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13136A - 유리 난간 시공구조 - Google Patents

유리 난간 시공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13136A
KR20230113136A KR1020220168544A KR20220168544A KR20230113136A KR 20230113136 A KR20230113136 A KR 20230113136A KR 1020220168544 A KR1020220168544 A KR 1020220168544A KR 20220168544 A KR20220168544 A KR 20220168544A KR 20230113136 A KR20230113136 A KR 202301131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construction structure
insertion space
fixing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685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승현
Original Assignee
김승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승현 filed Critical 김승현
Priority to KR10202201685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13136A/ko
Publication of KR202301131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313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1Balustrades
    • E04F11/1851Filling panels, e.g. concrete, sheet metal panels
    • E04F11/1853Glass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1Balustrades
    • E04F11/1817Connections therefor
    • E04F2011/1823Connections therefor between balustrade filling members, e.g. balusters or panels, and horizontal or sloping balustrade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2011/1885Handrails or balusters characterized by the use of specific materials
    • E04F2011/1891Handrails or balusters characterized by the use of specific materials mainly of stone or stone like materials, e.g. concrete; mainly of glass
    • E04F2011/1895Handrails or balusters characterized by the use of specific materials mainly of stone or stone like materials, e.g. concrete; mainly of glass mainly of g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teps, Ramps, And Handrai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작은 충격에도 유리가 깨지지 않도록 하면서, 유리가 강풍 등과 같은 외력에 의해 심하게 흔들려서 파손되는 것을 막아주는 유리 난간 시공구조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유리 난간의 유리가 다수 설치되는 건축물의 바닥에, 유리의 중심을 연결하는 가상선을 따라 길게 설치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되, 고정부재는 한쪽이 개방되면서 내부에 유리의 한쪽이 삽입되는 삽입공간이 형성되고, 바닥에 체결부재로 체결되는 고정몸체를 포함하며, 유리의 한쪽이 끼워지는 끼움홈이 외면에 형성되며, 유리의 한쪽이 끼움홈에 끼워진 상태로 유리와 함께 삽입공간에 삽입되어 삽입공간의 가장 깊은 곳에 끼워지면서, 유리를 삽입공간에 고정해주는 탄성을 가진 제1완충부재; 유리의 양쪽으로 삽입공간에 삽입되어 고정몸체의 내면에 밀착되면서, 고정몸체의 개방된 입구에 근접하게 위치되는 탄성을 가진 제2완충부재; 유리의 양쪽으로 삽입공간에 삽입되어 유리와 제2완충부재의 사이에 끼워지면서, 유리를 가압하여 삽입공간에 고정해주는 탄성을 가진 제3완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난간 시공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유리 난간 시공구조{Glass handrail construction structure}
본 발명은 유리 난간을 건축물의 발코니, 베란다, 테라스, 옥상 등에 설치해주는 유리 난간 시공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리 난간은 건축물의 발코니, 베란다, 테라스, 옥상 등에 설치되어, 사람의 추락사고를 막도록 하였다.
이에, 종래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리(4)가 삽입되어 설치되는 시멘트 그라우트(5)를 건축물의 발코니, 베란다, 테라스, 옥상 등에 매립 설치하였다.
또한, 특허문헌1은 유리삽입홈부가 형성되는 고정프레임; 하부가 상기 유리삽입홈부에 끼워지는 난간유리; 상기 유리삽입홈부에 삽입되고, 상기 난간유리의 일측부와 압접되는 외부패드; 상기 유리삽입홈부에 삽입되고, 상기 난간유리를 사이에 두고 상기 외부패드와 마주하여 배치되며, 상기 난간유리의 타측부와 압접되는 내부패드; 및 상기 난간유리의 타측부와 상기 고정프레임의 사이에 삽입되고, 상기 내부패드의 하향 이동을 안내하는 웨지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난간을 제공하였다.
하지만, 현재에는 유리를 종래와 다르게 건축물의 바닥에 설치해주는 유리 난간 시공구조를 원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허문헌1 : 국내등록특허 제10-2277141호(2021.07.08.등록.)
이에, 본 발명은 작은 충격에도 유리가 깨지지 않도록 하면서, 유리가 강풍 등과 같은 외력에 의해 심하게 흔들려서 파손되는 것을 막아주는 종래와 다른 유리 난간 시공구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유리 난간의 유리가 다수 설치되는 건축물의 바닥에, 유리의 중심을 연결하는 가상선을 따라 길게 설치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되, 고정부재는 한쪽이 개방되면서 내부에 유리의 한쪽이 삽입되는 삽입공간이 형성되고, 바닥에 체결부재로 체결되는 고정몸체를 포함하며, 유리의 한쪽이 끼워지는 끼움홈이 외면에 형성되며, 유리의 한쪽이 끼움홈에 끼워진 상태로 유리와 함께 삽입공간에 삽입되어 삽입공간의 가장 깊은 곳에 끼워지면서, 유리를 삽입공간에 고정해주는 탄성을 가진 제1완충부재; 유리의 양쪽으로 삽입공간에 삽입되어 고정몸체의 내면에 밀착되면서, 고정몸체의 개방된 입구에 근접하게 위치되는 탄성을 가진 제2완충부재; 유리의 양쪽으로 삽입공간에 삽입되어 유리와 제2완충부재의 사이에 끼워지면서, 유리를 가압하여 삽입공간에 고정해주는 탄성을 가진 제3완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난간 시공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제1,2,3완충부재로 유리 난간의 유리에 전달되는 충격을 완화시켜서 유리가 깨지지 않도록 해주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제1완충부재 및 에폭시로 이루어진 충진제로 유리 난간의 유리에 전달되는 충격을 완화시켜서 유리가 깨지지 않도록 해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에폭시로 이루어진 충진제는 고정몸체와 유리의 사이를 기밀하게 해주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삽입공간의 상,하부에서 제1완충부재 및 제2,3완충부재로 유리를 각각 고정해주기 때문에, 유리 난간의 유리가 강풍 등과 같은 외력에 의해 흔들려서 파손되는 것을 막아주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유리가 제1완충부재의 끼움홈에 끼워진 상태로 함께 삽입공간에 삽입되면, 유리가 제1완충부재에 의해 고정부재의 삽입공간에 미리 고정되는 효과가 있다.
즉, 시공 작업 완료 전에 유리가 흔들리는 것을 막아서, 시공 작업을 용이하게 해주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고정몸체의 경사부에 제1완충부재의 경사면이 안내되면서, 경사부에 의해 폭이 좁아진 삽입공간의 가장 깊은 곳에 제1완충부재가 꽉 끼워지는 효과가 있다.
즉, 경사부에 의해 삽입공간의 가장 깊은 곳에서 제1완충부재가 가압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받침대에 의해 삽입공간의 가장 깊은 곳에서 제1완충부재가 더 가압되는 효과가 있다.
다시 말해, 유리가 제1완충부재에 더 고정되어 외력에 의해 흔들리는 것을 더 막아주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유리가 제1완충부재의 끼움홈에 끼워진 상태로 삽입공간에 삽입 시, 제1완충부재가 경사면에 의해 고정몸체의 개방된 입구에 덜 걸리면서 안내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고정몸체 및 제1완충부재가 서로 끼워지는 요철부에 의해 견고하게 결합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1완충부재가 제1접착부재에 의해 고정몸체의 내면에 더 고정되는 효과가 있다.
즉, 제1완충부재가 외력에 의해 원래 있던 위치에서 이탈하는 것을 막아주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제2완충부재가 제2접착부재 또는 제2끼움홈에 끼워진 끼움돌기에 의해 고정몸체의 내면에 더 고정되는 효과가 있다.
즉, 제2완충부재가 외력에 의해 원래 있던 위치에서 이탈하는 것을 막아주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제2완충부재의 경사면에 제3완충부재의 경사면이 안내되기 때문에, 제3완충부재가 제2완충부재를 덜 가압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3완충부재의 설치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제2,3완충부재가 서로 끼워지는 요철부에 의해 견고하게 결합되는 효과가 있다.
즉, 제2,3완충부재가 외력에 의해 원래 있던 위치에서 이탈하는 것을 막아주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백업재가 제3끼움홈에 고정되기 때문에, 외력에 의해 원래 있던 위치에서 이탈하는 것을 막아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3끼움홈을 통해 백업재의 설치 위치를 알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체결홈으로 체결부재의 머리부 또는, 시공 시 발생되는 모래, 자갈 등과 같은 이물질이 삽입되기 때문에, 고정몸체의 내면에서 돌출되는 것을 막아주는 효과가 있다.
즉, 제1완충부재를 너무 뽀족하게 가압하여 유리를 손상시키는 것을 막아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체결홈을 통해 이물질 청소 및 빗물을 배출시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제1,2완충부재가 연결부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기 때문에, 삽입공간을 꽉 채우는 효과가 있다.
즉, 유리에 전달되는 충격을 더 완화시키면서, 유리를 더 고정시켜서 외력에 의해 흔들리는 것을 더 막아주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고정몸체의 개방된 입구와 유리 사이가 실란트 또는 가스켓에 의해 기밀해지기 때문에, 빗물이 유입되는 것을 막아주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제1완충부재의 길이가 길게 형성되기 때문에, 제1완충부재와 고정몸체의 내면 및, 제1완충부재와 유리의 사이에서 발생되는 마찰력이 증가되는 효과가 있다.
즉, 제1완충부재 및 유리가 외력에 의해 원래 있던 위치에서 이탈하는 것을 더 막아주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유리의 길이를 따라 다수의 제1완충부재가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설치되기 때문에, 길이가 긴 제1완충부재보다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고정부재가 건축물의 바닥에 매립되기 때문에, 건축물의 바닥에서 유리 난간의 유리만 돌출되는 효과가 있다.
즉, 유리 난간을 깔끔하게 보이게 해주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돌출부에 의해 고정몸체가 구조보강이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으며, 돌출부에 별도의 고정브라켓을 체결부재로 체결하여 건축물의 바닥에 더 고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고정부재가 매립되면서 돌출부가 바닥의 내부에 걸리기 때문에, 고정부재가 외력에 의해 원래 있던 위치에서 이탈하는 것을 막아주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유리 난간을 고정브래킷을 통해 건축물의 외벽에도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건축물의 바닥을 넓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고정브래킷의 끼움홈에 고정몸체의 돌출부가 끼워지면서 고정몸체가 고정브래킷에 더 고정되기 때문에, 유리가 외력에 의해 흔들리는 것을 막아주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유리 난간 설치상태도,
도 2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따른 유리 난간 시공구조를 보여주는 설치상태도 및 확대도 및 상세도,
도 8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따른 유리 난간 시공구조의 시공 과정도,
도 12 내지 1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제1,2,3,4,5,6변형예를 따른 유리 난간 시공구조를 보여주는 설치상태도,
도 18 내지 도 2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따른 유리 난간 시공구조를 보여주는 설치상태도 및 확대도 및 상세도,
도 23 내지 도 2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따른 유리 난간 시공구조의 시공 과정도,
도 26 내지 도 2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제1,2,3,4변형예를 따른 유리 난간 시공구조를 보여주는 설치상태도이다.
이에,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따른 유리 난간(1000) 시공구조는 상기 유리 난간(1000)의 유리(100)가 다수 설치되는 건축물의 바닥(1)에, 유리(100)의 중심을 연결하는 가상선(2)을 따라 길게 설치되는 고정부재(200)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재(200)는 한쪽이 개방되면서 내부에 유리(100)의 한쪽이 삽입되는 삽입공간(211)이 형성되고, 바닥(1)에 앵커부재 등과 같은 체결부재(3)로 체결되는 고정몸체(210)가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부재(200)는 '∪'와 유사한 형태로 형성되며, 알루미늄(aluminum), 스틸 종류 등의 단단한 재질로 이루어져 건축물의 발코니, 베란다, 테라스, 옥상 등의 가장자리 즉, 건축물의 바닥(1)에 설치된다.
또한, 상기 유리(100)는 다수로 구성되고, 연결부재에 의해 연결될 수 있으며, 상부에 손스침 커버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유리 난간(1000) 시공구조는 유리(100)의 한쪽이 끼워지는 끼움홈(301)이 외면에 형성되며, 상기 유리(100)의 한쪽이 끼움홈(301)에 끼워진 상태로 상기 유리(100)와 함께 삽입공간(211)에 삽입되어 상기 삽입공간(211)의 가장 깊은 곳에 끼워지면서, 상기 유리(100)를 삽입공간(211)에 고정해주는 탄성을 가진 제1완충부재(300)가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제1완충부재(300)는 경질 고무나 연질의 플라스틱 등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유리 난간(1000) 시공구조는 유리(100)의 양쪽으로 삽입공간(211)에 삽입되어 고정몸체(210)의 내면에 밀착되면서, 상기 고정몸체(210)의 개방된 입구에 근접하게 위치되는 탄성을 가진 제2완충부재(310); 상기 유리(100)의 양쪽으로 삽입공간(211)에 삽입되어 상기 유리(100)와 제2완충부재(310)의 사이에 끼워지면서, 상기 유리(100)를 가압하여 삽입공간(211)에 고정해주는 탄성을 가진 제3완충부재(320)가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제2,3완충부재(310)(320)는 경질 고무나 연질의 플라스틱 등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삽입공간(211)의 가장 깊은 곳의 양쪽에는 고정몸체(210)의 폭이 좁아지도록 경사부(212)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삽입공간(211)의 가장 깊은 곳의 폭은 경사부(212)에 의해 좁아진다.
그리고, 상기 제1완충부재(300)의 양쪽 외면에는 경사부(212)에 안내되는 경사면(302)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삽입공간(211)의 가장 깊은 곳에 끼워지는 제1완충부재(300)의 폭은 경사면(302)에 의해 좁아진다.
그리고, 상기 경사부(212) 및 경사면(302)에는 각각 서로 끼워지는 요철부(212a)(302a)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요철부(212a)(302a)는 톱니가 연속적으로 이어진 형태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유리 난간(1000) 시공구조는 제1완충부재(300)를 고정몸체(210)에 내면에 접착시켜주는 제1접착부재(400)가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제1접착부재(400)는 본드 등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유리 난간(1000) 시공구조는 제2완충부재(310)를 고정몸체(210)에 내면에 접착시켜주는 제2접착부재(410)가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제2접착부재(410)는 접착제나 양면테이프 등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제2,3완충부재(310)(320)의 서로 맞닿는 외면에는 각각 경사면(311)(321)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2,3완충부재(310)(320)는 쐐기와 유사한 형태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경사면(311)(321)에는 각각 서로 끼워지는 요철부(311a)(321a)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요철부(311a)(321a)는 톱니가 연속적으로 이어진 형태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몸체(210)의 개방된 입구에는 제1끼움홈(213)이 형성되고, 유리 난간(1000) 시공구조는 상기 제1끼움홈(213)에 끼워져서 유리(100)에 밀착되는 가스켓(500)이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제1끼움홈(213)은 고정몸체(2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완충부재(3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리(100)의 길이 방향으로 길이가 길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완충부재(300)는 다수로 구성되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상기 제1완충부재(300)의 끼움홈(301)에 유리(100)의 한쪽을 끼우면서, 다수의 상기 제1완충부재(300)를 유리(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 즉, 일정한 간격으로 위치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바닥(1)에 가장 가까운 고정몸체(210)의 내면에는 체결부재(3)가 삽입되어 바닥(1)에 체결되는 체결홈(214)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체결부재(3)의 머리부는 체결홈(214)에 삽입되며, 상기 체결홈(214)은 고정몸체(2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삽입공간(211)의 가장 깊은 곳의 양쪽으로 고정몸체(210)의 외면에는 돌출부(215)가 돌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돌출부(215)는 'ㅡ'와 유사한 형태로 형성된다.
그래서,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따른 상기 유리 난간(1000) 시공구조에 의한 시공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재(200)를 유리 난간(1000)의 유리(100)의 중심을 연결하는 가상선(2)을 따라 건축물의 바닥(1)에 앵커부재 등과 같은 체결부재(3)로 체결하여 길게 설치한다.
여기서, 상기 체결부재(3)의 머리부는 체결홈(214)에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유리(100)의 한쪽을 제1완충부재(300)의 끼움홈(301)에 끼운다.
여기서, 상기 유리(1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리(100)의 길이 방향으로 길이가 긴 제1완충부재(300)의 끼움홈(301)에 끼워지거나, 상기 유리(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위치되는 다수의 제1완충부재(300)의 끼움홈(301)에 끼워진다.
그리고, 상기 유리(100)와 함께 제1완충부재(300)를 고정몸체(210)의 삽입공간(211)에 삽입시킨다.
여기서, 상기 유리(100)에 결합된 제1완충부재(300)는 경사면(302)에 의해 고정몸체(210)의 개방된 입구에 덜 걸리면서 안내되어 삽입공간(211)에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제1완충부재(300)의 경사면(302)은 고정몸체(210)의 경사부(212)에 안내되면서 삽입공간(211)의 가장 깊은 곳에 끼워진다.
여기서, 상기 제1완충부재(300)는 유리(100)의 하중에 의해 삽입공간(211)의 가장 깊은 곳에 밀려 들어가게 되면서, 경사부(212)에 가압되어 상기 경사부(212)에 의해 폭이 좁아진 삽입공간(211)의 가장 깊은 곳에 꽉 끼워진다.
또한, 상기 요철부(212a)(302a)는 서로 끼워진다.
또한, 상기 삽입공간(211)의 가장 깊은 곳에 미리 있던 제1접착부재(400)에 의해, 제1완충부재(300)는 고정몸체(210)의 내면에 접착된다.
즉, 상기 유리(100)는 제1완충부재(300)에 가압되어 삽입공간(211)에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제2완충부재(310)를 유리(100)의 양쪽으로 삽입공간(211)에 삽입시켜서, 제2접착부재(410)를 통해 고정몸체(210)의 내면에 접착시킨다.
여기서, 상기 제2완충부재(310)는 고정몸체(210)의 개방된 입구에 근접하게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3완충부재(320)를 유리(100)의 양쪽으로 삽입공간(211)에 삽입시켜서, 상기 유리(100)와 제2완충부재(310)의 사이에 끼운다.
여기서, 상기 제3완충부재(320)의 경사면(321)은 제2완충부재(310)의 경사면(311)에 안내된다.
또한, 상기 요철부(311a)(321a)는 서로 끼워진다.
즉, 상기 유리(100)는 제2완충부재(310)에 지지된 제3완충부재(320)에 가압되어 삽입공간(211)에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몸체(210)의 제1끼움홈(213)에 가스켓(500)을 끼운다.
여기서, 상기 가스켓(500)은 유리(100)에 밀착된다.
그리고, 상기 삽입공간(211)에서 돌출된 유리(100)의 상부에는 손스침 커버부재 등을 설치한다.
그래서,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따른 상기 유리 난간(1000) 시공구조에 의해, 상기 유리 난간(1000)은 유리(100)의 중심을 연결하는 가상선(2)을 따라 건축물의 바닥(1)에 설치된다.
또한, 상기 유리(100)는 제1,2,3완충부재(300)(310)(320)에 의해 고정몸체(210)의 삽입공간(211)에 고정되어 외력에 의해 흔들리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탄성을 가진 제1,2,3완충부재(300)(310)(320)는 유리(100)에 전달되는 충격을 완화시켜준다.
또한, 상기 가스켓(500)는 유리(100)와 고정몸체(210)의 사이로 빗물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바닥(1)이 건축물에서 외부로 돌출되게 형성되면, 고정부재(200)는 상기 건축물에서 외부로 돌출된 바닥(1)에 설치된다.
즉, 상기 유리 난간(1000)은 건축물에서 외부로 돌출되게 설치된다.
그리고,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제1변형예를 따른 상기 유리 난간(1000) 시공구조는 삽입공간(211)에 삽입되어 제1완충부재(300)를 지지하는 받침대(600)가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받침대(600)는 고무 재질 등으로 이루어져 제1완충부재(300)를 하부를 지지하게 된다.
그래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제1변형예를 따른 상기 유리 난간(1000) 시공구조에 의한 시공을 설명하면, 상기 받침대(600)를 유리(100)와 결합된 제1완충부재(300)보다 먼저 고정몸체(210)의 삽입공간(211)에 삽입시킨다.
여기서, 상기 받침대(600)는 삽입공간(211)의 가장 깊은 곳에 끼워진다.
그리고, 상기 유리(100)와 결합된 제1완충부재(300)는 삽입공간(211)의 가장 깊은 곳에 끼워지면서 받침대(600)에 지지된다.
여기서, 상기 제1완충부재(300)는 유리(100)의 하중에 의해 삽입공간(211)의 가장 깊은 곳에 밀려 들어가게 되면서, 고정몸체(210)의 경사부(212)와 함께 받침대(600)에 더 가압된다.
즉, 상기 유리(100)는 받침대(600)에 가압되어 제1완충부재(300)에 더 고정된다.
그리고,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제2변형예를 따른 상기 유리 난간(1000) 시공구조의 제1,2완충부재(300)(310)는 연결부(330)로 연결되어 일체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끼움홈(301)은 연결부(330)에 의해 면적이 커지게 된다.
그래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제2변형예를 따른 상기 유리 난간(1000) 시공구조에 의한 시공을 설명하면, 연결부(330)에 의해 일체로 형성된 제1,2완충부재(300)(310)의 끼움홈(301)에 유리(100)를 끼운다.
여기서, 상기 유리(100)는 끼움홈(301)에 넓은 면적으로 끼워진다.
그리고, 상기 유리(100)와 결합된 제1,2완충부재(300)(310)를 고정몸체(210)의 삽입공간(211)에 삽입시킨다.
그러면, 상기 연결부(330)에 의해 일체로 형성된 제1,2완충부재(300)(310)는 삽입공간(211)에 넓은 면적으로 끼워지게 된다.
그래서, 상기 유리(100)는 연결부(330)에 의해 일체로 형성된 제1,2완충부재(300)(310)에 의해, 고정몸체(210)의 삽입공간(211)에 더 고정되어 외력에 의해 더 흔들리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연결부(330)에 의해 삽입공간(211)에 넓은 면적으로 끼워진 제1,2완충부재(300)(310)는 유리(100)에 전달되는 충격을 더 완화시켜준다.
그리고,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제3변형예를 따른 상기 유리 난간(1000) 시공구조의 유리(100)와 고정몸체(210)의 개방된 입구의 사이에는 실란트(S)가 충진된다.
그래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제3변형예를 따른 상기 유리 난간(1000) 시공구조에 의한 시공을 설명하면, 유리(100)를 제1,2,3완충부재(300)(310)(320)를 통해 고정몸체(210)의 삽입공간(211)에 고정한 후, 상기 유리(100)와 고정몸체(210)의 개방된 입구의 사이에는 실란트(S)를 충진한다.
그러면, 상기 실란트(S)는 유리(100)와 고정몸체(210)의 사이로 빗물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그리고,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제4변형예를 따른 상기 유리 난간(1000) 시공구조의 제2완충부재(310)가 밀착되는 고정몸체(210)의 내면에는 제2끼움홈(216)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2끼움홈(216)은 제1끼움홈(213)의 아래로 고정몸체(210)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몸체(210)의 내면에 밀착되는 제2완충부재(310)의 외면에는 제2끼움홈(216)에 끼워지는 끼움돌기(312)가 돌출 형성된다.
그래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제4변형예를 따른 상기 유리 난간(1000) 시공구조에 의한 시공을 설명하면, 유리(100)와 결합된 제1완충부재(300)를 고정몸체(210)의 삽입공간(211)에 삽입시킨 후, 제2완충부재(310)를 유리(100)의 양쪽으로 삽입시킨다.
그리고, 상기 제2완충부재(310)의 끼움돌기(312)를 고정몸체(210)의 제2끼움홈(216)에 끼운다.
여기서, 상기 제2완충부재(310)는 고정몸체(210)의 개방된 입구에 근접하게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3완충부재(320)를 유리(100)의 양쪽으로 삽입공간(211)에 삽입시켜서, 상기 유리(100)와 제2완충부재(310)의 사이에 끼운다.
여기서, 상기 유리(100)는 제2완충부재(310)에 지지된 제3완충부재(320)에 가압되어 삽입공간(211)에 고정된다.
그리고,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제5변형예를 따른 상기 유리 난간(1000) 시공구조에 의해, 고정부재(200)는 건축물의 바닥(1)에 가상선(2)을 따라 길게 매립 설치된다.
그러면, 상기 고정부재(200)는 건축물의 바닥(1)에 매립되면서, 유리(100)만 상기 건축물의 바닥(1)에서 돌출된다.
또한, 상기 돌출부(215)는 바닥(1)의 내부에 걸리게 된다.
그리고,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제6변형예를 따른 상기 유리 난간(1000) 시공구조는 건축물의 바닥(1)에 인접한 외벽(1a)에 체결부재(3)로 체결되는 제1체결부(710)와, 상기 제1체결부(710)에서 돌출 형성되어 외벽(1a)과 수직을 이루는 제2체결부(720)가 포함된 고정브래킷(700)이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제1체결부(710)는 판과 유사한 형태로 형성되며, 앵커부재 등과 같은 체결부재(3)로 외벽(1a)에 체결된다.
또한, 상기 제2체결부(720)는 판과 유사한 형태로 형성되어 제1체결부(710)의 한쪽 끝에서 돌출 형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200)의 고정몸체(210)는 건축물의 바닥(1)이 아닌 제2체결부(720)에 나사못 등과 같은 체결부재(3)로 체결된다.
또한, 상기 고정브래킷(700)은 알루미늄(aluminum), 스틸 종류 등의 단단한 재질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고정브래킷(700)은 제1체결부(710)의 반대편에 위치된 제2체결부(720)의 한쪽에서 돌출 형성되며, 외면에 돌출부(215)가 끼워지는 끼움홈(731)이 형성된 돌출부(730)가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돌출부(730)는 제1체결부(710)의 반대편으로 제2체결부(720)의 한쪽 끝에서 돌출 형성된다.
그래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제6변형예를 따른 상기 유리 난간(1000) 시공구조에 의한 시공을 설명하면, 고정브래킷(700)의 제1체결부(710)를 건축물의 외벽(1a)에 밀착시켜 체결부재(3)로 체결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재(200)의 고정몸체(210)를 고정브래킷(700)의 제2체결부(720)에 안착시켜 체결부재(3)로 체결한다.
여기서, 상기 고정브래킷(700)의 끼움홈(731)에는 고정몸체(210)의 돌출부(215)가 끼워지면서, 상기 고정몸체(210)는 외벽(1a)에 밀착된다.
그래서, 상기 유리 난간(1000) 시공구조에 의한 시공이 완료되면, 상기 유리 난간(1000)은 외벽(1a)에서 돌출되어 설치된다.
그리고, 도 18 내지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따른 상기 유리 난간(1000) 시공구조는 유리 난간(1000)의 유리(100)가 다수 설치되는 건축물의 바닥(1)에, 상기 유리(100)의 중심을 연결하는 가상선(2)을 따라 길게 설치되는 고정부재(200)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재(200)는 한쪽이 개방되면서 내부에 유리(100)의 한쪽이 삽입되는 삽입공간(211)이 형성되고, 바닥(1)에 체결부재(3)로 체결되는 고정몸체(210)가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부재(200)는 '∪'와 유사한 형태로 형성되며, 알루미늄(aluminum), 스틸 종류 등의 단단한 재질로 이루어져 건축물의 발코니, 베란다, 테라스, 옥상 등의 가장자리 즉, 건축물의 바닥(1)에 설치된다.
또한, 상기 유리(100)는 다수로 구성되어 연결부재에 의해 연결되며, 상부에 손스침 커버부재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유리 난간(1000) 시공구조는 유리(100)의 한쪽이 끼워지는 끼움홈(301)이 외면에 형성되며, 상기 유리(100)의 한쪽이 끼움홈(301)에 끼워진 상태로 상기 유리(100)와 함께 삽입공간(211)에 삽입되어 상기 삽입공간(211)의 가장 깊은 곳에 끼워지면서, 상기 유리(100)를 삽입공간(211)에 고정해주는 탄성을 가진 제1완충부재(300)가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제1완충부재(300)는 경질 고무나 연질의 플라스틱 등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유리 난간(1000) 시공구조는 유리(100)의 양쪽으로 삽입공간(211)에 삽입되어 고정몸체(210)의 개방된 입구와 제1완충부재(330)의 사이로, 상기 유리(100)와 고정몸체(210)의 내면의 사이에 끼워지는 백업재(340)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유리 난간(1000) 시공구조는 백업재(340)의 위로, 삽입공간(211)에 충진되어 유리(100)를 상기 삽입공간(211)에 고정해주는 에폭시로 이루어진 충진제(350)가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충진제(350)는 탄성 및 접착력이 좋은 에폭시로 이루어져, 고정몸체(210)의 개방된 입구와 백업재(340)의 사이에 충전된다.
그리고, 상기 백업재(340)가 밀착되는 고정몸체(210)의 내면에는 상기 백업재(340)가 끼워지는 제3끼움홈(217)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3끼움홈(217)은 고정몸체(210)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삽입공간(211)의 가장 깊은 곳의 양쪽에는 고정몸체(210)의 폭이 좁아지도록 경사부(212)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삽입공간(211)의 가장 깊은 곳의 폭은 경사부(212)에 의해 좁아진다.
그리고, 상기 제1완충부재(300)의 양쪽 외면에는 경사부(212)에 안내되는 경사면(302)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삽입공간(211)의 가장 깊은 곳에 끼워지는 제1완충부재(300)의 폭은 경사면(302)에 의해 좁아진다.
그리고, 상기 경사부(212) 및 경사면(302)에는 각각 서로 끼워지는 요철부(212a)(302a)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요철부(212a)(302a)는 톱니가 연속적으로 이어진 형태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유리 난간(1000) 시공구조는 제1완충부재(300)를 고정몸체(210)에 내면에 접착시켜주는 제1접착부재(400)가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제1접착부재(400)는 본드 등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고정몸체(210)의 개방된 입구에는 제1끼움홈(213)이 형성되고, 유리 난간(1000) 시공구조는 상기 제1끼움홈(213)에 끼워져서 유리(100)에 밀착되는 가스켓(500)이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제1끼움홈(213)은 고정몸체(2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완충부재(300)는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리(100)의 길이 방향으로 길이가 길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완충부재(300)는 다수로 구성되어,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상기 제1완충부재(300)의 끼움홈(301)에 유리(100)의 한쪽을 끼우면서, 다수의 상기 제1완충부재(300)를 유리(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 즉, 일정한 간격으로 위치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바닥(1)에 가장 가까운 고정몸체(210)의 내면에는 체결부재(3)가 삽입되어 바닥(1)에 체결되는 체결홈(214)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체결부재(3)의 머리부는 체결홈(214)에 삽입되며, 상기 체결홈(214)은 고정몸체(2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삽입공간(211)의 가장 깊은 곳의 양쪽으로 고정몸체(210)의 외면에는 돌출부(215)가 돌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돌출부(215)는 'ㅡ'와 유사한 형태로 형성된다.
그래서,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따른 상기 유리 난간(1000) 시공구조에 의한 시공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8 내지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재(200)를 유리 난간(1000)의 유리(100)의 중심을 연결하는 가상선(2)을 따라 건축물의 바닥(1)에 앵커부재 등과 같은 체결부재(3)로 체결하여 길게 설치한다.
여기서, 상기 체결부재(3)의 머리부는 체결홈(214)에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유리(100)의 한쪽을 제1완충부재(300)의 끼움홈(301)에 끼운다.
여기서, 상기 유리(100)는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리(100)의 길이 방향으로 길이가 긴 제1완충부재(300)의 끼움홈(301)에 끼워지거나, 상기 유리(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위치되는 다수의 제1완충부재(300)의 끼움홈(301)에 끼워진다.
그리고, 상기 유리(100)와 함께 제1완충부재(300)를 고정몸체(210)의 삽입공간(211)에 삽입시킨다.
여기서, 상기 유리(100)에 결합된 제1완충부재(300)는 경사면(302)에 의해 고정몸체(210)의 개방된 입구에 덜 걸리면서 안내되어 삽입공간(211)에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제1완충부재(300)의 경사면(302)은 고정몸체(210)의 경사부(212)에 안내되면서 삽입공간(211)의 가장 깊은 곳에 끼워진다.
여기서, 상기 제1완충부재(300)는 유리(100)의 하중에 의해 삽입공간(211)의 가장 깊은 곳에 밀려 들어가게 되면서, 경사부(212)에 가압되어 상기 경사부(212)에 의해 폭이 좁아진 삽입공간(211)의 가장 깊은 곳에 꽉 끼워진다.
또한, 상기 요철부(212a)(302a)는 서로 끼워진다.
또한, 상기 삽입공간(211)의 가장 깊은 곳에 미리 있던 제1접착부재(400)에 의해, 제1완충부재(300)는 고정몸체(210)의 내면에 접착된다.
즉, 상기 유리(100)는 제1완충부재(300)에 가압되어 삽입공간(211)에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백업재(340)를 유리(100)의 양쪽으로 삽입공간(211)에 삽입시킨 후, 제3끼움홈(217)에 끼운다.
여기서, 상기 백업재(340)는 유리(100)와 고정몸체(210)의 내면의 사이에 끼워지면서, 제1완충부재(300)와 고정몸체(210)의 개방된 입구의 사이에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에폭시로 이루어진 충진제(350)를 백업재(340)의 위로 삽입공간(211)에 충진시킨다.
여기서, 상기 에폭시로 이루어진 충진제(350)는 백업재(340)와 고정몸체(210)의 개방된 입구의 사이로 삽입공간(211)에 충진된다.
즉, 상기 유리(100)는 에폭시로 이루어진 충진제(350)에 의해 삽입공간(211)에 접착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몸체(210)의 제1끼움홈(213)에 가스켓(500)을 끼운다.
여기서, 상기 가스켓(500)은 유리(100)에 밀착된다.
그리고, 상기 삽입공간(211)에서 돌출된 유리(100)의 상부에는 손스침 커버부재 등을 설치한다.
그래서,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따른 상기 유리 난간(1000) 시공구조에 의해, 상기 유리 난간(1000)은 유리(100)의 중심을 연결하는 가상선(2)을 따라 건축물의 바닥(1)에 설치된다.
또한, 상기 유리(100)는 제1완충부재(300) 및 에폭시로 이루어진 충진제(350)에 의해 고정몸체(210)의 삽입공간(211)에 고정되어 외력에 의해 흔들리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탄성을 가진 제1완충부재(300) 및 에폭시로 이루어진 충진제(350)는 유리(100)에 전달되는 충격을 완화시켜준다.
또한, 상기 가스켓(500)는 유리(100)와 고정몸체(210)의 사이로 빗물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바닥(1)이 건축물에서 외부로 돌출되게 형성되면, 고정부재(200)는 상기 건축물에서 외부로 돌출된 바닥(1)에 설치된다.
즉, 상기 유리 난간(1000)은 건축물에서 외부로 돌출되게 설치된다.
그리고,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제1변형예를 따른 상기 유리 난간(1000) 시공구조는 삽입공간(211)에 삽입되어 제1완충부재(300)를 지지하는 받침대(600)가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받침대(600)는 고무 재질 등으로 이루어져 제1완충부재(300)를 하부를 지지하게 된다.
그래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제1변형예를 따른 상기 유리 난간(1000) 시공구조에 의한 시공을 설명하면, 상기 받침대(600)를 유리(100)와 결합된 제1완충부재(300)보다 먼저 고정몸체(210)의 삽입공간(211)에 삽입시킨다.
여기서, 상기 받침대(600)는 삽입공간(211)의 가장 깊은 곳에 끼워진다.
그리고, 상기 유리(100)와 결합된 제1완충부재(300)는 삽입공간(211)의 가장 깊은 곳에 끼워지면서 받침대(600)에 지지된다.
여기서, 상기 제1완충부재(300)는 유리(100)의 하중에 의해 삽입공간(211)의 가장 깊은 곳에 밀려 들어가게 되면서, 고정몸체(210)의 경사부(212)와 함께 받침대(600)에 더 가압된다.
즉, 상기 유리(100)는 받침대(600)에 가압되어 제1완충부재(300)에 더 고정된다.
그리고,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제2변형예를 따른 상기 유리 난간(1000) 시공구조의 유리(100)와 고정몸체(210)의 개방된 입구의 사이에는 실란트(S)가 충진된다.
그래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제2변형예를 따른 상기 유리 난간(1000) 시공구조에 의한 시공을 설명하면, 유리(100)를 제1완충부재(300) 및 에폭시로 이루어진 충진제(350)를 통해 고정몸체(210)의 삽입공간(211)에 고정한 후, 상기 유리(100)와 고정몸체(210)의 개방된 입구의 사이에는 실란트(S)를 충진한다.
그러면, 상기 실란트(S)는 유리(100)와 고정몸체(210)의 사이로 빗물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그리고,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제3변형예를 따른 상기 유리 난간(1000) 시공구조에 의해, 고정부재(200)는 건축물의 바닥(1)에 가상선(2)을 따라 길게 매립 설치된다.
그러면, 상기 고정부재(200)는 건축물의 바닥(1)에 매립되면서, 유리(100)만 상기 건축물의 바닥(1)에서 돌출된다.
또한, 상기 돌출부(215)는 바닥(1)의 내부에 걸리게 된다.
그리고,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제4변형예를 따른 상기 유리 난간(1000) 시공구조는 건축물의 바닥(1)에 인접한 외벽(1a)에 체결부재(3)로 체결되는 제1체결부(710)와, 상기 제1체결부(710)에서 돌출 형성되어 외벽(1a)과 수직을 이루는 제2체결부(720)가 포함된 고정브래킷(700)이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제1체결부(710)는 판과 유사한 형태로 형성되며, 앵커부재 등과 같은 체결부재(3)로 외벽(1a)에 체결된다.
또한, 상기 제2체결부(720)는 판과 유사한 형태로 형성되어 제1체결부(710)의 한쪽 끝에서 돌출 형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200)의 고정몸체(210)는 건축물의 바닥(1)이 아닌 제2체결부(720)에 나사못 등과 같은 체결부재(3)로 체결된다.
또한, 상기 고정브래킷(700)은 알루미늄(aluminum), 스틸 종류 등의 단단한 재질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고정브래킷(700)은 제1체결부(710)의 반대편에 위치된 제2체결부(720)의 한쪽에서 돌출 형성되며, 외면에 돌출부(215)가 끼워지는 끼움홈(731)이 형성된 돌출부(730)가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돌출부(730)는 제1체결부(710)의 반대편으로 제2체결부(720)의 한쪽 끝에서 돌출 형성된다.
그래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제6변형예를 따른 상기 유리 난간(1000) 시공구조에 의한 시공을 설명하면, 고정브래킷(700)의 제1체결부(710)를 건축물의 외벽(1a)에 밀착시켜 체결부재(3)로 체결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재(200)의 고정몸체(210)를 고정브래킷(700)의 제2체결부(720)에 안착시켜 체결부재(3)로 체결한다.
여기서, 상기 고정브래킷(700)의 끼움홈(731)에는 고정몸체(210)의 돌출부(215)가 끼워지면서, 상기 고정몸체(210)는 외벽(1a)에 밀착된다.
그래서, 상기 유리 난간(1000) 시공구조에 의한 시공이 완료되면, 상기 유리 난간(1000)은 외벽(1a)에서 돌출되어 설치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100 : 유리 200 : 고정부재
210 : 고정몸체 211 : 삽입공간
212 : 경사부 212a : 요철부
213 : 제1끼움홈 214 : 체결홈
215 : 돌출부 216 : 제2끼움홈
217 : 제3끼움홈 300 : 제1완충부재
301 : 끼움홈 302 : 경사면
302a : 요철부 310 : 제2완충부재
311 : 경사면 311a : 요철부
312 : 끼움돌기 320 : 제3완충부재
321 : 경사면 321a : 요철부
330 : 연결부 340 : 백업재
350 : 충진제 400 : 제1접착부재
410 : 제2접착부재 500 : 가스켓
600 : 받침대 700 : 고정브래킷
710 : 제1체결부 720 : 제2체결부
740 : 돌출부 731 : 끼움홈
1000 : 유리 난간

Claims (34)

  1. 유리 난간(1000)의 유리(100)가 다수 설치되는 건축물의 바닥(1)에, 상기 유리(100)의 중심을 연결하는 가상선(2)을 따라 길게 설치되는 고정부재(200)를 포함하되,
    상기 고정부재(200)는 한쪽이 개방되면서 내부에 유리(100)의 한쪽이 삽입되는 삽입공간(211)이 형성되고, 바닥(1)에 체결부재(3)로 체결되는 고정몸체(210)를 포함하며,
    상기 유리(100)의 한쪽이 끼워지는 끼움홈(301)이 외면에 형성되며, 상기 유리(100)의 한쪽이 끼움홈(301)에 끼워진 상태로 상기 유리(100)와 함께 삽입공간(211)에 삽입되어 상기 삽입공간(211)의 가장 깊은 곳에 끼워지면서, 상기 유리(100)를 삽입공간(211)에 고정해주는 탄성을 가진 제1완충부재(300);
    상기 유리(100)의 양쪽으로 삽입공간(211)에 삽입되어 고정몸체(210)의 내면에 밀착되면서, 상기 고정몸체(210)의 개방된 입구에 근접하게 위치되는 탄성을 가진 제2완충부재(310);
    상기 유리(100)의 양쪽으로 삽입공간(211)에 삽입되어 상기 유리(100)와 제2완충부재(310)의 사이에 끼워지면서, 상기 유리(100)를 가압하여 삽입공간(211)에 고정해주는 탄성을 가진 제3완충부재(3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난간 시공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공간(211)의 가장 깊은 곳의 양쪽에는 고정몸체(210)의 폭이 좁아지도록 경사부(212)를 형성하고,
    상기 제1완충부재(300)의 양쪽 외면에는 경사부(212)에 안내되는 경사면(302)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난간 시공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부(212) 및 경사면(302)에는 각각 서로 끼워지는 요철부(212a)(302a)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난간 시공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완충부재(300)를 고정몸체(210)에 내면에 접착시켜주는 제1접착부재(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난간 시공구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완충부재(310)를 고정몸체(210)에 내면에 접착시켜주는 제2접착부재(4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난간 시공구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3완충부재(310)(320)의 서로 맞닿는 외면에는 각각 경사면(311)(321)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난간 시공구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311)(321)에는 각각 서로 끼워지는 요철부(311a)(321a)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난간 시공구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몸체(210)의 개방된 입구에는 제1끼움홈(213)을 형성하고,
    상기 제1끼움홈(213)에 끼워져서 유리(100)에 밀착되는 가스켓(5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난간 시공구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완충부재(300)는 유리(100)의 길이 방향으로 길이를 길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난간 시공구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완충부재(300)를 다수로 구성하여,
    다수의 상기 제1완충부재(300)의 끼움홈(301)에 유리(100)의 한쪽을 끼우면서, 다수의 상기 제1완충부재(300)를 유리(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위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난간 시공구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공간(211)에 삽입되어 제1완충부재(300)를 지지하는 받침대(6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난간 시공구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1)에 가장 가까운 고정몸체(210)의 내면에는 체결부재(3)가 삽입되어 바닥(1)에 체결되는 체결홈(214)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난간 시공구조.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공간(211)의 가장 깊은 곳의 양쪽으로 고정몸체(210)의 외면에는 돌출부(215)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난간 시공구조.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2완충부재(300)(310)는 연결부(330)로 연결되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난간 시공구조.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100)와 고정몸체(210)의 개방된 입구의 사이에는 실란트(S)를 충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난간 시공구조.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완충부재(310)가 밀착되는 고정몸체(210)의 내면에는 제2끼움홈(216)을 형성하고,
    상기 고정몸체(210)의 내면에 밀착되는 제2완충부재(310)의 외면에는 제2끼움홈(216)에 끼워지는 끼움돌기(312)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난간 시공구조.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200)는 건축물의 바닥(1)에 가상선(2)을 따라 길게 매립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난간 시공구조.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3)에 의해 건축물의 바닥(1)에 인접한 외벽(1a)에 체결되는 제1체결부(710)와, 상기 제1체결부(710)에서 돌출 형성되어 외벽(1a)과 수직을 이루는 제2체결부(720)를 포함한 고정브래킷(700)을 포함하되,
    상기 고정부재(200)의 고정몸체(210)는 건축물의 바닥(1)이 아닌 제2체결부(720)에 체결부재(3)로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난간 시공구조.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브래킷(700)은 제1체결부(710)의 반대편에 위치된 제2체결부(720)의 한쪽에서 돌출 형성되며, 외면에 돌출부(215)가 끼워지는 끼움홈(731)이 형성된 돌출부(7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난간 시공구조.
  20. 유리 난간(1000)의 유리(100)가 다수 설치되는 건축물의 바닥(1)에, 상기 유리(100)의 중심을 연결하는 가상선(2)을 따라 길게 설치되는 고정부재(200)를 포함하되,
    상기 고정부재(200)는 한쪽이 개방되면서 내부에 유리(100)의 한쪽이 삽입되는 삽입공간(211)이 형성되고, 바닥(1)에 체결부재(3)로 체결되는 고정몸체(210)를 포함하며,
    상기 유리(100)의 한쪽이 끼워지는 끼움홈(301)이 외면에 형성되며, 상기 유리(100)의 한쪽이 끼움홈(301)에 끼워진 상태로 상기 유리(100)와 함께 삽입공간(211)에 삽입되어 상기 삽입공간(211)의 가장 깊은 곳에 끼워지면서, 상기 유리(100)를 삽입공간(211)에 고정해주는 탄성을 가진 제1완충부재(300);
    상기 유리(100)의 양쪽으로 삽입공간(211)에 삽입되어 고정몸체(210)의 개방된 입구와 제1완충부재(330)의 사이로, 상기 유리(100)와 고정몸체(210)의 내면의 사이에 끼워지는 백업재(340);
    상기 백업재(340)의 위로 삽입공간(211)에 충진되어 유리(100)를 상기 삽입공간(211)에 고정해주는 에폭시로 이루어진 충진제(3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난간 시공구조.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백업재(340)가 밀착되는 고정몸체(210)의 내면에는 상기 백업재(340)가 끼워지는 제3끼움홈(217)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난간 시공구조.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공간(211)의 가장 깊은 곳의 양쪽에는 고정몸체(210)의 폭이 좁아지도록 경사부(212)를 형성하고,
    상기 제1완충부재(300)의 양쪽 외면에는 경사부(212)에 안내되는 경사면(302)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난간 시공구조.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부(212) 및 경사면(302)에는 각각 서로 끼워지는 요철부(212a)(302a)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난간 시공구조.
  24.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1완충부재(300)를 고정몸체(210)에 내면에 접착시켜주는 제1접착부재(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난간 시공구조.
  25.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몸체(210)의 개방된 입구에는 제1끼움홈(213)을 형성하고,
    상기 제1끼움홈(213)에 끼워져서 유리(100)에 밀착되는 가스켓(5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난간 시공구조.
  26.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1완충부재(300)는 유리(100)의 길이 방향으로 길이를 길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난간 시공구조.
  27.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1완충부재(300)를 다수로 구성하여,
    다수의 상기 제1완충부재(300)의 끼움홈(301)에 유리(100)의 한쪽을 끼우면서, 다수의 상기 제1완충부재(300)를 유리(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위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난간 시공구조.
  28.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공간(211)에 삽입되어 제1완충부재(300)를 지지하는 받침대(6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난간 시공구조.
  29.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1)에 가장 가까운 고정몸체(210)의 내면에는 체결부재(3)가 삽입되어 바닥(1)에 체결되는 체결홈(214)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난간 시공구조.
  30.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공간(211)의 가장 깊은 곳의 양쪽으로 고정몸체(210)의 외면에는 돌출부(215)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난간 시공구조.
  3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100)와 고정몸체(210)의 개방된 입구의 사이에는 실란트(S)를 충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난간 시공구조.
  3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200)는 건축물의 바닥(1)에 가상선(2)을 따라 길게 매립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난간 시공구조.
  33.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3)에 의해 건축물의 바닥(1)에 인접한 외벽(1a)에 체결되는 제1체결부(710)와, 상기 제1체결부(710)에서 돌출 형성되어 외벽(1a)과 수직을 이루는 제2체결부(720)를 포함한 고정브래킷(700)을 포함하되,
    상기 고정부재(200)의 고정몸체(210)는 건축물의 바닥(1)이 아닌 제2체결부(720)에 체결부재(3)로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난간 시공구조.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브래킷(700)은 제1체결부(710)의 반대편에 위치된 제2체결부(720)의 한쪽에서 돌출 형성되며, 외면에 돌출부(215)가 끼워지는 끼움홈(731)이 형성된 돌출부(7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난간 시공구조.
KR1020220168544A 2022-12-06 2022-12-06 유리 난간 시공구조 KR2023011313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68544A KR20230113136A (ko) 2022-12-06 2022-12-06 유리 난간 시공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68544A KR20230113136A (ko) 2022-12-06 2022-12-06 유리 난간 시공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3136A true KR20230113136A (ko) 2023-07-28

Family

ID=874273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68544A KR20230113136A (ko) 2022-12-06 2022-12-06 유리 난간 시공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13136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7141B1 (ko) 2019-05-23 2021-07-15 하나이앤디(주) 유리 난간 및 그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7141B1 (ko) 2019-05-23 2021-07-15 하나이앤디(주) 유리 난간 및 그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6423B1 (ko) 스틸커튼월의 비노출 단열결합구조
KR20230113136A (ko) 유리 난간 시공구조
CN112609879A (zh) 一种便于调平的装配式楼板
KR101352280B1 (ko) 목재데크 체결부재 및 이를 이용한 목재데크 체결구조
KR200382106Y1 (ko) 창호시스템
KR100928722B1 (ko) 건물외단열 시공공법
KR100609471B1 (ko) 건축 외장재 조립장치
KR20230113137A (ko) 유리 난간 시공구조
KR20230113141A (ko) 유리 난간 시공구조
KR20240010915A (ko) 마감재를 이용한 유리 난간 시공구조
KR20100009407A (ko) 교량외장재 체결보강장치
KR20230113139A (ko) 유리 난간 시공구조
KR20240010916A (ko) 마감재를 이용한 유리 난간 시공구조
KR20240022853A (ko) 유리 난간 시공구조
KR101322115B1 (ko) 층간 차음재용 마감재 및 이를 사용한 바닥 측면 밀봉시공방법
TW202033875A (zh) 防水窗結構
KR19990015637U (ko) 계단용 논슬립
KR100672234B1 (ko) 마루바닥 시공방법 및 그 마루바닥 구조
KR100696616B1 (ko) 건축 외장재 상부 고정장치
KR20200142352A (ko) 조적식 벽체의 붕괴 방지용 내진보강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 조적식 벽체의 붕괴 방지용 마감구조체
US20070199264A1 (en) Fixing arrangement
KR100609475B1 (ko) 건축 외장재 고정장치
KR200358615Y1 (ko) 건축 외장재 상부 고정장치
KR20230113138A (ko) 유리 난간 시공구조
CN219887449U (zh) 一种解决卫生间内外地面高差过渡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pub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