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34079A - 카세트 지지 유닛 및 이를 갖는 비히클 - Google Patents

카세트 지지 유닛 및 이를 갖는 비히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34079A
KR20200134079A KR1020190059652A KR20190059652A KR20200134079A KR 20200134079 A KR20200134079 A KR 20200134079A KR 1020190059652 A KR1020190059652 A KR 1020190059652A KR 20190059652 A KR20190059652 A KR 20190059652A KR 20200134079 A KR20200134079 A KR 202001340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sette
support
door
axis direction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96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64857B1 (ko
Inventor
서은호
김진성
성혁제
류재영
Original Assignee
세메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메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세메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596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4857B1/ko
Publication of KR202001340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40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48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48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33Overhead convey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12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the substrate being handled substantially vertical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3Conveying cassettes, containers or carri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39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into and out of processing chamber
    • H01L21/67751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into and out of processing chamber vertical transfer of a single workpie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39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into and out of processing chamber
    • H01L21/6775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into and out of processing chamber vertical transfer of a batch of workpie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6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the wafers being stored in a carrier, involving loading and unloading
    • H01L21/67772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the wafers being stored in a carrier, involving loading and unloading involving removal of lid, door, cov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tainer, Conveyance, Adherence, Positioning, Of Wafer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비히클의 카세트 지지 유닛은, 천장의 주행 레일을 따라 X축 방향으로 주행하며 하부면과 Y축 방향 일측면이 개방되는 비히클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비히클에 파지된 카세트의 도어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도어의 낙하시 상기 도어를 지지하는 한 쌍의 제1 지지부재들 및 상기 비히클의 내부에서 상기 X축 방향 양측에 각각 배치되며, 상기 제1 지지부재들이 상기 도어를 지지하는 지지위치와 상기 카세트가 상기 비히클에 수용되도록 상기 지지위치로부터 후퇴한 후퇴 위치 사이에서 상기 제1 지지부재들을 상기 X축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시키는 한 쌍의 구동부들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카세트 지지 유닛 및 이를 갖는 비히클{Unit for supporting cassette and vehicl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카세트 지지 유닛 및 이를 갖는 비히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비히클에 파지된 카세트의 진동 및 낙하를 방지하기 위한 카세트 지지 유닛 및 이를 갖는 비히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반도체 소자를 제조하기 위한 반도체 공정 장치들은 연속적으로 배치되어 반도체 기판에 대해 다양한 공정을 수행한다. 상기 반도체 소자 제조 공정을 수행하기 위한 대상물을 카세트에 수납된 상태로 각 반도체 공정 장치로 제공되거나 상기 카세트를 이용하여 상기 각 반도체 공정 장치로부터 회수될 수 있다.
상기 카세트는 OHT(Overhead Hoist Transport)에 의해 이송된다. 상기 OHT는 반도체 공정 장치들이 연속적으로 배치된 반도체 제조 라인의 천장을 따라 구비되는 주행 레일 및 상기 카세트를 파지하며 상기 주행 레일을 따라 주행하는 비히클을 포함한다.
상기 비히클이 주행함에 따라 상기 카세트에 진동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진동에 의해 상기 카세트의 도어가 분리되어 상기 비히클로부터 낙하할 수 있다. 상기 도어가 낙하함에 따라 상기 도어가 파손되거나 상기 도어가 제품을 손상 및 파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카세트로부터 도어가 분리되더라도 상기 도어를 지지하며, 상기 도어의 분리를 감지할 수 있는 카세트 지지 유닛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카세트 지지 유닛을 갖는 비히클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카세트 지지 유닛은, 천장의 주행 레일을 따라 X축 방향으로 주행하며 하부면과 Y축 방향 일측면이 개방되는 비히클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비히클에 파지된 카세트의 도어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도어의 낙하시 상기 도어를 지지하는 한 쌍의 제1 지지부재들 및 상기 비히클의 내부에서 상기 X축 방향 양측에 각각 배치되며, 상기 제1 지지부재들이 상기 도어를 지지하는 지지위치와 상기 카세트가 상기 비히클에 수용되도록 상기 지지위치로부터 후퇴한 후퇴 위치 사이에서 상기 제1 지지부재들을 상기 X축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시키는 한 쌍의 구동부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카세트 지지 유닛은, 상기 비히클의 내부에서 상기 X축 방향 양측에 각각 고정되며, 상기 구동부들이 각각 장착되는 한 쌍의 베이스 플레이트들과,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들에 대해 상기 X축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들에 각각 적층되어 결합되는 한 쌍의 이동 플레이트들 및 주동절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및 상기 이동 플레이트에 각각 링크 결합되고, 종동절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링크 결합되고, 상기 주동절과 상기 종동절을 연결하는 연결봉의 단부에 상기 제1 지지부재들이 각각 고정되는 한 쌍의 링크 구조물을 더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들이 상기 이동 플레이트들을 각각 상기 X축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제1 지지부재들을 상기 제1 지지위치와 상기 제1 후퇴 위치 사이를 이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카세트 지지 유닛은, 상기 비히클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비히클에 파지된 카세트의 상기 X축 방향 양측면 각각 고정하여 상기 카세트의 진동을 방지하는 한 쌍의 고정부재들을 더 포함하며, 상기 구동부들은 상기 고정부재들을 상기 카세트의 양측면을 고정하는 고정 위치와, 상기 카세트가 상기 비히클에 수용되도록 상기 고정 위치로부터 후퇴한 후퇴 위치 사이에서 상기 고정 부재들을 상기 X축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구동부들은 상기 제1 지지부재들과 상기 고정 부재들을 동시에 왕복 이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카세트 지지 유닛은, 상기 고정 부재들의 하부면에 각각 고정되고, 상기 카세트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카세트가 낙하시 상기 카세트의 하부면을 지지하는 한 쌍의 낙하 방지 부재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고정 부재들은 상기 이동 플레이트들에 각각 고정되고, 상기 구동부들은 상기 이동 플레이트들을 상기 X축 방향을 따라 이동시켜 상기 고정 부재들을 상기 왕복 이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이동 플레이트들을 각각 관통하여 상기 고정 부재들에 각각 고정되는 한 쌍의 고정 핀들에 의해 상기 이동 플레이트들과 상기 고정 부재들이 고정되며, 상기 카세트 지지 유닛은, 상기 고정 부재들이 상기 카세트와 접촉할 때 발생하는 충격을 감소시키기 위해 상기 이동 플레이트들과 상기 고정 부재들 사이에 상기 고정 핀들을 각각 감싸는 한 쌍의 코일 스프링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카세트 지지 유닛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들에 구비되며, 상기 고정 부재들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해 상기 이동 플레이트들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다수의 위치 센서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고정 부재들과 상기 카세트 사이의 마찰력으로 인한 파티클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고정 부재들은 저마찰계수를 갖는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카세트 지지 유닛은, 상기 비히클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도어의 상부 전면에 배치되어 상기 도어의 상부가 상기 카세트로부터 분리될 때 상기 도어의 상부를 지지하는 제2 지지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카세트 지지 유닛은, 상기 비히클의 내부에서 상기 개방된 일측면의 상기 X축 방향 양측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도어가 상기 카세트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감지하는 한 쌍의 감지 센서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도어의 하부가 상기 카세트로부터 분리되는 경우 및 상기 도어의 상부가 상기 카세트로부터 분리되는 경우를 동시에 감지하기 위해 상기 센서들은 서로 다른 높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한 쌍의 센서들은 발광 센서 및 수광 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비히클은, 천장의 주행 레일을 따라 X축 방향으로 주행하는 주행 유닛과, 상기 주행 유닛과 연결되고, 하부면과 Y축 방향 일측면이 개방되며 내부에 카세트를 파지하여 이송하는 이송 유닛 및 상기 이송 유닛의 내부 구비되며, 상기 카세트의 도어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도어의 낙하시 상기 도어를 지지하는 한 쌍의 제1 지지부재들 및 상기 이송 유닛의 내부에서 상기 X축 방향 양측에 각각 배치되며, 상기 제1 지지부재들이 상기 도어를 지지하는 제1 지지위치와 상기 카세트가 상기 이송 유닛에 수용되도록 상기 제1 지지위치로부터 후퇴한 제1 후퇴 위치 사이에서 상기 제1 지지부재들을 상기 X축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시키는 한 쌍의 구동부들로 이루어지는 카세트 지지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카세트 지지 유닛 및 이를 갖는 비히클은 상기 제1 지지부재들과 상기 제2 지지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카세트로부터 분리되는 도어를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도어의 낙하를 방지할 수 있고, 상기 도어의 낙하로 인한 상기 도어 및 제품의 손상이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지 센서들을 이용하여 상기 카세트로부터 상기 도어가 분리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재들이 상기 카세트의 측면을 고정하고, 상기 낙하 방지 부재들이 상기 카세트의 하부면을 지지함으로써 상기 카세트의 진동과 낙하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이동 플레이트가 적층된 상태에서 구동부에 의해 상기 이동 플레이트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대해 수평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다. 그러므로, 상기 하우징 내의 좁은 공간에서 상기 제1 지지부재들 및 상기 고정 부재들을 이동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히클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카세트 지지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이동 플레이트와 고정 부재의 연결을 설명하기 위한 확대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카세트 지지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저면도이다.
도 5 및 6은 도 1에 도시된 카세트 지지 유닛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및 저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히클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비히클(500)은 주행 유닛(100), 이송 유닛(200) 및 카세트 지지 유닛(300)을 갖는다.
상기 주행 유닛(100)은 상기 주행 레일(10)을 따라 이동한다. 상기 주행 유닛(100)의 양 측면에 주행 롤러(110)가 구비된다. 상기 주행 롤러(110)는 별도의 구동부에 의해 회전한다. 따라서, 상기 비히클(500)이 상기 주행 레일(10)을 따라 주행한다. 예들 들면, 상기 비히클(500)은 X축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주행 유닛(100)은 상부면에 조향 롤러(미도시)를 구비한다. 상기 조향 롤러는 상기 주행 레일(10)의 상방에 구비되는 조향 레일(미도시)과 선택적으로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주행 레일(10)의 분기 지점에서 상기 비히클(500)의 주행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이송 유닛(200)은 상기 주행 유닛(100)과 연결되며, 내부에 카세트(20)를 파지하여 이송한다.
상기 이송 유닛(200)은 하우징(210), 이동부(220), 승강부(230) 및 파지부(240)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210)은 상기 주행 유닛(100)이 하부면에 고정된다. 상기 하우징(210)은 상기 카세트(20)를 수용하기 위해 내부가 빈 형태를 갖는다. 또한, 상기 카세트(20)가 Y축 방향 및 Z축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210)은 하부면과 상기 Y축 방향 일측면이 개방될 수 있다.
상기 이동부(220)는 상기 하우징(210)의 내측 상부면에 구비된다. 상기 이동부(220)는 상기 승강부(230)를 상기 Y축 방향으로 수평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승강부(230)는 상기 하우징(210)의 개방된 일측면을 통해 수평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승강부(230)는 상기 이동부(220)의 하부면에 상기 Y축 방향으로 수평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승강부(230)는 벨트(232)를 권취하거나 권출하여 상기 파지부(232)를 승강시킬 수 있다.
상기 승강부(230)는 상기 파지부(240)를 고정하여 상기 Z축 방향을 따라 승강시킬 수 있다.
상기 파지부(240)는 상기 벨트(232)의 단부에 고정되며, 상기 카세트(20)를 고정한다.
상기 카세트(20)는 상기 이동부(220)에 의해 상기 X축 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승강부(230)에 의해 승강할 수 있다.
상기 카세트 지지 유닛(300)은 상기 비히클(500)이 주행함에 따라 발생하는 상기 카세트(20)의 진동과 낙하를 방지한다. 또한, 상기 카세트 지지 유닛(300)은 상기 카세트(20)의 도어(22)가 상기 카세트(20)로부터 분리되어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도어(22)의 분리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카세트 지지 유닛(300)은 후술하는 제2 지지부재(420) 및 감지 센서들(430)을 제외하면 상기 하우징(210)의 내부의 상기 X축 방향 양측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제2 지지부재(420) 및 상기감지 센서들(430)을 제외하고, 상기 하우징(210)의 내부의 상기 X축 방향 일측에 구비되는 하나의 카세트 지지 유닛(300)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카세트 지지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이동 플레이트와 고정 부재의 연결을 설명하기 위한 확대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카세트 지지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저면도이고, 도 5 및 6은 도 1에 도시된 카세트 지지 유닛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및 저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6을 추가로 참고하면, 상기 카세트 지지 유닛(300)은 고정 부재(310), 낙하 방지 부재(320), 상기 구동부(330)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 부재(310)는 상기 비히클(500)의 내부, 구체적으로 상기 하우징(210)의 내부에 구비된다. 상기 고정 부재(310)는 상기 파지부(240)에 파지된 상기 카세트(20)의 측면을 지지한다. 이때, 상기 고정 부재(310)는 상기 카세트(20)의 측면 하단부를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고정 부재(310)가 상기 카세트(20)를 측면을 지지하므로, 상기 카세트(20)의 진동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고정 부재(310)가 상기 카세트(20)의 측면 중앙을 지지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자세히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고정 부재(310)는 한 쌍이 구비되며, 상기 Y축 방향으로 이격되어 상기 카세트(20)의 측면 전후를 각각 지지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고정 부재(310)들이 상기 Y축 방향으로 이격되므로, 상기 고정 부재(310)들 사이에 공간이 생긴다. 따라서, 상기 카세트(20)가 회전할 때 상기 고정 부재(310)들 사이를 지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카세트(20)의 회전 반경을 증가시킬 수 있다. 즉, 동일한 위치에서 상기 고정 부재(310)가 상기 카세트(20)의 측면 중앙을 지지할 때보다 상기 고정 부재(310)가 상기 카세트(20)의 측면 전후를 각각 지지하는 경우, 상기 카세트(20)의 회전 반경을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고정 부재(310)들이 상기 카세트(20)의 측면 전후를 각각 지지하는 경우, 상기 하우징(210)에 보다 큰 사이즈의 상기 카세트(20)를 수용하여 상기 고정 부재(310)와 간섭없이 회전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비히클(500)은 보다 다양한 사이즈의 상기 카세트(20)를 수용하여 이송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고정 부재(310)는 저마찰계수를 갖는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물질의 예로는 테프론, 나일론 등을 들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고정 부재(310)들과 상기 카세트(20) 사이의 마찰력을 최소화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고정 부재(310)와 상기 카세트(20) 사이의 마찰력으로 인한 파티클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낙하 방지 부재(320)는 상기 고정 부재(310)의 하부면에 고정된다. 상기 낙하 방지 부재(320)는 상기 카세트(20)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카세트(20)의 낙하시 상기 카세트(20)의 하부면을 지지한다. 따라서, 상기 카세트(20)가 상기 파지부(240)로부터 분리되더라도 상기 카세트(20)가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330)는 상기 고정 부재(310)를 고정 위치와 후퇴 위치 사이에서 왕복 이동시킨다. 예를 들면, 상기 구동부(330)는 상기 고정 부재(310)를 상기 X축 방향을 따라 이동시킨다.
상기 고정 위치는 상기 고정 부재(310)가 상기 카세트(20)의 측면을 고정하는 위치이다. 상기 후퇴 위치는 상기 카세트(20)가 승강을 통해 상기 하우징(210)에 수용되도록 상기 고정 부재(310)가 상기 고정 위치로부터 후퇴한 위치이다.
상기 낙하 방지 부재(320)는 상기 고정 부재(310)에 고정되므로, 상기 구동부(330)에 의해 상기 고정 부재(310)가 이동할 때 상기 낙하 방지 부재(320)도 같이 이동한다.
상기 카세트 지지 유닛(300)은 베이스 플레이트(340), 이동 플레이트(350), 가이드 부재(360), 연결 부재(3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40)는 상기 비히클(500)의 내부, 구체적으로 상기 하우징(210)의 내부에서 상기 X축 방향 일측 측면에 고정된다.
상기 이동 플레이트(350)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40)에 대해 상기 X축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40)에 적층되어 결합된다. 상기 이동 플레이트(350)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40)의 하부에 구비되거나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40)의 상부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부재(360)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40)와 상기 이동 플레이트(350)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이동 플레이트(350)의 상기 수평 이동을 가이드한다. 상기 가이드 부재(360)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40)와 상기 이동 플레이트(350) 사이에서 상기 Y축 방향 양단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 부재(360)가 상기 이동 플레이트(350)의 상기 X축 방향 이동을 안정적으로 가이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 부재(360)가 회전하는 상기 카세트(20)와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연결 부재(370)는 상기 이동 플레이트(350)와 상기 고정 부재(310)들을 연결한다.
상기 연결 부재(370)는 고정 핀(372) 및 코일 스프링(374)을 포함한다.
상기 고정 핀(372)은 상기 이동 플레이트(350)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된 돌출부(352)를 관통하여 상기 고정 부재(310)에 고정된다. 이때 상기 고정 핀(372)은 돌출부(352)에 대해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단, 상기 고정 핀(372)은 상기 고정 부재(310)에 고정된 단부와 반대되는 단부에 걸림턱이 형성된다. 그러므로, 상기 고정 핀(372)이 돌출부(352)로부터 상기 고정 부재(310)가 고정된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코일 스프링(374)은 상기 이동 플레이트(350)의 돌출부(352)와 상기 고정 부재(310) 사이에 상기 고정 핀(372)을 감싸도록 구비된다. 상기 고정 부재(310)가 상기 카세트(20)와 접촉할 때, 상기 고정 핀(372)이 돌출부(352)에 대해 이동하면서 상기 코일 스프링(374)이 수축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코일 스프링(374)은 상기 고정 부재(310)가 상기 카세트(20)와 접촉할 때 발생하는 충격을 감소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구동부(330)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40)에 장착되며, 상기 이동 플레이트(350)를 상기 X축 방향을 따라 이동시켜 상기 고정 부재(310)들을 상기 고정 위치와 상기 후퇴 위치 사이에서 왕복 이동시킨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동부(330)는 스텝 모터(332), 벨트(334), 볼 스크류(336), 연결 블록(338)을 포함한다.
상기 스텝 모터(332)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40)에 장착되며, 상기 이동 플레이트(350)를 이동시키기 위한 회전력을 제공한다. 상기 스텝 모터(332)는 상기 이동 플레이트(350)의 이동 거리에 따라 일정한 각도만큼 단계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벨트(334)를 모터(332)의 회전력을 상기 볼 스크류(336)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볼 스크류(336)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40)의 상기 전후 방향 양단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볼 스크류(336)가 회전하는 상기 카세트(20)와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볼 스크류(336)는 상기 벨트(334)를 통해 전달되는 회전력에 의해 스크류 축이 회전하고, 상기 스크류 축의 회전에 따라 너트가 직선 이동한다.
상기 연결 블록(338)은 상기 볼 스크류(336)의 너트와 상기 이동 플레이트(350)를 연결한다. 따라서, 상기 너트가 직선 이동에 따라 상기 이동 플레이트(350)도 상기 너트와 같이 직선 이동한다.
한편, 상기 구동부(330)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40)와 상기 이동 플레이트(350)가 적층된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40)에 대해 상기 이동 플레이트(350)를 상기 X축 방향을 따라 이동시킬 수 있다면, 상기 구동부(330)는 다양한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40)와 상기 이동 플레이트(350)가 적층된 상태에서 상기 구동부(330)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40)에 대해 상기 이동 플레이트(350)를 상기 X축 방향을 따라 이동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하우징(210) 내의 좁은 공간에서 상기 고정 부재(31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카세트 지지 유닛(300)은 다수의 위치 센서(380)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위치 센서(380)들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40)에 상기 X축 방향을 따라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카세트(20)의 사이즈가 달라지면, 상기 고정 부재(310)들의 고정 위치가 가변된다. 따라서, 상기 위치 센서(380)들은 상기 다수의 고정 위치들과 상기 후퇴 위치 사이의 간격만큼 이격될 수 있다.
상기 고정 부재(310)들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40)로부터 상기 X축 방향으로 이격되어 있으므로, 상기 위치 센서(380)들이 상기 고정 부재(310)들을 직접 감지하기 어렵다. 따라서, 상기 위치 센서(380)들이 상기 이동 플레이트(350)의 위치를 감지하여 상기 고정 부재(310)들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위치 센서(380)들은 상기 연결 블록(338)의 위치를 감지하거나, 상기 가이드 부재(360)에서 슬라이더의 위치를 감지하여 상기 고정 부재(310)들의 위치를 확인할 수도 있다.
상기 위치 센서(380)들이 상기 고정 부재(310)들의 고정 위치들과 후퇴 위치를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40)에 구비되는 경우, 상기 구동부(330)의 상기 스텝 모터(332)와 상기 위치 센서(380)들을 이용하여 여러 사이즈의 상기 카세트(20)를 지지할 수 있도록 카세트 지지 유닛(300)의 스트로크를 정확하게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카세트 지지 유닛(300)은 제1 지지부재(400) 및 링크 구조물(41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지지부재(400)는 상기 하우징(210)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카세트(20)의 도어(22)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지지부재(400)는 대략 갈고리 형상을 갖거나 걸림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카세트(20)로부터 상기 도어(22)의 하부가 먼저 분리되어 낙하하는 경우, 상기 제1 지지부재(400)는 상기 도어(22)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제1 지지부재(400)가 갈고리 형상을 갖거나 상기 걸림턱을 가지므로, 상기 도어(22)가 상기 제1 지지부재(400)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도어(22)의 낙하를 방지할 수 있고, 상기 도어(22)의 낙하로 인한 손상이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330)는 상기 제1 지지부재(400)를 지지 위치와 후퇴 위치 사이에서 왕복 이동시킨다. 예를 들면, 상기 구동부(330)는 상기 제1 지지부재(400)를 상기 X축 방향을 따라 이동시킨다.
상기 지지 위치는 상기 제1 지지부재(400)가 상기 낙하하는 도어(22)를 지지하는 위치이다. 상기 후퇴 위치는 상기 카세트(20)가 승강을 통해 상기 하우징(210)에 수용되도록 상기 제1 지지부재(400)가 상기 지지 위치로부터 후퇴한 위치이다.
상기 링크 구조물(410)은 상기 제1 지지부재(400)를 왕복 이동을 위해 상기 제1 지지부재(400)를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40) 및 상기 이동 플레이트(350)에 연결한다.
상기 링크 구조물(410)은 대략 4절 링크 형태를 가지며, 주동절(412), 종동절(414) 및 연결봉(41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동절(412)의 일단부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40)에 회전 가능하도록 링크 결합된다. 상기 주동절(412)의 중단부는 상기 이동 플레이트(350)에 회전 가능하도록 링크 결합된다.
상기 종동절(414)의 일단부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40)에 회전 가능하도록 링크 결합된다.
상기 연결봉(416)의 일단부가 상기 종동절(414)의 타단부와 회전 가능하도록 링크 결합된다. 상기 연결봉(416)의 중단부가 상기 주동절(412)의 타단부와 회전 가능하도록 링크 결합된다. 상기 연결봉(416)의 타단부에 상기 제1 지지부재(400)가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330)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40)에 대해 상기 이동 플레이트(350)를 상기 X축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링크 구조물(410)에 고정된 상기 제1 지지부재(400)가 상기 지지 위치와 상기 후퇴 위치 사이에서 왕복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부(330)에 상기 고정 부재(310), 상기 낙하 방지 부재(320) 및 상기 제1 지지부재(400)가 동시에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카세트 지지 유닛(300)은 상기 제2 지지부재(420) 및 상기 감지 센서들(4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지지부재(420)는 상기 비히클(500)의 내부에 구비된다. 예를 들면, 상기 제2 지지부재(420)는 이동부(220)에 고정되며, 하방으로 연장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 지지부재(420)는 상기 도어(22)의 상부 전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지지부재(420)는 상기 도어(22)와 이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 지지부재(420)는 상기 카세트(20)의 승강을 방해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제2 지지부재(420)는 상기 카세트(20)로부터 상기 도어(22)의 상부가 먼저 분리될 때 상기 도어(22)의 상부를 지지한다. 따라서, 상기 도어(22)의 낙하를 방지할 수 있고, 상기 도어(22)의 낙하로 인한 손상이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감지 센서들(430)은 상기 비히클(500)의 내부, 구체적으로, 상기 하우징(210)에서 상기 개방된 일측면의 상기 X축 방향 양측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감지 센서들(430)은 상기 도어(22)가 상기 카세트(20)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지 센서들(430)은 상기 제1 지지부재(400) 및 상기 제2 지지부재(420)에 지지된 도어(22)를 감지할 수도 있다.
상기 감지 센서들(430)은 발광 센서(432) 및 수광 센서(43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광 센서(432)는 상기 수광 센서(434)를 향해 광을 조사하고, 상기 수광 센서(434)는 상기 발광 센서(432)에서 조사된 광을 수신한다. 상기 수광 센서(434)의 수광 여부에 따라 상기 도어(22)의 분리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감지 센서들(430), 즉, 상기 발광 센서(432) 및 상기 수광 센서(434)는 서로 다른 높이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발광 센서(432)가 상기 하우징(210)의 상기 개방된 일측면에서 사선 방향으로 상기 광을 조사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감지 센서들(430)은 상기 도어(22)의 하부가 상기 카세트(20)로부터 분리되는 경우 및 상기 도어(22)의 상부가 상기 카세트(20)로부터 분리되는 경우를 동시에 감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카세트 지지 유닛 및 이를 갖는 비히클은 상기 카세트의 진동과 낙하를 방지하고, 상기 도어의 낙하를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카세트의 이송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주행 유닛 110 : 주행 롤러
200 : 이송 유닛 210 : 하우징
220 : 이동부 230 : 승강부
240 : 파지부 300 : 카세트 지지 유닛
310 : 고정 부재 320 : 낙하 방지 부재
330 : 구동부 340 : 베이스 플레이트
350 : 이동 플레이트 360 : 가이드 부재
370 : 연결 부재 380 : 위치 센서
400 : 제1 지지부재 410 : 링크 구조물
420 : 제2 지지부재 430 : 감지 센서
500 : 비히클 10 : 주행 레일
20 : 카세트

Claims (14)

  1. 천장의 주행 레일을 따라 X축 방향으로 주행하며 하부면과 Y축 방향 일측면이 개방되는 비히클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비히클에 파지된 카세트의 도어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도어의 낙하시 상기 도어를 지지하는 한 쌍의 제1 지지부재들; 및
    상기 비히클의 내부에서 상기 X축 방향 양측에 각각 배치되며, 상기 제1 지지부재들이 상기 도어를 지지하는 지지위치와 상기 카세트가 상기 비히클에 수용되도록 상기 지지위치로부터 후퇴한 후퇴 위치 사이에서 상기 제1 지지부재들을 상기 X축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시키는 한 쌍의 구동부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 지지 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히클의 내부에서 상기 X축 방향 양측에 각각 고정되며, 상기 구동부들이 각각 장착되는 한 쌍의 베이스 플레이트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들에 대해 상기 X축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들에 각각 적층되어 결합되는 한 쌍의 이동 플레이트들; 및
    주동절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및 상기 이동 플레이트에 각각 링크 결합되고, 종동절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링크 결합되고, 상기 주동절과 상기 종동절을 연결하는 연결봉의 단부에 상기 제1 지지부재들이 각각 고정되는 한 쌍의 링크 구조물을 더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들이 상기 이동 플레이트들을 각각 상기 X축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제1 지지부재들을 상기 제1 지지위치와 상기 제1 후퇴 위치 사이를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 지지 유닛.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비히클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비히클에 파지된 카세트의 상기 X축 방향 양측면 각각 고정하여 상기 카세트의 진동을 방지하는 한 쌍의 고정부재들을 더 포함하며,
    상기 구동부들은 상기 고정부재들을 상기 카세트의 양측면을 고정하는 고정 위치와, 상기 카세트가 상기 비히클에 수용되도록 상기 고정 위치로부터 후퇴한 후퇴 위치 사이에서 상기 고정 부재들을 상기 X축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 지지 유닛.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들은 상기 제1 지지부재들과 상기 고정 부재들을 동시에 왕복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 지지 유닛.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들의 하부면에 각각 고정되고, 상기 카세트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카세트가 낙하시 상기 카세트의 하부면을 지지하는 한 쌍의 낙하 방지 부재들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 지지 유닛.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들은 상기 이동 플레이트들에 각각 고정되고,
    상기 구동부들은 상기 이동 플레이트들을 상기 X축 방향을 따라 이동시켜 상기 고정 부재들을 상기 왕복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 지지 유닛.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플레이트들을 각각 관통하여 상기 고정 부재들에 각각 고정되는 한 쌍의 고정 핀들에 의해 상기 이동 플레이트들과 상기 고정 부재들이 고정되며,
    상기 고정 부재들이 상기 카세트와 접촉할 때 발생하는 충격을 감소시키기 위해 상기 이동 플레이트들과 상기 고정 부재들 사이에 상기 고정 핀들을 각각 감싸는 한 쌍의 코일 스프링들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 지지 유닛.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들에 구비되며, 상기 고정 부재들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해 상기 이동 플레이트들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다수의 위치 센서들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 지지 유닛.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들과 상기 카세트 사이의 마찰력으로 인한 파티클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고정 부재들은 저마찰계수를 갖는 물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 지지 유닛.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히클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도어의 상부 전면에 배치되어 상기 도어의 상부가 상기 카세트로부터 분리될 때 상기 도어의 상부를 지지하는 제2 지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 지지 유닛.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비히클의 내부에서 상기 개방된 일측면의 상기 X축 방향 양측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도어가 상기 카세트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감지하는 한 쌍의 감지 센서들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 지지 유닛.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하부가 상기 카세트로부터 분리되는 경우 및 상기 도어의 상부가 상기 카세트로부터 분리되는 경우를 동시에 감지하기 위해 상기 센서들은 서로 다른 높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 지지 유닛.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센서들은 발광 센서 및 수광 센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 지지 유닛.
  14. 천장의 주행 레일을 따라 X축 방향으로 주행하는 주행 유닛:
    상기 주행 유닛과 연결되고, 하부면과 Y축 방향 일측면이 개방되며 내부에 카세트를 파지하여 이송하는 이송 유닛: 및
    상기 이송 유닛의 내부 구비되며, 상기 카세트의 도어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도어의 낙하시 상기 도어를 지지하는 한 쌍의 제1 지지부재들 및 상기 이송 유닛의 내부에서 상기 X축 방향 양측에 각각 배치되며, 상기 제1 지지부재들이 상기 도어를 지지하는 제1 지지위치와 상기 카세트가 상기 이송 유닛에 수용되도록 상기 제1 지지위치로부터 후퇴한 제1 후퇴 위치 사이에서 상기 제1 지지부재들을 상기 X축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시키는 한 쌍의 구동부들로 이루어지는 카세트 지지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히클.
KR1020190059652A 2019-05-21 2019-05-21 카세트 지지 유닛 및 이를 갖는 비히클 KR1022648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9652A KR102264857B1 (ko) 2019-05-21 2019-05-21 카세트 지지 유닛 및 이를 갖는 비히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9652A KR102264857B1 (ko) 2019-05-21 2019-05-21 카세트 지지 유닛 및 이를 갖는 비히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4079A true KR20200134079A (ko) 2020-12-01
KR102264857B1 KR102264857B1 (ko) 2021-06-14

Family

ID=737905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9652A KR102264857B1 (ko) 2019-05-21 2019-05-21 카세트 지지 유닛 및 이를 갖는 비히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485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097112A (zh) * 2021-03-25 2021-07-09 北京北方华创微电子装备有限公司 封闭式片盒
KR20230143341A (ko) * 2022-04-05 2023-10-12 시너스텍 주식회사 Oht 장치의 smif 포드용 낙하 방지 유닛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4775A (ko) * 2001-11-30 2003-06-09 무라타 기카이 가부시키가이샤 천정운반차
KR20110005867A (ko) * 2008-05-22 2011-01-19 무라다기카이가부시끼가이샤 천정반송차
WO2018142811A1 (ja) * 2017-02-06 2018-08-09 村田機械株式会社 天井搬送車
KR20190006921A (ko) * 2017-07-11 2019-01-21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물품 반송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4775A (ko) * 2001-11-30 2003-06-09 무라타 기카이 가부시키가이샤 천정운반차
KR20110005867A (ko) * 2008-05-22 2011-01-19 무라다기카이가부시끼가이샤 천정반송차
WO2018142811A1 (ja) * 2017-02-06 2018-08-09 村田機械株式会社 天井搬送車
KR20190006921A (ko) * 2017-07-11 2019-01-21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물품 반송차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097112A (zh) * 2021-03-25 2021-07-09 北京北方华创微电子装备有限公司 封闭式片盒
CN113097112B (zh) * 2021-03-25 2024-05-17 北京北方华创微电子装备有限公司 封闭式片盒
KR20230143341A (ko) * 2022-04-05 2023-10-12 시너스텍 주식회사 Oht 장치의 smif 포드용 낙하 방지 유닛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4857B1 (ko) 2021-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02077B1 (ko) Oht 장치의 비히클
KR102289021B1 (ko) 카세트 고정 유닛 및 이를 갖는 비히클
KR101433516B1 (ko) 기판과 기판 반송용 트레이 반송장치 및 반송방법
KR20200134079A (ko) 카세트 지지 유닛 및 이를 갖는 비히클
KR102185263B1 (ko) 천장 이송 장치의 비히클
KR20210128784A (ko) 카세트 고정 유닛 및 이를 갖는 비히클
CN113871335A (zh) 横向移载装置、空中运输设备及自动物料搬送系统
KR101725871B1 (ko) 오버헤드 호이스트 이송장치의 그립퍼 유닛
WO2018186021A1 (ja) 天井搬送車システム及びティーチングユニット
KR101227722B1 (ko) 반도체 소자들을 픽업하기 위한 장치
JP5024337B2 (ja) 搬送システム及び保管装置
KR102264860B1 (ko) 핸드 유닛, 이를 갖는 비히클 및 이를 이용한 대상물 고정 방법
KR102247036B1 (ko) 카세트 고정 유닛 및 이를 갖는 비히클
KR101544285B1 (ko) 기판 이송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기판 검사 장치
KR20220091112A (ko) 비히클
US10471602B2 (en) Magazine transfer unit gripper
KR20200073488A (ko) 센서 간섭 방지 장치
KR102252735B1 (ko) 핸드 유닛 및 이를 갖는 비히클
KR20220044674A (ko) 산업용 로봇
KR20220026772A (ko) 대상물 고정 유닛 및 이를 갖는 비히클
KR20220092255A (ko) 핸드 유닛 및 이를 갖는 비히클
KR20160119918A (ko) 멀티 암 반송 로봇
KR20220091115A (ko) 비히클
KR20090004548A (ko) 반송 시스템
KR20210116999A (ko) 천장 반송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