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34797A - 도금 강판용 에지부 자동가공장치 - Google Patents

도금 강판용 에지부 자동가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34797A
KR20200134797A KR1020190060824A KR20190060824A KR20200134797A KR 20200134797 A KR20200134797 A KR 20200134797A KR 1020190060824 A KR1020190060824 A KR 1020190060824A KR 20190060824 A KR20190060824 A KR 20190060824A KR 20200134797 A KR20200134797 A KR 202001347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d steel
processing
steel sheet
steel plate
ro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08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84098B1 (ko
Inventor
박범환
Original Assignee
(주)아이케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이케이텍 filed Critical (주)아이케이텍
Priority to KR10201900608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4098B1/ko
Publication of KR202001347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47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40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40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45/00Devices for surface or other treatment of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45/04Devices for surface or other treatment of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for de-scaling, e.g. by brus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15/00Arrangements for performing additional metal-working operation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15/0007Cutting or shearing the produ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45/00Devices for surface or other treatment of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45/02Devices for surface or other treatment of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for lubricating, cooling, or cleaning
    • B21B45/0269Cleaning
    • B21B45/0275Clean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ending Of Plates, Rods, And Pipes (AREA)
  • Electroplating Methods And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금 강판을 제작하는 과정에서 강판 절단시 절단면에 발생하는 버(burr) 등의 불규칙 절단면을 자동으로 제거하여 표면 불량에 도금 불량을 방지하도록 하는 도금 강판용 에지부 자동가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본체 부재(100)와; 상기 본체 부재(100)의 일측에서 롤 형태의 도금 강판(10)을 공급되게 하는 언 코일 부재(200)와; 상기 언 코일 부재(200)로부터 공급되는 도금 강판(10)을 상,하 가공롤부(330) 사이로 유입되게 하는데, 상기 상,하 가공롤부(330)에 유입되는 도금 강판(10)의 에지부(11)를 상기 상,하 가공롤부(330)에 각각 마련된 가공홈(321a,331a)을 이용해 압박 가공하면서 에지부(11)에 발생한 버를 제거되게 하는 롤 프레스 부재(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도금 강판용 에지부 자동가공장치 {Processing device for plating steel}
본 발명은 도금 강판을 제작하는 과정에서 강판 절단시 절단면에 발생하는 버(burr) 등의 불규칙 절단면을 자동으로 가공하여 표면 불량에 의한 도금 불량을 방지하도록 하는 도금 강판용 에지부 자동가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금은 각종 산업 분야에서 대상물의 표면에 금속성 피막을 형성하여 내식성, 표면 강도 및 고급화 등을 목적으로 행하는 표면 처리 방법의 일종이며, 이 도금을 통해 얻어진 대상물에는 도금 강판이 대표적이다.
이러한 도금 강판은 수요 측에서 요구되는 폭에 맞게 절단하여 롤 형태로 감겨 공급되는데, 이때 도금 강판의 절단면 부분으로 버(burr) 즉, 강판의 절단면에 거칠한 요철이 발생하며, 이렇게 발생한 버는 배터리, 전선, 전기전자 부품 등에 부하 발생 등의 불량을 야기함으로 도금 강판의 버를 제거하는 공정이 필수적이다.
예를 들어, 종래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0792847호를 살펴보면, 강판 절단면 상부 버 제거장치로서, 연속적으로 진행하는 강판의 양 단부를 절단하는 에지부 절단기와, 상기 에지부 절단기에서 절단된 강판의 에지부의 하부에 발생된 버를 제거하도록 에지부 절단기의 후단에 설치된 하부 버 제거롤과, 상기 강판의 중앙을 절단하는 중앙부 절단기와, 상기 중앙부 절단기에서 절단되 강판의 중앙부 상측에 발생된 버를 제거하도록 강판의 상면에 설치된 상부 버 제거롤을 포함하여 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도금 강판의 규격에 따라 버 제거를 위한 롤러의 위치를 조절하기가 쉽지 않기 때문에 도금 강판의 규격에 대응한 작업성이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버 제거를 위한 롤러가 작업 중 그 위치가 고정되기 때문에 롤 형태로 연속 공급되는 에지부의 면이 통상 굴곡지면서 일정하지 않음으로 롤러가 닿지 않는 부분이 발생하여 도금 강판의 전체적으로 버 제거가 불규칙하게 수행되어 불량을 야기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롤 형태의 도금 강판이 공급되는 공정 및 버 제거 후 강판의 회수 공정이 수동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도금 강판의 버 제거 공정이 연속되지 못하고 지연되며, 이 지연에 의해 생산성이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0792847호가 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종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금 강판의 규격에 따라 버 제거를 위한 롤러의 위치를 가변시켜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도금 강판의 규격에 대응한 작업이 가능하여 작업성이 향상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금 강판에서 에지부의 버를 제거하기 위한 롤러를 작업 중에 에지부에 지속적으로 밀착되게 하여 에지부의 면에 상관없이 도금 강판의 전체적으로 버 제거를 균일하게 수행되게 하면서 불량을 방지하도록 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롤 형태의 도금 강판을 자동으로 풀어 공급되게 하는 동시에 버 제거 후 도금 강판의 회수 역시 자동으로 롤 형태로 감아 권취되게 하여 도금 강판의 버 제거 공정이 연속적으로 수행되게 하면서 생산성을 향상되도록 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본체 부재와;
상기 본체 부재의 일측에서 롤 형태의 도금 강판을 공급되게 하는 언 코일 부재와;
상기 언 코일 부재로부터 공급되는 도금 강판을 상,하 가공롤부 사이로 유입되게 하는데, 상기 상,하 가공롤부에 유입되는 도금 강판의 에지부를 상기 상,하 가공롤부에 각각 마련된 가공홈을 이용해 압박 가공하면서 에지부에 발생한 버를 제거되게 하는 롤 프레스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금 강판용 에지부 자동가공장치를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도금 강판의 다양한 규격에 대응하여 작업이 가능함으로 작업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도금 강판의 에지부 면이 굴곡지는 것에 상관없이 도금 강판의 에지부 버를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수행되어 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롤 형태의 도금 강판의 공급 및 회수가 자동으로 이루어져 도금 강판의 버 제거 공정이 연속적으로 수행되면서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금 강판용 에지부 자동가공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도금 강판용 에지부 자동가공장치의 작동 상태에 대한 흐름도.
본 발명에 따른 도금 강판용 에지부 자동가공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이하 상세히 기술되는 실시 예들에 의해 그 특징들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본 발명이 속하거나 속하지 아니한 기술분야에서 광범위하게 널리 알려져 사용되고 있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하며,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과 더불어 이에 따른 본 발명의 요지를 더욱 명확하게 전달하기 위함이다.
이하, 본 발명의 기본 구성의 실시 예로서, 일 실시 예에 따른 도금 강판용 에지부 자동가공장치에 대한 각부 구성을 도 1 내지 도 3을 참고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자동가공장치의 정면도, 도 2는 자동가공장치의 측면도, 도 3은 자동가공장치 중 롤러 프레스 부재의 측면도이다.
이에 따른 도금 강판용 에지부 자동가공장치(1)를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본체 부재(100); 도금 강판(10)을 공급하는 언 코일 부재(200); 도금 강판(10)의 에지부(11)에 발생한 버를 제거하는 롤 프레스 부재(30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도금 강판용 에지부 자동가공장치(1)는 버 제거가 완료된 도금 강판(10)을 회수하면서 연속 이송되게 하는 리코일 부재(4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상기 도금 강판(10)은 각종 산업분양에서 수요 측에서 요구되는 폭에 맞게 절단하여 롤 형태로 감겨 공급되는 원재료이며, 이 도금 강판(10)의 절단면 에지부(11)에는 버(burr) 즉, 강판의 절단면에 거칠한 요철이 발생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도금 강판용 에지부 자동가공장치(1)의 세부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본체 부재(100)는;
자동가공장치(1)의 전체 하중을 지지하면서 언 코일 부재(200), 리코일 부재(400) 및 롤 프레스 부재(300)가 각각 설치되는 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면, 상기 본체 부재(100)는; 상단부에 언 코일 부재(200), 리코일 부재(400) 및 롤 프레스 부재(300)가 각각 설치되는 메인프레임(110)을 더 포함한다.
상기 메인프레임(110)은 알루미늄 프로파일 등의 금속재 빔을 서로 조립하여 하나의 사각 틀 형태로 제작하고, 이 메인프레임(110)의 상면으로 언 코일 부재(200), 리코일 부재(400) 및 롤 프레스 부재(300)를 각각 결합하기 위한 판재를 마련하여 설치공간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메인프레임(110)은 내부로 유압 또는 공압을 제공하기 위한 유닛, 자동가공장치(1)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패널이 구비될 수 있고, 정비를 위한 도어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 부재(100)는; 메인프레임(110)의 상면에 도금 강판(10)이 이송되는 위치에 하나 또는 그 이상 설치되는데, 이송되는 도금 강판(10)을 구름동작으로 지지하여 이송을 안내하는 가이드롤부(120)를 더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롤부(120)는 한 쌍의 가이드롤러(121)가 각각 구비되고, 이 가이드롤러(121)는 프레임을 이용해 상기 메인프레임(110)의 상면으로 도금 강판(10)이 이송되는 위치에 하나 또는 그 이상 결합되면서 상기 한 쌍의 가이드롤러(121) 사이로 도금 강판(10)이 지지되면서 이송을 안내한다.
이때, 상기 가이드롤부(120)에 도금 강판(10)이 지지되면서 상기 도금 강판(10)의 장력을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상기 언 코일 부재(200)는;
상기 본체 부재(100)의 일측에서 롤 형태의 도금 강판(10)을 공급되게 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상기 언 코일 부재(200)는; 롤 형태의 도금 강판(10)을 권취하면서 이 권취된 도금 강판(10)을 롤 프레스 부재(300)에 순차적으로 풀어서 연속 공급하는 제1코일유닛(210)을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코일유닛(210)은, 본체 부재(100)의 상부 일측에 제1코일축(212)을 설치되게 하는 제1코일베이스(211); 상기 제1코일베이스(211)의 전면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롤 형태의 도금 강판(10)을 권취되게 하고, 이 권취된 도금 강판(10)을 풀리도록 제자리 회전기능을 제공하는 제1코일축(212);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1코일베이스(211)는, 본체 부재(100)의 상부로 제1코일축(212)을 임의 간격 이격시켜 지지되게 하며, 이 지지된 제1코일축(212)이 용이하게 회전 가능한 공간을 갖는 판형 프레임 형태로 제작되며, 상기 제1코일베이스(211)는 본체 부재(100)의 상부 좌측에 위치한다.
상기 제1코일축(212)은, 롤 형태의 도금 강판(10)이 권취되도록 원형 축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제1코일베이스(211)의 전면 측에 수평방향으로 끼워져 결합되고, 상기 제1코일축(212)에 롤 형태의 도금 강판(10)이 축 결합되면서 상기 도금 강판(10)을 제1코일축(212)을 중심으로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하고, 상기 제1코일축(212)은 도금 강판(10)을 지지하기 위한 클램프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코일축(212)은 제1코일베이스(211) 하나 또는 그 이상 결합할 수 있는데, 이 제1코일축(212)을 하나 이상 구비하는 경우 도금 강판(10)에 대한 예비 공급 기능을 제공하거나, 또는 도금 강판(10) 사이로 보호지가 부착된 경우 이 보호지를 도금 강판(10)의 공급과 함께 감아 제거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언 코일 부재(200)는; 도금 강판(10)이 이송되는 방향의 좌우 측으로 언 코일 부재(200)를 선택적으로 직선 왕복 이동 후 고정시켜 도금 강판(10)의 공급 위치를 임의 조절되게 하는 제1레일(220)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제1레일(220)은 본체 부재(100)와 언 코일 부재(200) 사이에서 상기 언 코일 부재(200)에 직선 왕복 이동 기능을 제공하는 LM 가이드 형태로 제작되어 마련되며, 이를 위해 상기 제1레일(220)에는 직선 이동 기능의 제1가이드(221)가 구비된다.
더불어, 상기 제1레일(220)에는 언 코일 부재(200)의 이동 위치를 조절하면서 그 이동 위치로 고정하기 위한 제1고정구(222)가 마련되고, 상기 제1고정구(222)는 제1고정프레임(223)에 나선결합되는 환봉으로 제작된 상태에서 상기 언 코일 부재(200) 측으로 선단부가 연결되면서 이 제1고정구(222)의 나선회전에 따른 전후 길이 가변 작용으로 상기 언 코일 부재(200)를 전후로 이동시키면서 그 이동 위치로 고정되게 한다.
이때, 상기 제1고정프레임(223)은 제1고정구(222)가 나선결합되기 위한 나사 구멍을 갖는 판재로 제작된 상태에서 본체 부재(100) 측에 고정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롤 프레스 부재(300)는;
상기 언 코일 부재(200)로부터 공급되는 도금 강판(10)을 상,하 가공롤부(330) 사이로 유입되게 하는데, 상기 상,하 가공롤부(330)에 유입되는 도금 강판(10)의 에지부(11)를 상기 상,하 가공롤부(330)에 각각 마련된 가공홈(321a,331a)을 이용해 압박 가공하면서 에지부(11)에 발생한 버를 제거되게 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상기 롤 프레스 부재(300)는; 언 코일 부재(200)로부터 공급되는 도금 강판(10)의 유입 측으로 프레스 작동 공간을 제공하는 프레스베이스(310)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프레스베이스(310)는, 본체 부재(100)의 상부에 결합되는 제1받침프레임(311); 상기 제1받침프레임(311)의 상부에서 승강플레이트(313)의 승강 이동을 가이드 하는 하나 이상의 승강봉(312); 상기 승강봉(312)에 관통 결합되어 상하 승강하는 승강플레이트(313); 및 상기 승강봉(312)을 지지하며, 액추에이터(350)의 설치공간을 제공하는 제2받침프레임(314);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1받침프레임(311)은, 롤 프레스 부재(300)를 본체 부재(100)에 용이하게 지지하여 설치할 수 있는 형태로 복수의 판재를 결합하여 제작되며, 상기 제1받침프레임(311)의 상면에는 하나 이상의 승강봉(312)이 서로 대칭 결합되어 수직으로 결합되는 동시에 하 가공롤부(330)가 수평 결합된다.
상기 승강봉(312)은, 환봉 형태로 제작되면서 상기 제1받침프레임(311)에 수직으로 결합되는데, 바람직하게는 4개의 승강봉(312)을 서로 대칭 방향으로 각각 구비하여 승강플레이트(313)를 용이하게 지지되게 하면서, 상기 승강플레이트(313)가 4개의 승강봉(312)에 축 결합되면서 승강 이동을 가이드 하게 한다.
상기 승강플레이트(313)는, 판재로 제작된 상태에서 상기 승강봉(312)에 축 결합으로 관통되어 지지되고, 이 승강플레이트(313)의 상단은 액추에이터(350)의 로드가 연결되고, 승강플레이트(313)의 하단은 상 가공롤부(320)가 수평 결합된다.
상기 제2받침프레임(314)은, 하나 이상의 승강봉(312) 모두를 지지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를 갖는 판재로 제작된 상태에서 상시 승강봉(312) 상단이 고정결합되어 지지되고, 상기 제2받침프레임(314)의 상부로 액추에이터(350)가 결합되면서, 이 액추에이터(350)의 로드가 상기 제2받침프레임(314)을 관통하여 승강플레이트(313)에 연결되게 한다.
또한, 상기 롤 프레스 부재(300)는; 도금 강판(10)의 하단면을 받치는 하 가공롤부(330); 상기 하 가공롤부(330)의 상부에서 상하 승강 가능하며, 상기 하 가공롤부(330)에 받치는 도금 강판(10)의 상면을 눌러 압박하는 상 가공롤부(320);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상 가공롤부(320) 및 하 가공롤부(330)는, 각각 좌우 한 쌍으로 양분되면서 서로 연계되어 대향된 한 쌍의 가공홈(321a,331a)이 각각 마련된 한 쌍의 롤러편(321,331)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롤러편(321,331)은 원형 롤러로 한쪽 둘레면에 가공홈(321a,331a)이 형성된 형태로 제작되는데, 이 롤러편(321,331)은 각각 가공홈(321a,331a)이 서로 대향되게 한 쌍의 롤러편(321,331)을 구비하면서 상 가공롤부(320) 및 하 가공롤부(330)를 각각 프레스베이스(310)의 내부 공간 상하에 각각 배치하고, 상기 상 가공롤부(320) 및 하 가공롤부(330)는 메인축(360)에 축 결합되면서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되며, 상기 상 가공롤부(320)는 제1받침프레임(311) 상면에 구비되고, 하 가공롤부(330)는 승강플레이트(313)의 하면에 구비된다.
이때, 상기 가공홈(321a,331a)은 도금 강판(10)의 에지부(11) 형상에 대응하여 상 가공롤부(320)와 하 가공롤부(330)의 프레스 작동 중 상기 에지부(11)를 용이하게 압박하여 밀착 가공할 수 있는 형태의 면으로 형성되는데, 상기 에지부(11)의 접촉 측에는 에지부(11)의 가공을 위한 경사면이 마련된다.
더불어, 상기 한 쌍의 롤러편(321,331) 사이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시편(340)이 삽입되면서 상기 대향된 한 쌍의 가공홈(321a,331a)의 간격을 도금 강판(10)의 폭에 대응하여 조절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상기 시편(340)은 메인축(360)에 끼워지는 끼움홈(341)을 갖는 판 형태로 제작되는데, 상기 끼움홈(341)은 시편(340)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도록 한쪽으로 개방된 홈으로 형성되며, 상기 시편(340)은 하나 이상 각각 서로 다른 두께를 갖도록 구비되면서, 서로 다른 두께로 이루어진 다수의 시편(340)을 이용해 서로 대향된 한 쌍의 가공홈(321a,331a)에 대한 이격 거리를 임의 조절되게 한다.
예컨대, 상기 한 쌍의 롤러편(321,331)으로 이루어진 상,하 가공롤부(330) 및 시편(340)을 더 부가함에 따라 도금 강판(10)의 다양한 폭에 대응하여 가공 위치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어 작업성이 대폭 향상되게 된다.
또한, 상기 롤 프레스 부재(300)는; 상기 상 가공롤부(320)에 직선 왕복 이동 동력을 제공하여 상 가공롤부(320)를 승강되게 하여 도금 강판(10)에 대한 프레스 가공을 수행되게 하는 액추에이터(35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액추에이터(350)를 길이가 가변하는 로드를 갖는 공압 실린더 또는 리니어 액추에이터 등의 직선 이동 동력을 제공하는 기기를 적용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 공압 또는 유압 실린더를 적용하고, 상기 액추에이터(350)는 프레스베이스(310)의 제2받침프레임(314) 상단에 수직으로 결합된 상태에서 이 액추에이터(350)의 로드가 상기 제2받침프레임(314)을 관통하면서 승강플레이트(313)에 연결되어 승강 동력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롤 프레스 부재(300)는; 상 가공롤부(320) 및 하 가공롤부(330)를 장형키홈(361)을 이용해 각각 결합시켜 제자리 회전 동력을 제공하는데, 상기 장형키홈(361)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상 가공롤부(320) 및 하 가공롤부(330)가 각각 제자리회전 방향의 좌우 측으로 이동 조절을 가능하게 하는 메인축(360)을 더 포함한다.
상기 메인축(360)은 환봉 형태로 제작된 상태에서 양단부에 각각 축 결합되는 축블록(362)을 이용해 상기 승강플레이트(313)의 저면부 및 제1받침프레임(311)의 상면부에 각각 수평 결합되고, 이 결합된 메인축(360)에 상 가공롤부(320) 및 하 가공롤부(330)가 각각 축 결합되며, 상기 축블록(362)은 메인축(360)의 양단부가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축 결합되면서 이 메인축(360)을 지지할 수 있는 판 형태로 제작되고, 상기 메인축(360)과 축블록(362) 사이에는 회전을 가이드하는 베어링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메인축(360)의 일측면 길이방향에는 장형키홈(361)이 장형 홈으로 형성되는데, 상기 장형키홈(361)가 상 가공롤부(320) 및 하 가공롤부(330) 사이로 축 결합을 위한 키가 끼워져 이들을 지지하면서 제자리 회전 동력을 전달할 수 있게 하고, 상기 메인축(360)에 축 결합된 상 가공롤부(320) 및 하 가공롤부(330)는 장형키홈(361)을 따라 좌우로 키를 통해 가이드 되면서 직선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예컨대, 상기 메인축(360) 및 장형키홈(361)을 이용한 좌우 이동 기능을 부가함에 따라 상기 상 가공롤부(320) 및 하 가공롤부(330)가 도금 강판(10)의 공급 방향 좌우 측으로 위치가 가변할 수 있어 도금 강판(10)의 공급 위치에 대응한 가공 위치의 조절이 간편하고, 특히 한 쌍의 롤러편(321,331)으로 이루어진 상 가공롤부(320) 및 하 가공롤부(330)의 가공 측 간격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롤 프레스 부재(300)는; 상,하 가공롤부(330)에 각각 구비되는데, 메인축(360)을 통해 좌우 이동되는 상 가공롤부(320) 및 하 가공롤부(330)를 측방으로 압박하는 구조를 통해 상기 상,하 가공롤부(330)를 에지부(11)의 버 제거를 위한 가공 위치에서 이탈되지 않게 압박 지지하는 가공가이더(370)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가공가이더(370)는, 상 가공롤부(320) 또는 하 가공롤부(330)의 롤러편(321,331) 외측단부를 제자리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회전체(371); 상기 회전체(371)를 롤러편(321,331) 측으로 압박되게 지지하는 고정체(372); 및 상기 고정체(372)에 압박력을 제공하는 지지체(373);로 구성된다.
상기 회전체(371)는, 베어링 형태로 제작되는데, 상기 한 쌍의 롤러편(321,331)으로 이루어진 상,하 가공롤부(330)는 양단부를 지속적으로 압박하면서 제자리 회전을 요구하기 때문에 상기 회전체(371)를 이용해 압박하면서 베어링 구조를 통해 압박력이 제자리 회전에 간섭이 없도록 한다.
상기 고정체(372)는, 메인축(360)에 관통 결합될 수 있을 정도의 구멍을 갖는 판재로 제작되며, 가공가이더(370)가 구비된 측에 위치한 회전체(371)의 측방에 메인축(360)에 축 결합되면서 끼워져 상기 회전체(371)를 고정되게 지지하면서 지지체(373)를 통해 제공되는 압박력을 상기 회전체(371)에 전달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지지체(373)는, 나선을 갖는 환봉으로 제작되는데, 이 지지체(373)의 후단부는 상기 축블록(362)에 나선결합되면서 관통되고, 지지체(373)의 선단부는 상기 고정체(372)의 외측방 일측에 지지되되며, 이 상태에서 상기 지지체(373)가 축블록(362)의 나선결합 부분을 따라 전진 하면 상기 고정체(372)를 압박하면서 회전체(371)가 롤러편(321,331)을 가압하게 하고, 지지체(373)가 후진하면 전달되는 압박력이 해제되면서 롤러편(321,331)을 좌우로 이동시킬 수 있게 한다.
특징적으로 상기 가공가이더(370)는 메인축(360)을 따라서 좌우로 이동하는 한 쌍의 롤러편(321,331)을 도금 강판(10)를 가공하기 위한 위치로 지속적으로 압박할 수 있게 된다.
예컨대, 상기 가공가이더(370)를 더 부가함에 따라 한 쌍의 롤러편(321,331)으로 이루어진 상,하 가공롤부(330)가 도금 강판(10)의 에지부(11) 가공 측에 지속적으로 밀착될 수 있어 도금 강판(10)의 에지부(11) 면이 굴곡지는 것에 상관없이 가공이 연속적으로 수행되어 도금 강판(10)의 에지부(11)를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가공할 수 있어 불량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가공가이더(370)의 타측에는 가공가이더(370)를 통해 압박되는 상,하 가공롤부(330)를 임의 위치로 지지하여 고정하기 위한 가이드관(380)이 마련되며, 상기 가이드관(380)은 메인축(360)에 끼워지는 관체로 제작되는데, 상,하 가공롤부(330)의 한쪽 부분을 용이하게 지지할 수 있을 정도의 길이를 갖으면서, 이 가이드관(380)의 양단부에 회전체(371)와 같은 베어링이 마련되면서 상기 상,하 가공롤부(330)의 제자리 회전에 간섭이 없도록 한다.
이때, 상기 가이드관(380)은 상,하 가공롤부(330)가 도금 강판(10)을 가공하기 위한 적정 위치로 상,하 가공롤부(330)를 지지한다.
그리고, 상기 리코일 부재(400)는;
상기 언 코일 부재(200)의 타단으로 위치하는데, 상기 롤 프레스 부재(300)에 의해 도금 강판(10)의 에지부(11)에 대한 버 제거 작업이 완료되면, 이 버 제거가 완료된 도금 강판(10)을 회전 동력을 이용해 자동으로 감아 회수하면서 도금 강판(10)의 연속 이송을 수행되게 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상기 리코일 부재(400)는; 롤 프레스 부재(300)에 의해 도금 강판(10)에 에지부(11)에 대한 가공 작업을 완료한 도금 강판(10)이 유입되며, 이 유입된 도금 강판(10)을 회전 동력을 이용해 자동으로 감아 회수하는 제2코일유닛(410)을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2코일유닛(410)은, 본체 부재(100)의 상부 일측으로 언 코일 부재(200)의 타측에 제2코일축(412)을 설치되게 하는 제2코일베이스(411); 상기 제2코일베이스(411)의 전면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가공 작업이 완료된 도금 강판(10)을 회전 동력을 이용해 감아서 회수하는 동시에 상기 언 코일 부재(200)로부터 공급되는 도금 강판(10)을 연속 이송되게 하는 제2코일축(412);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2코일베이스(411)는, 본체 부재(100)의 상부로 제2코일축(412)을 임의 간격 이격시켜 지지되게 하며, 이 지지된 제2코일축(412)이 용이하게 회전 가능한 공간을 갖는 판형 프레임 형태로 제작되며, 상기 제2코일베이스(411)는 본체 부재(100)의 상부 우측에 위치한다.
상기 제2코일축(412)은, 롤 형태의 도금 강판(10)이 권취되도록 원형 축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제2코일베이스(411)의 전면 측에 수평방향으로 끼워져 결합되고, 상기 제2코일축(412)에 도금 강판(10)를 롤 형태로 감기 위한 심지가 끼워져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제2코일축(412)은 회수되는 도금 강판(10)을 지지하기 위해 클램프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2코일축(412)은 제2코일베이스(411)에 하나 또는 그 이상 결합할 수 있는데, 이 제2코일축(412)을 하나 이상 구비하는 경우 도금 강판(10)의 예비 회수 기능을 제공하거나, 또는 도금 강판(10) 사이로 보호지가 부착되는 경우 이 보호지를 도금 강판(10)에 제공하는 기능을 한다.
이때, 상기 제2코일축(412)은 회전 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전동기(430)가 축 부분에 연결되어 회전 동력을 전달할 수 있고, 이 회전 동력을 통해 상기 제2코일축(412)이 제자리 회전하여 가공 완료된 도금 강판(10)을 자동으로 감아 회수하면서, 도금 강판(10)의 공급을 연속 이송되게 한다.
또한, 상기 리코일 부재(400)는; 도금 강판(10)이 이송되는 방향의 좌우 측으로 리코일 부재(400)를 선택적으로 직선 왕복 이동 후 고정시켜 도금 강판(10)의 회수 위치를 임의 조절되게 하는 제2레일(420)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제2레일(420)은 본체 부재(100)와 리코일 부재(400) 사이에서 상기 리코일 부재(400)에 직선 왕복 이등 기능을 제공하는 LM 가이드 형태로 제작되어 마련되며, 이를 위해 상기 제2레일(420)에는 직선 이동 기능의 제2가이드(421)가 구비된다.
더불어, 상기 제2레일(420)에는 리코일 부재(400)의 이동 위치를 조절하면서 그 이동 위치로 고정하기 위한 제2고정구(422)가 마련되고, 상기 제2고정구(422)는 제2고정프레임(423)에 나선결합되는 환봉으로 제작된 상태에서 상기 리코일 부재(400) 측으로 선단부가 연결되면서 이 제2고정구(422)의 나선회전에 따른 전후 길이 가변 작용으로 상기 리코일 부재(400)를 전후로 이동시키면서 그 이동 위치로 고정되게 한다.
이때, 상기 제2고정프레임(423)은 제2고정구(422)가 나선결합되기 위한 나사 구멍을 갖는 판재로 제작된 상태에서 본체 부재(100) 측에 고정결합된다.
예컨대, 상기 리코일 부재(400)를 더 부가함에 따라 롤 형태의 도금 강판(10)에 대한 가공이 완료되면 이를 자동으로 회수할 수 있고, 더불어 도금 강판(10)의 공급 측 이송을 연속으로 수행시켜 버 제거 작업이 연속되면서 생산성이 향상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작동 상태의 실시 예로서, 도금 강판용 에지부 자동가공장치의 작동 상태를 도 4를 참고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는 자동가공장치의 작동 상태 흐름도이다.
예를 들면, 전술한 구조로 이루어진 자동가공장치(1)는; 에지부(11)의 버 제거 가공이 필요한 롤 형태의 도금 강판(10)을 언 코일 부재(200)의 제1코일축(212)에 축 결합시켜 작업 준비를 하고, 상기 제1코일축(212)에 준비된 도금 강판(10)을 서서히 풀어 롤 프레스 부재(300)에 유입되게 한다.
이때, 상기 롤 프레스 부재(300)를 통해 가공된 도금 강판(10)은 리코일 부재(400) 측에 유입되면서 롤 형태로 감아 회수되고, 이와 같은 회수 과정에서 상기 언 코일 부재(200)에서 공급되는 도금 강판(10)이 연속 이송되어 가공을 수행한다.
한편, 상기와 같이 도금 강판(10)의 공급 및 회수 과정에서 도금 강판(10)의 에지부(11)에 대한 버 제거 가공을 수행하는데, 이를 위해 상기 롤 프레스 부재(300)는 유입되는 도금 강판(10)을 상하 가공롤부(330)를 이용해 압박하는 프레스 가공을 수행하며, 이 프레스 가공 중 상기 상하 가공롤부(330)에 마련된 가공홈(321a,331a)이 도금 강판(10)의 에지부(11)를 압박하면서 에지부(11)에 발생하는 버를 제거하여 가공을 연속 수행하고, 가공이 완료된 도금 강판(10)은 리코일 부재(400)에 롤 형태로 자동 회수되면서 작업을 완료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한 설명과 도면으로 표현하였으나, 여기서 사용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설명하기 위함이며, 이 용어들에 대한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위를 제한하기 위함이 아니며,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따른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 및 개조, 수정 등이 가능할 수 있음을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 자동가공장치 10; 도금 강판
100; 본체 부재 110; 메인프레임
120; 가이드롤부 200; 언 코일 부재
210; 제1코일유닛 220; 제1레일
300; 롤 프레스 부재 310;프레스베이스
320; 상 가공롤부 330; 하 가공롤부
340; 시편 350; 액추에이터
360; 메인축 370; 가공가이더
400; 언코일 부재 410; 제2코일유닛
420; 제2레일

Claims (5)

  1. 본체 부재(100)와;
    상기 본체 부재(100)의 일측에서 롤 형태의 도금 강판(10)을 공급되게 하는 언 코일 부재(200)와;
    상기 언 코일 부재(200)로부터 공급되는 도금 강판(10)을 상,하 가공롤부(330) 사이로 유입되게 하는데, 상기 상,하 가공롤부(330)에 유입되는 도금 강판(10)의 에지부(11)를 상기 상,하 가공롤부(330)에 각각 마련된 가공홈(321a,331a)을 이용해 압박 가공하면서 에지부(11)에 발생한 버를 제거되게 하는 롤 프레스 부재(30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금 강판용 에지부 자동가공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언 코일 부재(200)의 타단으로 위치하는데, 상기 롤 프레스 부재(300)에 의해 도금 강판(10)의 에지부(11)에 대한 버 제거 작업이 완료되면, 이 버 제거가 완료된 도금 강판(10)을 회전동력을 이용해 자동으로 감아 회수하면서 도금 강판(10)의 연속 이송을 수행되게 하는 리코일 부재(400)를 더 포함한 도금 강판용 에지부 자동가공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롤 프레스 부재(300)는 도금 강판(10)의 하단면을 받치는 하 가공롤부(330); 상기 하 가공롤부(330)의 상부에서 상하 승강 가능하며, 상기 하 가공롤부(330)에 받치는 도금 강판(10)의 상면을 눌러 압박하는 상 가공롤부(32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상 가공롤부(320)에 직선 왕복 이동 동력을 제공하여 상 가공롤부(320)를 승강되게 하여 도금 강판(10)에 대한 프레스 가공을 수행되게 하는 액추에이터(350)를 더 포함한 도금 강판용 에지부 자동가공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 가공롤부(320) 및 하 가공롤부(330)는 각각 좌우 한 쌍으로 양분되면서 서로 연계되어 대향된 한 쌍의 가공홈(321a,331a)이 각각 마련된 한 쌍의 롤러편(321,331)으로 이루어지는데, 이 한 쌍의 롤러편(321,331) 사이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시편(340)이 삽입되면서 상기 대향된 한 쌍의 가공홈(321a,331a)의 간격을 도금 강판(10)의 폭에 대응하여 조절하는 것을 더 포함한 도금 강판용 에지부 자동가공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롤 프레스 부재(300) 상 가공롤부(320) 및 하 가공롤부(330)를 장형키홈(361)을 이용해 각각 결합시켜 제자리 회전 동력을 제공하는데, 상기 장형키홈(361)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상 가공롤부(320) 및 하 가공롤부(330)가 각각 제자리회전 방향의 좌우 측으로 이동 조절을 가능하게 하는 메인축(360)을 더 포함한 도금 강판용 에지부 자동가공장치.
KR1020190060824A 2019-05-23 2019-05-23 도금 강판용 에지부 자동가공장치 KR1022840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0824A KR102284098B1 (ko) 2019-05-23 2019-05-23 도금 강판용 에지부 자동가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0824A KR102284098B1 (ko) 2019-05-23 2019-05-23 도금 강판용 에지부 자동가공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4797A true KR20200134797A (ko) 2020-12-02
KR102284098B1 KR102284098B1 (ko) 2021-07-30

Family

ID=737915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0824A KR102284098B1 (ko) 2019-05-23 2019-05-23 도금 강판용 에지부 자동가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4098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9934A (ja) * 1993-07-29 1995-02-10 Nippon Steel Corp ストリップの巻取制御方法
KR19980083144A (ko) * 1997-05-12 1998-12-05 권오훈 띠강재 성형가공장치와 이에 사용되는 가이드롤 유니트 및 상기 장치에서 얻어지는 띠강재
KR100792847B1 (ko) 2006-12-19 2008-01-14 주식회사 포스코 강판 절단면 상부 버 제거장치
KR20110122598A (ko) * 2010-05-04 2011-11-10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패널용 스크랩 제거장치
KR101508469B1 (ko) * 2014-10-22 2015-04-07 오현일 형강의 모서리 가공틀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9934A (ja) * 1993-07-29 1995-02-10 Nippon Steel Corp ストリップの巻取制御方法
KR19980083144A (ko) * 1997-05-12 1998-12-05 권오훈 띠강재 성형가공장치와 이에 사용되는 가이드롤 유니트 및 상기 장치에서 얻어지는 띠강재
KR100792847B1 (ko) 2006-12-19 2008-01-14 주식회사 포스코 강판 절단면 상부 버 제거장치
KR20110122598A (ko) * 2010-05-04 2011-11-10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패널용 스크랩 제거장치
KR101508469B1 (ko) * 2014-10-22 2015-04-07 오현일 형강의 모서리 가공틀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4098B1 (ko) 2021-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11707769U (zh) 一种铜排用矫直机
CN203875140U (zh) 一种钢卷开卷机变径涨头装置
KR20200134797A (ko) 도금 강판용 에지부 자동가공장치
CN210160717U (zh) 一种金属管焊管机
KR100588346B1 (ko) 압연소재 센터링용 사이드 가이드 장치
KR20140017904A (ko) 그라비아 인쇄롤러 제작용 강관 제조 장치
KR100949734B1 (ko) 교정기용 교정롤 세팅장치
JP2005081412A (ja) 順送りプレス加工装置
CN215941072U (zh) 一种铜材压延导平机构
CN210730625U (zh) 一种冷弯机用导向结构
CN214290164U (zh) 一种不锈钢板材加工用滚圆机
CN211489040U (zh) 一种滑轨的一体化加工成型设备
US20100162784A1 (en) Flattening device
KR101967743B1 (ko) 앵글 가공장치
CN206263467U (zh) 波导件的焊接装置
US8459081B2 (en) Continuously smoothly adjustable and self-aligning variable width roll forming apparatus
CN118002630B (zh) 一种铜带的轧制装置及轧制方法
CN218835714U (zh) 一种弯管机
CN210763404U (zh) 一种钢带收卷装置
CN213826738U (zh) 一种卷板机上料对正装置
CN217315320U (zh) 一种门扇滚边送料器
CN214080407U (zh) 一种带钢的辅助翻转装置
KR200267433Y1 (ko) 열간압연소재안내장치
CN220127284U (zh) 一种可连续进料的三辊卷圆机
KR101647235B1 (ko) 롤러의 실사용 환경 구현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