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2582B1 - 웹 페이지에서 조회한 전화번호를 내 휴대폰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통화를 발신하는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웹 페이지에서 조회한 전화번호를 내 휴대폰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통화를 발신하는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2582B1
KR102062582B1 KR1020180004263A KR20180004263A KR102062582B1 KR 102062582 B1 KR102062582 B1 KR 102062582B1 KR 1020180004263 A KR1020180004263 A KR 1020180004263A KR 20180004263 A KR20180004263 A KR 20180004263A KR 102062582 B1 KR102062582 B1 KR 1020625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device
phone number
push message
call
processing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42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86120A (ko
Inventor
백창열
Original Assignee
엔에이치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에이치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엔에이치엔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042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2582B1/ko
Publication of KR201900861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61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25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25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52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2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 H04M1/274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 H04M1/2745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using static electronic memories, e.g. chips
    • H04M1/275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using static electronic memories, e.g. chips implemented by means of portable electronic direct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 H04M1/72583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웨 페이지에서 조회한 전화번호를 이종의 전자 기기를 이용하여 손쉽게 통화를 발신하는 방법 및 시스템이 개시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에서 수행되는 통화 발신 방법은, 전자 기기에서 브라우징된 웹 페이지로부터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영역 정보가 선택됨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영역 정보에 포함된 전화번호를 타겟 전화번호로 인식하는 단계; 상기 타겟 전화번호로 인식된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푸시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푸시 메시지를 이종의 전자 기기에게 푸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웹 페이지에서 조회한 전화번호를 내 휴대폰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통화를 발신하는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AUTOMATICALLY CALLING A PHONE NUMBER VIEWED FROM A WEB PAGE USING A MOBILE PHONE}
아래의 설명은 웹 페이지에서 조회한 전화번호를 이종 단말을 이용하여 전화 통화를 발신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통신망의 지속적인 진화에 따라, 종래의 PSTN 망 등의 레거시(Legacy) 통신망 이외에도 패킷 기반 및 서킷 기반의 다양한 유/무선 통신망이 제공되고 있으며, 이러한 유/무선 통신망에서의 전화 서비스는 다양한 사업자를 통하여 제공되고 있다. 특히, 인터넷 보급률의 증가와 인터넷 통신망의 광대역화로 인하여, 패킷 기반의 통신망에서의 SIP 프로토콜을 이용한 인터넷 전화 서비스가 부각되고 있다.
전화망과 같은 회선 교환망 대신에 인터넷과 구내 정보 통신망과 같은 데이터 패킷망을 통하여 음성 통화가 가능한 IP 전화가 등장하였다. 그러나 IP 전화는 IP망을 기반으로 통화를 제공하므로 인터넷 폰 관련 서비스에 별도로 가입하여 상기 서비스에 요구되는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 또한, 전화기가 연결되지 않은 장소에서는 상기 서비스를 통하여 IP 전화를 사용할 수 없다는 단점이 존재한다.
참고자료: 한국공개특허 제10-2013-0093294, 한국공개특허 제10-2015-0026217
전자 기기의 웹 페이지에서 조회한 전화번호에 기초하여 이종의 전자 기기에서 통화를 발신하는 콜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서버에서 수행되는 통화 발신 방법은, 전자 기기에서 브라우징된 웹 페이지로부터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영역 정보가 선택됨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영역 정보에 포함된 전화번호를 타겟 전화번호로 인식하는 단계; 상기 타겟 전화번호로 인식된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푸시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푸시 메시지를 이종의 전자 기기에게 푸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푸시하는 단계는, 상기 이종의 전자 기기에서 상기 푸시 메시지에 포함된 전화번호에 기초하여 자동으로 통화가 발신되도록 상기 이종의 전자 기기에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푸시하는 단계는, 상기 이종의 전자 기기에서 상기 푸시 메시지에 포함된 전화번호로 통화를 발신하기 위한 연결 정보가 표시되고, 상기 표시된 연결 정보에 기초하여 명령이 입력됨에 따라 상기 전화번호로 통화가 발신되도록 상기 이종의 전자 기기에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종의 전자 기기는, 상기 푸시 메시지를 처리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구동에 의하여 상기 이종의 전자 기기에서 제공되는 기능 또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이외의 다른 어플리케이션과 연동될 수 있다.
상기 전자 기기 및 상기 이종의 전자 기기는, 상기 전자 기기에서 조회되는 웹 페이지 및 상기 이종의 전자 기기에서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에 동일한 사용자 계정으로 로그인될 수 있다.
상기 푸시하는 단계는, 상기 이종의 전자 기기에서 상기 푸시 메시지에 포함된 전화번호를 주소록에 저장하도록 상기 이종의 전자 기기에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푸시하는 단계는, 상기 이종의 전자 기기에서 상기 푸시 메시지에 포함된 전화번호로 문자 메시지가 발송되도록 상기 이종의 전자 기기에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푸시하는 단계는, 상기 이종의 전자 기기에서 상기 푸시 메시지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화번호로 동시에 복수의 문자 메시지가 발송되도록 상기 이종의 전자 기기에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푸시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이종의 전자 기기에서 상기 푸시 메시지에 포함된 전화번호로 상기 전화번호와 관련된 처리 정보가 실행되도록 상기 푸시 메시지에 상기 전화번호 및 상기 전화번호와 관련된 처리 정보를 포함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기기에서 수행되는 자동으로 전화 통화 방법은, 서버로부터 전자 기기에서 선택된 영역 정보에 포함된 전화번호가 타겟 전화번호로 인식됨에 따라 상기 전화번호를 포함하여 생성된 푸시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푸시 메시지에 포함된 전화번호와 관련된 처리 정보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된 처리 정보가 통화 발신 정보일 경우, 상기 수신된 푸시 메시지에 포함된 전화번호로 통화를 발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신된 푸시 메시지에 포함된 전화번호와 관련된 처리 정보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판단된 처리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전화번호에 대한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신된 푸시 메시지에 포함된 전화번호로 통화를 발신하는 단계는, 상기 푸시 메시지에 포함된 전화번호로 통화를 발신하기 위한 연결 정보가 표시되고, 상기 표시된 연결 정보에 기초하여 명령이 입력됨에 따라 상기 전화번호로 통화 연결을 시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신된 푸시 메시지에 포함된 전화번호로 통화를 발신하는 단계는, 상기 판단된 처리 정보가 주소록 저장 정보일 경우, 상기 푸시 메시지에 포함된 전화번호를 주소록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신된 푸시 메시지에 포함된 전화번호로 통화를 발신하는 단계는, 상기 판단된 처리 정보가 문자 메시지 발송 정보일 경우, 상기 푸시 메시지에 포함된 전화번호로 문자 메시지를 발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는, 전자 기기에서 브라우징된 웹 페이지로부터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영역 정보가 선택됨을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된 영역 정보에 포함된 전화번호를 타겟 전화번호로 인식하는 인식부; 상기 타겟 전화번호로 인식된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푸시 메시지를 생성하는 생성부; 및 상기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푸시 메시지를 이종의 전자 기기에게 푸시하는 통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보부는, 상기 이종의 전자 기기에서 상기 푸시 메시지에 포함된 전화번호에 기초하여 자동으로 통화가 발신되도록 상기 이종의 전자 기기에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통보부는, 상기 이종의 전자 기기에서 상기 푸시 메시지에 포함된 전화번호로 통화를 발신하기 위한 연결 정보가 표시되고, 상기 표시된 연결 정보에 기초하여 명령이 입력됨에 따라 상기 전화번호로 통화가 발신되도록 상기 이종의 전자 기기에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통보부는, 상기 이종의 전자 기기에서 상기 푸시 메시지에 포함된 전화번호를 주소록에 저장하도록 상기 이종의 전자 기기에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이종의 전자 기기에서 상기 푸시 메시지에 포함된 전화번호로 문자 메시지가 발송되도록 상기 이종의 전자 기기에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생성부는, 상기 이종의 전자 기기에서 상기 푸시 메시지에 포함된 전화번호로 상기 전화번호와 관련된 처리 정보가 실행되도록 상기 푸시 메시지에 상기 전화번호 및 상기 전화번호와 관련된 처리 정보를 포함시킬 수 있다.
전자 기기의 웹 페이지에서 조회된 전화번호를 이종의 전자 기기로 푸시함에 따라 이종의 전자 기기에서 전화번호의 입력없이 통화가 발신됨으로써 보다 간편하게 통화를 수행할 수 있다.
전자 기기에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함에 따라 장소에 제약없이 언제 어디서든지 손쉽게 통화가 가능하게 된다.
이종의 전자 기기에서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푸시 메시지에 포함된 전화번호로의 통화가 발신되기 때문에 콜 서비스를 위한 별도의 시스템을 구축할 필요가 없어 유지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 및 서버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프로세서가 포함할 수 있는 구성요소의 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가 수행할 수 있는 통화 발신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에서 통화를 발신하도록 이종의 전자 기기를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에서 통화를 발신하도록 이종의 전자 기기를 제어하는 또 다른 흐름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웹 페이지에서 전화번호를 조회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예이다.
도 8 내지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이종의 전자 기기의 어플리케이션에서 푸시 메시지에 포함된 전화번호에 기초하여 처리를 수행하는 것을 유저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예이다.
이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의 네트워크 환경은 전자 기기(110, 120, 130), 서버(100) 및 네트워크(150)를 포함하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도 1은 발명의 설명을 위한 일례로 전자 기기의 수나 서버의 수가 도 1과 같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자 기기(110, 120, 130)는 컴퓨터 장치로 구현되는 고정형 단말이거나 이동형 단말일 수 있다. 전자 기기(110, 120, 130)의 예를 들면, 스마트폰(smart phone), 휴대폰, 네비게이션, 컴퓨터, 노트북, 디지털방송용 단말,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태블릿 PC, 웨어러블 기기, HMD(Head mounted Display), 자율 주행 차량 등이 있다. 전자 기기(110, 120, 130)는 무선 또는 유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네트워크(150)를 통해 다른 전자 기기들 및/또는 서버(100)와 통신할 수 있다. 여기서, 전자 기기(110, 120, 130)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컴퓨터로 구현되는 장치를 의미하지만, 실시예에 따른 통화 발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전자 기기(예를 들면, 제1 전자 기기)(110), 이종의 전자 기기(제2 전자 기기)(120), 상대방 전자 기기(제3 전자 기기)(130)로 구분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예를 들면, 전자 기기(110)는 PC와 같이 웹 페이지를 조회할 수 있는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이종의 전자 기기(120)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는 단말로서,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푸시 메시지를 수신하고, 수신된 푸시 메시지에 포함된 전화번호에 기초하여 특정 정보(예를 들면, 통화 발신)를 처리할 수 있다. 이종의 전자 기기(120)는 전자 기기(110)와는 다른 종류의 전자 기기를 의미한다. 이때, 이종의 전자 기기란, 전자 기기(110)와는 다른 모델명 또는 다른 기종을 의미할 수 있다. 상대방 전자 기기(130)란 이종의 전자 기기(120)로부터 푸시 메시지에 포함된 전화번호에 기초하여 발신된 통화를 수신하는 상대방 단말을 의미할 수 있다.
통신 방식은 제한되지 않으며, 네트워크(150)가 포함할 수 있는 통신망(일례로, 이동통신망, 유선 인터넷, 무선 인터넷, 방송망)을 활용하는 통신 방식뿐만 아니라 기기들간의 근거리 무선 통신 역시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150)는, PAN(personal area network), LAN(local area network), CAN(campus area network),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BBN(broadband network),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 중 하나 이상의 임의의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150)는 버스 네트워크, 스타 네트워크, 링 네트워크, 메쉬 네트워크, 스타-버스 네트워크, 트리 또는 계층적(hierarchical) 네트워크 등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토폴로지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서버(100)는 전자 기기(110, 120)와 네트워크(150)를 통해 통신하여 명령, 코드, 파일, 컨텐츠, 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컴퓨터 장치 또는 복수의 컴퓨터 장치들로 구현될 수 있다. 일례로, 서버(100)는 네트워크(150)를 통해 접속한 전자 기기(110, 120)로 어플리케이션의 설치를 위한 파일을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기기(110, 120)는 서버(100)로부터 제공된 파일을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전자 기기(110, 120)가 포함하는 운영체제(Operating System, OS)나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일례로 브라우저나 상기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에 따라 서버(100)에 접속하여 서버(100)가 제공하는 서비스나 컨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기기(110, 120)가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에 따라 네트워크(150)를 통해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서버(100)로 전송하면, 서버(100)는 서비스 요청 메시지에 대응하는 코드를 전자 기기(110, 120)로 전송할 수 있고, 전자 기기(110, 120)는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에 따라 코드에 따른 화면을 구성하여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아래의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전자 기기와 이종의 전자 기기에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연동을 통하여 웹 페이지에서 조회된 전화번호를 이종의 전자 기기로 푸시됨에 따라 이종의 전자 기기에서 전화번호로 통화를 연결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사용자가 PC에서 실행되는 웹 페이지(예를 들면, 사이트, 검색 엔진)를 통하여 검색어를 입력할 수 있다. PC에서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검색어와 관련된 검색 결과가 제공될 수 있다. 사용자가 검색 결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화번호를 획득함에 따라 어느 하나의 전화번호를 선택할 수 있다. 이때, 서버에서 전화번호를 사용자의 이종의 전자 기기에게 푸시할 수 있다. 이종의 전자 기기에서 서버로부터 푸시된 전화번호를 수신할 수 있고, 전화번호에 기반하여 통화를 연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웹 페이지에서 조회한 전화번호를 이종의 전자 기기를 이용하여 손쉽게 통화를 연결하는 방법을 아래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 및 서버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에서는 하나의 전자 기기 및 하나의 서버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고 있으나, 도 1을 통해 설명한 네트워크 환경에 포함될 수 있는 또 다른 전자 기기들이나 또 다른 서버들에도 동일한 또는 유사한 내부 구성요소들이 적용될 수 있다.
전자 기기(110, 120)는 예를 들면, 프로세서(200),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201), 메모리(202), 통신 모듈(203) 및 입출력 인터페이스(204)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200)는 프로세서(211), 메모리(212), 통신 모듈(213)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202, 212)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로서,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및 디스크 드라이브와 같은 영구 대용량 저장장치(permanent mass storage device)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202, 212)에는 운영체제나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코드(일례로 전자 기기(110, 120)에 설치되어 구동되는 브라우저나 상술한 어플리케이션 등을 위한 코드)가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메모리(202, 212)와는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로부터 로딩될 수 있다. 이러한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플로피 드라이브, 디스크, 테이프, DVD/CD-ROM 드라이브, 메모리 카드 등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아닌 통신 모듈(203, 213)을 통해 메모리(202, 212)에 로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은 개발자들 또는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파일을 배포하는 파일 배포 시스템(일례로 상술한 서버(100))가 네트워크(150)를 통해 제공하는 파일들에 의해 설치되는 프로그램(일례로 상술한 어플리케이션)에 기반하여 메모리(202, 212)에 로딩될 수 있다.
프로세서(200, 211)는 기본적인 산술, 로직 및 입출력 연산을 수행함으로써, 컴퓨터 프로그램의 명령을 처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명령은 메모리(202, 212) 또는 통신 모듈(203, 213)에 의해 프로세서(200, 211)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200, 211)는 메모리(202, 212)와 같은 기록 장치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에 따라 수신되는 명령을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통신 모듈(203, 213)은 네트워크(150)를 통해 전자 기기(110, 120)와 서버(100)가 서로 통신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다른 전자 기기 또는 다른 서버와 통신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일례로, 전자 기기(110, 120)의 프로세서(200)가 메모리(202)와 같은 기록 장치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에 따라 생성한 요청이 통신 모듈(203)의 제어에 따라 네트워크(150)를 통해 서버(100)로 전달될 수 있다. 역으로, 서버(100)의 프로세서(211)의 제어에 따라 제공되는 제어 신호나 명령, 컨텐츠, 파일 등이 통신 모듈(213)과 네트워크(150)를 거쳐 전자 기기(110, 120)의 통신 모듈(203)을 통해 전자 기기(110, 120)로 수신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통신 모듈(203)을 통해 수신된 서버(100)의 제어 신호나 명령 등은 프로세서(200)나 메모리(202)로 전달될 수 있고, 컨텐츠나 파일 등은 전자 기기(110, 120)가 더 포함할 수 있는 저장 매체로 저장될 수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204)는 입출력 장치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수단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입력 장치는 키보드 또는 마우스 등의 장치를, 그리고 출력 장치는 어플리케이션의 통신 세션을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와 같은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입출력 인터페이스(204)는 터치스크린과 같이 입력과 출력을 위한 기능이 하나로 통합된 장치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수단일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 전자 기기(110, 120)의 프로세서(200)는 메모리(202)에 로딩된 컴퓨터 프로그램의 명령을 처리함에 있어서 서버(100)나 다른 전자 기기가 제공하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구성되는 서비스 화면이나 컨텐츠가 입출력 인터페이스(204)를 통해 디스플레이(205)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들에서 전자 기기(110, 120) 및 서버(100)는 도 2의 구성요소들보다 더 많은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종래기술적 구성요소들을 명확하게 도시할 필요성은 없다. 예를 들면, 전자 기기(110, 120)는 입출력 장치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도록 구현되거나 또는 트랜시버(transceiver),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 카메라, 각종 센서, 데이터베이스 등과 같은 다른 구성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 전자 기기(110, 120)가 스마트 폰인 경우, 일반적으로 스마트 폰이 포함하고 있는 가속도 센서나 자이로 센서, 카메라 모듈, 각종 물리적인 버튼, 터치패널을 이용한 버튼, 입출력 포트, 진동을 위한 진동기 등의 다양한 구성요소들이 전자 기기(110, 120)에 더 포함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프로세서가 포함할 수 있는 구성요소의 예를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가 수행할 수 있는 통화 발신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서버(100)의 프로세서(211)는 수신부(310), 인식부(320), 생성부(330) 및 통보부(3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프로세서(211)의 구성요소들은 서버(100)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가 제공하는 제어 명령에 따라 프로세서(211)에 의해 수행되는 서로 다른 기능들(different functions)의 표현들일 수 있다. 프로세서(211) 및 프로세서(211)의 구성요소들은 도 4의 통화 발신 방법이 포함하는 단계들(410 내지 440)을 수행하도록 서버(10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211) 및 프로세서(211)의 구성요소들은 메모리가 포함하는 운영체제의 코드와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의 코드에 따른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211)는 통화 발신 방법을 위한 프로그램의 파일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를 메모리에 로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서버(100)에서 프로그램이 실행되면, 프로세서는 운영체제의 제어에 따라 프로그램의 파일로부터 프로그램 코드를 메모리에 로딩하도록 서버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211) 및 프로세서(211)가 포함하는 수신부(310), 인식부(320), 생성부(330) 및 통보부(340) 각각은 메모리에 로딩된 프로그램 코드 중 대응하는 부분의 명령을 실행하여 이후 단계들(410 내지 440)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세서(211)의 서로 다른 기능적 표현들일 수 있다.
단계(410)에서 수신부(310)는 전자 기기에서 브라우징된 웹 페이지로부터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영역 정보가 선택됨을 수신할 수 있다. 일례로, 사용자는 웹 페이지를 제공하는 웹사이트 또는 검색 엔진에 사용자의 계정으로 로그인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전자 기기 및 이종의 전자 기기를 통하여 서버에서 통화 발신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콜 서비스에 사용자의 계정으로 로그인할 수 있다. 이때, 콜 서비스는 웹 페이지에서 전화번호를 검색하는 검색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는, 별도의 웹사이트 또는 검색 엔진과 콜 서비스에 사용자 계정의 로그인을 통하여 연동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로부터 검색어가 입력될 수 있다. 웹 페이지에서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검색어에 대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검색 결과가 제공될 수 있다. 사용자는 웹 페이지에 제공된 검색 결과 중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영역을 선택할 수 있다.
단계(420)에서 인식부(320)는 수신된 영역 정보에 포함된 전화번호를 타겟 전화번호로 인식할 수 있다. 인식부(320)는 영역 정보에 포함된 전화번호를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영역 정보에 텍스트 데이터 및 이미지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영역 정보에 포함된 전화번호는 숫자, 문자 또는 기호로 구성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인식부(320)는 전화번호뿐만 아니라 메일 주소, 아이디, 이름 등을 인식할 수도 있다.
단계(430)에서 생성부(330)는 타겟 전화번호로 인식된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푸시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생성부(330)는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푸시 메시지를 생성함에 있어서, 전화번호에 대한 처리 정보가 포함된 푸시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생성부(330)는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푸시 메시지에 통화 처리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생성부(330)는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푸시 메시지에 주소록 저장 처리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푸시 메시지에 문자 메시지 발송 처리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440)에서 통보부(340)는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푸시 메시지를 이종의 전자 기기에게 푸시할 수 있다. 통보부(340)는 전화번호 및 전화번호에 대한 처리 정보가 포함된 푸시 메시지를 이종의 전자 기기에게 푸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종의 전자 기기도 전자 기기와 마찬가지로 콜 서비스에 사용자의 계정으로 로그인을 수행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이종의 전자 기기에 콜 서비스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을 수 있으며, 어플리케이션에 사용자의 계정으로 로그인된 상태일 수 있다. 통보부(340)는 이종의 전자 기기에서 푸시 메시지에 포함된 전화번호에 기초하여 자동으로 통화가 발신되도록 이종의 전자 기기에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할 수 있다. 통보부(340)는 이종의 전자 기기에서 푸시 메시지에 포함된 전화번호로 통화를 발신하기 위한 연결 정보가 표시되고, 표시된 연결 정보에 기초하여 명령이 입력됨에 따라 전화번호로 통화가 발신되도록 이종의 전자 기기에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할 수 있다. 통보부(340)는 이종의 전자 기기에서 푸시 메시지에 포함된 전화번호를 주소록에 저장하도록 이종의 전자 기기에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할 수 있다. 통보부(340)는 이종의 전자 기기에서 푸시 메시지에 포함된 전화번호로 문자 메시지가 발송 되도록 이종의 전자 기기에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에서 통화를 발신하도록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서버(100)에서 이종의 전자 기기를 통하여 자동으로 통화를 연결하도록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에서는 서버(100)에서 웹 페이지(510)와 모바일 앱(520) 사이의 동작을 통하여 통화를 연결하도록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이때, 웹 페이지(510)는 전자 기기에 조회 및 검색되어 출력될 수 있으며, 모바일 앱(520)은 웹 페이지(510)를 조회 및 검색하는 전자 기기와는 다른 이종의 전자 기기에 설치되어 구동될 수 있다. 이때, 전자 기기 및 이종의 전자 기기에 동일한 사용자의 계정으로 로그인되어 있을 수 있다.
전자 기기에 브라우징된 웹 페이지(510)로부터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영역이 클릭(501)될 수 있다. 도 7을 참고하면, 전자 기기(110)를 통하여 웹 페이지(510)에서 전화번호가 조회될 수 있다. 사용자로부터 웹 페이지(510)에서 조회된 전화번호가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웹 사이트에서 검색어를 입력함에 따라 웹 페이지(510)에 검색 결과가 제공될 수 있다. 웹 페이지(510)에서 조회된 검색 결과 중 사용자가 원하는 전화번호가 존재할 수 있다. 사용자는 통화를 발신하고자 하는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영역(710)을 선택할 수 있다. 일례로, 사용자는 전화번호 또는 전화번호의 주변에 특정 이벤트(예를 들면, 드래그, 터치&드래그, 더블클릭 등)를 입력함으로써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영역(710)이 획득될 수 있다. 서버(100)는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영역(710)에 기초하여 전화번호를 추출할 수 있다. 서버(100)는 전화번호를 타겟 전화번호로 인식함에 따라 통화 유저 인터페이스(예를 들면, 통화 아이콘)(720)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추출된 전화번호로 통화를 발신하고자 할 경우, 통화 유저 인터페이스(720)를 선택할 수 있다. 서버는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푸시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서버(100)는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푸시 메시지를 이종의 전자 기기의 모바일 앱(520)으로 푸시(502)할 수 있다.
모바일 앱(520)은 푸시 메시지에 포함된 전화번호로 통화를 발신할 수 있다(503). 예를 들면, 모바일 앱(520)에서 제공되는 콜 서비스에 유저 인터페이스가 표시될 수 있다. 콜 서비스에 프로필이 제공될 수 있고, 사용자에 의하여 프로필에 표시된 유저 인터페이스를 선택될 경우, 이종의 전자 기기로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푸시 메시지가 전달될 수 있다. 이때, 모바일 앱(520)에서 전화번호로 통화를 발신함을 시도함에 따라 모바일 앱(520)과 연동된 전화 통화 기능이 포함된 별도의 어플리케이션에서 전화번호로 통화를 연결할 수 있다. 또는, 모바일 앱(520)에서 제공되는 전화 통화 기능을 통하여 전화번호로 통화가 연결될 수 있다. 또는, 모바일 앱(520)이 구동되는 이종의 전자 기기에서 제공되는 전화 통화 기능을 통하여 전화번호로 통화가 연결될 수도 있다. 또는, 이종의 전자 기기에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화 통화 기능에 대하여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된 전화 통화 기능을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전화번호로 통화가 연결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모바일 앱(520)은 푸시 메시지에 포함된 전화번호가 복수 개일 경우, 복수 개의 전화번호로 통화를 발신할 수도 있다.
모바일 앱(520)을 통하여 이종의 전자 기기에서 통화가 발신됨으로써 공간에 제한되지 않는다. 다시 말해서, 종래에 콜 서비스를 위한 시스템이 구축된 공간에 존재하는 전가 기기를 통하여 통화 발신 기능이 가능하였던 것과는 달리, 장소에 제약 없이 이종의 전자 기기를 통하여 통화 발신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모바일 앱이 설치된 단말의 종류에 상관없이 이종의 전자 기기에서 통화가 발신될 수 있다. 또한, 콜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지 않더라도 콜 서비스를 제공하는 API를 이용하여 앞서 설명한 동일한 방식으로 통화를 발신할 수도 있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에서 통화를 발신하도록 제어하는 또 다른 흐름도이다.
서버(100)에서 이종의 전자 기기를 통하여 자동으로 통화를 연결하도록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서버(100)에서 웹 페이지(510)와 모바일 앱(520) 사이의 동작을 통하여 통화를 연결하도록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이때, 웹 페이지(510)는 전자 기기에 조회 및 검색되어 출력될 수 있으며, 모바일 앱(520)은 웹 페이지(510)를 조회 및 검색하는 전자 기기와는 다른 이종의 전자 기기에 설치되어 구동될 수 있다. 이때, 전자 기기 및 이종의 전자 기기에 동일한 사용자의 계정으로 로그인되어 있을 수 있다.
전자 기기에 브라우징된 웹 페이지(510)로부터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영역이 클릭(601)될 수 있다. 사용자는 웹 페이지(510)에서 전화번호를 조회할 수 있고, 조회된 전화번호를 선택할 수 있다. 서버(100)는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전화번호를 타겟 전화번호로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서버(100)는 사용자로부터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영역에 전화번호 이외의 텍스트 데이터 또는/및 이미지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을 경우, 전화번호만을 추출할 수 있고, 추출된 전화번호를 타겟 전화번호로 인식할 수 있다. 서버(100)는 전화번호를 타겟 전화번호로 인식함에 따라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유저 인터페이스는 전화번호로 수행하기 위한 처리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유저 인터페이스는 전화번호로 통화를 수행하기 위한 처리 정보, 전화번호로 문자 메시지를 발송하기 위한 처리 정보, 전화번호를 주소록에 저장하기 위한 처리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전화번호에 대한 처리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서버(100)는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푸시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서버는 푸시 메시지에 전화번호 및 전화번호에 대한 처리 정보를 포함시킬 수 있다. 일례로, 서버로부터 전화번호를 어떤 용도로 사용할 것인지 하나의 처리 정보를 포함하는 푸시 메시지가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화번호를 선택함에 있어서, 웹 페이지에 통화 유저 인터페이스뿐만 아니라 주소록 저장 유저 인터페이스, 문자 발송 유저 인터페이스 등 복수의 유저 인터페이스가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전화번호를 사용하고자 하는 용도에 따라 처리 정보를 포함하는 하나의 유저 인터페이스를 선택할 수 있다. 서버는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된 유저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는 처리 정보를 포함하는 푸시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서버는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푸시 메시지를 생성함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처리 정보가 포함된 푸시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웹 페이지에서 사용자에 의하여 전화번호가 선택됨에 따라 푸시 메시지에 전화번호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처리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서버(100)는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푸시 메시지를 이종의 전자 기기의 모바일 앱(520)으로 푸시(602)할 수 있다. 이때, 서버(100)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이종의 전자 기기에게 선택적으로 푸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에 의하여 등록된 이종의 전자 기기로 푸시 메시지를 푸시할 수 있고, 사용자로부터 설정된 상황에 따라 등록된 각각의 이종의 전자 기기로 푸시 메시지를 푸시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복수의 이종의 전자 기기가 존재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제1 상황에 제1 이종의 전자 기기로 푸시 메시지를 수신할 것으로 설정할 수 있고, 제2 상황에 제2 이종의 전자 기기로 푸시 메시지를 수신할 것을 설정해놓을 수 있다. 푸시 메시지가 상황에 대응되어 설정된 이종의 전자 기기로 푸시될 수 있다.
푸시 메시지에 포함된 전화번호에 기초하여 통화를 발신하는 것을 우선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을 참고하면, 모바일 앱(520)은 이종의 전자 기기(120)에 연결 정보(예를 들면, 노티바)(810)를 표시할 수 있다. 모바일 앱(520)은 사용자에게 푸시 메시지에 포함된 전화번호로 통화를 발신할 것인지 질의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전화번호로 통화를 발신하고자 할 경우, 질의에 대한 긍정 명령을 응답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가 전화번호가 잘못되었거나 통화를 발신하지 않기를 원할 경우, 질의에 대한 부정 명령을 응답할 수 있다. 또는, 예를 들면, 사용자로부터 일정 시간(예를 들면, 5분) 내에 연결 정보(810)에 터치가 입력되는지 유무가 감지될 수 있다. 사용자로부터 일정 시간 내에 연결 정보가 터치될 경우, 통화를 발신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연결 정보가 터치되지 않을 경우, 통화를 발신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모바일 앱(520)은 사용자로부터 노티바가 터치됨을 감지할 수 있다(603). 모바일 앱(520)은 전화번호로 통화를 발신할 수 있다.
또한, 도 9를 참고하면, 모바일 앱(520)은 이종의 전자 기기(120)를 통하여 전화번호로 통화를 발신하는 것뿐만 아니라, 푸시 메시지에 포함된 전화번호를 주소록에 저장할 것인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연결 정보(910)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모바일 앱(520)은 이종의 전자 기기(120)에 전화번호를 주소록에 저장하기 위한 연결 정보(910)를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연결 정보(910)에 기초하여 주소록을 저장 또는 저장하지 않을 수 있다. 사용자가 연결 정보(910)를 통하여 주소록에 전화번호를 저장할 것을 입력함에 따라 주소록에 전화번호를 저장할 수 있다.
도 10을 참고하면, 모바일 앱(520)은 이종의 전자 기기(120)에 푸시 메시지에 포함된 전화번호로 문자 메시지를 발송할 것인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연결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모바일 앱(520)은 연결 정보(910)에 기초하여 전화번호로 문자 메시지를 발송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앱(52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화번호로 단체 문자 메시지를 동시에 발송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기기에서 제공되는 웹 페이지와 이종이 전자 기기의 어플리케이션의 연동을 통해 웹 페이지 상에서 노출된 전화번호를 설정된 이종의 전자 기기로 푸시하여 전화번호로의 통화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에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20)

  1. 서버에서 수행되는 통화 발신 방법에 있어서,
    전자 기기에서 브라우징된 웹 페이지로부터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영역 정보가 선택됨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영역 정보에 포함된 전화번호를 타겟 전화번호로 인식하는 단계;
    상기 타겟 전화번호로 인식된 전화번호 및 상기 전화번호에 대한 처리 정보를 포함하는 푸시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전화번호 및 상기 전화번호에 대한 처리 정보를 포함하는 푸시 메시지를 사용자의 설정에 기반하여 이종의 전자 기기에게 푸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푸시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이종의 전자 기기에서 상기 푸시 메시지에 포함된 전화번호로 상기 전화번호와 관련된 처리 정보가 실행되도록 상기 푸시 메시지에 상기 전화번호 및 상기 전화번호와 관련된 처리 정보를 포함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의 설정은, 사용자가 제1 상황에 제1 이종의 전자 기기로 푸시 메시지를 수신하는 것으로 설정하고, 제2 상황에 제2 이종의 전자 기기로 푸시 메시지를 수신하는 것으로 설정한 것이고,
    상기 전화번호에 대한 처리 정보는, 상기 전화번호로 통화를 발신하는 통화 처리 정보, 상기 전화번호를 주소록에 저장하는 주소록 저장 처리 정보 또는 상기 전화번호로 문자 메시지를 발송하는 문자 메시지 발송 처리 정보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푸시하는 단계는,
    상기 전화번호 및 상기 전화번호에 대한 처리 정보를 포함하는 푸시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로부터 설정된 상황에 따라 등록된 이종의 전자 기기에게 푸시하고, 상기 푸시 메시지에 포함된 전화번호에 대한 처리 정보가 실행되도록 상기 등록된 이종의 전자 기기에서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등록된 이종의 전자 기기에서, 상기 푸시된 푸시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푸시 메시지에 포함된 전화번호로 상기 전화번호와 관련된 처리 정보가 실행되는
    통화 발신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하는 단계는,
    상기 이종의 전자 기기에서 상기 푸시 메시지에 포함된 전화번호에 기초하여 자동으로 통화가 발신되도록 상기 이종의 전자 기기에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통화 발신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하는 단계는,
    상기 이종의 전자 기기에서 상기 푸시 메시지에 포함된 전화번호로 통화를 발신하기 위한 연결 정보가 표시되고, 상기 표시된 연결 정보에 기초하여 명령이 입력됨에 따라 상기 전화번호로 통화가 발신되도록 상기 이종의 전자 기기에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통화 발신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종의 전자 기기는,
    상기 푸시 메시지를 처리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구동에 의하여 상기 이종의 전자 기기에서 제공되는 기능 또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이외의 다른 어플리케이션과 연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발신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기기 및 상기 이종의 전자 기기는,
    상기 전자 기기에서 조회되는 웹 페이지 및 상기 이종의 전자 기기에서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에 동일한 사용자 계정으로 로그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 발신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하는 단계는,
    상기 이종의 전자 기기에서 상기 푸시 메시지에 포함된 전화번호를 주소록에 저장하도록 상기 이종의 전자 기기에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통화 발신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하는 단계는,
    상기 이종의 전자 기기에서 상기 푸시 메시지에 포함된 전화번호로 문자 메시지가 발송되도록 상기 이종의 전자 기기에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통화 발신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하는 단계는,
    상기 이종의 전자 기기에서 상기 푸시 메시지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화번호로 동시에 복수의 문자 메시지가 발송되도록 상기 이종의 전자 기기에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통화 발신 방법.
  9. 삭제
  10. 전자 기기에서 수행되는 통화 방법에 있어서,
    서버로부터 전자 기기에서 선택된 영역 정보에 포함된 전화번호가 타겟 전화번호로 인식됨에 따라 상기 전화번호 및 상기 전화번호와 관련된 처리 정보를 포함하여 생성된 푸시 메시지를 사용자의 설정에 기반하여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푸시 메시지에 포함된 전화번호와 관련된 처리 정보를 판단하는 단계-상기 전화번호에 대한 처리 정보는, 상기 전화번호로 통화를 발신하는 통화 처리 정보, 상기 전화번호를 주소록에 저장하는 주소록 저장 처리 정보 또는 상기 전화번호로 문자 메시지를 발송하는 문자 메시지 발송 처리 정보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함-; 및
    상기 판단된 처리 정보가 통화 발신 정보일 경우, 상기 수신된 푸시 메시지에 포함된 전화번호로 통화를 발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의 설정은, 사용자가 제1 상황에 제1 이종의 전자 기기로 푸시 메시지를 수신하는 것으로 설정하고, 제2 상황에 제2 이종의 전자 기기로 푸시 메시지를 수신하는 것으로 설정한 것이고,
    상기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전화번호 및 상기 전화번호에 대한 처리 정보를 포함하는 푸시 메시지가 상기 사용자로부터 설정된 상황에 따라 등록된 이종의 전자 기기에게 푸시되고, 상기 푸시 메시지에 포함된 전화번호에 대한 처리 정보가 실행되도록 상기 등록된 이종의 전자 기기에서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이 제어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등록된 이종의 전자 기기에서, 상기 푸시된 푸시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푸시 메시지에 포함된 전화번호로 상기 전화번호와 관련된 처리 정보를 실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통화 발신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푸시 메시지에 포함된 전화번호와 관련된 처리 정보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판단된 처리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전화번호에 대한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통화 발신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푸시 메시지에 포함된 전화번호로 통화를 발신하는 단계는,
    상기 푸시 메시지에 포함된 전화번호로 통화를 발신하기 위한 연결 정보가 표시되고, 상기 표시된 연결 정보에 기초하여 명령이 입력됨에 따라 상기 전화번호로 통화 연결을 시도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통화 발신 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푸시 메시지에 포함된 전화번호로 통화를 발신하는 단계는,
    상기 판단된 처리 정보가 주소록 저장 정보일 경우, 상기 푸시 메시지에 포함된 전화번호를 주소록에 저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통화 발신 방법.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푸시 메시지에 포함된 전화번호로 통화를 발신하는 단계는,
    상기 판단된 처리 정보가 문자 메시지 발송 정보일 경우, 상기 푸시 메시지에 포함된 전화번호로 문자 메시지를 발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통화 발신 방법.
  15. 통화를 발신하기 위한 서버에 있어서,
    전자 기기에서 브라우징된 웹 페이지로부터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영역 정보가 선택됨을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된 영역 정보에 포함된 전화번호를 타겟 전화번호로 인식하는 인식부;
    상기 타겟 전화번호로 인식된 전화번호 및 상기 전화번호에 대한 처리 정보를 포함하는 푸시 메시지를 생성하는 생성부; 및
    상기 전화번호 및 상기 전화번호에 대한 처리 정보를 포함하는 푸시 메시지를 사용자의 설정에 기반하여 이종의 전자 기기에게 푸시하는 통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생성부는,
    상기 이종의 전자 기기에서 상기 푸시 메시지에 포함된 전화번호로 상기 전화번호와 관련된 처리 정보가 실행되도록 상기 푸시 메시지에 상기 전화번호 및 상기 전화번호와 관련된 처리 정보를 포함시키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의 설정은, 사용자가 제1 상황에 제1 이종의 전자 기기로 푸시 메시지를 수신하는 것으로 설정하고, 제2 상황에 제2 이종의 전자 기기로 푸시 메시지를 수신하는 것으로 설정한 것이고,
    상기 전화번호에 대한 처리 정보는, 상기 전화번호로 통화를 발신하는 통화 처리 정보, 상기 전화번호를 주소록에 저장하는 주소록 저장 처리 정보 또는 상기 전화번호로 문자 메시지를 발송하는 문자 메시지 발송 처리 정보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통보부는,
    상기 전화번호 및 상기 전화번호에 대한 처리 정보를 포함하는 푸시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로부터 설정된 상황에 따라 등록된 이종의 전자 기기에게 푸시하고, 상기 푸시 메시지에 포함된 전화번호에 대한 처리 정보가 실행되도록 상기 등록된 이종의 전자 기기에서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등록된 이종의 전자 기기에서, 상기 푸시된 푸시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푸시 메시지에 포함된 전화번호로 상기 전화번호와 관련된 처리 정보가 실행되는 서버.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통보부는,
    상기 이종의 전자 기기에서 상기 푸시 메시지에 포함된 전화번호에 기초하여 자동으로 통화가 발신되도록 상기 이종의 전자 기기에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통보부는,
    상기 이종의 전자 기기에서 상기 푸시 메시지에 포함된 전화번호로 통화를 발신하기 위한 연결 정보가 표시되고, 상기 표시된 연결 정보에 기초하여 명령이 입력됨에 따라 상기 전화번호로 통화가 발신되도록 상기 이종의 전자 기기에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통보부는,
    상기 이종의 전자 기기에서 상기 푸시 메시지에 포함된 전화번호를 주소록에 저장하도록 상기 이종의 전자 기기에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통보부는,
    상기 이종의 전자 기기에서 상기 푸시 메시지에 포함된 전화번호로 문자 메시지가 발송되도록 상기 이종의 전자 기기에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20. 삭제
KR1020180004263A 2018-01-12 2018-01-12 웹 페이지에서 조회한 전화번호를 내 휴대폰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통화를 발신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20625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4263A KR102062582B1 (ko) 2018-01-12 2018-01-12 웹 페이지에서 조회한 전화번호를 내 휴대폰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통화를 발신하는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4263A KR102062582B1 (ko) 2018-01-12 2018-01-12 웹 페이지에서 조회한 전화번호를 내 휴대폰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통화를 발신하는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6120A KR20190086120A (ko) 2019-07-22
KR102062582B1 true KR102062582B1 (ko) 2020-02-11

Family

ID=674690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4263A KR102062582B1 (ko) 2018-01-12 2018-01-12 웹 페이지에서 조회한 전화번호를 내 휴대폰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통화를 발신하는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258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0883B1 (ko) * 2015-04-23 2016-04-08 네이버 주식회사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5491B1 (ko) * 2012-02-14 2014-08-01 네이버 주식회사 웹 투 앱 연동 콜 서비스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0883B1 (ko) * 2015-04-23 2016-04-08 네이버 주식회사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6120A (ko) 2019-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203662A1 (en) Methods, systems, and media for launching a mobile application using a public display device
KR101910581B1 (ko) 사용자 대화 활동성 및 대화 상황 정보를 활용한 대화방 정렬 방법 및 그 시스템
US20140180585A1 (en) Navigation system application for mobile device
KR102077580B1 (ko) 복사된 메시지 리스트를 제공하는 방법과 시스템 및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CN112083987A (zh) 移动装置动作的远程调用
JP7016205B2 (ja) メッセージ基盤の通知を提供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CN109387217B (zh) 导航方法、计算机可读存储介质及导航服务器
KR102385081B1 (ko) 메신저 내 플랫폼에 추가된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대화방에서 정보를 공유하는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CN107395662B (zh) 利用不同的使用者识别体系识别所注册的使用者的服务器间的服务联动方法及系统
JP2017191602A (ja) 機器間アプリケーション連動方法およびシステム
CN106534280B (zh) 数据分享方法及装置
JP7393487B2 (ja) プロフィール写真を推薦する方法とシステム、および非一時的な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JP2017054507A (ja) 通信セッション上でイメージを利用して位置情報を提供する情報提供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102225175B1 (ko) 영상 통화를 이용한 길안내 방법 및 시스템
KR102230875B1 (ko) 휴대 단말기에서 채팅방 관리 방법 및 그 장치
US9763082B2 (en) Optimizing setup for wireless devices
KR102062582B1 (ko) 웹 페이지에서 조회한 전화번호를 내 휴대폰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통화를 발신하는 방법 및 시스템
EP3516831A1 (en) Uniform resource identifier and image sharing for contextual information display
KR20220105017A (ko) 관심 컨텐츠를 표시하는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2612067B1 (ko) 멀티 디바이스 환경에서 알림을 제공하는 방법과 시스템 및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600688B1 (ko) 메신저 상에서 자동 응답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CN107535013A (zh) 一种业务处理方法及终端
KR101982163B1 (ko) 인터넷 전화 서비스의 통화 자동 연결 방법 및 시스템
US2023037039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essaging service
CN110531952B (zh) 语音技能的处理方法、装置及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