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5177A - Window cleaning system with different top and bottom forms using rainwater - Google Patents

Window cleaning system with different top and bottom forms using rainwat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25177A
KR20200125177A KR1020190049073A KR20190049073A KR20200125177A KR 20200125177 A KR20200125177 A KR 20200125177A KR 1020190049073 A KR1020190049073 A KR 1020190049073A KR 20190049073 A KR20190049073 A KR 20190049073A KR 20200125177 A KR20200125177 A KR 202001251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unit
cleaning
moving
rain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907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658710B1 (en
Inventor
김균태
전영훈
Original Assignee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건설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900490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8710B1/en
Publication of KR202001251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517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87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871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00Cleaning windows
    • A47L1/02Power-driven machines or devices
    • B08B1/002
    • B08B1/006
    • B08B1/04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1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leaning tool
    • B08B1/12Brus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1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leaning tool
    • B08B1/14Wipes; Absorbent members, e.g. swabs or sponges
    • B08B1/143Wi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3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by movement of cleaning members over a surface
    • B08B1/32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by movement of cleaning members over a surface using rotary cleaning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06Cabinets or cupboards specially adapted for cleaning articles by han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5/00Elements with teeth or friction surfaces for conveying motion; Worms, pulleys or sheaves for gearing mechanisms
    • F16H55/02Toothed members; Worms
    • F16H55/17Toothed whe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5/00Elements with teeth or friction surfaces for conveying motion; Worms, pulleys or sheaves for gearing mechanisms
    • F16H55/02Toothed members; Worms
    • F16H55/26Rac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2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with belts; with V-bel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18Means for guiding or supporting belts, ropes, or chains
    • F16H7/20Mountings for rollers or pulle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ndow cleaning device with different upper and lower shapes using rainwater. More specifically, provided is a window cleaning device with different upper and lower shapes using rainwater, which minimizes an uncleaned section of window glass to be cleaned by generating a relative stationary state of cleaning tools such as wipers or brushes in avoiding obstacles of the window glass with different upper and lower shapes, and which cleans the window with different upper and lower shapes using rainwater.

Description

빗물을 이용한 상하부 형태가 다른 유리창 청소 장치{Window cleaning system with different top and bottom forms using rainwater}Window cleaning system with different top and bottom forms using rainwater}

본 발명은 빗물은 이용한 상하부 형태가 다른 유리창 청소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하부 형태가 다른 유리창의 유리의 장애물을 회피하는 데 있어서 와이퍼나 브러쉬 등의 청소 도구에 상대적정지상태를 발생시켜 청소 대상이 되는 유리창 유리의 미청소구간을 최소화하면서 빗물을 이용하여 상하부 형태가 다른 유리창을 청소하는 빗물을 이용한 상하부 형태가 다른 유리창 청소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ndshield cleaning device with different top and bottom shapes using rainwater, and more particularly, cleaning by generating a relative standstill in cleaning tools such as wipers or brushes in avoiding obstacles of the glass of windows with different top and bottom shape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ndow cleaning device with different top and bottom shapes using rainwater to clean windows with different top and bottom shapes using rainwater while minimizing the uncleaned section of the target window glass.

종래의 유리창 청소 장치는 유리창의 장애물을 넘어갈 경우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필연적으로 미청소구간이 생겨 장치를 통한 유리창 청소에 이러한 단점을 가지고 있고, 이러한 단점으로 인해 2~3층에 위치한 병원 등 깔끔한 외관을 원하는 공간에 대한 수요 충족이 어려워지고, 곤돌라타입과 가이드레일 타입 등 건물 전체 청소를 위한 시스템은 비용이 과다하게 소요되며 특정부위에만 부착하기에 곤란하고, 창틀 등 장애물을 넘어가는 기능이 없어 평평한 창문에만 적용 가능하여 적용성에 한계가 있다.As shown in Fig. 1, when the conventional window cleaning device goes over the obstacle of the window, it inevitably creates an uncleaned section, which has such a disadvantage in cleaning the window through the device, and due to this disadvantage, hospitals located on the second to third floors, etc. It is difficult to meet the demand for a space that wants a clean appearance, and systems for cleaning the entire building, such as gondola type and guide rail type, are expensive and difficult to attach to specific areas, and have the ability to cross obstacles such as window frames. Because it can only be applied to flat windows, there is a limit in applicability.

따라서 유리창 청 장치 분야에 있어서는 상기 단점으로 인한 어려움과 한계 등을 해결해야 할 필요성이 있고, 이러한 필요성을 충족하기 위해 본 발명을 개발되었다.Therefore, there is a need to solve the difficulties and limitations due to the above disadvantages in the field of a glass window blue device, and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eloped to meet this need.

등록특허 10-1803946, 등록일자 2017년 11월 27일, '건물 외벽면 유리창 청소 장치'Registered patent 10-1803946, registration date November 27, 2017,'window cleaning device for exterior wall of buildings'

https://ko.wikipedia.org/wiki/%EB%8F%84%EB%A5%B4%EB%9E%98https://en.wikipedia.org/wiki/%EB%8F%84%EB%A5%B4%EB%9E%98 https://www.google.co.kr/search?q=LM%EA%B0%80%EC%9D%B4%EB%93%9C&rlz=1C1SQJL_koKR782KR782&oq=LM%EA%B0%80%EC%9D%B4%EB%93%9C&aqs=chrome..69i57j0l5.2951j0j7&sourceid=chrome&ie=UTF-8https://www.google.co.kr/search?q=LM%EA%B0%80%EC%9D%B4%EB%93%9C&rlz=1C1SQJL_koKR782KR782&oq=LM%EA%B0%80%EC%9D% B4%EB%93%9C&aqs=chrome..69i57j0l5.2951j0j7&sourceid=chrome&ie=UTF-8 https://www.google.co.kr/search?q=%EB%B2%A0%EB%B2%A8%EA%B8%B0%EC%96%B4&rlz=1C1SQJL_koKR782KR782&oq=%EB%B2%A0%EB%B2%A8%EA%B8%B0%EC%96%B4&aqs=chrome..69i57j0l5.1351j0j7&sourceid=chrome&ie=UTF-8https://www.google.co.kr/search?q=%EB%B2%A0%EB%B2%A8%EA%B8%B0%EC%96%B4&rlz=1C1SQJL_koKR782KR782&oq=%EB%B2%A0% EB%B2%A8%EA%B8%B0%EC%96%B4&aqs=chrome..69i57j0l5.1351j0j7&sourceid=chrome&ie=UTF-8 http://www.thk.com/sites/default/files/documents/kr_pdf/500-5k/LMguide/500-5K1_A01_LMGuide_300_372.pdfhttp://www.thk.com/sites/default/files/documents/kr_pdf/500-5k/LMguide/500-5K1_A01_LMGuide_300_372.pdf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하부 형태가 다른 유리창의 유리의 장애물을 회피하는데 있어서 와이퍼나 브러쉬 등의 청소 도구에 상대적정지상태를 발생시켜 청소 대상이 되는 유리창의 장애물 옆의 유리까지 빠짐없이 빗물을 이용하여 상하부 형태가 다른 유리창을 청소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 and in avoiding the obstacles of the glass windows of different upper and lower shapes, the obstacles of the window to be cleaned by generating a relative stop state in the cleaning tool such as a wiper or brush It is possible to clean windows with different top and bottom shapes using rainwater without missing the side glass.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빗물을 이용한 상하부 형태가 다른 유리창 청소 장치는, 상하부 형태가 다른 유리창 청소 장치에 있어서, 청소부(200)가 유리창을 청소하며 이동할 수 있도록 동력을 발생시키고 발생된 동력을 이동부(300)로 전달하는 구동부(100); 이동부(300)를 통해 상하의 형태가 다른 유리창의 좌 또는 우로 이동하고, 와이퍼(231c, 231d)와 브러쉬(231a, 231b)의 상대적정지상태를 만들고 와이퍼(231c, 231d)와 브러쉬(231a, 231b)를 상기 유리창의 유리로부터 후진시키는 것을 통해 상기 유리창의 장애물을 피하면서도 와이퍼(231c, 231d)와 브러쉬(231a, 231b)를 통해 상기 유리창의 장애물 옆의 유리부분까지 청소하고, 상기 유리창의 장애물을 피한 직후에도 와이퍼(231c, 231d)와 브러쉬(231a, 231b)의 상대적정지상태를 만들고 와이퍼(231c, 231d)와 브러쉬(231a, 231b)를 상기 유리창의 유리로 전진시키는 것을 통해 상기 유리창의 장애물 옆의 유리부분까지 청소하는 청소부(200); 상기 구동부(100)의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청소부(200)를 좌 또는 우로 이동시키는 이동부(300); 및 상기 구동부(100)를 제어하여 상기 청소부(200)가 상기 유리창의 좌 또는 우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청소부(200)를 제어하여 상기 유리창에 장애물이 확인되면 와이퍼(231c, 231d)와 브러쉬(231a, 231b)의 상기 상대적정지상태를 만들어 상기 유리창의 장애물을 피하면서도 와이퍼(231c, 231d)와 브러쉬(231a, 231b)를 통해 상기 유리창의 장애물 옆의 유리부분까지 청소할 수 있도록 제어하며, 빗물수집부(250)로부터 빗물정보를 전송받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상대적정지상태는, 상기 청소부(200)가 상기 구동부(100)의 동력을 이용한 상기 이동부(300)를 통해 이동하는 경우 상기 유리창의 장애물 양 옆의 유리에서 상기 구동부(100)가 동력의 생산을 멈추지 않아 상기 청소부(200)가 계속 이동하더라도 상기 청소부(200)의 와이퍼(231c, 231d)와 브러쉬(231a, 231b)를 상기 청소부(200)가 이동하는 방향의 반대 방향 및 상기 청소부(200)가 이동하는 속도와 동일한 속도로 이동하게 하여 상기 청소부(200)의 와이퍼(231c, 231d)와 브러쉬(231a, 231b)가 상기 유리창의 장애물 옆의 유리에 멈춰 있는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A window cleaning device having a different top and bottom shape using rainwa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 a window cleaning device having a different top and bottom shape, generates power so that the cleaning unit 200 can move while cleaning the window A driving unit 100 for transmitting the generated power to the moving unit 300; Moving part 300 moves to the left or right of a window with different vertical shapes, and creates a relative stop state of the wipers 231c, 231d and brushes 231a, 231b, and the wipers 231c, 231d and brushes 231a, 231b ) To avoid the obstacle of the window by moving backward from the glass of the window, and clean up to the glass portion next to the obstacle of the window through the wiper (231c, 231d) and brushes (231a, 231b), and remove the obstacle of the window. Immediately after avoiding, the wiper (231c, 231d) and brushes (231a, 231b) are in a relative stop state, and the wiper (231c, 231d) and brushes (231a, 231b) are moved forward to the glass of the window, so that the side of the obstacle of the window is Cleaning unit 200 for cleaning up to the glass portion of the; A moving unit 300 for moving the cleaning unit 200 to the left or right by receiving power from the driving unit 100; And controlling the driving unit 100 so that the cleaning unit 200 can move to the left or right of the window, and when an obstacle is identified in the window by controlling the cleaning unit 200, wipers 231c and 231d and a brush ( 231a, 231b), while avoiding the obstacles of the windowpane by making the relative standstill state of the windowpane, through the wiper (231c, 231d) and brushes (231a, 231b) to clean the glass portion next to the obstacle of the windowpane, and collect rainwater Includes a control unit for receiving rainwater information from the unit 250, wherein the relative stop state of the window when the cleaning unit 200 moves through the moving unit 300 using the power of the driving unit 100 Even if the driving unit 100 does not stop producing power in the glass on both sides of the obstacle and the cleaning unit 200 continues to move, the wipers 231c and 231d and the brushes 231a and 231b of the cleaning unit 200 are connected to the cleaning unit ( The wiper (231c, 231d) and brushes (231a, 231b) of the cleaning unit 200 are moved at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moving direction of 200 and the same speed as the moving speed of the cleaning unit 200.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stopped by the side glass.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구동부(100)는, 상기 이동부(300)에 전달할 동력을 생산하는 구동모터(110); 상기 구동모터(110)가 생산한 동력을 전달받아 타이밍벨트를 통해 구동제2도르래(130)에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제1도르래(120); 상기 구동제1도르래(120)로부터 전달받은 동력을 구동제2도르래(130)의 중앙에 결합된 구동축에 전달하는 구동제2도르래(130); 구동제3도르래(150)의 중앙에 결합되고 상기 구동제2도르래(130)를 통해 전달받은 동력을 구동제3도르래(150)에 전달하는 구동축(140); 및 상기 구동축(140)의 양 단에 결합되어 상기 구동축(140)을 통해 전달받은 동력을 상기 이동부(300)에 전달하는 구동제3도르래(1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riving unit 100 includes a driving motor 110 for producing power to be transmitted to the moving unit 300; A first driving pulley 120 for receiving the power produced by the driving motor 110 and transmitting the power to the second driving pulley 130 through a timing belt; A driving second pulley 130 for transmitting the power received from the driving first pulley 120 to a driving shaft coupled to the center of the driving second pulley 130; A driving shaft 140 coupled to the center of the driving third pulley 150 and transmitting the power transmitted through the driving second pulley 130 to the driving third pulley 150; And a driving third pulley 150 coupled to both ends of the driving shaft 140 to transmit the power received through the driving shaft 140 to the moving part 300.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청소부(200)는, 상기 이동부(300)를 통해 상기 유리창의 좌 또는 우로 이동하고, 상기 와이퍼(231c, 231d)와 상기 브러쉬(231a, 231b)의 상기 상대적정지상태를 발생시키는 청소이동부(210); 상기 와이퍼(231c, 231d)와 상기 브러쉬(231a, 231b)의 상기 상대적정지상태를 발생시키기 위한 동력을 생성하여 상기 청소이동부(210)에 전달하는 상대적정지상태구동부(220); 상기 와이퍼(231c, 231d)와 상기 브러쉬(231a, 231b)를 통해 상기 유리창을 청소하기 위해 상기 와이퍼(231c, 231d)와 상기 브러쉬(231a, 231b)를 상기 유리창의 상부 또는 하부의 유리에 닿게 하기 위해 상기 와이퍼(231c, 231d)와 상기 브러쉬(231a, 231b)를 상기 유리창 상부 또는 하부의 유리에 상하별도로 전진하고, 상기 유리창의 장애물을 피하기 위해 상기 와이퍼(231c, 231d)와 상기 브러쉬(231a, 231b)를 상기 유리창 상부 또는 하부의 유리에서 떨어지게 하기 위해 상기 와이퍼(231c, 231d)와 상기 브러쉬(231a, 231b)를 상기 유리창 상부 또는 하부의 유리에서 상하별도로 후진하는 청소도구선택부(230); 동력을 생산하고 생산된 동력을 상기 브러쉬(231a, 231b)에 전달하여 상기 브러쉬(231a, 231b)를 회전하게 하는 청소구동부(240); 상기 청소이동부(210)를 통해 이동하는 방향의 장애물을 탐지하는 장애물탐지부; 빗물을 수집하고, 수집된 빗물이 일정량 이상이 되면 상기 제어부에 빗물정보를 전송하고 수집된 빗물을 빗물제공부(260)로 전달하는 빗물수집부(250); 및 상기 빗물수집부(250)로부터 빗물을 전달받을 경우 상기 유리창 상부 유리의 상부에 분사해주는 빗물제공부(2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leaning unit 200 moves to the left or right of the window through the moving unit 300, and the wiper 231c, 231d and the brush 231a, 231b A cleaning moving unit 210 generating a relative stationary state; A relative stationary state driving unit 220 for generating power for generating the relative stationary state of the wipers 231c and 231d and the brushes 231a and 231b, and transmitting the power to the cleaning moving unit 210; The wiper (231c, 231d) and the brush (231a, 231b) to clean the window through the wiper (231c, 231d) and the brush (231a, 231b) to contact the upper or lower glass of the window In order to move the wiper (231c, 231d) and the brushes (231a, 231b) up and down separately on the glass above or below the window, the wiper (231c, 231d) and the brush (231a, in order to avoid obstacles of the window) A cleaning tool selection unit 230 for moving the wiper 231c and 231d and the brushes 231a and 231b separately from the upper or lower glass of the window so as to separate 231b) from the upper or lower glass of the window; A cleaning drive unit 240 for generating power and transmitting the generated power to the brushes 231a and 231b to rotate the brushes 231a and 231b; An obstacle detecting unit for detecting an obstacle in a direction moving through the cleaning moving unit 210; A rainwater collection unit 250 that collects rainwater and transmits rainwater information to the control unit when the collected rainwater reaches a predetermined amount and transmits the collected rainwater to the rainwater providing unit 260; And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rainwater supply unit 260 for spraying to the upper portion of the upper glass of the window when receiving rainwater from the rainwater collecting unit 250.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빗물수집부(250)는, 빗물저장공간(251)에 수집된 빗물의 빗물량을 주기적으로 측정하는 빗물측정 센서; 및 물막음 칸막이(252)를 개폐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빗물측정 센서가 측정한 빗물량이 일정량 이상일 경우 제어부로 빗물정보를 전송하는 빗물수집부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ainwater collection unit 250 includes a rainwater measurement sensor that periodically measures the amount of rainwater collected in the rainwater storage space 251; And a rainwater collecting unit control unit that controls to open and close the water blocking partition 252, and transmits rainwater information to the control unit when the amount of rainwater measured by the rainwater measurement sensor is higher than a certain amount.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청소이동부(210)는, 상기 상대적정지상태구동부(22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피니언(212)에 전달하는 베벨기어(211); 상기 베벨기어(211)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레크(213)를 상기 청소부(200)의 이동방향 또는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피니언(212); 상대적정지상태부(214)와 상보적으로 결합되어 상기 피니언(212)을 통해 움직이기 되면 상기 상대적정지상태부(214)를 상기 피니언(212)과 같은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레크(213); 상기 레크(213)를 통해 이동하여 상기 와이퍼(231c, 231d)와 상기 브러쉬(231a, 231b)의 상기 상대적정지상태를 만드는 상대적정지상태부(214); 및 상기 이동부(300)를 따라 상기 청소부(200)를 이동시키는 청소본체이동부(21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leaning moving unit 210 may include a bevel gear 211 receiving power from the relative stationary driving unit 220 and transmitting the power to the pinion 212; A pinion 212 that receives power from the bevel gear 211 and moves the leg 213 in the moving direction or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cleaning unit 200; A rack 213 that is complementarily coupled to the relative stationary state part 214 and moves the relative stationary state part 214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pinion 212 when it is moved through the pinion 212; A relative stop state unit 214 moving through the rake 213 to create the relative stop state of the wiper 231c and 231d and the brushes 231a and 231b; And a cleaning main body moving part 215 for moving the cleaning part 200 along the moving part 300.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상대적정지상태구동부(220)는, 동력전달부(222)를 통해 상기 청소이동부(210)에 상기 상대적정지상태를 위한 동력을 전달하기 위해 상기 동력을 생성하는 모터(221); 및 상기 모터(221)가 생성한 동력을 상기 청소이동부(210)에 전달하는 동력전달부(2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lative stationary state driving unit 220 generates the power to transmit the power for the relative stationary state to the cleaning moving unit 210 through the power transmission unit 222. Motor 221; And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ower transmission unit 222 for transmitting the power generated by the motor 221 to the cleaning moving unit 210.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청소도구선택부(230)는, 상하의 형태가 다른 유리창 상하에 별도로 구성되어 상기 유리창을 회전하며 청소하는 브러쉬(231a, 231b); 상하의 형태가 다른 유리창 상하에 별도로 구성되어 브러쉬동작모터커플링(233a)을 통해 브러쉬동작모터(232a)에 연결된 축에 동력을 전달하기 위해 동력을 생성하는 브러쉬동작모터(232a); 상하의 형태가 다른 유리창 상하에 별도로 구성되어 상기 브러쉬동작모터(232a)가 생성한 동력을 상기 브러쉬동작모터(232a)에 연결된 축에 전달하는 브러쉬동작모터커플링(233a); 상하의 형태가 다른 유리창 상하에 별도로 구성되어 상기 브러쉬동작모터커플링(233a)를 통해 상기 브러쉬동작모터(232a)에 연결된 축과 연결되어 브러쉬이동축(235a)을 상기 유리창의 유리로 전진 또는 후진시키는 브러쉬피니언(234a); 상하의 형태가 다른 유리창 상하에 별도로 구성되어 상기 브러쉬(231a, 231b)가 상기 브러쉬이동축(235a)의 유리창 방향 끝단에 부착되고 상기 브러쉬피니언(234a)을 통해 상기 유리창의 유리로 전진 또는 후진하는 경우 상기 브러쉬(231a, 231b)를 상기 유리창의 유리로 전진 또는 후진시키는 브러쉬이동축(235a); 상하의 형태가 다른 유리창 상하에 별도로 구성되어 상기 유리창을 쓸어가며 청소하는 와이퍼(231c, 231d); 상하의 형태가 다른 유리창 상하에 별도로 구성되어 와이퍼동작모터커플링(233c)을 통해 와이퍼동작모터(232c)에 연결된 축에 동력을 전달하기 위해 동력을 생성하는 와이퍼동작모터(232c); 상하의 형태가 다른 유리창 상하에 별도로 구성되어 상기 와이퍼동작모터(232c)가 생성한 동력을 상기 와이퍼동작모터(232c)에 연결된 축에 전달하는 와이퍼동작모터커플링(233c); 상하의 형태가 다른 유리창 상하에 별도로 구성되어 상기 와이퍼동작모터커플링(233c)를 통해 상기 와이퍼동작모터(232c)에 연결된 축과 연결되어 와이퍼이동축(235c)을 상기 유리창의 유리로 전진 또는 후진시키는 와이퍼피니언(234c); 및 상하의 형태가 다른 유리창 상하에 별도로 구성되어 상기 와이퍼(231c, 231d)가 상기 와이퍼이동축(235c)의 유리창 방향 끝단에 부착되고 상기 와이퍼피니언(234c)을 통해 상기 유리창의 유리로 전진 또는 후진하는 경우 상기 와이퍼(231c, 231d)를 상기 유리창의 유리로 전진 또는 후진시키는 와이퍼이동축(235c)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leaning tool selection unit 230 includes brushes (231a, 231b) configured separately above and below the windows having different top and bottom shapes to rotate and clean the windows; A brush motion motor (232a) which is configured separately above and below the glass windows having different top and bottom shapes to generate power to transmit power to the shaft connected to the brush motion motor (232a) through the brush motion motor coupling (233a); A brush motion motor coupling (233a) configured separately above and below the glass windows having different top and bottom shapes to transmit the power generated by the brush motion motor (232a) to a shaft connected to the brush motion motor (232a); A brush that is configured separately on the top and bottom of the window of different shapes and is connected to the shaft connected to the brush motion motor 232a through the brush motion motor coupling 233a to advance or reverse the brush moving shaft 235a to the glass of the window Pinion 234a; When the brush (231a, 231b) is attached to the end of the window in the direction of the window of the brush movement shaft (235a) and moves forward or backward through the brush pinion (234a) to the glass window Brush movement shaft (235a) for moving the brushes (231a, 231b) forward or backward to the glass of the glass window; Wipers (231c, 231d) configured separately above and below the windows of different shapes of the top and bottom to sweep and clean the windows; A wiper operation motor (232c) which is configured separately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different windows and generates power to transmit power to the shaft connected to the wiper operation motor (232c) through the wiper operation motor coupling (233c); A wiper operation motor coupling (233c) configured separately above and below the glass windows having different vertical shapes to transmit the power generated by the wiper operation motor (232c) to a shaft connected to the wiper operation motor (232c); A wiper configured separately on the top and bottom of a window of different shape and connected to a shaft connected to the wiper operation motor 232c through the wiper operation motor coupling 233c to advance or reverse the wiper moving shaft 235c to the glass of the window pane Pinion 234c; And when the wipers 231c and 231d are attached to the ends of the wiper moving shaft 235c in the direction of the window, and advance or reverse to the glass of the window through the wiper pinion 234c.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wiper moving shaft (235c) for moving the wiper (231c, 231d) forward or backward to the glass of the window.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이동부(300)는, 상기 구동부(100)로부터 전달받은 동력을 상기 청소부(200)가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청소부(200)에 전달하는 이동타이밍벨트(310); 상기 구동부(100)의 반대편에 위치하고 상기 이동타이밍벨트(310)를 통해 감싸져서 상기 이동타이밍벨트(310)가 움직일 경우 회전하는 이동도르래(320); 및 상기 청소부(200)가 상기 이동타이밍벨트(310)를 통해 이동할 경우 상기 청소부(200)의 이동을 안내하는 이동가이드부(3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ving part 300 is a moving timing belt 310 that transmits the power received from the driving part 100 to the cleaning part 200 so that the cleaning part 200 can move. ; A moving pulley 320 positioned opposite the driving unit 100 and wrapped through the moving timing belt 310 to rotate when the moving timing belt 310 moves; And a movement guide unit 330 for guiding the movement of the cleaning unit 200 when the cleaning unit 200 moves through the movement timing belt 310.

본 발명에 따르면 상하부 형태가 다른 유리창의 유리의 장애물을 회피하는 데 있어서 와이퍼나 브러쉬 등의 청소 도구에 상대적정지상태를 발생시켜 청소 대상이 되는 유리창의 장애물 옆의 유리까지 빠짐없이 빗물을 이용하여 상하부 형태가 다른 유리창을 청소하는 것을 통해 유리창에 장애물 옆 유리의 미청소구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voiding the obstacles of the glass windows of different upper and lower shapes, a relative stop state is generated in a cleaning tool such as a wiper or brush, so that the upper and lower parts of the glass window to be cleaned are also used without missing rain. By cleaning windows of different shapes, there is an effect of minimizing the uncleaned section of the glass next to obstacles in the window.

도 1은 종래 유리창 청소 장치의 청소 방법을 나타내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하부 형태가 다른 유리창 청소 장치를 나타내기 위한 예시도로 도 2(a)는 상하부 형태가 다른 유리창에 부착된 유리창 청소 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2(b)는 도 2(a)의 좌측면도 이고, 도 2(c)는 도 2(a)의 우측면도 이고, 도 2(d)는 도 2(a)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하부 형태가 다른 유리창 청소 장치를 나타내기 위한 예시도로 도 2(b)의 A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하부 형태가 다른 유리창 청소 장치를 나타내기 위한 예시도로 도 2(c)에 청소이동부(210)의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하부 형태가 다른 유리창 청소 장치를 나타내기 위한 예시도로 도 2(a)에 청소이동부(210)의 상대적정지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확대도이고, 도 5(a)는 청소 장치가 우로 이동중의 상대적정지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5(b)는 청소 장치의 상대적정지상태가 없는 예시도이고, 도 5(c)는 청소 장치가 좌로 이동중의 상대적정지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하부 형태가 다른 유리창 청소 장치를 나타내기 위한 예시도로 도 2(c)에 상대적정지상태구동부(220)의 확대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하부 형태가 다른 유리창 청소 장치를 나타내기 위한 예시도로 도 2(c)에 브러쉬에 대한 청소도구선택부(230)의 확대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하부 형태가 다른 유리창 청소 장치를 나타내기 위한 예시도로 도 2(c)에 와이퍼에 대한 청소도구선택부(230)의 확대도이다.
도 9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하부 형태가 다른 유리창 청소 장치를 제어부가 제어하는 순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리창 청소 장치를 나타내기 위한 예시도로 도 2(c)에 빗물수집부(250) 및 빗물제공부(260)의 확대도이다.
1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cleaning method of a conventional window cleaning apparatus.
FIG. 2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window cleaning apparatus having different upper and lower shap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a) is a front view of a window cleaning apparatus attached to a window having a different upper and lower shape, and FIG. 2(b) Is a left side view of FIG. 2(a), FIG. 2(c) is a right side view of FIG. 2(a), and FIG. 2(d) is a plan view of FIG. 2(a).
FIG. 3 is an enlarged view of part A of FIG. 2(b) a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window cleaning apparatus having different upper and lower shap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n enlarged view of the cleaning moving part 210 in FIG. 2(c) a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window cleaning apparatus having different upper and lower shap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window cleaning device having different upper and lower shap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an enlarged view showing a relative stop state of the cleaning moving part 210 in FIG. 2(a), and FIG. a)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a relative stop state while the cleaning device is moving to the right, Figure 5(b) is an exemplary view without a relative stop state of the cleaning device, and Figure 5(c) is a relative stop while the cleaning device is moving to the left It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the state.
6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window cleaning apparatus having different upper and lower shap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an enlarged view of the relative stop driving unit 220 in FIG. 2(c).
FIG. 7 is an exploded view of a cleaning tool selection unit 230 for a brush in FIG. 2(c) a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window cleaning apparatus having different top and bottom shap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n exploded view of the cleaning tool selection unit 230 for a wiper in FIG. 2(c) a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window cleaning apparatus having different top and bottom shap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flowchart of a control unit controlling a window cleaning apparatus having different top and bottom shap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n enlarged view of the rainwater collecting unit 250 and the rainwater providing unit 260 in FIG. 2C a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window clean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하기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항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Prior to describing specific details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or words used in the specification and claims may be appropriately defined by the inventor in order to describe his or her own invention in the best way. Based on the principle that there is, it should be interpreted as a meaning and concept corresponding to the technical matters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본 발명에 관련된 공지 기능 및 그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였음에 유의해야 할 것이다.In addi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thereof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not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has been omitted.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빗물을 이용한 상하부 형태가 다른 유리창 청소 장치에 관해 도 2 내지 9를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n apparatus for cleaning windows having different upper and lower shapes using rainwat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2 to 9.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하부 형태가 다른 유리창 청소 장치를 나타내기 위한 예시도로 도 2(a)는 상하부 형태가 다른 유리창에 부착된 유리창 청소 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2(b)는 도 2(a)의 좌측면도이고, 도 2(c)는 도 2(a)의 우측면도이고, 도 2(d)는 도 2(a)의 평면도이다.FIG. 2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window cleaning apparatus having different upper and lower shap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a) is a front view of a window cleaning apparatus attached to a window having a different upper and lower shape, and FIG. 2(b) Is a left side view of FIG. 2(a), FIG. 2(c) is a right side view of FIG. 2(a), and FIG. 2(d) is a plan view of FIG. 2(a).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하부 형태가 다른 유리창 청소 장치를 나타내기 위한 예시도로 도 2(a)에 청소이동부(210)의 상대적정지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확대도이고, 도 5(a)는 청소 장치가 우로 이동중의 상대적정지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5(b)는 청소 장치의 상대적정지상태가 없는 예시도이고, 도 5(c)는 청소 장치가 좌로 이동중의 상대적정지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5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window cleaning device having different upper and lower shap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an enlarged view showing a relative stop state of the cleaning moving part 210 in FIG. 2(a), and FIG. a)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a relative stop state while the cleaning device is moving to the right, Figure 5(b) is an exemplary view without a relative stop state of the cleaning device, and Figure 5(c) is a relative stop while the cleaning device is moving to the left It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the state.

도 9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하부 형태가 다른 유리창 청소 장치를 제어부가 제어하는 순서도이다.9 is a flowchart of a control unit controlling a window cleaning apparatus having different top and bottom shap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리창 청소 장치를 나타내기 위한 예시도로 도 2(c)에 빗물수집부(250) 및 빗물제공부(260)의 확대도이다.FIG. 10 is an enlarged view of the rainwater collecting unit 250 and the rainwater providing unit 260 in FIG. 2C a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window clean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하부 형태가 다른 유리창 청소 장치에 있어서, 청소부(200)가 유리창을 청소하며 이동할 수 있도록 동력을 발생시키고 발생된 동력을 이동부(300)로 전달하는 구동부(100)와 이동부(300)를 통해 상하의 형태가 다른 유리창의 좌 또는 우로 이동하고, 와이퍼(231c, 231d)와 브러쉬(231a, 231b)의 상대적정지상태를 만들고 와이퍼(231c, 231d)와 브러쉬(231a, 231b)를 상기 유리창의 유리로부터 후진시키는 것을 통해 상기 유리창의 장애물을 피하면서도 와이퍼(231c, 231d)와 브러쉬(231a, 231b)를 통해 상기 유리창의 장애물 옆의 유리부분까지 청소하고, 상기 유리창의 장애물을 피한 직후에도 와이퍼(231c, 231d)와 브러쉬(231a, 231b)의 상대적정지상태를 만들고 와이퍼(231c, 231d)와 브러쉬(231a, 231b)를 상기 유리창의 유리로 전진시키는 것을 통해 상기 유리창의 장애물 옆의 유리부분까지 청소하는 청소부(200)와 상기 구동부(100)의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청소부(200)를 좌 또는 우로 이동시키는 이동부(300)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구동부(100)를 제어하여 상기 청소부(200)가 상기 유리창의 좌 또는 우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청소부(200)를 제어하여 상기 유리창에 장애물이 확인 되면 와이퍼(231c, 231d)와 브러쉬(231a, 231b)의 상기 상대적정지상태를 만들어 상기 유리창의 장애물을 피하면서도 와이퍼(231c, 231d)와 브러쉬(231a, 231b)를 통해 상기 유리창의 장애물 옆의 유리부분까지 청소할 수 있도록 제어하며, 빗물수집부(250)로부터 빗물정보를 전송받는 제어부(미도시)로 이루어지되, 사용자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빗물수집부(250)로부터 빗물정보를 전송받을 경우, 휴대단말기 또는 단말기를 통해서 제어부에 제어신호를 입력하여 상기 빗물수집부(250)의 빗물수집부 제어부를 제어하여 물막음 칸막이(252)를 개방하여 빗물저장공간(251)에 저장되어 있는 빗물을 빗물제공부(260)로 전달하고 상기 빗물제공부(260)를 구동하여 빗물을 상기 유리창 상부 또는 하부 유리의 상부로 분사 시키도록 하면서, 상기 구동부(100)를 제어하여 상기 청소부(200)가 유리창의 좌 또는 우로 이동하면서 유리창을 청소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2, in the window cleaning apparatus having different upper and lower shapes, the driving unit 100 generates power so that the cleaning unit 200 can move while cleaning the window and transmits the generated power to the moving unit 300 And the moving unit 300 to move to the left or right of the window of the upper and lower shapes of different, to create a relative stop state of the wiper (231c, 231d) and brushes (231a, 231b), wiper (231c, 231d) and brush (231a, While avoiding the obstacle of the window by moving 231b) backward from the glass of the window, cleaning the glass portion next to the obstacle of the window through the wiper (231c, 231d) and brushes (231a, 231b), and the obstacle of the window Even immediately after avoiding, the obstacle of the window is made by making a relative stop state of the wiper (231c, 231d) and the brushes (231a, 231b) and moving the wiper (231c, 231d) and the brushes (231a, 231b) to the glass of the window pane. A cleaning unit 200 for cleaning up to a side glass portion, a moving unit 300 for moving the cleaning unit 200 to the left or right by receiving power from the driving unit 100, and the driving unit ( 100) so that the cleaning unit 200 can move to the left or right of the window, and when an obstacle is identified in the window by controlling the cleaning unit 200, wipers 231c and 231d and brushes 231a and 231b While avoiding the obstacle of the window by making the relative stop state of the window, the wiper (231c, 231d) and the brush (231a, 231b) control to clean up to the glass portion next to the obstacle of the window, and rainwater collecting unit 250 It consists of a control unit (not shown) that receives rainwater information from the rainwater collection unit 250, and the user inputs a control signal to the control unit through a mobile terminal or a terminal to receive the rainwater information. By controlling the rainwater collecting unit control unit of the collecting unit 250 to open the water blocking partition 252 The rainwater stored in the rainwater storage space 251 is transferred to the rainwater providing unit 260 and the rainwater providing unit 260 is driven to spray rainwater to the upper or lower glass of the window, while the driving unit ( By controlling 100), the cleaning unit 200 may be controlled to clean the window while moving to the left or right of the window.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빗물수집부 제어부는 유리창의 청소가 종료되고 상기 청소부(200)가 다시 원점으로 이동하면, 상기 빗물수집부(250)의 물막음 칸막이(252)를 다시 폐쇄상태로 변환시킨다. In addition, preferably, when the cleaning of the windshield is finished and the cleaning unit 200 moves back to the origin, the rainwater collecting unit control unit converts the water blocking partition 252 of the rainwater collecting unit 250 back to a closed state.

아울러, 상기 빗물제공부(260)는 상기 빗물수집부(250)로부터 전달된 빗물을 회전하여 튕겨내어 소량의 빗물일지라도 유리창의 상부로 골고루 제공한다. In addition, the rainwater providing unit 260 rotates and bounces the rainwater transmitted from the rainwater collection unit 250 to evenly provide even a small amount of rainwater to the upper portion of the window.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상대적정지상태는 상기 청소부(200)가 상기 구동부(100)의 동력을 이용한 상기 이동부(300)를 통해 이동하는 경우 상기 유리창의 장애물 양 옆의 유리에서 상기 구동부(100)가 동력의 생산을 멈추지 않아 상기 청소부(200)가 계속 이동하더라도 상기 청소부(200)의 와이퍼(231c, 231d)와 브러쉬(231a, 231b)를 상기 청소부(200)가 이동하는 방향의 반대 방향 및 상기 청소부(200)가 이동하는 속도와 동일한 속도로 이동하게 하여 상기 청소부(200)의 와이퍼(231c, 231d)와 브러쉬(231a, 231b)가 상기 유리창의 장애물 옆의 유리에 멈춰 있는 상태이다.As shown in Figure 5, the relative stop state is when the cleaning unit 200 moves through the moving unit 300 using the power of the driving unit 100, the driving unit in the glass on both sides of the obstacle of the window. Even if the cleaning unit 200 continues to move because 100 does not stop producing power, the wipers 231c, 231d and brushes 231a, 231b of the cleaning unit 200 are opposite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cleaning unit 200 moves. The wiper (231c, 231d) and brushes (231a, 231b) of the cleaning unit 200 are moved at the same speed as the direction and the moving speed of the cleaning unit 200 is stopped on the glass next to the obstacle of the window. .

이때, 도 2(c) 및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청소부(200)는 상기 이동부(300)를 통해 상기 유리창의 좌 또는 우로 이동하고, 상기 와이퍼(231c, 231d)와 상기 브러쉬(231a, 231b)의 상기 상대적정지상태를 발생시키는 청소이동부(210)와 상기 와이퍼(231c, 231d)와 상기 브러쉬(231a, 231b)의 상기 상대적정지상태를 발생시키기 위한 동력을 생성하여 상기 청소이동부(210)에 전달하는 상대적정지상태구동부(220)와 상기 와이퍼(231c, 231d)와 상기 브러쉬(231a, 231b)를 통해 상기 유리창을 청소하기 위해 상기 와이퍼(231c, 231d)와 상기 브러쉬(231a, 231b)를 상기 유리창 상부 또는 하부의 유리에 닿게 하기 위해 상기 와이퍼(231c, 231d)와 상기 브러쉬(231a, 231b)를 상기 유리창 상부 또는 하부의 유리에 상하별도로 전진하고, 상기 유리창의 장애물을 피하기 위해 상기 와이퍼(231c, 231d)와 상기 브러쉬(231a, 231b)를 상기 유리창 상부 또는 하부의 유리에서 떨어지게 하기 위해 상기 와이퍼(231c, 231d)와 상기 브러쉬(231a, 231b)를 상기 유리창 상부 또는 하부의 유리에서 상하별도로 후진하는 청소도구선택부(230)와 동력을 생산하고 생산된 동력을 상기 브러쉬(231a, 231b)에 전달하여 상기 브러쉬(231a, 231b)를 회전하게 하는 청소구동부(240)와 상기 청소이동부(210)를 통해 이동하는 방향의 장애물을 탐지하는 장애물탐지부(미도시)와 빗물을 수집하고, 수집된 빗물이 일정량 이상이 되면 상기 제어부에 빗물정보를 전송하고 수집된 빗물을 빗물제공부(260)로 전달하는 빗물수집부(250) 및 상기 빗물수집부(250)로부터 빗물을 전달받을 경우 상기 유리창 상부 유리의 상부에 분사해주는 빗물제공부(260)로 이루어 진다. 또한, 상기 빗물수집부(250)는 빗물저장공간(251)에 수집된 빗물의 빗물량을 주기적으로 측정하는 빗물측정 센서 및 물막음 칸막이(252)를 개폐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빗물측정 센서가 측정한 빗물량이 일정량 이상일 경우 제어부로 빗물정보를 전송하는 빗물수집부 제어부를 더 포함하여서 구성된다.At this time, as shown in Figs. 2(c) and 10, the cleaning unit 200 moves to the left or right of the window through the moving unit 300, and the wiper 231c, 231d and the brush 231a The cleaning moving part 210 generates power for generating the relative stopped state of the cleaning moving part 210, the wiper 231c, 231d, and the brushes 231a, 231b for generating the relative stopped state of 231b). ), the wiper (231c, 231d) and the brush (231a, 231b) to clean the window through the relative stop driving unit 220 and the wiper (231c, 231d) and the brush (231a, 231b) The wiper (231c, 231d) and the brushes (231a, 231b) are moved up and down separately to the upper or lower glass of the window, and the wiper to avoid an obstacle of the window. In order to separate the (231c, 231d) and the brushes (231a, 231b) from the upper or lower glass of the window, the wiper (231c, 231d) and the brushes (231a, 231b) are vertically placed in the upper or lower glass of the window. Separately, the cleaning tool selection unit 230 and the cleaning drive unit 240 and the cleaning moving unit (240) for generating power and transmitting the generated power to the brushes 231a and 231b to rotate the brushes 231a and 231b 210) collects rainwater and an obstacle detection unit (not shown) that detects an obstacle in a moving direction, and when the collected rainwater exceeds a certain amount, rainwater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and the collected rainwater is supplied to the rainwater providing unit 260 ), and a rainwater providing unit 260 that sprays the upper portion of the upper glass of the window when rainwater is received from the rainwater collecting unit 250. In addition, the rainwater collecting unit 250 controls to open and close the rainwater measurement sensor and the water blocking partition 252 that periodically measure the amount of rainwater collected in the rainwater storage space 251, and the rainwater measurement sensor measures it. It is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rainwater collection unit control unit for transmitting rainwater information to the control unit when the amount of rainwater is more than a certain amount.

또한 이때, 도 2(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이동부(300)는 상기 구동부(100)로부터 전달받은 동력을 상기 청소부(200)가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청소부(200)에 전달하는 이동타이밍벨트(310)와 상기 구동부(100)의 반대편에 위치하고 상기 이동타이밍벨트(310)를 통해 감싸져서 상기 이동타이밍벨트(310)가 움직일 경우 회전하는 이동도르래(320)와 상기 청소부(200)가 상기 이동타이밍벨트(310)를 통해 이동할 경우 상기 청소부(200)의 이동을 안내하는 이동가이드부(330)로 이루어진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2(d), the moving part 300 transfers the power received from the driving part 100 to the cleaning part 200 so that the cleaning part 200 can move. The moving pulley 320 and the cleaning unit 200 that are located opposite the belt 310 and the driving unit 100 and are wrapped through the moving timing belt 310 and rotate when the moving timing belt 310 moves When moving through the moving timing belt 310, a movement guide unit 330 that guides the movement of the cleaning unit 200 is provided.

아울러, 상기 이동타이밍벨트(310)는 상기 구동제3도르래(15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는다In addition, the moving timing belt 310 receives power from the driving third pulley 150.

또한 아울러, 상기 이동도르래(320)는 상기 구동제3도르래(150)와 수평으로 반대편에 위치한다.In addition, the moving pulley 320 is located on the opposite side horizontally to the driving third pulley 150.

또한 아울러, 상기 이동가이드부(330)의 바람직한 실시 예는 일반적인 LM가이드를 사용한다.In additio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movement guide unit 330 uses a general LM guide.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하부 형태가 다른 유리창 청소 장치를 나타내기 위한 예시도로 도 2(b)의 A 부분의 확대도이다.FIG. 3 is an enlarged view of part A of FIG. 2(b) a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window cleaning apparatus having different upper and lower shap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이때,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구동부(100)는 상기 이동부(300)에 전달할 동력을 생산하는 구동모터(110)와 상기 구동모터(110)가 생산한 동력을 전달 받아 타이밍벨트를 통해 구동제2도르래(130)에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제1도르래(120)와 상기 구동제1도르래(120)로부터 전달 받은 동력을 구동제2도르래(130)의 중앙에 결합된 구동축에 전달하는 구동제2도르래(130)와 구동제3도르래(150)의 중앙에 결합되고 상기 구동제2도르래(130)를 통해 전달 받은 동력을 구동제3도르래(150)에 전달하는 구동축(140)과 상기 구동축(140)의 양 단에 결합되어 상기 구동축(140)을 통해 전달 받은 동력을 상기 이동부(300)에 전달하는 구동제3도르래(150)로 이루어진다.In this case, as shown in FIG. 3, the driving unit 100 receives the driving motor 110 that produces power to be transmitted to the moving unit 300 and the power produced by the driving motor 110 to receive the timing belt. The driving first pulley 120 that transmits power to the driving second pulley 130 and the power received from the driving first pulley 120 are transmitted to the driving shaft coupled to the center of the driving second pulley 130 through The driving shaft 140 coupled to the center of the driving second pulley 130 and the driving third pulley 150 and transmitting the power received through the driving second pulley 130 to the driving third pulley 150 and It is composed of a driving third pulley 150 is coupled to both ends of the drive shaft 140 to transmit the power received through the drive shaft 140 to the moving unit 300.

아울러, 상기 구동제1도르래와 상기 구동제2도르래와 상기 구동축과 상기 구동제3도르래는 상기 구동모터가 생산한 동력을 상기 이동부에 전달하기 위한 구성으로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다른 수단으로 대체가능하다.In addition, the driving first pulley, the driving second pulley, the driving shaft and the driving third pulley are configured to transmit the power produced by the driving motor to the moving unit, and can be replaced by other means for transmitting power. Do.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하부 형태가 다른 유리창 청소 장치를 나타내기 위한 예시도로 도 2(c)에 청소이동부(210)의 확대도이다.FIG. 4 is an enlarged view of the cleaning moving part 210 in FIG. 2(c) a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window cleaning apparatus having different upper and lower shap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이때,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청소이동부(210)는 상기 상대적정지상태구동부(220)로부터 동력을 전달 받아 피니언(212)에 전달하는 베벨기어(211)와 상기 베벨기어(211)로부터 동력을 전달 받아 레크(213)를 상기 청소부(200)의 이동방향 또는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피니언(212)과 상대적정지상태부(214)와 상보적으로 결합되어 상기 피니언(212)을 통해 움직이기 되면 상기 상대적정지상태부(214)를 상기 피니언(212)과 같은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레크(213)와 상기 레크(213)를 통해 이동하여 상기 와이퍼(231c, 231d)와 상기 브러쉬(231a, 231b)의 상기 상대적정지상태를 만드는 상대적정지상태부(214)와 상기 이동부(300)를 따라 상기 청소부(200)를 이동시키는 청소본체이동부(215)로 이루어진다.In this case, as shown in FIG. 4, the cleaning moving part 210 receives power from the relative stop driving part 220 and transmits the power to the pinion 212 and the bevel gear 211 It is complementarily coupled with the pinion 212 and the relative stop 214 to move the rack 213 in the moving direction or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cleaning unit 200 by receiving power from the pinion 212 to move through the pinion 212 When it wins, it moves through the racks 213 and the racks 213 that move the relative stationary part 214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pinion 212 to move the wipers 231c and 231d and the brushes 231a and 231b. ) And a cleaning body moving part 215 for moving the cleaning part 200 along the moving part 300 and a relative stationary state part 214 making the relative stationary state of ).

아울러, 상기 청소본체이동부(215)가 상기 청소부(200)를 이동시키는 바람직한 실시 예는 이동타이밍벨트(310)와 상보적으로 결합되어 상기 이동타이밍벨트(310)의 동력으로 상기 이동가이드부(330)의 안내를 받아 이동시킨다.In addition, a preferred embodiment in which the cleaning body movable part 215 moves the cleaning part 200 is complementarily coupled with the movable timing belt 310, and the movement guide part 330 with the power of the movable timing belt 310 ) To move.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하부 형태가 다른 유리창 청소 장치를 나타내기 위한 예시도로 도 2(c)에 상대적정지상태구동부(220)의 확대도이다.6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window cleaning apparatus having different upper and lower shap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an enlarged view of the relative stop driving unit 220 in FIG. 2(c).

또한 이때,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상대적정지상태구동부(220)는 동력전달부(222)를 통해 상기 청소이동부(210)에 상기 상대적정지상태를 위한 동력을 전달하기 위해 상기 동력을 생성하는 모터(221)와 상기 모터(221)가 생성한 동력을 상기 청소이동부(210)에 전달하는 동력전달부(222)로 이루어진다.In addition, at this time, as shown in FIG. 6, the relative stationary state driving unit 220 generates the power to transmit the power for the relative stationary state to the cleaning moving unit 210 through the power transmission unit 222. It consists of a motor 221 and a power transmission unit 222 that transmits the power generated by the motor 221 to the cleaning moving unit 210.

아울러, 상기 동력전달부(222)가 상기 청소이동부(210)에 동력을 전달하는 바람직한 실시 예는 상기 모터(221)가 회전하면 상기 모터(221)의 힘으로 상기 청소이동부(210)와 연결된 축을 회전시키는 것이다.In addition, a preferred embodiment in which the power transmission unit 222 transmits power to the cleaning movement unit 210 is, when the motor 221 rotates, the shaft connected to the cleaning movement unit 210 is moved by the force of the motor 221. It is to rotate.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하부 형태가 다른 유리창 청소 장치를 나타내기 위한 예시도로 도 2(c)에 브러쉬에 대한 청소도구선택부(230)의 확대도이다.FIG. 7 is an exploded view of a cleaning tool selection unit 230 for a brush in FIG. 2(c) a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window cleaning apparatus having different top and bottom shap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하부 형태가 다른 유리창 청소 장치를 나타내기 위한 예시도로 도 2(c)에 와이퍼에 대한 청소도구선택부(230)의 확대도이다.FIG. 8 is an exploded view of the cleaning tool selection unit 230 for a wiper in FIG. 2(c) a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window cleaning apparatus having different top and bottom shap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이때, 도 7 내지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청소도구선택부(230)는 상하의 형태가 다른 유리창 상하에 별도로 구성되어 상기 유리창을 회전하며 청소하는 브러쉬(231a, 231b)와 상하의 형태가 다른 유리창 상하에 별도로 구성되어 브러쉬동작모터커플링(233a)을 통해 브러쉬동작모터(232a)에 연결된 축에 동력을 전달하기 위해 동력을 생성하는 브러쉬동작모터(232a)와 상하의 형태가 다른 유리창 상하에 별도로 구성되어 상기 브러쉬동작모터(232a)가 생성한 동력을 상기 브러쉬동작모터(232a)에 연결된 축에 전달하는 브러쉬동작모터커플링(233a)과 상하의 형태가 다른 유리창 상하에 별도로 구성되어 상기 브러쉬동작모터커플링(233a)를 통해 상기 브러쉬동작모터(232a)에 연결된 축과 연결되어 브러쉬이동축(235a)을 상기 유리창의 유리로 전진 또는 후진 시키는 브러쉬피니언(234a)과 상하의 형태가 다른 유리창 상하에 별도로 구성되어 상기 브러쉬(231a, 231b)가 상기 브러쉬이동축(235a)의 유리창 방향 끝단에 부착되고 상기 브러쉬피니언(234a)을 통해 상기 유리창의 유리로 전진 또는 후진하는 경우 상기 브러쉬(231a, 231b)를 상기 유리창의 유리로 전진 또는 후진시키는 브러쉬이동축(235a)과 상하의 형태가 다른 유리창 상하에 별도로 구성되어 상기 유리창을 쓸어가며 청소하는 와이퍼(231c, 231d)와 상하의 형태가 다른 유리창 상하에 별도로 구성되어 와이퍼동작모터커플링(233c)을 통해 와이퍼동작모터(232c)에 연결된 축에 동력을 전달하기 위해 동력을 생성하는 와이퍼동작모터(232c)와 상하의 형태가 다른 유리창 상하에 별도로 구성되어 상기 와이퍼동작모터(232c)가 생성한 동력을 상기 와이퍼동작모터(232c)에 연결된 축에 전달하는 와이퍼동작모터커플링(233c)과 상하의 형태가 다른 유리창 상하에 별도로 구성되어 상기 와이퍼동작모터커플링(233c)를 통해 상기 와이퍼동작모터(232c)에 연결된 축과 연결되어 와이퍼이동축(235c)을 상기 유리창의 유리로 전진 또는 후진 시키는 와이퍼피니언(234c)과 상하의 형태가 다른 유리창 상하에 별도로 구성되어 상기 와이퍼(231c, 231d)가 상기 와이퍼이동축(235c)의 유리창 방향 끝단에 부착되고 상기 와이퍼피니언(234c)을 통해 상기 유리창의 유리로 전진 또는 후진하는 경우 상기 와이퍼(231c, 231d)를 상기 유리창의 유리로 전진 또는 후진시키는 와이퍼이동축(235c)으로 이루어진다.In this case, as shown in Figs. 7 to 8, the cleaning tool selection unit 230 is configured separately on the top and bottom of the window with a different top and bottom shape, and has a different top and bottom shape from the brushes 231a and 231b that rotate and clean the window. Separately configured above and below the glass window, the brush motion motor (232a) that generates power to transmit power to the shaft connected to the brush motion motor (232a) through the brush motion motor coupling (233a) The brush operation motor coupling (233a) and the brush operation motor coupling (233a) that transmits the power generated by the brush operation motor (232a) to the shaft connected to the brush operation motor (232a) and the brush operation motor (232a) are separately configured above and below the window window. The brush pinion 234a is connected to the shaft connected to the brush motion motor 232a through the coupling 233a to move the brush moving shaft 235a forward or backward to the glass of the glass window, and the upper and lower windows having different shapes When the brush (231a, 231b) is attached to the end of the brush movement shaft (235a) in the direction of the glass window, and moves forward or backward to the glass of the window through the brush pinion (234a), the brushes (231a, 231b) The brush moving shaft (235a) for moving forward or backward to the glass of the window is configured separately on the top and bottom of the window with a different top and bottom shape, and the wiper (231c, 231d) for cleaning the window while sweeping the window is separately configured on the top and bottom of the window with a different top and bottom shape. The wiper operation motor 232c, which generates power to transmit power to the shaft connected to the wiper operation motor 232c through the coupling 233c, and the wiper operation motor 232c are configured separately on the upper and lower windows of different windows. The wiper operation motor coupling (233c) that transmits the power generated by the wiper operation motor (232c) to the shaft connected to the wiper operation motor (232c) and the wiper operation motor coupling (233c) through the wiper operation motor coupling (233c) is configured separately. The wiper moving shaft (23) is connected to the shaft connected to the motion motor (232c). The wiper pinion 234c for advancing or reversing 5c) to the glass of the window is configured separately on the top and bottom of the window, so that the wiper 231c, 231d is attached to the end of the window direction of the wiper moving shaft 235c, and the When moving forward or backward through the wiper pinion 234c to the glass of the window, the wiper 231c and 231d are configured with a wiper moving shaft 235c that advances or reverses to the glass of the window.

아울러, 상기 브러쉬(231a, 231b)의 바람직한 실시 예는 창문 청소를 위한 일반적인 회전하는 브러쉬이다.In additio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brushes 231a and 231b is a general rotating brush for cleaning windows.

아울러, 상기 와이퍼(231c, 231d)의 바람직한 실시 예는 창문 청소를 위한 일반적인 와이퍼이다.In additio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wipers 231c and 231d is a general wiper for cleaning windows.

이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며,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해 다수의 변경 및 수정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하여야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and shown in connection with a preferred embodiment for illustrating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as shown and described as described above, and deviates from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It will be well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many changes and modifications can be made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Therefore, all such appropriate change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s should be considered to b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구동부
110: 구동모터
120: 구동제1도르래
130: 구동제2도르래
140: 구동축
150: 구동제3도르래
200: 청소부
210: 청소이동부
211: 베벨기어
212: 피니언
213: 레크
214: 상대적정지상태부
215: 청소본체이동부
220: 상대적정지상태구동부
221: 모터
222: 동력전달부
230: 청소도구선택부
231a, 231b: 브러쉬
232a: 브러쉬동작모터
233a: 브러쉬동작모터커플링
234a: 브러쉬피니언
235a: 브러쉬이동축
231c, 231d: 와이퍼
232c: 와이퍼동작모터
233c: 와이퍼동작모터커플링
234c: 와이퍼피니언
235c: 와이퍼이동축
240: 청소구동부
250 : 빗물수집부
251 : 빗물저장공간
252 : 물막음 칸막이
260 : 빗물제공부
300: 이동부
310: 이동타이밍벨트
320: 이동도르래
330: 이동가이드부
100: drive unit
110: drive motor
120: driving first pulley
130: driving second pulley
140: drive shaft
150: driving third pulley
200: cleaner
210: cleaning moving unit
211: bevel gear
212: pinion
213: Reck
214: relative standstill
215: cleaning body moving part
220: relative stationary driving unit
221: motor
222: power transmission unit
230: cleaning tool selection unit
231a, 231b: brush
232a: brush operation motor
233a: Brush motion motor coupling
234a: brush pinion
235a: brush movement axis
231c, 231d: wiper
232c: wiper operation motor
233c: Wiper operation motor coupling
234c: wiper pinion
235c: wiper moving shaft
240: cleaning drive unit
250: rainwater collection unit
251: rainwater storage space
252: water barrier partition
260: rainwater supply unit
300: moving part
310: moving timing belt
320: moving pulley
330: movement guide part

Claims (8)

상하부 형태가 다른 유리창 청소 장치에 있어서,
청소부(200)가 유리창을 청소하며 이동할 수 있도록 동력을 발생시키고 발생된 동력을 이동부(300)로 전달하는 구동부(100);
이동부(300)를 통해 상하의 형태가 다른 유리창의 좌 또는 우로 이동하고, 와이퍼(231c, 231d)와 브러쉬(231a, 231b)의 상대적정지상태를 만들고 와이퍼(231c, 231d)와 브러쉬(231a, 231b)를 상기 유리창의 유리로부터 후진시키는 것을 통해 상기 유리창의 장애물을 피하면서도 와이퍼(231c, 231d)와 브러쉬(231a, 231b)를 통해 상기 유리창의 장애물 옆의 유리부분까지 청소하고, 상기 유리창의 장애물을 피한 직후에도 와이퍼(231c, 231d)와 브러쉬(231a, 231b)의 상대적정지상태를 만들고 와이퍼(231c, 231d)와 브러쉬(231a, 231b)를 상기 유리창의 유리로 전진시키는 것을 통해 상기 유리창의 장애물 옆의 유리부분까지 청소하는 청소부(200);
상기 구동부(100)의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청소부(200)를 좌 또는 우로 이동시키는 이동부(300); 및
상기 구동부(100)를 제어하여 상기 청소부(200)가 상기 유리창의 좌 또는 우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청소부(200)를 제어하여 상기 유리창에 장애물이 확인되면 와이퍼(231c, 231d)와 브러쉬(231a, 231b)의 상기 상대적정지상태를 만들어 상기 유리창의 장애물을 피하면서도 와이퍼(231c, 231d)와 브러쉬(231a, 231b)를 통해 상기 유리창의 장애물 옆의 유리부분까지 청소할 수 있도록 제어하며, 빗물수집부(250)로부터 빗물정보를 전송받는 제어부;
를 포함하되,
상기 상대적정지상태는,
상기 청소부(200)가 상기 구동부(100)의 동력을 이용한 상기 이동부(300)를 통해 이동하는 경우 상기 유리창의 장애물 양 옆의 유리에서 상기 구동부(100)가 동력의 생산을 멈추지 않아 상기 청소부(200)가 계속 이동하더라도 상기 청소부(200)의 와이퍼(231c, 231d)와 브러쉬(231a, 231b)를 상기 청소부(200)가 이동하는 방향의 반대 방향 및 상기 청소부(200)가 이동하는 속도와 동일한 속도로 이동하게 하여 상기 청소부(200)의 와이퍼(231c, 231d)와 브러쉬(231a, 231b)가 상기 유리창의 장애물 옆의 유리에 멈춰 있는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을 이용한 상하부 형태가 다른 유리창 청소 장치.
In the window cleaning device with different top and bottom shapes,
A driving unit 100 for generating power so that the cleaning unit 200 can move while cleaning the glass window and transmitting the generated power to the moving unit 300;
Moving part 300 moves to the left or right of a window with different vertical shapes, and creates a relative stop state of the wipers 231c, 231d and brushes 231a, 231b, and the wipers 231c, 231d and brushes 231a, 231b ) To avoid the obstacle of the window by moving backward from the glass of the window, and clean up to the glass portion next to the obstacle of the window through the wiper (231c, 231d) and brushes (231a, 231b), and remove the obstacle of the window. Immediately after avoiding, the wiper (231c, 231d) and brushes (231a, 231b) are in a relative stop state, and the wiper (231c, 231d) and brushes (231a, 231b) are moved forward to the glass of the window, so that the side of the obstacle of the window is Cleaning unit 200 for cleaning up to the glass portion of the;
A moving unit 300 for moving the cleaning unit 200 to the left or right by receiving power from the driving unit 100; And
The driving unit 100 is controlled to allow the cleaning unit 200 to move to the left or right of the window, and when an obstacle is detected in the window by controlling the cleaning unit 200, the wiper 231c, 231d and the brush 231a , 231b), while avoiding the obstacles of the window, through the wiper (231c, 231d) and brushes (231a, 231b) to clean the glass portion next to the obstacle of the window, and rainwater collecting unit A control unit that receives rainwater information from the 250;
Including,
The relative stationary state,
When the cleaning unit 200 moves through the moving unit 300 using the power of the driving unit 100, the driving unit 100 does not stop producing power in the glass on both sides of the obstacle of the window, so the cleaning unit ( Even if 200 continues to move, wipers 231c and 231d and brushes 231a and 231b of the cleaning unit 200 are mov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cleaning unit 200 moves and the same speed as the moving speed of the cleaning unit 200.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wiper (231c, 231d) and the brushes (231a, 231b) of the cleaning unit 200 by moving at a speed are stopped on the glass next to the obstacle of the window. Device.
상기 구동부(100)는,
상기 이동부(300)에 전달할 동력을 생산하는 구동모터(110);
상기 구동모터(110)가 생산한 동력을 전달받아 타이밍벨트를 통해 구동제2도르래(130)에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제1도르래(120);
상기 구동제1도르래(120)로부터 전달받은 동력을 구동제2도르래(130)의 중앙에 결합된 구동축에 전달하는 구동제2도르래(130);
구동제3도르래(150)의 중앙에 결합되고 상기 구동제2도르래(130)를 통해 전달받은 동력을 구동제3도르래(150)에 전달하는 구동축(140); 및
상기 구동축(140)의 양 단에 결합되어 상기 구동축(140)을 통해 전달받은 동력을 상기 이동부(300)에 전달하는 구동제3도르래(15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을 이용한 상하부 형태가 다른 유리창 청소 장치.
The driving unit 100,
A drive motor 110 for producing power to be transmitted to the moving part 300;
A first driving pulley 120 for receiving the power produced by the driving motor 110 and transmitting the power to the second driving pulley 130 through a timing belt;
A driving second pulley 130 for transmitting the power received from the driving first pulley 120 to a driving shaft coupled to the center of the driving second pulley 130;
A driving shaft 140 coupled to the center of the driving third pulley 150 and transmitting the power transmitted through the driving second pulley 130 to the driving third pulley 150; And
A driving third pulley 150 coupled to both ends of the driving shaft 140 to transmit the power received through the driving shaft 140 to the moving unit 300;
Window cleaning device having different upper and lower shapes using rainwat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부(200)는,
상기 이동부(300)를 통해 상기 유리창의 좌 또는 우로 이동하고, 상기 와이퍼(231c, 231d)와 상기 브러쉬(231a, 231b)의 상기 상대적정지상태를 발생시키는 청소이동부(210);
상기 와이퍼(231c, 231d)와 상기 브러쉬(231a, 231b)의 상기 상대적정지상태를 발생시키기 위한 동력을 생성하여 상기 청소이동부(210)에 전달하는 상대적정지상태구동부(220);
상기 와이퍼(231c, 231d)와 상기 브러쉬(231a, 231b)를 통해 상기 유리창을 청소하기 위해 상기 와이퍼(231c, 231d)와 상기 브러쉬(231a, 231b)를 상기 유리창의 상부 또는 하부의 유리에 닿게 하기 위해 상기 와이퍼(231c, 231d)와 상기 브러쉬(231a, 231b)를 상기 유리창 상부 또는 하부의 유리에 상하별도로 전진하고, 상기 유리창의 장애물을 피하기 위해 상기 와이퍼(231c, 231d)와 상기 브러쉬(231a, 231b)를 상기 유리창 상부 또는 하부의 유리에서 떨어지게 하기 위해 상기 와이퍼(231c, 231d)와 상기 브러쉬(231a, 231b)를 상기 유리창 상부 또는 하부의 유리에서 상하별도로 후진하는 청소도구선택부(230);
동력을 생산하고 생산된 동력을 상기 브러쉬(231a, 231b)에 전달하여 상기 브러쉬(231a, 231b)를 회전하게 하는 청소구동부(240);
상기 청소이동부(210)를 통해 이동하는 방향의 장애물을 탐지하는 장애물탐지부;
빗물을 수집하고, 수집된 빗물이 일정량 이상이 되면 상기 제어부에 빗물정보를 전송하고 수집된 빗물을 빗물제공부(260)로 전달하는 빗물수집부(250); 및
상기 빗물수집부(250)로부터 빗물을 전달받을 경우 상기 유리창 상부 유리의 상부에 분사해주는 빗물제공부(26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을 이용한 상하부 형태가 다른 유리창 청소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cleaning unit 200,
A cleaning moving part 210 that moves to the left or right of the window through the moving part 300 and generates the relative stop state of the wipers 231c and 231d and the brushes 231a and 231b;
A relative stationary state driving unit 220 for generating power for generating the relative stationary state of the wipers 231c and 231d and the brushes 231a and 231b, and transmitting the power to the cleaning moving unit 210;
The wiper (231c, 231d) and the brush (231a, 231b) to clean the window through the wiper (231c, 231d) and the brush (231a, 231b) to contact the upper or lower glass of the window In order to move the wiper (231c, 231d) and the brushes (231a, 231b) up and down separately on the glass above or below the window, the wiper (231c, 231d) and the brush (231a, in order to avoid obstacles of the window) A cleaning tool selection unit 230 for moving the wiper 231c and 231d and the brushes 231a and 231b separately from the upper or lower glass of the window so as to separate 231b) from the upper or lower glass of the window;
A cleaning drive unit 240 for generating power and transmitting the generated power to the brushes 231a and 231b to rotate the brushes 231a and 231b;
An obstacle detecting unit for detecting an obstacle in a direction moving through the cleaning moving unit 210;
A rainwater collection unit 250 that collects rainwater and transmits rainwater information to the control unit when the collected rainwater reaches a predetermined amount and transmits the collected rainwater to the rainwater providing unit 260; And
When receiving rainwater from the rainwater collecting unit 250, a rainwater providing unit 260 for spraying the upper portion of the upper glass of the windowpane;
Window cleaning device having different upper and lower shapes using rainwat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빗물수집부(250)는,
빗물저장공간(251)에 수집된 빗물의 빗물량을 주기적으로 측정하는 빗물측정 센서; 및
물막음 칸막이(252)를 개폐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빗물측정 센서가 측정한 빗물량이 일정량 이상일 경우 제어부로 빗물정보를 전송하는 빗물수집부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을 이용한 상하부 형태가 다른 유리창 청소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rainwater collection unit 250,
A rainwater measurement sensor that periodically measures the amount of rainwater collected in the rainwater storage space 251; And
A rainwater collection unit control unit that controls to open and close the water blocking partition 252 and transmits rainwater information to the control unit when the amount of rainwater measured by the rainwater measurement sensor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certain amount;
Window cleaning device having different upper and lower shapes using rainwat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이동부(210)는,
상기 상대적정지상태구동부(22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피니언(212)에 전달하는 베벨기어(211);
상기 베벨기어(211)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레크(213)를 상기 청소부(200)의 이동방향 또는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피니언(212);
상대적정지상태부(214)와 상보적으로 결합되어 상기 피니언(212)을 통해 움직이기 되면 상기 상대적정지상태부(214)를 상기 피니언(212)과 같은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레크(213);
상기 레크(213)를 통해 이동하여 상기 와이퍼(231c, 231d)와 상기 브러쉬(231a, 231b)의 상기 상대적정지상태를 만드는 상대적정지상태부(214); 및
상기 이동부(300)를 따라 상기 청소부(200)를 이동시키는 청소본체이동부(215);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을 이용한 상하부 형태가 다른 유리창 청소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cleaning moving part 210,
A bevel gear 211 for receiving power from the relative stationary driving unit 220 and transmitting the power to the pinion 212;
A pinion 212 that receives power from the bevel gear 211 and moves the leg 213 in the moving direction or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cleaning unit 200;
A rack 213 that is complementarily coupled to the relative stationary state part 214 and moves the relative stationary state part 214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pinion 212 when it is moved through the pinion 212;
A relative stop state unit 214 moving through the rake 213 to create the relative stop state of the wiper 231c and 231d and the brushes 231a and 231b; And
A cleaning body moving part 215 for moving the cleaning part 200 along the moving part 300;
Window cleaning device having different upper and lower shapes using rainwat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대적정지상태구동부(220)는,
동력전달부(222)를 통해 상기 청소이동부(210)에 상기 상대적정지상태를 위한 동력을 전달하기 위해 상기 동력을 생성하는 모터(221); 및
상기 모터(221)가 생성한 동력을 상기 청소이동부(210)에 전달하는 동력전달부(222);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을 이용한 상하부 형태가 다른 유리창 청소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relative stationary state driving unit 220,
A motor 221 for generating the power to transmit power for the relative stationary state to the cleaning moving part 210 through the power transmission unit 222; And
A power transmission unit 222 for transmitting the power generated by the motor 221 to the cleaning moving unit 210;
Window cleaning device having different upper and lower shapes using rainwat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도구선택부(230)는,
상하의 형태가 다른 유리창 상하에 별도로 구성되어 상기 유리창을 회전하며 청소하는 브러쉬(231a, 231b);
상하의 형태가 다른 유리창 상하에 별도로 구성되어 브러쉬동작모터커플링(233a)을 통해 브러쉬동작모터(232a)에 연결된 축에 동력을 전달하기 위해 동력을 생성하는 브러쉬동작모터(232a);
상하의 형태가 다른 유리창 상하에 별도로 구성되어 상기 브러쉬동작모터(232a)가 생성한 동력을 상기 브러쉬동작모터(232a)에 연결된 축에 전달하는 브러쉬동작모터커플링(233a);
상하의 형태가 다른 유리창 상하에 별도로 구성되어 상기 브러쉬동작모터커플링(233a)를 통해 상기 브러쉬동작모터(232a)에 연결된 축과 연결되어 브러쉬이동축(235a)을 상기 유리창의 유리로 전진 또는 후진시키는 브러쉬피니언(234a);
상하의 형태가 다른 유리창 상하에 별도로 구성되어 상기 브러쉬(231a, 231b)가 상기 브러쉬이동축(235a)의 유리창 방향 끝단에 부착되고 상기 브러쉬피니언(234a)을 통해 상기 유리창의 유리로 전진 또는 후진하는 경우 상기 브러쉬(231a, 231b)를 상기 유리창의 유리로 전진 또는 후진시키는 브러쉬이동축(235a);
상하의 형태가 다른 유리창 상하에 별도로 구성되어 상기 유리창을 쓸어가며 청소하는 와이퍼(231c, 231d);
상하의 형태가 다른 유리창 상하에 별도로 구성되어 와이퍼동작모터커플링(233c)을 통해 와이퍼동작모터(232c)에 연결된 축에 동력을 전달하기 위해 동력을 생성하는 와이퍼동작모터(232c);
상하의 형태가 다른 유리창 상하에 별도로 구성되어 상기 와이퍼동작모터(232c)가 생성한 동력을 상기 와이퍼동작모터(232c)에 연결된 축에 전달하는 와이퍼동작모터커플링(233c);
상하의 형태가 다른 유리창 상하에 별도로 구성되어 상기 와이퍼동작모터커플링(233c)를 통해 상기 와이퍼동작모터(232c)에 연결된 축과 연결되어 와이퍼이동축(235c)을 상기 유리창의 유리로 전진 또는 후진시키는 와이퍼피니언(234c); 및
상하의 형태가 다른 유리창 상하에 별도로 구성되어 상기 와이퍼(231c, 231d)가 상기 와이퍼이동축(235c)의 유리창 방향 끝단에 부착되고 상기 와이퍼피니언(234c)을 통해 상기 유리창의 유리로 전진 또는 후진하는 경우 상기 와이퍼(231c, 231d)를 상기 유리창의 유리로 전진 또는 후진시키는 와이퍼이동축(235c);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을 이용한 상하부 형태가 다른 유리창 청소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cleaning tool selection unit 230,
Brushes (231a, 231b) configured separately on the upper and lower windows of different shapes of the upper and lower windows to rotate and clean the window;
A brush motion motor (232a) which is configured separately above and below the glass windows having different top and bottom shapes to generate power to transmit power to the shaft connected to the brush motion motor (232a) through the brush motion motor coupling (233a);
A brush motion motor coupling (233a) configured separately above and below the glass windows having different top and bottom shapes to transmit the power generated by the brush motion motor (232a) to a shaft connected to the brush motion motor (232a);
A brush that is configured separately on the top and bottom of the window of different shapes and is connected to the shaft connected to the brush motion motor 232a through the brush motion motor coupling 233a to advance or reverse the brush moving shaft 235a to the glass of the window Pinion 234a;
When the brush (231a, 231b) is attached to the end of the window in the direction of the window of the brush movement shaft (235a) and moves forward or backward through the brush pinion (234a) to the glass window Brush movement shaft (235a) for moving the brushes (231a, 231b) forward or backward to the glass of the glass window;
Wipers (231c, 231d) configured separately above and below the windows of different shapes of the top and bottom to sweep and clean the windows;
A wiper operation motor (232c) which is configured separately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different windows and generates power to transmit power to the shaft connected to the wiper operation motor (232c) through the wiper operation motor coupling (233c);
A wiper operation motor coupling (233c) configured separately above and below the glass windows having different vertical shapes to transmit the power generated by the wiper operation motor (232c) to a shaft connected to the wiper operation motor (232c);
A wiper configured separately on the top and bottom of a window of different shape and connected to a shaft connected to the wiper operation motor 232c through the wiper operation motor coupling 233c to advance or reverse the wiper moving shaft 235c to the glass of the window pane Pinion 234c; And
When the wiper (231c, 231d) is attached to the end of the window in the direction of the window of the wiper moving shaft (235c), and moves forward or backward through the wiper pinion (234c) to the glass of the window pane. A wiper moving shaft 235c for moving the wiper 231c, 231d forward or backward to the glass of the window pane;
Window cleaning device having different upper and lower shapes using rainwat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300)는,
상기 구동부(100)로부터 전달받은 동력을 상기 청소부(200)가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청소부(200)에 전달하는 이동타이밍벨트(310);
상기 구동부(100)의 반대편에 위치하고 상기 이동타이밍벨트(310)를 통해 감싸져서 상기 이동타이밍벨트(310)가 움직일 경우 회전하는 이동도르래(320); 및
상기 청소부(200)가 상기 이동타이밍벨트(310)를 통해 이동할 경우 상기 청소부(200)의 이동을 안내하는 이동가이드부(33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을 이용한 상하부 형태가 다른 유리창 청소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moving part 300,
A moving timing belt 310 for transmitting the power received from the driving unit 100 to the cleaning unit 200 so that the cleaning unit 200 can move;
A moving pulley 320 positioned opposite the driving unit 100 and wrapped through the moving timing belt 310 to rotate when the moving timing belt 310 moves; And
A movement guide unit 330 for guiding the movement of the cleaning unit 200 when the cleaning unit 200 moves through the movement timing belt 310;
Window cleaning device having different upper and lower shapes using rainwat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KR1020190049073A 2019-04-26 2019-04-26 Window cleaning system with different top and bottom forms using rainwater KR10265871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9073A KR102658710B1 (en) 2019-04-26 2019-04-26 Window cleaning system with different top and bottom forms using rainwa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9073A KR102658710B1 (en) 2019-04-26 2019-04-26 Window cleaning system with different top and bottom forms using rainwat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5177A true KR20200125177A (en) 2020-11-04
KR102658710B1 KR102658710B1 (en) 2024-04-19

Family

ID=735714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9073A KR102658710B1 (en) 2019-04-26 2019-04-26 Window cleaning system with different top and bottom forms using rainwat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8710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6167B1 (en) * 2022-03-21 2022-10-18 주식회사 하나이엔씨 Construction method of underpass using natural lighting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3782B1 (en) * 2008-08-19 2009-02-18 메리츠산업주식회사 The soundproof tunnel with apparatus for washing
KR20100118263A (en) * 2009-04-28 2010-11-05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Rail type cleaning system of building window using sunlight
KR20170073984A (en) * 2015-12-21 2017-06-29 한국건설기술연구원 Apparatus for cleaning window of building outwall
KR101969373B1 (en) * 2018-04-27 2019-04-16 한국건설기술연구원 Window Cleaning System with Different Top and Bottom Forms
KR101969374B1 (en) * 2018-04-27 2019-04-16 한국건설기술연구원 Window Cleaning System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3782B1 (en) * 2008-08-19 2009-02-18 메리츠산업주식회사 The soundproof tunnel with apparatus for washing
KR20100118263A (en) * 2009-04-28 2010-11-05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Rail type cleaning system of building window using sunlight
KR20170073984A (en) * 2015-12-21 2017-06-29 한국건설기술연구원 Apparatus for cleaning window of building outwall
KR101803946B1 (en) 2015-12-21 2017-12-04 한국건설기술연구원 Apparatus for cleaning window of building outwall
KR101969373B1 (en) * 2018-04-27 2019-04-16 한국건설기술연구원 Window Cleaning System with Different Top and Bottom Forms
KR101969374B1 (en) * 2018-04-27 2019-04-16 한국건설기술연구원 Window Cleaning System

Non-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http://www.thk.com/sites/default/files/documents/kr_pdf/500-5k/LMguide/500-5K1_A01_LMGuide_300_372.pdf
https://ko.wikipedia.org/wiki/%EB%8F%84%EB%A5%B4%EB%9E%98
https://www.google.co.kr/search?q=%EB%B2%A0%EB%B2%A8%EA%B8%B0%EC%96%B4&rlz=1C1SQJL_koKR782KR782&oq=%EB%B2%A0%EB%B2%A8%EA%B8%B0%EC%96%B4&aqs=chrome..69i57j0l5.1351j0j7&sourceid=chrome&ie=UTF-8
https://www.google.co.kr/search?q=LM%EA%B0%80%EC%9D%B4%EB%93%9C&rlz=1C1SQJL_koKR782KR782&oq=LM%EA%B0%80%EC%9D%B4%EB%93%9C&aqs=chrome..69i57j0l5.2951j0j7&sourceid=chrome&ie=UTF-8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6167B1 (en) * 2022-03-21 2022-10-18 주식회사 하나이엔씨 Construction method of underpass using natural light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58710B1 (en) 2024-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39020B1 (en) Window cleaning system using rainwater
CN201558822U (en) Automatic solar photovoltaic module cleaning device
KR20200125177A (en) Window cleaning system with different top and bottom forms using rainwater
KR101805518B1 (en) Rotating Apparatus and Method with Obstacle Avoiding Function for Cleaning an Window
CN116568903A (en) Automatic change window cleaning equipment
KR101803946B1 (en) Apparatus for cleaning window of building outwall
CN110025252A (en) A kind of Electromechanical Control robot and its control method
CN210990026U (en) Cleaning robot capable of automatically cleaning ground
CN107320011A (en) A kind of cleansing double sided device of windowpane
KR101969374B1 (en) Window Cleaning System
KR101969373B1 (en) Window Cleaning System with Different Top and Bottom Forms
KR101427215B1 (en) The windows for apartment house with washing device
CN103054508A (en) Limb type window-cleaning robot
US7228584B2 (en) Portal washing facility for motor vehicles
KR101805517B1 (en) Integral Apparatus and Method with Obstacle Avoiding Function for Cleaning an Window
RU193740U1 (en) SMART WINDOW WITH INTEGRATED CLEANING SYSTEM
CN109972573A (en) A kind of street railing cleaning vehicle for municipal works
KR101886197B1 (en) Veranda window structure for apartment
KR20190116591A (en) Intelligent Window Cleaning Robot Having Variable Frame Structure
CN209966275U (en) Floor sweeping robot
CN110179405A (en) A kind of gap automatic cleaning machine
CN113413100A (en) Automatic cleaning robot based on image analysis
CN210707309U (en) Bus rear window is with brushing device
KR100514993B1 (en) unmanned sweeping unit
CN110821381A (en) Sun-shading with cleaning fun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