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39505A - 차량정비와 서비스를 위한 차량안전관리 서비스 시스템, 그를 이용한 차량안전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차량정비와 서비스를 위한 차량안전관리 서비스 시스템, 그를 이용한 차량안전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39505A
KR20200139505A KR1020190066100A KR20190066100A KR20200139505A KR 20200139505 A KR20200139505 A KR 20200139505A KR 1020190066100 A KR1020190066100 A KR 1020190066100A KR 20190066100 A KR20190066100 A KR 20190066100A KR 20200139505 A KR20200139505 A KR 202001395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information
server
safety management
mainten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61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35996B1 (ko
Inventor
김주형
Original Assignee
김주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주형 filed Critical 김주형
Priority to KR10201900661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5996B1/ko
Publication of KR202001395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95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59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59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06Q50/3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4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billing systems
    • G06Q20/145Payments according to the detected use or quant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2Aspects of commerce using mobile devices [M-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5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using wireless networ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5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communications industry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08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communicating information to a remotely located stat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8Registering or indicating performance data other than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with or without registering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522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운행을 기록하는 운행기록자기진단장치(OBD)와 차량 정비업소에서 운용 중인 자동차검사관리프로그램 및 차주의 스마트기기를 연동하여 차량의 안정적인 정비와 정비업소에서 제공하는 각종 부가 서비스는 물론 해당 차량의 안전 관리를 운전자의 편의에 따라 실시간으로 제공할 수 있는 차량정비와 서비스를 위한 차량안전관리 서비스 시스템, 그를 이용한 차량안전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정비와 서비스를 위한 차량안전관리 서비스 시스템, 그를 이용한 차량안전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A vehicle safety management service system for vehicle maintenance and service, a vehicle safety management service providing method using the same, and a recording medium on which a program for implementing the vehicle safety management service is recorded}
본 발명은 차량안전관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운행기록자기진단장치(OBD)와 자동차검사관리시스템 및 차주의 스마트기기를 이용하여 차량의 정비 및 부가 서비스와 차량 안전 관리를 제공할 수 있는 차량정비와 서비스를 위한 차량안전관리 서비스 시스템, 그를 이용한 차량안전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안전운전을 위해 다양한 센서가 장치되어 계기판을 통해 자동차의 속도, 변속기어 위치, 엔진체크, 엔진오일 온도, 연료량, RPM, 타이어 압력, 도어 개폐, 안전벨트, 주차 브레이크 작동 관련 정보 등등과 같은 다양한 안전관련 정보를 제공하고 있어서 계기판에 경고등이 들어오면 운전자가 자동차의 이상 상태를 인식하여 적절한 조치를 취하여 안전 운행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하지만 계기판에 경고등이 들어와도 운전자가 자동차에 대한 정비 지식이 많지 않을 경우 주유 경고와 같은 간단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적절한 조치를 취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아 다양한 안전관련 경고가 있어도 적절한 실시간 정비가 이루어지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자동차에는 상기 계기판에 나타나는 경고뿐만 아니라 자동차 내부에 장치된 수많은 센서들로부터 제공되는 다양한 경고가 있는데, 이러한 경고가 있어도 운전자가 직접 확인할 수 없기 때문에 적기에 필요한 정비가 이루어지지 못하는는 문제점이 있다.
이 때문에 대부분의 자동차 정비는 운전자가 정기적 또는 부정기적으로 정비업소에 들러 차량 정비를 받게 되는데 이와 같은 정비 행태는 정비주기를 놓쳐 자동차의 내구성에 해를 미치거나 불필요한 과잉 정비를 받게 되는 문제가 생길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정비관련 문제는 자동차 운전자쪽의 문제뿐만 아니라 차량 정비업소 역시 해당 정비대상 자동차의 상태를 지속적으로 관찰한 것이 아니어서 신뢰성 있는 정비를 할 수 없다는 문제점도 있다. 즉, 해당 정비대상 자동차의 객관적인 누적 데이터를 통해 적절한 정비를 하는 것이 아니라 자동차의 연식이나 주행거리를 바탕으로 정비사의 정비경험과 메뉴얼에 따른 소모품 교체 주기를 통한 정비가 대부분이어서 실제 자동차의 내부상태 변화 패턴과 운전자의 운전습관에 따른 정보를 통한 맞춤형 정비가 이루어지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 1 :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053429호(발명의 명칭: 소모품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특허문헌 2 :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6-0063906호(발명의 명칭 : 차량 상태 분석 방법, 이를 구현하는 차량 정보 수집 장치 및 스마트 디바이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단점과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차량의 운행을 기록하는 운행기록자기진단장치(OBD)와 차량 정비업소에서 운용 중인 자동차검사관리프로그램 및 차주의 스마트기기를 연동하여 차량의 안정적인 정비와 정비업소에서 제공하는 각종 부가 서비스는 물론 해당 차량의 안전 관리를 운전자의 편의에 따라 실시간으로 제공할 수 있는 차량정비와 서비스를 위한 차량안전관리 서비스 시스템, 그를 이용한 차량안전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차량의 엔진제어부인 ECU(ENGINE CONTROL UNIT)(120)로부터 차량에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탑재장치에 대한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자가 진단 단말기로, 차량에 부착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들로부터 ECU(120)로 전달된 차량의 주요 계통에 대한 정보를 직렬 통신기능을 이용하여 알려주어 차량의 자가 진단이 가능하며, 차량의 운행기록을 진단하는 장치로 차량에 부착되는 차량 운행기록자기진단장치(OBD)(100); 상기 차량 운행기록자기진단장치(OBD)(100, 101)의 인터페이스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차량의 운행 시 운행기록을 외부로 전송하는 운행관리모듈(110); 차량을 정비하는 업체로 차량 점검 시 상기 운행기록자기진단장치(OBD)(100)에 상기 운행관리모듈(110, 111)을 설치하고, 상기 설치정보를 외부의 서버로 전송하는 복수의 차량 정비업체 서버(200, 201); 모바일 메신저를 다운로드 받아 설치되어 상기 운행관리모듈(110)과 초기에 무선통신으로 연결이 설정된 후 차량의 운행기록 정보를 수신하여 통신망을 통해 미리 설정된 외부의 서버로 전송하는 차량 운전자의 운전자 단말기(300); 상기 운전자 단말기(300)로 이용되는 스마트폰으로 무선 인터넷망을 이용해 문자, 파일, 음성 메시지를 주고받을 수 있는 소프트웨어를 운용하는 서버로, 스마트폰으로 다운로드받아 설치되는 모바일 메신저를 운용하는 모바일 메신저 서버(500); 상기 운행기록자기진단장치(100)에 연결된 상기 운행관리 모듈(110, 110)로부터 차량운행기록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차량운행기록 정보에 따른 차량 부속품의 교체정보를 차량 운전자의 스마트폰인 운전자 단말기(300)로 전송하고, 상기 정비업체 서버(200)(201)로부터 정비업체에서 진행 중인 이벤트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운전자 단말기(300)로 선택적으로 전송하는 정비업체 서버(200); 및 상기 정비업체 서버(200)와 운전자 단말기(300), 모바일 메신저 서버(500)와, 차량안전관리서버(700)간 발생되는 비용을 결제하는 금융사 서버(6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정비와 서비스를 위한 차량안전관리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한다.
여기서, 차량안전관리 서버는, 상기 정비업체 서버(200)(201), 모바일 메신저 서버(500), 금융사 서버(700) 와 통신하는 통신부(710)와, 상기 정보업체 정보와 이벤트 종류, 이벤트 기간 종류 정보가 저장되는 정비업체 정보 DB와, 차량별 소모품 DB와, 차량별 운행기록, 소모품 교환 정보가 저장되는 차량별 운행기록/소모품 교환 DB와, 모바일 메신저 서버와 공유되는 정보와, 교통안전공단 서버와 차량 운행과 관련된 정보의 공유가 가능한 경우 해당 정보가 저장되는 모바일메신저/교통안전공단 정보 공유 DB와, 금융거래(결제)가 수행된 경우 해당 금융거래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는 금융거래 정보 DB 중 하나 이상이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720)와, 정비업체 정보와, 정비업체 서버(200)(210)로부터 차량의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를 분류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720)에 저장하는 정비업체/차량정보 수집 및 분류부(730)와, 상기 모바일 메신저 서버(600)를 통해 차량의 OBD와 연결된 운행관리모듈로부터의 스마트폰을 통해 전송된 차량의 주행거리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차량주행거리 수집부(740)와, 차량의 종류와 차량이 이용하는 연료종류에 따른 주행거리와 규정되어 있는 최적의 교환시기를 차량별 운행기록/소모품 교환 DB를 참조하여 비교하는 차량별 주행거리/소모품 비교부(770)와, 제휴된 정비업체 서버나 스마트폰 및 모바일 메신저 서버로 요금을 청구하거나 요금을 납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금융사 서버(600)를 통해 계산된 이용요금의 결제를 요청하거나 지불하도록 요청하는 이용요금 계산 및 결제 요청부(780) 및 상기 통신부(710), 데이터베이스(720), 정비업체/차량정보 수집 및 분류부(730), 차량주행거리 수집부(740), 차량별 주행거리/소모품 비교부(770) 및 이용요금 계산 및 결제 요청부(780)를 제어하는 제어부(79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차량안전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협력 정비업체와, 모바일 메신저 업체 및 금융사를 선정하고, 해당 업체들의 서버와 통신 및 각종 업무를 수행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단계(S100); 정비업체 방문 차량에 대하여 차량의 운행기록자기진단장치(OBD)(100)와 운행관리모듈(110)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연결한 정보를 차량안전관리서버(700)로 전송하는 단계(S110); 상기 방문 차량의 차주의 스마트폰에 설치된 모바일 메신저에 차량안전관리를 위한 차량안전관리서버(700)와의 친구추가가 수행되는 단계(S120); 모바일 메신저 서버(500)는 친구추가된 스마트폰 정보와 OBS 식별정보를 차량안전관리서버(700)로 전송하는 단계(S130); 상기 차량안전관리서버(700)는 정비업체 서버로부터 전송된 정보와 모바일 메신저 서버(500)로부터 전송된 정보에 따라 차량 OBD 정보와 운행관리모듈을 DB화하는 단계(S140); 상기 차량 운전자가 스마트폰을 소지한 상태에서 차량 탑승시 OBD에 연결된 운행관리 모듈과 자동으로 연동되고(S150), 차량의 주행 시 운행관리모듈은 OBD로부터 차량주행거리를 받아 상기 모바일 메신저 서버를 통해 상기 차량안전관리 서버로 차량운행거리 정보를 전송하고, 그에 따라 차량주행기록이 주기적으로 갱신되는 단계(S160); 상기 차량안전관리서버는 차량정보와, 운행관리모듈로부터 전송된 주행기록 정보에 따라 소모품 교환정보를 해당 차량의 스마트폰으로 모바일 메신저 서버를 통해 전송하는 단계(S170); 상기 차량안전관리서버는 정비업체로부터 차량 소모품 이벤트 정보를 취합하여 해당 정비업체를 이용하는 이용자 스마트폰으로 모마일 메신저 서버를 통해 전송하는 단계(S180); 및 상기 차량안전관리서버는 미리 설정된 주기마다 제휴된 정비업체 서버나 스마트폰 및 모바일 메신저 서버로 요금을 청구하거나 요금을 납부하기 위한 이용요금 계산 및 결제를 요청하는 단계(S2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정비와 서비스를 위한 차량안전관리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차량의 운행기록자기진단장치(OBD)와 연결되어 차량의 정확한 주행거리를 외부로 무선방식으로 전송할 수 있는 운행관리모듈을 통해 전송하고, 차량안전관리서버에서 이를 차량 운전자의 스마트폰으로 알려줌으로써 차량 운전자는 차량의 소모품 교환주기를 정확히 알 수 있다.
둘째, 차량에서 발생하는 소음에 대하여 차량안전관리서버에 스마트폰으로 실시간으로 문의를 하고, 이를 스마트폰으로 실시간으로 답변받음으로써 차량 이상에 대하여 빠르고, 안전한 대처가 가능하다.
셋째, 차량의 OBD와 연결되는 운행관리모듈이 대중적으로 사용되는 모바일 메신저 서버와의 통신 방식을 통해 차량 운전자의 스마트폰과 차량안전관리서버간 통신을 수행함으로써 별도의 앱을 설치할 필요없이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넷째, 차량안전관리서버는 정비업체로부터 차량 소모품 이벤트 정보를 취합하여 해당 정비업체를 이용하는 이용자 스마트폰으로 모바일 메신저 서버를 통해 이벤트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해당 정비업체를 이용하는 고객들에게 다양한 혜택을 제공할 수 있다. 이는 해당 정비업체를 이용하지 않는 고객의 스마트폰으로는 홍보가 되지 않으므로 불필요한 홍보를 방지하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정비와 서비스를 위한 차량안전관리 서비스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차량을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낸 차량안전관리서버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정비와 서비스를 위한 차량안전관리 서비스 시스템을 이용한 차량안전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 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는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하였으므로,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용어가 가지는 의미로서 본 발명을 파악하여야 함을 밝혀두고자 한다. 또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정비와 서비스를 위한 차량안전관리 서비스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차량을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정비와 서비스를 위한 차량안전관리 서비스 시스템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차량 운행기록자기진단장치(OBD)(100, 101), 운행관리센서(110, 111), 복수의 차량 정비업체 서버(200, 201), 복수의 운전자 단말기(300), 교통안전공단 서버(400), 모바일 메신저 서버(500), 금융사 서버(600), 차량안전 관리 서버(700) 및 복수의 차량 전문가 PC(800, 801)로 구성된다.
복수의 차량 운행기록자기진단장치(OBD)(100, 101)는 차량의 운행기록을 진단하는 장치로 차량에 부착된다. 이러한 OBD는 보험기간동안 차량에 부착해 자동차의 시동을 걸 때 자동으로 운행기록이 저장되는 장치로, 2010년 5월말부터 보험업계에서 시행하는 승용차 요일제 보험에 가입하는 보험가입자는 차량에 운행기록 자기진단장치(OBD)를 설치하고, 계약만료후 저장된 운행기록을 보고 승용자 요일제 준수 여부를 확인하는데 이용되었다.
현재 대부분의 차량에는 OBD 시스템이 장착되고 있다. 차량의 OBD(On-Board Diagnostics)는 현재, 자동차의 전자장치 부가가 가속화됨에 의해 여러 가지 센서 정보를 제공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차량 진단기(Automotive Scantool)를 이용해 정비사의 정비 판단 요소로 중요하게 사용되고 있다.
즉, 차량 진단기를 이용할 경우 표준화된 자동차 부품명과 결함코드번호체계를 이용하여 결함 부품과 결함 상태를 정확히 파악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OBD 시스템의 인터페이스(16핀 표준 데이터 연결 커넥터)를 통해 산소센서, 배기가스 재순화 밸브, 연료탱크 압력 센서, 캠샤프트 포지션 센서를 비롯하여 속도 센서, 가속도 센서, 도어 개폐센서, 급정차 감지 센서 등과 같은 다양한 센서들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자동차의 OBD 장착으로 인해 각 제조사마다 다른 형태를 취했던 자동차 진단 커넥터(DLC;Data Link connecter)의 통일화가 확산되었고, 규격화된 통신 프로토콜(protocol)과 PID(Parameter Identification)를 제공하게 되었다.
운행관리모듈(110, 111)은 OBD(100, 10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차량의 운행 시 운행기록을 센싱하는 센서와, 센싱된 운행기록을 자신의 식별정보(ID) 또는 OBD 식별정보와 함께 미리 설정된 주기나 운행거리마다 무선방식으로 외부로 전송하는 전송부로 구성된다. 이러한 무선방식으로는 블루투스나 와이파이를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운행기록자기진단장치(OBD)(100, 101)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은 차량의 엔진제어부인 ECU(ENGINE CONTROL UNIT)(120)로부터 차량에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탑재장치에 대한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자가 진단 단말기로, 차량에 부착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들로부터 ECU(120)로 전달된 차량의 주요 계통에 대한 정보나 고장 등의 정보를 직렬 통신기능을 이용하여 알려주어 차량의 자가 진단이 가능하다.
이러한 OBD는 자동차 산업에서 사용되는 용어로, 최근에 생산되는 차량에는 여러가지 계측과 제어를 위한 센서들 예컨대, 충격센서, 온도센서, 압력센서, 가속센서, 타이어압 센서, 기후센서 등으로부터 센서 정보를 수신한다. 이러한 센서들은 ECU(120)에 의하여 제어된다.
ECU(120)는 원래 엔진의 점화시기와 연료분사, 가변 밸브 타이밍, 공회전, 한계값 설정 등 엔진의 핵심 기능을 정밀하게 제어하는 것이었으나 차량과 컴퓨터 성능의 발전과 함께 자동변속기 제어를 비롯해 구동계통, 제공계통, 조향계통 등 차량의 모든 부분들을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운행기록자기진단장치(OBD)(100, 101)는 센서 정보 이외에 ECU(120)로부터 주행거리, RPM, 속도, 연비, 배터리전압, 냉각수교환, 공회전 시간 등의 주행 정보를 획득하여 감지할 수 있다
복수의 차량 정비업체 서버(200, 201)는 차량을 정비하는 업체로, 일명 자동차종합정비업, 소형자동차정비업, 자동차전문정비업, 원동기전문정비업체의 서버이다. 이러한 차량 정비업체 서버(200, 201)는 자동차의 검사장면 및 검사결과 등 검사 이력을 통합관리하는 한국교통안전공단의 교통안전공단 서버(400)와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어 차량의 검사 이력이 종합적으로 관리된다. 이러한 복수의 차량 정비업체 서버(200, 201)는 차량 점검 시 차주와 협의하여 운행기록자기진단장치(OBD)(100, 101)에 운행관리모듈(110, 111)을 설치할 수 있다. 이러한 설치 시 차량정보(차량번호, 운전자 스마트폰 번호, 부속품 교체 정보 등)의 정보를 미리 설정된 외부의 서버(교통안전공단서버, 차량안전관리 서버)로 전송한다.
복수의 운전자 단말기(300)는 차량을 운전하는 운전자의 스마트폰 등의 단말기이다. 이러한 운전자 단말기(300)는 모바일 메신저를 다운로드 받아 설치되어 운행관리모듈(110, 111)과 초기에 무선통신(블루투스, 와이파이 등)으로 연결이 설정된 후 설정된 주기(예로써, 하루, 일주일, 한 달 등) 또는 설정된 운행거리(예로써, 100km, 500km, 1000Km, 3000Km, 5000km, 10000Km 등)마다 전송되는 운행기록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정보를 통신망을 통해 미리 설정된 외부로 전송한다.
모바일 메신저 서버(500)는 운전자 단말기(300)로 이용되는 스마트폰으로 무선 인터넷망을 이용해 문자, 파일, 음성 메시지를 주고받을 수 있는 소프트웨어를 운용하는 서버로, 스마트폰으로 다운로드받아 설치하는 것으로, 대표적으로는 카카오톡이 있다. 데이터 이용량에 관계없이 한 달에 일정 금액만 내면 되는 정액요금제에 가입한 이용자라면 추가 요금 부담 없이 마음껏 문자메시지를 주고받을 수 있어, 단기간에 수천만 명이 이용하는 인기 소프트웨어로 자리 잡았다.
한편 복수의 운전자 단말기(300)는 운행관리모듈(110)로부터 전송된 차량의 운행기록 정보를 모바일 메신저 서버(500)를 통해 미리 설정된 차량안전관리서버(700)로 전송한다.
금융사 서버(600)는 정비업체 서버(200)(201)와 운전자 단말기(300)(301), 모바일 메신저 서버(500)와, 차량안전관리서버(700)간 발생되는 비용을 결제한다. 이러한 금융사 서버(600)로는 은행사, 카드사 및 페이팔(카카오 페이 등) 등의 서버일 수 있다.
차량안전 관리 서버(700)는 차량의 운행기록자기진단장치(100)(101)에 연결된 운행관리 모듈(110, 110)로부터 차량운행기록 정보를 수신하여, 차량 부속품의 교체정보를 차량 운전자의 스마트폰인 운전자 단말기(300)로 전송한다. 또한 정비업체 서버(200)(201)로부터 정비업체에서 진행 중인 이벤트 정보를 전송한다. 이러한 이벤트 정보로는 예를 들어, 와이퍼, 타이어, 배터리, 엔진오일 할인정보 등이 있을 수 있는데, 차량의 주행거리를 정확히 알 수 있다면 해당 차량에 대한 정확한 부속품 교체 주기에 따른 안내도 가능하다. 또한 차주로부터 차량에서 발생되는 소음에 대하여 정비업체의 방문없이도 소음의 원인에 대한 문의를 차주의 스마트폰과 모바일 메신저 서버를 통해 수신하고, 이를 미리 구축된 데이터베이스와 비교하여 자동으로 분석하여 분석결과를 모바일 서버를 통해 다시 스마트폰으로 전송하거나, 데이터베이스에 구축된 자료가 없는 경우 내부나 외부의 전문가 PC(800)(801)로 전송하고, 회신결과를 알려준다. 그에 따라 운전자는 정비업체의 방문없이도 차량 소음에 의한 이상을 알 수 있고, 필요한 경우 정비업체에 방문하여 해당 문제에 대하여 빠르게 대처할 수 있다.
복수의 차량 전문가 PC(800, 801)는 차량에서 발생하는 소리를 통해 차량의 어느 부분에 어떠한 문제가 발생될 수 있는지를 알 수 있는 전문가들의 PC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낸 차량안전관리서버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1에 나타낸 차량안전관리서버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신부(710), 데이터베이스(720), 정비업체/차량정보 수집 및 분류부(730), 차량주행거리 수집부(740), 차량소음분석부(750), 차량소음 분석요청부(760), 차량별 주행거리/소모품 비교부(770), 이용요금 계산 및 결제 요청부(780) 및 제어부(790)로 구성된다.
통신부(710)는 정비업체 서버(200)(201), 모바일 메신저 서버(500), 금융사 서버(700) 및 전문가 PC(800)(801)와 통신한다.
데이터베이스(720)는 정보업체 정보(위치, 전화번호, 관리 받은 차량정보, 관리 받은 차량의 고객정보(차량종류, 휴대폰 번호 등))와 이벤트 종류, 이벤트 기간 종류 정보 등이 저장되는 정비업체 정보 DB와, 차량별 소모품(차량의 종류에 따라 이용, 교체 가능한 소모품) 정보 DB와, 차량의 OBD 식별정보와 운행관리모듈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관리차량 정보(차량종류, 휴대폰 번호 등) DB와, 차량별 운행기록, 소모품 교환 정보가 저장되는 차량별 운행기록/소모품 교환 DB와, 모바일 메신저 서버와 공유되는 정보(차량 이용자별 사용하는 모바일 메신저가 다를 수 있으므로)와, 교통안전공단 서버와 차량 운행과 관련된 정보의 공유가 가능한 경우(차량의 각종 안전점검이나 소모품 교환 정보 등) 해당 정보가 저장되는 모바일메신저/교통안전공단 정보 공유 DB와, 금융거래(결제)가 수행된 경우 해당 금융거래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는 금융거래 정보 DB와, 차량별 이상소음에 대하여 차량의 종류와 연식에 따라 발생될 수 있는 소음 중 정상범위의 소음정보와, 차량 부속품 이상 시 발생될 수 있는 소음 정보가 저장된 차량별 이상소음 정보 구축 DB 및 차량소음 결과에 대하여 전송한 결과가 저장되는 차량소음 결과 처리 DB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구축된다.
정비업체/차량정보 수집 및 분류부(730)는 정비업체 정보(위치정보, 정비 업체 등급 정보, 전화번호 등)와, 정비업체 서버(200)(210)로부터 차량의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를 분류하여 데이터베이스(720)에 저장한다. 이러한 차량정보로는 차량번호, 차량 종류, 차량 운전자의 스마트폰 번호, 차량의 수리, 소모품 교환 이력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정비업체로부터 이벤트가 발생되는 경우 해당 이벤트를 수집하고, 이를 분류하여 차량정보에 따라 통신부(710)와 모바일 메신저 서버(500)를 통해 차량 운전자의 스마트폰으로 전송한다.
차량주행거리 수집부(740)는 미리 설정된 주기나 주행거리에 따라 모바일 메신저 서버(600)를 통해 차량의 OBD와 연결된 운행관리모듈로부터의 스마트폰을 통해 전송된 차량의 주행거리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차량소음분석부(750)는 차량 운전자의 스마트폰으로부터 모바일 메신저 서버(500)를 통해 전송된 차량의 이상소음을 분석하고, 분석결과를 통신부(710)와 모바일 메신저 서버(500)를 통해 차량 운전자의 스마트 폰으로 전송한다. 이러한 분석결과의 하나의 예로는 엔진오일 교환주기가 경과하는 경우 엔진에서 소음이 정상범위를 벗어날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에는 정상적인 교환시기가 많이 경과한 경우 발생될 수 있는데 이러한 엔진오일 교환주기를 알려줄 수 있고, 특히 브레이크 오일 주기의 경우 차주들이 거의 그 주기를 알지 못하므로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차량의 운행 습관에 따라서는 운행습관이 좋지 않은 경우나 도로 상황이 좋지 않은 곳을 많이 운행하는 경우에는 미리 정해놓은 교환주기보다 빠르게 교환하는 것이 유리하므로 그러한 경우에도 사용자는 교환주기를 계산하여 늦게 교체하려고 할 때 차량에서 이상소음의 발생에 따라 교환주기보다는 짧지만 차량의 안전 운행을 위하여 미리 교체, 교환할 것을 알려줄 수 있어 이 또한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차량소음 분석요청부(760)는 차량소음분석부(750)에서의 분석결과 분석되지 않은 경우 이를 전문가 PC(800)(801)로 요청한다.
차량별 주행거리/소모품 비교부(770)는 차량의 종류(자가용, 승합차, 트럭, 버스, SUV 등)와 차량이 이용하는 연료종류(휘발유, 경유 등)에 따른 주행거리와 규정되어 있는 최적의 교환시기를 차량별 운행기록/소모품 교환 DB를 참조하여 비교한다.
이용요금 계산 및 결제 요청부(780)는 제휴된 정비업체 서버나 스마트폰 및 모바일 메신저 서버로 요금을 청구하거나 요금을 납부하기 위한 것으로, 금융사 서버(600)를 통해 계산된 이용요금의 결제를 요청하거나 지불한다.
제어부(790)는 통신부(710), 데이터베이스(720), 정비업체/차량정보 수집 및 분류부(730), 차량주행거리 수집부(740), 차량소음분석부(750), 차량소음 분석요청부(760), 차량별 주행거리/소모품 비교부(770) 및 이용요금 계산 및 결제 요청부(780)를 제어하고, 특히 차량주행거리 수집부(740)에서 수집된 차량별 주행거리에 대하여 차량별 주행거리/소모품 비교부(770)를 통해 교환주기가 되었다면 이를 통신부(710)를 통해 모바일 메신저 서버(500)에서 해당 차량의 스마트폰으로 안내하도록 제어한다.
한편 이러한 차량안전관리서버(700)는 관리자를 위한 모니터(701)와 입출력장치(702)가 연결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정비와 서비스를 위한 차량안전관리 서비스 시스템을 이용한 차량안전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정비와 서비스를 위한 차량안전관리 서비스 시스템을 이용한 차량안전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차량안전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협력 정비업체와, 모바일 메신저 업체 및 금융사를 선정하고, 해당 업체들의 서버와 통신 및 각종 업무를 수행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한다(S100).
그리고 정비업체 방문 차량에 대하여 차량의 운행기록자기진단장치(OBD)(100, 101)와 운행관리모듈(110, 111)을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그리고 연결정보를 차량안전관리서버(700)로 전송한다(S110). 이는 정비업체 서버(200, 201)에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정비업체 서버는 차량번호, 차량의 종류, 소모품 교환 정보 등을 함께 입력하여 전송할 수 있다.
이어 차주의 스마트폰에 설치된 모바일 메신저(없는 경우에는 모바일 메신저 설치 요청)에 차량안전관리를 위한 친구추가를 수행한다(S120). 이때, 운행관리모듈과 차량 운전자의 스마트폰은 무선통신(예를 들면 블루투스)으로 연결되도록 설정한다.
그에 따라 모바일 메신저 서버(500)는 친구추가된 스마트폰 정보와 OBSD 식별정보를 차량안전관리서버(700)로 전송한다(S130).
차량안전관리서버(700)는 정비업체 서버로부터 전송된 정보와 모바일 메신저 서버(500)로부터 전송된 정보에 따라 차량 OBD 정보와 운행관리모듈을 DB화한다(S140).
한편 이러한 일련의 조치 후 차량 운전자가 스마트폰을 소지한 상태에서 차량 탑승시 OBD에 연결된 운행관리 모듈과 자동으로 연동되고(S150), 차량의 주행 시 운행관리모듈은 OBD로부터 차량주행거리를 받아 미리 설정된 주행거리나 미리 주기에 따라 모바일 메신저 서버를 통해 차량안전관리 서버로 차량운행거리 정보를 전송하고, 그에 따라 차량주행기록이 주기적으로 갱신된다(S160).
또한 차량안전관리서버는 차량정보와, 운행관리모듈로부터 전송된 주행기록 정보에 따라 소모품 교환정보를 해당 차량의 스마트폰으로 모바일 메신저 서버를 통해 전송한다(S170).
한편 차량안전관리서버는 정비업체로부터 차량 소모품 이벤트 정보를 취합하여 해당 정비업체를 이용하는 이용자 스마트폰으로 모바일 메신저 서버를 통해 전송한다(S180). 이러한 경우 해당 정비업체를 이용하는 고객들에게 다양한 혜택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차량안전관리서버는 스마트폰으로부터 차량 소음정보가 모바일 메신저 서버를 통해 수신되면 차량소음분석부에서 데이터베이스의 차량별 이상소음정보 구축 DB에서 해당 소음을 비교한다(S190).
비교결과 유사정보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하여(S200), 존재한다면 스마트폰으로 이상소음 관련 정보를 제공하고, 그에 따라 적절한 해당 차량 운전자는 적절한 대응(소모품 교환, 정비업체 방문 등)을 하게 된다(210).
한편 유사정보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하여(S200), 존재하지 않는다면 해당 정보를 통신망을 통해 전문가 PC로 전송한다(S220). 이때, 차량안전관리서버에 직접 연결된 전문가 PC로 전송할 수도 있는데, 이는 차량안전관리서버와 관련된 회사에 직접적인 전문가가 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전문가 PC에서의 이상소음 정보가 분석되면 이를 차량소음결과 처리 DB에 저장하고, 통신망을 통해 스마트폰으로 전송한다(S230).
한편 차량안전관리서버는 미리 설정된 주기마다 제휴된 정비업체 서버나 스마트폰 및 모바일 메신저 서버로 요금을 청구하거나 요금을 납부하기 위한 이용요금 계산 및 결제를 요청한다(S240).
이상과 같이 본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 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하여 저서는 안되며, 후술되는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인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101 : 운행기록자기진단장치(OBD)
110, 111 : 운행관리센서 120 : ECU
200 : 차량 정비업체 서버 300 : 운전자 단말기
400 : 교통안전공단 서버 500 : 모바일 메신저 서버
600 : 금융사 서버 700 : 차량안전 관리 서버
701 : 모니터 702 : 입출력장치
710 : 통신부 720 : 데이터베이스
730 : 정비업체/차량정보 수집 및 분류부
740 : 차량주행거리 수집부 750 : 차량소음분석부
760 : 차량소음 분석요청부 770 : 차량별 주행거리/소모품 비교부
780 : 이용요금 계산 및 결제 요청부
790 : 제어부 800, 801 : 차량 전문가 PC

Claims (4)

  1. 차량의 엔진제어부인 ECU(ENGINE CONTROL UNIT)(120)로부터 차량에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탑재장치에 대한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자가 진단 단말기로, 차량에 부착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들로부터 ECU(120)로 전달된 차량의 주요 계통에 대한 정보를 직렬 통신기능을 이용하여 알려주어 차량의 자가 진단이 가능하며, 차량의 운행기록을 진단하는 장치로 차량에 부착되는 차량 운행기록자기진단장치(OBD)(100);
    상기 차량 운행기록자기진단장치(OBD)(100, 101)의 인터페이스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차량의 운행 시 운행기록을 외부로 전송하는 운행관리모듈(110);
    차량을 정비하는 업체로 차량 점검 시 상기 운행기록자기진단장치(OBD)(100)에 상기 운행관리모듈(110, 111)을 설치하고, 상기 설치정보를 외부의 서버로 전송하는 복수의 차량 정비업체 서버(200, 201);
    모바일 메신저를 다운로드 받아 설치되어 상기 운행관리모듈(110)과 초기에 무선통신으로 연결이 설정된 후 차량의 운행기록 정보를 수신하여 통신망을 통해 미리 설정된 외부의 서버로 전송하는 차량 운전자의 운전자 단말기(300);
    상기 운전자 단말기(300)로 이용되는 스마트폰으로 무선 인터넷망을 이용해 문자, 파일, 음성 메시지를 주고받을 수 있는 소프트웨어를 운용하는 서버로, 스마트폰으로 다운로드받아 설치되는 모바일 메신저를 운용하는 모바일 메신저 서버(500);
    상기 운행기록자기진단장치(100)에 연결된 상기 운행관리 모듈(110, 110)로부터 차량운행기록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차량운행기록 정보에 따른 차량 부속품의 교체정보를 차량 운전자의 스마트폰인 운전자 단말기(300)로 전송하고, 상기 정비업체 서버(200)(201)로부터 정비업체에서 진행 중인 이벤트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운전자 단말기(300)로 선택적으로 전송하는 정비업체 서버(200); 및
    상기 정비업체 서버(200)와 운전자 단말기(300), 모바일 메신저 서버(500)와, 차량안전관리서버(700)간 발생되는 비용을 결제하는 금융사 서버(6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정비와 서비스를 위한 차량안전관리 서비스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차량안전관리 서버는,
    상기 정비업체 서버(200)(201), 모바일 메신저 서버(500), 금융사 서버(700) 와 통신하는 통신부(710)와,
    상기 정보업체 정보와 이벤트 종류, 이벤트 기간 종류 정보가 저장되는 정비업체 정보 DB와, 차량별 소모품 DB와, 차량별 운행기록, 소모품 교환 정보가 저장되는 차량별 운행기록/소모품 교환 DB와, 모바일 메신저 서버와 공유되는 정보와, 교통안전공단 서버와 차량 운행과 관련된 정보의 공유가 가능한 경우 해당 정보가 저장되는 모바일메신저/교통안전공단 정보 공유 DB와, 금융거래(결제)가 수행된 경우 해당 금융거래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는 금융거래 정보 DB 중 하나 이상이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720)와,
    정비업체 정보와, 정비업체 서버(200)(210)로부터 차량의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를 분류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720)에 저장하는 정비업체/차량정보 수집 및 분류부(730)와,
    상기 모바일 메신저 서버(600)를 통해 차량의 OBD와 연결된 운행관리모듈로부터의 스마트폰을 통해 전송된 차량의 주행거리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차량주행거리 수집부(740)와,
    차량의 종류와 차량이 이용하는 연료종류에 따른 주행거리와 규정되어 있는 최적의 교환시기를 차량별 운행기록/소모품 교환 DB를 참조하여 비교하는 차량별 주행거리/소모품 비교부(770)와,
    제휴된 정비업체 서버나 스마트폰 및 모바일 메신저 서버로 요금을 청구하거나 요금을 납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금융사 서버(600)를 통해 계산된 이용요금의 결제를 요청하거나 지불하도록 요청하는 이용요금 계산 및 결제 요청부(780) 및
    상기 통신부(710), 데이터베이스(720), 정비업체/차량정보 수집 및 분류부(730), 차량주행거리 수집부(740), 차량별 주행거리/소모품 비교부(770) 및 이용요금 계산 및 결제 요청부(780)를 제어하는 제어부(79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정비와 서비스를 위한 차량안전관리 서비스 시스템.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기재된 차량정비와 서비스를 위한 차량안전관리 서비스 시스템을 이용한 차량 안전관리 서비스 방법으로,
    차량안전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협력 정비업체와, 모바일 메신저 업체 및 금융사를 선정하고, 해당 업체들의 서버와 통신 및 각종 업무를 수행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단계(S100);
    정비업체 방문 차량에 대하여 차량의 운행기록자기진단장치(OBD)(100)와 운행관리모듈(110)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연결한 정보를 차량안전관리서버(700)로 전송하는 단계(S110);
    상기 방문 차량의 차주의 스마트폰에 설치된 모바일 메신저에 차량안전관리를 위한 차량안전관리서버(700)와의 친구추가가 수행되는 단계(S120);.
    모바일 메신저 서버(500)는 친구추가된 스마트폰 정보와 OBS 식별정보를 차량안전관리서버(700)로 전송하는 단계(S130);
    상기 차량안전관리서버(700)는 정비업체 서버로부터 전송된 정보와 모바일 메신저 서버(500)로부터 전송된 정보에 따라 차량 OBD 정보와 운행관리모듈을 DB화하는 단계(S140);
    상기 차량 운전자가 스마트폰을 소지한 상태에서 차량 탑승시 OBD에 연결된 운행관리 모듈과 자동으로 연동되고(S150), 차량의 주행 시 운행관리모듈은 OBD로부터 차량주행거리를 받아 상기 모바일 메신저 서버를 통해 상기 차량안전관리 서버로 차량운행거리 정보를 전송하고, 그에 따라 차량주행기록이 주기적으로 갱신ㄷ되는 단계(S160);
    상기 차량안전관리서버는 차량정보와, 운행관리모듈로부터 전송된 주행기록 정보에 따라 소모품 교환정보를 해당 차량의 스마트폰으로 모바일 메신저 서버를 통해 전송하는 단계(S170);
    상기 차량안전관리서버는 정비업체로부터 차량 소모품 이벤트 정보를 취합하여 해당 정비업체를 이용하는 이용자 스마트폰으로 모바일 메신저 서버를 통해 전송하는 단계(S180); 및
    상기 차량안전관리서버는 미리 설정된 주기마다 제휴된 정비업체 서버나 스마트폰 및 모바일 메신저 서버로 요금을 청구하거나 요금을 납부하기 위한 이용요금 계산 및 결제를 요청하는 단계(S2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정비와 서비스를 위한 차량안전관리 서비스 시스템을 이용한 차량안전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4. 차량안전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협력 정비업체와, 모바일 메신저 업체 및 금융사를 선정하고, 해당 업체들의 서버와 통신 및 각종 업무를 수행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단계(S100);
    정비업체 방문 차량에 대하여 차량의 운행기록자기진단장치(OBD)(100)와 운행관리모듈(110)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연결한 정보를 차량안전관리서버(700)로 전송하는 단계(S110);
    상기 방문 차량의 차주의 스마트폰에 설치된 모바일 메신저에 차량안전관리를 위한 차량안전관리서버(700)와의 친구추가가 수행되는 단계(S120);
    모바일 메신저 서버(500)는 친구추가된 스마트폰 정보와 OBS 식별정보를 차량안전관리서버(700)로 전송하는 단계(S130);
    상기 차량안전관리서버(700)는 정비업체 서버로부터 전송된 정보와 모바일 메신저 서버(500)로부터 전송된 정보에 따라 차량 OBD 정보와 운행관리모듈을 DB화하는 단계(S140);
    상기 차량 운전자가 스마트폰을 소지한 상태에서 차량 탑승시 OBD에 연결된 운행관리 모듈과 자동으로 연동되고(S150), 차량의 주행 시 운행관리모듈은 OBD로부터 차량주행거리를 받아 상기 모바일 메신저 서버를 통해 상기 차량안전관리 서버로 차량운행거리 정보를 전송하고, 그에 따라 차량주행기록이 주기적으로 갱신되는 단계(S160);
    상기 차량안전관리서버는 차량정보와, 운행관리모듈로부터 전송된 주행기록 정보에 따라 소모품 교환정보를 해당 차량의 스마트폰으로 모바일 메신저 서버를 통해 전송하는 단계(S170);
    상기 차량안전관리서버는 정비업체로부터 차량 소모품 이벤트 정보를 취합하여 해당 정비업체를 이용하는 이용자 스마트폰으로 모바일 메신저 서버를 통해 전송하는 단계(S180); 및
    상기 차량안전관리서버는 미리 설정된 주기마다 제휴된 정비업체 서버나 스마트폰 및 모바일 메신저 서버로 요금을 청구하거나 요금을 납부하기 위한 이용요금 계산 및 결제를 요청하는 단계(S2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정비와 서비스를 위한 차량안전관리 서비스 시스템을 이용한 차량안전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KR1020190066100A 2019-06-04 2019-06-04 차량정비와 서비스를 위한 차량안전관리 서비스 시스템, 그를 이용한 차량안전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1022359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6100A KR102235996B1 (ko) 2019-06-04 2019-06-04 차량정비와 서비스를 위한 차량안전관리 서비스 시스템, 그를 이용한 차량안전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6100A KR102235996B1 (ko) 2019-06-04 2019-06-04 차량정비와 서비스를 위한 차량안전관리 서비스 시스템, 그를 이용한 차량안전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9505A true KR20200139505A (ko) 2020-12-14
KR102235996B1 KR102235996B1 (ko) 2021-04-02

Family

ID=737797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6100A KR102235996B1 (ko) 2019-06-04 2019-06-04 차량정비와 서비스를 위한 차량안전관리 서비스 시스템, 그를 이용한 차량안전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5996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53429A (ko) 2010-11-17 2012-05-2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소모품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50069623A (ko) * 2013-12-13 2015-06-24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실시간 통합 차량관제 시스템 및 방법
KR20160063906A (ko) 2014-11-27 2016-06-07 주식회사 케이티 차량 상태 분석 방법, 이를 구현하는 차량 정보 수집 장치 및 스마트 디바이스
KR20170039969A (ko) * 2015-10-02 2017-04-12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메시지 서버의 차량관리방법 및 차량 단말의 차량관리방법
KR20180110277A (ko) * 2017-03-27 2018-10-10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차량 거치형 obd연동장치와 결제수단 연계 등록 방법
KR20190019383A (ko) * 2017-08-17 2019-02-27 재단법인 다차원 스마트 아이티 융합시스템 연구단 차량 상태 정보를 이용하는 사용기반보험용 단말 장치,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966220B1 (ko) * 2017-11-22 2019-04-08 주식회사 글로비즈 자동차 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53429A (ko) 2010-11-17 2012-05-2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소모품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50069623A (ko) * 2013-12-13 2015-06-24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실시간 통합 차량관제 시스템 및 방법
KR20160063906A (ko) 2014-11-27 2016-06-07 주식회사 케이티 차량 상태 분석 방법, 이를 구현하는 차량 정보 수집 장치 및 스마트 디바이스
KR20170039969A (ko) * 2015-10-02 2017-04-12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메시지 서버의 차량관리방법 및 차량 단말의 차량관리방법
KR20180110277A (ko) * 2017-03-27 2018-10-10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차량 거치형 obd연동장치와 결제수단 연계 등록 방법
KR20190019383A (ko) * 2017-08-17 2019-02-27 재단법인 다차원 스마트 아이티 융합시스템 연구단 차량 상태 정보를 이용하는 사용기반보험용 단말 장치,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966220B1 (ko) * 2017-11-22 2019-04-08 주식회사 글로비즈 자동차 관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5996B1 (ko) 2021-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834463B2 (ja) 車載故障警報通報システム
You et al. Overview of remote diagnosis and maintenance for automotive systems
KR101683242B1 (ko) 차량 상태 진단 및 운전자 정보 제공 시스템
US20060155439A1 (en) System and method for using a vehicle's key to collect vehicle data and diagnose mechanical problems, to store and compare security data to allow only authorized use of vehicles and a method to automatically set vehicle features usng the key
US20130246135A1 (en) System, device and method of remote vehicle diagnostics based service for vehicle owners
US20050060070A1 (en) Wireless communication framework
US11763268B2 (en) Method and system to improve driver information and vehicle maintenance
KR102105821B1 (ko) Obdⅱ 데이터 정보를 이용한 차량 이상 진단 시스템
US11187753B2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a status of a vehicle battery
JP2015141600A (ja) リース残価設定額算出システム及びリース残価設定額算出方法、車両ビジネス活性化システム
US20240095686A1 (en) Autonomous car repair
JP2023126301A (ja) 保険料設定サーバ、保険料設定方法、保険料設定プログラム
JP2015101291A (ja) 車両評価システム及び車両評価方法
KR20190096842A (ko) 차량의 효율적 관리를 위한 네트워킹 시스템
CN111199416A (zh) 服务器装置和信息提供方法
US20200160348A1 (en) Server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JPWO2002056222A1 (ja) 車両の損害保険方法,車載装置,端末装置及び車両の損害保険システム
KR102235996B1 (ko) 차량정비와 서비스를 위한 차량안전관리 서비스 시스템, 그를 이용한 차량안전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20120026231A (ko) 주행중에도 안전하게 차량을 진단할 수 있는 자가 차량 진단장치.
JP6317149B2 (ja) 評価サーバ
KR20210037276A (ko) 스마트 차량정비 시스템
EP4141754A1 (en) Asset check assistant
US11816725B2 (en) Method and device for managing the rental of vehicles
KR20240079293A (ko) Obd를 이용한 차량관리 서비스 제공방법
JP2023177442A (ja) 車両情報サー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