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32000A - 조리용기 뚜껑 수납용 선반 - Google Patents

조리용기 뚜껑 수납용 선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32000A
KR20200132000A KR1020190056738A KR20190056738A KR20200132000A KR 20200132000 A KR20200132000 A KR 20200132000A KR 1020190056738 A KR1020190056738 A KR 1020190056738A KR 20190056738 A KR20190056738 A KR 20190056738A KR 20200132000 A KR20200132000 A KR 202001320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king container
lid
seating surface
storage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67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호종
Original Assignee
박호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호종 filed Critical 박호종
Priority to KR10201900567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32000A/ko
Publication of KR202001320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200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77/00Kitchen cabinets
    • A47B77/04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 A47B77/14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by incorporation of racks or supports, other than shelves, for household utensi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7/00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 A47J47/16Stands, or holders for kitchen 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수납효율 및 내구성이 개선되도록, 본 발명은 기설정된 면적을 가지며 설치대상공간의 측면에 지지되는 지지벽부와, 상기 지지벽부의 양측 테두리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며 내면이 마주보게 형성된 한쌍의 측벽부를 포함하는 수납지지부; 및 일단측이 한쌍의 상기 측벽부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지지벽부의 내면에 접촉되며 타단측이 상기 측벽부의 전방 외측으로 상향 경사지게 연장되어 사선으로 배치되되, 상기 일단측에 배수구가 형성되고 상기 타단측에 조리용기 뚜껑의 손잡이가 수용되는 거치홈이 전방측으로 개구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수납지지부의 상하방향으로 다단 배열되는 복수개의 안착면부를 포함하는 조리용기 뚜껑 수납용 선반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조리용기 뚜껑 수납용 선반{shelf for storage of cookware lid}
본 발명은 조리용기 뚜껑 수납용 선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납효율 및 내구성이 개선되는 조리용기 뚜껑 수납용 선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식당의 주방에는 다양한 조리용기가 구비되며, 냄비 또는 프라이팬의 경우 용기본체 및 이의 상측을 커버하는 뚜껑이 세트로 구비된다. 이때, 뚜껑은 중앙부로 갈수록 볼록한 형상이 주를 이루며, 상기 중앙부에 사용자가 쥘 수 있는 손잡이가 체결된다. 이러한 용기본체의 크기에 따라 개별 구비되는 바, 조리용기의 개수가 증가할수록 뚜껑의 개수도 증가한다.
한편, 종래의 조리용기는 싱크대 하단측의 수납장 또는 찬장에 수납하여 보관하는데, 용기본체에 뚜껑을 덮어 보관하는 경우 뚜껑의 볼록한 형상 및 손잡이에 의해 다단으로 적층 보관이 어렵다. 또한, 뚜껑을 뒤집어서 손잡이가 용기본체의 내측으로 배치되도록 덮은 후 그 상측에 다른 조리용기를 적층하더라도, 용기본체 자체의 부피로 인하여 그 효율성이 실질적으로 미비하다.
이에, 용적이 큰 용기본체의 내측에 그보다 작은 용기본체를 수납하는 형태로 적층하고 뚜껑은 별도로 수납하는 방법으로 제한된 수납공간을 최대한 활용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뚜껑의 손잡이 및 중앙부가 볼록한 프로파일로 인해 실질적으로 다단으로 적층하기 어려우며, 하측에 배치된 뚜껑을 꺼내야 하는 경우 상측에 적층된 다른 뚜껑들을 드러낸 후 다시 수납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이러한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 뚜껑을 별도로 정리할 수 있는 정리대가 일부 개시되었다. 상세히, 종래의 뚜껑 정리대는 주로 싱크대 하측 수납장의 문 내측에 설치되며, 다단으로 형성되는 서랍형 수납부에 각각 뚜껑을 수납하여 사용한다.
그러나, 종래의 뚜껑 정리대는 각 수납부에 실질적으로 하나의 뚜껑만을 수납할 수 있으므로 수납량이 제한적이다. 또한, 상기 수납부가 실질적으로 얇은 프레임 형태로 제조되므로 뚜껑의 크기가 작은 경우 수납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수납장 문을 개폐시 흔들림 또는 충격에 의해 뚜껑이 수납부로부터 이탈되어 낙하되면서 파손될 수 있으며, 뚜껑의 하중이 수납장 문에 지속적으로 가해지면서 힌지 회동부가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79927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수납효율 및 내구성이 개선되는 조리용기 뚜껑 수납용 선반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기설정된 면적을 가지며 설치대상공간의 측면에 지지되는 지지벽부와, 상기 지지벽부의 양측 테두리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며 내면이 마주보게 형성된 한쌍의 측벽부를 포함하는 수납지지부; 및 일단측이 한쌍의 상기 측벽부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지지벽부의 내면에 접촉되며 타단측이 상기 측벽부의 전방 외측으로 상향 경사지게 연장되어 사선으로 배치되되, 상기 일단측에 배수구가 형성되고 상기 타단측에 조리용기 뚜껑의 손잡이가 수용되는 거치홈이 전방측으로 개구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수납지지부의 상하방향으로 다단 배열되는 복수개의 안착면부를 포함하는 조리용기 뚜껑 수납용 선반을 제공한다.
이때, 각 상기 안착면부를 지지하도록 한쌍의 상기 측벽부로부터 전방측으로 상향 경사지게 일체로 돌출되되 내면이 마주보게 쌍으로 배치되며, 상기 수납지지부의 상하방향으로 다단 배열되는 복수개의 손잡이 걸림리브를 더 포함하되, 각 쌍의 상기 손잡이 걸림리브는 각 상기 안착면부의 양측 테두리가 대면 배치되는 상단 테두리로부터 하향 연장된 폭이 상하로 이웃하는 상기 안착면부 사이의 측방향 개구공간의 상측을 커버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한쌍의 상기 측벽부의 내면 사이에는 상기 조리용기 뚜껑의 일부분이 수용되는 수용부가 형성되되, 상기 측벽부의 전방 테두리와 상기 손잡이 걸림리브의 상단 테두리 사이에는 상기 조리용기 뚜껑의 일측 외곽이 걸림 구속되는 쐐기형의 개구부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한쌍의 상기 측벽부 및 각 쌍의 상기 손잡이 걸림리브의 마주보는 내면에는 상기 안착면부의 양측 테두리가 슬라이딩 체결되도록 전방측으로 상향 경사진 슬라이드체결부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수납지지부의 하단부에는 상기 지지벽부 및 상기 안착면부의 타단 사이의 수평간격을 초과하여 전방측으로 큰 면적으로 형성되는 바닥면부와, 상기 바닥면부의 외곽을 따라 상향 돌출된 격벽부의 내측으로 상기 배수구를 통해 낙수되는 물이 저수되는 저수공간이 형성된 물받이부가 더 구비되며, 상기 지지벽부의 상단부에는 상기 설치대상공간의 측면에 고정되도록 고정수단이 체결되는 고정부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해결 수단을 통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각 부분이 판형으로 형성되어 제조가 용이하면서도 수납장 내부의 바닥면 및 측면에 지지된 상태로 직립 설치가 가능하므로, 종래의 프레임식 수납구조가 복잡한 형태로 절곡되어 수납장의 도어에 설치됨으로 인해 도어의 회동시 소음 및 파손이 발생하던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소할 수 있다.
둘째, 상기 측벽부로부터 일체로 상향 돌설된 상기 손잡이 걸림리브가 상기 측벽부보다 전방측으로 더 돌출되도록 경사지게 배치되는 상기 안착면부의 양측 테두리를 지지하므로, 제품이 컴팩트한 크기로 제조되더라도 다수개의 조리용기 뚜껑을 포개어 안정적으로 수납 지지할 수 있어 공간활용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셋째, 상하로 이웃하는 상기 손잡이 걸림리브 및 상기 측벽부의 전방 테두리 사이에 개구부가 쐐기형으로 형성됨에 따라 조리용기 뚜껑의 일부분은 상기 측벽부의 내면측에 수용되되 일측 외곽이 수납공간의 양측으로 빠져나간 상태로 상기 개구부에 걸림 고정될 수 있어 수납공간의 양단측에 조리용기 뚜껑을 걸치어 수납하더라도 낙하가 방지되므로 수납안정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넷째, 상기 안착면부는 상기 거치홈 및 상기 배수구를 제외하면 상하로 연통되는 개구구조 없이 형성되므로 조리용기 뚜껑이 세척된 상태로 수납되더라도 잔존하는 물이 상기 안착면부의 경사진 상면을 따라 일단측의 배수구로 유도되어 배출되므로 낙수에 의해 하측에 수납된 조리용기 뚜껑의 오염이 방지되어 위생적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리용기 뚜껑 수납용 선반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리용기 뚜껑 수납용 선반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리용기 뚜껑 수납용 선반을 나타낸 투영단면도.
도 4는 도 3의 A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단면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리용기 뚜껑 수납용 선반에 조리용기 뚜껑이 수납된 상태를 정면에서 바라본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리용기 뚜껑 수납용 선반의 변형예를 나타낸 정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리용기 뚜껑 수납용 선반을 상세히 설명한다.
여기서, 이하 설명될 조리용기 뚜껑 수납용 선반과 뚜껑 수납용 선반은 동일한 의미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설치대상공간은 싱크대 하측의 수납장인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설치대상공간은 조리용기 및 뚜껑을 보관할 수 있는 주방 또는 다용도실 내부의 빈 공간이 될 수도 있다.
상세히,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리용기 뚜껑 수납용 선반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리용기 뚜껑 수납용 선반의 평면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리용기 뚜껑 수납용 선반을 나타낸 투영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A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단면예시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리용기 뚜껑 수납용 선반에 조리용기 뚜껑이 수납된 상태를 정면에서 바라본 예시도이다. 이때, 도 3에서 점선으로 도시된 c 및 c1은 수납공간에 수납되는 조리용기 뚜껑을 나타낸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 4에서 점선으로 표시된 부분은 상기 측벽부 및 상기 손잡이 걸림리브의 경계를 나타낸 것이고, 일점쇄선으로 도시된 s1 및 s2는 각각 후술될 수용부 및 개구부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본 발명에서 전방측은 상기 안착면부의 타단측과 동일한 방향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도 1 내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리용기 뚜껑 수납용 선반(100)은 수납지지부(10) 및 안착면부(20)를 포함한다.
상세히, 상기 수납지지부(10)는 지지벽부(11) 및 한쌍의 측벽부(12)를 포함하여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지지벽부(11)는 기설정된 면적을 갖는 사각형상의 판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한쌍의 상기 측벽부(12)는 상기 지지벽부(11)의 양측 테두리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며 내면(12d)이 마주보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수납지지부(10)는 상기 지지벽부(11) 및 한쌍의 상기 측벽부(12)의 횡단면 프로파일이 'ㄷ'자형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수납지지부(10)는 상기 지지벽부(11)가 상기 설치대상공간의 측면에 밀착 지지된 상태로 직립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안착면부(20)는 사각형상의 판재로 형성되되, 좌우방향으로 연장된 폭이 한쌍의 상기 측벽부(12) 사이 간격과 대응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안착면부(20)의 일단측(20a)은 한쌍의 상기 측벽부(12)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지지벽부(11)의 내면(11a)에 접촉된다. 그리고, 상기 안착면부(20)의 타단측(20b)은 상기 측벽부(12)의 전방 외측으로 상향 경사지게 연장되어 사선으로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안착면부(20)는 상기 수납지지부(10)의 상하방향으로 다단 배열되어 복수개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수납지지부(10) 및 복수개의 상기 안착면부(20)는 경량이면서도 대량으로 사출 성형이 용이하고 제조비용이 저렴한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경우에 따라 방청 및 방수 처리된 목재로 제조될 수도 있다.
이처럼, 상기 뚜껑 수납용 선반(100)은 상기 설치대상공간의 바닥면을 기준으로 수직으로 직립되는 상기 수납지지부(10)에 복수개의 상기 안착면부(20)가 상하방향으로 다단 배열되되, 각 상기 안착면부(20)가 사선 배치된다. 이에 따라, 상기 지지벽부(11)와 각 상기 안착면부(20) 사이에 'V'자형의 수납공간이 복수개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수납공간이라 함은 각 상기 안착면부(20)와 상기 지지벽부(11) 내면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으로서, 상기 조리용기 뚜껑(c,c1)이 수납 및 안착되는 전체적인 공간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하에서 설명될 상기 수용부(s1)는 상기 측벽부(12)의 전방 테두리(12c)를 경계로 한쌍의 상기 측벽부(12)와 상기 안착면부(20)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수납공간은 상기 수용부(s1) 및 후술될 상기 개구부(s2)를 포괄하는 의미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상기 조리용기 뚜껑(c,c1)을 수납하거나, 수납된 상기 조리용기 뚜껑(c,c1)을 꺼내어 사용하기 편리하다. 또한, 상기 뚜껑 수납용 선반(100)에 상기 안착면부(20)가 수평으로만 배치되거나 수직으로만 배치되는 것보다 상기 설치대상공간 내에서 차지하는 부피가 최소화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뚜껑 수납용 선반(100)을 협소한 공간 내에도 컴팩트하게 설치 가능하면서도 많은 수의 상기 조리용기 뚜껑(c)을 수납할 수 있어 공간활용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뚜껑 수납용 선반(100)은 상기 지지벽부(11), 한쌍의 상기 측벽부(12), 복수개의 상기 안착면부(20) 및 후술되는 상기 연장지지부(30)가 전체적으로 판형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많은 수의 상기 조리용기 뚜껑(c,c1)을 각 수납공간에 적층 수납하더라도 그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어 수납효율 및 보관안정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안착면부(20)가 상기 측벽부(12)의 전후방향 폭보다 큰 폭으로 전방측으로 돌출되어 배치된다. 이에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격된 각 상기 안착면부(20) 및 상기 측벽부(12)의 전방 테두리(12c) 사이에 측방향으로 개방된 개구공간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조리용기 뚜껑(c,c1)이 수납되는 면적이 상기 지지벽부(11)의 양측방향 폭을 초과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조리용기 뚜껑(c,c1)의 일측 외곽이 상기 수납지지부(10)의 양측으로 빠져나간 상태로 가장자리측까지 분산시켜 다수개로 적층 수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안착면부(20)의 경사각도(d)는 40~60° 사이의 각도 범위로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경사각도(d)가 40°미만의 각으로 형성되면, 상기 지지벽부(11)의 내면(11a)과 상기 안착면부(20) 사이의 수납공간이 협소해진다. 또한, 각 상기 안착면부(20) 사이로 상기 조리용기 뚜껑(c,c1)이 삽입될 수 있는 간격이 협소해지므로 수납효율이 현저히 저하된다.
반면, 상기 경사각도(d)가 60°를 초과하는 각으로 형성되면, 상기 뚜껑 수납용 선반(100)의 전후방향 폭이 증가하면서 공간효율성이 저하된다. 또한, 상기 조리용기 뚜껑(c,c1)이 하나의 수납공간에 다수개로 적층 수납되는 경우, 하나의 조리용기 뚜껑(c)의 상면측에 적층되는 다른 조리용기 뚜껑(c1)의 하중이 상기 안착면부(20)의 일단측(20a)으로 안정적으로 가해지기 어렵다.
더욱이, 각 상기 안착면부(20) 다단 배열되는 위치에 따라 상기 경사각도(d)가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하로 이웃하는 각 상기 안착면부(20)는 서로 다른 경사각도(d)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높이나 직경이 상이한 조리용기 뚜껑이 안정적으로 수용될 수 있는 위치를 선택하여 수납 보관할 수 있어 사용편의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안착면부(20)의 일단측(20a)에는 배수구(21)가 형성되며, 상기 타단측(20b)에는 상기 조리용기 뚜껑(c)의 손잡이(h)가 수용되는 거치홈(22)이 상기 일단측(20a)으로 함몰되되 전방측으로 개구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조리용기 뚜껑(c)을 상기 뚜껑 수납용 선반(100)에 수납시 상기 손잡이(h)가 상기 거치홈(22)에 수용되도록 배치되면, 상기 조리용기 뚜껑(c)의 일부분이 상기 수납지지부(10)와 상기 안착면부(20) 사이의 수납공간에 수납된다.
이때, 상기 손잡이(h)가 상기 거치홈(22)에 수용되되, 상기 조리용기 뚜껑(c)은 자체 하중에 의해 상기 수납공간의 하측으로 하강된다. 이를 통해, 상기 조리용기 뚜껑(c)이 수납된 상태에서 유동이 방지되므로 안정적으로 보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손잡이(h)가 상기 거치홈(22)에 수용되어 실질적으로 외부로 노출된 상태이므로,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h)를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어 사용편의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조리용기 뚜껑(c)를 세척후 건조되지 않은 상태로 상기 뚜껑 수납용 선반(100)에 수납하더라도, 잔존하는 물기가 상기 안착면부(20)의 경사진 상면을 따라 이동되어 상기 배수구(21)를 통해 배출된다. 이때, 상기 배수구(21)를 통해 배출된 물은 상기 안착면부(20)의 일단측(20a)과 대면 배치된 상기 지지벽부(11)의 내면(11a)으로 유도되며, 상기 지지벽부(11)의 내면(11a)을 따라 하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안착면부(20)는 상기 거치홈(22) 및 상기 배수구(21)를 제외하면 상하로 연통되는 개구구조 없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조리용기 뚜껑(c)이 다단으로 수납되더라도 하측 수납공간에 수납된 조리용기 뚜껑(c)이 상측 수납공간에 수납된 조리용기 뚜껑(c)으로부터 낙하되는 물에 의해 재오염됨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물이 상기 안착면부(20)의 경사진 상면을 따라 신속하게 배출되므로 수납된 상기 조리용기 뚜껑(c)의 건조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잔존하는 물에 의한 세균의 번식이 방지되므로 수납된 상기 조리용기 뚜껑(c)이 위생적으로 관리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뚜껑 수납용 선반(100)은 복수개의 손잡이 걸림리브(30)를 더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손잡이 걸림리브(30)는 한쌍의 상기 측벽부(12)로부터 전방측으로 상향 경사지게 일체로 돌출되되, 내면이 마주보게 쌍으로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손잡이 걸림리브(30)의 경사각도는 실질적으로 상기 안착면부(20)의 경사각도(d)와 대응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각 쌍의 상기 손잡이 걸림리브(30)는 상기 수납지지부(10)의 상하방향으로 기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다단 배열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손잡이 걸림리브(30)는 상기 측벽부(12)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방측으로 각각 분지되되, 각 전단부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게 일체로 돌출된다.
그리고, 각 상기 안착면부(20)는 상기 타단측(20b)이 각 쌍의 상기 손잡이 걸림리브(30) 사이를 커버하도록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즉, 각 상기 측벽부(12)로부터 복수개의 상기 손잡이 걸림리브(30)가 기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전방측으로 돌출되면서, 상기 뚜껑 수납용 선반(100)은 측면형상이 상하방향으로 연속 배열된 'y'자형 또는 'E'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각 쌍의 상기 손잡이 걸림리브(30)와 각 상기 안착면부(20)는 종단면 프로파일이 'ㄷ'자형으로 형성된다.
이때, 각 상기 안착면부(20)는 상기 타단측(20b)이 상기 측벽부(12)의 전방 외측으로 돌출되더라도 각 쌍의 상기 손잡이 걸림리브(30)에 의해 양측 테두리가 전체적으로 지지된다. 이에 따라, 각 상기 안착면부(20)의 상면측에 상기 조리용기 뚜껑(c,c1)이 다수개로 수납되더라도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조리용기 뚜껑(c)의 하중으로 인하여 각 상기 안착면부(20)가 파손되거나 상기 수납지지부(10)로부터 분리되어 낙하됨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조리용기 뚜껑(c,c1)이 안정적으로 보관될 수 있다.
여기서, 각 쌍의 상기 손잡이 걸림리브(30)는 각 상기 안착면부(20)의 양측 테두리가 대면 배치되는 상단 테두리(30e)로부터 하향 연장된 제1직각방향 폭(w5)이 상하로 이웃하는 상기 안착면부(20) 사이의 측방향 개구공간의 상측을 커버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한쌍의 상기 측벽부(12)의 내면(12d)에는 상기 조리용기 뚜껑(c1)의 일부분이 수용되는 상기 수용부(s1)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측벽부(12)의 전방 테두리(12c)와 상기 손잡이 걸림리브(30)의 상단 테두리(30e) 사이에는 상기 조리용기 뚜껑(c1)의 일측 외곽이 걸림 구속되는 쐐기형의 상기 개구부(s2)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손잡이 걸림리브(30)의 상단 테두리(30e)가 상기 측벽부(12)의 전방 테두리(12c)와 교차하는 연결단부(30d)로 갈수록, 상기 손잡이 걸림리브(30)와 상기 측벽부(12) 사이의 이격간격이 협소화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하나의 조리용기 뚜껑(c)이 상기 안착면부(20)의 상면에 수납된 상태에서 다른 조리용기 뚜껑(c1)을 그의 상측에 가장자리쪽으로 분산 배치할 수 있다. 이때, 다른 조리용기 뚜껑(c1)의 일부분이 상기 안착면부(20)와 상기 측벽부(12) 사이에 형성되는 형성되는 상기 수용부(s1)에 수용된다. 또한, 다른 조리용기 뚜껑(c1)의 외곽 일측이 상기 측벽부(12)의 전방 테두리(12c)와 상기 손잡이 걸림리브(30)의 상단 테두리(30e) 사이에 측방향으로 개구되어 형성되는 개구부(s2)에 걸림 구속된다.
이와 같이, 하나의 조리용기 뚜껑(c)의 상측에 다른 조리용기 뚜껑(c1)이 분산 배치되어 그의 외곽 일측이 각 상기 측벽부(12)의 전방 및 측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더라도, 상기 개구부(s2)의 협소한 쐐기형 프로파일에 뚜껑(c1)의 외곽 일측이 걸림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다른 조리용기 뚜껑(c1)의 일부분은 상기 수용부(s1)에 수용되어 하중에 의해 상기 수납공간의 하측으로 하강된다.
따라서, 하나의 수납공간에 하나의 조리용기 뚜껑(c)만이 보관 가능하던 종래와 달리, 본 발명은 하나의 수납공간에 다수개의 조리용기 뚜껑(c)을 안정적으로 수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리용기 뚜껑(c1)의 일측 외곽이 상기 개구부(s2)에 걸림되어 각 상기 측벽부(12)의 측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로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다수개의 상기 조리용기 뚜껑(c,c1) 각각의 상하면방향으로 적층되지 않고 양측으로 어긋나게 배치되어 각 뚜껑(c,c1)이 적층되는 두께가 최소화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한정된 수납공간 내에 수납되는 상기 조리용기 뚜껑(c,c1)의 개수가 증가하므로 공간활용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손잡이 걸림리브(30)가 하측으로 연장된 폭에 의해 상하로 이웃하는 상기 안착면부(20) 사이의 상측 개구공간이 부분적으로 커버된다. 이를 통해, 상기 수납지지부(10)의 양측으로 다른 조리용기 뚜껑(c1)의 일측 외곽이 빠져나가더라도 그의 손잡이(h1)가 상기 손잡이 걸림리브(30)의 하단 테두리(30f)에 걸림 구속될 수 있다.
상세히, 하나의 조리용기 뚜껑(c)은 그의 손잡이(h)가 상기 거치홈(22)에 수용된 상태로 뒤집어져 수납되되, 그의 외곽측으로 다른 조리용기 뚜껑(c1)의 손잡이(h1)는 상기 측벽부(12)의 내면(12a)측에 배치되도록 포개어 적층 수납될 수 있다. 이때, 다른 조리용기 뚜껑(c1)이 상기 수납지지부(10)의 양측으로 배치되더라도 일측 외곽 및 손잡이(h1)가 각각 쐐기형의 상기 개구부(s2) 및 상기 손잡이 걸림리브(30)의 하단 테두리(30f)에 걸림 구속된다. 즉, 상기 조리용기 뚜껑(c,c1)은 상기 거치홈(22)뿐만 아니라 상하로 이웃한 상기 손잡이 걸림리브(30) 사이에도 각각의 손잡이(h,h1)가 걸림 구속되어 수납된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다수개의 조리용기 뚜껑(c,c1)이 어긋나게 수납된 상태에서 가장자리측에 수납된 조리용기 뚜껑이 외부 충격 등에 의해 상기 뚜껑 수납용 선반(100)으로부터 이탈 및 낙하되어 파손됨이 방지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손잡이 걸림리브(30)의 하단 테두리(30f)와 상기 측벽부(12)의 전방 테두리(12c)는 라운드지게 연결된 라운드부(32)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상기 손잡이 걸림리브(30)의 연결단부(30d) 하측으로 가해지는 상기 조리용기 뚜껑(c)의 하중이 상기 라운드부(32)를 통해 분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손잡이 걸림리브(30)의 지지강도가 개선되므로 상기 뚜껑 수납용 선반(100)의 내구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측벽부(12)의 전후방향 폭(w1)은 상기 지지벽부(11)의 내면 및 상기 손잡이 걸림리브(30)의 전단부 사이의 수평간격(w2)에 대하여 길이비로 40~60% 비율로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측벽부(12)의 전후방향 폭(w1)이 상기 지지벽부(11)의 내면 및 상기 손잡이 걸림리브(30)의 전단부 사이의 수평간격(w2)에 대하여 40% 미만으로 형성되면, 상기 개구부(s2)의 개구면적은 증가하고 상기 수용부(s1)의 수용용적이 좁아진다. 이로 인해, 가장자리측으로 적층되는 다른 조리용기 뚜껑(c1)이 각 상기 측벽부(12)의 측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는 부피가 증가하여 안정적으로 수납되기 어렵다.
반면, 상기 측벽부(12)의 전후방향 폭(w1)이 상기 지지벽부(11)의 내면 및 상기 손잡이 걸림리브(30)의 전단부 사이의 수평간격(w2)에 대하여 60%를 초과하여 형성되면, 상기 개구부(s2)는 좁아진다. 이로 인해, 다수개의 상기 조리용기 뚜껑(c)이 분산 배치되는 좌우간격이 감소되어 보관효율성이 낮아진다.
더욱이, 상기 손잡이 걸림리브(30)의 상단 테두리(30e) 및 하단 테두리(30f) 사이의 제1직각방향 폭(w5)은 각 상기 손잡이 걸림리브(30)의 상단 테두리(30e) 사이의 제2직각방향 폭(w4)에 대하여 길이비로 40~60% 비율로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1직각방향 폭(w5)이 상기 제2직각방향 폭(w4)에 대하여 40% 미만으로 형성되면, 상기 조리용기 뚜껑(c,c1)의 하중에 대한 지지강도가 저하된다. 반면, 상기 제1직각방향 폭(w5)이 상기 제2직각방향 폭(w4)에 대하여 60%를 초과하여 형성되면 각 상기 손잡이 걸림리브(30)의 상하방향으로 이격된 상단 테두리(30e) 및 하단 테두리(30f) 사이 간격이 협소해진다. 이로 인해, 다수개의 상기 조리용기 뚜껑(c,c1)이 상기 수납공간의 가장자리측에 수납될 수 있는 간격이 좁아지므로 수납효율성이 저하된다.
여기서, 도면에서는 상기 손잡이 걸림리브(30)가 각 상기 안착면부(20)의 하측에 대응되도록 다단 배열된 상태로 도시하였으나, 상기 손잡이 걸림리브(30)는 상기 수납지지부(10)의 최상단측에 배치되는 상기 안착면부(20)의 상측에도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손잡이 걸림리브(30)가 최상단측에 배치되는 상기 안착면부(20)의 상측, 즉 상기 수납지지부(10)의 최상단측에 형성되면, 최상단측의 상기 안착면부(20)에 다수개의 조리용기 뚜껑이 적층 수납되더라도 상기 측벽부(12)의 외측으로 추락됨을 방지할 수 있어 안정성이 더욱 향상될 수도 있다.
한편, 한쌍의 상기 측벽부(12) 및 각 쌍의 상기 손잡이 걸림리브(30)의 마주보는 내면에는 상기 안착면부(20)의 양측 테두리가 슬라이딩 체결되도록 상기 경사각도(d)에 따라 상향 경사진 슬라이드체결부(31)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슬라이드체결부(31)는 상기 안착면부(20)의 양측 테두리가 슬라이드 걸림되는 레일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슬라이드체결부(31)는 한쌍의 상기 측벽부(12) 및 이와 일체로 연결된 각 쌍의 상기 손잡이 걸림리브(30)에 상기 경사각도(d)에 대응하여 연속적으로 경사지게 함몰된 슬라이드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슬라이드체결부(31)는 상기 경사각도(d)에 대응되되 상기 안착면부(20)의 두께에 대응하도록 상하로 이격된 한쌍의 슬라이드 돌출부 사이에 형성된 슬라이드홈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각 상기 안착면부(20)는 상기 슬라이드체결부(31)를 따라 슬라이드되어 분리 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개의 상기 안착면부(20) 및 상기 수납지지부(10)의 청소 및 세척이 용이하며, 파손되거나 오염된 상기 안착면부(20)를 개별 교체하거나 상하면을 뒤집어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복수개의 상기 안착면부(20) 중 일부를 부분적으로 분리하면, 각 상기 안착면부(20) 사이의 간격을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수납되는 조리용기 뚜껑(c)의 크기에 따라 상기 수납공간의 개수 및 크기 조절이 가능하므로 활용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슬라이드체결부는 상기 안착면부(20)의 양측 테두리로부터 하향 돌설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드체결부(31)의 상호 마주보는 내면이 각 쌍의 상기 손잡이 걸림리브(30)의 외면에 밀착된 상태로 슬라이드 이동되는 구조로 체결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변형예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한편, 상기 수납지지부(10)의 하단부에는 상기 배수구(21)를 통해 낙수되는 물이 저수되는 저수공간(41)이 형성된 물받이부(40)가 더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물받이부(40)는 바닥면부(43) 및 격벽부(42)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세히, 상기 바닥면부(43)는 그의 전후방향 폭(w3)이 상기 지지벽부(11) 및 상기 안착면부(20)의 타단(20b) 사이의 전후방향 수평간격(w2)을 초과하는 면적으로 형성되되, 상기 안착면부(20)의 전방측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격벽부(42)는 상기 바닥면부(43)의 외곽을 따라 상향 돌출되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바닥면부(43)와 상기 격벽부(42)의 내측으로 상기 저수공간(41)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배수구(21)를 통해 낙수된 물이 상기 물받이부(40)에 저수됨에 따라 상기 설치대상공간 주변이 물이 고이거나, 물에 의해 오염됨을 방지할 수 있어 청결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물받이부(40)는 별도의 수용케이스로 구비되어 상기 수납지지부(10)의 하측에 분리 가능하게 체결 또는 배치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물받이부(40)가 분리 가능하게 구비되면, 저수된 물을 배출 처리할 수 있어 사용편의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물론, 상기 바닥면부(43)가 상기 지지벽부(11)의 내면으로부터 전방측으로 일체로 돌설되고, 상기 격벽부(42)가 상기 지지벽부(11)를 제외한 나머지 외곽측을 따라 상향 돌출되어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더불어, 상기 물받이부(40)에 저수된 물이 배출되도록 별도의 배출호스 등이 연결되어 사용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변형예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이러한 물받이부(40)는 상기 지지벽부(11) 및 상기 안착면부(20)의 타단(20b) 사이의 전후방향 수평간격(w2)보다 크게 형성되면서, 상기 뚜껑 수납용 선반(100)이 전체적으로 상협하광의 프로파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수납지지부(10)가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거나 상기 조리용기 뚜껑(c)의 수납 개수가 증가하더라도 직립 배치된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지지벽부(11)의 상단부에는 상기 설치대상공간의 측면에 고정되도록 고정수단이 체결되는 고정부(13)가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고정수단은 단부가 상기 설치대상공간의 측면에 고정되는 볼트 또는 못으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수단이 상기 고정부(13)를 관통하여 상기 설치대상공간의 측면에 고정됨에 따라 상기 뚜껑 수납형 선반(100)이 더욱 안정적으로 직립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부(13)는 상기 지지벽부(11)의 상단 상측으로 돌설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조리용기 뚜껑(c,c1)과 상기 고정수단이 실질적으로 이격될 수 있으므로, 상기 고정수단에 의해 상기 조리용기 뚜껑(c,c1)에 흠집이 발생하거나 오염됨을 방지할 수도 있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른 뚜껑 수납용 선반(100)은 반복적으로 회전 조작되는 싱크대 수납장의 도어가 아닌 싱크대 내부 측면과 같은 고정된 공간에 설치된다. 따라서, 종래의 뚜껑 정리대가 싱크대 수납장의 도어에 설치되어 상기 도어를 개폐시 충격 및 요동이 가해지면서 조리용기 뚜껑이 낙하하는 등의 문제점이 해결될 수 있다. 또한, 다수개의 조리용기 뚜껑(c)이 도어의 내측에 수납되면서 힌지회동부에 과도한 하중이 가해지던 종래의 문제점이 근본적으로 제거되므로 안정적인 수납이 가능하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리용기 뚜껑 수납용 선반의 변형예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본 변형예에서는 상기 안착면부(120)를 제외한 기본적인 구성은 상술한 일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배수구(121) 및 상기 거치홈(122)은 각각 상기 안착면부(120)의 일단측 및 타단측을 따라 복수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세히, 상기 거치홈(122)이 복수개로 형성되면 상기 수납공간의 가장자리측에 수납되는 상기 조리용기 뚜껑의 손잡이도 상기 거치홈(122)에 수용된 상태로 수납될 수 있다. 따라서, 크기가 작은 다수개의 조리용기 뚜껑을 횡방향으로 정렬한 상태로 수납할 수도 있으며, 다수개의 상기 조리용기 뚜껑을 하나의 수납공간에 적층 수납시 상기 손잡이에 의해 돌출되는 부피가 최소화되므로 상기 뚜껑 수납용 선반(100A)의 공간효율성이 더욱 향상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배수구(121)가 복수개로 형성됨에 따라 상기 조리용기 뚜껑에 잔존하는 물이 더욱 신속하고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안착면부(120)는 횡방향 중앙부(124)가 하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조리용기 뚜껑(c)에 잔존하는 물이 상기 안착면부(120)의 상면을 따라 일단측으로 흘러내리되 상기 배수구(121)가 형성된 횡방향 중앙부(124)측으로 자연스럽게 유도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안착면부(120)의 일단측이 상기 지지벽부의 내면에 밀착된 상태로 물이 고여 오염됨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수납공간에 다수개로 적층 배치되어 수납되는 조리용기 뚜껑의 하중이 실질적으로 상기 수납공간의 중앙부측으로 가해질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조리용기 뚜껑의 일측 외곽이 각 상기 측벽부의 외곽측으로 큰 면적으로 돌출되더라도 안정적으로 수납 보관될 수 있다.
더욱이,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상기 안착면부(120)의 하면부에는 상기 조리용기 뚜껑의 외곽이 마찰력에 의해 구속되는 마찰고정부가 구비될 수도 있다. 이러한 마찰고정부는 실리콘 또는 고무 등과 같이 탄성 재질이면서도 마찰계수가 큰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안착면부(120)의 가장자리측에 배치되는 상기 조리용기 뚜껑은, 그의 일측 외곽이 상기 개구부에 걸림 구속되되 타측 외곽 또는 외면이 상기 마찰고정부에 마찰 구속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주변의 충격 또는 진동에도 상기 뚜껑 수납용 선반(100A)에 상기 조리용기 뚜껑이 수납된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리용기 뚜껑 수납용 선반(100,100A)은 각 부분이 판형으로 형성되어 제조가 용이하면서도 수납장 내부와 같은 설치대상공간의 바닥면 및 측면에 지지된 상태로 직립 설치가 가능하다. 따라서, 종래의 프레임식 수납구조가 복잡한 형태로 절곡되어 수납장의 도어에 설치됨으로 인해 도어의 회동시 소음 및 파손이 발생하던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소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측벽부(12)로부터 일체로 상향 돌설된 상기 손잡이 걸림리브(30)가 상기 측벽부(12)보다 전방측으로 더 돌출되도록 경사지게 배치되는 상기 안착면부(20)의 양측 테두리를 지지한다. 이를 통해, 제품이 컴팩트한 크기로 제조되더라도 다수개의 조리용기 뚜껑을 포개어 안정적으로 수납 지지할 수 있어 공간활용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하로 이웃하는 상기 손잡이 걸림리브(30) 및 상기 측벽부(12)의 전방 테두리(12c) 사이에 상기 개구부(s2)가 쐐기형으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조리용기 뚜껑의 일부분은 상기 측벽부(12)의 내면측에 형성된 상기 수용부(s1)에 수용되되 일측 외곽이 상기 개구부(s2)측에 걸림 고정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수납공간의 양단측에 조리용기 뚜껑을 걸치어 수납하더라도 낙하가 방지되므로 수납안정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안착면부(20)는 상기 거치홈(22) 및 상기 배수구(21)를 제외하면 상하로 연통되는 개구구조 없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조리용기 뚜껑이 세척된 상태로 수납되더라도 잔존하는 물이 상기 안착면부(20)의 경사진 상면을 따라 일단측의 상기 배수구(21)로 유도되어 배출된다. 이를 통해, 낙수에 의해 하측에 수납된 조리용기 뚜껑의 오염이 방지되어 위생적이다. 또한, 배출된 물은 그의 하측에 일체 또는 별도로 제조되어 구비되는 상기 물받이부(40)에 저수되므로 상기 설치대상공간 주변이 물에 의해 지저분해지거나 오염됨을 방지할 수 있어 청결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이때,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구비하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청구항에서 청구하는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 실시되는 것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0: 수납지지부 11: 지지벽부
12: 측벽부 13: 고정부
20: 안착면부 21: 배수구
22: 거치홈 30: 손잡이 걸림리브
40: 물받이부 100: 조리용기 뚜껑 수납용 선반
c,c1: 조리용기 뚜껑 h: 손잡이

Claims (5)

  1. 기설정된 면적을 가지며 설치대상공간의 측면에 지지되는 지지벽부와, 상기 지지벽부의 양측 테두리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며 내면이 마주보게 형성된 한쌍의 측벽부를 포함하는 수납지지부; 및
    일단측이 한쌍의 상기 측벽부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지지벽부의 내면에 접촉되며 타단측이 상기 측벽부의 전방 외측으로 상향 경사지게 연장되어 사선으로 배치되되, 상기 일단측에 배수구가 형성되고 상기 타단측에 조리용기 뚜껑의 손잡이가 수용되는 거치홈이 전방측으로 개구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수납지지부의 상하방향으로 다단 배열되는 복수개의 안착면부를 포함하는 조리용기 뚜껑 수납용 선반.
  2. 제 1 항에 있어서,
    각 상기 안착면부를 지지하도록 한쌍의 상기 측벽부로부터 전방측으로 상향 경사지게 일체로 돌출되되 내면이 마주보게 쌍으로 배치되며, 상기 수납지지부의 상하방향으로 다단 배열되는 복수개의 손잡이 걸림리브를 더 포함하되,
    각 쌍의 상기 손잡이 걸림리브는 각 상기 안착면부의 양측 테두리가 대면 배치되는 상단 테두리로부터 하향 연장된 폭이 상하로 이웃하는 상기 안착면부 사이의 측방향 개구공간의 상측을 커버하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 뚜껑 수납용 선반.
  3. 제 2 항에 있어서,
    한쌍의 상기 측벽부의 내면 사이에는 상기 조리용기 뚜껑의 일부분이 수용되는 수용부가 형성되되,
    상기 측벽부의 전방 테두리와 상기 손잡이 걸림리브의 상단 테두리 사이에는 상기 조리용기 뚜껑의 일측 외곽이 걸림 구속되는 쐐기형의 개구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 뚜껑 수납용 선반.
  4. 제 2 항에 있어서,
    한쌍의 상기 측벽부 및 각 쌍의 상기 손잡이 걸림리브의 마주보는 내면에는 상기 안착면부의 양측 테두리가 슬라이딩 체결되도록 전방측으로 상향 경사진 슬라이드체결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 뚜껑 수납용 선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지지부의 하단부에는 상기 지지벽부 및 상기 안착면부의 타단 사이의 수평간격을 초과하여 전방측으로 큰 면적으로 형성되는 바닥면부와, 상기 바닥면부의 외곽을 따라 상향 돌출된 격벽부의 내측으로 상기 배수구를 통해 낙수되는 물이 저수되는 저수공간이 형성된 물받이부가 더 구비되며,
    상기 지지벽부의 상단부에는 상기 설치대상공간의 측면에 고정되도록 고정수단이 체결되는 고정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 뚜껑 수납용 선반.
KR1020190056738A 2019-05-15 2019-05-15 조리용기 뚜껑 수납용 선반 KR2020013200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6738A KR20200132000A (ko) 2019-05-15 2019-05-15 조리용기 뚜껑 수납용 선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6738A KR20200132000A (ko) 2019-05-15 2019-05-15 조리용기 뚜껑 수납용 선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2000A true KR20200132000A (ko) 2020-11-25

Family

ID=736454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6738A KR20200132000A (ko) 2019-05-15 2019-05-15 조리용기 뚜껑 수납용 선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32000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9927Y1 (ko) 2002-03-18 2002-07-02 주식회사 팬물산 싱크대 문 걸이용 부엌용품 정리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9927Y1 (ko) 2002-03-18 2002-07-02 주식회사 팬물산 싱크대 문 걸이용 부엌용품 정리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92471A (en) Bakeware organizer
US7455066B2 (en) Dishwasher utensil rack and utensil basket therefor
US7407059B2 (en) Drying storage rack
US7325695B2 (en) Dish rack with water drainage mechanism
US20140332479A1 (en) Sink Dish Drainer Set
US20040079713A1 (en) Dishwasher utility basket
JP2002112943A (ja) 皿水切り器と盆のセット
KR20140022598A (ko) 냉장고용 서랍칸
US7748543B2 (en) Tilting dish rack assembly
EP1256309B1 (en) Cutlery basket for dishwasher
US20100065517A1 (en) Dish drainer
KR200493288Y1 (ko) 주방용품 보관함
US6761119B2 (en) Storage and table unit
US20050040120A1 (en) Expandable dish drain
US6131746A (en) Pot lid storing trough
US8151810B2 (en) Basket assembly for a dishwasher, and associated apparatus
KR101813789B1 (ko) 식기선반
KR101977580B1 (ko) 공간수납형 식기 건조대
KR200464755Y1 (ko) 서랍식 컵받침이 구비된 식기건조기
KR20200132000A (ko) 조리용기 뚜껑 수납용 선반
US20050045215A1 (en) Three rack dishwasher with door mounted silverware basket
KR101005818B1 (ko) 주방용기의 연결구조
KR20210001373A (ko) 주방용품 정리대
JPH07327849A (ja) 流し台用整理棚
US20040095048A1 (en) Pot and pan drawer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