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34469A - 밀폐 탱크용 벤트 밸브 - Google Patents

밀폐 탱크용 벤트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34469A
KR20200134469A KR1020190059962A KR20190059962A KR20200134469A KR 20200134469 A KR20200134469 A KR 20200134469A KR 1020190059962 A KR1020190059962 A KR 1020190059962A KR 20190059962 A KR20190059962 A KR 20190059962A KR 20200134469 A KR20200134469 A KR 202001344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osed
partition wall
vent valve
horizontal partition
urea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99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44618B1 (ko
Inventor
최승훈
박준영
임준식
이태윤
이성원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599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4618B1/ko
Priority to CN201911212547.7A priority patent/CN111981173B/zh
Priority to US16/699,965 priority patent/US11346455B2/en
Publication of KR202001344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44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46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46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01N3/08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 F01N3/1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 F01N3/18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characterised by methods of operation; Control
    • F01N3/2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characterised by methods of operation;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catalytic conversion ; Methods of operation or control of catalytic converters
    • F01N3/2066Selective catalytic reduction [SC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4/00Devices, e.g. valves, for venting or aerating enclosures
    • F16K24/04Devices, e.g. valves, for venting or aerating enclosures for venting on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35Fuel tanks characterised by venting means
    • B60K15/03519Valve arrangements in the vent li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 F01N13/18Construction facilitating manufacture, assembly, or disassemb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2015/03256Fuel tanks characterised by special valves, the mounting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2015/03309Tan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fu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2015/03328Arrangements or special measures related to fuel tanks or fuel handling
    • B60K2015/03368Arrangements or special measures related to fuel tanks or fuel handling for preventing overfilling of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5/00Venting means
    • B65D2205/02Venting ho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6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 B65D51/1633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whereby venting occurs by automatic opening of the closure, container or other element
    • B65D51/164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whereby venting occurs by automatic opening of the closure, container or other element the element being a val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24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 B65D81/26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with provision for draining away, or absorbing, or removing by ventilation, fluids, e.g. exuded by contents; Applications of corrosion inhibitors or desiccators
    • B65D81/263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with provision for draining away, or absorbing, or removing by ventilation, fluids, e.g. exuded by contents; Applications of corrosion inhibitors or desiccators for ventilating the cont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610/00Adding substances to exhaust gases
    • F01N2610/02Adding substances to exhaust gases the substance being ammonia or ure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610/00Adding substances to exhaust gases
    • F01N2610/14Arrangements for the supply of substances, e.g. conduits
    • F01N2610/1466Means for venting air out of conduits or tank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12Improving ICE efficienc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Transporta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Exhaust Gas After Trea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밀폐 탱크용 벤트 밸브에 관한 것으로, 통기저항 및 원가 상승을 초래하는 고가의 소재를 사용하지 않고, 기체만 통과시킬 수 있는 소정의 통기 구조를 적용하여 밀폐 탱크의 통기 성능을 확보할 수 있는 밀폐 탱크용 벤트 밸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Description

밀폐 탱크용 벤트 밸브 {Vent valve for closed tank}
본 발명은 밀폐 탱크용 벤트 밸브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밀폐 탱크의 통기 성능을 확보할 수 있는 벤트 밸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젤엔진 차량은 배기가스를 정화시키기 위해 요소수 시스템을 적용하고 있다. 상기 요소수 시스템은 요소수를 엔진 배기계의 촉매 컨버터에 공급하고, 상기 촉매 컨버터에 공급된 요소수는 배기가스내 질소산화물과 반응하여 질소와 물로 환원시킨다.
상기 요소수 시스템은 요소수가 저장되는 요소수 탱크를 구비한다. 상기 요소수 탱크에는, 요소수 탱크내에 요소수가 증발될 때 요소수 탱크내에 발생하는 정압 및 요소수 탱크에서 요소수가 토출될 때 요소수 탱크내에 발생하는 부압을 해소시키기 위해, 벤트 밸브가 설치된다.
종래의 벤트 밸브는 액체는 통과시키지 않고 공기만 통과시키는 특성을 지닌 재질의 소재를 이용한 멤브레인 밸브가 사용된다.
그런데 상기 멤브레인 밸브는 공기만 통과시키는 재질의 특성상 기공이 매우 촘촘한 소재가 사용됨에 따라 통기저항이 과대하게 발생하며, 따라서 요소수 탱크에 요소수가 주입될 때 요소수 탱크의 내부 압력이 해소되지 못하고 과대하게 상승하여 차량 외부로 요소수가 넘치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상기 멤브레인 밸브는 액체는 통과시키지 않고 공기만 통과시키는 특성을 지닌 고가의 소재를 사용함에 따라 원가가 높아지는 문제가 존재한다.
한편, 요소수 탱크는 요소수 탱크에 저장되는 요소수의 수분 증발 시에 백화가루가 생성된다. 따라서 통상적인 스프링 밸브가 요소수 탱크에 적용되는 경우 액체의 누수를 방지하기 위한 고무 실링부에 백화가루가 잔류하여 고무 실링부의 실링 기능이 상실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통기저항 및 원가 상승을 초래하는 고가의 소재를 사용하지 않고, 기체만 통과시킬 수 있는 소정의 통기 구조를 적용하여 밀폐 탱크의 통기 성능을 확보할 수 있는 밀폐 탱크용 벤트 밸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액체가 저장되는 밀폐 탱크의 상측면부에 구비되는 벤트 밸브로서, 상기 밀폐 탱크의 외부에 배치되는 어퍼 통기홀이 구비된 어퍼 하우징; 상기 밀폐 탱크의 내부에 배치되는 로워 통기홀이 구비된 로워 하우징; 상기 어퍼 하우징과 로워 하우징으로 둘러싸인 하우징공간부에 배치되어 상기 어퍼 통기홀과 로워 통기홀 사이에 기체만 통과시키는 통기경로를 제공하는 밸브 코어;를 포함하는 밀폐 탱크용 벤트 밸브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밸브 코어는, 상기 하우징공간부에 배치되며 그 측면부에 복수의 코어 통기홀이 구비된 관형 격벽체와; 상기 관형 격벽체의 내부공간에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가로격벽;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가로격벽의 가장자리부 중 일부분에 해당하는 제1 에지부가 상기 관형 격벽체의 내측면과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가로격벽의 가장자리부 중 상기 제1 에지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 해당하는 제2 에지부는 상기 관형 격벽체의 내측면에 기밀하게 밀착될 수 있다. 즉, 상기 밸브 코어는 상기 가로격벽의 제1 에지부와 관형 격벽체의 내측면 사이에 통기용 틈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로격벽은 일정 각도로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가로격벽의 제1 에지부가 상기 제2 에지부보다 아래쪽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가로격벽 중 어느 하나의 가로격벽과 상기 어느 하나의 가로격벽의 아래쪽에 배치된 다른 하나의 가로격벽은, 서로 다른 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서로 반대 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벤트 밸브는 기체만 선택적으로 통과시킬 수 있는 소정의 통기 구조를 통해 밀폐 탱크의 통기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벤트 밸브는 종래의 벤트 밸브에 적용된 고가의 소재를 사용할 필요가 없으며 그에 따른 원가 절감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벤트 밸브는 종래의 벤트 밸브 대비 통기저항이 감소됨에 따라 요소수 탱크에 요소수가 주입될 때 상기 요소수 탱크의 내부 압력을 원활하게 해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요소수 탱크에 요소수가 주입될 때 차량 외부로 요소수가 넘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벤트 밸브가 설치된 요소수 탱크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벤트 밸브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벤트 밸브를 나타낸 결합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벤트 밸브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요소수 탱크의 정압 발생 조건에서 공기 유동을 나타낸 예시도
도 6은 요소수 탱크의 부압 발생 조건에서 공기 유동을 나타낸 예시도
도 7은 벤트 밸브에 유입된 요소수의 유동을 나타낸 예시도
도 8은 밸브 코어에 유입된 요소수가 응고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을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벤트 밸브(100)가 설치된 요소수 탱크(10)를 보여주고 있다. 상기 요소수 탱크(10)는 차량의 배기가스를 정화시킬 때 사용되는 요소수가 저장되는 밀폐 탱크이다. 상기 요소수 탱크(10)는 요소수가 요소수 탱크(10)의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밀폐 상태가 유지된다.
상기 벤트 밸브(100)는 요소수 탱크(10)내에 요소수가 증발될 때 요소수 탱크(10)의 내측에 발생하는 정압을 해소시킬 수 있다. 상기 벤트 밸브(100)는 요소수 탱크(10)에서 요소수가 토출될 때 요소수 탱크(10)내에 발생하는 부압도 해소시킬 수 있다.
상기 벤트 밸브(100)는 액체 상태의 요소수는 통과시키지 않고 기체만 통과시키도록 구성된다.
도 2 내지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벤트 밸브(100)는 어퍼 하우징(101)과 로워 하우징(103) 및 밸브 코어(11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요소수 탱크(10)의 상측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요소수 탱크(10)의 상측면부에는 상기 벤트 밸브(100)가 삽입된 상태로 설치되는 장착홀부(1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어퍼 하우징(101)은 그 하측면부가 개방된 원통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어퍼 하우징(101)은 그 상측면부에 어퍼 통기홀(102)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어퍼 하우징(101)이 요소수 탱크(10)의 장착홀부(11)에 설치될 때, 상기 어퍼 통기홀(102)은 요소수 탱크(10)의 외부에 배치된다. 상기 어퍼 하우징(101)이 상기 장착홀부(11)에 삽입된 상태로 고정될 때, 상기 어퍼 하우징(101)의 상측부가 요소수 탱크(10)의 상측면부의 위쪽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어퍼 하우징(101)은 플라스틱 재질로 성형될 수 있으며, 상기 장착홀부(11)에 압입되거나 접합되어 상기 장착홀부(11)의 표면에 기밀하게 밀착될 수 있다. 상기 어퍼 하우징(101)은 요소수 탱크(10)의 내부에서 유동하는 요소수가 밸브 코어(110)에 직접 침범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로워 하우징(103)은 그 상측면부가 개방된 원통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로워 하우징(103)의 내경은 어퍼 하우징(101)의 외경과 동일할 수 있다. 상기 로워 하우징(103)은 어퍼 하우징(101)의 하측부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로워 하우징(103)의 내측에 어퍼 하우징(101)의 하측부가 압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로워 하우징(103)은 어퍼 하우징(101)의 하측부에 부착된 상태로 요소수 탱크(10)의 내부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로워 하우징(103)은 그 하측면부에 하나 이상의 로워 통기홀(104)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로워 통기홀(104)은 요소수 탱크(10)의 내부에 배치된다. 상기 로워 하우징(103)의 저면부는 요소수 탱크(10)의 만충 수면으로부터 일정 높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로워 하우징(103)은 플라스틱 재질로 성형될 수 있으며, 요소수 탱크(10)의 내부에서 유동하는 요소수가 밸브 코어(110)에 직접 침범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벤트 밸브(100)는 어퍼 하우징(101)이 장착홀부(11)에 삽입되어 고정되어 있으나, 로워 하우징(103)이 상기 장착홀부(11)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상기 어퍼 하우징(101)과 로워 하우징(103)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장착홀부(11)에 기밀하게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어퍼 하우징(101)과 로워 하우징(103)으로 둘러싸인 공간(즉, 하우징공간부)은, 어퍼 통기홀(102)과 로워 통기홀(104)을 통해서만 유체가 유입되거나 통과할 수 있다.
상기 밸브 코어(110)는 상기 하우징공간부(105)에 배치되어 어퍼 통기홀(102)과 로워 통기홀(104) 사이에 기체만 통과시키는 통기경로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밸브 코어(110)는 하우징공간부(105)에 배치되는 관형 격벽체(111)와 상기 관형 격벽체(111)의 내부공간에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가로격벽(112)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관형 격벽체(111)는 그 상측면부와 하측면부가 개방된 다각 파이프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관형 격벽체(111)의 내부공간은 다각형이나 원형 등의 횡단면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내부공간의 횡단면 구조에 의해 상기 관형 격벽체(111)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에 보듯이, 상기 관형 격벽체(111)는 사각형의 횡단면을 가지는 사각통의 격벽체일 수 있다.
상기 관형 격벽체(111)는 그 측면부(즉, 측벽부)에 복수의 코어 통기홀(111a)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코어 통기홀(111a)은 관형 격벽체(111)의 둘레방향 및 높이방향(즉, 상하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코어 통기홀(111a)은 관형 격벽체(111)의 내부공간에 상하로 배치된 가로격벽(112)들의 사이마다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가로격벽(112)은 관형 격벽체(111)의 내부공간을 복수의 공간으로 구획하여 상기 어퍼 통기홀(102)과 로워 통기홀(104) 사이에 수차례 굴곡되는 통기경로를 구성하게 된다. 도 2 내지 4 에 보듯이 상기 가로격벽(112)은 일정 두께를 갖는 사각의 플레이트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가로격벽(112)의 가장자리부는 관형 격벽체(111)의 내측면에 접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로격벽(112)은 관형 격벽체(111)에 일체로 성형될 수도 있다. 상기 관형 격벽체(111)와 가로격벽(112)은 플라스틱 재질로 성형될 수 있다.
상기 통기경로를 구축하기 위해, 상기 가로격벽(112)의 가장자리부와 관형 격벽체(111)의 내측면 사이에는 소정의 간격(즉, 통기용 틈)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통기용 틈(113)을 구비하기 위해, 상기 가로격벽(112)의 가장자리부 중 일부분(즉, 제1 에지부)은 관형 격벽체(111)의 내측면으로부터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가로격벽(112)의 가장자리부 중 상기 제1 에지부(112a)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즉, 제2 에지부)는, 관형 격벽체(111)의 내측면에 기밀하게 밀착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가로격벽(112)의 너비는 관형 격벽체(111)의 내부 너비 이하일 수 있으며, 각각의 가로격벽(112)은 관형 격벽체(111)의 내부공간에 횡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관형 격벽체(111)의 내부공간에 배치되는 복수의 가로격벽(112) 중 어느 하나의 가로격벽의 제1 에지부와 상기 어느 하나의 가로격벽의 아래쪽에 배치된 다른 하나의 가로격벽의 제1 에지부는, 관형 격벽체(111) 및 가로격벽(112)의 둘레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보듯이, 상기 복수의 가로격벽(112)은 관형 격벽체(111)내 최상측에 배치된 가로격벽(즉, 최상측 가로격벽)(112-5)과 상기 최상측 가로격벽(112-5)의 하측에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제1 가로격벽(112-1)과 제2 가로격벽(112-2)과 제3 가로격벽(112-3) 및 제4 가로격벽(112-4)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최상측 가로격벽(112-5)의 제1 에지부(112a-5)는 관형 격벽체(111)의 좌측부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최상측 가로격벽(112-5)의 아래쪽에 배치되는 제1 가로격벽(112-1)의 제1 에지부(112a-1)는 관형 격벽체(111)의 우측부위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가로격벽(112-1)의 아래쪽에 배치되는 제2 가로격벽(112-2)의 제1 에지부(112a-2)는 관형 격벽체(111)의 좌측부위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제2 가로격벽(112-2)의 아래쪽에 배치되는 제3 가로격벽(112-3)의 제1 에지부(112a-3)는 관형 격벽체(111)의 우측부위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3 가로격벽(112-3)의 아래쪽에 배치되는 제4 가로격벽(112-4)의 제1 에지부(112a-4)는 관형 격벽체(111)의 좌측부위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가로격벽(112)들의 제1 에지부(112a)는 관형 격벽체(111)의 좌우 양측에 번갈아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가로격벽(112)들의 제1 에지부(112a)가 좌우로 교번 배치됨에 따라, 상기 관형 격벽체(111)의 내부를 통과하는 유체는 대략 S 모양으로 유동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관형 격벽체(111)내에 가로격벽(112)들이 배치됨에 의해, 어퍼 통기홀(102)과 로워 통기홀(104) 사이에 통기유로가 길게 연장되는 동시에 여러방향으로 수차례 꺾이는 복잡한 곡선 형태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에 따라 요소수 탱크(10)의 내부 기체 및 외부 공기는 상기 밸브 코어(110)를 통과할 수 있게 되고, 요소수 탱크(10)의 내부로부터 상기 밸브 코어(110)로 유입된 요소수는 중력에 의해 다시 요소수 탱크(10)로 회수될 수 있게 된다.
상기 밸브 코어(110)에 유입된 요소수가 보다 효과적으로 요소수 탱크(10)에 회수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가로격벽(112)들은 관형 격벽체(111)내에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가로격벽(112)이 경사지게 배치됨에 의해, 밸브 코어(110)내에 유입된 요소수는 가로격벽(112)의 상측면을 따라 미끄러져 하강하게 되고 로워 통기홀(104)을 통해 요소수 탱크(10)로 배출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가로격벽(112)은 관형 격벽체(111)내에 경사지게 배치될 때 가로격벽(112)의 가장자리부 중 제1 에지부(112a)가 가장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각 가로격벽의 제1 에지부(112a)는 상기 제1 에지부(112a)의 반대편에 배치된 제2 에지부(112b)보다 아래쪽에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가로격벽(112)은 관형 격벽체(111)내에 좌우 양측으로 번갈아 기울어지게 배치될 수 있다. 즉, 밸브 코어(110)의 가로격벽(112)들 중에 상하로 가장 근접하게 배치된 가로격벽들은 서로 반대편으로 기울어지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로격벽(112)들 중에 최상측 가로격벽(112-5)은 기울어지지 않고 수평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어퍼 통기홀(102)은 상기 최상측 가로격벽(112-5)의 제1 에지부(112a-5)와 반대편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어퍼 통기홀(102)은 제1 가로격벽(112-1)의 제1 에지부(112a-1)의 상방에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어퍼 통기홀(102)은 제1 가로격벽(112-1)의 제1 에지부(112a-1) 및 제3 가로격벽(112-3)의 제1 에지부(112a-3)와 동일 수직선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밸브 코어(110)내에 통기경로는 최상측 가로격벽(112-5)의 제1 에지부(112a-5)를 우회하여 어퍼 통기홀(102)에 연통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통기경로를 통과하는 기체는 최상측 가로격벽(112-5)의 제1 에지부(112a-5)에서 유턴한 다음 상기 어퍼 통기홀(102)을 통과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요소수 탱크(10)의 요소수는 벤트 밸브(100)의 하우징공간부(105)로 유입될 때 밸브 코어(110)의 내부가 아니라 밸브 코어(110)의 외부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밸브 코어(110)의 외부로 유입된 요소수가 밸브 코어(110) 내측의 통기용 틈(113)을 거치지 않고 직접 어퍼 통기홀(102)을 통과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관형 격벽체(111)의 상측단은 어퍼 하우징(101)의 내측면에 기밀하게 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상기 관형 격벽체(111)의 상측단은 어퍼 하우징(101)의 내측면에 부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공간부(105)로 유입된 요소수가 요소수 탱크(10)로 원활하게 회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관형 격벽체(111)의 하측단은 로워 하우징(103)의 내측면과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벤트 밸브(100)는 도 1에 보듯이 요소수 탱크(10)의 만충 수면보다 높게 배치되어 항시 통기성이 확보되는 구조로 요소수 탱크(10)에 장착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벤트 밸브(100)는, 요소수 탱크(10)내의 요소수가 증발하여 요소수 탱크(10)의 내부 압력이 증가하는 경우, 요소수 탱크(10)의 내부 압력을 일부 배출시켜서 요소수 탱크(10)의 과다한 내부 압력을 해소시킬 수 있다. 로워 통기홀(104)을 통해 벤트 밸브(100)의 내부로 유입된 요소수 탱크(10)의 내부 기체는, 밸브 코어(110)의 코어 통기홀(111a) 및 통기용 틈(113)을 통해 밸브 코어(110)의 내부로 유입된 다음 어퍼 통기홀(102)을 통과하여 요소수 탱크(10)의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벤트 밸브(100)는, 요소수 탱크(10)에서 엔진 배기계로 요소수가 토출될 때 외부 공기를 상기 요소수 탱크(10)내로 유입시킬 수 있다. 어퍼 통기홀(102)을 통해 상기 벤트 밸브(100)의 내부로 유입되는 외부 공기는, 최상측 가로격벽(112-5)과 관형 격벽체(111)의 내측면 사이에 통기용 틈(113-5)을 통과하여서 관형 격벽체(111)의 내부로 진입하게 되고, 관형 격벽체(111)와 가로격벽(112)들 사이에 통기용 틈(113) 및 코어 통기홀(111a)을 통과하여 로워 통기홀(104)에 도달할 수 있다. 상기 외부 공기는 로워 통기홀(104)을 통해 요소수 탱크(1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요소수 탱크(10)의 내부에 발생되는 정압 및 부압을 해소시킴으로써 상기 요소수 탱크(10)의 내부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벤트 밸브(100)는, 밸브 코어(110)의 통기경로가 좌우로 굽어지면서 복잡하고 길게 구성되고 상기 밸브 코어(110)의 가로격벽(112)이 경사지게 배치됨에 따라, 상기 밸브 코어(110)의 내부에 유입된 요소수를 중력에 의해 다시 요소수 탱크(10)의 내부로 회수시킬 수 있게 된다(도 7 참조). 즉, 상기 밸브 코어(110)의 내부에 유입된 요소수는 어퍼 통기홀(102)에 도달하기 전에 이동에너지를 상실하게 되고 중력에 의해 요소수 탱크(10)의 내부로 유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벤트 밸브(100)는 요소수 탱크(10)의 요소수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밸브 코어(110)의 내측에 요소수가 고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벤트 밸브(100)의 내부로 유입된 요소수가 응고되는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가로격벽(112)이 경사지게 배치됨에 의해 가로격벽(112)의 하측부로 요소수의 응고 위치가 유도될 수 있다(도 8 참조). 또한 밸브 코어(110)의 통기용 틈(113)이 응고된 요소수에 의해 하측에서부터 순차적으로 막히더라도, 제1 에지부(112a)의 상측에 코어 통기홀(111a)이 배치됨에 의해 상기 코어 통기홀(111a)을 통해 밸브 코어(110)의 통기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응고된 요소수는 액상의 요소수가 닿게 되면 바로 융해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는바,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
10 : 요소수 탱크 11 : 장착홀부
100 : 벤트 밸브 101 : 어퍼 하우징
102 : 어퍼 통기홀 103 : 로워 하우징
104 : 로워 통기홀 105 : 하우징공간부
110 : 밸브 코어 111 : 관형 격벽체
111a : 코어 통기홀 112 : 가로격벽
112a : 제1 에지부 112b : 제2 에지부
112-1 : 제1 가로격벽 112a-1 : 제1 에지부
112b-1 : 제2 에지부 112-2 : 제2 가로격벽
112a-2 : 제1 에지부 112b-2 : 제2 에지부
112-3 : 제3 가로격벽 112a-3 : 제1 에지부
112b-3 : 제2 에지부 112-4 : 제4 가로격벽
112a-4 : 제1 에지부 112b-4 : 제2 에지부
112-5 : 최상측 가로격벽 112a-5 : 제1 에지부
112b-5 : 제2 에지부 113,113-5 : 통기용 틈

Claims (12)

  1. 액체가 저장되는 밀폐 탱크의 상측면부에 구비되는 벤트 밸브로서,
    상기 밀폐 탱크의 외부에 배치되는 어퍼 통기홀이 구비된 어퍼 하우징;
    상기 밀폐 탱크의 내부에 배치되는 로워 통기홀이 구비된 로워 하우징;
    상기 어퍼 하우징과 로워 하우징으로 둘러싸인 하우징공간부에 배치되어 상기 어퍼 통기홀과 로워 통기홀 사이에 기체만 통과시키는 통기경로를 제공하는 밸브 코어;
    를 포함하는 밀폐 탱크용 벤트 밸브.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밸브 코어는,
    상기 하우징공간부에 배치되며, 그 측면부에 복수의 코어 통기홀이 구비된 관형 격벽체와;
    상기 관형 격벽체의 내부공간에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가로격벽;
    을 포함하며, 상기 가로격벽의 가장자리부 중 일부분에 해당하는 제1 에지부가 상기 관형 격벽체의 내측면과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 탱크용 벤트 밸브.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밸브 코어는 상기 가로격벽의 제1 에지부와 관형 격벽체의 내측면 사이에 통기용 틈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 탱크용 벤트 밸브.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가로격벽의 가장자리부 중 상기 제1 에지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 해당하는 제2 에지부는 상기 관형 격벽체의 내측면에 기밀하게 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 탱크용 벤트 밸브.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가로격벽은 일정 각도로 경사지게 배치되며, 상기 가로격벽의 제1 에지부가 상기 제2 에지부보다 아래쪽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 탱크용 벤트 밸브.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가로격벽 중 어느 하나의 가로격벽과 상기 어느 하나의 가로격벽의 아래쪽에 배치된 다른 하나의 가로격벽은, 서로 다른 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 탱크용 벤트 밸브.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가로격벽 중 어느 하나의 가로격벽과 상기 어느 하나의 가로격벽의 아래쪽에 배치된 다른 하나의 가로격벽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 탱크용 벤트 밸브.
  8.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가로격벽 중 최상측에 배치된 가로격벽의 제1 에지부와 어퍼 통기홀은 관형 격벽체의 둘레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 탱크용 벤트 밸브.
  9.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관형 격벽체의 상측단은 어퍼 하우징의 내측면에 기밀하게 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 탱크용 벤트 밸브.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관형 격벽체의 하측단은 로워 하우징의 내측면과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 탱크용 벤트 밸브.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밀폐 탱크의 상측면부에 장착홀부가 구비되고, 상기 어퍼 하우징과 로워 하우징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장착홀부에 기밀하게 삽입되어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 탱크용 벤트 밸브.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로워 하우징의 저면부는 밀폐 탱크의 만충 수면으로부터 일정 높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 탱크용 벤트 밸브.
KR1020190059962A 2019-05-22 2019-05-22 밀폐 탱크용 벤트 밸브 KR1026446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9962A KR102644618B1 (ko) 2019-05-22 2019-05-22 밀폐 탱크용 벤트 밸브
CN201911212547.7A CN111981173B (zh) 2019-05-22 2019-12-02 用于密闭箱的排气阀
US16/699,965 US11346455B2 (en) 2019-05-22 2019-12-02 Vent valve for closed tan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9962A KR102644618B1 (ko) 2019-05-22 2019-05-22 밀폐 탱크용 벤트 밸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4469A true KR20200134469A (ko) 2020-12-02
KR102644618B1 KR102644618B1 (ko) 2024-03-06

Family

ID=734421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9962A KR102644618B1 (ko) 2019-05-22 2019-05-22 밀폐 탱크용 벤트 밸브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346455B2 (ko)
KR (1) KR102644618B1 (ko)
CN (1) CN111981173B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50520B1 (ko) * 1995-12-11 2000-05-01 정몽규 연료탱크의 가스벤트장치
KR20170061856A (ko) * 2015-11-27 2017-06-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탱크의 에어 벤트 밸브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28899A (en) * 1964-04-14 Venting device
DE9112555U1 (de) * 1991-10-09 1991-12-05 Frank, Karl Hans, 5970 Plettenberg Vorrichtung zur Entlüftung von Maschinengehäusen
US5694968A (en) * 1996-04-15 1997-12-09 Stant Manufacturing Inc. Tank venting control system
DE102011114120A1 (de) * 2011-09-24 2013-03-28 A. Kayser Automotive Systems Gmbh Entlüftungsanordnung für einen Kraftstofftank
TWM460977U (zh) * 2013-01-18 2013-09-01 Taiwan Puritic Corp 液體分閥箱
US9428043B2 (en) * 2013-11-07 2016-08-30 Fca Us Llc Liquid vapor separator drain valve
US9482354B2 (en) * 2014-04-15 2016-11-01 Girard Equipment, Inc. Super high flow pressure relief vent
US9903503B2 (en) * 2014-11-26 2018-02-27 B/E Aerospace, Inc. Aircraft water heating tank air vent valve
CN107427846B (zh) * 2015-03-02 2019-11-22 东京滤器株式会社 油分离器
CN105932359A (zh) * 2016-06-15 2016-09-07 金龙联合汽车工业(苏州)有限公司 一种电动汽车液冷电池箱专用呼吸阀及其安装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50520B1 (ko) * 1995-12-11 2000-05-01 정몽규 연료탱크의 가스벤트장치
KR20170061856A (ko) * 2015-11-27 2017-06-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탱크의 에어 벤트 밸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346455B2 (en) 2022-05-31
KR102644618B1 (ko) 2024-03-06
CN111981173A (zh) 2020-11-24
CN111981173B (zh) 2024-11-01
US20200370459A1 (en) 2020-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12932B1 (ko) 배플 조립체
US8485389B2 (en) Assembly with vapor vent valve and liquid trap for static leak prevention in vapor control system
US20070045041A1 (en) Muffler for an exhaust system
GB2493958A (en) Liquid fuel trap
JP5844661B2 (ja) 気液分離装置
KR20200134469A (ko) 밀폐 탱크용 벤트 밸브
KR101734680B1 (ko) 자동차의 캐니스터 장치
BR112014027148B1 (pt) Veículo automotivo
KR20230117623A (ko) 팽창 수통, 냉각 시스템 및 자동차
JP5348951B2 (ja) 二重蓋を有する蓄電池の排気構造
JP2020004635A (ja) 鉛蓄電池
CN110185557B (zh) 蒸发燃料处理装置
CN101463779B (zh) 燃料防泄漏阀
JP5937851B2 (ja) 気液分離装置
US9903492B2 (en) Roll over valve for fuel tank
JP2008208770A (ja) インテークマニホールド構造
US20040159236A1 (en) Seal structure of container and drain filter
KR101219963B1 (ko) 차량의 브레이크액 리저버탱크의 배플구조
JPH054782B2 (ko)
JP6361427B2 (ja) キャニスタ
US20240092160A1 (en) Expansion tanks for vehicle cooling systems and vehicle cooling systems
JP2013170510A (ja) タンクのエア抜き構造
JP6885481B2 (ja) 鉛蓄電池
JPH0447903Y2 (ko)
US7273087B2 (en)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