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5270A - 해수전지가 마련된 독립형 부이 - Google Patents

해수전지가 마련된 독립형 부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25270A
KR20200125270A KR1020190049310A KR20190049310A KR20200125270A KR 20200125270 A KR20200125270 A KR 20200125270A KR 1020190049310 A KR1020190049310 A KR 1020190049310A KR 20190049310 A KR20190049310 A KR 20190049310A KR 20200125270 A KR20200125270 A KR 202001252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water
main body
unit
seawater battery
buo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93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20376B1 (ko
Inventor
김영식
김영진
김명재
김영기
김혜진
Original Assignee
울산과학기술원
주식회사 포투원
한국동서발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울산과학기술원, 주식회사 포투원, 한국동서발전(주) filed Critical 울산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900493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0376B1/ko
Priority to EP20171377.3A priority patent/EP3731319B1/en
Priority to US16/857,930 priority patent/US11505287B2/en
Priority to JP2020078525A priority patent/JP7062028B2/ja
Publication of KR202001252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52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03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03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0Buo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0Buoys
    • B63B22/18Buoys having means to control attitude or position, e.g. reaction surfaces or tether
    • B63B22/20Ballast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3/00Driving of auxiliaries
    • B63J3/04Driving of auxiliaries from power plant other than propulsion power pla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6Accumulators structurally combined with charging apparatus
    • H01M10/465Accumulators structurally combined with charging apparatus with solar battery as charging syste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6/00Prim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6/30Deferred-action cells
    • H01M6/32Deferred-action cells activated through external addition of electrolyte or of electrolyte components
    • H01M6/34Immersion cells, e.g. sea-water cel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02S20/30Supporting structures being movable or adjustable, e.g. for angle adjustme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30Electrical components
    • H02S40/38Energy storage means, e.g. batteri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PV modu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0Buoys
    • B63B2022/006Buoys specially adapted for measuring or watch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1/00Signalling devices
    • B63B2201/04Illuminating
    • B63B2201/08Electric l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9/00Energy supply or activating means
    • B63B2209/04Energy supply or activating means water activated 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9/00Energy supply or activating means
    • B63B2209/18Energy supply or activating means solar energ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3/00Driving of auxiliaries
    • B63J2003/001Driving of auxiliaries characterised by type of power supply, or power transmission, e.g. by using electric power or steam
    • B63J2003/002Driving of auxiliaries characterised by type of power supply, or power transmission, e.g. by using electric power or steam by using electric power
    • B63J2003/003Driving of auxiliaries characterised by type of power supply, or power transmission, e.g. by using electric power or steam by using electric power using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e.g. using solar pane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10Batteries in stationary systems, e.g. emergency power source in pla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70/00Other energy conversion or management systems reducing GHG emissions
    • Y02E70/30Systems combining energy storage with energy generation of non-fossil origi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70/00Maritime or waterways transpo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conomic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수전지가 마련된 독립형 부이에 관한 것으로서, 해수에 부유할 수 있도록 소정의 부력을 갖도록 형성된 것으로서, 내부에 해수공간이 마련되고, 상기 해수공간으로 해수가 유입될 수 있도록 유입구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의 위치를 알리는 위치알림부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입사되는 태양광에 의해 전기를 생성하는 태양광 발전부와, 상기 해수공간으로 유입된 해수에 잠길 수 있도록 상기 해수공간 내에 설치되며, 해수와 반응하여 상기 태양광 발전부에서 제공되는 전기를 저장하고, 상기 위치알림부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저장된 전기를 상기 위치알림부에 제공하는 해수전지 유닛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해수전지가 마련된 독립형 부이는 태양광 발전부에 의해 생성된 전기를 해수와 반응한 해수전지 유닛이 저장하고, 저장된 전기는 표시램프와 같은 전자기기에 공급되므로 배터리의 교환없이 장시간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해수전지가 마련된 독립형 부이{Stand-alone buoy with a seawater battery}
본 발명은 해수전지가 마련된 독립형 부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해수전지를 통해 저장된 전기를 이용하여 작동하는 독립형 부이에 관한 것이다.
부이는 해상의 기상 상황 및 파고, 파향 등을 감지하기 위해 해상에 설치되거나, 위험수역 또는 어망등의 위치를 표시할 수 있는 표시수단으로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부이는 내부에 배터리가 설치되고, 상기 배터리로부터 전기를 공급받아 램프나 기타 전자장비가 작동된다. 그러나, 상기 부이는 배터리를 주기적으로 교환해야 하며, 해수에 의해 배터리가 부식되는 단점이 있다.
이에 따라 대한민국 등록 특허 제10-1236277호에 게시된 자가발전형 발광부자가 개발된 바 있으며, 상기 발광부자는 외부에 코일이 있고 코일 내부에 파랑의 상하운동에 의해 왕복하는 자석이 있는 자가 발전형 발광모듈을 포함하며, 발광모듈의 내부와 외부를 완전히 밀폐시켜 제품을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해당 선행기술은 파랑의 힘에 의해서 움직이므로 조력 등이 다소 불안정한 상황에서 지속적인 전류를 얻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236277호: 자가발전형 발광부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태양광 발전부에 의해 생성된 전기를 해수와 반응하여 저장하고, 저장된 전기를 표시램프와 같은 전자기기에 공급할 수 있는 해수전지가 마련된 독립형 부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해수전지가 마련된 독립형 부이는 해수에 부유할 수 있도록 소정의 부력을 갖도록 형성된 것으로서, 내부에 해수공간이 마련되고, 상기 해수공간으로 해수가 유입될 수 있도록 유입구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의 위치를 알리는 위치알림부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입사되는 태양광에 의해 전기를 생성하는 태양광 발전부와, 상기 해수공간으로 유입된 해수에 잠길 수 있도록 상기 해수공간 내에 설치되며, 해수와 반응하여 상기 태양광 발전부에서 제공되는 전기를 저장하고, 상기 위치알림부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저장된 전기를 상기 위치알림부에 제공하는 해수전지 유닛을 구비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해수전지가 마련된 독립형 부이는 상기 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본체에 대한 위치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위치정보를 관리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해수전지 유닛에서 전기를 공급받아 작동하는 지피에스 모듈을 더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해수전지가 마련된 독립형 부이는 상기 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본체 주위의 환경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환경정보를 상기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환경정보 수집부를 더 구비한다.
상기 환경정보 수집부는 상기 본체가 부유하는 해수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에 설치된 온도센서와, 상기 본체 주위의 영상을 촬영하기 위해 상기 본체에 설치된 카메라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피에스 모듈은 기설정된 설정시간 간격으로 상기 본체에 대한 위치정보를 상기 관리서버에 전송한다.
또한, 상기 지피에스 모듈은 상기 본체가 조류에 의해 기설정된 기준거리 이상으로 이동되거나 기설정된 기준범위를 이탈하는 경우에 해당 본체에 대한 위치정보를 상기 관리서버에 전송할 수도 있다.
상기 위치알림부는 상기 본체의 외주면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며, 내부에 상기 지피에스 모듈이 설치될 수 있도록 설치공간이 마련되고, 광투과성 소재로 형성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표시광을 생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엘이디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해수전지가 마련된 독립형 부이는 상기 본체에 입사되는 태양광을 감지하기 위해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광센서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며, 소정의 자력을 갖는 내부 자석부와, 상기 내부 자석부에 대향되는 상기 본체의 외주면에 부착되기 위해 상기 내부 자석부와 자력결합될 수 있도록 소정의 자력을 갖는 외부 자석과, 상기 내부 자석부에 대한 상기 외부 자석의 부착위치를 판별하고, 판별된 부착위치에 따라 작동모드, 정지모드 또는 자동모드 중 어느 한 모드를 선택하는 모드 선택부와, 상기 모드 선택부에서 상기 자동모드가 선택될 경우, 상기 광센서에서 제공되는 감지정보를 토대로 상기 본체에 태양광이 입사되면 상기 표시램프를 정지시키되, 상기 태양광 발전부에 의해 생성된 전기로 상기 해수전지 유닛을 충전시키며, 상기 본체에 태양광이 미입사되면 상기 위치알림부를 작동시키고, 상기 모드 선택부에서 상기 작동모드가 선택될 경우, 상기 표시광이 항시 발생되도록 상기 위치알림부를 작동시키고, 상기 모드 선택부에서 상기 정지모드가 선택될 경우, 상기 위치알림부의 작동은 정지시키되, 상기 지피에스 모듈을 작동시키거나 상기 엘이디 및 지피에스모듈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제어모듈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해수전지가 마련된 독립형 부이는 상기 유입구를 통해 상기 해수공간으로 유입되는 해수를 상기 해수전지 유닛으로 유도할 수 있도록 상기 유입구에 인접된 위치의 상기 본체 내벽면에, 상기 해수전지 유닛 측으로 돌출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부재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해수전지가 마련된 독립형 부이는 상기 본체는 구형으로 형성되고, 해수에 부유시, 상기 유입구가 해수면 하측에 위치될 수 있도록 상기 유입구에 인접된 위치의 상기 본체의 내벽면에 소정의 중량을 갖는 중량체가 설치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해수전지가 마련된 독립형 부이는 태양광 발전부에 의해 생성된 전기를 해수와 반응한 해수전지 유닛이 저장하고, 저장된 전기는 표시램프와 같은 전자기기에 공급되므로 배터리의 교환없이 장시간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해수전지가 마련된 독립형 부이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해수전지가 마련된 독립형 부이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해수전지가 마련된 독립형 부이에 대한 블럭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해수전지가 마련된 독립형 부이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해수전지가 마련된 독립형 부이에 대한 블럭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해수전지가 마련된 독립형 부이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해수전지가 마련된 독립형 부이에 대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수전지가 마련된 독립형 부이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 내지 도 3에는 본 발명에 따른 해수전지가 마련된 독립형 부이(100)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해수전지가 마련된 독립형 부이(100)는 해수에 부유할 수 있도록 소정의 부력을 갖도록 형성된 것으로서, 내부에 해수공간(113)이 마련되고, 상기 해수공간(113)으로 해수가 유입될 수 있도록 유입구(114)가 형성된 본체(110)과, 상기 본체(110)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110)의 위치를 알리는 위치알림부(115)와, 상기 본체(110)에 설치되어 입사되는 태양광에 의해 전기를 생성하는 태양광 발전부(160)와, 상기 본체(110)에 설치되며, 상기 본체(110) 주위의 환경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환경정보를 상기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환경정보 수집부(140)와, 상기 해수공간(113)으로 유입된 해수에 잠길 수 있도록 상기 해수공간(113) 내에 설치되며, 해수와 반응하여 상기 태양광 발전부(160)에서 제공되는 전기를 저장하고, 상기 위치알림부(115)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저장된 전기를 상기 위치알림부(115)에 제공하는 해수전지 유닛(150)을 구비한다.
상기 본체(110)는 내부에 내부공간이 마련된 구형으로 형성되며, 소정의 강도를 갖고 성형성이 우수한 플라스틱과 같은 합성수지재로 형성된다. 본체(110)의 상부에는 후술되는 위치알림부(115)의 케이스(121)가 삽입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구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체(110)의 외주면에는 본체(110)에 입사되는 태양광을 감지하기 위해 광센서(미도시)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본체(110)의 내부에는 상기 내부공간을 상하방향으로 따라 부유공간(112) 및 해수공간(113)으로 구획하기 위한 격벽(11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격벽(111)에 의해 부유공간(112) 및 해수공간(113)은 상호 독립적으로 형성되며, 해수가 부유공간(112)에 유입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도록 부유공간(112)의 내벽면은 방수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부유공간(112)에 의해 본체(110)는 소정의 부력을 갖는다.
여기서, 본체(110)는 해수공간(113)에 연통되게 다수의 유입구(114)가 형성되는데, 상기 유입구(114)는 본체(110)의 하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체(110)는 해수에 부유시 유입구(114)를 통해 해수가 해수공간(113)으로 유입된다.
한편, 도시된 예에서, 본체(110)는 구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원통형, 원뿔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위치알림부(115)는 상기 본체(110)에서 설치되어 표시광을 발생시키는 표시램프부(120)와, 상기 본체(110)에 설치되며, 상기 본체(110)에 대한 위치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위치정보를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지피에스 모듈(130)을 구비한다.
상기 표시램프부(120)는 상기 본체(110)의 외주면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며, 내부에 설치공간(123)이 마련되고, 광투과성 소재로 형성된 케이스(121)와, 상기 케이스(121)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표시광을 생성하는 다수의 엘이디(122)를 구비한다.
상기 케이스(121)는 원기둥 형으로 형성되며, 본체(110)의 상단부에 결합된다. 한편, 케이스(121)는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본체(110)에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하단부에 수나사산이 형성되고, 본체(110)의 결합구 내주면에 암나사산이 형성될 수도 있다.
엘이디(122)는 다수개가 상기 케이스(121)의 설치공간(123) 내에 설치되며, 해수전지 유닛(150)으로부터 공급된 전기에 의해 작동한다.
한편, 표시램프부(120)는 광센서로부터 제공되는 감지정보를 토대로 주간 또는 야간을 판별하여 엘이디(122)를 제어하는 컨트롤부(미도시)를 더 구비한다. 상기 컨트롤부는 본체(110)에 태양광이 입사될 경우, 주간으로 판별하여 엘이디(122)의 작동을 정지시키고, 본체(120)에 태양광이 미입사될 경우, 야간으로 판별하여 엘이디(122)를 작동시킨다.
지피에스 모듈(130)은 상기 본체(110)의 위치정보를 생성하기 위해 위성으로부터 지피에스 신호를 수신하는 것으로서, 케이스(121)의 설치공간(123) 내에 설치된다. 한편, 지피에스 모듈(130)은 이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체(110)의 부유공간(112) 내에 설치될 수도 있다. 이때, 지피에스 모듈(130)은 주간, 야간 모두 해수전지 유닛(150)으로부터 전기를 제공받아 작동한다. 또한, 지피에스 모듈(130)은 생성된 본체(110)의 위치정보를 관리서버로 전송할 수 있도록 통신모듈(미도시)을 더 구비한다.
이때, 지피에스 모듈(130)의 통신모듈은 소비되는 전력을 절약하기 위해 기설정된 설정시간 간격으로 상기 본체(110)에 대한 위치정보를 상기 관리서버에 전송한다. 여기서, 설정시간은 10분이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지피에스 모듈(130)은 본체(110)가 조류에 의해 기설정된 기준거리 이상으로 이동되거나 기설정된 기준범위를 이탈하는 경우에도 해당 본체(110)에 대한 위치정보를 상기 관리서버에 전송할 수도 있다.
상기 태양광 발전부(160)는 케이스(121)의 상면에 설치되며, 입사되는 태양광에 의해 전기를 생성하는 다수의 태양전지를 구비한다. 태양광 발전부(160)는 생성된 전기를 해수전지 유닛(150)으로 전송한다.
한편, 태양광 발전부(160)는 지속된 악천후 등과 같은 외부 환경 요인에 의해 해수전지 유닛(150)의 충전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를 대비하여 소정의 전력이 저장된 보조 배터리(미도시)를 구비할 수도 있다.
환경정보 수집부(140)는 상기 본체(110)가 부유하는 해수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110)에 설치된 온도센서(141)와, 상기 본체(110) 주위의 영상을 촬영하기 위해 상기 본체(110)에 설치된 카메라(142)를 구비한다.
상기 온도센서(141)는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해수에 접촉될 수 있도록 해수에 잠기는 본체(110)의 하부 외주면에 설치된다. 카메라(142)는 본체(110)의 상부에 설치되어 본체(110) 주위를 촬영한다. 환경정보 수집부(140)는 지피에스 모듈(130)의 통신모듈을 이용하여 온도센서(141)의 온도정보 및 카메라(142)의 영상정보를 관리서버로 전송한다. 여기서, 환경정보 수집부(140)는 해수전지 유닛(150)으로부터 전기를 제공받아 작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해수전지 유닛(150)은 본체(110)의 해수공간(113) 천장면에 고정되어 해수공간(113)으로 유입된 해수와 반응하여 전기를 저장한다.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해수전지 유닛(150)은 해수에 침수되는 캐소드(cathode)를 포함하는 양극부, 유기 전해질에 함침되는 애노드(anode)를 포함하는 음극부 및 상기 양극부와 음극부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양극부와 음극부를 분리하는 고체 전해질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캐소드는 나트륨 이온의 인터칼레이션(intercalation) 및 디인터칼레이션(deintercalation) 및 이작용성(bifunctional) 전극 촉매 반응을 위해 이용되는 전기화학 촉매 물질로 이루어진 촉매층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해수전지 유닛(150)은 이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해수와 반응하여 전기를 저장할 수 있는 전력 저장수단이면 무엇이든 가능하다. 상기 해수전지 유닛(150)은 저장된 전기를 위치알림부(115), 지피에스 모듈(130) 및 환경정보 수집부(140)에 제공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해수전지가 마련된 독립형 부이(100)의 작동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해수전지가 마련된 독립형 부이(100)의 본체(110)를 설치대상 해역에 투척한다. 이때, 본체(110)는 해수면에 부유하는데, 유입구(114)를 통해 해수가 본체(110)의 해수공간(113)으로 유입된다. 주간일 경우, 태양광 발전부(160)는 입사된 태양광에 의해 전기를 생성하고, 해수공간(113)에 설치된 해수전지 유닛(150)은 해수공간(113)으로 유입된 해수와 반응하여 태양광 발전부(160)에서 생성된 전기를 저장하고, 저장된 전기는 위치알림부(115), 지피에스 모듈(130) 및 환경정보 수집부(140)에 제공된다.
이때, 위치알림부(115)는 본체(110)에 태양광이 입사되지 않는 야간에, 해수전지 유닛(150)으로부터 공급된 전기에 의해 표시광을 발광하여 본체(110)의 위치를 표시한다. 또한, 지피에스 모듈(130)은 본체(110)에 대한 위치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위치정보를 통신모듈을 통해 관리서버에 전송한다. 그리고, 환경정보 수집부(140)는 본체(110) 주위의 해수 온도 및 촬영된 영상정보를 관리서버에 전송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해수전지가 마련된 독립형 부이(100)는 태양광 발전부(160)에 의해 생성된 전기를, 해수와 반응한 해수전지 유닛(150)이 저장하고, 저장된 전기는 표시램프와 같은 전자기기에 공급되므로 배터리의 교환없이 장시간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해수전지가 마련된 독립형 부이(100)는 본체(110) 내의 해수전지 유닛(150)의 해수와 접촉시 저장된 전기에 의해 위치알림부(115), 지피에스 모듈(130) 및 환경정보 수집부(140)가 작동되고, 본체(110)를 수거시에는 해수전지 유닛(150)이 해수와 미접촉되어 전기가 저장 및 공급되지 않아 위치알림부(115), 지피에스 모듈(130) 및 환경정보 수집부(140)가 정지되거나 작업자의 스위치 조작에 의해 작동이 정지되므로 해수 감지 센서가 요구되지 않는다.
한편, 도 4 및 도 5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해수전지가 마련된 독립형 부이(210)가 도시되어 있다.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한 기능을 하는 요소는 동일 참조부호로 표기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해수전지가 마련된 독립형 부이(210)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작동모드, 정지모드 또는 자동모드 중 어느 한 모드로 작동시킬 수 있는 스위치 유닛(211)을 구비한다.
상기 스위치 유닛(211)은 상기 본체(110)의 내부에 설치되며, 소정의 자력을 갖는 내부 자석부(212)와, 상기 내부 자석부(212)에 대향되는 상기 본체(110)의 외주면에 부착되기 위해 상기 내부 자석부(212)와 자력결합될 수 있도록 소정의 자력을 갖는 외부 자석(213)과, 상기 내부 자석부(212)에 대한 상기 외부 자석(213)의 부착위치를 판별하고, 판별된 부착위치에 따라 작동모드, 정지모드 또는 자동모드 중 어느 한 모드를 선택하는 모드 선택부(214)와, 상기 모드 선택부(214)에서 선택된 모드에 따라 위치알림부(115), 지피에스 모듈(130) 및 환경정보 수집부(140)를 제어하는 제어모듈(215)을 구비한다.
내부자석부는 본체(110)의 부유공간(112) 내측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제1 내지 제3자석스위치를 구비한다. 상기 제1 내지 제3자석스위치는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좌우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배열되며, 소정의 자력을 갖는다. 이때, 본체(110)는 제1 내지 제3자석스위치에 대응되는 외주면에, 각각 '정지모드', '자동모드', '작동모드'를 표시한다.
외부자석은 소정의 자력을 갖는 영구자석이 적용되며, 사용자가 본체(110) 외주면의 '정지모드', '자동모드', '작동모드'에 대응되는 각 위치들 중 어느 한 위치에 부착한다. 이때, 외부자석은 제1 내지 제3자석스위치의 자력에 의해 본체(110)의 외주면에 부착된다.
모드 선택부(214)는 내부자석부에 연결되며, 제1 내지 제3자석스위치 중 외부자석을 본체(110) 외주면에 부착시킨 자석스위치를 판별하고, 판별된 자석스위치에 대한 정보를 토대로 작동모드, 정지모드 또는 자동모드 중 어느 한 모드를 선택한다. 즉, 외부자석이 제1자석스위치에 의해 제1자석스위치에 대향되는 본체(110) 외주면의 '정지모드' 위치에 부착되면 모드 선택부(214)는 정지모드를 선택하고, 외부자석이 제2자석스위치에 의해 제2자석스위치에 대향되는 본체(110) 외주면의 '자동모드' 위치에 부착되면, 모드 선택부(214)는 자동모드를 선택하고, 외부자석이 제3자석스위치에 의해 제3자석스위치에 대향되는 본체(110) 외주면의 '작동모드'에 부착되는 모드 선택부(214)는 작동모드를 선택하고, 선택된 정보를 제어모듈(215)에 전송한다.
제어모듈(215)은 모드 선택부(214)에서 자동모드가 선택될 경우, 상기 광센서에서 제공되는 감지정보를 토대로 상기 본체(110)에 태양광이 입사되면 주간으로 판별하여 상기 엘이디(122)의 작동을 정지시키되, 상기 태양광 발전부(160)에 의해 생성된 전기로 상기 해수전지 유닛(150)을 충전시키며, 상기 본체(110)에 태양광이 미입사되면 야간으로 판별하여 상기 엘이디(122)를 작동시킨다.
또한, 제어모듈(215)은 모드 선택부(214)에서 작동모드가 선택될 경우, 상기 표시광이 항시 발생되도록 상기 엘이디(122)를 작동시킨다. 또한, 제어모듈(215)은 모드 선택부(214)에서 정지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엘이디(122)의 작동은 정지시키되, 상기 지피에스 모듈(130)을 작동시킨다. 여기서, 제어모듈(215)은 상기 엘이디(122) 및 지피에스 모듈(130)의 작동을 모두 정지시킬 수도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구성된 스위치 유닛(211)은 내부 자석부(212) 및 외부자석을 이용하여 위치알림부(115)의 작동을 제어하므로 스위치를 설치하기 위해 본체(110)에 천공작업이 요구되지 않아 부유공간(112)에 대한 수밀을 유지할 수 있다.
한편, 도 6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해수전지가 마련된 독립형 부이(220)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해수전지가 마련된 독립형 부이(220)는 상기 유입구(114)를 통해 상기 해수공간(113)으로 유입되는 해수를 상기 해수전지 유닛(150)으로 유도할 수 있도록 상기 유입구(114)에 인접된 위치의 상기 본체(110) 내벽면에 형성된 가이드 부재(221)를 구비한다.
상기 가이드 부재(221)는 다수개가 인입구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호 이격되게 형성되며, 본체(110)의 내벽면에서 상기 해수전지 유닛(150) 측으로 소정길이 돌출되게 형성된다. 해류에 의해 해수공간(113)으로 인입된 해수는 가이드 부재(221)에 의해 해수전지 유닛(150) 측으로 유도되므로 해수전지 유닛(150)은 새로 해수공간(113)으로 유입된 해수와 접촉하여 전기 발생율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 7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해수전지가 마련된 독립형 부이(230)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해수전지가 마련된 독립형 부이(230)는 구형으로 형성되고, 해수에 부유시, 상기 유입구(114)가 해수면 하측에 위치될 수 있도록 상기 유입구(114)에 인접된 위치의 상기 본체(110)의 내벽면에 설치되며, 소정의 중량을 갖는 중량체(231)를 더 구비한다.
중량체(231)는 소정의 중량을 갖는 금속성 소재로 형성되며, 해수공간(113)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해류나 조류에 의해 본체(110)가 기울려지더라도 중량체(231)의 중량에 의해 유입구(114)가 해수면 아래에 위치되므로 보다 안정적으로 해수공간(113)으로 해수가 유입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해수전지가 마련된 독립형 부이
110: 본체
111: 격벽
112: 부유공간
113: 해수공간
114: 유입구
120: 위치알림부
121: 케이스
122: 엘이디
130: 지피에스 모듈
140: 환경정보 수집부
141: 온도센서
142: 카메라
150: 해수전지 유닛
160: 태양광 발전부

Claims (10)

  1. 해수에 부유할 수 있도록 소정의 부력을 갖도록 형성된 것으로서, 내부에 해수공간이 마련되고, 상기 해수공간으로 해수가 유입될 수 있도록 유입구가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의 위치를 알리는 위치알림부;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입사되는 태양광에 의해 전기를 생성하는 태양광 발전부; 및
    상기 해수공간으로 유입된 해수에 잠길 수 있도록 상기 해수공간 내에 설치되며, 해수와 반응하여 상기 태양광 발전부에서 제공되는 전기를 저장하고, 상기 위치알림부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저장된 전기를 상기 위치알림부에 제공하는 해수전지 유닛;을 구비하는,
    해수전지가 마련된 독립형 부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알림부는 상기 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본체에 대한 위치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위치정보를 관리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해수전지 유닛에서 전기를 공급받아 작동하는 지피에스 모듈을 구비하는,
    해수전지가 마련된 독립형 부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본체 주위의 환경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환경정보를 상기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환경정보 수집부;를 더 구비하는,
    해수전지가 마련된 독립형 부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환경정보 수집부는
    상기 본체가 부유하는 해수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에 설치된 온도센서; 및
    상기 본체 주위의 영상을 촬영하기 위해 상기 본체에 설치된 카메라;를 구비하는,
    해수전지가 마련된 독립형 부이.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피에스 모듈은 기설정된 설정시간 간격으로 상기 본체에 대한 위치정보를 상기 관리서버에 전송하는,
    해수전지가 마련된 독립형 부이.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피에스 모듈은 상기 본체가 조류에 의해 기설정된 기준거리 이상으로 이동되거나 기설정된 기준범위를 이탈하는 경우에 해당 본체에 대한 위치정보를 상기 관리서버에 전송하는,
    해수전지가 마련된 독립형 부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알림부는
    상기 본체의 외주면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며, 내부에 상기 지피에스 모듈이 설치될 수 있도록 설치공간이 마련되고, 광투과성 소재로 형성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본체의 위치를 알리기 위한 표시광을 생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엘이디;를 구비하는,
    해수전지가 마련된 독립형 부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알림부는 상기 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본체에 대한 위치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위치정보를 관리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해수전지 유닛에서 전기를 공급받아 작동하는 지피에스 모듈을 더 구비하고,
    상기 본체에 입사되는 태양광을 감지하기 위해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광센서;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며, 소정의 자력을 갖는 내부 자석부;
    상기 내부 자석부에 대향되는 상기 본체의 외주면에 부착되기 위해 상기 내부 자석부와 자력결합될 수 있도록 소정의 자력을 갖는 외부 자석;
    상기 내부 자석부에 대한 상기 외부 자석의 부착위치를 판별하고, 판별된 부착위치에 따라 작동모드, 정지모드 또는 자동모드 중 어느 한 모드를 선택하는 모드 선택부; 및
    상기 모드 선택부에서 상기 자동모드가 선택될 경우, 상기 광센서에서 제공되는 감지정보를 토대로 상기 본체에 태양광이 입사되면 상기 엘이디의 작동을 정지시키되, 상기 태양광 발전부에 의해 생성된 전기로 상기 해수전지 유닛을 충전시키며, 상기 본체에 태양광이 미입사되면 상기 엘이디를 작동시키고, 상기 모드 선택부에서 상기 작동모드가 선택될 경우, 상기 표시광이 항시 발생되도록 상기 엘이디를 작동시키고, 상기 모드 선택부에서 상기 정지모드가 선택될 경우, 상기 엘이디의 작동은 항시 정지시키되, 상기 지피에스 모듈을 작동시키거나 상기 엘이디 및 지피에스모듈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제어모듈;을 더 구비하는,
    해수전지가 마련된 독립형 부이.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를 통해 상기 해수공간으로 유입되는 해수를 상기 해수전지 유닛으로 유도할 수 있도록 상기 유입구에 인접된 위치의 상기 본체 내벽면에, 상기 해수전지 유닛 측으로 돌출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부재;를 더 구비하는,
    해수전지가 마련된 독립형 부이.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구형으로 형성되고, 해수에 부유시, 상기 유입구가 해수면 하측에 위치될 수 있도록 상기 유입구에 인접된 위치의 상기 본체의 내벽면에 소정의 중량을 갖는 중량체가 설치된,
    해수전지가 마련된 독립형 부이.







KR1020190049310A 2019-04-26 2019-04-26 해수전지가 마련된 독립형 부이 KR1022203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9310A KR102220376B1 (ko) 2019-04-26 2019-04-26 해수전지가 마련된 독립형 부이
EP20171377.3A EP3731319B1 (en) 2019-04-26 2020-04-24 Stand-alone buoy with seawater battery
US16/857,930 US11505287B2 (en) 2019-04-26 2020-04-24 Stand-alone buoy with seawater battery
JP2020078525A JP7062028B2 (ja) 2019-04-26 2020-04-27 海水電池が設けられた独立型ブ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9310A KR102220376B1 (ko) 2019-04-26 2019-04-26 해수전지가 마련된 독립형 부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5270A true KR20200125270A (ko) 2020-11-04
KR102220376B1 KR102220376B1 (ko) 2021-02-25

Family

ID=704649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9310A KR102220376B1 (ko) 2019-04-26 2019-04-26 해수전지가 마련된 독립형 부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505287B2 (ko)
EP (1) EP3731319B1 (ko)
JP (1) JP7062028B2 (ko)
KR (1) KR10222037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7021B1 (ko) * 2021-02-25 2022-07-05 주식회사 에스티엔 태양전지를 포함하는 다목적 부이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 양식장 사육환경 모니터링 시스템
KR20230139203A (ko) 2022-03-25 2023-10-05 이한구 위치 제어형 스파 부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918677A (zh) * 2021-04-02 2021-06-08 北京博观寰宇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更换海上浮标光伏电池的无人机
CN113612440B (zh) * 2021-07-27 2023-04-07 阳光新能源开发股份有限公司 光伏浮体方阵位置监测方法、系统、计算设备及存储介质
WO2023078497A1 (de) * 2021-11-04 2023-05-11 Karstens Jens Messgeräte-anker
CN116215762B (zh) * 2023-05-04 2023-10-13 山东鲁地建设发展有限公司 一种生态系统生态修复成效勘测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53888A (ja) * 2006-03-24 2007-10-04 Dounan Gyogyo Shizai Kk ブイおよびこのブイを用いた海洋環境モニタシステム
KR101236277B1 (ko) 2012-06-27 2013-02-26 대한민국 자가발전형 발광부자
KR20160142161A (ko) * 2015-06-02 2016-12-12 주식회사 다비전 태양광식 등부표
KR20170107673A (ko) * 2016-03-16 2017-09-26 문미라 태양광 조난 방지용 부표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497852A (en) * 1945-03-01 1950-02-21 Gilbert H Arenstein Transmitter buoy
JPS5286391U (ko) * 1975-12-23 1977-06-28
US4981453A (en) * 1989-03-31 1991-01-01 Litton Systems, Inc. Emergency transmitter buoy and bracket assembly
JPH0446301U (ko) * 1990-08-22 1992-04-20
US5395707A (en) * 1993-05-07 1995-03-07 Acr Electronics, Inc. Environmentally safe water-activated battery
US5362267A (en) * 1993-07-19 1994-11-08 Forrest Cynthia K Solar powered buoy
JPH0858678A (ja) * 1994-08-19 1996-03-05 Masahide Ichikawa 航路標識用浮き標識
JPH1118645A (ja) * 1997-07-07 1999-01-26 Jatco Corp 海洋移動体および海洋移動体管理システム
JP3341817B2 (ja) * 1997-08-18 2002-11-05 エヌイーシートーキン株式会社 海水電源システム
JP2000205859A (ja) 1999-01-18 2000-07-28 Natl Res Inst Of Agricultural Engineering 観測用ブイ
US6980228B1 (en) * 2001-03-29 2005-12-27 Bellsouth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Monitoring buoy system
JP2008184050A (ja) 2007-01-30 2008-08-14 Riyokuseishiya:Kk 船舶のブイへのアプローチ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CN101219704A (zh) * 2008-01-17 2008-07-16 秦皇岛耀华玻璃钢股份公司 双t型高弹性复合浮标
JP2009196503A (ja) * 2008-02-21 2009-09-03 Kenwood Corp 画像データ伝送ブイ
JP2011088577A (ja) * 2009-10-23 2011-05-06 Sankei:Kk 表示灯装置
WO2011132326A1 (ja) 2010-04-21 2011-10-27 株式会社大成化研 二次電池
JP2012109782A (ja) 2010-11-17 2012-06-07 Nec Casio Mobile Communications Ltd 無線通信装置
KR200471996Y1 (ko) * 2014-01-07 2014-03-28 이재홍 해수욕장 안전관리용 해상부이
WO2015187743A1 (en) * 2014-06-02 2015-12-10 California Institute Of Technology Controllable buoys and networked buoy system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53888A (ja) * 2006-03-24 2007-10-04 Dounan Gyogyo Shizai Kk ブイおよびこのブイを用いた海洋環境モニタシステム
KR101236277B1 (ko) 2012-06-27 2013-02-26 대한민국 자가발전형 발광부자
KR20160142161A (ko) * 2015-06-02 2016-12-12 주식회사 다비전 태양광식 등부표
KR20170107673A (ko) * 2016-03-16 2017-09-26 문미라 태양광 조난 방지용 부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7021B1 (ko) * 2021-02-25 2022-07-05 주식회사 에스티엔 태양전지를 포함하는 다목적 부이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 양식장 사육환경 모니터링 시스템
KR20230139203A (ko) 2022-03-25 2023-10-05 이한구 위치 제어형 스파 부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0376B1 (ko) 2021-02-25
EP3731319C0 (en) 2023-11-01
US11505287B2 (en) 2022-11-22
US20200339226A1 (en) 2020-10-29
EP3731319A1 (en) 2020-10-28
EP3731319B1 (en) 2023-11-01
JP2020200024A (ja) 2020-12-17
JP7062028B2 (ja) 2022-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20376B1 (ko) 해수전지가 마련된 독립형 부이
KR100650793B1 (ko) 부표
US8576665B2 (en) Underwater wireless sensor
KR102051547B1 (ko) Iot 기반 스마트 부표
KR101561172B1 (ko) 풍랑 및 장력을 이용해 자가발전하는 발전유닛을 구비한 등부표
KR101786043B1 (ko) 태양광식 등부표
JP2011088577A (ja) 表示灯装置
JP6851103B1 (ja) 水感知センサ及びこれに用いる水電池並びに冠水検知方法
JP2018124163A (ja) 水位計
KR101662477B1 (ko) 탄소섬유와 태양광을 이용한 발광부표
CN108844484B (zh) 一种全海深auv一体化控制舱及控制方法
KR100799323B1 (ko) 부표형 양식장 수질 관리 시스템
JP2001278183A (ja) ブ イ
KR20110055990A (ko) 태양광 발전 부표
CN212580084U (zh) 一种新型水运航道浮标
KR200468118Y1 (ko) 발광 부표
JPH039119Y2 (ko)
CN208559718U (zh) 水下航道警示装置
JP2003160095A (ja) 浮 標
KR102379117B1 (ko) 대기전력 소모량이 저감된 iot 스마트 부표
KR102448527B1 (ko) Iot 스마트 부표
KR102422659B1 (ko) 이차 전지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1875775B1 (ko) 태양광 발전형 표시 부상체
RU2706882C1 (ru) Радиобуй
CN210135914U (zh) 一种水上水文观测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