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34005A - 회전판을 가진 식모기 교환장치 - Google Patents

회전판을 가진 식모기 교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34005A
KR20200134005A KR1020190059426A KR20190059426A KR20200134005A KR 20200134005 A KR20200134005 A KR 20200134005A KR 1020190059426 A KR1020190059426 A KR 1020190059426A KR 20190059426 A KR20190059426 A KR 20190059426A KR 20200134005 A KR20200134005 A KR 202001340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planter
hair
slot
rotating plate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94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태성
Original Assignee
오대금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대금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오대금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594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34005A/ko
Publication of KR202001340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400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68Trocars; Puncturing needles for implanting or removing devices, e.g. prostheses, implants, seeds, wi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03Needle locating or guid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0Containers, covers, furniture or 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surgical or diagnostic appliances or instruments, e.g. sterile covers
    • A61B50/3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packaging, protecting, dispensing, collecting or disposing of surgical or diagnostic appliances or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10Hair or skin impl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743Type of operation; Specification of treatment sites
    • A61B2017/00747Dermatology
    • A61B2017/00752Hair removal or transplant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03Needle locating or guiding means
    • A61B2017/3405Needle locating or guiding means using mechanical guide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0Containers, covers, furniture or 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surgical or diagnostic appliances or instruments, e.g. sterile covers
    • A61B50/3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packaging, protecting, dispensing, collecting or disposing of surgical or diagnostic appliances or instruments
    • A61B2050/3013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packaging, protecting, dispensing, collecting or disposing of surgical or diagnostic appliances or instruments having means for automatically ejecting the stored article

Abstract

본 발명은 모발 이식수술에서 사용하는 모발 이식용 식모기를 시술자에게 자동으로 공급할 수 있는 식모기 교환장치에 관한 것으로, 회전형의 원판에 사용부, 토출부, 공급부가 있어 의사가 사용부에 사용을 마친 식모기를 장착하면 회전판이 회전하여 토출부로 시키고, 공급부에 장착되어 있던 새로운 식모기가 의사에게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이에 의사의 식모기 교체시간을 단축하여 수술비용을 감소시키고, 수술안전, 수술효과 등은 증대시킬수 있다.

Description

회전판을 가진 식모기 교환장치 {Apparatus with a spindle for transferring hair transplanters}
본 발명은 모발 이식수술에서 사용하는 모발 이식용 식모기를 시술자에게 자동으로 공급할 수 있는 식모기 교환장치에 관한 것이다.
모발 이식은 두피의 발모영역으로부터 모발을 채취하여 이를 탈모된 다른 불모영역의 두피(불모환자)에 심어서 이식(transplant)함으로써 일반인과 같이 많은 양의 두발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모발시술법 중 하나이다.
모발 이식 시술에는 다수개의 모발 식모기(이식기)가 사용된다. 모발 식모기는 두피의 발모영역으로부터 모발을 채취하여 이를 탈모된 다른 불모영역의 두피(불모환자)에 심어서 이식(transplant)하기 위한 장비로서, 종래에 널리 이용되고 있는 모발 이식기는 하나의 기체 내에 각각 하나씩의 식모침과 이 식모침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는 심축을 구비하고 있다.
모발 이식 시술시 발모영역으로부터 채취한 모근을 모발 식모기의 식모침 끝의 내부에 위치시킨 후 이를 두피에 찔러서 모근만 두피 속에 남겨 안착되도록 하고 식모침을 빼내고, 이때 시침 후 빠져나가는 식모침을 따라 모근이 함께 이끌려 이탈될 수 있기 때문에 식모침이 빠져나오는 동안 식모침 내부의 심축으로 모근을 두피속으로 밀어넣어 모근을 완착시키는 것으로 시행된다.
종래 모발 식모기를 사용할 경우 시술자가 손으로 식모기를 잡고 손가락으로 일일이 조작(누르거나 끌어 올리는 등)하여 식모침과 심축을 동작시키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러한 장치는 예컨대 실용신안등록 제20-0479077호(모발이식용 식모기) 등의 선행기술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단발 수동식인 식모기는 하나의 식모기로 하나의 모근 밖에 식모하지 못하기 때문에 많은 수의 모근을 식모하기 위해서는 다수의 식모기를 준비한 상태에서 매 시술시 마다 기기를 일일이 바꿔가며 시행해야 할 뿐 아니라, 식모침과 심축을 동작시키기 위한 시술자의 손가락 조작이 요구되는 상당히 힘든 작업이다.
즉 기존의 모발 이식기를 이용할 경우, 모발 이식공정을 수행하는 시술자(주로 의사)는 두피에 식모침을 찌르고 심축을 동작시키는 1회 시술을 마치면 이미 사용된 식모기를 별도 마련된 작업대에 올려놓고, 준비된 다른 식모기를 들고 다시 피시술자의 두피에 위와 같은 과정을 계속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모발 이식 수술에서 식모 작업이 1000회 이상의 횟수와 약 3시간 이라는 장시간에 걸쳐 이루어지므로 매회 시술시 마다 식모침과 심축을 동작시키기 위한 손가락 조작을 해야 하는 모발이식 작업을 위해 시술자의 상당한 노동력과 피로도가 불가피하였다.
식모기를 이용한 모발이식수술은 보조자가 식모기에 모낭을 장착하여 대기위치에 놓아두면, 시술자가 그 식모기를 집어 들고 환자의 두피에 식모를 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대부분의 모발이식 수술이 수천 모를 식모하므로 시술자는 사용한 식모기를 놓고 대기중인 새로운 식모기를 집어 드는 행위를 수 천회 반복하여야 한다.
이런 식모기 교환 행위로 인해 수술시간이 길어져 수술비용, 수술안전, 수술효과 등 다방면의 손실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시술자가 식모기를 간편하게 교환할 수 있도록 보조할 수 있는 식모기 교환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회전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원판에 3개의 홈이 있어 각각 시술자 사용부, 토출부, 공급부의 역할을 하는 구조이다.
시술자가 1회 식모후 사용된 빈 식모기를 시술자 사용부에 장착하면 접촉센서에 의해 모터가 약1/3회 회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된 식모기는 토출부로 이동하는데, 이때 상부 토출 유도판에 의해 식모기가 회전원판에서 이탈되어 식모기가 배출되고, 공급부의 모낭이 장착된 새로운 식모기는 시술자 사용부로 이동하여 시술자의 손에 자동으로 공급될 수 있다.
기존 식모 수술은 집도의사가 수 천회 반복하여 식모기 교체하는 작업을 수행함으로 인해 수술시간이 길어진다. 예를 들어, 상세작업에 따른 소요시간을 분석한 결과 식모작업 약 1초, 식모기 교체작업 최소 3초 정도 소요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르면 식모기를 시술자에게 자동으로 이송할 수 있으므로 식모기 교체시간을 1.5초 이내로 빠르고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보조하여 수술시간을 줄여주는 효과가 있다. 이에 따라 집도의사의 집중력 저하를 막고 수술비용도 줄여줄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모발의 생착률도 현저하게 상승된다. 일반적으로 채취된 모발은 체외 노출 경과시간이 길어질 수록 생착률이 현저히 저하되지만 본 발명에 따르면 식모기를 신속하게 공급하고 배출함으로써 전체 시술 시간을 줄여주기 때문에 생착률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식모기 교체 과정에서 집도의사와 보조자의 손가락에 바늘이 찔리는 사고를 방지하고 마취시간을 줄여 환자의 신체적 부담도 줄여주는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모기 교환장치의 예시적인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식모기 교환장치의 사시도,
도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식모기 교환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식모기 교환장치의 일부분의 확대 사시도,
도5, 도6, 도7, 도8, 도9 및 도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동작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래의 특정 실시예를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독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발명을 기술하는 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 데 있어 혼돈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모기 교환장치의 예시적인 사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2, 도3, 도4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의 식모기 교환장치는 전달 모듈(20), 대기 모듈(40), 회전판 모듈(50), 및 경사부(70), 그리고 이들 구성요소를 지지하는 테이블(10) 및 장치 프레임(도시 생략)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전달 모듈(20)은 한 명 이상의 간호사(N1,N2)가 식모기(100)를 의사(D)측으로 전달하는 장치이며, 하나 이상의 이송모터(21,24), 스크류(22,25), LM 가이드(23,26), 및 이동 블록(31,32)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대기 모듈(40)은 전달 모듈(20)로부터 전달받은 식모기(100)를 의사(D)에게 전달하기 전에 식모기(100)를 대기시키는 장치이다. 회전판 모듈(50)과 회전판 보조모듈(60)은 의사(D)가 사용한 식모기를 경사부(70)로 이동시키는 역할과 대기 모듈(40)에 대기중인 식모기를 의사(D)에게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즉, 도5, 도6, 도7, 도8을 참조하여 의사(D)가 사용이 끝난 식모기를 사용부(A)위치에서 회전판(51)에 끼우면, 센서(63)의 감지에 의해 메인 모터(64)가 작동되고, 회전판(51)이 회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식모기가 토출부(B)로 이동하게되는데, 이때 회전판 간섭 구조물(61)에 의해 밀려나 회전판에서 이탈되고 경사부(70) 상부로 낙하되게 된다. 경사부(70)로 낙하된 식모기(100)는 경사부(70)를 따라 테이블(10)로 미끄러져 테이블(10) 위에서 수거될 수 있다.
도9에 도시한 것처럼 낙하시에는 바늘 끝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게 위해 식모기 토출 가이드(71)가 설치될 수 있다.
대기 모듈(40)에 대기중인 식모기는 공급부(C)에서 회전판(51)에 하나씩 장착된 후 회전판(51)이 회전할 때 사용부(A) 위치로 오게 되어 의사(D)측으로 전달되게 된다.
도면에 명시적으로 도시하지 않았지만 이들 각 모듈(20,40,50,60)을 이루는 구성요소들은 테이블(10) 또는 장치 프레임(도시 생략)에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도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식모기 교환장치의 사시도이고 도3은 식모기 교환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시한 실시예에서 전달 모듈(20)은 제1 및 제2 이송모터(21,24), 제1 및 제2 스크류(22,25), 제1 및 제2 LM 가이드(23,26), 및 제1 및 제2 이동 블록(31,3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이송모터(21)의 구동축에 제1 스크류(22)가 결합되어 있고 제1 스크류(22)에 제1 이동 블록(31)이 끼워져 있다. 제1 이동 블록(31)은 제1 스크류(22)와 평행하게 배치된 제1 LM 가이드(23)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제1 이송모터(21)의 구동에 의해 제1 이동 블록(31)이 제1 LM 가이드(23)에 가이드되며 왕복 슬라이딩 운동을 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이송모터(24)의 구동축에 제2 스크류(25)가 결합되고 제2 스크류(25)에 제2 이동 블록(32)이 끼워져 있으며, 제2 이송모터(24)의 구동에 의해 제2 이동 블록(32)이 제2 LM 가이드(26)에 가이드되며 왕복 슬라이딩 운동을 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이동 블록(31, 32)의 각각은 식모기(100)를 끼울 수 있는 홀더(33,34)를 각각 포함한다.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각 이동 블록(31, 32)의 측면에 홀더(33,34)가 각각 배치된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홀더(33,34)의 부착 위치는 이동 블록(31,32)의 특정 위치에 제한되지 않는다.
각 홀더(33,34)의 예컨대 갈고리 형태로 형성되어 식모기(100)를 홀더(33,34)에 끼움으로써 홀더(33,34)가 식모기(100)를 붙잡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홀더(33,34)의 내측에 자석이 형성되어 있고 홀더(33,34)와 접촉하는 식모기(100)의 외측면이 자석에 부착되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자력에 의해 홀더(33,34)가 식모기(100)를 잡을 수 있다. 이때 자석을 볼 플런저나 돌기 기타 등등으로 대체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도1과 도2에 도시한 것처럼 간호사(N1)가 제1 이동 블록(31)의 홀더(33)에 식모기(100)를 부착한 후 이동 블록(31)을 의사(D)측으로 이송하고 마찬가지로 간호사(N2)는 제2 이동 블록(32)의 홀더(34)에 식모기(100)를 부착한 후 이동 블록(32)를 의사(D) 측으로 이송할 수 있다. 각 간호사(N1,N2)에 의한 식모기(100)의 이송은 반드시 순차적일 필요는 없고 각자 랜덤하게 이송하여도 무방하다.
각 이동 블록(31,32)에 끼워져서 이송된 식모기(100)는 대기모듈(40)의 상부까지 도달한다. 대기모듈(40)은 측면이 절개된 원통형 형상일 수 있다.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대기모듈(40)은 테이블(10) 또는 장치 프레임(도시 생략)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부착되어 고정되어 있다.
대기모듈(40)은 제1 내지 제3 슬롯(41,42,43)이 형성되어 있다. 제1 슬롯(41)은 제1 이동 블록(31)에 의해 이송된 식모기(100)를 전달받을 수 있도록 배치되고 제2 슬롯(42)은 제2 이동 블록(32)에 의해 이송된 식모기(100)를 전달받을 수 있도록 배치된다.
제1 내지 제3 슬롯(41,42,43)은 동일한 슬롯 폭을 가지며 제1 슬롯(41)과 제2 슬롯(42)이 제3 슬롯(43)에 합류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각 식모기(100)는 슬롯(41,42,43)과 동일하거나 그보다 다소 작은 폭을 갖는 오목부(101)를 가지며, 이 오목부(101)가 슬롯(41,42,43)에 끼워짐으로써 식모기(100)가 슬롯에서 이탈하지 않고 슬롯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제1 슬롯(41)의 한쪽 단부에는 슬롯의 폭이 넓은 진입부(41a)가 형성되어 있고, 제1 슬롯(41)의 다른쪽 단부는 제3 슬롯(43)과 연결되어 있다. 제1 이동 블록(31)의 홀더(33)에 끼워져서 이송되는 식모기(100)가 진입부(41a)에 도달하면 식모기(100)의 오목부(101)가 진입부(41a)를 통해 제1 슬롯(41)에 끼워질 수 있도록 제1 슬롯(41)의 단부측 경로와 LM 가이드(23)의 방향이 정렬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제1 이동 블록(31)의 홀더(33)에 끼워져 있던 식모기(100)가 제1 슬롯(41)에 끼워지고 이동 블록(31)이 계속 이송됨에 따라 이 식모기(100)가 홀더(33)에서 떨어지고 제1 슬롯(41)에 끼워진 채로 중력에 의해 제1 슬롯(41)을 따라 이동한다. 제1 슬롯(41)이 제3 슬롯(43)과 연결되어 있으므로 식모기(100)는 제3 슬롯(43)의 단부 끝까지 이동한다. 제3 슬롯(43)의 단부는 개방되어 있지만, 회전판(51)이 정지 상태일 때(도5)는 하나의 식모기(100b)가 회전판(51)의 홈에 장착되고 그 다음 식모기(100c)는 장착된 식모기(100b)에 의해 정지하게 되어 제3 슬롯(43)의 개방 단부를 막게 되고, 회전판(51)이 회전할 때(도7, 도8)는 회전판(51a, 51)에 의해 막히게 되어 식모기(100)가 제3 슬롯(43)의 개방 단부에서 이탈하지 않고 제3 슬롯(43)에서 대기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관련된 동작에 대한 부분은 추가로 후술하도록 한다.
한편 제2 슬롯(42)도 제1 슬롯(41)과 마찬가지로 한쪽 단부에는 슬롯의 폭이 넓은 진입부(도시 생략)가 형성되고 제2 슬롯(42)의 다른쪽 단부는 제3 슬롯(43)과 연결되어 있다. 제2 이동 블록(32)의 홀더(34)에 끼워져서 이송되는 식모기(100)가 진입부에 도달하면 식모기(100)의 오목부(도3의 101)가 진입부를 통해 제2 슬롯(42)에 끼워질 수 있도록 제2 슬롯(42)의 단부측 경로와 LM 가이드(26)의 방향이 정렬되어 있다. 따라서 제2 이동 블록(32)의 홀더(34)에 끼워져 있던 식모기(100)가 제2 슬롯(42)에 끼워지고 제2 이동 블록(32)이 계속 이송됨에 따라 식모기(100)가 홀더(34)에서 떨어지고 제2 슬롯(42)에 끼워진 채로 중력에 의해 제2 슬롯(42)을 따라 이동한다. 제2 슬롯(42)도 제3 슬롯(43)과 연결되어 있으며 식모기(100)는 제3 슬롯(43)의 단부를 향해 이동한다.
이와 같이 제1 및 제2 이동 블록(31,32)을 따라 이송된 식모기(100)는 각각 제1 슬롯(41)과 제2 슬롯(42)에 끼워져서 슬롯(41,42)을 따라 이동한 후 제3 슬롯(43)에서 합류하고 제3 슬롯(43)에서 차례대로 대기하게 된다.
도5를 참조하면, 회전판 모듈(50) 및 회전판 보조 모듈(60)은 회전모터(64), 회전모터에 연결된 회전판(51), 회전판 가이드(52,53,54), 회전판 간섭 구조물(61,62), 센서(63) 등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판(51)은 회전모터(64)에 연결되어 있고, 회전판(51)을 감싸며 회전판 가이드(52,53,54)가 배치되어 있다. 회전판 가이드(52,53,54)는 각 사용부(A), 토출부(B), 공급부(C)를 구분짓고, 회전중에 식모기가 회전판(51)에서 이탈됨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도6을 참조하면, 회전판(51)의 홈 안쪽 면에 볼플런저(51a)가 장착되어 있어, 식모기의 오목부(도3의 101)가 이탈됨을 방지 한다. 이는 자석이나 돌기 등으로 대체되거나 생략될 수 있다.
공급부의 회전판 간섭 구조물(61)는 공급부에서 회전판(51)으로 유입된 식모기가 회전 중에 완전히 장착되도록 가이드 역할을 하며, 토출부의 회전판 간섭 구조물(61)는 사용부에서 의사(D)가 회전판(51) 끼워놓은 사용을 마친 식모기가 회전중에 회전판(51)에서 이탈되도록 유도 한다.
이제 도5와 도7, 도8을 참조하여 회전판 모듈(50) 및 회전판 보조 모듈(60)의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토출 동작에 대해서 도5에서 의사(D)가 사용된 식모기(100a)를 사용부(A)에서 도시된 화살표방향으로 회전판에 삽입하면 센서(63)이 감지하여 회전판(51)을 회전시켜 식모기(100a)가 토출부(B)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도8의 형태가 되며 식모기(100a)가 회전판 간섭 구조물(61)에 의해 바깥으로 점차 밀려져 회전판(51)에서 이탈하게 된다. 이에 따라 하부에 경사부(70)가 위치하고 있으므로, 회전판(51)에서 떨어진 식모기(100a)는 경사부(70)로 낙하한 뒤 경사부(70)를 따라 테이블(10)로 이송될 수 있다.
도9에 도시한 것처럼, 식모기가 경사부로 낙하할 때 바늘 끝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식모기가 넘어지는 형태로 낙하되도록 별도의 식모기 토출 가이드(71)가 설치 될 수 있다. 또한, 경사부(70)에는 식모기가 잘 굴러 내려가도록 식모기 형태에 맞춰 경사로 홈(70a)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대안적 실시예로서, 사용한 식모기(100)를 의사가 직접 경사부(70)에 둘 수도 있으며, 이 경우 토출을 위한 가이드들이 생략되거나 형상이 변경될 수도 있다.
의사가 식모기(100a)를 회전판에 끼우고 손 모양을 그대로 유지함에 따라 다음 식모기(100b)는 자동으로 의사 손안으로 공급된다. 이에 대한 공급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5에 도시한 것처럼 공급부(C)에서 정지 상태일 때 회전판(51)의 홈에 하나의 식모기(100b)가 유입된 후 그 다음 식모기(100c)는 유입된 식모기(100b)에 의해 정지되어 제3 슬롯(43)의 개방된 단부를 막아 제3 슬롯(43)에 끼워져 있는 하나 이상의 식모기(100)들이 슬롯의 개방 단부에서 이탈하지 않고 대기하고 있는 것으로 전제한다.
이 상태에서 도6에 도시한 것처럼 회전판이 회전하게 되면 공급부(C)에서 유입된 식모기(100b)는 회전판 상부 가이드(62)에 의해 회전판(51)에 안정적으로 깊이 장착이 유도되고, 그 다음으로 대기하던 식모기(100c)는 회전판 홈의 경사로(도10의 51b)에 의해 회전판(51)의 회전에 걸림 없이 벗어나 대기하게 된다. 회전 상태에는 회전판(51)의 외경부(51a)가 식모기(100c)를 정지시키고 있음은 물론이다. 새롭게 공급된 식모기(100b)는 사용부(A)에 와서 정지하여 의사(D)손안에 공급하게 된다.
회전모터(64)의 구동을 개시하는 트리거 신호는 다양한 방식으로 생성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것처럼 접촉, 혹은 근접 센서(63)에 설치되어 식모기(100a)가 사용부(A)에서 회전판(51)의 홈에 끼워지는 것을 감지하면 감지 신호를 제어부(도시 생략)로 전달하고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회전모터(64)를 동작시킬 수 있다. 대안적으로, 모터를 구동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버튼이나 페달을 의사의 손이나 발에 가깝게 설치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의사가 식모기를 식모기(100a)가 사용부(A)에서 회전판(51)의 홈에 부착하고 손으로 버튼을 누르거나 발로 페달을 밟으면 제어신호가 생성되어 회전모터를 동작시킬 수도 있으며, 그 외에 다양한 방식으로 회전판 모듈(50)을 작동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장치에서 회전판의 홈은 사용편의성이나 작동안정성을 고려하여 개수가 달라질 수 있다. 예컨대 공급부에서 유입된 식모기가 사용부로 가기 전 하나이상의 대기 단계를 거치거나 사용부와 토출부 사이에 하나이상의 대기 단계를 거치는 등 각 사용부, 토출부, 공급부 간 대기 단계를 거치도록 변경될 수 있다. 또한, 공급과 토출이 한 위치에서 이루어지거나 사용부에서 공급부로 복귀하는 과정에서 식모기가 이탈하도록 하여 두 개의 홈만으로도 같은 동작이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명세서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 테이블 20: 전달 모듈
21, 24: 이송모터 22, 25: 스크류
23, 26: LM 가이드 31, 32: 이동 블록
33, 34: 홀더
40: 대기모듈 41, 42, 43: 슬롯
41a, 42a: 진입부
50: 회전 모듈 60: 회전 보조 모듈
51: 회전판 51a: (회전판의) 외경부
51b: 회전판 홈 경사로 52, 53, 54: 회전판 가이드
61, 62: 회전판 간섭 구조물 63: 센서
64: 회전모터
70: 경사로 70a: 경사로 홈
71: 식모기 토출 가이드
100, 100a, 100b, 100c: 식모기 101: (식모기의)오목부
A: 사용부 B: 토출부
C: 공급부

Claims (7)

  1. 모발 이식 시술에 사용되는 식모기를 시술자에게 전달하는 회전판 모듈을 구비한 식모기 교환장치로서, 상기 회전판 모듈은,
    구동부에 연결되어 회전하며 2개이상의 홈이 각각 식모기의 공급부, 사용부, 토출부의 역할을 하도록 구성된 회전판(51);
    회전시 식모기 이탈을 방지하는 하나 이상의 상기 회전판 가이드(52,53,54);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식모기 교환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51) 회전 경로상에 배치되며 식모기를 회전판(51)에서 이탈시키도록 구성된 회전판 간섭 구조물(61)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식모기 교환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복수개의 식모기를 대기시키고 하나씩 순차적으로 상기 회전판 모듈(50)로 전달하는 대기 모듈(40)을 더 포함하고,
    상기 대기 모듈(40)은 절개된 절개 영역이 있는 원통형 형상이며, 대기 모듈의 표면에 식모기가 끼워져서 이송될 수 있는 소정 길이의 대기 슬롯(43)이 형성되고,
    상기 공급 슬롯의 일단부는 상기 절개 영역을 향하는 개방 단부이고,
    상기 대기 슬롯(43)에 끼워져서 대기하는 식모기가 상기 개방 단부를 통해 상기 공급부(C)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식모기 교환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 모듈의 표면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공급 슬롯(41,42)을 더 포함하고,
    각각의 상기 공급 슬롯의 일단부가 개방되어 식모기가 슬롯에 끼워질 수 있도록 구성되고 공급 슬롯의 타단부는 상기 대기 슬롯(43)과 연통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식모기 교환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51)이 회전운동 할 때 회전판의 홈, 혹은 회전판 가이드(54)가 상기 대기 모듈의 대기 슬롯의 개방 단부와 밀착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회전판(51)의 홈이 대기모듈의 대기 슬롯 개방 단부와 일렬로 정렬되었을 때 상기 대기 슬롯의 식모기가 상기 회전판(51)의 홈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식모기 교환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51)의 회전 경로상에 배치되며 공급부(C)에서 유입된 식모기를 회전판(51)에 체결되도록 구성된 간섭 구조물(62)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식모기 교환장치.
  7. 제 2 항에 있어서,
    식모기가 회전판(51)에서 이탈할 때 식모기의 바늘 끝이 바닥 면에 닿아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식모기 토출 가이드(71)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식모기 토출 가이드(71)는 절개된 절개 영역이 있는 원통형 형상과 내부에 돌출부가 있는 형상으로 식모기 하단부는 돌출부에 의해 일시 정지된 상태로 식모기 상단부가 절개된 절개 영역에 끼워져 넘어지는 형태로 토출되도록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식모기 교환장치.
KR1020190059426A 2019-05-21 2019-05-21 회전판을 가진 식모기 교환장치 KR2020013400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9426A KR20200134005A (ko) 2019-05-21 2019-05-21 회전판을 가진 식모기 교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9426A KR20200134005A (ko) 2019-05-21 2019-05-21 회전판을 가진 식모기 교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4005A true KR20200134005A (ko) 2020-12-01

Family

ID=737906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9426A KR20200134005A (ko) 2019-05-21 2019-05-21 회전판을 가진 식모기 교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3400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3817B1 (ko) * 2023-03-03 2024-04-03 주식회사 오대 모낭 자동 장착 장치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3817B1 (ko) * 2023-03-03 2024-04-03 주식회사 오대 모낭 자동 장착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035668B2 (ja) 毛根を皮膚に機械移植するシステム
KR102382062B1 (ko) 자동 식모 장치
KR101722029B1 (ko) 자동 모낭 공급 기능을 갖는 모발 이식용 식모기
KR102271869B1 (ko) 식모용 바늘에 모낭 유닛을 로딩하는 장치
JP2003153906A (ja) 毛髪移植装置
WO2018076721A1 (zh) 一种毛囊提取和种植一体化器械
KR101229068B1 (ko) 식모장치
KR20190103941A (ko) 모듈형 자동 모발이식장치
KR20200134005A (ko) 회전판을 가진 식모기 교환장치
JP6849606B2 (ja) 毛髪移植を改善するための器具、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102425251B1 (ko) 자동 식모 장치
KR20170012697A (ko) 자동식 모낭 이식 식모기
EP3773314B1 (en) Direct automatic transfer device for hair transplantation
KR100497115B1 (ko) 한방용 연속 자침기
KR20190069349A (ko) 회전형 식모기 교환장치
KR20190058868A (ko) 모낭이식장치
KR20200133991A (ko) 좌우 그리퍼를 가진 식모기 이송장치
WO2020117153A2 (en) Direct hair transplant development in automatic transfer device
US20190262036A1 (en) Modular automatic hair implanter
KR20180082319A (ko) 자동식 모낭 이식 식모기
KR102564841B1 (ko) 자동 모발이식 장치
CN209751841U (zh) 一种利器盒
KR102527392B1 (ko) 자동 식모 장치
KR20190065193A (ko) 식모기 이송장치
KR102653817B1 (ko) 모낭 자동 장착 장치 및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