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18701A - 펜라이트의 탈부착이 가능한 설압자 - Google Patents

펜라이트의 탈부착이 가능한 설압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18701A
KR20120118701A KR1020110036233A KR20110036233A KR20120118701A KR 20120118701 A KR20120118701 A KR 20120118701A KR 1020110036233 A KR1020110036233 A KR 1020110036233A KR 20110036233 A KR20110036233 A KR 20110036233A KR 20120118701 A KR20120118701 A KR 201201187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ngue
penlight
detachable
depressor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62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돈
Original Assignee
김기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기돈 filed Critical 김기돈
Priority to KR10201100362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18701A/ko
Publication of KR201201187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870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24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for the mouth, i.e. stomatoscopes, e.g. with tongue depressors; Instruments for opening or keeping open the mou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6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with illuminating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3/00Instruments for depressing the tongu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 Endosc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사가 환자의 구강을 진찰하고 치료할 때 사용하는 펜라이트의 탈부착이 가능한 설압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구강 내의 혀를 누를 수 있도록 납작하고 길게 형성되는 설압자 및 그 일측에 연장 형성되는 연결바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연결바의 단부에는 탈부착 할 수 있는 고정부가 형성되고 펜라이트가 결합되어 한손으로 설압자를 잡고 혀를 누르면서 동시에 구강 내부로 조명을 비출 수 있도록 한 펜라이트의 탈부착이 가능한 설압자에 관한 것이다.
또한, 상기 연결바에 설압자를 탈착할 수 있는 수납부를 형성하여, 설압자를 교체하여 사용하기 용이한 펜라이트의 탈부착이 가능한 설압자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펜라이트의 탈부착이 가능한 설압자 {Penlight detachable Tongue depressor}
본 발명은 의사가 환자의 구강을 진찰하고 치료할 때 사용하는 펜라이트의 탈부착이 가능한 설압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구강 내의 혀를 누를 수 있도록 납작하고 길게 형성되는 설압자 및 그 일측에 연장 형성되는 연결바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연결바의 단부에는 탈부착 할 수 있는 고정부가 형성되고 펜라이트가 결합되어 한손으로 설압자를 잡고 혀를 누르면서 동시에 구강 내부로 조명을 비출 수 있도록 한 펜라이트의 탈부착이 가능한 설압자에 관한 것이다.
또한, 상기 연결바에 설압자를 탈착할 수 있는 수납부를 형성하여, 설압자를 교체하여 사용하기 용이한 펜라이트의 탈부착이 가능한 설압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설압자는 혀를 아래로 누르는 데 쓰는 의료 기구로서 치과 또는 이비인후과 등에서 구강 내부를 검사 또는 치료시, 납작하고 긴 막대의 형태로 형성되는 설압자를 한손으로 잡아 혀를 누르고 다른 한손으로는 라이트를 들고 구강 내부를 비추며 진료를 하게 된다.
그러므로 양손을 사용해야 하므로 불편함이 있으며, 특히 유아나 어린아이의 경우 움직임이 많기 때문에 진료에 어려움이 있다.
그리고 의사의 머리에 반사경을 장착하고 상부에 위치하는 조명을 켠 상태에서, 한손으로 설압자를 잡고 환자의 혀를 누르고 반사경으로 조명을 반사시켜 구강 내부에 비추어야 하므로 정확하게 조명을 비추기 어려우며 의사의 시야가 자유롭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설압자에 광원을 설치하여 한손으로 설압자를 잡고 혀를 누르면서 구강 내부를 비출 수 있도록 한 특허들이 공개되어 있으나, 조명의 위치와 각도가 적절하지 않거나 설압자의 크기가 커서 구강 내부를 볼 수 있는 시야가 좁아지는 단점 등이 있어 실용화되지 못하는 실정이다.
종래의 설압자의 일례로, 도 1과 같이 길게 형성되는 손전등 하우징(10)의 일면에 수납부(11)가 형성되고 상기 수납부(11)의 양측면에 설압자 인입부(12)가 구성되어 여기에 설압자(20)가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손전등 하우징(10)의 일측에 광원(30)이 결합되고 상기 광원(30)은 상기 손전등 하우징(10)의 내부에 구비되는 배터리와 연결되어 한손으로 설압자(20)와 손전등 하우징(10)을 잡고 혀를 누르는 동시에 조명을 비출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이는 상기 설압자(20)와 광원(30)이 거의 동일한 높이에 형성되어 구강 내부로 적절하게 조명을 비추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상기 설압자(20)가 상기 손전등 하우징(10)에 확실하게 고정되지 않으며, 또한 상기 손전등 하우징(10)의 일부가 구강 내부로 들어갈 수 있으므로 검사 또는 치료시 시야를 가리거나 치료용 기구에 방해가 될 수 있다.
종래의 설압자의 다른 예로, 도 2와 같이 구강 내에 삽입하여 혀를 누를 수 있도록 일단이 경사지게 형성되는 본체(40)와 상기 본체(40)의 타단에 연결되는 조명구(50)로 이루어지며, 상기 본체(40)는 아크릴과 같은 광투과성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조명구(50)를 통한 빛이 상기 본체(40)를 통과하도록 구성되는 설압자가 있다.
이는 한손으로 설압자의 조명구(50) 부분을 잡고 상기 본체(40)를 구강 내에 삽입하여 광투과성의 본체(40)를 통해 조명을 비추도록 한 구성이나, 상기 본체(40)의 크기가 커서 시야를 가리고 마찬가지로 치료용 기구를 사용하는 경우 방해가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설압자에 펜라이트를 결합하여 한손으로 설압자 잡고 혀를 누르는 동시에 구강 내부로 조명을 비출 수 있어 유아나 어린 아이들의 검사 및 치료시에 용이한 펜라이트의 탈부착이 가능한 설압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연결바에 수납부를 형성하여 설압자를 교체하기 용이한 펜라이트의 탈부착이 가능한 설압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펜라이트의 탈부착이 가능한 설압자는, 구강 내의 혀를 누를 수 있도록 납작하고 길게 형성되는 설압자(100); 및 상기 설압자(100)의 일측에 연장 형성되는 연결바(20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연결바(200)의 단부에는 펜라이트(300)가 결합될 수 있도록 고정부(21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고정부(210)는 상기 펜라이트(30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중공부(211)가 형성되고, 상기 펜라이트(300)가 삽입되는 반대측에 관통구멍(213)이 형성되되, 상기 관통구멍(213)의 내경은 상기 펜라이트(300)가 삽입되는 부분의 외경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부(210)는 상기 펜라이트(300)가 삽입되는 측면이 개방되도록 형성되고 내측에 삽입홈(214)이 형성되며,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바(200)는 일단에 수납부(220)가 형성되어 상기 설압자(100)가 수납부(220)에 형성되는 삽입홈(230)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수납부(220)는 상기 삽입홈(230)의 양측면에 결합되는 한 쌍의 탄성체(2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펜라이트의 탈부착이 가능한 설압자는 상기 고정부(210)에 결합되는 펜라이트(30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펜라이트의 탈부착이 가능한 설압자는, 설압자에 펜라이트를 결합하여 한손으로 설압자 잡고 혀를 누르는 동시에 구강 내부로 조명을 비출 수 있으므로, 다른 한손으로는 움직임이 많은 아이의 몸이나 얼굴을 잡고 진료를 할 수 있어 유아나 어린 아이들의 검사 및 치료시에 매우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연결바에 수납부를 형성하여 설압자를 교체하기가 용이하게 함으로써, 환자에 따라 설압자를 교체하여 사용하거나 설압자를 소독하기 편리하며 펜라이트의 탈부착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설압자의 일례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설압자의 다른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펜라이트의 탈부착이 가능한 설압자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펜라이트의 탈부착이 가능한 설압자를 나타낸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부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펜라이트의 탈부착이 가능한 설압자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수납부를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펜라이트의 탈부착이 가능한 설압자를 이용하여 구강 내부를 검사하는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펜라이트의 탈부착이 가능한 설압자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과 같이 본 발명의 펜라이트의 탈부착이 가능한 설압자는, 구강 내의 혀를 누를 수 있도록 납작하고 길게 형성되는 설압자(100); 및 상기 설압자(100)의 일측에 연장 형성되는 연결바(20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연결바(200)의 단부에는 펜라이트(300)가 결합될 수 있도록 고정부(210)가 형성된다.
우선, 상기 설압자(100)는 구강 내의 혀를 누를 수 있도록 납작한 형태로 길게 형성되고 위생 및 소독을 위해 일반적으로 스텐인리스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일회용으로 사용하기 위해 나무로 제작되거나 인체에 해가 없는 플라스틱 수지로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설압자(100)의 일측에 상기 연결바(200)가 연장 형성되되, 상기 설압자(100)와 소정의 각도를 이루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바(200)의 단부에는 고정부(210)가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210)에 펜라이트(300)가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도 4와 같이 상기 설압자(100)의 일단에 상기 연결바(200)가 약간 경사지게 결합되어, 상기 고정부(210)에 펜라이트(300)가 결합되었을 때, 상기 설압자(100)와 구강 내부로 적절하게 조명을 비출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설압자(100)에 일단이 결합되는 연결바(200)의 각도는 둔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약 135ㅀ 이상으로 비스듬하게 형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그리하여 의사가 환자의 구강 내부를 검사 또는 치료시 설압자에 펜라이트를 결합하여 한손으로 설압자 잡고 혀를 누르는 동시에 구강 내부로 조명을 비출 수 있으며, 상기 설압자에 결합되는 펜라이트가 시야를 가리지 않게 된다.
그러므로 다른 한손으로는 움직임이 많은 아이의 몸이나 얼굴을 잡고 진료를 할 수 있어 유아나 어린 아이들의 검사 및 치료시에 매우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펜라이트(300)를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별도로 조명을 제작할 필요가 없으며, 크기가 작으므로 구강 내부의 육안 검사시 시야를 가리지 않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펜라이트(300)가 결합되는 상기 고정부(210)는 상기 펜라이트(30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중공부(211)가 형성되고, 상기 펜라이트(300)가 삽입되는 반대측에 관통구멍(213)이 형성되되, 상기 관통구멍(213)의 내경은 상기 펜라이트(300)가 삽입되는 부분의 외경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도 4와 같이 상기 고정부(210)의 내측에 형성되는 중공부(211)로 상기 펜라이트(300)가 삽입되었을 때, 상기 관통구멍(213)을 통과하지 못하고 단턱(212)에 걸려 고정되도록 형성된다.
그리하여 상기 펜라이트(300)가 상기 고정부(210)에 삽입되어 고정되면 상기 관통구멍(213)으로 조명이 통과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부(210)의 다른 실시 예로 도 5와 같이 상기 펜라이트(300)가 삽입되는 측면이 개방되도록 형성되고 내측에 삽입홈(214)이 형성되며,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고정부(210)가 투명한 플라스틱과 같은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펜라이트(300)를 상기 고정부(210)에 형성되는 삽입홈(214)에 결합하면 상기 펜라이트(300)의 조명이 상기 고정부(210)를 통과할 수 있으므로, 별도로 관통구멍을 형성하지 않아도 조명을 비출 수 있게 된다.
그리하여 상기 설압자(100)와 연결되는 연결바(200)를 투명한 플라스틱 재질로 하여 일체형으로 사출성형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제작하고, 상기 펜라이트(300)를 결합하여 사용하도록 하면 매우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펜라이트가 결합된 설압자의 다른 실시 예로, 도 6과 같이 상기 연결바(200)는 일단에 수납부(220)가 형성되어 상기 설압자(100)가 수납부(220)에 형성되는 삽입홈(230)에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수납부(220)에는 상기 설압자(100)를 교체하여 사용하기 용이하도록 하기위해 삽입홈(230)을 형성하여 상기 설압자(100)를 탈부착하기 용이하도록 한 구성이다.
그리하여 상기 연결바(200)에 수납부(220)를 형성하여 상기 설압자(100)를 교체하기가 용이하게 함으로써, 환자에 따라 설압자(100)를 교체하여 사용하거나 설압자(100)를 소독하기 편리한 장점이 있다.
이때, 상기 수납부(220)는 상기 삽입홈(230)의 양측면에 결합되는 한 쌍의 탄성체(2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는 상기 수납부(220)에 형성되는 삽입홈(230)으로 삽입되어 결합되는 상기 설압자(100)의 폭이 작은 경우에도 도 7과 같이 상기 삽입홈(230)의 양 측면에 결합되는 상기 탄성체(240)에 의해 상기 설압자(100)가 고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탄성체(240)가 결합되는 상기 삽입홈(230)의 양 측면에는 상기 탄성체(240)의 일단을 절곡하여 고정시킬 수 있도록 고정홈(241)이 형성되고, 상기 탄성체(240)가 완전히 눌려 펴졌을 때 상기 한 쌍의 탄성체(240)이 사이의 폭이 상기 삽입홈(230)의 입구측 폭과 동일하게 될 수 있도록 안치홈(242)이 형성될 수도 있다.
아울러,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펜라이트의 탈부착이 가능한 설압자는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고정부(210)에 결합되는 펜라이트(30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펜라이트(300)는 구강내부를 검사할 수 있는 시야를 최대한 확보할 수 있도록 크기가 작은 것이 바람직하며, 펜라이트 이외에 크기가 작은 램프를 사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도 8은 본 발명의 펜라이트의 탈부착이 가능한 설압자를 이용하여 구강 내부를 검사하는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로, 구강 내부를 검사할 때 펜라이트(300)의 끝부분을 손으로 잡고 조명을 비추면서 동시에 설압자로 환자의 혀를 누를 수 있도록 구성되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손에 의해 조명이 가려지지 않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설압자(100)의 길이를 적절하게 형성하여 상기 펜라이트(300)의 조명 부분이 환자의 구강 근처에 위치하도록 하여 구강 내부를 확실하게 비출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00 : (본 발명의) 펜라이트의 탈부착이 가능한 설압자
100 : 설압자
200 : 연결바
210 : 고정부 211 : 중공부
212 : 단턱 213 : 관통구멍
220 : 수납부
230 : 삽입홈 240 : 탄성체
241 : 고정홈 242 : 안치홈
300 : 펜라이트

Claims (6)

  1. 구강 내의 혀를 누를 수 있도록 납작하고 길게 형성되는 설압자(100); 및
    상기 설압자(100)의 일측에 연장 형성되는 연결바(20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연결바(200)의 단부에는 펜라이트(300)가 결합될 수 있도록 고정부(21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펜라이트의 탈부착이 가능한 설압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210)는 상기 펜라이트(30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중공부(211)가 형성되고, 상기 펜라이트(300)가 삽입되는 반대측에 관통구멍(213)이 형성되되, 상기 관통구멍(213)의 내경은 상기 펜라이트(300)가 삽입되는 부분의 외경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펜라이트의 탈부착이 가능한 설압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210)는 상기 펜라이트(300)가 삽입되는 측면이 개방되도록 형성되고 내측에 삽입홈(214)이 형성되며,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펜라이트의 탈부착이 가능한 설압자.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바(200)는 일단에 수납부(220)가 형성되어 상기 설압자(100)가 수납부(220)에 형성되는 삽입홈(230)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펜라이트의 탈부착이 가능한 설압자.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220)는 상기 삽입홈(230)의 양측면에 결합되는 한 쌍의 탄성체(2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펜라이트의 탈부착이 가능한 설압자.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210)에 결합되는 펜라이트(30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펜라이트의 탈부착이 가능한 설압자.
KR1020110036233A 2011-04-19 2011-04-19 펜라이트의 탈부착이 가능한 설압자 KR2012011870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6233A KR20120118701A (ko) 2011-04-19 2011-04-19 펜라이트의 탈부착이 가능한 설압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6233A KR20120118701A (ko) 2011-04-19 2011-04-19 펜라이트의 탈부착이 가능한 설압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8701A true KR20120118701A (ko) 2012-10-29

Family

ID=472860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6233A KR20120118701A (ko) 2011-04-19 2011-04-19 펜라이트의 탈부착이 가능한 설압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118701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36002A (zh) * 2016-08-23 2016-12-21 尤孙文 一种咽喉检测装置
WO2018159893A1 (ko) * 2017-02-28 2018-09-07 이한영 이동통신 단말기 장착용 압설자
WO2023170545A1 (fr) * 2022-03-07 2023-09-14 Produits Dentaires S.A. Dispositif médical ou dentaire de distribution d'un composant pâteux ou liquid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36002A (zh) * 2016-08-23 2016-12-21 尤孙文 一种咽喉检测装置
WO2018159893A1 (ko) * 2017-02-28 2018-09-07 이한영 이동통신 단말기 장착용 압설자
WO2023170545A1 (fr) * 2022-03-07 2023-09-14 Produits Dentaires S.A. Dispositif médical ou dentaire de distribution d'un composant pâteux ou liquid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156022A1 (en) Illuminated Medical Devices
BRPI0408035A (pt) laringoscópio óptico luminoso com um dispositivo de extração de fluidos incorporado
WO2006081312A3 (en) Optical therapy devices, for providing therapy to a body cavity
US7066734B1 (en) Convertible dental instrument
KR20120118701A (ko) 펜라이트의 탈부착이 가능한 설압자
KR20100044765A (ko) 조명등이 마련된 귀이개
KR102237060B1 (ko) 일회용 면발광 설압자
CN203244418U (zh) 医用内置led冷光源硬质透明塑料压舌板
JP6876899B2 (ja) デンタルミラー
CN215605574U (zh) 一种带手电筒的压舌板
JP3130697U (ja) 照明付耳掻き
TW202007351A (zh) 具照明之口腔鏡結構
KR200463289Y1 (ko) 의료용 조명장치
KR102277690B1 (ko) 일회용 설압자 교체형 검진장치
JP2008289668A (ja) 照明付き喉頭鏡
JP2004305680A (ja) 舌圧子
CN105310639A (zh) 一种新型照明压舌板
CN213272107U (zh) 可拆换照射头的口腔照明灯
JP2007044069A (ja) 照明付き舌圧子ホルダー
TWM607304U (zh) 可拆換照射頭的口腔照明燈
CN201123809Y (zh) 带光源的口腔器械
CN209750991U (zh) 一种插入式自动调光压舌板
CN209847130U (zh) 一种带光源辅助手柄的新型一次性鼻孔扩张器
CN201230872Y (zh) 带光源的口腔镜
JP3060298U (ja) 照明装置付歯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