을 형성하는 내주면에 반경방향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이빨삽입공(115,125,135,145,155)으로 삽입된 이빨 표면과 접촉하며 이빨 표면에 부착된 치석을 제거하는 치석제거날개(126,146)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복수개의 원료피(110,120,130,140,150)는 후박나무 육수에 일정시간 침지된 후 건조된 돈피 또는 우피로 형성된다.
이에 의해 원료피(110,120,130,140,150)의 이빨삽입공(115,125,135,145,155)에 반려동물의 이빨이 삽입될 때, 치석제거날개(126,146)가 이빨의 표면과 물리적으로 닿으면서 이빨 표면에 부착된 치석을 긁어 효과적으로 치석을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반려동물용 껌은 복수개의 원료피를 적층하여 형성되고, 동축상으로 이빨삽입공이 관통형성된다. 그리고, 관통된 이빨삽입공의 내벽면에는 높이방향을 따라 선택적으로 치석제거날개가 구비된다. 반려동물이 저작운동을 위해 이빨삽입공에 이빨이 삽입되면, 마찰에 의해 이빨 표면의 치석이 1차로 제거되고, 치석제거날개가 물리적으로 이빨과 접촉되며 치석을 긁어 2차로 치석지 제거된다.
이러한 이중적인 치석제거과정에 의해 반려동물 치아의 치석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반려동물용 껌은 돈피 또는 우피와 같은 원료피를 후박나무 육수에 침지시킨 후 건조시켜 제조된다. 이에 의해 원료피 표면에 후박나무 성분이 흡수되어 원료피를 저작할 때 후박나무 성분에 의해 반려동물의 치주질환을 예방하고 입냄새를 예방하며 충치발생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용 껌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을 도시한 단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용 껌의 원료피들의 적층과정을 도시한 예시도,
도 4는 도 2의 C-C선에 따른 단면구성과 본체이빨삽입공에서의 치석제거과정을 도시한 예시도,
도 5는 도 2의 D-D선에 따른 단면구성과 측면이빨삽입공에서의 치석제거과정을 도시한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용 껌의 본체이빨삽입공의 다양한 변형예를 도시한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반려동물용 껌을 제조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용 껌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의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함을 전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서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당해 구성요소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정되어 해석되지 아니하며, 다른 구성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반려동물용 껌이 구현된 일 예를 특정한 실시예를 통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반려동물용 껌(100)의 구성이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반려동물용 껌(100)은 복수개의 원료피(110,120,130,140,150)가 서로 적층된 후 결합되어 형성된다. 복수개의 원료피(110,120,130,140,150)들은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식용접착제(미도시)에 의해 서로 접착될 수도 있으며, 또는 3D 프린터를 이용하여 적층될 수도 있다. 복수개의 원료피(110,120,130,140,150)에는 동축상으로 관통형성된 본체이빨삽입공(115,125,135,145,155)과 측면이빨삽입공(117,127,137,147,157)이 각각 구비된다. 이러한 본체이빨삽입공(115,125,135,145,155)과 측면이빨삽입공(117,127,137,147,157)에는 높이방향을 따라 규칙 또는 불규칙하게 치석제거날개(126,146) 및 측면치석제거날개(128,148)가 구비되어 본체이빨삽입공(115,125,135,145,155)과 측면이빨삽입공(117,127,137,147,157)에 이빨(10)이 삽입되거나 분리될 때 이빨 표면의 치석(30)을 긁어 제거한다.
이에 의해 반려동물이 저작운동을 위해 본 발명의 반려동물용 껌(100)을 씹을 때, 반려동물의 이빨이 이빨삽입공(115,125,135,145,155) 또는 측면이빨삽입공(117,127,137,147,157)에 삽입되면서 마찰에 의해 1차적으로 치석이 제거되고, 치석제거날개(126,146)와 측면치석제거날개(128,148)에 물리적으로 접촉되며 2차적으로 치석이 제거된다. 두 번에 걸쳐 치석이 제거되므로 효과적인 치석제거가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반려동물용 껌(100)은 동일한 형상으로 재단된 복수개의 원료피(110,120,130,140,150)가 서로 적층되어 제조된다. 여기서, 복수개의 원료피(110,120,130,140,150)들은 돈피 또는 우피를 희망하는 형상으로 재단하여 제조된다. 각 원료피(110,120,130,140,150)들의 형상은 동일하므로 제1원료피(110)에 대해서 먼저 자세히 설명한다.
제1원료피(110)은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본체부(111)와, 제1본체부(111)의 양측에 반려동물이 선호하는 뼈다귀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돌출되게 형성된 제1측면부(112)를 갖는다. 제1본체부(111)에는 복수개의 제1본체이빨삽입공(115)이 관통형성되고, 제1측면부(112)에는 복수개의 제1측면이빨삽입공(117)이 관통형성된다.
제1본체부(111)는 반려동물의 입속에 수용될 수 있는 폭의 막대형상으로 형성되고, 복수개의 원료피(110,120,130,140,150)가 적층되었을 때 적층된 본체부(111,121,131,141,151)들의 개수와 높이는 반려동물의 상부이빨과 하부이빨 사이에 쉽게 삽입될 수 있는 개수와 높이로 구비된다.
여기서, 제1원료피(11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면에 산(113)과 골(114)이 반복되는 요철구조를 갖게 형성된다. 제1본체이빨삽입공(115)은 제1본체부(111)의 골(114) 영역에 형성되고, 제1측면이빨삽입공(117)은 제1측면부(112)의 산(113) 영역에 형성된다.
제1본체이빨삽입공(115)이 골(114) 영역에 형성되는 것은 반려동물이 적층된 상태의 본체부(111,121,131,141,151)를 이빨로 저작할 때, 골(114)의 곡면을 따라 제1본체이빨삽입공(115)으로 이빨(10)이 안내되도록 유도하기 위함이다. 이에 의해 반려동물이 최상위에 위치된 제1원료피(110)의 산(113) 영역을 이빨로 물더라도, 곡률형상에 의해 골(114)로 안내되고 제1본체이빨삽입공(115)으로 이빨(10)이 삽입되어 치석(30)이 제거되는 효과를 얻게 된다.
이 때, 제1본체이빨삽입공(115)은 복수개가 서로 인접하게 위치된다. 즉, 제1본체이빨삽입공(115)은 2~3개가 서로 인접하게 형성되어, 반려동물이 제1본체부(111)를 정면방향으로 저작할 때 이웃하게 배치된 복수개의 이빨이 함께 제1본체이빨삽입공(115)에 나란하게 삽입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반려동물용 껌(100)은 상하가 대칭되는 구조를 갖도록 형성된다. 이에 의해 본체부(111,121,131,141,151)를 반려동물이 물었을 때, 상부이빨과 하부이빨이 각각 반려동물용 껌(100)의 상면과 하면에 형성된 본체이빨삽입공에 삽입될 수 있다.
제1본체이빨삽입공(115)의 형상은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타원형이거나, 길이방향을 따라 좌우대칭이 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본체부(111,121,131,141,151)는 반려동물이 입의 가운데에 위치되어 좌우로 길게 물고서 저작되는 경우가 많고, 이 때 깊게 물고 저작할 뿐만 아니라 얕게 물고서도 저작할 수 있기 때문에 제1본체이빨삽입공(115)은 이빨의 앞뒤면 형상을 구분하지 않고 좌우대칭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제1본체이빨삽입공(115)은 제1본체부(111)의 판면에 복수개의 열로 배치된다. 이 때, 서로 다른 열의 제1본체이빨삽입공(115)은 동일한 위치에 위치되지 않고 복수개가 나란하게 배치되는 범위안에서 자유로운 위치로 형성될 수 있다.
제1측면부(112)는 제1본체부(111)의 양측에 제1본체부(111)의 폭보다 큰 폭을 갖게 일정 면적 형성된다. 제1측면부(112)는 반원 또는 타원형의 형태로 외주연이 곡률을 갖게 형성된다. 제1측면부(112)는 제1본체부(111)와 동일한 산(113)과 골(114)을 갖도록 형성된다.
제1측면부(112)의 판면에는 제1측면이빨삽입공(117)이 불규칙한 방향으로 복수개가 관통형성된다. 제1측면이빨삽입공(117)이 불규칙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은 적층된 상태의 측면부(112,122,132,142,152)는 반려동물의 입 가운데에 좌우방향으로 위치되지 않고 입의 측면에 놓고 돌려가며 씹는 경향이 강하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측면부(112,122,132,142,152)의 어느 위치로 이빨(10)이 삽입될지 예상하기 어려우므로 다양한 방향으로 제1측면이빨삽입공(117)을 형성한다.
이 때, 제1측면이빨삽입공(117)은 앞서 제1본체이빨삽입공(115)이 제1본체부(111)의 골(114) 영역에 구비된 것과 반대로 제1측면부(112)의 산(113) 영역에 구비된다. 측면부(112,122,132,142,152)는 반려동물의 입의 측면에 삽입되어 저작될 가능성이 높으므로 앞이빨 보다 측면의 어금니가 삽입될 가능성이 많다.
이에 하나의 어금니가 제1측면이빨삽입공(117)에 삽입될 때 어금니의 전체 길이가 충분히 제1측면이빨삽입공(117)에 삽입될 수 있게 하기 위해 산(113) 영역에 제1측면이빨삽입공(117)이 위치된다. 어금니가 산(113) 영역의 제1측면이빨삽입공(117)에 삽입될 때, 해당 어금니의 양쪽 이빨은 산(113)을 감싸는 양쪽 골(114)에 위치되어 어금니가 충분한 깊이로 삽입되더라도 간섭을 가하지 않게 된다.
한편, 제1측면이빨삽입공(117)은 도시된 바와 같이 반원형상으로 형성된다. 제1측면이빨삽입공(117)은 이빨(10)의 앞뒤형상을 구분하여 삽입되게 한다. 통상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빨(10)의 앞면(협면,11)은 곡면을 형성하고 뒷면(설측면,13)은 직선을 이룬다. 제1측면이빨삽입공(117)이 반원형상으로 형성되면, 이빨(10)의 방향에 맞춰 제1측면이빨삽입공(117)에 삽입되게 유도한다.
한편, 본 발명의 반려동물용 껌(100)은 하부에서 상부로 적층된 복수개의 원료피(110,120,130,140,150) 중 적어도 한 개에는 본체이빨삽입공(115,125,135,145,155)에 치석제거날개(126,146)가 선택적으로 구비되고, 측면이빨삽입공(117,127,137,147,157)에 측면치석제거날개(128,148)가 선택적으로 구비되어 본체이빨삽입공(115,125,135,145,155)과 측면이빨삽입공(117,127,137,147,157)에 삽입된 이빨 표면의 치석을 제거한다.
도 3은 반려동물용 껌(100)의 본체부(111,121,131,141,151)의 제조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4의 (a)는 도 2의 C-C선에 따른 단면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의 (b)는 반려동물의 이빨(10)이 본체이빨삽입공(115,125,135,145,155)에 삽입된 후 치석(30)이 제거되는 과정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용 껌(100)은 서로 적층된 복수개의 원료피(110,120,130,140,150) 중 짝수층에 적층된 원료피(120,140..)들에만 치석제거날개(126,146)와 측면치석제거날개(128,148)가 구비된다.
그러나, 이는 일 실시예일 뿐이며 치석제거날개와 측면치석제거날개는 불규칙한 높이간격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3개의 원료피마다 한 개의 치석제거날개가 형성되는 방식과 같이 다양한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원료피(110)에는 제1본체이빨삽입공(115)만 형성되고, 제2원료피(120)에는 제1본체이빨삽입공(115)과 동축상으로 제2본체이빨삽입공(125)이 형성된다. 그리고, 제2본체이빨삽입공(125)의 양측에는 제2치석제거날개(126)가 구비된다.
제2치석제거날개(126)는 제2본체이빨삽입공(125) 내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부채꼴 형상으로 구비된다. 제2치석제거날개(126)는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한 쌍이 구비된다. 그러나, 이는 일례일 뿐이며 경우에 따라 제2본체이빨삽입공(125)의 원주방향을 따라 제2치석제거날개(126)는 세 개 또는 네 개가 구비될 수도 있다.
제3원료피(130)와 제5원료피(150)는 제3본체이빨삽입공(135)과 제5본체이빨삽입공(155)이 제1본체이빨삽입공(115)과 동축상으로 배치되고, 제4원료피(140)는 제4본체이빨삽입공(145)에 제4치석제거날개(146)가 구비된다.
제4치석제거날개(146)는 제2치석제거날개(126)와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거나, 다른 원주방향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복수개의 원료피(110,120,130,140,150)가 서로 적층되어 결합되면,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높이방향을 따라 치석제거날개(126,146)가 일정간격으로 돌출된다. 본체이빨삽입공(115,125,135,145,155)의 폭은 이빨(10)의 최대 직경 보다 일정 길이 작게 구비되어 이빨(10)이 본체이빨삽입공(115,125,135,145,155)에 삽입될 때 마찰에 의해 치석이 1차적으로 제거되는 효과가 나타나게 한다.
치석제거날개(126,146)들은 본체이빨삽입공(115,125,135,145,155)의 내측으로 돌출되게 구비된다.
이에 따라 치석제거날개(126,146)는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려동물의 이빨(10)이 이빨삽입공(115,125,135,145,155)으로 삽입되면 이빨(10)의 표면과 직접 접촉하면서 이빨(10) 표면에 부착된 치석(30)을 긁어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빨(10)이 이빨삽입공(115,125,135,145,155)에 삽입될 때 또는 이빨삽입공(115,125,135,145,155)으로부터 분리될 때 치석제거날개(126,146)가 이빨(10) 표면을 물리적으로 접촉하며 치석(30)을 긁어 제거하게 된다.
이 때, 치석제거날개(126,146)의 길이가 너무 길면 이빨삽입공(115,125,135,145,155)으로 이빨(10)이 삽입되는 것에 저항이 생겨 반려동물이 이빨을 삽입하길 꺼릴 수 있다. 이에 따라 치석제거날개(126,146)는 이빨(10) 표면을 직접 접촉할 수 있는 범위에서 최대한 짧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본체이빨삽입공(115,125,135,145,155)의 크기와 치석제거날개(126,146)의 길이는 반려동물의 종류와 크기에 따라 다양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소형견, 중형견, 대형견에 따라 각각 본체이빨삽입공(115,125,135,145,155)의 크기와 치석제거날개(126,146)의 길이가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5의 (a)는 도 2의 D-D선에 따른 단면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의 (b)는 측면이빨삽입공(117,127,137,147,157)에 이빨(10)이 삽입되어 치석(30)이 제거되는 과정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적층되는 복수개의 원료피(110,120,130,140,150)들 중 짝수층에 위치된 제2원료피(120)와 제4원료피(140)의 측면부(122,142)들에는 측면이빨삽입공(127,147)의 내측으로 측면치석제거날개(128,148)가 돌출되게 구비된다.
이 때, 측면치석제거날개(128,148)들은 도 2에 확대도시된 바와 같이 반원형상의 측면이빨삽입공(117,127,137,147,157)의 설측에만 돌출되게 구비된다.
측면이빨삽입공(117,127,137,147,157)은 반원형상으로 방향성이 있게 구비된다. 이 때,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애완견의 이빨(10)은 직선 형태의 뒷면(13)에만 치석(30)이 부착되고 상대적으로 곡면 형태의 앞면(11)에는 치석이 덜 부착된다.
이에 따라 복수개의 원료피(110,120,130,140,150)가 적층되었을 때, 일정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된 측면치석제거날개(128,148)들은 이빨(10)의 뒷면(13)에 대응되는 영역에만 돌출되게 형성되어 이빨(10)의 뒷면(13)을 물리적으로 접촉하며 치석(30)을 제거한다.
측면치석제거날개(128,148)는 이빨(10)의 표면과 접촉되는 단부영역이 날카롭게 형성되어 치석제거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반려동물용 껌(100)은 상하가 대칭되는 구조를 갖도록 구비되어, 반려동물이 반려동물용 껌(100)의 상부를 저작하거나, 하부를 저작하더라도 동일하게 본체이빨삽입공(115,125,135,145,155) 또는 측면이빨삽입공(117,127,137,147,157)에 이빨이 삽입되며 치석이 제거될 수 있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의 반려동물용 껌의 다양한 변형예들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층되는 복수개의 원료피(110,120,130,140,150)들의 본체이빨삽입공(115,125,135,145,155)의 내벽면과 치석제거날개(126,146)의 단부에는 영양성분(200)이 부착될 수 있다. 영양성분(200)은 반려동물의 후각을 자극할 수 있는 향기성분이거나, 고기가 함유된 성분일 수 있다.
영양성분(200)은 본체이빨삽입공(115,125,135,145,155)과 치석제거날개(126,146)의 단부에 부착되어 반려동물이 영양성분(200)의 냄새에 이끌려 본체이빨삽입공(115,125,135,145,155)에 이빨(10)을 삽입하여 저작운동을 하게 유도한다.
도 6의 (b)에 도시된 반려동물용 껌(100b)은 적층된 복수개의 원료피(110,120,130,140,150) 중 짝수층에 형성된 치석제거날개(126,146,166)의 길이(ℓ2,ℓ3,ℓ4)가 중심높이로 갈수록 점차 길어지게 형성된다. 이에 의해 두께가 상이한 이빨(10)이 본체이빨삽입공(115,125,135,145,155)에 삽입되었을 때, 이빨(10) 표면과 치석제거날개(126,146,166)의 물리적인 접촉 면적을 넓혀 치석제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도 6의 (c)에 도시된 반려동물용 껌(100c)은 적층된 복수개의 원료피(110,120,130,140,150)의 본체이빨삽입공(115,125,135,145,155)의 폭이 아래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게 형성된다 (W1>W2>,,Wn). 이렇게 본체이빨삽입공(115,125,135,145,155)의 폭이 상이할 경우, 각 본체이빨삽입공(115,125,135,145,155)이 계단구조를 갖게 되므로 반려동물의 이빨이 삽입될 때 내벽면의 요철구조가 이빨 표면을 접촉하여 치석을 제거하는 효과를 낼 수 있다.
이 때, 다단구조의 본체이빨삽입공(115,125,135,145,155)의 단부에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치석제거날개가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용 껌(100)의 제조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반려동물용 껌(100)은 우피 또는 돈피와 같은 가죽을 이용해 제조된다. 이를 위해 복수개의 개껌 원료피를 준비한다(S110). 복수개의 원료피(110,120,130,140,150)들은 표면의 털과 지방질을 제거하여 준비된다. 준비된 복수개의 원료피(110,120,130,140,150)들은 개껌의 형상에 맞게 성형된다(S120).
즉, 각 원료피(110,120,130,140,150)들은 본체부(111,121,131,141,151)와 측면부(112,122,132,142,152)의 형상에 대응되게 절단되고, 각각 본체이빨삽입공(115,125,135,145,155)과 측면이빨삽입공(117,127,137,147,157)이 관통형성된다. 이 때, 홀수층의 원료피(110,130,150..)들은 본체이빨삽입공(115,135,155)과 측면이빨삽입공(117,137)의 형상에 각각 대응되는 펀치(미도시)를 이용해 관통형성된다.
한편, 짝수층의 원료피(120,140..)들은 본체이빨삽입공(125,145)와 치석제거날개(126,146)의 형상에 대응되는 펀치(미도시)와, 측면이빨삽입공(127,147)과 측면치석제거날개(128,148)의 형상에 대응되는 펀치(미도시)를 이용해 관통형성된다.
각 원료피(110,120,130,140,150)의 성형이 완료되면, 작업자는 후박나무 육수를 준비한다(S130). 후박나무는 항균작용이 뛰어나 치주염에 도움을 주며 입냄새 제거와 충치를 예방하며, 치주질환 예방에도 도움을 준다고 알려져 있다.
작업자는 후박나무를 삶아 우린 육수를 준비하고, 준비된 복수개의 원료피(110,120,130,140,150)들을 육수에 침지시킨다(S140).
후박나무 육수에 침지된 복수개의 원료피(110,120,130,140,150)는 후박나무 육수로부터 건져진 후 건조된다(S150). 건조될 때, 복수개의 원료피(110,120,130,140,150)들은 산(113)과 골(114)이 형성될 수 있도록 요철이 형성된 적재판(미도시)에 적재된다.
건조과정을 거치면서 수분이 제거되고 후박나무의 성분만 원료피(110,120,130,140,150)에 흡수되며 잔존하게 된다.
이 과정을 거치게 되면서 원료피(110,120,130,140,150)에 후박나무의 성분이 스며들게 된다. 이에 따라 반려동물이 반려동물용 껌(100)을 저작할 때 치석제거 효과 뿐만 아니라 후박나무의 성분에 의해 입냄새 제거와 충치예방 및 치주질환이 예방되는 효과도 얻을 수 있게 된다.
이 때, 건조된 각 원료피(110,120,130,140,150)들은 반려동물이 저작할 때, 이빨과 물리적인 마찰을 통해 치석이 제거될 수 있도록 표면 경도가 20A ~ 50A 정도를 유지할 수 있게 건조시킨다. 원료피(110,120,130,140,150)의 표면 경도가 20A 미만이면 물리적인 마찰력이 낮아 치석을 제거하는데 효과적이지 못하고, 표면 경도가 50A 이상이면 너무 단단하여 반려동물의 치아와 잇몸에 부담을 발생시킬 수 있다.
건조된 복수개의 원료피(110,120,130,140,150)들은 설정된 개수만큼 적층된 후 식용접착제 또는 점착시럽들을 이용해 서로 결합되어 껌의 모양을 갖게된다(S160). 점착시럽은 반려동물의 저작활동을 유도하기 위해 비프시럽과 베이컨시럽, 활성글루텐, 글리세린 등이 혼합될 수 있다.
이렇게 제조된 본 발명의 반려동물용 껌(100)은 반려동물에게 제공되고 반려동물의 저작운동을 유도하여 치석을 제거하게 된다.
반려동물은 반려동물용 껌(100)의 본체부(111,121,131,141,151)를 입에 좌우 방향으로 물게 된다. 이 때, 본체이빨삽입공(115,125,135,145,155)들은 본체부(111,121,131,141,151) 표면의 함몰된 골(114) 영역에 형성되어 본체부(111,121,131,141,151) 표면을 이빨로 물게 되면 표면에 형성된 곡률에 의해 이빨(10)이 본체이빨삽입공(115,125,135,145,155)으로 삽입되게 안내된다.
본체이빨삽입공(115,125,135,145,155)은 복수개가 나란하게 형성되므로, 복수개의 이빨(10)들이 함께 타원형의 본체이빨삽입공(115,125,135,145,155)에 삽입된다.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빨(10)이 본체이빨삽입공(115,125,135,145,155)에 삽입되면, 높이 방향을 따라 돌출된 복수개의 치석제거날개(126,146)가 이빨(10) 표면을 물리적으로 접촉하며 마찰을 일으켜 이빨(10)에 부착된 치석(30)들을 제거하게 된다.
또한, 반려동물이 반려동물용 껌(100)의 측면부(112,122,132,142,152)를 입에 물게 되면, 측면부(112,122,132,142,152)의 형상에 의해 반려동물의 입에 정면으로 물리지 않고 측면에 비스듬한 각도로 물려지게 된다.
이 때, 측면부(112,122,132,142,152)에 불규칙한 방향으로 형성된 측면이빨삽입공(117,127,137,147,157)에 이빨(10)이 삽입된다. 측면이빨삽입공(117,127,137,147,157)은 반원형상으로 방향성으로 가지므로 반려동물의 이빨(10)이 삽입될 때 이빨(10)의 앞면(11)과 뒷면(13)이 삽입되는 방향이 정해지게 된다.
측면이빨삽입공(117,127,137,147,157)은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뒷쪽에 측면치석제거날개(128,148)가 형성되어, 이빨(10)의 뒷면(13)과 물리적으로 마찰되며 치석(30)을 제거하게 된다.
여기서, 측면이빨삽입공(117,127,137,147,157)은 원료피(110,120,130,140,150)의 산(113)에 형성되므로, 어금니와 같은 이빨이 깊숙이 삽입되게 하여 잇몸(20)과 이빨(10)의 경계영역에 부착된 치석(30)까지 제거될 수 있게 한다.
또한, 각각의 원료피(110,120,130,140,150)들은 제조과정에서 후박나무 육수에 침지되면서 후박나무 성분이 흡수되어 있다. 이에 따라 반려동물들이 각각의 원료피(110,120,130,140,150)들을 저작할 때, 후박나무 성분이 이빨과 잇몸에 흡수되어 반려동물의 치주염에 도움을 주고, 입냄새를 제거하고 충치를 예방하게 한다.
한편, 도 8의 (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용 껌(100d)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의 (b)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용 껌(100d)을 이용해 치석을 제거하는 과정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설명한 반려동물용 껌(100)은 복수개의 원료피를 적층하여 형성하였으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용 껌(100d)은 하나의 원료피(110a)를 원통형으로 말아서 형성된다. 이 때, 원료피(110a)의 표면에는 이빨삽입공(115a)이 관통형성되고, 이빨삽입공(115a)의 내주면에는 치석제거돌기(116)가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빨삽입공(115a)와 치석제거돌기(116)는 절개하거나 펀칭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빨(10)이 이빨삽입공(115a)에 삽입되면, 치석제거돌기(116)가 이빨(10) 표면과 접촉되며 치석을 제거하게 된다.
이 경우에도 원료피(110a)는 후박나무 성분을 흡수하고 있으므로, 반려동물의 치주염에 도움을 주고, 입냄새 제거와 충치 예방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이상 몇 가지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재사항으로부터 상기 살펴본 실시예를 다양하게 변형하거나 변경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또한, 비록 명시적으로 도시되거나 설명되지 아니하였다 하여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재사항으로부터 본 발명에 의한 기술적 사상을 포함하는 다양한 형태의 변형을 할 수 있음은 자명하며, 이는 여전히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 상기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기술된 것이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러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반려동물용 껌은 반려동물의 치아에 형성된 치석을 제거할 수 있다.
10 : 이빨 11 : 앞면
13 : 뒷면 20 : 잇몸
30 : 치석 100 : 반려동물용 껌
110 : 제1원료피 111 : 제1본체부
112 : 제1측면부 113 : 산
114 : 골 115 : 제1본체이빨삽입공
116 : 치석제거돌기 117 : 제1측면이빨삽입공
120 : 제2원료피 121 : 제2본체부
122 : 제2측면부 125 : 제2이빨삽입공
126 : 제2치석제거날개 127 : 제2측면이빨삽입공
128 : 제2측면치석제거날개 130 : 제3원료피
131 : 제3본체부 132 : 제3측면부
135 : 제3이빨삽입공 137 : 제3측면이빨삽입공
140 : 제4원료피 141 : 제4본체부
142 : 제4측면부 145 : 제4이빨삽입공
146 : 제4치석제거날개 147 : 제4측면이빨삽입공
148 : 제4측면치석제거날개 150 : 제5원료피
200 : 영양성분

Claims (6)

  1. 복수개의 원료피(110,120,130,140,150)가 적층되어 형성되며,
    상기 적층된 모든 원료피(110,120,130,140,150)에는 동축상으로 반려동물의 이빨이 삽입되는 이빨삽입공(115,125,135,145,155)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적층된 모든 원료피(110,120,130,140,150)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이빨삽입공(115,125,135,145,155)을 형성하는 내주면에 반경방향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이빨삽입공(115,125,135,145,155)으로 삽입된 이빨 표면과 접촉하며 이빨 표면에 부착된 치석을 제거하는 치석제거날개가 구비되며,
    상기 복수개의 원료피(110,120,130,140,150)는 후박나무 육수에 일정시간 침지된 후 건조된 돈피 또는 우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석제거가 가능한 반려동물용 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빨삽입공(115,125,135,145,155)은 좌우 대칭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치석제거날개는 상기 내주면으로부터 반경방향 내측으로 갈수록 점차 면적이 좁아지게 구비되며,
    상기 치석제거날개는 상기 복수개의 원료피(110,120,130,140,150)에 일정한 높이간격으로 복수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석제거가 가능한 반려동물용 껌.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각 원료피(110,120,130,140,150)는 표면에 산과 골이 반복되는 요철형상을 갖도록 구비되며,
    상기 이빨삽입공(115,125,135,145,155)은 상기 골에 복수개가 나란히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석제거가 가능한 반려동물용 껌.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원료피(110,120,130,140,150)는 일정 길이를 갖는 막대형상의 본체부(111,121,131,141,151)와, 상기 본체부(111,121,131,141,151)의 양측에 돌출되게 형성된 측면부(112,122,132,142,152)를 포함하며,
    상기 측면부(112,122,132,142,152)에는 반려동물의 이빨이 삽입되는 측면이빨삽입공(117,127,137,147,157)이 반원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측면이빨삽입공(117,127,137,147,157)에는 반려동물 이빨의 뒷면의 삽입위치에 대응되게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이빨의 뒷면에 부착된 치석을 제거하는 측면치석제거날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석제거가 가능한 반려동물용 껌.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이빨삽입공(117,127,137,147,157)은 상기 측면부(112,122,132,142,152)의 골에 불규칙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석제거가 가능한 반려동물용 껌.
  6.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빨삽입공(115,125,135,145,155)과 상기 측면이빨삽입공(117,127,137,147,157)의 내벽면에는 반려동물의 후각을 자극하는 영양성분이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석제거가 가능한 반려동물용 껌.
KR1020190072287A 2019-06-18 2019-06-18 치석제거가 가능한 반려동물용 껌 KR1022546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2287A KR102254626B1 (ko) 2019-06-18 2019-06-18 치석제거가 가능한 반려동물용 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2287A KR102254626B1 (ko) 2019-06-18 2019-06-18 치석제거가 가능한 반려동물용 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4347A true KR20200144347A (ko) 2020-12-29
KR102254626B1 KR102254626B1 (ko) 2021-05-21

Family

ID=740903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2287A KR102254626B1 (ko) 2019-06-18 2019-06-18 치석제거가 가능한 반려동물용 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462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44348A (ko) * 2019-06-18 2020-12-29 주식회사 펫클럽 원료육이 코팅된 반려동물용 간식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20147465A (ko) * 2021-04-27 2022-11-03 김대용 반려동물용 장난감 칫솔
WO2024063228A1 (ko) * 2022-09-19 2024-03-28 박현진 3차원 프린팅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반려동물용 덴탈껌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9987B1 (ko) * 2010-05-26 2011-01-21 주식회사 포켄스 애완동물용 덴탈 껌
KR20160004417U (ko) * 2015-06-15 2016-12-23 주식회사 부명 판형의 애완동물의 치석제거용 간식
KR20180008069A (ko) 2016-07-15 2018-01-24 (주)벨벳케어 애완견용 덴탈 껌
JP3216201U (ja) * 2018-03-01 2018-05-17 インテリジェンス エンジニアリング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デンタルガム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16201B2 (ja) * 1992-03-09 2001-10-09 大日本インキ化学工業株式会社 液晶デバイス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9987B1 (ko) * 2010-05-26 2011-01-21 주식회사 포켄스 애완동물용 덴탈 껌
KR20160004417U (ko) * 2015-06-15 2016-12-23 주식회사 부명 판형의 애완동물의 치석제거용 간식
KR20180008069A (ko) 2016-07-15 2018-01-24 (주)벨벳케어 애완견용 덴탈 껌
JP3216201U (ja) * 2018-03-01 2018-05-17 インテリジェンス エンジニアリング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デンタルガム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44348A (ko) * 2019-06-18 2020-12-29 주식회사 펫클럽 원료육이 코팅된 반려동물용 간식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20147465A (ko) * 2021-04-27 2022-11-03 김대용 반려동물용 장난감 칫솔
WO2024063228A1 (ko) * 2022-09-19 2024-03-28 박현진 3차원 프린팅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반려동물용 덴탈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4626B1 (ko) 2021-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39166B1 (en) Animal toy with raised features
EP2389800B1 (en) Pet dental chew
US6546896B1 (en) Animal toy
US7087260B2 (en) Animal chew toy with flossing ribs/projections
KR102254626B1 (ko) 치석제거가 가능한 반려동물용 껌
US9370168B2 (en) Cover and dispensing device
AU748283B2 (en) Dental care pet food
US20040126462A1 (en) Pet chews with filled receptacles and method of making same
JP2005514905A (ja) ジャーキー片入り犬用骨(ドッグボーン)およびその製造方法
EP3146853B1 (en) Pet food capable of removing dental calculus and plaqu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KR20180008069A (ko) 애완견용 덴탈 껌
CN205865557U (zh) 一种狗咬胶
CN211268479U (zh) 一种可食用皮质宠物食品
KR20160004416U (ko) 원반형상의 애완동물의 치석제거용 간식
US11980164B2 (en) Dental station and system for domestic animal dental care
CN211020511U (zh) 一种实用性高的宠物食品
KR102299312B1 (ko) 고양이용 덴탈 껌
CN210929487U (zh) 一种供宠物食用的宠物食品
CN219182682U (zh) 一种冻干宠物洁齿食品
US11013244B2 (en) Edible pet chew for dental care of companion animals
CN210900898U (zh) 一种宠物健齿环
CN215422257U (zh) 一种多味棒型狗咬胶
KR200384299Y1 (ko) 애완 동물용 껌
JP5411999B1 (ja) 愛玩動物用ガムの製造方法
CN113133506A (zh) 一种冻干宠物洁齿食品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