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38744A - 악기의 현의 진동을 캡처하기 위한 전기적 또는 전자적 시스템들을 인터체인징하기 위한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악기의 현의 진동을 캡처하기 위한 전기적 또는 전자적 시스템들을 인터체인징하기 위한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38744A
KR20200138744A KR1020207028335A KR20207028335A KR20200138744A KR 20200138744 A KR20200138744 A KR 20200138744A KR 1020207028335 A KR1020207028335 A KR 1020207028335A KR 20207028335 A KR20207028335 A KR 20207028335A KR 20200138744 A KR20200138744 A KR 202001387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rel
string
cradle
pickup system
system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283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로랑 피치오토
Original Assignee
와일드 커스텀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와일드 커스텀스 filed Critical 와일드 커스텀스
Publication of KR202001387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874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3/00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 G10H3/12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using mechanical resonant generators, e.g. strings or percussive instruments, the tones of which are picked up by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the electrical signals being further manipulated or amplified and subsequently converted to sound by a loudspeaker or equivalent instrument
    • G10H3/14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using mechanical resonant generators, e.g. strings or percussive instruments, the tones of which are picked up by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the electrical signals being further manipulated or amplified and subsequently converted to sound by a loudspeaker or equivalent instrument using mechanically actuated vibrators with pick-up means
    • G10H3/18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using mechanical resonant generators, e.g. strings or percussive instruments, the tones of which are picked up by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the electrical signals being further manipulated or amplified and subsequently converted to sound by a loudspeaker or equivalent instrument using mechanically actuated vibrators with pick-up means using a string, e.g. electric guitar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3/00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 G10H3/12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using mechanical resonant generators, e.g. strings or percussive instruments, the tones of which are picked up by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the electrical signals being further manipulated or amplified and subsequently converted to sound by a loudspeaker or equivalent instrument
    • G10H3/14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using mechanical resonant generators, e.g. strings or percussive instruments, the tones of which are picked up by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the electrical signals being further manipulated or amplified and subsequently converted to sound by a loudspeaker or equivalent instrument using mechanically actuated vibrators with pick-up means
    • G10H3/18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using mechanical resonant generators, e.g. strings or percussive instruments, the tones of which are picked up by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the electrical signals being further manipulated or amplified and subsequently converted to sound by a loudspeaker or equivalent instrument using mechanically actuated vibrators with pick-up means using a string, e.g. electric guitar
    • G10H3/183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using mechanical resonant generators, e.g. strings or percussive instruments, the tones of which are picked up by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the electrical signals being further manipulated or amplified and subsequently converted to sound by a loudspeaker or equivalent instrument using mechanically actuated vibrators with pick-up means using a string, e.g. electric guitar in which the position of the pick-up means is adjustable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3/00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 G10H3/12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using mechanical resonant generators, e.g. strings or percussive instruments, the tones of which are picked up by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the electrical signals being further manipulated or amplified and subsequently converted to sound by a loudspeaker or equivalent instrument
    • G10H3/14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using mechanical resonant generators, e.g. strings or percussive instruments, the tones of which are picked up by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the electrical signals being further manipulated or amplified and subsequently converted to sound by a loudspeaker or equivalent instrument using mechanically actuated vibrators with pick-up means
    • G10H3/18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using mechanical resonant generators, e.g. strings or percussive instruments, the tones of which are picked up by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the electrical signals being further manipulated or amplified and subsequently converted to sound by a loudspeaker or equivalent instrument using mechanically actuated vibrators with pick-up means using a string, e.g. electric guitar
    • G10H3/181Details of pick-up assembli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3/00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 G10H3/12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using mechanical resonant generators, e.g. strings or percussive instruments, the tones of which are picked up by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the electrical signals being further manipulated or amplified and subsequently converted to sound by a loudspeaker or equivalent instrument
    • G10H3/14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using mechanical resonant generators, e.g. strings or percussive instruments, the tones of which are picked up by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the electrical signals being further manipulated or amplified and subsequently converted to sound by a loudspeaker or equivalent instrument using mechanically actuated vibrators with pick-up means
    • G10H3/18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using mechanical resonant generators, e.g. strings or percussive instruments, the tones of which are picked up by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the electrical signals being further manipulated or amplified and subsequently converted to sound by a loudspeaker or equivalent instrument using mechanically actuated vibrators with pick-up means using a string, e.g. electric guitar
    • G10H3/182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using mechanical resonant generators, e.g. strings or percussive instruments, the tones of which are picked up by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the electrical signals being further manipulated or amplified and subsequently converted to sound by a loudspeaker or equivalent instrument using mechanically actuated vibrators with pick-up means using a string, e.g. electric guitar using two or more pick-up means for each str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앞면(5)을 포함하는 악기(1)의 현(4)의 진동을 픽업하기 위한 전기 또는 전자 시스템(11)들을 인터체인징하기 위한 디바이스(10)에 관한 것이다. 상기 디바이스는:
- 상기 앞면(5)에 고정되거나 통합되며, 증폭 회로(15)에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수단(14)을 구비한, 크래들(13),
- 각 위치에서, 하나의 픽업 시스템(11)을 현(4)의 맞은편의 작동 위치로 위치시키기 위해, 적어도 2개의 위치 사이에서 상기 크래들(13)에 대해 회전 이동하도록 상기 크래들(13)에 장착된, 적어도 2개의 픽업 시스템(11)을 구비하고, 그리고 적어도 현(4)의 맞은편의 픽업 시스템(11)을 연결 수단(14)에 전기적으로 결합시키는 수단(40)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배럴(20), 및
- 상기 배럴(20)을 회전시키기 위한 수단(21)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배럴(20)의 회전축(A1)은, 상기 크래들(13)이 상기 앞면(5)에 고정될 때, 상기 앞면(5)에 실질적으로 평행하다.

Description

악기의 현의 진동을 캡처하기 위한 전기적 또는 전자적 시스템들을 인터체인징하기 위한 디바이스
본 발명은, 특히, 발현악기 또는 현악기에서 전기적 또는 전자적 현 진동 픽업 시스템들을 인터체인징(interchanging)하기 위한 디바이스의 기술 분야에 관한 것이다.
문서 US 2015/0294659는, 일렉트릭 기타에서, 마이크로폰이라고도 불리는, 전기 현 진동 픽업 시스템들을 인터체인징하기 위한 디바이스를 개시한다. 이 디바이스는, 기타의 앞면에 통합되며 그 위에 4세트의 마이크가 배열된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이 플레이트는, 기타의 앞면에 수직인 축을 중심으로 회전 이동한다. 마이크 세트는 플레이트에 배치되어, 마이크 세트가 기타의 브리지에 배치될 때, 제2 마이크 세트는 기타의 넥(neck)에 위치된다. 또한, 마이크 세트는 각 현의 굵기와 관련하여 사용 방향을 가진다. 따라서, 마이크 세트가 작동하도록 조정된 2가지 조합과 마이크 세트가 사용의 반대 방향으로 배열되는 2가지 조합이 존재한다. 따라서, 이러한 2가지의 다른 조합들(these two other combinations)은, 적절한 작동에 적합하지 않다. 따라서, 음악가는, 기타를 사용하는 동안, 인터체인징할 수 있는 2가지 조합들 사이에서 선택하게 된다. 이러한 디바이스는, 마이크 세트를 쉽게 변경할 수 있게 하는 경우, 크기가 크고 보기 흉하며 앞면의 상당한 표면을 차지한다는 단점이 있어서, 앞면(the latter)의 진동 작용에, 따라서 전체적인 기타 톤(tone)에 실질적으로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현과 대면하는 앞면을 포함하는 악기의 현의 진동을 픽업하기 위한 전기 또는 전자 시스템들을 인터체인징하기 위한 디바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디바이스는 다음을 포함한다:
- 앞면에 고정되거나 통합될 수 있으며, 증폭 회로에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수단을 구비한 크래들(cradle),
- 적어도 2개의 픽업 시스템을 구비한 적어도 하나의 배럴(barrel)로서, 각 위치에서, 하나의 픽업 시스템을 현의 맞은편의 작동 위치로 위치시키기 위해, 적어도 2개의 위치 사이에서 크래들에 대해 회전 이동하도록 크래들에 끼워맞춰지고(fitted), 또한, 현의 맞은편의 적어도 픽업 시스템을 연결 수단에 전기적으로 결합시키는 수단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배럴, 그리고
- 배럴을 회전시키기 위한 수단.
본 발명에 따르면, 디바이스는, 크래들이 앞면에 고정될 때, 배럴의 회전축이 앞면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앞면의 평면에 평행한 배럴 회전축의 방향은, 앞면에서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의 점유 면적(foot print)을 제한하여, 점유 면적이 앞면의 거동에 덜 영향을 미치고, 종래 기술에 따른 디바이스보다 더 눈에 띄지 않게(discreet) 할 수 있다. 더욱, 전기 또는 전자 진동 픽업 시스템을 포함하는 배럴의 구현은, 최소한의 부피를 가지기 때문에 더 많은 세트를 사용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 특히, 그것의 크래들은, 그것의 제조시에 악기에 통합될 수 있음을 주목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픽업 시스템들을 인터체인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를 통합한 악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특징에 따르면, 상기 디바이스는 다음을 포함한다:
적어도 2개의 배럴로서, 각 배럴은, 적어도 2개의 픽업 시스템을 구비하고, 각 위치에서, 하나의 픽업 시스템을 현의 맞은편의 작동 위치에 위치시키기 위해서, 적어도 2개의 위치 사이에서 크래들에 대해 회전 이동하도록 크래들에 끼워맞춰지고, 또한, 현의 맞은편의 적어도 하나의 픽업 시스템을 연결 수단에 전기적으로 결합시키기 위한 수단을 포함함,
- 각 배럴을 회전시키기 위한 수단.
적어도 2개의 배럴의 사용은, 적어도 2개의 서로 다른 미리결정된 위치들에서 진동을 픽업할 수 있게 하며, 이는 서로 독립적인 서로 다른 시스템으로 수행될 수 있다. 그 결과, 진동 픽업 시스템의 광범위한 선택 및 많은 가능한 조합들이 가능하게 된다. 실제로, 2개의 배럴은 서로 연결되어 있지 않아서, 서로 독립적으로 작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특징에 따르면, 각 배럴은 크래들에 제거가능하게 끼워맞춰진다. 제거가능한 특징은, 배럴을 변경함으로써, 픽업 시스템을 보다 쉽게 변경할 수 있게 한다. 시스템 변경은, 용접없이, 현을 제거하지 않고, 악기를 분해하지(upset) 않고, 매우 간단하게 이루어진다. 이것은, 무-설정 즉시-사용 시스템(setting-free immediate-use system) 또는 "플러그 앤 플레이(plug and play)"라고 지칭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특징에 따르면, 각 배럴은 픽업 시스템을 수용하는 제거가능한 서랍을 보유(carry)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하우징을 포함한다. 따라서, 배럴의 픽업 시스템을 쉽게 변경할 수 있으므로, 음악가가 동일한 배럴에서 사용가능한 픽업 시스템을 쉽게 선택할 수 있게 한다. 물론, 본 발명은, 픽업 시스템이, 서랍 방식에 의해서가 아닌 다른 방식으로 배럴에 장착되는 것을 배제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용어 "하우징(housing)"은 넓은 의미로 그리고 용어 "위치(location)"의 동의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이러한 특징의 변형에 따르면, 각 픽업 시스템은 제거가능한 서랍에 의해 보유되고, 각 배럴은 픽업 시스템과 동수의 하우징을 포함한다. 이러한 대안적인 실시예는, 동일한 배럴의 모든 픽업 시스템들 및 그들의 각각을 서로 독립적으로 쉽게 변경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특징에 따르면, 각 픽업 시스템은 배럴의 회전축(A1)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D1)을 따라 정렬된 트랜스듀서들의 열을 포함한다. 따라서, 픽업 시스템이 작동 위치에 있을 때, 이 시스템의 각 트랜스듀서는 그것의 진동을 픽업하기 위해서 현의 맞은편에 위치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픽업 시스템은 상업용 픽업 시스템일 수 있고/있거나 서로 다른 제조자들로부터 제조된 것이므로, 픽업 시스템들은 독특한 특징들을 갖고 서로 다른 톤들을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디바이스는, 각각의 위치에서 하나의 픽업 시스템을 작동 위치에 위치시키는 각 배럴을 회전식으로 인덱싱하고 고정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이러한 수단은, 배럴의 회전을 중지시키고 그것을 원하는 위치에 고정될 수 있게 한다. 진동 픽업 시스템에 해당하는 원하는 위치는, 음악가의 선택에 의해, 작동 위치에 위치된다. 또한, 음악가는 연주할 때 시스템을 변경할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특징에 따르면, 디바이스는 작동 위치에 있는 픽업 시스템만을 연결 수단에 전기적으로 결합시키도록 구성된 결합 수단을 포함한다. 그러면, 하나의 배럴에서 하나의 픽업 시스템만이 활성화되고, 반면에 다른 것들은 그라운드에 연결된다. 즉, 그들의 모든 연결이 증폭 회로의 동일한 극성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거나 저저항 도체를 통해 그라운드에 연결된다. 따라서, 증폭 시스템에 의해 수집된, 작동 위치에 있는 픽업 시스템의 신호들은, 잡음이 없다. 그러면, 작동 위치에 있는 활성 진동 픽업 시스템은, 배럴에 있는 다른 픽업 시스템에 의해 영향받지 않는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특징에 따르면, 각 배럴의 작동 수단은 전동식이다. 이러한 전동식 구조는, 음악가가, 활성이거나 작동 위치에 있는 활성 픽업 시스템을 선택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또한, 앞면 및 본 발명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현악기에 관한 것으로, 작동 위치에 있는 각 픽업 시스템이 현의 맞은편에 위치되게, 앞면에 고정되거나 통합된다.
본 발명의 하나의 특징에 따르면, 악기는 일렉트릭 기타이다.
본 발명은 또한, 악기에서 현의 진동을 픽업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전기 또는 전자 시스템을 포함하는 서랍에 관한 것으로서, 그것은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의 배럴에 제거가능하게 끼워맞춰지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은 또한, 악기에서 현의 진동을 픽업하기 위한 적어도 2개의 전기 또는 전자 시스템을 구비한 배럴에 관한 것으로, 그것은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에 끼워맞춰지도록 구성된다.
물론, 본 발명의 서로 다른 특징, 변형 및 실시예는, 서로 호환되지 않거나 서로로부터 배타적이지 않은 한, 다양한 조합에 따라 서로 연관될 수 있다.
더욱, 본 발명의 다양한 다른 특징들은, 본 발명에 따른 악기에서 현의 진동을 픽업하기 위한 전기 또는 전자 시스템들을 인터체인징하기 위한 디바이스의 비제한적인 실시예를 예시하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만들어진 첨부된 설명으로부터 나온다.
도 1은, 현 진동 픽업 시스템들을 인터체인징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일렉트릭 기타의 전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렉트릭 기타의 저면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를 보여주는 일렉트릭 기타의 저면도이다.
도 4는, 악기를 투명화한,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디바이스의 회전 메커니즘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7, 8, 9 및 10은,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배럴 및 그것의 구성 요소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부분 사시도이다.
이러한 도면들에서, 서로 다른 변형들에 공통인 구조적 및/또는 기능적 요소들은, 동일한 참조번호를 가질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악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참조번호(1)로 표시되며, 넥(3)을 구비한 보디(2)를 포함하는데, 본 경우에, 넥(3)에는 악기(1)의 보디(2)의 앞면(5)으로부터 떨어져서 평행하게 위치한 현(4)이 장력을 받으면서 유지되어 있다. 앞면(5)은, 예를 들어, 앞면(5)에 고정된 브리지를 통해 현(4)이 고정된 보디(2)의 표면에 대응한다. 앞면(5)은 악기(1)의 공명판 일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에 따른 발현악기 또는 현악기(1)는, 현(4)을 보유하는 보디(2)로 주로 구성되는 악기이기 때문에, 공명판이 없을 수 있다.
본 발명은 현(4)의 진동을 픽업하기 위한 전기 또는 전자 시스템들을 쉽게 인터체인징하기 위한 수단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악기는 현(4)의 진동을 픽업하기 위한 시스템(11)들을 인터체인징하는 디바이스(10)를 구비한다.
도 2에서, 악기(1)는, 디바이스(10)를 앞면(5) 아래에 위치시키고 연결하기 위해서, 앞면(5)의 맞은편의 뒷면(7) 상에 트랩 도어(6; trapdoor)를 포함한다. 도 3에서 볼 수 있듯이, 디바이스(10)는 특히, 앞면(5)에 고정되거나 통합된 크래들(13)을 포함하고 증폭 회로(15)로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수단(14)을 구비하지만, 그 출력부(output)만이 도시되어 있다. 특히, 도 6에서 볼 수 있는, 도시된 예시에 따른 크래들(13)은, 2개의 배럴(20)을 수용하기 위한 2개의 하우징을 포함하는, 부분적으로 미세가공된 금속 구조체이다.
도시된 예는 각각 3개의 픽업 시스템(11)을 보유하는 2개의 배럴(20)(이하에서 설명됨)을 포함하는 디바이스(10)에 해당한다. 2개의 배럴(20)은 서로에게 및 앞면(5)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축(A1 및 A2)을 중심으로 각각 회전하고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특징에 따르면, 배럴(20)의 회전은 서로 다른 진동 픽업 시스템들(11)이 현(4)의 맞은편에 오게 할 수 있다. 그 목적을 위해, 디바이스(10)는 배럴(20)을 회전시키는 수단(21)을 포함한다. 이러한 회전 수단(21)은, 한편으로는 배럴(20)의 회전을 각각 개시 및 정지시키기 위한 2개의 레버(24)에 의해 작동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크래들(13)에 통합된 모터에 의해, 작동되는 벨트 구동 시스템(23)을 포함한다. 도 5에서, 2개의 배럴(20)의 2개의 각각의 구동 벨트(23)가 도시된다. 레버(24)의 작동은, 기어 시스템을 통해 배럴(20)을 회전시키는, 풀리와 함께 사용되는, 해당하는 벨트(23)의 이동을 일으킨다. 축(A1)으로의 배럴(20)의 회전은 작동 위치를 정의하게 하고, 이 작동 위치에서, 이 배럴(20)에 의해 보유되는 시스템(11) 중의 단일 픽업 시스템(11)이 악기(1)의 상기 현(4)의 맞은편에 위치된다. 선택된 시스템(11)의 현(4)의 맞은편의 위치는, 그것의 작동 위치를 정의한다.
악기(1)의 현(4)의 진동을 픽업하기 위한 전기 또는 전자 시스템(11)은, 일렉트릭 기타 마이크로폰일 수 있다. 도시된 예에 따르면, 이러한 시스템(11)은, 배럴(20)의 회전축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축을 따라 일렬로 배열된 트랜스듀서(31)를 포함한다. 트랜스듀서(31)는 금속 현(4)의 진동을 전기 신호로 변환한다. 트랜스듀서(31)는 구리 와이어 코일로 둘러싸인 하나 또는 여러 개의 자석으로 구성될 수 있다. 각 자석은 자기장을 생성한다. 자성 재료로 만들어진(spun) 현(4)은, 진동에 의해, 자기적 회로를 변동시키고, 이것이 현(4)의 변위 속도에 비례하여 코일에 기전력을 유도한다. 생성된 전기 신호는 예를 들어, 와이어를 통해 증폭 회로(15)로 전송된다.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사운드를 생성할 필요는 없다.
서로 다른 픽업 시스템(11)이 존재하는데, 특히, 트랜스듀서(31)의 1개의 열을 포함하는 단순 코일과 평행한 트랜스듀서(31)의 2개의 열을 포함하는 이중 코일을 가진 시스템이 존재한다. 도시된 예에 따르면, 작동 위치에서, 2개의 배럴(20)은 단순-코일 픽업 시스템(11)을 보유한다. 도 10에서 볼 수 있는 이중 코일 픽업 시스템(11)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배럴(20)용으로 구성된다.
도 7은 배럴(20)이 3개의 픽업 시스템(11)을 보유하는 실시예에 따른 배럴(20)을 도시한다. 배럴(20)은 실질적으로 원통 형상을 갖는 회전 디바이스이며, 도 8에서 볼 수 있는 중앙부(32)을 포함한다. 이 부분(32)은 실질적으로 프리즘의 형상을 가지며, 각각의 서랍(34)을 각각 보유하도록 구성된 3개(여기서는, 프리즘의 각 면에 대응함)의 하우징(33)을 포함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서랍(34)을 도시한다. 그리고 각 서랍(34)은, 픽업 시스템(11)을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픽업 시스템(11)을 전자기기의 다른 부분에 전기적으로 결합시키기 위한 수단(40)은, 베릴륨 구리 접촉기 시스템을 포함한다. 중앙부(32)는 3개의 하우징(33)을 포함하고 각각의 하우징(33)은 서랍(34)을 수용할 수 있는 2개의 실질적으로 전구 형상의 오리피스(42)를 포함한다. 따라서, 서랍(34)을 하우징(33)에 클립(clip)한 다음 그 안에 서랍(34) 당 하나의 시스템을 도입하는 것이 용이하다.
배럴(20)의 중앙부(32)는 전기 결합 수단(40)을 보유하고, 이로써 시스템(11)과 연결 수단(14) 사이의 링크를 형성한다. 오리피스들(42) 중 하나는 픽업 시스템(11)을 회로에 연결하도록 구성되고, 다른 오리피스(42)는 그것을 그라운드에 연결하도록 구성된다. 각 서랍(34)은 오리피스(42)를 통해 중앙부(32)에 고정되고 그것의 뒷면을 통해 중앙부(32)에 안착된다. 배럴(20)의 회전 동안, 구리 접촉기와 전자 기기의 나머지 부분 사이에는 더 이상 물리적 접촉이 없다. 중앙부(32)은, 부분적으로 구리로 구성된 원통부(43)에 의해 통과되고, 그라운드로의 링크를 형성한다. 도 7 및 8에서, 배럴(20)의 중앙부(32)는, 연결 수단(14)을 향하는 3개의 아웃렛(44)을 포함하며, 각각은 픽업 시스템(11)에 각각 대응한다. 회전하는 동안, 원통부(43)만이 연결 수단(14)과 접촉한다. 따라서, 배럴(20)로부터 오는 신호는 전자기기의 다른 부분으로 전송되지 않는다. 회전이 중지되고 시스템(11)이 작동 위치에 있을 때, 접촉기는 다시 서로 마주보게 되고 신호는 연결 수단(14)으로 전송된다.
디바이스는 배럴(20)을 회전식으로 인덱싱하고 고정하기 위한 수단(45)을 더 포함한다. 도시된 예, 특히, 도 5에 따르면, 이러한 수단(45)은, 선택된 시스템(11)에 따라, 이동을 개시시키고 작동 위치에 있는 배럴(20)의 회전을 중지시키는, 2개의 레버(24)를 포함한다.
전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비제한적인 예시적인 실시예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10)는 더 많은 위치들에서 현(4)의 진동을 픽업하기 위한 2개 이상의 배럴(20)을 포함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의 배럴은, 보다 다양한 시스템(11)을 제공하기 위해, 4개 이상의 픽업 시스템(11)을 보유할 수 있다. 크래들(13)은 새로운 구조에 적합하도록 다르게 설계될 수 있다.
전술한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배럴을 작동시키기 위한 수단은 벨트 시스템을 포함한다. 하지만, 배럴을 회전시키기 위한 다른 수단(21)이 착안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배럴(20)은 수동으로 회전될 수 있는데, 즉, 배럴(20)의 외부 표면은 배럴을 작동시키기 위한 수단을 구성한다. 그러면, 음악가는, 자신의 손가락들 중 하나로 외부 표면에서 조작함으로써 배럴(20)을 작동시켜서 픽업 시스템(11)을 상기 방식으로 변경한다. 그리고 배럴(20)을 회전적으로 인덱싱하고 고정하기 위한 다른 수단(45)이 존재한다. 이 예에서, 래치 시스템이 배럴(20)의 회전을 멈출 수 있으며, 여기서 래치는 수동으로 가해지는 압력에 저항하지 않는다. 이러한 수단(45)들은 또한, 작동 위치에 배치될 픽업 시스템(11)을 선택하기 위한, 푸시 버튼, 휠, 회전식 버튼 또는 임의의 다른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현(4)의 진동을 픽업하기 위한 다른 시스템(11)이 착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의 위치와 그것의 움직임의 진폭을 알아내기 위한 레이저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광전자 시스템. 이 정보는 전송 및 처리되고, 증폭가능한 음향 신호로 변환된다.
물론, 다양한 다른 대안적인 실시예가 첨부된 청구항의 범위 내에서 착안될 수 있다.

Claims (13)

  1. 현(4)과 대면하는 앞면(5)을 포함하는 악기(1)의 현(4)의 진동을 픽업하기 위한 전기 또는 전자 시스템(11)들을 인터체인징(interchanging)하기 위한 디바이스(10)로서,
    - 상기 앞면(5)에 고정되거나 통합되며, 증폭 회로(15)에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수단(14)을 구비한, 크래들(13),
    - 각 위치에서, 하나의 픽업 시스템(11)을 현(4)의 맞은편의 작동 위치로 위치시키기 위해, 적어도 2개의 위치 사이에서 상기 크래들(13)에 대해 회전 이동하도록 상기 크래들(13)에 끼워맞춰진, 적어도 2개의 픽업 시스템(11)을 구비하고, 그리고 적어도 현(4)의 맞은편의 픽업 시스템(11)을 연결 수단(14)에 전기적으로 결합시키는 수단(40)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배럴(20), 및
    - 상기 배럴(20)을 회전시키기 위한 수단(21)을 포함하고,
    상기 배럴(20)의 회전축(A1)은, 상기 크래들(13)이 상기 앞면(5)에 고정될 때, 상기 앞면(5)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디바이스(10).
  2. 제1항에 있어서,
    - 적어도 2개의 배럴(20)로서, 각 배럴(20)은 적어도 2개의 픽업 시스템(11)을 구비하고, 각 위치에서, 하나의 픽업 시스템(11)을 현(4)의 맞은편의 작동 위치로 위치시키기 위해, 적어도 2개의 위치 사이에서 상기 크래들(13)에 대해 회전 이동하도록 상기 크래들(13)에 끼워맞춰지고, 또한, 현(4)의 맞은편의 적어도 픽업 시스템(11)을 연결 수단(14)에 전기적으로 결합시키기 위한 수단(40)을 포함하는, 적어도 2개의 배럴(20),
    - 각 배럴(20)을 회전시키기 위한 수단(21)을 포함하는, 디바이스(10).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각 배럴(20)은 상기 크래들(13)에 제거가능하게 끼워맞춰지는, 디바이스(10).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 배럴(20)은, 픽업 시스템(11)을 보유하는 제거가능한 서랍(34)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하우징(33)을 포함하는, 디바이스(10).
  5. 제4항에 있어서,
    각각의 픽업 시스템(11)은 제거가능한 서랍(34)에 의해 보유되고, 각 배럴(20)은 픽업 시스템(11)과 동수의 하우징(3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10).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 픽업 시스템(11)은, 배럴(20)의 회전축(A1)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D1)을 따라 정렬된 트랜스듀서(31)의 열을 포함하는, 디바이스(10).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위치에서 하나의 픽업 시스템(11)을 작동 위치에 위치시키는 각 배럴(20)을 회전식으로 인덱싱하고 고정시키기 위한 수단(45)을 포함하는, 디바이스(10).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수단(40)은, 작동 위치에 있는 픽업 시스템(11)만이 연결 수단(14)에 전기적으로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10).
  9.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 배럴(20)의 작동 수단(21)은 전동식인, 디바이스(10).
  10. 앞면(5) 및 작동 위치에 있는 각 픽업 시스템을 현(4)의 맞은편에 위치시키는 방식으로, 상기 앞면(5)에 고정되거나 통합된,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10)를 포함하는, 현악기(1).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현악기는 일렉트릭 기타(1)인, 악기(1)
  12. 악기(1)의 현(4)의 진동을 픽업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전기 또는 전자 시스템(11)을 포함하는 서랍(34)으로서,
    제4항 또는 제5항에 따른 디바이스(10)의 배럴(20)에 제거가능하게 끼워맞춰지도록 구성된, 서랍(34).
  13. 악기(1)의 현(4)의 진동을 픽업하기 위한 적어도 2개의 전기 또는 전자 시스템(11)에 제공된 배럴(20)로서,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디바이스(10)에 끼워맞춰지도록 구성된, 배럴(20).
KR1020207028335A 2018-04-03 2019-03-28 악기의 현의 진동을 캡처하기 위한 전기적 또는 전자적 시스템들을 인터체인징하기 위한 디바이스 KR2020013874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852882 2018-04-03
FR1852882A FR3079655B1 (fr) 2018-04-03 2018-04-03 Dispositif pour interchanger des systemes electriques ou electroniques de captation des vibrations des cordes d'un instrument de musique
PCT/FR2019/050717 WO2019193268A1 (fr) 2018-04-03 2019-03-28 Dispositif pour interchanger des systemes electriques ou electroniques de captation des vibrations des cordes d'un instrument de musiqu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8744A true KR20200138744A (ko) 2020-12-10

Family

ID=636839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8335A KR20200138744A (ko) 2018-04-03 2019-03-28 악기의 현의 진동을 캡처하기 위한 전기적 또는 전자적 시스템들을 인터체인징하기 위한 디바이스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11393441B2 (ko)
EP (1) EP3776525B1 (ko)
JP (1) JP7225371B2 (ko)
KR (1) KR20200138744A (ko)
CN (1) CN112088401A (ko)
CA (1) CA3096191A1 (ko)
FR (1) FR3079655B1 (ko)
MX (1) MX2020010345A (ko)
WO (1) WO201919326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79655B1 (fr) * 2018-04-03 2020-03-27 Wild Customs Dispositif pour interchanger des systemes electriques ou electroniques de captation des vibrations des cordes d'un instrument de musique
WO2020232442A1 (en) * 2019-05-16 2020-11-19 Schiebold Matthew Non-amorphous musical instrument components

Family Cites Families (4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1184A (en) * 1898-09-20 ra iney
US2207341A (en) * 1937-06-01 1940-07-09 Arthur B Mcmahan Electrically amplified controlled stringed musical instrument
US2976755A (en) * 1959-01-06 1961-03-28 Clarence L Fender Electromagnetic pickup for lute-type musical instrument
JPS57200096A (en) * 1981-06-03 1982-12-08 Nippon Musical Instruments Mfg Electric guitar
US4616548A (en) * 1984-03-26 1986-10-14 Anderson Arndt S Guitar composed of high strength-to-weight ratio material
FR2664415B2 (fr) 1987-06-12 1992-09-11 Betticare Olivier Micro interchangeable pour guitare electrique.
US4854210A (en) * 1987-08-26 1989-08-08 Palazzolo Nicholas P Detachable electric guitar pick-up system
FR2638882A1 (fr) 1988-11-04 1990-05-11 Gaucher Dany Guitare. micros, plaques d'electroniques et touches interchangeables
US5012716A (en) 1989-03-21 1991-05-07 Dronge & Rapoport Inc. Rotatable pick-up head for electric guitar
US5136918A (en) 1991-01-16 1992-08-11 Gibson Guitar Corp. Guitar pickup switching system for selecting between and within two standard tonalities
JP3233659B2 (ja) * 1991-08-14 2001-11-26 株式会社フェルナンデス 弦振動持続装置を備えた電気弦楽器
US5252777A (en) * 1992-08-10 1993-10-12 Michael J. Allen Electric guitar with transducer cradles
EP0968496B1 (de) * 1997-03-17 2002-06-05 Boxer & Fürst AG Tonabnehmerschaltvorrichtung fuer ein saiteninstrument sowie saiteninstrument
GB2324402A (en) 1997-04-15 1998-10-21 John Patrick Pipkin A pick-up assembly
US6291758B1 (en) 1998-01-28 2001-09-18 Fender Musical Instruments Corporation Pick-up for electric guitars
US6291759B1 (en) 1998-01-28 2001-09-18 Fender Musical Instruments Corporation Pickup for electric guitars, and method of transducing the vibrations of guitar strings
WO1999039330A1 (en) * 1998-01-30 1999-08-05 E-Mu Systems, Inc. Interchangeable pickup, electric stringed instrument and system for an electric stringed musical instrument
US7015390B1 (en) * 2003-01-15 2006-03-21 Rogers Wayne A Triad pickup
US7060888B2 (en) * 2003-12-04 2006-06-13 Michael Sebastian Spalt Movable stringed instrument pickup system
JP4497365B2 (ja) * 2005-01-07 2010-07-07 ローランド株式会社 ピックアップ装置
TWI298482B (en) * 2005-04-28 2008-07-01 Yamaha Corp Stringed musical instrument, transducer for the same and its mounting structure on the same
US7105731B1 (en) * 2005-05-02 2006-09-12 Riedl James L Low noise vibrating string transducer
JP4702188B2 (ja) * 2006-06-12 2011-06-15 ヤマハ株式会社 電気弦楽器
CN100561573C (zh) 2006-06-14 2009-11-18 林瑞荣 一种用于电吉他拾音器的控制开关
US20080245217A1 (en) * 2007-04-07 2008-10-09 Bret Thomas Stewart Nearly Closed Magnetic Flux Electromagnetic Transducer for Instrument Pickups
US20120312146A1 (en) * 2011-06-11 2012-12-13 Benjamin Randal Bekerman Interface Adapter for Installation of a Standard Magnetic Pickup into an Acoustic Guitar Sound Hole
CN202434197U (zh) * 2011-11-13 2012-09-12 李青青 一种可变换弦演奏和按键演奏的吉他
ES1077183Y (es) 2012-04-13 2012-09-10 Torres Raul Teodoro Perea Guitarra eléctrica con pastillas electromagnéticas intercambiables
US8907200B2 (en) * 2012-04-23 2014-12-09 Benjamin Randal Bekerman Transducer assembly mounting kit with feedback reduction device for installation into the sound hole of an acoustic guitar
FR2994760B1 (fr) 2012-08-24 2016-08-12 Olivier Betticare Guitare electrique equipee d'un dispositif de micro interchangeable
US9047852B2 (en) * 2013-07-01 2015-06-02 Michael John Canavan Pole position sliding pickup system
US20210407486A1 (en) * 2014-07-23 2021-12-30 Donald L. Baker Electric Stringed Instrument Using Movable Pickups and Humbucking Circuits
US9847080B2 (en) 2015-06-26 2017-12-19 Joseph Chapman System and method for switching sound pickups in an electric guitar using a spin wheel arrangement
US9728175B2 (en) * 2015-08-22 2017-08-08 Andrew James Strassell Interchangeable pickup system for an electric stringed musical instrument
CN106228962A (zh) 2016-07-28 2016-12-14 武汉艾立卡电子有限公司 一种带无线发射功能的便携电吉他
US10311851B1 (en) * 2016-12-07 2019-06-04 Mark A. Stadnyk Reconfigurable electric guitar pickup hot-swap cartridge system
US10650795B2 (en) * 2017-10-11 2020-05-12 Duneland Labs, LLC Magnetic pickup systems for stringed instruments
FR3079655B1 (fr) * 2018-04-03 2020-03-27 Wild Customs Dispositif pour interchanger des systemes electriques ou electroniques de captation des vibrations des cordes d'un instrument de musique
US10861430B1 (en) * 2018-10-15 2020-12-08 JKR Guitars, LLC Guitar apparatus for switching pickups
US11074898B1 (en) * 2019-02-26 2021-07-27 Frank Dale Boxberger Stringed instrument with an interchangeable magnetic pickup system
CN110349560A (zh) * 2019-08-09 2019-10-18 黑龙江伊瑷斯霹电子音响有限公司 一种拾音器可自由转换的电吉他
US11195503B2 (en) * 2020-03-30 2021-12-07 Justin Richard Bruen Magnetic pickup positioning mechanism for electric musical instrumen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225371B2 (ja) 2023-02-20
WO2019193268A1 (fr) 2019-10-10
MX2020010345A (es) 2021-01-08
CN112088401A (zh) 2020-12-15
FR3079655B1 (fr) 2020-03-27
EP3776525B1 (fr) 2022-06-15
JP2021520524A (ja) 2021-08-19
FR3079655A1 (fr) 2019-10-04
CA3096191A1 (fr) 2019-10-10
EP3776525A1 (fr) 2021-02-17
US20210327398A1 (en) 2021-10-21
US11393441B2 (en) 2022-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92999A (en) Electric stringed instrument having a device for sustaining the vibration of the string
US8653352B2 (en) Vibration generator
JP3899905B2 (ja) 電気ギター
KR20200138744A (ko) 악기의 현의 진동을 캡처하기 위한 전기적 또는 전자적 시스템들을 인터체인징하기 위한 디바이스
US6326532B1 (en) Harmonica having reed vibration conversion capability and associated retrofitting method
US9847080B2 (en) System and method for switching sound pickups in an electric guitar using a spin wheel arrangement
JP7197148B2 (ja) 電気弦楽器
US20080173165A1 (en) Stringed Musical Instrument with Enhanced Musical Sound
US20120103163A1 (en) Automatic string musical instrument pick system
JP2015200827A (ja) 加振器の取付構造、及び、楽器
US10446130B1 (en) Stringed instrument pickup with multiple coils
JP2013238835A (ja) 弦楽器
US5627336A (en) Percussion instrument having an electromagnetic sensor
JP2022529330A (ja) ヴィブラフォンピックアップ
JP6016469B2 (ja) 弦楽器用ピックアップケーブル
JP6275964B2 (ja) オルゴール
JP3762781B1 (ja) 電子弦楽器用ピックアップ装置
JP3864847B2 (ja) 振動検出装置、駒および弦楽器
US4282789A (en) Finger mountable electric guitar pick-up
JP2009088919A (ja) 弦楽器
JP4222237B2 (ja) 擦弦楽器
JP2000214855A (ja) アコ―スティックギタ―
JP5857359B1 (ja) マイクユニットのコネクタ取付構造及び弦楽器
JP2016180959A (ja) 楽器に取り付け可能な振動供給装置
US538816A (en) bunnel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