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34555A - 미세먼지 마스크의 2차오염 방지 및 제올라이트 또는 벤토나이트를 이용한 제습을 통하여 마스크의 기능회복을 위한 보관함 - Google Patents

미세먼지 마스크의 2차오염 방지 및 제올라이트 또는 벤토나이트를 이용한 제습을 통하여 마스크의 기능회복을 위한 보관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34555A
KR20200134555A KR1020190060156A KR20190060156A KR20200134555A KR 20200134555 A KR20200134555 A KR 20200134555A KR 1020190060156 A KR1020190060156 A KR 1020190060156A KR 20190060156 A KR20190060156 A KR 20190060156A KR 20200134555 A KR20200134555 A KR 202001345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k
zeolite
mounting
bentonite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01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11213B1 (ko
Inventor
유환길
Original Assignee
유환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환길 filed Critical 유환길
Priority to KR10201900601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1213B1/ko
Publication of KR202001345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45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12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12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25/00Devices for storing or holding or carrying respiratory or breathing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02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 B01J20/1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comprising silica or silicate
    • B01J20/12Naturally occurring clays or bleaching ear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02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 B01J20/1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comprising silica or silicate
    • B01J20/16Alumino-silicates
    • B01J20/165Natural alumino-silicates, e.g. zeoli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24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 B65D81/26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with provision for draining away, or absorbing, or removing by ventilation, fluids, e.g. exuded by contents; Applications of corrosion inhibitors or desiccators
    • B65D81/266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with provision for draining away, or absorbing, or removing by ventilation, fluids, e.g. exuded by contents; Applications of corrosion inhibitors or desiccators for absorbing gases, e.g. oxygen absorbers or desiccants
    • B65D81/268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with provision for draining away, or absorbing, or removing by ventilation, fluids, e.g. exuded by contents; Applications of corrosion inhibitors or desiccators for absorbing gases, e.g. oxygen absorbers or desiccants the absorber being enclosed in a small pack, e.g. bag, included in the packag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한 마스크가 오염되지 않도록 밀폐 보관을 간편하게 할 수 있되, 특히, 한 번 사용된 마스크의 보관시 마스크의 제습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마스크 내에서 세균이 번식되는 것을 억제하여 마스크의 사용 수명을 늘리고, 마스크의 재사용이 가능토록 하는 미세먼지 마스크의 2차오염 방지 및 제올라이트 또는 벤토나이트를 이용한 제습을 통하여 마스크의 기능회복을 위한 보관함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미세먼지 마스크의 2차오염 방지 및 제올라이트 또는 벤토나이트를 이용한 제습을 통하여 마스크의 기능회복을 위한 보관함{Mask case for function recovery of mask by preventing secondary contamination of fine dust mask and dehumidification using zeolite or bentonite}
본 발명은 마스크를 보관하기 위한 보관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한 마스크가 오염되지 않도록 밀폐 보관을 간편하게 할 수 있되, 특히, 한 번 사용된 마스크의 보관시 제올라이트 또는 벤토나이트 성분의 제습제를 이용해 마스크의 제습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제습 효율을 극대화시키고 마스크 내에서 세균이 번식되는 것을 억제하여 마스크의 사용 수명을 늘리고, 마스크의 재사용이 가능토록 하는 보관함에 관한 것이다.
마스크는 다양한 감염 예방에 필수품이 되었지만 한 번 사용하면 바이러스나 균에 오염되어 반복 사용하는 것은 위험하므로 일회 사용이 권장된다.
또한, 근래에는 공기질이 신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황사, 공기 중의 미세먼지 등과 같은 유해환경에 노출되지 않도록 외출시 마스크를 필히 착용하는 문화가 정착되었다. 이에 따라 마스크의 수요량은 매년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고, 다양한 기능이 추가되거나 성능이 개선된 마스크가 개발, 출시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마스크는 일회용으로 사용되고 버려지기 때문에 마스크를 대량으로 구입해 사용하더라도 쉽게 소모되고, 소비자 입장에서는 마스크의 재구매에 따른 비용 발생이 부담이 될 수 있다. 아울러, 강도적으로는 충분한 여유가 있으나 일회의 사용만으로 버려지기 때문에 자원이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소비자의 구매비용 부담을 줄이고자 저가 제품의 마스크가 출시되고 있으나, 이는 기능적인 측면에서 효과적이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어 효용성이 낮다.
한편, 마스크가 일회용이라 하더라도 실내에 들어왔을 땐 착용하고 있던 마스크를 벗어 보관하다 실외로 나갈 때 다시 착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이유로, 학교, 학원, 유치원 등을 등하교하는 학생, 유아들 또한 한 번 사용한 마스크의 재사용이 빈번하게 일어나는데, 주로 마스크의 보관방법은 마스크를 접어 주머니에 보관하거나 가방 등에 접어 보관하게 되는데, 이때, 마스크를 보관하는 과정에서 소지품과 함께 엉키거나 이물질에 노출되어 쉽게 오염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오염된 마스크를 재착용할 경우 마스크의 필터링 기능이 반감되는 것은 물론이고 비위생적이라는 문제점이 뒤따랐다.
이를 해결하고자, 마스크를 청결하게 보관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들이 제안되고 있으나, 단순히 마스크를 보관하는 기능 외엔 별다른 기능을 기대할 수 없는 사용구조상의 한계가 있는 것들이 대부분이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96487호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휴대한 마스크가 오염되지 않도록 밀폐 보관을 간편하게 할 수 있되, 특히, 한 번 사용된 마스크의 보관시 제올라이트 또는 벤토나이트 성분의 제습제를 이용해 마스크의 제습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제습 효율을 극대화시키고 마스크 내에서 세균이 번식되는 것을 억제하여 마스크의 사용 수명을 늘리고, 마스크의 재사용이 가능토록 하는 마스크의 보관함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개폐 가능하게 구성되는 함체 형상의 케이싱; 및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마스크가 거치 보관되는 거치부;를 포함하며, 상기 거치부에는 보관되는 마스크의 제습을 위한 제습수단이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습수단은, 제습제; 및 상기 제습제를 감싸는 부직포 형태의 포켓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습제는 제올라이트 또는 벤토나이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케이싱은. 서로 마주봄에 따라 케이싱의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한 쌍의 커버부재; 상기 한 쌍의 커버부재가 회동되도록 상기 한 쌍의 커버부재 사이에 설치되는 힌지대; 및 상기 힌지대에 마련되되 상기 내부 공간을 향해 배치되며 상기 거치부가 장착되는 장착대;를 포함하며, 상기 거치부는, 내부로 상기 제습수단이 내장되며 적이도 일측면이 메쉬망으로 이루어진 거치하우징; 및 상기 거치하우징의 외측으로 형성되며 상기 장착대를 파지하는 파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파지부재는 원통 형상에서 일부가 절개되어 상기 장착대에 맞물리며, 상기 거치부는 상기 한 쌍의 커버부재가 서로 완전히 전개되었을 때 수직으로 직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케이싱은 상기 한 쌍의 커버부재가 서로 마주보아 결합되었을 한 쌍의 커버부재를 결속시키는 잠금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휴대한 마스크가 오염되지 않도록 밀폐 보관을 간편하게 할 수 있되, 특히, 한 번 사용된 마스크의 보관시 마스크의 제습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마스크 내에서 세균이 번식되는 것을 억제하여 마스크의 사용 수명을 늘리고, 마스크의 재사용이 가능토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 내지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보관함의 전체적인 외관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내부 공간이 개방된 상태의 보관함의 개략적인 단면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케이싱의 분해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케이싱과 거치부의 분해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내부 공간이 밀폐된 상태의 보관함의 개략적인 단면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파지부재와 장착대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거치하우징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보관함 패키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10은 한 쌍의 커버부재가 완전히 전개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본 발명에 따른 보관함은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케이싱(10) 및 거치부(20)를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먼저, 케이싱(10)은 개폐 가능하게 구성되는 함체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내부로 마스크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사각 함체 형상의 케이싱(10)을 예시하나, 필요에 따라 원형, 삼각형, 기하학적 형상 등 상황에 맞게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음을 밝힌다.
케이싱(10)은 휴대의 편의성을 위해 경량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필요에 따라 투명 또는 반투명 창을 형성하거나, 자체를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의 합성수지를 이용해 제조되도록 하여 내부에 마스크의 유무를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거치부(20)는 상기 케이싱(10)의 내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케이싱(10)의 내부에 수용되는 마스크가 거치 될 수 있는 수단으로써 마스크의 위치를 고정하고 특히, 사용된 마스크에 포함된 수분을 제습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이를 위해 상기 거치부(20)에는 보관되는 마스크의 제습을 위한 제습수단(21)이 내장될 수 있다.
사용된 마스크를 케이싱(10)에 보관하게 될 때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마스크를 반으로 접어 거치부(20)에 거치시키게 되면 제습수단(21)이 마스크에 포함된 수분을 흡수하여 제습함으로써 사용된 마스크를 청결하게 보관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2점쇄선은 마스크를 도시한 부분이다.
마스크를 착용한 상태에서 호흡을 하게 되면 마스크의 표면에 수분이 응축되기 쉬운데, 수분이 모두 건조되지 않은 상태에서 마스크를 보관할 경우 세균 증식의 원인이 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 케이싱(10)은 마스크가 수납되면 그 즉시 제습함으로써 마스크를 보다 청결하게 보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거치부(20)에는 전술한 제습수단(21) 외에도, 마스크의 소취, 항균, 살균 등의 기능을 부가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구성요소들이 추가적으로 더 마련될 수도 있음을 밝힌다.
한편, 상기 제습수단(21)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습제(21a) 및 상기 제습제(21a)를 감싸는 부직포 형태의 포켓부재(21b)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
제습수단(21)은 포켓부재(21b) 내부에 제습제(21a)를 밀봉한 상태에서 거치부(20)의 내부로 수용되는 것이 제습제(21a)의 오염, 변질 등을 방지하는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만일, 제습제(21a)가 마스크의 수분을 제외한 기타 이물질에 노출되어 오염될 경우 제습제(21a)의 변형이 발생되어 제습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습제(21a)는 제올라이트 또는 벤토나이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올라이트와 벤토나이트는 높은 흡착열과 수화 및 탈수 능력, 그리고 일련의 과정 동안 구조적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는 능력이 있어 제습제(21a)로 탁월한 효과를 보인다.
미세 다공성 알루미늄 규산염 광물인 제올라이트는 주로 흡착제나 촉매로 활용된다. 이 물질은 1756년 스웨덴의 광물학자 크론스테트(A. F. Cronstedt)에 의해 만들어졌는데, 그는 속비석(stilbite)을 빠르게 가열할 때, 그 광물에 흡착되어 있던 물이 대량의 증기로 생성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를 근거로 그는 '끓여야 한다'는 뜻의 그리스어 'ζ?ω'와 '돌'이란 뜻의 'λ?θο?'라는 단어를 합쳐 제올라이트라는 명칭을 붙였다.
제올라이트는 자연적으로도 생성되지만, 산업적으로 대량 생산되고, 2016년 9월까지 232가지의 각기 다른 결정 구조가 확인되었으며, 특히 여기에는 40가지가 넘는 천연 상태의 결정 구조들도 포함되어 있다. 새롭게 알려진 모든 제올라이트의 구조는 국제 제올라이트 협회 산하 구조위원회(International Zeolite Association, Structure Commission)의 승인을 받아야 하며 세 글자로 된 고유한 명칭이 부여된다.
제올라이트는 Na+, K+, Ca2+, Mg2+ 와 같은 다양한 양이온을 수용할 수 있는 다공성 구조로 되어 있는데, 이러한 이온들은 이 물질 내에 약하게 결합하고 있어 용액과 접촉 시 다른 양이온으로 쉽게 이온-교환할 수 있다. 천연에서 주로 발견되는 제올라이트 광물로는 항석(analcime), 능비석(chabazite), 클리노프틸로이트(clinoptilolite), 휘비석(heulandite), 소다비석(natrolite), 회십자비석(phillipsite), 속비석 등이 있다.
천연 제올라이트는 화산암과 화산재층이 알칼리 지하수와 만나는 곳에서 형성되거나, 얕은 해양분지의 퇴적층에서 수천 년 또는 수백만 년에 걸쳐 결정화되기도 한다. 대부분 순수한 형태로 존재하지 않으며, 광물, 금속, 석영과 섞여 있는 상태로 존재한다. 이로 인해 균일성과 순도가 떨어져 대부분 상업적으로 사용되지는 않는다.
제올라이트는 주로 규소, 알루미늄, 산소로 이루어진 알루미노규산염으로써 타이타늄, 주석, 아연 등과 같은 금속을 소량 함께 포함하기도 하며, "분자체(molecular sieve)"로 쓰일 수 있는 미세다공성 고체물질(microporous solid) 중 하나이다. "분자체"란 제올라이트 고유의 특징 중 하나로써, 제올라이트 구조 내 존재하는 매우 규칙적으로 배열된 미세 기공들을 이용하여 작은 크기의 기체나 액체 분자들을 크기 및 모양에 따라 선택적으로 분리할 수 있는 특징을 말한다. 기공으로 들어갈 수 있는 분자나 이온의 최대 크기는 제올라이트 내에 존재하는 통로(channel)의 크기에 의해 결정되는데, 이 크기는 결국 결정 구조를 이루는 음이온 골격체 내의 고리(ring)의 크기에 의해 정의된다. 예를 들어 '8-고리'는 사면체 구조를 이루는 8개의 규소(또는 알루미늄) 원자와 같은 수의 산소 원자로 구성된 닫힌 고리를 의미한다. 이러한 고리들은 결정 구조 내 작용하는 화학 결합을 포함한 여러 가지 요인들에 의해 완벽하게 대칭을 유지하지는 못하며, 따라서 제올라이트의 기공은 원통형을 유지하는 경우가 드물다.
벤토나이트는 주로 응회암 또는 화산재와 같은 유리질 화산물질의 화학적 변질로 수반된 광물 또는 탈유리화 작용에 의해 형성된 결정질 점토로 구성된 암석이며, 화산유리질물질 내의 반정에서 기원된 장석, 흑운모, 석영, 방해석 등의 부성분광물들을 수반한다.
벤토나이트란 용어는 1898년 Knight가 미국 몬타나주 Fort Benton에 있는 팽윤성이 아주 큰 백악기 점토에 대해 처음 명명하였으며, 그 후 여러 지질학자들에 의해 벤토나이트는 주로 백악기와 제 3기 층내에 있는 이동, 퇴적된 화산물질로부터 형성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진주광택 또는 밀납과 같은 광택을 가진 지방감이 있는 치밀한 괴상으로 산출되는데, 때때로 연질의 거칠은 괴상으로도 산출된다. 국내에서 생산되는 제품의 원료인 벤토나이트광상은 신생대 제3기층이 주로 분포하고 있는 경주 감포, 양북, 양남, 포항 영일, 울산 정자일대에 산재하고 있으며, 특히 경주지역의 양북, 양남지역에 집중되어 분포되어 있다.
석영 ·장석(長石) ·제올라이트 등을 포함한 것이 많다. 빛깔은 백색 ·회색 ·담갈색 ·담녹색 등을 나타낸다. 물을 흡착하여 팽윤하고, 양이온 교환성이 뚜렷한 것 등 몬모릴로나이트의 성질과 흡사하다. 응회암과 유리질 유문암(流紋岩)이 변질된 것이다. 용도는 매우 넓어 석유정굴진용 이수(石油井掘進用泥水)의 주성분, 주물형(鑄物型)의 결합제, 요업원료의 혼입제, 연고의 기초제로서 사용되기도 한다.
제습제(21a)는 이러한 제올라이트와 벤토나이트를 덩어리 형태로 가공한 것으로 예시될 수 있으며, 기타 제습 기능을 하는 균등의 구성요소로 변형실시될 수 있음을 밝힌다.
케이싱(10)은 그 일례로, 서로 마주봄에 따라 케이싱(10)의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한 쌍의 커버부재(11), 상기 한 쌍의 커버부재(11)가 회동되도록 상기 한 쌍의 커버부재(11) 사이에 설치되는 힌지대(12) 및 상기 힌지대(12)에 마련되되 상기 내부 공간을 향해 배치되며 상기 거치부(20)가 장착되는 장착대(13)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힌지대(12)를 기준으로 한 쌍의 커버부재(11)가 회동하여 완전히 전개될 경우 케이싱(10)의 내부에 거치부(20)가 완전히 노출되는 구조를 갖춘다.
거치부(20)는 그 일례로, 내부로 상기 제습수단(21)이 내장되는 거치하우징(22) 및 상기 거치하우징(22)의 외측으로 형성되며 상기 장착대(13)를 파지하는 파지부재(23)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
거치하우징(22)은 내공간을 형성한 판 형태로 이루어지며 도시하지 않았지만 제습수단(21)의 교체 목적의 일환으로 내공간을 개폐하는 커버가 형성될 수도 있다.
필요에 따라 거치하우징(22)의 일측면을 도 8a에 도시된 것처럼 메쉬망(22a)으로 구성하거나 도 8b에 도시된 것처럼 일측면에 복수의 타공(22b)을 형성하여 거치부(20)에 거치된 마스크와 제습수단(21) 사이의 긴밀도를 증가시켜 마스크의 제습 효율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보관함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키지 형태로 제공될 수 있는데, 이 패키지에는 하나의 케이싱(10)과 두 개 이상의 거치부(20)가 포함될 수 있다.
제습제(21a)의 수분 흡수량이 한계점에 도달하면 더이상의 제습 효과를 기대할 수 없기 때문에, 일정 주기에 따라 케이싱(10)에서 거치부(20)를 새것으로 교체한 뒤 사용하던 거치부(20)를 자연광에 건조시켜 제습력을 회복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거치부(20)를 케이싱(10)에서 쉽게 착탈 가능한 구조를 갖도록 함으로써 거치부(20)의 교체작업이 간편하게 수행되는 이점을 제공한다.
장착대(13)는 원통 형태로 마련되고, 이에 대응하여 파지부재(23)는 원통 형상에서 일부가 절개된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장착대(13)에 맞물린다.
이와 같이 구성된 파지부재(23)는 소정의 탄성 변형이 가능하기 때문에 원통 형상의 장착대(13)에 결합, 분리되는 과정에서 거치부(20)에 소정의 견인력만 제공하게 되면 쉽게 거치부(20)를 탈착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갖추게 된다.
거치부(20)를 탈착시키기 위한 파지부재(23), 장착대(13) 등의 구성은 예시된 것에 불과하며 거치부(20)를 탈착시킬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설계변경이 가능하다.
한편,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거치부(20)는 상기 한 쌍의 커버부재(11)가 서로 완전히 전개되었을 때 수직으로 직립되는 구조를 갖추게 된다.
마스크를 케이스에 수납하거나 또는 케이스에 마스크를 보관하고자 할 때 케이싱(10)의 내부 공간이 개방되는 과정에서 거치부(20)가 항상 동일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직접 손으로 거치부(20)를 조작하지 않고서도 쉽게 마스크를 거치시키거나 거치부(20) 상에서 마스크를 제거할 수 있다.
만일, 커버부재(11)가 전개된 상태에서 마스크의 거치를 위해 사용자가 직접 손으로 거치부(20)를 만져 조작하게 되면 사용자의 손에 의해 거치부(20)가 오염되기 때문에 한 번 오염된 거치부(20) 상에 마스크가 거치되면 마스크 또한 오염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보관함은 사용자가 직접 거치부(20)를 만져 조작하지 않더라도 도 10에 도시된 것처럼 커버부재(11)가 전개되면 이와 연동해 거치부(20)가 수직으로 직립된 상태가 된다.
이를 위해, 도 3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파지부재(23)의 절개된 면은 힌지대(12)의 장착대(13)가 마련된 표면에 접촉되는 구성을 갖춘다.
이렇게 되면, 파지부재(23)가 장착대(13)에서 상대회전이 제한되기 때문에 거치부(20)가 도 3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의 회전운동 자체가 불가능해져 커버부재(11)를 전개시켜 놓으면 항상 수직으로 직립된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는 마스크를 거치부(20)에 거치시키거나 보관되었던 마스크를 거치부(20)에서 제거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케이싱(10)은 상기 한 쌍의 커버부재(11)가 서로 마주보아 결합되었을 때 한 쌍의 커버부재(11)를 결속시키는 잠금수단(14)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잠금수단(14)은 한 쌍의 커버부재(11)가 서로 마주보아 결합된 상태를 결속시킬 수 있는 공지의 것들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예컨대, 한 쌍의 커버부재(11)에서 대응되는 변에 각각 형성되어 서로 맞물리는 체결홈(14b)과 체결돌기(14a)의 구성으로 예시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케이싱 20: 거치부
11: 커버부재 12: 힌지대
13: 장착대 14: 잠금수단
21: 제습수단 22: 거치하우징
23: 파지부재

Claims (3)

  1. 개폐 가능하게 구성되는 함체 형상의 케이싱; 및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마스크가 거치 보관되는 거치부;를 포함하며,
    상기 거치부에는 보관되는 마스크의 제습을 위한 제습수단이 내장되며,
    상기 제습수단은,
    제습제; 및
    상기 제습제를 감싸는 부직포 형태의 포켓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습제는 제올라이트 또는 벤토나이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마스크의 2차오염 방지 및 제올라이트 또는 벤토나이트를 이용한 제습을 통하여 마스크의 기능회복을 위한 보관함.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은.
    서로 마주봄에 따라 케이싱의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한 쌍의 커버부재;
    상기 한 쌍의 커버부재가 회동되도록 상기 한 쌍의 커버부재 사이에 설치되는 힌지대; 및
    상기 힌지대에 마련되되 상기 내부 공간을 향해 배치되며 상기 거치부가 장착되는 장착대;를 포함하며,
    상기 거치부는,
    내부로 상기 제습수단이 내장되며 적이도 일측면이 메쉬망으로 이루어진 거치하우징; 및
    상기 거치하우징의 외측으로 형성되며 상기 장착대를 파지하는 파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파지부재는 원통 형상에서 일부가 절개되어 상기 장착대에 맞물리며,
    상기 거치부는 상기 한 쌍의 커버부재가 서로 완전히 전개되었을 때 수직으로 직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마스크의 2차오염 방지 및 제올라이트 또는 벤토나이트를 이용한 제습을 통하여 마스크의 기능회복을 위한 보관함.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은 상기 한 쌍의 커버부재가 서로 마주보아 결합되었을 한 쌍의 커버부재를 결속시키는 잠금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마스크의 2차오염 방지 및 제올라이트 또는 벤토나이트를 이용한 제습을 통하여 마스크의 기능회복을 위한 보관함.
KR1020190060156A 2019-05-22 2019-05-22 미세먼지 마스크의 2차오염 방지 및 제올라이트 또는 벤토나이트를 이용한 제습을 통하여 마스크의 기능회복을 위한 보관함 KR1022112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0156A KR102211213B1 (ko) 2019-05-22 2019-05-22 미세먼지 마스크의 2차오염 방지 및 제올라이트 또는 벤토나이트를 이용한 제습을 통하여 마스크의 기능회복을 위한 보관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0156A KR102211213B1 (ko) 2019-05-22 2019-05-22 미세먼지 마스크의 2차오염 방지 및 제올라이트 또는 벤토나이트를 이용한 제습을 통하여 마스크의 기능회복을 위한 보관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4555A true KR20200134555A (ko) 2020-12-02
KR102211213B1 KR102211213B1 (ko) 2021-02-01

Family

ID=737922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0156A KR102211213B1 (ko) 2019-05-22 2019-05-22 미세먼지 마스크의 2차오염 방지 및 제올라이트 또는 벤토나이트를 이용한 제습을 통하여 마스크의 기능회복을 위한 보관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121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8698U (ja) * 1992-01-24 1994-07-05 榮 伊藤 マスクケース
KR200354992Y1 (ko) * 2004-04-14 2004-07-01 최세영 마스크 케이스
JP2011078678A (ja) * 2009-10-09 2011-04-21 Aroma Science Kk マスク用除菌器
KR20170096487A (ko) 2016-02-16 2017-08-24 유재용 마스크 및 생리대 휴대용 케이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8698U (ja) * 1992-01-24 1994-07-05 榮 伊藤 マスクケース
KR200354992Y1 (ko) * 2004-04-14 2004-07-01 최세영 마스크 케이스
JP2011078678A (ja) * 2009-10-09 2011-04-21 Aroma Science Kk マスク用除菌器
KR20170096487A (ko) 2016-02-16 2017-08-24 유재용 마스크 및 생리대 휴대용 케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1213B1 (ko) 2021-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Nourmoradi et al. Multi‐component adsorption of benzene, toluene, ethylbenzene, and xylene from aqueous solutions by montmorillonite modified with tetradecyl trimethyl ammonium bromide
JP5212992B2 (ja) アルミニウムケイ酸塩複合体及び該複合体からなる高性能吸着剤
CN106732342B (zh) 一种吸附挥发性有机物的多级孔道结构蜂窝体材料及其制备方法
JP2645251B2 (ja) ガス吸着素子
Muir et al. The removal of organic compounds by natural and synthetic surface-functionalized zeolites: A mini-review
KR102211213B1 (ko) 미세먼지 마스크의 2차오염 방지 및 제올라이트 또는 벤토나이트를 이용한 제습을 통하여 마스크의 기능회복을 위한 보관함
Klunk et al. Synthesis of sodalite zeolite and adsorption study of crystal violet dye
AR033823A1 (es) Material ceramico de alta porosidad, metodo para realizar dicho material y uso de dicho material
Ibrahim et al. Facile preparation of dual functions zeolite‐carbon composite for zinc ion removal from aqueous solutions
Lopes et al. Uptake of Hg2+ from aqueous solutions by microporous titano-and zircono-silicates
Mohammed et al. Preparation and formation of zeolite 5A from local kaolin clay for drying and desuphurization of liquefied petroleum gas
Asefa et al. Comparative Investigation on two synthesizing methods of zeolites for removal of methylene blue from aqueous solution
KR101474514B1 (ko) 습기 탈취제
ES2541718B1 (es) Sobre de absorción de gases para envases de productos perecederos
Yimer et al. Kinetics and equilibrium study of adsorption of phenol red on teff (Eragrostis teff) husk activated carbon
JPS59193134A (ja) 浄水用材
JP6187898B2 (ja) ダイオキシン類吸着剤、重金属吸着剤及び該吸着剤の製造方法
Guo et al. Research of phenols adsorption from simulated coal-gasification wastewater by resin
Jain et al. Defluoridation of water using bioadsorbents: Kinetic study
JP6421402B2 (ja) ベンゼン吸着剤、その製造方法及びベンゼン処理方法
KR101847489B1 (ko) 휘발성 유기화합물 흡착제거용 필터 및 그 제조방법
WO2020140162A1 (es) Un proceso hidrotermal para sintetizar un material zeolítico compuesto de clinoptilolita y phillipsita, útil para la remoción de arsénico desde agua potable.
KR101846295B1 (ko) 휘발성 유기화합물 필터용 팩
Hernández Gas-phase adsorption in dealuminated natural clinoptilolite and liquid-phase adsorption in commercial DAY zeolite and modified ammonium Y zeolite
JP3185457U (ja) パネ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