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39409A - 커튼 에어백장치 - Google Patents

커튼 에어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39409A
KR20200139409A KR1020190065892A KR20190065892A KR20200139409A KR 20200139409 A KR20200139409 A KR 20200139409A KR 1020190065892 A KR1020190065892 A KR 1020190065892A KR 20190065892 A KR20190065892 A KR 20190065892A KR 20200139409 A KR20200139409 A KR 202001394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lator
bracket
curtain airbag
cushion
airba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58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광수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658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39409A/ko
Priority to CN202020903905.0U priority patent/CN212332584U/zh
Priority to US16/884,346 priority patent/US11305719B2/en
Priority to DE202020103190.2U priority patent/DE202020103190U1/de
Publication of KR202001394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940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7Inflation fluid source retainers, e.g. reaction canisters; Connection of bags, covers, diffusers or inflation fluid sources therewith or together
    • B60R21/2171Inflation fluid source retainers, e.g. reaction canisters; Connection of bags, covers, diffusers or inflation fluid sources therewith or together specially adapted for elongated cylindrical or bottle-like inflators with a symmetry axis perpendicular to the main direction of bag deployment, e.g. extruded reaction cani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7Inflation fluid source retainers, e.g. reaction canisters; Connection of bags, covers, diffusers or inflation fluid sources therewith or toge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2Curtain-type airbags deploying mainly in a vertical direction from their top ed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3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vehicle roof frames or pill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4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roof pa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60R21/264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instantaneous generation of gas, e.g. pyrotechn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02Type of accident
    • B60R2021/0006Lateral colli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138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specially adapted for side prot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커튼 에어백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커튼 에어백장치는: 작동가스를 발생시키는 인플레이터와, 인플레이터의 측면에 접하는 형상으로 설치되며 일측은 인플레이터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설치되는 브라켓부와, 인플레이터와 브라켓부의 사이에 형성된 장착공간으로 삽입되며 인플레이터에서 발생된 작동가스에 의해 팽창되는 쿠션부 및 쿠션부와 브라켓부의 외측을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되는 클램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커튼 에어백장치{CURTAIN AIRBAG DEVICE}
본 발명은 커튼 에어백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인플레이터와 브라켓의 사이에 쿠션부가 조립되어 내압 감소 없이 설치구조를 간단히 할 수 있는 커튼 에어백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충돌로부터 탑승자를 보호하기 위해 다양한 에어백이 설치된다. 이러한 에어백 중 차량의 측면 충돌로부터 탑승자를 보호하는 커튼 에어백은 루프패널의 측면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길게 설치된다. 또한 커튼 에어백은 차량의 충돌 발생시 탑승자에게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할 뿐만 아니라, 탑승자가 차량 외부로 튕겨나가지 않도록 잡아주는 역할도 수행한다.
커튼 에어백은 차체의 루프레일에 장착되어 측면 충돌시 고온 및 고압의 가스에 의해 전개되는 쿠션을 구비한다. 커튼 에어백에서 인플레이터와 쿠션의 조립은 2가지 방법이 주로 사용된다.
첫번째 커튼 에어백 조립구조는, 쿠션에 인플레이터를 삽입한 후 쿠션 외주 부분에 클램핑 부품을 적용하여 고정한다. 그러나 이러한 커튼 에어백은, 차체 장착을 위한 브라켓을 인플레이터와 조립할 때 적어도 2개의 지점에서 브라켓과 인플레이터를 고정할 필요가 있으므로 조립공정의 증가로 생산비용이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다.
두번째 커튼 에어백 조립구조는, 인플레이터와 브라켓으로 이루어진 조립모듈의 외측에 쿠션을 설치하고, 쿠션의 외측을 감싸는 클램프에 의해 쿠션의 고정이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러한 커튼 에어백은, 브라켓이 쿠션 내부로 들어간 상태에서 클램프에 의해 고정되므로 브라켓 주위로 가스 누설이 발생될 가능성이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인플레이터와 브라켓의 사이에 쿠션부가 조립되어 내압 감소 없이 설치구조를 간단히 할 수 있는 커튼 에어백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커튼 에어백장치는: 작동가스를 발생시키는 인플레이터와, 인플레이터의 측면에 접하는 형상으로 설치되며 일측은 인플레이터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설치되는 브라켓부와, 인플레이터와 브라켓부의 사이에 형성된 장착공간으로 삽입되며 인플레이터에서 발생된 작동가스에 의해 팽창되는 쿠션부 및 쿠션부와 브라켓부의 외측을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되는 클램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브라켓부는, 인플레이터의 측면에 접하며 직선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선몸체부 및 직선몸체부에서 인플레이터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몸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경사몸체부는 클램핑부에 의해 가압되어 인플레이터의 외측에 위치하는 쿠션부의 이동을 구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직선몸체부와 인플레이터의 외측을 감싸며, 직선몸체부를 인플레이터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클램핑부는, 쿠션부와 마주하는 경사몸체부의 외측을 원주 방향으로 감싸며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인플레이터는 원형의 봉 형상이며, 브라켓부는 인플레이터의 외측에 접하는 곡면 형상의 판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쿠션부는, 인플레이터의 가스출구를 감싸며 인플레이터와 브라켓부의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커튼 에어백장치는, 인플레이터와 설정각도로 꺽여 있는 브라켓부의 사이로 쿠션부가 삽입되어 클램핑부에 의해 고정되므로 작동가스의 누설을 방지하여 내압의 감소가 없으며, 설치구조도 종래 대비 간단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튼 에어백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플레이터의 외측에 브라켓부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부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튼 에어백장치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튼 에어백장치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튼 에어백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플레이터의 외측에 브라켓부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부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튼 에어백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튼 에어백장치(1)는, 작동가스를 발생시키는 인플레이터(10)와, 인플레이터(10)의 측면에 접하는 형상으로 설치되며 일측은 인플레이터(1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설치되는 브라켓부(20)와, 인플레이터(10)와 브라켓부(20)의 사이에 형성된 장착공간(25)으로 삽입되며 인플레이터(10)에서 발생된 작동가스에 의해 팽창되는 쿠션부(30) 및 쿠션부(30)와 브라켓부(20)의 외측을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되는 클램핑부(40)를 포함한다.
인플레이터(10)는 차량의 충돌 사고시 작동하여 작동가스를 발생시키므로 쿠션부(30)가 팽창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인플레이터(10)는 원형의 봉 형상이며, 인플레이터(10)의 외측에 브라켓부(20)가 설치된다.
브라켓부(20)는 인플레이터(10)의 측면에 접하는 형상으로 설치되며, 브라켓부(20)의 일측(도 2기준 좌측)은 인플레이터(10)와 멀어지는 방향(도 2기준 상측)으로 경사지게 설치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이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부(20)는, 직선몸체부(21)와 제1측면홈부(22)와 경사몸체부(23)와 제2측면홈부(24)를 포함한다.
직선몸체부(21)는 인플레이터(10)의 측면에 접하며 직선 방향으로 연장된다. 인플레이터(10)의 외측에 밀착되는 직선몸체부(21)는 인플레이터(10)를 따라 수평방향(도 2기준)으로 연장된다.
그리고 경사몸체부(23)는 직선몸체부(21)에서 설정각도(A)로 꺽여진 상태로 연장되며, 인플레이터(10)와 이격되어 쿠션부(30)가 설치되기 위한 장착공간(25)을 형성한다. 또한 경사몸체부(23)는 직선몸체부(21)에서 인플레이터(1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된다. 그리고 경사몸체부(23)는 클램핑부(40)에 의해 가압되어 인플레이터(10)의 외측에 위치하는 쿠션부(30)를 인플레이터(10)를 향한 방향으로 가압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인플레이터(10)는 원형의 봉 형상이며, 브라켓부(20)는 인플레이터(10)의 외측에 접하는 곡면 형상의 판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인플레이터(10)의 외측에 직선몸체부(21)가 면접촉을 하므로 인플레이터(10)의 외측에 브라켓부(20)가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한편 경사몸체부(23)는 직선몸체부(21)의 단부를 중심으로 설정각도(A)로 꺾인 상태로 설치될 수 있으며, 직선몸체부(21)를 기준으로 단차를 형성하며 인플레이터(10)와 나란히 연장되어 장착공간(25)을 형성하는 등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직선몸체부(21)의 폭방향 양측에는 오목한 형상의 홈부를 형성하는 제1측면홈부(22)가 구비된다. 따라서 제1측면홈부(22)에 띠 형상의 고정부재(50)가 삽입된 상태로 설치되므로 고정부재(50)가 인플레이터(10)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이동됨을 구속한다.
경사몸체부(23)의 양측면에는 클램핑부(40)가 설치된 후 브라켓부(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됨을 구속하기 위해 제2측면홈부(24)가 구비된다. 제2측면홈부(24)는 경사몸체부(23)의 폭방향 양측에 오목한 홈부를 형성한다. 따라서 제2측면홈부(24)에 클램핑부(40)가 삽입되어 설치되므로 클램핑부(40)가 인플레이터(10)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이동됨을 구속한다.
쿠션부(30)는 인플레이터(10)와 브라켓부(20)의 사이에 형성된 장착공간(25)으로 삽입되며, 인플레이터(10)에서 발생된 작동가스에 의해 팽창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쿠션부(30)는 인플레이터(10)의 가스출구(12)를 감싸며 인플레이터(10)와 브라켓부(20)의 사이에 위치한다.
즉 쿠션부(30)는 인플레이터(10)의 일측 단부를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되며, 인플레이터(10)와 브라켓부(20)의 사이에 위치한다. 그리고 경사몸체부(23)의 외측을 감싸며 고정되는 클램핑부(40)에 의해 쿠션부(30)는 브라켓부(20)와 인플레이터(10)의 사이에 고정된다.
클램핑부(40)는 쿠션부(30)와 마주하는 경사몸체부(23)의 외측을 원주 방향으로 감싸며 설치된다. 클램핑부(40)는 쿠션부(30)와 브라켓부(20)의 외측을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되는 띠 형상의 결합부재이다.
고정부재(50)는 직선몸체부(21)와 인플레이터(10)의 외측을 감싸며, 직선몸체부(21)를 인플레이터(10)에 고정시키는 띠 형상의 결합부재이다. 또한 고정부재(50)는 차체에 고정되어 인플레이터(10)의 이동을 구속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튼 에어백장치(1)의 조립구조를 상세히 설명한다.
브라켓부(20)의 경사몸체부(23)는 인플레이터(10)와 조립하기 전에 설정각도(A)로 꺽여 있으며, 브라켓부(20)의 제1측면홈부(22)에 고정부재(50)가 설치되어 직선몸체부(21)와 인플레이터(10)의 1차 고정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경사몸체부(23)와 인플레이터(10)의 사이에는 장착공간(25)이 형성되며, 인플레이터(10)의 가스출구(12)를 감싸는 쿠션부(30)는 장착공간(25)으로 삽입되어 경사몸체부(23)와 인플레이터(10)의 사이에 위치한다.
경사몸체부(23)의 제2측면홈부(24)에 설치된 클램핑부(40)가 인플레이터(10)를 향한 방향으로 경사몸체부(23)를 가압하여 쿠션부(30)의 이동을 구속한다. 따라서 브라켓부(20)와 인플레이터(10)의 사이에 쿠션부(30)가 위치한 상태에서, 클램핑부(40)의 고정에 의해 쿠션부(30)의 이동이 구속된다.
그리고, 차량 사고시 인플레이터(10)가 동작되면, 인플레이터(10)의 가스출구(12)를 통하여 나오는 작동가스에 의해 쿠션부(30)가 팽창되어 탑승자의 상해를 저감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인플레이터(10)와 설정각도(A)로 꺽여 있는 브라켓부(20)의 사이로 쿠션부(30)가 삽입되어 클램핑부(40)에 의해 고정되므로 작동가스의 누설을 방지하여 내압의 감소가 없으며, 설치구조도 종래 대비 간단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커튼 에어백장치
10: 인플레이터 12: 가스출구
20: 브라켓부 21: 직선몸체부
22: 제1측면홈부 23: 경사몸체부
24: 제2측면홈부 25: 장착공간
30: 쿠션부 40: 클램핑부
50: 고정부재 A: 설정각도

Claims (7)

  1. 작동가스를 발생시키는 인플레이터;
    상기 인플레이터의 측면에 접하는 형상으로 설치되며, 일측은 상기 인플레이터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설치되는 브라켓부;
    상기 인플레이터와 상기 브라켓부의 사이에 형성된 장착공간으로 삽입되며, 상기 인플레이터에서 발생된 작동가스에 의해 팽창되는 쿠션부; 및
    상기 쿠션부와 상기 브라켓부의 외측을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되는 클램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 에어백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부는,
    상기 인플레이터의 측면에 접하며 직선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선몸체부; 및
    상기 직선몸체부에서 상기 인플레이터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몸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 에어백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몸체부는, 상기 클램핑부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인플레이터의 외측에 위치하는 상기 쿠션부의 이동을 구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 에어백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직선몸체부와 상기 인플레이터의 외측을 감싸며, 상기 직선몸체부를 상기 인플레이터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 에어백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부는, 상기 쿠션부와 마주하는 상기 경사몸체부의 외측을 원주 방향으로 감싸며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 에어백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플레이터는 원형의 봉 형상이며, 상기 브라켓부는 상기 인플레이터의 외측에 접하는 곡면 형상의 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 에어백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부는,
    상기 인플레이터의 가스출구를 감싸며 상기 인플레이터와 상기 브라켓부의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 에어백장치.
KR1020190065892A 2019-06-04 2019-06-04 커튼 에어백장치 KR20200139409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5892A KR20200139409A (ko) 2019-06-04 2019-06-04 커튼 에어백장치
CN202020903905.0U CN212332584U (zh) 2019-06-04 2020-05-26 帘式气囊装置
US16/884,346 US11305719B2 (en) 2019-06-04 2020-05-27 Curtain airbag device
DE202020103190.2U DE202020103190U1 (de) 2019-06-04 2020-06-03 Vorhangairbag-Vorrichtu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5892A KR20200139409A (ko) 2019-06-04 2019-06-04 커튼 에어백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9409A true KR20200139409A (ko) 2020-12-14

Family

ID=718441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5892A KR20200139409A (ko) 2019-06-04 2019-06-04 커튼 에어백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305719B2 (ko)
KR (1) KR20200139409A (ko)
CN (1) CN212332584U (ko)
DE (1) DE202020103190U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9706A (ko) * 2021-01-07 2022-07-14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에어백
EP4331922A1 (en) * 2022-08-31 2024-03-06 Illinois Tool Works Inc. Mounting bracket for an airbag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07000B2 (en) * 2010-01-07 2011-08-30 Autoliv Asp, Inc. Inflatable airbag assembly with an inflator bracket
JP6009674B2 (ja) * 2013-08-02 2016-10-19 オートリブ ディベロップメント エービー エアバッグ装置
JP6100126B2 (ja) * 2013-08-19 2017-03-22 オートリブ ディベロップメント エービー エアバッグ装置
JP5990156B2 (ja) * 2013-12-09 2016-09-07 オートリブ ディベロップメント エービー カーテンエアバッグ装置
JP5714746B2 (ja) * 2014-04-30 2015-05-07 オートリブ ディベロップメント エービー カーテンエアバッグ装置
JP6085584B2 (ja) * 2014-06-26 2017-02-22 オートリブ ディベロップメント エービー エアバッグ装置
KR20160061190A (ko) * 2014-11-21 2016-05-31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의 에어백 장치
US10196027B2 (en) * 2015-12-17 2019-02-05 Autoliv Asp, Inc. Clamping arrangement for securing an airbag to an inflator
US10106120B2 (en) * 2016-02-26 2018-10-23 Toyoda Gosei Co., Ltd. Head-protecting airbag device
DE202016107170U1 (de) * 2016-12-20 2017-02-07 Dalphi Metal Espana, S.A. Halterung, Befestigungssystem; Gassackmodul und Fahrzeugsicherheitssystem
JP2019104314A (ja) * 2017-12-11 2019-06-27 スズキ株式会社 車両用エアバッグ設置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305719B2 (en) 2022-04-19
US20200384938A1 (en) 2020-12-10
CN212332584U (zh) 2021-01-12
DE202020103190U1 (de) 2020-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5594B1 (ko) 차량용 듀얼 챔버 사이드에어백 장치
KR102454012B1 (ko) 사이드 에어백 장치
US11358556B2 (en) Roof airbag apparatus
US20190054888A1 (en) Passenger protection device for front passenger seat
KR20190036178A (ko) 사이드 에어백 장치
KR102064002B1 (ko) 차량의 사이드 에어백
KR101805330B1 (ko) 차량용 보행자 보호 에어백 장치
KR20200139409A (ko) 커튼 에어백장치
US20140151990A1 (en) External airbag apparatus
KR20140145625A (ko) 자동차 도어 보강 부재
EP3079953B1 (en) Airbag apparatus
US20080088120A1 (en) Mounting structure of a curtain air bag for a vehicle
JP5346752B2 (ja) エアバッグ装置のケース体の製造方法、エアバッグ装置のケース体、及びエアバッグ装置
KR20080017724A (ko) 커튼에어백장치
KR100552053B1 (ko) 커튼 에어백이 장착된 차량의 헤드 라이닝 구조
KR102416286B1 (ko) 커튼 에어백 장치
KR101198837B1 (ko) 차량용 무릎에어백 어셈블리
KR20070105736A (ko) 차량용 도어
KR20220141126A (ko) 인플레이터 장치
KR20020074883A (ko) 차량의 측면 충격 흡수용 완충 장치
KR100737479B1 (ko) 차량용 도어 임팩트 빔의 클램핑장치
KR20090112796A (ko) 자동차용 범퍼 스테이
KR960007329B1 (ko) 자동차용 조향컬럼의 충격흡수장치
KR100334273B1 (ko) 자동차 범퍼의 완충구조
JP2015151096A (ja) カーテンエアバッグ装置およびカーテンエアバッグ用ブラケット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