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39293A - 표면 평활성 및 기계적 물성이 우수한 열경화성 복합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자동차 외판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표면 평활성 및 기계적 물성이 우수한 열경화성 복합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자동차 외판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39293A
KR20200139293A KR1020190065245A KR20190065245A KR20200139293A KR 20200139293 A KR20200139293 A KR 20200139293A KR 1020190065245 A KR1020190065245 A KR 1020190065245A KR 20190065245 A KR20190065245 A KR 20190065245A KR 20200139293 A KR20200139293 A KR 202001392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composition
composite resin
thermosetting
thermosetting composite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52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상선
이성묵
김세용
김기영
이현규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한화글로벌에셋 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한화글로벌에셋 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652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39293A/ko
Priority to EP19195558.2A priority patent/EP3747947A1/en
Priority to US16/567,832 priority patent/US11459441B2/en
Priority to CN201910880740.1A priority patent/CN112029242B/zh
Publication of KR202001392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9293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6Unsaturated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006Pressing and sintering powders, granules or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0/00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C70/04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comprising reinforcements only, e.g. self-reinforcing plastics
    • B29C70/06Fibrous reinforcements only
    • B29C70/10Fibrous reinforcements only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fibrous reinforcements, e.g. hollow fibres
    • B29C70/16Fibrous reinforcements only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fibrous reinforcements, e.g. hollow fibres using fibres of substantial or continuous length
    • B29C70/18Fibrous reinforcements only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fibrous reinforcements, e.g. hollow fibres using fibres of substantial or continuous length in the form of a mat, e.g. sheet moulding compound [SMC]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8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provided for in subclass C08G
    • C08F283/01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provided for in subclass C08G on to unsaturated poly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04Reinforcing macromolecular compounds with loose or coherent fibrous material
    • C08J5/0405Reinforcing macromolecular compounds with loose or coherent fibrous material with inorganic fibres
    • C08J5/043Reinforcing macromolecular compounds with loose or coherent fibrous material with inorganic fibres with glass fibr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04Reinforcing macromolecular compounds with loose or coherent fibrous material
    • C08J5/10Reinforcing macromolecular compounds with loose or coherent fibrous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additives used in the polymer mix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1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zed by their specific function
    • C08K3/013Fillers, pigments or reinforcing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4Acids; Salts thereof
    • C08K3/26Carbonates; Bi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5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7/00Use of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shape
    • C08K7/02Fibres or whiskers
    • C08K7/04Fibres or whiskers inorganic
    • C08K7/14Glas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7/00Use of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shape
    • C08K7/22Expanded, porous or hollow particles
    • C08K7/24Expanded, porous or hollow particles inorganic
    • C08K7/28Glas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9/00Use of pretreated ingredients
    • C08K9/04Ingredients treated with organic substances
    • C08K9/06Ingredients treated with organic substances with 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46Copolymers of ethene with unsaturated hydrocarbons containing other atoms than carbon or hydrogen atoms
    • C08L23/0853Vinylacet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3/00Compositions of epoxy resin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epoxy res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5/00Compositions of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5/04Polyureth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67/00Use of polyester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29K2067/06Unsaturated poly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800/00Copolymer characterised by the proportions of the comonomers expressed
    • C08F2800/20Copolymer characterised by the proportions of the comonomers expressed as weight or mass percentag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00/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unspecified polymers
    • C08J2300/22Thermoplastic res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00/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unspecified polymers
    • C08J2300/24Thermosetting res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08K2003/2217Oxides; Hydroxides of metals of magnesium
    • C08K2003/222Magnesia, i.e. magnesium ox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08K2003/2227Oxides; Hydroxides of metals of alumi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4Acids; Salts thereof
    • C08K3/26Carbonates; Bicarbonates
    • C08K2003/265Calcium, strontium or barium carbon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3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hree or more polymers in a blen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3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hree or more polymers in a blend
    • C08L2205/035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hree or more polymers in a blend containing four or more polymers in a blen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666/00Composition of polymers characterized by a further compound in the blend, be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natural resins, waxes or and bituminous materials,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inorganic substances or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 in the composition
    • C08L2666/02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natural resins, waxes or and bituminous materials
    • C08L2666/04Macromolecular compounds according to groups C08L7/00 - C08L49/00, or C08L55/00 - C08L57/00; Derivatives thereof
    • C08L2666/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hydrocarbons;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666/00Composition of polymers characterized by a further compound in the blend, be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natural resins, waxes or and bituminous materials,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inorganic substances or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 in the composition
    • C08L2666/02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natural resins, waxes or and bituminous materials
    • C08L2666/14Macromolecular compounds according to C08L59/00 - C08L87/00; Derivatives thereof
    • C08L2666/20Macromolecular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main chain according to C08L75/00 - C08L79/00;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666/00Composition of polymers characterized by a further compound in the blend, be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natural resins, waxes or and bituminous materials,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inorganic substances or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 in the composition
    • C08L2666/02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natural resins, waxes or and bituminous materials
    • C08L2666/14Macromolecular compounds according to C08L59/00 - C08L87/00; Derivatives thereof
    • C08L2666/22Macromolecular compounds not provided for in C08L2666/16 - C08L2666/20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Reinforced Plastic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경화성 수지인 불포화 폴리 에스테르 수지, 저수축제 및 무기 충진제를 포함하는 열경화성 복합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자동차 외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열경화성 복합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저비중, 우수한 표면 평활성 및 우수한 기계적 물성을 갖는 자동차용 외판 뿐만 아니라 항공기나 철도 차량 내장 부품 등의 구조 부품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표면 평활성 및 기계적 물성이 우수한 열경화성 복합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자동차 외판의 제조방법{A thermosetting composite resin composition excellent in surface smoothness and mechanical properties,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an automobile shell plat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열경화성 수지인 불포화 폴리 에스테르 수지, 저수축제 및 무기 충진제 등을 포함하는 열경화성 복합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자동차 외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용 차체 외판은 핸드 레이업(Hand lay-up) 공정을 통해 열경화 수지 조성물로부터 성형된 겔코팅된 섬유강화플라스틱으로서, 그 공법 및 재료의 특성상 균일한 품질의 확보가 어렵고 변색이 발생함은 물론 강성도 부족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핸드 레이업(Hand lay-up) 대신에 시트 몰딩 컴파운드(Sheet molding compound, SMC) 성형 공정을 적용하고 있다. SMC 성형 공정은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와 경화제 및 그외 통상의 첨가제로 이루어진 열경화 수지 조성물에 유리섬유를 함침시킨 후 유압 프레스로 가열가압 성형하는 공정이다.
한편, 상기 SMC 성형 공정에 의해 제조된 성형체, 특히 자동차 외판 등에 있어서는, 최근 기계적 강도 등의 특성에 추가하여, 지구 환경 문제의 관점에서 경량화(저비중화)의 요구가 더욱 높아지고 있다. 이 경량화의 수법으로서, 예를 들어 SMC에 함유되는 충진재 혹은 유리 섬유의 함유량을 저감시키는 등의 수법을 들 수 있지만, 충진재나 유리 섬유의 양을 줄이면, 일반적으로 얻어지는 성형체의 기계적 강도가 대폭 저하되게 된다. 또, 시라스 벌룬이나 유리 벌룬으로 대표되는 중공 형상의 충진재를 섬유 강화 성형 재료에 함유시킴으로써 경량화를 도모하는 수법도 알려져 있지만, 섬유 강화 성형 재료에 단순히 중공 형상 충전재를 첨가한 것만으로는 양호한 성형성을 실현할 수 없고, 성형체의 표면 평활성이 저하되어 외관이 나빠짐과 함께, 성형체의 기계적 강도의 저하도 일으키기 때문에, 이와 같은 중공 형상 충진재가 함유된 섬유 강화 성형 재료를 차체의 경량화가 강하게 요구되고 있는 항공기나 철도 차량 내장 부품 등의 구조 부품에 적용하기는 곤란하였다.
이에, 저비중이면서도 일반 SMC 수준 이상의 기계적 물성을 가지면서 동시에 표면 평활성이 높은 SMC 소재 등이 필요한 실정이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2-0089632호
본 발명은 저비중이면서도 기계적 물성 및 표면 평활성이 우수한 열경화성 복합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자동차 외판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하의 설명으로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수단 및 그 조합으로 실현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경화성 복합 수지 조성물은 열경화성 수지; 저수축제(Low profile additive, LPA); 및 무기 충진제(inorganic filler)를 포함한다.
상기 열경화성 복합 수지 조성물은 증점제; 및 섬유 보강재(Fibrous reinforcement)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경화성 복합 수지 조성물은 상기 열경화성 수지 22 내지 28중량%; 상기 저수축제 10 내지 15중량%; 상기 무기 충진제 30 내지 35중량%; 상기 증점제 0.7 내지 1.5중량%; 및 상기 섬유 보강재 28 내지 37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경화성 수지는 글리콜(Glycol)과 산(Acid)의 중합체인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포함하고, 상기 글리콜은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네오펜틸글리콜(Neopentyl glycol)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경화성 수지는 프로필렌글리콜, 네오펜틸글리콜 및 산(Acid)의 중합체이고, 상기 프로필렌글리콜, 네오펜틸글리콜 및 산의 중량비는 2.5 ~ 4.5 : 1 : 4.5 ~ 6.5일 수 있다.
상기 열경화성 수지는 불포화도가 47~50%인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수축제는 에폭시(Epoxy); 및 포화폴리에스테르(Polyester saturated; PES), 폴리비닐아세테이트(Polyvinyl acetate; PVAc), 폴리우레탄(Poly urethane; PU)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기 충전제는 실란 화합물로 표면처리될 수 있다.
상기 실란 화합물은 에스터 실란(ester-silane), 아미노 실란(Amino-silane), 메타아크릴(Methacryl-silane)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기 충전제는 글라스 버블, 탄산칼슘(CaCO3), 수산화알루미늄(Al(OH)3)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기 충전제는 압축강도가 6000~6300psi 일 수 있다.
상기 열경화성 복합 수지 조성물은 분산제, 분리방지제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을 포함하는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증점제는 산화마그네슘 분말(MgO paste)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외판의 제조방법은 상기 열경화성 복합 수지 조성물로 시트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시트를 금형(Molding)으로 압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자동차 외판은 비중 1.27~1.37, 인장강도 65~90MPa, 인장탄성률 8.0~9.0GPa, 신율 1.35~1.5%, 굴곡강도 180~200MPa, 굴곡탄성률 8.5~10GPa 및 LTW(Long term waviness) 8~15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열경화성 복합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저비중, 우수한 표면 평활성 및 우수한 기계적 물성을 갖는 자동차용 외판 뿐만 아니라 항공기나 철도 차량 내장 부품 등의 구조 부품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하의 설명에서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성분, 반응 조건, 폴리머 조성물 및 배합물의 양을 표현하는 모든 숫자, 값 및/또는 표현은, 이러한 숫자들이 본질적으로 다른 것들 중에서 이러한 값을 얻는 데 발생하는 측정의 다양한 불확실성이 반영된 근사치들이므로, 모든 경우 "약"이라는 용어에 의해 수식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기재에서 수치범위가 개시되는 경우, 이러한 범위는 연속적이며, 달리 지적되지 않는 한 이러한 범 위의 최소값으로부터 최대값이 포함된 상기 최대값까지의 모든 값을 포함한다. 더 나아가, 이러한 범위가 정수를 지칭하는 경우, 달리 지적되지 않는 한 최소값으로부터 최대값이 포함된 상기 최대값까지를 포함하는 모든 정수가 포함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경화성 복합 수지 조성물은 열경화성 수지, 저수축제(Low profile additive, LPA) 및 무기 충진제(inorganic filler)를 포함하고, 증점제 및 섬유 보강재(Fibrous reinforcement)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열경화성 복합 수지 조성물은 상기 열경화성 수지 22 내지 28중량%, 상기 저수축제 10 내지 15중량%, 상기 무기 충진제 30 내지 35중량%, 상기 증점제 0.7 내지 1.5중량% 및 상기 섬유 보강재 28 내지 37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설명할 상기 열경화성 복합 수지 조성물의 각 성분의 함량은 상기 열경화성 복합 수지 조성물 100중량%를 기준으로 한 것임을 미리 밝힌다. 만약 그 기준이 달라지는 경우에는 항상 변경된 기준을 명시할 것이므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어떠한 구성을 기준으로 함량을 기술한 것인지 명확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 열경화성 수지
상기 열경화성 수지는 열경화성 복합 수지 조성물의 기본 원료로서, 빠른 반응 시간, 저렴한 가격, 우수한 기계적 특성 및 우수한 표면 평활성이 있는 것이면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열경화성 수지는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에폭시, 페놀릭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글리콜(Glycol)과 산(Acid)의 중합체인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포함하고, 상기 상기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불포화도가 47~50%일 수 있다. 상기 글리콜은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네오펜틸글리콜(Neopentyl glycol)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경화성 수지는 바람직하게 프로필렌글리콜, 네오펜틸글리콜 및 산(Acid)의 중합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기술적 특징은 상기 글리콜로 네오펜틸글리콜을 사용하여 열경화성 복합 수지 조성물의 흐름성과 이로부터 유래된 제품의 표면을 양호하게 한 것이다.
상기 프로필렌글리콜, 네오펜틸글리콜 및 산의 중량비는 2.5 ~ 4.5 : 1 : 4.5 ~ 6.5일 수 있다. 각 구성의 중량비가 위 범위에 속해야 상기 네오펜틸글리콜에 의한 열경화성 복합 수지 조성물의 흐름성 및 표면 품질의 향상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열경화성 수지의 함량은 22 내지 28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22중량%미만이거나 28중량%를 초과하면 기계적 물성 및 강도가 저하된다.
(2) 저수축제
상기 저수축제는 본 발명의 열경화성 복합 수지 조성물이 경화될 때 수축을 감소시키고, 고유 응력을 수멸시키고, 미소균열을 감소시키며, 표면 평활성을 높이는 것이라면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저수축제는 폴리스티렌,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폴리비닐 아세티이트 등의 열가소성 동종중합체 및 공중합체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에폭시로 변성될 수 있는 저수축제로서, 구체적으로 에폭시(Epoxy); 및 포화폴리에스테르(Polyester satureted; PES), 폴리비닐아세테이트(Polyvinyl acetate; PVAc), 폴리우레탄(Poly urethane; PU)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이 화학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기술적 특징은 에폭시와 전술한 포화폴리에스테르 등의 폴리머가 화학적으로 결합된 저수축제를 사용함으로써, 상기 열경화성 복합 수지 조성물로 만든 제품의 충격강도를 크게 향상시킨 것이다.
상기 저수축제는 그 함량이 10 내지 15중량%이 바람직하다. 10중량% 미만이거나 15중량% 초과하면 기계적 물성 및 강도가 저하된다.
(3) 무기 충진제
상기 무기 충전제는 제품의 비중, 표면평활도, 강도, 난연성 및 수축율을 조절하기 위한 것이라면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무기 충진제는 비기능성 충진제로써 탄산칼슘 등이 있고, 기능성 충진제로써 글라스 버블 또는 탄산칼슘(CaCO3) 등 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컴파운딩(Compounding)과 몰딩(Molding)시 파손 방지하고 외관을 보호하기 위해 상기 무기 충진제는 실란 화합물로 표면처리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수지와의 결합력을 증가시켜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실란 화합물을 표면처리한 무기 충전제의 압축강도는 6000~6300psi 일 수 있고, 상기 실란 화합물은 에스터 실란(ester-silane), 아미노실란(Amino-silane), 메타아크릴(Methacryl-silane)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글라스 버블이 주 수지상의 성분과 흡사한 에스터 실란(ester-silane)으로 표면처리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기술적 특징은 압축강도가 6000psi 이상, 구체적으로5900~6300psi인 무기 충진제를 사용함으로써, 열가소성 복합 수지 조성물을 컴파운딩 및/또는 금형 성형할 때 파손되지 않도록 한 것이다. 그에 따라 제품의 외관 품질이 크게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기술적 특징은 실란 화합물로 표면 처리된 무기 충진제를 사용함으로써, 상기 무기 충진제와 타 성분 특히, 열가소성 수지와의 결합력을 증가시켜 상기 열가소성 복합 수지 조성물로부터 유래된 제품의 강도를 크게 향상시킨 것이다.
상기 무기 충진제는 그 함량이 10 내지 15중량%이 바람직하다. 10중량% 미만이거나 15 중량%를 초과하면 기계적 물성 및 강도가 저하된다.
(4) 섬유 보강재
상기 섬유 보강재는 치수 안정성 및 우수한 기계적 특성이 있다면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섬유 보강재에는 카본섬유, 보론섬유, 유리섬유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경제성이 있고 치수 안정성 및 우수한 기계적 특정이 있는 유리섬유일 수 있다.
상기 섬유 보강재는 28 내지 37중량%이 바람직하다. 28중량% 미만이거나 37중량%를 초과하면 기계적 물성 및 강도가 저하된다.
(5) 증점제
상기 증점제는 상기 열경화성 복합 수지 조성물의 침전방지나 흐름 방지 등의 성질과 특히 점조도를 증가시켜 액상 수지상을 반고체 수지화시켜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라면 제한이 없다. 상기 증점제는 MgO, Mg(OH)2, CaO, Ca(OH)2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우수한 반고체 수지화를 시킬 수 있는 산화마그네슘 분말(MgO paste)일 수 있다.
상기 증점제는 0.7 내지 1.5중량%이 바람직하다.
(6) 첨가제
상기 첨가제는 분산성 향상 및 분리 방지능 등 상기 열경화성 복합 수지 조성물에 다양한 기능성을 부여할 수 있는 것이라면 제한이 없다. 상기 열경화성 복합 수지 조성물은 필요한 기능에 따라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분산제, 분리방지제 등일 수 있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는, 하기 표1에 나타난 바와 같은 조성으로 제조한 열경화성 복합 수지 조성물이다.
구체적으로, 열경화성 수지로 프로필렌글리콜, 네오펜틸글리콜 및 산의 중량비를 4 : 1 : 5로 하여 중합시켜 만든 불포화도 50%인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사용하고, 저수축제로는 저수축제로는 에폭시, 포화폴리에스테르, 폴리비닐아세테이트, 폴리우레탄 및 이들을 화학적으로 결합시킨 것을 사용하였으며, 무기 충진제로 탄산칼슘(CaCO3)을 에스터 실란으로 중량비 100 : 1으로 표면처리하여 압축강도가 6000~6300psi인 글라스 버블을 사용하였다.
한편, 증점제로 MgO 분말(MgO paste)을 사용했고, 섬유 보강제는 일반 SMC용 유리섬유를 25.4mm 길이로 잘라 사용하였으며, 첨가제로 분산제 및 분리방지제를 중량비 1 : 1로 사용하였다.
비교예 1
실시예와 비교해서 수지의 함량은 높이고, 저수축제의 함량은 낮추었다. 또한 충진제 함량을 실시예 대비 낮게, 보강제를 실시예 대비 높게 설정하여 조성을 변경하였다. 그 외에는 상기 실시예와 동일한 비중 및 성분을 사용하여 열경화성 복합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실시예와 비교해서 수지의 함량은 낮추고, 저수축제의 함량은 높였다. 또한 충진제 함량을 실시예 대비 높게, 보강제를 실시예 대비 낮게 설정하여 조성을 변경하였다. 상기 실시예와 동일한 비중 및 성분을 사용하여 열경화성 복합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3
배경기술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특2002-0089632호의 실시예4에 해당하는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이다.
구체적으로, 열경화성 수지로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1(OS-108; 애경화학) 4.2중량%,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2(OS-980; 애경화학) 5.0중량%, 결정성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C772, 영국 Scott Bader 사) 6.0중량% 및 모노머(스티렌) 1.5중량%를 사용하였다. 저수축제로는 LPV-40를 사용하였고, 무기충진제로서 Scotchlite Glass Bubble K-37 (Bulk Density = 0.37; 3M사)를 사용하였다.
한편, 증점제는 산화칼슘(CaO)을 사용하였고, 섬유보강재는 방사(Roving) 형태의 유리섬유(RS4800-433, Owens-Corning Korea)를 2.54 mm 길이로 잘라 사용하였으며, 첨가제는 개시제(t-Butyl Perbenzoate) 0.5중량% 및 이형제(Zinc Stearate) 1.0중량%를 사용하였다.
비교예 4
비교예 3과 비교해서 열경화성 수지 및 저수축제의 성분을 달리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비교예 3와 동일한 성분 및 동일한 배합비를 이용하여 열경화성 복합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달리한 열가소성 수지는 프로필렌글리콜, 네오펜틸글리콜 및 산의 중량비를 4 : 1 : 5로 하여 중합시켜 만든 불포화도 50%인 폴리에스테르수지이고, 저수축제는 포화폴리에스테르이다.
비교예 5
비교예 3과 비교해서 열경화성 수지, 저수축제 및 무기 충진제의 성분을 달리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비교예 3와 동일한 성분 및 동일한 배합비를 이용하여 열경화성 복합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달리한 열경화성수지는 프로필렌글리콜, 네오펜틸글리콜 및 산의 중량비를 4 : 1 : 5로 하여 중합시켜 만든 불포화도 50%인 폴리에스테르수지이고, 저수축제는 포화폴리에스테르이며, 무기충진제는 탄산칼슘(CaCO3)과 에스터실란으로 중량비 100:1으로 표면 처리된 압축강도가 6000~6300psi인 글라스버블이다.
실시예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비교예5
열가소성
수지
[중량%]
23 28 20 26 26 26
저수축제[중량%] 8 5 13 10.5 10.5 10.5
무기 충진제[중량%] 30 25 38 26 26 26
증점제[중량%] 1 1 1 1 1 1
섬유 보강재[중량%] 35 38 25 35 35 35
첨가제[중량%] 3 3 3 1.5 1.5 1.5
합계 100 100 100 100 100 100
실험예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열경화성 복합 수지 조성물로 제조한 실험편의 평가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항 목 단위 실시예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비교예 5
비중1) -  1.35 1.36 1.35 1.35 1.27 1.28
G/F함량2) %  35 28 38 35 35 35
인장강도3) MPa  90 56 76 68 52 64
인장탄성율4) GPa 8.6 7.9 7.7 - 5.9 5.4
신율5) % 1.4 1.2 1.3 - 1.1 1.3
굴곡강도6) MPa  200 170 175 156 143 152
굴곡탄성율7) GPa 9.8 8.1 7.2 10 7.3 6.8
표면평활도8) - 10 35 15 - 32 28
주)
1) 비중 : ASTM D792 
2) G/F 함량 : 자체 (연소 후 황산수용액 세적)
3) 인장강도 : ASTM D638 
4) 인장탄성율 : ASTM D638 
5) 굴곡강도 : ASTM D790
6) 굴곡탄성율 : ASTM D790
7) 신율 : ASTM D638 
8) 표면평활도(Long term waviness; LTW) : BYK Wave Scan DOI
상기 표 2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열경화성 복합 수지 조성물로 제조한 시험편은
ⅰ) 비중이 1.35로써, 기존 저비중 SMC(비교예 3~5)와 비슷하게 비중이 1.8 이하의 저비중인 바, 저비중 성능으로 기존의 스틸후드 대비 30~40%를 경량할 수 있고, 알루미늄 후드 대비 10%를 경량할 수 있다.
ⅱ) 인장강도가 90MPa이고 굴곡강도가 200MPa인바, 기존 저비중 SMC(비교예 3~5)와 비슷하게 비중이 1.8 이하의 저비중이면서도, 일반 비중 SMC(비중 1.85~1.95)과 거의 유사한 기계적 물성(변화율 ≤ 5%)을 갖는다.
ⅲ) 표면평활도(Long term waviness; LTW)는 10인 바, LTW가 30이하를 유지하기 어려운 기존 저비중 SMC(비교예 3~5)에 비해, 우수한 표면품질을 가지고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경화성 복합 수지 조성물로 제조한 시험편은 기존 저비중 SMC와 비슷하게 비중이 1.8 이하의 저비중이면서도, 일반 비중 SM과 거의 유사하게 우수한 기계적 물성을 갖고, 낮은 표면평활도를 갖을 수 있다.
반면, 비교예 1은 인장강도가 90MPa이하, 인장탄성율이 8.6Gpa 이하, 신율이 1.4% 이하, 굴곡강도가 200Mpa 이하 및 굴곡탄성율이 9.8Gpa 이하인바, 실시예보다 기계적 물성이 낮고, 특히, 표면 평활도(LTW)가 30 이상으로 비교예보다 저하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비교예 2는 인장강도가 90MPa이하, 인장탄성율이 8.6Gpa 이하, 신율이 1.4% 이하, 굴곡강도가 200Mpa 이하 및 굴곡탄성율이 9.8Gpa 이하인바, 실시예보다 기계적 물성이 낮았으나, 표면 평활도(LTW)가 30 이하으로 양호한 수준을 보였다.
비교예 3은 배경기술에 해당하는 기술로서 일반적으로 비중이 낮아지면 기계적물성이 낮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와 비교하였을 때, 인장강도가 90MPa이하, 인장탄성율이 8.6Gpa 이하, 신율이 1.4% 이하, 굴곡강도가 200Mpa 이하 및 굴곡탄성율이 9.8Gpa 이하인바, 실시예와 비중이 비슷함에도 불구하고 기계적 물성이 낮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비교예 4는 인장강도가 90MPa이하, 인장탄성율이 8.6Gpa 이하, 신율이 1.4% 이하, 굴곡강도가 200Mpa 이하 및 굴곡탄성율이 9.8Gpa 이하인바, 실시예보다 기계적 물성이 낮고, 특히, 표면 평활도(LTW)가 30 이상으로 비교예보다 저하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비교예 5는 인장강도가 90MPa이하, 인장탄성율이 8.6Gpa 이하, 신율이 1.4% 이하, 굴곡강도가 200Mpa 이하 및 굴곡탄성율이 9.8Gpa 이하인바, 실시예보다 기계적 물성이 낮고, 표면 평활도(LTW)가 30에 근접하므로 비교예보다 저하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비교예 5의 경우 충진제의 함량이 현격이 줄었는 바 밸런스가 달라져 낮은 기계적 물성이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저비중 성능에 따라 경량화시킬 수 있고, 구조재로써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기계적 성능 및 충돌성능에 필요한 기계적 물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자동차 차체외판부품의 외관품질 기준에 적합한 표면 평활성을 확보할 수 있는 자동차 외판 등을 얻을 수 있다.

Claims (16)

  1. 열경화성 수지;
    저수축제(Low profile additive, LPA); 및
    무기 충진제(inorganic filler)를 포함하는 열경화성 복합 수지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증점제; 및
    섬유 보강재(Fibrous reinforcement)를 더 포함하는 것인 열경화성 복합 수지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열경화성 수지 22 내지 28중량%;
    상기 저수축제 10 내지 15중량%;
    상기 무기 충진제 30 내지 35중량%;
    상기 증점제 0.7 내지 1.5중량%; 및
    상기 섬유 보강재 28 내지 37중량%를 포함하는 것인 열경화성 복합 수지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경화성 수지는 글리콜(Glycol)과 산(Acid)의 중합체인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포함하고,
    상기 글리콜은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네오펜틸글리콜(Neopentyl glycol)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을 포함하는 것인 열경화성 복합 수지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열경화성 수지는 프로필렌글리콜, 네오펜틸글리콜 및 산(Acid)의 중합체이고,
    상기 프로필렌글리콜, 네오펜틸글리콜 및 산의 중량비는 2.5 ~ 4.5 : 1 : 4.5 ~ 6.5인 열경화성 복합 수지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경화성 수지는 불포화도가 47~50%인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포함하는 것인 열경화성 복합 수지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수축제는 에폭시(Epoxy); 및
    포화폴리에스테르(Polyethersulphone; PES), 폴리비닐아세테이트(Polyvinyl acetate; PVAc), 폴리우레탄(Poly urethane; PU)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을 포함하는 열경화성 복합 수지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 충전제는 실란 화합물로 표면처리된 것인 열경화성 복합 수지 조성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실란 화합물은 에스터 실란(ester-silane), 아미노실란(Amino-silane), 메타아크릴(Methacryl-silane)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을 포함하는 것인 열경화성 복합 수지 조성물.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 충전제는 글라스 버블, 탄산칼슘(CaCO3), 수산화알루미늄(Al(OH)3)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을 포함하는 것인 열경화성 복합 수지 조성물.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 충전제는 압축강도가 6000~6300psi 인 것인 열경화성 복합 수지 조성물.
  12. 제1항에 있어서,
    분산제, 분리방지제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을 포함하는 첨가제를 더 포함하는 것인 열경화성 복합 수지 조성물.
  1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증점제는 산화마그네슘 분말(MgO paste)를 포함하는 것인 열경화성 복합 수지 조성물.
  14. 제2항에 있어서,
    섬유 보강재는 유리 섬유를 포함하는 것인 열경화성 복합 수지 조성물.
  15. 제1항의 열경화성 복합 수지 조성물로 시트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시트를 금형(Molding)으로 압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동차 외판의 제조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차 외판은 비중 1.27~1.37, 인장강도 65~90MPa, 인장탄성률 8.0~9.0GPa, 신율 1.35~1.5%, 굴곡강도 180~200MPa, 굴곡탄성률 8.5~10GPa 및 LTW(Long term waviness) 8~15인 자동차 외판의 제조방법.
KR1020190065245A 2019-06-03 2019-06-03 표면 평활성 및 기계적 물성이 우수한 열경화성 복합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자동차 외판의 제조방법 KR20200139293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5245A KR20200139293A (ko) 2019-06-03 2019-06-03 표면 평활성 및 기계적 물성이 우수한 열경화성 복합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자동차 외판의 제조방법
EP19195558.2A EP3747947A1 (en) 2019-06-03 2019-09-05 Thermosetting composite resin composition having superior surface smoothness and mechanical propertie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utomobile shell plate using same
US16/567,832 US11459441B2 (en) 2019-06-03 2019-09-11 Thermosetting composite resin composition having superior surface smoothness and mechanical propertie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utomobile shell plate using same
CN201910880740.1A CN112029242B (zh) 2019-06-03 2019-09-18 具有优异表面光滑度和机械性能的热固性复合树脂组合物及使用其制造汽车壳板的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5245A KR20200139293A (ko) 2019-06-03 2019-06-03 표면 평활성 및 기계적 물성이 우수한 열경화성 복합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자동차 외판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9293A true KR20200139293A (ko) 2020-12-14

Family

ID=680665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5245A KR20200139293A (ko) 2019-06-03 2019-06-03 표면 평활성 및 기계적 물성이 우수한 열경화성 복합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자동차 외판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459441B2 (ko)
EP (1) EP3747947A1 (ko)
KR (1) KR20200139293A (ko)
CN (1) CN112029242B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9632A (ko) 2001-05-23 2002-11-3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저비중 열경화성 복합재료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01604A (en) * 1977-07-18 1978-07-18 The B. F. Goodrich Company Unsaturated polyester molding compositions
EP0418913A3 (en) * 1989-09-22 1992-05-13 Dainippon Ink And Chemicals, Inc. Radical polymerizable unsaturated resin compound and method of manufacture of a block copolymer used therein
US7183334B2 (en) * 1995-04-26 2007-02-27 Reinforced Polymers, Inc. Low temperature molding compositions with solid thermoplastic elastomer thickeners and fiber reinforcement
JP2001226573A (ja) * 2000-02-10 2001-08-21 Showa Highpolymer Co Ltd 不飽和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
KR20020014891A (ko) * 2000-08-19 2002-02-27 이계안 차체외판용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
FR2831174B1 (fr) * 2001-10-24 2005-04-01 Atofina Composition thermodurcissable moulable
US6974848B2 (en) * 2002-04-16 2005-12-13 Helena Twardowska Low-density thermosetting sheet molding compounds
JP4603978B2 (ja) * 2002-11-28 2010-12-22 三菱レイヨン株式会社 繊維強化複合材料成形品の製造方法
US20080090954A1 (en) * 2006-10-17 2008-04-17 Ashland Licensing And Intellectual Property Llc Low shrinkage sheet molded composite formulations
KR101511534B1 (ko) * 2013-06-26 2015-04-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스틸 인서트용 열경화성 수지 성형물
WO2015051541A1 (zh) * 2013-10-11 2015-04-16 广东生益科技股份有限公司 热固性树脂组合物及其用途
CN107057312A (zh) * 2017-04-10 2017-08-18 振石集团华美新材料有限公司 玻璃纤维增强轻质片状模塑料及其复合铺层的成型方法
WO2019023301A1 (en) * 2017-07-27 2019-01-31 Continental Structural Plastics, Inc. THERMOSETTING RESINS ON WHICH A POWDER BASE LAYER AND ARTICLES FORMED THEREFROM CAN BE APPLIED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9632A (ko) 2001-05-23 2002-11-3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저비중 열경화성 복합재료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459441B2 (en) 2022-10-04
CN112029242A (zh) 2020-12-04
EP3747947A1 (en) 2020-12-09
US20200377687A1 (en) 2020-12-03
CN112029242B (zh) 2023-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32627A (en) Method for reducing hollow glass sphere fracture in thermoplastic resin by melt or bulk polymerization/extrusion
US5017629A (en) Moldable low density thermoplastic composite with hollow glass spheres and the method for compounding
US20060252869A1 (en) Synergistic filler compositions and low density sheet molding compounds therefrom
US7896190B2 (en) Composites having an improved resistance to fatigue
KR101415014B1 (ko)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및 탄소 장섬유를 포함하는 수송 수단용 복합 재료
US20060249869A1 (en) Low-density, class a sheet molding compounds containing divinylbenzene
CN107793747B (zh) 用于泡沫注射的长碳纤维增强的热塑性树脂组合物和使用该组合物制备的模制品
US5637630A (en) Composition of unsaturated polyester, copolymerizable monomer and poly (vinyl ether) shrinkage control agent
KR101082984B1 (ko) 저비중, 고강도 및 속경화 복합소재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US5252656A (en) Polyarylene sulfide resin molding composition
KR20200139293A (ko) 표면 평활성 및 기계적 물성이 우수한 열경화성 복합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자동차 외판의 제조방법
CN101888995A (zh) 过氧化物组合物
CN107337841B (zh) 具有优异的触感和尺寸稳定性的聚丙烯的组合物
KR20190069223A (ko) 실릴화 마이크로 피브릴 셀룰로오스를 포함하는 폴리프로필렌 복합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자동차 필러트림
EP0335406A2 (en) Low profile molding system
CN114605741B (zh) 一种聚丙烯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与应用
KR101257820B1 (ko) 폴리올레핀 복합소재 조성물
KR101344726B1 (ko) 에폭시계 발포수지를 이용한 고강도 경량화 폴리머 알로이 제조방법
EP0549827B1 (en) Unsaturated polyester resin compostions, molding compounds and molded products therefrom
US20230082286A1 (en) Thermosetting composite resin composition improved in surface smoothness and surface qualit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molded article using the same
US10590269B2 (en) Ultra-low density polypropylene plastic compound
US11161968B2 (en) Ultra-low density polypropylene plastic compound
CA2584888A1 (en) Wood/plastic composites with glass fiber reinforcement
JPS61235457A (ja) 繊維強化熱硬化性樹脂成形材料
KR20190078354A (ko) 인성이 개선된 수지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