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34806A - 유리 난간 및 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유리 난간 및 그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34806A
KR20200134806A KR1020190060844A KR20190060844A KR20200134806A KR 20200134806 A KR20200134806 A KR 20200134806A KR 1020190060844 A KR1020190060844 A KR 1020190060844A KR 20190060844 A KR20190060844 A KR 20190060844A KR 20200134806 A KR20200134806 A KR 202001348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pad
insertion groove
handrail
rai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08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77141B1 (ko
Inventor
정희석
Original Assignee
하나이앤디(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나이앤디(주) filed Critical 하나이앤디(주)
Priority to KR10201900608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7141B1/ko
Publication of KR202001348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48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71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71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1Balustrades
    • E04F11/1851Filling panels, e.g. concrete, sheet metal panels
    • E04F11/1853Glass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1Balustrades
    • E04F11/1817Connections therefor
    • E04F2011/1823Connections therefor between balustrade filling members, e.g. balusters or panels, and horizontal or sloping balustrade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2011/1885Handrails or balusters characterized by the use of specific materials
    • E04F2011/1891Handrails or balusters characterized by the use of specific materials mainly of stone or stone like materials, e.g. concrete; mainly of glass
    • E04F2011/1895Handrails or balusters characterized by the use of specific materials mainly of stone or stone like materials, e.g. concrete; mainly of glass mainly of g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teps, Ramps, And Handrai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리 난간에 관한 것으로, 유리삽입홈부가 형성되는 고정프레임과, 하부가 유리삽입홈부에 끼워지는 난간유리와, 유리삽입홈부에 삽입되고, 난간유리의 일측부와 압접되는 외부패드와, 유리삽입홈부에 삽입되고, 난간유리를 사이에 두고 외부패드와 마주하여 배치되며, 난간유리의 타측부와 압접되는 내부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유리 난간 및 그 시공방법{HANDRAIL WITH GLASS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유리 난간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추락을 방지하기 위한 난간으로서 유리를 적용한 유리 난간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난간은 사용자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건축물의 외부와 인접한 단부에 설치되며, 철재, 목재, 유리 등 다양한 소재가 적용되고 있다. 통상적으로 난간은 철재나 목재 포스트를 설치하고 있으나, 근래에는 다양한 디자인적 요구에 의해 별도의 포스트 없이 강화 유리 등을 이용해 유리만으로 난간을 구성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종래에는 이러한 유리 난간을 시공함에 있어서, 철재 고정프레임에 EPDM(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 등의 소재로 이루어진 셋팅블럭(setting block)을 위치시키고, 유리를 고정프레임 사이에 끼워 넣은 후, 네오프렌(neoprene)이나 EPDM 등의 합성고무를 이용하여 가체결한 상태에서, 액상 형태의 석고나 케미컬 접착제 등을 고정프레임과 유리 사이의 틈새에 주입한 후, 이를 경화시켜 유리를 고정하고, 유리와 고정프레임 사이의 틈새를 실란트로 마감하는 방법이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에 의하면, 액상 형태의 석고나 케미컬 접착제 등을 경화시키는 과정을 거침에 따라, 경화 전후를 기준으로 하여, 동일 위치에 시공 장비와 인원을 2중으로 투입, 운용하여야 하므로, 공사기간이 연장될 뿐만 아니라, 건축물의 이용 중 유리가 파손되는 등 일부 구성품의 교체가 필요한 경우, 경화된 석고나 케미컬 접착제 등을 고정프레임에서 분리하는 데 어려움이 따르고, 시공 장비를 현장에 다시 반입하여 재시공하여야 하므로, 유지, 관리측면에서 시간과 비용의 소모가 클 뿐만 아니라, 사용자 편의성이 낮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9-0077458호(2009.07.15 공개, 발명의 명칭: 난간의 안전유리 설치용 유리고정구)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보다 간단한 공정을 거쳐 용이하고 신속하게 시공이 이루어질 수 있으면서도, 유지, 관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유리 난간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리 난간은, 유리삽입홈부가 형성되는 고정프레임; 하부가 상기 유리삽입홈부에 끼워지는 난간유리; 상기 유리삽입홈부에 삽입되고, 상기 난간유리의 일측부와 압접되는 외부패드; 및 상기 유리삽입홈부에 삽입되고, 상기 난간유리를 사이에 두고 상기 외부패드와 마주하여 배치되며, 상기 난간유리의 타측부와 압접되는 내부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프레임은, 상기 유리삽입홈부가 형성되는 받침본체부; 상기 받침본체부의 하부에 상기 유리삽입홈부와 연통되게 형성되고, 앵커부재가 관통되는 앵커홀부; 및 상기 앵커홀부의 상부에 상기 앵커홀부보다 확장된 너비로 형성되고, 상기 앵커부재에 체결되는 고정부재가 삽입되는 돌출방지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받침본체부는, 상기 앵커홀부가 형성되고, 상기 난간유리를 하측에서 지지하는 하부지지부; 상기 하부지지부의 일측부에 상향 연장되게 형성되고, 상기 외부패드를 사이에 두고 상기 난간유리를 지지하는 외부지지부; 및 상기 하부지지부의 타측부에 상기 외부지지부와 마주하게 형성되고, 상기 내부패드를 사이에 두고 상기 난간유리를 지지하는 내부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받침본체부는, 상기 외부지지부의 상부에 함몰되게 형성되고, 가스켓의 일부가 끼워져 결합되는 가스켓결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프레임은, 상기 받침본체부의 저면부 상에 요철되게 형성되는 요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요철부는, 상기 받침본체부의 저면부 상에 상측으로 함몰되게 형성되는 이격홈부; 및 상기 이격홈부의 가장자리부에 형성되고, 시공면과 접하는 접촉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리삽입홈부는, 상기 외부패드와 접하는 일측부에 수직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수직연장부; 및 상기 내부패드와 접하는 타측부에 형성되고, 상부로 갈수록 상기 난간유리와의 이격거리가 확장되는 경사면을 이루는 경사연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내부패드는, 상기 경사연장부에 대응되는 경사면을 구비한 쐐기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리삽입홈부는, 상기 수직연장부와 상기 경사연장부의 상부에 형성되고, 상부로 갈수록 상기 난간유리와의 이격거리가 확장되는 경사면을 이루며, 상기 유리삽입홈부를 실링하는 가스켓이 결합되는 삽입안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유리삽입홈부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난간유리가 안착되는 세팅블럭;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난간유리의 타측부와 상기 고정프레임의 사이에 삽입되고, 상기 내부패드의 하향 이동을 안내하는 웨지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웨지가이드는, 상기 난간유리와 면접촉되는 유리압접패널부; 및 상기 유리압접패널부 상에 상기 고정프레임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수직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며, 하부측으로 갈수록 돌출정도가 감소되는 형상을 가지는 가이드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이드돌출부는, 상기 유리압접패널부의 일단부에 수직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일단지지부; 상기 유리압접패널부의 타단부에 수직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타단지지부; 및 상기 일단지지부와 상기 타단지지부의 사이에 상기 내부패드의 너비에 대응되는 이격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중간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내부패드는, 쐐기 형상을 가지고, 상기 일단지지부와 상기 중간지지부의 사이에 삽입되며, 상기 유리삽입홈부의 하부에서 상기 고정프레임과 접하는 하부패드; 및 쐐기 형상을 가지고, 상기 타단지지부와 상기 중간지지부의 사이에 삽입되며, 상기 유리삽입홈부의 상부에서 상기 고정프레임과 접하는 상부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내부패드는, 쐐기 형상을 가지는 패드본체부; 및 상기 패드본체부의 상부에 함몰되게 형성되고, 상기 내부패드를 하향 가압하는 가압공구의 단부가 삽입되는 공구계합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유리삽입홈부가 형성된 고정프레임을 시공면에 고정하는 프레임고정단계; 외부패드를 상기 유리삽입홈부의 일측부에 삽입하는 패드삽입단계; 난간유리의 하부를 상기 유리삽입홈부의 타측부에 끼우는 유리삽입단계; 및 쐐기 형상의 내부패드를 상기 유리삽입홈부에 삽입하여, 상기 외부패드와 상기 내부패드로 상기 난간유리를 양방향에서 가압하고, 상기 난간유리를 상기 고정프레임에 직립되게 고정하는 유리고정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프레임고정단계는, 상기 시공면에 앵커부재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시공면에 상기 고정프레임을 안착시키는 단계; 및 고정부재를 상기 앵커부재에 체결하여 상기 고정프레임을 상기 시공면에 고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프레임고정단계와 상기 패드삽입단계의 사이에 실시되고, 세팅블럭을 상기 유리삽입홈부에 삽입하고, 상기 유리삽입홈부의 하부에 안착시키는 블럭삽입단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유리삽입단계와 상기 유리고정단계의 사이에 실시되고, 상기 내부패드의 하향 이동을 안내하는 웨지가이드를 상기 유리삽입홈부의 타측부에 삽입하는 웨지가이드삽입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리고정단계는, 상기 웨지가이드와 상기 고정프레임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부에 상기 내부패드를 삽입하여 제1높이 상에서 상기 웨지가이드에 압접시키는 하부패드삽입단계; 및 상기 웨지가이드와 상기 고정프레임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부에 상기 내부패드를 삽입하여 제2높이 상에서 상기 웨지가이드에 압접시키는 상부패드삽입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리고정단계는, 상기 내부패드의 상부에 형성된 공구계합홈부에 가압공구의 단부를 삽입시킨 상태에서 상기 가압공구의 단부를 하향 이동시키면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패드삽입단계와 상기 유리삽입단계의 사이에 실시되고, 상기 고정프레임의 외측부에 형성된 가스켓결합부에 가스켓을 결합하는 외측가스켓결합단계; 및 상기 유리고정단계 이후에 실시되고, 상기 고정프레임의 내측부와 상기 난간유리의 사이에 가스켓을 결합하는 내측가스켓결합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리 난간 및 그 시공방법은, 고정프레임을 시공면에 고정시키고, 외부패드, 난간유리, 내부패드를 유리삽입홈부에 순차적으로 끼우는 간단한 조립 과정을 거쳐 용이하고 신속하게 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별도의 습식 접착제, 경화제, 마감재 등을 이용할 필요가 없어, 공사기간을 단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공장비와 시공인원의 투입, 운용이 보다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난간유리의 파손 시, 가스켓과 내부패드, 난간유리를 순차적으로 분리, 분해하고, 재조립하는 간단한 과정을 거쳐 난간유리를 교체할 수 있어, 습식 접착제, 경화제, 마감재 등을 파단시켜 분리, 제거하고, 시공장비를 재반입, 재운용하는 번거로운 과정을 생략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유지, 관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작업자가, 고정프레임을 시공면에 고정시키고, 외부패드, 난간유리, 내부패드를 유리삽입홈부에 순차적으로 끼우는 시공 전반을, 베란다 등 시공면의 내측에서 수행할 수 있어, 즉 시공면의 외부에서 작업을 수행할 필요가 없어, 작업자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고 작업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유리 난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유리 난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투시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유리 난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투시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요부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유리 난간의 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유리 난간의 시공방법의 프레임고정단계를 설명하고자 도시한 시공상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유리 난간의 시공방법의 패드삽입단계를 설명하고자 도시한 시공상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유리 난간의 시공방법의 유리고정단계의 하부패드삽입단계를 설명하고자 도시한 시공상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유리 난간의 시공방법의 유리고정단계의 상부패드삽입단계를 설명하고자 도시한 시공상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유리 난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유리 난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분해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유리 난간의 웨지가이드와 내부패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유리 난간의 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유리 난간의 시공방법의 프레임고정단계를 설명하고자 도시한 시공상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유리 난간의 시공방법의 블럭삽입단계, 패드삽입단계, 외측가스켓결합단계를 설명하고자 도시한 시공상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유리 난간의 시공방법의 유리삽입단계와 웨지가이드삽입단계를 설명하고자 도시한 시공상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유리 난간의 시공방법의 유리고정단계를 설명하고자 도시한 시공상태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유리 난간의 시공방법에서 내부패드의 압입 깊이와 난간유리에 작용하는 가압력의 관계를 설명하고자 도시한 개념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유리 난간 및 그 시공방법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유리 난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유리 난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투시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유리 난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투시 평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유리 난간(1)은 고정프레임(10), 난간유리(20), 외부패드(30), 내부패드(40), 가스켓(50)을 포함한다.
고정프레임(10)은 난간유리(20)의 하부를 끼워 고정시킬 수 있는 유리삽입홈부(12)를 구비하여 시공면(2)에 고정설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유리 난간(1)을 베란다 난간으로서 적용 시, 시공면(2)은 베란다의 바닥을 이루는 슬래브(2a), 또는 슬래브(2a)의 단부에 결합된 브라켓(미도시) 등의 건축 구조물이 된다.
도 1 상에는 슬래브(2a)가 평탄면을 이루게 형성되고, 슬래브(2a)의 상부 및 고정프레임(10)의 측부에 마루, 석재 등의 바닥재(2b)가 시공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고정프레임(10)은 설치 환경, 조건 등에 따라 외부에 노출되게 그 설치가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고정프레임(10)은 고정프레임(10)에 대응되는 홈부가 형성된 시공면(2)에 삽입된 상태로 그 설치가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 상, 본 발명에 따른 유리 난간(1)을 베란다에 적용한다고 가정하여, 난간유리(20)를 경계로 하여 베란다의 외측을 향하는 일측을 외측, 외부 내지 외측부라 하고, 베란다의 내측을 향하는 타측을 내측, 내부 내지 내측부라 한다.
난간유리(20)는 베란다의 가장자리부를 따라 연장되고 신체를 기댈 수 있는 난간을 이루는 장치부로, 하부가 유리삽입홈부(12)에 끼워져 고정된다. 난간유리(20)로는 강화접합유리를 적용할 수 있다. 외부패드(30)는 유리삽입홈부(12)에 삽입되고, 난간유리(20)의 일측부와 압접된다. 외부패드(30)의 소재로는 네오프렌(neoprene), EPDM(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 등과 같이 탄성을 가지는 고무 계열 소재를 적용할 수 있다.
내부패드(40)는 유리삽입홈부(12)에 삽입되고, 난간유리(20)를 사이에 두고 외부패드(30)와 마주하여 배치되며, 난간유리(20)의 타측부와 압접된다. 내부패드(40)는 상부에 비해 하부의 폭이 상대적으로 좁은 쐐기 형상을, 보다 구체적으로는 하부측으로 갈수록 내외측 방향의 폭이 점차 축소되는 쐐기 형상을 가진다.
외부패드(30)와 난간유리(20)가 삽입된 유리삽입홉부(12)의 여유공간부 상에 내부패드(40)를 삽입, 압입함으로써, 난간유리(20)를 외부패드(30)와 내부패드(40)에 의해 양방향으로 압접시킨 상태로, 고정프레임(10)에 의해 설정 강도로 지지, 고정시킬 수 있다. 내부패드(40)의 소재로는, 유리삽입홉부(12)의 여유공간부 상에 하향 압입가능한 강성을 가지면서도, 난간유리(20)에 마찰접촉 및 압접가능한 탄성을 가지는 플라스틱 계열의 탄성 소재를 적용할 수 있다.
가스켓(50)은 유리삽입홈부(12)의 개방된 상부에 끼워져 유리삽입홈부(12)의 내부를 실링한다. 가스켓(50)은 외부패드(30)의 상측에 형성되는 유리삽입홈부(12)의 개방부를 실링하는 것과, 내부패드(40)의 상측에 형성되는 유리삽입홈부(12)의 개방부를 실링하는 한 쌍이 구비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별도의 습식 접착제, 경화제, 마감재 등을 이용할 필요 없이, 고정프레임(10)을 시공면(2)에 고정시키고, 외부패드(30), 난간유리(20), 내부패드(40)를 유리삽입홈부(12)에 순차적으로 끼우는 간단한 조립 과정을 거쳐 용이하고 신속하게 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공사기간을 단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공장비와 시공인원의 투입, 운용이 보다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난간유리(20)의 파손 시, 습식 접착제, 경화제, 마감재 등을 분리, 제거하고, 이를 위해 시공장비를 재반입, 재운용하는 번거로운 과정을 거칠 필요 없이, 가스켓(50)과, 내부패드(40), 난간유리(20)를 순차적으로 분리, 분해하고, 재조립하는 간단한 과정을 거쳐 난간유리(20)를 교체할 수 있어, 유지, 관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고정프레임(10)을 시공면(2)에 고정시키고, 외부패드(30), 난간유리(20), 내부패드(40)를 유리삽입홈부(12)에 순차적으로 끼우는 시공 전반을, 작업자가 베란다의 내측에서 수행할 수 있어, 즉 시공면(2)의 외부에서 작업을 수행할 필요가 없어,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요부 확대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고정프레임(10)은 받침본체부(11), 앵커홀부(16), 돌출방지홈부(17), 요철부(18)를 포함한다.
받침본체부(11)는 유리삽입홈부(12)를 구비하여 시공면(2)에 고정설치된다. 도 1,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가 개방된 'ㄷ'자 단면 형상을 가지고, 도 2,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받침본체부(11)의 소재로는 알루미늄 등의 금속재를 적용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받침본체부(11)는 유리삽입홈부(12), 하부지지부(13), 외부지지부(14), 내부지지부(15)를 포함한다.
유리삽입홈부(12)는 난간유리(20), 외부패드(30), 내부패드(40)가 삽입되는 장치부로, 받침본체부(11) 상에 상향 개방되게 형성된다. 유리삽입홈부(12)는 난간유리(20)를 측방향에서 지지하기 위한 압접면적을 확보하기 위해 100mm 이상의 깊이로 형성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유리삽입홈부(12)는 안착저면부(121), 수직연장부(122), 경사연장부(123), 삽입안내부(124), 제1시공용이부(126), 제2시공용이부(127), 제3시공용이부(128), 제4시공용이부(129)를 포함한다.
안착저면부(121)는 유리삽입홈부(12)의 하부에 해당되는 장치부로, 난간유리(20)가 안착될 수 있는 안착면을 형성한다. 안착저면부(121)는 난간유리(20)의 연장방향을 따라 측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수직연장부(122)는 외부패드(30)가 수용되는 유리삽입홈부(12)의 외측부를 이루는 장치부로, 외부패드(30)와 접하는 일측부에 수직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경사연장부(123)는 내부패드(40)가 수용되는 유리삽입홈부(12)의 내측부를 이루는 장치부로, 내부패드(40)와 접하는 타측부에 경사지게 형성된다. 경사연장부(123)는 상부로 갈수록 난간유리(20)와의 이격거리가 확장되는 경사면을 이룬다. 내부패드(40)는 경사연장부(123)에 대응되는 각도로 경사진 쐐기 형상을 가진다. 경사연장부(123)가 경사진 형상을 가짐에 따라 유리삽입홈부(12)에 외부패드(30)와 난간유리(20)를 기삽입한 상태에서 쐐기 형상의 내부패드(40)를 유리삽입홈부(12)에 난간유리(20)의 손상 없이 안정되게 하향 삽입할 수 있다.
삽입안내부(124)는 유리삽입홈부(12)의 개방부를 이루는 장치부로, 수직연장부(122)와 경사연장부(123)의 상부에 형성되고, 상부로 갈수록 상기 난간유리(20)와의 이격거리가 확장되는 경사면을 이룬다. 삽입안내부(124)에 의해 유리삽입홈부(12)의 개방부는 상단부로 갈수록 너비가 확장되는 형상을 가진다.
이에 따라, 외부패드(30), 난간유리(20), 내부패드(40)를 유리삽입홈부(12)에 삽입가능한 위치를, 수직연장부(122)와 경사연장부(123) 간의 이격거리보다 보다 확장된, 즉 내외측 삽입안내부(124)의 상단부 간 이격거리에 해당되는 범위로 보다 확장시킬 수 있다. 또한, 삽입안내부(124)의 경사면을 기준면으로 하여, 난간유리(20)를 인입, 배치에 유리한 설정 각도로 보다 자유롭게 기울여 인입시킬 수 있다.
또한, 외부패드(30), 난간유리(20), 내부패드(40)가 삽입안내부(124)의 경사면을 타고 보다 완만하게 유리삽입홈부(12)의 내부로 하향 인입될 수 있어, 유리삽입홈부(12)의 깊이에 해당되는 높이에서 급격하게 하강됨에 따라 난간유리(20)에 순간적으로 충격력이 작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삽입안내부(124)에는 유리삽입홈부(12)를 실링하는 가스켓(50)이 결합된다. 삽입안내부(124)가 하부로 갈수록 좁은 너비를 가짐에 따라, 가스켓(50)이 적어도 일부가 삽입안내부(124)에 안착, 하단지지된 상태로 안정되게 그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고, 가스켓(50)이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중량 등에 의해 하향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시공용이부(126)는 내부패드(40)의 하부패드(41)(이하 설명)의 하측에 중공되게 형성된다. 제1시공용이부(126)는 하부패드(41)를 안착저면부(121)로부터 이격되게 배치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하부패드(41)와 안착저면부(121)의 사이에 형성되는 중공의 제1시공용이부(126)를 이용해, 공구(미도시)를 하부패드(41)의 하측으로 용이하게 유입시킬 수 있어, 공구를 이용해 하부패드(41)를 유리삽입홈부(12)의 외부로 용이하게 꺼낼 수 있다
제2시공용이부(127)는 하부패드(41)와 상부패드(42)(이하 설명)의 사이에 중공되게 형성된다. 제2시공용이부(127)는 하부패드(41)를 설치한 이후, 상부패드(42)를 하부패드(41)의 상측에 이격되게 배치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하부패다부(41)와 상부패드(42)의 사이에 형성되는 중공의 제2시공용이부(127)를 이용해, 공구(미도시)를 하부패드(41)의 하측으로 용이하게 유입시킬 수 있어, 공구를 이용해 하부패드(41)를 유리삽입홈부(12)의 외부로 용이하게 꺼낼 수 있다.
이에 따라, 난간유리(20)를 교체하는 등의 유지, 관리 시 복수개의 하부패드(41)와 상부패드(42)를 유리삽입홈부(12)의 외부로 인출시키는 작업이 적은 힘으로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하부패드(41)와 상부패드(42)를 손상 없이 유리삽입홈부(12)의 외부로 인출시킬 수 있어, 난간유리(20)를 교체하더라도 재사용할 수 있다.
제3시공용이부(128)는 유리삽입홈부(12)를 실링하는 가스켓(50)과 외부패드(30)의 사이에 중공되게 형성된다. 제3시공용이부(128)는 외부패드(30)와 외측 가스켓(50a)을 상하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배치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제4시공용이부(129)는 가스켓(50)과 내부패드(40)의 사이에 중공되게 형성된다. 제4시공용이부(129)는 내부패드(40)와 내측 가스켓(50b)을 상하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배치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가스켓(50)의 하측에 중공되게 형성되는 제3시공용이부(128)와 제4시공용이부(129)를 이용해, 공구(미도시)를 가스켓(50)의 하측으로 용이하게 유입시킬 수 있고, 공구를 이용해 가스켓(50)을 손상 없이 유리삽입홈부(12)의 외부로 용이하게 꺼내어 분리시킬 수 있다.
하부지지부(13)는 받침본체부(11)의 하부를 이루는 장치부로, 유리삽입홈부(12)의 하측에 위치되고 시공면(2)에 안착된다. 하부지지부(13) 상에는 앵커부재(51)가 관통할 수 있는 앵커홀부(16)가 형성된다. 유리삽입홈부(12)에 난간유리(20)를 삽입한 상태에서, 하부지지부(13)는 난간유리(20)를 하측에서 지지하게 된다.
외부지지부(14)는 하부지지부(13) 중 베란다의 외부를 향하는 외측부에 상향 연장되게 형성되고, 외부패드(30)를 사이에 두고 난간유리(20)를 외측에서 지지한다. 내부지지부(15)는 하부지지부(13) 중 베란다의 내부를 향하는 내측부에 상향 연장되게 형성되고, 내부패드(40)를 사이에 두고 난간유리(20)를 내측에서 지지한다. 외부지지부(14)와 내부지지부(15)는 난간유리(20)를 사이에 두고 상호 대향되게 배치된다.
앵커홀부(16)는 하부지지부(13) 상에 유리삽입홈부(12)와 연통되게 형성되고, 앵커부재(51)가 관통된다. 앵커홀부(16)는 고정프레임(10)의 강성, 난간유리(20)의 중량, 허용 하중, 풍량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제1설정간격(D1)을 두고 배치된다. 앵커부재(51)로는 앵커볼트, 고력볼트 등을 적용할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볼트머리부 없이, 스크류가 형성된 볼트몸체부만으로 이루어진 부재를 적용할 수 있다.
돌출방지홈부(17)는 앵커부재(51)에 체결되는 고정부재(52)가 삽입되는 장치부로, 앵커홀부(16)의 상부에 앵커홀부(16)보다 확장된 너비로 형성된다. 고정부재(52)로는 앵커볼트, 고력볼트에 체결되는 너트를 적용할 수 있다. 앵커홀부(16) 는 앵커부재(51)에 대응되는 너비를 가지고 상하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돌출방지홈부(17)는 앵커홀부(16)의 상부에 고정부재(52)를 삽입, 수용가능한 너비와 깊이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앵커부재(51)와 고정부재(52)는 상호 분리 제작되어, 현장에서 상호 조립되나, 본 발명에 따른 앵커부재(51)와 고정부재(52)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시공면(2)의 상태에 따라, 앵커부재(51)와 고정부재(52)는 일체로 연결된 구조를, 즉 볼트머리부와 볼트몸체부가 일체로 연결된 볼트 형상을 이루어 적용될 수도 있다.
돌출방지홈부(17)를 형성함으로써, 앵커부재(51)와 고정부재(52)가 하부지지부(13)의 상측으로 돌출되지, 즉 유리삽입홈부(12)의 내부로 돌출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외부패드(30)의 안착이 유리삽입홈부(12)의 전체에 걸쳐 안정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앵커부재(51), 고정부재(52)로 인해 난간유리(20)의 일부에, 즉 앵커부재(51)와 고정부재(52)에 대응되는 부분에 응력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요철부(18)는 시공면(2)과 접하는 받침본체부(11)의 저면부 상에 요철되게 형성된다. 요철부(18)의 요철 형상에 의해, 받침본체부(11)와 시공면(2)간의 접촉이 명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요철부(18)는 이격홈부(181), 접촉첨부(182)를 포함한다.
이격홈부(181)는 시공면(2)으로부터 이격되는 장치부로, 받침본체부(11)의 저면부 상에 상측으로 함몰되게 형성된다. 접촉첨부(182)는 시공면(2)과 접하는 장치부로, 이격홈부(181)의 가장자리부에, 즉 하부에 형성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이격홈부(181)는 내외측 한 쌍이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고, 접촉첨부(182)는 한 쌍의 이격홈부(181)의 사이와, 내외측에 해당되는 3개소에 상호 이격되게 형성된다.
받침본체부(11)는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요철부(18)에 의해, 접촉첨부(182)에 해당되는 위치에서 시공면(2)과 받침본체부(11)간의 접촉이 명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시공면(2)을 평탄하게 시공하고, 받침본체부(11)의 저면부 전체를 평탄하게 제작하더라도, 실제 시공 시 받침본체부(11)의 저면부 전체가 시공면(2)에 균일하게 면접촉되지 못하고, 위치에 따라 불균일하게 시공면(2)과의 접촉이 이루어지게 되는데, 요철부(18)에 의하면, 이로 인한 구조적 불안정성을 해결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외부패드(30)는 수평패드부(31)와 수직패드부(32)를 포함한다.
수평패드부(31)는 유리삽입홈부(12)의 하부에, 즉 안착저면부(121) 상에 배치되고, 난간유리(20)가 안착된다. 수평패드부(31)는 수평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수직패드부(32)는 유리삽입홈부(12)의 외측부에, 즉 수직연장부(122) 상에 배치되고, 난간유리(20)의 외측부와 면접촉된다. 수직패드부(32)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수평패드부(31)와 수직패드부(32)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수평패드부(31)와 수직패드부(32)를 일체로 형성하면, 수평패드부(31)를 안착저면부(121)에 안착시키는 것만으로, 수직패드부(32)의 직립 배치가 함께 이루어질 수 있고, 수평패드부(31)와 수직패드부(32)간의 경계부를, 즉 모서리부를 유리삽입홈부(12)의 하부 모서리부에 일치시킴으로써, 외부패드(30)를 용이하게 설정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수평패드부(31)와 수직패드부(32)는 상호 독립되게 제작되어 순차적으로 유리삽입홈부(12)에 인입, 배치될 수도 있다. 수평패드부(31)와 수직패드부(32)를 상호 독립되게 적용하면, 수평패드부(31)와 수직패드부(32) 각각을 유리삽입홈부(12)의 내부로 보다 용이하게 인입시킬 수 있고, 유지, 관리가 독립되게 이루어질 수 있어, 수직패드부(32)의 손상 시 수직패드부(32)만을 교체함으로써 그 유지, 관리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내부패드(40)는 하부패드(41)와 상부패드(42)를 포함한다.
하부패드(41)는 쐐기 형상을 가지고, 유리삽입홈부(12)의 하부에 삽입되며, 난간유리(20)와 면접촉된다. 하부패드(41)는 복수개가 난간유리(20)의 연장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배열되고, 난간유리(20)의 강성, 허용 하중, 풍량, 모멘트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도 2,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설정간격(D2)을 두고 배치된다.
상부패드(42)는 쐐기 형상을 가지고, 유리삽입홈부(12)의 상부에 삽입되며, 하부패드(41)의 상측에서 난간유리(20)와 면접촉된다. 상부패드(42)는 하부패드(41)에 대응되는 복수개가 구비되고, 하부패드(41)의 직상방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하부패드(41)의 사이에 배치될 수도 있다. 하부패드(41)와 상부패드(42)는, 난간유리(20)를 사이에 두고 하부와 상부에 해당되는 2개소에서 외부패드(30)와 마주하여 배치되고, 외부패드(30)와 함께 내외측 양방향에서 난간유리(20)에 가압접촉 및 마찰접촉된다.
하부패드(41)와 상부패드(42)가 쐐기 형상을 가짐에 따라, 하부패드(41)와 상부패드(42)를 상측으로부터 유리삽입홈부(12)의 내부로 용이하게 하향 인입시킬 수 있다. 또한, 하부패드(41)와 상부패드(42)가 쐐기 형상을 가짐에 따라, 하부패드(41)와 상부패드(42)의 인입 깊이가 깊어짐에 따라 난간유리(20)에 외측방향으로의 가압력을 점차적으로 증가시켜 작용시킬 수 있어, 난간유리(20)에 순간적으로 무리하게 가압력을 작용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그 인입 깊이를 조정함으로써 난간유리(20)에 작용시키는 가압력의 정도를 용이하게 증감조정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유리 난간(1)을 시공하는 방법에 대해, 즉 본 발명의 일실시에에 따른 유리 난간(1)의 시공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유리 난간의 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유리 난간(1) 시공방법은 프레임고정단계(S1), 패드삽입단계(S3), 유리삽입단계(S5), 유리고정단계(S7), 실링단계(S8)를 순차적으로 거쳐 이루어진다.
프레임고정단계(S1)에서는 유리삽입홈부(12)가 형성된 고정프레임(10)을 시공면(2)에 고정한다. 패드삽입단계(S3)에서는 외부패드(30)를 유리삽입홈부(12)에 삽입한다. 유리삽입단계(S5)에서는 난간유리(20)의 하부를 유리삽입홈부(12)에 끼운다. 유리고정단계(S7)에서는 쐐기 형상의 내부패드(40)를 유리삽입홈부(12)에 삽입하여 난간유리(20)의 양면부에 외부패드(30)와 내부패드(40)를 압접시키고, 난간유리(20)를 고정프레임(10)에 직립되게 고정한다. 실링단계(S8)에서는 가스켓(50)으로 유리삽입홈부(12)의 개방부를 실링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유리 난간의 시공방법의 프레임고정단계를 설명하고자 도시한 시공상태도이다.
도 5,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프레임고정단계(S1)는, 시공면(2)에 앵커부재(51)를 설치하는 단계(S-1)와, 시공면(2)에 고정프레임(10)을 안착시키는 단계(S1-2)와, 고정부재(52)를 앵커부재(51)에 체결하여 고정프레임(10)을 시공면(2)에 고정시키는 단계(S1-3)를 순차적으로 거쳐 이루어진다.
도 3, 도 6을 참조하면, 시공면(2)에 앵커부재(51)를 설치하는 단계(S-1)에서는 앵커부재(51)를 제1설정간격(D1) 두고 배치한다. 이때, 제1설정간격(D1)은 고정프레임(10)의 강성, 난간유리(20)의 중량, 허용 하중, 풍량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기설계된다.
시공면(2)에 고정프레임(10)을 안착시키는 단계(S1-2)에서는 복수개의 앵커홀부(16)가 제1설정간격(D1) 두고 배치된 고정프레임(10)을 시공면(2)에 안착한다. 고정프레임(10)을 시공면(2)에 안착시킨 상태에서 앵커부재(51)는 앵커홀부(16)와 유리삽입홈부(12)를 통해 고정플레임(10)의 외부로 노출된다.
고정부재(52)를 앵커부재(51)에 체결하여 고정프레임(10)을 시공면(2)에 고정시키는 단계(S1-3)에서는 상향 개방된 유리삽입홈부(12)를 통해 너트 형상의 고정부재(52)를 돌출방지홈부(17)의 내부로 인입하여, 앵커부재(51)에 나사 체결함으로써, 고정프레임(10)을 시공면(2)에 압접되게 고정시킨다. 이때, 앵커부재(51)의 상단부와 고정부재(52)는 돌출방지홈부(17)의 내부에 수용, 배치되고, 유리삽입홈부(12)의 내부로 돌출되지 않는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유리 난간의 시공방법의 패드삽입단계를 설명하고자 도시한 시공상태도이다.
수평패드부(31)와 수직패드부(32)가 일체로 연결된 구조를 가지는 경우,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패드삽입단계(S3)는, 일체로 형성된 외부패드(30)를 유리삽입홈부(12)의 내부에 삽입하여 유리삽입홈부(12)의 하부에, 즉 안착저면부(121)에 안착시킴과 동시에 수직패드부(32)가 외측을 향하도록 배치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도 5, 도 7을 참조하면, 수평패드부(31)와 수직패드부(32)가 상호 분리된 구조를 가지는 경우,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패드삽입단계(S3)는, 외부패드(30)의 수평패드부(31)를 유리삽입홈부(12)에 삽입하고, 유리삽입홈부(12)의 하부에 안착시키는 단계(S3-1)와, 외부패드(30)의 수직패드부(32)를 유리삽입홈부(12)에 삽입하고, 수직패드부(32)를 유리삽입홈부(12)의 일측부와 접하게 배치하는 단계(S3-2를 순차적으로 거쳐 이루어진다.
도 7을 참조하면, 외부패드(30)의 수평패드부(31)를 유리삽입홈부(12)에 삽입하고, 유리삽입홈부(12)의 하부에 안착시키는 단계(S3-1)에서는, 유리삽입홈부(12)의 하부에, 즉 안착저면부(121)에 대응되는 너비를 가지는 수평패드부(31)를 안착저면부(121) 상에 평탄하게 깐다.
외부패드(30)의 수직패드부(32)를 유리삽입홈부(12)에 삽입하고, 수직패드부(32)를 유리삽입홈부(12)의 일측부와 접하게 배치하는 단계(S3-2)에서는, 유리삽입홈부(12)의 외측부에, 즉 수직연장부(122)에 대응되는 너비를 가지는 수직패드부(32)를 수직연장부(122)에 상에 직립되게 배치한다. 이때, 수직연장부(122)는 고정프레임(10)의 외부지지부(14)와 연속하여 접하거나 마주하게 배치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유리 난간의 시공방법의 유리고정단계의 하부패드삽입단계를 설명하고자 도시한 시공상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유리 난간의 시공방법의 유리고정단계의 상부패드삽입단계를 설명하고자 도시한 시공상태도이다.
도 5, 도 8,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유리고정단계(S7)는, 하부패드삽입단계(S7-1)와 상부패드삽입단계(S7-4)를 포함한다.
도 5, 도 8을 참조하면, 하부패드삽입단계(S7-1)에서는 내부패드(40)의 하부패드(41)를 유리삽입홈부(12)에 삽입하여 안착저면부(121)로부터 이격된 제1높이(H1) 상에서 난간유리(20)에 압접시킨다. 하부패드(41)를 유리삽입홈부(12)에 삽입하여 제1높이(H1) 에 배치시킨 상태에서, 하부패드(41)는 PI1에 해당되는 가압력으로 난간유리(20)를 외향 가압한다. 이때, 하부패드(41)와 마주하여 배치된 수직패드부(32)의 하부는, PI1에 대응되는 가압력(반력) PO1으로 난간유리(20)를 내향 가압하게 된다.
이때, 난간유리(20)에는 외부패드(30)와 이격되는 정방향으로의 제1모멘트(M1)가 작용하게 된다. 난간유리(20)의 직립 시 하부패드(41)의 상측에 위치되는 수직패드부(32)의 상부는 난간유리(20)와 PO2에 해당되는 접촉력으로 접하게 되고, 난간유리(20)는 수직패드부(32)측으로 기울어지는 것이 명확하게 구속되면서도, 하부패드(41)의 상측에 형성된 여유공간부측으로는 기울어질 수 있다. 따라서, 난간유리(20)를 직립시키고자 별도의 가압력을 추가로 작용시키지 않는 한, 난간유리(20)에는 내측으로 기울어지는 정방향으로의 제1모멘트(M1)가 작용하게 된다.
도 2,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하부패드삽입단계(S7-1)는, 하부패드(41)를 유리삽입홈부(12)에 삽입하고, 유리삽입홈부(12)의 저면부로부터 이격되는 제1높이(H1)에 배치하는 단계(S7-2)와, 다른 하부패드(41)를 유리삽입홈부(12)에 삽입하고, 제1높이(H1)에 배치된 하부패드(41)와 횡방향으로 제2설정간격(D2)을 두고 이격되게 배치하는 단계(S7-3)를 순차적, 반복적으로 거쳐, 복수개의 하부패드(41)를 횡방향으로 제2설정간격(D2)을 두고 제1높이(H1) 상에 정렬할 수 있다.
도 5, 도 9를 참조하면, 상부패드삽입단계(S7-4)에서는 내부패드(40)의 상부패드(42)를 유리삽입홈부(12)에 삽입하여 하부패드(41)로부터 상향 이격된 제2높이(H2) 상에서 난간유리(20)에 압접시킨다. 상부패드(42)를 유리삽입홈부(12)에 삽입하여 제2높이(H2)에 배치시킨 상태에서, 상부패드(42)는 PI2에 해당되는 가압력으로 난간유리(20)를 외향 가압한다. 이때, 상부패드(42)와 마주해여 배치된 수직패드부(32)의 상부는, PI2에 대응되는 가압력(반력) PO2으로 난간유리(20)를 내향 가압하게 된다.
이때, 상부패드(42)는 난간유리(20)에 외부패드(30)를 향하는 역방향으로의 제2모멘트(M2)를 작용시키며, 난간유리(20)를 직립시킨다. 하부패드(41)에 의해 난간유리(20)에 정방향으로의 제1모멘트(M1)를 작용시킨 상태에서, 상기와 같이 상부패드(42)를 유리삽입홈부(12)의 내부로 인입시키며, 난간유리(20)가 직립되기까지, 난간유리(20)에 역방향으로의 제2모멘트(M2)를 작용, 점차적으로 증가시키는 과정을 거쳐, 난간유리(20)의 수직 정밀도를, 즉 수직방향으로 직립도를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다.
도 2,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에에 따른 상부패드삽입단계(S7-4)는, 상부패드(42)를 유리삽입홈부(12)에 삽입하고, 하부패드(41)로부터 상향 이격되는 제2높이(H2)에 배치하는 단계(S7-5)와, 다른 상부패드(42)를 유리삽입홈부(12)에 삽입하고, 제2높이(H2)에 배치된 상부패드(42)와 횡방향으로 제2설정간격(D2)을 두고 이격되게 배치하는 단계(S7-6)를 순차적, 반복적으로 거쳐, 복수개의 상부패드(42)를 횡방향으로 제2설정간격(D2)을 두고 제2높이(H2) 상에 정렬할 수 있다.
실링단계(S8)는 상기와 같이 내부패드(40)를 설치한 상태에서, 외측 가스켓(50a)을 유리삽입홈부(12)의 상부에 결합하여 외부패드(30)의 상측에 형성되는 유리삽입홈부(12)의 개방부를 실링하는 과정과, 내측 가스켓(50b)을 유리삽입홈부(12)의 상부에 결합하여 내부패드(40)의 상측에 형성되는 유리삽입홈부(12)의 개방부를 실링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거쳐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외측 가스켓(50a)을 결합하는 과정과, 내측 가스켓(50b)을 결합하는 과정은 모두 난간유리(20)의 내측에서 공구를 이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외부패드(30)의 상측에 배치되는 외측 가스켓(50a)은 난간유리(20)를 시공하기 이전에 고정프레임(10)에 먼저 결합될 수도 있다. 일례로, 외부패드(30)를 유리삽입홈부(12)에 삽입한 상태에서, 외측 가스켓(50a)을 유리삽입홈부(12)의 상부에 결합한 후, 난간유리(20)를 유리삽입홈부(12)에 끼울 수 있다. 다른 일례로써, 외측 가스켓(50a)은 고정프레임(10)에 결합된 상태로 초기에 고정프레임(10)과 함께 그 설치가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러한 시공방법에 의하면, 작업자가 난간유리(20)의 내측에서 보다 안전하고, 용이하게 전체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유리 난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유리 난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분해사시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유리 난간의 웨지가이드와 내부패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에서 도 10 내지 도 1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유리 난간(1) 및 그 시공방법을 설명함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유리 난간(1) 및 그 시공방법과 동일하거나 대응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0,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유리 난간(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유리 난간(1)과 비교해, 받침본체부(11)의 외부지지부(14)의 상부에 외측 가스켓(50a)의 일부가 끼워져 결합될 수 있는 가스켓결합부(19)가 함몰되게 형성된 구조를 가진다. 외측 가스켓(50a)에는 가스켓결합부(19)에 삽입가능한 돌출부가 형성된다.
가스켓결합부(19)는 유리삽입홈부(12)와 연통되게 형성되고, 유리삽입홈부(12)와 연통되는 개방단부보다 내측단부가 확장된 너비를 가진다. 외측 가스켓(50a)의 돌출부는 가스켓결합부(19)의 개방단부로 인입가능한 너비로 탄성압축된 상태로 가스켓결합부(19)의 내부로 진입되고, 가스켓결합부(19)의 내부에서 탄성복원되면서 그 너비가 확장되며 가스켓결합부(19)의 내면부에 견고하게 마찰접촉된다. 이러한 작용에 의해 외측 가스켓(50a)은 가스켓결합부(19)에 견고하게 홀딩,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도 10,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유리 난간(1)은, 유리삽입홈부(12)의 하부에 배치되고, 난간유리(20)가 안착되는 세팅블럭(25)을 포함한다.
세팅블럭(25)은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패널의 형상을 가지고, 유리삽입홈부(12)의 하부에 배치된다. 세팅블럭(25)에는 난간유리(20), 외부패드(30), 웨지가이드(60)가 안착된다. 세팅블럭(25)은 제1설정길이를 가지고 유리삽입홈부(12)의 내부에 삽입되며, 난간유리(20)의 연장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외부패드(30)는 수직방향으로의 연장길이를 가지는 패널 형상을 가지고, 유리삽입홈부(12)의 외측부에 직립되게 배치되고, 난간유리(20)의 외측부와 면접촉된다. 외부패드(30)는 제2설정길이를 가지고 유리삽입홈부(12)의 내부에 삽입되며, 난간유리(20)의 연장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세팅블럭(25)과 외부패드(30)의 소재로는, 네오프렌(neoprene), EPDM(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 등과 같이 탄성을 가지는 고무 계열 소재를 적용할 수 있다. 이러한 소재 특성에 의해 난간유리(20)가 세팅블럭(25)과 외부패드(30)와의 접촉력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있다.
또한, 도 10,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유리 난간(1)은, 내부패드(40)의 하향 이동을 안내하는 웨지가이드(60)를 포함한다. 웨지가이드(60)는 내부패드(40)를 삽입하기 이전에 난간유리(20)의 타측부와 고정프레임(10)의 사이에, 즉 유리삽입홈부(12)의 내측부에 기설치되어, 유리삽입홈부(12)의 내측부에 내부패드(40)를 인입가능한 공간부를 확보, 유지함과 동시에, 내부패드(40)의 하향 이동을 안내한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웨지가이드(60)는 유리압접패널부(61)와 가이드돌출부(62)를 포함한다.
유리압접패널부(61)는 난간유리(20)와 면접촉가능한 직립된 패널 형상을 가진다. 가이드돌출부(62)는 유리압접패널부(61) 상에 고정프레임(10)의 내부지지부(15)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수직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며, 하부측으로 갈수록 돌출정도가 감소되는 형상을 가진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돌출부(62)는 일단지지부(63), 타단지지부(64), 중간지지부(65)를 포함한다.
일단지지부(63)는 유리압접패널부(61)의 일단부에 수직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타단지지부(64)는 유리압접패널부(61)의 타단부에 수직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중간지지부(65)는 일단지지부(63)와 타단지지부(64)의 사이에 내부패드의 너비에 대응되는 이격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내부패드(40)는 일단지지부(63)와 중간지지부(65)의 사이와, 타단지지부(64)와 중간지지부(65)의 사이로 인입될 수 있다. 일단지지부(63)와 중간지지부(65) 사이로 인입된 내부패드(40)는, 일단지지부(63)와 중간지지부(65)에 양단부가 각각 접한 상태로 일단지지부(63)와 중간지지부(65)의 연장방향을 따라 직선 경로로 하향 이동된다.
또한, 타단지지부(64)와 중간지지부(65) 사이로 인입된 내부패드(40)는, 타단지지부(64)와 중간지지부(65)에 양단부가 각각 접한 상태로 일단지지부(63)와 중간지지부(65)의 연장방향을 따라 직하방으로 이동된다.
웨지가이드(60)와 내부패드(40)의 소재로는 유리삽입홉부(12)의 여유공간부 상에 하향 압입가능한 강성을 가지면서도, 난간유리(20)에 마찰접촉 및 압접가능한 탄성을 가지는 플라스틱 계열의 탄성 소재를 적용할 수 있다. 웨지가이드(60)를 이용해 상기와 같이 내부패드(40)의 하향 이동을 안내함으로써, 웨지가이드(60) 없이 내부패드(40)를 직접 유리삽입홈부(12)의 내측부에 압입하는 경우와 비교해, 내부패드(40)의 배치가 목적한 설정위치 및 깊이에 보다 용이하고 정밀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내부패드(40)는, 상기와 같이 일단지지부(63)와 중간지지부(65)의 사이, 타단지지부(64)와 중간지지부(65) 사이에 인입된 상태에서 고정프레임(10)와 웨지가이드(60)에 내측면부와 외측면부가 각각 접하게 되고, 이와 같이 고정프레임(10)와 웨지가이드(60)에 내측면부와 외측면부가 각각 접한 상태로 난간유리(20)에 가압력 및 고정력을 작용시키게 된다. 즉, 내부패드(40)는 웨지가이드(60)를 매개로 하여 난간유리(20)를 가압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내부패드(40)는 유리삽입홈부(12)의 하부에서 고정프레임(10)과 접하는 하부패드(41)와, 유리삽입홈부(12)의 상부에서 고정프레임(10)과 접하는 상부패드(42)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 하부패드(41)는 쐐기 형상을 가지고, 일단지지부(63)와 중간지지부(65)의 사이에 삽입되고, 상부패드(42)는 쐐기 형상을 가지고, 타단지지부(64)와 중간지지부(65)의 사이에 삽입된다.
하부패드(41)를 고정프레임(10)과 웨지가이드(60)의 사이에 압입한 상태에서, 하부패드(41)는 웨지가이드(60)의 하부 일측부에서 그 외측면부에 대응되는 면적으로 웨지가이드(60)를 가압하게 되고, 웨지가이드(60)에 작용하는 가압력은 웨지가이드(60) 전체로 분산, 확장되어 난간유리(20)에 작용하게 된다.
상부패드(42)를 고정프레임(10)과 웨지가이드(60)의 사이에 압입한 상태에서, 상부패드(42)는 웨지가이드(60)의 상부 타측부에서 그 외측면부에 대응되는 면적으로 웨지가이드(60)를 가압하게 되고, 웨지가이드(60)에 작용하는 가압력은 웨지가이드(60) 전체로 분산, 확장되어 난간유리(20)에 작용하게 된다.
하부패드(41)와 상부패드(42) 모두를 고정프레임(10)과 웨지가이드(60)의 사이에 압입한 상태에서, 웨지가이드(60)는 하부패드(41)와 상부패드(42) 각각에서 작용하는 가압력을 합한 만큼의 세기로 난간유리(20)를 가압한다.
웨지가이드(60)에 의하면, 하부패드(41)와 상부패드(42)의 삽입 위치가 상호 독립됨에 따라, 하부패드(41)와 상부패드(42)의 조립 순서가 특정하게 한정되지 않으며, 하부패드(41)의 상단부가 상부패드(42)의 하단부보다 높이 위치되어도 무방하다. 즉 하부패드(41)와 상부패드(42)가 횡방향으로 일부가 중첩되게 배치될 수도 있다.
상부패드(42)보다 상대적으로 하부에 배치되는 하부패드(41)를 삽입 설치 후 상부패드(42)를 삽입 설치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유리 난간(1)의 시공방법에 관한 설명(도 8, 도 9 참조)에 개시된 하부패드(41)와 상부패드(42)의 모멘트 작용에 의해 보다 안정적으로 난간유리(20)를 직립시킬 수 있다.
하부패드(41)와 상부패드(42) 각각은, 쐐기 형상을 가지는 패드본체부(43)와, 패드본체부(43)의 상부에 함몰되게 형성되는 공구계합홈부(44)를 포함한다. 하부패드(41)와 상부패드(42) 각각에 하향력을 작용시킴에 있어서는, 하향 이동변위를 가지는 가압공구(T)(도 17 참조)의 단부를 공구계합홈부(44)에 삽입한 상태에서, 가압공구(T)를 이용해 패드본체부(43)에 하향 가압력을 안정적으로 가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유리 난간의 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유리 난간(1)의 시공방법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유리 난간(1)의 설명과 중복되거나 대응되는 내용에 대해서는 그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유리 난간(1)의 시공방법은 프레임고정단계(S1), 블럭삽입단계(S2), 패드삽입단계(S3), 외측가스켓결합단계(S4), 유리삽입단계(S5), 웨지가이드삽입단계(S6), 유리고정단계(S7), 실링단계(S8)를 순차적으로 거쳐 이루어진다.
프레임고정단계(S1)에서는 유리삽입홈부(12)가 형성된 고정프레임(10)을 시공면(2)에 고정한다. 블럭삽입단계(S2)에서는 세팅블럭(25)을 유리삽입홈부(12)에 삽입하고, 유리삽입홈부(12)의 하부에 안착시킨다. 패드삽입단계(S3)에서는 외부패드(30)를 유리삽입홈부(12)의 외측부에 삽입한다. 외측가스켓결합단계(S4)에서는 고정프레임(10)의 외부지지부(14)에 형성된 가스켓결합부(19)에 외측 가스켓(50a)을 결합한다.
유리삽입단계(S5)에서는 난간유리(20)의 하부를 유리삽입홈부(12)에 끼운다. 웨지가이드삽입단계(S6)에서는 내부패드(40)의 하향 이동을 안내하는 웨지가이드(60)를 유리삽입홈부(12)의 내측부에 삽입한다. 유리고정단계(S7)에서는 쐐기 형상의 내부패드(40)를 유리삽입홈부(12)에 삽입하여, 외부패드(30)와 내부패드(40)로 난간유리(20)를 양방향에서 가압하고, 난간유리(20)를 고정프레임(10)에 직립되게 고정한다. 실링단계(S8)에서는 가스켓(50)으로 유리삽입홈부(12)의 개방부를 실링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유리 난간의 시공방법의 프레임고정단계를 설명하고자 도시한 시공상태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유리 난간의 시공방법의 블럭삽입단계, 패드삽입단계, 외측가스켓결합단계를 설명하고자 도시한 시공상태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가스켓결합부(19)가 형성된 구조를 가지는 고정프레임(10)을 시공면(2)에 고정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프레임고정단계(S1)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프레임고정단계(S1)에 대응되므로, 그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블럭삽입단계(S2)에서는 유리삽입홈부(12)의 하부에 대응되는 너비를 가지는 수평패드부(31) 복수개의 세팅블럭(25)을 유리삽입홈부(12)에 삽입하고, 유리삽입홈부(12)의 하부에 안착시킨다. 복수개의 세팅블럭(25)은 상호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패드삽입단계(S3)에서는 복수개의 외부패드(30)를 유리삽입홈부(12)에 삽입하고, 유리삽입홈부(12)의 외측부에 직립되게 배치한다. 이때, 외부패드(30)는 세팅블럭(25)에 안착되고, 고정프레임(10)의 외부지지부(14)와 연속하여 접하거나 마주하게 배치된다. 복수개의 외부패드(30)는 상호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외측가스켓결합단계(S4)에서는 고정프레임(10)의 외부지지부(14)에 형성된 가스켓결합부(19)에 외측 가스켓(50a)을 결합한다. 가스켓결합부(19)는 외부지지부(14)의 상부에, 보다 구체적으로는 외부패드(30)로부터 상향 이격된 위치에, 유리삽입홈부(12)와 연통되게 형성된다. 외측 가스켓(50a)의 돌출부를 손으로 가압하여 납작하게 탄성압축시킨 상태에서 가스켓결합부(19)에 인입시킨 후 가압력을 해제함으로써 외측 가스켓(50a)을 가스켓결합부(19)에 결속시킬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유리 난간의 시공방법의 유리삽입단계와 웨지가이드삽입단계를 설명하고자 도시한 시공상태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유리삽입단계(S5)에서는 난간유리(20)의 하부를 유리삽입홈부(12)에 삽입하여 세팅블럭(25)에 안착시키고, 복수개의 외부패드(30) 및 외측 가스켓(50a)과 이웃하여 배치한다. 웨지가이드삽입단계(S6)에서는 복수개의 웨지가이드(60)를 고정프레임(10)의 내부지지부(15)와 난간유리(20)의 사이에 삽입하여, 유리삽입홈부(12)의 내측부에 직립되게 배치한다. 복수개의 웨지가이드(60)는 상호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유리 난간의 시공방법의 유리고정단계를 설명하고자 도시한 시공상태도이고, 도 1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유리 난간의 시공방법에서 내부패드의 압입 깊이와 난간유리에 작용하는 가압력의 관계를 설명하고자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유리고정단계(S7)는, 웨지가이드(60)와 고정프레임(10)의 내부지지부(15)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부에 내부패드(40)를 삽입하여 제1높이 상에서 웨지가이드(60)에 압접시키는 하부패드삽입단계(S7-1)와, 웨지가이드(60)와 내부지지부(15)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부에 내부패드(40)를 삽입하여 제2높이 상에서 웨지가이드(60)에 압접시키는 상부패드삽입단계(S7-4)를 포함한다.
내부패드(40)를 일단지지부(63)와 중간지지부(65)의 사이와, 타단지지부(64)와 중간지지부(65)의 사이로 인입시킨 상태에서, 가압공구(T)를 이용해 내부패드(40)에 하향력을 작용시킴으로써, 내부패드(40)를 가이드돌출부(62)를 따라 직선 경로로 하향 이동시키면서, 횡방향으로의 이동을 구속하면서, 목적한 높이에 정확하게 위치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내부패드(40)의 상부에 형성된 공구계합홈부(44)에 가압공구(T)의 단부를 삽입시킨 상태에서 가압공구(T)의 단부를 하향 이동시키면서 내부패드(40)에 하향 가압력을 안정적으로 가할 수 있다. 하부패드삽입단계(S7-1)에서 설치되는 내부패드(40)로는 하부패드(41)를 적용할 수 있고, 상부패드삽입단계(S7-4)에서 설치되는 내부패드(40)로는 상부패드(42)를 적용할 수 있다.
하부패드(41)와 상부패드(42)를 고정프레임(10)과 웨지가이드(60)의 사이에 압입한 상태에서, 하부패드(41)와 상부패드(42)는 웨지가이드(60)의 하부 일측부에서 그 외측면부에 대응되는 면적으로 웨지가이드(60)를 가압하게 되고, 웨지가이드(60)에 작용하는 가압력은 웨지가이드(60) 전체로 분산, 확장되어 난간유리(20)에 작용하게 된다.
도 18을 참조하면, 내부패드(40)의 압입 깊이에 따라 외부패드(30)와 내부패드(40)의 탄성 압축변형량(δe, δp)이 가변된다. 외부패드(30)와 내부패드(40)는 양방향에서 난간유리(20)를 지지하는 장치부로, 외부패드(30)와 내부패드(40)의 압축변형량(δe, δp)이 증가할수록 난간유리(20)를 보다 강한 힘으로 가압하게 된다.
내부패드(40)의 양측면부가 웨지가이드(60)와 내부지지부(15)에 각각 접한 이후, 하향 이동 변위(U)가 증가할수록 외부패드(30)와 내부패드(40)에 작용하는 압축력(P)이 증가하게 되고, 외부패드(30)와 내부패드(40)의 압축변형량(δe, δp)이 증가하게 되며, 외부패드(30)와 내부패드(40)에 작용하는 압축력(P)만큼 난간유리(20)를 가압력 내지 고정력을 작용시키게 된다.
원하는 압축력 내지 가압력을 얻을 때 까지 내부패드(30)를 보다 깊이 압입시킴으로써, 목적한 만큼의 고정력을, 즉 압축력 및 마찰력을 정확하게 난간유리(20)에 작용시킬 수 있다. 웨지가이드(60)에 의해 내부패드(40)를 목적한 방향, 높이에 정확하게 위치시킬 수 있어 목적한 압축력(P)을 정밀하게 구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내부패드(40)에 비해 보다 확장된 면적으로 난간유리(20)와 접함으로써, 내부패드(40)로 인해 난간유리(20)에 국부적으로 응력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실링단계(S8)는 상기와 같이 내부패드(40)를 설치한 상태에서, 내측 가스켓(50b)을 유리삽입홈부(12)의 상부에 결합하여 내부패드(40)의 상측에 형성되는 유리삽입홈부(12)의 개방부를 실링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유리 난간(1)의 시공방법에 의하면, 작업자가 난간유리(20)의 내측에서 보다 안전하고, 용이하게 전체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유리 난간(1) 및 그 시공방법에 의하면, 고정프레임(10)을 시공면(2)에 고정시키고, 외부패드(30), 난간유리(20), 내부패드(40)를 유리삽입홈부(12)에 순차적으로 끼우는 간단한 조립 과정을 거쳐 용이하고 신속하게 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별도의 습식 접착제, 경화제, 마감재 등을 이용할 필요 없이, 공사기간을 단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공장비와 시공인원의 투입, 운용이 보다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난간유리(20)의 파손 시, 가스켓(50)과, 내부패드(40), 난간유리(20)를 순차적으로 분리, 분해하고, 재조립하는 간단한 과정을 거쳐 난간유리(20)를 교체할 수 있어, 습식 접착제, 경화제, 마감재 등을 분리, 제거하고, 이를 위해 시공장비를 재반입, 재운용하는 번거로운 과정을 생략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유지, 관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작업자가, 고정프레임(10)을 시공면(2)에 고정시키고, 외부패드(30), 난간유리(20), 내부패드(40)를 유리삽입홈부(12)에 순차적으로 끼우는 시공 전반을, 베란다 등 시공면(2)의 내측에서 수행할 수 있어, 즉 시공면(2)의 외부에서 작업을 수행할 필요가 없어, 작업자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고 작업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 유리 난간 2 : 시공면
2a : 슬래브 2b : 바닥재
10 : 고정프레임 11 : 받침본체부
12 : 유리삽입홈부 13 : 하부지지부
14 : 외부지지부 15 : 내부지지부
16 : 앵커홀부 17 : 돌출방지홈부
18 : 요철부 19 : 가스켓결합부
20 : 난간유리 25 : 세팅블럭
30 : 외부패드 31 : 수평패드부
32 : 수직패드부 40 : 내부패드
41 : 하부패드 42 : 상부패드
43 : 패드본체부 44 : 공구계합홈부
50 : 가스켓 50a : 외측 가스켓
50b : 내측 가스켓 51 : 앵커부재
52 : 고정부재 60 : 웨지가이드
61 : 유리압접패널부 62 : 가이드돌출부
63 : 일단지지부 64 : 타단지지부
65 : 중간지지부 121 : 안착저면부
122 : 수직연장부 123 : 경사연장부
124 : 삽입안내부 126 : 제1시공용이부
127 : 제2시공용이부 128 : 제3시공용이부
129 : 제4시공용이부 181 : 이격홈부
182 : 접촉첨부 H1 : 제1높이
H2 : 제2높이 S1 : 프레임고정단계
S2 : 블럭삽입단계 S3 : 패드삽입단계
S4 : 외측가스켓결합단계 S5 : 유리삽입단계
S6 : 웨지가이드삽입단계 S7 : 유리고정단계
S7-1 : 하부패드삽입단계 S7-4 : 상부패드삽입단계
S8 : 실링단계

Claims (20)

  1. 유리삽입홈부가 형성되는 고정프레임;
    하부가 상기 유리삽입홈부에 끼워지는 난간유리;
    상기 유리삽입홈부에 삽입되고, 상기 난간유리의 일측부와 압접되는 외부패드; 및
    상기 유리삽입홈부에 삽입되고, 상기 난간유리를 사이에 두고 상기 외부패드와 마주하여 배치되며, 상기 난간유리의 타측부와 압접되는 내부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난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프레임은,
    상기 유리삽입홈부가 형성되는 받침본체부;
    상기 받침본체부의 하부에 상기 유리삽입홈부와 연통되게 형성되고, 앵커부재가 관통되는 앵커홀부; 및
    상기 앵커홀부의 상부에 상기 앵커홀부보다 확장된 너비로 형성되고, 상기 앵커부재에 체결되는 고정부재가 삽입되는 돌출방지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난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본체부는,
    상기 앵커홀부가 형성되고, 상기 난간유리를 하측에서 지지하는 하부지지부;
    상기 하부지지부의 일측부에 상향 연장되게 형성되고, 상기 외부패드를 사이에 두고 상기 난간유리를 지지하는 외부지지부; 및
    상기 하부지지부의 타측부에 상기 외부지지부와 마주하게 형성되고, 상기 내부패드를 사이에 두고 상기 난간유리를 지지하는 내부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난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본체부는,
    상기 외부지지부의 상부에 함몰되게 형성되고, 가스켓의 일부가 끼워져 결합되는 가스켓결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난간.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프레임은,
    상기 받침본체부의 저면부 상에 요철되게 형성되는 요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요철부는,
    상기 받침본체부의 저면부 상에 상측으로 함몰되게 형성되는 이격홈부; 및
    상기 이격홈부의 가장자리부에 형성되고, 시공면과 접하는 접촉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난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삽입홈부는,
    상기 외부패드와 접하는 일측부에 수직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수직연장부; 및
    상기 내부패드와 접하는 타측부에 형성되고, 상부로 갈수록 상기 난간유리와의 이격거리가 확장되는 경사면을 이루는 경사연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내부패드는,
    상기 경사연장부에 대응되는 경사면을 구비한 쐐기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난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삽입홈부는,
    상기 수직연장부와 상기 경사연장부의 상부에 형성되고, 상부로 갈수록 상기 난간유리와의 이격거리가 확장되는 경사면을 이루며, 상기 유리삽입홈부를 실링하는 가스켓이 결합되는 삽입안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난간.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삽입홈부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난간유리가 안착되는 세팅블럭;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난간.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난간유리의 타측부와 상기 고정프레임의 사이에 삽입되고, 상기 내부패드의 하향 이동을 안내하는 웨지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난간.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웨지가이드는,
    상기 난간유리와 면접촉되는 유리압접패널부; 및
    상기 유리압접패널부 상에 상기 고정프레임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수직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며, 하부측으로 갈수록 돌출정도가 감소되는 형상을 가지는 가이드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난간.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돌출부는,
    상기 유리압접패널부의 일단부에 수직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일단지지부;
    상기 유리압접패널부의 타단부에 수직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타단지지부; 및
    상기 일단지지부와 상기 타단지지부의 사이에 상기 내부패드의 너비에 대응되는 이격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중간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난간.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패드는,
    쐐기 형상을 가지고, 상기 일단지지부와 상기 중간지지부의 사이에 삽입되며, 상기 유리삽입홈부의 하부에서 상기 고정프레임과 접하는 하부패드; 및
    쐐기 형상을 가지고, 상기 타단지지부와 상기 중간지지부의 사이에 삽입되며, 상기 유리삽입홈부의 상부에서 상기 고정프레임과 접하는 상부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난간.
  13. 제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패드는,
    쐐기 형상을 가지는 패드본체부; 및
    상기 패드본체부의 상부에 함몰되게 형성되고, 상기 내부패드를 하향 가압하는 가압공구의 단부가 삽입되는 공구계합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난간.
  14. 유리삽입홈부가 형성된 고정프레임을 시공면에 고정하는 프레임고정단계;
    외부패드를 상기 유리삽입홈부의 일측부에 삽입하는 패드삽입단계;
    난간유리의 하부를 상기 유리삽입홈부의 타측부에 끼우는 유리삽입단계; 및
    쐐기 형상의 내부패드를 상기 유리삽입홈부에 삽입하여, 상기 외부패드와 상기 내부패드로 상기 난간유리를 양방향에서 가압하고, 상기 난간유리를 상기 고정프레임에 직립되게 고정하는 유리고정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난간의 시공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고정단계는,
    상기 시공면에 앵커부재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시공면에 상기 고정프레임을 안착시키는 단계; 및
    고정부재를 상기 앵커부재에 체결하여 상기 고정프레임을 상기 시공면에 고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난간의 시공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고정단계와 상기 패드삽입단계의 사이에 실시되고, 세팅블럭을 상기 유리삽입홈부에 삽입하고, 상기 유리삽입홈부의 하부에 안착시키는 블럭삽입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난간.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삽입단계와 상기 유리고정단계의 사이에 실시되고, 상기 내부패드의 하향 이동을 안내하는 웨지가이드를 상기 유리삽입홈부의 타측부에 삽입하는 웨지가이드삽입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난간.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고정단계는,
    상기 웨지가이드와 상기 고정프레임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부에 상기 내부패드를 삽입하여 제1높이 상에서 상기 웨지가이드에 압접시키는 하부패드삽입단계; 및
    상기 웨지가이드와 상기 고정프레임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부에 상기 내부패드를 삽입하여 제2높이 상에서 상기 웨지가이드에 압접시키는 상부패드삽입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난간의 시공방법.
  19. 제14항 또는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고정단계는, 상기 내부패드의 상부에 형성된 공구계합홈부에 가압공구의 단부를 삽입시킨 상태에서 상기 가압공구의 단부를 하향 이동시키면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난간의 시공방법.
  20.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삽입단계와 상기 유리삽입단계의 사이에 실시되고, 상기 고정프레임의 외측부에 형성된 가스켓결합부에 가스켓을 결합하는 외측가스켓결합단계; 및
    상기 유리고정단계 이후에 실시되고, 상기 고정프레임의 내측부와 상기 난간유리의 사이에 가스켓을 결합하는 내측가스켓결합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난간.
KR1020190060844A 2019-05-23 2019-05-23 유리 난간 및 그 시공방법 KR1022771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0844A KR102277141B1 (ko) 2019-05-23 2019-05-23 유리 난간 및 그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0844A KR102277141B1 (ko) 2019-05-23 2019-05-23 유리 난간 및 그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4806A true KR20200134806A (ko) 2020-12-02
KR102277141B1 KR102277141B1 (ko) 2021-07-15

Family

ID=737922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0844A KR102277141B1 (ko) 2019-05-23 2019-05-23 유리 난간 및 그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714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7265B1 (ko) * 2021-05-17 2021-11-17 (주)유림 난간용 유리 베이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64122A (ko) 2021-11-03 2023-05-10 주식회사 부영물산 난간용 판유리 고정 클램프
KR20240010915A (ko) 2022-07-18 2024-01-25 김승현 마감재를 이용한 유리 난간 시공구조
KR20240010916A (ko) 2022-07-18 2024-01-25 김승현 마감재를 이용한 유리 난간 시공구조
KR20240022853A (ko) 2022-08-12 2024-02-20 김승현 유리 난간 시공구조
KR20230113141A (ko) 2022-12-06 2023-07-28 김승현 유리 난간 시공구조
KR20230113137A (ko) 2022-12-06 2023-07-28 김승현 유리 난간 시공구조
KR20230113142A (ko) 2022-12-06 2023-07-28 김승현 유리 난간 시공구조
KR20230113140A (ko) 2022-12-06 2023-07-28 김승현 유리 난간 시공구조
KR20230113138A (ko) 2022-12-06 2023-07-28 김승현 유리 난간 시공구조
KR20230113136A (ko) 2022-12-06 2023-07-28 김승현 유리 난간 시공구조
KR20230113139A (ko) 2022-12-06 2023-07-28 김승현 유리 난간 시공구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13924A (ko) * 2011-07-29 2013-02-06 (주)에이엠알 유리펜스 고정구조 및 고정방법
US8820721B1 (en) * 2012-02-24 2014-09-02 Poma & Sons, Inc. Glass railing anchor system
EP2905395A1 (en) * 2014-02-11 2015-08-12 Faraone S.R.L. Apparatus for connecting panellings to a building element
US20160298337A1 (en) * 2013-03-19 2016-10-13 Gregory A. Header Hinged Glass Handrail Sill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13924A (ko) * 2011-07-29 2013-02-06 (주)에이엠알 유리펜스 고정구조 및 고정방법
US8820721B1 (en) * 2012-02-24 2014-09-02 Poma & Sons, Inc. Glass railing anchor system
US20160298337A1 (en) * 2013-03-19 2016-10-13 Gregory A. Header Hinged Glass Handrail Sill
EP2905395A1 (en) * 2014-02-11 2015-08-12 Faraone S.R.L. Apparatus for connecting panellings to a building elemen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7265B1 (ko) * 2021-05-17 2021-11-17 (주)유림 난간용 유리 베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7141B1 (ko) 2021-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77141B1 (ko) 유리 난간 및 그 시공방법
KR101786490B1 (ko) 방음벽 패널 연결 구조
KR101503809B1 (ko) 트러스거더 고정용 스페이서 및 이를 이용한 데크플레이트와 트러스거더 간의 결합구조
KR20080111664A (ko) 긴장탭이 부착된 섬유보강판을 이용한 구조물 긴장장치
TW201912901A (zh) 施作彼此銜接之複數梁的方法
KR101947466B1 (ko) 조적 벽체 건축물의 내진 보강 장치 및 그 공법
KR20160149380A (ko) 철골기둥과 철골 보의 접합구조
CN110656762A (zh) 三节式拉杆悬挑外脚手架及其施工方法
KR100887160B1 (ko) 다중접속 탄성장치를 이용한 구조물 내진보강공법
KR102144308B1 (ko) 강재용 고전단 링앵커
JP2014051372A (ja) 乗客コンベヤのトラス支持装置、及び乗客コンベヤのトラス支持装置の設置方法
CN110206156B (zh) 一种顶升式建筑屋面平台的顶升系统
CN110805293A (zh) 安全绳固定装置
JP2008127744A (ja) 既存建物の耐震補強構造
KR200487420Y1 (ko) 멀티데크의 접합부재
KR101814902B1 (ko) 분절형 보강 구조물을 이용한 건축물 개구부의 내진 보강 구조 및 보강 방법
KR200418073Y1 (ko) 거푸집용 패널
JPS62297554A (ja) 免震装置
KR101554092B1 (ko) 건축물 보강용 링크 가새 구조물
CN114263364B (zh) 一种既有结构梁的加固结构及其施工方法
JP2018131869A (ja) 木部材接合構造及び接合部補強材
KR102021407B1 (ko) 외벽패널용 기밀구조체
CN215443213U (zh) 一种竖向预制构件的就位辅助工装
KR20180102719A (ko) 합벽지지대
JP2002194893A (ja) 型枠装置及び構造物の連続施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