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33273A - 위상 교정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위상 교정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33273A
KR20200133273A KR1020207030944A KR20207030944A KR20200133273A KR 20200133273 A KR20200133273 A KR 20200133273A KR 1020207030944 A KR1020207030944 A KR 1020207030944A KR 20207030944 A KR20207030944 A KR 20207030944A KR 20200133273 A KR20200133273 A KR 202001332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asurement sequence
segmentation
phase
sequence
freque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309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58095B1 (ko
Inventor
융 장
징 스
칭화 리
리화 니
Original Assignee
다탕 모바일 커뮤니케이션즈 이큅먼트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탕 모바일 커뮤니케이션즈 이큅먼트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다탕 모바일 커뮤니케이션즈 이큅먼트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001332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32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80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80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20Monitoring; Testing of receivers
    • H04B17/21Monitoring; Testing of receivers for calibration; for correcting measur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7/00Arrangements for synchronising receiver with transmitter
    • H04L7/0016Arrangements for synchronising receiver with transmitter correction of synchronization err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0202Channel estimation
    • H04L25/022Channel estimation of frequency respon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0202Channel estimation
    • H04L25/0224Channel estimation using sounding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0014Carrier regu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0014Carrier regulation
    • H04L2027/0024Carrier regulation at the receiver end
    • H04L2027/0026Correction of carrier offs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0014Carrier regulation
    • H04L2027/0024Carrier regulation at the receiver end
    • H04L2027/0026Correction of carrier offset
    • H04L2027/003Correction of carrier offset at baseband on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0014Carrier regulation
    • H04L2027/0083Signalling arrangements
    • H04L2027/0089In-band sig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Position Fixing By Use Of Radio Waves (AREA)
  • Measurement Of Resistance Or Impedance (AREA)
  • Ultra Sonic Daignosis Equipment (AREA)
  • Radar Systems Or Details Thereof (AREA)
  • Optical Radar Systems And Detail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위상 교정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바, 상기 방법은, 미리 설정된 규칙에 따라, 수신된 측정 시퀀스를 분할하는 단계; 분할된 각 세그먼테이션 측정 시퀀스의 위상 교정 계수를 각각 결정하는 단계 - 상기 각 세그먼테이션 측정 시퀀스는 세그먼테이션 위상에 각각 대응함 - ; 점검 대상 시퀀스에 대해 위상 교정 수행 시, 상기 점검 대상 시퀀스의 위상과 상기 세그먼테이션 위상의 매칭 관계에 따라, 매칭된 세그먼테이션 위상에 대응하는 위상 교정 계수를 사용하여 상기 점검 대상 시퀀스에 대해 위상 교정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비선형 측정 시퀀스를 선형에 근접한 몇개의 측정 시퀀스로 분할하여 각각의 선형에 근접한 측정 시퀀스에 대해 대응하는 위상 교정 계수를 사용하여 각각 교정하는 것에 해당하기에 위상 교정의 정확도를 대폭 향상시키고 우수한 위상 교정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위상 교정 방법 및 장치
본 발명은 신호 처리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위상 교정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은 2018년5월17일에 중국특허국에 출원한 출원번호가 201810476382.3이고, 명칭이 “위상 교정 방법 및 장치”인 중국 특허 출원의 우선권을 주장하며, 상기 출원의 전체 내용을 참조로 본 출원에 원용한다.
통신 분야에서, 아날로그 장치 또는 전송 네트워크의 성능으로 인해 수신단이 신호를 수신하거나 송신단이 신호를 전송할때 위상 오차가 발생하기 때문에, 송신단 또는 수신단에 대해 위상 교정을 수행할 것이 필요하다.
수신단에 대해 위상 교정을 수행하는 경우를 예를 들면, 종래 기술의 방법은 다음과 같다. 즉: 1.주파수 영역의 전대역 내에서 주파수 간격(Δf)에 따라 길이가 N개 주파수 간격인 측정 시퀀스를 생성한다. 2.측정 시퀀스를 수신단에 전송한다. 3.수신단은 측정 시퀀스를 수신한 후 채널 추정을 수행하여 채널의 주파수 응답Hest(i) 을 얻으며, i=0,1,…,N-1이고, Hest(i)은 제i개 주파수 간격이 측정 시퀀스에서 대응하는 샘플 포인트의 폭과 위상을 나타낸다. 4.Hest(i)에서 각 샘플 포인트의 위상을 추출 후, a : N1(0<N1<N)개 위상에 대해 선형 피팅을 수행하여 측정 시퀀스의 초기 위상을 얻으며; b : 계산을 통해 각 주파수 간격 사이에서의 측정 시퀀스의 위상차를 얻고, 전대역 내의 모든 위상차에 대해 평균하여 전대역에서의 측정 시퀀스의 평균 위상차를 얻는다. 5.초기 위상 및 평균 위상차에 따라, 전대역에 대해 선형 피팅을 수행하여 전대역에서의 피팅 위상을 얻는다. 6.피팅 위상에 대해 테이블 룩업을 수행하여 전대역 내의 위상 교정 계수를 얻는다. 7.위상 교정을 수행한다.
다만, 당업자는 상기 기술 방안을 연구하는 과정에서 상기 기술 방안에 다음과 같은 결함이 존재하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즉: 수신단 또는 송신단으로 사용되는 아날로그 장치 또는 송신 네트워크의 위상 주파수 특성이 바람직하지 못하기 때문에, 단지 한 세그먼테이션 측정 시퀀스 만 전송 또는 수신되더라도, 전체 대역폭 내에서 측정 시퀀스의 완전한 선형 위상을 보장할 수 없는 바, 다시 말하면, 전체 주파수 대역에서, 각 세그먼테이션의 주파수 간격에 대응하는 측정 시퀀스의 위상차에 비교적 큰 차이가 있는데, 종래 기술에서, 전체 대역폭에서 전체 주파수 대역의 위상에 대해 단지 한번만 선형 피팅을 수행하기에 위상 교정을 수행할때 전체 대역폭에 대해 통일적으로 피팅하여 얻은 위상 교정 계수가 비교적 큰 오차를 초래하여 바람직한 위상 교정 효과를 얻을 수 없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는 위상 교정 시에 오차가 비교적 큰 문제를 전부 또는 부분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위상 교정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에서는 위상 교정 방법을 제공하는데, 상기 방법은,
미리 설정된 규칙에 따라, 수신된 측정 시퀀스를 분할하는 단계;
분할된 각 세그먼테이션 측정 시퀀스의 위상 교정 계수를 각각 결정하는 단계 - 상기 각 세그먼테이션 측정 시퀀스는 세그먼테이션 위상에 각각 대응함 - ;
점검 대상 시퀀스에 대해 위상 교정 수행 시, 상기 점검 대상 시퀀스의 위상과 상기 세그먼테이션 위상의 매칭 관계에 따라, 매칭된 세그먼테이션 위상에 대응하는 위상 교정 계수를 사용하여 상기 점검 대상 시퀀스에 대해 위상 교정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2 양태에서는 위상 교정 장치를 제공하는데, 상기 장치는,
미리 설정된 규칙에 따라, 수신된 측정 시퀀스를 분할하기 위한 분할 모듈;
분할된 각 세그먼테이션 측정 시퀀스의 위상 교정 계수를 각각 결정하기 위한 위상 교정 계수 결정 모듈 - 상기 각 세그먼테이션 측정 시퀀스는 세그먼테이션 위상에 각각 대응함 - ; 및,
점검 대상 시퀀스에 대해 위상 교정 수행 시, 상기 점검 대상 시퀀스의 위상과 상기 세그먼테이션 위상의 매칭 관계에 따라, 매칭된 세그먼테이션 위상에 대응하는 위상 교정 계수를 사용하여 상기 점검 대상 시퀀스에 대해 위상 교정을 수행하기 위한 위상 교정 모듈;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는 컴퓨터 판독 가능 코드를 포함하며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코드가 전자 장치에서 실행됨으로써 상기 전자 장치에 의해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다음과 같은 유익한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수신된 측정 시퀀스에 대해 미리 설정된 규칙에 따라 분할하는데, 분할된 측정 시퀀스의 길이가 비교적 짧기 때문에 각 세그먼테이션 내 위상이 선형에 근접하며, 분할된 각 세그먼테이션 측정 시퀀스의 위상 교정 계수를 각각 결정한 후에 각 세그먼테이션 측정 시퀀스의 위상 교정 계수에 따라 각 세그먼테이션 측정 시퀀스에 대해 위상 교정을 완성하면, 이는 비선형 측정 시퀀스를 선형에 근접한 몇개의 측정 시퀀스로 분할하여 각각의 선형에 근접한 측정 시퀀스에 대해 대응하는 위상 교정 계수를 사용하여 각각 교정하는 것에 해당하기에 위상 교정의 정확도를 대폭 향상시키고 우수한 위상 교정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술 방안을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이하에서 실시예의 설명에 사용된 도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며, 이하에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로서 당업자는 창의적인 작업을 거치지 않고서도 첨부한 도면에 기초하여 다른 도면을 얻을 수 있다는 것을 명백히 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상 교정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상 교정 방법의 구체적인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상 교정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상 교정 장치의 구체적인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전자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하는 저장 유닛을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방안의 개략적인 설명에 불과하다. 본 발명의 기술 수단을 더욱 명백히 설명하고 명세서의 내용에 따라 본 발명을 실시하며 본 발명의 상기 목적, 특징 및 장점을 더욱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방식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상기 목적, 특징 및 장점을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과 구체적인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구체적인 실시예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모든 실시예인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실시예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상 교정 방법의 흐름도이다.
상기 방법은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은 단계를 포함한다. 즉:
단계101: 미리 설정된 규칙에 따라, 수신된 측정 시퀀스를 분할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측정 시퀀스는 송신단에 의해 케이블 또는 전송 네트워크와 같은 전송 채널을 통해 수신단으로 전송될 수 있고; 수신단은 측정 시퀀스를 수신한 후, 미리 설정된 규칙에 따라 수신된 측정 시퀀스를 분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미리 설정된 규칙은 구체적으로 고정 주파수 간격을 설정하여 분할을 수행하거나 또는 제1 주파수 간격을 설정한 후에 오름 차순 또는 내림 차순 규칙에 따라 후속하는 제2세그먼테이션 및 제3 세그먼테이션을 분할하는 것일 수 있고, 또한 세그먼테이션 블록 알고리즘, 욕심 분할 알고리즘 등과 같은 특정 분할 알고리즘에 따라 분할하는 것일 수 있다. 수신된 측정 시퀀스에 대해 어떠한 미리 설정된 규칙에 따라 분할을 수행하던지 그 역할은 모두 각 측정 시퀀스의 길이가 원래의 측정 시퀀스보다 짧고 각 세그먼테이션 측정 시퀀스의 선형 위상이 원래의 측정 시퀀스보다 우수하도록, 수신된 측정 시퀀스를 복수의 세그먼테이션으로 분할하는 것이다. 당업자는 실제 응용 시나리오에 따라 적절한 미리 설정 규칙을 선택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는 미리 설정된 규칙의 특정 내용에 대해 구체적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바람직한 실시 방식으로서, 상기 미리 설정된 규칙에 따라 수신된 측정 시퀀스를 분할하는 단계는, 주파수 영역에서 욕심 분할 알고리즘으로 상기 수신된 측정 시퀀스에 대해 분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구체적인 적용 과정에서, 측정 시퀀스는 주파수 영역 전대역 내에서 주파수 간격(Δf)에 따라 생성된 길이가 N개 주파수 간격(Δf)인 측정 시퀀스일 수 있고, N은 2보다 큰 자연수이다.
송신단, 전송 채널 및 수신단으로서의 장치 성능의 원인으로 인해 수신단에 의해 수신된 측정 시퀀스가 실제 측정 시퀀스와 일정한 오차가 발생할 수 있고, 수신단은 측정 시퀀스를 수신한 후에 실제 측정 시퀀스와 수신된 측정 시퀀스의 대조 관계를 통해 상기 송신단, 전송 채널 및 수신단을 기반으로 하는 채널 주파수의 응답 Hest(i)을 결정할 수 있으며, 여기서 i=0,1,…,N-1이고, N은 측정 시퀀스의 길이이며, 각 주파수 간격은 수신된 측정 시퀀스 중의 하나의 샘플 포인트에 대응하며, Hest(i)에서 제i개 주파수 간격이 측정 시퀀스에서 대응하는 샘플 포인트의 위상φ(i)를 얻을 수 있고, 여기서 i=0,1,…,N-1이다. 서로 인접한 샘플 포인트 사이의 Hest(i)에 대해 공액하면 Hcorr(i)=Hest(i+1)*(Hest(i) )*를 얻을 수 있으며, 여기서 Hcorr(i)는 서로 인접한 샘플 포인트 사이의 채널 주파수 응답의 공액 결과를 가리키며, Hcorr(i)에서 서로 인접하는 두 샘플 포인트 사이의 위상차Δφ(i)를 얻을 수 있고, 여기서 i=0,1,…,N-2이다.
바람직하게, 주파수 영역에서 욕심 분할 알고리즘으로 상기 측정 시퀀스에 대해 분할하는 구체적인 단계는 다음의 단계를 포함한다. 즉:
단계A1: 상기 수신된 측정 시퀀스 중의 제1 세그먼테이션 측정 시퀀스의 제1 세그먼테이션 길이를 결정하며, 상기 제1 세그먼테이션 길이의 초기값은 상기 측정 시퀀스의 최대 세그먼테이션 간격(Nmax)이고, 상기 최대 세그먼테이션 간격(Nmax)은 최대로 N/2개 주파수 간격을 포함한다.
욕심 분할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수신된 측정 시퀀스를 분할하는 경우, 매번 마다 가능한 최대 세그먼테이션 간격을 분할에 사용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는 수신된 측정 시퀀스에 대해 전대역에서 분할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수신된 측정 시퀀스의 길이가 N개 주파수 간격이기 때문에, 수신된 측정 시퀀스를 분할하는 경우, 최대 세그먼테이션 간격(Nmax)을 최대로 N/2개 주파수 간격을 포함하도록 설정할 수 있고, 제1 세그먼테이션 측정 시퀀스의 제1 세그먼테이션 길이의 초기값을 최대 세그먼테이션 간격(Nmax)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실제 상황에 따라, 최소 세그먼테이션에 포함되는 주파수 간격 수를 Nmin로 결정하고, 후속 단계에서 상기 제1 세그먼테이션 길이를 Nmin이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단계A2: 상기 제1 세그먼테이션 측정 시퀀스의 위상 기울기(k)를 결정한다.
구체적인 적용 과정에서, 제1 세그먼테이션 길이가 Nmax개 주파수 간격인 경우, 상기 Nmax개 주파수 간격에 포함되는 각 샘플 포인트(i)를 결정할 수 있으며, 상기 Nmax개 주파수 간격에 포함되는 각각의 서로 인접하는 샘플 포인트(i, i+1)에 대응하는 Δφ(i)를 평균하여 제1 세그먼테이션 측정 시퀀스의 위상 기울기(k)를 얻을 수 있다.
단계A3: 상기 위상 기울기와 상기 제1 세그먼테이션 측정 시퀀스의 초기 위상값(b)을 통해 제1 세그먼테이션 측정 시퀀스의 제1 위상 피팅 곡선:φ'(i) =k*fidx+b을 결정한다. 여기서, 상기 fidx는 주파수 간격 지수이다.
구체적인 적용 과정에서, 초기 위상 부터 b까지는 제1 세그먼테이션 측정 시퀀스 중의 각 샘플 포인트의 위상φ(i)에 대해 선형 피팅을 수행하여 얻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세그먼테이션 측정 시퀀스 중의 각 샘플 포인트의 위상φ(i)을 평균하여 초기 위상(b)을 얻을 수 있고, 초기 위상(b)을 계산할때 다음의 선형 피팅 계산식을 사용할 수 있다.
Figure pct00001
여기서,
Figure pct00002
는 제1 세그먼테이션 내 평균 위상을 나타내고;
Figure pct00003
는 제1 세그먼테이션 내 평균 위상차를 나타내며;
Figure pct00004
는 평균 위상이 세그먼테이션 내에서의 주파수 위치를 나타낸다.
따라서, 위상 기울기(k)와 초기 위상(b)에 의해 제1 위상 피팅 곡선을 얻을 수 있다.
φ'(i)=k*fidx+b
여기서, fidx는 주파수 간격 지수이며, 구체적으로, fidx는 i*Δf, 즉 제i개 샘플 포인트의 제1 위상 피팅 곡선에서 대응하는 주파수값이다.
단계A4: 상기 위상 피팅 곡선에 의해 결정된 각 상기 샘플 포인트의 제1 피팅 위상과 상기 제1 세그먼테이션 측정 시퀀스의 각 상기 샘플 포인트의 실제 위상의 차이값을 결정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최대 세그먼테이션 간격(Nmax)에 따라 분할하는 방식을 통해 얻은 제1 위상 피팅 곡선이 정확하지 않을 수 있는 상황을 감안하여, 상기 제1 세그먼테이션 측정 시퀀스의 품질에 대해 검측하고, 검측 결과에 따라 최적화한다.
구체적인 적용 과정에서, fidx를 제1 위상 피팅 곡선에 대입하여 상응한 φ'(i)를 계산하고, φ'(i)와 fidx에 실제로 대응되는 실제 위상φ(i)의 차이값을 계산한다.
단계A5: 만일 차이값이 미리 설정된 차이값 임계값보다 크면, 상기 제1 세그먼테이션 길이에 포함되는 주파수 간격 수를 감소시킨다.
구체적인 적용 과정에서, 상기 제1 세그먼테이션 내 위상 표준 편차가 σstd이면, 미리 설정된 차이값 임계값은 c*σstd이며, 여기서 c는 1보다 큰 자연수이고, c의 구체적인 값은 실제 응용 시나리오에 따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확한 위상 교정이 요구되는 응용 시나리오에서는 c를 비교적 작은 값으로 설정할 수 있고, 정확한 위상 교정을 요구하지 않는 응용 시나리오에서는 c를 비교적 큰 값으로 설정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를 한정하지 않는다.
φ'(i)와 φ(i)의 차이값이 미리 설정된 차이값 임계값보다 큰 경우, 제1 세그먼테이션의 길이가 너무 긴 것으로 인정할 수 있으며, 제1 세그먼테이션 길이에 포함되는 주파수 간격 수를 감소시키는 방식으로 최적화해야 한다.
제1 세그먼테이션 길이에 포함된 주파수 간격 수를 감소시키는 구체적인 방법으로는, 고정된 ΔN개 주파수 간격을 감소하거나 또는 비례(μ)에 따라 감소(0<μ<1)한 후에 μ*제1 세그먼테이션 길이의 결과에서 정수를 취하는 것 일 수 있다. 당업자는 실제 상황에 따라 다른 방식을 통해 제1 세그먼테이션 길이에 포함되는 주파수 간격 수를 감소할 수도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를 한정하지 않는다.
단계A6: 제1 세그먼테이션 길이를 감소시킨 후, 차이값이 상기 미리 설정된 차이값 임계값의 제1 세그먼테이션 길이(N1)와 제1 위상 피팅 곡선보다 크지 않은 것을 결정함으로써 제1 세그먼테이션 측정 시퀀스를 결정하고 제1 분할을 완성할 때까지, 단계A1-A5를 반복할 수 있다.
단계A7: 제1 분할을 완성 후, 제2 분할을 수행한다. 제2 세그먼테이션 측정 시퀀스에서 N1을 제2 세그먼테이션 길이의 초기값으로 하여 제1 분할과 유사한 원리로 차이값이 상기 미리 설정된 차이값 임계값의 제2 세그먼테이션 길이(N2)와 제2 위상 피팅 곡선보다 크지 않은 것을 결정하고, 제2 분할을 완성한다.
단계A8: 이러한 방식으로 유추하여 제3 세그먼테이션 측정 시퀀스, 제4 세그먼테이션 측정 시퀀스 등 모든 측정 시퀀스에 대한 분할을 완성하여 최종적으로 모든 세그먼테이션 길이 N1+…+Nn=N를 얻으며, 수신된 측정 시퀀스의 분할을 완성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른 바람직한 방안으로서, 상기 수신된 측정 시퀀스가 대칭되는 전대역 측정 시퀀스인 경우, 상기 미리 설정된 규칙에 따라 수신된 측정 시퀀스를 분할하는 단계는 다음과 같은 단계를 포함한다. 즉:
단계B1: 중심 주파수를 경계로 상기 전대역 측정 시퀀스를 제1 주파수 대역 측정 시퀀스 및 제2 주파수 대역 측정 시퀀스로 구분하며, 여기서 상기 제1 주파수 대역 측정 시퀀스와 상기 제2 주파수 대역 측정 시퀀스의 위상 기울기는 상기 중심 주파수를 중심으로 대칭된다.
단계B2: 주파수 영역에서 욕심 분할 알고리즘으로 상기 제1 주파수 대역 측정 시퀀스에 대해 제1 분할을 수행한다.
단계B3: 상기 제1 주파수 대역 측정 시퀀스와 상기 제2 주파수 대역 측정 시퀀스의 기울기의 대칭 관계에 따라, 상기 제2 주파수 대역 측정 시퀀스에서 상기 제1 분할에 대응하는 제2 분할을 사용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중심 주파수를 경계로 전대역 측정 시퀀스를 제1 주파수 대역 측정 시퀀스 및 제2 주파수 대역 측정 시퀀스로 구분할 수 있으며, 제1 주파수 대역 측정 시퀀스와 제2 주파수 대역 측정 시퀀스가 중심 주파수를 중심으로 거의 대칭되고 제1 주파수 대역 측정 시퀀스와 제2 주파수 대역 측정 시퀀스의 위상 기울기도 중심 주파수를 중심으로 거의 대칭되기 때문에, 제1 주파수 대역 측정 시퀀스를 욕심 분할 알고리즘으로 분할한 후에 제1 주파수 대역 측정 시퀀스와 제2 주파수 대역 측정 시퀀스 기울기의 대칭 관계에 따라 제2 주파수 대역 측정 시퀀스에서 동일하게 분할함으로써, 제2 주파수 대역 측정 시퀀스의 분할을 신속하게 완성할 수 있으며, 거의 절반의 계산량을 줄이기에 분할 효율을 대폭 향상시킨다.
구체적인 적용 과정에서, 제1 주파수 대역 측정 시퀀스와 제2 주파수 대역 측정 시퀀스는 모두 양의 주파수 대역 측정 시퀀스 또는 음의 주파수 대역 측정 시퀀스일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먼저 양의 주파수 대역 측정 시퀀스의 분할을 완성한 후에 음의 주파수 대역 측정 시퀀스와 양의 주파수 대역 측정 시퀀스의 대칭 관계에 따라, 음의 주파수 대역 측정 시퀀스에서 동일한 분할을 수행할 수 있고, 또한 먼저 음의 주파수 대역 측정 시퀀스의 분할을 완성한 후에 양의 주파수 대역 측정 시퀀스와 음의 주파수 대역 측정 시퀀스의 대칭 관계에 따라, 양의 주파수 대역 측정 시퀀스에서 동일한 분할을 수행할 수도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를 한정하지 않는다.
주파수 영역에서 욕심 분할 알고리즘으로 제1 주파수 대역 측정 시퀀스에 대해 제1 분할을 수행하는 원리는 단계A1-A8와 유사하며, 구별되는 점이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각 세그먼테이션 길이의 합이 N1+…+Nn=N/2인 경우, 제1 주파수 대역 측정 시퀀스의 제1 분할이 완성된다. 구체적인 구현 과정에 대해 여기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단계102: 분할된 각 세그먼테이션 측정 시퀀스의 위상 교정 계수를 각각 결정하며, 여기서 상기 각 세그먼테이션 측정 시퀀스는 각각 세그먼테이션 위상에 대응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분할 완성 후 각 세그먼테이션 측정 시퀀스에서 각각 대응하는 위상 피팅 곡선:φ'(i)=k*fidx+b을 통해 상기 세그먼테이션 측정 시퀀스에 포함된 샘플 포인트에 대응하는 피팅 위상, 다시 말하면, 세그먼테이션 위상을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인 적용 과정에서, 세그먼테이션 위상은 상기 세그먼테이션 측정 시퀀스에 포함된 모든 샘플 포인트에 대응하는 φ'(i)의 평균값일 수 있다. 각 세그먼테이션 위상에 대해 좌표 회전 디지털 컴퓨터(Coordinate Rotation Digital Computer, cordic) 또는 테이블 룩업 등 방법을 사용하여 각 세그먼테이션 측정 시퀀스의 위상 교정 계수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바람직한 실시 방식으로서, 단계A1-A8의 기초에서, 상기 분할된 각 세그먼테이션 측정 시퀀스의 위상 교정 계수를 각각 결정하는 단계는 다음과 같은 단계를 포함한다. 즉:
단계C1: 미리 설정된 해상도(Δfres)에 따라 상기 각 세그먼테이션 측정 시퀀스에 대해 각각 선형 피팅을 수행하여 상기 각 세그먼테이션 측정 시퀀스의 상기 미리 설정된 해상도를 단위로 하는 제2 피팅 위상을 얻으며, 여기서 상기 미리 설정된 해상도(Δfres)는 상기 주파수 간격(Δf)보다 작다.
단계C2: 각 상기 제2 피팅 위상에 대응하는 위상 교정 계수를 각각 결정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정확한 위상 교정을 요구하는 응용 시나리오를 감안하여 각 세그먼테이션 내 필요한 해상도(Δfres)를 미리 설정할 수 있으며, Δfres는 주파수 간격(Δf)보다 작다. 구체적인 적용 과정에서, Δf=M*Δfres로 설정할 수 있고, 여기서 M는 양의 정수이며, 이에 따라, 선형 피팅의 복잡성을 감소시킨다. 물론, 당업자는 실제 상황에 따라 상응한 Δfres를 설정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를 한정하지 않는다.
Δfres와 Δf의 대응 관계에 따라 각 세그먼테이션 측정 시퀀스에 대해 선형 피팅을 수행하여 각 세그먼테이션 측정 시퀀스의 상기 미리 설정된 해상도를 단위로 하는 제2 피팅 위상을 얻을 수 있다. 각 제2 피팅 위상에 대해서는 cordic 또는 테이블 룩업 등 방법을 사용하여 각 세그먼테이션 측정 시퀀스의 위상 교정 계수를 얻을 수 있다.
단계103: 점검 대상 시퀀스에 대해 위상 교정 수행 시, 상기 점검 대상 시퀀스의 위상과 상기 세그먼테이션 위상의 매칭 관계에 따라, 매칭된 세그먼테이션 위상에 대응하는 위상 교정 계수를 사용하여 상기 점검 대상 시퀀스에 대해 위상 교정을 수행한다.
구체적인 적용 과정에서, 측정 시퀀스를 통해 각 세그먼테이션 위상 및 각 세그먼테이션 위상에 대응하는 위상 교정 계수를 결정한 후, 위상 교정이 필요한 점검 대상 시퀀스가 존재하는 경우, 점검 대상 시퀀스의 위상과 각 세그먼테이션 위상을 매칭하여 만일 매칭되면 매칭된 세그먼테이션 위상에 대응하는 위상 교정 계수를 사용하여 점검 대상 시퀀스에 대해 위상 교정을 수행한다. 점검 대상 시퀀스의 위상이 복수개 존재할 수 있고, 각 세그먼테이션 위상과 매칭된 후 서로 다른 위상에 복수의 세그먼테이션 위상이 매칭될 수 있다. 따라서, 점검 대상 시퀀스의 서로 다른 위상 부분에 대해 서로 다른 위상 교정 계수를 사용하여 정확하게 교정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송신단의 위상 교정에 적용될 수도 있고, 수신단의 위상 교정에 적용될 수도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는 구체적인 응용 시나리오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는 수신된 측정 시퀀스에 대해 미리 설정된 규칙에 따라 분할하는데, 분할된 측정 시퀀스의 길이가 비교적 짧기 때문에 각 세그먼테이션 내 위상이 선형에 근접하며, 분할된 각 세그먼테이션 측정 시퀀스의 위상 교정 계수를 각각 결정한 후에 각 세그먼테이션 측정 시퀀스의 위상 교정 계수에 따라 각 세그먼테이션 측정 시퀀스에 대해 위상 교정을 완성하면, 이는 비선형 측정 시퀀스를 선형에 근접한 몇개의 측정 시퀀스로 분할하여 각각의 선형에 근접한 측정 시퀀스에 대해 대응하는 위상 교정 계수를 사용하여 각각 교정하는 것에 해당하기에 위상 교정의 정확도를 대폭 향상시키고 우수한 위상 교정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실시예 2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상 교정 방법의 구체적인 흐름도이며, 구체적으로 다음의 단계를 포함한다. 즉:
단계201: 전송 채널을 통해 측정 시퀀스를 수신한다.
단계202: 상기 전송 채널의 신호대 잡음비가 미리 설정된 신호대 잡음비 임계값보다 작은 경우, 수신된 측정 시퀀스에 대해 시간 영역 윈도윙 노이즈 억제를 수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전송 채널의 신호대 잡음비가 비교적 작으면 상기 전송 채널에 의해 전송된 측정 시퀀스가 비교적 큰 노이즈를 받게 되는 상황을 감안하여, 전송 채널의 신호대 잡음비가 미리 설정된 신호대 잡음비 임계값보다 작은 경우, 수신된 측정 시퀀스에 대해 시간 영역 윈도윙 노이즈 억제를 수행한다. 채널의 노이즈가 전송된 측정 시퀀스에 대한 영향을 감소시키면, 더욱 우수한 위상 교정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구체적인 적용 과정에서, 시간 영역 윈도윙 노이즈 억제를 수행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즉, 역 이산 푸리에 변환(Inverse Discrete Fourier Transform, IDFT)조작을 통해 Hest를 시간 영역으로 변환 후, 윈도윙 기법으로 노이즈를 억제하며, 그 다음에 이산 푸리에 변환( Discrete Fourier Transform, DFT)을 통해 다시 주파수 영역으로 변환한다. 예를 들어, 간단한 시간 영역 윈도윙 방법은 다음과 같다. 피크 주변의 N/4개 샘플을 유지하고, 피크 앞의 N*1/16 및 피크 뒤의 N*3/16 부분을 취하고 다른 부분은 0으로 리셋한다. 물론, 당업자는 실제 상황에 따라 시간 영역 윈도윙 노이즈 억제 방식을 설정할 수 있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를 한정하지 않는다.
단계203: 미리 설정된 규칙에 따라 수신된 측정 시퀀스를 분할한다.
단계204: 분할된 각 세그먼테이션 측정 시퀀스의 위상 교정 계수를 각각 결정하며, 여기서 상기 각 세그먼테이션 측정 시퀀스는 각각 세그먼테이션 위상에 대응된다.
단계205: 점검 대상 시퀀스에 대해 위상 교정 수행 시, 상기 점검 대상 시퀀스의 위상과 상기 세그먼테이션 위상의 매칭 관계에 따라, 매칭된 세그먼테이션 위상에 대응하는 위상 교정 계수를 사용하여 상기 점검 대상 시퀀스에 대해 위상 교정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수신된 측정 시퀀스에 대해 미리 설정된 규칙에 따라 분할하는데, 분할된 측정 시퀀스의 길이가 비교적 짧기 때문에 각 세그먼테이션 내 위상이 선형에 근접하며, 분할된 각 세그먼테이션 측정 시퀀스의 위상 교정 계수를 각각 결정한 후에 각 세그먼테이션 측정 시퀀스의 위상 교정 계수에 따라 각 세그먼테이션 측정 시퀀스에 대해 위상 교정을 완성하면, 이는 비선형 측정 시퀀스를 선형에 근접한 몇개의 측정 시퀀스로 분할하여 각각의 선형에 근접한 측정 시퀀스에 대해 대응하는 위상 교정 계수를 사용하여 각각 교정하는 것에 해당하기에 위상 교정의 정확도를 대폭 향상시키고 우수한 위상 교정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해, 방법 실시예에 대해 일련의 동작의 조합에 의해 설명하였지만, 당업자는 본 발명의 실시예가 상기에 설명한 동작 순서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단계는 다른 순서에 따라 수행되거나 또는 동시에 수행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당업자는 명세서에 설명한 실시예가 모두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하며, 여기서 설명된 동작이 반드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불가결한 것은 아님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실시예 3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상 교정 장치의 블록도이며, 상기 장치는,
미리 설정된 규칙에 따라, 수신된 측정 시퀀스를 분할하기 위한 분할 모듈(310);
분할된 각 세그먼테이션 측정 시퀀스의 위상 교정 계수를 각각 결정하기 위한 위상 교정 계수 결정 모듈(320) - 상기 각 세그먼테이션 측정 시퀀스는 세그먼테이션 위상에 각각 대응함 - ; 및,
점검 대상 시퀀스에 대해 위상 교정 수행 시, 상기 점검 대상 시퀀스의 위상과 상기 세그먼테이션 위상의 매칭 관계에 따라, 매칭된 세그먼테이션 위상에 대응하는 위상 교정 계수를 사용하여 상기 점검 대상 시퀀스에 대해 위상 교정을 수행하기 위한 위상 교정 모듈(330);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분할 모듈(310)은,
주파수 영역에서 욕심 분할 알고리즘으로 상기 수신된 측정 시퀀스에 대해 분할하기 위한 분할 서브 모듈;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측정 시퀀스는 미리 설정된 주파수 간격(Δf)에 따라 생성된 측정 시퀀스이고, 상기 측정 시퀀스는 N개 주파수 간격을 포함하며, 여기서 N은 2보다 큰 자연수이고, 각각의 상기 주파수 간격은 수신된 측정 시퀀스에서 하나의 샘플 포인트에 대응하며;
상기 분할 서브 모듈은,
상기 수신된 측정 시퀀스 중의 제1 세그먼테이션 측정 시퀀스의 제1 세그먼테이션 길이를 결정하기 위한 제1 세그먼테이션 길이 결정 유닛 - 상기 제1 세그먼테이션 길이의 초기값은 상기 측정 시퀀스의 최대 세그먼테이션 간격(Nmax)이고, 상기 최대 세그먼테이션 간격(Nmax)은 최대로 N/2개 주파수 간격을 포함함 - ;
상기 제1 세그먼테이션 측정 시퀀스의 위상 기울기(k)를 결정하기 위한 위상 기울기 결정 유닛;
상기 위상 기울기 및 상기 제1 세그먼테이션 측정 시퀀스의 초기 위상값(b)을 통해 제1 세그먼테이션 측정 시퀀스의 제1 위상 피팅 곡선 : φ'(i)=k*fidx+b 을 결정하기 위한 제1 위상 피팅 곡선 결정 유닛 - 상기 fidx는 주파수 간격 지수임 - ;
상기 위상 피팅 곡선을 통해 결정된 각 상기 샘플 포인트의 제1 피팅 위상과 상기 제1 세그먼테이션 측정 시퀀스의 각 상기 샘플 포인트의 실제 위상의 차이값을 결정하기 위한 차이값 결정 유닛;
만일 상기 차이값이 미리 설정된 차이값 임계값보다 크면, 상기 제1 세그먼테이션 길이에 포함되는 주파수 간격 수를 감소시키기 위한 제1 세그먼테이션 길이 조절 유닛;
차이값이 상기 미리 설정된 차이값 임계값의 제1 세그먼테이션 길이(N1) 및 제1 위상 피팅 곡선보다 크지 않은 것이 결정될 때까지, 상기 각 유닛의 수행 단계를 반복하는 제1 세그먼테이션 측정 시퀀스 결정 유닛;
상기 N1을 상기 측정 시퀀스 중의 제2 세그먼테이션 측정 시퀀스의 제2 세그먼테이션 길이의 초기값으로 하여 상기 제2 세그먼테이션 측정 시퀀스의 차이값이 상기 미리 설정된 차이값 임계값의 제2 세그먼테이션 길이(N2) 및 제2 위상 피팅 곡선보다 크지 않은 것을 결정하는 제2 세그먼테이션 측정 시퀀스 결정 유닛;
상기 수신된 측정 시퀀스의 분할이 완료될 때까지 상기 각 유닛의 수행 단계를 반복하는 측정 시퀀스 분할 결정 유닛;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분할 모듈(310)은,
상기 수신된 측정 시퀀스가 대칭되는 전대역 측정 시퀀스인 경우, 중심 주파수를 경계로 상기 전대역 측정 시퀀스를 제1 주파수 대역 측정 시퀀스 및 제2 주파수 대역 측정 시퀀스로 구분하는 측정 시퀀스 구분 서브 모듈 - 상기 제1 주파수 대역 측정 시퀀스와 상기 제2 주파수 대역 측정 시퀀스의 위상 기울기는 상기 중심 주파수를 중심으로 대칭됨 - ;
주파수 영역에서 욕심 분할 알고리즘으로 상기 제1 주파수 대역 측정 시퀀스에 대해 제1 분할을 수행하는 제1 분할 서브 모듈; 및,
상기 제1 주파수 대역 측정 시퀀스와 상기 제2 주파수 대역 측정 시퀀스의 기울기의 대칭 관계에 따라, 상기 제2 주파수 대역 측정 시퀀스에서 상기 제1 분할에 대응하는 제2 분할을 사용하기 위한 제2 분할 서브 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위상 교정 계수 결정 모듈(320)은,
미리 설정된 해상도(Δfres)에 따라 상기 각 세그먼테이션 측정 시퀀스에 대해 각각 선형 피팅을 수행하여 상기 각 세그먼테이션 측정 시퀀스의 상기 미리 설정된 해상도를 단위로 하는 제2 피팅 위상을 얻기 위한 제2 피팅 위상 결정 서브 모듈 - 상기 미리 설정된 해상도(Δfres)는 상기 주파수 간격(Δf)보다 작음 - ; 및,
각 상기 제2 피팅 위상에 대응하는 위상 교정 계수를 각각 결정하는 위상 교정 계수 결정 서브 모듈;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도 4를 참조하면, 도 3의 기초에서 상기 장치는,
전송 채널을 통해 측정 시퀀스를 수신하는 수신 모듈(340); 및,
상기 전송 채널의 신호대 잡음비가 미리 설정된 신호대 잡음비 임계값보다 작은 경우, 수신된 측정 시퀀스에 대해 시간 영역 윈도윙 노이즈 억제를 수행하는 시간 영역 윈도윙 노이즈 억제 모듈(350);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수신된 측정 시퀀스에 대해 미리 설정된 규칙에 따라 분할하는데, 분할된 측정 시퀀스의 길이가 비교적 짧기 때문에 각 세그먼테이션 내 위상이 선형에 근접하며, 분할된 각 세그먼테이션 측정 시퀀스의 위상 교정 계수를 각각 결정한 후에 각 세그먼테이션 측정 시퀀스의 위상 교정 계수에 따라 각 세그먼테이션 측정 시퀀스에 대해 위상 교정을 완성하면, 이는 비선형 측정 시퀀스를 선형에 근접한 몇개의 측정 시퀀스로 분할하여 각각의 선형에 근접한 측정 시퀀스에 대해 대응하는 위상 교정 계수를 사용하여 각각 교정하는 것에 해당하기에 위상 교정의 정확도를 대폭 향상시키고 우수한 위상 교정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장치 실시예는 기본적으로 방법 실시예와 유사하기 때문에, 여기서는 간단히 설명하며, 관련되는 부분은 방법 실시예의 설명을 참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각 구성 요소의 실시예는 하드웨어 또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서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당업자는 실제 사용에서 마이크로 프로세서 또는 디지털신호 프로세서(DSP)를 사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일부 또는 모든 컴포넌트의 일부 또는 전부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명세서에 기술된 방법의 일부 또는 전부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또는 장치의 프로그램(예를 들어, 컴퓨터 프로그램 및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이러한 프로그램은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거나 하나 이상의 신호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신호는 인터넷 웹 사이트에서 다운하거나 반송파 신호 또는 다른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상 교정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서버 등과 같은 전자 장치이다. 상기 전자 장치는 일반적으로 프로세서(1010) 및 메모리(1020) 형태의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포함한다. 메모리(1020)는 플래시 메모리, 전기적 이피롬(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EEPROM), EPROM, 하드디스크 또는 ROM과 같은 전자 메모리일 수 있다. 메모리(1020)는 상기 방법의 임의의 방법 단계를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1031)를 저장하는 저장 공간(1030)을 갖는다. 예를 들어,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 공간(1030)에는 상기 방법의 다양한 단계를 구현하기 위한 각각의 프로그램 코드(1031)가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프로그램 코드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에서 읽거나 쓸 수 있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에는 하드디스크, CD, 메모리 카드 또는 플로피 디스크와 같은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 가능한 매체가 포함된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일반적으로 도 6의 휴대형 또는 고정 저장 유닛이다. 상기 저장 유닛은 도 5의 전자 장치의 메모리(1020)와 유사하게 배치된 저장부, 저장 공간 등을 가질 수 있다. 프로그램 코드는 적절한 형태로 압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저장 유닛은 프로세서(1010)와 같은 전자 장치에 의해 판독될 수 있는 코드 등 컴퓨터 판독 가능 코드(1031')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코드는 전자 장치에 의해 실행될때 전자 장치가 상기 방법의 다양한 단계를 수행하게 한다.
본 명세서에서 각 실시예는 점진적으로 설명되고, 각 실시예에 대해서는 다른 실시예와 구별되는 점에 대해 중점적으로 설명하며, 각 실시예의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은 서로 참조할 수 있다.
당업자는 본 발명의 실시예가 방법, 장치 또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서 제공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하드웨어 실시예, 소프트웨어 실시예 또는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를 결합한 형태일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의 실시예는 컴퓨터 사용 가능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사용 가능 저장 매체(디스크 저장 장치, CD-ROM, 광학 저장 장치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음) 상에 구현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형태를 사용할 수 있다.
전형적인 구성에서, 컴퓨터 장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CPU), 입력/출력 인터페이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및 메모리를 포함한다. 메모리는 비 영구 메모리,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및/또는 롬-리드 온리 메모리(read-only memory, ROM) 또는 플래시 RAM과 같은 비 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의 예시이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영구적 및 비 영구적, 이동형 및 비 이동형 매체를 포함하고,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에 의해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정보는 컴퓨터 판독 가능 명령,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의 모듈 또는 다른 데이터일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위상 변경 메모리(PRAM), 정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SRAM),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DRAM), 다른 유형의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및 판독 전용 메모리(ROM), 전기적으로 소거 가능한 프로그램 가능 읽기 전용 메모리(EEPROM), 플래시 메모리 또는 기타 메모리 기술, CD-ROM(read-only disc read-only memory), DVD(digital versatile disc) 또는 기타 광 저장 장치, 자기 테이프 카트리지,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 저장 장치 또는 다른 자기 저장 장치 또는 임의의 다른 비 전송 매체, 컴퓨팅 장치에 의해 액세스 될 수있는 정보를 저장하는 장치 등 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정의된 바와 같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변조된 데이터 신호 및 반송파와 같은 비 지속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포함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 단말 장치(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흐름도 및/또는 블록도를 참조하여 설명된다. 흐름도 및/또는 블록도의 각 흐름 및/또는 블록 및 흐름도 및/또는 블록도의 흐름 및/또는 블록의 조합은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은 범용 컴퓨터, 특수 목적 컴퓨터, 내장 프로세서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 가능 위상 교정 단말 장치의 프로세서에 제공되어 다른 컴퓨터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 가능 위상 교정 단말 장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어 하나 이상의 흐름도 및/또는 블록도의 하나 이상의 블록에 지정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장치를 생성할 수 있다.
흐름도의 하나 이상의 흐름 및/또는 블록도의 하나 이상의 블록에 지정된 기능을 구현할 수 있도록,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는 컴퓨터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 가능 위상 교정 단말 장치 및 특정 방식으로 동작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될 수도 있다.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래밍 가능 단말 장치에서 일련의 단계를 수행하여 컴퓨터로 구현된 프로세스를 생성하여 컴퓨터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 가능 단말 장치에서 실행되는 명령으로 흐름도의 흐름 및/또는 블록도의 하나 이상의 블록에 지정된 기능을 실현할 수 있도록,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는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래밍 가능 위상 교정 단말 장치에 로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기와 같이 설명하였지만, 당업자는 기본적인 창의적 개념을 기반으로 이러한 실시예에 대해 다른 변경 및 수정을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첨부된 청구 범위는 바람직한 실시예 및 본 발명의 실시예의 범위에 속하는 모든 변경 및 수정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본 명세서에서 제1 및 제2 등과 같은 관계를 나타내는 용어는 하나의 엔티티 또는 동작을 다른 엔티티 또는 동작과 구별하기 위해서만 사용되며, 이러한 엔티티 또는 동작 사이에 반드시 이러한 실제 관계나 순서가 존재한다는 것을 요구하거나 암시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용어 “포함”, “함유” 또는 임의의 다른 변형은 일련의 요소를 포함하는 과정, 방법, 물품 또는 단말이 이러한 요소뿐만 아니라 명시적으로 열거되지 않은 다른 요소도 포함하거나 또는 이러한 과정, 방법, 물품 또는 단말의 고유한 요소를 포함하는 비 배타적인 포함을 나타낸다. 별도로 제한이 없는 한, “하나를 포함”으로 한정된 요소는 상기 과정, 방법, 물품 또는 단말에 다른 동일한 요소가 포함될 수 있는 상황을 배제하지 않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위상 교정 방법 및 위상 교정 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다. 비록, 구체적인 예시를 사용하여 본 발명의 원리 및 실시 방식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이러한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방법과 취지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이다. 또한, 당업자는 본 발명의 취지에 따라 구체적인 실시 방식과 적용 범위에 대해 변경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14)

  1. 위상 교정 방법에 있어서,
    미리 설정된 규칙에 따라, 수신된 측정 시퀀스를 분할하는 단계;
    분할된 각 세그먼테이션 측정 시퀀스의 위상 교정 계수를 각각 결정하는 단계 - 상기 각 세그먼테이션 측정 시퀀스는 세그먼테이션 위상에 각각 대응함 - ;
    점검 대상 시퀀스에 대해 위상 교정 수행 시, 상기 점검 대상 시퀀스의 위상과 상기 세그먼테이션 위상의 매칭 관계에 따라, 매칭된 세그먼테이션 위상에 대응하는 위상 교정 계수를 사용하여 상기 점검 대상 시퀀스에 대해 위상 교정을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규칙에 따라 수신된 측정 시퀀스를 분할하는 단계는,
    주파수 영역에서 욕심 분할 알고리즘으로 상기 수신된 측정 시퀀스에 대해 분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시퀀스는 미리 설정된 주파수 간격(Δf)에 따라 생성된 측정 시퀀스이고, 상기 측정 시퀀스는 N개 주파수 간격을 포함하며, 여기서 N은 2보다 큰 자연수이고, 각각의 상기 주파수 간격은 수신된 측정 시퀀스에서 하나의 샘플 포인트에 대응하며;
    상기 주파수 영역에서 욕심 분할 알고리즘으로 상기 수신된 측정 시퀀스에 대해 분할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측정 시퀀스 중의 제1 세그먼테이션 측정 시퀀스의 제1 세그먼테이션 길이를 결정하는 단계 - 상기 제1 세그먼테이션 길이의 초기값은 상기 측정 시퀀스의 최대 세그먼테이션 간격(Nmax)이고, 상기 최대 세그먼테이션 간격(Nmax)은 최대로 N/2개 주파수 간격을 포함함 - ;
    상기 제1 세그먼테이션 측정 시퀀스의 위상 기울기(k)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위상 기울기 및 상기 제1 세그먼테이션 측정 시퀀스의 초기 위상값(b)을 통해 제1 세그먼테이션 측정 시퀀스의 제1 위상 피팅 곡선 : φ'(i)=k*fidx+b 을 결정하는 단계 - 상기 fidx는 주파수 간격 지수임 - ;
    상기 위상 피팅 곡선을 통해 결정된 각 상기 샘플 포인트의 제1 피팅 위상과 상기 제1 세그먼테이션 측정 시퀀스의 각 상기 샘플 포인트의 실제 위상의 차이값을 결정하는 단계;
    만일 상기 차이값이 미리 설정된 차이값 임계값보다 크면, 상기 제1 세그먼테이션 길이에 포함되는 주파수 간격 수를 감소시키는 단계;
    차이값이 상기 미리 설정된 차이값 임계값의 제1 세그먼테이션 길이(N1) 및 제1 위상 피팅 곡선보다 크지 않은 것이 결정될 때까지, 상기 단계를 반복하는 단계;
    상기 N1을 상기 측정 시퀀스 중의 제2 세그먼테이션 측정 시퀀스의 제2 세그먼테이션 길이의 초기값으로 하여 상기 제2 세그먼테이션 측정 시퀀스의 차이값이 상기 미리 설정된 차이값 임계값의 제2 세그먼테이션 길이(N2) 및 제2 위상 피팅 곡선보다 크지 않은 것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측정 시퀀스의 세그먼테이션화가 완료될 때까지 상기 단계를 반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규칙에 따라 수신된 측정 시퀀스를 분할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측정 시퀀스가 대칭되는 전대역 측정 시퀀스인 경우, 중심 주파수를 경계로 상기 전대역 측정 시퀀스를 제1 주파수 대역 측정 시퀀스 및 제2 주파수 대역 측정 시퀀스로 구분하는 단계 - 상기 제1 주파수 대역 측정 시퀀스와 상기 제2 주파수 대역 측정 시퀀스의 위상 기울기는 상기 중심 주파수를 중심으로 대칭됨 - ;
    주파수 영역에서 욕심 분할 알고리즘으로 상기 제1 주파수 대역 측정 시퀀스에 대해 제1 분할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제1 주파수 대역 측정 시퀀스와 상기 제2 주파수 대역 측정 시퀀스의 기울기의 대칭 관계에 따라, 상기 제2 주파수 대역 측정 시퀀스에서 상기 제1 분할에 대응하는 제2 분할을 사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규칙에 따라 수신된 측정 시퀀스를 분할하는 단계는,
    전송 채널을 통해 측정 시퀀스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전송 채널의 신호대 잡음비가 미리 설정된 신호대 잡음비 임계값보다 작은 경우, 수신된 측정 시퀀스에 대해 시간 영역 윈도윙 노이즈 억제를 수행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된 각 세그먼테이션 측정 시퀀스의 위상 교정 계수를 각각 결정하는 단계는,
    미리 설정된 해상도(Δfres)에 따라 상기 각 세그먼테이션 측정 시퀀스에 대해 각각 선형 피팅을 수행하여 상기 각 세그먼테이션 측정 시퀀스의 상기 미리 설정된 해상도를 단위로 하는 제2 피팅 위상을 얻는 단계 - 상기 미리 설정된 해상도(Δfres)는 상기 주파수 간격(Δf)보다 작음 - ; 및,
    각 상기 제2 피팅 위상에 대응하는 위상 교정 계수를 각각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위상 교정 장치에 있어서,
    미리 설정된 규칙에 따라, 수신된 측정 시퀀스를 분할하기 위한 분할 모듈;
    분할된 각 세그먼테이션 측정 시퀀스의 위상 교정 계수를 각각 결정하기 위한 위상 교정 계수 결정 모듈 - 상기 각 세그먼테이션 측정 시퀀스는 세그먼테이션 위상에 각각 대응함 - ; 및,
    점검 대상 시퀀스에 대해 위상 교정 수행 시, 상기 점검 대상 시퀀스의 위상과 상기 세그먼테이션 위상의 매칭 관계에 따라, 매칭된 세그먼테이션 위상에 대응하는 위상 교정 계수를 사용하여 상기 점검 대상 시퀀스에 대해 위상 교정을 수행하기 위한 위상 교정 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 모듈은,
    주파수 영역에서 욕심 분할 알고리즘으로 상기 수신된 측정 시퀀스에 대해 분할하기 위한 분할 서브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시퀀스는 미리 설정된 주파수 간격(Δf)에 따라 생성된 측정 시퀀스이고, 상기 측정 시퀀스는 N개 주파수 간격을 포함하며, 여기서 N은 2보다 큰 자연수이고, 각각의 상기 주파수 간격은 수신된 측정 시퀀스에서 하나의 샘플 포인트에 대응하며;
    상기 분할 서브 모듈은,
    상기 수신된 측정 시퀀스 중의 제1 세그먼테이션 측정 시퀀스의 제1 세그먼테이션 길이를 결정하기 위한 제1 세그먼테이션 길이 결정 유닛 - 상기 제1 세그먼테이션 길이의 초기값은 상기 측정 시퀀스의 최대 세그먼테이션 간격(Nmax)이고, 상기 최대 세그먼테이션 간격(Nmax)은 최대로 N/2개 주파수 간격을 포함함 - ;
    상기 제1 세그먼테이션 측정 시퀀스의 위상 기울기(k)를 결정하기 위한 위상 기울기 결정 유닛;
    상기 위상 기울기 및 상기 제1 세그먼테이션 측정 시퀀스의 초기 위상값(b)을 통해 제1 세그먼테이션 측정 시퀀스의 제1 위상 피팅 곡선 : φ'(i)=k*fidx+b 을 결정하기 위한 제1 위상 피팅 곡선 결정 유닛 - 상기 fidx는 주파수 간격 지수임 - ;
    상기 위상 피팅 곡선을 통해 결정된 각 상기 샘플 포인트의 제1 피팅 위상과 상기 제1 세그먼테이션 측정 시퀀스의 각 상기 샘플 포인트의 실제 위상의 차이값을 결정하기 위한 차이값 결정 유닛;
    만일 상기 차이값이 미리 설정된 차이값 임계값보다 크면, 상기 제1 세그먼테이션 길이에 포함되는 주파수 간격 수를 감소시키기 위한 제1 세그먼테이션 길이 조절 유닛;
    차이값이 상기 미리 설정된 차이값 임계값의 제1 세그먼테이션 길이(N1) 및 제1 위상 피팅 곡선보다 크지 않은 것이 결정될 때까지, 상기 각 유닛의 수행 단계를 반복하는 제1 세그먼테이션 측정 시퀀스 결정 유닛;
    상기 N1을 상기 측정 시퀀스 중의 제2 세그먼테이션 측정 시퀀스의 제2 세그먼테이션 길이의 초기값으로 하여 상기 제2 세그먼테이션 측정 시퀀스의 차이값이 상기 미리 설정된 차이값 임계값의 제2 세그먼테이션 길이(N2) 및 제2 위상 피팅 곡선보다 크지 않은 것을 결정하는 제2 세그먼테이션 측정 시퀀스 결정 유닛;
    상기 수신된 측정 시퀀스의 분할이 완료될 때까지 상기 각 유닛의 수행 단계를 반복하는 측정 시퀀스 분할 결정 유닛;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 모듈은,
    상기 수신된 측정 시퀀스가 대칭되는 전대역 측정 시퀀스인 경우, 중심 주파수를 경계로 상기 전대역 측정 시퀀스를 제1 주파수 대역 측정 시퀀스 및 제2 주파수 대역 측정 시퀀스로 구분하는 측정 시퀀스 구분 서브 모듈 - 상기 제1 주파수 대역 측정 시퀀스와 상기 제2 주파수 대역 측정 시퀀스의 위상 기울기는 상기 중심 주파수를 중심으로 대칭됨 - ;
    주파수 영역에서 욕심 분할 알고리즘으로 상기 제1 주파수 대역 측정 시퀀스에 대해 제1 분할을 수행하는 제1 분할 서브 모듈; 및,
    상기 제1 주파수 대역 측정 시퀀스와 상기 제2 주파수 대역 측정 시퀀스의 기울기의 대칭 관계에 따라, 상기 제2 주파수 대역 측정 시퀀스에서 상기 제1 분할에 대응하는 제2 분할을 사용하기 위한 제2 분할 서브 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1. 제7항에 있어서,
    전송 채널을 통해 측정 시퀀스를 수신하는 수신 모듈; 및,
    상기 전송 채널의 신호대 잡음비가 미리 설정된 신호대 잡음비 임계값보다 작은 경우, 수신된 측정 시퀀스에 대해 시간 영역 윈도윙 노이즈 억제를 수행하는 시간 영역 윈도윙 노이즈 억제 모듈;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 교정 계수 결정 모듈은,
    미리 설정된 해상도(Δfres)에 따라 상기 각 세그먼테이션 측정 시퀀스에 대해 각각 선형 피팅을 수행하여 상기 각 세그먼테이션 측정 시퀀스의 상기 미리 설정된 해상도를 단위로 하는 제2 피팅 위상을 얻기 위한 제2 피팅 위상 결정 서브 모듈 - 상기 미리 설정된 해상도(Δfres)는 상기 주파수 간격(Δf)보다 작음 - ; 및,
    각 상기 제2 피팅 위상에 대응하는 위상 교정 계수를 각각 결정하는 위상 교정 계수 결정 서브 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3. 컴퓨터 판독 가능 코드를 포함하며,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코드가 전자 장치에서 실행됨으로써, 상기 전자 장치에 의해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수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14. 제13항의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KR1020207030944A 2018-05-17 2019-01-21 위상 교정 방법 및 장치 KR1024580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810476382.3 2018-05-17
CN201810476382.3A CN110505169B (zh) 2018-05-17 2018-05-17 一种相位校准方法及装置
PCT/CN2019/072546 WO2019218721A1 (zh) 2018-05-17 2019-01-21 一种相位校准方法及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3273A true KR20200133273A (ko) 2020-11-26
KR102458095B1 KR102458095B1 (ko) 2022-10-21

Family

ID=685394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30944A KR102458095B1 (ko) 2018-05-17 2019-01-21 위상 교정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368276B2 (ko)
EP (1) EP3796611B1 (ko)
JP (1) JP7116801B2 (ko)
KR (1) KR102458095B1 (ko)
CN (1) CN110505169B (ko)
WO (1) WO201921872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077371B (zh) * 2018-10-19 2021-02-05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提高相位测量精度的方法和装置
CN112968738B (zh) * 2019-11-27 2022-04-01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通道校准方法及其装置
CN113630195B (zh) * 2020-05-06 2023-06-23 广州海格通信集团股份有限公司 智能天线的工作通道校准方法、装置和智能天线设备
CN114499657B (zh) * 2020-10-23 2024-03-26 华为技术有限公司 频率响应估计的方法和装置
CN112462312B (zh) * 2020-11-04 2021-08-06 胜达克半导体科技(上海)有限公司 一种用于芯片测试机的自动校准方法及其应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11487A (ko) * 2012-03-30 2013-10-10 브로드콤 코포레이션 주파수 분할 듀플렉싱 시스템들에 대한 적응적 송신 빔형성
KR20170091130A (ko) * 2014-12-29 2017-08-08 텔레호낙티에볼라게트 엘엠 에릭슨(피유비엘)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들의 생성 및 검출을 위한 방법들 및 디바이스들
WO2017157122A1 (zh) * 2016-03-18 2017-09-21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用于pusch信道的相位补偿方法及装置
KR20200015902A (ko) * 2017-06-15 2020-02-13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측정 간격 구성 방법, 장치, 기기, 단말 및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37535A (en) * 1988-12-29 1990-06-26 Genrad, Inc. Calibration method and programmable phase-gain amplifier
US5594452A (en) * 1994-12-01 1997-01-14 Interferometrics, Inc. Method and system for locating an unknown transmitter using calibrated oscillator phases
US6570527B1 (en) 2001-09-28 2003-05-27 Arraycomm, Inc. Calibration of differential frequency-dependent characteristics of a radio communications system
US6861975B1 (en) * 2003-06-25 2005-03-01 Harris Corporation Chirp-based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distributed network phase calibration across phased array antenna
JP2006279900A (ja) 2005-03-30 2006-10-12 Kyocera Corp 通信装置及びキャリブレーション方法
JP5356256B2 (ja) 2007-02-06 2013-12-04 テレフオンアクチーボラゲット エル エム エリクソン(パブル) 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較正方法および装置
CN101682432B (zh) * 2007-05-29 2013-03-06 三菱电机株式会社 校准方法、通信系统、频率控制方法以及通信装置
IL188507A (en) 2007-12-31 2012-06-28 Elta Systems Ltd Phased array antenna having integral calibration network and method for measuring calibration ratio thereof
CN102386953B (zh) * 2010-08-31 2014-02-26 普天信息技术研究院有限公司 一种宽带ofdm系统中的天线发送和接收校准方法
US8842771B2 (en) 2012-11-20 2014-09-23 Tektronix, Inc. Amplitude flatness and phase linearity calibration for RF sources
FR3003420B1 (fr) * 2013-03-13 2015-04-10 Commissariat Energie Atomique Recepteur fbmc utilisant une methode de synchronisation dans le domaine frequentiel
CN103926549B (zh) 2014-04-25 2017-07-18 中国计量科学研究院 相位校准方法及装置
EP3211716B1 (en) * 2014-11-19 2019-03-06 Huawei Technologies Co., Ltd. Phase calibration method and apparatus
WO2017206080A1 (zh) 2016-05-31 2017-12-07 华为技术有限公司 射频拉远单元rru间通道校正方法及装置
CN106160882B (zh) 2016-07-13 2018-05-15 北京交通大学 一种多频段无线信道测量校准方法和系统
US10218548B1 (en) * 2018-01-24 2019-02-26 National Instruments Corporation Wireless radio receiver that performs adaptive phase tracking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11487A (ko) * 2012-03-30 2013-10-10 브로드콤 코포레이션 주파수 분할 듀플렉싱 시스템들에 대한 적응적 송신 빔형성
KR20170091130A (ko) * 2014-12-29 2017-08-08 텔레호낙티에볼라게트 엘엠 에릭슨(피유비엘)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들의 생성 및 검출을 위한 방법들 및 디바이스들
WO2017157122A1 (zh) * 2016-03-18 2017-09-21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用于pusch信道的相位补偿方法及装置
KR20200015902A (ko) * 2017-06-15 2020-02-13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측정 간격 구성 방법, 장치, 기기, 단말 및 시스템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Heish M-H. et al., "CHANNEL ESTIMATION FOR OFDM SYSTEMS BASED ON COMB-TYPE PILOT ARRANGEMENT IN FREQUENCY SELECTIVE FADING CHANNELS," IEEE Transactions on consumer electronics(1998.02.01.)*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218721A1 (zh) 2019-11-21
US20220094516A1 (en) 2022-03-24
EP3796611A1 (en) 2021-03-24
JP7116801B2 (ja) 2022-08-10
EP3796611A4 (en) 2021-07-07
US11368276B2 (en) 2022-06-21
KR102458095B1 (ko) 2022-10-21
CN110505169A (zh) 2019-11-26
EP3796611B1 (en) 2024-03-27
JP2021520161A (ja) 2021-08-12
CN110505169B (zh) 2020-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58095B1 (ko) 위상 교정 방법 및 장치
CN115441944A (zh) 一种获取发射机测试参数的方法和装置以及存储介质
KR101944429B1 (ko) 주파수 분석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
CN112054885B (zh) 一种确定校准信息的方法及装置
US10418974B2 (en) Apparatus for modifying a sampling rate system including an apparatus for modifying a sampling rate and method for modifying a sampling rate
KR102303289B1 (ko) 위상 측정 정확도 향상을 위한 방법 및 장치
CN111277523B (zh) 一种调制方式确定方法及装置
JP6640702B2 (ja) 時系列信号特徴推定装置、プログラム
US1056695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ccurate and efficient spectrum estimation using improved sliding DFT
Curtis Weather radar time series simulation: Improving accuracy and performance
KR100817692B1 (ko) 이산 푸리에 변환에 의한 시계열 데이터 위상 추정 방법
JP2004150825A (ja) スペクトル分析装置およびスペクトル分析方法
KR101719251B1 (ko) 전압 및 전류의 실효값 추정 장치 및 방법
CN117591784B (zh) 一种基于fpga的旋转因子计算方法及fpga芯片
CN114826846A (zh) 频偏抵消序列的生成方法、装置、设备及介质
KR102088622B1 (ko) Adc의 주파수 오차 저장 장치 및 adc의 주파수 오차 보정 장치
CN117076860A (zh) 一种冲激响应信号的平滑方法、装置、设备及介质
CN110943952B (zh) 调幅信号的检测方法及装置
CN113129921B (zh) 用于检测语音信号中的基音的频率的方法和装置
CN112073339B (zh) 一种确定校准信息的方法及装置
CN112769725B (zh) 基于全相位频谱纠正的Costas序列时频联合同步方法
CN108199715B (zh) 数字域正弦波检测方法及检测装置
US20220078567A1 (en) Optimization of convolution reverberation
Weltner et al. Fourier Integrals and Fourier Transforms
KR20070115523A (ko) 동적시스템의 실시간 해석을 위한 정확한 저주파수 및스펙트럼 위상 추정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