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6238A - 직선화된 선미 형상을 가지는 저속 운항 해상 부유물 - Google Patents

직선화된 선미 형상을 가지는 저속 운항 해상 부유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26238A
KR20200126238A KR1020190049995A KR20190049995A KR20200126238A KR 20200126238 A KR20200126238 A KR 20200126238A KR 1020190049995 A KR1020190049995 A KR 1020190049995A KR 20190049995 A KR20190049995 A KR 20190049995A KR 20200126238 A KR20200126238 A KR 202001262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rn
shape
low
speed
straighte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99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선
장창호
이제혁
김남수
권용진
조정욱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499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26238A/ko
Publication of KR202001262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623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00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 B63B1/02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lift mainly from water displacement
    • B63B1/04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lift mainly from water displacement with single hull
    • B63B1/08Shape of aft pa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70/00Maritime or waterways transport
    • Y02T70/10Measures concerning design or construction of watercraft hu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Turb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속 운항 기능만을 가지는 해상부유물의 선미 형상에 있어서, 후단 수직면과 후단 수직면의 하단으로부터 해상부유물의 선저면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후단 경사면을 포함하는 선미 배면부; 및 선미 배면부와 해상부유물의 선체 측벽 사이에 경사지게 형성되는 선미 측면부;를 포함하되, 선미 배면부와 선미 측면부를 이루는 모든 구성은 만곡(彎曲, curve)된 부위를 포함하지 않는 평편한 외판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선화된 선미 형상을 가지는 저속 운항 해상부유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직선화된 선미 형상을 가지는 저속 운항 해상 부유물 {Low-speed Floating Vessel with Linearized Stern Shape}
본 발명은 직선화된 선미 형상을 가지는 저속 운항 해상 부유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저속 운항 기능을 가지는 해상 부유물의 선미 형상을 직선화함으로써, 생산 시수의 절감 및 생산 기간의 단축을 도모하는 직선화된 선미 형상을 가지는 저속 운항 해상 부유물에 관한 것이다.
FSRU(Floating Storage Re-gasfication Unit, 부유식 가스 저장 재기화 설비)는 해상에서 LNG 운반선(LNG Carrier, 이하 'LNGC')으로부터 하역받아 저장, 재기화하는 기능을 가진 해상 LNG 터미널의 개념으로 이해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FSRU는 기존에 육상에 설치되던 재기화 플랜트(Regasification Plant)를 LNGC에 장착하는 RV(Regasification Vessel)에 기원을 두고 있기에, 선수 및 선미의 형태가 일반적인 선박과 같이 미끈한 유선형을 취하고 있다.
특히, 목적상 FSRU의 고유 기능(LNG의 저장 및 재기화) 외에 LNGC로써의 기능을 가지도록 선주의 요구가 있는 경우에는, LNGC와 같은 고속 성능을 갖추기 위하여 선수 및 선미의 형상으로 부드러운 유선형 형태가 적용되어야 한다.
도 1은 종래의 FSRU의 선수부를 나타낸 도면으로, (a)는 선수부의 전체적인 형태를 표현한 도면, (b)는 선수부의 측단면도이며, 도 2는 종래의 FSRU의 선미부를 나타낸 도면으로, (a)는 선미부의 전체적인 형태를 표현한 도면, (b)는 선미부의 측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종래의 (고속 운항 기능을 가지는) FSRU는 유체의 흐름을 원활히 하여 조파저항을 줄이고, 프로펠러로의 유체(해수)의 유입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선수 및 선미가 끝으로 갈수록 점차 얇아지며 부드러운 유선형 형태를 취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선수 및 선미의 형상을 유선형으로 제작하기 위해서는 곡가공을 위한 숙련된 인력이 필수적이고, 생산에 과다하게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FSRU 고유의 목적(LNG의 저장 및 재기화)만을 필요로 하는 FSRU의 경우에는, 조선소에서 건조된 후 오퍼레이팅 사이트(Operating Site)까지 이동, 태풍 등의 자연재해에 의한 피항, 또는 계약 만료 후 다른 사이트로 이동 등, 예인선의 도움 없이 자력으로 이동하는 경우가 매우 간헐적으로 발생한다.
따라서 이와 같이 고유의 목적만을 필요로 하는 FSRU는, 필요시에만 간헐적으로 운항되므로 저속 운항 기능만 가지면 되기에, 선수 및 선미의 형상으로 유선형 형태를 적용할 기술적 이유가 없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저속 운항 기능만을 가지는 FSRU의 선수 및 선미 형상을 직선화함으로써, 생산 시수의 절감 및 생산 기간의 단축을 도모하고, 직선 형태의 설계로 인한 선수 및 선미 내부 공간의 활용도를 증대시키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저속 운항 기능만을 가지는 해상부유물의 선미 형상에 있어서, 후단 수직면과 상기 후단 수직면의 하단으로부터 상기 해상부유물의 선저면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후단 경사면을 포함하는 선미 배면부; 및 상기 선미 배면부와 상기 해상부유물의 선체 측벽 사이에 경사지게 형성되는 선미 측면부;를 포함하되, 상기 선미 배면부와 상기 선미 측면부를 이루는 모든 구성은 만곡(彎曲, curve)된 부위를 포함하지 않는 평편한 외판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선화된 선미 형상을 가지는 저속 운항 해상부유물을 제공한다.
상기 후단 수직면은 만재 흘수선(D.L.W.L)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후단 경사면은 선저 측으로 갈수록 선체의 단면적이 감소하도록 하방을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되되, 상기 후단 경사면은, 하측에 러더(rudder)가 장착되는 제1 후단 경사면과, 하측에 추진기가 장착되기 위한 스케그(skeg)가 설치되는 제2 후단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케그는 상단은 상기 제2 후단 경사면의 경사를 따라 기울어지게 형성되고, 후미는 만재 흘수선(D.L.W.L)에 대하여 수직으로 형성되어, 측면 형상이 직각 삼각형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선미 측면부는, 상부로부터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제1 선미 측면, 제2 선미 측면 및 제3 선미 측면을 포함하는 3개의 면으로 구성되되, 상기 제1 선미 측면, 상기 제2 선미 측면 및 상기 제3 선미 측면은 각각 평편한 형태의 외판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 선미 측면, 상기 제2 선미 측면 및 상기 제3 선미 측면은, 선저 측으로 갈수록 선체의 단면적이 감소하도록 하방을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되되, 각각의 측면이 상기 선저면으로부터 수평으로 연장되는 수평선과 이루는 기울기는 상기 제1 선미 측면으로부터 상기 제3 선미 측면으로 갈수록 감소할 수 있다.
상기 제2 선미 측면은 상기 선저면으로부터 수평으로 연장되는 수평선과 45°각도를 이룰 수 있다.
상기 해상부유물은 FSRU(부유식 가스 저장 재기화 설비) 또는 FPSO(부유식 원유생산저장하역설비)일 수 있다.
상기 해상부유물은 선속 10 knots 이하의 저속 운항 선박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직선화된 선미 형상을 가지는 저속 운항 해상부유물은, FSRU(부유식 가스 저장 재기화 설비) 또는 FPSO(부유식 원유생산저장하역설비)와 같이 한 해역에 오랫동안 계류하는 해상 부유물에 있어서, 상기 해상 부유물의 선미부의 외형을 이루는 모든 구성이 평편한 형태의 외판의 조합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해상 부유물의 선미부의 외부 형상은 어느 방향에서 바라보더라도 선형(linear)적으로 표현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숙련된 인력이 필수적이고 생산 시간의 소요가 많은 선수 및 선미의 곡가공 필요 부분을 최대한 직선화함으로써, 생산 시수의 절감 및 생산 기간의 단축을 도모하여 생산성이 극대화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직선 형태의 설계로 선수 및 선미부의 내부 공간 활용도를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은 저속 운항 기능을 가지는 해상부유물에 적용됨에 따라 엔진(Engine), 감속장치(Reduction gear) 및 전기추진 시스템(Electric Propulsion System)의 가격을 절감하는 효과도 수반한다.
도 1은 종래의 FSRU의 선수부를 나타낸 도면으로, (a)는 선수부의 전체적인 형태를 표현한 도면, (b)는 선수부의 측단면도이다.
도 2는 종래의 FSRU의 선미부를 나타낸 도면으로, (a)는 선미부의 전체적인 형태를 표현한 도면, (b)는 선미부의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저속 운항 FSRU의 선수부의 전체적인 형태를 표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저속 운항 FSRU의 선수부를 다양한 각도에서 바라본 도면으로서, (a)는 정면 형태를 나타낸 도면, (b)는 측면 형태를 나타낸 도면, (c)는 저면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저속 운항 FSRU의 선미부의 전체적인 형태를 표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저속 운항 FSRU의 선미부를 다양한 각도에서 바라본 도면으로서, (a)는 배면 형태를 나타낸 도면, (b)는 측면 형태를 나타낸 도면, (c)는 저면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저속 운항 FSRU의 선미부의 측단면도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저속 운항 FSRU의 선수부의 전체적인 형태를 표현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저속 운항 FSRU의 선수부를 다양한 각도에서 바라본 도면으로서, (a)는 정면 형태를 나타낸 도면, (b)는 측면 형태를 나타낸 도면, (c)는 저면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저속 운항 FSRU의 선미부의 전체적인 형태를 표현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저속 운항 FSRU의 선미부를 다양한 각도에서 바라본 도면으로서, (a)는 배면 형태를 나타낸 도면, (b)는 측면 형태를 나타낸 도면, (c)는 저면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저속 운항 FSRU의 선미부의 측단면도이다.
우선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저속 운항 FSRU의 선수부(1)는, 선체의 정면을 형성하는 선수 정면부(10)와, 선수 정면부(10)와 선체 측벽(2) 사이에 경사지게 형성되는 선수 측면부(2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알 수 있다.
선수 정면부(10)는, 만재 흘수선(D.L.W.L: Design Load Water Line)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는 전단 수직면(11)과, 전단 수직면(11)의 하단으로부터 선저면(3)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전단 경사면(12)을 포함할 수 있다.
전단 수직면(11)은 후술할 제1 선수 측면(21)과 연결되는 상단 일부가 일정한 두께로 진행된 이후, 후술할 제2 선수 측면(22)과 연결되는 부분은 상부로부터 하부로 갈수록 두께가 선형적으로 감소하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전단 경사면(12)은 후술할 제2 선수 측면(22)과 연결되는 부분은 일정한 두께로 진행되고, 후술할 제3 선수 측면(23)과 연결되는 하단 일부는 상부로부터 하부로 갈수록 두께가 선형적으로 감소하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저속 운항 FSRU는 저속 운항 기능만을 가지는 해상 부유물로서, 구상선수(bulbous bow)와 같이 조파 저항을 감소시키기 위한 별도의 구조물을 포함하지 않는다.
또한, 도 4의 (b)를 참조하면, 선수부(1)에는 펌프룸(pump room)과 음향 측정기(echo sounder) 및 선속계(speed log) 등이 설치되는 공간(S)이 마련되는데, 전단 경사면(12)은 이들 설치 공간(S)과의 간섭이 없는 상태로 구상선수 자리를 최소화하도록 마련된다.
이때 선저면(3)으로부터 연장되는 수평선과 전단 경사면(12)이 이루는 각도(α)는, 최소 45°이상으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불어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펌프룸, 음향 측정기 및 선속계 등이 설치되는 공간(S)과의 간섭이 없도록 하는 범위 내의 각도를 가질 수 있다.
전단 수직면(11)과 전단 경사면(12)은 모두 평편한 형태의 외판으로 마련되며, 전단 수직면(11)과 전단 경사면(12) 중 그 어느 것도 만곡(彎曲, curve)된 부위를 포함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 선수 정면부(10)는 LWT(Light Weight Tonnage)를 최소화하고 불필요한 공간이 없도록 2개의 평면으로만 구성된다.
선수 측면부(20)는, 상부로부터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제1 선수 측면(21), 제2 선수 측면(22) 및 제3 선수 측면(23)을 포함하는 3면으로 정의될 수 있다.
제1 선수 측면(21)은, 선수 측으로 갈수록 선체의 단면적이 감소하도록 전방을 향하여 경사지되, 데크 상부 장비의 배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만재 흘수선(D.L.W.L)에 대하여는 수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선수 측면(22) 및 상기 제3 선수 측면(23)은, 선수 측으로 갈수록 선체의 단면적이 감소하도록 전방을 향하여 경사지는 동시에, 선저 측으로 갈수록 선체의 단면적이 감소하도록 하방을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선수 측면(22)은 내부 장비에 영향이 없는 한 단순하게 하나의 평면으로 제작되는 것을 목표로 하되, 내부 장비 배치에 따라 가변되는 각도를 가질 수도 있다.
제3 선수 측면(23)은 선체 하부에 설치되는 빌지킬(bilge keel)을 따라 45°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45°의 각도는 선저면(3)으로부터 수평으로 연장되는 라인과 제3 선수 측면(23)이 이루는 각도를 의미한다.
이때 제2 선수 측면(22)의 각도를 45°로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다면, 제2 선수 측면(22)과 제3 선수 측면(23)을 하나의 면으로 구성하여, 선수 측면부(20)를 2면으로 정의하는 것도 가능하다.
선수 정면부(10)에서와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선수 측면부(20)를 구성하는 제1 내지 제3 선수 측면(21, 22, 23)도 평편한 형태의 외판으로 마련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저속 운항 FSRU는, 선수부(1)의 외형을 이루는 모든 구성이 평편한 형태의 외판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며, 종래의 FSRU(도 1 참조)와 같은 유선형 형태를 전혀 포함하지 않는 것이 특징이다.
도 4의 (c)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저속 운항 FSRU는, 선저면(3)이 선체 측벽(2)과 연결되는 중간부(mid section)로부터 선수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상으로 마련된다.
이때 선저면(3)의 폭이 감소하는 형상은 실선으로 표시된 것과 같이 일정한 각도를 유지하는 것이 생산 측면에서 이로울 수 있으나, 필요시 점선으로 표시된 것과 같이 두 개 이상의 각도로 가변될 수도 있다.
점선으로 표시된 것과 같이 선수부에서의 선저면(3)이 각도를 가지며 가변되는 경우에는, 제2 선수 측면(22) 및 제3 선수 측면(23) 역시 각도를 가지며 꺾여지도록 마련되어야 할 것인데, 이때에도 제2 선수 측면(22) 및 제3 선수 측면(23)이 만곡(彎曲, curve)되지는 않는다.
이와 같은 선저면(3)의 형상은 배수량을 확보하면서 선수파(bow wave)의 형태를 유지시켜 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다.
선수부(1)의 형상이 직선화된 본 발명의 특징은 선미부(4)에도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저속 운항 FSRU의 선미부(4)는, 선체의 배면을 형성하는 선미 배면부(30)와, 선미 배면부(30)와 선체 측벽(2) 사이에 경사지게 형성되는 선미 측면부(4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알 수 있다.
선미 배면부(30)는 만재 흘수선(D.L.W.L)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는 후단 수직면(31)과, 후단 수직면(31)의 하단으로부터 선저면(3)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후단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후단 경사면은 제1 후단 경사면(32)과 제2 후단 경사면(33)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제2 후단 경사면(33)의 하측에는 추진기(propeller)의 장착을 위해 돌출되게 형성되는 스케그(skeg, 5)가 설치될 수 있다.
제1 후단 경사면(32)의 하측에는 방향키 역할을 하는 러더(rudder)가, 제2 후단 경사면(33)의 하측에 설치되는 스케그(5)의 후미에는 추진기가 각각 장착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에는 선체의 선미부(4) 형상만을 표현하기 위하여 러더 및 추진기의 도시를 생략하였고, 러더(R)와 추진기(P)까지 장착되는 구성은 도 7을 참조하면 된다.
선미 측면부(40)는, 선수 측면부(20)와 유사하게, 상부로부터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제1 선미 측면(41), 제2 선미 측면(42) 및 제3 선미 측면(43)을 포함하는 3면으로 정의될 수 있다.
제1 선미 측면(41)과 제2 선미 측면(42) 그리고 제3 선미 측면(43)은 소정의 각도를 가지면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측면이 이루는 기울기는 제1 선미 측면(41)으로부터 제3 선미 측면(43)으로 갈수록 감소할 수 있다.
즉, 선저면(3)으로부터 수평으로 연장되는 라인(수평선)과 각각의 측면이 이루는 각도는, 제1 선미 측면(41)에서 제일 크고 제3 선미 측면(43)에서 제일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이 중에서 제2 선미 측면(42)은 선체 하부에 설치되는 빌지킬(bilge keel)을 따라 45°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45°의 각도는 제2 선미 측면(42)이 수평선에 대하여 이루는 각도를 의미한다.
한편, 제1 선미 측면(41) 내지 제3 선미 측면(43)가 각각 다른 기울기를 가짐에 따라, 제1 선미 측면(41) 내지 제3 선미 측면(43)과 연결되는 후단 수직면(31)은 평면 다각형 형상을 가지게 되는데, 후단 수직면(31)을 이루는 선분들 간의 각도는 후단 수직면(31)의 높이(H)와 폭(W)에 의해 정해질 수 있다.
후단 수직면(31)의 높이(H)는 러더와 조타장치(steering gear) 등의 배치를 고려하여 정해질 수 있으며, 후단 수직면(31)의 폭(W)은 저항감소와 추진 효율을 고려하여 설계될 수 있다.
또한, 제2 후단 경사면(33)의 하측에 설치되는 스케그(5)는 엔진룸(E/R) 및 선미쪽 장비 배치를 고려하여 위치가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선미에 설치되는 스케그(5)의 형상 또한 직선 형태로 단순화한다. 구체적으로는 추진기의 축(shaft)의 설치 공간 확보 위하여 최소 폭을 약 4 m로 유지한 채 선미 형상에 따라 측면 형상이 삼각형 형태로 고정된다.
스케그(5)는 추진기의 축 및 허브의 설치를 위해 후미 형상이 기울어진 형태가 아닌 수직 형태로 마련되며, 이에 따라 스케그(5)의 측면 형상은 직각 삼각형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아지무스 추진기(azimuth propeller)의 사용을 고려한다면, 해당 스케그(5)는 삭제될 수 있으며, 아지무스 추진기는 제1 후단 경사면(32)의 하측의 평편한 부분에 설치될 수 있을 것이다.
선미 배면부(30)를 이루는 후단 수직면(31) 및 후단 경사면(32, 33), 그리고 선미 측면부(40)를 이루는 제1 내지 제3 선미 측면(41, 42, 43)은 모두 평편한 형태의 외판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그 어느 것도 만곡(彎曲, curve)된 부위를 포함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저속 운항 FSRU는, 선수부(1)에서와 유사하게, 선미부(4)의 외형을 이루는 모든 구성이 평편한 형태의 외판으로 마련되며, 종래의 FSRU(도 2 참조)와 같은 유선형 형태를 전혀 포함하지 않는 것이 특징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추진기 장착을 고려한 필수적인 형태를 제외하고 선미 형상도 직선화된 형태로 단순화시켜 가공비를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저속 운항 FSRU는 선수부(1)와 선미부(4)의 형상이 모두 직선화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시 말해, 본 발명에 따른 저속 운항 FSRU는 선수부(1) 및 선미부(4)의 외형을 이루는 모든 구성이 평편한 형태의 외판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며, 선수부(1) 및 선미부(4)의 외형을 이루는 구성 중 그 어느 것도 만곡(彎曲, curve)된 부위를 포함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저속 운항 FSRU의 선수부(1) 및 선미부(4)의 외부 형상은 어느 방향에서 바라보더라도 선형(linear)적으로 표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형상적 특징은, 본 발명이 저속 운항 기능만을 가지는 FSRU에 적용되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한 해역에 오랫동안 계류하는 선박 또는 해상 부유물에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선속 10 knots 이하의 저속 운항 선박을 대상으로 적용되기 위한 발명이다.
본 명세서에서는 바람직한 예로서 FSRU(부유식 가스 저장 재기화 설비)를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이외에도 해상의 일정지역에 머물면서 해저에서 원유를 뽑아 올려서 정유 제품을 생산하는 FPSO(Floating Production Storage Offloading, 부유식 원유생산저장하역설비) 등의 해상 부유물에도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FSRU와 같은 해상 부유물에 직선형 선수 및 선미 형상을 적용하고 이에 따른 저속 성능만 유지하여 다음과 같은 효과를 도모한다.
우선, 본 발명은 숙련된 인력이 필수적이고 생산 시간의 소요가 많은 선수 및 선미의 곡가공 필요 부분을 최대한 직선화함으로써, 자동화 공정 가능 부분이 늘어남에 따라 생산 시수의 절감 및 생산 기간의 단축을 도모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직선 형태의 설계로 선수 및 선미부의 내부 공간 활용도를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은 저속 운항 기능을 가지는 해상 부유물에 적용됨에 따라 엔진(Engine), 감속장치(Reduction gear) 및 전기추진 시스템(Electric Propulsion System)의 가격을 절감하는 효과도 수반한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 : 선수부 2 : 선체 측벽
3 : 선저면 4 : 선미부
5 : 스케그
10 : 선수 정면부 11 : 전단 수직면
12 : 전단 경사면
20 : 선수 측면부 21 : 제1 선수 측면
22 : 제2 선수 측면 23 : 제3 선수 측면
30 : 선미 배면부 31 : 후단 수직면
32 : 제1 후단 경사면 33 : 제2 후단 경사면
40 : 선미 측면부 41 : 제1 선미 측면
42 : 제2 선미 측면 43 : 제3 선미 측면
R : 러더 P : 프로펠러

Claims (9)

  1. 저속 운항 기능만을 가지는 해상부유물의 선미 형상에 있어서,
    후단 수직면과 상기 후단 수직면의 하단으로부터 상기 해상부유물의 선저면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후단 경사면을 포함하는 선미 배면부; 및
    상기 선미 배면부와 상기 해상부유물의 선체 측벽 사이에 경사지게 형성되는 선미 측면부;를 포함하되,
    상기 선미 배면부와 상기 선미 측면부를 이루는 모든 구성은 만곡(彎曲, curve)된 부위를 포함하지 않는 평편한 외판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선화된 선미 형상을 가지는 저속 운항 해상부유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후단 수직면은 만재 흘수선(D.L.W.L)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후단 경사면은 선저 측으로 갈수록 선체의 단면적이 감소하도록 하방을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되되,
    상기 후단 경사면은, 하측에 러더(rudder)가 장착되는 제1 후단 경사면과, 하측에 추진기가 장착되기 위한 스케그(skeg)가 설치되는 제2 후단 경사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선화된 선미 형상을 가지는 저속 운항 해상부유물.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스케그는 상단은 상기 제2 후단 경사면의 경사를 따라 기울어지게 형성되고, 후미는 만재 흘수선(D.L.W.L)에 대하여 수직으로 형성되어, 측면 형상이 직각 삼각형 형태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선화된 선미 형상을 가지는 저속 운항 해상부유물.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선미 측면부는, 상부로부터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제1 선미 측면, 제2 선미 측면 및 제3 선미 측면을 포함하는 3개의 면으로 구성되되,
    상기 제1 선미 측면, 상기 제2 선미 측면 및 상기 제3 선미 측면은 각각 평편한 형태의 외판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선화된 선미 형상을 가지는 저속 운항 해상부유물.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 선미 측면, 상기 제2 선미 측면 및 상기 제3 선미 측면은, 선저 측으로 갈수록 선체의 단면적이 감소하도록 하방을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되되,
    각각의 측면이 상기 선저면으로부터 수평으로 연장되는 수평선과 이루는 기울기는 상기 제1 선미 측면으로부터 상기 제3 선미 측면으로 갈수록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선화된 선미 형상을 가지는 저속 운항 해상부유물.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2 선미 측면은 상기 선저면으로부터 수평으로 연장되는 수평선과 45°각도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선화된 선미 형상을 가지는 저속 운항 해상부유물.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해상부유물은 FSRU(부유식 가스 저장 재기화 설비) 또는 FPSO(부유식 원유생산저장하역설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선화된 선미 형상을 가지는 저속 운항 해상부유물.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해상부유물은 선속 10 knots 이하의 저속 운항 선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선화된 선미 형상을 가지는 저속 운항 해상부유물.
  9. FSRU(부유식 가스 저장 재기화 설비) 또는 FPSO(부유식 원유생산저장하역설비)와 같이 한 해역에 오랫동안 계류하는 해상 부유물에 있어서,
    상기 해상 부유물의 선미부의 외형을 이루는 모든 구성이 평편한 형태의 외판의 조합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해상 부유물의 선미부의 외부 형상은 어느 방향에서 바라보더라도 선형(linear)적으로 표현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선화된 선미 형상을 가지는 저속 운항 해상부유물.
KR1020190049995A 2019-04-29 2019-04-29 직선화된 선미 형상을 가지는 저속 운항 해상 부유물 KR2020012623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9995A KR20200126238A (ko) 2019-04-29 2019-04-29 직선화된 선미 형상을 가지는 저속 운항 해상 부유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9995A KR20200126238A (ko) 2019-04-29 2019-04-29 직선화된 선미 형상을 가지는 저속 운항 해상 부유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6238A true KR20200126238A (ko) 2020-11-06

Family

ID=735719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9995A KR20200126238A (ko) 2019-04-29 2019-04-29 직선화된 선미 형상을 가지는 저속 운항 해상 부유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2623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697028A (zh) * 2021-09-28 2021-11-26 广船国际有限公司 一种船体结构及船舶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697028A (zh) * 2021-09-28 2021-11-26 广船国际有限公司 一种船体结构及船舶
CN113697028B (zh) * 2021-09-28 2022-07-05 广船国际有限公司 一种船体结构及船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chneekluth et al. Ship design for efficiency and economy
JP6118880B1 (ja) 船舶
KR102356489B1 (ko) 개선된 선체 형상을 갖는 선박
CN102015438B (zh) 为船提供大直径螺旋推进器的方法及具有大直径螺旋推进器的船
CN102145742B (zh) 具有方位角推进装置的船舶结构
EP3652057B1 (en) Offshore vessel for production and storage of hydrocarbon products
US5711239A (en) Propeller configuration for sinusoidal waterline ships
KR20200126238A (ko) 직선화된 선미 형상을 가지는 저속 운항 해상 부유물
US5701835A (en) Production vessel with sinusoidal waterline hull
KR20200126237A (ko) 직선화된 선수 형상을 가지는 저속 운항 해상 부유물
RU180240U1 (ru) Судовая движительная установка
RU2527244C1 (ru) Кормовая оконечность двухвального судна
US3930456A (en) Ship's afterbody, especially for a full-form ship fitted with more than one propeller
AU7698094A (en) A ship's hull
Savitsky et al. Hydrodynamic development of a high speed planing hull for rough water
RU47845U1 (ru) Судно ледового класса, преимущественно, танкер двойного действия
JPH0580395B2 (ko)
KR20140041379A (ko) 조파 저항이 저감된 비대선의 선체
KR20010079920A (ko) 원양선박과 원양선박용 선체
JP5028000B2 (ja) 船舶
JPH0733071A (ja) 船体形状
CN220430407U (zh) 海船
WO2020262250A1 (ja) 船舶
US4563968A (en) Boat with improved hull
US20020096100A1 (en) Articulated tug bar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