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37908A - 휴대 단말기에서 채팅방 관리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에서 채팅방 관리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37908A
KR20200137908A KR1020190098702A KR20190098702A KR20200137908A KR 20200137908 A KR20200137908 A KR 20200137908A KR 1020190098702 A KR1020190098702 A KR 1020190098702A KR 20190098702 A KR20190098702 A KR 20190098702A KR 20200137908 A KR20200137908 A KR 202001379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t
chat room
user
room
me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87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30875B1 (ko
Inventor
구자범
Original Assignee
구자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범 filed Critical 구자범
Publication of KR202001379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79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08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08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4M1/7252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 H04M1/72583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4Microproces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6Mem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8Displ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휴대 단말기에서 채팅방 관리 방법 및 그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에서의 채팅방 관리 방법은 휴대 단말기에 설치된 채팅 어플리케이션의 채팅방들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채팅방에 대응하는 아이콘을 상기 휴대 단말기의 배경 화면에 추가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채팅방에 채팅 메시지의 수신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채팅방에 채팅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채팅 메시지의 수신에 대한 알림 정보를 해당 채팅방에 대응하는 상기 아이콘 상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휴대 단말기에서 채팅방 관리 방법 및 그 장치 {METHOD FOR MANAGING CHATTING ROOMS IN PORTABLE TERMINAL AND APPARATUS THEREFORE}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에서의 채팅방 관리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휴대 단말기에 설치된 채팅 어플리케이션에서 배경 화면에 바로가기 아이콘으로 추가된 채팅방에 대하여, 채팅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이에 대한 알림 정보를 아이콘 상에 표시할 수 있는 채팅방 관리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 단말기의 보급률이 급속하게 증가함에 따라 휴대 단말기는 이제 현대인의 생활 필수품으로 자리 매김하게 되었다. 이와 같은 휴대 단말기는 고유의 음성 통화 서비스뿐만 아니라 각종 데이터 전송 서비스와 다양한 부가 서비스 또한 제공할 수 있게 되어 기능상 멀티미디어 통신 기기로 변모하고 있다.
또한, 통신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휴대 단말기는 통화 및 메시지 송수신 기능뿐만 아니라 기존의 PC에서만 가능하던 메신저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되었다. 따라서, 가입자들이 모바일 메신저 서버에 접속하며 가입자들과 보다 편리하게 대화를 나눌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특히 휴대 단말기 예를 들어, 스마트 폰을 이용한 채팅 문화는 급속도로 발전하여 스마트 폰을 소지하고 있는 거의 대다수가 채팅 프로그램을 이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채팅은 특정 사용자들이 하나의 채팅방을 구성하여 사용자들간의 메시지 전달이 가능하도록 하는데, 대부분의 사용자들은 여러 개의 채팅방을 번갈아 이동하면서 메시지를 전송 또는 수신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휴대 단말기에 설치된 채팅 어플리케이션에서 배경 화면에 바로가기 아이콘으로 추가된 채팅방에 대하여, 채팅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이에 대한 알림 정보를 아이콘 상에 표시할 수 있는 채팅방 관리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에서의 채팅방 관리 방법은 휴대 단말기에 설치된 채팅 어플리케이션의 채팅방들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채팅방에 대응하는 아이콘을 상기 휴대 단말기의 배경 화면에 추가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채팅방에 채팅 메시지의 수신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채팅방에 채팅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채팅 메시지의 수신에 대한 알림 정보를 해당 채팅방에 대응하는 상기 아이콘 상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해당 채팅방에서 상기 사용자에 의해 읽지 않은 채팅 메시지의 수에 대한 알림 정보를 상기 아이콘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해당 채팅방에서 상기 사용자에 의해 읽지 않은 채팅 메시지의 수와 상기 채팅 어플리케이션의 채팅방들에서 상기 사용자에 의해 읽지 않은 전체 채팅 메시지의 수를 포함하는 알림 정보를 상기 아이콘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해당 채팅방에서 상기 사용자에 의해 읽지 않은 채팅 메시지의 수에 대한 알림 정보를 상기 아이콘 상에 표시하고, 상기 채팅 어플리케이션의 채팅방들에서 상기 사용자에 의해 읽지 않은 전체 채팅 메시지의 수에 대한 알림 정보를 상기 채팅 어플리케이션 상에 표시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에서의 채팅방 관리 방법은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채팅방에 채팅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채팅 메시지가 수신된 해당 채팅방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알림음, 알림 시간 및 알림 간격 중 적어도 하나로 상기 채팅 메시지의 수신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휴대 단말기가 무음 또는 진동으로 설정된 경우 상기 해당 채팅방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진동 시간 및 진동 간격으로 상기 채팅 메시지의 수신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에서의 채팅방 관리 장치는 휴대 단말기에 설치된 채팅 어플리케이션의 채팅방들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채팅방에 대응하는 아이콘을 상기 휴대 단말기의 배경 화면에 추가하는 추가부;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채팅방에 채팅 메시지의 수신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채팅방에 채팅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채팅 메시지의 수신에 대한 알림 정보를 해당 채팅방에 대응하는 상기 아이콘 상에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한다.
상기 표시부는 상기 해당 채팅방에서 상기 사용자에 의해 읽지 않은 채팅 메시지의 수에 대한 알림 정보를 상기 아이콘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는 상기 해당 채팅방에서 상기 사용자에 의해 읽지 않은 채팅 메시지의 수와 상기 채팅 어플리케이션의 채팅방들에서 상기 사용자에 의해 읽지 않은 전체 채팅 메시지의 수를 포함하는 알림 정보를 상기 아이콘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는 상기 해당 채팅방에서 상기 사용자에 의해 읽지 않은 채팅 메시지의 수에 대한 알림 정보를 상기 아이콘 상에 표시하고, 상기 채팅 어플리케이션의 채팅방들에서 상기 사용자에 의해 읽지 않은 전체 채팅 메시지의 수에 대한 알림 정보를 상기 채팅 어플리케이션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채팅방 관리 장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채팅방에 채팅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채팅 메시지가 수신된 해당 채팅방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알림음, 알림 시간 및 알림 간격 중 적어도 하나로 상기 채팅 메시지의 수신을 제공하며, 상기 휴대 단말기가 무음 또는 진동으로 설정된 경우 상기 해당 채팅방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진동 시간 및 진동 간격으로 상기 채팅 메시지의 수신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휴대 단말기에 설치된 채팅 어플리케이션에서 배경 화면에 바로가기 아이콘으로 추가된 채팅방에 대하여, 채팅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이에 대한 알림 정보를 아이콘 상에 표시함으로써, 채팅 메시지가 수신된 채팅방을 사용자가 바로 알 수 있고, 해당 아이콘을 클릭하여 수신된 채팅 메시지를 바로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배경 화면에 추가된 바로가기 아이콘에 해당 채팅방으로 수신된 채팅 메시지에 대한 알림 정보를 표시함으로써, 해당 채팅방을 빠르게 확인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사용자에게 편리함으로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네트워크 환경에 대한 일 예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휴대 단말기 및 서버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팅방 관리 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바로가기 아이콘에 알림 정보를 표시하는 일 예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바로가기 아이콘에 알림 정보를 표시하는 다른 일 예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팅방 관리 장치에 대한 구성 블록을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면 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종래 휴대 단말기에 설치된 채팅 어플리케이션 예를 들어, 카카오톡(kakao talk)은 카카오톡의 채팅방들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채팅방이 "홈 화면에 바로가기 추가" 기능에 의해 홈 화면 즉, 휴대 단말기의 배경 화면(또는 홈 화면)에 해당 채팅방의 바로가기 아이콘을 추가할 수 있다. 하지만, 종래 휴대 단말기에 설치된 채팅 어플리케이션은 휴대 단말기의 배경 화면에 추가된 채팅방에 채팅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채팅 어플리케이션에만 메시지 수신에 대한 알림 정보를 표시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채팅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채팅 메시지가 수신된 채팅방을 확인할 수 있다. 즉, 기존 휴대 단말기에서의 채팅 어플리케이션은 배경 화면에 바로가기 아이콘이 추가된 채팅방에 사용자가 읽지 않은 채팅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에 아이콘 상에 알림 정보가 표시되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가 해당 채팅방에 채팅 메시지가 수신되는 것을 알 수 없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휴대 단말기에 설치된 채팅 어플리케이션에서 배경 화면에 바로가기 아이콘으로 추가된 채팅방에 대하여, 채팅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이에 대한 알림 정보를 아이콘 상에 표시함으로써, 채팅 메시지가 수신된 채팅방을 사용자가 바로 알 수 있고, 해당 아이콘을 클릭하여 수신된 채팅 메시지를 바로 확인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을 그 요지로 한다.
이 때, 본 발명은 배경 화면에 바로가기 아이콘이 추가된 해당 채팅방에서 사용자에 의해 읽지 않은 채팅 메시지의 수에 대한 알림 정보를 아이콘 상에 표시하고, 채팅 어플리케이션의 채팅방들에서 사용자에 의해 읽지 않은 전체 채팅 메시지의 수에 대한 알림 정보를 채팅 어플리케이션 상에 표시할 수도 있고, 배경 화면에 바로가기 아이콘이 추가된 해당 채팅방에 대하여 사용자에 의해 읽지 않은 채팅 메시지의 수에 대한 알림 정보를 아이콘 상만 표시하고, 채팅 어플리케이션의 채팅방들에서 사용자에 의해 읽지 않은 전체 채팅 메시지의 수에 대한 알림 정보를 채팅 어플리케이션 상에 표시할 때 배경 화면에 바로가기 아이콘이 추가된 해당 채팅방에 대하여 사용자에 의해 읽지 않은 채팅 메시지의 수를 제외한 알림 정보를 채팅 어플리케이션 상에 표시할 수도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배경 화면에 바로가기 아이콘이 추가된 해당 채팅방에서 사용자에 의해 읽지 않은 채팅 메시지의 수와 채팅 어플리케이션의 채팅방들에서 사용자에 의해 읽지 않은 전체 채팅 메시지의 수를 포함하는 알림 정보를 아이콘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바로가기 아이콘에 표시하는 알림 정보를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알림 표시 방식으로 표시할 수 있으며, 이러한 알림 표시 방식은 사용자에 의해 변경될 수 있다. 물론, 알림 표시 방식은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에 의해 변경될 수 있다.
도 1은 네트워크 환경에 대한 일 예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의 네트워크 환경은 복수의 휴대 단말기들(110, 120, 130, 140), 복수의 서버들(150, 160) 및 네트워크(170)를 포함하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도 1은 발명의 설명을 위한 일례로 휴대 단말기의 수나 서버의 수가 도 1과 같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복수의 휴대 단말기들(110, 120, 130, 140)은 채팅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단말기로,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위한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휴대 단말기들(110, 120, 130, 140)의 예를 들면, 스마트폰(smart phone), 휴대폰 등과 같이 터치 입력을 수행할 수 있는 모든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제1 휴대 단말기(110)는 무선 또는 유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네트워크(170)를 통해 다른 휴대 단말기들(120, 130, 140) 및/또는 서버(150, 160)와 통신할 수 있다.
통신 방식은 제한되지 않으며, 네트워크(170)가 포함할 수 있는 통신망(일례로, 이동통신망, 유선 인터넷, 무선 인터넷, 방송망)을 활용하는 통신 방식뿐만 아니라 기기들간의 근거리 무선 통신 역시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170)는, PAN(personal area network), LAN(local area network), CAN(campus area network),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BBN(broadband network),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 중 하나 이상의 임의의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170)는 버스 네트워크, 스타 네트워크, 링 네트워크, 메쉬 네트워크, 스타-버스 네트워크, 트리 또는 계층적(hierarchical) 네트워크 등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토폴로지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서버(150, 160) 각각은 복수의 휴대 단말기들(110, 120, 130, 140)과 네트워크(170)를 통해 통신하여 명령, 코드, 파일, 콘텐츠, 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컴퓨터 장치 또는 복수의 컴퓨터 장치들로 구현될 수 있다.
일례로, 서버(160)는 네트워크(170)를 통해 접속한 제1 휴대 단말기(110)로 어플리케이션 예를 들어, 채팅 어플리케이션의 설치를 위한 파일을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휴대 단말기(110)는 서버(160)로부터 제공된 파일을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제1 휴대 단말기(110)가 포함하는 운영체제(Operating System, OS)나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일례로 브라우저나 상기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에 따라 서버(150)에 접속하여 서버(150)가 제공하는 서비스나 콘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휴대 단말기(110)가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에 따라 네트워크(170)를 통해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서버(150)로 전송하면, 서버(150)는 서비스 요청 메시지에 대응하는 코드를 제1 휴대 단말기(110)로 전송할 수 있고, 제1 휴대 단말기(110)는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에 따라 코드에 따른 화면을 구성하여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휴대 단말기 및 서버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에서는 하나의 휴대 단말기에 대한 예로서 제1 휴대 단말기(110), 그리고 하나의 서버에 대한 예로서 서버(150)의 내부 구성을 설명한다. 다른 휴대 단말기들(120, 130, 140)이나 서버(160) 역시 동일한 또는 유사한 내부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제1 휴대 단말기(110)와 서버(150)는 메모리(211, 221), 프로세서(212, 222), 통신 모듈(213, 223) 그리고 입출력 인터페이스(214, 224)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211, 221)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로서,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및 디스크 드라이브와 같은 비소멸성 대용량 기록장치(permanent mass storage device)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211, 221)에는 운영체제나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코드(일례로 제1 휴대 단말기(110)에 설치되어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 등을 위한 코드)가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메모리(211, 221)와는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로부터 로딩될 수 있다. 이러한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플로피 드라이브, 디스크, 테이프, DVD/CD-ROM 드라이브, 메모리 카드 등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아닌 통신 모듈(213, 223)을 통해 메모리(211, 221)에 로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은 개발자들 또는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파일을 배포하는 파일 배포 시스템(일례로 상술한 서버(160))이 네트워크(170)를 통해 제공하는 파일들에 의해 설치되는 프로그램(일례로 상술한 어플리케이션)에 기반하여 메모리(211, 221)에 로딩될 수 있다.
프로세서(212, 222)는 기본적인 산술, 로직 및 입출력 연산을 수행함으로써, 컴퓨터 프로그램의 명령을 처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명령은 메모리(211, 221) 또는 통신 모듈(213, 223)에 의해 프로세서(212, 222)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12, 222)는 메모리(211, 221)와 같은 기록 장치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에 따라 수신되는 명령을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통신 모듈(213, 223)은 네트워크(170)를 통해 제1 휴대 단말기(110)와 서버(150)가 서로 통신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다른 휴대 단말기(일례로 제2 휴대 단말기(120)) 또는 다른 서버(일례로 서버(160))와 통신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일례로, 제1 휴대 단말기(110)의 프로세서(212)가 메모리(211)와 같은 기록 장치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에 따라 생성한 요청(일례로 검색 요청)이 통신 모듈(213)의 제어에 따라 네트워크(170)를 통해 서버(150)로 전달될 수 있다. 역으로, 서버(150)의 프로세서(222)의 제어에 따라 제공되는 제어 신호나 명령, 콘텐츠, 파일 등이 통신 모듈(223)과 네트워크(170)를 거쳐 제1 휴대 단말기(110)의 통신 모듈(213)을 통해 제1 휴대 단말기(110)로 수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모듈(213)을 통해 수신된 서버(150)의 제어 신호나 명령 등은 프로세서(212)나 메모리(211)로 전달될 수 있고, 콘텐츠나 파일 등은 제1 휴대 단말기(110)가 더 포함할 수 있는 저장 매체로 저장될 수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214)는 입출력 장치(215)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수단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장치는 키보드 또는 마우스 등의 장치를, 그리고 출력 장치는 어플리케이션의 통신 세션을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와 같은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입출력 인터페이스(214)는 터치스크린과 같이 입력과 출력을 위한 기능이 하나로 통합된 장치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수단일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 제1 휴대 단말기(110)의 프로세서(212)는 메모리(211)에 로딩된 컴퓨터 프로그램의 명령을 처리함에 있어서 서버(150)나 제2 휴대 단말기(120)가 제공하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구성되는 서비스 화면이나 콘텐츠가 입출력 인터페이스(214)를 통해 디스플레이에 표시될 수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224) 또한 마찬가지로 서버(150)의 프로세서(222)가 메모리(221)에 로딩된 컴퓨터 프로그램의 명령을 처리함에 있어 서버(150)가 제공하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구성되는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들에서 제1 휴대 단말기(110) 및 서버(150)는 도 2의 구성요소들보다 더 많은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종래기술적 구성요소들을 명확하게 도시할 필요성은 없다. 예를 들어, 제1 휴대 단말기(110)는 상술한 입출력 장치(215)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도록 구현되거나 또는 트랜시버(transceiver),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 카메라, 각종 센서, 데이터베이스 등과 같은 다른 구성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 제1 휴대 단말기(110)가 스마트폰인 경우, 일반적으로 스마트폰이 포함하고 있는 가속도 센서나 자이로 센서, 카메라, 각종 물리적인 버튼, 터치패널을 이용한 버튼, 입출력 포트, 진동을 위한 진동기 등의 다양한 구성요소들이 제1 휴대 단말기(110)에 더 포함되도록 구현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휴대 단말기는 도 1과 도 2에 도시된 서버로부터 채팅 어플리케이션 예를 들어, 카카오톡 등을 다운로드 받아 설치할 수 있는 스마트 폰 등의 모바일 기기를 의미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이러한 휴대 단말기에 설치된 채팅 어플리케이션의 채팅방들 중 휴대 단말기의 배경 화면 또는 홈 화면에 추가된 바로가기 아이콘의 채팅방에 사용자가 읽지 않은 채팅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이에 대한 알림 정보를 관리하는 기술에 대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팅방 관리 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에서의 채팅방 관리 방법은 휴대 단말기에 설치된 채팅 어플리케이션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채팅방에 대응하는 아이콘을 배경 화면에 추가한다(S310).
여기서, 단계 S310은 채팅 어플리케이션에 구비된 기능 예를 들어, "홈 화면에 바로가기 추가" 기능을 이용하여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채팅방 또는 채팅 상대자에 대한 바로가기 아이콘을 홈 화면 또는 배경 화면에 추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채팅 어플리케이션은 휴대 단말기에 설치 가능하고, 홈 화면 또는 배경 화면에 바로가기 추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모든 채팅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배경 화면에 추가되는 채팅방의 바로가기 아이콘은 해당 채팅방에 대응하는 아이콘일 수 있으며, 바로가기 아이콘이 형성되는 위치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도 있고, 채팅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설정될 수도 있으며, 휴대 단말기의 운영 체제와 채팅 어플리케이션의 설정 및 사용자의 설정 등을 고려하여 설정될 수도 있다.
단계 S310에 의해 채팅방에 대한 바로가기 아이콘이 배경 화면에 추가된 후 배경 화면에 바로가기 아이콘이 추가된 채팅방에 채팅 메시지의 수신 여부를 판단한다(S320).
단계 S320의 판단 결과, 배경 화면에 바로가기 아이콘이 추가된 채팅방에 채팅 메시지가 수신되면 채팅 메시지의 수신에 대한 알림 정보를 해당 채팅방에 대응하는 바로가기 아이콘 상에 표시한다(S330).
이 때, 단계 S330은 채팅 어플리케이션의 설정 중 바로가기 아이콘에 표시되는 알림 표시 방식들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알림 표시 방식으로 알림 정보를 바로가기 아이콘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단계 S330은 바로가기 아이콘의 채팅방으로 수신되고 사용자에 의해 읽지 않은 채팅 메시지의 수를 바로가기 아이콘 상에 표시할 수 있으며, 바로가기 아이콘 상에 표시된 사용자에 의해 읽지 않은 채팅 메시지의 수 뿐만 아니라 채팅 어플리케이션의 채팅방들에 대하여 사용자에 의해 읽지 않은 채팅 메시지의 수를 채팅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일 예로,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채팅방 1(420), 채팅방 2(430) 및 채팅방 3(440)에 대하여 바로가기 아이콘이 배경 화면에 추가된 상태에서, 채팅방 1(420)로 하나의 채팅 메시지가 수신되면 수신된 채팅 메시지에 대한 알림 정보(421) 예를 들어, 사용자에 의해 읽지 않은 채팅 메시지의 수를 채팅방 1의 바로가기 아이콘 상에 표시하고, 채팅 어플리케이션의 전체 채팅방들에서 사용자에 의해 읽지 않은 채팅 메시지의 수(411)를 채팅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410)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도 4a는 채팅 어플리케이션의 전체 채팅방들에서 사용자에 의해 읽지 않은 채팅 메시지의 수가 채팅방 1에서 사용자에 의해 읽지 않은 채팅 메시지의 수와 동일한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다른 일 예로,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채팅방 1(420), 채팅방 2(430) 및 채팅방 3(440)에 대하여 바로가기 아이콘이 배경 화면에 추가된 상태에서, 채팅방 1로 하나의 채팅 메시지가 수신되면 수신된 채팅 메시지에 대한 알림 정보(421) 예를 들어, 사용자에 의해 읽지 않은 채팅 메시지의 수를 채팅방 1의 바로가기 아이콘 상에 표시하고, 채팅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 상에는 채팅 어플리케이션의 전체 채팅방들에서 사용자에 의해 읽지 않은 채팅 메시지의 수에서 채팅방 1의 바로가기 아이콘 상에 표시된 채팅 메시지의 수를 제외한 채팅 메시지의 수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도 4b는 채팅 어플리케이션의 전체 채팅방들에서 사용자에 의해 읽지 않은 채팅 메시지의 수가 채팅방 1에서 사용자에 의해 읽지 않은 채팅 메시지의 수와 동일한 경우를 나타낸 것으로, 채팅 어플리케이션의 전체 채팅방들에서 사용자에 의해 읽지 않은 채팅 메시지의 수가 4이고, 채팅방 1에서 사용자에 의해 읽지 않은 채팅 메시지의 수가 1인 경우 채팅방 1의 바로가기 아이콘 상에 1을 표시하며, 채팅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 상에 3을 표시할 수 있다. 즉, 도 4b는 사용자에 의해 읽지 않은 전체 채팅 메시지의 수를 바로가기 아이콘 상에 표시되는 채팅 메시지의 수와 채팅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 상에 표시되는 채팅 메시지의 수의 합으로 표시하는 것이다.
여기서, 도 4에서 바로가기 아이콘의 채팅방 예를 들어, 채팅방 1에 수신된 채팅 메시지가 사용자에 의해 읽혀진 경우에는 채팅방 1의 바로가기 아이콘 상에 표시된 알림 정보가 제거될 수 있다.
또한, 단계 S330은 바로가기 아이콘의 채팅방으로 수신되고 사용자에 의해 읽지 않은 채팅 메시지의 수를 바로가기 아이콘 상에 표시할 때 채팅 어플리케이션에서 사용자에 의해 읽지 않은 전체 채팅 메시지의 수를 포함하는 알림 정보로 표시할 수도 있다.
예컨대, 채팅방 1, 채팅방 2 및 채팅방 3에 대하여 바로가기 아이콘이 배경 화면에 추가된 상태에서, 채팅방 1로 두 개의 채팅 메시지가 수신되고, 채팅방 2로 두 개의 채팅 메시지가 수신되며, 채팅방 3으로 세 개의 채팅 메시지가 수신되어 채팅 어플리케이션에서 사용자에 의해 읽지 않은 전체 채팅 메시지의 수가 7개인 경우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채팅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510) 상에 7(511)을 표시하고, 채팅방 1의 바로가기 아이콘(520) 상에 2(521)를 표시하며, 채팅방 2의 바로가기 아이콘(530) 상에 2(531)를 표시하고, 채팅방 3의 바로가기 아이콘(540) 상에 3(541)을 표시할 수도 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로가기 아이콘 상에 해당 채팅방에서 읽지 않은 채팅 메시지 수와 전체 채팅방들에서 읽지 않은 전체 메시지 수를 해당 아이콘 상에 함께 표시할 수 있다. 즉,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채팅방 1, 채팅방 2 및 채팅방 3에 대하여 바로가기 아이콘이 배경 화면에 추가된 상태에서, 채팅방 1로 두 개의 채팅 메시지가 수신되고, 채팅방 2로 두 개의 채팅 메시지가 수신되며, 채팅방 3으로 세 개의 채팅 메시지가 수신되어 채팅 어플리케이션에서 사용자에 의해 읽지 않은 전체 채팅 메시지의 수가 7개인 경우 채팅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 상에 7을 표시하고, 채팅방 1의 바로가기 아이콘 상에 2/7(522)를 표시하며, 채팅방 2의 바로가기 아이콘 상에 2/7(532)를 표시하고, 채팅방 3의 바로가기 아이콘 상에 3/7(542)을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도 5b에서 바로가기 아이콘의 채팅방 예를 들어, 채팅방 1, 채팅방 2와 채팅방 3에 수신된 채팅 메시지가 사용자에 의해 읽혀진 경우에는 해당 채팅방의 바로가기 아이콘 상에 표시된 알림 정보가 제거될 수 있다.
나아가, 단계 S330은 채팅 메시지의 수신 여부, 채팅 메시지의 수신 시점, 채팅 메시지의 수신 수, 채팅방의 수신 알림 설정 여부 등을 고려하여 배경 화면 상에 추가된 채팅방들 각각의 바로가기 아이콘을 자동 정렬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배경 화면에 채팅방 1 내지 채팅방 3의 바로가기 아이콘이 추가되고 채팅방 1 내지 채팅방 3 모두가 수신 알람이 설정된 상태이며 사용자가 모든 채팅 메시지를 읽은 상태라 가정하여 설명하면, 다른 채팅방에 채팅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은 상태에서 채팅방 1로 채팅 메시지가 수신되면 채팅방 1 내지 채팅방 3 각각의 위치 중 채팅방 1을 가장 위쪽의 위치에 표시하고, 다른 채팅방에 채팅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은 상태에서 채팅방 2로 채팅 메시지가 수신되면 채팅방 1 내지 채팅방 3 각각의 위치 중 채팅방 2를 가장 위쪽의 위치에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는 설정 항목을 통해 채팅방의 바로가기 아이콘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도 있으며, 위치가 고정된 경우에는 상술한 자동 위치 변경의 규칙에서 제외될 수 있고, 위치가 고정되지 않은 경우에 상술한 자동 위치 변경의 규칙에 적용될 수 있다. 물론, 상황에 따라 자동 위치 변경은 일정 시간 주기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실시간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나아가, 상술한 자동 위치 변경은 수신 알람 설정이 꺼져 있는 채팅방의 경우 자동 위치 변경의 규칙에서 제외될 수도 있으며, 사용자에 의해 즐겨찾기 등의 설정이 추가되어 있는 상대방으로부터 채팅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에는 자동 위치 변경의 규칙에서 최상위 규칙으로 적용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채팅 어플리케이션에서 바로가기 아이콘 상에 표시하는 채팅 메시지의 수신에 따른 알림 표시 방식을 설정할 수 있으며, 이러한 알림 표시 방식은 사용자에 의해 변경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배경 화면에 추가된 채팅방의 바로가기 아이콘들의 위치를 자동으로 변경하여 표시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휴대 단말기에 설치된 채팅 어플리케이션에서 배경 화면 또는 홈 화면에 바로가기 아이콘으로 추가된 채팅방에 대하여, 채팅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이에 대한 알림 정보를 아이콘 상에 표시함으로써, 채팅 메시지가 수신된 채팅방을 사용자가 바로 알 수 있고, 해당 아이콘을 클릭하여 수신된 채팅 메시지를 바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채팅방의 바로가기 아이콘들에 대한 정렬 순서를 해당 채팅방의 수신 알람 설정 여부, 사용자에 의해 읽지 않은 채팅 메시지의 수, 채팅 메시지의 수신 여부, 채팅 메시지의 수신 시점 등을 고려하여 자동으로 정렬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바로가기 아이콘의 채팅방으로 수신된 채팅 메시지를 빠르게 확인할 수 있다. 물론, 상황에 따라 본 발명은 최우선 순위에 대한 표시 위치를 미리 설정할 수 있고, 설정된 해당 위치로 가장 우선 순위의 바로가기 아이콘을 표시할 수도 잇다.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단톡방 알림음을 개별적으로 상이하게 설정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1) 단톡방알림음을 사용자 자신이 원하는 대로 텍스트로 입력하거나 선택해서 개별 설정할 수도 있고, 2) 많이 쓰일만한 알림음을 개발사가 미리 만들어 놓고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으며, 3) 사용자가 무음(또는 진동)으로 전환 시 각각 꺼내놓은 단톡방 별로 진동시간과 간격을 조절하여 간단하게나마 구분하게 할 수도 있다.
1)의 경우 단톡방을 바탕화면에 꺼내놓고 카톡이 오면 알림음을 단톡방에 개별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슈터스클럽" 직장 단톡방이면 알림음을 "슈터스" 라고 울리게 하며 알림음 설정을 개인이 바꿀수 있으며, 단톡방 이름이 "가족단톡방"이어도 "엄마" 라고 알림음을 설정할 수도 있다. 물론, 단톡방을 바탕화면에 꺼내 놓지 않았어도 알림음 설정 기능은 동일 하게 작동할 수 있다.
2)의 경우 "엄마",  "아빠",  "회사",  "우리아들", "내딸" 등과 같이 많이 쓰일만한 알림음을 미리 만들어 놓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알림음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2)의 경우는 텍스트 입력 시 음성 알림음이 부드럽지 못한 단점을 극복할 수 있다.
3)의 경우 사용자가 각 단톡방별로 진동 시간과 진동 간격을 조절하여 각각 설정함으로써, 진동 시간과 진동 간격을 통해 어느 단톡방에 채팅 메시지가 수신되었는지를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사 단톡방의 경우 진동 시간과 진동 간격을 0.5초와 2회로 설정하고, 가족 단톡방의 경우 진동 시간과 진동 간격을 2초와 1회로 설정할 수 있으며, 이러한 기능은 단톡방을 바탕화면에 꺼내 놓지 않았어도 작동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방법은 카톡 알림음을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하거나 그 진동 간격과 진동 시간을 설정하여 단톡방을 구분함으로써, 편리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팅방 관리 장치에 대한 구성 블록을 나타낸 것으로, 도 3 내지 도 5의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에 대한 개념적인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치(600)는 추가부(610), 판단부(620) 및 표시부(630)를 포함한다.
추가부(610)는 휴대 단말기에 설치된 채팅 어플리케이션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채팅방에 대응하는 아이콘을 배경 화면에 추가한다.
판단부(620)는 배경 화면에 추가된 바로가기 아이콘의 채팅방에 대한 채팅 메시지의 수신 여부를 판단한다.
표시부(630)는 배경 화면에 바로가기 아이콘이 추가된 채팅방에 채팅 메시지가 수신되면 채팅 메시지의 수신에 대한 알림 정보를 해당 채팅방에 대응하는 바로가기 아이콘 상에 표시한다
이 때, 표시부(630)는 채팅 어플리케이션의 설정 중 바로가기 아이콘에 표시되는 알림 표시 방식들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알림 표시 방식으로 알림 정보를 바로가기 아이콘 상에 표시할 수 있다.
나아가, 표시부(630)는 바로가기 아이콘의 채팅방으로 수신되고 사용자에 의해 읽지 않은 채팅 메시지의 수를 바로가기 아이콘 상에 표시할 수 있으며, 바로가기 아이콘 상에 표시된 사용자에 의해 읽지 않은 채팅 메시지의 수 뿐만 아니라 채팅 어플리케이션의 채팅방들에 대하여 사용자에 의해 읽지 않은 채팅 메시지의 수를 채팅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 상에 표시할 수 있다.
더 나아가, 표시부(630)는 바로가기 아이콘의 채팅방으로 수신되고 사용자에 의해 읽지 않은 채팅 메시지의 수를 바로가기 아이콘 상에 표시할 때 채팅 어플리케이션에서 사용자에 의해 읽지 않은 전체 채팅 메시지의 수를 포함하는 알림 정보로 표시할 수도 있다.
비록, 도 6의 장치에서 그 설명이 생략되었더라도, 도 6을 구성하는 각 구성 수단을 도 3 내지 도 5에서 설명한 모든 내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이 기술 분야에 종사하는 당업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컨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A(field programmabl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에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10)

  1. 휴대 단말기에 설치된 채팅 어플리케이션의 채팅방들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채팅방에 대응하는 아이콘을 상기 휴대 단말기의 배경 화면에 추가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채팅방에 채팅 메시지의 수신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채팅방에 채팅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채팅 메시지의 수신에 대한 알림 정보를 해당 채팅방에 대응하는 상기 아이콘 상에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에서의 채팅방 관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해당 채팅방에서 상기 사용자에 의해 읽지 않은 채팅 메시지의 수에 대한 알림 정보를 상기 아이콘 상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에서의 채팅방 관리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해당 채팅방에서 상기 사용자에 의해 읽지 않은 채팅 메시지의 수와 상기 채팅 어플리케이션의 채팅방들에서 상기 사용자에 의해 읽지 않은 전체 채팅 메시지의 수를 포함하는 알림 정보를 상기 아이콘 상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에서의 채팅방 관리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해당 채팅방에서 상기 사용자에 의해 읽지 않은 채팅 메시지의 수에 대한 알림 정보를 상기 아이콘 상에 표시하고, 상기 채팅 어플리케이션의 채팅방들에서 상기 사용자에 의해 읽지 않은 전체 채팅 메시지의 수에 대한 알림 정보를 상기 채팅 어플리케이션 상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에서의 채팅방 관리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채팅방에 채팅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채팅 메시지가 수신된 해당 채팅방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알림음, 알림 시간 및 알림 간격 중 적어도 하나로 상기 채팅 메시지의 수신을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휴대 단말기가 무음 또는 진동으로 설정된 경우 상기 해당 채팅방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진동 시간 및 진동 간격으로 상기 채팅 메시지의 수신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에서의 채팅방 관리 방법.
  6. 휴대 단말기에 설치된 채팅 어플리케이션의 채팅방들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채팅방에 대응하는 아이콘을 상기 휴대 단말기의 배경 화면에 추가하는 추가부;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채팅방에 채팅 메시지의 수신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채팅방에 채팅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채팅 메시지의 수신에 대한 알림 정보를 해당 채팅방에 대응하는 상기 아이콘 상에 표시하는 표시부
    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에서의 채팅방 관리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해당 채팅방에서 상기 사용자에 의해 읽지 않은 채팅 메시지의 수에 대한 알림 정보를 상기 아이콘 상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에서의 채팅방 관리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해당 채팅방에서 상기 사용자에 의해 읽지 않은 채팅 메시지의 수와 상기 채팅 어플리케이션의 채팅방들에서 상기 사용자에 의해 읽지 않은 전체 채팅 메시지의 수를 포함하는 알림 정보를 상기 아이콘 상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에서의 채팅방 관리 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해당 채팅방에서 상기 사용자에 의해 읽지 않은 채팅 메시지의 수에 대한 알림 정보를 상기 아이콘 상에 표시하고, 상기 채팅 어플리케이션의 채팅방들에서 상기 사용자에 의해 읽지 않은 전체 채팅 메시지의 수에 대한 알림 정보를 상기 채팅 어플리케이션 상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에서의 채팅방 관리 장치.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채팅방 관리 장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채팅방에 채팅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채팅 메시지가 수신된 해당 채팅방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알림음, 알림 시간 및 알림 간격 중 적어도 하나로 상기 채팅 메시지의 수신을 제공하며,
    상기 휴대 단말기가 무음 또는 진동으로 설정된 경우 상기 해당 채팅방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진동 시간 및 진동 간격으로 상기 채팅 메시지의 수신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에서의 채팅방 관리 장치.
KR1020190098702A 2019-05-29 2019-08-13 휴대 단말기에서 채팅방 관리 방법 및 그 장치 KR10223087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0063104 2019-05-29
KR1020190063104 2019-05-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7908A true KR20200137908A (ko) 2020-12-09
KR102230875B1 KR102230875B1 (ko) 2021-03-23

Family

ID=737875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8702A KR102230875B1 (ko) 2019-05-29 2019-08-13 휴대 단말기에서 채팅방 관리 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087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6485A (ko) * 2020-12-31 2022-07-07 씨제이올리브네트웍스 주식회사 라이브 커머스 서비스 장치 및 라이브 커머스 서비스 시스템
CN114827061A (zh) * 2021-01-29 2022-07-29 北京达佳互联信息技术有限公司 通知消息展示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4287B1 (ko) * 2015-04-22 2016-04-21 주식회사 카카오 채팅방 간편 이동 기능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
KR101839226B1 (ko) * 2016-09-12 2018-03-15 임영미 중요 발신자별 또는 긴급 스마트폰 메신저 메시지 도착 알림 표시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4287B1 (ko) * 2015-04-22 2016-04-21 주식회사 카카오 채팅방 간편 이동 기능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
KR101839226B1 (ko) * 2016-09-12 2018-03-15 임영미 중요 발신자별 또는 긴급 스마트폰 메신저 메시지 도착 알림 표시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6485A (ko) * 2020-12-31 2022-07-07 씨제이올리브네트웍스 주식회사 라이브 커머스 서비스 장치 및 라이브 커머스 서비스 시스템
CN114827061A (zh) * 2021-01-29 2022-07-29 北京达佳互联信息技术有限公司 通知消息展示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CN114827061B (zh) * 2021-01-29 2023-12-05 北京达佳互联信息技术有限公司 通知消息展示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0875B1 (ko) 2021-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016205B2 (ja) メッセージ基盤の通知を提供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KR101910581B1 (ko) 사용자 대화 활동성 및 대화 상황 정보를 활용한 대화방 정렬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2385081B1 (ko) 메신저 내 플랫폼에 추가된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대화방에서 정보를 공유하는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KR20210052552A (ko) 메시지 그룹 관리를 위한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TW202101942A (zh) 控制加入聊天室的方法、電腦系統及電腦可讀取記錄媒體
JP2017073136A (ja) 通信セッションでメッセージの機能を拡張する方法およびシステム
KR102638580B1 (ko) 하나의 대화방에서 다수의 그룹통화를 제공하는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KR102656642B1 (ko) 대화방 임베디드형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2230875B1 (ko) 휴대 단말기에서 채팅방 관리 방법 및 그 장치
KR20180113812A (ko) 메시지와 대응되는 태스크를 생성, 처리, 관리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및 전자 기기
JP2021010164A (ja) 通知プリセットを利用した通知処理方法および装置
KR102582745B1 (ko) 대화방을 3차원 형태로 제공하는 방법과 시스템 및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JP2020177655A (ja) イベントメッセージを管理するための方法、システム、および非一時的な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KR102600688B1 (ko) 메신저 상에서 자동 응답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2612067B1 (ko) 멀티 디바이스 환경에서 알림을 제공하는 방법과 시스템 및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20200133965A (ko) 오픈톡에서 하위 채팅방을 생성하는 방법 및 시스템
WO2019240305A1 (ko) 사용 정도에 기초하여 대화방을 처리하는 방법과 시스템 및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KR20230159099A (ko) 메시징 서비스 방법 및 장치
US20220350476A1 (en) Electronic device, method,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deactivating chat room of messenger application
KR102117963B1 (ko) 사용자의 행동 패턴에 기반하여 메시지의 기대 심리 레벨을 산출하는 전자 기기,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62582B1 (ko) 웹 페이지에서 조회한 전화번호를 내 휴대폰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통화를 발신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20230159105A (ko) 메시징 서비스 방법 및 장치
KR101982163B1 (ko) 인터넷 전화 서비스의 통화 자동 연결 방법 및 시스템
KR20220112441A (ko) 대화 메시지를 필터링하는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
JP2020198101A (ja) チャットルームでコンテンツ作成者をピックすることのできる方法、システム、および非一時的な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