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35022A - 무공형 케이블 트레이 - Google Patents

무공형 케이블 트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35022A
KR20200135022A KR1020190061386A KR20190061386A KR20200135022A KR 20200135022 A KR20200135022 A KR 20200135022A KR 1020190061386 A KR1020190061386 A KR 1020190061386A KR 20190061386 A KR20190061386 A KR 20190061386A KR 20200135022 A KR20200135022 A KR 202001350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cable tray
guide rails
type cable
hole ty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13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재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엘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엘시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엘시스템
Priority to KR10201900613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35022A/ko
Publication of KR202001350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502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56Ladders or other suppo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22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 number of parallel pipes at intervals
    • F16L3/223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 number of parallel pipes at intervals each support having one transverse base for supporting the pipes
    • F16L3/2235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 number of parallel pipes at intervals each support having one transverse base for supporting the pipes each pipe being supported by a common element fastened to the ba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Indoor Wiring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무공형 케이블 트레이는 사각판 형태로 형성되고, 두 개의 열로 나란히 배치되는 복수 개의 가이드 레일(10); 사각판 형태로 형성되고, 서로 맞대어 있는 두 개의 가이드 레일(10)의 상단에 외측은 라운드지고 내측은 각진 상부 걸림부(22)가 “L” 자형으로 형성되고 하단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선 돌기 걸림부(25)가 사선으로 돌출 형성되는 커넥터(20); 및 양단이 서로 대향하는 두 개의 가이드 레일(10)의 내면에 결합되는 복수 개의 가로 부재(40); 를 포함하고, 커넥터(20)의 상단면(21)은 상부 걸림부(22)에 의하여 걸림 고정되고, 커넥터(20)의 하단면(23)은 복수 개의 가이드 레일(10)의 하단면과 끼움 결합되는 이중 체결 구조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무공형 케이블 트레이{Holeless type cable tray}
고정 부재를 연결하여 길이를 연장하는 무공형 케이블 트레이에 관한 것이다.
건물의 천장이나 벽면에 전력용 케이블, 통신용 케이블 등과 같은 전기 케이블, 유압 튜브, 공압 튜브 등과 같은 가요성을 갖는 긴 형상의 물체를 보호 및 지지하기 위해서 다양한 종류의 케이블 트레이가 사용되고 있다. 건물 내부에 설치되는 케이블의 길이나 경로는 일정하지 않기 때문에 케이블 트레이는 일정한 사이즈의 단위 부재들로 분할되어 생산되며 케이블의 길이나 경로에 따라 필요한 만큼 단위 부재들을 연결하여 제작된다. 케이블 트레이는 무엇보다도 케이블의 하중을 견딜 수 있는 강성을 갖도록 제작되어야 하는데, 케이블 트레이의 전체가 평판 형태로 제작되면 케이블 트레이의 제작에 많은 양의 재료가 소비될 뿐만 아니라 그 무게 증가로 인해 건물 천장에 부착되기가 어려워 바람직하지 않다. 이에 따라, 케이블 트레이의 무게 감소를 위해 바닥은 일반적으로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가로 부재로 구현된다.
이러한 케이블 트레이의 형태 구조로 인해, 케이블 트레이의 길이 방향 결합은 넓은 면적 접촉을 통해 결합될 수 있으나 케이블 트레이의 횡방향 결합은 좁은 면적 접촉을 통해 결합됨에 따라 케이블 트레이의 길이 방향 결합에 비해 케이블 트레이의 횡방향 결합이 약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로 인해, 케이블 트레이에 다소 무거운 케이블이 실리거나 케이블의 증설 내지 수리를 위해 작업자가 케이블 트레이에 올라가는 경우에 케이블 트레이의 상측 모서리가 케이블 트레이의 내측으로 기울어지게 되고 결국 가로 부재가 분리되어 케이블이 낙하되어 단선이나 누전 등의 사고가 발생될 수 있고, 작업자 낙상 등과 같은 안전사고가 빈번하게 발생되어 왔다.
도 1을 참조하면, 이러한 종래의 케이블 트레이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6-0056831호는 체결공이 형성된 레일 부재(11)와, 레일 부재(11)의 양내측에 가로설치되며, 저부가 요입되어 역요형의 요입부를 형성한 가로 부재(12)와, 가로 부재(12) 저부의 요입부에 삽착됨과 동시에 레일 부재(11)에 형성된 체결공을 통하여 체착되도록 그 중심부에 나사공을 형성한 결합 부재, 및 레일 부재(11)의 외측에서 가로 부재(12)에 삽착된 결합 부재를 체결하기 위한 체결구(14)로 이루어지는 케이블 트레이를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케이블 트레이는 레일 부재(11)와 레일 부재(11)의 결합 부재가 여름에 팽창하여 솟아오르는 변형이 오게 되고, 이로 인하여 레일 부재(11)와 레일 부재(11)를 연결하는 고정 부재가 체결홈(15)으로부터 이탈되는 경우가 많다. 또한, 케이블 트레이의 제작 시 결합 부재의 형상에 제작 오차가 발생하게 되면 레일 부재(11)와 결합 부재의 맞물림이 긴밀하게 이루어지지 않게 되어 케이블 트레이가 더 쉽게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케이블 트레이는 발전기 등과 같은 전기 설비가 설치된 건물의 천장에 주로 설치되기 때문에 케이블 트레이가 진동하는 경우가 많다. 레일 부재(11)의 나사공에 체결구(14)가 체결되어 가로 부재(12)가 결합되는 경우에는 이러한 진동에 의해 나사공에 체결된 체결구(14)가 이탈되는 현상이 발생하여 케이블 트레이가 분리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케이블의 수명이 단축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케이블 트레이는 레일 부재(11)에 결합부재가 장착되는 체결홈(15)을 뚫기 위해서 천공기를 휴대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발명은 커넥터가 가이드 레일을 상부와 하부의 이중 체결구조로 측면에 체결하는 방식의 무공형 케이블 트레이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무공형 케이블 트레이는 사각판 형태로 형성되고, 두 개의 열로 나란히 배치되는 복수 개의 가이드 레일; 사각판 형태로 형성되고, 서로 맞대어 있는 두 개의 가이드 레일의 상단에 외측은 라운드지고 내측은 각진 상부 걸림부가 “L” 자형으로 형성되고 하단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선 돌기 걸림부가 사선으로 돌출 형성되는 커넥터; 및 양단이 상기 서로 대향하는 두 개의 가이드 레일의 내면에 결합되는 복수 개의 가로 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의 상단면은 상기 상부 걸림부에 의하여 걸림 고정되고, 상기 커넥터의 하단면은 복수 개의 가이드 레일의 하단면과 끼움 결합되는 이중 체결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중앙에 접지 홈이 형성된 사각판 형상이며, 상기 접지 홈은 커넥터의 중앙에 형성된 홈과 접지 볼트에 의하여 관통되어 접지 너트로 체결되어 고정되는 접지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넥터는 상단에는 “L” 자형으로 형성된 상부 걸림부가 형성되고, 상기 커넥터는 하단에는 돌기 형상의 복수 개의 사선 돌기 걸림부가 커넥터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커넥터의 하단면에 형성된 상기 복수개의 사선 돌기 걸림부는 가이드 레일의 “L”자 하단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사선 돌기 걸림부는 상기 커넥터의 하단면과 10도 내지 45도의 소정의 각도를 이루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사선 돌기 걸림부가 상기 커넥터의 하단면과 연결되는 부분은 상기 가이드 레일의 “L” 자형 하단이 끼움 결합되는 미세 오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 내측에는 중앙의 홈을 중심으로 대칭적으로 가이드 레일의 단부가 위치하는 자리를 표시하는 한 쌍의 여름 위치선과 한 쌍의 겨울 위치선이 표기되고, 상기 한 쌍의 여름 위치선은 상기 한 쌍의 겨울 위치선의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여름 위치선과 상기 겨울 위치선 사이의 간격은 가이드 레일의 여름과 겨울의 온도차에 의한 팽창률의 차이일 수 있다.
각각이 상기 각 가이드 레일의 가로 부재 공에 체결되어 상기 복수 개의 가이드 레일에 상기 복수 개의 가로 부재를 결합시키는 복수 개의 볼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은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및 첨부 "도면"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또는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각종 실시 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각 실시 예의 구성만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도 구현될 수도 있으며, 단지 본 명세서에서 개시한 각각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범위의 각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임을 알아야 한다.
복수 개의 가이드 레일(10)이 길이 방향으로는 사각판 형태로 형성되고 서로 맞대어 있는 두 개의 가이드 레일(10) 의 상단은 상부 걸림부(22)가 형성되고, 하단은 사선 돌기 걸림부(25)가 돌출 형성되어 서로 맞대어 있는 두 개의 가이드 레일(10)의 상단면과 하단면이 동시에 밀착 고정되게 하는 커넥터(20)로 연결되어 고정되고, 복수 개의 가이드 레일(10)의 두 개의 열은 양단이 서로 대향하는 두 개의 가이드 레일(10)의 내면에 체결되는 복수 개의 가로 부재(40)로 연결되어 고정되어, 상부 걸림부(22)와 사선 돌기 걸림부(25)가 형성된 커넥터(20)가 가이드 레일(10)의 상부와 하부를 이중 체결구조로 체결하여 가이드 레일(10)의 길이 연장을 용이하게 하면서도 체결력을 향상한 무공형 케이블 트레이를 제공한다.
중앙에 홈이 형성된 사각판 형상이며, 커넥터(20)의 중앙에 형성된 홈(21)에 접지 볼트(61)가 커넥터(20)의 중앙의 홈을 관통한 접지 볼트(61)가 접지 너트(65)에 의해 체결되는 접지판(60)은 무공형 케이블 트레이에 보관된 케이블을 통과하는 전기가 누전되었을 경우 누전된 전기를 접지판(60)과 접지 볼트(61)를 통해 외부로 안내한다.
사선 돌기 걸림부(25)는 가이드 레일(10)의 하단이 커넥터(20)의 하단면(23)과 10도 내지 45도의 소정의 각도(θ)를 이루며 돌출 형성된 복수개의 사설 돌기 걸림부(25)로 체결되어 서로 맞대어 있는 두 개의 가이드 레일(10) 커넥터(20)의 “L” 자형 하단에 체결되게 한다. 사선 돌기 걸림부(25)는 탄성이 있는 재질로 구성되어, 커넥터(20)가 복수 개의 가이드 레일(10)의 외부에서 끼움 결합할 수도 있다.
사선 돌기 걸림부(25')의 하단에 미세 오목부(A)가 형성되어 가이드 레일(10)의 “L” 자형 하단이 커넥터(20)의 하단면(23)에 끼움 결합되게 하여 서로 맞대어 있는 두 개의 가이드 레일(10)이 커넥터(20)의 “L” 자형 하단에 밀착 고정되게 한다.
무공형 케이블 트레이의 커넥터(20)에 형성된 여름 위치선(75)과 겨울 위치선(85)은 가이드 레일의 재질에 따른 팽창과 수축을 고려하여 가이드 레일(10)을 커넥터(20)에 결합시 여름에는 이웃하는 가이드 레일(10)의 단부를 여름 위치선(75)에 위치하게 하여 조립하고, 겨울에는 이웃하는 가이드 레일(10)의 단부를 겨울 위치선(85)에 위치하게 하여 조립하여 가이드 레일(10)의 계절에 따른 온도차로 인한 팽창에 기인한 휨변형을 방지한다.
복수 개의 가이드 레일(10)이 길이 방향으로는 커넥터(20)로 연결되어 고정되고, 복수 개의 가이드 레일(10)의 두 개의 열은 양단이 서로 대향하는 두 개의 가이드 레일(10)의 내면에 체결되는 복수 개의 가로 부재(40)로 연결되어 고정되어 전후좌우의 진동으로부터 케이블이 유지되어 보관되는 무공형 케이블 트레이를 제공한다.
도 1은 종래의 케이블 트레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공형 케이블 트레이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무공형 케이블 트레이(10)의 분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커넥터(20)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무공형 케이블 트레이의 가이드 레일(10)에 커넥터(20)가 끼워지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도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무공형 케이블 트레이의 가이드 레일(10)에 커넥터(20)가 끼워지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무공형 케이블 트레이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2에 도시된 무공형 케이블 트레이의 커넥터(20) 내측에 형성된 여름 위치선(75)과 겨울 위치선(85)을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8은 도 2에 도시된 가이드 레일(10)에 볼트(50)이 결합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예들은 건물의 천장이나 벽면에 그것의 형상을 따라 매우 길게 설치되어 전력용 케이블, 통신용 케이블 등과 같은 전기 케이블, 유압 튜브, 공압 튜브 등과 같은 가요성의 긴 형상의 물체를 보호 및 지지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무공형 케이블 트레이에 관한 것이다. 이하의 실시예들에 따른 무공형 케이블 트레이의 내부에는 상술한 바와 같은 다양한 케이블이 적재되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케이블이 적재될 수 있게 설치된 무공형 케이블 트레이의 위치를 기준으로 무공형 케이블 트레이를 구성하는 각 부재의 상하좌우의 방향을 정하기로 하며, 무공형 케이블 트레이의 내부와 외부를 기준으로 무공형 케이블 트레이를 구성하는 각 부재의 내부와 외부를 정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공형 케이블 트레이의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무공형 케이블 트레이는 복수 개의 가이드 레일(10), 복수 개의 커넥터(20), 복수 개의 가로 부재(40), 및 복수 개의 볼트(50)로 구성된다.
복수 개의 가이드 레일(10), 복수 개의 커넥터(20), 복수 개의 가로 부재(40) 등 대부분의 부품은 용융아연도금 강판으로 제작될 수 있고, 복수 개의 볼트(50) 등 일부 부품은 스테인리스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건물 내부의 습도가 높은 환경에서는 부품의 절단면의 내식성이 매우 우수하여야 하는데, `이를 위해 상기된 바와 같은 부품은 용융아연도금 강판 대신에 아연(Zn), 마그네슘(Mg), 및 알루미늄(Al)의 삼원계 합금 도금 강판으로 제작될 수도 있다.
건물 내부에 설치되는 케이블의 길이나 경로는 일정하지 않기 때문에 무공형 케이블 트레이는 복수 개의 가이드 레일(10)과 같은 일정한 사이즈의 단위 부재들로 분할되어 생산되며 케이블의 길이나 경로에 따라 필요한 만큼 단위 부재들을 연결하여 제작된다. 무공형 케이블 트레이는 무엇보다도 케이블의 하중을 견딜 수 있는 강성을 갖도록 제작되어야 하는데, 무공형 케이블 트레이의 전체가 평판 형태로 제작되면 무공형 케이블 트레이의 제작에 많은 양의 재료가 소비될 뿐만 아니라 그 무게 증가로 인해 건물 천장에 부착되기가 어려워 바람직하지 않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서는 무공형 케이블 트레이의 양 측벽은 복수 개의 사각판 형태의 가이드 레일(10)로 구현되고 바닥은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가로 부재(40)로 구현됨으로써 케이블의 하중을 견딜 수 있는 강성을 갖는 무공형 케이블 트레이가 최소량의 재료를 사용하여 가볍게 제작될 수 있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무공형 케이블 트레이(10)의 분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복수 개의 가이드 레일(10) 각각은 사각판 형태로 형성되고, 각 가이드 레일(10)의 하단부에는 각 가이드 레일(10)의 길이 방향 길이의 3분의 1에 해당하는 일정 간격으로 두 개의 원형 가로 부재 공(14)이 형성되어 있다.
복수 개의 가이드 레일(10)은 건물의 천장 아래 공간 등과 같은 무공형 케이블 트레이 설치 공간에 두 개의 열로 나란히 배치되어 무공형 케이블 트레이의 양 측벽을 형성한다. 두 개의 가이드 레일(10)이 길이 방향으로 서로 맞대어 배치되는 방식으로 복수 개의 가이드 레일(10) 중 절반이 나열됨으로써 두 개의 열 중 어느 하나의 열이 완성되고, 동일한 방식으로 복수 개의 가이드 레일(10) 중 나머지 절반이 나열됨으로써 두 개의 열 중 나머지 하나의 열이 완성된다. 서로 이웃하는 두 개의 가이드 레일(10)은 각 가이드 레일(10)의 길이 방향으로 이웃할 수도 있고 횡방향으로 이웃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길이 방향으로 서로 이웃하는 두 개의 가이드 레일(10)을 서로 맞대어 있는 두 개의 가이드 레일(10)로 표현하고 횡방향으로 서로 이웃하는 두 개의 가이드 레일(10)을 서로 대향하는 두 개의 가이드 레일(10)로 표현하기로 한다.
각 가이드 레일(10)의 상측 모서리와 하측 모서리 각각은 횡단면 "L" 자형 형상으로 무공형 케이블 트레이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어느 하나의 열에 속하는 가이드 레일(10)과 다른 하나의 열에 속하는 가이드 레일(10)은 그 상하측 모서리의 연장 부위가 무공형 케이블 트레이의 내부 방향으로 서로 대칭되어 돌출되도록 배치된다. 좌측 열의 각 가이드 레일(10)은 그 횡단면이 "[" 형상을 나타내고 우측 열의 각 가이드 레일(10)은 그 횡단면이 "]" 형상을 나타내도록 좌측 열의 각 가이드 레일(10)과 우측 열의 각 가이드 레일(10)은 서로 대칭되어 배치된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커넥터(20)의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복수 개의 커넥터(20) 각각은 그 상단면(21)에 상부 걸림부(22)가 형성되고, 그 하단면(23)에 사선 돌기 걸림부(25)가 돌출되어 있는 사각판 형태로 형성된다. 커넥터(20)의 사선 돌기 걸림부(25)는 사선 돌기 형상으로 하나 또는 복수 개가 형성되어 커넥터(20)의 내면으로 돌출되어 있다. 각 커넥터(20)는 횡단면 "]" 형상을 갖는 사각판으로서 서로 맞대어 있는 두 개의 가이드 레일(10) 사이에 체결되어 두 개의 가이드 레일(10)을 연결한다. 각 커넥터(20)의 상단면(21)에는 상부 걸림부(22)가 형성되어 가이드 레일(10)의 상부 “L” 자형 상단을 걸림 고정한 채로 각 커넥터(20)의 하단면(23)에는 사선 돌기 걸림부(25)가 형성되어 가이드 레일(10)의 “L” 자형 하단과 끼움 결합된다. 커넥터(20)는 서로 맞대어 있는 두 개의 가이드 레일(10) 의 “L” 자형 하단이 커넥터(20) 하단에 돌출된 복수개의 돌기 형상의 사선 돌기 걸림부(25)와 하단면(23) 사이의 연결 부위에 끼움 결합되어 서로 맞대어 있는 두 개의 가이드 레일(10)이 커넥터(20)와 밀착된다. 각 커넥터(20)는 서로 맞대어 있는 두 개의 가이드 레일(10)의 일측 상단과 일측 하단을 동시에 밀착되게 끼움 결합함으로써 서로 맞대어 있는 두 개의 가이드 레일(10)이 커넥터(20)에 맞물리어 체결되게 한다.
사선 돌기 걸림부(25)는 커넥터(20)의 하단면(23)과 소정의 각도(θ)를 이루고 있다. 소정의 각도는 10도 내지 45도로 형성될 수 있으며, 30도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선 돌기 걸림부(25')가 커넥터(20)의 하단면(23)과 연결되는 부분은 가이드 레일(10)의 하단이 끼움 결합되도록 가이드 레일(10)의 하부 두께보다 조금 큰 “[“ 자형 형상의 미세 오목부(A)가 형성될 수 있다.
접지판(60)은 중앙에 홈이 형성된 사각판 형상이지만, 사각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원형 또는 다각형일 수 있다. 커넥터(20)의 중앙에 형성된 홈(24)에 접지 볼트(61)가 커넥터(20)의 중앙의 홈(64)과 동시에 관통하여 접지 너트(65)에 체결된다. 접지판(60), 접지 볼트(61) 및 접지 너트(65)는 재질이 전기 전도도가 큰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고, 전기 전도도가 큰 금속재가 일측 외면에 코팅될 수도 있다. 접지판(60)은 무공형 케이블 트레이에 보관된 케이블을 통과하는 전기가 누전되었을 경우 누전된 전기를 접지판(60), 접지 볼트(61) 및 접지 너트(65)를 통해 외부로 안내한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무공형 케이블 트레이의 가이드 레일(10)에 커넥터(20)가 끼워지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도이고, 도 6은 도 2에 도시된 무공형 케이블 트레이의 가이드 레일(10)에 커넥터(20)가 끼워지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무공형 케이블 트레이의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가이드 레일(10)을 커넥터(20)에 연결하는 방법으로는, 커넥터(20)의 상단면(21)의 상부 걸림부(22)의 내측에 가이드 레일(10)의 상단면을 밀착시키고, 커넥터(20)의 하단면(23)과 사선 돌기 걸림부(25) 사이에 가이드 레일(10)의 하단면을 측면에서 삽입하여 끼움 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가이드 레일(10)을 커넥터(20)에 연결하는 다른 방법으로는 작업자가 두 개의 가이드 레일(10)을 길이 방향으로 서로 맞댄 후, 커넥터(20)의 내측면을 두 개의 가이드 레일(10)의 외측면에 근접시킨다. 작업자는 커넥터(20)의 하단면(23)과 사선 돌기 걸림부(25) 사이에 두 개의 가이드 레일(10)의 하단면을 끼움 결합한 채로 커넥터(20)을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커넥터의 상단면(21)의 라운드진 상부 걸림부(21)의 전면에 가이드 레일(10)의 상측 모서리가 인접하게 한다. 이 상태로 가이드 레일(10)의 상측 모서리를 커넥터(20)의 상부 걸림부(22)를 향하여 망치 등의 도구를 사용하여 순간적으로 힘을 가하여 밀면 라운드 진 상부 걸림부(22)의 하측으로 커넥터(20)의 상단측 모서리가 미끄러지면서 커넥터(20)의 상단면(22)이 약간 상측으로 밀리게 되고, 이때 가이드 레일(10)의 상측 모서리는 커넥터(20)의 내측면의 상측 모서리와 인접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가이드 레일(10)을 커넥터(20)에 연결하는 또 다른 방법으로는 가이드 레일(10)의 상단면을 커넥터(21)의 상부 걸림부(22)에 걸리게 하고, 서로 맞대어 있는 두 개의 가이드 레일(10)의 하단면의 하측 모서리의 “L”자 부위가 커넥터(20)의 사선 돌출 걸림부(25)를 누르게 하여, 커넥터(20)를 가이드 레일(10)을 향하는 방향으로 밀면 가이드 레일(10)의 하단면이 커넥터(20)의 사선 돌기 걸림부(25)를 누른 채로 가이드 레일(10)의 하측 모서리가 커넥터(20)의 하측 모서리에 밀접하게 되고, 이후 눌려있던 커넥터(20)의 사선 돌기 걸림부(25)가 탄성에 의하여 하단면(23) 상부로 튀어 올라오면서 커넥터(20)의 사선 돌기 걸림부(25)가 가이드 레일(10)의 하단면을 끼움 결합할 수도 있다.
두 개의 가이드 레일(10)이 커넥터(20)의 내측에서 이웃하게 고정한 후에 두 개의 가이드 레일(10)이 연접하는 양단부의 내측면에 접지판(60)을 밀착시키고 접지 볼트(61)를 접지 홈(64)와 커넥터의 홈(24)를 관통하게 하여 접지 너트(65)와 체결함으로써 커넥터(20), 두 개의 가이드 레일(10), 접지판(60) 순으로 밀착되어 체결되게 한다.
도 7은 도 2에 도시된 무공형 케이블 트레이의 커넥터(20) 내측에 형성된 여름 위치선(75)과 겨울 위치선(85)을 도시한 모식도이다.
무공형 케이블 트레이의 커넥터(20) 내측에는 중앙의 홈(25)를 중심으로 가이드 레일(10)의 단부의 위치를 표시하는 여름 위치선(75)와 겨울 위치선(85)이 표기된다. 가이드 레일(10)은 여름에는 고온으로 인한 팽창으로 이웃하는 가이드 레일(10)의 결합 부위가 솟아오르는 휘어짐이 발생할 수 있고, 겨울에는 저온으로 인한 수축으로 이웃하는 가이드 레일(10)이 수축되어 가이드 레일(10)이 커넥터(20)로부터 이탈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무공형 케이블 트레이의 커넥터(20)에 형성된 여름 위치선(75)과 겨울 위치선(85)은 가이드 레일의 재질에 따른 팽창과 수축을 고려하여 가이드 레일(10)을 커넥터(20)에 결합시 여름에는 이웃하는 가이드 레일(10)의 단부를 여름 위치선에 위치하게 조립하고, 겨울에는 이웃하는 가이드 레일(10)의 단부를 겨울 위치선에 위치하게 조립하여 열에 의한 휘어짐 현상을 방지한다.
도 8은 도 2에 도시된 가이드 레일(10)에 볼트(50)가 결합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복수 개의 볼트(50) 각각은 각 가이드 레일(10)에 복수 개의 가로 부재(40)를 결합시킨다. 복수 개의 볼트(50) 중 무공형 케이블 트레이의 횡방향으로 배치되는 두 개의 볼트(50)는 서로 대향하는 두 개의 가이드 레일(10)에 각 가로 부재(40)를 결합시킨다. 즉, 복수 개의 볼트(50) 중 무공형 케이블 트레이의 횡방향으로 배치되는 두 개의 볼트(50)는 서로 대향하는 두 개의 가이드 레일(10)의 하단부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복수 개의 가로 부재 공(14)을 통과하여 가로 부재(40)를 가이드 레일(10)에 조임 결합됨으로써 복수 개의 가이드 레일(10)에 복수 개의 가로 부재(40)를 결합시킨다. 각 볼트(50)의 헤드의 하면에는 복수 개의 일자형 돌기들이 각 볼트(50)의 중심으로부터 방사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각 볼트(50)가 가이드 레일(10)에 조임 결합되어 각 볼트(50)의 헤드의 하면이 각 가이드 레일(10)의 외면에 압착되는 과정에서 각 볼트(50)의 헤드 하면의 일자형 돌기들에 의해 각 가이드 레일(10)의 외면에 복수 개의 일자형 홈이 형성됨에 따라 각 볼트(50)의 헤드 하면의 복수 개의 일자형 돌기들과 각 가이드 레일(10)의 외면의 복수 개의 일자형 홈은 맞물리게 된다. 이러한 맞물림 결합에 의해 상술한 바와 같은 원인들로 인해 무공형 케이블 트레이가 진동하는 경우에도 각 볼트(50)가 풀리지 않게 된다. 특히, 각 가이드 레일(10)의 외면에 대한 어떤 가공 없이도 각 볼트(50)의 헤드 하면의 형상만으로 각 볼트(50)가 무공형 케이블 트레이의 진동에 강인한 결합력을 갖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 개의 가이드 레일(10)이 길이 방향으로는 사각판 형태로 형성되고 서로 맞대어 있는 두 개의 가이드 레일(10) 의 상단은 상부 걸림부(22)가 형성되고, 하단은 사선 돌기 걸림부(25)가 돌출 형성되어 서로 맞대어 있는 두 개의 가이드 레일(10)의 상단면과 하단면이 동시에 밀착 고정되게 하는 커넥터(20)로 연결되어 고정되고, 복수 개의 가이드 레일(10)의 두 개의 열은 양단이 서로 대향하는 두 개의 가이드 레일(10)의 내면에 체결되는 복수 개의 가로 부재(40)로 연결되어 고정되어 전후좌우의 진동으로부터 케이블이 유지되어 보관되는 무공형 케이블 트레이를 제공한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가이드 레일
14 : 가로 부재 공
20 : 커넥터
22 : 상부 걸림부
24 : 홈
25 : 사선 돌기 걸림부
40 : 가로 부재
50 : 볼트
60 : 접지판
61 : 접지 볼트
64 : 접지 홈
65 : 접지 너트

Claims (6)

  1. 사각판 형태로 형성되고, 두 개의 열로 나란히 배치되는 복수 개의 가이드 레일(10);
    사각판 형태로 형성되고, 서로 맞대어 있는 두 개의 가이드 레일(10)의 상단에 외측은 라운드지고 내측은 각진 상부 걸림부(22)가 “L” 자형으로 형성되고 하단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선 돌기 걸림부(25)가 사선으로 돌출 형성되는 커넥터(20); 및
    양단이 상기 서로 대향하는 두 개의 가이드 레일(10)의 내면에 결합되는 복수 개의 가로 부재(40); 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20)의 상단면(21)은 상기 상부 걸림부(22)에 의하여 걸림 고정되고, 상기 커넥터(20)의 하단면(23)은 복수 개의 가이드 레일(10)의 하단면과 끼움 결합되는 이중 체결 구조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공형 케이블 트레이.
  2. 제 1 항에 있어서,
    중앙에 접지 홈(64)이 형성된 사각판 형상이며, 상기 홈(64)은 커넥터(20)의 중앙에 형성된 홈(24)과 접지 볼트(61)에 의하여 관통되어 접지 너트(65)로 체결되어 고정되는 접지판(6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공형 케이블 트레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선 돌기 걸림부(25)는 상기 커넥터(20)의 하단면(23)과 10도 내지 45도의 소정의 각도(θ)를 이루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공형 케이블 트레이.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선 돌기 걸림부(25)가 상기 커넥터(20)의 하단면(23)과 연결되는 부분은 상기 가이드 레일(10)의 “L” 자형 하단이 끼움 결합되는 미세 오목부(A)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공형 케이블 트레이.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20) 내측에는 중앙의 홈(25)을 중심으로 대칭적으로 가이드 레일(10)의 단부가 위치하는 자리를 표시하는 한 쌍의 여름 위치선(75)과 한 쌍의 겨울 위치선(85)이 표기되고,
    상기 한 쌍의 여름 위치선(75)은 상기 한 쌍의 겨울 위치선(85)의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여름 위치선(75)과 상기 겨울 위치선(85) 사이의 간격은 가이드 레일(10)의 여름과 겨울의 온도차에 의한 팽창률의 차이에 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공형 케이블 트레이.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가이드 레일(10)의 가로 부재 공(14)에 체결되어 상기 복수 개의 가로 부재(40)를 결합시키는 복수 개의 볼트(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공형 케이블 트레이.
KR1020190061386A 2019-05-24 2019-05-24 무공형 케이블 트레이 KR2020013502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1386A KR20200135022A (ko) 2019-05-24 2019-05-24 무공형 케이블 트레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1386A KR20200135022A (ko) 2019-05-24 2019-05-24 무공형 케이블 트레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5022A true KR20200135022A (ko) 2020-12-02

Family

ID=737920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1386A KR20200135022A (ko) 2019-05-24 2019-05-24 무공형 케이블 트레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3502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09609B2 (en) Cable tray system with splice plate
US7476807B1 (en) Electrical box assembly including adjustable bracket
KR101349269B1 (ko) 원터치 방식의 케이블 트레이
KR101422617B1 (ko) 조립구조가 개선된 케이블 트레이
KR101291298B1 (ko) 케이블 트레이
CN217303156U (zh) 一种自锁紧型材件和采用该型材件的连接结构
EP0204281A2 (en) Load-bearing structure for raised floors
KR20110110410A (ko) 부스 덕트용 조인트 키트
CA2712771C (en) Cable staple
KR200257931Y1 (ko) 케이블 트레이
KR200303366Y1 (ko) 케이블트레이 연결구조
KR20200135022A (ko) 무공형 케이블 트레이
KR101601766B1 (ko) 케이블 트레이의 렁 및 그것의 제조 방법
KR101828043B1 (ko) 케이블 트레이
KR102087383B1 (ko) 케이블 트레이 연결구조
JP5588756B2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の取付け具及び太陽電池モジュールの取付け方法、並びに屋根構造
KR101587590B1 (ko) 케이블 트레이
KR102303740B1 (ko) 케이블 트레이
JP5505084B2 (ja) 太陽光発電モジュールのアース接地方法
EP0064404A2 (en) Claddings including panel assemblies
KR101995470B1 (ko) 내진프레임이 적용된 수배전반
CN116034539A (zh) 用于光伏模块的支撑件
JP4156433B2 (ja) 配線・配管材用収納材の配設構造、及び固定具
KR20210152352A (ko) 케이블 트레이 및 그 조립 방법
KR101850067B1 (ko) 조립식 트레이용 측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