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40490A - 씰링 가스켓 - Google Patents

씰링 가스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40490A
KR20200140490A KR1020190067113A KR20190067113A KR20200140490A KR 20200140490 A KR20200140490 A KR 20200140490A KR 1020190067113 A KR1020190067113 A KR 1020190067113A KR 20190067113 A KR20190067113 A KR 20190067113A KR 20200140490 A KR20200140490 A KR 202001404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ket
sealing
component
parts
fluid pa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71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중현
윤석준
고원혁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671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40490A/ko
Priority to US16/686,389 priority patent/US20200386313A1/en
Priority to CN201911159498.5A priority patent/CN112049932A/zh
Publication of KR202001404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4049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02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 F16J15/06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solid packing compressed between sealing surfaces
    • F16J15/10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solid packing compressed between sealing surfaces with non-metallic packing
    • F16J15/12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solid packing compressed between sealing surfaces with non-metallic packing with metal reinforcement or covering
    • F16J15/121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solid packing compressed between sealing surfaces with non-metallic packing with metal reinforcement or covering with metal reinforcement
    • F16J15/122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solid packing compressed between sealing surfaces with non-metallic packing with metal reinforcement or covering with metal reinforcement generally parallel to the surfa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02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 F16J15/021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elastic packing
    • F16J15/022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elastic packing characterised by structure or material
    • F16J15/024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elastic packing characterised by structure or material the packing being locally weakened in order to increase elasticity
    • F16J15/025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elastic packing characterised by structure or material the packing being locally weakened in order to increase elasticity and with at least one flexible li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02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 F16J15/06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solid packing compressed between sealing surfaces
    • F16J15/08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solid packing compressed between sealing surfaces with exclusively metal packing
    • F16J15/0818Flat gask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02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 F16J15/06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solid packing compressed between sealing surfaces
    • F16J15/10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solid packing compressed between sealing surfaces with non-metallic packing
    • F16J15/102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solid packing compressed between sealing surfaces with non-metallic packing characterised by mater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02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 F16J15/021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elastic packing
    • F16J15/022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elastic packing characterised by structure or mater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02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 F16J15/06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solid packing compressed between sealing surfaces
    • F16J15/062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solid packing compressed between sealing surfaces characterised by the geometry of the sea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02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 F16J15/06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solid packing compressed between sealing surfaces
    • F16J15/10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solid packing compressed between sealing surfaces with non-metallic packing
    • F16J15/104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solid packing compressed between sealing surfaces with non-metallic packing characterised by struc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02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 F16J15/06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solid packing compressed between sealing surfaces
    • F16J15/08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solid packing compressed between sealing surfaces with exclusively metal packing
    • F16J15/0818Flat gaskets
    • F16J2015/0856Flat gaskets with a non-metallic coating or stri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02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 F16J15/06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solid packing compressed between sealing surfaces
    • F16J15/08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solid packing compressed between sealing surfaces with exclusively metal packing
    • F16J15/0818Flat gaskets
    • F16J2015/0862Flat gaskets with a bore 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02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 F16J15/06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solid packing compressed between sealing surfaces
    • F16J15/08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solid packing compressed between sealing surfaces with exclusively metal packing
    • F16J15/0818Flat gaskets
    • F16J2015/0868Aspects not related to the edges of the gaske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77/00Seal for a joint or juncture
    • Y10S277/935Seal made of a particular material
    • Y10S277/944Elastomer or plastic

Abstract

본 발명은 씰링 가스켓에 관한 것으로서, 조립되는 부품들의 T-조인트부에서 접합면 간의 단차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부품들 사이에서 누유나 누수 등의 씰링 품질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T-조인트부 및 접합면의 정밀 가공 정도를 완화하여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씰링 가스켓을 제공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1 부품과 제2 부품에 제3 부품이 접합될 때 부품들 사이에 개재되는 씰링 가스켓으로서, 제1 부품과 제3 부품 사이에 개재되는 제1 가스켓부; 제2 부품과 제3 부품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제1 가스켓부와 간극을 두고 분리 및 이격된 제2 가스켓부; 및 상기 간극에서 상기 제1 가스켓부와 제2 가스켓부 사이를 연결하도록 형성되고 외력에 의해 변형 가능한 연결부를 포함하는 씰링 가스켓이 개시된다.

Description

씰링 가스켓{Sealing gasket}
본 발명은 씰링 가스켓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조립되는 부품들의 T-조인트부에서 접합면 간의 단차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부품들 사이에서 누유나 누수 등의 씰링 품질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씰링 가스켓에 관한 것이다.
알려진 바와 같이 조립된 부품들 사이의 씰링을 위해 가스켓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가스켓을 이용하여 부품들 사이의 씰링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가스켓의 고무부분이 부품 사이에서 압축되도록 하고, 압축된 고무부분이 탄성복원력에 의해 각 부품에 밀착되어서 씰링상태가 유지되도록 해야 한다.
자동차 부품의 예를 들면, 윤활이나 냉각, 방청, 작동유체 등 용도로 사용되는 오일이 부품들을 따라 순환되거나 흘러야 할 때, 부품 사이의 틈새(gap)에서 오일이 새지 않도록 가스켓을 이용하여 씰링하게 된다.
통상 두 개의 부품 사이에 가스켓을 개재하여 씰링상태를 유지하는 데는 가스켓의 고무부분이 양측 부품에 의해 고르게 압착 및 부품 면에 밀착되도록 하기만 하면 되므로 어려움이 없다.
그러나, 두 개의 부품이 아닌, 세 개의 부품이 조립되는 T-조인트부에서는 하나의 가스켓을 이용하여 씰링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자동차 부품들이 T-조인트부를 형성하면서 조립되는 예로는, 엔진의 베드 플레이트와 오일팬, 오일쿨러 사이의 조인트부, 그리고 실린더 블록과 타이밍 체인 케이스, 오일팬 사이의 조인트부, 타이밍 체인 케이스와 타이밍 체인 커버, 오일팬 사이의 조인트부를 들 수 있다.
이와 같이 자동차 부품들, 특히 엔진 부품들 사이에는 조립 구조에 따라 T-조인트부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도 7은 부품들이 T-조인트부를 형성하는 예를 나타낸 것으로, T-조인트부를 형성하는 부품(1,2,3)들 사이에 가스켓(4)을 개재하여 오일이나 냉각수 등의 유체가 새지 않도록 하고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3개의 부품(1,2,3)이 T-조인트부를 형성하고 있으며, 부품들 사이에 가스켓(4)이 위치됨을 볼 수 있다.
그러나, T-조인트부를 형성하는 부품들 사이에서 가스켓(4)에 의해 완전한 씰링이 이루어져야 하지만, 부품(1,2,3) 간 치수 공차로 인해 T-조인트부에서 단차가 발생할 수밖에 없다.
이러한 단차는 씰링 성능을 악화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누유나 누수 등의 품질 문제를 유발하고 있다.
T-조인트부에서의 단차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부품을 정밀 가공하여 공차가 크게 발생하지 않도록 관리하고, 가스켓을 보강하여 씰링 성능을 확보하고 있으나, 정밀 가공으로 인해 원가 상승이 과다해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가스켓의 주 재료인 고무의 특성으로 인해 가스켓 보강에 한계가 있으며, 종래의 가스켓은 누유나 누수 등의 품질 문제를 해결하는데 구조적으로도 한계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한 것으로서, 조립되는 부품들의 T-조인트부에서 접합면 간의 단차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부품들 사이에서 누유나 누수 등의 씰링 품질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T-조인트부 및 접합면의 정밀 가공 정도를 완화하여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씰링 가스켓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부품과 제2 부품에 제3 부품이 접합될 때 부품들 사이에 개재되는 씰링 가스켓으로서, 제1 부품과 제3 부품 사이에 개재되는 제1 가스켓부; 제2 부품과 제3 부품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제1 가스켓부와 간극을 두고 분리 및 이격된 제2 가스켓부; 및 상기 간극에서 상기 제1 가스켓부와 제2 가스켓부 사이를 연결하도록 형성되고 외력에 의해 변형 가능한 연결부를 포함하는 씰링 가스켓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연결부는 정해진 크기 이상의 외력이 작용할 때 절단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간극에서 정해진 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 개의 연결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부품과 제3 부품은 접합된 상태에서 서로 연결되는 유체통로를 가지며, 상기 제1 가스켓부는, 상기 제1 부품의 접합면과 제3 부품의 접합면 사이에 개재되고 유체통과홀이 형성된 가스켓 플레이트; 및 상기 유체통과홀에 설치되어 제1 부품의 유체통로와 제3 부품의 유체통로 사이를 씰링하는 탄성 재질의 씰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씰링부는 링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가스켓 플레이트의 유체통과홀 내경부를 따라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씰링부는 제1 부품의 접합면과 제3 부품의 접합면 사이에서 양측의 접합면에 의해 눌리면서 압축 변형되어 상기 양측 접합면에 동시에 밀착 가능한 고무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씰링부는 가스켓 플레이트의 양면을 기준으로 양방향으로 돌출된 형상의 돌출부를 양쪽 표면에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링 형상을 가지는 씰링부의 각 표면에서 돌출부는 씰링부의 전둘레에 걸쳐 연속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씰링부의 각 표면에 1개 또는 2개 이상의 돌출부가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2 부품과 제3 부품은 접합된 상태에서 서로 연결되는 유체통로를 가지며, 상기 제2 가스켓부는, 상기 제2 부품의 접합면과 제3 부품의 접합면 사이에 개재되고 유체통과홀이 형성된 가스켓 플레이트; 및 상기 유체통과홀에 설치되어 제2 부품의 유체통로와 제3 부품의 유체통로 사이를 씰링하는 탄성 재질의 씰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 가스켓부에서, 상기 씰링부는 링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가스켓 플레이트의 유체통과홀 내경부를 따라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 가스켓부에서, 상기 씰링부는 제2 부품의 접합면과 제3 부품의 접합면 사이에서 양측의 접합면에 의해 눌리면서 압축 변형되어 상기 양측 접합면에 동시에 밀착 가능한 고무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 가스켓부에서, 상기 씰링부는 가스켓 플레이트의 양면을 기준으로 양방향으로 돌출된 형상의 돌출부를 양쪽 표면에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 가스켓부에서, 상기 링 형상을 가지는 씰링부의 각 표면에서 돌출부는 씰링부의 전둘레에 걸쳐 연속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 가스켓부에서, 상기 씰링부의 각 표면에 1개 또는 2개 이상의 돌출부가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써, 본 발명에 따른 씰링 가스켓에 의하면, 조립되는 부품들의 T-조인트부에서 접합면 간의 단차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부품들 사이에서 누유나 누수 등의 씰링 품질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T-조인트부 및 접합면의 정밀 가공 정도를 완화하여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씰링 가스켓 및 이 씰링 가스켓이 적용될 수 있는 부품들을 조립 전 상태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씰링 가스켓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씰링 가스켓에서 가스켓 플레이트의 유체통과홀에 씰링부가 조립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씰링 가스켓의 씰링부가 부품들 사이에서 압축된 상태로 씰링이 유지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씰링 가스켓을 이용하여 부품들 사이를 씰링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종래의 씰링 가스켓을 이용한 T-조인트부의 씰링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씰링 가스켓 및 이 씰링 가스켓이 적용될 수 있는 부품들을 예시한 사시도로서, 부품들과 씰링 가스켓이 조립되기 전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3개의 부품(1,2,3)이 일체화되도록 조립될 때 서로 접합되는 부품 접합면들이 T-조인트부를 형성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으며, 더불어 부품(1,2,3)들의 T-조인트부에서 부품 접합면 사이에 씰링 가스켓(10)이 위치됨을 보여주고 있다.
T-조인트부에서는 3개의 부품(1,2,3) 중 하나의 부품이 다른 2개의 부품에 모두 접합되어 결합되는 구조로 되어 있고, 접합되는 양측의 두 부품은 모두 유체통로(4,5)를 구비하여, 양측의 두 부품이 접합되었을 때, 접합되는 두 부품의 유체통로(4,5)는, 본 발명에 따른 씰링 가스켓(10)에 의해, 부품 사이에서의 유체 누설없이 완전한 씰링상태가 되도록 연결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씰링 가스켓(10)은 T-조인트부에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서, T-조인트부를 형성하는 3개의 부품(1,2,3)이 조립될 때 부품들의 접합면 사이에 개재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씰링 가스켓(10)은 부품(1,2,3)들이 조립되었을 때 유체가 흐를 수 있도록 연결된 부품(1,2,3)들의 유체통로(4,5) 사이를 씰링하기 위한 것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씰링 가스켓(10)은 T-조인트부에서 부품(1,2,3)들의 유체통로(4,5)로부터 유체가 누출되지 않도록 부품 접합면 사이의 틈새(gap)를 없애는 씰링 작용을 하게 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씰링 가스켓(10)은, 접합되는 부품(1,2,3)들의 T-조인트부에서도, 서로 연결되는 유체통로(4,5) 주변의 부품 접합면 사이의 틈새를 유체가 누출되지 않도록 씰링하게 된다.
도 1은 T-조인트부를 형성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씰링 가스켓(10)이 적용되는 부품들이 모두 엔진 부품인 것을 예시하고 있으며, 엔진 부품 중에서도 엔진 오일의 통로(4)가 마련된 베드 플레이트(1)와 엔진 오일을 저장하는 오일팬(2), 엔진 오일을 냉각하기 위한 오일쿨러(3)인 것을 예시하고 있다.
베드 플레이트(1)와 오일팬(2), 오일쿨러(3)는 엔진측 오일 회로의 일부를 구성하며, 오일쿨러(3)를 베드 플레이트(1)와 오일팬(2)에 조립할 때, 오일쿨러(3)와 베드 플레이트(1) 사이, 및 오일쿨러(3)와 오일팬(2) 사이에 본 발명에 따른 씰링 가스켓(10)을 개재한 상태로 조립한다.
도 1에서 부품들이 베드 플레이트와 오일팬, 오일쿨러인 것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이 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T-조인트부를 형성하면서 유체통로를 구비하여 부품의 유체통로 사이에 유체 씰링이 필요한 부품들이라면, 본 발명에 따른 씰링 가스켓이 적용될 수 있다.
도 1의 실시예에서, 오일쿨러(3)가 베드 플레이트(1) 및 오일팬(2)과 T-조인트부를 형성하도록 한 것은 엔진측 오일 회로의 단순화를 도모하기 위한 것이면서 엔진 부품의 조립 공간을 고려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씰링 가스켓이 적용되는 부품이 상기한 베드 플레이트와 오일팬, 오일쿨러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에는 오일쿨러(3)의 오일통로(유체통로)가 도시되지 않았으나, 베드 플레이트(1) 및 오일팬(2)의 오일통로(유체통로)(4,5)와 연통되는 오일쿨러의 오일통로가 구비됨은 자명하다.
도 1에 예시된 부품(1,2,3)들은 유체통로(오일통로)(4,5)를 가지면서 T-조인트부를 형성하고 있는 부품들, 그리고 접합될 때 양측 유체통로가 서로 연결되는 부품들, 그리고 이때 유체 누출이 발생하지 않도록 유체통로 사이의 틈새 부분이 씰링되어야 하는 부품들이며, 이러한 부품들의 T-조인트부에 본 발명에 따른 씰링 가스켓(10)이 적용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베드 플레이트(1)를 제1 부품이라 칭하기로 하고, 오일팬(2)은 제2 부품, 그리고 오일쿨러(3)는 제3 부품이라 칭하기로 한다.
먼저, 제1 부품(1)과 제2 부품(2), 제3 부품(3)은 T-조인트부를 형성하는 부품들로서, 제1 부품(1)과 제2 부품(2)이 모두 제3 부품(3)에 조립된다.
즉, 제1 부품(1)이 제3 부품(3)에 접합되어 조립되고, 이와 별도로 제2 부품(2)이 제3 부품(3)에 접합되어 조립된다.
이때, 제3 부품(3)은 접합면이 두 영역으로 나뉘는데, 제3 부품(3)의 접합면에서 상기 두 영역 중 제1 영역이 제1 부품(1)의 접합면에 접합되고, 두 영역 중 나머지 제2 영역이 제2 부품(2)의 접합면에 접합된다.
이러한 제3 부품(3)의 접합면은 상기 두 영역 사이에 단차가 없는 면이 될 수 있다.
즉, 제3 부품(3)의 접합면에서 제1 영역과 제2 영역은 단차가 없는 면을 이루는 것으로 위치에 따라 나뉜 영역일 뿐이고, 접합되는 상대 부품이 제1 부품인지, 아니면 제2 부품인지에 따라 나뉜 영역일 뿐이며, 두 영역이 상대 부품과의 접합을 위해 표면에 다른 별도 구조를 가지거나 서로 단차를 가지는 것은 아니다.
요컨대, 제1 영역은 제3 부품(3)의 접합면 중 제1 부품(1)이 접합되는 영역을 의미하고, 제2 영역은 제3 부품(3)의 접합면 중 제2 부품(2)이 접합되는 영역을 의미하며, 제3 부품(3)의 접합면 중 제1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이 제2 영역일 수 있다.
한편, 제1 부품(1)과 제2 부품(2)은 상하로 배치될 수 있고, 제1 부품(1)과 제2 부품(2)이 상하로 배치된 상태에서 하나의 부품, 즉 제3 부품(3)에 접합되도록 조립될 수 있다.
이때, 제1 부품(1)과 제2 부품(2), 제3 부품(3)은 부품 간 접합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유체통로(3,4)를 각각 가지며, 제3 부품(3)은 적어도 2개의 유체통로(미도시됨)가 제1 부품(1)의 유체통로(4)와 제2 부품(2)의 유체통로(5)에 연결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즉, 제3 부품(3)은 적어도 2개의 유체통로를 가지며, 2개의 유체통로 중 하나가 제1 부품(1)의 유체통로(4)와 연결되고, 나머지 다른 하나가 제2 부품(2)의 유체통로(5)와 연결되는 것이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씰링 가스켓(10)은 부품의 접합면 사이에 개재되는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제1 부품(베드 플레이트)(1)의 접합면과 제3 부품(오일쿨러)(3)의 접합면 사이 및 제2 부품(오일팬)(2)의 접합면과 제3 부품(오일쿨러)(3)의 접합면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부품의 접합면 사이에서 유체통로(4,5)를 통과하는 유체가 누출되지 않도록 접합면 사이의 틈새를 씰링하는 역할을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씰링 가스켓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씰링 가스켓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씰링 가스켓에서 가스켓 플레이트의 유체통과홀에 씰링부가 조립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씰링 가스켓의 씰링부가 부품들 사이에서 압축된 상태로 씰링이 유지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씰링 가스켓(10)은 제1 부품(1)의 접합면과 제3 부품(3)의 접합면 사이에 개재되는 제1 가스켓부(11), 제2 부품(2)의 접합면과 제3 부품(3)의 접합면 사이에 개재되는 제2 가스켓부(12), 및 제1 가스켓부(11)와 제2 가스켓부(12) 사이를 연결하고 있는 연결부(1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 가스켓부(11)는 제1 부품(1)의 접합면과 제3 부품(3)의 제1 영역 사이에 개재되는 가스켓 부분이고, 제2 가스켓부(12)는 제2 부품(2)의 접합면과 제3 부품(3)의 제2 영역 사이에 개재되는 가스켓 부분이다.
상기 제1 가스켓부(11)와 제2 가스켓부(12)는 모두 가스켓 플레이트(11a,12a)에 유체통과홀(14,15)이 형성된 구조를 가지며, 각 가스켓부(11,12)의 유체통과홀(14,15)에는 탄성 재질의 씰링부(16a,16b)가 설치된다.
상기 가스켓 플레이트(11a,12a)는 각 가스켓부(11,12)의 몸체를 이루는 플레이트로서, 금속으로 제작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경량이면서 요구 강도를 만족하는 알루미늄 합금 재질의 플레이트가 될 수 있다.
또한, 제1 가스켓부(11)의 가스켓 플레이트(11a)는 서로 접합되는 부품들의 접합면 사이, 즉 제1 부품(1)의 접합면과 제3 부품(3)의 접합면 사이에 개재되고, 제2 가스켓부(12)의 가스켓 플레이트(12a)는 제2 부품(2)의 접합면과 제3 부품(3)의 접합면 사이에 개재된다.
제1 가스켓부(11)의 가스켓 플레이트(11a)에는 제1 부품(1)의 유체통로(4)와 이에 연결되는 제3 부품(3)의 유체통로(미도시) 사이에 위치될 수 있도록 유체통과홀(14)이 형성된다.
그리고 제2 가스켓부(12)의 가스켓 플레이트(12a)에는 제2 부품(2)의 유체통로(5)와 이에 연결되는 제3 부품(3)의 유체통로(미도시) 사이에 위치될 수 있도록 유체통과홀(15)이 형성된다.
또한, 제1 가스켓부(11)의 유체통과홀(14)과 제2 가스켓부(12)의 유체통과홀(15)에는 접합되는 부품의 유체통로 사이를 유체가 누출되지 않도록 씰링하는 씰링부(16a,16b)가 설치된다.
상기 씰링부(16a,16b)는 제1 가스켓부(11)와 제2 가스켓부(12)에서 각 유체통과홀(14,15)의 내경부를 따라 결합되는 링 형상의 부재로서, 서로 접합되는 부품(1,2,3)들에 의해 눌리면서 압축 변형되는 고무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시된 바와 같이 씰링부(16a,16b)는 각 가스켓 플레이트(11a,12a)에 형성된 유체통과홀(14,15)에서 내경부를 따라 결합되고, 이를 위해 가스켓 플레이트(11a,12a)에서 유체통과홀(14,15)의 내경부에 가스켓 플레이트의 나머지 부분에 비해 두께를 축소한 형상의 끼움부(18a)가 형성된다.
이때, 외주면에 형성된 홈 부분(18b)에 상기 끼움부(18a)가 끼워진 상태가 되도록 씰링부(16a,16b)가 설치되는데, 금형에서 가스켓 플레이트(11a,12a)의 유체통과홀(14,15)에 고무 재질의 씰링부(16a,16b)를 가류 성형함으로써 일체로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씰링부(16a,16b)는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단면에서 가스켓 플레이트(11a,12a)의 양면을 기준으로 양방향으로 각각 돌출된 형상의 돌출부(17)를 가질 수 있다.
이때, 돌출부(17)는 씰링부(16a,16b)에서 원주방향을 따라 길게 연속된 형상, 즉 링 형상을 가지는 씰링부(16a,16b)의 전둘레에 걸쳐 연속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씰링부(16a,16b)는 반경방향의 일정 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배치되는 1개 또는 2개 이상의 돌출부(17)를 가질 수 있고, 이렇게 나란하게 배치되는 1개 또는 2개 이상의 돌출부(17)들이 씰링부(16a,16b)의 양쪽 표면에서 양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구비될 수 있다.
도면에는 상기 씰링부(16a,16b)의 각 표면에 나란하게 배치되는 2개의 돌출부들이 형성된 실시예가 예시되고 있다.
결국,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씰링 가스켓(10)이 접합되는 양측 부품(1,2,3) 사이에서 압착될 때, 씰링부(16a,16b)의 돌출부(도 3에서 도면부호 17임)가 양측 부품에 의해 양 방향에서 눌리어 압축되고, 조립 후에는 씰링부의 돌출부가 눌린 상태로 부품 사이를 씰링하게 된다.
도 2를 참조하면, 링 형상의 씰링부(16a,16b)가 제1 가스켓부(11)의 유체통과홀(14)과 제2 가스켓부(12)의 유체통과홀(15)에 각각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고 있으며, 이때 간극(13a)을 두고 서로 분리 및 이격되어 있는 제1 가스켓부(11)와 제2 가스켓부(12)는 연결부(13)에 의해 연결된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연결부(13)는 양측 가스켓부(11,12)의 가스켓 플레이트(11a,12a) 사이를 연결하고 있는 것으로, 양측 가스켓부(11,12) 사이의 간극(13a)에서 정해진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이때, 정해진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각 연결부(13)는 각각 소정의 폭과 길이를 가지며, 그 자체가 외력에 의해 변형 가능한 부분이 된다.
또한, 연결부(13)는 양측 가스켓부(11,12) 사이에서 일정 수준 이상의 외력이 작용할 경우 파손되면서 절단될 수 있게 구비된다.
이와 같이 제1 가스켓부(11)와 제2 가스켓부(12)가 연결부(13)에 의해 연결된 상태에서, 연결부(13)의 변형은, 제3 부품(3)의 접합면에 접합되는 두 부품(1,2)의 접합면, 즉 제1 부품(1)의 접합면과 제2 부품(2)의 접합면이 가지는 단차를 흡수하는 작용을 한다.
본 발명에서 가스켓부(11,12)가 단차를 흡수한다는 것은, 부품(1,2,3)의 접합면 간에 실제 구조적이고 물리적인 단차는 존재하지만, 가스켓부(11,12)가 각 접합면에 모두 밀착되어, 단차가 극복되고 부품의 접합면 간 씰링상태가 확보됨을 의미한다.
상기한 연결부(13)의 변형은 제1 부품(1)의 접합면과 제2 부품(2)의 접합면 사이의 단차가 일정 수준 이하로 작을 때 나타나는데, 만약 제1 부품(1)의 접합면과 제2 부품(2)의 접합면 사이의 단차가 일정 수준보다 크다면, 조립시 큰 외력이 씰링부(16a,16b) 및 가스켓 플레이트(11a,12a)를 통해 연결부(13)에 작용하여 연결부가 절단될 수 있고, 연결부의 절단으로 인해 제1 가스켓부(11)와 제2 가스켓부(12)는 적어도 일부에서 서로 분리된 구조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연결부(13)들은 각각 작은 폭과 길이를 가지면서 제1 가스켓부(11)와 제2 가스켓부(12)의 사이에 정해진 간격을 두고 띄엄띄엄 배치된 구조로 형성되는바, 연결부(13)들과 두 가스켓부(11,12) 사이의 간극(13a)은, 일정 수준 이상의 외력이 작용할 경우 두 가스켓부(11,12)를 서로 분리시키는 절취선의 역할을 하게 된다.
도 1 및 도 2에서 도면부호 19는 조립용 가이드 홀로서, 이는 부품(1)의 가이드 핀(6)이 삽입되는 홀이며, 가이드 핀(6)이 조립용 가이드 홀(19)에 삽입되도록 하여 씰링 가스켓(10)을 부품(1,2)의 접합면에 임시로 접합 및 고정시킬 수 있다.
도 1의 실시예에서는 가이드 핀(6)이 씰링 가스켓(10)이 압착되는 제1 부품(1)의 접합면 일측에 돌출된 형상으로 형성되고 있으며, 이때 조립용 가이드 홀(19)은 씰링 가스켓(10)에서도 제1 부품(1)의 접합면에 압착되는 부분인 제1 가스켓부(11)에 관통 형성된다.
또한, 도 1 및 도 2에서 도면부호 20은 볼트홀로서, 제3 부품(3)을 제1 부품(1)과 제2 부품(2)에 임시로 접합한 상태에서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볼트(7)를 이용하여 제3 부품(3)을 제1 부품(1)과 제2 부품(2)에 체결하며, 이때 볼트(7)가 부품들 사이에 개재되는 씰링 가스켓(10)의 볼트홀(20)을 통과하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씰링 가스켓을 이용한 씰링 방법 및 부품들의 조립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씰링 가스켓(10)을 이용하여 부품(1,2,3)들 사이를 씰링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오일쿨러(제3 부품)(3)가 접합되는 베드 플레이트(제1 부품)(1)의 접합면(씰링면)과 오일팬(제2 부품)(2)의 접합면(씰링면)은 정밀 가공을 통해 가능한 공차를 줄이도록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오일쿨러(제3 부품)(3)의 면에 접합되는 두 부품(1,2)의 면, 즉 제1 부품(1)인 베드 플레이트의 접합면과 제2 부품(2)인 오일쿨러의 접합면 사이에 단차가 존재할 수 있다.
상기 제1 부품(1)의 접합면과 제2 부품(2)의 접합면 사이의 단차는 접합면의 공차 상태 및 가공 상태 등에 따라 커지거나 작아질 수 있다.
도 5는 제1 부품(1)과 제2 부품(2)의 접합면 간 단차가 작은 경우를 예시한 것으로, 제1 부품(1) 및 제2 부품(2)과 제3 부품(3) 사이에 하나의 씰링 가스켓(10)을 위치시킨 뒤, 부품(1,2,3)들을 접합한 후 가압상태가 되도록 체결 및 고정한다.
이때, 제3 부품(3)이 오일쿨러라면, 오일쿨러를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볼트(7)를 이용하여 제1 부품(1)인 베드 플레이트와 제2 부품(2)인 오일팬에 체결하는데, 볼트 체결 시 부품들 사이에서 씰링 가스켓(10)이 압착되도록 한다.
물론, 전술한 바와 같이, 씰링 가스켓(10)의 가이드 홀(19)에 베드 플레이트(1)(또는 오일팬)의 가이드 핀(6)이 끼워지도록 하여 씰링 가스켓(10)의 조립위치를 먼저 확보한 뒤, 오일쿨러(3)를 씰링 가스켓(10)에 밀착시킨다.
이때, 오일쿨러(3)를 씰링 가스켓(10)에 밀착시킨 상태로 볼트를 체결하면, 오일쿨러가 제1 가스켓부(11)의 씰링부(16a)를 누르게 되고, 이에 제1 가스켓부(11)의 씰링부(16a)가 베드 플레이트(1)의 접합면과 오일쿨러(3)의 접합면에 의해 양쪽에서 눌리어 도 4와 같이 압축된다.
마찬가지로, 오일쿨러(3)가 제2 가스켓부(12)의 씰링부(16b)를 누르게 되고, 이에 제2 가스켓부(12)의 씰링부(16b)가 오일팬(2)의 접합면과 오일쿨러(3)의 접합면에 의해 양쪽에서 눌리어 도 4와 같이 압축된다.
상기 씰링부(16a,16b)가 눌리어 압축되는 것은 전술한 바와 같이 씰링부의 돌출부(17)가 부품(1,2,3)의 접합면에 의해 눌리면서 압축되는 것이며, 이러한 상태에서 부품들의 볼트 체결이 완료되면 부품들 사이에서 압축된 씰링부(16a,16b)에 의해 부품 간의 씰링상태가 유지된다.
도 5의 예에서, 제1 가스켓부(11)의 가스켓 플레이트(11a)는, 씰링부(16a)의 양측 돌출부(17)가 베드 플레이트(1)와 오일쿨러(3)에 의해 양쪽에서 동시에 눌리게 될 때, 두 부품(1,3)의 접합면 사이의 중앙에 정렬되어 위치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제2 가스켓부(12)의 가스켓 플레이트(12a)는, 씰링부(16b)의 양측 돌출부(17)가 오일팬(2)과 오일쿨러(3)에 의해 양쪽에서 동시에 눌리게 될 때, 두 부품(2,3)의 접합면 사이의 중앙에 정렬되어 위치하게 된다.
즉, 제1 가스켓부(11)는 씰링부(16a) 및 그 돌출부(17)가 베드 플레이트(1)의 접합면과 오일쿨러(3)의 접합면 사이에서 양쪽 접합면에 의해 동시에 눌려지면서 압축되고, 이때 제1 가스켓부(11)의 가스켓 플레이트(11a)는 베드 플레이트(1)의 접합면과 오일쿨러(3)의 접합면 사이의 중앙에 정렬되어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제2 가스켓부(12) 또한 씰링부(16b) 및 그 돌출부(17)가 오일팬(2)의 접합면과 오일쿨러(3)의 접합면 사이에서 양쪽 접합면에 의해 동시에 눌려지면서 압축되고, 이때 제2 가스켓부(12)의 가스켓 플레이트(12a) 또한 오일팬(2)의 접합면과 오일쿨러(3)의 접합면 사이의 중앙에 정렬되어 위치하게 된다.
또한, 도 5에서와 같이 부품(1,2)의 접합면 간의 단차가 비교적 작은 경우, 제1 가스켓부(11)의 가스켓 플레이트(11a)를 기준으로 제2 가스켓부(12)의 가스켓 플레이트(12a)가 비교적 작은 범위 내에서 어긋나 있게 되는데, 제1 가스켓부(11)의 가스켓 플레이트(11a)에 대한 제2 가스켓부(12)의 가스켓 플레이트(12a)의 상대적인 위치가 연결부(13)의 파손이나 절단 없이 그 변형 범위 내에서 놓여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제1 가스켓부(11)의 가스켓 플레이트(11a)와 제2 가스켓부(12)의 가스켓 플레이트(12a)가 서로 다른 위치에 있게 되지만, 두 가스켓부(11,12)의 가스켓 플레이트(11a,12a)가 각각 해당하는 두 부품 사이의 중간위치로 이동하게 되면서 연결부(13)의 변형만이 일어나게 되고, 이때 연결부(13)의 변형이 일어나는 작은 범위 내에서 가스켓 플레이트(11a,12a)의 상대적인 이동이 발생하게 하게 된다.
이와 같이 조립 과정에서 연결부(13)의 변형과 동시에 두 가스켓 플레이트(11a,12a)의 위치가 조정되면서 씰링 가스켓(10)이 부품(1,2) 간의 단차를 흡수하게 된다.
도 6은 두 부품(1,2)의 접합면 간 단차가 도 5의 예에 비해 더 큰 경우를 나타내는데, 제1 부품(1)의 접합면과 제2 부품(2)의 접합면 사이에 일정 수준 이상의 큰 단차가 발생한 상태를 보여준다.
도 6의 예에서는 조립 과정에서 제3 부품(3)이 제1 가스켓부(11)에 접촉하였을 때 제3 부품(3)과 제2 부품(2) 사이의 간격이 제3 부품(3)과 제1 부품(1) 사이의 간격에 비해 매우 큰 상태가 된다.
따라서, 제3 부품(3)이 상대 부품(1,2)과의 체결 및 조립을 위해 제1 가스켓부(11)와 제2 가스켓부(12)를 동시에 누르게 될 때, 두 가스켓부(11,12)에서 씰링부(16a,16b)의 돌출부(17)가 압축되는 동안, 제1 가스켓부(11)의 가스켓 플레이트(11a)와 제2 가스켓부(12)의 가스켓 플레이트(12a)가 미세하지만 제1 부품(1) 및 제2 부품(2) 쪽으로 이동하고, 이때 제1 가스켓부(11)의 가스켓 플레이트(11a)가 이동한 양에 비해 제2 가스켓부(12)의 가스켓 플레이트(12a)가 이동한 양이 매우 커서, 연결부(13)의 절단이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도 6의 예에서는 연결부(13)의 변형 수준을 넘어 연결부가 절단되어 제1 가스켓부(11)와 제2 가스켓부(12)가 절취선을 따라 분리되는 형태가 될 수 있고, 결국 제1 부품(1)과 제3 부품(3), 제2 부품(2)과 제3 부품(3) 사이에 가스켓 2장을 따로 조립하는 효과를 낼 수 있다.
이때, 단차가 큰 쪽의 제2 가스켓부(12)는 부품(1,3) 사이에서 눌림에 의해 자연스럽게 이동되어 단차를 흡수하는 효과를 나타내고, 이에 부품 사이의 씰링이 종래에 비해 더 확실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 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
1 : 제1 부품(베드 플레이트) 2 : 제2 부품(오일팬)
3 : 제3 부품(오일쿨러) 4, 5 : 유체통로
6 : 가이드 핀 7 : 볼트
10 : 씰링 가스켓 11 : 제1 가스켓부
11a : 가스켓 플레이트 12 : 제2 가스켓부
12a : 가스켓 플레이트 13 : 연결부
14, 15 : 유체통과홀 16a, 16b : 씰링부
17 : 돌출부 18a : 끼움부
18b : 홈 부분 19 : 가이드 홀
20 : 볼트홀

Claims (15)

  1. 제1 부품과 제2 부품에 제3 부품이 접합될 때 부품들 사이에 개재되는 씰링 가스켓으로서,
    제1 부품과 제3 부품 사이에 개재되는 제1 가스켓부;
    제2 부품과 제3 부품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제1 가스켓부와 간극을 두고 분리 및 이격된 제2 가스켓부; 및
    상기 간극에서 상기 제1 가스켓부와 제2 가스켓부 사이를 연결하도록 형성되고 외력에 의해 변형 가능한 연결부를 포함하는 씰링 가스켓.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정해진 크기 이상의 외력이 작용할 때 절단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씰링 가스켓.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간극에서 정해진 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 개의 연결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씰링 가스켓.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부품과 제3 부품은 접합된 상태에서 서로 연결되는 유체통로를 가지며,
    상기 제1 가스켓부는
    상기 제1 부품의 접합면과 제3 부품의 접합면 사이에 개재되고 유체통과홀이 형성된 가스켓 플레이트; 및
    상기 유체통과홀에 설치되어 제1 부품의 유체통로와 제3 부품의 유체통로 사이를 씰링하는 탄성 재질의 씰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씰링 가스켓.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씰링부는 링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가스켓 플레이트의 유체통과홀 내경부를 따라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씰링 가스켓.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씰링부는 제1 부품의 접합면과 제3 부품의 접합면 사이에서 양측의 접합면에 의해 눌리면서 압축 변형되어 상기 양측 접합면에 동시에 밀착 가능한 고무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씰링 가스켓.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씰링부는 가스켓 플레이트의 양면을 기준으로 양방향으로 돌출된 형상의 돌출부를 양쪽 표면에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씰링 가스켓.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링 형상을 가지는 씰링부의 각 표면에서 돌출부는 씰링부의 전둘레에 걸쳐 연속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씰링 가스켓.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씰링부의 각 표면에 1개 또는 2개 이상의 돌출부가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씰링 가스켓.
  10.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2 부품과 제3 부품은 접합된 상태에서 서로 연결되는 유체통로를 가지며,
    상기 제2 가스켓부는
    상기 제2 부품의 접합면과 제3 부품의 접합면 사이에 개재되고 유체통과홀이 형성된 가스켓 플레이트; 및
    상기 유체통과홀에 설치되어 제2 부품의 유체통로와 제3 부품의 유체통로 사이를 씰링하는 탄성 재질의 씰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씰링 가스켓.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2 가스켓부에서, 상기 씰링부는 링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가스켓 플레이트의 유체통과홀 내경부를 따라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씰링 가스켓.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2 가스켓부에서, 상기 씰링부는 제2 부품의 접합면과 제3 부품의 접합면 사이에서 양측의 접합면에 의해 눌리면서 압축 변형되어 상기 양측 접합면에 동시에 밀착 가능한 고무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씰링 가스켓.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2 가스켓부에서, 상기 씰링부는 가스켓 플레이트의 양면을 기준으로 양방향으로 돌출된 형상의 돌출부를 양쪽 표면에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씰링 가스켓.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제2 가스켓부에서, 상기 링 형상을 가지는 씰링부의 각 표면에서 돌출부는 씰링부의 전둘레에 걸쳐 연속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씰링 가스켓.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제2 가스켓부에서, 상기 씰링부의 각 표면에 1개 또는 2개 이상의 돌출부가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씰링 가스켓.
KR1020190067113A 2019-06-07 2019-06-07 씰링 가스켓 KR20200140490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7113A KR20200140490A (ko) 2019-06-07 2019-06-07 씰링 가스켓
US16/686,389 US20200386313A1 (en) 2019-06-07 2019-11-18 Sealing gasket
CN201911159498.5A CN112049932A (zh) 2019-06-07 2019-11-22 密封衬垫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7113A KR20200140490A (ko) 2019-06-07 2019-06-07 씰링 가스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0490A true KR20200140490A (ko) 2020-12-16

Family

ID=736087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7113A KR20200140490A (ko) 2019-06-07 2019-06-07 씰링 가스켓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00386313A1 (ko)
KR (1) KR20200140490A (ko)
CN (1) CN112049932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8204085A1 (de) * 2018-03-16 2019-09-19 Elringklinger Ag Dichtungsanordnung, Batterie- oder Steuerungskasten, Kraftfahrzeug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Dichtungsanordnung
DE202019102113U1 (de) * 2019-04-12 2020-07-16 Reinz-Dichtungs-Gmbh Klappbare Dichtung mit durchgehender Dichtkontur
DE102019213614A1 (de) * 2019-09-06 2021-03-11 Elringklinger Ag Dichtungsanordnung, Batterie- oder Steuerungskasten, Kraftfahrzeug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Dichtungsanordnung
DE202020104066U1 (de) * 2020-07-14 2021-10-18 Reinz-Dichtungs-Gmbh Dichtung und Gehäuse mit einer Dicht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386313A1 (en) 2020-12-10
CN112049932A (zh) 2020-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140490A (ko) 씰링 가스켓
JP5723846B2 (ja) ガスケット
JP3738121B2 (ja) 金属製ガスケット
EP1740817B1 (en) Metal gasket
US6073938A (en) Sealing structure
US20040172824A1 (en) Method of making a segmented gasket having a continuous seal member
US6056296A (en) Metal gasket having seal structure for three-surface combining portion
US20130009367A1 (en) Gasket assembly havng isolated compression limiting device
KR20030094223A (ko) 금속개스킷
EP1083371A2 (en) Cylinder head gasket with gas releasing portion
US20090066035A1 (en) Static gasket
US6669205B2 (en) Retainer gasket with pressure relief vents
JP4737224B2 (ja) シール構造
JP5863258B2 (ja) 三面合せ部の密封構造
US20050046121A1 (en) Retainer gasket construction
US20020170521A1 (en) Flat gasket for a reciprocating engine or a driven machine
EP2423540B1 (en) Seal Structure
US20090152189A1 (en) Laterally sealing gasket interface
US5295699A (en) Metal laminate gasket with inner projection connecting mechanisms
JP2009299735A (ja) 密封装置
US10962101B2 (en) Driving force transmission device
JP3575511B2 (ja) 内燃機関のシール構造
JP5199957B2 (ja) エンジンのシール構造及びそのシール構造に使用されるガスケット
JP7426775B2 (ja) 密封構造
JPH09210206A (ja) メタルガスケッ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