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8894A - 디지털 도어락 - Google Patents

디지털 도어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28894A
KR20200128894A KR1020190052997A KR20190052997A KR20200128894A KR 20200128894 A KR20200128894 A KR 20200128894A KR 1020190052997 A KR1020190052997 A KR 1020190052997A KR 20190052997 A KR20190052997 A KR 20190052997A KR 20200128894 A KR20200128894 A KR 202001288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shaft
rotated
motor
shaft ho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29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80801B1 (ko
Inventor
맹철호
김영권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529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0801B1/ko
Publication of KR202001288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88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08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08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47/0012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with rotary electromo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2047/0014Constructional features of actuators or power transmissions therefor
    • E05B2047/0018Details of actuator transmissions
    • E05B2047/002Geared transmissions
    • E05B2047/0021Geared sectors or fan-shaped gea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2047/0014Constructional features of actuators or power transmissions therefor
    • E05B2047/0037Powered actuators with automatic return to the neutral position by non-powered means, e.g. springs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도어락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수동으로 도어의 잠금상태를 해제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섬턴노브 및 상기 섬턴노브와 연결되는 기어인 섬턴기어를 포함하는 섬턴 및 회전되면 도어의 잠금상태를 해제할 수 있는 샤프트와 함께 회전되고 상기 섬턴기어와 치합되는 샤프트 홀딩 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샤프트 홀딩 기어는 상기 샤프트가 연결되는 샤프트 홀더부 및 상기 섬턴기어와 치합되는 부분인 기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샤프트 홀딩 기어에는 상기 샤프트 홀딩 기어와 함께 회전하고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모터 샤프트 기어에 형성된 돌출부가 삽입되어 이동할 수 있는 경로를 제공하는 가이드부가 형성되고, 상기 기어부에는 상기 가이드부의 일측이 개방될 수 있도록 스프링을 포함하는 개폐부가 배치되는, 디지털 도어락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터 샤프트 기어의 미작동에도 불구하고 사용자가 수동으로 도어의 잠금을 해정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지털 도어락{Digital Doorlock}
본 발명은 디지털 도어락에 관한 것이다.
도어락 장치는 문에 결합되어 인증 받지 못한 자로의 외부로부터 침입을 예방하기 위한 장치이다. 디지털 도어락은 외부에서 사용자가 어떠한 방식으로든지 인증을 얻게 되면 자동으로 문의 잠금상태를 해제시킬 수 있다. 문을 통해 내부 및 외부 상호간에 이동이 가능하게 하기 위해 데드볼트가 문 내부로 인입되어야 하고, 래치볼트가 문의 내부로 인입되어야 한다. 데드볼트는 사용자의 인증이 승인됨에 따라 문 내부로 인입이 되고, 래치볼트는 디지털 도어락의 타입에 따라 핸들을 회전 시키든지(레버 다운 타입) 문을 밀거나 당기는 방식(푸쉬/풀 타입) 등의 사용자의 행위에 의해 문 내부로 인입이 되었다. 다만 최근에는 사용자가 인증을 얻게 되면 데드볼트 및 래치볼트의 잠금상태가 모터에 의해 한번에 해제되는 디지털 도어락이 등장하였다.
최근의 디지털 도어락과 같이 인증을 통해 데드볼트 및 래치볼트가 모두 해제되는 도어락의 경우, 나가려고 하는 사용자를 내부에서 센서를 통해 파악하여 문을 열거나 버튼을 이용하는 등의 방법으로 데드볼트 및 래치볼트의 잠금상태를 해제하여 손쉽게 외부로 이동 가능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디지털 도어락에는 비상시에 사용자가 수동으로 문을 개폐할 수 있는 장치가 필요하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5-0146309호(2015.12.31)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모터와 연결된 기어들이 고장 등의 이유로 작동하지 않아도 사용자가 수동으로 도어를 개폐할 수 있는 디지털 도어락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간단한 구조를 통해 수리 또는 보수가 용이한 디지털 도어락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작동과정을 단순화하여 원가가 절감되는 디지털 도어락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수동으로 도어의 잠금상태를 해제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섬턴노브 및 상기 섬턴노브와 연결되는 기어인 섬턴기어를 포함하는 섬턴 및 회전되면 도어의 잠금상태를 해제할 수 있는 샤프트와 함께 회전되고 상기 섬턴기어와 치합되는 샤프트 홀딩 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샤프트 홀딩 기어는 상기 샤프트가 연결되는 샤프트 홀더부 및 상기 섬턴기어와 치합되는 부분인 기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샤프트 홀딩 기어에는 상기 샤프트 홀딩 기어와 함께 회전하고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모터 샤프트 기어에 형성된 돌출부가 삽입되어 이동할 수 있는 경로를 제공하는 가이드부가 형성되고, 상기 기어부에는 상기 가이드부의 일측이 개방될 수 있도록 스프링을 포함하는 개폐부가 배치되는, 디지털 도어락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기어부는 상기 개폐부가 걸릴 수 있는 걸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개폐부는 상기 걸림부 측으로 힘을 가하면서 상기 가이드부의 일측을 폐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터와 연결된 모터 링크 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모터 링크 기어의 회전을 통해 상기 샤프트 홀딩 기어가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폐부가 상기 가이드부의 일측을 폐쇄하여 형성된 공간은 상기 돌출부가 상기 공간에 삽입되어 25 내지 35도 회전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샤프트를 중심으로 회전하고, 상기 가이드부도 상기 돌출부가 회전되는 궤적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샤프트 홀딩 기어 및 상기 모터 샤프트 기어는 동축으로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샤프트 홀딩 기어 및 상기 모터 샤프트 기어는 상기 샤프트를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모터와 연결된 모터 샤프트 기어의 미작동에도 불구하고, 사용자가 수동으로 문을 개폐할 수 있다.
또한, 주변의 부품을 손상시키지 않고도 손쉽게 도어를 개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의 정면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의 배면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읠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의 샤프트 홀딩 기어를 나타낸 도면
도 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이 모터로 구동되는 동작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이 섬턴에 의해 구동되는 동작을 나타낸 도면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의 비상시 동작을 나타낸 도면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방법, 장치 및/또는 시스템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기술하기 위한 것이며, 결코 제한적이어서는 안 된다. 명확하게 달리 사용되지 않는 한, 단수 형태의 표현은 복수 형태의 의미를 포함한다. 본 설명에서, "포함" 또는 "구비"와 같은 표현은 어떤 특성들, 숫자들, 단계들, 동작들, 요소들,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을 가리키기 위한 것이며, 기술된 것 이외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성, 숫자, 단계, 동작, 요소,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의 존재 또는 가능성을 배제하도록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의 정면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의 배면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10)의 구조를 파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10)은 섬턴(110, 120), 샤프트 홀딩 기어(2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만으로 이루어진다는 의미는 아니고 상술한 구성들 외에 별개의 구성이 더 포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섬턴(110, 120)은 손으로 돌려 잠금 또는 잠금을 해제하는 손잡이 형태를 지닌 철물일 수 있다. 섬턴(110, 120)은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는 섬턴노브(110), 섬턴노브(110)로부터 연장된 축, 축의 단부에서 형성되는 섬턴기어(12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섬턴노브(110)를 회전시키면 축이 회전하고, 축이 회전되면 섬턴기어(120)가 회전될 수 있다. 즉, 섬턴노브(110), 축 및 섬턴기어(120)는 일체로 형성되어 섬턴(110, 120)을 구성할 수 있다.
샤프트 홀딩 기어(200)는 섬턴기어(120)와 치합되는 기어일 수 있다. 샤프트 홀딩 기어(200)는 샤프트(S)가 연결되는 기어일 수 있다. 샤프트(S)는 도어락 모티스(미도시)와 디지털 도어락(10)을 연결할 수 있다. 샤프트(S)가 회전됨에 따라 도어락 모티스에 회전력이 전달되어 도어의 잠금상태를 해제하거나 도어를 잠금상태로 설정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육각형의 단면을 가진 샤프트로 표현하였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다른 형상으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다만, 회전력을 전달해야 하므로 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을 수 있다.
샤프트 홀딩 기어(200)는 샤프트 홀더부(210) 및 기어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샤프트 홀더부(210)는 샤프트(S)가 삽입되는 부분일 수 있다. 샤프트 홀더부(210)는 샤프트(S)가 충분히 깊게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기 위해 기어부(220)의 일면에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샤프트(S)가 일정 길이 이상이 샤프트 홀더부(210) 내로 삽입되지 않으면 샤프트 홀딩 기어(200)의 회전력이 샤프트(S)에 충분히 전달되지 않아 도어의 잠금상태를 해정하기 위한 작동이 충분하게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기어부(220)는 섬턴기어(120)와 치합되는 부분일 수 있다. 기어부(220)에는 섬턴기어의 톱니와 치합되기 위한 톱니가 형성될 수 있다. 기어부(220)의 톱니는 샤프트(S)를 중심으로 하는 원의 일부인 원주의 호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기어부(220)는 샤프트(S)가 삽입되는 샤프트 홀더부(210)를 중심으로 하는 가상의 원의 일부인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가상의 원의 일부인 형상이라는 것의 의미는 단순히 기어부(220)가 부채꼴의 형상을 포함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뿐 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즉, 반드시 부채꼴의 형태에서 적절한 변형이 이루어진 형태를 띠는 것을 포함하는 의미일 수 있다.
기어부(220)에는 가이드부(221)가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부(221)는 후술할 모터 샤프트 기어(300)에 형성된 돌출부(310)가 삽입되는 부분일 수 있다.
또한, 기어부(220)에는 개폐부(222)가 배치될 수 있다. 가이드부(221)와 개폐부(222)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후술한다.
모터 샤프트 기어(300)는 모터(M)로부터 회전력을 제공받을 수 있다. 모터(M)로부터 회전력을 제공한다는 의미는 직접적으로 모터(M)와 곧바로 연결되어 샤프트 홀딩 기어(200)에 회전력을 제공한다는 의미뿐만 아니라 모터(M)와 모터 샤프트 기어(300) 사이에 별도의 구성을 더 포함하여 간접적으로 회전력을 제공받는 것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도 1, 도 2, 도 4 및 도 5에는 모터(M)가 모터 링크 기어(400)에 회전력을 제공하고 모터 링크 기어(400)에 가해지는 회전력이 모터 샤프트 기어(300)로 전달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모터 샤프트 기어(300)와 모터(M)가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또한, 모터 샤프트 기어(300)는 샤프트 홀딩 기어(200)와 동축을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읠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의 샤프트 홀딩 기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는 개폐부가 분리된 분해도이고 도 3(b)는 개폐부가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샤프트 홀딩 기어(200)에는 가이드부(221)가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부(221)는 모터(M)에 의해 회전되는 모터 샤프트 기어(300)에 형성된 돌출부(310)가 삽입되어 이동할 수 있는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모터 샤프트 기어(3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돌출부(310)를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310)는 모터 샤프트 기어(300)의 일면에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310)는 모터 샤프트 기어(300)의 회전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310)는 샤프트 홀딩 기어(200)에 형성된 가이드부(221)에 삽입될 수 있다. 가이드부(221)가 제공하는 공간 내에서 돌출부(310)는 별도의 제한없이 자유롭게 모터 샤프트 기어(300)의 회전궤적에 대응되도록 궤적을 그리며 회전할 수 있다. 다만 가이드부(221)의 내측에 인접하여 최내측에 접촉되면 모터 샤프트 기어(300)와 샤프트 홀딩 기어(200)가 동시에 회전할 수 있다.
가이드부(221)의 형태는 돌출부(310)가 회전 시 그리는 궤적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가이드부(221)는 모터 샤프트 기어(300)가 약 25도 내지 35도의 회전되어도 샤프트 홀딩 기어(200)는 회전하지 않도록 소정의 공간을 제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모터 샤프트 기어(300)와 샤프트 홀딩 기어(200)가 함께 회전되는 각도범위는 약 25도 내지 35도 이므로 모터 샤프트 기어(300)가 회전 가능한 각도는 약 70도일 수 있고, 샤프트 홀딩 기어(200)가 회전 가능한 각도범위는 약 25도 내지 35도의 범위일 수 있다
돌출부(310)가 가이드부(221)의 외측, 즉, 개폐부(222)에 접촉한 경우에도 상술한 작동이 가능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돌출부(310)의 회전이 제한될 수 있다. 다만, 개폐부(222)에 돌출부(310)가 이동하는 공간을 폐쇄하기 위해 가해지는 힘보다 더 큰 힘이 작용하면 개폐부(222)가 움직여서 가이드부(221)의 외측 일면의 공간을 개방할 수 있다.
개폐부(222)는 가이드부(221)의 외측 일면을 폐쇄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가이드부의 일면을 폐쇄한다는 의미는 소정 크기의 힘 이하의 힘이 개폐부(222)에 작용할 때 돌출부(310) 또는 샤프트 홀딩 기어(200)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막는다는 의미일 수 있다. 따라서 어느 경우에서나 돌출부(310) 또는 샤프트 홀딩 기어(200)의 이동을 막는 것은 아니고, 개폐부(222)가 이동되기 위한 소정 크기의 힘이 작용되면 개폐부(222)는 이동되어 돌출부(310) 또는 샤프트 홀딩 기어(200)의 이동을 제한하지 않을 수 있다. 이로써, 모터 샤프트 기어(300)가 고장나거나 비상시에 사용자가 섬턴기어(120)를 회전시켜 개폐부(222)에 소정 크기 이상의 힘을 가하게 되면 개폐부(222)가 열려 샤프트 홀딩 기어(200)가 회전될 수 있고, 샤프트 홀딩 기어(200)가 회전됨에 따라 샤프트(S)가 회전되어 도어의 잠금상태를 해정할 수 있다.
개폐부(222)는 비상 상황에 대비하여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섬턴기어(120)의 회전에 따라 샤프트 홀딩 기어(200)가 회전될 때 돌출부(310)를 포함하는 모터 샤프트 기어(300)가 고장 등의 이유로 회전되지 않을 수 있다. 이때 돌출부(310)에 의해 개폐부(222)에 가해지는 힘이 개폐부(222)가 가이드부(221)의 내측으로 스프링에 의해 가해지는 힘보다 커지면 개폐부(222)가 가이드부(221)의 외측으로 열릴 수 있다. 상술한 일련의 작동은 모터 샤프트 기어(300)의 미작동에도 불구하고 개폐부(222)가 개방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도 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이 모터로 구동되는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10)이 미작동하고 있는 대기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b)는 디지털 도어락(10)이 인증 등을 통해 열리는 작동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c)는 도어가 다시 닫힌 후 잠금상태를 성정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d)는 도어가 잠금상태가 된 후 다시 대기상태로 돌아가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a) 내지 도 4(d)에서는 디지털 도어락의 잠금상태를 해정하기 위해 모터 샤프트 기어(30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디지털 도어락을 잠금하기 위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다만,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해 이하에서는 도면에 도시된 기어들이 도면에 도시된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으로 서술한다.
도 4(a) 내지 도 4(d)를 참조하면, 모터(M)로 인해 도어의 잠금상태가 해정되고, 사용자의 출입이 끝나면 도어가 잠금상태가 되는 과정을 파악할 수 있다.
디지털 도어락(10)은 평상시에 도 4(a)와 같이 대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사용자의 별도의 인증 등으로 인해 작동되기 전까지 돌출부(310)는 샤프트 홀딩 기어(200)에 형성된 가이드부(221)의 내측에 인접하여 도어의 잠금상태를 해정할 수 있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사용자는 출입을 위해 전자적인 인증을 받으면 디지털 도어락(10)의 모터(M)가 회전되고 모터(M)의 회전에 따라 모터 샤프트 기어(300)가 회전될 수 있다. 모터 샤프트 기어(30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모터 샤프트 기어(300)에 형성된 돌출부(310)가 샤프트 홀딩 기어(200)의 가이드부(221)의 내측면을 밀어 샤프트 홀딩 기어(200)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샤프트 홀딩 기어(200)가 회전되면 샤프트(S)가 회전되어 도어락 모티스에 회전력을 제공하고 이에 따라 도어의 잠금이 해정될 수 있다. 이때 모터 샤프트 기어(300)의 회전각도는 약 25도 내지 35도의 각도일 수 있다. 모터 샤프트 기어(300)의 회전각도가 작아질수록 적은 전력을 사용하여 도어의 잠금상태를 해정할 수 있다. 모터 샤프트 기어(300)의 회전각도가 25 내지 35도라는 의미는 모터 샤프트 기어(300)가 25도 내지 35도의 각도범위에서 회전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고, 모터 샤프트 기어(300) 및 샤프트 홀딩 기어(200)가 함께 회전되는 각도를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전자적인 인증은 지문, 홍채, 패스워드 등의 정보가 입력되면 사용자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도어의 잠금상태를 해정하기 위한 인증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지 않은 다른 방식으로 도어의 잠금상태가 해정되는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의 잠금상태가 해정된 후 사용자의 출입이 있을 수 있다. 사용자의 출입이 끝난 후 도어는 다시 잠금상태를 유지할 필요가 있다. 도 4(c)를 참조하면, 모터 샤프트 기어(300)가 가이드부(221)를 따라 회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가이드부(221)는 돌출부(310)가 약 25도 내지 35도의 범위에서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모터 샤프트 기어(300)는 샤프트 홀딩 기어(200)와 별개로 회전될 수 있다. 돌출부(310)가 회전되어 개폐부(222)와 닿으면 돌출부(310)는 개폐부(222)를 밀어 샤프트 홀딩 기어(200)에 회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개폐부(222)는 소정의 힘이 가해지면 가이드부(221)의 일측을 개방하도록 회전될 수 있다. 다만 상술한 바와 같이 개폐부(222)는 스프링에 의해 가이드부(221)의 일측을 폐쇄하도록 힘이 작용되므로 돌출부(310)가 개폐부(222)에 힘을 가할 때 샤프트 홀딩 기어(200)가 회전되면 개폐부(222)가 회전되지 않아 모터 샤프트 기어(300) 및 샤프트 홀딩 기어(200)가 함께 시계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샤프트 홀딩 기어(20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샤프트(S)도 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도어가 잠금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도어가 잠금상태가 된 후, 모터 샤프트 기어(300)는 다시 샤프트 홀딩 기어(200)의 내측면에 접촉하도록 반시계방향으로 약 25도 내지 35도 회전될 수 있다. 이로써, 전자적인 인증이 이루어지면 곧바로 도어의 잠금상태를 해정할 수 있는 대기상태가 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이 섬턴에 의해 구동되는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a)는 디지털 도어락이 중립상태인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b)는 도어의 잠금상태를 해정하기 위해 섬턴기어(120)를 작동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5(c)는 최종적으로 도어를 잠금하고 대기상태로 다시 돌아온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a) 내지 도 5(c)에서도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해 도면에 도시된 회전방향을 기준으로 작동과정을 설명하나 회전방향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디지털 도어락(10)은 배터리가 모두 소모되는 등의 비상시에 사용자가 수동으로 도어의 잠금상태를 해정할 수 있어야 한다. 비상상황에서 도어의 잠금여부를 사용자가 수동으로 조정할 수 없다면 사용자는 상당히 큰 불편을 겪을 수 있기 때문이다.
사용자는 디지털 도어락(10)의 외부에 제공되는 섬턴노브(110)를 통해 섬턴기어(12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섬턴기어(12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 섬턴기어(120)와 치합하고 있는 샤프트 홀딩 기어(200)가 모터 샤프트 기어(300)와 별개로 회전할 수 있다. 샤프트 홀딩 기어(200)가 모터 샤프트 기어(300)와 별개로 회전하는 경우 모터(M)에 부하를 주지 않을 수 있다. 만약 샤프트 홀딩 기어(200)가 모터 샤프트 기어(300)와 함께 회전된다면 모터(M)로 인해 회전되는 방향과 반대로 모터 샤프트 기어(300)가 회전될 수 있어 모터(M)에 부하를 줄 수 있다. 다만, 상술한 바와 같이 샤프트 홀딩 기어(200)는 모터 샤프트 기어(300)와 별개로 회전하므로 모터(M)에 부하를 주지 않을 수 있다. 샤프트 홀딩 기어(20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 도어의 잠금상태는 해정될 수 있다. 사용자의 출입을 마친 후 섬턴노브(110)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디지털 도어락(10)을 대기 상태로 만들 수 있다. 즉, 섬턴(110, 120)을 이용하는 경우 모터(M)의 동작과는 상관없이 도어가 개폐될 수 있다.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의 비상시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10)은 개폐부(222)를 포함할 수 있다.
모터(M)가 구동될 때 모터(M)와 기어들 간에 파손이나 묶임 현상 등으로 동작이 안될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즉, 도 4(c)의 단계에서 모터 샤프트 기어(300)가 고장 등의 사유로 동작되지 않을 때 가이드부(221)의 외측이 막혀 있다면 섬턴(110, 120)을 작동시켜도 도어의 잠금상태가 해정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개폐부(222)가 기어부(220)에 배치되어 가이드부(221)의 외측을 개방할 수 있으므로 모터 샤프트 기어(300)의 고장에도 불구하고 사용자가 수동으로 문을 개폐할 수 있다.
개폐부(222)는 스프링(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개폐부(222)는 스프링에 의해 가이드부(221)의 내측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개폐부(222)의 일단이 기어부(220)에 형성된 단차에 걸림으로써 가이드부(221)의 내측 공간이 유지될 수 있다. 내측 공간은 돌출부(310)가 이동하는 궤적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스프링의 탄성력은 돌출부(310)가 개폐부(222)를 밀어내는 힘에 의해 샤프트 홀딩 기어(200)가 회전되면 개폐부(222)는 개방되지 않도록 적절한 값을 가질 수 있다. 샤프트 홀딩 기어(200)의 회전에도 불구하고 개폐부(222)가 개폐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을 수 있다. 즉, 모터 샤프트 기어(300)가 고장 등의 이유로 샤프트 홀딩 기어(200)를 회전시키지 못할 때 섬턴기어(120)를 통해 돌출부(310)가 개폐부(222)에 가해지는 힘을 통해 개폐부(222)가 개방되어 돌출부(310)의 움직임이 없이도 샤프트 홀딩 기어(200)가 회전될 수 있어, 도어의 잠금상태를 해정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 디지털 도어락
110: 섬턴노브
120: 섬턴기어
200: 샤프트 홀딩 기어
210: 샤프트 홀더부
220: 기어부
221: 가이드부
222: 개폐부
300: 모터 샤프트 기어
310: 돌출부
400: 모터 링크 기어
M: 모터
S: 샤프트

Claims (7)

  1. 사용자가 수동으로 도어의 잠금상태를 해제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섬턴노브 및 상기 섬턴노브와 연결되는 기어인 섬턴기어를 포함하는 섬턴; 및
    회전되면 도어의 잠금상태를 해제할 수 있는 샤프트와 함께 회전되고 상기 섬턴기어와 치합되는 샤프트 홀딩 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샤프트 홀딩 기어는 상기 샤프트가 연결되는 샤프트 홀더부 및 상기 섬턴기어와 치합되는 부분인 기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샤프트 홀딩 기어에는 상기 샤프트 홀딩 기어와 함께 회전하고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모터 샤프트 기어에 형성된 돌출부가 삽입되어 이동할 수 있는 경로를 제공하는 가이드부가 형성되고,
    상기 기어부에는 상기 가이드부의 일측이 개방될 수 있도록 스프링을 포함하는 개폐부가 배치되는, 디지털 도어락.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어부는 상기 개폐부가 걸릴 수 있는 걸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개폐부는 상기 걸림부 측으로 힘을 가하면서 상기 가이드부의 일측을 폐쇄하는, 디지털 도어락.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모터와 연결된 모터 링크 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모터 링크 기어의 회전을 통해 상기 샤프트 홀딩 기어가 회전되는, 디지털 도어락.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가 상기 가이드부의 일측을 폐쇄하여 형성된 공간은 상기 돌출부가 상기 공간에 삽입되어 25 내지 35도 회전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는, 디지털 도어락.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샤프트를 중심으로 회전하고,
    상기 가이드부도 상기 돌출부가 회전되는 궤적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디지털 도어락.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 홀딩 기어 및 상기 모터 샤프트 기어는 동축으로 회전하는, 디지털 도어락.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 홀딩 기어 및 상기 모터 샤프트 기어는 상기 샤프트를 중심으로 회전되는, 디지털 도어락.
KR1020190052997A 2019-05-07 2019-05-07 디지털 도어락 KR1025808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2997A KR102580801B1 (ko) 2019-05-07 2019-05-07 디지털 도어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2997A KR102580801B1 (ko) 2019-05-07 2019-05-07 디지털 도어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8894A true KR20200128894A (ko) 2020-11-17
KR102580801B1 KR102580801B1 (ko) 2023-09-21

Family

ID=736423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2997A KR102580801B1 (ko) 2019-05-07 2019-05-07 디지털 도어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080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10554A (ko) * 2007-07-23 2009-01-30 (주)에버넷 데드볼트와 래치볼트를 동시에 해제하는 디지털 도어록
KR20150146309A (ko) 2014-06-23 2015-12-31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도어락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10554A (ko) * 2007-07-23 2009-01-30 (주)에버넷 데드볼트와 래치볼트를 동시에 해제하는 디지털 도어록
KR20150146309A (ko) 2014-06-23 2015-12-31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도어락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80801B1 (ko) 2023-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56644B2 (en) Apparatus for opening and closing entrance
JP2013509516A (ja) 二重ロック機構を有する金庫
JPH11513764A (ja) 車両のドアラッチ組立体
KR102580801B1 (ko) 디지털 도어락
KR100516150B1 (ko) 도어락장치의 레버 어셈블리
KR101936332B1 (ko) 푸시풀형 도어 잠금장치
KR20100104600A (ko) 안티패닉형 문 잠금장치용 문 내측 손잡이
KR100315217B1 (ko) 도어록
KR102370027B1 (ko)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
KR20040061068A (ko) 도어락의 핸들전환 및 핸들걸림장치
EP3969695A1 (en) Catch mechanism for a locking device
KR102487096B1 (ko) 방화도어용 도어록
KR20070107293A (ko) 일체형 이중록킹구조의 원터치 도어록
JP2001152711A (ja) 扉用ロックハンドル装置
KR200438043Y1 (ko) 도어용 핸들 장치
WO2018204357A1 (en) Lead screw latch
KR200282709Y1 (ko) 도어락 장치
KR200483631Y1 (ko) 래치회동식 도어락 모티스
JP2013238084A (ja) 車両のハンドル装置
JP2018112041A (ja) ラッチ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ドア装置
KR101950948B1 (ko) 세이프 핸들 장치
KR101142260B1 (ko) 도어 래치 어셈블리
JP2003307058A (ja) カ−ド式錠装置
JP6951843B2 (ja) ラッチ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ドア装置
KR200486251Y1 (ko) 양방향 잠금기능을 구비하는 도어 잠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