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9156Y1 - 설압자를 갖춘 의료용 손전등 - Google Patents

설압자를 갖춘 의료용 손전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9156Y1
KR200359156Y1 KR20-2004-0012487U KR20040012487U KR200359156Y1 KR 200359156 Y1 KR200359156 Y1 KR 200359156Y1 KR 20040012487 U KR20040012487 U KR 20040012487U KR 200359156 Y1 KR200359156 Y1 KR 20035915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source
case
tongue
flashlight
tongue depres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248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봉근
최병만
Original Assignee
김봉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봉근 filed Critical 김봉근
Priority to KR20-2004-001248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915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915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9156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L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BEING PORTABLE OR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ATION
    • F21L4/00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 F21L4/08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characterised by means for in situ recharging of the batteries or ce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40Hand grips
    • F21V21/403Hand grips for operation or dentist la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64Health, life-saving or fire-fighting equipment
    • F21V33/0068Medical equip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doscop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설압자를 갖춘 의료용 손전등에 관한 것으로, 광원을 포함하면서 상기 광원의 발광에 필요한 전기를 공급하는 전기부와, 전기부가 내장되는 케이스와, 이 케이스로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설압자로 구성된 의료용 손전등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광원을 유동가능하게 덮어 고정하는 광원케이스와; 일단이 상기 광원에 고정되고, 타단은 조작이 가능하도록 외부에 드러난 광원이동돌기에 연결되어서, 상기 광원이동돌기의 이동에 따라 상기 광원의 조명방향이 조절되도록 상기 궝원케이스에 고정되는 방향이동대가 더 포함된 것이다.

Description

설압자를 갖춘 의료용 손전등{Medical flashlight having a pushing ruler}
본 고안은 설압자를 갖춘 의료용 손전등에 관한 것이다.
환자의 구강상태를 확인하고자 의사들은 설압자를 이용해 혀를 눌러 시야를 확보하고, 어두운 입 안을 조명하기 위해 별도의 손전등을 비추었다. 그런데 설압자와 손전등이 각각 별품으로 되어 양손 모두가 이용되므로, 사용에 있어 다소 불편함이 있었다.
선출원 된 실용신안(등록번호 20-0322124) "의료용 손전등"은 상술된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서, 상기 설압자와 손전등이 상호 결합되어서 한손으로도 환자의 입 안을 살펴볼 수 있도록 되었다.
하지만, 상기 선출원 고안은 종래 분리되어 사용되던 설압자와 손전등을 단순히 하나로 결합한 것에 지나지 않아 실질적으로 두 요소의 결합 시 발생되는 새로운 문제점에 대해서는 해결방안을 제시하지 못하였다.
새로운 문제점이란 다음과 같다.
첫째, 설압자와 손전등은 상호간에 견고한 결합이 이루어져야 한다.
설압자 자체는 환자의 입 안으로 삽입되므로, 항상 살균된 상태로 관리되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 설압자는 손전등과는 분리보관될 수 있도록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야 하며, 일단 결합되면 흔들림없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어야 한다. 하지만, 선출원 고안은 탄성을 지닌 "설압자 인입부"만을 설압자와 손전등의 결합매개로써 사용하고 있고, 도면에 도시된 선출원 고안의 실시예 또한 구조적으로 매우 허술하여 설압자와 손전등 간의 결합이 매우 불안정하도록 되었다. 이렇게 불안정한 결합은 입 안에 넣고 혀나 구강 내 각종 부분을 눌러 의사의 시야를 확보해주는설압자가 흔들리거나 심지언 손전등과 분리될 소지가 있어 오히려 그 사용을 불편하게 할 수 있다.
둘째, 설압자의 위치에 관계없이 의사 스스로가 광원의 조명방향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어야 한다.
설압자는 단순히 의사의 시야를 확보하고자 필요한 것으로서, 설압자가 입 안에 직접 닿는 부분을 관찰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설압자의 위치에 관계없이 의사는 광원의 조명방향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어야 한다. 하지만 선출원 고안의 경우 두 개 이상의 광원이 한 곳을 집중적으로 조명하도록 편향된 상태로 부동하게 고정되므로, 조명위치를 바꾸기 위해서는 구강 내 설압자의 위치까지 바꾸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상, 상기 두 가지 문제점이 극복되지 않는다면 설압자를 갖춘 손전등은 한손으로도 구강 내 관찰을 할 수 있다는 장점보다는 불편하다는 상기 단점으로 인해 그 사용이 기피될 수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설압자와 손전등이 상호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되 일단 결합되면 견고한 고정이 이루어져서 사용이 용이해지고, 설압자의 위치변화없이도 의사가 관찰하고자 하는 부분을 직접 조명할 수 있도록 광원의 조명방향 조절이 가능하도록 된 의료용 손전등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손전등을 분해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손전등 부분을 단면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설압자가 삽입되는 모습을 단면으로 순차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손전등의 스위치 부분이 접지되는 모습을 부분확대한 다면으로 순차 도시한 도면이다.
- 첨부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용어설명 -
100 ; 케이스 110 ; 손잡이용 케이스
120 ; 설압자 삽입케이스 121 ; 삽입로
130 ; 광원케이스 140 ; 설압자 착탈기구
150 ; 탄발부재 160 ; 방향이동대
200 ; 전기부 210 ; 전원부재
230 ; 광원 300 ; 설압자
400 ; 충전기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광원을 포함하면서 상기 광원의 발광에 필요한 전기를 공급하는 전기부와, 전기부가 내장되는 케이스와, 이 케이스로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설압자로 구성된 의료용 손전등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광원을 유동가능하게 덮어 고정하는 광원케이스와;
일단이 상기 광원에 고정되고, 타단은 조작이 가능하도록 외부에 드러난 광원이동돌기에 연결되어서, 상기 광원이동돌기의 이동에 따라 상기 광원의 조명방향이 조절되도록 상기 궝원케이스에 고정되는 방향이동대가
더 포함된 것이다.
상기 의료용 손전등에 있어서, 본 고안은
상기 설압자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결합부에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는, 삽입로를 통해 삽입된 상기 설압자의 결합부가 상하좌우로 견고하게 지지되도록 소정길이만큼 돌출되어 상기 결합부를 감싸는 설압자 삽입케이스와, 삽입된 상기 설압자가 이탈되지 못하도록 상기 걸림홈으로 끼워지는 걸림돌기와 이 걸림돌기와 연결되어서 그 이동에 따라 상기 걸림돌기가 상기 걸림홈과 상호 맞물리거나 분리되도록 하는 이동돌기가 구비된 설압자 착탈기구를 포함하는
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의료용 손전등에 있어서, 본 고안은
상기 전기부는 전류를 개폐하는 스위치가 상기 케이스의 내측에 배치되어서 상기 설압자 삽입케이스로 삽입되는 상기 설압자의 압력에 의해 접속되도록 된 것이다.
상기 의료용 손전등에 있어서, 본 고안은
상기 케이스는
상기 설압자의 삽입 압력에 탄발하는 탄발부재가
더 포함된 것이다.
상기 의료용 손전등에 있어서, 본 고안은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부는
상기 광원에 전기를 공급하는 배터리와;
상기 배터리를 착탈가능하게 고정하여 통전시키는 전기구가
더 포함된 것이다.
상기 의료용 손전등에 이어서, 본 고안은
상기 배터리는 충전식 배터리이고;
상기 전기부와 착탈가능하게 접속되어서 상기 충전식 배터리의 충전에 필요한 전기를 공급하는 충전기가 더 포함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손전등을 분해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손전등 부분을 단면 도시한 도면인바 이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고안은, 광원(230)을 포함하는 전기부(200)와, 이 전기부(200)를 내장하는 케이스(100)와, 설압자(300)를 포함하며, 충전기(40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전기부(200)는 외부로부터 전기를 공급받아 이를 상기 광원(230)에 공급하는 전기배선을 총괄하여 지칭하는 것으로,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배터리(210)와, 이 배터리(210)를 착탈가능하게 고정시켜 전기부(200) 전체를 통전시키는 전기구(220)와, 전선부재(221, 224) 및 광원(230)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전선부재(221, 224)의 소정지점에는 상기 전기부(200)에 흐르는 전류를 개폐하는 스위치(222, 223 ; 도 4 참조)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210)는 본 고안에 따른 손전등의 휴대사용이 용이하도록 되는 것으로서, 이외에도 플러그 접속방식 등을 통해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기를 아답터(미도시됨) 등을 통해 상기 광원(230)의 발광에 적절한 크기로 변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전기구(220)는 배터리(210) 이용 시 배터리(210)를 고정함은 물론 배터리(210)로부터 유출되는 전류를 받아 전선부재(221, 224)를 매개로 상기 광원(230)에 공급한다. 또한, 상기 전기구(200)는 상기 배터리(210)가 충전식으로 되고 상기 충전기(400)에 의해 충전이 이루어질 경우, 충전기(400)로부터 공급되는 전기를 받아 충전식 배터리에 공급하는 기능도 할 수 있다.
계속해서, 상기 광원(230)의 둘레면에는 조명효율을 높이기 위해 반구 형상의 반사대(240)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전면에는 투광창(241)이 형성되어서 광원(230)을 보호할 수도 있다.
이외에도, 상기 전기부(200)에는 스위치(222, 223 ; 도 4 참조)가 더 포함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보다 상세한 내용은 아래에서 다시 하겠다.
상기 설압자(300)는 입 안으로 삽입되는 구강삽입부(310)와, 상기 케이스(100)로 삽입되는 결합부(320)로 구성되며, 상기 결합부(320)에는 하나이상의 걸림홈(321, 32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설압자(300)는 그 형상이 이미 공지된 것으로, 형상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구강삽입부(310)의 경우 입 안으로 들어가 구강조직과 직접적인 접촉이 이루어지는 만큼 항시 살균된 상태로 보관되어야 하고 사람에 따라 교체 사용되어야 하므로, 본 고안에서는 상기 케이스(100)와 착탈가능하도록 된다.
상기 케이스(100)는 손잡이로 활용되면서 상기 배터리(210) 및/또는 전기구(220)이 내측에 탑재되어지는 손잡이용 케이스(110)와, 상기 설압자(300)가 수평방향으로 삽입되어지는 설압자 삽입케이스(120)와, 상기 광원(230)을 감싸 보호하는 광원케이스(130)로 된다.
상기 손잡이용 케이스(110)는 의사가 손으로 쥐는데 불편함이 적은 원통형으로 되며, 그 외주면에는 안락감을 느낄 수 있도록 손가락 형상의 홈 형상을 갖는 손잡이(101)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배터리(210)의 분리 및 삽입이 용이하도록 손잡이용 케이스(110)의 내부를 개폐하는 덮개(103)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덮개(103)는 스크류 방식으로 상기 손잡이용 케이스(110) 하단에 결합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설압자 삽입케이스(120)는 상기 설압자(300)의 결합부(320)가 삽입될 수 있는 소정폭의 삽입로(121)를 갖추고 전면으로 소정길이만큼 돌출되면서 상기 결합부(320)가 단단히 감싸여지도록 된다. 따라서, 상기 설압자 삽입케이스(120)로 삽입된 설압자(300)는 상기 삽입로(121) 내에서 상하좌우로 부동되도록 지지된다. 또한, 상기 삽입로(121)의 입구에는 설압자(300)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안내턱(122)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삽입로(121)에는 상기 결합부(320)에 형성된 걸림홈(321, 322)과 맞물리는 걸림돌기(143, 144)가 구비되어서, 상기 설압자 삽입케이스(120)로 삽입된 설압자(300)가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 고안에 따른 의료용 손전등의 경우, 상기 걸림홈(321, 322)은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제1걸림홈(321)과 제2걸림홈(322)으로 되며, 이에 상응하는 상기 걸릴돌기(143, 144)도 제1걸림돌기(143)와 제2걸림돌기(144)로 되어서, 일단 삽입로(121)로 들어온 설압자(300)가 쉽게 외부로 이탈되지 못하도록 되는 한편, 상기 설압자 삽입케이스(120)로 감싸여 고정된 설압자(300)의 부동성을 더욱 높이게 된다.
도 3은 설압자가 삽입되는 모습을 단면으로 순차 도시한 도면인바 이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를 위해 본 고안에 따른 상기 걸림돌기(143, 144)는 상기 손잡이용케이스(110)의 외면에 돌출된 이동돌기(141)와 더불어 설압자 착탈기구(140)를 구성한다. 본 고안에 따른 설압자 착탈기구(140)는 일단이 상기 케이스(100)의 내측에서 체결부재(145)를 매개로 단단히 고정되고, 중단에는 상기 걸림돌기(143, 144)가 형성되며, 타단에는 이동돌기(141)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설압자 착탈기구(140)의 일단과 중단은 탄성을 가지면서 이동돌기(141)의 동작에 따라 상하로 이동되도록 된다. 즉, 외부로 돌출된 상기 이동돌기(141)를 하방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중단에 형성된 걸림돌기(143, 144) 또한 하방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걸림홈(321, 322)과 맞물린 걸림돌기(143, 144)가 분리된다. 따라서, 의사(사용자)는 상기 케이스(100)로부터 설압자(300)를 분리해낼 수 있다.
(a) 도면의 경우, 상기 설압자(300)가 삽입로(121)를 통해 삽입되는 모습을 도시하고 있는 바, 상기 걸림돌기(143, 144)가 설압자(300)의 삽입압력에 의해 하방으로 강제이동되는 모습을 보이고 잇다.
(b) 도면의 경우, 상기 설압자(300)가 케이스(100) 안으로 완전히 삽입되어서 상기 결합부(320)에 형성된 결합홈(321, 322)과 결합돌기(143, 144)가 완전히 맞물려 있는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물론, 상기 설압자 착탈기구(140)의 일단과 중단은 탄성을 가지고 있어 상방에서 가해지는 힘이 소멸되면 자연히 재위치로 복귀된다.
(a) 도면과 (b) 도면은 설압자(300)가 케이스(100)로 삽입되어지는 모습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것이므로, 그 역순은 설압자(300)가 케이스(100)로부터 분리되는 모습이 될 것이다.
한편, 본 고안에서는 상기 이동돌기(141)가 상하 이동되면서 흔들거림이나 뒤틀림 발생이 최소화되도록 상기 이동돌기(141)가 고정되는 이동편(142)을 지지하는 가이드(146, 147)가 이동돌기(141)를 중심으로 상하 양단에 각각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이동돌기(141)는 손잡이용 케이스(110) 외벽에 형성된 절개홈(102)을 따라 상하로 이동되면서도 이동편(142)을 잡아주는 가이드(146, 147)에 의해 흔들거림이나 뒤틀림이 최소화 된다.
상기 광원케이스(130)는 광원(230)을 덮어 보호하고 본 고안에 따른 손전등이 외관미을 갖도록 된 것으로서, 본 고안에서는 의사(사용자)가 설압자(300)의 위치에 관계없이 광원(230)의 조명방향을 바꿀 수 있도록 하는 방향이동대(160)가 더 포함되며, 이에 따라 상기 광원(230) 역시 광원케이스(130)와 유동가능하게 고정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상기 방향이동대(160)는 광원케이스(130) 내에 수평하게 탑재되면서 그 일단은 광원(230)과 연결되고, 타단은 외부로 드러난 광원이동돌기(161)와 연결된다. 이때, 상기 광원이동돌기(161)은 의사(사용자)의 엄지손가락 등으로 상하좌우 이동이 가능하도록 되며, 이와 연결된 상기 방향이동대(160) 또한 상하좌우로 이동된다. 따라서, 방향이동대(160)의 일단에 연결된 광원(230) 또한 상하좌우로 이동되어 입 안에서의 조명방향을 의사(사용자)가 임의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상기 광원(230)은 광원케이스(130)와 유동가능하게 고정되어야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광원케이스(130)의 일면에 형성된광원구멍(135)으로 최대직경이 상기 광원구멍(135)의 직경보다 큰 반구형상의 상기 반사대(240)가 삽입되고, 이 반사대(240)는 광원케이스(130) 내측으로 잡아당기는 상기 방향이동대(160)에 고정되므로, 별도의 고정부재 없이도 상기 광원케이스(130)와 분리되지 않으면서도 유동가능하게 고정된다.
이와 더불어 상기 방향이동대(160) 또한 광원케이스(130)와 고정되어야 하며, 그 기능적 특성상 유동가능하게 되어야 한다. 상기 방향이동대(160)는 상기 광원케이스(130)와 광원(230) 및 광원이동돌기(161)를 상호 연결시키는 매개체이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상기 방향이동대(160)의 외주면에는 걸림편(162, 163)이 형성되고, 상기 광원케이스(130)의 내측에는 상기 걸림편(162, 163)이 맞물려 끼워지는 가이드홈(133, 134)이 형성되어서, 상기 걸림편(162, 163)이 가이드홈(133, 134)을 따라 이동되면서도 가이드돌기(131, 132)에 의해 상기 방향이동대(160)가 광원케이스(130)로부터 이탈되거나 분리되지 않도록 된다. 또한, 상기 광원이동돌기(161)의 동작특성상 상기 걸림편(162, 163)은 곡면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맞물리는 상기 가이드홈(133, 134) 또한 곡형으로 되어서 걸림편(162, 163)의 이동이 원활이 이루어지도록 되는 것이 좋다.
도 3의 (a) 도면 및 (b) 도면은 광원(230)이 방향이동대(160)에 의해 조명방향이 조절되는 모습을 도시한 것으로서, 의사(사용자)가 외부로 돌출된 상기 광원이동돌기(161)를 상하좌우로 이동시키면 이에 따라 광원(230)의 조명방향도 바뀌는 모습을 보인다.
하지만, 상기 방향이동대(160)는 이상 상술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의 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보다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손전등의 스위치 부분이 접지되는 모습을 부분확대한 다면으로 순차 도시한 도면인바 이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손전등에는 상기 전기부(200)의 통전상태를 개폐하는 스위치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스위치는 상기 전기구(220)와 접속된 제1전선부재(221)와 연결되는 스위치1편(222)과 광원(230)과 접속된 제2전선부재(224)와 연결되는 스위치2편(223)으로 구성된다.
종래에는, 상기 전기부(200)의 통전상태를 개폐하는 스위치가 케이스(100)의 외측에 돌출되도록 형성되어서 의사(사용자)가 광원(230)의 발광여부를 결정할 수 있게 되었지만,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스위치가 케이스(100)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스위치1편(222) 및 스위치2편(223)의 접촉은 수평방향으로 들어오는 상기 설압자(300)의 압력에 의존하도록 되었다.
이를 위해, 본 고안에 따른 상기 스위치1편(222) 및 스위치2편은 상기 삽입로(121)와 동일한 높이선상에 위치되어서, 삽입되는 상기 결합부(320)의 압력으로 스위치1편(222)이 휘어져 스위치2편(223)에 접촉되도록 되었다. 물론, 상기 스위치1편(222)은 탄성을 지니므로 상기 압력이 소멸되면 원상태로 복귀되어 전기부(200)의 통전상태를 닫게 된다.
따라서, 상술된 본 고안에 따른 전기부(200)의 구성에 의해 상기 광원(230)은 설압자(300)와 손전등 간의 결합 시에만 발광되도록 된다.
한편, 상기 케이스(100)로 삽입ㆍ고정된 설압자(300)를 단단히 맞물어 고정시키는 설압자 착탈기구(140)가 의사(사용자)의 조작으로 설압자(300)의 결합을 해제하면 설압자(300)가 상기 설압자 삽입케이스(120)로부터 투출되어서 손전등과 설압자(300)의 분리가 용이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설압자 삽입케이스(120)의 내측에는 설압자(300)의 삽입방향에 탄발하는 탄발부재(15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탄발부재(150)는 스프링(152)에 의해 탄발력을 갖게 되며, 상기 스프링(152)은 탄발부재(150)의 대향면인 탄발지지대(123)에 맞대어진다. 하지만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 상술된 탄발부재(150)의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스위치1편(222) 및 스위치2편(223)과 탄발부재(150)가 모두 포함된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를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에서, 상기 스위치1편(222)은 상기 탄발부재(150)에 의해 설압자(300)와의 직접적인 접촉이 불가능하다. 상기 탄발부재(150)에는 스위치1편(222) 쪽으로 돌출되도록 누름돌기(151)가 형성되고, 스프링(152)을 지지하는 탄발지지대(123)에는 상기 누름돌기(151)가 관통되도록 관통구멍(124)을 형성시킨다. 또한, 상기 탄발지지대(123)의 후면에는 상기 스위치1편(222)이 상기 관통구멍(124)을 덮듯이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설압자(300)가 삽입로(121)를 통해 설압자 삽입케이스(120)로 들어오면, 상기 탄발부재(150)와 일차적으로 접촉되어서 설압자(300)의 삽입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렇게 이동되면 상기 누름돌기(151)는 상기 관통구멍(124)을 지나 스위치1편(222)을 밀게 되며, 이렇게 밀린 스위치1편(222)은 스위치2편(223)에 접촉되면서 상기 전기부(200)의 통전상태를 닫게 된다.
물론 상기 설압자(300)의 압력이 소멸되면 스프링(152)의 탄발력에 의해 누름돌기(151)가 탄발되어 이동되면서 스위치1편(222)을 밀지 못하게 된다.
미설명된 인출부호 "125"는 설압자 삽입케이스(120)에 형성된 가이드라인으로, 상기 탄발부재(150)의 이동을 가이드하면서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것이다.
이상의 상술된 탄발부재(150) 및 스위치(222, 223) 간의 연동구조는 본 고안에 따른 일실시예이며, 이하의 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보다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상기 충전기(400)는 충전식 배터리(210)가 탑재된 손전등이 장착되어 필요한 전기를 충전시키는 것으로, 상기 케이스(100)의 저면부가 삽입되는 삽입홈(410)이 형성되고, 이 삽입홈(410)에는 케이스(100)의 저면에 형성된 접속홈(미도시됨)과 맞물려 통전되는 충전단자(411, 412)가 구비된다. 또한, 의사(사용자)가 현재의 충전상태를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램프(420)가 더 형성될 수도 있다.
기타, 상기 충전기(400)과 충전식 배터리(210)와의 결합에 의해 충전이 이루어지는 구체적인 기술내용은 이미 공지된 것으로 여기서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피하기로 한다.
이상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르면, 설압자와 손전등 간의 견고한 결합이가능하여 설압자를 이용한 구강관찰 시 흔들리거나 손전등으로부터 설압자가 분리되지 않아 그 사용이 용이하고, 광원의 조명방향을 조절할 수가 있어 구강 내에서 설압자의 위치에 관계없이 관찰하고자 하는 구강내부를 효과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설압자와 손전등 간의 결합이 견고하게 이루어지면서도 그 착탈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하다.
또한, 광원은 살균을 위해 별도로 보관되는 설압자를 손전등과 결합해야만 작동되므로 불필요한 전력소모를 방지하게 된다.
또한, 충전식 배터리가 탑재된 손전등을 충전기에 직접 꽂아 충전할 수도 있어, 상기 광원에 필요한 전기공급이 수훨해진다.

Claims (6)

  1. 광원을 포함하면서 상기 광원의 발광에 필요한 전기를 공급하는 전기부와, 전기부가 내장되는 케이스와, 이 케이스로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설압자로 구성된 의료용 손전등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광원을 유동가능하게 덮어 고정하는 광원케이스와;
    일단이 상기 광원에 고정되고, 타단은 조작이 가능하도록 외부에 드러난 광원이동돌기에 연결되어서, 상기 광원이동돌기의 이동에 따라 상기 광원의 조명방향이 조절되도록 상기 광원케이스에 고정되는 방향이동대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손전등.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설압자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결합부에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는, 삽입로를 통해 삽입된 상기 설압자의 결합부가 상하좌우로 견고하게 지지되도록 소정길이만큼 돌출되어 상기 결합부를 감싸 고정시키는 설압자 삽입케이스와, 삽입된 상기 설압자가 이탈되지 못하도록 상기 걸림홈으로 끼워지는 걸림돌기와 이 걸림돌기와 연결되어서 그 이동에 따라 상기 걸림돌기가 상기 걸림홈과 상호 맞물리거나 분리되도록 하는 이동돌기가 구비된 설압자 착탈기구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손전등.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부는
    전류를 개폐하는 스위치가 상기 케이스의 내측에 배치되어서 상기 설압자 삽입케이스로 삽입되는 상기 설압자의 삽입압력에 의해 접속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손전등.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설압자의 삽입압력에 탄발하여 설압자를 밀어내는 탄발부재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손전등.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부는
    상기 광원에 전기를 공급하는 배터리와;
    상기 배터리를 착탈가능하게 고정하여 통전시키는 전기구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손전등.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는 충전식 배터리이고;
    상기 전기부와 착탈가능하게 접속되어서 상기 충전식 배터리의 충전에 필요한 전기를 공급하는 충전기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손전등.
KR20-2004-0012487U 2004-05-04 2004-05-04 설압자를 갖춘 의료용 손전등 KR20035915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2487U KR200359156Y1 (ko) 2004-05-04 2004-05-04 설압자를 갖춘 의료용 손전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2487U KR200359156Y1 (ko) 2004-05-04 2004-05-04 설압자를 갖춘 의료용 손전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9156Y1 true KR200359156Y1 (ko) 2004-08-21

Family

ID=493491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2487U KR200359156Y1 (ko) 2004-05-04 2004-05-04 설압자를 갖춘 의료용 손전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9156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16337A (ko) * 2004-06-07 2005-12-12 이민구 펜라이트
KR101785891B1 (ko) * 2017-02-28 2017-10-16 이한영 이동통신 단말기 장착용 압설자
KR20200000903U (ko) * 2018-10-30 2020-05-08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캐릭터를 이용한 구강 검사용 라이트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16337A (ko) * 2004-06-07 2005-12-12 이민구 펜라이트
KR101785891B1 (ko) * 2017-02-28 2017-10-16 이한영 이동통신 단말기 장착용 압설자
WO2018159893A1 (ko) * 2017-02-28 2018-09-07 이한영 이동통신 단말기 장착용 압설자
KR20200000903U (ko) * 2018-10-30 2020-05-08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캐릭터를 이용한 구강 검사용 라이트
KR200492792Y1 (ko) * 2018-10-30 2020-12-09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캐릭터를 이용한 구강 검사용 라이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7294486B2 (en) Laryngoscopes
US7611256B2 (en) Illuminator for medical use
US20190357764A1 (en) Vaginal speculum apparatus
US20070156022A1 (en) Illuminated Medical Devices
US20080298048A1 (en) Headlamp with detachable led flashlight
US20030092967A1 (en) Laryngoscope or the like
US20090267372A1 (en) Tweezers with pivotal slidable illuminating device
US9095297B2 (en) Illuminated dental prop
US7066734B1 (en) Convertible dental instrument
KR200359156Y1 (ko) 설압자를 갖춘 의료용 손전등
EP2156765A4 (en) TOOTHBRUSH WITH LIGHTING SYSTEM
ES2263840T3 (es) Otoscopio.
WO2009070815A2 (en) Lighting device
JP3776498B2 (ja) 内視鏡
KR200440289Y1 (ko) 전구가 내장된 낚시대 캡
JP2000056239A (ja) 内視鏡装置
KR101233040B1 (ko) 마우스 프롭용 엘이디 유니트
CN216090638U (zh) 带辅助光源的钉仓组件
JP2023509962A (ja) ハンドヘルド型電気外科用器具の照明付き電気焼灼ブレードアセンブリ
WO2014035730A1 (en) Illumination device
CN213272107U (zh) 可拆换照射头的口腔照明灯
JP2007044069A (ja) 照明付き舌圧子ホルダー
JP4522918B2 (ja) デンタルミラー
KR101352977B1 (ko) 조명유닛이 구비된 구강검사경
KR200278580Y1 (ko) 발광체 지지 장치 및 이를 사용하는 조명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808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