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39239A - 신발 밑창 및 신발 - Google Patents

신발 밑창 및 신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39239A
KR20200139239A KR1020207031837A KR20207031837A KR20200139239A KR 20200139239 A KR20200139239 A KR 20200139239A KR 1020207031837 A KR1020207031837 A KR 1020207031837A KR 20207031837 A KR20207031837 A KR 20207031837A KR 20200139239 A KR20200139239 A KR 202001392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e sole
slip
slip protrusion
protrusion
sho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318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22086B1 (ko
Inventor
토모히로 노자키
타카시 타쿠보
요시로 와타나베
Original Assignee
닛신 고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신 고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신 고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1392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92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20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20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22Soles made slip-preventing or wear-resisting, e.g. by impregnation or spreading a wear-resisting layer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5/00Non-skid devices or attachments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양호한 내활성을 발휘하면서도 하면에 물체가 부착되기 어려워, 설령 하면에 물체가 부착되었다고 하더라도 그 물체를 용이하게 떼어낼 수 있는 신발 밑창을 제공하는 것이다.
신발 밑창 본체(11)와, 신발 밑창 본체(11)의 전측 부분(11a) 및 후측 부분(11b)의 하면의 거의 전 영역으로부터, 서로 간극을 둔 상태에서 하측으로 설치된 복수의 미끄럼방지 돌기(12)를 구비하고, 전측 부분(11a) 및 후측 부분(11b)의 하면의 거의 전 영역이 평면상으로 형성된 신발 밑창(10)에 있어서, 미끄럼방지 돌기 형성 영역의 동마찰계수가 0.3 이상이 되고, 미끄럼방지 돌기 형성 영역의 점성 물질 부착량이 1.5 g 이하가 되며, 미끄럼방지 형성 영역의 점성 물질 박리 굴곡 횟수를 30 회 이하가 되도록 했다.

Description

신발 밑창 및 신발
본 발명은 신발 밑창과, 이 신발 밑창을 구비한 신발에 관한 것이다.
내활성(耐滑性)을 높인 신발 밑창(내활성 신발 밑창)으로서, 지금까지 여러 가지가 제안되고 있다. 예를 들면 본 출원인은, 특허문헌 1의 내활성 신발 밑창을 개발하였다. 특허문헌 1의 내활성 신발 밑창은, 베이스부의 길이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형성하며 상기 베이스부의 접지 측 면에 형성된 복수의 접지 볼록부를 가지는 것으로 되어 있고, 상기 각 접지 볼록부가 V자 형상의 횡단면을 가지며, 상기 베이스부와의 연결 부위에 경사 보강부가 형성되는 동시에 또한 20 ℃에서 JIS-A 경도가 45 ~ 80도인 탄성 중합체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동일 문헌의 청구항 1)이다. 특허문헌 1의 내활성 신발 밑창은, 미끄러지기 쉬운 상태에 있는 바닥면 등이라도 안정적으로 보행하는 것이 가능(동일 문헌의 단락 0021)한 것으로 되어 있다. 특허문헌 1의 내활성 신발 밑창은, 바닥면이 미끄러지기 쉬운 환경에 있는 공장이나 주방 등에서도 미끄러지기 어려운 것이 화제가 되어 히트 상품이 되었다.
특허문헌 1: 국제특허공개 제 2006/003740 호
그러나 특허문헌 1의 내활성 신발 밑창은, 그것을 착용하고 밥풀이나 면 등 어느 정도 점성을 가진 물체가 떨어져 있는 바닥면을 보행하면 그 물체가 상기 접지 볼록부의 간극에 들어간 상태에서 부착되기 쉽고, 이처럼 부착된 물체를 신발 밑창 하면으로부터 떼어내는 것도 용이하지 않다는 결점이, 식품 공장과 주방 등으로부터 보고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양호한 내활성을 발휘하면서도 하면에 물체가 부착되기 어렵고, 설령 하면에 물체가 부착되었다고 하더라도 그 물체를 용이하게 떼어낼 수 있는 신발 밑창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이 신발 밑창을 구비한 신발을 제공하는 것도 본 발명의 목적이다.
상기 과제는, 발바닥 가운데의 하측에 배치되는 중간 부분, 중간 부분보다 발끝 측에 위치하는 전측 부분 및 중간 부분보다 발뒤꿈치 측에 위치하는 후측 부분으로 이루어지는 신발 밑창 본체와, 신발 밑창 본체의 전측 부분 및 후측 부분의 하면의 거의 전 영역으로부터, 서로 간극을 둔 상태에서 하방을 향해 설치된 복수의 미끄럼방지 돌기를 구비하고, 신발 밑창 본체의 전측 부분 및 후측 부분의 하면의 거의 전 영역이 평면상으로 형성된 신발 밑창으로서, 신발 밑창의 하면 측의 미끄럼방지 돌기가 설치된 영역(이하 '미끄럼방지 돌기 형성 영역'이라고 한다)의 동마찰 계수가 0.3 이상이고, 미끄럼방지 돌기 형성 영역의 점성 물질 부착량이 1.5 g 이하이며, 미끄럼방지 돌기 형성 영역의 점성 물질 박리 굴곡 횟수가 30 회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밑창을 제공함으로써 해결된다.
본 명세서에서 동마찰 계수와 점성 물질 부착량, 점성 물질 박리 굴곡 횟수 등의 용어의 의미는, 이하와 같다.
<동마찰 계수>
본 명세서에서 '동마찰 계수'란 'JIS T 8101: 안전화'의 '9.7 내활 시험'(윤활액: 글리세린 수용액, 시험 바닥: 스테인리스판)에 의해 측정된 동마찰 계수를 말한다.
<점성 물질 부착량>
본 명세서에서 '점성 물질 부착량'이란, 하기 순서 A1 ~ A8에 의해 구한 중량 차 ΔM을 말한다.
(1) 순서 A1
측정 대상인 신발 밑창 시료(세로 5 cm X 가로 5 cm)를 준비한다.
(2) 순서 A2
신발 밑창 시료의 중량(이하 '초기 중량 M0'라 한다)을 측정한다.
(3) 순서 A3
'JIS Z 8901: 시험용 분체 및 시험용 입자'의 시험용 분체 1 - 7종(관동롬)(25g)과, 'JIS K 8295: 글리세린(시약)'의 특급 글리세린(21 g)을 혼합하여 점성 재료를 얻는다.
(4) 순서 A4
수평인 알루미늄판의 상면에, 상기 순서 A3에서 얻은 점성 재료를, 세로 10 cm X 가로 10 cm X 두께 2 mm로 펼친다.
(5) 순서 A5
상기 순서 A2에서 초기 중량(M0)을 측정한 신발 밑창 시료를, 그 접지면을 하측을 향하게 해서, 상기 순서 A4에서 알루미늄판 상면에 펼친 점성 재료의 중앙부 상면에 올려놓는다.
(6) 순서 A6
신발 밑창 시료의 상면 측으로부터 하방을 향해서, 5 kg의 하중을 10초간 가하여, 시료의 접지면을 점성 재료에 꽉 누른다.
(7) 순서 A7
순서 A6를 끝낸 신발 밑창 시료를 차분히 꺼내고, 그 중량(이하 '가압 후 중량 M1이라 한다)을 측정한다.
(8) 순서 A8
ΔM = M1 - M0에 의해 산출된 ΔM [g] 값을 점성 물질 부착량으로 한다.
<점성 물질 박리 굴곡 횟수>
본 명세서에서 '점성 물질 박리 굴곡 횟수'란, 하기 순서 B1 ~ B8에 의해 구해진 굴곡 횟수(N)를 말한다.
(1) 순서 B1
측정 대상인 신발 밑창 시료(세로 30 cm X 가로 15 cm)를 준비하고, 그 접지면이 상방을 향한 상태로 수평면 상에 놓는다.
(2) 순서 B2
밀도가 0.345 ± 0.01 [g/cm3], 가압 시 수축률이 80 ± 2 [%], 최대 박리 하중이 5.6 ± 0.2 [N]인 점토를 준비한다.
(3) 순서 B3
도 8(a)에 도시된 것처럼, 순서 B2에서 얻은 점토(50)를 구상으로 둥글리고, 순서 B1에서 수평으로 놓인 신발 밑창 시료(60)의 접지면에 있어서 동일 도면에 도시된 부분에, 둥글린 점토(50)를 놓는다.
(4) 순서 B4
도 8(b)에 도시된 것처럼, 순서 B3를 끝낸 점토(50) 위에 이형지(70)를 올린다.
(5) 순서 B5
도 7(c)에 도시된 것처럼, 이형지(70) 위로 알루미늄판(80)을 올리고, 알루미늄판(80)의 상측으로부터 하방을 향해서 10 kg의 하중을 10초간 가하여, 신발 밑창 시료(60)의 접지면에 점토(50)를 점착시킨다.
(6) 순서 B6
순서 B5를 끝낸 신발 밑창 시료(60)로부터 알루미늄판(80) 및 이형지(70)를 떼어내고, 그 시료(60)를, 도 8(d)에 도시된 굴곡 장치(90)의 수평대(91) 상면에, 접지면이 하측을 향한 상태로 놓는다. 시료(60)의 선단에는, 굴곡 장치(90)의 후크(92)를 걸어서, 시료(60)의 후단으로부터 13 cm의 상면을, 굴곡 장치(90)의 누름판(93)으로 누른 상태로 한다.
(7) 순서 B7
굴곡 장치(90)의 핸들(94)을 돌려서 와이어(95)를 감아 올려, 도 8(e)에 도시된 것처럼 신발 밑창 시료(60)를 굴곡시킨 후, 핸들(94)을 되돌려서 도 8(d)의 상태로 되돌리는 굴곡 조작을 수행한다. 굴곡 조작은, 시료(60)의 굴곡 각도(θ)가 120 °가 될 때까지 수행하고, 각 굴곡은 3초 주기로 반복 수행한다.
(8) 순서 B8
신발 밑창 시료(60)로부터 점토(50)가 박리될 때까지 필요한 굴곡 횟수(N)를 계측하고, 이 굴곡 횟수(N)를 점성 물질 박리 굴곡 횟수 [회]로 한다.
<밀도>
본 명세서에서 점토의 '밀도'(상기 순서 B2를 참조)는, 'JIS K 6268' 방법으로 측정된 값으로 한다.
<가압 시 수축률>
본 명세서에서 점토의 '가압 시 수축률'(상기 순서 B2를 참조)은, 하기 순서 C1 ~ C5에 의해 구해진 수축률(R)을 말한다.
(1) 순서 C1
측정 대상인 점토를, 직경이 20 mm이고 높이가 25 mm(이하 '초기 높이 H0'라 한다)인 원기둥상으로 형성한다.
(2) 순서 C2
순서 C1에서 얻은 점토를, 그 높이 방향이 수평면에 대해서 거의 수직이 되는 상태로, 수평면 상에 세워서 설치한다.
(3) 순서 C3
순서 C2에서 세워서 설치된 점토의 상단면에 대해서, 상측으로부터 하방을 향해서 1.1 kg의 하중을 10초간 가한다.
(4) 순서 C4
순서 C3를 끝낸 후 점토의 높이(이하 '가압 후 높이 H1'이라 한다)를 측정한다.
(5) 순서 C5
R = (H0 - H1) / H0 X 100에 의해 산출된 R [%]의 값을 그 점토의 가압 시 수축률 [%]로 한다.
<최대 박리 하중>
본 명세서에 있어서 점토의 '최대 박리 하중'(상기 순서 B2를 참조)은, 하기 순서 D1 ~ D5에 의해 측정된 최대 하중(F)이 된다.
(1) 순서 D1
도 9(a)에 도시된 것처럼, 후크(101)와 압력판(102)으로 구성된 압력구(100)를 준비한다. 압력판(102)의 하면에는, 양면 테이프(103)를 부착한 상태로 한다.
(2) 순서 D2
도 9(b)에 도시된 것처럼, 측정 대상인 점토(50)를, 세로 5 cm X 가로 5 cm X 두께 1 cm로 형성하여, 수평으로 놓인 스테인리스판(110)의 상면에 놓는다.
(3) 순서 D3
도 9(c)에 도시된 것처럼, 압력구(100)의 압력판(102)의 상측으로부터 하측을 향해서 3.2 kg의 하중을 10초간 가하여, 점토(50)를 스테인리스판(110)에 꽉 누른다.
(4) 순서 D4
도 9(d)에 도시된 것처럼, 순서 D3를 끝낸 압력구(100)의 후크(101)에 풀게이지(120)를 장착하고, 연직 방향 상측으로 잡아당겨서 점토(50)를 스테인리스판(110)으로부터 박리시킨다.
(5) 순서 D5
순서 D4에서 점토(50)가 스테인리스판(110)으로부터 박리되었을 때의 풀게이지 하중(최대 하중, F)을 판독하고, 이 최대 하중(F)을 점토의 최대 박리 하중 [N]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신발 밑창은, 상기 동마찰 계수가 0.3 이상으로 크고, 양호한 내활성을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점성 물질 부착량이 1.5 g 이하로 점성 물질이 부착되기 어려운 것으로 되어 있다. 또한 점성 물질 박리 굴곡 횟수가 30회 이하로 적기 때문에 설령 하면(접지면)의 미끄럼방지 돌기 형성 영역에 물체가 부착되었다고 하더라도 그 물체를 용이하게 떼어내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신발 밑창은, 밥풀이나 면 등 어느 정도 점성을 갖는 물체가 떨어져 있는 바닥면을 적절히 보행할 수 있어, 식품 공장과 주방 등에서 적절히 사용하는 것이 가능한 것으로 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신발 밑창에 있어서, 미끄럼방지 돌기는, 그 형태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각각 삼각기둥상을 이루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미끄럼방지 돌기를, 미끄럼방지 돌기 형성 영역에 있어서 육각 격자의 격자점을 이루는 위치에 각각 배치하는 한편 1개의 미끄럼방지 돌기와 상기 1개의 미끄럼방지 돌기에 이웃한 다른 미끄럼방지 돌기를, 그들의 하단면이 이루는 삼각형의 방향이 역방향이 되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미끄럼방지 돌기를, 원기둥상이나 사각기둥상 등 다른 형태로 한 경우나, 미끄럼방지 돌기를, 사각 격자의 격자점을 이루는 위치에 배치하는 등 다른 배치로 한 경우와 비교해서, 동마찰 계수와 점성 물질 부착량, 점성 물질 박리 굴곡 횟수를 균형 있게 높이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이 확인되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신발 밑창에 있어서는, 미끄럼방지 돌기의 상단 측 부분을, 상기 미끄럼방지 돌기의 상단에 가까워질수록 두꺼워지도록 형성하고, 각각의 미끄럼방지 돌기의 외주면과 신발 밑창 본체의 하면을, 연직 단면 원호상으로 접속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미끄럼방지 돌기의 외주면과 신발 밑창 본체의 하면의 접속 부분이 뾰족한 모서리부가 되면 그 모서리부에 물체가 낀 상태가 되기 쉬운데 이들을 연직 단면 원호상으로 접속해서 상기 모서리부를 둥글게 하면 그 부분에 물체가 걸리기 어렵게 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신발 밑창에 있어서, 미끄럼방지 돌기 형성 영역의 면적(S1)에 대한 미끄럼방지 돌기의 하단면의 면적 총합(S2)의 비(S2/S1)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그러나 비(S2/S1)를 작게 하면 필연적으로 신발 밑창과 바닥면의 접촉 면적도 작아지고, 신발 밑창의 내활성을 확보하기 어려워질 우려가 있다. 또한 미끄럼방지 돌기가 가늘어지거나 미끄럼방지 돌기의 개수가 적어지므로, 미끄럼방지 돌기로 보행자의 체중을 완전히 받칠 수 없어질 우려가 있다. 따라서 비(S2/S1)는 0.1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S2/S1)는 0.15 이상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2 이상으로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비(S2/S1)를 너무 크게 하면 필연적으로 이웃한 미끄럼방지 돌기의 간극이 좁아져서 그 간극에 물체가 걸리기 쉬워질 뿐만 아니라 그 간극에 한번 걸린 물체가 박리되기 어려워질 우려가 있다. 따라서 비(S2/S1)는 통상적으로 0.7 이하가 된다. 비(S2/S1)는 0.5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0.4 이하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0.3 이하로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신발 밑창에 있어서는, 이웃한 미끄럼방지 돌기의 간극 폭(W1)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그러나 이웃한 미끄럼방지 돌기의 간극 폭(W1)이 너무 좁으면 그 간극에 물체가 걸리기 쉬워질 뿐만 아니라 그 간극에 한번 걸린 물체가 박리되기 어려워질 우려가 있다. 따라서 간극 폭(W1, 이웃한 미끄럼방지 돌기의 하단 측 간극에서 가장 좁아지는 부분의 폭, 이하 동일)은 통상적으로 1 mm 이상이 된다. 간극 폭(W1)은 3 m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4 mm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5 mm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이웃한 미끄럼방지 돌기의 간극을 너무 넓게 하면 필연적으로 상기 비(S2/S1)가 작아지고, 신발 밑창의 내활성을 확보하기 어려워질 우려가 있다. 따라서 이웃한 미끄럼방지 돌기의 간극 폭(W1)은, 통상적으로 20 mm 이하가 된다. 간극 폭(W1)은 15 mm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12 mm 이하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10 mm 이하로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신발 밑창에 있어서는, 각각의 미끄럼방지 돌기 하단면의 면적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그러나 각각의 미끄럼방지 돌기 하단면의 면적이 너무 작으면 바닥면과 신발 밑창의 접지면을 확보하기 어려워지고, 내활성을 높이는 것이 어려워질 뿐만 아니라 각각의 미끄럼방지 돌기의 강도를 유지하기 어려워질 우려도 있다. 따라서 각각의 미끄럼방지 돌기 하단면의 면적(접지 부분의 면적, 이하 동일)은, 통상적으로 10 mm2 이상이 된다. 각각의 미끄럼방지 돌기 하단면의 면적은 20 mm2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30 mm2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40 mm2로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50 mm2로 하는 것이 보다 적절하다.
한편 각각의 미끄럼방지 돌기 하단면의 면적이 너무 넓으면 필연적으로 미끄럼방지 돌기의 개수가 적어지고, 신발 밑창 하면 측에 형성되는 엣지의 수가 적어질 뿐만 아니라 미끄럼방지 돌기가 굵어져서 탄성 변형되기 어려워지고, 신발 밑창의 내활성(특히 물에 젖은 바닥면과 분말 등이 비산되는 바닥면에서의 내활성)을 유지하기 어려워질 우려가 있다. 따라서 각각의 미끄럼방지 돌기 하단면의 면적은, 통상적으로 500 mm2 이하가 된다. 각각의 미끄럼방지 돌기 하단면의 면적은 300 mm2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200 mm2 이하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100 mm2 이하로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신발 밑창에 있어서는, 미끄럼방지 돌기 형성 영역의 단위 면적 1 cm2당 미끄럼방지 돌기의 개수(이하 '미끄럼방지 돌기의 개수 밀도'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다)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그러나 미끄럼방지 돌기의 개수 밀도가 너무 적으면 역시 미끄럼방지 돌기의 개수가 적어지고, 신발 밑창 하면 측에 형성되는 엣지 수가 적어져서, 신발 밑창의 내활성(특히 물에 젖은 바닥면과 분말 등이 비산되는 바닥면에서의 내활성)을 유지하기 어려워질 우려가 있다. 따라서 미끄럼방지 돌기의 개수 밀도는 0.2 개/cm2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미끄럼방지 돌기의 개수 밀도는 0.2 개/cm2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미끄럼방지 돌기의 개수 밀도는 0.3 개/cm2 이상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4 개/cm2 이상으로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미끄럼방지 돌기의 개수 밀도가 너무 많으면 필연적으로 각각의 미끄럼방지 돌기가 가늘어져서, 각각의 미끄럼방지 돌기의 강도를 유지하기 어려워질 우려가 있다. 또한 미끄럼방지 돌기는, 통상적으로 금형으로 성형되는데, 미끄럼방지 돌기의 성형도 어려워진다. 따라서 미끄럼방지 돌기의 개수 밀도는 2 개/cm2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미끄럼방지 돌기의 개수 밀도는 1.5 개/cm2 이하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 개/cm2 이하로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신발 밑창에 있어서는, 미끄럼방지 돌기의 높이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그러나 미끄럼방지 돌기를 너무 낮게 하면 미끄럼방지 돌기가 탄성 변형되기 어려워지고, 신발 밑창의 내활성을 유지하는 것이 어려워질 우려가 있다. 따라서 미끄럼방지 돌기의 높이는, 통상적으로 1 mm 이상이 된다. 미끄럼방지 돌기의 높이는 1.5 mm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2 mm 이상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2.5 mm 이상으로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미끄럼방지 돌기를 너무 높게 하면 미끄럼방지 돌기의 강도를 유지하기 어려워질 뿐만 아니라, 신발 밑창이 불안정해서 보행하기 어려운 것이 될 우려도 있다. 따라서 미끄럼방지 돌기의 높이는 10 mm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미끄럼방지 돌기의 높이는 7 mm 이하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5 mm 이하로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신발 밑창에 있어서는, 신발 밑창의 하면 측에 있어서 미끄럼방지 돌기가 설치된 미끄럼방지 돌기 형성 영역의 외측 가장자리부는, 다른 돌기 등이 존재하지 않는 상태로 해도 된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보행 시 등 신발 밑창에 있어서 미끄럼방지 돌기의 하단면만 보행면에 접지하게 되고, 보행자 등의 체중의 거의 전체가 미끄럼방지 돌기로만 지지되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보행 시 미끄럼방지 돌기가 뭉개지거나 휘어지는 등 변형되기 쉬워져, 보행이 불안정해질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신발 밑창에 있어서는, 이하의 구성을 채용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즉, 미끄럼방지 돌기 형성 영역의 외측 가장자리부를, 미끄럼방지 돌기와 거의 동일한 높이를 갖는 프레임 형상 돌기로 둘러싸는 구성이다. 이와 같이 미끄럼방지 돌기 형성 영역의 외측 가장자리부를 프레임 형상 돌기로 둘러쌈으로써, 보행자의 체중을 프레임 형상 돌기에 분산하는 것이 가능해져서, 미끄럼방지 돌기에 걸리는 하중을 작게 할 수 있다. 테두리 형상 돌기는, 미끄럼방지 돌기 형성 영역의 외측 가장자리부를 따라서 거의 연속적으로 설치되므로, 보행자의 체중을 확실하게 받아낼 수 있다. 따라서 보행 시 등 미끄럼방지 돌기가 변형되기 어렵게 해서, 보행 시 등의 안정성을 높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신발 밑창은 그 용도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각종 신발에 구비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점성 물질이 떨어져 있는 경우가 많은 식품 공장이나 주방 등에서 착용할 신발로서 적절히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신발 밑창은, 신발에 일체적으로 형성한 상태로 제공되는 것이어도 되고, 기존 신발에 대해서 탈착 가능한 상태로 제공되는 것이어도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해 양호한 내활성을 발휘하면서도 하면에 물체가 부착되기 어렵고, 설령 하면에 물체가 부착되었다고 하더라도 그 물체를 용이하게 떼어낼 수 있는 신발 밑창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이 신발 밑창을 구비한 신발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신발 밑창의 바람직한 실시양태를, 하면(접지면) 측으로부터 본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신발 밑창을, 하면(접지면) 측으로부터 본 상태를 도시한 저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신발 밑창을, 도 2의 A-A 평면으로 절단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신발 밑창에 있어서, 미끄럼방지 돌기 형태의 변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보행 시 신발 밑창 본체의 만곡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신발 밑창에 있어서, 삼각기둥상의 육각 격자의 격자점에 배치한 경우의, 미끄럼방지 돌기의 치수와 배치 변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실험에서 사용한 시료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점성 물질 박리 굴곡 횟수의 측정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는 최대 박리 하중의 측정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신발 밑창으로서, 도 1의 신발 밑창의 공핍 영역(α)에 대응하는 부분을 설치하지 않은 양태의 신발 밑창을, 하면(접지면) 측으로부터 본 상태를 도시한 저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신발 밑창으로서, 미끄럼방지 돌기 형성 영역의 외측 가장자리부에 프레임 형상 돌기를 설치한 양태의 신발 밑창을, 하면(접지면) 측으로부터 본 상태를 도시한 저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신발 밑창으로서, 미끄럼방지 돌기 형성 영역이 전측 부분과 후측 부분으로 분단되어 설치되고, 전측 부분의 미끄럼방지 돌기 형성 영역과, 후측 부분의 미끄럼방지 돌기 형성 영역 각각의 외측 가장자리부에 프레임 형상 돌기를 설치한 양태의 신발 밑창을, 하면(접지면) 측으로부터 본 상태를 도시한 저면도이다.
1. 본 발명에 따른 신발 밑창
1.1 신발 밑창의 개요
본 발명에 따른 신발 밑창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대하여 도면을 가지고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신발 밑창(10)의 바람직한 실시양태를, 하면(접지면) 측으로부터 본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신발 밑창(10)을, 하면(접지면) 측으로부터 본 상태를 도시한 저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신발 밑창(10)을, 도 2의 A-A 평면으로 절단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신발 밑창(1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신발 밑창 본체(11)와 복수의 미끄럼방지 돌기(12)를 구비한 것으로 되어 있다.
1. 2 신발 밑창 본체
신발 밑창 본체(11)는, 그 외주 형상이 개략적으로 발바닥 형상을 이루고 있고, 전측 부분(11a)과 후측 부분(11b), 중간 부분(11c)으로 구성되어 있다. 전측 부분(11a)은, 발끝 측 부분의 하측에 배치되는 부분으로 되어 있고, 후측 부분(11b)은, 발뒤꿈치 측 부분의 하측에 배치되는 부분으로 되어 있으며, 중간 부분(11c)은, 발바닥 가운데의 하측에 배치되는 부분으로 되어 있다. 전측 부분(11a)의 하면과 후측 부분(11b)의 하면은, 거의 전 영역이 평면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양태에서는, 중간 부분(11c)의 하면도 거의 전 영역을 평면상으로 형성하였으며, 전측 부분(11a)의 하면과 중간 부분(11c)의 하면, 후측 부분(11b)의 하면이 단차 없이 평면상으로 연속되도록 하고 있다.
1.2 미끄럼방지 돌기
미끄럼방지 돌기(12)는, 신발 밑창 본체(11)에 있어서, 적어도 전측 부분(11a) 및 후측 부분(11b)의 하면의 거의 전 영역으로부터, 서로 간극을 둔 상태로 하향으로 설치되어 있다. 중간 부분(11c)의 하면의 거의 전 영역에도, 미끄럼방지 돌기(12)를 설치할 수도 있지만, 중간 부분(11c)은, 발바닥 가운데의 하측에 위치하는 부분이므로, 중간 부분(11c)에 걸리는 하중은, 전측 부분(11a)과 후측 부분(11b)에 걸리는 하중과 비교해서 작아, 중간 부분(11c)의 하면의 거의 전 영역에 미끄럼방지 돌기(12)를 설치해도 신발 밑창(10)의 내활성에 대한 기여도는 작다. 특히 중간 부분(11c)에 있어서의 전후 방향 중간부는, 신발 밑창(10)의 내활성에 대한 기여도가 작다. 따라서 본 실시양태에서는, 중간 부분(11c)의 전후 방향 중간부에, 미끄럼방지 돌기(12)가 설치되지 않은 공핍 영역(α, 도 1 및 도 2에서 파선으로 도시된 부분)을 설치하고 있다. 이 공핍 영역(α)은, 물체가 부착되기 어렵고, 또한 일단 부착된 물체가 떨어지기 쉬운 부분으로 되어 있다. 본 실시양태에서는 채용하지 않았지만, 공핍 영역(α)은, 신발 밑창 본체(11)의 외측 가장자리부에 설치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신발 밑창(10)에서는, 신발 밑창(10)의 하면 측에 있어서 미끄럼방지 돌기(12)가 설치된 영역(미끄럼방지 돌기 형성 영역)의 동마찰 계수가 0.3 이상으로 되어 있고, 미끄럼방지 돌기 형성 영역의 점성 물질 부착량이 1.5 g 이하로 되어 있으며, 미끄럼방지 돌기 형성 영역의 점성 물질 박리 굴곡 횟수가 30회 이하로 되어 있다.
이 중에서 미끄럼방지 돌기 형성 영역의 동마찰 계수는, 신발 밑창(10)의 내활성 지표가 되는 것으로, 동마찰 계수 값이 크면 클수록 신발 밑창(10)은 내활성이 뛰어난 것이 된다. 이 점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신발 밑창(10)은, 상기와 같이 미끄럼방지 돌기 형성 영역의 동마찰 계수가 0.3 이상으로 높아, 뛰어난 내활성을 발휘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미끄럼방지 돌기 형성 영역의 동마찰 계수는 0.3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0.4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신발 밑창(10)에서는, 미끄럼방지 돌기 형성 영역의 동마찰 계수를 0.5 이상, 0.6 이상, 0.7 이상(후술할 실시예 3)으로 더욱 높이는 것도 가능하다. 미끄럼방지 돌기 형성 영역의 동마찰 계수의 상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본 발명에 따른 신발 밑창(10)은, 점성 물질의 부착 어려움과 박리 용이성도 고려한 것이므로, 동마찰 계수 값이 1을 넘는 것은 곤란한 것으로 추측된다.
또한 미끄럼방지 돌기 형성 영역의 점성 물질 부착량은, 신발 밑창(10)에 대한 점성 물질의 부착 어려움의 지표가 되는 것으로, 점성 물질 부착량이 적으면 적을수록 신발 밑창(10)에 점성 물질이 부착되기 어려워진다. 이 점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신발 밑창(10)은, 상기와 같이 미끄럼방지 돌기 형성 영역의 점성 물질 부착량이 1.5 g 이하로 작아, 점성 물질이 부착되기 어려운 것으로 되어 있다. 미끄럼방지 돌기 형성 영역의 점성 물질 부착량은 1 g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0.5 g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0.2 g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신발 밑창(10)에서는, 미끄럼방지 돌기 형성 영역의 점성 물질 부착량을 0.15 이하(후술할 실시예 3), 0.1 이하(후술할 실시예 2)로 더욱 작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미끄럼방지 돌기 형성 영역의 점성 물질 부착량의 하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본 발명에 따른 신발 밑창(10)은 내활성도 고려한 것이므로, 점성 물질 부착량 값이 0.01을 하회하는 것은 곤란한 것으로 추측된다.
더욱이 미끄럼방지 돌기 형성 영역의 점성 물질 박리 굴곡 횟수는, 신발 밑창(10)에 일단 부착된 점성 물질의 박리 용이성의 지표가 되는 것으로, 점성 물질 박리 굴곡 횟수가 적으면 적을수록 신발 밑창(10)으로부터 점성 물질이 떨어지기 쉬워진다. 이 점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신발 밑창(10)은, 상기와 같이 미끄럼방지 돌기 형성 영역의 점성 물질 박리 굴곡 횟수가 30회 이하로 적어, 일단 부착된 점성 물질이 떨어지기 쉬운 것으로 되어 있다. 미끄럼방지 돌기 형성 영역의 점성 물질 박리 굴곡 횟수는, 25회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20회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15회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신발 밑창(10)에서는, 미끄럼방지 돌기 형성 영역의 점성 물질 박리 굴곡 횟수를 10회 이하(후술할 실시예 1 및 실시예 2)로 더욱 적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미끄럼방지 돌기 형성 영역의 점성 물질 박리 굴곡 횟수의 하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통상적으로 1회를 하회하는 것은 곤란한 것으로 추측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신발 밑창(10)에 있어서, 미끄럼방지 돌기(12)의 형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도 4(a)에 도시된 것처럼 미끄럼방지 돌기(12)를 삼각기둥상으로 형성해도 되고, 도 4(b)에 도시된 것처럼 미끄럼방지 돌기(12)를 원기둥상으로 형성해도 되며, 도 4(c)에 도시된 것처럼 미끄럼방지 돌기(12)를 사각기둥상으로 형성해도 된다. 미끄럼방지 돌기(10)는, 상기한 삼각기둥과 사각기둥 이외의 다각기둥상(육각기둥상과 팔각기둥상 등)으로 형성할 수도 있고, 타원기둥상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미끄럼방지 돌기 형성 영역의 동마찰 계수가 0.3 이상이고, 미끄럼방지 돌기 형성 영역의 점성 물질 부착량이 1.5 g 이하이며, 미끄럼방지 돌기 형성 영역의 점성 물질 박리 굴곡 횟수가 30회 이하가 되는 것이라면, 미끄럼방지 돌기(12)는 어떤 형태라도 채용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의 신발 밑창(10)에 있어서, 미끄럼방지 돌기(12)는 삼각기둥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각각의 미끄럼방지 돌기(12)는, 그 상단 측(신발 밑창 본체(11)의 하면에 접속되는 측)으로부터 하단 측(보행면에 설치되는 측)에 걸쳐서 두께가 일정한 것으로 해도 되지만, 본 실시양태에 있어서는,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각각의 미끄럼방지 돌기(12)의 상단(12b) 측 부분을, 미끄럼방지 돌기(12)의 상단(동일 도면의 지면을 향해서 좌측 단부)에 가까워짐에 따라서 두꺼워지도록 형성하고 있다(도 3의 확경부(12c)를 참조). 따라서 미끄럼방지 돌기(12)의 강도가, 확경부(12c)에 의해 높아진 상태로 되어 있다. 게다가 각각의 미끄럼방지 돌기(12)에 있어서 확경부(12c)의 외주면을 연직 단면 원호상으로 형성하여, 미끄럼방지 돌기(12)의 외주면과 신발 밑창 본체(11)의 하면이 매끄럽게 접속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미끄럼방지 돌기(12)의 외주면과 신발 밑창 본체(11)의 하면으로 형성되는 모서리부가 둥글어지고, 그 모서리부에 물체가 걸리기 어렵게 되어 있다. 이로써 신발 밑창(10)의 미끄럼방지 돌기 형성 영역의 점성 물질 부착량과 점성 물질 박리 굴곡 횟수를 더욱 적게 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게다가 신발 밑창(10)을 금형으로 성형한 후 틀에서 빼내기를 용이하게 수행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신발 밑창(10)에 있어서, 미끄럼방지 돌기(12)의 배치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미끄럼방지 돌기 형성 영역의 동마찰 계수가 0.3 이상이고, 미끄럼방지 돌기 형성 영역의 점성 물질 부착량이 1.5 g 이하이며, 미끄럼방지 돌기 형성 영역의 점성 물질 박리 굴곡 횟수가 30회 이하가 되는 것이라면 미끄럼방지 돌기(12)의 배치는 어떤 식으로 설정해도 된다. 예를 들면 도 4(a)에 도시된 것처럼 미끄럼방지 돌기(12)를, 육각 격자(동일 도면의 가는 파선을 참조)의 격자점(동일 도면의 검은 원을 참조)을 이루는 위치에 각각 배치해도 되고, 도 4(b) 및 도 4(c)에 도시된 것처럼 미끄럼방지 돌기(12)를, 사각 격자(동일 도면의 가는 파선을 참조)의 격자점(동일 도면의 검은 원을 참조)을 이루는 위치에 각각 배치해도 된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미끄럼방지 돌기(12)를, 삼각 격자의 격자점을 이루는 위치에 각각 배치해도 된다. 이미 서술한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신발 밑창(10)은, 신발 밑창 본체(11)의 하면이 평면상을 이루는데, 이처럼 복수의 미끄럼방지 돌기(12)를 규칙적으로 반복 배치함으로써, 미끄럼방지 돌기(12)가 설치된 장소에 관계없이 안정된 내활성을 발휘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복수의 미끄럼방지 돌기(12)를 격자점 위치에 배치하는 경우, 상술한 미끄럼방지 돌기 형성 영역의 면적(S1)에 대한 미끄럼방지 돌기의 하단면의 면적의 총합(S2)의 비(S2/S1)는, 도 2의 확대 부분에 도시된 것처럼 단위 격자(UL)의 면적에 대한, 미끄럼방지 돌기(12)의 하단면에 있어서 단위 격자(UL)에 포함된 부분(동일 도면에서 격자 해칭으로 도시된 부분)의 면적 비를 산출함으로써 구할 수 있다.
단, 상술한 점성 물질 박리 굴곡 횟수로서 측정할 수 있는 이상의 점성 물질의 박리 용이성을 고려하면, 미끄럼방지 돌기(12)는, 도 4(a)에 도시된 것처럼 육각 격자의 격자점을 이루는 위치에 각각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신발 밑창(10)은, 신발 밑창 본체(11)를 평면상으로 형성했다고 하더라도 보행 시에는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만곡된 상태가 된다. 도 5는, 보행 시 신발 밑창 본체(11)의 만곡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신발 밑창 본체(11)가 만곡되면 이웃한 미끄럼방지 돌기(12)의 간극(β, 동일 도면의 격자 해칭으로 도시된 부분)이, 미끄럼방지 돌기(12)의 하단(12a) 측에서 넓어진 상태가 된다. 따라서 미끄럼방지 돌기(12)의 간극(β)에 물체가 걸렸다고 하더라도 신발 밑창 본체(11)가 만곡될 때(보행 시에 있어서 신발 밑창(10)을 착지시킬 때나 신발 밑창(10)으로 지면을 밟을 때 등), 그 물체가 떨어지기 쉬워진다. 미끄럼방지 돌기(12)의 간극(β)이 선상으로 연속되어 있으면, 미끄럼방지 돌기(12)의 간극(β)에 걸린 물체는 더욱 떨어지기 쉬워진다.
이 점에 있어서, 도 4(b) 및 도 4(c)에 도시된 것처럼 미끄럼방지 돌기(12)를, 사각 격자의 격자점을 이루는 위치에 각각 배치한 경우에는, 간극(β)이, 신발 밑창(10)의 좌우 방향에 평행한 방향(동일 도면에서 굵은 파선 L의 방향)과, 신발 밑창(10)의 좌우 방향에 수직인 방향(동일 도면에서 굵은 파선 L90°의 방향)의 합계 2방향으로만 형성되지만, 도 4(a)에 도시된 것처럼 미끄럼방지 돌기(12)를, 육각 격자의 격자점을 이루는 위치에 각각 배치하면 간극(β)이, 신발 밑창(10)의 좌우 방향에 평행한 방향(동일 도면에서 굵은 파선 L의 방향)과, 신발 밑창(10)의 좌우 방향에 대해서 60 °를 이루는 방향(동일 도면에서 굵은 파선 L60°의 방향)과, 신발 밑창(10)의 좌우 방향에 대해서 120 °를 이루는 방향(동일 도면에서 굵은 파선 L120°의 방향)의 합계 3방향으로 형성되고, 이웃한 미끄럼방지 돌기(12)의 간극(β)에 걸린 물체를 보행 시 등에 있어서 더욱 떨어지기 쉽게 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도 1 내지 도 2의 신발 밑창(10)에 있어서도, 삼각기둥상 미끄럼방지 돌기(12)를 육각 격자의 격자점을 이루는 위치에 각각 배치하고 있다. 1개의 미끄럼방지 돌기(12)와, 상기 1개의 미끄럼방지 돌기(12)에 이웃한 다른 미끄럼방지 돌기는, 그들의 하단면이 이루는 삼각형의 방향이 역방향이 되도록 되어 있다. 이로써 미끄럼방지 돌기(12)를 어느 정도 긴밀히 배치해서 신발 밑창(10)의 내활성을 높이면서도 도 4(a)의 굵은 파선(L, L60°, L120°)을 따르는 간극(β)의 폭(도 2의 폭 W1을 참조)을 넓게 확보하여, 미끄럼방지 돌기(12)의 간극(β)에 물체가 걸리기 어렵게 할뿐만 아니라 간극(β)에 걸린 물체가 떨어지기 쉽게 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본 발명에 따른 신발 밑창에 있어서, 삼각기둥상 육각 격자의 격자점에 배치된 경우의, 미끄럼방지 돌기의 치수와 배치 변형을 도 6에 도시한다. 이와 같이 삼각기둥상 미끄럼방지 돌기(12)를 육각 격자의 격자점에 배치하는 경우에도, 이웃한 미끄럼방지 돌기(12)의 간극 폭(W1, 도 2)과, 미끄럼방지 돌기(12)의 하단면의 최대 폭(W2, 도 2), 확경부(12c)의 폭(W2, 도 2)을 변화시킴으로써, 용도 등에 따른 적절한 신발 밑창(10)을 선택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미끄럼방지 돌기의 높이(H1, 도 3)와 확경부(12c)의 높이(H2, 도 3)도 변화시킬 수 있다.
그런데 상술한 공핍 영역(α)은 반드시 설치해야 되는 것은 아니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신발 밑창(10)으로서, 도 1의 신발 밑창(10)의 공핍 영역(α)에 대응하는 부분을 설치하지 않은 양태를, 하면(접지면) 측으로부터 본 상태를 도시한 저면도이다. 도 10의 양태의 신발 밑창(10)은, 도 1에 도시된 양태의 신발 밑창(10)에 설치된 공핍 영역(α)을 갖지 않고, 그 하면(접지면)의 거의 전체 영역에 복수의 미끄럼방지 돌기(12)가 거의 균일하게 설치된 것(그 하면의 거의 전체 영역이 '미끄럼방지 돌기 형성 영역'으로 되어 있는 것)으로 되어 있다. 도 10의 양태의 신발 밑창(10)은, 도 1에 도시된 양태의 신발 밑창(10)과 비교해서, 신발 밑창 전체의 점성 물질의 부착 어려움과 박리 용이성에 대해서는 다소 불리하지만, 신발 밑창 전체의 미끄러지기 어려움에 대해서는 유리해진다. 또한 도 10의 양태의 신발 밑창(10)은, 그를 형성하는 시트 부재의 수율을 높일 수 있는 등 제조 비용 면에서도 유리하다.
1.3 신발 밑창의 성형 재료
상술한 미끄럼방지 돌기(12)는, 신발 밑창 본체(11)와 별개로 형성한 것을 사후에 신발 밑창 본체(11)에 고착시킨 것이어도 되지만, 통상적으로 신발 밑창 본체(11)에 대해서 일체적으로 성형(사출 성형)된다. 신발 밑창(10)의 성형 재료는, 종래의 신발 밑창(10)의 성형에 사용되고 있는 각종 고무와 엘라스토머 등을 채용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합성 고무, 천연 고무, 열가소성 스티렌부타디엔 고무(SBS), 스티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SIS),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EVA), 폴리우레탄 및 폴리염화비닐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종류 또는 복수 종류의 탄성 중합체와 고무 배합제로 이루어진 것을, 신발 밑창(10)의 성형 재료로서 사용할 수 있다.
신발 밑창(10)의 경도는, 신발 밑창(10)의 성형 재료 등에 의해서도 다르며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그러나 신발 밑창(10)이 너무 무르면 미끄럼방지 돌기(12)의 강도를 유지하기 어려워질 우려가 있다. 따라서 신발 밑창(10)을 고무로 형성하는 경우에는, 그 경도(A 경도계로 측정된 값, 이하, 고무의 경우에도 동일)는 통상적으로 10도 이상이 되며, 20도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30도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35도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신발 밑창(10)을 EVA로 형성하는 경우에는, 그 경도(E 경도계로 측정된 값, 이하, EVA의 경우에도 동일)는 10도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20도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30도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그러나 신발 밑창(10)을 너무 단단하게 하면 미끄럼방지 돌기(12)가 탄성 변형되기 어려워져서, 보행면을 따르기 어렵게 되고, 원하는 내활성을 얻기 어려워질 우려가 있다. 또한 신발 밑창(10)의 완충성이 저하되어 신발의 착용감이 나빠질 우려도 있다. 따라서 신발 밑창(10)을 고무로 형성하는 경우, 그 경도는 70도 이하면 바람직하고, 60도 이하면 보다 바람직하며, 50도 이하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신발 밑창(10)을 EVA로 형성하는 경우, 그 경도는 통상적으로 70도 이하가 되고, 60도 이하로 하면 바람직하고, 50도 이하로 하면 보다 바람직하며, 40도 이하로 하면 더욱 바람직하다.
1.4 기타
그런데 지금까지 설명한 신발 밑창(10, 도 1과 도 10에 도시된 신발 밑창(10))은, 모두 신발 밑창(10)의 하면 측에 있어서 미끄럼방지 돌기(12)가 설치된 미끄럼방지 돌기 형성 영역의 외측 가장자리부는, 다른 돌기 등이 존재하지 않았다. 따라서 보행 시 등에 있어서, 미끄럼방지 돌기(12)의 하단면만 보행면에 접지하게 되고, 보행자 등의 체중의 거의 전체가 미끄럼방지 돌기(12)로만 지지되는 상태가 되었다. 따라서 보행 시 미끄럼방지 돌기(12)가 보행자의 체중에 의해 변형되기 쉬워, 보행이 불안정해질 우려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는, 예를 들면 도 11에 도시된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해소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신발 밑창(10)으로서, 미끄럼방지 돌기 형성 영역의 외측 가장자리부에 프레임 형상 돌기(14)를 설치한 양태를, 하면(접지면) 측으로부터 본 상태를 도시한 저면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신발 밑창(10)에 있어서, 테두리 형상 돌기(14)는, 신발 밑창 본체(11)와 일체적으로 성형되었고, 테두리 형상 돌기(14)의 높이는, 미끄럼방지 돌기(12a)의 높이(H1, 도 3을 참조)와 동일하게 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미끄럼방지 돌기(12a)의 하단면은, 테두리 형상 돌기(14)의 하단면과 동일한 높이로 되어 있다. 이 테두리 형상 돌기(14)는, 신발 밑창 본체(11)의 거의 전체(전측 부분(11a), 후측 부분(11b) 및 중간 부분(11c))에 걸친 미끄럼방지 돌기 형성 영역의 전체 둘레부를 둘러싸듯이 연속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보행 시 등에는, 미끄럼방지 돌기(12)의 하단면뿐만 아니라 테두리 형상 돌기(14)의 하단면도 설치하게 되어, 보행자의 체중을 테두리 형상 돌기(14)로 분산할 수 있어, 보행 시 등의 안정성을 높이는 것이 가능해졌다. 도 11에 도시된 예에서는, 테두리 형상 돌기(14)의 전단 부분(발끝 부분)과 후단 부분(발뒤꿈치 부분)에 각각 전측 미끄럼방지 돌출부(16)와 후측 미끄럼방지 돌(17)를 설치하여, 신발 밑창(10)의 내활성을 더욱 높이고 있다.
또한 테두리 형상 돌기(14)의 내주 측의 이음매 부분에는, 보강부(15)가 설치되어 있다. 이 보강부(15)에 의해, 테두리 형상 돌기부(14)의 강도가 높아진 상태로 되어 있다. 보강부(15)의 표면은, 상술한 미끄럼방지 돌기(12)의 확경부(12c)의 외주면과 동일하게 연직 단면 원호상으로 형성되어 있어, 테두리 형상 돌기(14)의 내주 측 벽면과 신발 밑창 본체(11)의 하면이 매끄럽게 접속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테두리 형상 돌기(14)의 내주 측 벽면과 신발 밑창 본체(11)의 하면으로 형성되는 모서리부가 둥글어지고, 그 모서리부에 물체가 걸리기 어렵게 되어 있다. 게다가 신발 밑창(10)을 금형으로 성형한 후 틀에서 빼내기를 용이하게 수행하는 것도 가능해졌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신발 밑창(10)으로서, 미끄럼방지 돌기 형성 영역이 전측 부분(11a)과 후측 부분(11b)으로 분단되어 설치되고, 전측 부분(11a)의 미끄럼방지 돌기 형성 영역과, 후측 부분(11b)의 미끄럼방지 돌기 형성 영역 각각의 외측 가장자리부에 테두리 형상 돌기(전측 테두리 형상 돌기(14a) 및 후측 테두리 형상 돌기(14b))를 설치한 양태를, 하면(접지면) 측으로부터 본 상태를 도시한 저면도이다. 도 12에 도시된 것과 같이 미끄럼방지 돌기 형성 영역을 복수 곳에 분단해서 설치하는 경우에는, 테두리 형상 돌기(14)도 각각의 미끄럼방지 돌기 형성 영역마다 분리된 상태로 설치할 수 있다.
1.5 소결론
이상 서술한 본 발명에 따른 신발 밑창(10)은, 양호한 내활성을 발휘하면서도 하면에 물체가 부착되기 어렵고, 설령 하면에 물체가 부착되었다고 하더라도 그 물체를 용이하게 떼어낼 수 있는 것으로 되어 있다.
2. 실험
2.1 실험 방법
본 발명에 따른 신발 밑창의 성능을 확인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신발 밑창의 기술적 범위에 속하는, 실시예 1의 신발 밑창의 시료(도 7(a)), 실시예 2의 신발 밑창의 시료(도 7(b)) 및 실시예 3의 신발 밑창의 시료(도 7(c))를 제작하고, 실시예 1 내지 3의 시료 각각에 대해서 동마찰 계수, 점성 물질 부착량 및 점성 물질 박리 굴곡 횟수를 측정하는 실험을 수행했다. 또한 비교예 1로서 상기 특허문헌 1(국제공개 제2006/003740호)에 기재된 신발 밑창의 시료(도 7(d))를 제작하여, 비교예 1의 시료의 동마찰 계수, 점성 물질 부착량 및 점성 물질 박리 굴곡 횟수를 측정했다. 도 7은 실험에서 사용된 시료를 도시한 도면이다.
동마찰 계수, 점성 물질 부착량 및 점성 물질 박리 굴곡 횟수는, 상술한 방법에 의해 측정했다. 공평을 기하기 위해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과 비교예 1의 시료는 모두 A 경도가 58도인 NBR 배합에 의해 형성했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및 비교예 1의 시료에 있어서 미끄럼방지 돌기의 치수 등은, 하기 표 1에 도시한 것과 같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

하단면의 단면 형상
삼각 사각 V자

미끄럼방지 돌기의 높이(H1)
3.0 mm 3.0 mm 3.0 mm 3.0 mm

확경부의 높이(H2)
1.5 mm 1.5 mm 1.5 mm 1.5 mm

미끄럼방지 돌기의 간극 폭(W1)
5.7 mm 6.6 mm 7.6 mm -

미끄럼방지 돌기의 간극의 전후 폭(W1.1, 도 7(d))
- - - 3.0 mm

미끄럼방지 돌기의 간극의 좌우 폭(W1.2, 도 7(d))
- - - 2.0 mm

미끄럼방지 돌기의 하단면의 최대 폭(W2)
8.5 mm 6.8 mm 5.7 mm 20 mm

확경부의 폭(W3)
1.5 mm 1.5 mm 1.5 mm 1.0 mm

미끄럼방지 돌기의 하단면의 최소 폭(W4, 도 7(d))
- - - 3.0 mm

V자의 벌어진 각도(φ, 도 7(d))
- - - 80 °
2.2 실험 결과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의 시료의 동마찰 계수, 점성 물질 부착량 및 점성 물질 박리 굴곡 횟수는, 각각 하기 표 2와 같다. 하기 표 2에서는, 본 발명의 신발 밑창에 있어서, 동마찰 계수로서 요구되는 0.3 이상이라는 조건을 만족하고 있는 값을 굵은 글씨로 나타내고, 점성 물질 부착량으로서 요구되는 1.5 g 이하라는 조건을 만족하고 있는 값을 굵은 글씨로 나타내며, 점성 물질 박리 굴곡 횟수로서 요구되는 30회 이하라는 조건을 만족하고 있는 값을 굵은 글씨로 나타내고 있다.
동마찰 계수 점성 물질 부착량
점성 물질 박리
굴곡 횟수

실시예 1
0.493 0.71 g 16회

실시예 2
0.475 0.40 g 16회

실시예 3
0.463 0.70 g 20회

비교예 1
0.851 2.16 g 50회 이상(※)
※ 굴곡 횟수가 50회를 초과해도 점성 물질이 박리되지 않은 것을 의미한다.
상기 표 2를 보면, 비교예 1의 시료에 있어서, 동마찰 계수 값이 0.851로 매우 높지만, 점성 물질 부착량 값이 2.16 g이고, 점성 물질 박리 횟수 값이 50회 이상으로 어떤 값도 최저이다. 이 점으로부터 비교예 1의 시료는, 뛰어난 내활성을 발휘하지만 점성 물질이 부착되기 쉽고 또한 일단 부착된 점성 물질이 떨어지기 어려운 것임이 입증되었다.
한편 실시예 1 내지 3의 시료는, 동마찰 계수 값에 있어서는 비교예 1의 시료에 못 미치지만 그래도 0.45 이상으로 뛰어난 값을 나타내고 있다. 특히 실시예 1의 시료는, 동마찰 계수 값이 0.49 이상으로 되어 있다. 이 점으로부터 실시예 1 내지 3의 시료는, 내활성은 비교예 1의 시료에 못 미치지만 그래도 양호한 내활성을 발휘할 수 있는 것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실시예 1 내지 3의 시료에 있어서는, 점성 물질 부착량 값이 모두 1 g 이하로 되어 있고, 비교예 1의 시료와 비교해서 모두 3분의 1 이하이다. 그 중에서도 실시예 2의 시료는, 점성 물질 부착량 값이 0.4로, 비교예 1의 시료의 5분의 1 이하로 되어 있다. 이 점으로부터 실시예 1 내지 3의 시료는, 비교예 1의 시료와 비교해서 점성 물질이 매우 부착되기 어려운 것임을 알 수 있었다.
더욱이 실시예 1 내지 3의 시료에 있어서는, 점성 물질 박리 굴곡 횟수 값이 모두 20회 이하로, 비교예 1의 시료와 비교해서 2분의 1 이하로 되어 있다. 그 중에서도 실시예 1, 2의 시료는, 점성 물질 박리 굴곡 횟수 값이 16회로, 비교예 1의 시료와 비교해서 3분의 1 이하로 되어 있다. 이 점으로부터 실시예 1 내지 3의 시료는, 비교예 1의 시료와 비교해서 일단 부착된 점성 물질이 매우 떨어지기 쉬운 것임을 알 수 있었다.
10: 신발 밑창
11: 신발 밑창 본체
11a: 전측 부분
11b: 후측 부분
11c: 중간 부분
12: 미끄럼방지 돌기
12a: 미끄럼방지 돌기의 하단(下端)
12b: 미끄럼방지 돌기의 상단(上端)
12c: 확경부
14: 프레임 형상 돌기
14a: 전측 프레임 형상 돌기
14b: 후측 프레임 형상 돌기
15: 보강부
16: 전측 미끄럼방지 돌출부
17: 후측 미끄럼방지 돌출부
50: 점토
60: 시료
70: 박리지
80: 알루미늄판
90: 굴곡 장치
91: 수평대
92: 후크
93: 누름판
94: 핸들
95: 와이어
100: 압력구
101: 후크
102: 압력판
103: 양면 테이프
110: 스테인리스판
120: 풀게이지
H1: 미끄럼방지 돌기의 높이
H2: 확경부의 높이
W1: 이웃한 미끄럼방지 돌기의 간격 폭
W1.1: 이웃한 미끄럼방지 돌기 간격의 전후 폭
W1.2: 이웃한 미끄럼방지 돌기 간격의 좌우 폭
W2: 미끄럼방지 돌기의 하단면의 최대 폭
W3: 확경부의 폭
W4: 미끄럼방지 돌기의 하단면의 최소 폭
α: 공핍 영역
β: 이웃한 미끄럼방지 돌기의 간격

Claims (10)

  1. 발바닥 가운데의 하측에 배치되는 중간 부분, 중간 부분보다 발끝 측에 위치하는 전측 부분 및 중간 부분보다 발뒤꿈치 측에 위치하는 후측 부분으로 이루어지는 신발 밑창 본체와,
    신발 밑창 본체에 있어서의 전측 부분 및 후측 부분의 하면의 거의 전 영역으로부터, 서로 간극을 둔 상태에서 하방을 향해 설치된 복수의 미끄럼방지 돌기를 구비하고,
    신발 밑창 본체에 있어서의 전측 부분 및 후측 부분의 하면의 거의 전 영역이 평면상으로 형성된 신발 밑창으로서,
    신발 밑창의 하면 측의 미끄럼방지 돌기가 설치된 영역(이하 '미끄럼방지 돌기 형성 영역'라고 한다)의 동마찰 계수가 0.3 이상이고,
    미끄럼방지 돌기 형성 영역의 점성 물질 부착량이 1.5 g 이하이며,
    미끄럼방지 돌기 형성 영역의 점성 물질 박리 굴곡 횟수가 30 회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밑창.
  2. 제 1 항에 있어서,
    미끄럼방지 돌기가, 각각 삼각기둥상을 이루는 신발 밑창.
  3. 제 2 항에 있어서,
    미끄럼방지 돌기가, 미끄럼방지 돌기 형성 영역에 있어서 육각 격자의 격자점을 이루는 위치에 각각 배치되는 한편
    1개의 미끄럼방지 돌기와, 상기 1개의 미끄럼방지 돌기에 이웃한 다른 미끄럼방지 돌기가, 그들의 하단면이 이루는 삼각형의 방향이 역방향이 되도록 설치된 신발 밑창.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항에 있어서,
    미끄럼방지 돌기의 상단 측 부분이, 상기 미끄럼방지 돌기의 상단에 가까워질수록 두꺼워지도록 형성되고,
    각각의 미끄럼방지 돌기의 외주면과 신발 밑창 본체의 하면이 연직 단면 원호상으로 접속된 신발 밑창.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항에 있어서,
    미끄럼방지 돌기 형성 영역의 면적(S1)에 대한 미끄럼방지 돌기의 하단면의 면적 총합(S2)의 비(S2/S1)가, 0.1 ~ 0.5인 신발 밑창.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항에 있어서,
    이웃한 미끄럼방지 돌기의 간극 폭(W1)이, 1 ~ 10 mm인 신발 밑창.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항에 있어서,
    미끄럼방지 돌기의 하단면의 면적이, 10 ~ 500 mm2인 신발 밑창.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항에 있어서,
    미끄럼방지 돌기 형성 영역에 있어서의 단위 면적 1cm2당 미끄럼방지 돌기의 개수가, 0.2 ~ 2개인 신발 밑창.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항에 있어서,
    미끄럼방지 돌기의 높이가, 1 ~ 10 mm인 신발 밑창.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항에 있어서,
    미끄럼방지 돌기 형성 영역의 외측 가장자리부가, 미끄럼방지 돌기와 거의 동일한 높이를 갖는 돌기로 둘러싸인 신발 밑창.
KR1020207031837A 2018-04-10 2019-04-05 신발 밑창 및 신발 KR10242208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8075773 2018-04-10
JPJP-P-2018-075773 2018-04-10
PCT/JP2019/015191 WO2019198645A1 (ja) 2018-04-10 2019-04-05 靴底及び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9239A true KR20200139239A (ko) 2020-12-11
KR102422086B1 KR102422086B1 (ko) 2022-07-15

Family

ID=681640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31837A KR102422086B1 (ko) 2018-04-10 2019-04-05 신발 밑창 및 신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920757B2 (ko)
KR (1) KR102422086B1 (ko)
CN (1) CN112020313B (ko)
WO (1) WO2019198645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03740A (ko) 2004-07-07 2006-01-11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자기공명영상 장치를 이용한 건삼의 품질 검사 방법
WO2007043651A1 (ja) * 2005-10-13 2007-04-19 Midori Anzen Co., Ltd. 靴底および靴
CN202697928U (zh) * 2012-08-09 2013-01-30 崔双双 一种防滑鞋底结构
JP2013059603A (ja) * 2011-08-22 2013-04-04 Okamoto Kk 防滑靴底及び防滑靴
JP2015150013A (ja) * 2014-02-10 2015-08-24 株式会社ブンシジャパン 靴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75225A (ja) * 2006-04-05 2007-10-25 Kohshin Rubber Co Ltd 靴の防滑用外底
CN100502713C (zh) * 2006-07-12 2009-06-24 丁国南 一种止滑垫
KR20090131986A (ko) * 2008-06-19 2009-12-30 이강우 신발 밑창
CN203058528U (zh) * 2013-01-25 2013-07-17 青岛亨达股份有限公司 底部具有“三角”造型的防滑鞋底
CN203897429U (zh) * 2014-05-21 2014-10-29 晋江市志协鞋塑有限公司 一种鞋底
KR101666886B1 (ko) * 2015-02-17 2016-10-17 주식회사 게토그립 접지력이 향상된 하이브리드 골프화
CN104814568B (zh) * 2015-04-09 2017-04-26 茂泰(福建)鞋材有限公司 一种止滑鞋底及设有该鞋底的鞋
CN204653956U (zh) * 2015-05-09 2015-09-23 温岭腾飞鞋业有限公司 一种防滑鞋
EP3406156B1 (en) * 2016-01-22 2021-06-09 Nisshin Rubber Co., Ltd. Shoe sole and shoe
CN205624705U (zh) * 2016-05-05 2016-10-12 潘海均 防滑防水拖鞋
CN205963087U (zh) * 2016-08-24 2017-02-22 厦门荣聚工贸有限公司 一种鞋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03740A (ko) 2004-07-07 2006-01-11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자기공명영상 장치를 이용한 건삼의 품질 검사 방법
WO2007043651A1 (ja) * 2005-10-13 2007-04-19 Midori Anzen Co., Ltd. 靴底および靴
JP2013059603A (ja) * 2011-08-22 2013-04-04 Okamoto Kk 防滑靴底及び防滑靴
CN202697928U (zh) * 2012-08-09 2013-01-30 崔双双 一种防滑鞋底结构
JP2015150013A (ja) * 2014-02-10 2015-08-24 株式会社ブンシジャパン 靴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2020313B (zh) 2022-03-11
WO2019198645A1 (ja) 2019-10-17
CN112020313A (zh) 2020-12-01
KR102422086B1 (ko) 2022-07-15
JPWO2019198645A1 (ja) 2020-04-30
JP6920757B2 (ja) 2021-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21734B2 (en) Article of footwear with heel extender
KR102046176B1 (ko) 바닥 창 트레드 패턴
EP3086678B1 (en) Sole structure for an article of footwear with abrasion resistant outsol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US9693604B2 (en) Article of footwear with inner and outer midsole layers
JP3959648B2 (ja) 耐滑性靴底
NL2005226C2 (en) Insole pad for footwear.
EP2923595A3 (en) Article of footwear having an elevated plate sole structure
WO2007043651A1 (ja) 靴底および靴
KR20200139239A (ko) 신발 밑창 및 신발
KR102555764B1 (ko) 구두 밑창, 구두 및 미끄럼방지 부재
JP2013126529A (ja) 防滑靴底
CN212814726U (zh) 鞋底及鞋
EP3069626B1 (en) Tread structure in rubber or in plastic material for soles of shoes
JP2002300902A (ja) アウトソール及びこれを備えた靴
KR20230154037A (ko) 신발밑창 및 그 제조방법
JP2020074859A (ja) 耐滑靴底及び耐滑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