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3263B1 - 슬림형 휴대용 마스크 케이스 - Google Patents

슬림형 휴대용 마스크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3263B1
KR102203263B1 KR1020200038651A KR20200038651A KR102203263B1 KR 102203263 B1 KR102203263 B1 KR 102203263B1 KR 1020200038651 A KR1020200038651 A KR 1020200038651A KR 20200038651 A KR20200038651 A KR 20200038651A KR 102203263 B1 KR102203263 B1 KR 1022032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mask
cover
fastening
port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86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순식
Original Assignee
박순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순식 filed Critical 박순식
Priority to KR10202000386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326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32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32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02Protective cov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05Hing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10Arrangement of faste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0001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hoice of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705/00Use of metals, their alloys or their compounds, for preformed parts, e.g. for inserts
    • B29K2705/08Transition metals
    • B29K2705/14Noble metals, e.g. silver, gold or platinu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스크를 보관하거나 휴대할 때 마스크 표면에 이물질이 묻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그 구조가 슬림형으로 이루어져 휴대가 용이하도록 한 것으로, 마스크를 반으로 접은 상태로 수납할 수 있도록 마스크의 형상에 대응하게 형성되는 제1커버부와 제2커버부를 마련하고, 제1,2커버부가 연결부에 의하여 연결된 상태로 일체로 구성되어 절첩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기 제1,2커버부에는 연결부의 타단에 암,수 걸림구조로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제1,2체결부를 각각 형성하되, 제1,2커버부의 테두리벽을 따라서 서로 대응하게 맞물림턱을 형성하여 케이스가 닫힌 상태에서 외력에 의한 비틀림을 방지하며, 상기 제1,2커버부의 선단부 양측 모서리는 마스크의 걸이끈 장착부에 대응하게 만곡된 라운드면을 구성하여 제1,2커버부가 맞물림턱에 의하여 맞물려 비틀림을 방지하면서 케이스를 휴대하기 위하여 넣거나 뺄 때 걸림이 되지 않고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슬림형 휴대용 마스크 케이스{Slim portable mask case}
본 발명은 슬림형 휴대용 마스크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케이스가 슬림형으로 이루어져 휴대가 용이하고, 케이스의 개폐구조가 긴밀하게 이루어져 케이스 내측으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고 위생적으로 보관할 수 있는 슬림형 휴대용 마스크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마스크는 외부로부터 황사나 미세먼지를 막고, 바이러스 침투를 막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대중교통이나, 공공장소를 이용할 때는 반드시 마스크를 착용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KF95나 KF80같은 마스크의 1회 사용시간으로는 8시간을 기준으로 하지만, 이 기준은 먼지가 가득한 작업현장을 기준으로 하고 있으므로 마스크를 잠깐 사용하고 나서 훼손이나 오염이 되지 않았다면 다시 재사용이 가능하다.
그러나 마스크를 보관할 수 있는 마땅한 방법이 없기 때문에 가방이나 주머니에 넣어서 보관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렇게 마스크를 벗어서 가방이나 주머니에 넣어두는 경우 오히려 세균이나 바이러스 전염의 가능성이 높다.
또한, 마스크가 포장되어 있던 비닐팩에 다시 넣어서 보관하는 경우도 있으나, 이 방식은 면적이 매우 크기 때문에 보관이 불편하고, 마스크가 구겨질 우려가 있으며, 마스크 모양이 구겨지는 경우에는 마스크를 재사용시 얼굴에 제대로 밀착되지 않기 때문에 세균이나 바이러스를 차단하기가 어렵다.
따라서 최근에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7-0096487호(2017.08.24.), 공개특허 제10-2019-0143762호(2019.12.31.)에서와 같이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로 구분되어 마스크를 담아서 보관할 수 있는 케이스가 제안된 바 있다.
하지만, 위와 같은 종래의 마스크 케이스는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를 별도로 제작한 후 조립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각 부품을 성형 후 조립을 하여야 하는 제조공정상의 어려움이 있고, 이로 인하여 제조비용이 증가하고 개별단가가 상승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그 형상이 육면체로 구성되기 때문에 주머니에 넣어서 보관하기에 불편함이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주머니에 넣고 움직일 때 케이스가 비틀리면서 틈새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으며, 케이스 자체에 환기구가 구비되는 형태이기 때문에 결국 환기구를 통하여 입자가 매우 작은 미세먼지나 세균 등의 이물질이 침투하여 마스크가 오염되는 문제가 있다.
뿐만 아니라, 미세먼지를 차단하는 마스크는 습기에 매우 취약하고, 다층 구조로 이루어지는 특성상 잠시라도 착용한 마스크라면 착용한 상태에서 들숨과 날숨에 의하여 마스크의 내피와 외피는 물론 필터나 지지체에도 습기가 남아 있게 되는데, 그 상태 그대로 케이스에 마스크를 담아 보관하면 마스크 자체가 세균의 서식원이 될 우려가 있다는 문제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마스크 케이스가 일체로 성형이 이루어져 슬림한 형태로 간편하게 제작할 수 있으면서도 케이스의 밀폐구조가 견고하게 이루어져 휴대시 케이스에 압력이 가해지더라도 비틀지지 않고 틈새가 발생하지 않으며, 체결부위가 임의로 개방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미세먼지 등의 이물질이 전혀 유입되지 않도록 한 것이고, 또한, 케이스 자체가 항균기능을 갖도록 하여 습기가 남아 있는 마스크를 보관하더라도 세균번식이 일어나지 않도록 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서의 본 발명은, 마스크를 반으로 접은 상태로 수납할 수 있도록 마스크의 형상에 대응하게 형성되는 제1커버부와 제2커버부를 마련하고, 제1,2커버부가 일정한 폭의 판상구조의 연결부에 의하여 일체로 구성되어 절첩이 이루어져 케이스를 슬림화하면서도 완전하게 오픈이 가능하도록 하고, 제1,2커버부의 테두리벽을 따라서 서로 대응하게 맞물림턱을 형성하여 케이스가 닫힌 상태에서 외력에 의한 비틀림을 방지함은 물론, 케이스의 잠금을 위한 체결부가 중앙에 오목하게 내입된 부분에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체결부가 최외곽으로 노출되지 않고 케이스의 임의 개방을 방지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케이스의 전체형상을 연결부측에서 체결부측으로 점차 폭이 좁아지도록 구성하여 테두리벽이 단턱구조로 서로 맞물림된 상태에서 들뜸을 방지하고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틈새가 발생하지 않으며 케이스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한 것이다.
또한, 케이스 표면과 내부가 균질의 항균력을 발현할 수 있도록 케이스를 사출성형시 플라스틱 수지원료에 은분이나 동분의 무기항균제를 함유한 컴파운딩을 배합 성형함으로써 은분 또는 동분이 폴리머 내부에 균일하게 분포하면서 항균기능을 갖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의 슬림형 휴대용 마스크 케이스에 의하면, 단금형으로 케이스를 일체로 제조가 가능하기 때문에 생산성이 매우 높고,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기 때문에 매우 저렴한 가격으로 공급할 수 있으므로 상품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케이스를 슬림형으로 제작함으로써 보관부피를 줄일 수 있음은 물론, 휴대를 위하여 케이스를 가방이나 주머니에 삽입하거나 인출할 때 걸리는 부분을 최소화하여 간편하게 수납이 가능하다.
또한, 케이스의 상,하 구분이 없이 완전하게 오픈이 가능하기 때문에 수납 및 사용이 매우 간편하고, 케이스를 닫았을 때 벽체가 단턱에 의하여 맞물림되므로 주머니에 넣고 휴대할 경우에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케이스의 비틀림이 전혀 발생하지 않고, 케이스 락킹을 위한 체결부위가 최외곽에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케이스가 임의로 개방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케이스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될 우려가 전혀 없다.
또한, 케이스 자체에 항균기능이 부가되어 들숨과 날숨에 의하여 습기가 남아 있는 마스크를 보관하더라도 위생적인 보관 및 휴대가 가능하고, 케이스의 원료 자체에 무기항균제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스크래치가 발생하더라도 항균력의 유지가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마스크 케이스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커버부와 제2커버부의 절첩 구조를 나타낸 상세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마스크 케이스를 닫은 상태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마스크 케이스의 금형 성형구조도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마스크 케이스의 체결구조도
도 9는 본 발명의 마스크 케이스의 또 다른 체결구조도
도 10은 도 9의 마스크 케이스의 금형 성형구조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마스크를 담아서 보관할 수 있도록 내공간을 갖는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제1커버부(10)와 제2커버부(20)가 연결부(30)에 의하여 일체로 연결되어 포개어서 닫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제1커버부(10)와 제2커버부(20)는 마스크(1)를 반으로 접은 상태에서 수납할 수 있도록 마스크의 절반크기의 형상에 대응하게 형성되는 것으로, 제1,2커버부(10,20)의 마주하는 일측변이 연결부(30)에 의하여 절첩 가능하게 되어 케이스의 개폐가 이루어지고 케이스를 닫으면 마스크를 반으로 접은 형상과 크기로 휴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1커버부(10)와 제2커버부(20)를 포개어 접은 상태에서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제1,2커버부(10,20)는 연결부(30)의 타측변에 암,수 구조로 체결이 이루어지는 제1,2체결부(12,22)가 형성되며, 마스크(1)를 수납한 상태에서 이 제1,2체결부(12,22)를 이용하여 닫은 상태를 잠글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제1커버부(10)와 제2커버부(20)와 연결부(30)가 일체로 이루어지며, 한 번의 성형으로 완제품 성형이 가능하기 때문에 별도의 조립공정이 필요치 않고 금형비용의 절감은 물론, 원가를 절감할 수 있으며 생산성을 향상시켜 대량생간이 용이하게 된다.
상기 연결부(30)는 일정한 폭의 판재로 구성되는 것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두리벽(14,24)에 일정한 깊이로 절개부(13,23)를 형성하고, 그 절개부의 하단에 연결부(30)를 형성함으로써 도 4와 같이 케이스를 닫을 때 연결부(30)가 절개부(13,23)를 차단하면서 케이스를 슬림형으로 포개어 접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연결부(30)의 양측변, 즉 제1커버부(10)와 제2커버부(20)가 연결되는 양측변에 절첩 유도부(32)가 형성되어 접고 펼치는 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이 절첩 유도부(32)는 연결부(30)의 두께보다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제1,2커버부(10,20)의 절첩을 유도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렇게 연결부(30)에 의하여 여러 번 반복 절첩 작동을 할 경우에도 해당부위에서의 찢어짐이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2커버부(10,20)는 마스크(1)가 수용되도록 하기 위하여 일정한 깊이를 갖도록 내입되는 형상을 가지는데, 그 테두리를 따라서는 테두리벽(14,24)이 형성되고, 이 테두리벽(14,24)이 서로 맞물림 되도록 하여 케이스가 견고하게 닫힌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커버부(10)와 제2커버부(20)의 테두리벽(12,24)에 단턱구조로 서로 대응하게 맞물림턱(14a,24a)을 형성함으로써 케이스가 닫힌 상태에서 테두리를 따라서 전체적으로 단턱에 의한 맞물림이 이루어져 밀폐가 이루어지면서도 단턱이 서로 지지되면서 외력에 의한 비틀림이 발생하지 않고, 제1,2커버부 사이에 틈새가 발생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음은 물론, 맞물림턱(14a,24a)에 의하여 측벽(12,24)의 보강이 이루어져 성형 후 냉각과정에서 사출물의 형태변형이나 비틀림을 최소화하고 아귀가 방지하고 보강이 이루어지면서 빈틈이 없이 들어맞게 맞물려 체결된다.
또한, 상기 제1,2커버부(10,20)의 선단부, 즉 연결부(30)로 서로 맞닿은 변의 타측변 모서리에는 마스크(1)의 걸이끈 장착부(1a)에 대응하게 만곡된 형상의 라운드면(16,26)으로 구성함으로써 상기 맞물림턱(14a,24a)의 끼움 상태 보강이 이루어지도록 함은 물론, 케이스를 주머니나 가방에 휴대하기 위하여 넣거나 뺄 때 걸리지 않고 쉽게 휴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제1,2커버부(10,20)는 전체적인 형태가 연결부(30)측에서 제1,2체결부(12,22)측으로 점차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되어 테두리벽(14,24)의 맞물림턱(14a,24a)이 서로 맞물림된 상태에서 들뜸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1커버부(10)와 제2커버부(20)는 연결부(30)에 의하여 서로 마주보게 되는 일측변으로부터 라운드면(16,26)이 형성된 선단부측으로 내입 깊이가 점차 낮아지도록 형성함으로써 케이스의 외관 형상이 더욱 슬림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며, 상대적으로 낮은 깊이로 내입된 선단부측에 마스크 걸이끈이 위치하기 때문에 제1,2커버부(10,20)의 내면이 마스크 걸이끈을 압박하여 마스크가 유동되지 않게 수납할 수 있다.
또한, 이렇게 제1,2커버부(10,20)의 내입깊이를 점차 낮아지게 형성함에 있어서, 제1,2커버부의 표면을 수평으로 구성하기 보다는 커버부의 두께를 얇게 성형하더라도 외부압력에 대하여 내구성을 갖도록 만곡된 형상으로 제작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1,2체결부(12,22)는 제1,2커버부(10,20)의 선단변의 중앙부, 즉 라운드면이 형성된 사이가 양측 모서리에 형성된 라운드면(16,26)보다 상대적으로 오목하게 들어가게 내입부(18,28)가 형성되고, 그 내입부(18,28)에 제1,2체결부(12,22)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케이스를 닫은 상태에서 제1,2체결부(12,22)가 최외곽으로 노출되지 않게 되므로 제1,2체결부(12,22)의 체결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고 케이스의 임의 개방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단한 금형구조로 일체로 사출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으므로 생산성을 향상시키면서도 저렴한 비용으로 생산이 가능하다.
이때, 상기 제1,2체결부를 암,수 구조로 형성하기 위해서는 돌기와 홈을 형성할 수 있는데, 해당부분을 금형구조에서는 언더컷으로 구현함으로써 상,하로 개폐가 이루어지는 단금형으로도 제조가 가능해진다.
한편, 상기 제1,2커버부(10,20)는 체결을 위한 제1,2체결부(12,22) 중 어느 하나의 체결부를 절첩작동하는 체결편으로 구성하여 타측의 체결부에 체결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케이스의 잠금 상태를 더욱 쉽게 해제할 수 있다.
즉,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체결부(22)를 절첩 작동이 가능한 날개 형태로 제작한 체결편을 구성하고, 그 체결편 내측의 걸림부가 제1체결부(12)에 맞물려 체결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케이스의 잠금상태를 쉽게 분리하여 개방할 수 있다.
이때, 제1,2체결부에는 각각 돌기체(12a,22a)를 형성하여 서로 맞물려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는데, 그 돌기체(12a,22a)를 수직으로 사출 성형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제1,2커버부(10,20)가 연결부(30)에 의하여 펼쳐진 상태에서 돌기체(12a,22a)가 상,하 수직방향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케이싱은 미세하게 탄성을 갖는 특성을 이용하여 걸어 고정되도록 하기 위하여 폴리 계열의 수지를 원료로 하여 성형될 수 있는 것으로, 체결편으로 구성된 제2체결부(22)를 가압하여 체결하고, 분리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제2체결부(22)의 선단을 걸어 젖힘으로써 쉽게 분리가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이 제2체결부(22)를 체결편으로 구성하는 경우에는 체결편의 하단에 절첩을 위하여 V자 홈이 형성되어 절첩 유도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며, 체결편이 형성되는 부분에는 테두리벽(24) 중의 일부가 절개되어 제2체결부(22)가 안쪽으로부터 연결되는 구조를 갖도록 함으로써 제2체결부(22)가 제1체결부(12)에 체결된 상태에서 외관 둘레측으로 전혀 돌출되지 않고 내입부(28)에 위치되어 제2체결부(22)가 임의 개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돌기체(12a,22a)에는 서로 맞물려 가압체결을 유도하기 위하여 서로 대응하게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수 있으며, 이 경사면에 의하여 케이싱의 차단이 더욱 긴밀히 밀폐되고, 개방은 더욱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커버부(10)와 제2커버부(20)와 연결부(30) 및 케이스를 잠그기 위한 체결부를 서로 연결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제1,2체결부(12,22)의 맞물림 구조를 일체로 성형이 가능하게 된다.
즉,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커버부(10)와 제2커버부(20)와 연결부(30) 및 체결부가 상,하 수직으로 인출 가능한 구조로 형성되므로 상,하로 인출되는 단금형으로 간단하게 제조할 수 있으며, 케이스를 하나의 사출물로 제작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케이스 자체에 항균기능을 부여하여 마스크에 습기가 남아 있는 상태로 넣어 보관하더라도 세균증식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으로, 이를 위하여 케이스를 제작하기 위한 원료가 되는 소재에 무기계 항균제를 혼합하여 케이스가 일정 이상의 항균력을 유지하면서 사출시 성형성을 향상시키도록 한 것이다.
여기서 무기항균제는 케이스 표면과 내부가 균질의 항균력을 발현할 수 있도록 케이스를 사출성형시 플라스틱 수지원료에 은분이나 동분의 무기항균제를 함유한 컴파운딩을 배합 성형하고, 은분이나 동분은 플라스틱 수지원료 전체 100중량%에 대하여 10~20중량%를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은분 또는 동분이 폴리머 내부에 균일하게 분포하면서 항균기능을 갖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은분이나 동분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항균효과가 증가하지만, 최대 20중량%에서 99.9%의 멸균 효과가 발생하므로 목표 항균력을 유지할 수 있고, 은분 또는 동분의 함량이 20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사출 성형성이 저하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게는 플라스틱 수지원료 전체 100중량%에 대하여 은분 또는 동분이 10~20중량%를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제품 표면에 스크래치가 발생하더라도 항균력이 저하되지 않고 꾸준히 항균력이 유지된다.
10: 제1커버부 12: 제1체결부 12a: 돌기체
13: 절개부 14: 테두리벽 14a: 맞물림턱
16: 라운드면 18: 내입부
20: 제2커버부 22: 제2체결부 22a: 돌기체
23: 절개부 24: 테두리벽 24a: 맞물림턱
26: 라운드면 28: 내입부
30: 연결부 32: 절첩 유도부

Claims (5)

  1. 마스크를 반으로 접은 상태로 수납할 수 있도록 마스크의 형상에 대응하게 형성되는 제1커버부(10) 및 제2커버부(20)가 연결부(30)에 의하여 연결되어 절첩되되, 연결부(30)의 타단에는 암,수 걸림구조로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제1,2체결부(12,22)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1,2커버부(10,20)가 맞물림될 때 외력에 의한 비틀림을 방지하기 위하여 테두리벽(14,24)을 따라서 서로 대응하게 단턱으로 형성된 맞물림턱(14a,24a)이 형성되고,
    상기 제1,2커버부(10,20)를 연결하는 연결부(30)는 일정폭의 판재로 구성되되, 제1,2커버부(10,20)의 테두리벽(14,24)에는 연결부(30)의 폭에 대응하는 깊이로 절개부(13,23)가 형성되어 케이스를 완전히 오픈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케이스를 닫을 때 연결부(30)가 절개부(13,23)를 차단하면서 케이스를 슬림형으로 포개어 접을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연결부(30)가 제1커버부(10)와 제2커버부(20)에 연결되는 연결부(30)의 양측변에는 연결부(30)의 두께보다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로 이루어지는 절첩 유도부(32)가 형성되어 연결부(30)에 의하여 여러 번 반복 절첩 작동을 할 경우에도 해당부위에서의 찢어짐이나 파손을 방지하고,
    상기 제1,2체결부(12,22), 절개부(13,23), 테두리벽(14,24)을 포함하는 제1,2커버부(10,20)와 절첩 유도부(32)를 포함하는 연결부(30)가 일체로 이루어지면서 별도의 조립공정이 필요없이 상,하 수직으로 인출되는 단금형을 이용하여 한 번의 성형으로 완제품 성형이 가능하게 되며,
    상기 제1,2커버부(10,20)가 맞물림턱에 의하여 맞물려 비틀림을 방지하면서 케이스를 휴대하기 위하여 넣거나 뺄 때 걸림이 되지 않도록 제1,2커버부의 선단부 양측 모서리는 마스크의 걸이끈 장착부에 대응하게 만곡된 라운드면(16,26)으로 구성되되, 제1,2체결부(12,22)가 형성된 선단변의 중앙부가 양측 모서리에 형성된 라운드면(16,26)보다 상대적으로 오목하게 들어간 내입부(18,28)가 형성되어 제1,2체결부(12,22)가 최외곽으로 노출되지 않고 케이스의 임의 개방을 방지할 수 있게 되고,
    상기 제1,2커버부(10,20)는 케이스의 외관 형상을 슬림화할 수 있도록 연결부(30)에 의하여 서로 마주보게 되는 일측변으로부터 라운드면(16,26)이 형성된 선단부측으로 내입 깊이가 점차 낮아지도록 형성되고, 상대적으로 낮은 깊이로 내입된 선단부측에 마스크 걸이끈이 위치하여 제1,2커버부(10,20)의 내면이 마스크 걸이끈을 압박하여 마스크가 유동되지 않게 수납할 수 있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슬림형 휴대용 마스크 케이스.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2커버부(10,20)는 전체적인 형태가 연결부(30)측에서 제1,2체결부(12,22)측으로 점차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되어 테두리벽(14,24)의 맞물림턱(14a,24a)이 서로 맞물림된 상태에서 들뜸을 방지할 수 있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슬림형 휴대용 마스크 케이스.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2커버부(10,20)의 체결을 위한 제1,2체결부(12,22) 중 어느 하나가 절첩작동이 가능한 체결편으로 구성되어 타측의 체결부에 체결되되, 제1,2체결부에는 각각 돌기체(12a,22a)가 수직으로 사출 성형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제1,2커버부(10,20)가 연결부(30)에 의하여 펼쳐진 상태에서 돌기체(12a,22a)가 상,하 수직방향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슬림형 휴대용 마스크 케이스.
  5. 제 1항, 제 3항,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케이스 표면과 내부가 균질의 항균력을 발현할 수 있도록 케이스를 사출성형시 플라스틱 수지원료에 은분이나 동분의 무기항균제를 함유한 컴파운딩을 배합 성형하고, 은분이나 동분은 플라스틱 수지원료 전체 100중량%에 대하여 10~20중량%를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은분 또는 동분이 폴리머 내부에 균일하게 분포하면서 항균기능을 갖도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슬림형 휴대용 마스크 케이스.
KR1020200038651A 2020-03-30 2020-03-30 슬림형 휴대용 마스크 케이스 KR1022032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8651A KR102203263B1 (ko) 2020-03-30 2020-03-30 슬림형 휴대용 마스크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8651A KR102203263B1 (ko) 2020-03-30 2020-03-30 슬림형 휴대용 마스크 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3263B1 true KR102203263B1 (ko) 2021-01-14

Family

ID=741412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8651A KR102203263B1 (ko) 2020-03-30 2020-03-30 슬림형 휴대용 마스크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326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301410A (zh) * 2023-12-01 2023-12-29 泰州宇铨影视设备有限公司 一种塑料灯罩稳定切边机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5898Y1 (ko) * 1990-03-05 1992-08-27 임병세 안경케이스의 자동개폐장치
JP2003226394A (ja) * 2002-01-31 2003-08-12 Arakawa Jushi:Kk マスクケース
KR200354992Y1 (ko) * 2004-04-14 2004-07-01 최세영 마스크 케이스
KR100774876B1 (ko) * 2006-09-28 2007-11-08 (주)티이에스 고리를 갖는 메모리카드 케이스
JP2012011035A (ja) * 2010-07-01 2012-01-19 Kokuyo Co Ltd マスク保管用ケース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5898Y1 (ko) * 1990-03-05 1992-08-27 임병세 안경케이스의 자동개폐장치
JP2003226394A (ja) * 2002-01-31 2003-08-12 Arakawa Jushi:Kk マスクケース
KR200354992Y1 (ko) * 2004-04-14 2004-07-01 최세영 마스크 케이스
KR100774876B1 (ko) * 2006-09-28 2007-11-08 (주)티이에스 고리를 갖는 메모리카드 케이스
JP2012011035A (ja) * 2010-07-01 2012-01-19 Kokuyo Co Ltd マスク保管用ケース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301410A (zh) * 2023-12-01 2023-12-29 泰州宇铨影视设备有限公司 一种塑料灯罩稳定切边机
CN117301410B (zh) * 2023-12-01 2024-02-02 泰州宇铨影视设备有限公司 一种塑料灯罩稳定切边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73293B2 (en) Composite protective case for phones, othe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and other apparatus
US7185864B2 (en) Door hook with hinge
KR102203263B1 (ko) 슬림형 휴대용 마스크 케이스
CA2854468C (en) A flip container for blister card medication holders
US20060042995A1 (en) Suspension packages
JP2006315860A (ja) 曲がりくねった経路を一体に備えた容器カバー
US20060011641A1 (en) Shockrack case
KR100664446B1 (ko) 실험용 동물 운반상자
KR20190000622U (ko) 황사마스크 포장케이스
JP4630709B2 (ja) 湿潤材収納用容器及びウエットティッシュ包装体
KR102203264B1 (ko) 마스크 제습기능을 갖는 휴대용 마스크 케이스
US20190337683A1 (en) Storage jar
JPH0542743Y2 (ko)
US20110119859A1 (en) Latch arrangement
EP3960650A1 (en) Airtight container having flexible hinge part and double injection structure
KR200451988Y1 (ko) 플라스틱재 음식용기
JP3894808B2 (ja) ヘアピンケース
RU2396893C2 (ru) Пылесос с элементом расфиксации крышки
RU187977U1 (ru) Футляр для аптечки первой помощи
KR200444235Y1 (ko) 나전 쌍합 보석함
KR20110036228A (ko) 의류용 압축보관팩
JP2001219920A (ja) 合成樹脂製集合容器
KR200183208Y1 (ko) 합성수지 계란판의 탄성로크장치
CN213922248U (zh) 一种具有简易式箱扣结构的防潮箱
USD995223S1 (en) Clamshell cool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