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41881A - 유지 조성물 및 이의 용도 - Google Patents

유지 조성물 및 이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41881A
KR20200141881A KR1020190068988A KR20190068988A KR20200141881A KR 20200141881 A KR20200141881 A KR 20200141881A KR 1020190068988 A KR1020190068988 A KR 1020190068988A KR 20190068988 A KR20190068988 A KR 20190068988A KR 20200141881 A KR20200141881 A KR 202001418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composition
skin
formula
unsatur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89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46371B1 (ko
Inventor
임동중
김혜원
최연선
김왕배
박진오
박병서
이문원
Original Assignee
대봉엘에스 주식회사
주식회사 일신웰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봉엘에스 주식회사, 주식회사 일신웰스 filed Critical 대봉엘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689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6371B1/ko
Publication of KR202001418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418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63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63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CFATTY ACIDS FROM FATS, OILS OR WAXES; CANDLES; FATS, OILS OR FATTY ACIDS BY CHEMICAL MODIFICATION OF FATS, OILS, OR FATTY ACIDS OBTAINED THEREFROM
    • C11C3/00Fats, oils, or fatty acids by chemical modification of fats, oils, or fatty acids obtained therefrom
    • C11C3/02Fats, oils, or fatty acids by chemical modification of fats, oils, or fatty acids obtained therefrom by esterification of fatty acids with glycer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21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 A61K31/215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 A61K31/22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of acyclic acids, e.g. pravastatin
    • A61K31/23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of acyclic acids, e.g. pravastatin of acids having a carboxyl group bound to a chain of seven or more carbon ato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7Esters of carboxylic acids
    • A61K8/375Esters of carboxylic acids the alcohol moiety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PFERMENTATION OR ENZYME-USING PROCESSES TO SYNTHESISE A DESIRED CHEMICAL COMPOUND OR COMPOSITION OR TO SEPARATE OPTICAL ISOMERS FROM A RACEMIC MIXTURE
    • C12P7/00Preparation of oxygen-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C12P7/64Fats; Fatty oils; Ester-type waxes; Higher fatty acids, i.e. having at least seven carbon atoms in an unbroken chain bound to a carboxyl group; Oxidised oils or fats
    • C12P7/6436Fatty acid esters
    • C12P7/6445Glycerides
    • C12P7/6454Glycerides by esterific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Zo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chemistry (AREA)
  • Birds (AREA)
  • Rheumat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Dermat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물성 오일로부터 제조된 혼합 유지 조성물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에스테르 교환 반응에 의하여 각각의 트리글리세라이드 함량이 최적화되어 사용감이 개선된 혼합 유지 조성물 및 이의 용도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혼합 유지 조성물은 점도를 개선함으로써, 피부 도포 시 피부 흡수력을 증강시키고, 이로 인해 피부 유분감 및 번들거림의 단점을 개선하였을 뿐 아니라, 부드럽고 매끄럽게 피부에 퍼짐으로써 사용감이 개선되어 화장품, 피부 외용제 등으로 널리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유지 조성물 및 이의 용도{LIPID COMPOSITION AND USES THEREOF}
본 발명은 식물성 오일로부터 제조된 혼합 유지 조성물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에스테르 교환 반응에 의하여 각각의 트리글리세라이드 함량이 최적화되어 사용감이 개선된 혼합 유지 조성물 및 이의 용도에 대한 것이다.
식물성 오일은 에스테르 혼합물로 조성되며, 일반적으로 식물성 유지 성분의 약 90~98%는 트리글리세라이드로 구성되어 있고, 모노 및/또는 디 글리세라이드는 10% 미만으로 함유되어 있다.
이러한 식물성 오일 및 지방은 화장품 및 약제 조성물로 폭넓게 사용되고 있으나 피부에 적용하면 오일의 주요구성성분인 트리글리세리드가 피부에 느리게 침투함으로써 기름기가 많아 번들거림이 심하다는 느낌을 나타내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다양한 에스테르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한국 공개특허 제10-2002-0063909호에는 식물성 기원의 오일의 트리글리세리드의 지방 알코올에 의한 에스테르 교환으로부터 유래되는 지방 알코올 및 지방산의 에스테르; 및 상기 에스테르 교환으로부터 유래되는 잔여 트리글리세리드, 디글리세리드, 및 모노글리세리드를 함유하는 제형물이 공지되어 있고, 한국등록특허 제10-0337969호에서는 피부에 대한 내성이 양호, 피부에 잔류물을 남지 않도록 하기 위한 울왁스산 및 부분적 글리세리드로부터 제조된 방취제가 개시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트리글리세리드의 에스테르 교환반응은 트리글리세라이드 간 합성 또는 지방산과 글리세린의 화학적 합성에 의해 제조되는데, 이 경우, 원활한 반응성 유지 위해 100도 이상의 높은 반응온도가 필수적으로 높은 생산비용과 환경오염 유발이 문제이다. 또한 화학반응에 필요한 촉매로 금속촉매 등 다양한 반응 촉매를 사용하게 되는데 이런 촉매는 최종 제품에서의 잔류 문제로 인한 안전성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식용유지의 고온처리에 따른 유지를 구성하고 있는 불포화 지방산의 산패로 인해 최종 제품의 열안정성 및 관능치가 불리하며 이와 같은 품질문제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정제를 위한 복잡하고 고가의 설비가 필요하여 비경제적인 단점이 있다.
상기에서 제기한 바와 같이, 식물성 오일은 화장품 및 약제 조성물로도 폭넓게 사용되고 있으나 아직까지는 사용자의 만족도가 충분하지 않다. 따라서, 피부 적용 시 피부침투율 및 피부 번들거림과 같은 사용자의 만족도를 향상시키면서도 환경오염을 예방할 수 있는 경제적인 공정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2-0063909호 한국등록특허 제10-0337969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친환경적인 식물성 오일의 에스테르 전환반응을 통하여 개별 트리글리세라이드의 함량이 최적화되어 사용감이 개선된 유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유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항염 조성물, 피부외용제 조성물, 식품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제1 트리글리세라이드 화합물 5 ~ 30 중량%,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제2 트리글리세라이드 화합물 10 ~ 70 중량% 및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제3 트리글리세라이드 화합물 10 ~ 70 중량%를 포함하는 혼합 유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상기 화학식 1에서, RL1 내지 RL3는 각각 독립적으로 직쇄 또는 분지쇄의 포화 또는 불포화 C10 ~ C22의 알킬기이고, 서로 같거나 다를 수 있다.
[화학식 2]
Figure pat00002
상기 화학식 2에서, Ra1 내지 Ra3 중 선택된 어느 하나는 수소이거나, 직쇄 또는 분지쇄의 포화 또는 불포화 C1 ~ C9의 알킬기이고,
Ra1 내지 Ra3 중 나머지 다른 둘은 각각 독립적으로 직쇄 또는 분지쇄의 포화 또는 불포화 C10 ~ C22의 알킬기이며, 서로 같거나 다를 수 있다.
[화학식 3]
Figure pat00003
상기 화학식 3에서, Rb1 내지 Rb3 중 선택된 어느 하나는 직쇄 또는 분지쇄의 포화 또는 불포화 C10~C22의 알킬기이고
Rb1 내지 Rb3 중 나머지 다른 둘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이거나, 직쇄 또는 분지쇄의 포화 또는 불포화 C1 ~ C9의 알킬기이며, 서로 같거나 다를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혼합 유지 조성물은 식물성 오일과, 카르복실산 또는 이의 유도체 화합물이 에스테르 교환 반응에 의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식물성 오일은 유자씨유, 동백씨유, 녹차씨유, 코코넛유, 팜유, 팜커널유, 피마자유, 올리브유, 포도씨유, 카놀라유, 홍화유, 미강유, 해바라기유 및 대두유 중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일 수 있다.
상기 에스테르 교환 반응은 리파아제 효소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혼한 유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항염 조성물, 피부 외용제 조성물 또는 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유지 조성물은 식물성 오일의 생물학적 전환 반응을 통한 에스테르화 반응을 이용한 것으로, 친환경적이고, 경제성이 높다.
특히, 본 발명의 혼합 유지 조성물은 점도를 개선함으로써, 피부 도포 시 피부 흡수력을 증강시키고, 이로 인해 피부 유분감 및 번들거림의 단점을 개선하였을 뿐 아니라, 부드럽고 매끄럽게 피부에 퍼짐으로써 사용감이 개선되어 화장품, 피부 외용제 등으로 널리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지 조성물의 안정성을 확인한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 기재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정도'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혼합 유지 조성물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제1 트리글리세라이드 화합물 5 ~ 30 중량%,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제2 트리글리세라이드 화합물 10 ~ 70 중량% 및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제3 트리글리세라이드 화합물 10 ~ 70 중량%를 포함한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4
상기 화학식 1에서, RL1 내지 RL3는 각각 독립적으로 직쇄 또는 분지쇄의 포화 또는 불포화 C10 ~ C22의 알킬기이고, 서로 같거나 다를 수 있다.
[화학식 2]
Figure pat00005
상기 화학식 2에서, Ra1 내지 Ra3 중 선택된 어느 하나는 수소이거나, 직쇄 또는 분지쇄의 포화 또는 불포화 C1 ~ C9의 알킬기이고,
Ra1 내지 Ra3 중 나머지 다른 둘은 각각 독립적으로 직쇄 또는 분지쇄의 포화 또는 불포화 C10 ~ C22의 알킬기이며, 서로 같거나 다를 수 있다.
[화학식 3]
Figure pat00006
상기 화학식 3에서, Rb1 내지 Rb3 중 선택된 어느 하나는 직쇄 또는 분지쇄의 포화 또는 불포화 C10~C22의 알킬기이고
Rb1 내지 Rb3 중 나머지 다른 둘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이거나, 직쇄 또는 분지쇄의 포화 또는 불포화 C1 ~ C9의 알킬기이며, 서로 같거나 다를 수 있다.
일반적으로 글리세라이드는 지방산과 글리세롤의 에스테르 결합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직쇄 또는 분지쇄의 탄소 사슬을 가진 지방산의 종류에 따라 융점, 단단함, 응고점과 같은 물리적/화학적 성질에 영향을 받는다.
예를 들면, 포화지방산이 많이 결합될수록 융점이 높고, 고체상을 보이며, 산화에 대한 안정성이 높아지게 되나, 불포화지방산의 경우 액상을 나타낸다. 그러나, 포화 지방산이더라도 지방산의 사슬이 짧아지면 액상을 띨 수 있다.
또한, 피부에 도포 시에도 지방산의 종류에 따라 피부 침투율 및 안정성 등에 영향을 미치는데, 불포화지방산은 이중결합의 해리성으로 산화도가 높아져 산화안정성이 낮다고 알려져 있는 반면, 리놀레산 및 레놀렌산과 같은 다중불포화지방산은 표피에 함유된 효소에 의해, 특히 경표피 (transepidermal) 수분 손실을 방지할 수 있는 다른 다중불포화 지방산으로 변형될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그리고, 지방산 사슬 길이가 증가할수록 피부 보호막을 형성함으로써 수분 손실 방지효과 및 피부 부드러움의 효과를 나타낼 수 있으나, 표피로의 침투 속도가 낮아서 유분감 및 번들거림을 유발시키는 등 문제도 있다.
본 발명의 혼합 유지 조성물은 조성물의 점도를 개선하기 위하여,
긴사슬 지방산기가 3개 결합된 제1 트리글리세라이드 화합물 5 ~ 30 중량%,
긴사슬 지방산기가 2개, 짧은사슬 지방산기가 1개 결합된 제2 트리글리세라이드 화합물 10 ~ 70 중량%,
긴사슬 지방산기가 1개, 짧은 사슬 지방산기가 2개 결합된 제3 트리글리세라이드 화합물 10 ~ 70 중량%가 포함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제1 트리글리세라이드 화합물 10 ~ 20 중량%, 제2 트리글리세라이드 화합물 20 ~ 50 중량%, 제3 트리글리세라이드 30 ~ 65 중량%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1 트리글리세라이드가 상기 범위 미만으로 존재하면 오일의 점도가 너무 낮아 사용감이 가벼우며, 상기 범위를 초과하여 존재하면 유분감 및 번들거림의 개선도가 충분하지 않다.
또한, 제2 트리글레세라이드가 상기 범위 미만으로 존재하면, 퍼짐성과 매끄러움의 개선도가 충분하지 않고, 상기 범위를 초과하여 존재하면 퍼짐성에 대한 개선도가 충분하지 않다.
또한, 제3 트리글리세라이드가 상기 범위 미만으로 존재하면 매끄러운 감촉이 낮아지고, 상기 범위를 초과하여 존재하면, 점도가 낮아 사용감이 너무 가벼워 진다.
상기 혼합 유지 조성물은 식물성 오일과, 카르복실산 또는 이의 유도체 화합물이 에스테르 교환 반응에 의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식물성 오일은 유자씨유, 동백씨유, 녹차씨유, 코코넛유, 팜유, 팜커널유, 피마자유, 올리브유, 포도씨유, 카놀라유, 홍화유, 미강유, 해바라기유 및 대두유 중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카르복실산으로는 포름산 또는 C1 ~ C9의 알킬기를 포함하는 화합물이 사용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메타노익산, 에타노익산, 프로파노익산, 부타노익산, 펜타노익산, 헥사노익산, 헵타노익산, 옥타노익산, 노나노익산 또는 데카노익산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또한 상기 카르복실산의 유도체는 카르복실산과 다가 알코올의 반응에 의하여 얻어지는 에스테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카르복실산 또는 이의 유도체 화합물은 식물성 오일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 100 중량부가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20 ~ 80 중량부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카르복실산 또는 이의 유도체 화합물이 상기 범위 미만으로 사용되면 에스테르 교환 반응이 충분하게 진행되지 못하고, 상기 범위를 초과하여 사용되면 에스테르 교환 반응이 과도하게 진행되어 원하는 사용감을 얻지 못한다.
상기 에스테르 교환 반응은 리파아제 효소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리파아제 효소는 미생물 유래 효소나 상용화된 효소를 사용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노보자임 435(Novozym 435), 리포자임 RM IM(Lipozyme RM IM) 및 리포자임 TL IM(Lipozyme TL IM)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리포자임 TL IM(Lipozyme TL IM)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에스테르 교환 반응은 반응 시간, 온도 및 교반 속도 등을 적절하게 조절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반응 시간은 3 ~ 50 시간 동안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30 ~ 40 시간 동안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반응 시간이 너무 짧으면 에스테르 교환 반응이 충분하게 진행되지 못하여 최종 생성물의 수득률이 감소하고, 너무 길면 과반응을 야기시켜 원하는 사용감을 얻을 수 없다.
한편 반응 온도는 10 ~ 70 ℃ 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20 ~ 60 ℃ 일 수 있다.
상기 반응 온도가 너무 낮으면 반응이 충분히 진행하지 못하여 최종 생성물의 수득률이 감소하고, 너무 높으면 효소의 활성이 떨어져 효소 무게당 생산성이 급격히 낮아지게 된다.
상기 에스테르 교환반응이 완료된 조성물은 증류 과정을 통하여 트리글리세라이드가 포함된 혼합 유지 조성물로 정제할 수 있으며, 상기 증류 과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아니한다.
위에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혼합 유지 조성물은 에스테르 교환 반응에 의하여 트리글리세리드가 재구성된 것으로, 화학적인 에스테르 교환반응에서 나타나는 여러 문제점이 해결된 친환경적이고 경제성을 높였을 뿐 아니라, 피부에 도포 시 그에 따른 퍼짐성 및 매끄러움 등의 촉감이 개선되었고, 오일의 끈적임 즉, 점도를 개선함으로써 피부 침투율을 증가 및 피부 번들거림 등이 효능이 현저히 개선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혼합 유지 조성물은 화장료 및 피부외용제 조성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혼합 유지 조성물은 항염효능 및 보습, 열 및 온도 등에 대한 안정성이 우수하여 피부 외용제 조성물이나 식품으로도 활용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혼합 유지 조성물 1의 제조
정제 유자씨유와 에타노익산을 각각 1 : 0.3 의 중량비로 총 1kg이 되도록 혼합한 후, 리포자임 TL IM(노보자임 제조) 0.1 kg을 사용하여 30 시간 동안 50 ℃에서 에스테르 교환 반응을 진행하여 유지 조성물을 얻었다. 상기 유지 조성물을 150℃, 0.1 Torr 조건 하에서 분자 증류를 진행하였고 최종 혼합 유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혼합 유지 조성물 2의 제조
정제 동백씨유와 트리카프릴린를 각각 1 : 0.7 중량비로 총 1kg이 되도록 혼합한 후, 리포자임 TL IM(노보자임 제조) 0.1 kg 을 사용하여 30 시간 동안 50 ℃에서 에스테르 교환 반응을 진행하여 유지 조성물을 얻었다.
상기 유지 조성물을 170℃, 0.1 Torr 조건 하에서 분자 증류를 진행하였고 최종 혼합 유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분석조건]
혼합 유지 조성물의 글리세라이드 조성 (HPLC 분석)
칼럼은 수벌코실 LC-Si(Supelcosil LC-Si) 5um, 25cm(Supelco사, 미국)를 사용하며, 이동상용매는 용매 A(벤젠 70: 클로로포름 30: 아세트산 2, 부피비)와 용매 B(에틸 아세테이트)를 쓰고, 샘플 주입 농도는 1 mg/ml(클로로포름 용매)하여, 증발 산란광 검출기(ELSD)를 사용하여 유량속도 2.3ml/min 조건에서 분석하였다. 이를 통하여 각 조성물 내 트리글리세라이드의 함량 비율을 확인하였으며, 이를 하기 표 1에 중량%로 나타내었다.
구분 유자씨유 실시예 1 실시예 2
제3트리글리세라이드 0.9 54.3 39.1
제2트리글리세라이드
(1,3 위치 C10~22 알킬기)
8.4 24.4 32.1
제2트리글리세라이드
(1,2 위치 C10~22 알킬기)
10.4 13.8
제1트리글리세라이드 87.3 10.9 15.0
혼합 유지 조성물의 지방산 분석 (GC 분석)
실시예 1 및 2의 혼합 유지 조성물을 메틸화(methylation)하였고, 수득한 메틸화 샘플 50ul를 1ml의 헥산(hexane)에 용해시켜 분석컬럼 조건(SPTM-2560 Capillary, L 100m, I.D. 0.25 mm, dF 0.2 um), 주입구 조건(250℃, Split Ratio 50:1), 오븐 조건(Flow 1.5ml/min, 및 온도 초기 140℃, 5min, 4℃/min, 210℃(10 min), 240℃(5 min), 250℃(5min)), FID 검출기 조건(250℃, H2 Flow 35 ml/min, Air Flow 300 ml/min, Makeup Flow(He) 20 ml/min)에서 샘플 1 ul를 주입하여 분석하였다.
상기 분석을 통하여 각 조성물 내 카르복실산의 함량 비율을 측정하였으며, 이를 하기 표 2에 중량%로 나타내었다.
구분 유자씨유 동백씨유 실시예 1 실시예 2
에타노익산(Ethanoic acid) 0.0 0.0 47.8 0.0
옥타노익산(Octanoic acid) 0.0 0.0 0.0 41.4
헥사데카노익산(Hexadecanoic acid) 18.09 18.8 11.2 11.1
옥타데카노익산(Octadecanoic acid) 3.26 8.5 2.0 5.0
옥타데카에노익산(Octadecenoic acid) 34.44 71.2 19.6 41.7
옥타데카디에노익산(Octadecadienoic acid) 31.54 1.2 18.6 0.7
옥타데카트리에노익산(Octadecatrienoic acid) 0.0 0.2 0.1 0.1
[실험예 1] 유지 조성물의 사용감 시험평가(Sensory test)
천연오일 사용감 평가를 위해 20-50대 남녀 시험자 11명 선정하여 각 시료량을 2방울씩 도포후 검지와 중지를 사용하여 피부에 도포한 후, 퍼짐성(distribution), 흡수력(Absorption), 매끄러움 (Smoothness), Stickiness(끈적임) 및 Gloss(광택) 5가지 촉감에 대한 평가를 하였다. 시중에서 유통되고 있는 아르간 오일을 기준으로 비교하여 사용감의 정도를 7단계 (-3 ~ +3)로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평가항목 아르간 오일 유자씨유 실시예 1
Gloss 0 0.50 1.50
Stickiness 0 0.25 1.20
Smoothness 0 0.60 -0.60
Distribution 0 0.00 -0.60
Absorption 0 0.60 -0.30
상기 표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혼합유지 A는 퍼짐성(distribution), 흡수력(absorption), 매끄러움(smoothness)의 기능이 현저히 개선되었다.
퍼짐성이란 피부에 도포 시 한쪽으로의 치우침이 없이 전면적에 매끄럽고 균일하게 퍼지는 것을 의미하며, 흡수성이란 피부에 도포 시, 얼마나 빠르게 피부속으로 흡수되는 가를 의미하며, 매끄러움이란 피부에 도포시, 거칠게 느껴지지 않고 얼마나 잘 밀리는가에 대한 것이며, 끈적임이란 피부 도포 시 유산지가 얼마나 들러 붙어 있느냐 하는 정도이며, 광택이란 피부 도포 시 얼마나 반짝거리느냐의 정도를 평가한 것이다.
유자씨유의 경우 아르간 오일보다는 광택감과 퍼짐성에서는 우수하나 끈적임과 매끄러움은 아르간 오일과 유사하다. 반면, 실시예 1의 혼합 유지 조성물은 끈적임과 광택은 유자씨유보다는 낮아진 반면, 분산성과 흡수성, 매끄러움의 측면에서는 현저히 개선되었다. 그 이유를 예측해 보면, 지방산의 체인 길이가 작아짐으로 인해 오일의 점도가 낮아지게 되고, 이에 따른 끈적거림의 정도 개선됨으로 인해 퍼짐성 및 매끄러움이 개선된 것으로 보이며, 피부 흡수도의 증가로 인한 광택의 정도가 감소된 것으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오일류들보다 피부 끈적임, 피부 번들거림 등의 사용감이 현저히 개선된 것으로, 화장품 및 피부외용제로써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실험예 2] 스프레딩(Spreading) 시험 평가
20-50대 남녀 시험자 10명을 선정하여 시료량 4 ul를 피부에 도포하고 10분 방치한 후에 도포면을 오일페이퍼로 살짝 덮어 둔 뒤, 오일 페이퍼에 퍼진 면적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표 4와 같다.
아르간 오일 실시예 1
196 mm2 310 mm2
상기 스프레딩(Spreading) 시험 평가는 오일의 피부 발림성 정도에 대한 것으로, 점도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
아르간 오일과 비교하였을 때, 실시예 1의 혼합 유지 조성물의 퍼진 면적이 아르간 오일보다는 1.5배 이상 높게 측정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는 본 발명의 혼합유지조성물이 피부의 발림성이 현저히 좋음을 의미한다.
상기 실험예 1 및 2를 종합하면, 본 발명의 혼합 유지 조성물은 퍼짐성, 끈적임, 매끄러움, 흡수성 및 번들거림(광택)이 개선되었으므로, 화장품이나 피부외용제 등 피부 적용시 가벼운 사용감으로 인해 사용자의 만족도가 현저히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실험예 3] 유지 조성물의 항염평가
세포독성평가는 살아있는 세포들이 MTT(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를 미토콘드리아에 존재하는 탈수소 효소의 환원 작용으로 청색 포르마존 생성물(formazon product)로 전환시키고, 이 형성된 청색의 생성물을 용매로 용출한 뒤, ELISA를 이용하여 54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살아있는 세포의 상대적 생장을 측정하였다. RAW 264.7 세포 혹은 HaCaT 세포를 DMEM 배지를 이용하여 일정농도로 조절한 후 48 well plate 에 접종하고, 18시간 전배양하였다. 이에 시험물질을 함유한 새로운 배지를 처리하고 24시간 배양한 후 MTT solution(2 ㎎/㎖)을 100 ㎕를 가하고 37℃에서 2-4시간 반응시켰다. 반응 후 배지를 제거하고 300 ~ 500 ㎕정도의 DMSO로 생성된 결정을 녹인 후 54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한다.
Nitric Oxide (NO) 생성 억제 평가는 활성산소중 하나이며 염증 유발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NO의 생성량 확인을 Griess Reagent를 이용하여 세포배양액 중 존재하는 NO2 -의 형태로 측정하였다. 즉, RAW264.7 세포를 DMEM 배지를 이용하여 1.0 × 105 cells/㎖로 조절한 후 48 well plate에 접종하고, 18시간 전배양 하였다. 이에 시험물질과 LPS (1 ㎍/㎖)를 함유한 새로운 배지를 동시에 처리하여 24시간 배양한 세포배양 상등액 100 ㎕와 Griess시약 100 ㎕를 혼합, 96 well plates에서 10분 동안 반응시킨 후 ELISA reader를 이용하여 54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한 것을 이용하였다. 생성된 NO의 양은 Griess 시약을 이용한 세포배양액 중에 존재하는 NO2 -의 형태로 측정하며 Positive control 2-Amino-4-methylpyridine (10μM) 처리군과 비교분석 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대조군 아르간 오일 유자씨유 실시예 1
NO 100.0 111.0 111.6 81.2
세포생존율 100.0 116.81 108.92 114.34
상기 표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혼합 유지 조성물은 NO 생성의 억제로 인한 항염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아르간 오일 또는 유자씨유에서와 같이, 일반적으로 식물성 오일은 항염 효능이 없으나, 본 발명에 따른 혼합 유지 조성물은 염증완화 또는 항염에 효능이 있으므로, 화장품, 피부 외용제 및 식품 등에 유용하게 적용 가능할 것이다.
[실험예 4] 유지 조성물의 보습 평가
본 발명의 유지 조성물의 뛰어난 수분 함유 능력을 확인하기 위하여, 뛰어난 수분 함유 능력으로 수분 균형 유지하고, 각질층 내 함량이 증가할 경우 피부장벽 복원능력 향상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진 Hyaluronic acid(HA)를 각질세포 배양액에서 측정하였다.
HaCaT 세포를 DMEM 배지를 이용하여 1.0 X 105 cells/mL로 조절한 후 24 well plate에 접종하고, 18 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이를 시험물질을 함유한 새로운 배지를 처리하여 24 시간 동안 배양하고 세포배양 상등액을 취하여 Hyaluronic Acid (HA) ELISA kit를 이용하여 세포배양액중의 HA 함량을 측정하였다. 양성 대조군으로는 Retinoic acid (1.0 μM) 첨가군을 비교하였다. 상기 측정 결과를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대조군 아르간 오일 Hexyl Laurate 실시예 1
HA production 100.0 74.4 82.2 111.5
상기 표 6에서와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혼합 유지 조성물의 히알루론산 생성능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아르간 오일이나 Hexyl laurate 보다 약 30 ~ 40% 증가한 바, 보습 효능이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혼합 유지 조성물은 보습 효능이 식물성 오일류보다 개선되어 화장품 및 피부외용제 등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실험예 5] 온도 및 빛에 대한 안정성 평가
실시예 1의 유지 조성물의 온도에 따른 안정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온도의 변화에 따른 조건 (-20℃, 4℃, 25-30℃, 50℃) 및 태양광 노출 조건 하에 보관하여 28일 동안 경시적 변화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혼합 유지 조성물은 실온, 냉장, 냉동 및 고온의 조건 하에서는 안정함을 확인하였다.
다만, 태양광에서는 2주 이후부터 색상의 변화가 다소 나타난 바, 이는 불포화지방산이 빛에 의해 산화되어 경시적인 변화가 나타난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물이 포함된 제품은 직사광선을 피하여 보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보여진다.

Claims (8)

  1.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제1 트리글리세라이드 화합물 5 ~ 30 중량%,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제2 트리글리세라이드 화합물 10 ~ 70 중량% 및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제3 트리글리세라이드 화합물 10 ~ 7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 유지 조성물 :
    [화학식 1]
    Figure pat00007

    상기 화학식 1에서, RL1 내지 RL3는 각각 독립적으로 직쇄 또는 분지쇄의 포화 또는 불포화 C10 ~ C22의 알킬기이고, 서로 같거나 다를 수 있다.
    [화학식 2]
    Figure pat00008

    상기 화학식 2에서, Ra1 내지 Ra3 중 선택된 어느 하나는 수소이거나, 직쇄 또는 분지쇄의 포화 또는 불포화 C1 ~ C9의 알킬기이고,
    Ra1 내지 Ra3 중 나머지 다른 둘은 각각 독립적으로 직쇄 또는 분지쇄의 포화 또는 불포화 C10 ~ C22의 알킬기이며, 서로 같거나 다를 수 있다.
    [화학식 3]
    Figure pat00009

    상기 화학식 3에서, Rb1 내지 Rb3 중 선택된 어느 하나는 직쇄 또는 분지쇄의 포화 또는 불포화 C10~C22의 알킬기이고
    Rb1 내지 Rb3 중 나머지 다른 둘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이거나, 직쇄 또는 분지쇄의 포화 또는 불포화 C1 ~ C9의 알킬기이며, 서로 같거나 다를 수 있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식물성 오일과, 카르복실산 또는 이의 유도체 화합물이 에스테르 교환 반응에 의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 유지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성 오일은 유자씨유, 동백씨유, 녹차씨유, 코코넛유, 팜유, 팜커널유, 피마자유, 올리브유, 포도씨유, 카놀라유, 홍화유, 미강유, 해바라기유 및 대두유 중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 유지 조성물.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에스테르 교환 반응은 리파아제 효소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 유지 조성물.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선택된 어느 한 항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선택된 어느 한 항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염 조성물.
  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선택된 어느 한 항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8. 제1항 내지 제4항 중 선택된 어느 한 항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KR1020190068988A 2019-06-11 2019-06-11 유지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1024463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8988A KR102446371B1 (ko) 2019-06-11 2019-06-11 유지 조성물 및 이의 용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8988A KR102446371B1 (ko) 2019-06-11 2019-06-11 유지 조성물 및 이의 용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1881A true KR20200141881A (ko) 2020-12-21
KR102446371B1 KR102446371B1 (ko) 2022-09-22

Family

ID=740908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8988A KR102446371B1 (ko) 2019-06-11 2019-06-11 유지 조성물 및 이의 용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637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8114B1 (ko) * 2022-09-16 2023-06-28 주식회사 청유담 초임계 이산화탄소 상에서의 에스테르교환반응을 이용한 화장품용 식물성 에스테르 유지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9058A (ko) * 1988-12-29 1990-07-02 원본미기재 포화지방산 트리글리세리드와 활성기질로 구성되는 미소 과립물과 이를 함유하는 국소처리용 약품조성물
KR0140401B1 (en) * 1992-12-02 1998-06-01 Unilever Nv Anti-bloom triglyceride compositions
KR20020063909A (ko) 2000-10-13 2002-08-05 소펭 왁스-에스테르를 함유하는 제형물
KR100337969B1 (ko) 1993-03-23 2002-10-04 솔베이 엘레크트로일세스페지알리테텐 게엠베하 울왁스산및부분적글리세리드로부터제조된방취제
KR20040030787A (ko) * 2001-07-02 2004-04-09 산토리 가부시키가이샤 다중 불포화 지방산 함유 트라이글리세라이드를 포함하는 지방의 제조 방법
KR20050043769A (ko) * 2001-11-06 2005-05-11 가오가부시끼가이샤 트리글리세리드 조성물
KR20170031738A (ko) * 2014-07-10 2017-03-21 딘 에이. 주니어. 라오 상당한 양의 라우르산을 포함하는 중쇄 트리글리세라이드의 제조 및 조성물
KR20180037915A (ko) * 2014-10-21 2018-04-13 유니버시다드 데 레스 일레스 발레아르스 하이드록시-트리글리세라이드의 합성 방법 및 질병의 예방 및 치료에 사용되는 하이드록시-트리글리세라이드의 용도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9058A (ko) * 1988-12-29 1990-07-02 원본미기재 포화지방산 트리글리세리드와 활성기질로 구성되는 미소 과립물과 이를 함유하는 국소처리용 약품조성물
KR0140401B1 (en) * 1992-12-02 1998-06-01 Unilever Nv Anti-bloom triglyceride compositions
KR100337969B1 (ko) 1993-03-23 2002-10-04 솔베이 엘레크트로일세스페지알리테텐 게엠베하 울왁스산및부분적글리세리드로부터제조된방취제
KR20020063909A (ko) 2000-10-13 2002-08-05 소펭 왁스-에스테르를 함유하는 제형물
KR20040030787A (ko) * 2001-07-02 2004-04-09 산토리 가부시키가이샤 다중 불포화 지방산 함유 트라이글리세라이드를 포함하는 지방의 제조 방법
KR20050043769A (ko) * 2001-11-06 2005-05-11 가오가부시끼가이샤 트리글리세리드 조성물
KR20170031738A (ko) * 2014-07-10 2017-03-21 딘 에이. 주니어. 라오 상당한 양의 라우르산을 포함하는 중쇄 트리글리세라이드의 제조 및 조성물
KR20180037915A (ko) * 2014-10-21 2018-04-13 유니버시다드 데 레스 일레스 발레아르스 하이드록시-트리글리세라이드의 합성 방법 및 질병의 예방 및 치료에 사용되는 하이드록시-트리글리세라이드의 용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8114B1 (ko) * 2022-09-16 2023-06-28 주식회사 청유담 초임계 이산화탄소 상에서의 에스테르교환반응을 이용한 화장품용 식물성 에스테르 유지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6371B1 (ko) 2022-09-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leiman et al. Comparison of two seed oils used in cosmetics, moringa and marula
TWI723216B (zh) 脂肪酸乙酯之製備方法
EP2880142B1 (en) Random intraesterification
KR102446371B1 (ko) 유지 조성물 및 이의 용도
JP2005179211A (ja) 皮膚外用剤組成物
JP6564223B2 (ja) 外用組成物
JP2010120860A (ja) 美白剤
CN113616541B (zh) 一种双层精华及其制备方法
Tirtash et al. Antioxidant components of Fumaria species (Papaveraceae)
CN111494250B (zh) 一种植物润唇膏及其制备方法
CN113855584A (zh) 一种通过多种油脂的经皮促渗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用途
KR20130138550A (ko) 입술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Azmi et al. A Review on Cosmetic Formulations and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Emollient and Day Cream Using Vegetable Based-Wax Ester
JP5571583B2 (ja) 長鎖アルコールのエステルおよび皮膚を処置するためのその使用
KR102559886B1 (ko) 모유 지방 대체지를 함유하는 유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199519B1 (ko) 버터류를 포함하는 수분산 화장료 조성물
KR101683833B1 (ko) 입술 색상과 보습성이 개선된 필-오프 타입 입술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80027773A (ko) 저융점 버터를 포함하는 샤벳-밤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
JP2024076570A (ja) 化粧品用油剤
JP6913748B2 (ja) 皮膚温度感応型油脂組成物及び化粧料組成物
CN116744891A (zh) 天然油基凡士林及其制备方法
US20240009109A1 (en) Natural oil-based petrolatum and method of making same
WO2023164719A1 (en) Emollient composition
Ravinder et al. Enzymatic synthesis of structured lipid based on silkworm oil and palm olein
CN116509737A (zh) 一种复配油脂组合物及其应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