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6735A - 회전 카메라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 Google Patents

회전 카메라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26735A
KR20200126735A KR1020190050767A KR20190050767A KR20200126735A KR 20200126735 A KR20200126735 A KR 20200126735A KR 1020190050767 A KR1020190050767 A KR 1020190050767A KR 20190050767 A KR20190050767 A KR 20190050767A KR 20200126735 A KR20200126735 A KR 202001267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te
camera module
stroke
electronic devic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07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31112B1 (ko
Inventor
정혜인
김강식
구경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507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1112B1/ko
Priority to EP20798402.2A priority patent/EP3952262A4/en
Priority to PCT/KR2020/004971 priority patent/WO2020222442A1/ko
Publication of KR202001267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67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11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11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camera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7Sliding mechanism with one degree of freedo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H04N5/2257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rotatable came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하우징, 제1방향을 향하여 외부로 노출된 오프닝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슬라이딩 되는 슬라이드부, 제2방향을 향하고, 상기 하우징의 일부를 통해 노출되는 디스플레이 및 상기 오프닝에 배치되고, 상기 오프닝 내에서 회전하며, 상기 슬라이드부의 동작에 연계하여 회전되는 카메라 모듈부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드부는, 상기 카메라 모듈부가 상기 디스플레이와 중첩되어 위치하는 제1상태, 상기 제1상태에서 제1스트로크에 의해 상기 제1방향 및 상기 제2방향에 수직인 제3방향을 향하여 제1길이만큼 이동하는 제2상태, 상기 제2상태에서 제2스트로크에 의해 상기 제1스트로크와 동일한 방향으로 제2길이만큼 이동하는 제3상태 및 상기 제3상태에서 제3스트로크에 의해 동일한 방향으로 제3길이만큼 이동하는 제4상태를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 모듈부는, 상기 제1상태 및 상기 제2상태 일 때 상기 제1방향을 향하고, 상기 제3상태 및 상기 제4상태 일 때 상기 제2방향을 향하며, 상기 제2상태에서 상기 제3상태로 전환 시 상기 제2스트로크에 의해, 상기 제1방향에서 상기 제2방향을 향하여 회전하고, 상기 제3상태에서 상기 제4상태로 전환시 상기 제3스트로크에 의해 상기 카메라 모듈부와 상기 오프닝의 내면이 접촉되도록 설정된 전자장치가 소개된다, 이밖에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

Description

회전 카메라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ELECTRIC DEVICE INCLUDING ROTATING CAMERA}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회전 카메라를 포함하는 전자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의 전자장치는 통신기능뿐만 아니라, 영상촬영 장치로서의 기능을 함께 수행하고 있다.
하드웨어적 성능의 비약적인 발전에 의해 전자장치에 내장되는 카메라 모듈은 성능도 비약적으로 발전하고 있으며, 전문 영상촬영 장치 못지않은 고해상도의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이러한 고성능의 카메라 모듈은 동작 과정에서 열이 발생할 수 있으며, 적절한 방열은 카메라 모듈의 동작 신뢰성 확보를 위해 필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는 하나의 카메라 모듈부를 전면 카메라 및 후면 카메라로 활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는 카메라 모듈부와 전자장치의 접촉면적을 넓혀 카메라 모듈의 동작과정에서 발생하는 열의 방사 경로를 확장 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는 하우징, 제1방향을 향하여 외부로 노출된 오프닝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슬라이딩 되는 슬라이드부, 제2방향을 향하고, 상기 하우징의 일부를 통해 노출되는 디스플레이 및 상기 오프닝에 배치되고, 상기 오프닝 내에서 회전하며, 상기 슬라이드부의 동작에 연계하여 회전되는 카메라 모듈부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드부는, 상기 카메라 모듈부가 상기 디스플레이와 중첩되어 위치하는 제1상태, 상기 제1상태에서 제1스트로크에 의해 상기 제1방향 및 상기 제2방향에 수직인 제3방향을 향하여 제1길이만큼 이동하는 제2상태, 상기 제2상태에서 제2스트로크에 의해 상기 제1스트로크와 동일한 방향으로 제2길이만큼 이동하는 제3상태 및 상기 제3상태에서 제3스트로크에 의해 동일한 방향으로 제3길이만큼 이동하는 제4상태를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 모듈부는, 상기 제1상태 및 상기 제2상태 일 때 상기 제1방향을 향하고, 상기 제3상태 및 상기 제4상태 일 때 상기 제2방향을 향하며, 상기 제2상태에서 상기 제3상태로 전환 시 상기 제2스트로크에 의해, 상기 제1방향에서 상기 제2방향을 향하여 회전하고, 상기 제3상태에서 상기 제4상태로 전환시 상기 제3스트로크에 의해 상기 카메라 모듈부와 상기 오프닝의 내면이 접촉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 동작방법은 하우징, 제1방향을 향하여 형성된 오프닝, 제2방향을 향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에 대해 슬라이딩 되는 슬라이드부 및 상기 오프닝 내에 배치되고 상기 오프닝 내에서 상기 슬라이드부의 동작에 연계하여 회전하는 카메라 모듈부를 포함하는 전자장치의 동작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입력을 수신시 상기 카메라 모듈부가 상기 디스플레이와 중첩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드부가 제1스트로크에 의해 상기 제1방향과 상기 제2방향에 수직인 제3방향을 향하여 제1길이만큼 이동하는 동작, 제2스트로크에 의해 상기 제1스트로크와 동일한 방향으로 제2길이만큼 이동하는 동작 및 제3스트로크에 의해 상기 제2스트로크와 동일한 방향으로 제3길이만큼 이동하는 동작을 포함하고, 상기 제3길이만큼 이동하는 동작에 의해 상기 카메라 모듈부와 상기 오프닝의 내면이 접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는 하우징, 제1방향을 향하여 외부로 노출된 오프닝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슬라이딩 되는 슬라이드부, 제2방향을 향하고, 상기 하우징에 내장되며 상기 하우징의 일부를 통해 노출되는 디스플레이, 상기 오프닝에 배치되고, 상기 오프닝 내에서 회전하며, 상기 슬라이드부의 동작에 연계하여 회전되는 카메라 모듈부 및 상기 슬라이드부의 상기 오프닝의 내주면 중 적어도 일부에 배치된 TIM(thermal interface material)을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드부는, 상기 카메라 모듈부가 상기 디스플레이와 중첩되어 위치하는 제1상태, 상기 제1상태에서 제1스트로크에 의해 상기 제1방향 및 상기 제2방향에 수직인 제3방향을 향하여 제1길이만큼 이동하는 제2상태, 상기 제2상태에서 제2스트로크에 의해 상기 제1스트로크와 동일한 방향으로 제2길이만큼 이동하는 제3상태 및 상기 제3상태에서 제3스트로크에 의해 동일한 방향으로 제3길이만큼 이동하는 제4상태를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 모듈부는, 상기 제3상태에서 상기 제4상태로 전환시 상기 제3스트로크에 의해 상기 카메라 모듈부와 상기 오프닝의 내면이 접촉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는 하나의 카메라 모듈부가 전면 카메라 및 후면 카메라의 역할을 수행함에 따라, 전면 카메라 실장으로 인한 디스플레이의 크기 제약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는 카메라 모듈부가 회전한 후 오프닝과 카메라 하우징의 간격을 없애고 직접 접촉하게 함으로써, 카메라 모듈의 동작과정에서 발생하는 열의 방사 경로를 확장 시킬 수 있다.
도 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 내의 전자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a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를 일측면에서 바라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를 다른 측면에서 바라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부의 상승 동작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부의 하강 동작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5a 내지 도 5f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부의 상승 동작을 나타내는 투시도들이다.
도 6a 내지 도 6f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부의 하강 동작을 나타내는 투시도들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부 구조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열전달 경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a 내지 도 8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부의 상승 동작의 일부를 회전 캠과 푸시로드의 동작관계를 중심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100) 내의 전자장치(101)의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네트워크 환경(100)에서 전자장치(101)는 제 1 네트워크(198)(예: 근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자장치(102)와 통신하거나,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예: 원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자장치(104) 또는 서버(108)와 통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장치(101)는 서버(108)를 통하여 전자장치(104)와 통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장치(101)는 프로세서(120), 메모리(130), 입력 장치(150), 음향 출력 장치(155), 표시 장치(160), 오디오 모듈(170), 센서 모듈(176), 인터페이스(177), 햅틱 모듈(179), 카메라 모듈(180), 전력 관리 모듈(188), 배터리(189), 통신 모듈(190), 가입자 식별 모듈(196), 또는 안테나 모듈(197)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전자장치(101)에는, 이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예: 표시 장치(160) 또는 카메라 모듈(180))가 생략되거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가 추가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이 구성요소들 중 일부들은 하나의 통합된 회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센서 모듈(176)(예: 지문 센서, 홍채 센서, 또는 조도 센서)은 표시 장치(160)(예: 디스플레이)에 임베디드된 채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예를 들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를 실행하여 프로세서(120)에 연결된 전자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예: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제어할 수 있고, 다양한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의 적어도 일부로서, 프로세서(120)는 다른 구성요소(예: 센서 모듈(176) 또는 통신 모듈(190))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132)에 로드하고, 휘발성 메모리(132)에 저장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처리하고, 결과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134)에 저장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메인 프로세서(121)(예: 중앙 처리 장치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및 이와는 독립적으로 또는 함께 운영 가능한 보조 프로세서(123)(예: 그래픽 처리 장치,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센서 허브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보조 프로세서(123)는 메인 프로세서(121)보다 저전력을 사용하거나, 또는 지정된 기능에 특화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123)는 메인 프로세서(121)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123)는, 예를 들면, 메인 프로세서(121)가 인액티브(예: 슬립)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21)를 대신하여, 또는 메인 프로세서(121)가 액티브(예: 어플리케이션 실행)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21)와 함께, 전자장치(101)의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표시 장치(160), 센서 모듈(176), 또는 통신 모듈(190))와 관련된 기능 또는 상태들의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보조 프로세서(123)(예: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는 기능적으로 관련 있는 다른 구성요소(예: 카메라 모듈(180) 또는 통신 모듈(190))의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130)는, 전자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20) 또는 센서모듈(176))에 의해 사용되는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 및, 이와 관련된 명령에 대한 입력 데이터 또는 출력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휘발성 메모리(132)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134)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140)은 메모리(130)에 소프트웨어로서 저장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운영 체제(142), 미들 웨어(144) 또는 어플리케이션(146)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장치(150)는, 전자장치(101)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20))에 사용될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전자장치(101)의 외부(예: 사용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입력 장치(150)는, 예를 들면, 마이크, 마우스, 키보드, 또는 디지털 펜(예:스타일러스 펜)을 포함할 수 있다.
음향 출력 장치(155)는 음향 신호를 전자장치(101)의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장치(155)는, 예를 들면, 스피커 또는 리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스피커는 멀티미디어 재생 또는 녹음 재생과 같이 일반적인 용도로 사용될 수 있고, 리시버는 착신 전화를 수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리시버는 스피커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표시 장치(160)는 전자장치(101)의 외부(예: 사용자)로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표시 장치(160)는,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홀로그램 장치, 또는 프로젝터 및 해당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표시 장치(160)는 터치를 감지하도록 설정된 터치 회로(touch circuitry), 또는 상기 터치에 의해 발생되는 힘의 세기를 측정하도록 설정된 센서 회로(예: 압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모듈(170)은 소리를 전기 신호로 변환시키거나, 반대로 전기 신호를 소리로 변환시킬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오디오 모듈(170)은, 입력 장치(150)를 통해 소리를 획득하거나, 음향 출력 장치(155), 또는 전자장치(101)와 직접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외부 전자장치(예: 전자장치(102))(예: 스피커 또는 헤드폰)를 통해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센서 모듈(176)은 전자장치(101)의 작동 상태(예: 전력 또는 온도), 또는 외부의 환경 상태(예: 사용자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상태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 또는 데이터 값을 생성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센서 모듈(176)은, 예를 들면, 제스처 센서, 자이로 센서, 기압 센서, 마그네틱 센서, 가속도 센서, 그립 센서, 근접 센서, 컬러 센서, IR(infrared) 센서, 생체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또는 조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177)는 전자장치(101)가 외부 전자장치(예: 전자장치(102))와 직접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지정된 프로토콜들을 지원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인터페이스(177)는, 예를 들면,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USB(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 SD카드 인터페이스, 또는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단자(178)는, 그를 통해서 전자장치(101)가 외부 전자장치(예: 전자장치(102))와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연결 단자(178)은, 예를 들면, HDMI 커넥터, USB 커넥터, SD 카드 커넥터, 또는 오디오 커넥터(예: 헤드폰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햅틱 모듈(179)은 전기적 신호를 사용자가 촉각 또는 운동 감각을 통해서 인지할 수 있는 기계적인 자극(예: 진동 또는 움직임) 또는 전기적인 자극으로 변환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햅틱 모듈(179)은, 예를 들면, 모터, 압전 소자, 또는 전기 자극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80)은 정지 영상 및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 모듈(180)은 하나 이상의 렌즈들, 이미지 센서들,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들, 또는 플래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전력 관리 모듈(188)은 전자장치(101)에 공급되는 전력을 관리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력 관리 모듈(188)은, 예를 들면, PMIC(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의 적어도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배터리(189)는 전자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배터리(189)는, 예를 들면, 재충전 불가능한 1차 전지, 재충전 가능한 2차 전지 또는 연료 전지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190)은 전자장치(101)와 외부 전자장치(예: 전자장치(102), 전자장치(104), 또는 서버(108))간의 직접(예: 유선) 통신 채널 또는 무선 통신 채널의 수립, 및 수립된 통신 채널을 통한 통신 수행을 지원할 수 있다. 통신 모듈(190)은 프로세서(120)(예: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직접(예: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하나 이상의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모듈(190)은 무선 통신 모듈(192)(예: 셀룰러 통신 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또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통신 모듈) 또는 유선 통신 모듈(194)(예: LAN(local area network) 통신 모듈, 또는 전력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통신 모듈 중 해당하는 통신 모듈은 제 1 네트워크(198)(예: 블루투스, WiFi direct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같은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예: 셀룰러 네트워크, 인터넷, 또는 컴퓨터 네트워크(예: LAN 또는 WAN)와 같은 원거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 전자장치(104)와 통신할 수 있다. 이런 여러 종류의 통신 모듈들은 하나의 구성요소(예: 단일 칩)으로 통합되거나, 또는 서로 별도의 복수의 구성요소들(예: 복수 칩들)로 구현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192)은 가입자 식별 모듈(196)에 저장된 가입자 정보(예: 국제 모바일 가입자 식별자(IMSI))를 이용하여 제 1 네트워크(198)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전자장치(101)를 확인 및 인증할 수 있다.
안테나 모듈(197)은 신호 또는 전력을 외부(예: 외부 전자장치)로 송신하거나 외부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안테나 모듈(197)은 서브스트레이트(예: PCB) 위에 형성된 도전체 또는 도전성 패턴으로 이루어진 방사체를 포함하는 하나의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안테나 모듈(197)은 복수의 안테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제 1 네트워크(198)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통신 방식에 적합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가, 예를 들면, 통신 모듈(190)에 의하여 상기 복수의 안테나들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신호 또는 전력은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를 통하여 통신 모듈(190)과 외부 전자장치 간에 송신되거나 수신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 따르면, 방사체 이외에 다른 부품(예: RFIC)이 추가로 안테나 모듈(197)의 일부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주변 기기들간 통신 방식(예: 버스, GPIO(general purpose input and output), SPI(serial peripheral interface), 또는 MIPI(mobile industry processor interface))을 통해 서로 연결되고 신호(예: 명령 또는 데이터)를 상호간에 교환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명령 또는 데이터는 제 2 네트워크(199)에 연결된 서버(108)를 통해서 전자장치(101)와 외부의 전자장치(104)간에 송신 또는 수신될 수 있다. 외부 전자장치(102, 104) 각각은 전자장치(101)와 동일한 또는 다른 종류의 장치일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장치(101)에서 실행되는 동작들의 전부 또는 일부는 외부 전자장치들(102, 104, 또는 108) 중 하나 이상의 외부 전자장치들에서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장치(101)가 어떤 기능이나 서비스를 자동으로, 또는 사용자 또는 다른 장치로부터의 요청에 반응하여 수행해야 할 경우에, 전자장치(101)는 기능 또는 서비스를 자체적으로 실행시키는 대신에 또는 추가적으로, 하나 이상의 외부 전자장치들에게 그 기능 또는 그 서비스의 적어도 일부를 수행하라고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요청을 수신한 하나 이상의 외부 전자장치들은 요청된 기능 또는 서비스의 적어도 일부, 또는 상기 요청과 관련된 추가 기능 또는 서비스를 실행하고, 그 실행의 결과를 전자장치(101)로 전달할 수 있다. 전자장치(101)는 상기 결과를, 그대로 또는 추가적으로 처리하여,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의 적어도 일부로서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예를 들면, 클라우드 컴퓨팅, 분산 컴퓨팅, 또는 클라이언트-서버 컴퓨팅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장치는 다양한 형태의 장치가 될 수 있다. 전자장치는, 예를 들면, 휴대용 통신 장치 (예: 스마트폰), 컴퓨터 장치,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 휴대용 의료 기기, 카메라, 웨어러블 장치, 또는 가전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적 특징들을 특정한 실시예들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또는 관련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아이템에 대응하는 명사의 단수 형은 관련된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지시하지 않는 한, 상기 아이템 한 개 또는 복수 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 "A, B 또는 C",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 및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와 같은 문구들 각각은 그 문구들 중 해당하는 문구에 함께 나열된 항목들 중 어느 하나, 또는 그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제 2", 또는 "첫째" 또는 "둘째"와 같은 용어들은 단순히 해당 구성요소를 다른 해당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요소들을 다른 측면(예: 중요성 또는 순서)에서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예: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라는 용어와 함께 또는 이런 용어 없이, "커플드" 또는 "커넥티드"라고 언급된 경우, 그것은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예: 유선으로), 무선으로, 또는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현된 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로직, 논리 블록, 부품, 또는 회로와 같은 용어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부품의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실시예에 따르면, 모듈은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기기(machine)(예: 전자장치(101)) 의해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storage medium)(예: 내장 메모리(136) 또는 외장 메모리(138))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로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기(예: 전자장치(101))의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20))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 중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호출하고, 그것을 실행할 수 있다. 이것은 기기가 상기 호출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운영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은 컴파일러에 의해 생성된 코드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 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은 저장 매체가 실재(tangible)하는 장치이고, 신호(signal)(예: 전자기파)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할 뿐이며, 이 용어는 데이터가 저장 매체에 반영구적으로 저장되는 경우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경우를 구분하지 않는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의 형태로 배포되거나,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또는 두개의 사용자 장치들(예: 스마트폰들) 간에 직접, 온라인으로 배포(예: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기술한 구성요소들의 각각의 구성요소(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는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술한 해당 구성요소들 중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복수의 구성요소들(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구성요소로 통합될 수 있다. 이런 경우, 통합된 구성요소는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각각의 구성요소의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상기 통합 이전에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중 해당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모듈, 프로그램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으로, 병렬적으로, 반복적으로,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상기 동작들 중 하나 이상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도 2a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를 일측면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를 타측면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를 설명함에 있어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또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를 설명함에 있어 전면은 -x방향(예: 제2방향)을 의미할 수 있고, 후면은 x방향(예: 제1방향)을 의미할 수 있으며, 측면은 y방향(예: 제5방향 또는 제6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200)(예: 도 1의 전자장치(101))는 카메라 모듈부(210)(예: 도 1의 카메라 모듈(180)), 슬라이드 동작 제어부(220), 슬라이드부(230), 화면부(240)(예: 도 1의 표시 장치(160)) 및 후면 커버(25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외에도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200)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가 추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200)는 카메라 모듈부(210), 슬라이드 동작 제어부(220), 슬라이드부(230), 화면부(240) 및 후면 커버(250)를 포함하는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은 전자장치(200)의 외형을 형성하고 내장 부품을 보호하는 구조를 지칭할 수 있다. 또는 하우징은 전자장치(200)의 내부 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부(210)는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 장치(212, 213, 또는 216), 플래시(214) 또는 센서 모듈(215)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부(210)는 도 1의 카메라 모듈(180)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 장치(212, 213, 또는 216)는 하나 또는 복수의 렌즈들, 이미지 센서, 및/또는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플래시(214)는, 예를 들어, 발광 다이오드 또는 제논 램프(xenon lamp)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 모듈(215)은, 전자장치(200)의 내부의 작동 상태, 또는 외부의 환경 상태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 또는 데이터 값을 생성할 수 있다. 센서 모듈(215)은, 예를 들어, 근접 센서, 조도 센서 및 HRM(heart rate monitoring)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200)는, 도시되지 않은 센서 모듈, 예를 들어, 제스처 센서, 자이로 센서, 기압 센서, 마그네틱 센서, 가속도 센서, 그립 센서, 컬러 센서, IR(infrared) 센서, 생체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또는 지문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부(210)는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 장치(212, 213, 216), 플래시(214) 또는 센서 모듈(215)을 포함하는 카메라 하우징(210a)을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하우징(210a)은 적어도 일측면에 피니언(pinion) 기어(211)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피니언 기어(211)는 카메라 하우징(210a)의 양측면에 대칭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카메라 하우징(210a)과 피니언 기어(211) 사이에는 회전 캠(211b, 도 7a참조)이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회전 캠(211b) 및 피니언 기어(211)는 카메라 하우징(210a)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동작 제어부(220)는 랙(rack) 기어(221), 클리크(cleek)(222), 모터(223a), 회전부(223b), 가이드 프레임(224), 이동 부재(225), 제어 회로(226) 및 푸시로드(227)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 회로(226)는 사용자 입력(예: 전면 촬영 전환 입력, 전면 촬영 기본 앱 실행)에 따라 모터(223a)를 제어할 수 있다. 회전부(223b)는 모터(223a)의 동작에 따라 회전할 수 있고, 회전부(223b)의 회전에 따라 이동 부재(225)는 상하로 이동될 수 있다. 이동 부재(225)는 슬라이드부(230)의 일부(예: 이동 부재 결합부(233))에 결합될 수 있고, 이동 부재(225)의 이동에 따라 슬라이드부(230)는 이동될 수 있다. 푸시로드(227)는 일측이 슬라이드부(230)와 결합하여 슬라이드부(230)와 함께 이동될 수 있다. 푸시로드(227)는 모터(223a)의 회전에 의해 발생한 구동력을 카메라 모듈부(210)로 전달하여 카메라 모듈부(210)가 슬라이드부(230)와 함께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클리크(222), 모터(223a) 및 가이드 프레임(224)은 하우징의 일부(예: 화면부(240)의 후면 또는 디스플레이(241)의 후면)에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랙(rack) 기어(221)는 슬라이드부(230)의 이동에 대응하여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랙 기어(221)는 제1길이를 이동한 후 클리크(222)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랙 기어(221)가 클리크(222)에 의해 고정된 후, 슬라이드부(230)는 제2길이를 더 이동하여 카메라 모듈부(21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슬라이드부(230)는 제2길이를 이동한 뒤 제3길이를 더 이동하여 카메라 하우징(210a)과 슬라이드부(230)의 오프닝(231)의 내면을 밀착 시킬 수 있다. 오프닝(231)의 내면에는 TIM(thermal interface material, 235)을 배치하여 카메라 하우징(210a)과 오프닝(231)의 내면을 높은 효율의 열적 연결상태를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부(210)의 피니언 기어(211)는 슬라이드 동작 제어부(220)의 랙 기어(221)와 서로 맞물릴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1길이를 이동하는 동안, 랙 기어(221), 카메라 모듈부(210) 및 슬라이드부(230)는 일체로 수직 이동(예: z축에서 제3방향의 상승 또는 제4방향의 하강)을 할 수 있다. 랙(rack) 기어(221)가 클리크(222)에 의해 고정된 후, 푸시로드(227)를 통해 전달된 힘으로 카메라 모듈부(210)가 제2길이를 이동하는 동안, 피니언 기어(211)는 랙 기어(221) 상을 회전할 수 있고, 카메라 모듈부(210)는 슬라이드부(230)의 오프닝(231) 내에서 회전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부(210)가 오프닝(231) 내에서 회전이 된 후 슬라이드부(230)는 제3길이를 더 이동하여 오프닝(231)의 내면과 카메라 모듈부(210)의 카메라 하우징(210a)이 접촉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피니언 기어(211)는 랙 기어(221)의 길이(또는 기어 수)에 기초하여 회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피니언 기어(211)가 회전하는 각도는 랙 기어(221)의 길이(또는 기어 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랙 기어(221)의 길이(또는 기어 수)에 따라, 피니언 기어(211)와 결합된 카메라 모듈부(210)는 정해진 각도만큼 회전할 수 있다. 일 예로, 랙 기어(221)의 길이(또는 기어 수)는 피니언 기어(211)가 360도 회전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 중 하나로서, 랙 기어(221)의 길이(또는 기어 수)는 피니언 기어(211)가 0도 내지 180도 회전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또는 랙 기어(221)의 길이(또는 기어 수)는 피니언 기어(211)가 180도 이상(예: 280~300도)으로 회전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피니언 기어(211)가 180도 이상으로 회전하면, 전자장치(200) 자체를 회전시키지 않아도 사진 촬영에 적절한 각도로 카메라 모듈부(210)를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부(230)는 오프닝(231), 기어 홈(232), 이동 부재 결합부(233) 및 TIM(thermal interface material, 235)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오프닝(231)은 슬라이드부(230)의 일부(예: 슬라이드부(230)의 z방향 상단)에 형성될 수 있다. 오프닝(231)은 카메라 모듈부(210)의 크기에 대응하여 형성되되 카메라 모듈부(210)의 회전시 마찰을 최소화 하도록 소정의 간극(gap)을 두고 형성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부(210)는 오프닝(231)에 배치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부(210)는 피니언 기어(211)를 축으로 오프닝(231) 내에서 회전할 수 있다. 피니언 기어(211)는 기어 홈(232)에 배치될 수 있다. 피니언 기어(211)는 기어 홈(232) 내에서 회전할 수 있다. 이동 부재 결합부(233)는 이동 부재(225)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슬라이드부(230)는 이동 부재(225)의 이동(예: 상하 이동)에 따라 이동할 수 있다. TIM(thermal interface material, 235)은 공기의 열전도율 보다 높은 물질일 수 있으며, 카메라 하우징(210a)과 오프닝(231)의 접촉면 사이에 생기는 미세한 틈을 메워줌으로써 카메라 하우징(210a)과 오프닝(231)의 내면 사이의 열전도율을 상승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부(230)는 기어 가이드 홈(234)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랙 기어(221)는 기어 가이드 홈(234)에 대응하여 배치될 수 있다. 랙 기어(221)의 이동 반경은 기어 가이드 홈(234)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면부(240)는 디스플레이(241)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241)는, 터치 감지 회로, 터치의 세기(압력)를 측정할 수 있는 압력 센서, 및/또는 자기장 방식의 스타일러스 펜을 검출하는 디지타이저와 결합되거나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센서 모듈(미도시)의 적어도 일부, 및/또는 키 입력 장치(미도시)의 적어도 일부가, 디스플레이(241)의 일부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241)는 전면 카메라가 배치되지 않아 전자장치(200)의 전면에서 최대 영역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면 커버(250)는 슬라이드부(230)의 일부를 덮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오프닝(231)은 후면 커버(250)에 의해 가려지지 않는 슬라이드부(230)의 일부(예: 슬라이드부(230)의 z방향 상단)에 형성될 수 있다. 슬라이드부(230)는 화면부(240)와 후면 커버(250)의 사이에서 상하 이동을 할 수 있다. 후면 커버(250)는, 예를 들어, 코팅 또는 착색된 유리, 세라믹, 폴리머, 금속(예: 알루미늄,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마그네슘), 또는 상기 물질들 중 적어도 둘의 조합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200)는 오디오 모듈(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오디오 모듈은, 마이크 홀 및 스피커 홀을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 홀은 외부의 소리를 획득하기 위한 마이크가 내부에 배치될 수 있고, 어떤 실시예에서는 소리의 방향을 감지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마이크가 배치될 수 있다. 스피커 홀은, 외부 스피커 홀 및 통화용 리시버 홀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스피커 홀과 마이크 홀이 하나의 홀로 구현 되거나, 스피커 홀 없이 스피커가 포함될 수 있다(예: 피에조 스피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200)는 키 입력 장치(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키 입력 장치는, 전자장치(200)의 전면(예: 디스플레이(241))에 배치된 홈 키 버튼, 홈 키 버튼 주변에 배치된 터치 패드, 및/또는 전자장치(200)의 측면(예: 측면 베젤)에 배치된 사이드 키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전자장치(200)는 상기 언급된 키 입력 장치들 중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고, 포함되지 않은 키 입력 장치는 디스플레이(241) 상에 소프트 키와 같은 다른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200)는 커넥터 홀(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커넥터 홀은, 외부 전자장치와 전력 및/또는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커넥터(예: USB 커넥터)를 수용할 수 있는 제 1 커넥터 홀, 및/또는 외부 전자장치와 오디오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커넥터를 수용할 수 있는 제 2 커넥터 홀(예: 이어폰 잭)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200)는 화면부(240) 및 후면 커버(250) 사이에 인쇄 회로 기판(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인쇄 회로 기판에는, 프로세서(예: 제어 회로(226)), 메모리, 및/또는 인터페이스가 장착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예를 들어, 중앙처리장치,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그래픽 처리 장치,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센서 허브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부가 제3방향을 향하여 상승하는 동작(예: 도 2a의 z방향 이동)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를 참조하면, 카메라 모듈부(210)는 사용자 입력(예: 전면 촬영 전환 입력, 또는 전면 촬영 앱 실행)에 기초하여 상승 동작 및/또는 회전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부(210)가 회전함에 따라, 카메라 모듈부(210)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는 전면 카메라(예: 셀프 카메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301 상태에서, 카메라 모듈부(210)에 포함된 카메라는 전자장치(200)의 후면(예: 제1방향 또는 도 2a의 x방향)을 향할 수 있다. 이때 카메라 모듈부(210)에 포함된 카메라는 후면 카메라로 사용될 수 있다. 이 상태를 제1상태라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302 상태에서, 카메라 모듈부(210), 랙 기어(221) 및 슬라이드부(230)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승 이동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카메라 모듈부(210), 랙 기어(221) 및 슬라이드부(230)는 제3방향을 향하여 제1길이(H1)만큼 이동할 수 있다. 이를 제1스트로크라고 할 수 있다. 302 상태에서, 랙 기어(221)는 클리크(예: 클리크(222))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이 상태를 제2상태라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303 내지 305 상태에서, 카메라 모듈부(210)는 상승 이동 및 회전 이동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303 내지 305 상태에서, 랙 기어(221)는 클리크에 의해 고정되고, 카메라 모듈부(210)와 슬라이드부(230)만 상승 이동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부(210) 및 슬라이드부(230)는 제3방향을 향하여 제2길이(H2)만큼 상승 이동할 수 있다. 이를 제2스트로크라고 할 수 있다. 피니언 기어(211)는 랙 기어(221)와 맞물려 회전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카메라 모듈부(210)는 회전 이동할 수 있다. 305 상태에서, 카메라 모듈부(210)에 포함된 카메라는 전자장치(200)의 전면(예: 제2방향 또는 도 2b의 -x방향)을 향할 수 있다. 이때 카메라 모듈부(210)에 포함된 카메라는 전면 카메라로 사용될 수 있다. 이 상태를 제3상태라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05 상태에서 카메라 모듈부에서 발생된 열이 방열될 수 있는 경로는, 카메라 모듈부 자체에서 공기중으로 복사되어 방열되는 경로와, 회전 캠(211b, 도 7a 참조), 회전 축의 연장 부분(211a, 도 7a 참조) 및 피니언 기어(211, 도 7a 참조)를 통해 전도되고, 랙 기어(221)를 통해 전자장치 측으로 전도되어 방열되는 경로가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06 상태에서는 추가적인 전도 경로를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306상태에서, 슬라이드부(230)는 상승 이동하여 카메라 모듈부(210)의 카메라 하우징(210a, 도 2a 참조)과 밀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306 상태에서 슬라이드부(230)는 제3방향을 향하여 제3길이(H3)만큼 상승 이동할 수 있다. 이를 제3스트로크라고 할 수 있다. 제3길이(H3)는 카메라 하우징(210a)과 오프닝(231, 도 2a 참조) 사이의 간극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카메라 하우징(210a, 도 2a 참조)과 오프닝(231, 도 2a 참조)을 접촉시켜 전도로 방열될 수 있는 경로를 확보하고, 오프닝(231)의 내면에 TIM(235, 도 2a 참조)을 배치하여 열전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 상태를 제4상태라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피니언 기어(211)는 랙 기어(221)의 길이(또는 기어 수)에 기초하여 회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피니언 기어(211)가 회전하는 각도는 랙 기어(221)의 길이(또는 기어 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랙 기어(221)의 길이(또는 기어 수)에 따라, 피니언 기어(211)와 결합된 카메라 모듈부(210)는 정해진 각도만큼 회전할 수 있다. 일 예로, 랙 기어(221)의 길이(또는 기어 수)는 피니언 기어(211)가 180도 회전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로서, 랙 기어(221)의 길이(또는 기어 수)는 피니언 기어(211)가 180도 이하(예: 0~180도)로 회전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또는 랙 기어(221)의 길이(또는 기어 수)는 피니언 기어(211)가 180도 이상(예: 280~300도)으로 회전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피니언 기어(211)가 180도 이상으로 회전하면, 전자장치(200) 자체를 회전시키지 않아도 사진 촬영에 적절한 각도로 카메라 모듈부(210)를 설정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부가 제4방향을 향하여 하강하는 동작(예: 도 2a의 -z방향 이동)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카메라 모듈부(210)는 사용자 입력(예: 후면 촬영 전환 입력, 또는 촬영 종료 입력)에 기초하여 제4방향을 향하여 하강 동작 또는 회전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부(210)가 회전함에 따라, 카메라 모듈부(210)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는 후면 카메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401 상태에서, 카메라 모듈부(210)에 포함된 카메라는 전자장치(200)의 전면(예: 제2방향)을 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카메라 모듈부(210)에 포함된 카메라는 이전에 입력된 사용자 입력(예: 전면 촬영 전환 입력, 또는 전면 촬영 앱 실행)에 의해 전자장치(200)의 전면을 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로서, 카메라 모듈부(210)는 피니언 기어(211)와 랙 기어(221)의 기어 비에 따라 특정 각도로 전자장치(200)의 전면을 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401 상태(예: 제4상태)에서, 슬라이드부(230)는 제4방향을 향하여 제3길이(H3)만큼 하강할 수 있다. 슬라이드부(230)가 제3길이(H3)만큼 하강하여 오프닝(231)과 카메라 모듈부(210)가 제3길이(H3)만큼 떨어짐으로써 카메라 모듈부(210)가 회전하기 위한 간극(gap)을 확보할 수 있다. 이 상태를 제3상태라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402 내지 404 상태에서, 카메라 모듈부(210)는 하강 이동 및/또는 회전 이동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402 내지 404 상태에서, 랙 기어(221)가 클리크(222, 도 2a 참조)에 의해 고정된 상태가 유지되고, 카메라 모듈부(210)와 슬라이드부(230)만 하강 이동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부(210) 및 슬라이드부(230)는 제4방향을 향하여 제2길이(H2)만큼 하강 이동할 수 있다. 피니언 기어(211)는 랙 기어(221)와 맞물려 회전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카메라 모듈부(210)는 회전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405 상태에서, 카메라 모듈부(210)에 포함된 카메라는 전자장치(200)의 후면(예: 제1방향)을 향할 수 있다. 이 상태를 제2상태라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405 상태에서, 카메라 모듈부(210), 랙 기어(221) 및 슬라이드부(230)는 함께 하강 이동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랙 기어(221)는 클리크(222)로부터 고정 해제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부(210), 랙 기어(221) 및 슬라이드부(230)는 제4방향을 향하여 제1길이(H1)만큼 이동할 수 있다. 406 상태에서, 카메라 모듈부(210)는 원위치(예: 301 상태, 제1상태)로 돌아올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f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부의 상승 동작(예: 도 2a의 z방향 이동)을 나타내는 투시도들이다.
도 5a 내지 도 5f를 참조하면, 카메라 모듈부(210)는 사용자 입력(예: 전면 촬영 전환 입력, 또는 전면 촬영 앱 실행)에 기초하여 상승 동작 및/또는 회전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부(210)가 회전함에 따라, 카메라 모듈부(210)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는 전면 카메라(예: 셀프 카메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501 상태에서, 카메라 모듈부(210)에 포함된 카메라는 전자장치(200)의 후면(예: 도 2a의 x방향)을 향할 수 있다. 이때 카메라 모듈부(210)에 포함된 카메라는 후면 카메라로 사용될 수 있다. 이동 부재(225)는 기준 위치(예: 가이드 프레임(224)의 최하단)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502 상태에서, 카메라 모듈부(210), 랙 기어(221) 및 슬라이드부(230)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제3방향을 향하여 상승 이동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 회로(226, 도 2a 참조)의 제어에 따라 모터(223a)는 동작하고, 모터(223a)에 의해 회전부(223b)는 제1회전방향(예: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회전부(223b)의 회전에 따라 이동 부재(225)는 상승 이동할 수 있다. 이동 부재(225)에 결합된 슬라이드부(230)는 상승 이동하고, 슬라이드부(230)에 연결된 랙 기어(221) 및 카메라 모듈부(210)는 함께 상승 이동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부(210), 랙 기어(221) 및 슬라이드부(230)는 제3방향을 향하여 제1길이(H1, 도 5b 참조)만큼 이동할 수 있다. 502 상태에서, 랙 기어(221)는 클리크(222)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503 내지 505 상태에서, 카메라 모듈부(210)는 상승 이동 및/또는 회전 이동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503 내지 505 상태에서, 랙 기어(221)는 클리크(222)에 의해 고정되고, 카메라 모듈부(210)와 슬라이드부(230)만 상승 이동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부(210) 및 슬라이드부(230)는 제3방향을 향하여 제2길이(H2, 도 5e 참조)만큼 상승 이동할 수 있다. 피니언 기어(211)는 랙 기어(221)와 맞물려 회전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카메라 모듈부(210)는 회전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506상태에서, 슬라이드부(230)는 제3방향을 향하여 상승 이동하여 카메라 모듈부(210)의 카메라 하우징(210a, 도 2a 참조)과 밀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506 상태에서 슬라이드부(230)는 제3방향을 향하여 제3길이(H3, 505상태 참조)만큼 상승 이동할 수 있다. 제3길이(H3)는 카메라 하우징(210a)과 오프닝(231, 도 2a 참조) 사이의 간극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506 상태에서, 카메라 모듈부(210)에 포함된 카메라는 전자장치(200)의 전면을 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동 부재(225)는 가이드 프레임(224)의 최상단에 위치할 수 있다. 이때 카메라 모듈부(210)에 포함된 카메라는 전면 카메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피니언 기어(211)는 랙 기어(221)의 길이(또는 기어 수)에 기초하여 회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피니언 기어(211)가 회전하는 각도는 랙 기어(221)의 길이(또는 기어 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랙 기어(221)의 길이(또는 기어 수)에 따라, 피니언 기어(211)와 결합된 카메라 모듈부(210)는 정해진 각도만큼 회전할 수 있다. 일 예로, 랙 기어(221)의 길이(또는 기어 수)는 피니언 기어(211)가 180도 회전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로서, 랙 기어(221)의 길이(또는 기어 수)는 피니언 기어(211)가 180도 이하(예: 0~180도)로 회전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또는 랙 기어(221)의 길이(또는 기어 수)는 피니언 기어(211)가 180도 이상(예: 280~300도)으로 회전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피니언 기어(211)가 180도 이상으로 회전하면, 전자장치 자체를 회전시키지 않아도 사진 촬영에 적절한 각도로 카메라 모듈부(210)를 설정할 수 있다.
도 6a 내지 도 6f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부의 하강 동작(예: 도 2a의 -z방향 이동)을 나타내는 투시도들이다.
도 6a 내지 도 6f를 참조하면, 카메라 모듈부(210)는 사용자 입력(예: 후면 촬영 전환 입력, 촬영 종료 입력)에 기초하여 하강 동작 및/또는 회전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부(210)가 회전함에 따라, 카메라 모듈부(210)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는 후면 카메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601 상태에서, 카메라 모듈부(210)에 포함된 카메라는 전자장치(200)의 전면을 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카메라 모듈부(210)에 포함된 카메라는 이전에 입력된 사용자 입력(예: 전면 촬영 전환 입력, 또는 전면 촬영 앱 실행)에 의해 전자장치(200)의 전면(예: 도 2b의 -x방향)을 향할 수 있다. 제어 회로(예: 도 2a의 제어 회로(226))의 제어에 따라 모터(223a)는 동작하고, 모터(223a)에 의해 회전부(223b)는 상기 제1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 회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회전부(223b)의 회전에 따라 이동 부재(225)는 하강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601 상태에서, 슬라이드부(230)는 제4방향을 향하여 제3길이(H3, 602상태 참조)만큼 하강하여 오프닝(231)과 떨어짐으로써 카메라 모듈부(210)가 회전하기 위한 간극(gap)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602 상태에서는 이동 부재(225)에 결합된 슬라이드부(230)는 하강 이동하고, 슬라이드부(230)에 연결된 카메라 모듈부(210)는 제4방향을 향하여 하강 이동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부(210) 및 슬라이드부(230)는 제4방향을 향하여 제2길이(H2)만큼 이동할 수 있다. 이때 랙 기어(221)는 클리크(222)에 의해 고정되어 하강 이동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603 내지 605 상태에서, 카메라 모듈부(210)는 하강 이동 및/또는 회전 이동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603 내지 605 상태에서, 랙 기어(221)가 클리크(222)에 의해 고정된 상태가 유지되고, 카메라 모듈부(210)와 슬라이드부(230)만 하강 이동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부(210) 및 슬라이드부(230)는 제4방향을 향하여 제2길이(H2, 602상태 참조)만큼 하강 이동할 수 있다. 피니언 기어(211)는 랙 기어(221)와 맞물려 회전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카메라 모듈부(210)는 회전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605 상태에서, 카메라 모듈부(210)에 포함된 카메라는 전자장치(200)의 후면을 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605 상태에서, 카메라 모듈부(210), 랙 기어(221) 및 슬라이드부(230)는 함께 하강 이동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랙 기어(221)는 클리크(222)로부터 고정 해제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부(210), 랙 기어(221) 및 슬라이드부(230)는 제4방향을 향하여 제1길이(H1)만큼 이동할 수 있다. 606 상태에서, 카메라 모듈부(210)는 원위치(예: 도 5a의 501 상태)로 돌아올 수 있다. 606 상태에서, 이동 부재(225)는 가이드 프레임(224)의 최하단에 위치할 수 있다.
도 7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부 구조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부의 구조를 살펴보면, 카메라 하우징(점선부분) 내에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 장치(212, 213, 216, 도 2a 참조), 플래시(214, 도 2a 참조) 또는 센서 모듈(215, 도 2a 참조)을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하우징의 양측면에는 회전 캠(211b), 회전 축의 연장 부분(211a) 및 피니언 기어(211)가 동일 회전축 상에 대칭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회전 캠(211b), 회전 축의 연장 부분(211a) 및 피니언 기어(211)는 카메라 하우징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 캠(211b)은 푸시로드(227)의 캠홀(228)로부터 전달받은 힘을 카메라 모듈부에 전달하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전자장치를 제3상태에서 제4상태로 전환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부(210)는 연성 인쇄 회로 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217) 및 연결 단자(218)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카메라 모듈부(210)는 연성 인쇄 회로 기판(217)을 통해 전자장치(예: 전자장치(200)) 내의 인쇄 회로 기판과 연결될 수 있다. 연결 단자(218)는 전자장치 내의 인쇄 회로 기판 상에서 대응하는 단자와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성 인쇄 회로 기판(217)은 적어도 하나의 굴곡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연성 인쇄 회로 기판(217)은 카메라 모듈부(210)로부터 제5방향 또는 제6방향(예: 피니언 기어(211)의 축방향)으로 연장된 제1부분 및 상기 제1부분에서 제4방향으로 연장된 제2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연성 인쇄 회로 기판(217)은 카메라 모듈부(210)의 회전에 따라 피니언 기어(211)의 회전 축의 연장 부분(211a)에 감기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연성 인쇄 회로 기판(217)의 일부는 피니언 기어(211)의 회전 축의 연장 부분(211a)을 관통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연성 인쇄 회로 기판(217)의 일부는 피니언 기어(211)의 회전 축의 연장 부분(211a)과 평행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부(210)는 동작(예: 이미지 또는 동영상 촬영)하는 과정에서 열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열은 공기중으로 복사되거나, 주변의 구조물로 전도된 후 복사됨으로써 방열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부의 방열은 카메라 장치의 동작 신뢰성 확보를 위해 중요할 수 있다.
도 7a 내지 도 7b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도시된 상태에서의 카메라 모듈부(210)의 방열 방법은 카메라 모듈부(210) 자체에서 공기중으로 복사되어 방열되거나, 회전 캠(211b), 회전 축의 연장 부분(211a) 및 피니언 기어(211)를 통해 전도되고, 랙 기어(221, 도 2a 참조)를 통해 전자장치 측으로 전도되어 방열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위와 같은 방열 경로 외에, 도 7b(예: 도 3의 306 상태 또는 도 5의 506 상태)에 도시된 바와 같이카메라 모듈부(210) 와 오프닝(231, 도 2a 참조)의 TIM(thermal interface material, 235)을 접촉시켜 전도로 방열될 수 있는 경로를 추가적으로 확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TIM(235)을 통해 전달된 열은, 전자 장치 내부의 방열 부재(예: 히트파이프 또는 방열 패드)를 통해 방열될 수 있다.
도 8a 내지 도 8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부의 상승 동작의 일부를 회전 캠(211b)과 푸시로드(227)의 동작관계를 중심으로 나타낸 도면으로써, 오프닝(231, 도 2a 참조)과 카메라 모듈부(210, 도 2a 참조)의 밀착을 구현하는 구조를 중심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예를 들어 도 8a의 802 상태는 도 3의 302 상태와 대응될 수 있고, 도 8b의 805 상태는 도 3의 305 상태와 대응될 수 있으며, 도 8c의 806 상태는 도 3의 306 상태와 대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푸시로드(227)는 일측이 슬라이드부(230, 도 2a 참조)에 고정되고, 타측에 캠홀(228)이 형성된 형태일 수 있다. 푸시로드(227)는 슬라이드부(230)의 이동에 따라 함께 움직일 수 있으며, 모터(223a, 도 2a 참조)의 구동력을 최종적으로 카메라 모듈부(210)에 전달할 수 있다. 캠홀(228)은 원형 형태이되, 일측 단부를 향하여 홈(228a)이 형성된 형태일 수 있다. 홈(228a)의 폭은 회전 캠(211b)의 돌기(211c)의 폭에 대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 캠(211b)은 캠홀(228)의 내주면(inner circumferential surface)의 적어도 일부와 접하며 캠홀(228) 내주면을 따라 회전하는 타원 형상이되, 캠홀(228)의 홈(228a)에 대응하여 돌기(211b)가 형성될 수 있다.
도 8a의 802 상태는 도 3의 302 상태와 대응될 수 있다. 도 8a의 도시상태를 기준으로 도 3의 302 상태에서 회전 캠(211b)의 돌기(211c)는 우측방향을 향하며 캠홀(228)의 내주면에 접해있을 수 있다.
도 8b의 805 상태는 도 3의 305 상태와 대응될 수 있다. 805 상태는 카메라 모듈부(210, 도 2a 참조)가 전면을 향하여 180도 회전을 완료한 상태로써, 회전 캠(211b)의 돌기(211c)는 좌측방향을 향하며 캠홀(228)의 홈(228a)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동작과정을 살펴보면, 도 3의 302 상태에서 도 3의 305 상태로 진행함에 따른 슬라이드부(230)의 이동은 푸시로드(227)를 통해 회전 캠(211b)을 우측방향으로 밀어줄 수 있다. 이때 피니언 기어(211)는 랙 기어(221)를 따라 회전하며 이동하여 도 3의 305 상태에 다다를 수 있다.
도 8c의 806 상태는 도 3의 306 상태와 대응될 수 있다. 도 8c는 805 상태에서 슬라이드부(230, 도 2a 참조)가 우측으로 제3길이(H3, 도 8b 참조)만큼 더 이동한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회전 캠(211b)의 돌기(211c)가 캠홀(228)의 홈(228a)에 삽입됨으로써, 오프닝(231, 도 2a 참조)과 카메라 모듈부(210, 도 2a 참조) 사이의 갭을 없애고 서로 접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회전 캠(211b)의 돌기(211c)의 돌출 정도는 오프닝(231)과 카메라 모듈부(210) 사이의 갭의 크기에 대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는 하우징, 제1방향을 향하여 외부로 노출된 오프닝(231)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슬라이딩 되는 슬라이드부(230), 제2방향을 향하고, 상기 하우징의 일부를 통해 노출되는 디스플레이(241) 및 상기 오프닝(231)에 배치되고, 상기 오프닝(231) 내에서 회전하며, 상기 슬라이드부(230)의 동작에 연계하여 회전되는 카메라 모듈부(210)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드부(230)는, 상기 카메라 모듈부(210)가 상기 디스플레이(241)와 중첩되어 위치하는 제1상태, 상기 제1상태에서 제1스트로크에 의해 상기 제1방향 및 상기 제2방향에 수직인 제3방향을 향하여 제1길이(H1)만큼 이동하는 제2상태, 상기 제2상태에서 제2스트로크에 의해 상기 제1스트로크와 동일한 방향으로 제2길이(H2)만큼 이동하는 제3상태 및 상기 제3상태에서 제3스트로크에 의해 동일한 방향으로 제3길이(H3)만큼 이동하는 제4상태를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 모듈부(210)는, 상기 제1상태 및 상기 제2상태 일 때 상기 제1방향을 향하고, 상기 제3상태 및 상기 제4상태 일 때 상기 제2방향을 향하며, 상기 제2상태에서 상기 제3상태로 전환 시 상기 제2스트로크에 의해, 상기 제1방향에서 상기 제2방향을 향하여 회전하고, 상기 제3상태에서 상기 제4상태로 전환시 상기 제3스트로크에 의해 상기 카메라 모듈부(210)와 상기 오프닝(231)의 내면이 접촉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부(230)의 상기 제1상태 내지 상기 제4상태로의 동작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슬라이드 동작 제어부(2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 동작 제어부(220)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223a), 상기 모터(223a) 및 상기 슬라이드부(230)와 결합하고 상기 모터(223a)의 구동력을 상기 슬라이드부(230)에 전달하는 이동부재(225) 및 상기 제1스트로크 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제1스트로크에 따라 상기 슬라이드부(230)와 함께 움직이며 일측단부에 요철이 형성된 랙 기어(221)를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 모듈부(21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메라 장치를 포함하는 카메라 하우징(210a) 및 상기 카메라 하우징(210a)의 회전축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랙 기어(221)와 맞물리는 피니언 기어(21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스트로크는 상기 제2스트로크 내지 상기 제3스트로크보다 먼저 동작될 수 있다.
상기 제2스트로크 내지 상기 제3스트로크는 연속적으로 동작될 수 있다.
상기 제3길이(H3)는 상기 카메라 하우징(210a)의 일측과 상기 오프닝(231)의 일측 내면 사이의 갭(gap)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부(230)는 일측이 상기 슬라이드부(230)에 고정되어 상기 제2스트로크 과정에서 상기 슬라이드부(230)의 이동에 따라 상기 카메라 모듈부(210)를 제2길이(H2) 만큼 밀어주는 푸시로드(227)를 더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 모듈부(210)는 상기 카메라 하우징(210a)에서 돌출되어 상기 피니언 기어(211) 사이의 축에 형성되고 상기 푸시로드(227)와 접촉하여 힘을 전달받아 상기 슬라이드의 회전 홀 내에서 회전하는 회전 캠(211b)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푸시로드(227)가 상기 회전 캠(211b)에 힘을 가할 때, 상기 피니언 기어(211)가 상기 랙 기어(221) 위를 회전 이동함으로써 상기 카메라 모듈부(21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푸시로드(227)는 타측 단부에 원형으로 형성되되, 일측 단부 방향을 향하여 홈(228a)이 형성된 캠홀(228)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 캠(211b)은 상기 캠홀(228)의 내주면의 적어도 일부와 접하며 회전하는 타원 형상이되, 상기 푸시로드(227)의 상기 홈(228a)에 대응하여 돌기(211c)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푸시로드(227)의 상기 홈(228a)에 상기 회전 캠(211b)의 상기 돌기(211c)가 삽입됨으로써, 상기 제4상태가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부(230)의 상기 오프닝(231)의 내주면 중에서 상기 카메라 모듈부(210)와 접촉하는 부분에는 TIM(thermal interface material, 235)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방향과 상기 제2방향은 서로 반대 방향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 동작방법은 하우징, 제1방향을 향하여 형성된 오프닝(231), 제2방향을 향하는 디스플레이(241)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에 대해 슬라이딩 되는 슬라이드부(230) 및 상기 오프닝(231) 내에 배치되고 상기 오프닝(231) 내에서 상기 슬라이드부(230)의 동작에 연계하여 회전하는 카메라 모듈부(210)를 포함하는 전자장치의 동작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입력을 수신시 상기 카메라 모듈부(210)가 상기 디스플레이(241)와 중첩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드부(230)가 제1스트로크에 의해 상기 제1방향과 상기 제2방향에 수직인 제3방향을 향하여 제1길이(H1)만큼 이동하는 동작, 제2스트로크에 의해 상기 제1스트로크와 동일한 방향으로 제2길이(H2)만큼 이동하는 동작 및 제3스트로크에 의해 상기 제2스트로크와 동일한 방향으로 제3길이(H3)만큼 이동하는 동작을 포함하고, 상기 제3길이(H3)만큼 이동하는 동작에 의해 상기 카메라 모듈부(210)와 상기 오프닝(231)의 내면이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 모듈부(210)는 상기 제1길이(H1)만큼 이동하는 동작에서 상기 제1방향을 향하고, 상기 제2길이(H2)만큼 이동하는 동작에서 상기 제1방향에서 상기 제2방향을 향하여 회전하며, 상기 제3길이(H3)만큼 이동하는 동작에서 제2방향을 향할 수 있다.
상기 전자장치는, 상기 슬라이드부(230)의 상기 제1스트로크 내지 상기 제3스트로크의 동작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슬라이드 동작 제어부(2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스트로크는 상기 제2스트로크 내지 상기 제3스트로크보다 먼저 동작될 수 있다.
상기 제2스트로크 내지 상기 제3스트로크는 연속적으로 동작될 수 있다.
상기 제3길이(H3)는 상기 카메라 모듈부(210)의 일측과 상기 오프닝(231)의 일측 내면 사이의 갭(gap)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부(230)의 상기 오프닝(231)의 내주면 중에서 상기 카메라 모듈부(210)와 접촉하는 부분에는 TIM(thermal interface material, 235)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방향과 상기 제2방향은 서로 반대 방향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는 하우징, 제1방향을 향하여 외부로 노출된 오프닝(231)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슬라이딩 되는 슬라이드부(230), 제2방향을 향하고, 상기 하우징에 내장되며 상기 하우징의 일부를 통해 노출되는 디스플레이(241), 상기 오프닝(231)에 배치되고, 상기 오프닝(231) 내에서 회전하며, 상기 슬라이드부(230)의 동작에 연계하여 회전되는 카메라 모듈부(210) 및 상기 슬라이드부(230)의 상기 오프닝(231)의 내주면 중 적어도 일부에 배치된 TIM(thermal interface material, 235)을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드부(230)는, 상기 카메라 모듈부(210)가 상기 디스플레이(241)와 중첩되어 위치하는 제1상태, 상기 제1상태에서 제1스트로크에 의해 상기 제1방향 및 상기 제2방향에 수직인 제3방향을 향하여 제1길이(H1)만큼 이동하는 제2상태, 상기 제2상태에서 제2스트로크에 의해 상기 제1스트로크와 동일한 방향으로 제2길이(H2)만큼 이동하는 제3상태 및 상기 제3상태에서 제3스트로크에 의해 동일한 방향으로 제3길이(H3)만큼 이동하는 제4상태를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 모듈부(210)는, 상기 제3상태에서 상기 제4상태로 전환시 상기 제3스트로크에 의해 상기 카메라 모듈부(210)와 상기 오프닝(231)의 내면이 접촉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200 : 전자장치 210 : 카메라 모듈부
220 : 슬라이드 동작 제어부 230 : 슬라이드부
240 : 화면부 250 : 후면커버

Claims (20)

  1. 전자장치에 있어서,
    하우징;
    제1방향을 향하여 외부로 노출된 오프닝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슬라이딩 되는 슬라이드부;
    제2방향을 향하고, 상기 하우징의 일부를 통해 노출되는 디스플레이; 및
    상기 오프닝에 배치되고, 상기 오프닝 내에서 회전하며, 상기 슬라이드부의 동작에 연계하여 회전되는 카메라 모듈부;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드부는,
    상기 카메라 모듈부가 상기 디스플레이와 중첩되어 위치하는 제1상태;
    상기 제1상태에서 제1스트로크에 의해 상기 제1방향 및 상기 제2방향에 수직인 제3방향을 향하여 제1길이만큼 이동하는 제2상태;
    상기 제2상태에서 제2스트로크에 의해 상기 제1스트로크와 동일한 방향으로 제2길이만큼 이동하는 제3상태; 및
    상기 제3상태에서 제3스트로크에 의해 동일한 방향으로 제3길이만큼 이동하는 제4상태;를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 모듈부는,
    상기 제1상태 및 상기 제2상태 일 때 상기 제1방향을 향하고, 상기 제3상태 및 상기 제4상태 일 때 상기 제2방향을 향하며, 상기 제2상태에서 상기 제3상태로 전환 시 상기 제2스트로크에 의해, 상기 제1방향에서 상기 제2방향을 향하여 회전하고, 상기 제3상태에서 상기 제4상태로 전환시 상기 제3스트로크에 의해 상기 카메라 모듈부와 상기 오프닝의 내면이 접촉되도록 설정된 전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부의 상기 제1상태 내지 상기 제4상태로의 동작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슬라이드 동작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전자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동작 제어부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
    상기 모터 및 상기 슬라이드부와 결합하고 상기 모터의 구동력을 상기 슬라이드부에 전달하는 이동부재; 및
    상기 제1스트로크 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제1스트로크에 따라 상기 슬라이드부와 함께 움직이며 일측단부에 요철이 형성된 랙 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 모듈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메라 장치를 포함하는 카메라 하우징; 및
    상기 카메라 하우징의 회전축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랙 기어와 맞물리는 피니언 기어;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트로크는 상기 제2스트로크 내지 상기 제3스트로크보다 먼저 동작되는 전자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스트로크 내지 상기 제3스트로크는 연속적으로 동작되는 전자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3길이는 상기 카메라 하우징의 일측과 상기 오프닝의 일측 내면 사이의 갭(gap)에 해당하는 전자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부는
    일측이 상기 슬라이드부에 고정되어 상기 제2스트로크 과정에서 상기 슬라이드부의 이동에 따라 상기 카메라 모듈부를 제2길이 만큼 밀어주는 푸시로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 모듈부는
    상기 카메라 하우징에서 돌출되어 상기 피니언 기어 사이의 축에 형성되고 상기 푸시로드와 접촉하여 힘을 전달받아 상기 슬라이드의 회전 홀 내에서 회전하는 회전 캠;을 더 포함하는 전자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로드가 상기 회전 캠에 힘을 가할 때, 상기 피니언 기어가 상기 랙 기어 위를 회전 이동함으로써 상기 카메라 모듈부를 회전시키는 전자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로드는
    타측 단부에 원형으로 형성되되, 일측 단부 방향을 향하여 홈이 형성된 캠홀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 캠은
    상기 캠홀의 내주면의 적어도 일부와 접하며 회전하는 타원 형상이되, 상기 푸시로드의 상기 홈에 대응하여 돌기가 형성된 전자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로드의 상기 홈에 상기 회전 캠의 상기 돌기가 삽입됨으로써, 상기 제4상태가 구현되는 전자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부의 상기 오프닝의 내주면 중에서 상기 카메라 모듈부와 접촉하는 부분에는 TIM(thermal interface material)이 배치된 전자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방향과 상기 제2방향은 서로 반대 방향인 전자장치.
  13. 하우징, 제1방향을 향하여 형성된 오프닝, 제2방향을 향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에 대해 슬라이딩 되는 슬라이드부 및 상기 오프닝 내에 배치되고 상기 오프닝 내에서 상기 슬라이드부의 동작에 연계하여 회전하는 카메라 모듈부를 포함하는 전자장치의 동작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입력을 수신시 상기 카메라 모듈부가 상기 디스플레이와 중첩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드부가 제1스트로크에 의해 상기 제1방향과 상기 제2방향에 수직인 제3방향을 향하여 제1길이만큼 이동하는 동작;
    제2스트로크에 의해 상기 제1스트로크와 동일한 방향으로 제2길이만큼 이동하는 동작; 및
    제3스트로크에 의해 상기 제2스트로크와 동일한 방향으로 제3길이만큼 이동하는 동작;을 포함하고,
    상기 제3길이만큼 이동하는 동작에 의해 상기 카메라 모듈부와 상기 오프닝의 내면이 접촉되는 전자장치의 동작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모듈부는
    상기 제1길이만큼 이동하는 동작에서 상기 제1방향을 향하고,
    상기 제2길이만큼 이동하는 동작에서 상기 제1방향에서 상기 제2방향을 향하여 회전하며,
    상기 제3길이만큼 이동하는 동작에서 제2방향을 향하는 전자장치의 동작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장치는,
    상기 슬라이드부의 상기 제1스트로크 내지 상기 제3스트로크의 동작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슬라이드 동작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전자장치의 카메라 모듈 회전방법.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트로크는 상기 제2스트로크 내지 상기 제3스트로크보다 먼저 동작되는 전자장치의 동작방법.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스트로크 내지 상기 제3스트로크는 연속적으로 동작되는 전자장치의 동작방법.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3길이는 상기 카메라 모듈부의 일측과 상기 오프닝의 일측 내면 사이의 갭(gap)에 해당하는 전자장치의 동작방법.
  19.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부의 상기 오프닝의 내주면 중에서 상기 카메라 모듈부와 접촉하는 부분에는 TIM(thermal interface material)이 배치된 전자장치의 동작방법.
  20. 전자장치에 있어서,
    하우징;
    제1방향을 향하여 외부로 노출된 오프닝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슬라이딩 되는 슬라이드부;
    제2방향을 향하고, 상기 하우징에 내장되며 상기 하우징의 일부를 통해 노출되는 디스플레이;
    상기 오프닝에 배치되고, 상기 오프닝 내에서 회전하며, 상기 슬라이드부의 동작에 연계하여 회전되는 카메라 모듈부; 및
    상기 슬라이드부의 상기 오프닝의 내주면 중 적어도 일부에 배치된 TIM(thermal interface material);을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드부는,
    상기 카메라 모듈부가 상기 디스플레이와 중첩되어 위치하는 제1상태;
    상기 제1상태에서 제1스트로크에 의해 상기 제1방향 및 상기 제2방향에 수직인 제3방향을 향하여 제1길이만큼 이동하는 제2상태;
    상기 제2상태에서 제2스트로크에 의해 상기 제1스트로크와 동일한 방향으로 제2길이만큼 이동하는 제3상태; 및
    상기 제3상태에서 제3스트로크에 의해 동일한 방향으로 제3길이만큼 이동하는 제4상태;를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 모듈부는,
    상기 제3상태에서 상기 제4상태로 전환시 상기 제3스트로크에 의해 상기 카메라 모듈부와 상기 오프닝의 내면이 접촉되도록 설정된 전자장치.
KR1020190050767A 2019-04-30 2019-04-30 회전 카메라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KR1026311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0767A KR102631112B1 (ko) 2019-04-30 2019-04-30 회전 카메라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EP20798402.2A EP3952262A4 (en) 2019-04-30 2020-04-13 ELECTRONIC DEVICE WITH ROTATING CAMERA
PCT/KR2020/004971 WO2020222442A1 (ko) 2019-04-30 2020-04-13 회전 카메라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0767A KR102631112B1 (ko) 2019-04-30 2019-04-30 회전 카메라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6735A true KR20200126735A (ko) 2020-11-09
KR102631112B1 KR102631112B1 (ko) 2024-01-30

Family

ID=730289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0767A KR102631112B1 (ko) 2019-04-30 2019-04-30 회전 카메라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EP (1) EP3952262A4 (ko)
KR (1) KR102631112B1 (ko)
WO (1) WO2020222442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64077A1 (ko) * 2021-01-27 2022-08-04 삼성전자 주식회사 광학 센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23075323A1 (ko) * 2021-10-25 2023-05-04 삼성전자주식회사 회전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US11895383B2 (en) 2021-01-27 2024-02-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optical sensor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17684A (ko) * 2004-08-21 2006-02-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회전장치
CN207926665U (zh) * 2018-02-09 2018-09-28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移动终端
KR20180105346A (ko) * 2017-03-15 2018-09-28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메라 방열 구조를 가지는 전자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3495B1 (ko) * 2003-07-16 2007-04-03 삼성전자주식회사 양 방향 슬라이딩 타입 휴대용 단말기
US20050014527A1 (en) * 2003-07-18 2005-01-20 Agere Systems Incorporated Retractable rotatable camera module for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KR100551426B1 (ko) * 2003-08-27 2006-02-09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카메라 연동장치를 갖는 슬라이딩방식 이동통신 단말기
KR100593544B1 (ko) * 2004-01-09 2006-06-28 주식회사 팬택 자동 개폐 슬라이드형 이동통신단말기
KR20060010065A (ko) * 2004-07-27 2006-02-02 주식회사 팬택 회전형 카메라를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
US20170366652A1 (en) * 2016-06-16 2017-12-21 Eyes On Scope, LLC Cell Phone Accessory Apparatus and System With Camera Functionality
KR102648987B1 (ko) * 2019-04-09 2024-03-19 삼성전자 주식회사 회전 카메라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17684A (ko) * 2004-08-21 2006-02-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회전장치
KR20180105346A (ko) * 2017-03-15 2018-09-28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메라 방열 구조를 가지는 전자 장치
CN207926665U (zh) * 2018-02-09 2018-09-28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移动终端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64077A1 (ko) * 2021-01-27 2022-08-04 삼성전자 주식회사 광학 센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1895383B2 (en) 2021-01-27 2024-02-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optical sensor
WO2023075323A1 (ko) * 2021-10-25 2023-05-04 삼성전자주식회사 회전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952262A1 (en) 2022-02-09
WO2020222442A1 (ko) 2020-11-05
KR102631112B1 (ko) 2024-01-30
EP3952262A4 (en) 2022-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71644B1 (ko) 팝업 회전 카메라 및 그것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469449B1 (ko) 방열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509159B1 (ko) 휴대 단말기의 보조 제어 전자장치
KR102106296B1 (ko) 카메라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것의 동작 방법
KR20190101605A (ko) 이동 가능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648987B1 (ko) 회전 카메라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US11019736B2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KR102651418B1 (ko) 차폐 시트 및 방열 부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10101462A (ko) 마이크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631112B1 (ko) 회전 카메라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KR20210101440A (ko) Pcb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1366532B2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ntenna structure
US11799996B2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camera pop-up structure
KR20190133961A (ko) 안테나 및 그것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10043982A (ko) 조리개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20210090526A (ko)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570509B1 (ko) 통신 주파수 대역에 기반하여 안테나 장치에 포함된 광도전성 물질의 전기적 상태를 변경하는 전자 장치 및 안테나 제어 방법
KR20210132914A (ko)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10022921A (ko) 슬라이딩 동작되는 전자 장치
KR20220076257A (ko) 보강 부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00119034A (ko) 연성 인쇄 회로 기판 및 그 연성 인쇄 회로 기판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10048725A (ko) 카메라 제어를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 장치
US11405496B2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rotation camera
KR20240052574A (ko) 컨택 부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10090525A (ko) 카메라 모듈 및 그것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