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44249A - 지방 분해용 화장품 조성물 - Google Patents

지방 분해용 화장품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44249A
KR20200144249A KR1020190071976A KR20190071976A KR20200144249A KR 20200144249 A KR20200144249 A KR 20200144249A KR 1020190071976 A KR1020190071976 A KR 1020190071976A KR 20190071976 A KR20190071976 A KR 20190071976A KR 20200144249 A KR20200144249 A KR 202001442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id
cosmetic composition
fat decomposition
fat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19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재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큐셀
하재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큐셀, 하재성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큐셀
Priority to KR10201900719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44249A/ko
Publication of KR202001442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4424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more than one nitro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61K8/495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more than one nitrogen as the only hetero atom containing pyrimidine ring derivatives, e.g. minoxidi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2Am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3Steroid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7Vitamins
    • A61K8/673Vitamin B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7Vitamins
    • A61K8/673Vitamin B group
    • A61K8/675Vitamin B3 or vitamin B3 active, e.g. nicotinamide, nicotinic acid, nicotinyl aldehyd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6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ountering celluliti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Dermat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방 분해용 화장품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지방 분해용 화장품 조성물로써, 전체 조성물 기준으로, 비타민B1, B2, 니코틴산, 피리독신, 판토텐산, 엽산, 파라아미노안식향산, 이노시톨, 콜린, 비오틴, 시아노콜발라민, 치옥토산, 오로트산으로 구성되는 비타민B 복합체(vitamin B complex), 통증억제제로 리도카인(lidocaine), 지방분해화합물에 해당하는 아미노필린(aminophylline), 무기 염기성 화합물에 해당하는 탄산수소나트륨(sodium bicarbonate), 베타-아드레날린성 효능제에 해당하는 에피네프린(epinephrine), 지방분해 촉진제에 해당하는 식물추출물 덱사메타손(dexamethasone), 및 잔량에 해당하는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혼합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지방 분해용 화장품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for decomposing fat}
본 발명은 지방 분해용 화장품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해당 부위에 도포 방식에 의해 쉽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어 미용 또는 전신, 국소 지방 조직의 감소를 촉진시키는 것에 의한 비만 체질의 개선, 또는 동 조직의 증대를 방지하는 것에 의한 비만의 억제 또는 방지에 효과적인 지방 분해용 화장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인간을 비롯한 모든 생물의 장기는 탄생하고 성장한 후, 나이가 들어가면서 서서히 약해지며, 이윽고 기능이 정지되고, 기능 정지된 부분이 일정상이 되면 사멸한다. 그 기능이 서서히 약해져 가는 상태를 노화라 부른다. 피부는 주위 환경에 의해 직접 영향을 받고, 생체 내부 환경을 유지하는 중요한 기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완전히 기능이 정지되는 경우는 거의 없지만, 주름, 기미, 칙칙함, 처짐 등 노화 징후가 나타나기 쉬운 장기이고, 일광에 노출되는 노광 부위에서는 그러한 징후가 특히 현저하다.
피부는 우리 인체 내에서 외부 환경과 가장 밀접하게 접하고 있으며, 인체 내부를 보호하는 중요한 기관이다. 이러한 피부는 표피(epdirmis), 진피(dermis), 피하지방(hypodermis)으로 크게 나뉜다.
여기서, 피하지방은 에너지를 지방으로 저장하는 지방조직을 이루는 지방세포로 이루어져 있으며, 생체 내에서 에너지를 축적하거나 방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다시 말해서, 피하 지방은 에너지의 수요보다 공급이 많을 경우에는 지방세포 내에 중성지방으로 저장되었다가, 에너지가 고갈되었을 때 유리 지방산과 포도당으로 분해된다.
한편, 최근 현대 사회에서는 경제성장에 따라 생활수준의 향상으로 운동부족 및 고단백 위주의 식사 문화로 인한 비만인구가 급증하고 있으며, 비만에 따른 질병이 많이 발생되고 있다. 이에 따라 현대 사회에서는 비만을 치료하기 위해 운동요법, 식이용법 및 약물요법 등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생활에 바쁜 현대인들의 경우에는 운동요법과 식이요법으로 비만 및 비만에 대한 질병을 해결하기에는 적절한 효과를 기대하기 힘들고, 더욱이, 지방세포는 한번 만들어지면 크기를 줄일 수는 있지만 자연적으로 제거하는 것은 불가능하여 영구적으로 인체에 남아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지방분해를 도울 수 있는 안전한 피부 외용제(예컨대 연고, 화장품 등)를 개발하여 병행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할 수 있다.
이렇듯, 최근에는 천연 화장품에 대한 소비자의 관심이 증대되고 동시에 한방 소재를 활용한 화장품이 많이 출시되고 있다. 한방 소재를 활용한 화장품들은 피부에 직접적으로 미치는 효능을 가진 식물소재로 연구되고 있으나, 대부분 단일 천연물이거나 천연물이 혼합된 혼합 추출물을 활용한 지방 분해 관련 피부 외용제 또는 화장품에 대한 것은 전문한 실정이다.
이에, 지방 세포에 남아있는 지방을 분해할 수 있고 인체에 무해한 지방 분해 관련 피부 외용제 또는 화장품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0-169325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평)10-152404호 공보 특허 문헌 3: 일본 특허 제3164455호 명세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통증에 의한 환자의 거부감, 넓은 범위의 고른 지방제거가 곤란하여 피부의 함몰, 피부 처짐 및 주름이 발생하는 부작용을 최소화하고, 넓은 범위 지방을 고르게 제거하여 피부 함몰, 처짐 또는 주름이 발생하는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지방분해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지방 분해용 화장품 조성물로써, 전체 조성물 기준으로, 비타민B1, B2, 니코틴산, 피리독신, 판토텐산, 엽산, 파라아미노안식향산, 이노시톨, 콜린, 비오틴, 시아노콜발라민, 치옥토산, 오로트산으로 구성되는 비타민B 복합체(vitamin B complex), 통증억제제로 리도카인(lidocaine), 지방분해화합물에 해당하는 아미노필린(aminophylline), 무기 염기성 화합물에 해당하는 탄산수소나트륨(sodium bicarbonate), 베타-아드레날린성 효능제에 해당하는 에피네프린(epinephrine), 지방분해 촉진제에 해당하는 식물추출물 덱사메타손(dexamethasone), 및 잔량에 해당하는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혼합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지방 분해용 화장품 조성물은, 비타민B 복합체는 1 내지 3%(v/v), 리도카인 0.5 내지 0.8%(v/v)과, 아미노필린 9 내지 11 %(v/v), 탄산수소나트륨 0.7 내지 1%(v/v), 에피네프린 0.8 내지 1.2%(v/v), 식물추출물 덱사메타손 0.2 내지 0.4%(v/v) 및 잔량의 담체에 해당한다.
또한, 상기 통증억제제로는, 부피바카인(bupivacaine), 로피바카인(Ropivacaine), 메피바카인(mepivacaine), 에티도카인(etidocaine) 중 선택된 이들의 조합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지방분해화합물은, 미노필린(aminophyline), 데옥시콜린산(deoxycholic acid), 콜린산(cholic acid), 케노데옥시콜린산(chenodeoxylcholic acid), 7-알파-데히드록실레이트(7-a-dehydroxylate), 리쏘콜린산(lithocholic acid), 우르소데옥시콜린산(Ursodeoxycholic acid), 디하이드록시타우린산(dihydroxy taurine acid), 트리히드록시타우린산(trihydroxy taurine acid), 테오필린(theophylline), 이소프로테레놀(isoproterenol), 살부타몰(salbutamol), 살메테롤(salmeterol) 중 선택된 이들의 조합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무기 염기성 화합물은, 탄산수소나트륨, 탄산나트륨, 탄산칼륨, 탄산암모늄, 탄산수소칼륨, 수산화나트륨 중 선택된 이들의 조합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지방분해 촉진제는, 코르티솔(cortisol), 코르티손(cortisone), 프레드니손(prednisone), 프레드니솔론(prednisolone), 메티프레드니솔론(methylprednisolone), 베타메타손(betamethasone)은 중 선택된 이들의 조합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지방 분해용 화장품 조성물은, 인삼 추출물, 동물성 추출물, 식물성 추출물 중 선택된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담체는, 지방 분해용 조성물이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중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담체는, 지방 분해용 조성물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글리콜,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에스테르 중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담체는, 본원 조성물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 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중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으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작용되는 본 발명은 통증에 의한 환자의 거부감, 넓은 범위의 고른 지방제거가 곤란하여 피부의 함몰, 피부 처짐 및 주름이 발생하는 부작용 또는 시술 후의 통증, 멍, 홍반, 부종, 경화, 가려움증과 같은 부작용을 최소화하면서, 국소 부위에서의 지방분해의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지방흡입이나 주사 주입의 불편함과 고통을 야기하는 발목과 같은 다양한 부위에 적용 가능하고, 비만 개선 또는 체형 관리에 유용하게 적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방 분해용 화장품 조성물을 통해 지방분해력을 검출하기 위해 주입 후 1일차에 대한 현미경으로 × 100배 수준에서 획득한 이미지,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지방 분해용 화장품 조성물을 통해 지방분해력을 검출하기 위해 주입 후 3일차에 대한 현미경으로 × 100배 수준에서 획득한 이미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지방 분해용 화장품 조성물을 통해 지방분해력을 검출하기 위해 주입 후 4일차에 대한 현미경으로 × 100배 수준에서 획득한 이미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지방 분해용 화장품 조성물을 서혜부 조직에 타사 제품의 지방 분해 정도를 × 100배 수준에서 획득한 이미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지방 분해용 화장품 조성물을 서혜부 조직에 타사 제품의 지방 분해 정도를 × 100배 수준에서 획득한 이미지,
도 6 내지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지방 분해용 화장품 조성물을 실험자의 다양한 부위에 적용한 결과는 나타낸 이미지.
이하에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아래 설명하는 실시예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다. 아래 설명하는 실시예는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이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실시예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구성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구성들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효과적인 지방분해 및 부작용을 최소화하는 임상 실험의 결과로, 최적의 유효성분 및 첨가제의 조성성분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원에 따른 화장품 조성물은 화장품, 예를 들면, 크림, 로션, 앰플, 스킨, 에센스, 비누 등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다른 측면에서 기초 화장품 조성물(화장수, 크림, 에센스, 클렌징 폼 및 클렌징 워터와 같은 세안제, 팩, 보디오일) 또는 마스크 또는 팩의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본원에 따른 화장품 조성물이 적용될 수 있는 부위는 신체의 특정 지방 조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지방층이 많은 여성의 가슴 부위, 손등, 발등 및 둔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적용되는 부위에 다양한 투여경로, 예를 들면 전신 또는 국소, 특히 국소 투여, 경피, 또는 주사, 특히 경피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본원에 따른 화장품 조성물은 지시된 비율로 필수 성분으로서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통상의 화장품, 예를 들면 크림의 경우, 식물성 오일, 유화제, 증점제, 향료, 물, 산화방지제, 및 UV 흡수제를 포함 할 수 있다.
본원에 따른 화장용 조성물은 항산화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또는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및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원의 화장용 조성물은 공액리놀레산, 리놀레산, 감마-리놀레산, 알파-리놀레산을 포함하는 불포화지방산 또는 프로필렌글리콜을 포함하는 수용성 기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화장용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렌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상세하게는, 유연 화장수, 영양 화장수,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아이크림, 클렌징 크림, 클렌징 폼, 클렌징 워터, 마스크, 팩, 스프레이 또는 파우더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원 조성물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원 조성물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원에 따른 화장품 조성물은 화장품용으로/피부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화장품용으로/피부학적으로 허용 가능한"은 지나친 독성, 불상용성, 불안정성, 자극, 알러지 반응 등이 없이 조직(예를 들어, 피부 또는 모발)과 접촉하여 사용하기에 적합함을 의미한다.
본원 조성물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글리콜,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에스테르가 사용될 수 있다.
본원 조성물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 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원 조성물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움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유, 라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바람직한 투여 유형에 따르면, 본 발명의 조성물은 최소한 하나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부형제, 특히 피부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부형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지방 분해용 화장품 조성물은, 지방 분해용 화장품 조성물로써, 전체 조성물 기준으로, 비타민B1, B2, 니코틴산, 피리독신, 판토텐산, 엽산, 파라아미노안식향산, 이노시톨, 콜린, 비오틴, 시아노콜발라민, 치옥토산, 오로트산으로 구성되는 비타민B 복합체(vitamin B complex), 통증억제제로 리도카인(lidocaine), 지방분해화합물에 해당하는 아미노필린(aminophylline), 무기 염기성 화합물에 해당하는 탄산수소나트륨(sodium bicarbonate), 베타-아드레날린성 효능제에 해당하는 에피네프린(epinephrine), 지방분해 촉진제에 해당하는 식물추출물 덱사메타손(dexamethasone), 및 잔량에 해당하는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혼합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지방 분해용 화장품 조성물의 조성은 크게 , 비타민B 복합체, 통증억제제, 지방분해 화합물, 무기 염기성 화합물, 베타-아드레날린성 효능제, 당질코르티코이드, 스테로이드 제제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지방 분해용 화장품 조성물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비타민B 복합체는 비타민B1, B2, 니코틴산, 피리독신, 판토텐산, 엽산, 파라아미노안식향산, 이노시톨, 콜린, 비오틴, 시아노콜발라민, 치옥토산, 오로트산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통증억제제는 리도카인(lidocaine), 부피바카인(bupivacaine), 로피바카인(Ropivacaine), 메피바카인(mepivacaine), 에티도카인(etidocaine) 및 이들의 조합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이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로 리도카인을 사용할 수 있다. 하지만, 결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리도카인은 전압-민감성 나트륨 통로(voltage-sensitive Na+ channel)를 억제하여 신경흥분의 발생 및 전도를 억제함으로써, 국소마취작용을 나타내며, 아마이드(amide) 구조를 가지고 있어 에스텔(ester)계통의 국소마취약에 민감한 환자에게 사용할 수 있는 약물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지방분해 화합물은 아미노필린(aminophyline), 데옥시콜린산(deoxycholic acid), 콜린산(cholic acid), 케노데옥시콜린산(chenodeoxylcholic acid), 7-알파-데히드록실레이트(7-a-dehydroxylate), 리쏘콜린산(lithocholic acid), 우르소데옥시콜린산(Ursodeoxycholic acid), 디하이드록시타우린산(dihydroxy taurine acid), 트리히드록시타우린산(trihydroxy taurine acid), 테오필린(theophylline), 이소프로테레놀(isoproterenol), 살부타몰(salbutamol), 살메테롤(salmeterol)를 중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이루어지는 군으로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아미노필린(aminophyline)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아미노필린은 크산틴(xanthine) 유도체에 해당하는 것으로, 천식의 치료제로 많이 사용되지만, 국소적으로 지방 분해(lipolysis)를 촉진할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포스포디에스테라제타입 Ⅲ B(phosphodiesterase type Ⅲ B)를 억제시켜 세포내 사이클릭 아데노신이산을 증가시키고 단백질 키나아제(protein kinase) 활성화를 유도한다. 또한, 아데노신리셉터(adenosine receptor)를 억제하여 지방분해를 촉진한다. 그리고 β2-교감신경수용체 효능제(β2-adrenergic agonist)로써, 작용하여 지방분해를 촉진하는 작용을 한다. 이를 국소마취제인 리도카인과 함께 사용하면, 지방세포에 아미노필린이 잘 전달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지방분해촉진제는 지방을 분해하는 촉진제를 사용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L-카르니틴, 카르니틴 및 염화레보카르니틴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무기 염기성 화합물은, 탄산수소나트륨, 탄산나트륨, 탄산칼륨, 탄산암모늄, 탄산수소칼륨, 수산화나트륨, 및 이들의 조합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일 수 있으나, 보다 바람직하게는 탄산수소나트륨을 사용한다. 상기 탄산수소나트륨은 증탄산염(bicarbonate)으로 비본이라 아려져 있으며, 리도카인과 에피네트린의 산성으로 인한 통증을 경감시켜 주고, 지방분해시 발생하는 지방산을 억제시킨다.
본 발명의 베타-아드레날린성 효능제는 에피네프린(epinephrine), 노르아드레날린(noradrenalin), 이소프레날린(isoprenaline), 도부파민(dobutamine), 살부타몰(salbutamol), 레보살부타몰(levosalbutamol), 터부탈린(Terbutaline), 피르부테롤(pirbuterol), 프로카테롤(procaterol), 메타프로테레놀(Metaproterenol), 페노테롤(fenoterol), 비톨테롤메실레이트(bitolterol mesylate), 살메테롤(salmeterol), 포르모테롤(formeterol), 밤부테롤(bambuterol), 클렌부테롤(cdlenbuterol), 인다카테롤(indacaterol), L-796568, 아미베그론(amibegron), 솔라베그론(solabegron), 이소프로테레놀(isoproterenol), 알부테롤(Albuterol), 메타프로테레놀(metaproterenol), 알부타민(Albutamin), 베푸놀롤(befunolol), 브로모아세틸알프레놀롤멘탄(bromoacetylalprenololmenthane), 브록사테롤(broxaterol), 시마테롤(cimaterol), 시라졸린(cirazoline), 데노파민(Denopamine), 도펙사민(Dopexamine), 에틸레프린(Etilefrine), 헥소프레날린(Hexoprenaline), 히게나민(Higenamine), 이소에타린(isoetharine), 이속수프린(Isoxuprine), 마부테롤(mabuterol), 메톡시페나민(methoxyphenamine), 닐리드린(nylidrin), 옥시페드린(oxyfedrine), 프레날테롤(prenalterol), 리토드린(ritodrine), 트레토퀴놀(tretoquinol), 툴로부테롤(tulobuterol), 자모테롤(xamoterol), 질파테롤(Zilpaterol), 진테롤(zinterol) 및 이들의 조합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일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에피네프린(epinephrine)을 사용할 수 있으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에피네프린은 혈관을 수축시켜, 출혈을 줄여주며 리도케인의 혈중흡수를 지연시켜서 국소마취의 효과를 연장시킬 수 있다. 또한, β-아드레날린성 수용체와 결합할 경우 이자에서의 글루카곤의 분비를 초긴하고 뇌하수체에서의 부신피질자극호르몬(ACTH : adrenocorticotropic hormone)의 분비를 증가시킨다. 또한, 지방조직의 지방분해를 증가시키는 작용을 한다.
본 발명에서의 당질코르티코이드는 식물추출물 덱사메타손(dexamethasone), 코르티솔(cortisol), 코르티손(cortisone), 프레드니손(prednisone), 프레드니솔론(prednisolone), 메티프레드니솔론(methylprednisolone), 베타메타손(betamethasone)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식물추출물 덱사메타손(dexamethasone)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덱사메타손은 스테로이드 호르몬의 당질 코르티코이드 계열의 유력한 합성 성분으로 분자식 C22H29FOs이며, 부신피질 호르몬 작용, 특히 당질코르티코이드 작용이 강하다. 하이드로코티손의 25배 정도의 항염증작용을 가진다. 더불어 부종 완화 효과 및 혈액 순환 촉진 효과가 있어 파괴된 지방세포를 빠르게 흡수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스테로이드 제제는 트리암시놀론(triamcinolone), 플루오시놀론(fluocinolone),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일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트리암시놀론을 사용한다. 상기 트리암시놀론은 염증반응을 줄여주기 위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조직 자체를 연화시키고 지방을 분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트로암시놀론 스테로이드 제제는 필요에 따라서 조성을 생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조성물은 비타민 C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담체는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는, 비경구 투여, 즉, 주사 또는 볼루스 주사를 위한 조성물에 사용되는 오일, 비수성 담체, 희석제, 용매, 비히클을 사용할 수 있다. 오일 또는 비수성 담체, 희석제, 용매 또는 비히클의 예는,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식물성 오일(예를 들면, 올리브 오일) 및 주사 가능한 유기 에스테르(예를 들면, 에틸 올레이트)를 포함하거나, 성형 제제, 예를 들면, 보존제, 습윤제, 에멀젼화제 또는 현탁제, 안정화제 및/또는 분산제와 같은 성형 제제(formulatory agent)를 함유할 수 있다.
[실시예]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비타민B 복합체, 리도카인(lidocaine), 아미노필린(aminophylline), 탄산수소나트륨(sodium bicabonate), 에피네프린(epinephrine), 식물추출물 덱사메타손(dexamethasone)과 약학적 담체를 포함하여 화장품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조건 통증억제제 지방분해
화합물
무기 염기성 화합물 베타-아드레날린성 효능제 당질고르티코이드
비교예1 0.6%(v/v) 20%(v/v) 0.9%(v/v) 1%(v/v) 0.3%(v/v)
비교예2 0.7%(v/v) 25%(v/v)
비교예3 0.8%(v/v) 30%(v/v)
실시예1 0.6%(v/v) 10%(v/v)
실시예2 0.7%(v/v) 12%(v/v)
실시예3 0.9%(v/v) 16%(v/v)
또한, 모든 조건에 비타민B 복합체는 1 내지 3%(v/v), 나머지에 해당하는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는 생리식염수를 혼합하였다.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조성물을 지방조직에 인젝션 하였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지방 분해용 화장품 조성물을 통해 지방분해력을 검출하기 위해 주입 후 2일차 ~ 4일차에 대한 현미경으로 × 100배 수준에서 획득한 이미지이다. injection한 부위 0.7g를 취하여 chopping 진행하였다. 비교대상군(control)도 동일 무게만큼 동일하게 진행하였다.
0.25% collagenase 1hr incubation 후 100um strainer를 이용하여 녹지 않은 조직 덩어리를 거른 후 2000rpm, 3min centrifuge, 분리된 mature adipocyte층을 따내어 formalin에 고정 시킨 후 현미경 관찰하였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2일차에서도 조직의 입자가 확연한 차이를 나타내었으며, 도 4 내지 도 5는 조직병리 실험예를 검출한 결과이다.
실시예 1에 따른 제조된 화장품 조성물을 피험자 패널에게 얼굴과 복부에 각각 2g를 1일 2회, 6개월간 얼굴, 복부, 팔뚝에 도포하고 슬리밍 효과에 대하여 앙케이트를 실시하였다.
도 6 내지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지방 분해용 화장품 조성물을 실험자의 다양한 부위에 적용한 결과는 나타낸 이미지이다.
상기 평가결과에 따르면 도포전과 비교하여 얼굴, 복부, 팔뚝이 슬리밍해진다고 회답한 사람의 수는 본 발명의 화장품 조성물을 이용한 패널에서 훨씬 많았다. 또한, 사용시의 방향 등의 기호성, 자극 등에 대해서도 본 발명의 조성물은 특별히 문제가 없었다.
실시예 1 조건과 동일하되, 통증억제제의 용량과 지방분해 조성물의 용량을 변경하였다.
실시예 1 조건과 동일하되, 통증억제제의 용량과 지방분해 조성물의 용량을 변경하였다.
실시예 2와 실시예 3에서는 통증억제제와 지방분해화합물의 양을 늘려 도포실험을 한 결과 실시예 2와 3에서는 실시예 1과 차별성이 없었기에 용량의 효용성을 고려하여 실시예 1의 조성비를 채택하게 되었다.
[비교예]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3에서는 피시험자들의 붉은 반점 현상과 따가움 증상, 가려움증이 도포 후 하루 후에 발생하였으며, 지방 분해를 위한 계속적인 도포 사용이 불가능하였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지방 분해 또는 국소 지방분해 성능을 가지는 지방 분해 화장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으로, 지방세포 분해에 있어 뛰어난 효과를 보일 뿐 아니라, 신체 모든 부위가 도포하여 쉽게 지방 분해의 효과를 볼 수 있으며, 비만 개선 또는 체형 관리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0)

  1. 지방 분해용 화장품 조성물로써,
    전체 조성물 기준으로,
    비타민B1, B2, 니코틴산, 피리독신, 판토텐산, 엽산, 파라아미노안식향산, 이노시톨, 콜린, 비오틴, 시아노콜발라민, 치옥토산, 오로트산으로 구성되는 비타민B 복합체(vitamin B complex);
    통증억제제로 리도카인(lidocaine);
    지방분해화합물에 해당하는 아미노필린(aminophylline);
    무기 염기성 화합물에 해당하는 탄산수소나트륨(sodium bicarbonate);
    베타-아드레날린성 효능제에 해당하는 에피네프린(epinephrine);
    지방분해 촉진제에 해당하는 식물추출물 덱사메타손(dexamethasone); 및
    잔량에 해당하는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혼합하여 구성되는 지방 분해용 화장품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방 분해용 화장품 조성물은,
    비타민B 복합체는 1 내지 3%(v/v), 리도카인 0.5 내지 0.8%(v/v)과, 아미노필린 9 내지 11 %(v/v), 탄산수소나트륨 0.7 내지 1%(v/v), 에피네프린 0.8 내지 1.2%(v/v), 식물추출물 덱사메타손 0.2 내지 0.4%(v/v) 및 잔량의 담체에 해당하는 식염수를 포함하는 지방 분해용 화장품 조성물.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통증억제제로는,
    부피바카인(bupivacaine), 로피바카인(Ropivacaine), 메피바카인(mepivacaine), 에티도카인(etidocaine) 중 선택된 이들의 조합을 더 포함하는 지방 분해용 화장품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방분해화합물은,
    미노필린(aminophyline), 데옥시콜린산(deoxycholic acid), 콜린산(cholic acid), 케노데옥시콜린산(chenodeoxylcholic acid), 7-알파-데히드록실레이트(7-a-dehydroxylate), 리쏘콜린산(lithocholic acid), 우르소데옥시콜린산(Ursodeoxycholic acid), 디하이드록시타우린산(dihydroxy taurine acid), 트리히드록시타우린산(trihydroxy taurine acid), 테오필린(theophylline), 이소프로테레놀(isoproterenol), 살부타몰(salbutamol), 살메테롤(salmeterol) 중 선택된 이들의 조합을 더 포함하는 지방 분해용 화장품 조성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 염기성 화합물은,
    탄산수소나트륨, 탄산나트륨, 탄산칼륨, 탄산암모늄, 탄산수소칼륨, 수산화나트륨 중 선택된 이들의 조합을 더 포함하는 지방 분해용 화장품 조성물.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방분해 촉진제는,
    코르티솔(cortisol), 코르티손(cortisone), 프레드니손(prednisone), 프레드니솔론(prednisolone), 메티프레드니솔론(methylprednisolone), 베타메타손(betamethasone)은 중 선택된 이들의 조합을 더 포함하는 지방 분해용 화장품 조성물.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방 분해용 화장품 조성물은,
    인삼 추출물, 동물성 추출물, 식물성 추출물 중 선택된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지방 분해용 화장품 조성물.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담체는,
    지방 분해용 조성물이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중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으로 구성되는 지방 분해용 화장품 조성물.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담체는,
    지방 분해용 조성물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글리콜,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에스테르 중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으로 구성되는 지방 분해용 화장품 조성물.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담체는,
    본원 조성물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 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중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으로 구성되는 지방 분해용 화장품 조성물.
KR1020190071976A 2019-06-18 2019-06-18 지방 분해용 화장품 조성물 KR2020014424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1976A KR20200144249A (ko) 2019-06-18 2019-06-18 지방 분해용 화장품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1976A KR20200144249A (ko) 2019-06-18 2019-06-18 지방 분해용 화장품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4249A true KR20200144249A (ko) 2020-12-29

Family

ID=740900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1976A KR20200144249A (ko) 2019-06-18 2019-06-18 지방 분해용 화장품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44249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040525A (zh) * 2022-06-23 2022-09-13 台州美艺添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瘦身溶脂液及其制备方法
WO2023287260A1 (ko) * 2021-07-16 2023-01-19 주식회사 스카이테라퓨틱스 담즙산 또는 담즙산 염의 분자 회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국소지방제거용 의약 조성물
WO2023287261A1 (ko) * 2021-07-16 2023-01-19 주식회사 스카이테라퓨틱스 담즙산 또는 담즙산 염의 분자 회합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52404A (ja) 1997-10-08 1998-06-09 Kagaku Gijutsu Shinko Jigyodan 新規ケトン類、その製造法及び該化合物を有効成分とするシロアリ防除剤
JP2000169325A (ja) 1998-12-11 2000-06-20 Kanebo Ltd 脂肪分解促進剤及び痩身用皮膚化粧料
JP3164455U (ja) 2010-09-07 2010-12-02 株式会社久野製作所 ウォータージェットハツリ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52404A (ja) 1997-10-08 1998-06-09 Kagaku Gijutsu Shinko Jigyodan 新規ケトン類、その製造法及び該化合物を有効成分とするシロアリ防除剤
JP2000169325A (ja) 1998-12-11 2000-06-20 Kanebo Ltd 脂肪分解促進剤及び痩身用皮膚化粧料
JP3164455U (ja) 2010-09-07 2010-12-02 株式会社久野製作所 ウォータージェットハツリ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87260A1 (ko) * 2021-07-16 2023-01-19 주식회사 스카이테라퓨틱스 담즙산 또는 담즙산 염의 분자 회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국소지방제거용 의약 조성물
WO2023287261A1 (ko) * 2021-07-16 2023-01-19 주식회사 스카이테라퓨틱스 담즙산 또는 담즙산 염의 분자 회합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15040525A (zh) * 2022-06-23 2022-09-13 台州美艺添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瘦身溶脂液及其制备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2315882B (zh) 一种舒缓修护保湿面霜及其制备方法
DE2746950C2 (ko)
KR20200144249A (ko) 지방 분해용 화장품 조성물
DE60035631T2 (de) Inhibitoren der Interleukin-4 Produktion
US20070086972A1 (en) Hair growth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ing hair loss or related conditions
WO2015061860A1 (en) Vasodilator formulation and method of use
KR20190024593A (ko) 수면장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N101489541A (zh) 多胺在治疗银屑病中的应用
EP2954897A1 (en) Skin-moisturising or wrinkle-improving external composition and cosmetic composition
AU2010332759B2 (en) Use of 2,3-dihydroxypropyl dodecanoate for treating seborrhoea
CN108143646A (zh) 一种甘草亭酸止痒霜组合物及其制备方法
DE69613168T3 (de) Verwendung eines CGRP-Antagonisten zur Behandlung von Lichen und Pruritus und erhaltene Zusammensetzung
KR101752312B1 (ko) 사카라이드아이소머레이트, 하이드롤라이즈드루핀프로테인 및 각질세포간지질 모사체를 유효성분으로 담지한 베지클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CN108635253A (zh) 一种婴幼儿蛋黄油化妆品
CA2511320A1 (en) Insulin-like growth factor-1 secretagogue
USRE36606E (en) Synergistic pharmaceutical compositions
BRPI1007812B1 (pt) Lipoatrofia cosmetic medicinal
US20140271920A1 (en) Skin ointment formulation
US10179095B2 (en) Autophage activating resveratrol topical composition for skin improvement and treatment
RU2304428C2 (ru) Композиция на основе сложного эфира диосгенина для топического нанесения
EP1063998B1 (de) Medikament zur prophylaxe und/oder behandlung des mammarkarzinoms enthaltend einen steroidalen aromataseinhibitor
KR20190024594A (ko) 아토피피부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US4272508A (en) Cosmetics for treatment of hair and skin
US20160051565A1 (en) Transdermal Pharmaceutical Compositions Including Testosterone and an Aromatase Inhibitor
DE69911955T2 (de) VERWENDUNG VON DANAZOL ZUR BEHANDLUNG VON HYPOGONADISMUS IN MÄNNER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