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44336A - 차량용 확장 모듈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확장 모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44336A
KR20200144336A KR1020190072243A KR20190072243A KR20200144336A KR 20200144336 A KR20200144336 A KR 20200144336A KR 1020190072243 A KR1020190072243 A KR 1020190072243A KR 20190072243 A KR20190072243 A KR 20190072243A KR 20200144336 A KR20200144336 A KR 202001443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s
vehicle
door
coupled
expansion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22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79665B1 (ko
Inventor
정경헌
Original Assignee
정경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경헌 filed Critical 정경헌
Priority to KR10201900722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9665B1/ko
Publication of KR202001443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443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96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96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32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comprising living accommodation for people, e.g. caravans, camping, or like vehicles
    • B60P3/34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comprising living accommodation for people, e.g. caravans, camping, or like vehicles the living accommodation being expansible, collapsible or capable of rearrang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10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r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32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comprising living accommodation for people, e.g. caravans, camping, or like vehicles
    • B60P3/36Auxiliary arrangements; Arrangements of living accommodation;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5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position of passengers, passenger seats or child seats, and the related safety parameters therefor, e.g. speed or timing of airbag inflation in relation to occupant position or seat belt use
    • B60R21/01512Passenger detection systems
    • B60R21/01516Passenger detection systems using force or pressure sens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3/00Arrangements of steps or ladders facilitating access to or on the vehicle, e.g. running-boards
    • B60R3/007Removable steps or ladders, e.g. fold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ransportation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은 차량에 결합되어 차량 내부의 공간을 확장시키는 확장모듈장치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확장모듈장치는 차량의 내외부를 연결하는 개구부의 상하부 각각의 상기 차량의 일부에 회동이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제1 도어들, 상하부로 연장된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개구부의 일측 및 타측에서 상기 차량의 일부와 각각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회동을 통해 펼쳐진 상기 제1도어들 사이에 이동하도록 형성되는 제2 도어들 및 상기 개구부의 일측 및 타측 각각에서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제2 도어들 각각과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3 도어들이 형성되는 확장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내지 제3 도어들은 순서대로 펼쳐지고 서로 결합되어 상기 개구부 주위의 외부공간을 둘러싸고, 상기 확장모듈 내부로 탑승하면 하중 감지를 통해 내부조명이 자동으로 발광한다.

Description

차량용 확장 모듈 장치{EXPANDABLE MODULE APPARATUS FOR VEHICLE}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은 확장모듈장치에 관한 것으로, 차량에 장착되어 차량 내부의 공간을 확장시키는 확장모듈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식별항목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식별항목에 기재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캠핑카를 포함하는 차량은 주행 중인 상태일때 주행 중 공기의 저항을 감소시키기 위해 확장이 가능한 모듈을 부착시켜 차량이 정지상태인 경우 차량 내부의 공간을 확장시킬 수 있다.
그러나 기존의 캠핑카를 포함하는 차량의 확장을 위한 기술은 시중에 판매되는 부품이 아닌 새로운 부품을 제작하고 설치해야 하므로 진입장벽이 높고 제작 및 설치를 위한 비용이 증가하는 단점이 있다.
이와 관련되어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990732호는 공간확장형 캠핑카를 개시하고 있고,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83626호는 측면패널이 확장되는 캠핑카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에는 시중에 판매되는 부품들을 활용한 확장모듈장치 기술은 개시하지 않고 있다.
차량에 결합되어 차량 내부의 공간을 확장시키는 확장모듈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확장모듈장치는 차량의 내외부를 연결하는 개구부의 상하부 각각의 상기 차량의 일부에 회동이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제1 도어들, 상하부로 연장된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개구부의 일측 및 타측에서 상기 차량의 일부와 각각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회동을 통해 펼쳐진 상기 제1도어들 사이에 이동하도록 형성되는 제2 도어들 및 상기 개구부의 일측 및 타측 각각에서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제2 도어들 각각과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3 도어들이 형성되는 확장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내지 제3 도어들은 순서대로 펼쳐지고 서로 결합되어 상기 개구부 주위의 외부공간을 둘러싸고, 상기 확장모듈 내부로 탑승하면 하중 감지를 통해 내부조명이 자동으로 발광한다.
또한, 상기 제1도어들 각각의 일단은 상기 차량의 상부 및 하부프레임 각각에 일측 또는 타측으로 연장된 축을 기준으로 회동 결합되고, 각각의 타단은 하부 및 상부를 향해 플레이트 형태로 연장되어 서로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도어들 각각의 일단은 상기 제1도어들 각각의 일단 후방에서 상기 개구부의 일측 및 타측에 위치한 상기 차량의 일부에 상하부로 연장된 축을 기준으로 회동결합되고, 각각의 타단은 서로를 향해 플레이트 형태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도어들 각각의 일단은 상기 제2도어들 각각의 타단에 상부 또는 하부로 연장된 축을 기준으로 회동 결합되고, 각각의 타단은 플레이트 형태로 연장되어 서로 탈착 또는 부착이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확장모듈장치는 일단은 상기 제3도어의 타단에 상부 또는 하부로 연장된 축을 기준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도어 형태로 연장되어 상기 차량의 내부에 탈부착 결합이 가능하게 형성되는 제4도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도어가 상기 개구부를 커버하는 상태에서 상기 제3도어 및 제4도어들 각각의 타단이 상기 차량의 안쪽을 향해 펼쳐지고 상기 제4도어의 타단이 상기 차량의 내부에 결합되어 밀폐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확장모듈장치는 상하부로 연장된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고 상단 전방의 일부분이 전방을 향해 연장되는 프레임들 각각의 상단 및 하단이 서로 양측의 축을 기준으로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접철부를 형성하는 계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계단은 상기 접철부의 회동을 통해 폴딩되면, 상기 계단의 중앙은 전방을 향해 돌출된 브라켓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를 커버하는 상기 제2도어들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제2도어들과 밀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르면, 확장모듈장치는 시중에 판매되는 경첩들과 도어들을 활용하여 편리하게 제작이 가능하고, 도어의 추가적인 부착을 통해 확장 가능한 공간이 늘어나는 장점이 있다.
또한, 확장모듈장치는 서로 경첩들을 통해 연결된 도어들의 폴딩 또는 회동 방향에 따라 차량의 안쪽에 밀폐공간을 구획할 수 있고, 순차적으로 도어들을 펼치면서 설치가 가능하여 설치편의성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아울러, 이와 같은 기재된 본 발명의 효과는 발명자가 인지하는지 여부와 무관하게 기재된 내용의 구성에 의해 당연히 발휘되게 되는 것이므로 상술한 효과는 기재된 내용에 따른 몇 가지 효과일 뿐 발명자가 파악 또는 실재하는 모든 효과를 기재한 것이라 인정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효과는 명세서의 전체적인 기재에 의해서 추가로 파악되어야 할 것이며, 설사 명시적인 문장으로 기재되어 있지 않더라도 기재된 내용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명세서를 통해 그러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인정할 수 있는 효과라면 본 명세서에 기재된 효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확장모듈장치의 사용상태도.
도 2 내지 4들은 도 1의 확장모듈장치의 구동을 나타내는 사시도들.
도 5는 도 3의 확장모듈장치의 일부분을 나타낸 사시도 및 도 2의 확장모듈장치를 I-I'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
도 6은 도 3 및 4들의 구동을 도 3의 II-II'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들.
도 7은 도 1의 구동 상태를 도 3의 II-II'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
도 8 및 9들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확장모듈장치의 사용상태도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확장모듈장치의 구성, 동작 및 작용효과에 대하여 살펴본다. 참고로, 이하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는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개별 도면에서 동일 구성에 대한 도면 부호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확장모듈장치의 사용상태도를 도시한다. 도 2 내지 4들은 도 1의 확장모듈장치의 구동을 나타내는 사시도들을 도시한다.
도 1 내지 4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확장모듈장치(100)는 제1확장모듈(200), 제2확장모듈(400) 및 제3확장모듈(600)들을 포함한다.
확장모듈장치(100)는 차량(10)의 일측, 타측 또는 후방에서 차량(10)의 내부공간 및 외부공간을 연결하는 개구부에서 차량(10)과 탈착 또는 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확장모듈장치(100)는 차량(10)에 결합된 상태에서 차량에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된 복수의 도어들이 펼쳐지고 서로 연결되어 개구부 외부의 직육면체 형태의 공간을 둘러싸는 직육면체 형태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제1확장모듈(200)은 제1도어(210, 220)들, 제2도어(230, 240)들, 제3도어(250, 260)들, 발광부(224) 및 하중센서(225)들을 포함한다.
제1확장모듈(200)은 차량(10)의 후방에 탈착 또는 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구동 상태에 따라 차량의 하부프레임(110), 상부프레임(120), 일측프레임(130) 및 타측프레임(140)들 사이에 형성되는 후방 개구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된다.
제1도어(210, 220)들 각각의 일단은 상부프레임(120) 및 하부프레임(110)들 각각의 후방에 일측 또는 타측을 향해 연장된 축을 기준으로 상부프레임(120) 및 하부프레임(110)들 각각에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제1도어(210)의 일단은 상부프레임(120)의 후방 하부에서 상부프레임(120)의 배면에 결합된 경첩들을 통해 상부프레임(120)에 결합되고, 제1도어(220)의 일단은 하부프레임(110)의 후방 상부에서 하부프레임(110)의 배면에 결합된 경첩들을 통해 하부프레임(110)에 결합된다.
제1도어(210, 220)들 각각의 타단은 일단에서 하부 및 상부를 향해 각각 플레이트 형태로 연장되고, 서로 밀착되어 상기 후방 개구부를 밀폐하도록 형성되며, 서로 탈착 또는 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제1도어(210, 220)들 각각의 타단은 일단을 축으로 후방 상부 및 후방 하부를 향해 각각 회동하여 지면과 평행하도록 펼쳐지고, 제1도어(210, 220)들 각각의 일단은 폴딩된 상기 경첩들을 사이에 두고 상부프레임(120) 및 하부프레임(110)들 각각의 배면에 각각 밀착되어 상부 또는 하부를 향한 회동이 제한된다.
제2도어(230, 240)들 각각의 일단은 일측프레임(130) 및 타측프레임(140)들 각각의 후방에 상부 또는 하부를 향해 연장된 축을 기준으로 일측프레임(130) 및 타측프레임(140)들 각각에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제2도어(230)의 일단은 일측프레임(130)의 후방 및 차량(10)의 타측 방향에서 경첩들을 통해 일측프레임(130)에 결합되고, 제2도어(240)의 일단은 타측프레임(140)의 후방 및 차량(10)의 일측 방향에서 경첩들을 통해 타측프레임(140)에 결합된다.
제2도어(230, 240)들 각각의 타단은 일단에서 서로를 향해 각각 플레이트 형태로 연장되고, 서로 밀착되어 제1도어(210, 220)들의 전방에서 상기 후방 개구부를 커버하도록 형성되며, 서로 탈착 또는 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제2도어(230)의 타단은 일단을 축으로 후방을 향해 이동하면, 제2도어(230)의 저면 및 상부면들 각각은 제1도어(210, 220)들 각각의 일측 저면 및 상부면 사이에서 제1도어(210, 220)들 각각의 일측 저면 및 상부면 각각과 밀착되어 제1도어(210, 220)들이 펼쳐진 상태를 유지시킨다.
제2도어(240)의 타단은 일단을 축으로 후방 타측을 향해 이동하면, 제2도어(240)의 저면 및 상부면들 각각은 제1도어(210, 220)들 각각의 타측 저면 및 상부면 사이에서 제1도어(210, 220)들 각각의 타측 저면 및 상부면 각각과 밀착되어 제1도어(210, 220)들이 펼쳐진 상태를 유지시킨다.
제3도어(250, 260)들 각각의 일단은 상기 후방 개구부를 커버하는 상태의 제2도어(230, 240)들 각각의 타단 전방에 경첩들을 통해 상부 또는 하부를 향해 연장된 축을 기준으로 제2도어(230, 240)들 각각과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제3도어(250)의 일단은 제2도어(230)의 타단이 후방을 향해 펼쳐진 상태의 차량(10)의 타측 방향에서 제2도어(230)의 타단과 결합되고, 제3도어(250)의 타단은 일단에서 전방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플레이트 형태로 연장된다.
제3도어(250)의 타단은 일단을 축으로 회동하면, 제3도어(250)의 저면 및 상부면들 각각은 제1도어(210, 220)들 각각의 사이에서 제1도어(210, 220)들 각각의 일측 저면 및 상부면과 밀착된 상태로 슬라이딩 이동하고, 제1도어(210, 220)들이 상하부로 펼쳐진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킨다.
제3도어(260)의 일단은 제2도어(240)의 타단이 후방을 향해 펼쳐진 상태의 차량(10)의 일측 방향에서 제2도어(240)의 타단과 결합되고, 제3도어(260)의 타단은 일단에서 전방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플레이트 형태로 연장된다.
제3도어(250, 260)들 각각의 타단은 일단을 축으로 후방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이동하여 서로 탈착 또는 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후방 개구부의 후방에 해당하는 후방공간을 커버한다.
제3도어(260)의 타단은 일단을 축으로 회동하면, 제3도어(260)의 저면 및 상부면들 각각은 제1도어(210, 220)들 각각의 타측 저면 및 상부면 사이에서 제1도어(210, 220)들 각각의 타측 저면 및 상부면과 밀착된 상태로 슬라이딩 이동하고, 제1도어(210, 220)들이 상하부로 펼쳐진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킨다.
따라서, 제1도어(210, 220)들 및 제2도어(230, 240)들이 펼쳐져 후방 개구부의 후방에 해당하는 후방공간을 둘러싸는 상태에서, 제3도어(250, 260)들 각각은 회동하여 상기 후방공간을 외부와 밀폐 또는 개방하는 출입문으로 사용된다.
발광부(224)는 일측 또는 타측을 향해 길게 연장된 바 형태로 형성되고, 복수의 LED들로 구성되며, 제1도어(220)가 후방을 향해 펼쳐진 상태에서 제1도어(220)의 일단에 인접한 상부에 결합된다.
하중센서(225)들 각각은 제1도어(220)의 내부에 서로 일측 또는 타측을 향해 서로 이격되도록 내장되고, 발광부(224)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하중센서(225)가 하중을 감지하면 발광부(224)가 발광한다.
따라서, 어두운 밤에 탑승자가 차량(10)의 내부에서 일어나 제1도어(220)를 밟은 경우 발광부(224)가 발광하여 제1도어(220) 후방의 외부공간의 시야확보가 가능하므로 탑승자의 안전성이 개선된다.
또한, 탑승자가 계단(20)을 밟고 제1도어(220)에 오른 경우, 발광부(224)가 작동하여 어두운 차량(10) 내부의 시야확보가 가능하여 편리하고 안전하게 차량(10) 내부로 이동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확장모듈(400)은 제1도어(410, 420)들, 제2도어(430, 440)들 및 제3도어(450, 460)들을 포함한다.
제1도어(410, 420)들, 제2도어(430, 440)들 및 제3도어(450, 460)들 각각은 차량(10)에 설치되는 위치를 제외하면, 제1도어(210, 220)들, 제2도어(230,240)들 및 제3도어(250, 260)들 각각과 동일한 형태로 형성되고 동일한 구동을 나타낸다.
제2확장모듈(400)은 차량(10)의 일측에 탈착 또는 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구동 상태에 따라 차량의 일측프레임(130)에서 외부공간과 차량(10)의 내부공간을 연결하도록 형성되는 일측 개구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된다.
제1도어(410, 420)들 각각의 일단은 상기 일측 개구부의 상부 및 하부에 해당하는 일측프레임(130)의 일부분에 전방 또는 후방을 향해 연장된 축을 기준으로 일측프레임(130)에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제1도어(410)의 일단은 일측프레임(130)의 일측 상부에 해당하는 위치에서 경첩들을 통해 상부프레임(120)의 일측에 결합되고, 제1도어(420)의 일단은 일측프레임(130)의 일측 상부에 해당하는 위치에서 경첩들을 통해 하부프레임(110)의 일측과 결합된다.
제1도어(410, 420)들 각각의 타단은 일단에서 하부 및 상부를 향해 플레이트 형태로 연장되고, 서로 밀착되어 상기 일측 개구부를 밀폐하도록 형성되며, 서로 탈착 또는 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제1도어(410, 420)들 각각의 타단은 일단을 축으로 차량(10)의 일측 상부 및 하부를 향해 각각 회동하여 지면과 평행하도록 펼쳐지고, 제1도어(410, 420)들 각각의 일단은 폴딩된 상기 경첩들을 사이에 두고 상부프레임(120) 및 하부프레임(110)들 각각의 일측면에 각각 밀착되어 회동이 제한된다.
제2도어(430, 440)들 각각의 일단은 상기 일측 개구부에서 일측프레임(130)의 전방 및 후방에 상부 또는 하부를 향해 연장된 축을 기준으로 일측프레임(130)에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제2도어(430)의 일단은 일측프레임(130)의 전방 내측면 타측에 해당하는 위치에서 경첩들을 통해 일측프레임(130)에 결합되고, 제2도어(440)의 일단은 일측프레임(130)의 후방 내측면 타측에 해당하는 위치에서 경첩들을 통해 일측프레임(130)에 결합된다.
제2도어(430, 440)들 각각의 타단은 일단에서 후방 및 전방을 향해 플레이트 형태로 연장되고, 서로 밀착되어 상기 일측개구부를 커버하는 제1도어(410, 420)들의 차량(10)의 타측에 해당하는 위치에서 상기 일측 개구부를 커버하도록 형성되며, 서로 탈착 또는 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제2도어(430)의 타단은 일단을 축으로 차량(10)의 일측을 향해 이동하면, 제2도어(430)의 저면 및 상부면들 각각은 제1도어(410, 420)들 각각의 저면 및 상부면 사이에서 제1도어(410, 420)들 각각의 전방쪽 저면 및 상부면 각각과 밀착되어 제1도어(410, 420)들이 상하부로 펼쳐진 상태를 유지시킨다.
제2도어(440)의 타단은 일단을 축으로 차량(10)의 일측을 향해 이동하면, 제2도어(440)의 저면 및 상부면들 각각은 제1도어(410, 420)들 각각의 저면 및 상부면 사이에서 제1도어(410, 420)들 각각의 후방쪽 저면 및 상부면 각각과 밀착되어 제1도어(410, 420)들이 펼쳐진 상태를 유지시킨다.
제3도어(450, 460)들 각각의 일단은 제2도어(430, 440)들 각각의 타단에 경첩들을 통해 상부 또는 하부를 향해 연장된 축을 기준으로 제2도어(430, 440)들 각각과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제3도어(450)의 일단은 제2도어(430)의 타단이 차량(10)의 일측을 향해 펼쳐진 상태에서 제2도어(430)의 후방에서 제2도어(430)의 타단과 결합되고, 제3도어(450)의 타단은 일단에서 차량(10)의 타측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플레이트 형태로 연장된다.
제3도어(450)의 타단은 일단을 축으로 회동하면, 제3도어(450)의 저면 및 상부면들 각각은 제1도어(410, 420)들 각각의 사이에서 제1도어(410, 420)들 각각의 전방쪽 저면 및 상부면과 밀착된 상태로 슬라이딩 이동하고, 제1도어(410, 420)들이 상하부로 펼쳐진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킨다.
제3도어(460)의 일단은 제2도어(440)의 타단이 차량(10)의 일측을 향해 펼쳐진 상태에서 제2도어(440)의 전방에서 제2도어(440)의 타단과 결합되고, 제3도어(460)의 타단은 일단에서 차량(10)의 타측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플레이트 형태로 연장된다.
제3도어(460)의 타단은 일단을 축으로 회동하면, 제3도어(460)의 저면 및 상부면들 각각은 제1도어(410, 420)들 각각의 사이에서 제1도어(410, 420)들 각각의 후방쪽 저면 및 상부면과 밀착된 상태로 슬라이딩 이동하고, 제1도어(410, 420)들이 상하부로 펼쳐진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킨다.
제3도어(450, 460)들 각각의 타단은 일단을 축으로 차량(10)의 일측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이동하여 서로 탈착 또는 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차량(10)의 일측 개구부의 일측에 해당하는 일측공간을 커버한다.
따라서, 제1도어(410, 420)들 및 제2도어(430, 440)들이 펼쳐져 상기 일측 개구부의 일측에 해당하는 일측공간을 둘러싸는 상태에서, 제3도어(450, 460)들 각각은 회동하여 상기 일측공간을 외부와 밀폐 또는 개방하는 출입문으로 사용된다.
한편, 제3 확장모듈(600)은 위치를 제외하면 제2확장모듈(400)과 동일한 제1도어(410, 420)들, 제2도어(430, 440)들 및 제3도어(450, 460)들로 구성되고, 차량(10)의 타측에 탈착 또는 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차량(10)의 타측에 형성된 타측 개구부를 커버한다.
도 5는 도 3의 확장모듈장치의 일부분을 나타낸 사시도 및 도 2의 확장모듈장치를 I-I'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들을 도시한다. 도 6은 도 3 및 4들의 구동을 도 3의 II-II'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들을 도시한다.도 7은 도 1의 구동 상태를 도 3의 II-II'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도어(210)의 일단은 상부프레임(120)의 하부에 해당하는 위치에서 경첩을 통해 결합되어 상부프레임(120)의 후방 및 제1도어(210)의 상부면 사이에는 경첩이 배치되는 직육면체 형태의 공간이 형성되고, 제1도어(210)의 타단을 일단을 축으로 상부를 향해 이동시키면 제1도어(210)의 타단 상부면이 경첩을 사이에 두고 상부프레임(120)의 배면과 밀착되어 회동이 자동으로 제한된다.
제1도어(220)의 일단은 하부프레임(110)의 상부에 해당하는 위치에서 경첩을 통해 하부프레임(110)과 결합되어 하부프레임(110)의 후방 및 제1도어(220)의 상부면 사이에는 경첩이 배치되는 직육면체 형태의 공간이 형성되고, 제1도어(220)의 타단을 일단을 축으로 하부를 향해 이동시키면 제1도어(220)의 타단 저면이 경첩을 사이에 두고 하부프레임(110)의 배면과 밀착되어 회동이 자동으로 제한된다.
도 6을 참조하면, 제2도어(230)의 일단은 제1도어(220)의 전방에 해당하는 위치에서 일측프레임(130)의 일측 내측면에 경첩들을 통해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제2도어(230)의 타단이 후방 일측을 향해 이동하면, 제2도어(230)는 제1 도어(210, 220)들과 밀착된 상태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제1도어(210)가 하강하는 것을 방지한다.
제2도어(240)의 일단은 제1도어(220)의 전방에 해당하는 위치에서 일측프레임(130)의 타측 내측면에 경첩들을 통해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제2도어(230)의 타단이 후방 타측을 향해 이동하면, 제2도어(240)는 제1도어(210, 220)들과 밀착된 상태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제1도어(210)가 하강하는 것을 방지한다.
계단(20)은 휴대가 가능한 소형 계단으로, 사용자는 제2도어(230, 240)들이 후방을 향해 펼쳐진 상태에서 계단(20)의 상단을 제1도어(220)의 타단에 부착시켜 편리하게 제1도어(220)에서 지면을 향해 이동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차량(10)의 타측에 배치되는 제3확장모듈(600)이 포함하는 제1도어(410, 420)들 각각의 일단은 차량(10)의 타측에 형성된 타측 개구부의 상부 및 하부에 해당하는 상부프레임(120) 및 하부프레임(110)들에 각각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각각의 타단은 차량(10)의 타측을 향해 플레이트 형태로 연장된다.
제3확장모듈(600)이 포함하는 제2도어(430, 440)들 각각의 일단은 상기 타측 개구부의 전방 및 후방에 해당하는 위치의 타측프레임(140)의 내측면에 각각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단은 차량(10)의 타측을 향해 플레이트 형태로 연장된다.
제3확장모듈(600)이 포함하는 제3도어(450, 460)들 각각의 일단은 타측프레임(140)에 결합된 제2도어(430, 440)들 각각의 타단에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각각의 타단은 후방 및 전방을 향해 연장되어 서로 탈착 또는 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도 8 및 9들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확장모듈장치의 사용상태도들을 도시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확장모듈장치(120)는 제1도어(212, 222)들, 제3도어(280, 282)들 및 계단(700)들을 제외하면, 도 1 내지 7들의 확장모듈장치(1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동일한 참조번호와 명칭을 사용하고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다.
도 8 및 9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확장모듈장치(120)는 제1도어(212, 222)들, 제3도어(280, 282)들 및 계단(700)들을 포함한다.
확장모듈장치(120)는 확장모듈장치(100)에 비해 상대적으로 넓은 공간을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차량(10) 내부의 공간 확장성이 개선되고, 복수의 도어들을 통해 차량(10) 내부에 별도의 밀폐공간을 구성할 수 있어 샤워부스, 창고 또는 탈의실의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도어(212, 222)들 각각의 일단은 상부프레임(120) 및 하부프레임(110)들 각각의 후방에 일측 또는 타측을 향해 연장된 축을 기준으로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제1도어(212, 222)들 각각의 타단은 일단에서 플레이트 형태로 서로를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어 서로 탈착 또는 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제1도어(212, 222)들 각각의 타단 후방에는 별도의 손잡이가 추가되어 제1도어(212, 222)의 회동을 제어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제1도어(212, 222)들의 각각의 타단 내부에는 보조플레이트들(213, 223)이 각각 내장되고, 상기 보조플레이트(213, 223)들 각각은 제1도어(212, 222)들 각각의 타단에서 제1도어(212, 222)들 각각의 일단과 이격되는 방향을 향해 슬라이딩 이동하여 외부에 배치된다.
따라서, 확장모듈장치(120)는 보조플레이트(213, 223)들 각각의 슬라이딩 이동을 통해 확장모듈장치(100)에 비해 상대적으로 넓은 공간의 상부 및 하부를 커버할 수 있다.
제4도어(280, 282)들 각각은 제3도어(260, 250)들 각각의 타단에 상부 또는 하부를 향해 연장된 축을 기준으로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단은 제3도어(260, 250)들 각각의 타단과 이격되는 방향을 향해 플레이트 형태로 연장된다.
제4도어(280, 282)들 각각의 타단은 각각의 일단의 회동을 통해 서로 밀착되어 탈착 또는 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제4도어(280, 282)들 각각의 타단에는 자석 또는 접착부가 형성되어 차량(10)의 안쪽에서 타측프레임(140) 및 일측프레임(130)들 각각과 탈착 또는 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제2도어(240)가 후방개구부를 커버하고, 제3도어(260)의 타단이 제3도어(260)의 일단을 축으로 전방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이동한 상태에서, 제4도어(280)의 타단을 제4도어(280)의 일단을 축으로 전방을 향해 이동시키고 제4도어(280)의 타단을 타측프레임(140)에 결합시키면 직육면체의 밀폐공간이 형성된다.
사용자는 상기 밀폐공간을 샤워부스, 탈의실 또는 창고로 활용할 수 있고, 차량(10)의 타측에 추가 결합되는 확장모듈장치(120)의 도어와 연결시켜 침실을 위한 공간을 차량(10) 내부에 구획이 가능하다.
계단(700)은 제1프레임(710), 경첩(720) 및 제2프레임(730)들을 포함한다.
계단(700)은 폴딩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계단으로, 중앙에 배치되는 경첩으로 폴딩되는 구동을 통해 폴딩된 상태에서는 제2도어(230, 240)들 사이에 배치되어 제2도어(230, 240)들이 후방을 향해 펼쳐지는 것을 방지하고, 계단(700)이 펼쳐진 상태에서는 상단부가 후방을 향해 펼쳐진 제1도어(222)의 타단과 탈착 또는 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계단으로서 사용된다.
즉, 계단(700)은 상하부로 연장된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고 상단 전방의 일부분이 전방을 향해 연장되는 프레임들 각각의 상단 및 하단이 서로 양측의 축을 기준으로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접철부를 형성한다.
또한, 상기 접철부의 회동을 통해 폴딩되면, 상기 접철부 주위에 해당하는 계단(700)의 중앙 일부분은 전방을 향해 돌출된 브라켓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후방 개구부를 커버하는 제2도어(230, 240)들 사이에 삽입되어 중앙 일측 및 타측면들 각각이 제2도어(230, 240)들 각각에 밀착되면서 제2도어(230, 240)들을 고정시킨다.
구체적으로, 제1프레임(710)의 일단은 상대적으로 얇은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고, 중앙부는 직육면체 형태로 일단의 일부분에서 전방을 향해 돌출되며, 타단은 상부를 향해 플레이트 형태로 연장된다.
도 9의 (c)를 참조하면, 경첩(720)의 일단부는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어 제1프레임(710)의 타단 상부면과 결합되고, 타단부는 일단부와 일측 또는 타측을 향해 회동이 가능한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며, 제2프레임(730)과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제2프레임(730)의 일단은 양측으로 길게 연장된 직육면체 바형태로 형성되고, 중앙부는 일단에서 상부를 향해 직육면체 형태로 확장 연장되며, 타단은 중앙부의 상단 전면 일부분이 전방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제1프레임(710)의 일단의 두께와 동일한 플레이트 형태로 연장된다.
제2프레임(730)의 일단 배면은 제1프레임(710)의 타단 전면 일부와 밀착되어 경첩(720)의 타단부 및 제2프레임(730)이 전방 하부를 향해 회동하는 각도를 제한하는 스토퍼 기능을 가진다.
제2프레임(730)의 타단의 일부 또는 제1프레임(710)의 일단 일부는 제1도어(222)의 타단에서 상기 보조플레이트 및 제1도어(222)의 내측면 사이로 삽입되어 상기 보조플레이트의 슬라이딩 이동을 차단함과 동시에 제1도어(222)와 탈착 또는 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계단(700)을 펼쳐면 상부에 위치하는 제1프레임(710) 또는 제2프레임(730) 중 어느 하나를 제1도어(222)에 탈착 또는 결합시킬 수 있어 계단(700)의 위치를 조정해야하는 불편함이 개선된다.
경첩(720)의 타단부는 제2프레임(730)의 중앙부 배면과 결합되고, 제2프레임(730)의 중앙부가 경첩(720)을 통해 회동하여 계단(700)이 폴딩되면 제1프레임(710)의 일단 및 제2프레임(730)의 타단은 서로 동일한 수직선상에 배치된다.
또한, 제2프레임(730)의 중앙부가 경첩(720)을 통해 회동하면 제2프레임(730)의 일단은 제1프레임(710)의 타단 전면보다 상대적으로 전방을 향해 돌출되도록 배치된다.
계단(700)이 폴딩된 상태에서 제1프레임(710)의 중앙부 저면 및 제2프레임(730)의 중앙부 전면은 각각 후방 개구부를 커버하는 상태의 제2도어(230, 240)들 각각의 타단과 밀착되어 제2도어(230, 240)들 각각이 후방을 향해 펼쳐지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제1도어(222)의 타단이 일단을 축으로 전방 상부를 향해 이동하여 제2도어(230, 240)들 각각의 후방을 커버하는 상태에서, 제1프레임(710)의 일단 및 제2프레임(730)의 타단 각각이 제1도어(222)와 제2프레임(240) 사이의 공간 및 제1도어(222)와 제2프레임(230) 사이의 공간 각각에 배치되어 제3도어(260, 250)들이 차량(10)의 진동에 의해 흔들리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한다.
따라서, 계단(700)은 차량(10)이 이동중인 경우에는 제3도어(250, 260)들의 흔들림을 방지하여 소음을 방지하고 주행안정성을 개선하며, 차량(10)이 정지하여 확장모듈장치(120)가 펼쳐진 상태에서는 펼쳐서 계단으로 사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한편, 도 1 내지 9들을 통해 설명되는 발명의 설명의 내용들에 개시되는 전방, 후방, 일측 및 타측 방향은 차량(10)의 전방, 후방, 일측 및 타측 방향을 의미한다.
또한, 확장모듈장치(100, 120)는 캠핑카, 미니버스, 버스, 밴 및 승용차를 포함하는 다양한 차량에 적용하여 사용될 수 있고, 제2 도어(230, 240, 430, 440)들 및 제3도어(250, 260, 450, 460)들 각각은 유리, 세라믹 또는 고분자 중 어느 하나의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120: 확장모듈장치 200: 제1확장모듈
400: 제2확장모듈 600: 제3확장모듈
20, 700: 계단

Claims (5)

  1. 차량의 내외부를 연결하는 개구부의 상하부 각각의 상기 차량의 일부에 회동이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제1 도어들,
    상하부로 연장된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개구부의 일측 및 타측에서 상기 차량의 일부와 각각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회동을 통해 펼쳐진 상기 제1도어들 사이에 이동하도록 형성되는 제2 도어들 및
    상기 개구부의 일측 및 타측 각각에서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제2 도어들 각각과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3 도어들이 형성되는 확장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내지 제3 도어들은 순서대로 펼쳐지고 서로 결합되어 상기 개구부 주위의 외부공간을 둘러싸고, 상기 확장모듈 내부로 탑승하면 하중 감지를 통해 내부조명이 자동으로 발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모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도어들 각각의 일단은,
    상기 차량의 상부 및 하부프레임 각각에 일측 또는 타측으로 연장된 축을 기준으로 회동 결합되고, 각각의 타단은 하부 및 상부를 향해 플레이트 형태로 연장되어 서로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모듈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도어들 각각의 일단은,
    상기 제1도어들 각각의 일단 후방에서 상기 개구부의 일측 및 타측에 위치한 상기 차량의 일부에 상하부로 연장된 축을 기준으로 회동결합되고, 각각의 타단은 서로를 향해 플레이트 형태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모듈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3도어들 각각의 일단은,
    상기 제2도어들 각각의 타단에 상부 또는 하부로 연장된 축을 기준으로 회동 결합되고, 각각의 타단은 플레이트 형태로 연장되어 서로 탈착 또는 부착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모듈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하부로 연장된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고 상단 전방의 일부분이 전방을 향해 연장되는 프레임들 각각의 상단 및 하단이 서로 양측의 축을 기준으로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접철부를 형성하는 계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계단은 상기 접철부의 회동을 통해 폴딩되면, 상기 계단의 중앙은 전방을 향해 돌출된 브라켓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를 커버하는 상기 제2도어들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제2도어들과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모듈장치.











KR1020190072243A 2019-06-18 2019-06-18 차량용 확장 모듈 장치 KR1022796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2243A KR102279665B1 (ko) 2019-06-18 2019-06-18 차량용 확장 모듈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2243A KR102279665B1 (ko) 2019-06-18 2019-06-18 차량용 확장 모듈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4336A true KR20200144336A (ko) 2020-12-29
KR102279665B1 KR102279665B1 (ko) 2021-07-21

Family

ID=740901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2243A KR102279665B1 (ko) 2019-06-18 2019-06-18 차량용 확장 모듈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966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01172A1 (ko) * 2021-11-30 2023-06-08 정경헌 트렁크 확장모듈
KR20230097730A (ko) * 2021-12-24 2023-07-03 유한회사 한국종합레저 확장가능한 캠퍼
EP4279299A1 (de) * 2022-05-19 2023-11-22 Helmling Holding B.V. Fahrzeug in art eines reisemobils oder eines caravan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2705B1 (ko) 2021-10-28 2022-02-14 신윤호 다단 캠핑하우스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3379Y1 (ko) * 2001-09-28 2002-02-04 (주)코리아카라반 이동식 화장실
KR20090062523A (ko) * 2007-12-13 2009-06-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도어 스텝 조립체
JP2019506325A (ja) * 2015-12-25 2019-03-07 シャンハイ・ヒンワ・ハニカム・テクノロジー・デベロップメント・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 スペースを拡大できる伸展構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3379Y1 (ko) * 2001-09-28 2002-02-04 (주)코리아카라반 이동식 화장실
KR20090062523A (ko) * 2007-12-13 2009-06-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도어 스텝 조립체
JP2019506325A (ja) * 2015-12-25 2019-03-07 シャンハイ・ヒンワ・ハニカム・テクノロジー・デベロップメント・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 スペースを拡大できる伸展構造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01172A1 (ko) * 2021-11-30 2023-06-08 정경헌 트렁크 확장모듈
KR20230097730A (ko) * 2021-12-24 2023-07-03 유한회사 한국종합레저 확장가능한 캠퍼
EP4279299A1 (de) * 2022-05-19 2023-11-22 Helmling Holding B.V. Fahrzeug in art eines reisemobils oder eines carava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9665B1 (ko) 2021-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79665B1 (ko) 차량용 확장 모듈 장치
US20030218358A1 (en) Dual mode vehicle side door
US9045025B1 (en) Articulated gull wing door
JP2022508456A (ja) 車両ドアシステム、その制御方法及びそれを備える自動車
KR101461330B1 (ko) 무선통신으로 제어되는 차량용 우산
JP2009528199A (ja) 自動車用折り畳み式ルーフテント
KR20160057701A (ko) 차량용 비막이 장치
SE1550643A1 (sv) Foldable foot step with covering hatch/lid for a vehicle cab
KR100558532B1 (ko) 자동차의 시트에 설치된 테이블
US11448011B2 (en) Insect protection arrangement for an opening in a mobile vehicle unit
JPH035237A (ja) オープンカーのルーフ格納構造
RU2413634C2 (ru) Панель двери со встроенной функцией блока зеркала заднего обзора
JP2003127731A (ja) 車両の乗降補助シート
JPH06191436A (ja) 自動車のボディ構造
JP7238633B2 (ja) 車両のスロープドア構造
CN215244616U (zh) 汽车侧踏板装置
JP4232611B2 (ja) 自動車のグローブボックス構造
US20220281384A1 (en) Step access to a vehicle from the front
CN220096233U (zh) 一种皮卡车载露营装置
US11603028B2 (en) Accessories for vehicles with removable doors
JP5940351B2 (ja) 車両搭乗者の移動補助装置
KR200369200Y1 (ko) 자동차 출입문용 빗물 차단장치
KR20170105899A (ko) 업무용 자동차
JP3105709U (ja) 屋台車
JPH03243436A (ja) 自動車とその駐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