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42204A - 치과용 핸드피스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치과용 핸드피스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42204A
KR20200142204A KR1020190069131A KR20190069131A KR20200142204A KR 20200142204 A KR20200142204 A KR 20200142204A KR 1020190069131 A KR1020190069131 A KR 1020190069131A KR 20190069131 A KR20190069131 A KR 20190069131A KR 20200142204 A KR20200142204 A KR 202001422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dental handpiece
bur
bur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91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주한
Original Assignee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691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42204A/ko
Publication of KR202001422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4220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007Control devices or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08Accessories or related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007Control devices or systems
    • A61C1/0015Electrical systems
    • A61C1/0023Foot contr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2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characterised by the drive of the dental tools
    • A61C1/06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characterised by the drive of the dental tools with electric dr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8Machine par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61C1/18Flexible shafts; Clutches or the like; Bearings or lubricating arrangements; Drives or transmissions
    • A61C1/185Drives or transmissions
    • A61C1/186Drives or transmissions with torque adjusting or limi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08Accessories or related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B2090/0803Counting the number of times an instrument is us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0/00Constructional details of operational features of apparatus; Accessories for medical measuring apparatus
    • A61B2560/02Operational features
    • A61B2560/0266Operational features for monitoring or limiting apparatus function
    • A61B2560/028Arrangements to prevent overuse, e.g. by counting the number of us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Dent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a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과용 핸드피스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치과용 핸드피스 제어 장치는, 치과용 핸드피스의 일단에 장착되어 회전하는 버(burr)의 특성 정보를 획득하는 특성 정보 획득부; 상기 버의 장착 여부 정보 및 회전수를 획득하는 동작 정보 획득부; 상기 획득된 특성 정보 및 상기 획득된 회전수를 표시하는 표시부; 및 상기 버가 상기 일단에 장착되고 상기 획득된 회전수가 상기 특성 정보에 포함되는 한계 회전수를 초과하는 경우, 회전수 초과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치과용 핸드피스 제어 장치 {Control device for dental handpiece}
본 발명은 치과용 핸드피스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치과용 핸드피스(dental handpiece)는, 충치 치료 등 치과 진료 시에 치아 등을 절삭하는 시술 기구이다. 일단에 버(burr)가 부착 가능하며, 부착된 버를 회전시켜 치아를 절삭한다.
이러한 핸드피스는 그 제어 장치와 함께, 수진자가 수용되는 치과용 체어 유니트에 장착되는 경우가 많다. 체어 유니트는 치과 등에서 수진자를 수용하는 장비로서, 수진자의 머리를 받치는 헤드레스트 등을 받치는 등받이 및 엉덩이와 다리를 받치는 다리받침을 기본적으로 포함하고, 치과용 핸드피스와 같은 시술기구를 거치하는 진료 테이블, 수진자가 침 또는 구강을 세척할 수 있도록 물을 공급하는 양치용 급수대 및 타구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핸드피스의 제어 장치의 하드웨어는 기구적으로 상기와 같은 진료 테이블에 장착될 수 있다. 물론 독립적인 장치로서 휴대 또는 이동이 간편한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치과용 핸드피스(dental handpiece) 중에는 회전형 전기 모터를 포함하여 상기 버(bur)와 같은 공구를 회전 시키는 전기모터 타입 핸드피스가 있다. 이러한 전동식 핸드피스는 풋 컨트롤러로부터 회전수를 제어하는 전압 신호를 입력 받고, 상기 전압 신호에 대응하는 주파수 및 세기를 갖는 전류를 모터 기구부의 전자석에 공급함으로써 회전자의 회전 속도를 제어하는 모터 드라이버 회로를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회전형 전기 모터 타입 핸드피스는 회전 속도를 손쉽게, 그리고 원하는 만큼 일정하게 제어할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편리한 사용성을 지닌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종래 기술에서는 치과 진료시 사용하는 버의 종류 및 사용 시간 등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기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 즉, 의사가 진료 전에 직접 버를 끼우는 경우, 시술에 적합하지 않은 것을 끼우거나, 속도 제한이 있는 버를 고속으로 회전시켜 문제가 야기될 우려가 있다. 또한 버는 반복되는 사용으로 인하여 절삭력이 약해지게 되므로, 적절할 때 교체해 주어야 함에도 육안으로는 교체 시기를 판단하기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치과용 핸드 피스에 장착되는 버(burr)의 개별 특성에 기반하여, 잘못된 사용을 방지하는 기능을 지닌 치과용 핸드피스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치과용 핸드피스의 버(burr)의 교체 시기를 산정하여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치과용 핸드피스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치과용 핸드피스 제어 장치는, 치과용 핸드피스의 일단에 장착되어 회전하는 버(burr)의 특성 정보를 획득하는 특성 정보 획득부; 상기 버의 장착 여부 정보 및 회전수를 획득하는 동작 정보 획득부; 상기 획득된 특성 정보 및 상기 획득된 회전수를 표시하는 표시부; 및 상기 버가 상기 일단에 장착되고 상기 획득된 회전수가 상기 특성 정보에 포함되는 한계 회전수를 초과하는 경우, 회전수 초과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회전수 초과 정보가 생성된 경우, 상기 한계 회전수 이하로 상기 버가 회전하도록 상기 치과용 핸드피스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동작 정보 획득부는, 외부의 풋 콘트롤러의 동작에 따라 상기 치과용 핸드피스의 버 구동 입력 정보를 더 획득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회전수 초과 정보가 생성되지 않은 경우, 상기 버 구동 입력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버가 회전하도록 상기 치과용 핸드피스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동작 정보 획득부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회전수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버의 특성 정보, 형상 및 종류를 포함하는 버 관련 정보를 나타내는 GUI(graphical user interface)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특성 정보 획득부는, 상기 버의 보관 용기의 일면에 형성된, 바코드 또는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태그로부터 상기 특성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획득하고, 상기 GUI(Graphical User Interface)는 상기 획득된 특성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특성 정보는, 상기 버의 모델명 정보, 사용 회수 정보, 사용 시간 정보, 사용 날짜 정보, 입자 크기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 회수 정보, 상기 사용 시간 정보 및 상기 사용 날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상기 버의 교체 요청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교체 요청 정보를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치과용 핸드피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치과용 핸드피스는, 상기 버가 상기 일단에 장착된 것을 감지하여 상기 장착 여부 정보를 생성하는 감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치과용 핸드피스는, 상기 버의 실제 회전에 따라 상기 회전수의 신호를 생성하는 신호 생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는, 상기 치과용 핸드피스의 일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치과용 핸드피스 제어 장치는, 치과용 핸드피스의 일단에 장착되어 회전하는 버(burr)의 특성 정보를 획득하는 특성 정보 획득부; 상기 버의 장착 여부 정보 및 회전수를 획득하는 동작 정보 획득부; 상기 획득된 특성 정보 및 상기 획득된 회전수를 표시하는 표시부; 및 상기 버가 상기 일단에 장착되고 상기 획득된 회전수가 상기 특성 정보에 포함되는 한계 회전수를 초과하는 경우, 회전수 초과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회전수 초과 정보가 생성된 경우, 상기 한계 회전수 이하로 상기 버가 회전하도록 상기 치과용 핸드피스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동작 정보 획득부는, 외부의 풋 콘트롤러의 동작에 따라 상기 치과용 핸드피스의 버 구동 입력 정보를 더 획득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회전수 초과 정보가 생성되지 않은 경우, 상기 버 구동 입력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버가 회전하도록 상기 치과용 핸드피스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동작 정보 획득부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회전수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버의 특성 정보, 형상 및 종류를 포함하는 버 관련 정보를 나타내는 GUI(graphical user interface)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특성 정보 획득부는, 상기 버의 보관 용기의 일면에 형성된, 바코드 또는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태그로부터 상기 특성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획득하고, 상기 GUI(Graphical User Interface)는 상기 획득된 특성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특성 정보는, 상기 버의 모델명 정보, 사용 회수 정보, 사용 시간 정보, 사용 날짜 정보, 입자 크기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 회수 정보, 상기 사용 시간 정보 및 상기 사용 날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상기 버의 교체 요청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교체 요청 정보를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치과용 핸드피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치과용 핸드피스는, 상기 버가 상기 일단에 장착된 것을 감지하여 상기 장착 여부 정보를 생성하는 감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치과용 핸드피스는, 상기 버의 실제 회전에 따라 상기 회전수의 신호를 생성하는 신호 생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는, 상기 치과용 핸드피스의 일면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치과용 핸드피스에 장착되는 버(burr)의 개별적 특성을 감지하고, 이러한 개별적 특성에 따라 오동작을 방지함으로써, 치과용 핸드피스의 고장을 줄이고 수명 단축을 피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버(burr)의 교체 시기를 정확히 산정하여 사용자에게 알려 줌으로써, 치과 진료 및 관리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기존 기술에 따른 치과용 핸드피스 제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치과용 핸드피스 제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치과용 핸드피스 제어 장치의 표시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버의 보관 용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에 대한 기술적 구성을 비롯한 작용 효과에 관한 사항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가 도시된 도면을 참조한 아래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서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기술 등은 첨부되는 도면들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함과 더불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시의 간략화 및 명료화를 위해, 도면은 일반적 구성 방식을 도시하고, 본 발명의 설명된 실시 예의 논의를 불필요하게 불명료하도록 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 공지된 특징 및 기술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도면의 구성요소는 반드시 축척에 따라 그려진 것은 아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실시 예의 이해를 돕기 위해 도면의 일부 구성요소의 크기는 다른 구성요소에 비해 과장될 수 있다. 서로 다른 도면의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내고, 유사한 참조부호는 반드시 그렇지는 않지만 유사한 구성요소를 나타낼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기존 기술에 따른 치과용 핸드피스 제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과 진료 중에 수진자(受診者)를 수용하는 치과용 유니트 체어(10)는 핸드피스, 스케일러와 같은 치과용 시술기구(14), 수진자가 가글하기 위한 물을 공급하는 양치용 급수대(15), 수진자를 수용하는 체어(16), 상기 치과용 시술기구(14)를 거치하는 진료 테이블(17), 수진자가 침을 뱉는 타구대(19) 및 풋 컨트롤러(18)를 포함할 수 있다.
치과용 핸드피스의 사용자(의료진)는 치과 진료를 위해 먼저 상기 진료 테이블(17)에서 상기 치과용 핸드피스를 탈거하게 된다. 이후 사용자는 풋 컨트롤러(18)에 구비된 페달을 밟음으로써 상기 치과용 핸드피스에 포함된 회전 모터를 회전시키기 위한 명령을 입력한다. 상기 풋 컨트롤러(18)는 상기 페달이 눌림에 따른 회전 모터의 회전수 제어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상기 회전 모터에 연결 또는 내장된 모터 드라이버에서는 상기 회전 수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회전 모터의 회전수를 제어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 회전수는 회전 모터의 회전 속도를 나타내는 값으로서, 대표적으로 분당 회전수(RPM)일 수 있다. 다만, 이에 국한되지 않고, 회전 속도를 대표할 수 있는 다양한 단위의 값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진료 테이블(17)에는 상기 치과용 시술기구(14)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조작반(21) 및 디스플레이(20)가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치과용 핸드피스 제어 장치(100)는 이러한 조작반(21) 및 디스플레이(20)의 구성을 포함하고 치과용 체어 유니트(10)에 장착되거나 상기 치과용 체어 유니트(10)에 포함될 수 있다.
도 1 (b)는 기존의 독립형 치과용 치료기를 나타내고 있다. 도 1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독립형 치과용 치료기는 조작반(52)과 디스플레이(51)를 포함하는 핸드피스 제어 장치와 핸드피스(55)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치과용 핸드피스 제어 장치(100)는, 이러한 독립형 치과용 치료기에 포함된 핸드피스 제어 장치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이 밖에도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치과용 핸드피스 제어 장치(100)는 별도의 PC나 스마트폰과 같은 별도의 단말기에 구현되어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치과용 핸드피스(2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치과용 핸드피스 제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치과용 핸드피스 제어 장치(100)는 치과용 핸드피스(200)가 회전하는 속도 등을 제어하는 장치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치과용 핸드피스 제어 장치(100)는, 특성 정보 획득부(110), 동작 정보 획득부(120), 표시부(130) 및 제어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특성 정보 획득부(110)는, 치과용 핸드피스(200)의 일단에 장착되어 회전하는 버(burr)(300)의 특성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버(burr)는, 치아에 밀착되어 회전함으로써 치아를 삭제하는 공구로서 치과용 핸드피스(200)의 회전 모터(미도시) 및 버 고정부(미도시)를 포함하는 버 구동부(230)에 장착이 가능하다.
치과 진료 현장에서 버(300)는 일반적으로 복수 개가 다양한 형상 및 재질로 구비된다. 이러한 복수 개로 구비된 버는, 치료의 구체적인 목적, 삭제의 범위, 삭제 대상물의 종류(치아/보철물 등), 삭제 대상물의 구강 내 위치나 굳기(경도)에 따라 선택이 가능하다. 특히 최근에는 다이아몬드와 같은 입자를 표면에 구비함으로써, 예전보다 경도가 높은 보철물을 삭제 가능한 버가 등장하여 광범위하게 활용되고 있다.
상기 특성 정보 획득부(110)에서 획득되는 특성 정보는, 상기와 같은 버의 개별적인 특성을 반영하는 정보일 수 있다. 다만, 사용자의 입장에서 유용한 형태로 표현되어 포함될 수 있다. 이를테면, 버가 견딜 수 있는 회전수의 한계값(한계 회전수)와 같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작 정보 획득부(120)는, 상기 버(300)의 장착 여부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핸드피스(300)는 상기 버(300)가 장착될 경우, 이를 감지하는 감지부(21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감지부(200)는 버(300)가 감지될 경우, 상기 버(300)가 장착되었다는 정보를 포함하는 전기적 신호를 생성하는 수단을 포함하여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마이크로 스위치 또는 적외선 센서 등을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동작 정보 획득부(120)는, 상기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상기 버(300)의 장착 여부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동작 정보 획득부(120)는 버(300)의 회전수를 획득할 수 있다. 이러한 회전수는 실시 예에 따라 버(300)가 실제로 회전하는 회전수일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의 입력에 기반하여 획득되는 회전수일 수 있다. 또는 회전 모터(미도시)의 구동 입력값 등의 정보를 통해 산정되는 회전수일 수 있다.
이와 같이 회전수를 획득하기 위해 상기 동작 정보 획득부(120)는 사용자로부터 회전수 관련 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작 정보 획득부(120)는, 다른 실시 예로, 상기 핸드피스(200)의 버 구동부(230)로부터 상기 회전수 산정을 위한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 수단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로, 핸드피스(200)의 회전 모터(미도시)는 유도 전동기, BLDC 모터 등의 상용 모터로 구현되고, 상기 회전수는 홀센서, 엔코더와 같은 회전 검출 수단에서 검출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치과용 핸드피스 제어 장치의 표시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표시부(130)는, 상기 획득된 특성 정보 및 상기 획득된 회전수를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표시부(130)는 체어 유니트(10)의 디스플레이(20), 또는 독립형 핸드피스 제어 장치(50)의 디스플레이(51)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이 밖에도, 별도의 데스크탑 컴퓨터나 모바일 단말기 등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특성 정보 획득부(110)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특성 정보 획득부(110)로부터 상기 특성 정보를 전달 받아 필요한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동작 정보 획득부(120)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동작 정보 획득부(120)로부터 상기 회전수 및 버의 장착 여부 정보를 전달 받아 필요한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40)는, 제어에 필요한 연산을 수행하기 위하여 마이크로프로세서, 메모리와 같은 하드웨어 및 제어 알고리즘이 구현된 소프트웨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장착 여부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버(300)가 상기 일단에 장착되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버(300)가 상기 일단에 장착되고 상기 획득된 회전수가 상기 특성 정보에 포함되는 한계 회전수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회전수 초과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생성된 회전수 초과 정보를 상기 표시부(130)에 표시할 수 있다.
도 3의 실시 예에서, 선택된 버(300)의 한계 회전수는 10,000 rpm이고, 회전수는 40,000 rpm이다. 회전수가 한계 회전수를 초과하였으므로, 제어부(140)의 제어에 따라, 표시부(130)에 회전수 초과 정보가 켜진 램프 형상으로 표현되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회전수 초과 정보가 생성된 경우, 상기 한계 회전수 이하로 상기 버(300)가 회전하도록 상기 치과용 핸드피스(20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버(300)가 회전하는 실제 속도가 버(300)의 개별 특성에 따른 한계치를 벗어나지 않도록 제어함으로써, 상기 버(300)의 오사용 및 수명 단축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동작 정보 획득부(120)는, 외부의 풋 콘트롤러(18)의 동작에 따라 상기 치과용 핸드피스(200)의 버 구동 입력 정보를 더 획득할 수 있다.
사용자는 핸드피스를 동작시키기 위해, 보다 구체적으로 버(300)를 회전 구동시키기 위한 명령, 즉 버 구동 입력 정보를 상기 풋 콘트롤러(18)의 페달을 발로 밟는 동작을 통해 입력할 수 있다.
풋 컨트롤러(18)는, 제어 신호 생성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 신호 생성기(미도시)는 상기 페달의 눌린 정도, 즉 변위에 대응하는 버 구동 입력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제어 신호 생성기(340)는 가변저항을 포함하여, 0-5V 사이의 전압을, 상기 버 구동 입력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로서 생성 및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는 상기 버 구동 입력 정보는 제어부(140)에서 상기 0-5V 사이의 전압을 가공하여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노이즈 필터, PWM 신호 변환 등의 가공이 이루어 질 수 있다.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회전수 초과 정보가 생성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버 구동 입력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버(300)가 회전하도록 상기 치과용 핸드피스(200)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버 구동 입력 정보는, 버의 회전 속도 조절을 위한 제어 입력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작 정보 획득부(120)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회전수를 획득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회전수는 일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값일 수 있다.
상기 회전수가 버(300)의 개별 특성에 따라 지정된 한계 회전수를 초과하지 않는 경우에, 상기 회전수는 상기 버 구동부(23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기준값으로 기능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회전수는 버가 실제로 회전하는 회전수의 상한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수를 기반으로 상기 구동부(230)의 제어를 위한 제어값이 산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풋 콘트롤러를 절반만 밟은 경우에 있어서, 상기 회전수의 절반에 해당하는 속도로 상기 버(300)가 회전하도록 상기 구동부(230)를 제어하는 제어값을 상기 제어부(140)가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버(300)의 특성 정보, 형상 및 종류를 포함하는 버 관련 정보를 나타내는 GUI(Graphical User Interface)(111)를 상기 표시부(130)에 표시할 수 있다. 도 3의 실시 예에서, 표시부(130)는 버(300)의 특성 정보와 함께, 버(300)의 형상을 그림으로 표시하고, 그 종류를 상기 그림의 배경 색상으로 표시하고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버의 보관 용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특성 정보 획득부(110)는, 상기 버(300)의 보관 용기의 일면에 형성된, 바코드(도 4 (a)) 또는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태그(도 4 (b))로부터 상기 특성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획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버(300)에 대응되는 바코드 또는 RFID 태그를 통해 버(300)가 선택되었다는 정보 및 버의 특성 정보를 제어부(140)가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보관 용기에서 정확한 버(300)의 출납 관리가 가능해 진다.
이를 위해 상기 특성 정보 획득부(110)는 바코드 리더(112) 또는 RFID 태그 리더(1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GUI(Graphical User Interface)(111)는 상기 획득된 특성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도 3의 실시 예에서는 GUI 상에서 선택된 버(300)에 대응하는 영역이 점선으로 강조되고, 그 특성 정보가 오른 편에 표시되어 있다.
상기 특성 정보는, 상기 버(300)의 모델명 정보, 사용 회수 정보, 사용 시간 정보, 사용 날짜 정보, 입자 크기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특성 정보 중 사용 회수 정보, 사용 시간 정보, 사용 날짜 정보는 상기 바코드 또는 RFID 태그를 통해서 획득되기 어려울 수 있다. 이러한 정보는 DB에 포함되어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장치(100)는, 저장부(미도시)를 포함하여 상기 DB를 저장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 상기 장치(100)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부(미도시)를 포함하여, 외부의 서버에 구축된 DB로부터 상기 사용 회수 정보, 사용 시간 정보, 사용 날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러한 DB에는 상기 장치(100)의 작동 기록 데이터가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데이터에는 상기 사용 회수 정보, 사용 시간 정보 및 사용 날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버(300) 별로 상기 사용 회수 정보, 사용 시간 정보, 사용 날짜 정보가 상기 DB에 저장되어, 이를 기반으로 제어부(140)가 사용자의 버 사용 패턴을 인식할 수 있다. 또한, 버(300)의 사용 회수 정보, 사용 시간 정보, 사용 날짜 정보와 함께 사용자가 입력한 회전수 및 풋 콘트롤러를 통해 입력한 버 구동 입력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사용 패턴에 에게 맞는 특성 정보를 지닌 버를 추천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사용 회수 정보, 상기 사용 시간 정보 및 상기 사용 날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상기 버(300)의 교체 요청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교체 요청 정보를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버(300)의 사용 회수가 100회 이상인 경우, 교체하라는 정보를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는 누적 사용 시간이 400분 이상인 경우 교체하라는 정보를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는 사용 회수와 누적 사용 시간을 테이블로 구성하여, 사용 회수가 70회 이상이면서 누적 사용 시간이 300분 이상인 경우에는 교체하라는 정보를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지난 번의 사용 날짜가 금일로부터 200일 이상 이전인 경우에는 상기 기준값들을 하향 조정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상기 장치(100)는, 상기 치과용 핸드피스(2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치과용 핸드피스(200)는, 상기 버(300)가 상기 일단에 장착된 것을 감지하여 상기 장착 여부 정보를 생성하는 감지부(2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지부(200)는 버(300)가 감지될 경우, 상기 버(300)가 장착되었다는 정보를 포함하는 전기적 신호를 생성하는 수단을 포함하여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마이크로 스위치 또는 적외선 센서 등을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동작 정보 획득부(120)는, 상기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상기 버(300)의 장착 여부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치과용 핸드피스(200)는, 상기 버(300)의 실제 회전에 따라 상기 회전수의 신호를 생성하는 신호 생성부(2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신호 생성부(220)는, 일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버 구동부(230)에 포함된 회전 모터(미도시)의 회전에 의해 발생하여 권선에 유기되는 역기전압의 파형을 검출하는 전자회로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표시부(130)는, 상기 치과용 핸드피스(200)의 일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표시부(130)를 상기 핸드피스(200)의 일면에 구비함으로써, 사용자가 시술 중에 보다 편리하게 상기 특성 정보 및 회전수 등을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제 1", "제 2", "제 3" 및 "제 4" 등의 용어는, 만약 있는 경우, 유사한 구성요소 사이의 구분을 위해 사용되며, 반드시 그렇지는 않지만 특정 순차 또는 발생 순서를 기술하기 위해 사용된다. 그와 같이 사용되는 용어는 여기에 기술된 본 발명의 실시 예가, 예컨대, 여기에 도시 또는 설명된 것이 아닌 다른 시퀀스로 동작할 수 있도록 적절한 환경하에서 호환 가능한 것이 이해될 것이다. 마찬가지로, 여기서 방법이 일련의 단계를 포함하는 것으로 기술되는 경우, 여기에 제시된 그러한 단계의 순서는 반드시 그러한 단계가 실행될 수 있는 순서인 것은 아니며, 임의의 기술된 단계는 생략될 수 있고/있거나 여기에 기술되지 않은 임의의 다른 단계가 그 방법에 부가 가능할 것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의 "왼쪽", "오른쪽", "앞", "뒤", "상부", "바닥", "위에", "아래에" 등의 용어는, 설명을 위해 사용되는 것이며, 반드시 불변의 상대적 위치를 기술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그와 같이 사용되는 용어는 여기에 기술된 본 발명의 실시 예가, 예컨대, 여기에 도시 또는 설명된 것이 아닌 다른 방향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적절한 환경하에서 호환 가능한 것이 이해될 것이다. 여기서 사용된 용어 "연결된"은 전기적 또는 비 전기적 방식으로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접속되는 것으로 정의된다. 여기서 서로 "인접하는" 것으로 기술된 대상은, 그 문구가 사용되는 문맥에 대해 적절하게, 서로 물리적으로 접촉하거나, 서로 근접하거나, 서로 동일한 일반적 범위 또는 영역에 있는 것일 수 있다. 여기서 "일 실시 예에서"라는 문구의 존재는 반드시 그런 것은 아니지만 동일한 실시 예를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연결된다', '연결하는', '체결된다', '체결하는', '결합된다', '결합하는' 등과 이런 표현의 다양한 변형들의 지칭은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를 통해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명세서를 통해 개시된 모든 실시 예들과 조건부 예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가 독자가 본 발명의 원리와 개념을 이해하도록 돕기 위한 의도로 기술된 것으로, 당업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 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체어 유니트 14: 치과용 시술기구
15: 양치용 급수대
16: 체어 17: 진료 테이블
18: 풋 컨트롤러 19: 스피툰
20: 디스플레이 21: 조작반
50: 치과용 치료기 51: 디스플레이
52: 조작반 55: 핸드피스
56: 버
100: 치과용 핸드피스 제어 장치 110: 특성 정보 획득부
111: GUI(Graphical User Interface)
112: 바코드 리더 113: RFID 태그 리더
120: 동작 정보 획득부 130: 표시부
140: 제어부
200: 치과용 핸드피스 210: 감지부
220: 회전수 신호 생성부 230: 버 구동부
300: 버 400: 용기
410: 바코드 420: RFID 태그

Claims (11)

  1. 치과용 핸드피스의 일단에 장착되어 회전하는 버(burr)의 특성 정보를 획득하는 특성 정보 획득부;
    상기 버의 장착 여부 정보 및 회전수를 획득하는 동작 정보 획득부;
    상기 획득된 특성 정보 및 상기 획득된 회전수를 표시하는 표시부; 및
    상기 버가 상기 일단에 장착되고 상기 획득된 회전수가 상기 특성 정보에 포함되는 한계 회전수를 초과하는 경우, 회전수 초과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치과용 핸드피스 제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회전수 초과 정보가 생성된 경우, 상기 한계 회전수 이하로 상기 버가 회전하도록 상기 치과용 핸드피스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핸드피스 제어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정보 획득부는,
    외부의 풋 콘트롤러의 동작에 따라 상기 치과용 핸드피스의 버 구동 입력 정보를 더 획득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회전수 초과 정보가 생성되지 않은 경우, 상기 버 구동 입력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버가 회전하도록 상기 치과용 핸드피스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핸드피스 제어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정보 획득부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회전수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핸드피스 제어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버의 특성 정보, 형상 및 종류를 포함하는 버 관련 정보를 나타내는 GUI(Graphical User Interface)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핸드피스 제어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특성 정보 획득부는,
    상기 버의 보관 용기의 일면에 형성된, 바코드 또는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태그로부터 상기 특성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획득하고,
    상기 GUI(Graphical User Interface)는 상기 획득된 특성 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핸드피스 제어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특성 정보는,
    상기 버의 모델명 정보, 사용 회수 정보, 사용 시간 정보, 사용 날짜 정보, 입자 크기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핸드피스 제어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 회수 정보, 상기 사용 시간 정보 및 상기 사용 날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상기 버의 교체 요청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교체 요청 정보를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핸드피스 제어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치과용 핸드피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치과용 핸드피스는,
    상기 버가 상기 일단에 장착된 것을 감지하여 상기 장착 여부 정보를 생성하는 감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핸드피스 제어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치과용 핸드피스는,
    상기 버의 실제 회전에 따라 상기 회전수의 신호를 생성하는 신호 생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핸드피스 제어 장치.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치과용 핸드피스의 일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핸드피스 제어 장치.
KR1020190069131A 2019-06-12 2019-06-12 치과용 핸드피스 제어 장치 KR2020014220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9131A KR20200142204A (ko) 2019-06-12 2019-06-12 치과용 핸드피스 제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9131A KR20200142204A (ko) 2019-06-12 2019-06-12 치과용 핸드피스 제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2204A true KR20200142204A (ko) 2020-12-22

Family

ID=740865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9131A KR20200142204A (ko) 2019-06-12 2019-06-12 치과용 핸드피스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4220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60242623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visualizing data and images and for controlling a medical device through a wearable electronic device
EP3395291B1 (en) Dental instrument hanger
JP4763637B2 (ja) 根管長測定器及び根管治療器
JP2016528020A (ja) コンピュータにより実行される歯科修復物設計
JP5711182B2 (ja) 医療用診療装置
ATE342011T1 (de) Systeme zur lokalisierung der spitze eines zahnwurzels
WO2013014662A2 (en) An integrative system for dental procedures
JPWO2018221027A1 (ja) 医療用診療装置
WO2014140572A1 (en) Instrument for preparing an osteotomy
WO2016161436A1 (en) Dental devices and related technology
JP4719869B2 (ja) 計測機能を備えた歯科用超音波スケーラ
WO2005115271A1 (en) Measuring instrument system for endodontic len
KR20200142204A (ko) 치과용 핸드피스 제어 장치
US20190254774A1 (en) Root canal treatment support apparatus, medium having program recorded thereon, root canal treatment apparatus, and root canal treatment support system
EP3833294B1 (en) Electric dental handpiece and wearable controller
KR102112852B1 (ko) 치과용 시술기구 고장 검출 장치 및 방법
EP3338727B1 (en) Endodontic handpiece
JP2013233303A (ja) 歯科用計測装置
EP3682840B1 (en) Root canal treatment support apparatus, program, root canal treatment apparatus, and root canal treatment support system
WO2006046543A1 (ja) 口腔ケアシステム
JP6845923B2 (ja) 医療用診療装置
JP2002011025A (ja) 根管長測定システム
US20070160959A1 (en) Endodontic device for detecting the root canal morphology
Duh In vitro evaluation of the accuracy of Root ZX series electronic apex locators
KR20190028062A (ko) 가상현실 기반의 드릴링 디바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