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5891B1 - 이동통신 단말기 장착용 압설자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 장착용 압설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5891B1
KR101785891B1 KR1020170026512A KR20170026512A KR101785891B1 KR 101785891 B1 KR101785891 B1 KR 101785891B1 KR 1020170026512 A KR1020170026512 A KR 1020170026512A KR 20170026512 A KR20170026512 A KR 20170026512A KR 101785891 B1 KR101785891 B1 KR 1017858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terminal
mobile communication
fixed body
concave groove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65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한영
Original Assignee
이한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한영 filed Critical 이한영
Priority to KR10201700265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5891B1/ko
Priority to PCT/KR2017/003960 priority patent/WO2018159893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58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58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24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for the mouth, i.e. stomatoscopes, e.g. with tongue depressors; Instruments for opening or keeping open the mou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3/00Instruments for depressing the tongu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2Illumination; Arrangements for improving the visibility of characters on di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5Cordless telephon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a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 장착용 압설자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 장착용 압설자는 카메라와 조명광원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되는 고정부가 형성되고, 촬영대상과 마주하는 면에는 제1결합부가 형성된 고정몸체부; 및 촬영대상을 향해 연장되어 구강 내 혀를 아래로 누르는데 사용할 수 있는 삽입막대와, 상기 삽입막대의 후단부에 마련되어 상기 제1결합부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2결합부가 형성된 삽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 장착용 압설자 {TONGUE DEPRESSOR FOR ATTACHABLE TO MOBILE PHONE}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 장착용 압설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후면부에 장착된 삽입부를 이용해 혀를 아래로 누른 상태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를 이용해 구강 내부를 촬영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 장착용 압설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료 진료시에 있어서, 환자의 구강상태를 확인하고자 의사들은 압설자를 이용해 혀를 눌러 주어 구강 내부에서의 시야를 확보하게 된다
이러한 압설자(壓舌子, tongue depressor)는 의사가 환자의 입 안이나 목구멍을 들여다볼 때 혀를 아래로 누르는 데 사용하는 의료 기구로서, '혀누르개'나 '설압자'로 불리기도 한다.
이러한 압설자를 이용하여 검진할 수 있는 구강 내 질환들은 자가 진단이 불가능하므로 산간벽지 마을이나 오지마을에서는 힘들게 진료기관을 방문해야만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구강 내 질환은 병원방문이 시급하지 않은 경증 질환이 대부분이고, 진료기관의 방문이 곤란하다는 이유로 구강 내 질환을 방치하는 경우에는, 초기 치료시기를 놓쳐 증상을 악화시킬 우려가 있다.
한편, 최근 인터넷을 이용한 원격진료 서비스 시스템이 활발하게 개발되고 있으나, 이러한 원격진료 서비스 시스템은 컴퓨터와 인터넷은 물론 관련 소프트웨어가 필수적으로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컴퓨터와 인터넷이 보급되지 않은 지역에서는 원격진료 서비스의 이용이 불가능하고, 컴퓨터와 관련 소프트웨어의 조작이 능숙하지 않은 환자는 원격진료 서비스를 이용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특허문헌 1.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02-0037023호 (2002.12.11)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와 조명광원을 이용해 구강 내부를 촬영하는 과정에서 혀를 눌러 구강 내 인후부의 상태가 정확하게 나타날 수 있도록 하고,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 획득한 영상이미지를 원격지의 전문의에게 전송함으로써, 원격지에서도 환자와 의사가 직접 대면하여 진료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 장착용 압설자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카메라와 조명광원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되는 고정부가 형성되고, 촬영대상과 마주하는 면에는 제1결합부가 형성된 고정몸체부; 촬영대상을 향해 연장되어 구강 내 혀를 아래로 누르는데 사용할 수 있는 삽입막대와, 상기 삽입막대의 후단부에 마련되어 상기 제1결합부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2결합부가 형성된 삽입부; 및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표면에 밀착하도록 상기 고정몸체부의 이동통신 단말기와 마주하는 면에 배치되는 마찰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장착용 압설자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부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측면 테두리를 탄력적으로 감싸는 가요성 후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정부는 상기 고정몸체부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또한, 상기 제1결합부는 상기 제2결합부가 제1결합부를 따라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이동통신 단말기의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삽입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결합부는 삽입홈의 내벽면을 따라 오목한 형태로 함몰 형성되는 오목홈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결합부는 상기 삽입홈으로 삽입되는 탄성편과, 상기 탄성편의 오목홈부와 마주하는 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오목홈부에 삽입되는 고정돌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오목홈부는 상기 고정몸체부의 외측면에 마련되는 분리작용부에 의해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정몸체부는 상기 삽입홈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안내부를 포함하고, 상기 삽입부는 상기 제2결합부와 나란하게 배치되어 상기 제1안내부를 따라 슬라이딩하는 제2안내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와 조명광원을 이용해 구강 내부를 촬영하는 과정에서 혀를 눌러 구강 내 인후부의 상태가 정확하게 나타날 수 있도록 하고,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해 획득한 영상이미지를 원격지의 의사에게 전송함으로써, 원격지에서도 환자와 의사가 직접 대면하여 진료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 장착용 압설자가 제공된다.
또한, 구강 내부로 삽입되는 삽입부를 간편하게 교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삽입부의 반복사용에 따른 2차 감염을 방지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 장착용 압설자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 장착용 압설자의 사시도,
도 2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 장착용 압설자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 장착용 압설자의 측단면도,
도 5 내지 도 6은 본 발명 이동통신 단말기 장착용 압설자의 삽입부의 탈착 과정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 이동통신 단말기 장착용 압설자의 분리작용부의 가압 작용을 나타낸 작용단면도이고,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 이동통신 단말기 장착용 압설자의 삽입부의 슬라이딩 작용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 이동통신 단말기 장착용 압설자의 고정부의 작용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설명에 앞서, 여러 실시예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으로 제1실시예에서 설명하고, 그 외의 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 장착용 압설자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도면 중,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 장착용 압설자의 사시도이고, 도 2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 장착용 압설자의 분해사시도이다.
상기 도면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은 본 발명 이동통신 단말기 장착용 압설자는, 카메라(C)와 조명광원(L)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M)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이동통신 단말기(M)의 카메라(C)를 이용해 구강 내부의 영상이미지를 확보하는 과정에서, 혀를 아래로 눌러 카메라(C)의 시야를 확보할 수 있다. 이러한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 장착용 압설자는, 이동통신 단말기(M)에 탈착 가능하게 조립되는 고정몸체부(110)와, 상기 고정몸체부(110)의 촬영대상과 마주하는 전면에 배치되어 구강내 혀를 아래로 누를 수 있는 삽입부(120) 및 상기 고정몸체부(110)의 이동통신 단말기(M)와 마주하는 후면에 배치되어 이동통신 단말기(M)가 임의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마찰패드(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고정몸체부(110)는 이동통신 단말기(M)의 양 측면부를 탄력적으로 파지하는 고정부(111)와, 촬영대상과 마주하는 전면에 형성되어 삽입부(120)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1결합부(112)와, 제1결합부(112)의 슬라이딩을 안내하는 제1안내부(113)와, 상기 제1결합부(112)에 결합된 삽입부(120)를 분리시키기 위한 분리작용부(114)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부(111)는 상기 고정몸체부(110)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어 이동통신 단말기(M)의 양 측면부를 탄력적으로 파지하는 것으로서, 이동통신 단말기(M)의 폭과 두께에 따라 탄성 변형하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M)의 측면 테두리를 파지할 수 있는 가요성 후크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고정부(111)는 이동통신 단말기(M)를 파지한 상태에서, 이동통신 단말기(M)가 쉽게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고무 또는 실리콘과 같은 표면마찰계수가 높은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결합부(112)는 이동통신 단말기(M)의 카메라(C) 위치에 따라 상기 삽입부(120)가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상기 삽입부(120)와 나란한 방향으로 함몰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M)의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삽입홈(112a)과, 상기 삽입홈(112a)의 내벽면에서 상기 삽입홈(112a)의 연장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함몰 형성되는 오목홈부(112b)를 포함한다.
상기 제1안내부(113)는 상기 고정몸체부(110)의 촬영대상과 마주하는 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이동통신 단말기(M)의 좌우 방향으로 연장된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안내부(113)의 전면부 중앙에 삽입홈(112a)이 형성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상기 분리작용부(114)는 상기 고정몸체부(110)의 외측면에 마련되며,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외력에 의해 상기 오목홈부(112b)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것으로, 상기 고정몸체부(110) 상에 탄력적으로 지지되며, 외력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면서 오목홈부(112b)를 이동시키고, 외력이 해제되면 오목홈부(112b)와 함께 원래의 위치로 복원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삽입부(120)는 촬영대상을 향해 연장되어 구강 내 혀를 아래로 누르는데 사용할 수 있는 삽입막대(121)와, 상기 삽입막대(121)의 후단부에 마련되어 상기 제1결합부(112)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2결합부(122)와, 상기 제1안내부(113)를 따라 슬라이딩하는 제2안내부(123)를 포함한다.
상기 삽입막대(121)는 혀를 가압하는 과정에서 휘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호형의 단면이 길게 연장되는 형태로 구성되며, 혀를 가압한 상태에서도 혓바닥을 관찰할 수 있도록 투명재질로 이루어지고, 상면에는 삽입길이를 표시하기 위한 눈금부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2결합부(122)는 상기 삽입홈(112a)으로 삽입되는 탄성편(122a)과, 상기 탄성편(122a)의 오목홈부(112b)와 마주하는 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오목홈부(112b)에 삽입되는 고정돌기(122b)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탄성편(122a)은 상기 삽입막대(121)의 후단부에서 삽입막대(121)와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외팔보 형태로 이루어지고, 복수 마련되어 서로 나란하게 상하로 이격 배치되며, 상기 삽입홈(112a) 내에 삽입된 상태에서는 탄성편(122a)의 상기 오목홈부(112b)와 마주하는 바깥쪽 면에 형성된 고정돌기(122b)가 오목홈부(112b)에 각각 탄력적으로 밀착됨에 따라, 상기 삽입홈(112a)으로부터 임의로 분리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상기 삽입홈(112a) 및 오목홈부(112b)는 이동통신 단말기(M)의 좌우 방향으로 길게 연장 되므로, 상기 탄성편(122a)은 삽입홈(112a) 내에서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다.
상기 제2안내부(123)는 제1안내부(113)에 밀착한 상태로 제1안내부(113)를 따라 이동하므로 상기 삽입막대(121)가 고정몸체부(110)로부터 좌우로 상대 이동하는 과정에서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2안내부(123)는 복수 마련되고, 상기 제2결합부(122)의 상하로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제2안내부(123)는 상기 삽입막대(121)에 수직방향으로 작용하는 하중을 제2결합부(122)와 함께 분산 지지함으로써 상기 제2결합부(122)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마찰패드(130)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M)의 표면에 밀착하도록 상기 고정몸체부(110)의 이동통신 단말기(M)와 마주하는 면에 배치되는 것으로, 고무 또는 실리콘과 같은 표면마찰계수가 높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지금부터는 상술한 이동통신 단말기 장착용 압설자의 제1실시예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첨부도면 중, 도 4는 본 발명 이동통신 단말기 장착용 압설자의 측단면도이고, 도 5 내지 도 6은 본 발명 이동통신 단말기 장착용 압설자의 삽입부의 탈착 과정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 이동통신 단말기 장착용 압설자의 분리작용부의 가압 작용을 나타낸 작용단면도이고,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 이동통신 단말기 장착용 압설자의 삽입부의 슬라이딩 작용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 이동통신 단말기 장착용 압설자의 고정부의 작용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먼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C)는 고정부(111)에 의해 고정몸체부(110)의 후면에 고정되고, 삽입부(120)는 고정몸체부(110)의 촬영대상과 마주하는 전면에 탈착 가능하게 조립된다.
여기서, 카메라(C)는, 상기 고정몸체부(110)와 마주하는 전면이 고정몸체부(110)의 후면에 배치된 마찰패드(130)와 밀착되고, 후면 양측이 고정부(111)에 의해 탄력적으로 가압지지(도 11의 (a)참조)되므로, 고정위치가 임의로 변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M)의 고정위치는, 카메라(C)와 조명광원(L)이 구강 내부를 향하도록 한 상태에서, 삽입부(120)의 삽입막대(121)가 구강 내부의 혀를 아래로 누를 수 있는 위치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이동통신 단말기(M)의 카메라(C)와 조명광원(L)을 이용해 상기도염과 같은 병변을 촬영 및 기록할 수 있다. 따라서, 병변의 자가진단이 용이하고, 필요에 따라 전문의에게 촬영 이미지나 동영상 등을 전송하여 원격진료가 가능하며, 미리 저장된 병변이미지와 대조하여 병변의 종류를 예측할 수 있다.
또한, 삽입부(120)는 삽입막대(121)의 후단에 마련된 제2결합부(122)가 고정몸체부(110)의 전면에 형성된 제1결합부(112)에 탈착 가능하게 조립된다. 구체적으로, 제2결합부(122)는 상하로 나란하게 이격된 한 쌍의 탄성편(122a)이 제1결합부(112)의 삽입홈(112a)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탄성편(122a)의 외측면에서 돌출된 고정돌기(122b)가 삽입홈(112a)의 내벽에 함몰 형성된 오목홈부(112b)로 삽입된다. 이때, 한 쌍의 탄성편(122a)은 고정돌기(122b)가 오목홈부(112b)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므로, 삽입부(120)의 제2결합부(122)가 고정몸체부(110)의 제1결합부(112)에 결합된 상태에서, 임의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삽입부(120)의 제2안내부(123)는 제2결합부(122)의 상하에서 각각 탄성편(122a)와 나란하게 배치되고, 제1안내부(113)에 밀착한 상태가 되므로, 상기 삽입막대(121)에 수직방향으로 작용하는 하중이 제2결합부(122)와 제2안내부(123)에 분산지지되도록 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몸체부(110)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마련된 분리작용부(114)를 가압하면, 삽입홈(112a)의 상측 내벽면과 하측 내벽면에 각각 함몰 형성된 오목홈부(112b)가 서로 인접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삽입홈(112a)과 동일한 면을 이루게 된다. 또한, 이 과정에서 제2결합부(122)의 탄성편(122a) 역시 서로 인접하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하여 고정돌기(122b)가 삽입홈(112a)을 통해 분리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111)의 제2결합부(122)를 고정몸체부(110)의 제1결합부(112)로부터 분리하면, 고정부(111)가 고정몸체부(110)로부터 완전히 분리된다. 따라서, 1회용 삽입부(120)의 교체나, 분리된 삽입부(120)를 소독 및 세척한 후 재결합이 가능하다.
한편,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리작용부(114)는 오목홈부(112b)의 바깥쪽 면에 형성되고, 고정몸체부(110) 상에 탄력적으로 지지되며, 외력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면서 삽입홈(112a)의 내벽으로부터 함몰된 오목홈부(112b)가 삽입홈(112a)과 동일면을 이루도록 한다. 즉, 도 7과 같이 삽입홈(112a)의 내벽으로부터 함몰된 오목홈부(112b)에 탄성편(122a)의 고정돌기(122b)가 삽입된 상태에서는 탄성편(122a)이 삽입홈(112a)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도 8과 같이 분리작용부(114)를 가압하여 오목홈부(112b)가 삽입홈(112a)의 내벽과 동일면을 이루도록 한 상태에서는 탄성편(122a)을 삽입홈(112a)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결합부(112)의 삽입홈(112a)은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므로, 삽입홈(112a)에 삽입된 제2결합부(122)의 탄성편(122a)은 삽입홈(112a)을 따라 좌우로 슬라이딩할 수 있다.
즉, 이동통신 단말기(M) 중 애플 社의 '아이폰 7'은 단말기의 후면 상단 일측 모서리에 카메라(C)가 위치하고, 삼성 社의 '갤럭시 S7'은 단말기의 후면 상단 중앙에 카메라(C)가 위치하는 등, 이동통신 단말기(M)의 카메라 위치는 제조사나 단말기 종류에 따라 상이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부(120)와 이동통신 단말기(M)의 좌우 방향 상대 위치는 삽입부(120)의 탄성편(122a)이 고정몸체부(110)의 삽입홈(112a) 내에서 좌우로 슬라이딩하면서 조절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이동통신 단말기 장착용 압설자는, 고정몸체부(110)에 고정된 이동통신 단말기(M)의 카메라(C) 위치에 따라 삽입부(120)의 좌우 방향 위치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이동통신 단말기(M)에 적용하여 구강 내부의 병변을 촬영 및 기록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아울러, 고정몸체부(110)와 이동통신 단말기(M)의 상하 방향 상대 위치는 고정부(111)의 파지 위치를 통해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몸체부(110)의 양측에 마련된 고정부(111)는 탄성 변형할 수 있는 가요성 후크로 이루어지므로, 이동통신 단말기(M)의 좌우 폭이나 두께에 따라 탄성 변형하면서 이동통신 단말기(M)의 측면 테두리를 파지할 수 있다.
즉, 도 11의 (b)에 도시된 이동통신 단말기(M')는 (a)에 도시된 이동통신 단말기(M)에 비해 상대적으로 좌우 폭이 넓고 두께가 두꺼운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이때, 본 실시예의 가요성 후크로 이루어진 고정부(111)는, 탄성 변형하면서 펼쳐질 수 있으므로, 한 쌍의 고정부(111) 사이에 위치하게 되는 이동통신 단말기(M)의 좌우 폭이나 두께가 변경되더라도 안정적인 파지가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다양한 형태의 이동통신 단말기(M)에 적용할 수 있으므로, 이동통신 단말기(M)의 종류에 따라 크기가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의 고정몸체부(110)를 준비하지 않아도 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110:고정몸체부, 111:고정부, 112:제1결합부,
112a:삽입홈, 112b:오목홈부, 113:제1안내부,
114:분리작용부, 120:삽입부, 121:삽입막대,
122:제2결합부, 122a:탄성편, 122b:고정돌기,
123:제2안내부, 130:마찰패드, M:이동통신 단말기,
C:카메라, L:조명광원

Claims (8)

  1. 카메라와 조명광원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되는 고정부가 형성되고, 촬영대상과 마주하는 면에는 제1결합부가 형성된 고정몸체부;
    촬영대상을 향해 연장되어 구강 내 혀를 아래로 누르는데 사용할 수 있는 삽입막대와, 상기 삽입막대의 후단부에 마련되어 상기 제1결합부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2결합부가 형성된 삽입부; 및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표면에 밀착하도록 상기 고정몸체부의 이동통신 단말기와 마주하는 면에 배치되는 마찰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장착용 압설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측면 테두리를 탄력적으로 감싸는 가요성 후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장착용 압설자.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고정몸체부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장착용 압설자.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부는 상기 제2결합부가 제1결합부를 따라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이동통신 단말기의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삽입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장착용 압설자.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부는 삽입홈의 내벽면을 따라 오목한 형태로 함몰 형성되는 오목홈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결합부는 상기 삽입홈으로 삽입되는 탄성편과, 상기 탄성편의 오목홈부와 마주하는 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오목홈부에 삽입되는 고정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장착용 압설자.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홈부는 상기 고정몸체부의 외측면에 마련되는 분리작용부에 의해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장착용 압설자.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몸체부는 상기 삽입홈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안내부를 포함하고, 상기 삽입부는 상기 제2결합부와 나란하게 배치되어 상기 제1안내부를 따라 슬라이딩하는 제2안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장착용 압설자.
KR1020170026512A 2017-02-28 2017-02-28 이동통신 단말기 장착용 압설자 KR1017858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6512A KR101785891B1 (ko) 2017-02-28 2017-02-28 이동통신 단말기 장착용 압설자
PCT/KR2017/003960 WO2018159893A1 (ko) 2017-02-28 2017-04-12 이동통신 단말기 장착용 압설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6512A KR101785891B1 (ko) 2017-02-28 2017-02-28 이동통신 단말기 장착용 압설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85891B1 true KR101785891B1 (ko) 2017-10-16

Family

ID=602957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6512A KR101785891B1 (ko) 2017-02-28 2017-02-28 이동통신 단말기 장착용 압설자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785891B1 (ko)
WO (1) WO201815989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98481A (zh) * 2017-12-24 2018-04-13 玉林市玉州区万通华信科技服务部 一种医疗检查用压舌板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9156Y1 (ko) * 2004-05-04 2004-08-21 김봉근 설압자를 갖춘 의료용 손전등
US20120320340A1 (en) * 2011-06-18 2012-12-20 Intuitive Medical Technologies, Llc Smart-phone adapter for ophthalmoscope
US20150087926A1 (en) * 2012-04-19 2015-03-26 Nir Raz System and Method for Facilitating Remote Medical Diagnosis and Consultation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18701A (ko) * 2011-04-19 2012-10-29 김기돈 펜라이트의 탈부착이 가능한 설압자
KR200479850Y1 (ko) * 2015-01-07 2016-03-11 영 산 사이 촬상식 후두경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9156Y1 (ko) * 2004-05-04 2004-08-21 김봉근 설압자를 갖춘 의료용 손전등
US20120320340A1 (en) * 2011-06-18 2012-12-20 Intuitive Medical Technologies, Llc Smart-phone adapter for ophthalmoscope
US20150087926A1 (en) * 2012-04-19 2015-03-26 Nir Raz System and Method for Facilitating Remote Medical Diagnosis and Consultatio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98481A (zh) * 2017-12-24 2018-04-13 玉林市玉州区万通华信科技服务部 一种医疗检查用压舌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159893A1 (ko) 2018-09-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984098B2 (ja) 内視鏡の外套装置
JP5006478B2 (ja) 内視鏡
US9658445B2 (en) Endoscope apparatus
US20140132932A1 (en) Apparatus for capturing image of anterior part of iris and medical monitoring system using smart phone
KR101785891B1 (ko) 이동통신 단말기 장착용 압설자
IL177469A0 (en) Camera for medical, particularly dental use
US20190183324A1 (en) Digital disposable endoscope system
WO2014178806A1 (en) A system for visualizing body areas
JP2019508099A (ja) 口腔内センサのための配置及び維持システム
JP2012254220A (ja) 放射線画像撮影装置
CN217218989U (zh) 牙科摄影装置
KR20140004469A (ko) 인체 접사촬영 보조장치 및 핸드폰을 이용한 건강을 검진하는 방법
CN104470415B (zh) 内窥镜操作部构造
US20190150723A1 (en) Medical Examination Sight Maintaining Videoscope
JP2009054381A (ja) フレキシブル基板の接続装置
CN113164169B (zh) 用于子宫检查的脱落细胞收集装置
KR101848159B1 (ko) 이동통신 단말기 장착용 압설자
KR101614939B1 (ko) 착탈가능한 와이어 체결장치
JP3017574B2 (ja) 内視鏡の流体通路開閉装置
JP7289582B1 (ja) 口腔内撮影補助具
JP2013196448A (ja) 携帯端末の固定構造
JP2000296158A (ja) 内視鏡検査用ベッド
JP2019041885A (ja) 内視鏡
CN116784776B (zh) 一种阀门、手柄和内窥镜
EP3982185A1 (en) Raising base attachment and endoscop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