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8580Y1 - 발광체 지지 장치 및 이를 사용하는 조명 장치 - Google Patents

발광체 지지 장치 및 이를 사용하는 조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8580Y1
KR200278580Y1 KR2020020006148U KR20020006148U KR200278580Y1 KR 200278580 Y1 KR200278580 Y1 KR 200278580Y1 KR 2020020006148 U KR2020020006148 U KR 2020020006148U KR 20020006148 U KR20020006148 U KR 20020006148U KR 200278580 Y1 KR200278580 Y1 KR 20027858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light
emitting body
chemical
mount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614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석
Original Assignee
이영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석 filed Critical 이영석
Priority to KR202002000614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858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858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8580Y1/ko

Links

Landscapes

  • 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AREA)

Abstract

타인의 작업을 방해하지 않고서 피조명체만을 유효적절하게 조사할 수 있도록 발광체를 장착할 수 있으며, 그 구성이 간단하여 제조 원가가 낮은 발광체 지지 장치 및 이를 채용하는 조명장치. 발광체 지지 장치는 전원이 없이 발광할 수 있는 발광체를 장착하여 사용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체와 가요성 연장부와 결합부를 포함한다. 본체는 상기 발광체를 장착하기 위한 발광체 장착부와, 상기 발광체 장착부로부터 전방을 향해 개방되어 있는 반사경을 구비한다. 연장부는 일 단부가 상기 본체에 결합되어 있고, 상기 본체로부터 후방을 향해 연이어져 있다. 결합부는 외부 장비에 취부할 수 있도록 상기 연장부의 타 단부에 설치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발광체는 화학물질의 반응을 통해 발광하는 케미컬 라이트이며, 상기 발광체 장착부는 상기 케미컬 라이트의 일부분을 끼워 장착할 수 있도록 요홈이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발광체 지지 장치 및 이를 사용하는 조명장치{Device for Supporting Luminous Body and Illumination Device Employing the Same}
본 고안은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낚시용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달빛이 없거나 약한 날에 밤낚시를 하는 경우에는, 낚시줄이 잘 보이지 않기 때문에 손으로 낚싯줄을 잡기가 어렵고 낚시줄이 몸이나 얼굴에 걸려서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밤밖시 중에는 효과적으로 낚싯줄을 잡고 낚시 바늘에 미끼를 끼우거나 낚시에 잡힌 고기를 낚시로부터 분리하는 등의 동작을 하기 위해 조명장치를 필요로 한다. 이러한 밤낚시용 조명장치로는 통상 포켓램프나 랜턴이 사용된다. 그런데, 이러한 포켓램프나 랜턴은 조도가 매우 높기 때문에 물고기가 도망갈 수 있고 주변에 있는 사람의 작업을 방해하게 되는 단점이 있다.
한편, 낚시 중에는 두 손을 모두 낚싯대 또는 낚싯줄 조작에 사용하기 때문에 손으로 포켓램프 내지 랜턴을 파지할 수가 없고, 이에 따라 조명장치를 일정한 곳에 고정시켜두고 상기 조명장치로부터 조사되는 빛에 낚시 바늘 등 조작 대상물을 가져다 대고 작업을 해야만 한다. 밤낚시 중에는 낚시줄이나 낚시 바늘이외에도 다양한 도구가 조작하게 되는데, 이들을 교대로 모두 고정된 광원 근처로 가져다 대면서 작업을 하기에는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포켓램프 내지 랜턴의 단점을 해소하기 위해, 모자나 가슴 또는 손목에 부착하는 조명장치도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조명장치는 통상 별도의 스위치를 구비하고 있는데, 낚시 중에 이러한 스위치를 조작하는 것은 여간 번거로운 일이 아니다. 아울러, 이러한 조명장치 역시 주변에 있는 사람에게 방해가 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피조명체만을 유효적절하게 조사하기가 어렵다는 문제점을 여전히 가지고 있다.
한편, 낚시용 조명과 관련하여, 본 고안자는 예컨대 화학물질의 반응을 통해 발광하는 케미컬 라이트(Chemical Light)와 같이 전원 공급이 없이도 일정 시간동안 밝기를 유지할 수 있는 발광체에 주목하고 있다. 케미컬 라이트의 일 예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종래에, 케미컬 라이트는 낚시찌의 위치를 확인할 목적으로 낚시찌의 상단에 부착하여 사용해온 것이 통례이며, 조도가 낮아서 별도의 조명장치로 사용되는 경우는 본 고안자가 아는 바로는 없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타인의 작업을 방해하지 않고서 피조명체만을 유효적절하게 조사할 수 있도록 발광체를 장착할 수 있으며, 그 구성이 간단하여 제조 원가가 낮은 발광체 지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기술적 과제로 한다.
아울러,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발광체 지지 장치와 발광체가 일체적으로 결합되어 있는 조명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기술적 과제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조명장치에서 발광체로 사용하고자 하는 종래의 케미컬 라이트를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조명장치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본체를 보다 구체적으로 보여주는 단면도.
도 4a는 조명장치의 조명을 사용하는 상태에서의 연장부의 절곡 형태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4b는 조명장치의 조명을 사용하지 않는 상태에서의 연장부의 절곡 형태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본체 12: 발광체 장착부
14: 요홈 16: 반사경
20: 연장부 22: 소켓
40: 결합부 90: 발광체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발광체 지지 장치는 전원이 없이 발광할 수 있는 발광체를 장착하여 사용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체와 가요성 연장부와 결합부를 포함한다. 본체는 상기 발광체를 장착하기 위한 발광체 장착부와, 상기 발광체 장착부로부터 전방을 향해 개방되어 있는 반사경을 구비한다. 연장부는 일 단부가 상기 본체에 결합되어 있고, 상기 본체로부터 후방을 향해 연이어져 있다. 결합부는 외부 장비에 취부할 수 있도록 상기 연장부의 타 단부에 설치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발광체는 화학물질의 반응을 통해 발광하는 케미컬 라이트이며, 상기 발광체 장착부는 상기 케미컬 라이트의 일부분을 끼워 장착할 수 있도록 요홈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조명장치는 상기 발광체 지지 장치에 발광체가 결합되어 있는 것이다. 조명장치는 발광체 장착부와 상기 발광체 장착부로부터 전방을 향해 개방되어 있는 반사경을 구비하는 본체; 상기 발광체 장착부에 장착되는 상기 발광체; 일 단부가 상기 본체에 결합되어 있고, 상기 본체로부터 후방을 향해 연이어져 있는 가요성 연장부; 및 외부 장비에 취부할 수 있도록 상기 연장부의 타 단부에 설치되는 결합부;를 구비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조명장치의 일 실시예를 보여준다. 도시된 조명장치는 본체(10)와 가요성 연장부(20)와 결합부(40)를 포함한다.
본체(10)는 상기 발광체를 장착하기 위한 발광체 장착부(12)와, 상기 발광체 장착부(12)로부터 전방을 향해 개방되어 있는 반사경(16)을 구비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 발광체 장착부(12)에는 전방으로부터 후방을 향해 깊게 만입된 요홈(14)이 형성되어 있으며, 발광체(90)는 상기 요홈(14)에 끼워지게 된다.
연장부(20)는 가요성이 있는 소재 내지 구조물로 되어 있어서, 외부로부터 힘의 모멘트가 가해지면 휘어지게 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이와 같은 구조물로는 예컨대 차량용 휴대전화 핸즈프리 장치 등에 사용되는 벨로스 즉 자바라가 사용될 수 있다. 그렇지만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는, 스테인레스 스프링 내부에 플라스틱 또는 러버 재질의 심을 삽입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연장부(20)의 일 단부는 본체(10)에 결합되어 있고, 타 단부는 결합부(40)에 결합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연장부(20)의 전방에는 소켓(22)이 마련되어 있어서, 이 소켓(22)에 발광체 장착부(12)를 끼워맞춤으로써, 본체(10)와 연장부(20)는 결합된다. 그렇지만, 이와 같은 실시예가 변형된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는, 본체(10) 후단부에 소켓을 형성하고, 이 소켓에 연장부의 일단을 끼워맞춤결합할 수도 있다.
결합부(40)는 조명장치를 다른 낚시 장비 예컨대 낚시 받침대나 의자에 취부하기 위한 것으로서, 예컨대 집게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집게는 연장부에 견고하게 결합되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도 있고, 연장부와의 결합이 해체된 상태로 제공되어 사용자가 연장부의 단부를 집게 내부에 끼우도록 할 수도 있다.
발광체(90)로는 전원이 없이 발광할 수 있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러한 발광체로는 예컨대 화학물질의 반응을 통해 발광하는 도 2의 케미컬 라이트(Chemical Light)를 들 수 있다.
본 고안의 조명장치는 다음과 같이 사용된다. 먼저, 조명장치는 발광체(90)가 삽입된 상태로 사용자에게 제공되거나, 삽입되지 않은 상태에서 제공되어 사용자가 발광체(90)를 끼우도록 하게 된다. 어떠한 경우든 사용자가 조명장치를 사용할 때마다 임의로 발광체(90)를 끼우거나 교체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발광체(90)가 삽입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조명장치를 낚시 받침대 또는 의자에 결합부(40)를 사용하여 설치한다. 조명이 필요한 때에는 사용자는 도 4a와 같이 결합부에 힘을 가하여 본체(10) 즉 발광체(90)가 상방으로 향하거나 자신을 향하게 한 후 조명을 이용하게 된다. 한편, 조명이 필요하지 않은 동안에는, 사용자는 도 4b와 같이 본체(10)가 하방 즉 지면을 향하게 함으로써 빛이 누출되어 타인에게 방해가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고안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고안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조명장치는 타인의 작업에 방해를 주지 않으면서 피조명체만을 유효적절하게 조사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고안의 장치는 전기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낚시용으로 사용하게 되는 경우 누전 및 감전 등으로 인한 위험을 제거할 수 있고 사용자가 안전하게 낚시를 즐길 수 있게 해준다. 아울러, 조도가 높지 않기 때문에 물고기가 도망가거나 주변에 있는 사람의 작업을 방해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전원 스위치를 켜거나 끌 필요가 없이 반사경의 방향만을 변경함으로써 필요할 때에만 조명을 활용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이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다.

Claims (4)

  1. 전원이 없이 발광할 수 있는 발광체를 장착하여 사용하기 위한 발광체 지지 장치로서,
    상기 발광체를 장착하기 위한 발광체 장착부와, 상기 발광체 장착부로부터 전방을 향해 개방되어 있는 반사경을 구비하는 본체;
    일 단부가 상기 본체에 결합되어 있고, 상기 본체로부터 후방을 향해 연이어져 있는 가요성 연장부; 및
    외부 장비에 취부할 수 있도록 상기 연장부의 타 단부에 설치되는 결합부;
    를 구비하는 발광체 지지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체는 화학물질의 반응을 통해 발광하는 케미컬 라이트이며, 상기 발광체 장착부는 상기 케미컬 라이트의 일부분을 끼워 장착할 수 있도록 요홈이 형성되어 있는 발광체지지 장치.
  3. 전원이 없이 발광할 수 있는 발광체를 채용하는 조명장치로서,
    발광체 장착부와, 상기 발광체 장착부로부터 전방을 향해 개방되어 있는 반사경을 구비하는 본체;
    상기 발광체 장착부에 장착되는 상기 발광체;
    일 단부가 상기 본체에 결합되어 있고, 상기 본체로부터 후방을 향해 연이어져 있는 가요성 연장부; 및
    외부 장비에 취부할 수 있도록 상기 연장부의 타 단부에 설치되는 결합부;
    를 구비하는 조명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체는 화학물질의 반응을 통해 발광하는 케미컬 라이트이며, 상기 발광체 장착부는 상기 케미컬 라이트의 일부분을 끼워 장착할 수 있도록 요홈이 형성되어 있는 조명장치.
KR2020020006148U 2002-03-02 2002-03-02 발광체 지지 장치 및 이를 사용하는 조명 장치 KR20027858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6148U KR200278580Y1 (ko) 2002-03-02 2002-03-02 발광체 지지 장치 및 이를 사용하는 조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6148U KR200278580Y1 (ko) 2002-03-02 2002-03-02 발광체 지지 장치 및 이를 사용하는 조명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1256A Division KR20030071951A (ko) 2002-03-04 2002-03-04 발광체 지지 장치 및 이를 사용하는 조명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8580Y1 true KR200278580Y1 (ko) 2002-06-20

Family

ID=731185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6148U KR200278580Y1 (ko) 2002-03-02 2002-03-02 발광체 지지 장치 및 이를 사용하는 조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858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6225A (ko) 2014-12-02 2016-06-10 정은비 무게추를 구비하는 조명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6225A (ko) 2014-12-02 2016-06-10 정은비 무게추를 구비하는 조명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RE40342E1 (en) Portable light with stand
US20020135999A1 (en) Illuminator with pull cord
KR20180057901A (ko) 휴대용 엘이디조명 겸용 경광등
KR200278580Y1 (ko) 발광체 지지 장치 및 이를 사용하는 조명 장치
FR2886453B1 (fr) Appareillage electrique a fonction lumineuse
US20070091593A1 (en) Positionable flashlight with dual light sources
KR200190900Y1 (ko) 양방향 손전등
KR20030071951A (ko) 발광체 지지 장치 및 이를 사용하는 조명 장치
KR101003938B1 (ko) 손가락부위에 착용되는 조명장치
JP4456025B2 (ja) 電気スタンド
CN109000191A (zh) 一种两用台灯
KR20190024494A (ko) 휴대용 조명램프 유닛
CA2455767C (en) Light-emitting pen with a light reflecting chamber
KR200409185Y1 (ko) 위치 조절이 가능한 라이트가 구비된 필기구
KR200375372Y1 (ko) 광섬유를 이용한 조명장치가 겸비된 장갑
KR200310788Y1 (ko) 램프 뒷꽂이 받침대
KR200206280Y1 (ko) 소형 작업등을 착탈하는 랜턴
KR200221689Y1 (ko) 독립된 전원공급부와 램프를 탑재한 발광받침대
KR200425653Y1 (ko) 이동형 작업등
GB2406994A (en) Megaphone with LED lamp
JP3061313U (ja) 常夜灯付きの照明具
KR101453512B1 (ko) 발광이 가능한 옷핀
KR200282172Y1 (ko) 생활가구겸용 조명등.
JP2003117854A (ja) 電動工具
KR200177006Y1 (ko) 휴대폰용 램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