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47465A - 반려동물용 장난감 칫솔 - Google Patents

반려동물용 장난감 칫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47465A
KR20220147465A KR1020210054671A KR20210054671A KR20220147465A KR 20220147465 A KR20220147465 A KR 20220147465A KR 1020210054671 A KR1020210054671 A KR 1020210054671A KR 20210054671 A KR20210054671 A KR 20210054671A KR 20220147465 A KR20220147465 A KR 202201474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er skin
teeth
toothbrush
mesh
companion anim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46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37682B1 (ko
Inventor
김대용
Original Assignee
김대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대용 filed Critical 김대용
Priority to KR10202100546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7682B1/ko
Publication of KR202201474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74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76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76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5/00Devices for taming animals, e.g. nose-rings or hobbles; Devices for overturning animals in general; Training or exercising equipment; Covering boxes
    • A01K15/02Training or exercising equipment, e.g. mazes or labyrinths for animals ; Electric shock devices ; Toys specially adapted for animals
    • A01K15/025Toys specially adapted for animals
    • A01K15/026Chewable toys, e.g. for dental care of pe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3/00Devices for grooming or caring of animals, e.g. curry-combs; Fetlock rings; Tail-holders; Devices for preventing crib-biting; Washing devices; Protection against weather conditions or insects
    • A01K13/001Washing, cleaning, or dry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DVETERINARY INSTRUMENTS, IMPLEMENTS, TOOLS, OR METHODS
    • A61D5/00Instruments for treating animals' tee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5/00Devices for cleaning between the tee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005Devices for dental prophylaxi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Zo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Dentistr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Brushes (AREA)

Abstract

소정의 형상을 갖고 일정 크기의 망구조로 형성되는 외피부; 상기 외피부 내부에는 소정의 형상을 유지하고 부피감을 제공할 수 있는 다공성이고 연질 재질로 형성되는 충진부;로 이루어지는 반려동물용 칫솔을 제공함으로써, 기존의 사용자가 미처 닦지 못한 치간 사이의 음식찌꺼기와 플라그를 효율적으로 제거하고, 보호자의 대리를 통해 칫솔질이 이루어졌던 기존 방법에 비해 반려동물이 능동적으로 칫솔질을 실시할 수 있어 사용자의 시간 및 수고를 저감함과 동시에 반려동물의 칫솔질 스트레스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반려동물용 장난감 칫솔{Toy toothbrush for pets}
본 발명은 반려동물이 능동적으로 실시할 수 있는 칫솔에 관한 것으로서, 반려동물이 선호하는 모양 및 냄새로 형성된 메쉬 형상의 몸체부로 형성되어 놀이과정에서 입 안의 이로 칫솔을 갈고 뭉개는 저작(咀嚼) 과정을 유도함으로써 치간사이의 플라그 및 음식찌꺼기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능동적인 반려동물용 장난감 칫솔에 관한 것이다.
구취란 구강이나 비강을 통해 나오는 악취 또는 입에서 나는 불쾌한 냄새를 말하며 사람에서의 구취는 사회적으로 받아들여질 수 있는 범위를 넘어선 명백한 구취인 진성구취증과 다른 사람에게 인식되지 않지만 환자 자신이 구취가 존재한다고 생각하는 가성 구취증 그리고 진성 구취증이나 가성구취증에 대한 치료를 받은 후에도 구취가 존재한다고 믿는 구취 공포증으로 나누어지고 그 중, 동물에서는 진성구취증만이 적용될 수 있다.
반려동물의 구취는 보호자들에 의해 가장 먼저 인식되어 불쾌한 느낌을 들게 하고 주로 구취가 있는 반려동물에서는 치주질환이 존재하는 것을 발견할 수 있다. 이런 구강 내 원인에 의한 구취는 구강 내 타액이나 음식물에 포함된 단백질과 펩타이드에 작용하여 냄새를 유발하는 휘발성 화합물을 생성함으로써 발생되며, 특히 황을 함유하는 아미노산이 구취를 유발하는 주요 황화합물로 알려져 있다.
보통 구취가 존재하는 반려동물의 구강검사 시 치태 및 치석지수가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치주질환과 관련된 지수들을 낮추기 위해서는 전반적인 치아의 스케일링 후에 적절한 홈케어가 실시되어야 한다.
치태의 물리적 제거방법인 칫솔질이 가장 효과가 좋으나 보호자들에 의해 쉽게 유지되기 어렵기 때문에 꾸준한 홈케어가 이루어지기 힘들다. 화학적 제거방법으로는 대표적으로 0.12%의 chlorhexidinegluconate(CG)가 있으며 사람과 동물에서 30년 전부터 구강세정제로 사용되어 왔고, 광범위한 항균작용 및 치태의 억제효과가 뛰어나지만 장기간 사용시 미각이상, 점막자극 및 치아의 착색과 같은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다.
통상적인 반려동물용 칫솔은 합성수지재의 손잡이와 이 손잡이의 끝단에 칫솔모가 식재된 1개의 칫솔헤드가 일체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와 같은 칫솔은 보호자가 대리로 반려동물의 치아를 닦아야 하기 때문에 치아와 잇몸에의 대면 압력을 조절하며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통상적으로 반려동물 중에서 애견이나 고양이는 육식 습성에 알맞은 치열로 되어 있는 바, 작은 쐐기 형태의 앞니와 원뿔형이면서 앞니에 비해 적어도 2~4배 이상 큰 구조의 송곳니와, 앞니와 비슷한 구조의 소구치와 앞니보다 다소 크고 넓적하면서 상단이 뾰죽한 어금니와 소구치와 어금니의 사이에 위치하여 소구치와 같은 형태이면서 크기는 보다 큰 형태의 열육치로 되어 있다.
따라서, 반려동물의 치열은 사람과 상당한 차이가 있으므로 기존의 칫솔을 사용하면 반려동물 치아나 잇몸을 손상시키기 쉽고 원뿔형 송곳니나 열육치 등의 세정 작업에 시간과 수고가 상당한 바, 보다 효율적인 치아를 관리할 수 있는 칫솔개발이 필요하다.
국내 등록특허번호 제10-1723340호에는 손가락 칫솔의 브러시가 진동 및 상, 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구동함으로써, 정밀하고 정확한 칫솔질이 가능하여 반려 동물의 치아 건강에 효과적인 반려 동물용 손가락 칫솔에 관하여 개시하고 있다. 국내 등록특허번호 제10-2025742호에는 애완 동물의 치아 구조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마우스 피스 칫솔 및 상기 마우스 피스 칫솔의 후단에 마련되는 진동 전달부를 포함하는 마우스 피스 세트, 진동 전달부에 탈착 가능하게 마련되는 장착부, 및 장착부와 연결되고, 마우스 피스 칫솔을 진동시키기 위한 바이브레이터를 구비하는 몸체부를 포함하는 마우스 피스 칫솔 및 이를 구비하는 애완 동물용 칫솔장치에 관하여 개시하고 있다. 국내 공개특허번호 제10-2019-0048210호에는 종래의 일반적인 단일 칫솔헤드형 칫솔이나 비 탄성형 2헤드 반려동물용 칫솔의 단점들을 개선하여, 인체는 물론 애견동물들의 치아와 잇몸에 대한 칫솔질에서 2개 또는 3개의 탄력성 칫솔헤드들이 좌우, 상하로 탄력성을 갖고 유동하는 작용에 의하여 효과적인 세정작업과, 치아와 잇몸의 손상없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탄력성 복수 칫솔헤드를 갖는 칫솔에 관하여 개시하고 있다.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91201호에는 고양이과의 포유동물의 이를 효과적으로 닦아줄 수 있으면서, 작은 이와 큰 이를 비롯하여 송곳니에 이르기까지 모든 형태의 이를 닦을 수 있게 할 목적으로, 소정의 길이를 가진 막대 형태의 손잡이; 상기 손잡이의 일측 단부에 구비되고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다수개의 모가 모여서 소정의 넓이를 형성한 칫솔모; 및 상기 손잡이의 일측 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칫솔모의 일부분을 고정하는 모 고정부를 포함하는 고양이 전용 칫솔에 관하여 개시하고 있다.
본 발명은 기존의 합성수지재의 손잡이와 이 손잡이의 끝단에 칫솔모가 식재된 칫솔을 통해 보호자가 반려동물의 치아를 대리로 닦음으로써 시간과 수고가 증가하고 미숙한 칫솔질 시에 반려동물의 잇몸이 손상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반려동물이 선호하는 모양 및 냄새로 형성된 메쉬형상의 몸체부로 형성되어 놀이를 통해 저작 작용을 유도함으로써 치간 사이의 플라그 및 음식찌꺼기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능동적인 반려동물용 장난감 칫솔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용 칫솔은 소정의 형상을 갖고 일정 크기의 망구조로 형성되는 외피부; 상기 외피부 내부에는 소정의 형상을 유지하고 부피감을 제공할 수 있는 다공성이고 연질 재질로 형성되는 충진부;로 이루어지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외피부 망목은 반려동물의 치아둘레에 대응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어 저작과 동시에 치간의 플라그 및 음식찌꺼기가 망목에 걸려 제거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용 칫솔은 소정의 형상을 갖고 일정크기의 망구조로 형성되는 외피부가 하나 이상 내부에 층부로 형성되고; 상기 외피부 내부에는 소정의 형상을 유지하고 부피감을 제공할 수 있는 다공성의 연질 재질로 형성되는 충진부로 이루어지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최외측에 설치되는 외피부의 망목은 반려동물의 치아 단일의 최상단 둘레와 대응되고, 최내측에 설치되는 외피부의 망목은 반려동물의 치아 최하단 둘레와 대응되도록 설치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용 칫솔은 소정의 형상을 갖고 다양한 크기의 망구조로 형성되는 외피부; 상기 외피부 내부에는 소정의 형상을 유지하고 부피감을 제공할 수 있는 다공성의 연질 재질로 형성되는 충진부와; 상기 외피부의 망목의 최대 크기는 반려동물의 단일 치아 최상단 둘레와 대응되고, 망목의 최소 크기는 반려동물의 단일 치아 최하단 둘레와 대응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은 기존의 사용자가 미처 닦지 못한 치간 사이의 음식찌꺼기와 플라그를 효율적으로 제거하고, 보호자의 대리를 통해 칫솔질이 이루어졌던 기존 방법에 비해 반려동물이 능동적으로 칫솔질을 실시할 수 있어 사용자의 시간 및 수고를 저감함과 동시에 반려동물의 칫솔질 스트레스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반려동물용 칫솔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반려동물용 칫솔 절개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반려동물 이빨이 장난감 칫솔에 꽂힌 형태의 절개도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반려동물용 장난감 칫솔 메쉬에 동물의 이빨이 꽂힌 상태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반려동물용 장난감 칫솔의 시제품형상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반려동물용 칫솔과 관련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서 지칭하는 반려동물은 사람이 집에서 기르는 동물을 총칭하며 구체적으로는 개와 고양이이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반려동물용 칫솔 사시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반려동물용 칫솔은 소정의 형상을 갖는 외피부(100)와, 상기 외피부 내부에는 소정의 형상을 유지할 수 있는 부피감을 제공할 수 있는 충진부(200)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외피부는 일정 크기의 망구조 형성되는 내부의 충진부를 밀봉하여 이루어지며 하나 이상의 층부를 형성하며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층부에는 일정 이격공간이 형성되고 이격공간에는 충진부가 충진됨으로써 소정의 두께감 및 형상유지를 제공할 수 있다.
충진부는 다공성이고 연질인 스폰지 또는 화학솜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적절하나 반려동물이 저작 작용 전후에도 부피감의 감소나 형상을 지속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면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충진부에는 반려동물이 선호하는 향기를 입힘으로써 반려동물의 접근을 유도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지칭하는 용어, 치석은 충치의 원인임과 동시에 치주염을 일으키는 원인으로 플라그가 석회화되면 치석이 되는데 이는 파괴양상을 더욱 가속화시키는 요소가 된다. 음식물을 섭취함에 따라 치아사이의 공간부에 끼인 음식물 조각과 음식물로부터 발생된 플라그 등이 구강 내에 치아 우식증을 유발하는 충치균, 구치 원인균인 여러 가지 혐기성 미생물의 성장에 좋은 조건을 제공함은 물론 입냄새 및 잇몸을 상하게 하는 원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외피부의 그물 망목은 반려동물의 단일의 치아에 대응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됨으로써 반려동물이 외피부를 저작하면서 상기 그물망에 치아가 꽂히고 빠지면서 치아 사이에 끼인 음식물 조각과 상기 플라그를 제거할 수 있다.
외피부의 망구조는 반려동물의 저작 활동에도 견딜 수 있도록 나일론 필라멘트의 원사를 꼬아 형성하고 상기 원사에는 마이크로크리스탈린 왁스가 코팅됨으로써 치간의 삽입을 용이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원사에는 반려동물의 기호에 맞는 향을 입히거나 내부 중심부에 형성하여 능동적인 저작 작용을 유도하도록 할 수 있다. 구현예로서 나일론 필라멘트 재질의 다수개의 외피원사와 서로 다른 방향에서 날실과 씨실역할을 하는 날실원사와 씨실원사가 서로가 상하로 계속적으로 반복 교차하면서 무결절 그물망형태의 구조로 배열이 되도록 한다.
무결절 그물망은 서로 풀리지 않고 필요에 따라서 날실원사와 씨실원사가 서로 교차하여 겹치는 부분은 일체형으로 융합이 되도록 형성됨으로써 외피 원사가 겹치는 부분은 두께가 보강되면서 미세하고 요철이 형성되는 단면부가 형성되어 보다 효율적으로 반려동물 치간의 플라그 및 미세한 음식찌꺼기를 제거할 수 있다.
상기 외피원사는 여러 개를 겹치도록 하여 끊어짐에 대비한 인장강도를 보강할 수 있도록 형성하여 반려동물의 날카로운 이빨에도 끊어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외피부는 하나 이상의 층부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층부는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형성하고 사이공간에는 충진부가 충진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반려동물용 칫솔 절개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반려동물용 칫솔은 소정의 형상을 갖고 일정크기의 망구조로 형성되는 제1외피부(100a)와; 상기 제1외피부의 망목크기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망목으로 형성되는 제2외피부(100b)가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내부에 포설되며; 상기 제2외피부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망목으로 형성되는 제3외피부(100c)가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제2외피부 내부에 포설되며; 상기 제1외피부 내지 제3외피부의 사이 공간 및 내부에는 일정두께 및 소정의 형상을 유지할 수 있는 충진부(200)가 충진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반려동물 이빨이 장난감 칫솔에 꽂힌 형태의 절개도를 나타낸다. 상기 제1외피부 내지 제3외피부의 사이공간은 반려동물의 치아길이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하고 제1외피부의 망목은 반려동물 치아의 최상단 둘레에 대응하고 제2외피부는 중간부 둘레와 대응할 수 있는 망목으로 형성되며, 제3외피부는 반려동물 치아의 최하단 둘레에 대응하도록 형성됨으로써 반려동물 중에서 애견이나 고양이는 육식 습성에 알맞은 치열로 되어 있는 바, 작은 쐐기 형태의 앞니와 원뿔형의 치간의 플라그 및 음식찌꺼기의 제거가 용이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외피부는 서로 다른 크기의 망목으로 형성된 하나 이상의 외피부가 치아 길이에 맞춰 층부를 형성할 수 있다면, 별도의 사이공간을 형성하는 것에 한정하지 않고 충진부의 충진 유무 또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반려동물용 칫솔 절개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반려동물용 칫솔은 소정의 형상을 갖고 일정크기의 망구조로 형성되는 외피부; 상기 외피부 내부에는 일정 두께 및 소정의 형상을 유지할 수 있는 충진부가 충진되며; 상기 외피부는 일정 면적에 따라 상대적으로 크기가 상이한 망목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외피부를 형성하는 가장 큰 망목 크기는 반려동물 치아의 최상단 둘레에 대응하도록 형성되고 가장 작은 망목 크기는 반려동물 치아의 최하단 둘레에 대응하도록 형성됨으로써, 치아의 길이에 따른 치간 음식물 및 플라그의 제거가 부분적 또는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반려동물용 장난감 칫솔의 시제품 형상을 나타낸다. 본 발명은 기존의 사용자가 미처 닦지 못한 치간 사이의 음식찌꺼기와 플라그를 효율적으로 제거하고, 보호자의 대리를 통해 칫솔질이 이루어졌던 기존 방법에 비해 반려동물이 능동적으로 칫솔질을 실시할 수 있어 사용자의 시간 및 수고를 저감함과 동시에 반려동물의 칫솔질 스트레스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증가하는 반려동물 보호자 수와 더불어 바쁜 현대사회에서 반려동물 스스로 치아관리를 할 수 있는 반려동물용 칫솔은 편리함을 추구하는 현대인의 필요를 부합하여 보다 많은 수요를 예상할 수 있으므로 관련 산업인의 이윤 창출에 보탬이 됨으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다.
100: 외피부 200: 충진부
100a: 제1외피부 100b: 제2외피부
100c: 제3외피부

Claims (3)

  1. 일정한 형상을 갖고 일정 크기의 망구조로 형성되는 외피부; 상기 외피부 내부에는 소정의 형상을 유지하고 부피감을 제공할 수 있는 다공성이고 연질 재질로 형성되는 충진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외피부 망목은 반려동물의 치아둘레에 대응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어 저작과 동시에 치간의 플라그 및 음식찌꺼기가 망목에 걸려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용 장난감 칫솔
  2. 일정한 형상을 갖고 일정크기의 망구조로 형성되는 외피부가 하나 이상 내부에 층부로 형성되고; 상기 외피부 내부에는 소정의 형상을 유지하고 부피감을 제공할 수 있는 다공성의 연질 재질로 형성되는 충진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나 이상 내부에 층부 최외측에 설치되는 외피부 망목은 반려동물의 치아 단일의 최상단 둘레와 대응되고, 최내측에 설치되는 외피부의 망목은 반려동물의 치아 최하단 둘레와 대응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용 장난감 칫솔
  3. 일정의 형상을 갖고 복수개의 서로 다른 크기의 망목이 서로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외피부; 상기 외피부 내부에는 소정의 형상을 유지하고 부피감을 제공할 수 있는 다공성의 연질 재질로 형성되는 충진부와;
    상기 서로 다른 크기의 외피부의 망목의 최대 크기는 반려동물의 단일 치아 최상단 둘레와 대응되고, 망목의 최소 크기는 반려동물의 단일 치아 최하단 둘레와 대응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용 칫솔
KR1020210054671A 2021-04-27 2021-04-27 반려동물용 장난감 칫솔 KR1026376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4671A KR102637682B1 (ko) 2021-04-27 2021-04-27 반려동물용 장난감 칫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4671A KR102637682B1 (ko) 2021-04-27 2021-04-27 반려동물용 장난감 칫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7465A true KR20220147465A (ko) 2022-11-03
KR102637682B1 KR102637682B1 (ko) 2024-02-15

Family

ID=840410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4671A KR102637682B1 (ko) 2021-04-27 2021-04-27 반려동물용 장난감 칫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7682B1 (ko)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0661A (ko) * 2002-07-31 2002-09-10 구본길 동물 혼자 스스로 양치가 가능한 동물용치솔
KR20040066513A (ko) * 2003-01-20 2004-07-27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칫솔헤드 식모부에 미세 다공성 연질체가 결합된 칫솔
KR100513117B1 (ko) * 2002-07-31 2005-09-07 구본길 애완동물의 구강 및 치아 보호용 놀이기구
JP2006109989A (ja) * 2004-10-13 2006-04-27 Etsuko Hidaka 歯磨き用具
KR20070018664A (ko) * 2006-02-28 2007-02-14 김은정 치아와 잇몸을 닦을 수 있는 칫망
KR20140088726A (ko) * 2013-01-03 2014-07-11 권영길 연질 캡슐용 구강청정제 및 그 제조방법
KR101723340B1 (ko) 2016-06-27 2017-04-05 김민준 반려 동물용 손가락 칫솔
KR20190048210A (ko) 2017-10-30 2019-05-09 주식회사 그린펫 탄력성 복수 칫솔헤드를 갖는 칫솔
JP2019516760A (ja) * 2016-05-24 2019-06-20 クレデンティス・アクチェンゲゼルシャフトCredentis AG 齲蝕処置のためのパーソナルデンタルケア製品
KR102025742B1 (ko) 2018-09-19 2019-09-26 곽병태 마우스 피스 칫솔 및 이를 구비하는 애완 동물용 칫솔 장치
KR200491201Y1 (ko) 2018-04-18 2020-03-03 박지용 고양이 전용 칫솔
KR20200144347A (ko) * 2019-06-18 2020-12-29 주식회사 펫클럽 치석제거가 가능한 반려동물용 껌

Patent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0661A (ko) * 2002-07-31 2002-09-10 구본길 동물 혼자 스스로 양치가 가능한 동물용치솔
KR100513117B1 (ko) * 2002-07-31 2005-09-07 구본길 애완동물의 구강 및 치아 보호용 놀이기구
KR20040066513A (ko) * 2003-01-20 2004-07-27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칫솔헤드 식모부에 미세 다공성 연질체가 결합된 칫솔
JP2006109989A (ja) * 2004-10-13 2006-04-27 Etsuko Hidaka 歯磨き用具
KR20070018664A (ko) * 2006-02-28 2007-02-14 김은정 치아와 잇몸을 닦을 수 있는 칫망
KR20140088726A (ko) * 2013-01-03 2014-07-11 권영길 연질 캡슐용 구강청정제 및 그 제조방법
JP2019516760A (ja) * 2016-05-24 2019-06-20 クレデンティス・アクチェンゲゼルシャフトCredentis AG 齲蝕処置のためのパーソナルデンタルケア製品
KR101723340B1 (ko) 2016-06-27 2017-04-05 김민준 반려 동물용 손가락 칫솔
KR20190048210A (ko) 2017-10-30 2019-05-09 주식회사 그린펫 탄력성 복수 칫솔헤드를 갖는 칫솔
KR200491201Y1 (ko) 2018-04-18 2020-03-03 박지용 고양이 전용 칫솔
KR102025742B1 (ko) 2018-09-19 2019-09-26 곽병태 마우스 피스 칫솔 및 이를 구비하는 애완 동물용 칫솔 장치
KR20200144347A (ko) * 2019-06-18 2020-12-29 주식회사 펫클럽 치석제거가 가능한 반려동물용 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7682B1 (ko) 2024-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47302A (en) Animal dental hygiene device
US4776054A (en) Toothbrush
US4738001A (en) Canine and feline toothbrush
US5926897A (en) Toothbrush having bristles for interproximal cleaning
JP4050356B2 (ja) 歯ブラシ
TWI516226B (zh) 牙刷
US20070015100A1 (en) Animal dental care device
US4031587A (en) Toothbrush for canines
US6652279B2 (en) Dental device
US20150223594A1 (en) Toothbrush for human or non-human subjects
Kumar et al. Tooth brush and brushing technique
US6776123B2 (en) Natural dental ring for cats feline teething and teeth cleaning apparatus
JP4316487B2 (ja) 歯ブラシ
KR200455594Y1 (ko) 잇몸마사지용 칫솔
KR102637682B1 (ko) 반려동물용 장난감 칫솔
US20200178681A1 (en) Tooth-cleaning device capable of storing or being operatively mounted with interdental brush
US6283751B1 (en) Anatomical interproximal dental stimulator
JP3149503U (ja) 噛む歯ブラシ
JP2007130117A (ja) 噛む歯ブラシ
CN201870757U (zh) 洁牙指套
KR20220063339A (ko) 칫솔
GB2476286A (en) Apparatus for cleaning the teeth of an animal
JP4198740B1 (ja) 歯ブラシ
CN102462558A (zh) 洁牙指套
JP2012231968A (ja) ペット用歯ブラ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