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9637A - 치아 검진용 다용도 미러 - Google Patents

치아 검진용 다용도 미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29637A
KR20200129637A KR1020190054347A KR20190054347A KR20200129637A KR 20200129637 A KR20200129637 A KR 20200129637A KR 1020190054347 A KR1020190054347 A KR 1020190054347A KR 20190054347 A KR20190054347 A KR 20190054347A KR 20200129637 A KR20200129637 A KR 202001296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rror
light
piece
dental examination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43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86646B1 (ko
Inventor
윤홍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오바이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오바이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오바이오
Priority to KR10201900543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6646B1/ko
Publication of KR202001296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96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66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66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24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for the mouth, i.e. stomatoscopes, e.g. with tongue depressors; Instruments for opening or keeping open the mouth
    • A61B1/247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for the mouth, i.e. stomatoscopes, e.g. with tongue depressors; Instruments for opening or keeping open the mouth with means for viewing areas outside the direct line of sight, e.g. dentists' mirr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4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combined with photographic or television applian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6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with illuminating arrangem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a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Bio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Endoscopes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아 검진용 다용도 미러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사용자가 환자를 검진할 때에 양면의 미러를 활용하여 제1미러를 통하여서는 발광부에 의해 반사된 빛이 환자의 구강 내부에 닿도록 하여 구강 내 미생물을 형광빛을 통해 살펴볼 수 있도록 하고, 제2 미러를 통하여서는 환자의 구강 내부가 직접 반사된 모습을 살펴볼 수 있도록 한 다용도 미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치아 검진용 다용도 미러{Multi-purpose Mirror for Dental Examination}
본 발명은 치아 검진용 다용도 미러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사용자가 환자를 검진할 때에 양면의 미러를 활용하여 제1미러를 통하여서는 발광부에 의해 반사된 빛이 환자의 구강 내부에 닿도록 하여 구강 내 미생물을 형광빛을 통해 살펴볼 수 있도록 하고, 제2 미러를 통하여서는 환자의 구강 내부가 직접 반사된 모습을 살펴볼 수 있도록 한 다용도 미러에 관한 것이다.
치아 검진용 미러, 또는 치경-치아 거울로도 불리는 해당 기구는 환자들의 치과 검진시 가장 많이 사용되는 기구이다. 종래의 치아 검진용 미러는 일반적으로 스테인레스와 같은 금속성 재질로 이루어지며, 긴 형상의 손잡이와 그 말단부에 미러가 붙은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러한 치아 검진용 미러는 일반적으로 치과 내에서 일회성으로 사용된 후 버려지거나 또는 소독 후 사용되는 등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한편, 최근에는 단순히 육안으로 치아를 관찰하던 것에 그치지 않고 치아를 향해 빛을 조사한 후 이에 의해 반사되는 빛의 형광색깔을 관찰함으로써 환자의 구강 내 미생물까지 관찰이 가능한 장치들이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구강 내 미생물을 관찰하기 위한 장치들은 발광부가 구비된 별도의 독립된 장치의 형태로만 제공되고 있기 때문에 가령 의사가 환자의 구강 내 미생물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종래의 치아 검진용 미러를 내려 놓은 후 미생물 관찰을 위한 장치를 다시 파지하여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을 수 있으며, 나아가 검진에 더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도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 내지 불편함에 착안하여 치과 병원 내에서 환자의 치아상태를 관찰하고자 할 때에 육안으로 직접 관찰하는 것은 물론 파지하고 있던 치아 검진용 미러를 단순히 방향을 바꾸어 파지하는 것만으로 환자 구강 내 미생물 상태까지도 쉽게 관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안된 것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15698호 (2013.10.10. 공고)
본 발명은 환자의 구강 내부를 검진할 때에 사용하는 종래 치아 검진용 미러를 개선시킴으로써 단순히 육안으로 구강 내부를 확인하는 것뿐 아니라, 특정 파장대역의 빛에 대해 형광색을 반사시키는 특성을 이용하여 환자의 구강 내부 미생물까지도 확인할 수 있게 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본 발명은 두 면의 미러를 구비한 장치를 제공하되, 이 중 하나의 미러를 통해서는 직접 육안을 통해 환자의 구강 내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그리고 나머지 하나의 미러를 통해서는 특정 대역의 빛을 비추는 경우 구강 내 미생물 활성도에 따라 형광색을 반사하는 특성을 활용하여 환자의 구강 내 미생물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이 때 사용자로 하여금 단순히 치아 검진용 미러의 방향을 바꾸어 파지하는 것만으로도 간편하게 환자의 구강 내부 상태를 다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미러피스를 가능한 한 간단한 구조로, 그리고 비용이 저렴한 재질로 제조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미러피스를 소모품과 같이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또는 소독이 쉽도록 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즉, 미러피스를 교체 가능하게 함으로써 전체 장치의 위생관리가 용이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미러피스가 몸체부로부터 탈거된 상태에서도 상기 몸체부에 캡(cap)을 씌움으로써 환자의 구강 내부 미생물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일종의 조명장치로도 활용할 수 있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치아 검진용 다용도 미러는 미러피스 및 몸체부를 포함하되, 상기 몸체부는,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수단; 상기 미러피스와 체결되는 체결부; 상기 전원공급수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미러피스의 광통로부를 향해 임의의 빛을 출력하는 발광부;를 포함하고, 상기 미러피스는, 상기 체결부와 체결되고, 상기 발광부로부터 출력된 빛이 통과하는 광통로부; 상기 광통로부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된 것으로서, 전면 및 배면에 각각 제1미러 및 제2미러가 구비되며, 상기 제1미러는 상기 광통로부를 통과한 빛을 임의의 조사대상을 향해 반사시키는 미러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치아 검진용 다용도 미러에 있어서, 상기 미러부는 상기 광통로부의 외부 케이싱으로부터 연장되되, 상기 외부 케이싱의 외주면 중 일부에만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이 때 상기 광통로부는 플렉서블한 재질로 형성되며, 임의의 곡률을 가지는 곡선으로 휘어짐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치아 검진용 다용도 미러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는 상기 체결부의 내부공간에 구비되고, 상기 미러피스와 상기 몸체부가 체결되었을 때 상기 광통로부의 타단과 밀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치아 검진용 다용도 미러에 있어서 상기 미러부는 상기 광통로부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되, 상기 광통로부와 소정의 각도를 이루어 연장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광통로부의 일단에는 당해 광통로부를 통과한 빛이 출력되는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치아 검진용 다용도 미러에 있어서 상기 미러부는 상기 광통로부의 일단과 관절부에 의해 연장되고, 상기 관절부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미러부와 상기 광통로부가 이루는 소정의 각도가 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한편,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아 검진용 다용도 미러는 미러피스 및 몸체부를 포함하되, 상기 몸체부는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수단; 상기 미러피스와 체결되는 체결부; 상기 체결부의 일단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상기 전원공급수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임의의 빛을 출력하는 발광부; 를 포함하고, 상기 미러피스는 상기 몸체부와의 체결을 위해 상기 체결부 내 삽입되는 로드(rod)부; 상기 로드부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된 것으로서, 전면 및 배면에 각각 제1미러 및 제2미러가 구비되는, 미러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치아 검진용 다용도 미러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의 일단은 원뿔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발광부는 상기 원뿔 형상의 측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한편,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아 검진용 다용도 미러에 있어서, 상기 치아 검진용 다용도 미러는 미러피스 및 몸체부를 포함하되, 상기 몸체부는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수단; 상기 미러피스와 결합되는 결합홈; 상기 전원공급수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임의의 빛을 출력하는 발광부;를 포함하고,
상기 미러피스는,
상기 몸체부와의 결합을 위해 상기 결합홈 내 삽입되는 로드(rod)부;
상기 로드부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된 것으로서, 전면 및 배면에 각각 제1미러 및 제2미러가 구비되는, 미러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1회 검진 시 환자의 구강 내부를 다각적으로 관찰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으며, 특히 사용자(치과 의사)는 간단하게 파지 방향을 바꾸는 것 만으로도 다각적 관찰이 가능하게 되는 점에서 검진의 효율성 및 신속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다용도로 활용 가능한 미러피스를 쉽게 교체할 수 있게 제작함으로써 위생 관리를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미러피스가 몸체부로부터 탈거된 상태에서도 몸체부를 구강 내 미생물 관찰을 위한 독립적인 장치로 활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장치의 활용도를 높이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 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치아 검진용 다용도 미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위 제1 실시예에 따른 치아 검진용 다용도 미러의 단면도이다.
도 3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치아 검진용 다용도 미러의 활용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미러피스 내 구비된 미러부가 관절부에 의해 연장되어 관절운동을 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미러피스가 탈거된 상태에서 몸체부에 캡을 씌워 활용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치아 검진용 다용도 미러의 사시도이다.
도 7은 위 제2 실시예에 따른 치아 검진용 다용도 미러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미러피스가 탈거된 상태에서 몸체부에 캡을 씌워 활용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제3실시예에 따른 치아 검진용 다용도 미러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제4실시예에 따른 치아 검진용 다용도 미러의 사시도이다.
도 11 내지 도 13은 제3 실시예에 따른 치아 검진용 다용도 미러 중 미러피스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4는 제3 실시예에 따른 치아 검진용 다용도 미러 중 몸체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과 기술적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 효과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본 발명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에 의거한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거나 이용되지 않아야 할 것이다. 이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명세서의 실시예를 포함한 설명은 다양한 응용을 갖는다는 것이 당연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임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보다 잘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들을 포함한다는 표현은 “개방형”의 표현으로서 해당 구성요소들이 존재하는 것을 단순히 지칭할 뿐이며, 추가적인 구성요소들을 배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나아가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될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치아 검진용 다용도 미러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참고로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치아 검진용 다용도 미러라는 용어 대신 치아 검진용 미러 또는 다용도 미러라는 용어를 함께 사용할 수 있으나, 해당 용어들은 모두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자 하는 치아 검진용 다용도 미러임을 밝힌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크게 두 가지 실시예의 치아 검진용 다용도 미러를 제안하는데, 도 1 내지 도 5에서는 제1 실시예와 관련된 설명을, 그리고 도 6 내지 도 8에서는 제2 실시예와 관련된 설명을, 도 9에서는 제3 실시예와 관련된 설명을, 도 10에서는 제4 실시예와 관련된 설명을 기재하고 있음을 밝힌다.
[제1 실시예]
먼저 제1 실시예에 따른 치아 검진용 다용도 미러를 살펴본다. 치아 검진용 다용도 미러는 크게 몸체부(100)와 미러피스(200)라는 두 개의 큰 조립체가 결합되어 구성될 수 있는 것으로, 이 때 몸체부(100)는 사용자(예: 치과의사, 가정에서 사용하고자 하는 개인)가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의 역할을 함과 동시에 몸체부(100) 내부 공간의 여러 구성들을 수용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몸체부(100)에는 스위치(104)가 구비되어 있어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작동을 온/오프 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한편 미러피스(200)는 몸체부(100)와 탈착이 가능한 것으로, 긴 막대기 형상의 부재 말단에 양면 미러부(202)가 형성되되, 긴 막대기 형상의 부재의 또 다른 말단은 몸체부(100) 중 체결부(102)에 탈착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구조를 가진다. 위 긴 막대기 형상의 부재는 본 상세한 설명에서는 광 통로부(201)라 칭하기로 하며, 뒤에서도 설명하겠지만 광 통로부(201)는 내부에 빛이 통과할 수 있는 채널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몸체부(100)와 미러피스(200)의 세부 구성들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 2는 앞서 도 1에서 살펴본 치아 검진용 다용도 미러의 종단면을 도시한 것이며, 이 때 당해 치아 검진용 다용도 미러는 몸체부(100)와 미러피스(200)가 결합된 상태의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먼저 몸체부(100) 내에 포함되는 구성들에 대해 살펴보면, 몸체부(100)는 크게 전원공급수단(101), 체결부(102), 그리고 발광부(103)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공급수단(101)은 당해 장치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휴대성이 필수인 당해 장치의 특성상 위 전원공급수단(101)은 건전지 또는 충전지일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치아 검진용 다용도 미러의 사용을 위해 건전지를 구입하여 상기 몸체부(100) 내부에 삽입할 수 있으며, 또는 이미 내부에 충전지가 삽입된 몸체부(100)를 케이블 등을 통해 외부 전원과 연결시킴으로써 장치 사용에 필요한 전기 에너지를 충전하도록 할 수 있다. 또 다른 한편, 도 2에는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상기 몸체부(100) 내에는 무선충전을 가능하게 하는 일련의 회로들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사용자는 몸체부(100)를 충전기 상에 올려두는 행위만으로 해당 장치를 충전할 수 있게 당해 전원공급수단(101)을 구현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체결부(102)는 기본적으로 미러피스(200)와 체결되는 부분을 일컫는다. 도 2에서도 확인할 수 있듯 체결부(102)는 몸체부(100)의 한쪽 끝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미러피스(200)가 삽입 및 체결될 수 있도록 오목하게 형성된 삽입구가 형성될 수 있다. 미러피스(200)가 체결부(102)와 체결되는 구조에는 다양한 방식들이 존재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미러피스(200)의 구성 중 원통형의 광 통로부(201)가 그대로 체결부(102)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방식, 광 통로부(201)와 체결부(102)가 체결되는 부분을 암수나사의 구조로 형성하여 회전에 의해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방법, 광 통로부(201)의 말단에 후크(hook)를 형성시키고 체결부(102) 내부에는 상기 후크가 걸릴 수 있는 홈을 형성시킴으로써 체결시 위 후크가 홈에 걸리어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방법 등 다양한 방식들이 존재할 수 있다.
다음으로 발광부(103)는 전술한 전원공급수단(101)으로 전류 및 전압을 공급받아 빛을 방출하는 구성으로, 바람직하게는 380~800nm 파장대역의 빛을, 더 바람직하게는 655nm 파장영역의 빛을 발광하거나 또는 380 내지 420nm 파장의 청색광을 출력할 수 있다. 위 파장대역의 빛은 미생물이 활성화 되어 있는 대상물(치아) 상에 조사되었을 때 형광색의 반사광을 관찰할 수 있게 하는 것이며, 사용자는 위 발광부(103)에 의해 출력되는 빛, 그리고 이 빛의 미생물에 의한 반사광을 관찰함으로써 환자의 구강상태를 다각적으로 살펴볼 수 있게 된다. 즉, 미생물의 대사과정 중에 발생되는 물질이 형광 현상을 일으킬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미생물의 대사 과정 중에 발생되는 포피린이라는 물질은 380 내지 420nm의 청색광에서 형광 현상을 일으키므로,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파장영역대의 빛을 출력할 수 있도록 발광부(103)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위 발광부(103)는 대표적으로 LED, 수은 램프, 나트륨 램프, 크세논 램프, EL램프, 레이저 발광장치 등을 활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한편, 본 발광부(103)는 몸체부(100) 내에 구비되어 미러피스(200)의 광 통로부(201)를 향해 빛을 출력할 수 있는 한 그 구비 위치에 제한이 없다 할 것이나 바람직하게는 도 2에서와 같이 체결부(102) 내부에 형성될 수 있으며, 특히 광 통로부(201)가 체결부(102)에 체결되었을 때 상기 광 통로부(201)와 밀착될 수 있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광부(103)의 크기는, 도면 상에서는 광 통로부(201)의 면적에 비해 더 넓은 면적을 가지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상기 광 통로부(201)의 직경과 동일한 면적, 상기 광 통로부(201)의 단면적보다 작은 면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특히, 상기 광 통로부(201)가 체결될 때에 상기 광 통로부(201)의 내부로 발광부(103)가 삽입되도록 구조를 형성할 수도 있으며, 이렇게 구현하는 경우 미러피스(200)는 체결부(102)에 의해 고정되는 것 이외에 광 통로부(201) 내부에 발광부(103)가 삽입됨으로써 고정되는 고정력까지 얻을 수 있으므로 더욱 체결력이 높아지는 효과를 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몸체부(100)는 스위치(104)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위 스위치(104)는 전원공급수단(101)의 온/오프를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가 당해 치아 검진용 다용도 미러를 정방향으로 파지하여 환자의 구강 내부를 육안으로 관찰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전원공급수단(101)을 오프 시키고, 치아 검진용 다용도 미러를 반대방향으로 파지하여 환자의 구강 내 미생물 상태를 관찰하고자 할 때에는 전원공급수단(101)을 온 시키는 데에 활용될 수 있다.
이상 몸체부(100)에 대해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미러피스(200)에 대해 살펴보면, 미러피스(200)는 크게 광 통로부(201), 그리고 미러부(202)를 포함한다.
광 통로부(201)는 이미 앞선 몸체부(100)에 대한 설명에서도 언급이 되었던 구성으로, 몸체부(100)의 체결부(102)에 체결될 수 있고, 또한 발광부(103)에서 출력된 빛이 통과하는 구성이다. 위 광 통로부(201)를 다시 세부적으로 나누어 보면 내부에 빛이 전반사되어 통과되는 광 채널(2012), 그리고 광 채널(2012)을 둘러싸는 외부 케이싱으로 다시 나눌 수 있다. 이 때 광 채널(2012)은 빛의 전반사 성질을 이용하여 일단에서 타단으로 통과시킬 수 있는 것이라면 제한이 없다 할 것이며, 바람직하게는 광섬유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싱 역시 형성 물질에 특별한 제한이 없다 할 것이며 플라스틱, 금속 등이 케이싱으로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광 통로부(201)는 비단 하드 타입으로만 형성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플렉서블한 물성의 재질로도 형성될 수 있어 사용자의 환자 검진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즉, 상기 광 통로부(201)는 사용자가 임의의 외력을 가하는 경우 그 휘어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물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사용자로서는 자신이 개별 환자의 구강 내부를 살필 때마다 적절한 휘어짐 정도를 정하여 광 통로부(201) 모양을 임의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광 통로부(201)는 복원력 내지 탄성력이 더 좋은 물성의 재질로도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사용자는 환자의 구강 상태를 살필 때에 광 통로부(201)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환자의 치아를 지지점으로 삼아 구강 내부의 구석구석을 살필 수 있게 되는 효과도 있다.
한편, 상기 미러피스(200)의 광 통로부(201) 일단에는 미러부(202)가 구비되는데, 더 정확하게는 광 통로부(201)의 외부 케이싱의 외주면 중 일부만 접하도록 미러부(202)가 구비될 수 있다. 이 때 미러부(202)는 하나의 패널(2021)을 두고 위 패널(2021)의 전면 및 배면에 각각 제1 미러(2022) 및 제2 미러(2023)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미러부(202)의 특징은 2 개의 미러가 각각 전면과 배면을 향하도록 배치된다는 점 이외에도, 상기 광 통로부(201)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되 상기 광 통로부(201)와 소정의 각도를 이루어 연장된다는 점에서도 기술적으로 특징점이 있다. 즉, 도 2에서도 확인할 수 있듯 미러부(202)의 패널(2021)은 광 통로부(201)의 일단과 연장되되 광 통로부(201)와 직선을 이루지 않고 굽어져 있는데, 이는 패널(2021)의 전면 및 배면에 구비된 각 미러들을 서로 다른 용도로 활용하기에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즉, 제1 미러(2022)는 광 통로부(201)를 통과한 빛을 반사시키기에 적합한 각도로, 제2 미러(2023)는 사용자가 환자의 구강 내부를 육안으로 쉽게 관찰하기에 적합한 각도로 구비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위 미러부(202)의 패널(2021)은 상기 광 통로부(201)의 케이싱과 반드시 동일한 재질의 것으로 형성될 필요는 없으나 바람직하게는 광 통로부(201)의 케이싱과 동일한 재질의 것으로 형성시킴으로써 제조상의 편의를 높일 수 있다. 즉, 광 통로부(201)와 미러부(202)의 패널(2021)을 동일한 압출 단계에서, 또는 동일한 주조 단계에서 제작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작시간 및 비용을 줄일 수 있는 효과도 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패널(2021)의 전면 및 배면에 형성되는 미러들은 각각 미리 제작된 미러를 접착 또는 부착하는 방식, 또는 상기 패널(2021)의 전면 및 배면에 빛 반사가 가능한 물질로 코팅을 하는 방식 등이 활용될 수 있다.
상기 미러부(202)와 관련하여 특기할 만한 사항으로, 도 1 및 도 2에서도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미러부(202)의 제1 미러(2022)는 광 통로부(201)의 타단에 형성된 개구부를 향하여 형성되고, 제2 미러(2023)는 상기 제1 미러(2022)와 반대되는 쪽을 향해 형성된다는 점, 나아가 상기 미러부(202)의 패널(2021)은 광 통로부(201)의 케이싱 면 중 일부와만 접한다는 점이다. 도 1과 도 2에서 확인할 수 있는 미러피스(200)의 구조는 궁극적으로 제1 미러(2022)를 통해서는 광 채널(2012)을 통해 통과한 빛들이 효과적으로 반사되어 더 넓은 영역의 환자 구강 내부를 비출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인데,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제1 미러(2022)로 하여금 광 통로부(201)의 타단에 형성된 개구부 쪽을 향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도 1 및 도 2에서처럼 미러부(202)의 패널(2021)이 케이싱 면 중 일부와만 접하도록 구현함으로써 발광부(103)에 의한 빛이 외부로 발광될 수 있는 구멍, 즉 개구부를 형성시킬 수 있으며, 이를 활용하여 궁극적으로는 도 3의 (a)와 같이 더 넓은 영역으로의 빛 조사가 가능하게 될 수 있다. 상기 광 통로부(201)의 개구부를 통한 빛이 직접 대상을 향하여 조사될 수도 있겠으나, 제1 미러(2022)의 존재에 의해 상기 개구부로부터 출력된 빛들이 반사에 의해 대상을 보다 더 효과적으로 비출 수 있게 한 것이다. 이처럼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자 하는 치아 검진용 다용도 미러는 미러피스(200)의 위와 같은 구조에 의해 환자의 구강 내 다각적 관찰이 가능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미러피스(200)를 제1 실시예에서와 같이 제조하는 경우, 비교적 비용이 저렴한 제1 미러(2022)를 패널(2021)의 전면에 추가로 배치하는 것, 그리고 비교적 비용이 저렴한 광섬유 등의 광 채널(2012)을 광 통로부(201) 내에 삽입하는 것에 의해 기술적 효과가 뛰어난 장치를 구현할 수 있게 되므로 제조상 이점도 있다.
한편 도 3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치아 검진용 다용도 미러를 활용하는 예시들을 도시한 것으로, 도 3의 (a)는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치과의사)가 정방향으로 치아 검진용 다용도 미러를 파지한 후 환자의 구강을 향해 특정대역의 빛을 조사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며, 도 3의 (b)는 사용자가 반대방향으로 파지한 후 환자의 구강 내부를 육안으로 관찰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처럼, 사용자로서는 단순히 파지 방향을 바꾸는 것만으로도 환자의 구강 내부를 육안으로 직접 관찰하거나 또는 미생물 상태를 관찰할 수 있게 되므로 1회 검진 시 구강 상태에 대한 여러 정보를 획득할 수 있게 되며 검진 시간을 크게 줄일 수도 있다.
참고로, 치아 검진용 다용도 미러를 정방향으로 파지하여 환자의 구강 내 미생물을 관찰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특정대역의 빛을 필터링 시키는 관찰장비를 착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사용자(치과의사)는 필터가 구비된 안경을 착용한 상태에서 미생물 활성화 상태를 관찰할 수 있다. 본 상세한 설명 및 도면에서는 위와 같은 관찰장비에 대해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4는 미러부(202)가 광 통로부(201)와 관절부(2024)를 통해 연장되는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앞서 설명한 실시예에서는 미러부(202)의 패널(2021)이 광 통로부(201)로부터 직접 연장되거나 또는 미러부(202)의 패널(2021)과 광 통로부(201)가 일체로 형성된 예시들을 설명하였는데, 도 4에서는 미러부(202)가 광 통로부(201)와 관절부(2024)를 통해 연결된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관절부(2024)는 구성의 명칭에서도 알 수 있듯 연결된 구성의 관절 운동이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 도 4의 화살표 표시와 같이 미러부(202)가 연결점을 기준점으로 하여 회전이 가능하게 한다.
이처럼 미러부(202)가 광 통로부(201)에 관절부(2024)로 연결되도록 구현하는 경우,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상기 미러부(202)의 회전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환자의 구강 상태를 관찰할 때에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구강 내부의 구석구석을 살펴보기 위해서는 미러부(202)와 광 통로부(201)가 이루는 각도가 고정된 것보다는 유연하게 조절될 수 있는 것이 더 효과적일 수 있고, 또는 어린이와 성인의 구강 내부를 살필 때에도 필요에 따라 각도를 조절하는 것이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바, 본 발명에서는 미러부(202)가 관절부(2024)를 통하여 광 통로부(201)와 연결되도록 하는 실시예도 제안한다.
또 다른 한편, 상기 관절부(2024)에는 복원력 내지 탄성력을 가지는 스프링을 더 삽입시킴으로써 원래 상태에서는 미러부(202)가 광 통로부(201)와 소정의 각도를 가지고 있도록 유지가 되되, 사용자가 환자의 치아에 미러를 댄 상태에서 힘을 주는 경우에는 관절부(2024)가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고, 또한 다시 미러를 치아에서 떼는 경우에는 복원력 또는 탄성력에 의해 다시 원래의 상태로 돌아가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현하는 경우, 사용자로서는 관절부(2024)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미러부(202)를 자신이 원하는 각도로 조절할 수 있으며, 검진이 끝난 후에는 다시 원래의 각도로 복귀가 될 것이므로 매번 미러부(202)의 각도를 조절하는 불편함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도 5는 미러피스(200)가 몸체부(100)로부터 탈거된 상태의 도면으로, 더 정확하게는 미러피스(200)가 탈거된 후 몸체부(100)에 캡(300)(CAP)을 씌운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캡(300)은 크게 두 가지 용도, 다시 말해 미생물 관찰 장치용 또는 보호용으로 활용이 가능한데, 도 5에 개시된 캡(300)은 몸체부(100)를 미생물 관찰용 장치로 활용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다.
앞서에서도 언급하였듯 몸체부(100)의 체결부(102) 내부에는 발광부(103)가 구비될 수 있는데, 미러피스(200)가 탈거된 상태에서는 위 발광부(103)가 그대로 외부에 노출되어 위생상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또한 발광부(103)에 손상이 가해져 장치를 사용하지 못하는 경우도 발생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미러피스(200)가 탈거된 경우 사용할 수 있는 캡(300)을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이 때 캡(300)은 체결부(102) 부분을 완전히 덮어 씌우기 위한 것, 또는 개구부를 두어 미생물 관찰용 장치로 활용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 이렇게 두 가지 종류가 구비될 수 있다.
도 5에 개시된 캡(300)처럼 미생물 관찰용 장치로 활용하기 위한 캡(300)은 체결부(102) 및 발광부(103) 위에 씌워진 경우 빛을 전방을 향해 조사할 수 있게 하며, 특히 개구부에는 별도의 렌즈를 두어 조사되는 빛의 포커싱이 가능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이상 제1 실시예에 따른 치아 검진용 다용도 미러에 대해 살펴보았다.
[제2 실시예]
제2 실시예에 따른 치아 검진용 다용도 미러를 살펴본다.
도 6을 참조할 때, 제2 실시예에 따른 치아 검진용 다용도 미러도 제1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크게 몸체부(400)와 미러피스(500)라는 두 개의 큰 조립체가 결합되어 구성된다. 이 때 몸체부(400)는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의 역할을 함과 동시에 몸체부(400) 내부 공간의 여러 구성들을 수용하는 기능을 하고, 몸체부(400)에는 스위치(404)가 구비되어 있어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작동을 온/오프 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한편 미러피스(500)는 몸체부(400)와 탈착이 가능한 것으로, 긴 막대기 형상의 부재 말단에 양면 미러부(502)가 형성되되, 긴 막대기 형상의 부재의 또 다른 말단은 몸체부(400) 중 체결부(402)에 탈착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구조를 가진다. 한편, 제1 실시예에서는 광 통로부 또는 광 채널이라는 구성을 두어 몸체부 내에 구비되는 발광부로부터 빛이 통과될 수 있도록 하였으나, 본 제2 실시예에서는 몸체부의 내부에 발광부가 구비되는 대신 체결부(402)의 바깥쪽에 노출이 되도록 발광부(403)가 구비되므로 광 통로부 내지 광 채널과 같은 구성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후술하겠지만 제2 실시예에서는 광 통로부, 광 채널 대신 단순한 막대기 형태의 로드부(501)를 두어 단순히 몸체부(400)와의 체결만 가능하도록 하였다.
도 7은 앞서 도 6에서 살펴본 치아 검진용 다용도 미러의 종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먼저 몸체부(400) 내에 포함되는 구성들에 대해 살펴보면, 몸체부(400)는 크게 전원공급수단(401), 체결부(402), 그리고 발광부(403)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중 전원공급수단(401)은 앞선 제1 실시예에서의 전원공급수단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이므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하며, 여기서는 제1 실시예와 상이한 구조를 가지는 체결부(402), 발광부(403)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제2 실시예에서의 체결부(402)는 기본적으로 미러피스(500)가 체결될 수 있는 부분이라는 점에서는 제1 실시예와 공통되지만 제1 실시예에서와 달리 미러피스(500)의 긴 로드부(501)가 상당부분 수용될 수 있도록 깊고 긴 공간을 내부에 형성하고 있다는 점에서 일부 차이가 있으며, 또한 체결부의 내부에 발광부가 구비되지 않는다는 점에서도 차이가 있다. 한편 이 때, 체결부(402)의 내부 공간에는 미러피스(500)의 로드부(501)가 쉽게 체결될 수 있도록 홈이 형성될 수 있으며, 또는 그 외에 미러피스(500)의 로드부(501)가 견고하게 체결 및 고정될 수 있도록 후크 등의 또 다른 구성들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2 실시예에서는 발광부(403)가 체결부(402)의 일단에 구비되되, 체결부(402)를 이루는 외부 케이싱(4011)의 내측에 구비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외부 케이싱(4011)의 내측면에 접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제2 실시예에서의 발광부(403)는 몸체부(400)의 내부에 구비되는 것이 아니라 몸체부(400)의 외측에 구비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광 통로부 또는 광 채널을 통과하지 않고 직접 미러피스(500)의 미러부(502)에 빛이 조사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발광부(403)는 전원공급수단(401)과 전기적으로 전선(405)을 통해 연결될 수 있으며, 해당 전선(405)은 체결부(402) 내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 케이싱(4011)은 바람직하게는 투명한 소재의 것으로 구현할 수 있으며, 외부 케이스(4011)로 하여금 발광부(403)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다만, 위 외부 케이스(4011)는 필수 구성은 아니며 경우에 따라 생략될 수 있음을 이해한다.
다음으로 제2 실시예에 따른 치아 검진용 다용도 미러의 미러피스(500)에 대해 살펴본다. 미러피스(500)는 크게 로드부(501)와 미러부(502)로 이루어져 있으며, 제1 실시예에서의 미러피스(500)와 비교할 때 보다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즉, 제1 실시예에서의 미러피스가 광 통로부라는 별도의 빛 통과용 구성을 구비하고 있던 것에 비하여, 제2 실시예에서의 미러피스(500)는 이러한 구성이 배제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로드부(501)는 기본적으로 앞서 언급한 체결부(402)의 내부공간(4021) 에 삽입되는 구성으로, 긴 막대기 형상의 부재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금속성 부재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로드부(501)의 말단은 몸체부(400)와의 견고한 체결을 위해 나사홈이 형성될 수 있으며, 그 밖에 견고한 체결을 위해 다른 구성들이 더 형성될 수도 있다.
미러부(502)는 제1 미러(5022) 및 제2 미러(5023)를 포함하며, 이 때 제1 미러(5022)는 발광부(403)로부터 출력되는 빛을 반사한다. 제1 미러(5022)로 하여금 발광부(403)의 빛을 효과적으로 반사시키기 위하여 상기 미러부(502)는 로드부(501)와 소정의 각도를 이루도록 연장될 수 있다. 제2 실시예에서의 미러부(502) 구성은 앞선 제1 실시예의 미러부(502)와 상당히 유사하며, 패널(5021)을 기준으로 전면 및 배면에 각각 미러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미러피스(500)를 구성하는 경우, 해당 미러피스(500)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미러피스(500)에 비해 광 통로부와 같은 구성이 배제되어 있으므로 소독을 하기가 더 용이해 지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제조단가 역시 크게 낮출 수 있어 경제적으로도 유리한 면이 있다.
이상 도 6과 도 7을 참조하여 제2 실시예에 따른 치아 검진용 다용도 미러에 대해 살펴보았다.
도 8은 제2 실시예의 치아 검진용 다용도 미러에 따른 구성들 중 미러피스(500)가 탈거된 상태의 모습, 그리고 몸체부(400)에 캡(600)이 씌워지는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앞서 도 5에서의 실시예와 유사하게, 제2 실시예의 몸체부(400)에도 체결부(402) 말단을 보호하기 위한 용도의 캡(600), 또는 몸체부(400)를 미생물 관찰용으로 활용하기 위한 캡(600)이 씌워질 수 있으며, 특히 몸체부(400)를 미생물 관찰용으로 활용하고자 하는 경우 캡(600)은 투명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 실시예에서의 발광부(403)는 외부 케이싱(4011)의 내측면에 구비될 수 있는데, 캡(600) 역시 위 발광부(403)의 구비 형태에 맞추어 투명한 재질의 것으로 형성함으로써 발광부(403)로부터 출력되는 빛이 외부로 조사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제3 실시예]
제3실시예에 따른 치아 검진용 다용도 미러를 살펴본다.
도 9를 참조할 때, 제3 실시예에 따른 치아 검진용 다용도 미러는 크게 몸체부(700)와 미러피스(800)라는 두 개의 큰 조립체가 결합되어 구성된다. 이 때 몸체부(700)는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의 역할을 함과 동시에 몸체부(700) 내부 공간의 여러 구성들을 수용하는 기능을 하고, 몸체부(400)에는 스위치(704)가 구비되어 있어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작동을 온/오프 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한편 미러피스(800)는 몸체부(700)와 탈착이 가능한 것으로, 긴 막대기 형상의 부재 말단에 양면 미러부(802)가 형성되되, 긴 막대기 형상의 부재의 또 다른 말단은 몸체부(700) 중 결합홈(702)에 탈착이 가능하도록 가늘고 긴 막대기 형상을 가진다. 한편, 본 제3 실시예에서는 도 9에서도 볼 수 있듯 몸체부의 일단에 발광부(703)가 구비되며, 이 때 발광부(703)에 의해 출력되는 빛은 미러부(802)에 반사되어 환자의 구강 내 곳곳에 빛이 닿을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9를 참조하여 몸체부(700)와 미러피스(800)에 대해 더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먼저 몸체부(700)에 포함된 구성들을 살펴볼 때, 몸체부(700)에는 전원공급수단(701), 체결홈(702), 발광부(703)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에서 더 나아가 스위치(70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원공급수단(701)은 앞선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에서의 것과 동일한 것이므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하며, 여기에서는 앞선 실시예와 다른 구조를 가지는 체결홈(702), 발광부(703)에 대해 더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3 실시예에서의 체결홈(702)은 기본적으로 미러피스(800)가 체결될 수 있는 부분이라는 점에서 앞선 실시예들과 공통되나, 본 실시예에서의 체결홈(702)은 몸체부의 중심부가 아니라 몸체부의 중심으로부터 바깥쪽으로 벗어난 위치에 형성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이를 위하여, 본 실시예에서의 몸체부(700)는 일단(발광부가 형성되어 있는 말단)과 타단(손잡이 부분)의 단면적이 상이하게 제작될 수 있다. 도 9에서도 확인할 수 있듯, 몸체부(700) 일단의 단면은 물방을 형상을 할 수 있으며, 위 일단에는 발광부(703)가 원형으로, 그리고 발광부(703)의 바깥쪽에는 체결홈(702)이 형성됨을 알 수 있다. 한편, 체결홈(702)의 아래 쪽에는 미러피스(800)의 로드부(801)가 수용될 수 있도록 몸체부(700) 내에 임의 공간이 더 존재할 수 있다.
다른 한편, 제3실시예에서의 발광부(703)은 전술한 바와 같이 몸체부(700)의 일단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이 때 발광부(703)은 몸체부(700) 내부에 배선된 전선(705)에 의해 전원공급수단(701)과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의 발광부(703)는 도 9에서 볼 수 있듯 몸체부(700) 일단의 평면에 접하도록 구현될 수 있으며, 위 평면에는, 바람직하게는 빛을 원하는 방향 또는 대상으로 효과적으로 조사시키기 위한 렌즈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다음으로 미러피스(800)의 구성들에 대해 더 살펴볼 때, 본 실시예에서의 미러피스(800)는 실질적으로는 앞서 살펴 본 제2실시예에서의 미러피스와 그 형태가 유사하며, 다만 본 실시예에서의 미러피스(800)는 로드부(801)가 몸체부(700)의 중심에서 벗어나 존재하는 체결홈(702)에 체결될 수 있다는 점에서만 일부 차이점이 존재한다. 또한, 도 9와 도 7의 로드부를 각각 비교할 때에, 본 실시예에서의 로드부(801)가 상대적으로 더 짧은 길이를 가짐을 알 수 있으나, 이러한 로드부의 길이는 제작자의 의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을 이해한다.
한편, 제3실시예에서와 같은 미러피스(800)의 경우, 해당 미러피스는 1회용품으로 제작하기가 용이하므로 생산 비용의 절감이 가능하다는 점, 또한 구조가 간단하여 소독이 편한 점 등의 효과가 있다.
또한, 제3실시예에 따른 치아 검진용 다용도 미러의 경우, 미러피스(800)가 분리된 상태에서는 치아를 밝히기 위한 조명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환자의 구강 내부를 위 미러피스(800)로 제끼는 등의 행위를 통해 구강 내부에 대한 관찰이 종료된 이후, 사용자(치과의사)로서는 미러피스(800)를 몸체부(700)로부터 분리한 후 발광부(703)를 환자의 구강 내부에 위치 시킴으로써, 종전 미러피스(800)가 결합되어 있을 때에는 비출 수 없던 영역까지 빛을 조사할 수 있게 된다. 이처럼, 본 실시예에 따른 치아 검진용 다용도 미러 역시 미러피스(800)의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게 함으로써 각각의 용도에 맞는 장치 활용을 할 수 있다.
[제4 실시예]
제4실시예에 따른 치아 검진용 다용도 미러를 살펴본다.
도 10을 참조할 때, 제4실시예에 따른 치아 검진용 다용도 미러는 크게 제1본체(900), 제2본체(910), 그리고 미러피스(1000)로 구성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장치는 앞선 것들과 달리 총 세 개의 주요 부품으로 구성될 수 있는데, 이하에서는 각 구성들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먼저 제1본체(900)는 가장 밑단에 위치하는 것으로, 여기에는 전원공급수단(901), 발광부(903), 스위치(904)가 구비될 수 있다. 제1본체(900)가 전술한 치아 검진용 다용도 미러의 몸체부와 가장 큰 차이가 나는 것은, 제1본체(900) 상에 제2본체(910)가 결합될 수 있도록 구조가 이루어지는 점이며, 이는 도 10의 제1본체(900) 상단에 발광부가 평면으로부터 돌출된 형태로 형성된 것으로부터 알 수 있다. 즉, 돌출형태의 발광부에 의해 후술하게 될 제2본체(910)이 제1본체(900) 상에 결합될 수 있다. 다만, 이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이며, 제1본체(900)는 제2본체(910)와의 결합을 위해 더 다양한 구조, 예를 들어 나선형의 돌출부 등과 같은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다음으로 제2본체(910)는 아래쪽으로는 제1본체(900)와 결합되고, 위쪽으로는 미러피스(1000)와 결합이 되는 중간 성격의 구성에 해당한다. 제2본체(910) 내부에 구비되는 세부구성들에는 결합홈(902), 그리고 광섬유(906)가 포함될 수 있다. 결합홈(902)는 미러피스(1000)의 로드부(1001)가 결합이 되는 구성이며 이는 제3실시예의 결합홈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광섬유(906)는 일단과 타단을 가지며 전반사 성질을 이용하여 일단으로부터 타단으로, 또는 그 반대로 빛이 전달될 수 있는 일종의 광채널을 의미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도 10에서도 볼 수 있듯 제2본체(910) 내부에 광섬유가 배치될 수 있다. 배치된 광섬유(906)의 일단은 제2본체(910)의 상단으로 노출되어 빛을 출력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광섬유(906)의 타단은 발광부(903)으로부터 출력된 빛이 입사될 수 있도록 발광부(903)에 접하여 구비될 수 있다.
한편, 그 외 설명이 자세한 설명이 생략된 구성들은 전술한 제1 내지 제3실시예에서의 설명을 참조하기로 한다.
한편, 도 11 내지 도 14는 미러피스의 또 다른 변형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앞서 설명한 제3 실시예의 치아 검진용 다용도 미러를 기준으로 도시한 것이다. 비록 도 11 내지 도 14는 제3 실시예를 기준으로 설명될 것이나, 해당 미러피스의 구조는 다른 실시예들에도 적용될 수 있음을 이해한다.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할 때, 미러피스의 세부구성은 로드부(801b), 미러부(802), 그리고 체결피스(803)를 포함할 수 있으며, 특히 로드부(801b)와 체결피스(803)는 결합 또는 분리가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 있으며, 또한 체결피스(803)는 다각형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먼저, 로드부(801b)와 체결피스(803)가 결합 또는 분리가 가능하게 구현된 것과 관련하여, 도 13을 참조할 때 로드부(801b)의 말단에는 나사홈(W)을 형성시켜 해당 나사홈이 상기 체결피스(803)에 회전식으로 결합이 가능하도록 하였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로드부(801b)와 체결피스(803)의 분리 결합이 가능하게 구현하는 경우, 사용자 입장에서는 상기 로드부(801b) 및 미러부(802) 부분을 1회용으로 갈아 끼울 수 있게 되어 매번 환자 또는 개인 사용자의 구강 내부를 관찰하고자 할 때에 위생적으로 새 것을 활용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으며, 제작자의 입장에서는 1회용으로 로드부(801b)와 미러부(802)를 별도로 제작하여 공급을 할 수 있게 되므로 그 만큼 수익을 위한 구성품을 다양화 할 수 있게 되는 점에서 장점이 존재할 수 있다. 또한, 로드부(801b)와 체결피스(803)의 분리 결합이 가능하게 구현하는 경우, 제작자로서는 기존에 생산해 오던 형상의 체결피스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게 되어 새로이 제품 생산을 위한 금형을 제작할 필요가 없어지게 되므로 제품 제작을 위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도 꾀할 수 있다.
한편, 도 13에서는 로드부(801b)의 말단에 나사홈(W)이 형성됨으로써 미러부(802)와의 분리 결합이 가능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위 두 개의 구성품 간 분리 결합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수단에 의해서도 가능함을 이해한다.
다음으로, 도 11 내지 도 13에 따를 때, 본 실시예에서는 체결피스(803)의 단면이 육각형, 즉 다각형으로 형성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는데, 이렇게 체결피스의 형상을 다각형으로 형성한 이유는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상기 체결피스(803)의 방향을 바꾸어 체결홈(702a)에 꽂을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이는 도 14를 참조할 때에 더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다. 도 14는 제3 실시예에서의 몸체부(700)를 위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며, 이를 참조할 때 평면도 상에서의 몸체부(700)에는 체결홈(702a)과 발광부(703)가 보임을 확인할 수 있다. 이 때, 본 실시예에 따른 몸체부(700) 상에는 육각형의 체결홈(702a)이 형성되는데, 이 체결홈(702a)에는 앞서 언급한 체결피스(803)가 삽입될 수 있다. 체결피스(803) 및 체결홈(702a)이 모두 육각형이기 때문에, 상기 체결피스(803)는 60도 마다 방향이 바뀌어 삽입이 될 수 있으며, 이렇게 체결피스(803)를 다양한 방향으로 삽입하는 경우 사용자로서는 미러부(802)를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둔 채 해당 치아 검진용 다용도 미러를 사용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이상 치아 검진용 다용도 미러의 실시예에 대해 살펴보았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응용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구별되어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제1실시예]
몸체부 100
전원공급수단 101, 체결부 102, 발광부 103, 스위치 104
미러피스 200
광 통로부 201, 케이싱 2011, 광 채널 2012 미러부 202,
패널 2021, 제1 미러 2022, 제2 미러, 2023,
관절부 2024
캡 300
[제2 실시예]
몸체부 400
전원공급수단 401, 체결부 402, 발광부 403, 스위치 404, 전선 405
케이싱 4011, 체결부 내부공간 4021
미러피스 500
로드부 501, 미러부 502,
패널 5021, 제1 미러 5022, 제2 미러 5023,
캡 600
[제3 실시예]
몸체부 700
전원공급수단 701, 체결홈 702, 702a,
발광부 703, 스위치 704, 전선 705
미러피스 800
로드부 801, 801b,
미러부 802
[제4 실시예]
제1몸체 900
제2몸체 910
전원공급수단 901, 체결홈 902, 발광부 903, 스위치 904, 광섬유 906
미러피스 1000
로드부 1001, 미러부 1002,

Claims (10)

  1. 미러피스 및 몸체부를 포함하는 치아 검진용 다용도 미러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수단;
    상기 미러피스와 체결되는 체결부;
    상기 전원공급수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미러피스의 광통로부를 향해 임의의 빛을 출력하는 발광부;
    를 포함하고,
    상기 미러피스는,
    상기 체결부와 체결되고, 상기 발광부로부터 출력된 빛이 통과하는 광통로부;
    상기 광통로부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된 것으로서, 전면 및 배면에 각각 제1미러 및 제2미러가 구비되며, 상기 제1미러는 상기 광통로부를 통과한 빛을 임의의 조사대상을 향해 반사시키는 미러부;
    를 포함하는,
    치아 검진용 다용도 미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러부는 상기 광통로부의 외부 케이싱으로부터 연장되되, 상기 외부 케이싱의 외주면 중 일부에만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검진용 다용도 미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광통로부는 플렉서블한 재질로 형성되며, 임의의 곡률을 가지는 곡선으로 휘어짐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검진용 다용도 미러.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는 상기 체결부의 내부공간에 구비되고, 상기 미러피스와 상기 몸체부가 체결되었을 때 상기 광통로부의 타단과 밀착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검진용 다용도 미러.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미러부는 상기 광통로부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되, 상기 광통로부와 소정의 각도를 이루어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검진용 다용도 미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광통로부의 일단에는 당해 광통로부를 통과한 빛이 출력되는 개구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검진용 다용도 미러.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미러부는 상기 광통로부의 일단과 관절부에 의해 연장되고,
    상기 관절부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미러부와 상기 광통로부가 이루는 소정의 각도가 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검진용 다용도 미러.
  8. 미러피스 및 몸체부를 포함하는 치아 검진용 다용도 미러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수단;
    상기 미러피스와 체결되는 체결부;
    상기 체결부의 일단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상기 전원공급수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임의의 빛을 출력하는 발광부;
    를 포함하고,
    상기 미러피스는,
    상기 몸체부와의 체결을 위해 상기 체결부 내 삽입되는 로드(rod)부;
    상기 로드부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된 것으로서, 전면 및 배면에 각각 제1미러 및 제2미러가 구비되는, 미러부;
    를 포함하는,
    치아 검진용 다용도 미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의 일단은 원뿔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발광부는 상기 원뿔 형상의 측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검진용 다용도 미러.
  10. 미러피스 및 몸체부를 포함하는 치아 검진용 다용도 미러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수단;
    상기 미러피스와 결합되는 결합홈;
    상기 전원공급수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임의의 빛을 출력하는 발광부;
    를 포함하고,
    상기 미러피스는,
    상기 몸체부와의 결합을 위해 상기 결합홈 내 삽입되는 로드(rod)부;
    상기 로드부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된 것으로서, 전면 및 배면에 각각 제1미러 및 제2미러가 구비되는, 미러부;
    를 포함하는,
    치아 검진용 다용도 미러.
KR1020190054347A 2019-05-09 2019-05-09 치아 검진용 다용도 미러 KR1022866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4347A KR102286646B1 (ko) 2019-05-09 2019-05-09 치아 검진용 다용도 미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4347A KR102286646B1 (ko) 2019-05-09 2019-05-09 치아 검진용 다용도 미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9637A true KR20200129637A (ko) 2020-11-18
KR102286646B1 KR102286646B1 (ko) 2021-08-05

Family

ID=736974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4347A KR102286646B1 (ko) 2019-05-09 2019-05-09 치아 검진용 다용도 미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6646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08195U (ja) * 1994-08-23 1995-03-07 卓司 中村 歯科用内視鏡
JP3859461B2 (ja) * 2000-08-30 2006-12-20 株式会社カナガワファニチュア 口腔内検診用カメラユニット
JP2008173143A (ja) * 2007-01-16 2008-07-31 Osada Res Inst Ltd 歯科用口腔内観察装置
US20090147531A1 (en) * 2007-12-06 2009-06-11 Foxsemicon Integrated Technology, Inc. Oral illuminator
KR20120087527A (ko) * 2011-01-28 2012-08-07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치과 진료용 거울
KR101315698B1 (ko) 2011-04-04 2013-10-10 윤홍철 미생물 활성을 발견할 수 있는 휴대용 관측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자가 평가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L82811A0 (en) * 1986-06-11 1987-12-20 Alder Res Center Corp Anti-inflammatory compositions containing methanol derivatives and novel compounds contained therein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08195U (ja) * 1994-08-23 1995-03-07 卓司 中村 歯科用内視鏡
JP3859461B2 (ja) * 2000-08-30 2006-12-20 株式会社カナガワファニチュア 口腔内検診用カメラユニット
JP2008173143A (ja) * 2007-01-16 2008-07-31 Osada Res Inst Ltd 歯科用口腔内観察装置
US20090147531A1 (en) * 2007-12-06 2009-06-11 Foxsemicon Integrated Technology, Inc. Oral illuminator
KR20120087527A (ko) * 2011-01-28 2012-08-07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치과 진료용 거울
KR101315698B1 (ko) 2011-04-04 2013-10-10 윤홍철 미생물 활성을 발견할 수 있는 휴대용 관측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자가 평가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6646B1 (ko) 2021-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73020B2 (en) Oral irrigator appliance with radiant energy delivery for bactericidal effect
US9198502B2 (en) Short wavelength visible light-emitting toothbrush with an electronic signal interlock control
US5209757A (en) Illuminated ear cleaning device
KR101378687B1 (ko) 살균 효과를 위해 방사 에너지를 전달하는 구강 세정기
US7631981B2 (en) Disposable medical-examination light
CN108697495A (zh) 具有电子信号互锁控制的发射短波长可见光的牙刷
US4993945A (en) Heated dental mirror
ES2729788T3 (es) Cepillo dental con elemento de indicación óptico
US7611256B2 (en) Illuminator for medical use
US6702577B2 (en) Dental or surgical illuminated mirror
US20130158358A1 (en) Tongue depressor
CN112566586A (zh) 用于口腔内处理的咬口器及方法
EP2156765A4 (en) TOOTHBRUSH WITH LIGHTING SYSTEM
KR102286646B1 (ko) 치아 검진용 다용도 미러
CN109906050A (zh) 一种耳镜
KR100879798B1 (ko) 치과용 리트랙터
TWM515341U (zh) 筷子收納盒
CN210124419U (zh) 一种带有照明功能的牙刷
TW201609019A (zh) 具牙菌斑檢測功能之牙刷
CN215383876U (zh) 一种具有照明功能的口腔用口镜
US20060057535A1 (en) Cordless intraoral dental examination instrument having non-plano mirror
JP3060298U (ja) 照明装置付歯鏡
KR200359156Y1 (ko) 설압자를 갖춘 의료용 손전등
CN216602830U (zh) 具照明的口腔镜改良结构
KR101352977B1 (ko) 조명유닛이 구비된 구강검사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