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7236A - 코크스 건식 소화 설비 - Google Patents

코크스 건식 소화 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27236A
KR20200127236A KR1020207028403A KR20207028403A KR20200127236A KR 20200127236 A KR20200127236 A KR 20200127236A KR 1020207028403 A KR1020207028403 A KR 1020207028403A KR 20207028403 A KR20207028403 A KR 20207028403A KR 20200127236 A KR20200127236 A KR 202001272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e
coke
partition member
cooling tower
fire extingui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284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사시 모리타
요스케 와타나베
마사에이 야마구치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아이에이치아이 폴워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아이에이치아이 폴워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아이에이치아이 폴워스
Publication of KR202001272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723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BDESTRUCTIVE DISTILLATION OF CARBONACEOUS MATERIALS FOR PRODUCTION OF GAS, COKE, TAR, OR SIMILAR MATERIALS
    • C10B39/00Cooling or quenching coke
    • C10B39/02Dry cooling outside the ove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ke Industry (AREA)

Abstract

코크스 건식 소화 설비는, 벽부(3a)에 위요된 냉각실을 가지는 냉각탑(3)과, 냉각탑에 설치되고, 냉각실 내에 가스를 공급하는 가스 공급부와, 냉각탑의 벽부 중, 가스 공급부보다 연직 방향의 위쪽에 형성되고, 냉각실로 개구되는 소연도(13)와, 소연도에 설치되고, 금속제의 판재(104)에 내화물[내화물층(106)]이 적층된 본체부(102)를 가지는 칸막이 부재(100)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코크스 건식 소화 설비
본 개시는, 코크스 건식 소화 설비(coke dry quenching facility)에 관한 것이다.
종래, 코크스 건식 소화 설비가 알려져 있다. 코크스 건식 소화 설비는, 코크스 노(爐; furnace)로부터 압출(押出)되는 코크스를 소화, 냉각시킨다. 코크스 건식 소화 설비는, 냉각탑을 구비하고 있다. 냉각탑은, 예비실, 및 예비실의 아래쪽으로 연속되는 냉각실이 내부에 형성된다. 코크스[적열(赤熱) 코크스]는, 냉각탑의 정상부(頂部)로부터 예비실에 장입(裝入)된다. 코크스(적열 코크스)는, 예비실로부터 냉각실로 이동한다. 냉각실에는, 하부로부터 불활성 가스가 공급된다. 불활성 가스와의 열교환에 의해, 코크스가 소화, 냉각된다.
냉각탑에는, 냉각실로 개구되는 소연도(小煙道)가 주위 방향으로 복수 형성되어 있다. 불활성 가스는, 코크스를 소화, 냉각하면서 냉각실을 상승한다. 불활성 가스는, 소연도로부터 냉각실의 외부로 배출된다.
특허문헌 1, 특허문헌 2에는, 소연도에 칸막이 부재(partitioning member)가 설치된, 이른바 2단 플루(flue) 타입의 코크스 건식 소화 설비가 개시되어 있다. 2단 플루 타입의 코크스 건식 소화 설비에서는, 칸막이 부재에 의해, 소연도에 상단(上段) 플루와 하단(下段) 플루가 형성된다.
소연도에는, 가스류에 가압되어, 냉각실의 개구의 상단(上端)으로부터 코크스가 침입한다. 한편, 냉각실 내를 하강하는 코크스에 끌려가, 소연도 내에 침입한 코크스가 냉각실로 돌아온다. 이와 같이, 소연도에는, 코크스의 흐름이 생긴다. 소연도가 복수의 플루로 구획되는 2단 플루 타입에서는, 칸막이 부재가 설치되지 않는 싱글 플루 타입에 비하여, 소연도 내에 침입하는 코크스의 총량이 저감된다. 그러므로, 2단 플루 타입에서는, 싱글 플루 타입에 비하여, 통풍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본 특허 제4137676호 공보 일본 공개특허 제2016―23230호 공보
특허문헌 1, 특허문헌 2에 나타내는 칸막이 부재에는, 소연도 내에 침입한 덩어리 코크스에 의한 분립체(粉粒體) 하중(荷重; load)이 작용한다. 또한, 칸막이 부재는, 덩어리 코크스의 이동에 의해 마모가 생기거나, 고온 가스, 고온 비래분(飛來粉) 코크스에 의한 손모(損耗)가 생기거나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개시는, 칸막이 부재의 변형 및 손모를 저감할 수 있는 코크스 건식 소화 설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태양(態樣)에 관한 코크스 건식 소화 설비는, 벽부에 의해 위요(圍繞)된 냉각실을 가지는 냉각탑과, 냉각탑에 설치되고, 냉각실 내에 가스를 공급하는 가스 공급부와, 냉각탑의 벽부 중, 가스 공급부보다 연직(沿直) 방향의 위쪽에 형성되고, 냉각실로 개구되는 소연도와, 소연도에 설치되고, 금속제의 판재에 내화물(耐火物)이 적층된 본체부를 가지는 칸막이 부재를 구비한다.
또한, 내화물에는, 부정형(不定形) 내화물이 포함되어도 된다.
또한, 소연도는, 칸막이 부재에 의해, 상단 플루와, 상단 플루보다 연직 방향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하단 플루로 칸막이되고, 칸막이 부재는, 하단 플루에 면하는 본체부의 이면(裏面; back surface)으로부터 벽부를 향해 연장되는 각부(脚部)를 구비해도 된다.
또한, 본체부는, 판재의 상단 플루 측의 면에 부정형 내화물이 설치되고, 판재의 하단 플루 측의 면에 정형(定形) 내화물이 설치되어도 된다.
또한, 본체부는, 내화물에 피복되고, 판재에 설치된 보강 부재를 구비해도 된다.
또한, 냉각탑의 벽부에는, 칸막이 부재가 탑재되는 지지 벽부가 설치되어도 된다.
본 개시에 의하면, 칸막이 부재의 변형 및 손모를 저감할 수 있다.
도 1은, 코크스 건식 소화 설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II―II선 단면도(斷面圖)이다.
도 3는, 칸막이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IV―IV선 단면도이다.
도 5는, 칸막이 부재의 4방향의 평면도이다.
도 6은, 칸막이 부재의 장착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VII―VII선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로부터 칸막이 부재를 분리해낸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9는, 침입 코크스의 양이 증가한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코크스 건식 소화 설비의 제어 처리의 일례를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11은, 제1 변형예의 코크스 건식 소화 설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제2 변형예의 칸막이 부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3는, 제3 변형예의 칸막이 부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4는, 제4 변형예의 칸막이 부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에,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러한 실시형태에 나타내는 치수, 재료, 그 외에 구체적인 수치 등은,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예시에 지나지 않고, 특별히 한정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본 개시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본 명세서 및 도면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 구성을 가지는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함으로써 중복 설명을 생략하고, 또한 본 개시에 직접 관계가 없는 요소는 도시를 생략한다.
도 1은, 코크스 건식 소화 설비(1)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II―II선 단면도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코크스 건식 소화 설비(1)는, 냉각탑(3)을 구비한다. 냉각탑(3)은, 환형(環形)으로 형성되는 벽부(3a)를 구비한다. 냉각탑(3)에는, 벽부(3a)에 의해 위요된 예비실(5) 및 냉각실(7)이 설치된다. 예비실(5)은, 벽부(3a)의 정상부에 형성되는 투입구(5a)를 구비한다. 투입구(5a)로부터 냉각탑(3) 내에 코크스가 장입된다. 냉각실(7)은, 예비실(5)에 연속하는 공간이며, 예비실(5)의 아래쪽에 설치된다. 냉각실(7)의 바닥부에는, 벽부(3a)를 관통하는 가스 공급구(7a)(가스 공급부)가 형성된다. 가스 공급구(7a)로부터 냉각탑(3) 내에, 예를 들면, 질소 등의 불활성 가스를 주로 하는 순환 가스가 공급된다. 또한, 냉각실(7)의 바닥부에는, 가스 분배 기구(機構)(9)가 설치되어 있다. 가스 분배 기구(9)는, 가스 공급구(7a)로부터 냉각탑(3) 내에 공급된 순환 가스를 분류(分流)시킨다.
벽부(3a) 중, 예비실(5)을 위요(圍繞) 형성하는 부분에는, 환형 연도(煙道)(11)가 형성된다. 환형 연도(11)는, 벽부(3a)의 주위 방향으로 연장되는 환형공(環形孔)이다. 또한, 벽부(3a)에는, 냉각실(7)에 개구부(13a)를 개구시킨 복수의 소연도(13)가 설치된다. 소연도(13)는, 벽부(3a) 중, 가스 공급구(7a) 및 가스 분배 기구(9)보다 연직 방향의 위쪽에 위치한다. 소연도(13)는, 냉각탑(3)의 주위 방향으로 이격되어 복수 형성된다. 소연도(13)는, 환형 연도(11)와 냉각실(7)을 연통시킨다. 즉, 소연도(13)는, 냉각실(7)와 환형 연도(11)를 연결하는 통로이다. 순환 가스는, 소연도(13)를 통해 냉각실(7)로부터 환형 연도(11)로 배출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벽부(3a) 중, 환형 연도(11)와 예비실(5)을 구획하는 부분을 내측 벽부(3b)라고 한다. 즉, 벽부(3a) 중, 환형 연도(11)의 직경 방향 내측이 내측 벽부(3b)로 된다. 따라서, 소연도(13)의 냉각실(7) 측의 개구부(13a)는, 내측 벽부(3b)보다 아래쪽에 위치하게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예비실(5)은, 소연도(13)의 개구부(13a)보다 위쪽의 공간이다. 개구부(13a)는, 냉각실(7)로 개구되어 있다. 즉, 소연도(13)의 개구부(13a)의 상단 부분이, 예비실(5)과 냉각실(7)과의 경계로 된다.
냉각실(7)의 내경(內徑)은, 예비실(5)의 내경보다 크다. 환언하면, 벽부(3a) 중, 냉각실(7)을 위요하는 부위의 내경은, 내측 벽부(3b)의 내경보다 크다. 벽부(3a)의 내주면(內周面)에는, 내측 벽부(3b)의 하단(下端)으로부터, 아래쪽을 향해 내경이 점증(漸增)하는 경사면(3c)이 형성된다. 경사면(3c)에는, 소연도(13)의 개구부(13a)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소연도(13)의 개구부(13a)는, 연직 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것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내측 벽부(3b)의 내주면에는, 냉각탑(3)의 직경 방향 내측으로 돌출하는 돌기가 형성되어도 된다.
벽부(3a)에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환형 연도(11)의 환형 바닥부(11a)가 형성된다. 환형 바닥부(11a)는 환형으로 연장되어 있고, 소연도(13)의 상부 개구(13b)가 환형 바닥부(11a)로 개구되어 있다. 환형 바닥부(11a)에는, 복수의 공기 공급구(15)가 설치되어 있다. 공기 공급구(15)는, 인접하는 상부 개구(13b)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복수의 공기 공급구(15)에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각 분기관(17)이 접속되어 있다. 복수의 분기관(17)은, 주배관(19)을 통해 팬(fan)(21)에 접속되어 있다. 주배관(19)은, 분기관(17)을 통하여, 공기 공급구(15)에 연소용 공기를 공급한다. 그리고, 분기관(17)에는, 연소용 공기의 유량(流量)을 조정하는 유량 조정 밸브(23)가 설치되어 있다. 주배관(19)에는, 제어 밸브(25)가 설치되어 있다.
코크스 건식 소화 설비(1)는, 중력 침강식(沈降式)의 제진기(除塵器)(31)를 구비하고 있다. 제진기(31)는, 냉각탑(3)에 접속된 제진 벽부(31a)를 가지고 있다. 제진 벽부(31a) 내에는, 연도(33)가 형성되어 있다. 제진 벽부(31a)는, 냉각탑(3)의 벽부(3a)와 일체로 구성되어 있다. 제진 벽부(31a)는, 벽부(3a)로부터 냉각탑(3)의 직경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즉, 벽부(3a) 중, 환형 연도(11)를 위요하는 부위에는, 주위 방향의 일부에 걸쳐 환형 연도(11)를 벽부(3a)의 외부로 개구시키는 연통구(連通口)(3d)가 형성되어 있다. 제진 벽부(31a)는, 연통구(3d)의 주위를 덮도록, 벽부(3a)의 외주면으로부터 냉각탑(3)의 직경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로써, 제진 벽부(31a) 내에 형성되는 연도(33)는, 연통구(3d)를 통해 환형 연도(11)와 연통되게 된다.
제진 벽부(31a)는, 냉각탑(3)으로부터 이격될수록 아래쪽으로 경사진 테이퍼부(31b)를 구비한다. 따라서, 연도(33)는, 냉각탑(3)으로부터 이격될수록 단면적(斷面績)이 커지게 된다. 또한, 연도(33)의 바닥면을 구성하는 제진 벽부(31a)에는, 탈출구(31c)가 형성되어 있다. 테이퍼부(31b)의 하류측의 단부(端部)는, 탈출구(31c)에 접속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후술하지만, 냉각탑(3)으로부터 연도(33)로 배출되는 순환 가스에는 분진(粉塵)이 포함되어 있다. 순환 가스 중의 분진은, 연도(33)를 유통(流通)하는 과정에서 중력에 의해 순환 가스로부터 분리되고, 탈출구(31c)로부터 시스템 밖으로 배출된다.
코크스 건식 소화 설비(1)는, 보일러(41)를 구비한다. 보일러(41)는, 제진기(31)의 후단(後段)에 설치된다. 보일러(41)는, 제진기(31)를 통과한 순환 가스로부터 코크스의 현열(顯熱)을 열회수한다. 보일러(41)는, 제진 벽부(31a)에 연속하는 보일러 벽부(41a)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는, 보일러 벽부(41a)는, 제진 벽부(31a)와 일체로 구성되어 있다. 보일러 벽부(41a) 내에는, 증기를 생성하는 보일러 튜브의 일부인 스크린관(43)이 설치되어 있다. 스크린관(43)은, 순환 가스가 통과할 수 있도록, 간극을 두고 병렬로 배열되어 있다. 보일러 벽부(41a) 내에는, 내부를 열매체가 유통하는 열교환 배관(45)이 설치되어 있다. 열교환 배관(45)의 내부를 유통하는 열매체와, 보일러 벽부(41a) 내를 유통하는 순환 가스와의 사이에서 열교환이 행해지고, 코크스의 현열이 열 회수된다.
보일러(41)에는, 순환 덕트(duct)(47)가 접속되어 있다. 순환 덕트(47)는, 보일러 벽부(41a) 중, 열교환 배관(45)보다 순환 가스의 유통 방향의 하류측에 접속된다. 순환 덕트(47)에는, 순환 블로워(blower)(51)의 흡입측이 접속되어 있다. 이 순환 블로워(51)의 토출측은, 냉각탑(3)의 가스 공급구(7a)에 접속되어 있다. 보일러(41)를 통과한 순환 가스는, 순환 블로워(51)에 의해 냉각탑(3)에 송풍된다.
상기한 코크스 건식 소화 설비(1)에 의하면, 투입구(5a)로부터 냉각탑(3) 내에 코크스(적열 코크스)가 장입된다. 냉각탑(3) 내에서는, 예비실(5) 및 냉각실(7)에 코크스가 충전되어 있다. 냉각탑(3) 내에는, 순환 블로워(51)에 의해, 가스 공급구(7a) 및 가스 분배 기구(9)를 통하여, 순환 가스가 공급된다. 순환 가스는, 냉각실(7) 내를 상승하는 과정에서 코크스를 냉각시킨다. 순환 가스에 의해 냉각된 코크스는, 냉각실(7)의 하부로부터 잘라내지고. 냉각실(7)로부터 잘라내어진 코크스의 양에 따라, 투입구(5a)로부터 새롭게 냉각탑(3) 내에 코크스가 장입된다.
코크스를 냉각한 순환 가스는, 소연도(13)를 통해 환형 연도(11)로 배출된다. 이 때, 환형 연도(11)의 환형 바닥부(11a)에 설치된 공기 공급구(15)로부터, 연소용 공기가 공급된다. 연소용 공기는, 소연도(13)를 통과한 직후의 고온의 순환 가스와 혼합된다. 연소용 공기는, 혼합 가스 중에 포함되는 가연성(可燃性) 가스(수소, 일산화탄소)를 연소시킨다. 순환 가스는, 환형 연도(11)로부터 제진기(31)로 안내된다. 순환 가스는, 연도(33)를 유통하는 과정에서, 중력 침강에 의해 분진이 분리된다. 순환 가스로부터 분리된 분진은, 탈출구(31c)로부터 시스템 밖으로 배출된다.
분진이 분리된 순환 가스는, 보일러(41)로 안내된다. 순환 가스는, 스크린관(43) 및 열교환 배관(45)에 의해, 코크스의 현열이 열 회수된다. 열회수에 의해 냉각된 순환 가스는, 순환 덕트(47)를 통해 순환 블로워(51)에 의해 흡입된다. 순환 블로워(51)에 흡입된 순환 가스는, 재차, 가스 공급구(7a)로부터 냉각탑(3) 내로 공급되게 된다.
여기서, 소연도(13)에는, 칸막이 부재(100)가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코크스 건식 소화 설비(1)는, 칸막이 부재(100)에 의해 소연도(13)가 복수의 플루(통로)에 칸막이 된 다단(多段) 플루 타입으로 구성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소연도(13)가, 칸막이 부재(100)에 의해 2개의 플루(통로)로 칸막이 된 2단 플루 타입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칸막이 부재(100)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IV―IV선 단면도이다. 도 5는, 칸막이 부재(100)의 4방향의 평면도이다. 칸막이 부재(100)는, 평판(flat plate) 형상의 본체부(102)를 구비하고 있다. 이하에서는, 도 3에 나타낸 x방향을 본체부(102)의 폭 방향이라고 하고, 도 3에 나타낸 y방향을 본체부(102)의 길이 방향이라고 한다. 본체부(102)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금속제(예를 들면, 스테인레스강)의 판재(104)에 내화물이 적층되어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판재(104)는, 평판 형상의 평면부(104a)와, 한 쌍의 측면부(104b)를 포함한다. 측면부(104b)는, 평면부(104a)의 폭 방향의 양단에 설치되어 있다. 측면부(104b)는, 평판 형상의 양단을 대략 90° 굴곡시킨 단면(斷面) 형상이다. 한 쌍의 측면부(104b)는, 본체부(102)의 폭 방향으로 대향한다. 평면부(104a) 및 측면부(104b)는, 길이 방향으로 같은 길이만큼 연장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평면부(104a)와 측면부(104b)가 별개의 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평면부(104a)와 측면부(104b)는, 1개의 부재를 굴곡시켜 성형되어도 된다.
판재(104)는, 평면부(104a)의 표면측 및 이면측(裏面側)에, 측면부(104b)를 대략 90°의 각도로 돌출시킨 단면 형상이다. 평면부(104a)의 표면측에는, 평면부(104a) 및 측면부(104b)에 위요된 부분에, 내화물로 구성되는 내화물층(耐火物層)(106)(도 4에 크로스 해칭으로 나타냄)이 형성되어 있다. 환언하면, 본체부(102)는, 판재(104)에 내화물이 적층되어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는, 내화물층(106)은, 내화물을 분쇄한 골재에 결합재가 배합된 부정형 내화물[캐스터블(castable) 내화물, 내화 콘크리트]로 구성되어 있다.
판재(104)에는, 복수의 보강 부재(108)가 설치되어 있다. 보강 부재(108)는, 캐스터블 앵커나 앵커 볼트 등의 봉 부재(bar member)로 구성된다. 보강 부재(108)는, 금속제이다. 보강 부재(108)는, 예를 들면, v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단, 보강 부재(108)는, U자 형상, J자 형상, 또는 L자 형상 등, v자 형상과 다른 형상을 가지고 있어도 된다. 보강 부재(108)는, 판재(104)에 용접된다. 단, 보강 부재(108)는, 판재(104)에 체결되어도 되고, 판재(104)에 끼워맞추어져도 된다. 복수의 보강 부재(108)는, 본체부(102)의 폭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복수의 보강 부재(108)는, 본체부(102)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즉, 복수의 보강 부재(108)는, 본체부(102)에 격자형 또는 지그재그형으로 배치된다. 보강 부재(108)는, v자 형상부가 내화물층(106) 내에 매설된다. 환언하면, 보강 부재(108)의 V자 형상부는, 부정형 내화물에 피복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보강 부재(108)는, 내화물층(106) 내에 배치된다.
평면부(104a)를 경계로 하여 내화물층(106)과 반대측, 즉 판재(104)의 배면측에는, 내화물층(110)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는, 내화물층(110)은, 정형 내화물(내화 연와 또는 내화 단열 벽돌)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칸막이 부재(100)의 본체부(102)는, 판재(104)의 표면측에 내화물층(106)이 적층되고, 판재(104)의 배면측에 내화물층(110)이 적층되어 있다. 환언하면, 본체부(102)는, 판재(104)가 내화물층(106), (110)으로 피복되어 있다.
그리고, 여기서는, 내화물층(106)이 부정형 내화물로 구성되고, 내화물층(110)이 정형 내화물로 구성되는 것으로 하였다. 즉, 본체부(102)에 설치되는 내화물에는, 부정형 내화물이 포함되는 것으로 하였다. 그러나, 예를 들면, 내화물층(106), (110)의 양쪽이 부정형 내화물 또는 정형 내화물로 구성되어도 된다. 또한, 내화물층(106)이 정형 내화물로 구성되고, 내화물층(110)이 부정형 내화물로 구성되어도 된다. 또한, 내화물층(106), (110) 중 어느 한쪽만이 설치되어도 된다.
칸막이 부재(100)는, 도 3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부(102)의 폭 방향의 양 측면에 설치된 한 쌍의 걸림부(120)를 구비한다. 한 쌍의 걸림부(120)는, 본체부(102)의 폭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있다. 걸림부(120)는, 본체부(102)의 길이 방향의 일단(一端)(상단)에 설치되고, 본체부(102)의 배면측으로 돌출한다. 걸림부(120) 중, 본체부(102)보다 배면측으로 돌출하는 바닥부(120a)는, 칸막이 부재(100)가 소연도(13)에 장착된 상태에서, 수평 방향[냉각탑(3)의 직경 방향]으로 연장된다. 걸림부(120)는, 바닥부(120a)로부터 연직 방향으로 돌출하는 끼워맞춤부(122)를 구비한다. 끼워맞춤부(122)는, 바닥부(120a) 중, 본체부(102)로부터 이격되는 측으로 연속되어 있다.
그리고, 걸림부(120)는, 부정형 내화물로 구성되어도 되고, 정형 내화물로 구성되어도 된다. 예를 들면, 본체부(102)의 내화물층(106)을 연장시켜 걸림부(120)[끼워맞춤부(122)]를 형성해도 된다. 또한, 본체부(102)의 내화물층(110)을 연장시켜 걸림부(120)[끼워맞춤부(122)]를 형성해도 된다. 또한, 본체부(102)의 판재(104)를 폭 방향으로 돌출시키고, 판재(104)의 돌출부 상을 내화물로 피복하여 걸림부(120)를 구성해도 된다.
또한, 칸막이 부재(100)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부(102)의 배면측에 각부(130)를 구비한다. 각부(130)는, 본체부(102)의 배면에 대하여, 대략 직각으로 돌출한다. 각부(130)는, 본체부(102)의 폭 방향 및 길이 방향의 중앙 근방에 위치한다. 각부(130)의 폭 방향의 길이는, 본체부(102)의 폭 방향의 길이보다 짧다. 또한, 각부(130)의 길이 방향의 길이는, 본체부(102)의 길이 방향의 길이보다 짧다. 각부(130)는, 본체부(102)의 길이 방향의 하단보다 연직 방향의 위쪽에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는, 각부(130)가, 본체부(102)의 배면측에 설치되는 내화물층(110)과 같은 정형 내화물로 구성되어 있다. 단, 각부(130)의 재질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금속, 내화물 및 이들의 조합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어도 된다.
도 6은, 칸막이 부재(100)의 장착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VII―VII선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로부터 칸막이 부재(100)를 분리해낸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소연도(13)는, 벽부(3a)의 주위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복수 설치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소연도(13)를 위요하는 벽부(3a) 중, 내측 벽부(3b)에 대하여 냉각탑(3)의 직경 방향에 대향하는 부분을 외측 벽부(3e)로 하여 설명한다. 내측 벽부(3b) 및 외측 벽부(3e)를 연결하는 부분을 접속 벽부(3f)(도 8 참조)로 하여 설명한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연도(13)는, 하측 통로(13c)와, 상측 통로(13d)를 구비한다. 하측 통로(13c)는, 개구부(13a)로부터 경사 위쪽을 향해 연장된다. 상측 통로(13d)는, 하측 통로(13c)의 위쪽으로 연속되고, 연직 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상측 통로(13d)는, 상기한 환형 연도(11)의 환형 바닥부(11a)로 개구되는 상부 개구(13b)(도 2 참조)를 포함한다.
소연도(13)를 위요하는 벽부(3a)[접속 벽부(3f)]에는, 지지 벽부(3g)가 설치된다. 도 6에 있어서는,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지지 벽부(3g)를 검은 색으로 나타내고 있다. 지지 벽부(3g)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벽부(3a) 중, 주위 방향에 대향하는 대향면에 설치된다. 즉, 소연도(13)에는, 2개의 지지 벽부(3g)가 주위 방향으로 이격되어 대향 배치되어 있다. 지지 벽부(3g)는, 벽부(3a)로부터 소연도(13) 내을 향해 돌출한다. 지지 벽부(3g)는, 수평부(3g1) 및 경사부(3g2)를 구비한다. 수평부(3g1)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연도(13)의 개구부(13a)보다 연직 방향의 위쪽에 위치한다. 수평부(3g1)는, 상측 통로(13d) 내에 위치하고 있다. 수평부(3g1)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경사부(3g2)는, 수평부(3g1)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되고, 하측 통로(13c) 내에 위치하고 있다. 경사부(3g2)는, 하단 측이 상단측보다 직경 방향의 내측에 위치하는 방향으로 경사져 있다.
지지 벽부(3g)에는, 칸막이 부재(100)가 탑재된다. 구체적으로는, 수평부(3g1) 상에, 칸막이 부재(100)의 바닥부(120a)가 탑재된다. 또한, 경사부(3g2) 상에, 본체부(102)의 폭 방향의 양 측면이 탑재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체부(102)의 폭 방향의 양 측면에는, 금속제의 판재로 이루어지는 측면부(104b)가 설치되어 있다(도 4 참조). 경사부(3g2)에는, 측면부(104b)가 탑재되게 된다.
끼워맞춤부(122)는, 수평부(3g1)보다 연직 방향의 아래쪽으로 돌출한다. 본체부(102)의 배면과 끼워맞춤부(122)에 의해, 수평부(3g1)가 협지된다. 이로써, 칸막이 부재(100)의 탈락이 방지된다. 이와 같이, 칸막이 부재(100)는, 지지 벽부(3g)에 의해, 소연도(13) 내에 유지된다. 칸막이 부재(100)가 소연도(13) 내에 유지된 상태에서는, 각부(130)의 돌출 방향의 선단 부분이 벽부(3a)에 접촉한다. 단, 칸막이 부재(100)가 소연도(13) 내에 유지된 상태에서, 각부(130)의 돌출 방향의 선단 부분과 벽부(3a)와의 사이에 근소한 간극이 형성되어도 된다.
칸막이 부재(100)에 의해, 소연도(13)는, 하측 통로(13c)가 2개의 플루로 구획된다. 즉, 소연도(13)의 하측 통로(13c)는, 상단 플루(13c1)과, 하단 플루(13c2)로 구획된다. 하단 플루(13c2)는, 상단 플루(13c1)보다 연직 방향의 아래쪽{냉각탑(3)의 벽부(3a) 측[냉각탑(3)의 직경 방향 외측]}에 위치한다. 여기서는, 하단 플루(13c2)가, 복수의 플루 중 연직 방향의 가장 아래쪽에 위치하는 최하단 플루로 된다. 칸막이 부재(100)의 본체부(102)는, 표면이 상단 플루(13c1)에 접하고, 이면(back surface)이 하단 플루(13c2)에 면한다. 따라서, 칸막이 부재(100)의 본체부(102)는, 판재(104)의 상단 플루(13c1) 측의 면에 내화물층(106)(부정형 내화물)이 형성되게 된다. 또한, 칸막이 부재(100)의 본체부(102)는, 판재(104)의 하단 플루(13c2) 측의 면에 내화물층(110)(정형 내화물)이 형성되게 된다. 칸막이 부재(100)의 각부(130)는, 하단 플루(13c2)에 설치된다. 각부(130)는, 하단 플루(13c2)에 면하는 본체부(102)의 이면으로부터 벽부(3a)를 향해 연장되게 된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연도(13)에는, 개구부(13a)로부터 코크스가 침입한다. 소연도(13)에 침입한 침입 코크스는, 칸막이 부재(100)에 접촉한다. 즉, 칸막이 부재(100)는, 고온 분위기에 노출된 상태로 침입 코크스가 접촉하고, 가루 코크스가 충돌한다. 그러므로, 칸막이 부재(100)는, 코크스에 의해 손모되기 쉬운 상태에 놓여지고 있다. 본 실시형태의 칸막이 부재(100)는, 금속제의 판재(104)에 내화물이 적층된 본체부(102)를 가지고 있으므로, 내열성(耐熱性) 및 내마모성(wear resistance)이 높다. 따라서, 칸막이 부재(100)의 내용 연수가 길어져, 유지보수의 빈도를 저감할 수 있다. 그리고, 장입 코크스 온도 등의 운전 조건에 따라, 통과 가스의 온도, 유속(流速; flow rate), 가스 중의 가루 코크스가 변경된다. 그러므로, 칸막이 부재(100)의 재질은, 플랜트마다 결정하면 된다.
칸막이 부재(100)의 본체부(102)에는, 상단 플루(13c1) 측으로부터 코크스의 하중이 작용한다. 본체부(102)는, 보강 부재(108)에 의해, 판재(104)와 내화물층(106)이 일체로 되어 있다. 그러므로, 칸막이 부재(100)는, 코크스의 하중에도 충분히 견디는 것이 가능하다. 상단 플루(13c1) 측으로부터 작용하는 코크스의 하중에 의해, 본체부(102)는, 냉각탑(3)의 직경 방향 외측으로 압압(押壓)된다. 본체부(102)의 배면측에는, 각부(130)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코크스의 하중은, 각부(130)를 통해 벽부(3a)에 작용한다. 또한, 본체부(102)의 폭 방향의 양단은, 지지 벽부(3g)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따라서, 코크스의 하중은, 벽부(3a)에 의해 받게 되도록 되어, 칸막이 부재(100)의 크리프(creep) 강도가 향상된다.
칸막이 부재(100)는, 지지 벽부(3g)에 탑재하는 것만으로 되므로, 교환 작업이 용이하며, 코크스 건식 소화 설비(1)의 가동율(稼動率)을 높일 수 있다.
하단 플루(13c2)에서의 침입 코크스의 높이는, 상단 플루(13c1)에서의 침입 코크스의 높이보다 낮다. 각부(130)는, 통상 조업 시의 하단 플루(13c2)에서의 침입 코크스의 높이 위치보다 위쪽에 설치되어 있다. 즉, 각부(130)는, 본체부(102)의 하단보다 위쪽에 설치됨으로써 코크스와의 접촉이 회피되고, 통풍 능력에도 악영향이 주어지지 않는다. 한편, 각부(130)는, 그 일부 또는 전체가, 본체부(102) 중, 상단 플루(13c1)에서의 침입 코크스의 높이보다 낮은 범위에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각부(130)는, 본체부(102)의 중앙 근방으로부터 하단 측을 향해 연장되어 있다. 각부(130)에 의해, 상단 플루(13c1) 측으로부터 본체부(102)에 작용하는 침입 코크스의 하중이, 냉각탑(3)의 벽부(3a)에 작용하기 쉽다. 단, 각부(130)의 배치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코크스 건식 소화 설비(1)의 조업 중에는, 소연도(13)에 대한 코크스의 침입과 탈출이 연속적으로 행해지고 있다. 이 때, 소연도(13)에 대한 침입 코크스의 양과, 소연도(13)로부터의 탈출 코크스의 양과의 밸런스가 무너지는 경우가 있다. 그리고, 침입 코크스의 양이 탈출 코크스의 양을 크게 상회하면, 통상 조업이 불가능하게 된다. 그러므로, 소연도(13)의 코크스의 양을 상시 감시할 필요가 있다.
그런데, 칸막이 부재(100)가 설치되면, 소연도(13)의 시인성(視認性)이 저하하고, 소연도(13)에서의 코크스의 양의 감시가 곤란해질 우려가 있다. 침입 코크스의 양이 한도를 초과한 것을 알지 못하고 방치하면, 침입 코크스의 양이 멋대로 증가하여, 불가역(不可逆) 상태에 도달한다. 그러므로, 소연도(13) 내의 침입 코크스의 양을 상시 감시하고, 침입 코크스의 양을 아는 수단이 중요해진다.
본 실시형태의 코크스 건식 소화 설비(1)는, 소연도(13)에서의 코크스의 양을 추정하기 위한 압력 검지부(200)를 구비한다. 압력 검지부(200)는, 하부 검지부(200a), 상부 검지부(200b) 및 차압(差壓) 도출부(導出部)(200c)를 구비한다. 하부 검지부(200a)는, 일단이 하단 플루(13c2)로 개구되고, 타단이 차압 도출부(200c)에 접속되는 배관을 포함한다. 하부 검지부(200a)는, 하단 플루(13c2)의 압력을 검지한다. 상부 검지부(200b)는, 일단이 상측 통로(13d)로 개구되고, 타단이 차압 도출부(200c)에 접속되는 배관을 포함한다. 상부 검지부(200b)는, 소연도(13) 중, 하부 검지부(200a), 보다 엄밀하게는, 칸막이 부재(100)의 상단보다 연직 방향의 위쪽[여기서는 상측 통로(13d)]의 압력을 검지한다. 차압 도출부(200c)는, 하부 검지부(200a)에 의해 검지된 압력과, 상부 검지부(200b)에 의해 검지된 압력과의 차압을 도출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압력 검지부(200)는, 복수의 상이한 소연도(13)에 설치된다. 구체적으로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냉각탑(3)의 주위 방향으로 이격되어 4개의 압력 검지부(200)가 설치된다. 이들 압력 검지부(200)는, 냉각탑(3) 중, 제진기(31)의 연도(33)와 연통되는 연통구(3d)의 근방에 배치되는 1개의 압력 검지부(200)를 제외하고, 주위 방향으로 대략 90°의 위상을 어긋나게 하여 배치되어 있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부 검지부(200a)는, 코크스 건식 소화 설비(1)의 통상 조업에 있어서, 하단 플루(13c2) 중 코크스가 침입할 수 있는 위치보다 위쪽의 압력을 검지한다. 따라서, 소연도(13)에서의 침입 코크스의 양이 적정 범위 내이면, 하부 검지부(200a)가 검지하는 압력과, 상부 검지부(200b)가 검지하는 압력과의 차이는 작다.
도 9는, 침입 코크스의 양이 증가한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소연도(13)에 대한 침입 코크스의 양과, 소연도(13)로부터의 탈출 코크스의 양과의 밸런스가 무너져,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단 플루(13c1) 내의 침입 코크스의 양이 증가한다. 이 경우, 상단 플루(13c1) 내의 침입 코크스는, 칸막이 부재(100)를 타고넘어 하단 플루(13c2)에 위쪽으로부터 침입한다. 그 결과, 하단 플루(13c2)의 침입 코크스의 양이 증가한다. 이 때, 하단 플루(13c2)에 있어서, 침입 코크스가 하부 검지부(200a)를 막으면, 하부 검지부(200a)가 검지하는 압력이 높아진다.
그 결과, 하부 검지부(200a)가 검지하는 압력과, 상부 검지부(200b)가 검지하는 압력과의 차이가 커지게 된다. 이와 같이, 하단 플루(13c2)와 상측 통로(13d)와의 차압은, 소연도(13)에서의 코크스의 양과 상관성(비례 관계)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하단 플루(13c2)와 상측 통로(13d)와의 차압에 의해, 소연도(13)에서의 침입 코크스의 양을 추정할 수 있다.
코크스 건식 소화 설비(1)는, 제어부(202) 및 통지부(204)를 구비한다. 제어부(202)는, 차압 도출부(200c)에 의해 도출된 차압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상인지를 판정하는 판정 처리를 행한다. 통지부(204)는, 경보가 출력되는 스피커나 표시부 등으로 구성된다. 제어부(202)는, 판정 처리에 의해 차압이 임계값 이상인 것으로 판정한 경우에, 통지부(204)로부터 경보를 출력한다.
도 10은, 코크스 건식 소화 설비(1)의 제어 처리의 일례를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제어부(202)는, 도 10에 나타낸 처리를 소정 시간에 걸쳐 반복하여 행한다. 제어부(202)는, 압력 검지부(200)[차압 도출부(200c)]로부터 차압을 취득한다(S1). 제어부(202)는, 취득한 차압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상인지를 판정하는 판정 처리를 행한다(S2). 그리고, 차압이 임계값 이상인 것으로 판정한 경우(S3의 YES), 제어부(202)는, 통지부(204)로부터 경보를 출력하여 소정의 통지를 개시한다(S4). 한편, 차압은 임계값 이상이 아닌 것으로 판정한 경우(S3의 NO), 제어부(202)는, 모든 압력 검지부(200)에 대하여 판정 처리가 종료되었는지를 판정한다(S5). 그리고, 모든 압력 검지부(200)에 대하여 판정 처리가 종료하고 있으면(S5의 YES), 상기 처리를 종료한다. 또한, 모든 압력 검지부(200)에 대하여 판정 처리가 종료하고 있지 않으면(S5의 NO), 판정 처리가 행해지고 있지 않은 압력 검지부(200)에 대하여, 상기한 처리를 반복하여 행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의 코크스 건식 소화 설비(1)에 의하면, 하단 플루(13c2)와 상측 통로(13d)와의 차압에 의해, 소연도(13)의 침입 코크스의 양이 특정된다. 따라서, 소연도(13)에서의 침입 코크스의 양을, 양호한 정밀도로, 또한 용이하게 감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1은, 제1 변형예의 코크스 건식 소화 설비(1A)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제1 변형예의 코크스 건식 소화 설비(1A)는, 소연도(13)에 2개의 칸막이 부재(100)가 설치되는 점이 상기 실시형태와는 상위하다. 따라서, 여기서는, 상기 실시형태와 같은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고, 상기 실시형태와는 상위한 점에 대하여 설명한다. 코크스 건식 소화 설비(1A)는, 소연도(13) 내에 2개의 지지 벽부(3g)를 구비한다. 2개의 지지 벽부(3g)는, 연직 방향으로 이격되어 설치되어 있다. 2개의 지지 벽부(3g)에는, 각각 칸막이 부재(100)가 탑재되어 있다. 2개의 칸막이 부재(100)는, 연직 방향으로 이격되어 소연도(13) 내에 배치되어 있다.
소연도(13)의 하측 통로(13c)는, 2개의 칸막이 부재(100)에 의해, 상단 플루(13c1), 하단 플루(13c2) 및 중단(中段) 플루(13c3)의 3개의 플루(통로)로 구획된다. 상단 플루(13c1)는, 하단 플루(13c2) 및 중단 플루(13c3)보다 연직 방향의 위쪽에 위치하고 있다. 하단 플루(13c2)는, 3개의 플루 중에서 가장 연직 방향의 아래쪽에 위치하고 있다. 즉, 코크스 건식 소화 설비(1A)에 있어서, 하단 플루(13c2)는, 복수의 플루 중, 연직 방향의 가장 아래쪽에 위치하는 최하단 플루로 된다.
중단 플루(13c3)는, 상단 플루(13c1) 및 하단 플루(13c2)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즉, 중단 플루(13c3)는, 2개의 칸막이 부재(100)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연직 방향의 위쪽에 설치되고 칸막이 부재(100)의 각부(130)는, 돌출 방향의 선단측의 면이, 연직 방향의 아래쪽에 설치되는 칸막이 부재(100)의 본체부(102)의 표면에 접촉한다. 이로써, 상대적으로 연직 방향의 위쪽에 위치하는 칸막이 부재(100)에 작용하는 침입 코크스의 하중을, 상대적으로 연직 방향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칸막이 부재(100)를 통하여, 벽부(3a)가 받게 된다. 그리고, 중단 플루(13c3)와 상단 플루(13c1)를 구획하는 칸막이 부재(100)의 각부(130) 중 적어도 일부는, 상단 플루(13c1)에서의 침입 코크스의 높이보다 낮은 범위에 설치된다. 또한, 중단 플루(13c3)과 하단 플루(13c2)를 구획하는 칸막이 부재(100)의 각부(130) 중 적어도 일부는, 중단 플루(13c3)에서의 침입 코크스의 높이보다 낮은 범위에 설치되어 있다. 이로써, 침입 코크스의 하중이, 냉각탑(3)의 벽부(3a)에 작용하기 쉽다. 단, 각부(130)의 배치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코크스 건식 소화 설비(1A)에 있어서도, 상기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하부 검지부(200a)는, 복수의 플루 중 연직 방향의 가장 아래쪽에 위치하는 하단 플루(13c2)(최하단 플루)의 압력을 검지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변형예의 코크스 건식 소화 설비(1A)에 의하면, 하측 통로(13c)가 3개의 플루로 구획된다. 이로써, 더욱 통풍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2는, 제2 변형예의 칸막이 부재(100A)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제2 변형예의 칸막이 부재(100A)는,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판재(104)의 배면측에 내화물층(110)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점이 상기 실시형태와는 상위하다. 즉, 칸막이 부재(100A)는, 평면부(104a)의 배면측이 노출되어 있다. 환언하면, 칸막이 부재(100A)는, 본체부(102)의 가장 배면측(상대적으로 연직 방향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플루에 면하는 측)에 판재(104)가 설치되어 있다.
는, 폭 방향의 중앙측이 배면측으로 돌출하는 방향으로 휨 응력이 작용한다. 칸막이 부재(100A)는, 휨 응력이 상대적으로 커지게 되는 배면측에 판재(104)가 설치된다. 여기서, 판재(104)의 배면측{즉, 하단 플루(13c2) 측[도 6 참조]}은, 판재(104)의 표면측{즉, 상단 플루(13c1) 측[도 6 참조]}에 비해 비교적 저온이다. 그러므로, 제2 변형예의 판재(104)의 배면측에는, 상기 실시형태의 내화물층(110)이 형성되어 있지 않다. 이로써, 제2 변형예의 칸막이 부재(100A)는, 상기 실시형태의 칸막이 부재(100)보다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그리고, 여기서는, 판재(104)의 표면측에, 부정형 내화물로 구성되는 내화물층(106)이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판재(104)의 표면측에, 정형 내화물로 구성되는 내화물층(110)이 형성되어도 된다.
도 13는, 제3 변형예의 칸막이 부재(100B)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제3 변형예의 칸막이 부재(100B)는,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판재(104)의 표면측 및 배면측의 양쪽에 내화물층(106)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판재(104)의 표면측 및 배면측의 양쪽에 보강 부재(108)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판재(104)의 표면측 및 배면측의 양쪽에 설치되는 내화물층(106)에는, 모두 보강 부재(108)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칸막이 부재(100B)는, 본체부(102)[판재(104) 및 내화물층(106)]의 폭 방향의 중앙측이 양단 측에 비하여, 표면측으로 돌출하도록 만곡되어 있다.
그리고, 여기서는, 판재(104)의 표면측 및 배면측의 양쪽에, 부정형 내화물로 구성되는 내화물층(106)이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판재(104)의 표면측 및 배면측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에, 정형 내화물로 구성되는 내화물층(110)이 형성되어도 된다. 또한, 본체부(102)[판재(104) 및 내화물층(106)]는, 폭 방향의 중앙측이 양단 측에 비하여, 배면측으로 돌출하도록 만곡되어도 된다.
도 14는, 제4 변형예의 칸막이 부재(100C)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제4 변형예의 칸막이 부재(100C)는,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판재(104)의 표면측에 내화물층(106)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칸막이 부재(100C)는, 본체부(102)[판재(104) 및 내화물층(106)]의 폭 방향의 중앙측이 양단 측에 비하여, 표면측으로 돌출하도록 만곡되어 있다. 그리고, 여기서는, 판재(104)의 표면측에, 부정형 내화물로 구성되는 내화물층(106)이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판재(104)의 표면측에, 정형 내화물로 구성되는 내화물층(110)이 형성되어도 된다. 또한, 본체부(102)[판재(104) 및 내화물층(106)]는, 폭 방향의 중앙측이 양단 측에 비하여, 배면측으로 돌출하도록 만곡되어도 된다.
그리고, 상기한 제2 변형예 내지 제4 변형예의 칸막이 부재(100A), (100B), (100C)는, 실시형태의 코크스 건식 소화 설비(1), 및 제1 변형예의 코크스 건식 소화 설비(1A)의 양쪽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 및 제1 변형예에서는, 압력 검지부(200)가, 하부 검지부(200a), 상부 검지부(200b) 및 차압 도출부(200c)를 구비하는 것으로 하였다. 그러나, 압력 검지부(200)는, 예를 들면, 하부 검지부(200a)만을 구비해도 된다. 이 경우, 하부 검지부(200a)가 검지하는 압력에 의해, 침입 코크스의 양을 추정하면 된다. 어느 것으로 해도, 압력 검지부(200)는, 적어도 하단 플루(13c2)의 압력을 검지하면 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 및 제1 변형예에서는, 상부 검지부(200b)가, 칸막이 부재(100)의 상단보다 연직 방향의 위쪽의 압력, 즉 상측 통로(13d)의 압력을 검지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부 검지부(200b)는, 하부 검지부(200a)보다 상방에서 있으면, 예를 들면, 상단 플루(13c1)의 압력을 검지해도 되고, 하단 플루(13c2)의 압력을 검지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 및 제1 변형예에서는, 압력 검지부(200)가 복수의 상이한 소연도(13)에 설치되는 것으로 하였으나, 압력 검지부(200)는 1개만 설치되어도 된다. 또한, 압력 검지부(200)는, 냉각탑(3)의 주위 방향의 어느 위치에 설치되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 및 제1 변형예에서는, 차압이 임계값 이상으로 되었을 경우에, 제어부(202)가 통지부(204)로부터 경보를 출력(소정의 통지)하는 것으로 했다. 그러나, 제어부(202)는, 경보의 출력 대신에, 또는 경보의 출력에 더하여, 코크스 건식 소화 설비(1)의 조업을 정지시키는 등, 운전 조건을 변경시켜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 및 제1 변형예에서는, 복수의 압력 검지부(200) 중, 어느 하나의 압력 검지부(200)에 있어서 차압이 임계값 이상으로 되었을 경우에, 제어부(202)가 경보를 출력하는 것으로 하였다. 그러나, 2 이상의 압력 검지부(200)에 있어서 차압이 임계값 이상으로 되었을 경우에 경보를 출력해도 된다. 이와 같이하면, 오보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하측 통로(13c)가 2개의 플루로 칸막이되고, 상기 제1 변형예에서는, 하측 통로(13c)가 3개의 플루로 구획되지만, 하측 통로(13c)는, 4개 이상의 플루로 칸막이되어도 된다.
이상,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개시는 이러한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는 것은 물론이다. 당업자이면,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범주에 있어서, 각종 변경예 또는 수정예에 이를 수 있는 것은 명백하고, 이들에 대해서도 당연하게 기술적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산업 상의 이용 가능성]
본 개시는, 코크스 건식 소화 설비에 이용할 수 있다.
1: 코크스 건식 소화 설비, 3: 냉각탑, 3a: 벽부, 7: 냉각실, 7a: 가스 공급구, 가스 공급부, 13: 소연도, 13c1: 상단 플루, 13c2: 하단 플루, 100: 칸막이 부재, 102: 본체부, 104: 판재, 106: 내화물층, 내화물, 부정형 내화물, 108: 보강 부재, 110: 내화물층, 내화물, 정형 내화물, 130: 각부

Claims (6)

  1. 벽부에 의해 위요(圍繞)된 냉각실을 구비하는 냉각탑;
    상기 냉각탑에 설치되고, 상기 냉각실 내에 가스를 공급하는 가스 공급부;
    상기 냉각탑의 상기 벽부 중, 상기 가스 공급부보다 연직(沿直) 방향의 위쪽에 형성되고, 상기 냉각실로 개구되는 소연도(小煙道); 및
    상기 소연도에 설치되고, 금속제의 판재에 내화물(耐火物)이 적층된 본체부를 구비하는 칸막이 부재;
    를 포함하는, 코크스 건식 소화 설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화물에는, 부정형(不定形) 내화물이 포함되는, 코크스 건식 소화 설비.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소연도는, 상기 칸막이 부재에 의해, 상단(上段) 플루(flue)와 상기 상단 플루보다 연직 방향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하단(下段) 플루로 칸막이 되고,
    상기 칸막이 부재는, 상기 하단 플루에 면하는 상기 본체부의 이면(裏面)으로부터 상기 벽부를 향해 연장되는 각부(脚部)를 구비하는, 코크스 건식 소화 설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판재의 상기 상단 플루 측의 면에 부정형 내화물이 설치되고, 상기 판재의 상기 하단 플루 측의 면에 정형(定形) 내화물이 설치되는, 코크스 건식 소화 설비.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내화물에 피복되고, 상기 판재에 설치된 보강 부재를 구비하는, 코크스 건식 소화 설비.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탑의 상기 벽부에는, 상기 칸막이 부재가 탑재되는 지지 벽부가 설치되는, 코크스 건식 소화 설비.
KR1020207028403A 2018-05-18 2019-05-17 코크스 건식 소화 설비 KR2020012723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8-096025 2018-05-18
JP2018096025 2018-05-18
PCT/JP2019/019717 WO2019221281A1 (ja) 2018-05-18 2019-05-17 コークス乾式消火設備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7236A true KR20200127236A (ko) 2020-11-10

Family

ID=685399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8403A KR20200127236A (ko) 2018-05-18 2019-05-17 코크스 건식 소화 설비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WO2019221281A1 (ko)
KR (1) KR20200127236A (ko)
CN (1) CN112004915A (ko)
TW (1) TWI700360B (ko)
WO (1) WO2019221281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37676B2 (ja) 2003-03-19 2008-08-20 新日鉄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コークス乾式消火設備のガス出口フリュー部構造
JP2016023230A (ja) 2014-07-18 2016-02-08 新日鉄住金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コークス乾式消火設備及びそのガス出口フリュー部構造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004502A1 (de) * 1980-02-07 1981-08-13 Krupp-Koppers Gmbh, 4300 Essen Kuehler fuer die koks-trockenkuehlung
JPS5759833U (ko) * 1980-09-26 1982-04-08
JPH0768524B2 (ja) * 1988-09-01 1995-07-26 新日本製鐵株式会社 コークス乾式消火設備の冷却塔ガス出口フリュー
WO2010044137A1 (ja) * 2008-10-14 2010-04-22 新日鉄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コークス乾式消火設備
CN101709222B (zh) * 2009-11-16 2013-05-29 中冶焦耐(大连)工程技术有限公司 一种新型结构的干熄炉壳体
CN202074561U (zh) * 2011-05-25 2011-12-14 方芳 助燃节能控制系统
CN107502375B (zh) * 2017-07-17 2020-07-28 唐山首钢京唐西山焦化有限责任公司 一种分隔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37676B2 (ja) 2003-03-19 2008-08-20 新日鉄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コークス乾式消火設備のガス出口フリュー部構造
JP2016023230A (ja) 2014-07-18 2016-02-08 新日鉄住金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コークス乾式消火設備及びそのガス出口フリュー部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700360B (zh) 2020-08-01
JPWO2019221281A1 (ja) 2021-03-11
WO2019221281A1 (ja) 2019-11-21
CN112004915A (zh) 2020-11-27
TW202003819A (zh) 2020-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413395B (zh) 一种多孔介质预混燃烧器
US7077069B2 (en) U-type slag-tap firing boiler and method of operating the boiler
JP5530442B2 (ja) 特に焼却炉用の裏換気型耐火壁
KR20200127237A (ko) 코크스 건식 소화 설비
KR20200127236A (ko) 코크스 건식 소화 설비
CN111602004B (zh) 流化床监视方法以及装置
CN106017091A (zh) 一种防爆安全工业炉
JP5910564B2 (ja) 焼結用点火炉およびその操業方法
JPH07331245A (ja) コークス乾式消火設備の吸引帯柱部の補修方法及び吸引帯開口部の上部構造
CN210717524U (zh) 一种采用复合材料喷口的低冷却风量燃烧器
KR100424814B1 (ko) 고로 하부의 통액성 및 불활성 지수 판단방법
JP5438486B2 (ja) コークス乾式消火設備
CN202229606U (zh) 分层分片叠装式烟罩
JP4497004B2 (ja) 転炉底吹き羽口の監視・圧力制御方法
CN214612287U (zh) 多用途干熄焦风帽
KR200440281Y1 (ko) 제철소에서의 씨디큐 보일러 설비용 편류방지장치
CA2890312A1 (en) Air nozzle arrangement in a fluidized bed boiler, grate for a fluidized bed boiler, and a fluidized bed boiler
KR20010059375A (ko) 용광로 노저부의 노벽 침식 및 바닥 온도 제어 시스템
CN215909093U (zh) 铁水罐加装火焰检测装置
CN219083790U (zh) 全过程抗粘结烟道
KR102031423B1 (ko) 고로
KR101149228B1 (ko) 고로의 취발 방지 장치 및 그 방법
JP2003183662A (ja) コークス乾式消火設備のプレチャンバー部の構造
JP4110174B2 (ja) 溶解炉およびそれを用いた溶融金属製造方法
RU2772842C2 (ru) Введение технологической текучей среды в шахтную печь с проверкой текущего состояния инжектор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