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34949A - 생리 활성 펩티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고지혈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생리 활성 펩티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고지혈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34949A
KR20200134949A KR1020190061186A KR20190061186A KR20200134949A KR 20200134949 A KR20200134949 A KR 20200134949A KR 1020190061186 A KR1020190061186 A KR 1020190061186A KR 20190061186 A KR20190061186 A KR 20190061186A KR 20200134949 A KR20200134949 A KR 202001349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ptide
cholesterol
casein
preventing
hyperlipidemi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11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24707B1 (ko
Inventor
윤부현
이성민
Original Assignee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0611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4707B1/ko
Publication of KR202001349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49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47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47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04Peptides having up to 20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A61K38/08Peptides having 5 to 11 amino acid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7Amino acids, peptides or proteins
    • A23L33/18Peptides; Protein hydrolysat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7Amino acids, peptides or proteins
    • A23L33/19Dairy protei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30Dietetic or nutritional methods, e.g. for losing weigh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01Hydrolysed prote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012Hydrolysed prote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 A61K38/018Hydrolysed prote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mil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6Antihyperlipidemic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6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blood cholesterol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Immu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Obesity (AREA)
  • Hematology (AREA)
  • Diabet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제인 가수분해물에서 분리된 펩티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고지혈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상기 카제인 가수분해물에서 분리된 펩티드는 콜레스테롤 배출을 조절하는 단백질 ABCG5의 발현 수준을 증가시키고 소장 세포 내 콜레스테롤 및 고지혈증 동물모델의 혈중 콜레스테롤 수준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 확인됨에 따라, 상기 카제인 가수분해물에서 분리된 펩티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은 고지혈증 치료제 또는 개선용 건강식품으로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생리 활성 펩티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고지혈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hyperlipidemia comprising bioactive peptides}
본 발명은 카제인 가수분해물에서 분리된 생리 활성 펩티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고지혈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최근 식생활 변화에 수반하여 지방 및 콜레스테롤의 과잉섭취로 인한 고지혈증 환자가 현격하게 증가하고 있다. 고지혈증은 혈액 속의 지질성분이 보통 이상으로 증가된 상태를 말한다. 혈청 지질의 주요 성분은 콜레스테롤, 중성지질, 인지질 및 유리지방산 등의 지용성 물질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 지질물질 중 어느 것이 주로 증가하느냐에 따라 고콜레스테롤혈증, 고중성지질혈증 등으로 불리운다.
혈청 내 콜레스테롤 및 중성지질의 증가는 고지혈증의 가장 일반적인 원인으로 보고되고 있는데 과다한 지방질의 축적으로 혈액순환장애 및 미세순환부전을 일으켜 죽상 동맥경화증, 허혈성 심질환, 뇌경색, 고혈압, 비만, 당뇨병 등을 초래할 수 있다.
콜레스테롤은 인체의 기능을 정상적으로 유지시키는 데 필수적인 구성 성분으로, 세포를 만드는데 꼭 필요한 영양소로 생체막의 구성성분인 동시에 부신피질 호르몬, 남성 호르몬, 여성 호르몬 등 여러 가지 호르몬 및 담즙을 만드는 재료가 된다.
그러나 콜레스테롤 과다 섭취시 혈관 내에 축적되어 심장계 질환을 유발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혈중 지질 농도를 감소시키는 방법으로는 콜레스테롤이나 지방이 많이 함유되어 있는 음식물의 섭취를 줄이는 식이 요법, 운동 요법 및 약물 요법 등이 사용되고 있으나, 식이 요법이나 운동 요법은 엄격한 관리 및 실시가 곤란하며, 그 치료 효과에 있어서도 한계가 있다.
현재까지 개발된 지질 농도를 감소시키는 약물로는 담즙산 결합수지, 콜레스테롤 생합성에 있어서 중요한 효소인 HMG-CoA 환원효소 억제제와 같은 콜레스테롤 양을 낮추어주는 약물, 피브린산 유도체, 니코린 산 등의 중성지방을 저하시키는 약제들이 개발되었으나 이러한 약제들은 간독성, 위장장애 및 발암성 등의 부작용이 보고되었다.
이에 따라, 약물의 부작용 문제를 해결하면서 혈중 지질 농도를 효과적으로 낮추어서 고지혈증 및 이와 관련된 질환의 치료에 사용될 수 있는 약제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5-0135647호 (2015.12.03. 공개)
본 발명은 카제인 가수분해물에서 분리된 펩티드를 제공하여 종래의 고지혈증 치료제의 부작용을 해결하고, 효과적으로 콜레스테롤을 배출시키는 고지혈증 개선제 또는 치료제로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서열번호 9 또는 서열번호 12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카제인 펩티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고지혈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서열번호 9 또는 서열번호 12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카제인 펩티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고지혈증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식품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서열번호 9 또는 서열번호 12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카제인 펩티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체중 감소용 건강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카제인 가수분해물에서 분리된 펩티드가 콜레스테롤 배출을 조절하는 단백질 ABCG5의 발현 수준을 증가시켰으며, 소장 세포 내 콜레스테롤 및 고지혈증 동물모델의 혈중 콜레스테롤 수준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 확인됨에 따라, 상기 카제인 가수분해물에서 분리된 펩티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은 고지혈증 치료제 또는 개선용 건강식품으로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대장암 세포주 Caco-2에서 카제인 가수분해산물 처리에 따른 콜레스테롤 배출 조절 유전자인 ABCG5의 발현 수준을 확인한 결과이다.
도 2는 카제인 가수분해산물 중 ABCG5의 발현을 증가시키는 효과를 나타내는 펩티드가 포함된 분획물을 얻기 위한 HPLC 분석 결과이다.
도 3은 대장암 세포주 Caco-2에서 가장 우수한 ABCG5 발현 증가 효과를 나타내는 펩티드가 포함된 분획물을 확인한 결과이다.
도 4는 분리된 12개의 펩티드를 각각 300ng/ml 농도로 대장암 세포주 Caco-2에 처리한 후 ABCG5 발현 증가 효과를 확인한 결과이다.
도 5는 대장암 세포주 Caco-2에서 9번 및 12번 펩티드 처리에 따른 콜레스테롤 축적 억제 효과를 확인한 결과이다.
도 6은 고지혈증 마우스 동물모델에 9번 및 12번 펩티드 각각 10mg/kg으로 주 5회 경구 투여하고 10주간 체중 변화를 확인한 결과이다.
도 7은 고지혈증 마우스 동물모델에 9번 및 12번 펩티드 각각 10mg/kg으로 주 5회씩 10주간 경구 투여한 후 마우스 동물모델의 혈액 내 총 콜레스테롤 함량 변화를 확인한 결과이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혈중 콜레스테롤의 축적은 고지혈증으로 이어져 심혈관질환을 유발하는 가장 주요한 요인이다. 이러한 고지혈증을 제어 및 치료하기 위해서 스타틴(statin) 계열의 약물이 개발되어 치료제로 사용되고 있으나, 스타틴 계열 약물은 장기적으로 복용 시 부작용이 발생되는 것으로 확인됨에 따라, 본 발명자들은 종래의 콜레스테롤 조절제 부작용을 개선하고 안전하게 콜레스테롤 축적을 제어할 수 있는 약물에 대한 연구 중 카제인 가수분해물에서 분리된 펩티드가 콜레스테롤 배출을 조절하는 단백질 발현에 영향을 미치는 효과를 확인함에 따라,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서열번호 9 또는 서열번호 12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펩티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고지혈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펩티드는 카제인 가수분해물에서 분리된 것일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펩티드는 카제인 단백질을 효소로 가수분해하여 얻어진 산물이며, 상기 효소는 펩신, 트립신, 케모트립신, 엘라스타아제 및 파페인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펩티드는 세포 내 콜레스테롤 배출을 조절하는 ABCG5 단백질 발현을 증가시키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펩티드는 혈중 콜레스테롤 수준 및 체중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카제인 가수분해물에서 분리된 9 및 12번 카제인 펩티드가 생체 내에서 콜레스테롤 배출억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고콜레스테롤 식이를 이용하여 고지혈증을 유발시킨 C57BL/6 마우스에 9번과 12번 펩티드 수용액을 10mg/kg의 양이 되도록 체중에 비례하여 5회/주 동안 구강 투여한 후, 10주간의 체중 변화를 확인하였다. 체중은 매주 투여가 끝난 날에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7과 같이 12번 카제인 펩티드가 투여된 마우스의 체중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과정으로 10주간 9 및 12번 카제인 펩티드를 경구 투여한 C57BL/6 마우스의 혈액을 채혈한 후 수집된 혈액으로부터 혈청을 추출하여 총 콜레스테롤 수준 변화를 확인한 결과, 도 8과 같이 9 및 12번 카제인 펩티드는 혈액 내 콜레스테롤 함량을 효과적으로 감소시켰다.
상기 결과로부터 9 및 12번 카제인 펩티드는 모두 혈중 콜레스테롤 하강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 확인되었으며, 특히 12번 펩티드가 매우 우수한 혈중 콜레스테롤 하강 효과를 나타내며, 체중 감소에 매우 효과적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서, 상기 서열번호 9 또는 서열번호 12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펩티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고지혈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은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주사제, 과립제, 산제, 정제, 환제, 캡슐제, 좌제, 겔, 현탁제, 유제, 점적제 또는 액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에서, 서열번호 9 또는 서열번호 12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펩티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고지혈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붕해제, 감미제, 피복제, 팽창제, 윤활제, 활택제, 향미제, 항산화제, 완충액, 정균제, 희석제, 분산제, 계면활성제, 결합제 및 윤활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사용할 수 있으며,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조성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 수크로스 또는 락토오스,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할 수 있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티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할 수 있다. 경구를 위한 액상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있으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 등이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재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약학 조성물은 정맥내, 동맥내, 복강내, 근육내, 동맥내, 복강내, 흉골내, 경피, 비측내, 흡입, 국소, 직장, 경구, 안구내 또는 피내 경로를 통해 통상적인 방식으로 대상체로 투여할 수 있다.
상기 펩티드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대상체의 상태 및 체중, 질환의 종류 및 정도, 약물 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1일 투여량이 0.01 내지 200 mg/kg, 구체적으로는 0.1 내지 200 mg/kg, 보다 구체적으로는 0.1 내지 100 mg/kg 일 수 있다. 투여는 하루에 한 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로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대상체'는 인간을 포함하는 포유동물일 수 있으나, 이들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서열번호 9 또는 서열번호 12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펩티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고지혈증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식품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서열번호 9 또는 서열번호 12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펩티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체중 감소용 건강식품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건강식품은 상기 펩티드 이외에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첨가물과 함께 사용되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유효성분의 혼합양은 그의 사용 목적 예를 들어 예방, 건강 또는 치료적 처치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상기 건강식품에 함유된 화합물의 유효용량은 상기 치료제의 유효용량에 준해서 사용할 수 있으나,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는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으며, 유효성분은 안전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도 사용될 수 있음은 확실하다.
상기 건강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고, 예로는 육류, 소세지, 빵, 쵸코렛, 캔디류, 스넥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콜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등을 들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내용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 실시예 1> 카제인 펩티드 선별
사람의 대장암 세포주인 Caco-2 세포주에 카제인 단백질 (alpha-s1, alpha-s2, beta, kappa casein 혼합물, Sigma-aldrich) 또는 펩신 (pepsin, 0.4% w/v pepsin 용액 활용, pH 2.0, 37℃ 조건에서 2시간 분해) 및 트립신(trypsin , 0.4% w/v trypsin 용액 활용, pH 7.0, 37℃ 조건에서 2시간 분해)을 이용한 카제인 가수 분해물(casein hydrolysate)을 각각 2mg/ml 농도로 처리하고 6시간 후 mRNA 발현 변화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도 1과 같이 소장 세포 내에서 콜레스테롤 배출을 주관하는 것으로 알려진 ABCG5의 발현이 카제인 처리에 의해 증가하였으며, 특히 카제인 가수분해물에 의해 더욱 증가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카제인 가수분해 산물의 많은 펩티드 중 ABCG5의 발현을 증가시키는 펩티드를 선별하기 위해 HPLC (C18, Sunfire column)를 이용하여 펩티드 분리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도 2와 같이 펩티드가 혼합된 4개의 펩티드 분획을 얻었다.
상기 과정으로 획득한 분획을 Caco-2 세포에 처리하고 6시간 후 ABCG5의 발현을 비교하였다. 이때 동일 실험 조건에서 2회 반복 실험을 진행하고 각 실험 결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도 3과 같이 1번 분획에서 ABCG5의 발현 증가가 확인되었다.
상기 실험결과로부터 1번 분획의 펩티드의 서열을 분석한 결과, 표 1과 같은 총 12개의 펩티드가 확인되었다.
Figure pat00001
표 1과 같은 12개의 펩티드를 순도 99%로 합성하고, Caco-2 세포에 300 ng/ml 농도로 처리하고 6시간 후 mRNA ABCG5의 발현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도 4와 같이 9 및 12번 펩티드에서 ABCG5 발현이 유의하게 증가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 결과로부터 모든 카제인 가수분해물에서 분리된 모든 펩티드가 동일하게 ABCG5 발현 억제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 아님이 확인되었다.
< 실시예 2> 생체 외(In vitro) 카제인 펩티드의 콜레스테롤 배출억제 효과 확인
앞선 실험에서 확인된 카제인 펩티드 9 및 12번을 Caco-2 세포에 6시간 동안 처리하고, 콜레스테롤 혼합액 (100 μM Cholesterol, 3mM sodium taurocholate, 30mM monoolein)을 2시간 처리한 후 콜레스테롤 염색약 (filipin III)을 이용하여 세포 내 콜레스테롤 축적량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도 6과 같이 콜레스테롤 단독 처리군과 비교하여 펩티드가 같이 처리된 세포군에서 콜레스테롤 축적이 감소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상기 결과로부터 9 및 12번 카제인 펩티드는 세포 내 콜레스테롤을 효과적으로 배출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 실시예 3> 생체 내 (In vivo ) 카제인 펩티드의 콜레스테롤 배출억제 효과 확인
9 및 12번 카제인 펩티드가 생체 내에서도 콜레스테롤 배출억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고콜레스테롤 식이를 이용하여 고지혈증을 유발시킨 C57BL/6 마우스에 9번과 12번 펩티드 수용액을 10mg/kg의 양이 되도록 체중에 비례하여 5회/주 동안 구강 투여한 후, 10주간의 체중 변화를 확인하였다. 체중은 매주 투여가 끝난 날에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7과 같이 12번 카제인 펩티드가 투여된 마우스의 체중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과정으로 10주간 9 및 12번 카제인 펩티드를 경구 투여한 C57BL/6 마우스의 혈액을 채혈한 후 수집된 혈액으로부터 혈청을 추출하여 총 콜레스테롤 수준 변화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도 8과 같이 9 및 12번 카제인 펩티드는 혈액 내 콜레스테롤 함량을 효과적으로 감소시켰다.
상기 결과로부터 9 및 12번 카제인 펩티드는 모두 혈중 콜레스테롤 하강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 확인되었으며, 특히 12번 펩티드가 매우 우수한 혈중 콜레스테롤 하강 효과를 나타내며, 체중 감소에 매우 효과적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110> Pusan National University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Foundation <120>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hyperlipidemia comprising bioactive peptides <130> ADP-2019-0106 <160> 12 <170> KopatentIn 2.0 <210> 1 <211> 11 <212> PRT <213> alpha-s1 casein <400> 1 His Ile Gln Lys Glu Asp Val Pro Ser Glu Arg 1 5 10 <210> 2 <211> 8 <212> PRT <213> alpha-s1 casein <400> 2 Lys Lys Tyr Lys Val Pro Gln Leu 1 5 <210> 3 <211> 8 <212> PRT <213> alpha-s1 casein <400> 3 Glu Gly Ile His Ala Gln Gln Lys 1 5 <210> 4 <211> 12 <212> PRT <213> alpha-s2 casein <400> 4 Val Lys Ile Thr Val Asp Asp Lys His Tyr Gln Lys 1 5 10 <210> 5 <211> 10 <212> PRT <213> alpha-s2 casein <400> 5 Ile Thr Val Asp Asp Lys His Tyr Gln Lys 1 5 10 <210> 6 <211> 10 <212> PRT <213> alpha-s2 casein <400> 6 Lys Ala Met Lys Pro Trp Ile Gln Pro Lys 1 5 10 <210> 7 <211> 9 <212> PRT <213> beta-casein <400> 7 Lys Ile His Pro Phe Ala Gln Thr Gln 1 5 <210> 8 <211> 8 <212> PRT <213> beta-casein <400> 8 His Lys Glu Met Pro Phe Pro Lys 1 5 <210> 9 <211> 11 <212> PRT <213> beta-casein <400> 9 Ser Gln Ser Lys Val Leu Pro Val Pro Gln Lys 1 5 10 <210> 10 <211> 9 <212> PRT <213> kappa casein <400> 10 Arg Phe Phe Ser Asp Lys Ile Ala Lys 1 5 <210> 11 <211> 7 <212> PRT <213> kappa casein <400> 11 Ser Asn Thr Val Pro Ala Lys 1 5 <210> 12 <211> 8 <212> PRT <213> kappa casein <400> 12 His Pro His Pro His Leu Ser Phe 1 5

Claims (6)

  1. 서열번호 9 또는 서열번호 12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펩티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고지혈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펩티드는 카제인 가수분해물에서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지혈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펩티드는 세포 내 콜레스테롤 배출을 조절하는 ABCG5 단백질 발현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지혈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펩티드는 혈중 콜레스테롤 수준 및 체중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지혈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5. 서열번호 9 또는 서열번호 12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펩티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고지혈증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식품.
  6. 서열번호 9 또는 서열번호 12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펩티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체중 감소용 건강식품.
KR1020190061186A 2019-05-24 2019-05-24 생리 활성 펩티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고지혈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2247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1186A KR102224707B1 (ko) 2019-05-24 2019-05-24 생리 활성 펩티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고지혈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1186A KR102224707B1 (ko) 2019-05-24 2019-05-24 생리 활성 펩티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고지혈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4949A true KR20200134949A (ko) 2020-12-02
KR102224707B1 KR102224707B1 (ko) 2021-03-08

Family

ID=737918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1186A KR102224707B1 (ko) 2019-05-24 2019-05-24 생리 활성 펩티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고지혈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470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318366A1 (en) * 2006-03-22 2009-12-24 Dsm Ip Assets B.V. Cholesterol lowering protein hydrolysates
KR20150135647A (ko) 2014-05-23 2015-12-03 재단법인 전주농생명소재연구원 항당뇨 및 항고지혈증 활성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jb pml-127 균주 및 이의 용도
US20170326198A1 (en) * 2011-09-29 2017-11-16 Belinda Vallejo Galland Lactococcus lactis strains for producing bioactive peptides having anti-hypertensive and cholesterol-lowering effect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318366A1 (en) * 2006-03-22 2009-12-24 Dsm Ip Assets B.V. Cholesterol lowering protein hydrolysates
US20170326198A1 (en) * 2011-09-29 2017-11-16 Belinda Vallejo Galland Lactococcus lactis strains for producing bioactive peptides having anti-hypertensive and cholesterol-lowering effects
KR20150135647A (ko) 2014-05-23 2015-12-03 재단법인 전주농생명소재연구원 항당뇨 및 항고지혈증 활성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jb pml-127 균주 및 이의 용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4707B1 (ko) 2021-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50053B2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alleviating hypertension or preventing a rise in blood pressure
JP5295925B2 (ja) 脂質代謝改善用組成物および食品
EP1264596B1 (en) Use of a ferulic acid derivative as a preventive or remedy for hypertension
KR102110040B1 (ko) 토종보리수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또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JP2008297209A (ja) 脂質代謝改善組成物
JP2006304792A (ja) 内臓脂肪蓄積抑制食品
JP2012051940A (ja) ビワ葉抽出物を含有する飲食品及び医薬品
EP3326638A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il-6-mediated diseases comprisingrosa rugosa
KR20190090362A (ko) 디카페오일퀴닌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개선 조성물
US6310100B1 (en) Method of treating hypertension
JP2021165290A (ja) α−グルコシダーゼに関連付けられる病的状態の予防及び/又は治療のための組成物
JPH11180869A (ja) 血中脂質改善剤、サイクリックampホスホジエステラーゼ阻害剤、飲食品および皮膚外用剤
KR102224707B1 (ko) 생리 활성 펩티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고지혈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EP3165229A1 (en) Composition for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polycystic ovary syndrome and its related sumptoms
JP6273440B2 (ja) Glp−1産生促進剤、dppiv阻害剤及びグルコース吸収阻害剤
KR101501381B1 (ko) 드라콘토멜론 마크로카펌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비만 조성물
KR102171141B1 (ko) Lgi3 유래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CN103249741A (zh)
US20220330595A1 (en) Angiotensin-converting enzyme inhibitor, blood pressure-lowering agent, and beverages and food products
JP4503302B2 (ja) 脂質代謝改善用組成物および食品
KR20200072952A (ko) 새찰쌀보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골다공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096345B1 (ko) 아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관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490355B1 (ko) 타우로케노디옥시콜산 함량이 증대된 담즙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증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20230072366A (ko) 생리 활성 펩티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체중 감소 및 고지혈증 개선 조성물
KR20120048203A (ko) 벤질이소티오시아네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및 지질 관련 대사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