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4992Y1 - 마스크 케이스 - Google Patents

마스크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4992Y1
KR200354992Y1 KR20-2004-0010455U KR20040010455U KR200354992Y1 KR 200354992 Y1 KR200354992 Y1 KR 200354992Y1 KR 20040010455 U KR20040010455 U KR 20040010455U KR 200354992 Y1 KR200354992 Y1 KR 20035499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mask
main body
cover
hi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045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세영
Original Assignee
최세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세영 filed Critical 최세영
Priority to KR20-2004-001045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499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499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4992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wearing apparel, headwear or footwear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40/00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talys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마스크(2)를 보관하는 케이스(4)가 음이온이 발생됨은 물론 각종 오염물질의 부패방지와 악취제거, 멸균능력 등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하므로서, 마스크(2)가 항상 청결한 상태로 보관될 수 있게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은 직사각형의 상자 모양으로 되면서 전면에 홈(12)이 형성된 본체(10)와, 상기 본체(10) 후면 상단에 설치되는 경첩(14)과, 상기 경첩(14)에 후면 하단부가 결합되면서 본체(10)의 개방부를 밀폐시키는 커버(16)와, 상기 커버(16)의 전면 중앙부에 일체로 연장되어 형성되면서 홈(12)에 걸려지는 후크(22)로 구성된 케이스(4)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4)는 플라스틱 분말에 200내지 400메수인 토르말린 분말과 나노은, 광촉매, 구리 중 어느 하나를 혼합하여 제조된 마스크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마스크 케이스{Mask case}
본 고안은 마스크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마스크를 보관하는 케이스가 음이언이 발생됨은 물론 각종 오염물질의 부패방지와 악취제거, 멸균능력 등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하여, 마스크가 항상 청결한 상태로 보관될 수 있게 한 마스크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마스크 케이스는 사용했던 마스크를 일시적으로 보호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 상기 마스크를 사용자가 착용했을 때 각종 오염물질과 세균이 부착되는데, 이러한 오염물질과 세균은 마스크 케이스내에 보관될 때 악취를 풍기거나 증식하게 된다.
따라서 마스크가 케이스내에 보관될 때 자연적으로 멸균되거나, 오염물질로 인해 발생되는 악취가 제거될 수 있게 하므로서 항상 청결성을 유지할 수 있게 기능성을 겸비시키는 것이 최근의 추세이다.
또한 상기 마스크 케이스는 안경이나 콘텍트렌즈를 보관하기 위한 대용으로도 사용될 수 있으므로, 용도는 광범위하게 적용할 수 있다.
한편 종래의 기술은 마스크 보관 대용으로도 사용할 수 있는 선출원된 공개 특허번호 제1996-0005146호(명칭:박형의 안경 및 안경케이스)를 도 2에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안경을 보관하도록 된 케이스는 함몰된 본체(22)가 직사각형 모양으로 형성되고, 상기 본체(22) 전면부 중앙 양측에는 고정역할을 하는 한 쌍의 노브(33)가 소정거리를 두고서 각각 이격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22) 후면 중간부에는 직사각형 모양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커버(28)가 연결되는데, 이때 상기 커버(28)의 후미 중간부는 본체(22)의 후미 중간부와 일체로 연결되면서 개,폐가 용이하도록 된 접철부로 연결된다.
이와 함께 상기 커버(28)의 전면 중간부에는 케이스가 닫힘 상태일 때, 상기 노브(33) 사이에 위치하게 되면 고정되는 후크(34)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본체(22)와 커버(28)는 플라스틱 재질로 된다.
상기 종래의 기술을 작용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케이스의 커버(28)를 오픈하면 후크(34)가 노브(33)로 부터 이탈하게되고, 동시에 후면에 형성된 접철부를 중심으로 회동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했던 안경 내지는 마스크를 본체(33)에 넣고 커버(28)를 본래의 위치로 복귀시키면 후크(34)는 노브(33) 사이에 위치하면서 고정되어 닫힘상태가 되는데, 이때 본체(22)와 커버(28)는 상호 접촉면이 밀착되어 밀폐 상태가 된다.
따라서 안경은 충격으로 부터 보호되는 상태가 되고, 또한 각종 물체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기스로 부터 안전한 상태가 된다.
이와 함께 마스크의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이물질이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케이스내에 보관된 안경 내지는 마스크는, 밀폐된 케이스 내에서 오염물질은 부패되어 악취를 발생시키게 되고, 세균은 더욱 증식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안경 내지는 마스크를 착용하면 악취로 인해 불쾌감을 갖게 되고, 또한 증식된 세균으로 인해 눈과 호흡기 등의 건강을 해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종래에는 상기와는 달리 케이스내에 살균력을 지닌 은을 코팅하여 사용하였는데, 이로 인해 케이스내에 보관된 안경 내지 마스크는 렌즈에 부착된 오염 물질의 부패를 방지하는 동시에 냄새를 제거하고, 또한 세균을 멸균시키므로서 청결성이 유지되었다.
상기와 같은 방식은 사용되는 도중에 안경 내지 마스크가 반복적으로 케이스 내에 보관되거나 꺼내어지게 되면, 코팅부는 긁혀지면서 커버로 부터 탈락하게 된다.
이로 인해 케이스는 부패방지와 악취제거, 멸균능력 등을 점차적으로 상실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마스크를 보관하는 케이스가 음이온이 발생됨은 물론 각종 오염물질의 부패방지와 악취제거, 멸균능력 등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하므로서, 마스크가 항상 청결한 상태로 보관될 수 있게 하는 데에 있다.
도 1 은 본 고안의 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마스크 4: 케이스 6:바닥면
8,20:측벽 10:본체 12:홈
14:경첩 16:커버 18:루프
22:후크
본 고안은 직사각형의 상자 모양으로 되면서 전면에 홈(12)이 형성된 본체(10)와, 상기 본체(10) 후면 상단에 설치되는 경첩(14)과, 상기 경첩(14)에 후면 하단부가 결합되면서 본체(10)의 개방부를 밀폐시키는 커버(16)와, 상기 커버(16)의 전면 중앙부에 일체로 연장되어 형성되면서 홈(12)에 걸려지는 후크(22)로 구성된 케이스(4)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4)는 플라스틱 분말에 200내지 400메수인 토르말린 분말과 나노은, 광촉매, 구리 중 어느 하나를 혼합하여 제조되는 마스크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스크(2)를 보관할 수 있도록 된 케이스(4)가 구성되는데, 상기 케이스(4)에는 직사각형 모양으로 된 바닥면(6)과, 상기 바닥면(6) 가장자리에 수직으로 배치되는 측벽(8)이 각각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상부를 개방하고 있는 상자 모양을 한 본체(10)가 구성된다.
상기 본체(10)의 전면에 위치한 측벽(8) 중앙부에는 걸림역할을 하는 홈(12)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10) 후면 상단부에는 회동 중심을 이루는 경첩(14)이 설치된다.
상기 경첩(14)에는 본체(10)의 사이즈와 동일한 사이즈로 된 커버(16)가 하부를 개방하면서 상자모양으로 형성되는데, 상기 커버(16)는 직사각형 모양으로 된 루프(18)와, 루프(18) 외측에 수직으로 배치되는 측벽(20)으로 형성된다.
상기 커버(16)의 전면에 위치한 측벽(20) 하부 중간측에는 상기 홈(12)에 끝단부가 결합되는 후크(22)가 일체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체(10)와 커버(16)와 후크(22)는 플라스틱 재질에 나노은 내지는 광촉매 또는 구리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혼합해서 제조하게 된다.
이때 혼합 비율은 플라스틱 분말을 30-70%로 하고, 200내지 400메수인 토르말린 분말 또는 나노은을 70-30% 투입하여 혼합 하므로서 케이스(4)를 제조한다.
상기 나노은 이외에 광촉매와 구리를 혼합할 경우도, 동일하게 70-30%를 플라스틱에 투입하여 케이스(4)를 제조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마스크(2)를 보관하기 위해 후크(22)를 홈(12)으로 부터 이탈시키면서 커버(16)를 오픈시키면 경첩(14)을 중심으로 회동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된 마스크(2)를 본체(10)의 바닥면(6)에 놓고 커버(16)를 전술한 바와는 반대로 닫힘상태로 복귀 시키면, 상기 경첩(14)을 중심으로 회동하면서 후크(22)가 홈(12)에 위치하여 걸려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커버(16)의 측벽(20) 끝단부가 본체(10)의 측벽(8) 끝단부와 상호 밀착하게 되는데, 이로 인해 상기 케이스(4)는 밀폐되는 상태가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마스크(2) 표면에 부착된 오염물질과 세균은 케이스(4)내의 상승된 온도로 인해, 상기 오염물질이 부패하거나 세균이 증식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케이스(4)는 플라스틱 재질에 나노은 내지는 광촉매 또는 구리중에서 어느 하나가 혼합되어 형성된 관계로, 상기 오염물질은 부패가 억제되는 동시에 악취는 제거되고, 또한 세균은 멸균이 된다.
이로 인해 상기 마스크(2)가 사용되었더라도 케이스(4)내에 보관되면 청결성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는 달리 마스크(2) 이외에 안경 또는 콘텍트렌즈를 상기 케이스(4)에 보관할 수 도 있다.
상기와 같이 청결성을 유지할 수 있는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선출원되어 등록된 특허등록번호 제10-0418258호(명칭:나노실버메탈 콜로이드 첨가의 수용성절삭유제 구성물)를 인용하여 나노은에 대한 효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나노은을 형성하는 나노미터실버메탈 콜로이드 용액 항균제를 부패방지제로 첨가한 수용성절삭유제 구성물은, 광유(미네랄오일 : mineral oil){분자식 : (CH2)n, n=12~50로 이루어지며, 탄화수소조성비가 카본파라핀(Carbon Paraffine)60.0±5.0wt%, 카본나프텐(Carbon Naphthene) 45.0士5.0wt%, 카본아로마틱(Carbon Aromatic) 3.0土3.0wt%로 이루어 진 것} 60±5.0wt%, 올레인산(Oleic acid, cas no : 112-80-1) 10±5.0wt%, 채종유(Rape seed oil, cas no : 8002-13-9) 10±5.0wt%, 호박산(Succinic acid, cas no : 13438-4) 10±2.5wt%, 톨유(Tall oil, cas no : 8002-26-4) 3±1.5wt%, 테트라나트륨염(Tetrasodium selt, cas no : 64-02-8) 0.5±0.3wt%, 수산화칼륨15~45%수용액(Potassium hydroxide 15~45% aqueous solution, cas no : 1310-58-3) 0.5±0.4wt%, 벤조트리아졸(Benzotriazole, cas no : 95-14-7) 0.5±0.4wt%, 소르비탄 모노올레인산(Sorbitan monooleate, cas no : 9005-65-6) 10±5.0wt% 로 이루어 진 구성물에 대하여 특정 나노미터실버메탈 콜로이드 용액 항균제 2±1.0wt%를 첨가한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나노미터실버메탈 콜로이드용액을 첨가하여 사용하게 되면 하기의 표1과 같이 부패를 방지시키게 되고, 하기와는 달리 나노은의 경우에는 세균에 대해서도 멸균기능을 발휘하게 된다.
표 1
한편 상기와는 달리 플라스틱에 광촉매 또는 구리(Cu)를 첨가하여 사용하면 케이스(4)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먼저 선출원된 공개특허번호 제2003-0083831호(명칭:광촉매 및 과산화수소를 이용한 악취 제거용 탈취제)를 인용하여 광촉매와 구리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광촉매 조성물을 구성하는 TiO2는 UV하에서 용존 산소 및 과산화수소와 반응함으로써, OH 라디칼을 생성하여 대기 중의 악취 원인 물질을 산화하여 악취를 제거할 수 있으며, 과산화수소는 상기한 바와 같이, OH 라디칼의 생성을 더욱 촉진시킬 수 있어서, 이러한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탈취제의 산화력을 더욱 강화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사용된 TiO2이외에 Cu는 인체에 무해한 광촉매 산화물로서 염기성 악취인 암모니아 성분뿐만 아니라, 산성 악취인 황화수소, 메칠메르캅탄 등 모든 악취 원인 물질을 산화시킬 수 있으므로, 탈취 효율이 매우 우수한 탈취제를 제공할 수 있으며, 더구나, 이러한 탈취제는 광산화방식으로 악취성분을 무해한 가스인 CO2, H2O 등으로 변화시켜 줄 수 있으므로, 2차 오염 물질의 발생 또한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광촉매 및 구리의 악취제거 효율은 하기의 표2와 같다.
표 2
지속시간에 따른 악취제거 효율
상기와 같이 사용되는 광촉매와 구리는 탈취 기능 이외에 멸균기능도 함께 발휘하게 된다.
본 고안은 마스크를 보관하는 케이스가 나노은과 광촉매와 구리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혼합해 제조하므로, 각종 오염물질의 부패방지와 악취제거, 멸균능력 등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되는데, 이로 인해 마스크를 청결상태로 보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직사각형의 상자 모양으로 되면서 전면에 홈(12)이 형성된 본체(10)와,
    상기 본체(10) 후면 상단에 설치되는 경첩(14)과,
    상기 경첩(14)에 후면 하단부가 결합되면서 본체(10)의 개방부를 밀폐시키는 커버(16)와,
    상기 커버(16)의 전면 중앙부에 일체로 연장되어 형성되면서 홈(12)에 걸려지는 후크(22)로 구성된 케이스(4)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4)는 플라스틱에 200내지 400메수인 토르말린 분말, 나노은, 광촉매, 구리 중 어느 하나를 혼합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마스크 케이스.
KR20-2004-0010455U 2004-04-14 2004-04-14 마스크 케이스 KR20035499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0455U KR200354992Y1 (ko) 2004-04-14 2004-04-14 마스크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0455U KR200354992Y1 (ko) 2004-04-14 2004-04-14 마스크 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4992Y1 true KR200354992Y1 (ko) 2004-07-01

Family

ID=494330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0455U KR200354992Y1 (ko) 2004-04-14 2004-04-14 마스크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4992Y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9490A (ko) 2018-10-30 2020-05-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마스크 보관 장치
KR20200061325A (ko) 2020-05-13 2020-06-02 우병구 마스크 보관 케이스
EP3666292A1 (en) 2018-12-10 2020-06-17 LG Electronics Inc. Mask storage apparatus
WO2020197064A1 (en) * 2019-03-28 2020-10-01 Lg Electronics Inc. Mask unit
KR20200134555A (ko) * 2019-05-22 2020-12-02 유환길 미세먼지 마스크의 2차오염 방지 및 제올라이트 또는 벤토나이트를 이용한 제습을 통하여 마스크의 기능회복을 위한 보관함
KR102203263B1 (ko) * 2020-03-30 2021-01-14 박순식 슬림형 휴대용 마스크 케이스
KR20220000751A (ko) * 2020-06-26 2022-01-04 김성준 덴탈 마스크 보관을 위한 포장 시트
US11617806B2 (en) 2018-10-30 2023-04-04 Lg Electronics Inc. Mask storage apparatus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9490A (ko) 2018-10-30 2020-05-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마스크 보관 장치
KR20210124951A (ko) 2018-10-30 2021-10-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마스크 보관 장치
US11617806B2 (en) 2018-10-30 2023-04-04 Lg Electronics Inc. Mask storage apparatus
EP3666292A1 (en) 2018-12-10 2020-06-17 LG Electronics Inc. Mask storage apparatus
WO2020197064A1 (en) * 2019-03-28 2020-10-01 Lg Electronics Inc. Mask unit
KR20200134555A (ko) * 2019-05-22 2020-12-02 유환길 미세먼지 마스크의 2차오염 방지 및 제올라이트 또는 벤토나이트를 이용한 제습을 통하여 마스크의 기능회복을 위한 보관함
KR102211213B1 (ko) * 2019-05-22 2021-02-01 유환길 미세먼지 마스크의 2차오염 방지 및 제올라이트 또는 벤토나이트를 이용한 제습을 통하여 마스크의 기능회복을 위한 보관함
KR102203263B1 (ko) * 2020-03-30 2021-01-14 박순식 슬림형 휴대용 마스크 케이스
KR20200061325A (ko) 2020-05-13 2020-06-02 우병구 마스크 보관 케이스
KR20220000751A (ko) * 2020-06-26 2022-01-04 김성준 덴탈 마스크 보관을 위한 포장 시트
KR102506616B1 (ko) * 2020-06-26 2023-03-07 김성준 덴탈 마스크 보관을 위한 포장 시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54992Y1 (ko) 마스크 케이스
JP4481470B2 (ja) コンタクトレンズの消毒方法及びそのための消毒液
BRPI0408382A (pt) composição contendo materiais de zinco particulado que têm um tamanho definido de cristalito
US10940228B2 (en) Aqueous solutions of copper salts and hydrogen peroxide
AR027106A1 (es) Metodo y aparato de tratamiento de agua
US20040234569A1 (en) Disinfection method
JP2009520873A (ja) 軟質表面上で使用するための臭気除去用組成物
KR101406083B1 (ko) 항균, 살균 및 탈취 활성을 갖는 다기능성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WO2015093062A1 (ja) 二酸化塩素吸着による亜塩素酸水製造法
JP3894945B2 (ja) コンタクトレンズ用液剤
CA2797491C (en) Composition in the form of liquid for maintenance of contact lenses and medical materials
ES2772182T3 (es) Formulación antiséptica
JP2004097805A (ja) コンタクトレンズの消毒方法及びそのための消毒液
KR20210026012A (ko) 탈취 입자, 이를 포함하는 탈취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4244129B2 (ja) 消毒方法
JP2009012803A (ja) 物品の保管方法及び物品保管装置
JP7016468B2 (ja) 香料組成物、これを利用した除菌消臭液及び除菌消臭方法。
JP3120352U (ja) 包装ウエットティッシュ
JP2008013492A (ja) 化粧品用防腐剤、化粧品
JP2003135572A (ja) 消毒方法
TWM596632U (zh) 二氧化氯消毒棒結構
CN114533931B (zh) 混合型挥发性液体释放系统
KR101152767B1 (ko) 자외선 응답형 박막 광촉매와 그 응용
KR101639660B1 (ko) 미네럴과 유황을 이용한 소독 및 탈취제
JP4472366B2 (ja) 脱臭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