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43778A - 리튬 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 - Google Patents

리튬 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43778A
KR20200143778A KR1020190071243A KR20190071243A KR20200143778A KR 20200143778 A KR20200143778 A KR 20200143778A KR 1020190071243 A KR1020190071243 A KR 1020190071243A KR 20190071243 A KR20190071243 A KR 20190071243A KR 20200143778 A KR20200143778 A KR 202001437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thium
active material
secondary battery
core
lithium second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12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65999B1 (ko
Inventor
우주형
장성균
전상훈
최창민
조성우
이지호
안지선
서현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 앤 에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 앤 에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 앤 에프
Priority to KR10201900712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5999B1/ko
Priority to US17/620,190 priority patent/US20220367856A1/en
Priority to PCT/KR2020/007681 priority patent/WO2020256358A1/ko
Publication of KR202001437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437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59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599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362Composites
    • H01M4/366Composites as layered produ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04Processes of manufacture in general
    • H01M4/0471Processes of manufacture in general involving thermal treatment, e.g. firing, sintering, backing particulate active material, thermal decomposition, pyrolysi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01M4/131Electrodes based on mixed oxides or hydroxides, or on mixtures of oxides or hydroxides, e.g. LiCoOx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01M4/139Processes of manufacture
    • H01M4/1391Processes of manufacture of electrodes based on mixed oxides or hydroxides, or on mixtures of oxides or hydroxides, e.g. LiCoOx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4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 H01M4/485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of mixed oxides or hydroxides for inserting or intercalating light metals, e.g. LiTi2O4 or LiTi2OxF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4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 H01M4/50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of manganese
    • H01M4/505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of manganese of mixed oxides or hydroxides containing manganese for inserting or intercalating light metals, e.g. LiMn2O4 or LiMn2OxF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4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 H01M4/52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of nickel, cobalt or iron
    • H01M4/525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of nickel, cobalt or iron of mixed oxides or hydroxides containing iron, cobalt or nickel for inserting or intercalating light metals, e.g. LiNiO2, LiCoO2 or LiCoOxF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2Selection of inactive substances as ingredients for active masses, e.g. binders, fill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2004/021Physical characteristics, e.g. porosity, surface area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2004/026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polarity
    • H01M2004/028Positive electrod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Abstract

본 발명은, 리튬 복합금속 산화물을 포함하는 코어, 및 상기 코어 상에 위치하며 비정질 상이 포함된 코팅층을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양극 활물질을 제공하며, 상기 비정질 상은 혼합물 형태의 리튬 산화물 및 텅스텐 산화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리튬 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 {Cathode Active Material for Lithium Secondary Battery}
본 발명은 리튬 복합금속 산화물을 포함하는 코어, 및 상기 코어 상에 위치하는 코팅층을 포함하고, 상기 코팅층이 혼합물 형태의 리튬 산화물 및 텅스텐 산화물이 포함된 비정질 상을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에 관한 것이다.
리튬 이차전지는 높은 에너지 밀도와 전압, 긴 사이클 수명, 및 낮은 자기방전율로 인해, 모바일 디바이스, 에너지 저장 시스템, 전기자동차 등 다양한 분야에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리튬 이차전지는 그것이 적용되는 디바이스 내지 기기의 사용 환경에 따라 다양한 특성들을 갖출 것을 요구받고 있으며, 특히, 온도 변화가 큰 환경에서 사용하는 디바이스 내지 기기에 탑재하여 사용할 때나 한냉지에서는 저온에서 충분한 출력 특성을 가질 필요가 있다.
따라서, 저온 특성의 개선을 위해, 양극 활물질의 코팅 물질로서 텅스텐을 활용한 예들이 존재한다. 그러나, 기존의 양극 활물질에 활용된 텅스텐 포함 코팅층은 리튬, 텅스텐 및 산소가 결정화된 화합물인 LixWyOz 형태를 이루고 있으며, 이로 인해 결정화된 상태로 코어에 코팅되지 않고 코어의 외부에 별도로 존재하거나 또는 균일한 표면 코팅이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관련하여 관련 선행기술들의 예들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우선, 한국 특허출원 공개번호 10-2016-0050835에는, 산성 원료(H4WO4)를 용매에 희석한 후 얻어진 용액에 코어 물질을 첨가하고 믹싱한 후 열처리하는 기술이 제시되어 있다. 상기 기술은 용매 희석시 코어 물질의 표면에 잔류하는 리튬을 석출시켜 텅스텐 원료와 화학 반응을 유도하고 있는 바, 표면에 LiOH-Li2CO3-LixWO3 -y 형태의 결정(모노클리닉 등)의 코팅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일본 특허출원 공개번호 제2013-152866호는, 코어 물질에 메타 텅스텐산 암모늄 용액을 첨가하여 믹서로 교반한 후 열처리하여, 상기 기술과 마찬가지로, 코어 물질 표면의 리튬을 석출시켜 코어 물질의 표면에 결정화된 리튬 텅스텐 산화물, 즉, LixWyOz 형태의 화합물을 형성하는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또한, 일본 특허출원 공개번호 제2013-125732호 및 제2016-110999호는, 수산화리튬이 용해된 용액에 WO3를 첨가하여 텅스텐 및 리튬 함유 알칼리 수용액을 얻은 후, 여기에 코어 물질을 첨가하여 교반함으로써, LixWyOz를 형성하는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선행기술들은, 코어 물질의 표면에 잔류하는 리튬을 석출시켜 텅스텐 원료와 화학 반응을 유도함으로써, 코어 물질의 표면에 비정질 형태가 아닌 결정화된 리튬 텅스텐 산화물을 형성하거나 코팅하게 된다.
상기 일본 특허출원 공개번호 JP 2013-125732의 또 다른 예에는 파라-텅스텐산 암모늄((NH4)10W12O41·5H2O)와 코어 물질을 유발에 혼합한 혼합물을 산소 기류 중에서 700℃로 열처리하는 방법이 제시되어 있으나, 열처리를 거치하면서 표면에 비정질 형태가 아닌 결정 형태의 물질이 생성된다.
또 다른 방법으로서, 한국 특허출원 공개번호 제2013-0140194호에는 플라즈마법 또는 이온스퍼터링 법으로 코어의 표면에 존재시키고자 하는 원소를 직접 표면에 주입시키는 방법이 제시되기도 하였으나, 코팅 원소가 코어의 표면에 점재할 뿐 균일하고 넓은 면적으로 코팅이 어려운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종래의 선행기술들에서 얻어지는 양극 활물질들은, 코어의 표면에 도포된 코팅층의 특성상, 이를 사용하여 제조된 리튬 이차전지에서 소망하는 수준의 저온 특성을 발휘하기 어려우므로, 이를 해결할 수 있는 양극 활물질의 개발 필요성이 높은 실정이다.
한국 특허출원 공개번호 제2016-0050835호 일본 특허출원 공개번호 제2013-152866호 일본 특허출원 공개번호 제2013-125732호 일본 특허출원 공개번호 제2016-110999호 한국 특허출원 공개번호 제2013-0140194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과 과거로부터 요청되어온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출원의 발명자들은 심도 있는 연구와 다양한 실험들을 반복한 끝에, 비정질 상이 포함된 코팅층을 포함하는 새로운 양극 활물질을 개발하게 되었고, 이러한 양극 활물질은 코팅층이 혼합물 형태의 리튬 산화물 및 텅스텐 산화물을 포함하는 비정질 상을 포함하여, 코어에 대한 결합력이 저하되는 것이 방지되면서 균일하게 코팅되고, 리튬 이차전지의 방전 용량과 출력 특성 및 사이클 특성을 향상시키며, 특히 저온 특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리튬 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은, 리튬 복합금속 산화물을 포함하는 코어, 및 상기 코어 상에 위치하며 비정질 상을 포함하는 코팅층을 포함하고, 상기 비정질 상은 혼합물 형태의 리튬 산화물 및 텅스텐 산화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리튬 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은, 혼합물 형태의 리튬 산화물과 텅스텐 산화물을 포함하는 비정질 상(amorphous phase)이 코팅층에 포함되어 있어서, 코어의 표면에 균일한 코팅을 이루면서, 리튬 이차전지의 방전 용량과 출력 특성 및 사이클 특성을 향상시키고, 특히 저온에서의 출력 특성을 크게 향상시킨다.
하나의 구체적인 예에서, 상기 리튬 복합금속 산화물은 1종 이상의 전이금속을 포함하고, 고용량 및 고전압에서 사용 가능한 층상 결정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상세하게는, 하기 화학식 1로 표현되는 물질일 수 있다.
Li[LixM1-x-yDy]O2-aQa (1)
상기 식에서, M은 4배위 또는 6배위에서 안정한 1종 이상의 전이금속 원소이며, D는 도펀트로서 알칼리 토금속, 전이금속, 비금속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원소이고, Q는 하나 이상의 음이온이며, 0≤x≤0.1, 0≤y≤0.1, 0≤a≤0.2 이다.
참고로, D가 전이금속인 경우, 이러한 전이금속에서 M에 정의된 전이금속은 제외된다.
하나의 바람직한 예에서, M은 Ni, Co 및 Mn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2종의 이상의 원소이며, D는 Al, W, Si, V, B, Ba, Ca, Zr, Ti, Mg, Ta, Nb 및 Mo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원소이고, Q는 F, S 및 P 중의 1종 이상의 원소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리튬 복합금속 산화물은 층상 외에 다른 결정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이러한 결정 구조의 예로는 스피넬(spinel) 구조, 올리빈(olivine) 구조 등을 들 수 있지만, 이들 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코어는 평균 입경(D50)이 예를 들어 1 내지 50 ㎛ 범위일 수 있지만,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조성의 코어를 형성하는 리튬 복합금속 산화물은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는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으므로, 그에 대한 설명은 본 명세서에서 생략한다.
본 발명의 특징들 중의 하나는 혼합물 형태의 리튬 산화물과 텅스텐 산화물이 포함된 비정질 상이 코팅층에 포함되어 있다는 것이다.
이후 설명하는 바와 같이, 비정질 상에 포함된 리튬 산화물과 텅스텐 산화물은 양극 활물질인 코어의 표면처리를 위한 저온의 소성 온도에서 코어의 표면에 부착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리튬 산화물은 코팅 에이전트 역할을 하여 텅스텐 산화물이 코어 상에 부착되는 과정을 도울 수 있다.
상기 코팅층은 하기 화학식 2의 조성을 포함할 수 있다.
XWxOy-YLi2O (2)
상기 식에서, X+Y=1, 0.25≤x/y≤0.5의 조건을 만족하며, X, Y는 중량 기준으로 설정될 수 있다.
비한정적인 예로서, 상기 화학식 2는 XWO3-YLi2O로 표현될 수 있다.
Li2O는 유리질 산화물의 고온 점도를 저하시켜서 코팅층의 용융성 또는 성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Li2O는 리튬 이온전도도가 우수하고, 충/방전시 전해액 및 전해액 유래의 불화수소와 반응하지 않는다. 이러한 Li2O는 소성 전에 첨가된 리튬 화합물이 소성에 의해 산화되어 형성되거나, 또는 Li2O 자체로 첨가된 것일 수도 있으며, 또는 코어의 표면에 존재하는 LiOH, Li2CO3 등 리튬 함유 성분으로부터 유래된 것일 수도 있다.
상기 리튬 산화물은 코어인 리튬 복합금속 산화물 100 중량부에 대해 2 중량부 이하,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2 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 중량부, 특히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0.5 중량부로 비정질 상에 포함될 수 있다. 리튬 산화물의 함량이 지나치게 적으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균일 코팅이 달성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으며, 반대로 지나치게 많으면 텅스텐 산화물 위에 추가로 코팅되어 텅스텐 산화물에 의한 코팅 효과를 저해시키거나, 코팅 두께 자체가 두꺼워져 전지 내에서 저항으로 작용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하나의 구체적인 예에서 텅스텐 산화물은 WO3일 수 있다.
상기 텅스텐 산화물은 상기 비정질 상에 포함되어 코팅층에 존재함으로써, 전지의 Charge transfer 저항(RCT 저항)이 감소할 수 있으며, 결정질 상으로 별도 존재할 경우에 나타나는 응집 현상이 억제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텅스텐 산화물과 함께 상기 비정질 상에 포함되는 Li2O와 같은 리튬 산화물은 우수한 코팅 성형성을 제공하고, 이로 인해 WO3와 같은 텅스텐 산화물의 코어 표면상 부착을 더욱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기 텅스텐 산화물은 코어인 리튬 복합금속 산화물 100 중량부에 대해 2 중량부 이하,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2 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1 중량부, 특히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0.5 중량부로 비정질 상에 포함될 수 있다. 텅스텐 산화물의 함량이 지나치게 적으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효과를 발휘하기 어려울 수 있고, 반대로 지나치게 많으면 코팅이 되지 않고 코어의 외부에 따로 존재하여 전극상태에서 양극 활물질, 도전재 및 바인더 간의 접촉을 방해함으로써 전극 내에서 전자 이동의 저해요소가 되어 소망하는 출력 특성을 발휘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하나의 구체적인 예에서, 상기 코팅층의 두께는 0.01 내지 1 ㎛,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0.50 ㎛일 수 있으며, 코팅층의 두께가 지나치게 얇으면 본 발명에서 소망하는 저온 특성의 향상을 기대하기 어렵고, 반대로 지나치게 두꺼우면 리튬의 이동을 방해하는 요소로 작용하여 전지 내의 저항을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상기 코팅층은 본 발명에서 목적으로 하는 리튬 이차전지의 저온 특성 향상을 위해, 코어의 표면적을 기준으로 40% 이상 코팅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양극 활물질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바,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제조 방법은, 코어용 리튬 복합금속 산화물 분말에 코팅 원료물질인 텅스텐 함유 분말, 또는 텅스텐 함유 분말 및 리튬 함유 분말을 혼합하고, 비정질 코팅층이 형성되는 온도 범위에서, 산소를 함유하는 분위기 하에 소성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양극 활물질의 제조를 위한 코어 및 코팅 원료물질은 슬러리, 현탁액, 용액 등의 용매 기반 혼합이 아닌 분말 상태로 혼합된 후 소성 처리될 수 있으며, 용매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텅스텐 성분과 리튬 성분이 반응하여 결정질 상을 형성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제조 공정성의 향상과 비용 절감의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텅스텐 함유 분말은 코팅층에 포함될 텅스텐 산화물(예를 들어, WO3) 자체일 수도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산화를 통해 텅스텐 산화물로 변환될 수 있는 기타 텅스텐 화합물일 수도 있다. 이러한 기타 텅스텐 화합물의 예로는 H2WO4, (NH4)10(H2W12O42)·XH2O, (NH4)6H2W12O40·XH2O (여기서, X는 1 내지 5임)등을 들 수 있지만, 이들 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리튬 함유 분말은 코팅층에 포함될 리튬 산화물 자체일 수도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산화를 통해 리튬 산화물로 변환될 수 있는 기타 리튬 화합물일 수도 있다. 이러한 기타 리튬 화합물의 예로는 LiOH, Li2CO3, LiNO3, Li2SO4 등을 들 수 있지만, 이들 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비정질 코팅층의 리튬 산화물은 리튬 복합금속 산화물 분말의 표면에 존재하는 리튬 함유 성분으로부터 유래할 수도 있는 바, 경우에 따라서는, 리튬 복합금속 산화물 분말과 텅스텐 함유 분말 만을 혼합하여 소성할 수도 있다.
상기 비정질 코팅층이 형성되는 소성 온도의 범위는 원료물의 종류 및 함량 조건에 따라 다소 달라질 수 있는 바, 결정 구조를 형성하지 않고 코팅 원료물질이 코어의 내부로 확산되지 않는 범위, 예를 들어, 500℃ 이하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150℃ 내지 500℃, 더욱 바람직하게는 200℃ 내지 500℃의 범위일 수 있다. 소성 온도가 지나치게 낮으면 코어의 표면에 대한 텅스텐 산화물의 부착성이 떨어질 수 있고, 반대로, 소성 온도가 지나치게 높으면 코팅층이 결정화되면서 코어의 표면에 대한 균일한 코팅이 어려울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소성 시간은 대략 2 내지 20 시간의 범위일 수 있다.
텅스텐 함유 분말 등의 코팅 원료물질은 양극 활물질의 제조를 위해 코어와 혼합시 입자들 간의 뭉침이 없이 코어의 표면에 균일하게 흡착될 수 있도록 대략적으로 0.01 내지 5 ㎛,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1 ㎛의 평균 입경을 가질 수 있으며, 소성 과정에서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용융되면서 비정질 상으로 변화되어 앞서 정의한 두께의 코팅층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에 설명한 바와 같은 조건들 하에서 소성을 수행하면, 혼합물 형태의 리튬 산화물과 텅스텐 산화물이 포함된 비정질 상을 포함하는 코팅층이 형성됨으로써, 코팅 면적 및 균일성이 증가하여 코어의 표면 코팅시 확장성이 증가할 수 있다. 따라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비정질 상에 포함된 텅스텐 산화물로 인해 RCT 저항이 감소하고, 결정화로 인해 텅스텐 산화물이 코어로부터 이격되어 별도로 존재하거나 응집되는 현상이 억제될 수 있다. 더불어, 이온전도체인 리튬 산화물(예, Li2O)의 코팅 균일성도 증가하며, 리튬 산화물의 코팅 성형성으로 인해 텅스텐 산화물의 코어 표면상 부착이 용이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양극 활물질을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를 제공하는 바, 리튬 이차전지의 구성 및 제조방법은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그에 대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양극 활물질은 코어의 표면에 특정한 비정질 상이 포함된 코팅층을 포함함으로써, 코팅물질이 결정화되어 코어의 표면에 위치하지 않고 코어의 외부에 별도로 존재하는 현상을 억제하며, 균일하고 넓은 코팅 면적을 확보하여, 리튬 이차전지의 방전 용량과 출력 특성 및 사이클 특성, 특히 저온에서도 출력 특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한다.
이하, 본 발명을 일부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범주가 그것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실시예 1]
(양극 활물질의 제조)
리튬 복합금속 산화물(Li(Ni0.60Co0.20Mn0.20)0 . 994Ti0 . 004Zr0 . 002O2) 100 중량부에 대해, 하기 표 1에 기재된 함량으로 텅스텐 산화물(WO3)을 건식 혼합기로 혼합한 후, Air 분위기하에, 하기 표 1에 기재된 온도로 7시간 동안 열처리하여, 리튬 산화물과 텅스텐 산화물이 포함된 비정질 상을 포함하는 코팅층(대략 0.01 ~ 0.1 ㎛ 범위)이 형성된 양극 활물질을 제조하였다.
리튬 산화물은 리튬 복합금속 산화물의 표면에 잔존하는 리튬 화합물의 산화에 의해 생성되었으며, 열처리 이전에 리튬 복합금속 산화물의 표면에 잔존하는 리튬 화합물의 함량은 산/염기 중화 적정법으로 측정시 0.5 중량부였으며, 열처리에 의한 산화로 0.25 중량부의 리튬 산화물(Li2O)이 형성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양극의 제조)
상기에서 제조된 양극 활물질, 도전재로서 Super-P, 및 바인더로서 PVdF를 용매인 N-메틸피롤리돈 중에서 95:2:3(중량비)로 혼합하여, 양극 활물질 슬러리를 제조하였다. 양극 활물질 슬러리를 알루미늄 집전체 상에 도포하고 120℃에서 건조한 후, 압연하여 양극을 제조하였다.
(리튬 이차전지의 제조)
상기에서 제조된 양극과 음극으로 Li metal을 사용하고 그 사이에 분리막인 다공성 폴리에틸렌 필름을 개재하여 전극조립체를 제조하고, 상기 전극조립체를 전지케이스의 내부에 위치시킨 후, 전지케이스의 내부로 전해액을 주입하여 리튬 이차전지를 제조하였다. 이때 전해액으로는, 에틸렌카보네이트/디메틸카보네이트 (EC/DMC의 혼합 부피비=1/1)로 이루어진 유기 용매에 1.0M 농도의 리튬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LiPF6)를 용해시킨 것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2]
WO3를 0.5 중량부로 혼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조건으로, 양극 활물질, 양극 및 리튬 이차전지를 각각 제조하였다.
[실시예 3]
WO3를 1.01 중량부로 혼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조건으로, 양극 활물질, 양극 및 리튬 이차전지를 각각 제조하였다.
[실시예 4]
WO3를 0.5 중량부로 혼합하고 소성온도를 500℃로 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조건으로, 양극 활물질, 양극 및 리튬 이차전지를 각각 제조하였다.
[실시예 5]
WO3를 0.5 중량부로 혼합하고 소성온도를 200℃로 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조건으로, 양극 활물질, 양극 및 리튬 이차전지를 각각 제조하였다.
[실시예 6]
리튬 복합금속 산화물로서 Li(Ni0.60Co0.20Mn0.20)0 . 994Ti0 . 004Zr0 . 002O2 대신에 Li(Ni0.35Co0.30Mn0.35)0.994Ti0.004Zr0.002O2를 제조하였고, WO3를 0.5 중량부로 혼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조건으로, 양극 활물질, 양극 및 리튬 이차전지를 각각 제조하였다.
[실시예 7]
리튬 복합금속 산화물로서 Li(Ni0.60Co0.20Mn0.20)0 . 994Ti0 . 004Zr0 . 002O2 대신에 Li(Ni0.50Co0.20Mn0.30)0.994Ti0.004Zr0.002O2를 제조하였고, WO3를 0.5 중량부로 혼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조건으로, 양극 활물질, 양극 및 리튬 이차전지를 각각 제조하였다.
[실시예 8]
리튬 복합금속 산화물로서 Li(Ni0.60Co0.20Mn0.20)0 . 994Ti0 . 004Zr0 . 002O2 대신에 Li(Ni0.70Co0.15Mn0.15)0.994Ti0.004Zr0.002O2를 제조하였고, WO3를 0.5 중량부로 혼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조건으로, 양극 활물질, 양극 및 리튬 이차전지를 각각 제조하였다.
[실시예 9]
리튬 복합금속 산화물로서 Li(Ni0.60Co0.20Mn0.20)0 . 994Ti0 . 004Zr0 . 002O2 대신에 Li(Ni0.82Co0.11Mn0.07)0.994Ti0.004Zr0.002O2를 제조하였고, WO3를 0.5 중량부로 혼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조건으로, 양극 활물질, 양극 및 리튬 이차전지를 각각 제조하였다.
[비교예 1]
WO3 혼합 과정 없이 진행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조건으로, 양극 활물질, 양극 및 리튬 이차전지를 각각 제조하였다.
[비교예 2]
WO3를 0.5 중량부로 혼합하고 소성온도를 700℃로 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조건으로, 양극 활물질, 양극 및 리튬 이차전지를 각각 제조하였다.
[비교예 3]
WO3를 0.5 중량부로 혼합하고 소성온도를 600℃로 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조건으로, 양극 활물질, 양극 및 리튬 이차전지를 각각 제조하였다.
[비교예 4]
WO3 혼합 과정 없이 진행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6에서와 동일한 조건으로, 양극 활물질, 양극 및 리튬 이차전지를 각각 제조하였다.
[비교예 5]
WO3 혼합 과정 없이 진행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7에서와 동일한 조건으로, 양극 활물질, 양극 및 리튬 이차전지를 각각 제조하였다.
[비교예 6]
WO3 혼합 과정 없이 진행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8에서와 동일한 조건으로, 양극 활물질, 양극 및 리튬 이차전지를 각각 제조하였다.
[비교예 7]
WO3 혼합 과정 없이 진행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9에서와 동일한 조건으로, 양극 활물질, 양극 및 리튬 이차전지를 각각 제조하였다.
구분 코어 조성 WO3 열처리온도
(Ni:Co:Mn) (중량부) (℃)
실시예 1 60:20:20 0.25 400
실시예 2 60:20:20 0.5 400
실시예 3 60:20:20 1.01 400
실시예 4 60:20:20 0.5 500
실시예 5 60:20:20 0.5 200
비교예 1 60:20:20 - -
비교예 2 60:20:20 0.5 700
비교예 3 60:20:20 0.5 600
실시예 6 35:30:35 0.5 400
비교예 4 35:30:35 - -
실시예 7 50:20:30 0.5 400
비교예 5 50:20:30 - -
실시예 8 70:15:15 0.5 400
비교예 6 70:15:15 - -
실시예 9 82:11:07 0.5 400
비교예 7 82:11:07 - -
[실험예]
상기 실시예 1 내지 9 및 비교예 1 내지 7에서 각각 제조된 리튬 이차전지들에 대해, 전극 안정화를 위해 상온 분위기에서 0.1C 충전 및 0.1C 방전을 2회 진행한 후, 저온 출력 특성을 평가하기 위해, -25℃에서 0.2C 충전 및 0.2C 방전을 2회 진행하였으며, 0.2C 충전 및 2.0C 방전을 1회 진행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또한, 사이클 특성을 확인하기 위해, 상온 분위기에서 0.1C 충전 및 0.1C 방전을 50회 진행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구분 0.2/0.2C(2nd) 0.2/2.0C Rate retention
CC DC Eff. CC DC Eff. 2.0C
mAh/g mAh/g % mAh/g mAh/g % %
실시예 1 152.9 152.4 99.7 117.4 106.2 90.5 69.7
실시예 2 153.0 152.7 99.8 117.9 107.1 90.8 70.1
실시예 3 152.2 151.3 99.4 116.2 104.8 90.2 69.3
실시예 4 153.1 152.4 99.5 117.3 106.1 90.5 66.1
실시예 5 152.0 151.3 99.5 115.5 104.2 90.2 67.1
비교예 1 153.2 149.0 97.3 117.9 98.9 83.9 65.2
비교예 2 152.3 151.1 99.2 117.0 99.4 85.0 65.8
비교예 3 152.6 151.5 99.3 117.3 100.1 85.3 66.1
실시예 6 131.8 131.5 99.8 101.7 92.2 90.7 70.1
비교예 4 131.4 129.7 98.7 95.9 83.0 86.5 64.0
실시예 7 142.6 142.0 99.6 109.7 99.3 90.5 69.9
비교예 5 141.9 139.6 98.4 105.9 89.2 84.2 63.9
실시예 8 164.5 164.0 99.7 127.0 114.8 90.4 70.0
비교예 6 162.8 159.5 98.0 122.9 103.1 83.9 64.6
실시예 9 181.5 181.0 99.7 139.7 126.3 90.4 69.8
비교예 7 179.3 176.6 98.5 134.0 113.4 84.6 64.2
구분 Cycle, 25℃
1CY 30CY 40CY 50CY 30/1 40/1 50/1
mAh/g %
실시예 1 172.4 167.5 165.8 163.6 97.2 96.2 94.9
실시예 2 173.2 168.5 167.2 165.4 97.3 96.5 95.5
실시예 3 171.7 166.9 165.9 163.2 97.2 96.6 95.0
실시예 4 171.5 167.9 165.7 162.8 97.9 96.6 94.9
실시예 5 170.1 165.1 162.4 160.1 97.1 95.5 94.1
비교예 1 168.7 161.4 158.3 150.4 95.7 93.8 89.2
비교예 2 170.6 160.4 154.1 151.7 94.0 90.3 88.9
비교예 3 171.5 165.9 160.7 156.8 96.7 93.7 91.4
실시예 6 149.4 147.9 145.4 143.9 99.0 97.3 96.3
비교예 4 147.7 144.5 140.0 134.0 97.8 94.8 90.7
실시예 7 156.9 153.2 151.3 148.7 97.6 96.4 94.8
비교예 5 153.5 147.9 144.7 138.0 96.4 94.3 89.9
실시예 8 179.9 174.4 171.3 168.9 96.9 95.2 93.9
비교예 6 175.8 167.5 162.0 154.5 95.3 92.2 87.9
실시예 9 198.6 191.2 187.1 184.6 96.3 94.2 93.0
비교예 7 194.4 183.0 177.8 168.0 94.1 91.5 86.4
상기 표 2 및 표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내지 9의 리튬 이차전지들은 비교예 1 내지 7의 리튬 이차전지들과 비교할 때, 전반적으로 방전 용량과 방전 효율이 높고, 저온 조건에서 현저히 우수한 출력 특성을 나타내며, 특히 고율 방전 조건(2.0C 방전)에서 월등히 우수한 출력 특성을 발휘함과 동시에 사이클 특성 또한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내지 9의 경우 양극 활물질이 비교적 낮은 온도에서 소성됨에 따라 코어 표면에 비정질 상을 포함하는 코팅층이 균일하게 형성되어, 리튬 이온의 이동이 촉진되고, 전기 전도율(lithium ion conductor)이 향상되었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되며, 비교예 1 내지 7의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들 대비 높은 온도에서 소성됨에 따라 코어 표면에 결정질 상의 코팅층이 형성되어 본 발명의 실시예들 대비 열위의 성능 특성을 나타낸 것으로 판단된다.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내용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응용 및 변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12)

  1. 리튬 복합금속 산화물을 포함하는 코어; 및
    상기 코어 상에 위치하며 비정질 상을 포함하는 코팅층;
    을 포함하고,
    상기 비정질 상은 혼합물 형태의 리튬 산화물 및 텅스텐 산화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층은 하기 화학식 2의 조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
    XWxOy-YLi2O (2)
    상기 식에서, X+Y=1, 0.25≤x/y≤0.5의 조건을 만족한다.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층은 하기 화학식 3의 조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
    XWO3-YLi2O (3)
    상기 식에서, X+Y=1의 조건을 만족한다.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의 평균 입경은 1 내지 50 ㎛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정질 상에서 리튬 산화물과 텅스텐 산화물의 함량은 코어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리튬 산화물이 0.01 내지 2 중량부이고, 텅스텐 산화물이 0.1 내지 2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층의 두께는 0.01 내지 1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층은 코어의 표면적을 기준으로 40 내지 100%의 표면적을 도포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양극 활물질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코어용 리튬 복합금속 산화물 분말에 텅스텐 함유 분말 또는 텅스텐 함유 분말 및 리튬 함유 분말을 혼합하고, 비정질 코팅층이 형성되는 온도 범위에서, 산소를 함유하는 분위기 하에 소성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리튬 복합금속 산화물 분말과 텅스텐 함유 분말을 혼합하여 소성하고, 상기 비정질 코팅층의 리튬 산화물은 리튬 복합금속 산화물 분말의 표면에 존재하는 리튬 함유 성분으로부터 유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 범위는 500℃ 이하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 범위는 200℃ 내지 500℃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12.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양극 활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전지.
KR1020190071243A 2019-06-17 2019-06-17 리튬 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 KR1022659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1243A KR102265999B1 (ko) 2019-06-17 2019-06-17 리튬 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
US17/620,190 US20220367856A1 (en) 2019-06-17 2020-06-15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for lithium secondary battery
PCT/KR2020/007681 WO2020256358A1 (ko) 2019-06-17 2020-06-15 리튬 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1243A KR102265999B1 (ko) 2019-06-17 2019-06-17 리튬 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3778A true KR20200143778A (ko) 2020-12-28
KR102265999B1 KR102265999B1 (ko) 2021-06-17

Family

ID=740406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1243A KR102265999B1 (ko) 2019-06-17 2019-06-17 리튬 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20367856A1 (ko)
KR (1) KR102265999B1 (ko)
WO (1) WO202025635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3143776A (ja) 2022-03-23 2023-10-06 エボニック オペレーションズ ゲーエムベーハー 非晶質リチウム含有粉末で被覆された遷移金属酸化物粒子およびそのエネルギー貯蔵デバイスにおける使用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52866A (ja) 2012-01-25 2013-08-08 Sumitomo Metal Mining Co Ltd 非水系電解質二次電池用正極活物質とその製造方法、および該正極活物質を用いた非水系電解質二次電池
KR20130125732A (ko) 2012-05-09 2013-11-19 케이2 시스템즈 게엠베하 태양 전지판 홀더
KR20130140194A (ko) 2011-04-19 2013-12-23 도요타지도샤가부시키가이샤 리튬 2차 전지
KR20160026402A (ko) * 2014-09-01 2016-03-09 주식회사 엘지화학 리튬이차전지용 양극활물질,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이차전지
KR20160050835A (ko) 2014-10-31 2016-05-11 주식회사 엘지화학 리튬 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 및 이를 포함하는 양극 및 리튬 이차전지
KR20160110999A (ko) 2014-07-21 2016-09-23 노스이스턴 유니버시티 급속 연속 마그네슘 제련방법
KR20180090211A (ko) * 2017-02-02 2018-08-10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전지용 양극활물질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40383A (ja) * 2008-08-06 2010-02-18 Sony Corp 正極活物質の製造方法および正極活物質
KR20140044594A (ko) * 2012-10-05 2014-04-1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튬 이차 전지용 양극 활물질층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리튬 이차 전지
CN106663780B (zh) * 2014-07-30 2020-03-10 三洋电机株式会社 非水电解质二次电池用正极和非水电解质二次电池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40194A (ko) 2011-04-19 2013-12-23 도요타지도샤가부시키가이샤 리튬 2차 전지
JP2013152866A (ja) 2012-01-25 2013-08-08 Sumitomo Metal Mining Co Ltd 非水系電解質二次電池用正極活物質とその製造方法、および該正極活物質を用いた非水系電解質二次電池
KR20130125732A (ko) 2012-05-09 2013-11-19 케이2 시스템즈 게엠베하 태양 전지판 홀더
KR20160110999A (ko) 2014-07-21 2016-09-23 노스이스턴 유니버시티 급속 연속 마그네슘 제련방법
KR20160026402A (ko) * 2014-09-01 2016-03-09 주식회사 엘지화학 리튬이차전지용 양극활물질,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이차전지
KR20160050835A (ko) 2014-10-31 2016-05-11 주식회사 엘지화학 리튬 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 및 이를 포함하는 양극 및 리튬 이차전지
KR20180090211A (ko) * 2017-02-02 2018-08-10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전지용 양극활물질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5999B1 (ko) 2021-06-17
US20220367856A1 (en) 2022-11-17
WO2020256358A1 (ko) 2020-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20903B1 (ko) 리튬이차전지용 니켈계 활물질 전구체, 그 제조방법, 이로부터 형성된 리튬이차전지용 니켈계 활물질 및 이를 포함하는 양극을 함유한 리튬이차전지
US9368791B2 (en) Cathode active material,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and lithium secondary batteries including the same
KR100428616B1 (ko) 리튬 이차 전지용 양극 활물질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2212549B1 (ko) 리튬 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
KR101925105B1 (ko) 양극 활물질,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JP7027387B2 (ja) ドープニオブ酸チタンおよび電池
KR20140119621A (ko) 리튬 과량 양극활물질 제조용 전구체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리튬 과량 양극활물질
US10224539B2 (en) Surface modified cathode with improved lithium intercalation behavior
KR20190134064A (ko)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활물질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60081111A (ko) 복합 양극 활물질, 그 제조방법, 이를 포함하는 양극 및 리튬이차전지
KR20180065944A (ko) 리튬이차전지용 니켈계 활물질,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양극을 함유한 리튬이차전지
KR102455642B1 (ko) 리튬 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
WO2015079744A1 (ja) 電極材料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824931B1 (ko) 활물질. 그 제조방법 및 이를 구비한 리튬 이차 전지
KR102265999B1 (ko) 리튬 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
KR102249563B1 (ko) 리튬 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
KR102534215B1 (ko) Si계 음극을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KR102505370B1 (ko) 리튬 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
TWI705952B (zh) 摻雜鈮酸鈦與電池
KR102266000B1 (ko) 리튬 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
US8889297B2 (en) Nanocomposite cathode active material for lithium secondary batteries,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and lithium secondary batteries comprising the same
KR20190113657A (ko) 전고체 전지용 전극재의 제조방법
KR100420050B1 (ko) 리튬 이차 전지용 망간계 양극 활물질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190087854A (ko) 리튬 이차 전지
KR20190059483A (ko) 리튬 이차 전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